KR102035925B1 - APPARATUS AND METHOD FOR CLASSIFICATION IoT SERVICE BASED ON SERVICE OPERATION CHARACTERISTIC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LASSIFICATION IoT SERVICE BASED ON SERVICE OPERATION CHARACTERIST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925B1
KR102035925B1 KR1020180019158A KR20180019158A KR102035925B1 KR 102035925 B1 KR102035925 B1 KR 102035925B1 KR 1020180019158 A KR1020180019158 A KR 1020180019158A KR 20180019158 A KR20180019158 A KR 20180019158A KR 102035925 B1 KR102035925 B1 KR 102035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ssifying
detailed
data
processing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1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5146A (en
Inventor
이대원
Original Assignee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9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925B1/en
Publication of KR20190105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1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9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89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sensing the monitored data, e.g. interfaces, connectors, sensors, probes, ag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장치는, 다양한 사물인터넷 서비스들의 세부동작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분류함으로써, 유사 서비스를 식별하고 유사 서비스간 모듈 재활용 및 데이터 공유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lassifying IoT service based on detailed operations. The IoT service classification apparatus based on detailed operation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a similar service and provides module recycling and data sharing between similar services by classifying services based on detailed operations of various IoT services.

Description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LASSIFICATION IoT SERVICE BASED ON SERVICE OPERATION CHARACTERISTIC}APAPATUS AND METHOD FOR CLASSIFICATION IoT SERVICE BASED ON SERVICE OPERATION CHARACTERISTIC}

본 발명은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사물인터넷 서비스들의 세부동작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분류하는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lassifying IoT services based on detailed operation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lassifying IoT services based on detailed operations for classifying services based on detailed operations of various IoT services. .

최근 인터넷 기술과 센서들로 인하여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 IOT) 서비스가 발전하고 있다. 사물인터넷 서비스는 모든 사물들이 연결되어서 상호 간의 정보를 주고 받거나 상황인식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Recently, Internet of Things (IOT) services are developing due to internet technologies and sensors. The IoT service is a service that provides convenience to a user through all things connected to each other to exchange information or situation awareness.

현재 대부분의 사물인터넷 서비스는 독립 플랫폼에서 단일 서비스로 제공된다. 따라서, 하나의 독립 플랫폼에서 만들어진 사물인터넷 서비스와 다른 독립 플랫폼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간을 융합하여 새로운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융합시 모듈의 중복과 의존성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현재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일관성 있는 정의와 분류가 없기 때문에 타 서비스 간의 융합이 어려운 상황이다.Currently, most IoT services are provided as a single service on an independent platform.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a new IoT service by integrating the IoT service made on one independent platform with the IoT service of another independent platform, problems such as duplication and dependency of modules occur when the IoT service is converged.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consistent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IoT services at present, convergence between other services is difficult.

(비특허문헌 1) Thoma, Matthias, et al. "On iot-services: Survey,classification and enterprise integration." Green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GreenCom), 2012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EEE, 2012.(Non-Patent Document 1) Thoma, Matthias, et al. "On iot-services: Survey, classification and enterprise integration." Green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GreenCom), 2012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EEE, 20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물인터넷 서비스 환경 내의 서비스들의 세부 동작을 분류하여 이질적인 동작을 제외한 공통동작을 공통 모듈로 추출하는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a detailed operation-based IoT service class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lassifying the detailed operations of services in the IoT service environment and extracting common operations excluding heterogeneous operations as common modules.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장치는, 센서의 동작에 기반하여 서비스의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센싱 분류부; 상기 센서의 센싱을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의 가공을 처리하여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데이터 관리 분류부; 상기 처리된 가공 데이터를 동작 수행에 필요한 연산 방식으로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프로세싱 분류부; 및 상기 프로세싱 분류부의 연산 결과에 따라 서비스의 출력 방식에 기반하여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출력 분류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oT service classification apparatus based on a detailed operation includes: a sensing classification unit classifying a detailed operation of a service based on an operation of a sensor; A data management classifying unit configured to classify a detailed operation by processing a data received through sensing of the sensor; A processing classifying unit classifying a detailed operation by the operation method necessary to perform an operation on the processed processing data; And an output classifying unit classifying a detailed operation based on an output method of a service according to an operation result of the processing classifying unit.

