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904B1 - Control valve - Google Patents

Control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904B1
KR102034904B1 KR1020130130506A KR20130130506A KR102034904B1 KR 102034904 B1 KR102034904 B1 KR 102034904B1 KR 1020130130506 A KR1020130130506 A KR 1020130130506A KR 20130130506 A KR20130130506 A KR 20130130506A KR 102034904 B1 KR102034904 B1 KR 102034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main valve
sub
valve body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5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56097A (en
Inventor
신지 사에키
유우키 카네코
마사아키 토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Publication of KR20140056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0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9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09Distribution members
    • F04B27/1018Cylindrical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06Multiple-way valves fluid passing through the solenoid c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22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 F04B2027/1827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between crankcase and discharge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4Valve controlling parameter
    • F04B2027/1845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05B2260/962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by means creating "anti-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과제>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를 단일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하는 제어 밸브에 있어서, 서브 밸브의 밸브 폐쇄시에 있어서의 마모나 타격음의 발생을 억제한다.
<해결 수단>
제어 밸브(1)는, 메인 밸브체(30)에 형성된 서브 밸브 시트(34)에 탈착하여 서브 밸브를 개폐하는 서브 밸브체(36); 보디(5)의 일단측에 마련되어 피감지 압력을 감지하여, 그 피감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낮아지면 메인 밸브체(30)를 밸브 개방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파워 엘리먼트(power element)(6); 보디(5)의 타단측에 마련되고, 메인 밸브체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3); 파워 엘리먼트(6)와 솔레노이드(3) 사이에 배치되고, 솔레노이드력을 메인 밸브체(30) 및 서브 밸브체(36) 중 어느 것도 통하지 않고 파워 엘리먼트(6)에 대해 직접 전달 가능한 작동 로드(38)를 구비한다.
<Task>
In the control valve which drives the main valve and the sub valve by a single solenoid, the abrasion and the sound of a hitting sound at the time of the valve closing of a sub valve are suppressed.
<Solution>
The control valve 1 includes a sub valve body 36 which is detached from the sub valve seat 34 formed in the main valve body 30 to open and close the sub valve. A power element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5 to sense a detected pressure,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driving the main valve element 30 in the valve opening direction when the detected pressure is lower than the set pressure. (6); A solenoid 3 provid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body 5 and generating a solenoid force for driving the main valve element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An actuating rod 38 disposed between the power element 6 and the solenoid 3 and capable of directly transmitting the solenoid force to the power element 6 without passing through either the main valve body 30 or the sub valve body 36. ).

Description

제어 밸브{CONTROL VALVE}CONTROL VALVE

본 발명은 제어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용의 보디에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가 마련되고, 단일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val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valve which is provided with a main valve and a sub valve in a common body and driven by a single solenoid.

자동차용 공조장치는, 일반적으로, 그 냉동 사이클을 흐르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로 하여 토출하는 압축기, 그 가스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응축된 액냉매를 단열 팽창시키는 것에 의해 저온 저압의 냉매로 하는 팽창 장치, 그 냉매를 증발시키는 것에 의해 차량 실내 공기와의 열교환을 진행하는 증발기 등을 구비하고 있다.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에 되돌려져 냉동 사이클을 순환한다.BACKGROUND ART An automotive air conditioner generally include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flowing through a refrigeration cycle and discharging the refrigerant as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gas refrigerant,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gas refrigerant, and thermally expanding the condensed liquid refrigerant at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The expansion device which uses a refrigerant | coolant, and the evaporator etc. which heat-exchange with vehicle indoor air by evaporating the refrigerant | coolant are provided. The refrigerant evaporated in the evaporator is returned to the compressor and circulates through the refrigeration cycle.

이 압축기로서는, 엔진의 회전수에 상관없이 일정한 냉방 능력이 유지되도록, 냉매의 토출 용량을 가변할 수 있는 가변 용량 압축기(이하, "압축기"로 약칭하기도 한다)가 사용되고 있다. 이 압축기는, 엔진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에 장착된 요동판에 압축용 피스톤이 연결되고, 요동판의 각도를 변화시켜 피스톤의 스트로크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냉매의 토출량을 조정한다. 요동판의 각도는, 밀폐된 크랭크실 내에 토출 냉매의 일부를 도입하고, 피스톤의 양면에 가해지는 압력의 균형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연속적으로 바꿀 수 있다. 이 크랭크실 내의 압력(이하, "크랭크 압력"이라 한다)(Pc)은, 압축기의 토출실과 크랭크실 사이에 마련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이하, "제어 밸브"로 약칭하기도 한다)에 의해 제어된다.As the compressor, a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compressor") capable of varying the discharge capacity of the refrigerant is used so that a constant cooling capacity is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engine revolutions. In this compressor, a compression piston is connected to a rocking plate attached to a rotating shaft which is rotationally driven by an engine, and the discharge amount of the coolant is adjusted by changing the angle of the rocking plate to change the stroke of the piston. The angle of the swinging plate can be continuously changed by introducing a part of the discharge refrigerant into the sealed crank chamber and changing the balance of the pressure applied to both surfaces of the piston. The pressure in the crank cha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crank pressure") Pc is controlled by a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control valve") provided between the discharge chamber of the compressor and the crank chamber. do.

이와 같은 제어 밸브는, 구동부로서의 솔레노이드에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그 밸브 개도가 조정된다. 공조장치의 기동시 등 그 공기 조절 기능을 신속하게 발휘시킬 필요가 있을 때는,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에 최대 전류를 흘려보내는 것에 의해 밸브부를 밸브 폐쇄 상태로 하고, 크랭크 압력(Pc)을 낮게 하여 요동판을 회전축에 대해 크게 기울이는 것에 의해, 압축기를 최대 용량으로 운전시킬 수 있다. 차량 엔진 부하가 클 때에는 솔레노이드를 오프로 하는 것에 의해 밸브부를 전개 상태로 하고, 크랭크 압력(Pc)을 높게 하여 요동판을 회전축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압축기를 최소 용량으로 운전시킬 수 있다.The valve opening degree of such a control valve is adjusted by supplying an electric current from the outside to the solenoid as a drive part. When the air conditioning function needs to be exerted quickly, such as when the air conditioner is started, for example, the valve part is made closed by sending a maximum current to the solenoid, the crank pressure Pc is lowered, and the swing plate Can be operated at full capacity by inclining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When the vehicle engine load is high, the compressor can be operated at the minimum capacity by turning the solenoid off so that the valve portion is opened, and the crank pressure Pc is increased to make the swing plate almost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

이와 같은 제어 밸브에는, 토출실과 크랭크실을 연통시키는 메인 통로에 메인 밸브를 마련하는 한편, 크랭크실과 흡입실을 연통시키는 서브 통로에 서브 밸브를 마련하고, 이들의 밸브를 단일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제어 밸브에 의하면, 공조장치의 정상(定常) 운전시에는 서브 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메인 밸브의 개도가 조정된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크랭크 압력(Pc)을 제어하고, 압축기의 토출 용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공조장치의 기동시에는 메인 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서브 밸브가 개방되고, 이에 의해 크랭크 압력(Pc)을 신속하게 저하시키는 것에 의해, 압축기를 신속하게 최대 용량 운전 상태로 이행시킬 수 있다. 또한, 단일 솔레노이드에 의해 복수의 밸브를 개폐시키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제어 밸브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In such a control valve, the main valve is provided in the main passage communicating the discharge chamber and the crank chamber, while the sub valve is provided in the sub passage communicating the crank chamber and the suction chamber, and these valves are driven by a single solenoid.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According to this control valve, the opening degree of the main valve is adjusted in the state which closed the sub valve at the time of steady operation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Thereby, as mentioned above, the crank pressure Pc can be controlled and the discharge capacity of a compressor can be controlled. On the other hand, at the start of the air conditioner, the sub valve is opened while the main valve is closed, whereby the crank pressure Pc is rapidly lowered, whereby the compressor can be quickly shifted to the maximum capacity operation state. Moreover, since it was set as the structure which opens and closes several valve by a single solenoid, the whole control valve can be comprised compactly.

이와 같은 제어 밸브는, 단일 솔레노이드에 의해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를 구동하는 관계상, 메인 밸브체와 서브 밸브체를 동일 축선 상에 마련하고, 그 축선을 따라 배치된 작동 로드를 통해 각 밸브체에 솔레노이드력을 전달하는 기구를 구비한다. 제어 밸브의 보디에는 메인 밸브 구멍이 마련되고, 메인 밸브체에 서브 밸브 구멍이 마련된다. 즉, 서브 통로가 메인 밸브체를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메인 밸브 구멍의 개구단부에 마련된 메인 밸브 시트에 대해 메인 밸브체가 탈착하는 것에 의해 메인 밸브가 개폐되고, 서브 밸브 구멍의 개구단부에 마련된 서브 밸브 시트에 대해 서브 밸브체가 탈착하는 것에 의해 서브 밸브가 개폐된다. 단, 압축기의 정상 운전시에는 서브 밸브체가 서브 밸브 시트에 가압되어, 서브 밸브의 밸브 폐쇄 상태가 유지된다. 압축기의 기동시에는 솔레노이드력을 최대로 하고, 메인 밸브체를 메인 밸브 시트에 착석시킨 상태에서 서브 밸브체를 밸브 개방 방향으로 더욱 부세(付勢)하는 것에 의해 서브 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Such a control valve is provided with a main valve body and a sub valve body on the same axis in relation to driving the main valve and the sub valve by a single solenoid, and is provided to each valve body through an operating rod arranged along the axis. A mechanism for transmitting solenoid force is provided. The main valve hole is provided in the body of a control valve, and the sub valve hole is provided in a main valve body. That is, the sub passage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main valve body. The main valve is opened and closed by detaching the main valve body from the main valve seat provided at the open end of the main valve hole, and the sub valve body is detached from the sub valve seat provided at the open end of the sub valve hole. Is opened and closed. In the normal operation of the compressor, however, the sub valve body is pressed against the sub valve seat to maintain the valve closed state of the sub valve. At the start of the compressor, the solenoid force is maximized, and the sub valve can be opened by further biasing the sub valve body in the valve opening direction while the main valve body is seated on the main valve seat.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40580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8-240580

그러나, 인용문헌 1에 구체적으로 개시된 제어 밸브는, 서브 밸브체에 솔레노이드력을 직접 전달하기 위해, 작동 로드의 일단부와 서브 밸브체를 고정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작동 로드의 타단부는 솔레노이드의 플런저에 고정된다. 즉, 서브 밸브체와 작동 로드와 플런저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서브 밸브의 개폐시에 서브 밸브체가 서브 밸브 시트에 착석할 때마다, 서브 밸브 시트에는 서브 밸브체뿐만 아니라, 작동 로드나 플런저의 중량이 합쳐져 충격 하중으로서 부하되게 된다. 그 결과, 메인 밸브체에 있어서의 서브 밸브 시트의 형성 부분에 마모나 변형이 생기고, 서브 밸브의 실(seal) 성능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서브 밸브 시트에 충격 하중을 주는 가동부의 중량이 커지기 때문에 타격음의 문제도 발생한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는, 인용문헌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에 한정되지 않고,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를 단일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하는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However, the control valve specifically disclosed in Reference 1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the working rod and the sub valve body are fixed in order to directly transfer the solenoid force to the sub valve body. 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actuating rod is fixed to the plunger of the solenoid. That is, the sub valve body, the operation rod, and the plunger are provided integrally. For this reason, whenever the sub valve body seats on the sub valve seat at the time of opening / closing of the sub valve, the weight of not only the sub valve body but also the working rod and the plunger is added to the sub valve seat to be loaded as an impact load. As a result, abrasion and deformation | transformation generate | occur | produce in the formation part of the sub valve seat | seat in a main valve body,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it may interfere with the seal performance of a sub valve. In addition, since the weight of the movable portion which gives the impact load to the sub valve seat becomes large, the problem of a hitting sound also arises. In addition, such a problem is not limited to the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s as set forth in Ref. 1, and the same may occur in the control valve for driving the main valve and the sub valve by a single solenoi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를 단일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하는 제어 밸브에 있어서, 서브 밸브의 밸브 폐쇄시에 있어서의 마모나 타격음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abrasion and blow noise at the time of closing the valve of a sub valve in a control valve which drives the main valve and the sub valve by a single solenoi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제어 밸브는, 작동 유체를 도입 또는 도출하는 도입 도출 포트, 작동 유체를 도입하는 도입 포트, 작동 유체를 도출하는 도출 포트가 마련된 보디; 상기 보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도입 포트와 상기 도입 도출 포트 사이에 형성된 메인 밸브 시트에 탈착하여 메인 밸브를 개폐하는 한편, 상기 도입 도출 포트와 상기 도출 포트를 연통시키는 내부 통로가 형성된 메인 밸브체; 상기 내부 통로의 단부 또는 내부에 형성된 서브 밸브 시트에 탈착하여 서브 밸브를 개폐하는 서브 밸브체; 상기 보디의 일단측에 마련되어 피감지 압력을 감지하여, 그 피감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낮아지면 상기 메인 밸브체를 밸브 개방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감압부; 상기 보디의 타단측에 마련되고, 공급되는 전류량에 상응하여 상기 메인 밸브체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상기 감압부와 상기 솔레노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작동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솔레노이드력을 상기 감압부에 직접 전달 가능하도록, 상기 작동 로드의 일 단부는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서브 밸브체를 관통하여 상기 감압부에 작동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is provided with an introduction induction port for introducing or introducing the working fluid, an introduction port for introducing the working fluid, a discharge port for introducing the working fluid; A main valve which is slidably supported by the body, opens and closes the main valve by being detached from the main valve seat formed between the introduction port and the introduction induction port, and has an internal passage communicating the introduction induction port with the introduction port; sieve; A sub-valve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a sub-valve by detaching a sub-valve seat formed at an end or inside of the inner passage; A pressure reducing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to sense a detected pressure,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driving the main valve body in a valve opening direction when the detected pressure is lower than a set pressure; A solenoid provid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body and generating a solenoid force for driving the main valve element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An actuating rod disposed between the depressurizing portion and the solenoid, wherein one end of the actuating rod is connected to the solenoid so that the actuating rod can directly transfer the solenoid force to the decompress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enetrating through the sub-valve body i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pressure reducing unit.

이 태양에 의하면, 감압부와 솔레노이드 사이에 작동 로드가 배치되는 것에 의해, 메인 밸브의 밸브 개방 방향과 밸브 폐쇄 방향의 구동력의 밸런스가 조정되어, 솔레노이드력이 감압부로 직접 전달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솔레노이드를 오프로 했을 때 서브 밸브체가 서브 밸브 시트에 착석한다고 해도, 그 착석시에 작동 로드나 솔레노이드의 중량 영향은 실질적으로 생기지 않는다. 그 결과, 서브 밸브의 밸브 폐쇄시에 있어서의 마모나 타격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by arrange | positioning an actuating rod between a pressure reduction part and a solenoid, the balance of the driving force of the valve opening direction and the valve closing direction of a main valve is adjusted, and a solenoid force can be transmitted directly to a pressure reduction part. For this reason, even if the sub valve body seats on the sub valve seat when the solenoid is turned off, the weight influence of the operating rod and the solenoid does not substantially occur during the seating. As a result, abrasion and the occurrence of a hitting sound at the time of the valve closing of a sub valve can be suppressed.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를 단일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하는 제어 밸브에 있어서, 서브 밸브의 밸브 폐쇄시에 있어서의 마모나 타격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trol valve which drives the main valve and the sub valve by a single solenoi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abrasion and the impact sound when the sub valve is closed.

도 1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제어 밸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어 밸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2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밸브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제3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밸브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제4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밸브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제5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밸브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제6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the upper half of FIG. 1.
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valve.
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valve.
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an upper half of a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6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an upper half of a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7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an upper half of a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8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an upper half of a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10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the upper half of FIG. 9.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편의상, 도시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각 구조의 위치 관계를 상하로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each structure may be expressed up and down on the basis of the illustrated state for convenience.

[제1실시형태][First Embodiment]

도 1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제어 밸브(1)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냉동 사이클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는 가변 용량 압축기(이하, "압축기"로 약칭한다)의 토출 용량을 제어하는 전자 밸브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압축기는, 냉동 사이클을 흐르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로 하여 토출 한다. 그 가스 냉매는 응축기(외부 열교환기)에 의해 응축되고, 나아가 팽창 장치에 의해 단열 팽창되어 저온 저압의 안개 형태의 냉매가 된다. 이 저온 저압의 냉매가 증발기에 의해 증발하고, 그 증발 잠열에 의해 차량 실내 공기를 냉각한다. 증발기에 의해 증발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로 되돌려져 냉동 사이클을 순환한다. 압축기는, 자동차 엔진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그 회전축에 장착된 요동판에 압축용 피스톤이 연결되어 있다. 그 요동판의 각도를 변화시켜 피스톤의 스트로크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냉매의 토출량이 조정된다. 제어 밸브(1)는, 그 압축기의 토출실로부터 크랭크실에 도입하는 냉매 유량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요동판의 각도, 나아가서는 그 압축기의 토출 용량을 변화시킨다.The control valve 1 is comprised as a solenoid valve which controls the discharge capacity of th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it abbreviates as "compres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refrigeration cycle of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This compressor compresses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refrigerating cycle and discharges it as a gas refrigerant having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he gas refrigerant is condensed by a condenser (external heat exchanger), and is further adiabaticly expanded by an expansion device to form a refrigerant having a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mist. This low temperature low pressure refrigerant evaporates by the evaporator, and the vehicle interior air is cooled by the latent heat of evaporation. The refrigerant evaporated by the evaporator is returned to the compressor to circulate the refrigeration cycle. The compressor has a rotating shaft which is driven to rotate by an automobile engine, and a compression piston is connected to a rocking plate attached to the rotating shaft. The discharge amount of the coolant is adjusted by changing the angle of the rocking plate to change the stroke of the piston. The control valve 1 changes the angle of the swing plate, and further, the discharge capacity of the compressor by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crank chamber from the discharge chamber of the compressor.

제어 밸브(1)는, 압축기의 흡입 압력(Ps)을 설정 압력으로 유지하도록, 토출실로부터 크랭크실에 도입하는 냉매 유량을 제어하는 이른바 Ps감지 밸브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어 밸브(1)는, 밸브 본체(2)와 솔레노이드(3)를 일체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밸브 본체(2)는, 압축기의 운전시에 토출 냉매의 일부를 크랭크실에 도입하기 위한 냉매 통로를 개폐하는 메인 밸브와, 압축기의 기동시에 크랭크실의 냉매를 흡입실로 이동시키는 이른바 블리드 밸브(bleed valve)로서 기능하는 서브 밸브를 포함한다. 솔레노이드(3)는, 메인 밸브를 개폐 방향으로 구동하여 그 개도를 조정하고, 크랭크실에 도입하는 냉매 유량을 제어한다. 밸브 본체(2)는, 단차를 갖는 원통 형상의 보디(5), 보디(5)의 내부에 마련된 메인 밸브 및 서브 밸브, 메인 밸브의 개도를 조정하기 위해 솔레노이드력에 대항하는 힘을 발생하는 파워 엘리먼트(power element)(6) 등을 구비하고 있다. 파워 엘리먼트(6)는 "감압부"로서 기능한다.The control valve 1 is configured as a so-called Ps detection valve that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crank chamber from the discharge chamber so as to maintain the suction pressure Ps of the compressor at the set pressure. The control valve 1 is configured by integrally assembling the valve body 2 and the solenoid 3. The valve body 2 includes a main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a refrigerant passage for introducing a part of discharged refrigerant into the crank chamber during operation of the compressor, and a so-called bleed valve for moving the refrigerant in the crank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when the compressor is started. sub-valve acting as a valve). The solenoid 3 drives the main valve in the opening-closing direction, adjusts its opening degree, and controls the flow volume of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crank chamber. The valve main body 2 has a power for generating a force against the solenoid force in order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cylindrical body 5 having a step, the main valve and sub-valve provided inside the body 5, and the main valve. An element (power element) 6 and the like. The power element 6 functions as a "decompression section".

보디(5)의 측부에는, 그 상단측에서부터 포트(12, 14, 16)가 마련되어 있다. 포트(12)는 크랭크실로 연통하는 "크랭크실 연통 포트"로서 기능하고, 포트(14)는 토출실로 연통하는 "토출실 연통 포트"로서 기능하고, 포트(16)는 흡입실로 연통하는 "흡입실 연통 포트"로서 기능한다. 보디(5)의 상단 개구부는 단부 부재(13)에 의해 봉지되고, 보디(5)의 하단부는 솔레노이드(3)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보디(5) 내에는, 포트(12)와 포트(14)를 연통시키는 메인 통로와, 포트(12)와 포트(16)를 연통시키는 서브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 통로에는 메인 밸브가 마련되고, 서브 통로에는 서브 밸브가 마련되어 있다. 메인 통로에는 메인 밸브 구멍(18)이 마련되고, 그 하단 개구단 가장자리의 테이퍼면에 메인 밸브 시트(20)가 형성되어 있다.Ports 12, 14, and 16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ody 5 from the upper end side thereof. The port 12 functions as a "crank chamber communication port" communicating with the crank chamber, the port 14 functions as a "discharge chamber communication port"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chamber, and the port 16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chamber. "Communication port".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body 5 is sealed by the end member 13, and the lower end of the body 5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olenoid 3. In the body 5, a main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port 12 and the port 14 and a sub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port 12 and the port 16 are formed. The main valve is provided in the main passage, and the sub valve is provided in the sub passage. The main valve hole 18 is provided in the main passage, and the main valve seat 20 is formed in the taper surface of the lower edge opening edge.