상기 센싱 분류부는, 전력, 통신, 센서 동작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ing classification unit may classify the data into at least one of power, communication, and a sensor operation method.

상기 데이터 관리 분류부는, 전처리, 전송, 저장, 전달 방식, 무결성 검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ata management classification unit may be classified into at least one of preprocessing, transmission, storage, transmission, and integrity verification.

상기 프로세싱 분류부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초 연산, 독립 연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cessing classification unit may classify the data into at least one of a basic operation and an independent operation for data analysis.

상기 출력 분류부는, 요약, 알림, 특정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put classification unit may classify the data into at least one of a summary, a notification, and a specific oper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장치에서의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방법은, 센서의 센싱을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의 가공을 처리하여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처리된 가공 데이터를 동작 수행에 필요한 연산 방식으로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처리된 가공 데이터를 동작 수행에 필요한 연산 방식으로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 방식으로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단계에서의 연산 결과에 따라 서비스의 출력 방식에 기반하여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oT service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a detailed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processing of incoming data through sensing of a sensor. Categorizing the actions; Classifying a detailed operation into an operation method necessary to perform an operation on the processed processing data; Classifying a detailed operation into an operation method necessary to perform an operation on the processed processing data; And classifying the detailed operation based on the output method of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result in the classifying the detailed operation by the operation method.

상기 센서의 센싱을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의 가공을 처리하여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단계는, 전력, 통신, 센서 동작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classifying the detailed operation by processing the processing of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sensing of the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classifying at least any one of power, communication, sensor operation method.

상기 처리된 가공 데이터를 동작 수행에 필요한 연산 방식으로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단계는, 전처리, 전송, 저장, 전달 방식, 무결성 검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classifying the detailed operation into the operation method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may include classifying the processed data into at least one of preprocessing, transmission, storage, transmission method, and integrity verification.

상기 처리된 가공 데이터를 동작 수행에 필요한 연산 방식으로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단계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초 연산, 독립 연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classifying the detailed operation into the operation method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may include classifying the processed data into at least one of a basic operation and an independent operation for data analysis.

상기 연산 방식으로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단계에서의 연산 결과에 따라 서비스의 출력 방식에 기반하여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단계는, 요약, 알림, 특정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lassifying the detailed operation based on the output method of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result in the classifying the detailed operation by the operation method may include classifying the operation into at least one of a summary, a notification, and a specific operation. do.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양한 사물인터넷 서비스들의 세부동작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분류함으로써, 유사 서비스를 식별하고 유사 서비스간 모듈 재활용 및 데이터 공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lassifying services based on detailed operations of various IoT services, it is possible to identify similar services and provide module recycling and data sharing between similar services.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들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분류부에서의 인덱싱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분류부에서의 인덱싱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싱 분류부에서의 인덱싱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분류부에서의 인덱싱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장치에서의 서비스 분류 방법의 동작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are illustrativ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to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matters described.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latform for providing an integrated Io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oT service classification apparatus based on detailed oper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exing method in a sensing classif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exing method in a data management classif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exing method in a processing classif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exing scheme in an output classif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method for classifying IoT service based on detailed oper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ervice classification method in an IoT service classification apparatus based on detailed oper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he “…”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Unit” refers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latform for providing an integrated Io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종래 기술에 있어서, 사물인터넷 서비스는 각 서비스 제공자의 목적에 따라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간의 정보 교환 및 모듈의 재사용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또한, 새롭게 출시되는 사물인터넷 서비스는 대용량 데이터의 빠른 처리와 최종 단말 부하의 최소화를 위해 클라우드 서버를 활용하고 있다.In the prior art, since the IoT service is configured as an independent system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ach service provider, it is difficult to expect information exchange and reuse of modules between systems providing similar services. In addition, the newly launched IoT service utilizes a cloud server for fast processing of large amounts of data and minimizing the end terminal load.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은, 다양한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데이터 재활용 및 모듈 재사용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 기반 통합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사용한다.The platform for providing the integrated Io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a cloud-based integrated IoT platform for data recycling and module reuse of various IoT services.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4단계로 구성되며 각각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integrated IoT platform is composed of four stages, each of which is as follows.