포트(14)는 토출실로부터 토출 압력(Pd)의 냉매를 도입한다. 포트(12)는, 압축기의 정상 동작시에 메인 밸브를 경유한 크랭크 압력(Pc)의 냉매를 크랭크실을 향해 도출하는 한편, 압축기의 기동시에는 크랭크실로부터 배출된 크랭크 압력(Pc)의 냉매를 도입한다. 이때 도입된 냉매는 서브 밸브에 인도된다. 포트(12)와 메인 밸브 구멍(18) 사이에는, 크랭크 압력(Pc)이 채워지는 작동실(22)이 형성된다. 파워 엘리먼트(6)는 작동실(22)에 배치된다. 포트(16)는, 압축기의 정상 동작시에 흡입 압력(Ps)의 냉매를 도입하는 한편, 압축기의 기동시에는 서브 밸브를 경유한 흡입 압력(Ps)의 냉매를 흡입실을 향해 도출한다.The port 14 introduces a refrigerant of the discharge pressure Pd from the discharge chamber. The port 12 draws the refrigerant of the crank pressure Pc via the main valve to the crank chamber dur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compressor, while the refrigerant of the crank pressure Pc discharged from the crank chamber when the compressor is started. Introduce. The refrigerant introduced at this time is delivered to the sub valve. Between the port 12 and the main valve hole 18, an operating chamber 22 in which the crank pressure Pc is filled is formed. The power element 6 is arranged in the operating chamber 22. The port 16 introduces the refrigerant at the suction pressure Ps at the time of normal operation of the compressor, and draws the refrigerant at the suction pressure Ps via the sub valve toward the suction chamber at the start of the compressor.

포트(14)와 포트(16) 사이에는, 메인 밸브 구멍(18)과 동축 형태로 가이드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24)과 포트(14) 사이에는 밸브실(26)이 형성되고, 가이드 구멍(24)과 포트(16) 사이에는 압력실(28)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24)에는, 원통 형상의 메인 밸브체(3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통(揷通)되어 있다. 메인 밸브체(30)는, 밸브실(26)측에서 메인 밸브 시트(20)에 탈착하는 것에 의해 메인 밸브를 개폐하고, 토출실로부터 크랭크실로 흐르는 냉매 유량을 조정한다. 한편, 메인 밸브체(30)의 내부에는 서브 밸브 구멍(32)이 마련되고, 그 서브 밸브 구멍(32)의 상단 개구부에 서브 밸브 시트(34)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 밸브체(30)의 하부는 압력실(28)로 연장되고, 그 하단부 근방에 내외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35)이 마련되어 있다. 작동실(22)에는, 단차를 갖는 원판 형상의 서브 밸브체(36)가 배치되어 있다. 서브 밸브체(36)는, 메인 밸브체(30)와 축선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서브 밸브 시트(34)에 탈착하는 것에 의해 서브 밸브를 개폐한다.Between the port 14 and the port 16, the guide hole 24 is formed coaxially with the main valve hole 18. The valve chamber 26 is formed between the guide hole 24 and the port 14, and the pressure chamber 28 is formed between the guide hole 24 and the port 16. The cylindrical main valve body 30 is inserted in the guide hole 24 so that sliding is possible. The main valve element 30 opens and closes the main valve by detaching the main valve seat 20 from the valve chamber 26 side, and adjusts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discharge chamber to the crank chamber. On the other hand, the sub valve hole 32 is provided in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sub valve seat 34 is formed in the upper opening part of the sub valve hole 32. As shown in FIG. The lower part of the main valve body 30 extends to the pressure chamber 28, and the communication hole 35 which communicates inside and outside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part. In the operation chamber 22, a disc-shaped sub valve body 36 having a step is disposed. The sub valve body 36 is arranged to face the main valve body 30 in the axial direction, and opens and closes the sub valve by detaching the sub valve seat 34 from the sub valve seat 34.

또한, 보디(5)의 축선을 따라 길이가 긴 작동 로드(38)가 마련되어 있다. 작동 로드(38)의 상단부는 파워 엘리먼트(6)와 작동 연결 가능하게 접속되고, 하단부는 솔레노이드(3)의 후술하는 플런저(50)에 작동 연결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작동 로드(38)의 상반부는 메인 밸브체(30) 및 서브 밸브체(36)를 관통하고, 그 상단부 근방에 마련된 단차부로 서브 밸브체(36)를 하방에서 지지한다. 작동 로드(38)의 중간부에는 스프링 베어링 부재(40)가 마련되어 있다. 메인 밸브체(30)와 스프링 베어링 부재(40) 사이에는, 메인 밸브체(30)를 메인 밸브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42)("제1부세 부재", "탄성체"로서 기능한다)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파워 엘리먼트(6)와 서브 밸브체(36) 사이에는, 서브 밸브체(36)를 서브 밸브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부세하는 한편, 메인 밸브체(30)를 메인 밸브의 밸브 개방 방향으로 부세 가능한 스프링(44)("제2부세 부재", "탄성체"로서 기능한다)이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long working rod 38 is provided along the axis of the body 5. The upper end of the actuating rod 38 i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power element 6, and the lower end i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plunger 50 described later of the solenoid 3. The upper half of the actuating rod 38 passes through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sub valve body 36, and supports the sub valve body 36 below by a step portion provided near the upper end. A spring bearing member 40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actuating rod 38. Between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spring bearing member 40, the main valve body 30 functions as a spring 42 ("first biasing member" or "elastic body") that biases the main valve body 30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main valve. ) Is arranged. 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power element 6 and the sub valve body 36, the sub valve body 36 is urged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sub valve, while the main valve body 30 is urged in the valve opening direction of the main valve. Possible springs 44 (functioning as "second biasing members" and "elastic bodies") are arranged.

또한, 서브 밸브체(36)는, 작동 로드(38)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소정의 클리어런스(clearance)로 움직임 가능하게 감합(嵌合)되면서 하방에서 지지되어 있다. 한편, 작동 로드(38)의 하단부는, 플런저(50)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소정 클리어런스로 움직임 가능하게 감합되면서 하방에서 지지되어 있다. 상세히, 작동 로드(38)는 파워 엘리먼트(6)와 플런저(50) 사이에서 양 단부가 파워 엘리먼트(6)와 플런저(50)에 소정의 클리어런스로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되, 어느 것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 즉, 작동 로드(38)의 상단부는 파워 엘리먼트(6)에 마련된 요부에 삽통되고, 작동 로드(38)의 하단부는 플런저(50)에 마련된 요부에 삽통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 로드(38)가 파워 엘리먼트(6) 및 플런저(50)로부터 탈락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sub-valve body 36 is not fixed to the operation rod 38, but is supported from below while being movably fitted with a predetermined clearance. On the other hand, the lower end of the actuating rod 38 is not fixed to the plunger 50, but is supported from below while being movably fitted with a predetermined clearance. In detail, the actuation rod 38 is movably connected at both ends between the power element 6 and the plunger 50 at a predetermined clearance between the power element 6 and the plunger 50, but is not fixed to either. not. That is, since the upper end of the actuating rod 38 is inserted into the recess provided in the power element 6, and the lower end of the actuating rod 38 is inserted into the recess provided in the plunger 50, the actuating rod 38 is powered. There is no drop off from the element 6 and the plunger 50.

또한, 파워 엘리먼트(6)는, 크랭크 압력(Pc)을 감지하여 변위하는 벨로우즈(45)를 포함하고, 그 벨로우즈(45)의 변위에 의해 솔레노이드력에 대항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이 대항력은, 작동 로드(38) 및 서브 밸브체(36)를 통해 메인 밸브체(30)에도 전달된다. 서브 밸브체(36)가 서브 밸브 시트(34)에 착석하여 서브 밸브를 폐쇄하는 것에 의해, 크랭크실로부터 흡입실로의 냉매의 릴리프가 차단된다. 또한, 서브 밸브체(36)가 서브 밸브 시트(34)로부터 이격하여 서브 밸브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크랭크실로부터 흡입실로의 냉매의 릴리프가 허용된다.The power element 6 also includes a bellows 45 that senses and displaces the crank pressure Pc, and generates a force against the solenoid force by the displacement of the bellows 45. This counter force is also transmitted to the main valve body 30 via the operating rod 38 and the sub valve body 36. When the sub valve body 36 sits on the sub valve seat 34 to close the sub valve, the relief of the refrigerant from the crank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is blocked. In addition, the relief of the refrigerant from the crank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is permitted by the sub valve body 36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ub valve seat 34 to open the sub valve.

한편, 솔레노이드(3)는, 단차를 갖는 원통 형상의 코어(46)와, 코어(46)의 하단 개구부를 봉지하도록 조립된 저부를 갖는 원통 형상의 슬리브(48)와, 슬리브(48)에 수용되어 코어(46)와 축선 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원통 형상의 플런저(50)와, 코어(46) 및 슬리브(48)에 외측으로 삽입된 원통 형상의 보빈(52)과, 보빈(52)에 권취되어, 통전에 의해 자기 회로를 생성하는 전자 코일(54)과, 전자 코일(54)을 외측에서 덮도록 마련되고, 요크로서도 기능하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56)와, 케이스(56)의 하단 개구부를 봉지하도록 마련된 단부 부재(58)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디(5), 코어(46), 케이스(56) 및 단부 부재(58)가 제어 밸브(1) 전체의 보디를 형성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olenoid 3 is accommodated in the cylindrical core 46 having a step, a cylindrical sleeve 48 having a bottom assembled to seal the lower end opening of the core 46, and the sleeve 48. And wound in a cylindrical plunger 50 which is disposed to face the core 46 in the axial direction, a cylindrical bobbin 52 inserted outwardly into the core 46 and the sleeve 48 and a bobbin 52. To cover the electromagnetic coil 54 from outside, and to function as a yoke, and a cylindrical casing 56 serving as a yoke and a lower end opening of the casing 56. And an end member 58 provided to enclose the.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body 5, the core 46, the case 56, and the end member 58 form the body of the control valve 1 whole.

밸브 본체(2)와 솔레노이드(3)는, 보디(5)의 하단부가 코어(46)의 상단 개구부에 압입되는 것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코어(46)는, 그 상반부가 확경(擴徑)되어 있고, 보디(5)와의 사이에 흡입 압력(Ps)을 채우기 위한 압력실(28)을 형성한다. 코어(46)의 중앙을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작동 로드(38)가 삽통되어 있다. 작동 로드(38)의 하단부가 플런저(50)의 상반부에 삽통되는 것에 의해, 작동 로드(38)와 플런저(50)가 동축 형태로 접속되어 있다. 작동 로드(38)는, 플런저(50)에 의해 하방에서 지지되고, 메인 밸브체(30), 서브 밸브체(36) 및 파워 엘리먼트(6)와 작동 연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작동 로드(38)는, 코어(46)와 플런저(50)의 흡인력인 솔레노이드력을, 한쪽에서 서브 밸브체(36)에 직접 전달하고, 다른 한쪽에서 스프링(42)을 통해 메인 밸브체(30)에 전달한다. 작동 로드(38)는 또한, 파워 엘리먼트(6)의 신축 동작에 의한 반력, 즉 솔레노이드력에 대항하는 힘을 플런저(50)에 전달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44)의 부세력이 서브 밸브체(36)를 통해 작동 로드(38)에 전달되고, 이에 의해 작동 로드(38)가 플런저(50)에 가압되기 때문에, 작동 로드(38)와 플런저(50)의 접속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된다.The valve body 2 and the solenoid 3 are fixed by press-fitting the lower end of the body 5 into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core 46. The upper half of the core 46 is enlarged in diameter, and forms a pressure chamber 28 for filling the suction pressure Ps with the body 5. The actuation rod 38 is inserted so as to penetrate the center of the core 46 in the axial direction. The lower end of the actuating rod 38 is inserted into the upper half of the plunger 50, so that the actuating rod 38 and the plunger 50 are coaxially connected. The actuating rod 38 is supported below by the plunger 50, and is comprised so that an operation connection with the main valve body 30, the sub valve body 36, and the power element 6 is possible. The actuating rod 38 transmits the solenoid force which is the suction force of the core 46 and the plunger 50 directly to the sub valve body 36 on one side, and the main valve body 30 via the spring 42 on the other side. To pass). The actuating rod 38 also transmits to the plunger 50 a reaction force by the telescopic action of the power element 6, ie a force against the solenoid force.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biasing force of the spring 44 is transmitted to the actuating rod 38 through the sub valve body 36, and since the actuation rod 38 is pressurized by the plunger 50, it operate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rod 38 and the plunger 50 is maintained stably.

코어(46)의 상단부에는 링 형상의 축지(軸支) 부재(60)가 압입되어 있고, 작동 로드(38)는, 그 축지 부재(60)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축지 부재(60)의 외주면의 소정 개소에는, 축선에 대해 평행한 도시하지 않는 연통홈이 형성되어 있다. 포트(16)로부터 도입 도출되는 흡입 압력(Ps)은, 그 연통홈, 작동 로드(38)와 코어(46)의 간극에 의해 형성되는 연통로(62)를 통해 슬리브(48)의 내부에도 인도된다.A ring-shaped bearing member 60 is press-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core 46, and the working rod 38 is supported by the bearing member 60 so as to be slidable in the axial direction.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umulator member 60, a communication groove (not shown) parallel to the axis line is formed. The suction pressure Ps introduced from the port 16 is also delivered to the inside of the sleeve 48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62 formed by the communication groove, the gap between the working rod 38 and the core 46. do.

연통로(62)는, 슬리브(48) 내를 오일 댐퍼실로 하기 위한 오리피스(orifice)로서 기능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밸브(1)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압축기의 윤활용으로서 냉매에 포함되는 오일과 동종의 오일을 미리 슬리브(48) 내에 넣어 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지 부재(60)에 마련된 연통홈이, 슬리브(48)로의 오일의 출입에 대해 저항이 되는 조임 통로(throttling passage)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슬리브(48)를 오일 댐퍼실로서 기능시킬 수 있고, 그 슬리브(48)에 배치된 플런저(50)의 미소 진동 등이 억제된다. 그 결과, 그러한 미소 진동에 의한 소음의 발생이 방지 또는 억제된다. 또한, 변형예에 있어서는, 연통로(62)가, 슬리브(48)로의 오일의 출입에 대해 저항이 되는 조임 통로로서 기능하도록 해도 좋다. 즉, 축지 부재(60)에 마련된 연통홈 및 연통로(62)의 적어도 한쪽이, 조임 통로로서 기능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스프링(44)이, 코어(46)와 플런저(50)를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오프 스프링으로서 기능한다. 스프링(44)의 스프링 하중은 스프링(42)의 스프링 하중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The communication path 62 functions as an orifice for making the inside of the sleeve 48 an oil damper chamber. That is, in this embodimen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ntrol valve 1, the oil of the same kind as the oil contained in a refrigerant | coolant for lubrication of a compressor is put in the sleeve 48 before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groove provided in the bearing member 60 functions as a throttling passage that is resistant to the entry and exit of oil into the sleeve 48. By such a structure, the sleeve 48 can function as an oil damper chamber, and the micro vibration etc. of the plunger 50 arrange | positioned at the sleeve 48 are suppressed. As a result, generation of noise due to such minute vibrations is prevented or suppressed. In addition, in the modification, the communication path 62 may function as a tightening passage which becomes a resistance to the inflow and outflow of oil to the sleeve 48. That is,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make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groove | channel and communication path 62 provided in the accumulator member 60 function as a tightening passage | path. In addition, the spring 44 functions as an off spring that biases the core 46 and the plunger 50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The spring load of the spring 44 is set larger than the spring load of the spring 42.

슬리브(48)는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플런저(50)의 측면에는 축선에 대해 평행한 복수의 연통홈(66)이 마련되고, 플런저(50)의 하단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외를 연통하는 복수의 연통홈(68)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50)가 하사점에 위치해도, 흡입 압력(Ps)이 플런저(50)와 슬리브(48)의 간극을 통해 배압실(70)에 인도되도록 되어 있다.The sleeve 48 is made of nonmagnetic material.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grooves 66 parallel to the axis line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plunger 50, and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grooves 68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and communicating internally and externally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lunger 50. . By such a configuration, even if the plunger 50 is located at the bottom dead center as shown, the suction pressure Ps is guided to the back pressure chamber 70 through the gap between the plunger 50 and the sleeve 48. .

보빈(52)으로부터는 전자 코일(54)에 연결되는 한쌍의 접속 단자(72)가 연장되어, 각각 단부 부재(58)를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상, 그 한쌍 중의 하나만 표시되어 있다. 단부 부재(58)는, 케이스(56)에 내포되는 솔레노이드(3) 내의 구조물 전체를 하방으로부터 봉지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단부 부재(58)는, 내식성을 갖는 수지재의 몰드 성형(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그 수지재가 케이스(56)와 전자 코일(54)의 간극에도 채워져 있다. 이와 같이 수지재가 케이스(56)와 전자 코일(54)의 간극에 채워지는 것에 의해 전자 코일(54)에서 발생한 열을 케이스(56)에 전달하기 쉽게하여, 그 방열 성능을 높이고 있다. 단부 부재(58)로부터는 접속 단자(72)의 선단부가 인출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는 외부 전원에 접속된다.From the bobbin 52, a pair of connection terminal 72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ic coil 54 is extended, and it penetrates out through the end member 58, respectively. In the figure, only one of the pairs is display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end member 58 is attached so that the whole structure in the solenoid 3 contained in the case 56 may be sealed from below. The end member 58 is formed by mold molding (injection molding) of a resin material having corrosion resistance, and the resin material is also filled in the gap between the case 56 and the electromagnetic coil 54. By filling the gap between the casing 56 and the electromagnetic coil 54 in this manner, the heat generated from the electromagnetic coil 54 can be easily transferred to the casing 56, thereby improving its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72 is drawn out from the end member 58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도 2는 도 1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the upper half of FIG. 1.

메인 밸브체(30)의 가이드 구멍(24)과의 슬라이딩면에는, 냉매의 유통을 억제하기 위한 복수의 링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래버린스실(Labyrinth Seal)(74)이 마련되어 있다. 메인 밸브체(30)의 하단 개구부는 내경이 약간 축경(縮徑)되어 있고, 그 축경부의 하단면이 작동 로드(38)와 적절히 계합(係合) 연결 가능한 작동면(76)("피계합부"로서 기능한다)을 구성한다. 작동 로드(38)는, 상방을 향해 단계적으로 축경되는 단차를 갖는 원주 형상으로 되어 있고, 작동면(76)의 근방에 마련된 제1단차에 의해 계합부(78)가 구성된다. 또한, 서브 밸브 시트(34)의 근방에 마련된 제2단차에 의해 지지부(80)("가압부"로서 기능한다)가 구성된다.On the sliding surface of the main valve body 30 with the guide hole 24, a labyrinth seal 74 made of a plurality of ring-shaped grooves for suppressing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s provided. The lower end opening of the main valve body 30 has a slightly smaller inner diameter, and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main valve body 30 can be properly engaged with the operating rod 38 (" Function as " The actuating rod 38 has a circumferential shape having a step that is reduced in stages upwards, and the engaging portion 78 is formed by the first step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actuation surface 76. Moreover, the support part 80 (functioning as a "pressure part") is comprised by the 2nd step provided in the sub valve seat 34 vicinity.

서브 밸브체(36)의 중앙에는, 축선 방향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있어, 작동 로드(38)의 상단부를 관통시키고 있다. 서브 밸브체(36)는, 그 하단면 중앙이 평탄하게 형성되고, 지지부(80)에 당접하도록 하여 하방에서 지지되어 있다. 서브 밸브체(36)는, 그 하단면 중앙보다 외측에 상방을 향해 단면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테이퍼면에 의해 서브 밸브 시트(34)에 탈착한다. 작동 로드(3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밸브체(36)가 서브 밸브 시트(34)에 착석한 상태에 있어서는, 계합부(78)가 작동면(76)으로부터 소정 간격(L)을 두고 이격하도록 각 단차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이 소정 간격(L)은 이른바 "유간"으로서 기능한다.An axial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b valve body 36, and penetrates the upper end part of the operating rod 38. As shown in FIG. The lower end surface center is formed flat, and the sub valve body 36 is supported below and is made to contact the support part 80. As shown in FIG. The sub valve body 36 has a taper shape in which the cross section becomes larger toward the outer side than the center of the lower end face thereof, and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ub valve seat 34 by the taper fac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actuating rod 38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L from the operating surface 76 of the engaging portion 78 in a state where the sub valve body 36 is seated on the sub valve seat 34. The positions of the steps are set so as to be spaced apart. This predetermined interval L functions as a so-called "gap".