* 센서 : 열, 빛, 온도, 압력, 소리 등 데이터 정보를 수집하거나 일정한 신호로 알려주는 구성임.* Sensor: It is a component that collects data information such as heat, light, temperature, pressure and sound or informs it with a constant signal.

* 서비스 환경 : 분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분류하고 이후, 센서들과 그 외 부속 장치들로 구성되어 서비스 환경을 구성함.* Service environment: Classify service using classification algorithm, and then configure service environment composed of sensors and other accessories.

* 서비스 그룹 : 유사한 서비스 환경들이 모여 서비스 그룹을 구성함.* Service Group: Similar service environments gather together to form a service group.

* 플랫폼 : 다양한 서비스 그룹을 통합 관리함.* Platform: Integrated management of various service group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분류부에서의 인덱싱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분류부에서의 인덱싱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싱 분류부에서의 인덱싱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분류부에서의 인덱싱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oT service classification apparatus based on detailed oper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exing method in a sensing classif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exing scheme in a data management class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exing scheme in a processing class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exing scheme in an output classif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장치(200)는 도 1에서 설명한 서비스 환경에 포함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IoT service classification apparatus 200 based on detailed operations may be included in the service environ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장치(200)는, 센싱 분류부(210), 데이터 관리 분류부(220), 프로세싱 분류부(230) 및 출력 분류부(2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IoT service classification apparatus 200 based on detailed oper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sensing classification unit 210, a data management classification unit 220, a processing classification unit 230, and an output classification unit. 240.

센싱 분류부(210)는 센서의 동작에 기반하여 서비스의 세부 동작을 분류한다. 센싱 분류부(210)는 각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센서의 동작에 기반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싱하여 전력, 통신, 센서 방식 등으로 분류한다. 전력은 Self-power와 AC/DC, Recharge 등으로 세분화되며, 통신은 센서의 자체 IP 유무로 분류된다. 센서의 동작은 Event, Frequency, Event2Frequency, Timer로 분류된다. 이때, Event는 특정 조건 만족 시, Frequency는 지속적인 동작, Event2Frequency는 특정 조건 만족 시 일정기간 지속적인 동작을 수행하며, Timer는 일정 주기에 따라 센서 동작을 수행한다. The sensing classifier 210 classifies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service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sensor. The sensing classification unit 210 is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sensor used in each service, and indexed as shown in FIG. 3 to classify the power, communication, sensor, and the like. Power is subdivided into self-power, AC / DC, and recharge, and communication is classified by sensor's own IP. Sensor operation is classified into Event, Frequency, Event2Frequency, Timer. At this time, Event performs continuous operation when certain condition is satisfied, Frequency continues continuous operation, Event2Frequency performs constant operation when certain conditions are satisfied, and Timer performs sensor operation according to a certain period.

데이터 관리 분류부(220)는 센서의 센싱을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의 가공을 처리하여 세부 동작을 분류한다. 데이터 관리 분류부(220)는 각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센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관리 방법에 따라 분류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싱하여 전처리, 전송, 저장, 전달 방식, 무결성 검증 등으로 분류된다. 전처리는 데이터 전처리 위치에 따라 분류되고, 전송 방식은 센서들의 개별 전송과 관리자의 취합 전송으로 분류되며, 저장은 데이터의 지속 저장 및 임시 저장 등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무결성 검증은 전송된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해 단일 관리자 센서의 결정과 다수의 센서노드의 의사결정으로 분류된다. The data management classifier 220 classifies the detailed operation by processing the incoming data through sensing of the sensor. The data management classification unit 220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nagement method of data generated by the sensor used in each service, and is classified into preprocessing, transmission, storage, transmission method, integrity verification, and the like by indexing as shown in FIG. 4. . The preprocessing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ata preprocessing location, the transmission method is classified into the individual transmission of the sensors and the aggregate transmission of the manager, and the storage is classified into the continuous storage and the temporary storage of the data. Integrity verification is classified into decision of single manager sensor and decision of multiple sensor nodes to verify the integrity of transmitted data.