솔레노이드력을 크게 하면, 스프링(42)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작동 로드(38)를 메인 밸브체(30)에 대해 상대 변위시키고, 이에 의해 서브 밸브체(36)를 서브 밸브 시트(34)로부터 리프트시켜 서브 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계합부(78)와 작동면(76)을 계합(당접)시킨 상태에서 솔레노이드력을 메인 밸브체(30)에 직접 전달할 수 있고, 스프링(42)의 부세력보다 큰 힘으로 메인 밸브체(30)를 메인 밸브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 구성은, 메인 밸브체(30)와 가이드 구멍(24)의 슬라이딩부에 이물이 침입하여 메인 밸브체(30)가 록되었을 경우에, 그것을 해제하는 록 해제 기구(연동 기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인 밸브체(30)에 "피계합부"로서의 작동면(76)을 마련하고, 작동 로드(38)의 계합부(78)가 작동면(76)에 면접촉하여 이를 가압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계합부(78)와 피계합부의 당접 상태는 면접 촉감에 한정되지 않고, 선접촉 또는 점접촉이어도 좋고, 양자의 계합에 의해 솔레노이드력이 메인 밸브체(30)에 직접 전달되면 된다.When the solenoid force is increased, the actuating rod 38 is displaced relative to the main valve body 30 in response to the biasing force of the spring 42, thereby moving the sub valve body 36 from the sub valve seat 34. It can be lifted to open the subvalve. In addition, the solenoid force can be transmitted directly to the main valve element 30 in a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portion 78 and the operating surface 76 are engaged (contacted), and the main valve element with a force greater than the bias force of the spring 42. 30 can be pressurized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main valve. This structure can function as a lock release mechanism (interlocking mechanism) for releasing foreign materials when foreign matter enters the sliding portions of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guide hole 24 and the main valve body 30 is locked. have.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surface 76 as a "engagement part" is provided in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engagement part 78 of the operation rod 38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operation surface 76, and this is made. Although it is set as the structure which pressurizes, the contact | engagement state of the engagement part 78 and the to-be-engaged part is not limited to an interview touch, and may be line contact or point contact, and a solenoid force is transmitted directly to the main valve body 30 by engagement of both. That's it.

작동 로드(38)의 중간부에는 스냅링(82)이 감합되고, 그 스냅링(82)에 의해 하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스프링 베어링 부재(40)가 마련되어 있다. 파워 엘리먼트(6)는, 벨로우즈(45)의 상단 개구부를 제1스토퍼(84)("베이스 부재"에 해당)에 의해 폐지하고, 하단 개구부를 제2스토퍼(86)("베이스 부재"에 해당)에 의해 폐지하여 구성되어 있다. 벨로우즈(45)의 내부는 밀폐된 기준 압력실(S)로 되어 있고, 제1스토퍼(84)와 제2스토퍼(86) 사이에, 벨로우즈(45)를 신장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88)이 배치되어 있다. 기준 압력실(S)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진공 상태로 되어 있다. 제1스토퍼(84)는, 단부 부재(13)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제1스토퍼(84)는 보디(5)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된다.A spring bearing member 40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actuating rod 38 so that the snap ring 82 fits and the movement downward is restricted by the snap ring 82. The power element 6 closes the upper opening of the bellows 45 by the first stopper 84 (corresponding to the "base member"), and the lower opening corresponds to the second stopper 86 ("base member"). Abolished by). The inside of the bellows 45 is a sealed reference pressure chamber S. Between the first stopper 84 and the second stopper 86, a spring 88 which biases the bellows 45 in the extension direction is provided. It is arranged. The reference pressure chamber S is in a vacuum stat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topper 84 is molded integrally with the end member 13. Therefore, the first stopper 84 is fixed to the body 5.

한편, 제2스토퍼(86)의 하면 중앙에는, 축선 방향을 따른 소정 깊이의 감합홈(90)이 마련되고, 작동 로드(38)의 상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감합홈(90)은, 그 평탄한 저면(92)에 의해 작동 로드(38)의 상단면과 당접한다. 감합홈(90)은, 저면(92)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내경이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 로드(38)의 상단부는 감합홈(90)에 대해 슬라이딩되지는 않는다. 작동 로드(38)는, 그 상단면이 제2스토퍼(86)에 계지(係止)된 상태에서 파워 엘리먼트(6)와 일체로 변위 가능하고, 그 상단면이 제2스토퍼(86)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파워 엘리먼트(6)와 상대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tting groove 90 of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axial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topper 86, and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rod 38 is detachably connected. The fitting groove 90 abuts on the top surface of the actuating rod 38 by its flat bottom surface 92. Since the fitting groove 90 has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thereof extends downward from the bottom face 92, the upper end of the working rod 38 does not slide with respect to the fitting groove 90. The actuating rod 38 is displaceable integrally with the power element 6 in a state where the upper end surface thereof is locked to the second stopper 86, and the upper end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topper 86. The relative displacement with the power element 6 is made possible.

스프링(88)이 제1스토퍼(84)와 제2스토퍼(86)를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부세하기 때문에, 벨로우즈(45)는, 작동실(22)의 크랭크 압력(Pc)과 기준 압력실(S)의 기준 압력의 차압에 상응하여 축선 방향(메인 밸브 및 서브 밸브의 개폐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한다. 단, 그 차압이 커져도 벨로우즈(45)가 소정량 수축하면, 제1스토퍼(84)와 제2스토퍼(86)의 서로의 선단면이 당접하여 계지되기 때문에, 그 수축은 규제된다.Since the spring 88 biases the first stopper 84 and the second stopper 86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the bellows 45 is provided with the crank pressure Pc of the operating chamber 22 and the reference pressure chamber ( It expands or contracts in the axial direction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s of the main valve and the sub valv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reference pressure of S). However, even if the differential pressure becomes large, when the bellows 45 shrinks by a predetermined amount, the front end surfaces of the first stopper 84 and the second stopper 86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locked.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메인 밸브체(30)와 메인 밸브 시트(20)에 의해 메인 밸브가 구성되고, 그 메인 밸브의 개도에 의해 토출실로부터 크랭크실에 도입되는 냉매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서브 밸브체(36)와 서브 밸브 시트(34)에 의해 서브 밸브가 구성되고, 그 서브 밸브의 개폐에 의해 크랭크실로부터 흡입실로의 냉매의 도출이 허용 또는 차단된다. 즉, 제어 밸브(1)는,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 중의 임의의 한쪽을 개방시키는 것에 의해 냉매의 흐름을 전환하는 3방 밸브로서도 기능한다.In the above structure, the main valve is comprised by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main valve seat 20, and the flow volume of the refrigerant | coolant introduce | transduced into a crank chamber from a discharge chamber is adjusted by the opening degree of the main valve. Moreover, a sub valve is comprised by the sub valve body 36 and the sub valve seat 34, and derivation of the refrigerant | coolant from a crank chamber to a suction chamber is allowed or interrupted by opening and closing of the sub valve. That is, the control valve 1 also functions as a three-way valve which switches the flow of the refrigerant by opening any one of the main valve and the sub valv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벨로우즈(45)의 유효 수압 지름 A와, 메인 밸브체(30)의 메인 밸브에 있어서의 유효 수압 지름 B와, 메인 밸브체(30)의 슬라이딩부의 유효 수압 지름 C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메인 밸브체(30)와 파워 엘리먼트(6)가 작동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는, 메인 밸브체(30)에 작용하는 토출 압력(Pd) 및 크랭크 압력(Pc)의 영향이 실질적으로 캔슬된다. 그 결과, 메인 밸브의 제어 상태에 있어서, 메인 밸브체(30)는, 압력실(28)에서 받는 흡입 압력(Ps)에 기초하여 개폐 동작하게 된다. 즉, 제어 밸브(1)는, 이른바 Ps감지 밸브로서 기능한다.In this embodiment, the effective hydraulic pressure diameter A of the bellows 45, the effective hydraulic pressure diameter B in the main valve of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effective hydraulic pressure diameter C of the sliding part of the main valve body 30 are the same. Is set to For this reason, in the state in which the main valve element 30 and the power element 6 are operatively connected, the influence of the discharge pressure Pd and the crank pressure Pc acting on the main valve element 30 is substantially canceled. As a result, in the control state of the main valve, the main valve element 30 is opened and closed based on the suction pressure Ps received in the pressure chamber 28. That is, the control valve 1 functions as a so-called Ps detection valve.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제어 밸브(1)의 안정된 제어 상태에 있어서는, 압력실(28)의 흡입 압력(Ps)이 소정의 설정 압력(Pset)이 되도록 메인 밸브가 자율적으로 동작한다. 이 설정 압력(Pset)은, 기본적으로는 스프링(42, 44, 88)의 스프링 하중에 의해 미리 조정되고, 증발기 내의 온도와 흡입 압력(Ps)의 관계로부터, 증발기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는 압력값으로 설정된다. 설정 압력(Pset)은, 솔레노이드(3)로의 공급 전류(설정 전류)를 바꾸는 것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밸브(1)의 조립이 거의 완료된 상태에서 단부 부재(13)의 압입량을 재조정하는 것에 의해 스프링의 설정 하중을 미세 조정할 수 있어, 설정 압력(Pset)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In such a structure, in the stable control state of the control valve 1, the main valve autonomously operates so that the suction pressure Ps of the pressure chamber 28 may become predetermined predetermined pressure Pset. This set pressure Pset is basically adjusted in advance by the spring loads of the springs 42, 44, 88, and the pressure which can prevent freezing of the evaporator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ture in the evaporator and the suction pressure Ps. It is set to a value. The set pressure Pset can be changed by changing the supply current (set current) to the solenoid 3. In this embodiment, the setting load of a spring can be fine-tuned by readjusting the press-in amount of the end member 13 in the state in which the assembly of the control valve 1 is almost completed, and the set pressure Pset can be adjusted correctly. .

다음으로, 제어 밸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valve will be described.

도 3 및 도 4는 제어 밸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에 대응된다. 이미 설명한 도 2는 제어 밸브의 최소 용량 운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제어 밸브의 블리드 기능을 동작시켰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비교적 안정된 제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기초하여, 적절히 도 2~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3 and 4 show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valve, and correspond to FIG. 2. Fig. 2 already described shows the minimum capacity operating state of the control valve. 3 shows a state when the bleed function of the control valve is operated. 4 shows a relatively stable control state. Hereinafter, it demonstrates, referring FIGS. 2-4 suitably based on FIG.