프로세싱 분류부(230)는 처리된 가공 데이터를 동작 수행에 필요한 연산 방식으로 세부 동작을 분류한다. 프로세싱 분류부(230)는 각 서비스의 연상 방식에 기반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싱하여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초 연산과 독립 연산으로 분류된다. 기초 연상은 Min, Max, Mean, Variance, Count, Compare, Sum,Product 등으로 분류되며, 독립 연산은 이미지 처리를 위한 Array, 파형 분석을 위한 Wave, 참 및/또는 거짓 처리를 위한 Boolean, 이상치 식별을 위한 Peak detection 등으로 분류된다. The processing classifying unit 230 classifies the detailed operations in a calculation manner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operations on the processed processing data. The processing classifier 230 is based on the association method of each service, and is classified into basic operations and independent operations for data analysis by indexing as shown in FIG. 5. Basic associations are classified into Min, Max, Mean, Variance, Count, Compare, Sum, Product, etc.Independent operations are Array for image processing, Wave for waveform analysis, Boolean for true and / or false processing, Outlier identification It is classified into Peak detection for.

출력 분류부(240)는 프로세싱 분류부(230)의 연산 결과에 따라 서비스의 출력 방식에 기반하여 세부 동작을 분류한다. 출력 분류부(240)는 연산 결과에 따라 각 서비스의 동작 방식에 기반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싱하여 요약, 알림, 특정 동작 등으로 분류된다. 요약은 데이터의 취합 결과를 반환하는 동작들을 분류하며, 알림은 데이터 분석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림을 수행하는 동작들을 분류한다. 특정 동작은 각 어플리케이션의 독립적인 동작들을 분류한다.The output classifier 240 classifies the detailed operations based on the output method of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processing classifier 230. The output classifier 240 is based on the operation method of each service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 and is classified into a summary, a notification, a specific operation, and the like by indexing as shown in FIG. The summary categorizes the actions that return the aggregation result of the data, and the notification categorizes the actions that inform the user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result. Specific actions classify the independent actions of each application.

한편,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서비스 분류 장치(200)의 구성이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어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classification apparatus 200 will be described as operating individuall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ler (not shown) to operate organically.

본 실시예에 따라 분류된 사물인터넷 서비스는 표본 집단의 부족으로 발생하는 단일 클러스터를 방지하기 위하여 K-means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재군집화할 수 있다. K-means 알고리즘은 다양한 데이터의 효율적인 군집화를 위한 기법 중 하나로 중심점과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최소로 하는 군집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K-means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k개의 클러스터 수를 미리 지정해주어야 하며, k값에 따라 결과값이 바뀔 수 있다. 따라서, k값의 적절한 수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K-means 알고리즘의 동작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다.The IoT service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regrouped by using the K-means algorithm to prevent a single cluster caused by the lack of a sample population. The K-means algorithm is one of the techniques for efficient clustering of various data, and aims to find a cluster that minimize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oint and the object. To use K-means, the number of k clusters must be specified in advance, and the result valu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k valu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ind the proper number of k values. The operation of the K-means algorithm is shown in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112018016769350-pat00001
Figure 112018016769350-pat00001

이때,

Figure 112018016769350-pat00002
는 전체 분산,
Figure 112018016769350-pat00003
째 클러스터의 중심점은
Figure 112018016769350-pat00004
, 클러스터에 속하는 점의 집합은
Figure 112018016769350-pat00005
이다.
Figure 112018016769350-pat00006
의 최소화하는 것이 K-means 알고리즘의 목표이며, 초기의
Figure 112018016769350-pat00007
를 설정한다. 이후 아래의 두 단계를 반복한다.At this time,
Figure 112018016769350-pat00002
Is full dispersion,
Figure 112018016769350-pat00003
The center point of the first cluster
Figure 112018016769350-pat00004
, A set of points belonging to a cluster
Figure 112018016769350-pat00005
to be.
Figure 112018016769350-pat00006
Minimization of the K-means algorithm is the goal of
Figure 112018016769350-pat00007
Set. Then repeat the following two steps.