제어 밸브(1)에 있어서 솔레노이드(3)가 비통전일 때, 즉 자동차용 공조장치가 동작하지 않고 있을 때는, 코어(46)와 플런저(50) 사이에 흡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한편, 흡입 압력(Ps)은 비교적 높은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로우즈(45)가 축소된 상태에서 스프링(44)의 부세력이 서브 밸브체(36)를 통해 메인 밸브체(30)에 전달된다. 그 결과, 메인 밸브체(30)가 메인 밸브 시트(20)로부터 이격하여 메인 밸브가 전개 상태로 된다. 이때, 서브 밸브체(36)는 서브 밸브 시트(34)에 착석하여 있기 때문에, 서브 밸브는 밸브 폐쇄 상태로 된다. 파워 엘리먼트(6)는 실질적으로 기능하지 않는다.When the solenoid 3 is not energized in the control valve 1, that is, whe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s not operating, no suction force is applied between the core 46 and the plunger 50. On the other hand, the suction pressure Ps is in a relatively high state. 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 2, the biasing force of the spring 44 is transmitted to the main valve body 30 via the sub valve body 36 in the state in which the bellows 45 was reduced. As a result, the main valve body 30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valve seat 20 so that the main valve is in an expanded state. At this time, since the sub valve body 36 is seated on the sub valve seat 34, the sub valve is in a valve closed state. The power element 6 does not function substantially.

한편,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기동시 등, 솔레노이드(3)의 전자 코일(54)에 제어 전류가 공급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력에 의해 작동 로드(38)가 구동된다. 이 솔레노이드력은, 한쪽에서 스프링(42)을 통해 메인 밸브체(30)에 전달되고, 다른 한쪽에서 작동 로드(38)에 의해 서브 밸브체(36)에 직접 전달된다. 그 결과, 메인 밸브체(30)가 메인 밸브 시트(20)에 착석하여 메인 밸브를 폐쇄하고, 그 메인 밸브의 폐쇄와 함께 서브 밸브체(36)가 서브 밸브 시트(34)로부터 이격하여 서브 밸브를 개방시킨다. 단, 계합부(78)가 작동면(76)에 계지되는 것에 의해 작동 로드(38)의 변위가 규제되기 때문에, 서브 밸브체(36)의 리프트량(즉 서브 밸브의 개도)은, 도 2에 나타낸 소정 간격(L)에 일치한다. 한편, 기동시에는 통상, 흡입 압력(Ps)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벨로우즈(45)가 축소 상태를 유지하고, 서브 밸브의 밸브 개방 상태가 유지된다. 즉, 솔레노이드(3)에 기동 전류가 공급되면, 메인 밸브가 폐쇄되어 크랭크실로의 토출 냉매의 도입을 규제하는 한편 서브 밸브가 즉시 개방되어 크랭크실 내의 냉매를 흡입실로 신속하게 릴리프 시킨다. 그 결과, 압축기를 신속하게 기동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차량이 저온 환경에 놓여진 경우와 같이, 흡입 압력(Ps)이 낮고, 벨로우즈(45)가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도, 솔레노이드(3)에 큰 전류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서브 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어, 압축기를 신속하게 기동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control current is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coil 54 of the solenoid 3, such as at the time of start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as shown in FIG. 3, the operating rod 38 is driven by the solenoid force. This solenoid force is transmitted to the main valve body 30 via the spring 42 on one side, and is transmitted directly to the sub valve body 36 by the operation rod 38 on the other side. As a result, the main valve body 30 sits on the main valve seat 20 to close the main valve, and the sub valve body 36 is spaced apart from the sub valve seat 34 with the closing of the main valve. To open. However, since the displacement of the actuating rod 38 is restricted by engaging the engaging portion 78 on the actuation surface 76, the lift amount of the sub valve body 36 (that is, the opening degree of the sub valve) is shown in FIG. 2. Coincides with the predetermined interval L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uction pressure Ps is relatively high at the time of starting, the bellows 45 is kept in a reduced state, and the valve open state of the subvalve is maintained. That is, when the starting current is supplied to the solenoid 3, the main valve is closed to restrict the introduction of the discharge refrigerant to the crank chamber while the sub valve is immediately opened to quickly release the refrigerant in the crank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As a result, the compressor can be started quickly. Further, for example, even when the vehicle is placed in a low temperature environment, the sub-valve is opened by supplying a large current to the solenoid 3 even when the suction pressure Ps is low and the bellows 45 is extended. The compressor can be started quickly.

그리고, 솔레노이드(3)에 공급되는 전류값이 소정값으로 설정된 제어 상태에 있을 때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 압력(Ps)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벨로우즈(45)가 신장하고, 서브 밸브체(36)가 서브 밸브 시트(34)에 착석하여 서브 밸브를 폐쇄시킨다. 한편, 그와 같이 서브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메인 밸브체(30)가 동작하여 메인 밸브의 개도를 조정한다. 이때, 메인 밸브체(30)는, 스프링(44)에 의한 밸브 개방 방향의 힘과, 스프링(42)에 의한 밸브 폐쇄 방향의 힘과, 솔레노이드(3)에 의한 밸브 폐쇄 방향의 솔레노이드력과, 흡입 압력(Ps)에 상응하여 동작하는 파워 엘리먼트(6)에 의한 솔레노이드력에 대항하는 힘이 균형된 밸브 리프트 위치에서 정지한다.And when the current value supplied to the solenoid 3 is in the control state set to the predetermined value, as shown in FIG. 4, since the suction pressure Ps is comparatively low, the bellows 45 expands and a sub valve body ( 36 seats the sub valve seat 34 to close the sub valve. On the other hand, the main valve element 30 operates in such a state that the sub valve is closed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main valve. At this time, the main valve body 30 includes the force in the valve opening direction by the spring 44, the force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by the spring 42, the solenoid force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by the solenoid 3, The force against the solenoid force by the power element 6 operating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pressure Ps stops at the balanced valve lift position.

그리고, 예를 들면 냉동 부하가 커져 흡입 압력(Ps)이 설정 압력(Pset)보다 높아지면, 벨로우즈(45)가 축소하기 때문에, 메인 밸브체(30)가 상대적으로 상방(밸브 폐쇄 방향으로 변위한다. 그 결과, 메인 밸브의 밸브 개도가 작아지고, 압축기는 토출 용량을 증가시키도록 동작한다. 그 결과, 흡입 압력(Ps)이 저하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 반대로, 냉동 부하가 작아져 흡입 압력(Ps)이 설정 압력(Pset)보다 낮아지면, 벨로우즈(45)가 신장한다. 그 결과, 파워 엘리먼트(6)에 의한 부세력이 솔레노이드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결과, 메인 밸브체(30)로의 밸브 폐쇄 방향의 힘이 저감되어 메인 밸브의 밸브 개도가 커지고, 압축기는 토출 용량을 줄이도록 동작한다. 그 결과, 흡입 압력(Ps)이 설정 압력(Pset)으로 유지된다.For example, when the refrigerating load is increased and the suction pressure Ps becomes higher than the set pressure Pset, the bellows 45 is reduced, so that the main valve body 30 is relatively upward (displaced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As a result, the valve opening degree of the main valve decreases, and the compressor operates to increase the discharge capacity, and as a result, the suction pressure Ps changes in a direction that decreases. When Ps is lower than the set pressure Pset, the bellows 45 extends, and as a result, the bias force by the power element 6 acts in a direction against the solenoid force. The force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to 30 is reduced to increase the valve opening degree of the main valve, and the compressor operates to reduce the discharge capacity, as a result, the suction pressure Ps is maintained at the set pressure Pset.

이와 같은 정상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 엔진의 부하가 커져, 공조장치에 대한 부하를 저감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어 밸브(1)에 있어서 솔레노이드(3)가 온에서 오프로 전환된다. 그렇게 되면, 코어(46)와 플런저(50) 사이에 흡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벨로우즈(45)가 신장하고, 스프링(44)의 부세력에 의해 메인 밸브체(30)가 메인 밸브 시트(20)로부터 이격하여, 메인 밸브가 전개 상태로 된다. 이때, 서브 밸브체(36)는 서브 밸브 시트(34)에 착석하고 있기 때문에, 서브 밸브는 밸브 폐쇄 상태로 된다. 이때, 압축기의 토출실로부터 포트(14)에 도입된 토출 압력(Pd)의 냉매는, 전개 상태의 메인 밸브를 통과하여, 포트(12)로부터 크랭크실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크랭크 압력(Pc)이 높아지고, 압축기는 최소 용량 운전을 하게 된다.When the load of the engine becomes large while such normal control is being performed, and the load on the air conditioner is to be reduced, the solenoid 3 is switched from on to off in the control valve 1. In this case, since the suction force does not act between the core 46 and the plunger 50, the bellows 45 extends, and the main valve body 30 causes the main valve seat ( Away from 20), the main valve is in an expanded state. At this time, since the sub valve body 36 is seated on the sub valve seat 34, the sub valve is in a valve closed state. At this time, the refrigerant of the discharge pressure Pd introduced into the port 14 from the discharge chamber of the compressor passes through the main valve in a developed state and flows from the port 12 to the crank chamber. Therefore, the crank pressure Pc becomes high, and the compressor has a minimum capacity operation.

특히, 이와 같이 솔레노이드(3)가 온에서 오프로 전환될 때, 포트(14)로부터 냉매와 함께 침입된 이물이, 메인 밸브체(30)의 밸브 개방 동작에 맞춰서 메인 밸브체(30)와 가이드 구멍(24)의 슬라이딩부에 끌어 들어오기 쉬워진다. 솔레노이드(3)의 오프 직후는 포트(14)와 포트(16) 사이의 차압(Pd-Ps)이 비교적 크고, 또한, 가이드 구멍(24)의 고압측 개구단에 퇴적된 이물을 메인 밸브체(30)가 그 슬라이딩부에 끌어 들이는 방향으로 동작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시 솔레노이드(3)를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메인 밸브체(30)가 밸브 폐쇄 방향으로 변위하려고 했을 때에, 그 이물의 침입에 의한 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록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이를 해제 가능한 연동 기구(록 해제 기구)를 제공한다.In particular, when the solenoid 3 is switched from on to off in this way, foreign matter invaded with the refrigerant from the port 14 is guided by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guide in accordance with the valve opening operation of the main valve body 30. It is easy to pull in the sliding part of the hole 24. Immediately after the solenoid 3 is turned off, the foreign pressure Pd-Ps between the port 14 and the port 16 is relatively large, and foreign matter deposited at the high pressure side opening end of the guide hole 24 is transferred to the main valve body ( This is because 30) operates in the direction of attracting the sliding part. And when the main valve body 30 tries to displace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by switching the solenoid 3 again from off to on, the lock by the invasion of the foreign material may generate | occur | produce. In this embodiment, even when such a lock occurs, the interlock mechanism (lock release mechanism) which can release this is provided.

또한, 서브 밸브체(36)는, 스프링(44)에 의한 밸브 폐쇄 방향의 힘과, 스프링(42)에 의한 밸브 개방 방향의 힘과, 솔레노이드(3)에 의한 밸브 개방 방향의 솔레노이드력과, 흡입 압력(Ps)에 상응하여 동작하는 파워 엘리먼트(6)에 의한 솔레노이드력에 대항하는 힘과의 밸런스에 의해 개폐 상태가 결정되고, 기동시 이외 등에서 소정의 흡입 압력(Ps)값보다 낮을 때는 서브 밸브를 폐쇄하도록 이들의 밸런스가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서브 밸브가 개방될 때의 흡입 압력(Ps)의 설정값(밸브 개방 설정값)을, 솔레노이드(3)에 공급하는 전류값에 의해 설정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연동 기구에 의하면, 서브 밸브의 밸브 개방 설정값을 솔레노이드(3)로의 공급 전류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는 한편, 그 솔레노이드력에 의해 메인 밸브체(30)의 록을 해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 valve body 36 includes the force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by the spring 44, the force in the valve opening direction by the spring 42, the solenoid force in the valve opening direction by the solenoid 3, The opening / closing state is determined by the balance with the force against the solenoid force by the power element 6 operating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pressure Ps, and when the pressure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suction pressure Ps value at the time of startup or the like, the sub Their balance is set to close the valve. For this reason, the setting value (valve release setting value) of the suction pressure Ps at the time of opening of a sub valve can be changed and set by the current value supplied to the solenoid 3. That is, according to the interlocking mechanism of this embodiment, the valve opening set value of the sub valve can be changed by the supply current to the solenoid 3, while the lock of the main valve body 30 is released by the solenoid force. Can be.

즉, 포트(14)로부터 도입되는 토출 냉매에는 금속 분말 등의 이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그 이물이 메인 밸브체(30)와 가이드 구멍(24)의 슬라이딩부에 침입하여 메인 밸브체(30)의 원활한 동작을 방해하고, 최악의 경우에는 메인 밸브체(30)의 작동을 록시켜 버리는 것이 염려된다. 포트(14)와 포트(16) 사이에 비교적 큰 차압(Pd-Ps)이 있기 때문에, 포트(14)로부터 침입한 이물이 가이드 구멍(24)의 개구부에 끌려들기 쉽고, 압축기가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면, 메인 밸브체(30)가 전개 상태를 향해 크게 변위할 때, 그 이물이 슬라이딩부에 끌려들기 쉬워지기 때문이다.That is, foreign matter such as metal powder may be contained in the discharge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port 14, and the foreign matter penetrates into the sliding portions of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guide hole 24, and the main valve body ( It is concerned that the smooth operation of 30 will be prevented, and in the worst case, the operation of the main valve body 30 will be locked. Since there is a relatively large differential pressure (Pd-Ps) between the port 14 and the port 16, foreign matter invading from the port 14 is easily attracted to the opening of the guide hole 24, and the compressor is turned on from off. This is because when the main valve body 30 is largely displaced toward the developed state, the foreign matter is easily attracted to the sliding portion.

이와 같이, 메인 밸브의 전개시에 이물이 슬라이딩부에 퇴적하여 고착하면, 압축기를 다시 온으로 했을 때 메인 밸브체(30)와 가이드 구멍(24) 사이에 그 이물이 침입하여, 메인 밸브체(30)의 동작을 록시켜 버릴 우려가 있다. 이 경우, 만약 스프링(42)만으로 밸브 폐쇄 방향으로 부세하는 구성에서는, 이물을 밀어내고 메인 밸브체(30)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동작시킬 만큼의 구동력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렇게 되면, 가령 서브 밸브를 개방할 수 있어도 메인 밸브의 개도가 크기 때문에, 압축기를 기동하는 것은 곤란해진다.In this way, when foreign matter accumulates and adheres to the sliding part during the expansion of the main valve, the foreign matter penetrates between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guide hole 24 when the compressor is turned on again. The operation of 30) may be locked. In this case, in the structure which presses only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only by the spring 42, the driving force enough to push out a foreign material and operate the main valve body 30 in a valve closing direction may not be acquired. In this case, since the opening degree of a main valve is large even if a sub valve can be opened, it becomes difficult to start a compressor.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솔레노이드력을 작동 로드(38)의 계합부(78)를 통해 메인 밸브체(30)에 직접 전달하는 것에 의해 록을 해제시킨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정상 제어일 때 공급되는 최대 전류를 상회하는 전류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더 큰 하중을 부여하여 록을 해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즉, 메인 밸브체(30)와 가이드 구멍(24) 사이에 그 이물이 침입하여, 메인 밸브체(30)의 동작을 록시킨 경우에는, 솔레노이드력에 의해 작동 로드(38)를 메인 밸브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구동한다. 이때, 본래면 서브 밸브는 밸브 폐쇄 상태를 유지해야 하지만, 메인 밸브체(30)가 록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 로드(38)가 메인 밸브체(30)에 대해 상대 변위하여, 서브 밸브체(36)를 서브 밸브 시트(34)로부터 리프트 시켜버린다. 즉, 서브 밸브는 메인 밸브가 폐쇄되기 전에 밸브 개방 상태가 되어버린다. 그러나, 여기서는 작동 로드(38)를 그대로 구동하여, 계합부(78)를 작동면(76)에 당접시켜 솔레노이드력을 메인 밸브체(30)에 직접 부여한다.He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ck is released by directly transmitting the solenoid force to the main valve element 30 via the engaging portion 78 of the actuating rod 38. In addition, by such a configuration, it is also possible to release the lock by applying a larger load by supplying a current exceeding the maximum current supplied in the normal control. That is, when the foreign matter penetrates between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guide hole 24, and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main valve body 30 is locked, the operation rod 38 is made to actuate the solenoid force by the valve of the main valve. Drive in the closing direction. At this time, the original sub-valve must maintain the valve closed state, but since the main valve body 30 is locked, the actuation rod 38 is displaced relative to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sub valve body 36 ) Is lifted from the sub valve seat 34. In other words, the sub-valve is brought into the valve open state before the main valve is closed. However, in this case, the actuating rod 38 is driven as it is, and the engaging portion 78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ctuating surface 76 to directly apply the solenoid force to the main valve element 30.

이에 의해, 메인 밸브체(30)에는 스프링(42)의 부세력뿐만 아니라, 큰 솔레노이드력이 직접 부여된다. 또한, 이때 스프링(42)도 압축되기 때문에, 정상 제어를 위하여 설정된 설정 하중보다 큰 부세력으로 메인 밸브체(30)를 가압하게 된다. 그 결과, 슬라이딩부에 침입한 이물에 의한 메인 밸브체(30)의 록을 해제하고, 메인 밸브체(30)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과정에서 그 이물을 밀어내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때 밀어내진 이물은 밸브실(26)로 부유한다. 한편, 메인 밸브체(30)의 록이 해제된 것에 의해 메인 밸브를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밸브체(30)를 메인 밸브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과정에서 록이 해제되면, 스프링(42)의 부세력에 의해 계합부(78)가 작동면(76)으로부터 이격하여, 서브 밸브가 일시적으로 폐쇄된 상태로 된다.As a result, not only the biasing force of the spring 42 but also a large solenoid force is directly applied to the main valve body 30. In addition, since the spring 42 is also compressed at this time, the main valve body 30 is pressurized with a boost force larger than the set load set for the normal control. As a result, it is also possible to release the lock of the main valve body 30 due to the foreign matter that has entered the sliding portion, and to push the foreign matter i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main valve body 30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At this time, the pushed foreign matter floats to the valve chamber 26. On the other hand, the main valve can be closed by unlocking the main valve body 30. When the lock is released i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main valve body 30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main valve as described above, the engaging portion 78 is spaced apart from the operating surface 76 by the subordinate force of the spring 42, and the sub The valve is temporarily closed.