(1)

Figure 112018016769350-pat00008
(One)
Figure 112018016769350-pat00008

클러스터 설정: 각 데이터로부터 각 클러스터들의

Figure 112018016769350-pat00009
까지의 유클리드 거리를 계산하여, 해당 데이터에서 가장 가까운 클러스터를 찾아 데이터를 배당한다.Cluster setup: From each data, each cluster
Figure 112018016769350-pat00009
By calculating the Euclidean distance to, find the nearest cluster from the data and allocate the data.

(2)

Figure 112018016769350-pat00010
(2)
Figure 112018016769350-pat00010

클러스터 중심 재조정:

Figure 112018016769350-pat00011
를 각 클러스터에 있는 데이터들의 무게중심 값으로 재설정해준다. 클러스터가 변하지 않는다면 반복을 중단한다.Cluster-centric rebalancing:
Figure 112018016769350-pat00011
Is reset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ata in each cluster. If the cluster doesn't change, stop the itera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장치에서의 서비스 분류 방법의 동작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n IoT service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detailed oper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ervice classification method in an IoT service classification apparatus based on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step of.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장치(200)는, 센서의 센싱을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의 가공을 처리하여 세부 동작을 분류한다(S710). Referring to FIG. 7, the IoT service classification apparatus 200 based on detailed operations first classifies detailed operations by processing processing of data received through sensing of a sensor (S710).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장치(200)는, 처리된 가공 데이터를 동작 수행에 필요한 연산 방식으로 세부 동작을 분류한다(S720).The IoT service classification apparatus 200 based on the detailed motions classifies the detailed motions in the operation method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operations on the processed data (S720).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장치(200)는, 처리된 가공 데이터를 동작 수행에 필요한 연산 방식으로 세부 동작을 분류한다(S730).The IoT service classification apparatus 200 based on the detailed motions classifies the detailed motions in an operation manner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operations on the processed data (S730).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장치(200)는, 연산 방식으로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단계에서의 연산 결과에 따라 서비스의 출력 방식에 기반하여 세부 동작을 분류한다(S740).The IoT service classification apparatus 200 based on the detailed operation classifies the detailed operation based on the output method of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result in the step of classifying the detailed operation by the operation method (S740).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장치(200)에서의 서비스 분류 방법의 동작 단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Meanwhile, an operation of the service classification method in the IoT service classification apparatus 200 based on the detaile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s shown in FIG. 8.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사물인터넷 서비스들의 세부동작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분류함으로써, 유사 서비스를 식별하고 유사 서비스간 모듈 재활용 및 데이터 공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classifying services based on detailed operations of various IoT services, it is possible to identify similar services and provide module recycling and data sharing between similar servic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한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or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may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의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While this specification includes many features, such featur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or the claims. In addition, the features described in the individual embodiments herein can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described in a singl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be implemented individually in various embodiments or in combination as appropriate.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앱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operations have been described in a particular order in the drawings, the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performed in a particular order as shown or in a sequence of successive orders, or all of the described actions being performed to obtain a desired result.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in certain circumstances.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ivision of various system component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oes not require such division in all embodiments. The app components and systems described above may generally be packaged in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multiple software product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

도 22

Claims (10)

센서의 동작에 기반하여 서비스의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센싱 분류부;
상기 센서의 센싱을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의 가공을 처리하여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데이터 관리 분류부;
상기 처리된 가공 데이터를 동작 수행에 필요한 연산 방식으로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프로세싱 분류부; 및
상기 프로세싱 분류부의 연산 결과에 따라 서비스의 출력 방식에 기반하여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출력 분류부;를 포함하고,
프로세싱 분류부는,
처리된 가공 데이터를 동작 수행에 필요한 연산 방식으로 세부 동작을 분류하되, 각 서비스의 연산 방식에 기반하여 데이터 분석을 위한 Min, Max, Mean, Variance, Count, Compare, Sum,Product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초 연산과 이미지 처리를 위한 Array, 파형 분석을 위한 Wave, 참 및/또는 거짓 처리를 위한 Boolean, 이상치 식별을 위한 Peak detection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독립 연산으로 분류하고,
상기 출력 분류부는,
데이터의 취합 결과를 반환하는 동작들을 분류하는 요약, 데이터 분석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림을 수행하는 동작들을 분류하는 알림, 각 어플리케이션의 독립적인 동작들을 분류하는 특정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장치.
A sensing classifier classifying a detailed operation of a service based on an operation of a sensor;
A data management classifying unit configured to classify a detailed operation by processing a data received through sensing of the sensor;
A processing classifying unit classifying a detailed operation by the operation method necessary to perform an operation on the processed processing data; And
An output classifier configured to classify a detailed operation based on an output scheme of a service according to an operation result of the processing classifier;
Processing classification section,
Classify the detailed operation into the operation method necessary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ocessed data, and include any one of Min, Max, Mean, Variance, Count, Compare, Sum, Product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operation method of each service Classified as an independent operation including any one of a basic operation and an array for image processing, a wave for waveform analysis, a Boolean for true and / or false processing, and a peak detection for outlier identification.
The output classification unit,
At least one of a summary for classifying operations for returning data collection results, a notification for classifying operations for notifying a user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result, and a specific operation for classifying independent operations of each application. The IoT service classification device based on the detailed oper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분류부는,
전력, 통신, 센서 동작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ing classification unit,
An apparatus for classifying IoT service based on detailed operation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is classified into at least one of power, communication, and sensor operation method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 분류부는,
전처리, 전송, 저장, 전달 방식, 무결성 검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ata management classification unit,
An apparatus for classifying IoT service based on detailed operation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at least one of preprocessing, transmission, storage, transmission, and integrity verific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장치에서의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방법에 있어서,
센서의 센싱을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의 가공을 처리하여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처리된 가공 데이터를 동작 수행에 필요한 연산 방식으로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처리된 가공 데이터를 동작 수행에 필요한 연산 방식으로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 방식으로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단계에서의 연산 결과에 따라 서비스의 출력 방식에 기반하여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된 가공 데이터를 동작 수행에 필요한 연산 방식으로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단계는,
처리된 가공 데이터를 동작 수행에 필요한 연산 방식으로 세부 동작을 분류하되, 각 서비스의 연산 방식에 기반하여 데이터 분석을 위한 Min, Max, Mean, Variance, Count, Compare, Sum,Product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초 연산과 이미지 처리를 위한 Array, 파형 분석을 위한 Wave, 참 및/또는 거짓 처리를 위한 Boolean, 이상치 식별을 위한 Peak detection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독립 연산으로 분류하고,
상기 연산 방식으로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단계에서의 연산 결과에 따라 서비스의 출력 방식에 기반하여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단계는,
데이터의 취합 결과를 반환하는 동작들을 분류하는 요약, 데이터 분석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림을 수행하는 동작들을 분류하는 알림, 각 어플리케이션의 독립적인 동작들을 분류하는 특정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방법.
In the IoT motion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the detailed operation in the IoT service classification apparatus based on the detailed motion,
Classifying a detailed operation by processing the incoming data through sensing of the sensor;
Classifying a detailed operation into an operation method necessary to perform an operation on the processed processing data;
Classifying a detailed operation into an operation method necessary to perform an operation on the processed processing data; And
And classifying the detailed operation based on the output method of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result in the classifying the detailed operation by the operation method.
The step of classifying a detailed operation by the operation method required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ocessed data,
Classify the detailed operation into the operation method necessary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ocessed data, and include any of Min, Max, Mean, Variance, Count, Compare, Sum, and Product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operation method of each service. Classified as an independent operation including any one of a basic operation and an array for image processing, a wave for waveform analysis, a Boolean for true and / or false processing, and a peak detection for outlier identification.
The classifying the detailed operation based on the output method of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result in the classifying the detailed operation by the operation metho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ummary for classifying operations for returning data collection results, a notification for classifying operations for notifying a user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result, and a specific operation for classifying independent operations of each application. A detailed action based IoT service classification metho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센싱을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의 가공을 처리하여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단계는,
전력, 통신, 센서 동작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process of classifying the detailed operation by processing the incoming data through the sensing of the sensor,
And classifying the data into at least one of power, communication, and a sensor operation metho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가공 데이터를 동작 수행에 필요한 연산 방식으로 세부 동작을 분류하는 단계는,
전처리, 전송, 저장, 전달 방식, 무결성 검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부 동작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classifying a detailed operation by the operation method required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ocessed data,
A detailed operation-based IoT service classifica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lassifying into at least one of preprocessing, transmission, storage, delivery method, and integrity verific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19158A 2018-02-19 2018-02-19 APPARATUS AND METHOD FOR CLASSIFICATION IoT SERVICE BASED ON SERVICE OPERATION CHARACTERISTIC KR1020359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158A KR102035925B1 (en) 2018-02-19 2018-02-19 APPARATUS AND METHOD FOR CLASSIFICATION IoT SERVICE BASED ON SERVICE OPERATION CHARACTERIST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158A KR102035925B1 (en) 2018-02-19 2018-02-19 APPARATUS AND METHOD FOR CLASSIFICATION IoT SERVICE BASED ON SERVICE OPERATION CHARACTERISTI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146A KR20190105146A (en) 2019-09-16
KR102035925B1 true KR102035925B1 (en) 2019-10-23

Family

ID=68067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158A KR102035925B1 (en) 2018-02-19 2018-02-19 APPARATUS AND METHOD FOR CLASSIFICATION IoT SERVICE BASED ON SERVICE OPERATION CHARACTERISTI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92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042B1 (en) * 2020-04-24 2021-06-04 마루아이티 주식회사 Methods,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Messages Processing in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448B1 (en) * 2008-12-26 2015-10-07 (주)한국공간정보통신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ensor stream
KR101650423B1 (en) * 2014-11-25 2016-08-2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crim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by sensor integration manage
KR20170111054A (en) * 2016-03-25 2017-10-12 주식회사 핸디소프트 Sensor data analyzing and provid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IoT technologies
KR101866487B1 (en) * 2016-04-27 2018-06-12 주식회사 와이즈넛 Real time data processing device for grouping data of internet of things different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146A (en) 201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14468A1 (en) Analytic image format for visual computing
EP4266194A1 (en) Metadata generation for multiple object types
US10896114B2 (en) Machine learning error prediction in storage arrays
US10438124B2 (en) Machine discovery of aberrant operating states
US20180211172A1 (en) Machine Discovery and Rapid Agglomeration of Similar States
CN109416684B (en) Ingest manager of analysis platform
US11055730B2 (en) Optimizing predictive precision for actionable forecasts of revenue change
US9940552B1 (en) Sublinear time classification via feature padding and hashing
US968470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ustering data
US91355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ensor data in sensor network using a feature vector identifier of the sensor data
US20210209144A1 (en) Internet of things sensor equivalence ontology
US20180089580A1 (en) Robust classification by pre-conditioned lasso and transductive diffusion component analysis
CN111160410B (en) Object detection method and device
KR10203592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ASSIFICATION IoT SERVICE BASED ON SERVICE OPERATION CHARACTERISTIC
US10956059B2 (en) Classification of storage systems and users thereof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Wang et al. CrowdNet: identifying large-scale malicious attacks over android kernel structures
US20200218994A1 (en) Generating a sequence rule
US11556595B2 (en) Attribute diversity for frequent pattern analysis
Guillen-Perez et al. Counting and locating people in outdoor environments: a comparative experimental study using WiFi-based passive methods
US11042891B2 (en) Optimizing revenue savings for actionable predictions of revenue change
US11216413B1 (en) Processing platform configured for data set management utilizing metadata-based data set operational signatures
KR101909268B1 (en) System for sharing profiling information based on rapi and method thereof
Murugan Supervised classifier approach for intrusion detection on KDD with optimal mapreduce framework model in cloud computing
US11062334B2 (en) Predicting ledger revenue change behavior of clients receiving services
Sopuru et al. Modeling A malware detection and categorization system based on seven network flow-based fea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