그리고, 메인 밸브의 폐쇄 후에 더욱 작동 로드(38)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본래와 같이 서브 밸브를 개방하여, 크랭크실로부터 흡입실로 냉매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압축기가 기동되고, 메인 밸브가 개방되면, 토출실로부터 크랭크실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부유한 이물을 냉매와 함께 메인 밸브를 통해 배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메인 밸브체(30)에 대한 이물의 고착 상황에 따라서는, 이물에 의한 록을 해제할 수는 있어도, 고착된 이물을 모두 벗길 수는 없는 경우도 상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여 록을 해제 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제어 밸브(1)의 기능을 확보할 수는 있다. 또한, 잔류한 이물에 대해서도 솔레노이드(3)의 온/오프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점차 제거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By further driving the actuating rod 38 after the main valve is closed, the sub-valve can be opened as usual to move the refrigerant from the crank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As a result, when the compressor is started and the main valve is opened, the refrigerant can be supplied from the discharge chamber to the crank chamber.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discharge the floating foreign matter together with the refrigerant through the main valve.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seizure state of the foreign material to the main valve body 30, although the lock by the foreign material can be released, it is also assumed that it is not possible to remove all the stuck foreign matter. However, by releasing the lock in this manner, the function of the control valve 1 can be ensured. In addition, the remaining foreign matter can be expected to be gradually removed in the process of repeating the on / off of the solenoid (3).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파워 엘리먼트(6)와 플런저(50) 사이에 작동 로드(38)가 배치되는 것에 의해, 메인 밸브의 밸브 개방 방향과 밸브 폐쇄 방향의 구동력의 밸런스가 조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작동 로드(38)가 메인 밸브체(30) 및 서브 밸브체(36)를 관통하여 파워 엘리먼트(6)에 연결되기 때문에, 솔레노이드력을 메인 밸브체(30) 및 서브 밸브체(36)를 어느 것도 통하지 않고 파워 엘리먼트(6)에 대해 직접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서브 밸브체(36)는, 작동 로드(38)에 압입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작동 로드(38)에 움직임 가능하게 감합된 상태로 하방에서 지지된다. 이 때문에, 서브 밸브체(36)는 작동 로드(38)를 통해 서브 밸브의 밸브 개방 방향의 힘은 받지만, 밸브 폐쇄 방향의 힘은 받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솔레노이드(3)를 오프로 했을 때 스프링(44)의 부세력에 의해 서브 밸브체(36)가 서브 밸브 시트(34)에 착석해도, 그 착석시에 작동 로드(38)나 플런저(50)의 중량의 영향은 없다. 그 결과, 서브 밸브의 밸브 폐쇄시에 있어서의 밸브부의 마모나 타격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As explain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actuation rod 38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power element 6 and the plunger 50, and the balance of the driving force of the valve opening direction of the main valve and the valve closing direction is Adjusted. In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actuating rod 38 is connected to the power element 6 through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sub valve body 36, the solenoid force is applied to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sub valve. It is possible to transmit directly to the power element 6 without passing through any of the sieves 36. On the other hand, the sub-valve body 36 is not fixed to the actuating rod 38 by press-fitting or the like, and is supported from below in a state in which it is movably fitted to the actuating rod 38. For this reason, the sub valve body 36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force in the valve opening direction of the sub valve through the operation rod 38 but not the force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For this reason, even if the sub-valve body 36 is seated on the sub valve seat 34 by the force of the spring 44 when the solenoid 3 is turned off, the operation rod 38 and the plunger ( There is no influence of the weight of 50). As a result, wear of a valve part and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a hitting sound at the time of the valve closing of a sub valve can be suppressed.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작동 로드(38)가 서브 밸브체(36) 및 플런저(50)의 어느 것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 즉, 서브 밸브의 개폐시에는 이들이 작동 연결되지만, 서로 움직임 가능하게 감합되어 있기 때문에, 서브 밸브체(36)가 서브 밸브 시트(34)에 착석할 때 자율적으로 얼라인시킬 수 있을 만큼의 여유가 생긴다. 즉, 이들의 연결부의 치수 정밀도를 완화할 수 있어, 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rod 38 is not fixed to either the sub valve body 36 and the plunger 50. As shown in FIG. That is, when the sub-valve is opened and closed, they are operatively connected, but because they are movably fitted to each other, there is a margin that can be autonomously aligned when the sub-valve body 36 is seated on the sub-valve seat 34. Occurs. That is, the dimensional precision of these connection parts can be relaxed, and the assembl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령 메인 밸브의 개방시에 가이드 구멍(24)으로의 이물의 침입에 의해 메인 밸브체(30)가 록되어도, 솔레노이드력에 의한 록 해제 기구가 작동한다. 또한, 정상 제어의 최대 전류를 공급해도 록을 해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솔레노이드(3)로의 추가 전류의 공급에 의해 더욱 큰 솔레노이드력을 부여하여 록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작동 로드(38)의 구동에 수반한 부세력이, 메인 밸브체(30)에 대해 메인 밸브를 폐쇄하는 방향(즉 록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한편, 서브 밸브체(36)에 대해 서브 밸브를 개방하는 방향(즉 서브 밸브를 기능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즉, 메인 밸브체(30)의 록을 해제하기 위한 기능과, 서브 밸브를 개폐하는 기능(서브 밸브의 밸브 개방 설정값을 전류 공급값에 의해 변화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록을 확실하게 해제하는 한편, 서브 밸브를 개방하여 압축기를 정상적으로 기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even if the main valve body 30 is locked by the intrusion of the foreign material into the guide hole 24 at the time of opening of the main valve, the lock release mechanism by a solenoid force operates. In addition, when the lock cannot be released even when the maximum current of the normal control is supplied, the lock can be released by applying a larger solenoid force by supplying the additional current to the solenoid 3. Thereby, the subordinate force accompanying the drive of the actuating rod 38 acts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main valve with respect to the main valve body 30 (that is, the direction of releasing the lock), while the sub-valve body 36 It acts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sub valve with respect to (ie the direction of functioning the sub valve). That is, the function for releasing the lock of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function of opening / closing the sub valve (the function of changing the valve opening set value of the sub valve by the current supply value) can be operated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the lock can be reliably released, and the sub valve can be opened to normally start the compressor.

[제2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도 5는 제2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밸브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어 밸브는, 감압부의 구성이나 메인 밸브체의 지지 구조가 제1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도면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an upper half of a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s for the control valve of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of a pressure reduction part and the support structure of a main valve body differ from 1st Embodiment. For this reason, below, it demonstrates centering around difference with 1st Embodiment. 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component which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1st Embodiment in the said figure.

제어 밸브(201)는, 파워 엘리먼트(206)가 감압 부재로서 벨로우즈가 아닌, 다이어프램을 구비하는 점에서 제1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제어 밸브(201)는, 밸브 본체(202)와 솔레노이드(203)를 일체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보디(205), 코어(46), 케이스(56) 및 단부 부재(58)가 제어 밸브(201) 전체의 보디를 형성하고 있다.The control valve 201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power element 206 includes a diaphragm instead of a bellows as the pressure reducing member. The control valve 201 is configured by integrally assembling the valve body 202 and the solenoid 203. Also in this embodiment, the body 205, the core 46, the case 56, and the end member 58 form the body of the control valve 201 whole.

파워 엘리먼트(206)는, 보디(205)의 상단 개구부에 고정된 중공형 하우징(210)과, 하우징(210) 내를 밀폐 공간(S1)과 개방 공간(S2)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된 박막 형태의 다이어프램(2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방 공간(S2)은, 작동실(22)에 연통된다. 다이어프램(245)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이루어지지만, 예를 들면 베릴륨 구리나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좋다.The power element 206 has a hollow housing 210 fix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205 and a thin film form arranged to partition the inside of the housing 210 into a sealed space S1 and an open space S2. It comprises a diaphragm 245. The open space S2 communicates with the operation chamber 22. Although the diaphragm 245 consists of a polyimide film in this embodiment, it may also consist of metal thin plates, such as a beryllium copper and stainless steel, for example.

하우징(210)은,모두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제1하우징(212) 및 제2하우징(214)을 구비한다. 제1하우징(212)과 제2하우징(214) 사이를 구획하도록 다이어프램(245)이 배치되어 있다. 다이어프램(245)의 밀폐 공간(S1)측의 면에는 원판 형상의 디스크(216)가 용접되고, 디스크(216)와 제1하우징(212) 사이에는, 다이어프램(245)을 하방(메인 밸브의 밸브 개방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88)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245)의 개방 공간(S2)측의 면에도 저부를 갖는 원통 형상의 디스크(218)가 용접되고, 그 하면 중앙에 마련된 감합홈(90)에 의해 작동 로드(238)와 작동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housing 210 includes a first housing 212 and a second housing 214, which are all made of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The diaphragm 245 is disposed to partition between the first housing 212 and the second housing 214. A disk-shaped disk 216 is welded to the surface of the diaphragm 245 on the side of the sealed space S1, and the diaphragm 245 is downward between the disk 216 and the first housing 212 (the valve of the main valve). A spring 88 is urged in the open direction). In addition, a cylindrical disk 218 having a bottom portion is also welded to the surface of the diaphragm 245 in the open space S2 side, and the operating rod 238 is operatively connected by a fitting groove 90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thereof. It is possible.

다이어프램(245)은, 작동실(22)의 크랭크 압력(Pc)과 밀폐 공간(S1)(기준 압력실)의 기준 압력의 차압에 상응하여 축선 방향(메인 밸브 및 서브 밸브의 개폐 방향)으로 변형한다. 단, 그 차압이 커져도 다이어프램(245)이 소정량 상방으로 변위하면, 디스크(216)가 제1하우징(212)에 계지되기 때문에 그 변위는 규제된다.The diaphragm 245 is de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the main valve and the sub valv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crank pressure Pc of the operating chamber 22 and the reference pressure of the sealed space S1 (reference pressure chamber). do. However, even if the differential pressure becomes large, if the diaphragm 245 is displaced upward by a predetermined amount, the displacement is restricted because the disk 216 is locked to the first housing 212.

또한, 스프링(42)을 작동 로드(238)에 의해 직접 지지하는 것이 아닌, 메인 밸브체(30)와 솔레노이드(3) 사이에 배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코어(46)의 상단부에 압입된 축지 부재(260)와 메인 밸브체(30) 사이에 스프링(42)을 배치하고 있다.In addition, the spring 42 is not directly supported by the operation rod 238, but is disposed between the main valve element 30 and the solenoid 3. Specifically, a spring 42 is disposed between the brace member 260 pressed into the upper end of the core 46 and the main valve body 30.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다이어프램(245)의 유효 수압 지름 A와, 메인 밸브체(30)의 메인 밸브에 있어서의 유효 수압 지름 B와, 메인 밸브체(30)의 슬라이딩부의 유효 수압 지름 C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메인 밸브체(30)와 파워 엘리먼트(206)가 작동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는, 메인 밸브체(30)에 작용하는 토출 압력(Pd) 및 크랭크 압력(Pc)의 영향이 실질적으로 캔슬된다. 그 결과, 메인 밸브의 제어 상태에 있어서, 메인 밸브체(30)는, 압력실(28)에서 받는 흡입 압력(Ps)에 기초하여 개폐 동작하게 된다. 즉, 제어 밸브(201)는 이른바 Ps감지 밸브로서 기능한다.In the above structure, the effective hydraulic pressure diameter A of the diaphragm 245, the effective hydraulic pressure diameter B in the main valve of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effective hydraulic pressure diameter C of the sliding part of the main valve body 30 are the same. It is set. For this reason, in the state in which the main valve element 30 and the power element 206 are operatively connected, the influence of the discharge pressure Pd and the crank pressure Pc acting on the main valve element 30 is substantially canceled. As a result, in the control state of the main valve, the main valve element 30 is opened and closed based on the suction pressure Ps received in the pressure chamber 28. In other words, the control valve 201 functions as a so-called Ps detection valve.

[제3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도 6은 제3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밸브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어 밸브는, 감압부의 수압 구조가 제1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도면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6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an upper half of a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 the control valv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hydraulic pressure structure of the pressure reducing uni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For this reason, below, it demonstrates centering around difference with 1st Embodiment. In addition, in the figure,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substantially same structural part as 1st Embodiment.

제어 밸브(301)는, Ps감지 밸브로서 구성되지만, 파워 엘리먼트(6)가 크랭크 압력(Pc)이 아닌, 흡입 압력(Ps)을 직접 감지하고 있는 점에서 제1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제어 밸브(301)는, 밸브 본체(302)와 솔레노이드(3)를 일체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보디(305), 코어(46), 케이스(56) 및 단부 부재(58)가 제어 밸브(301) 전체의 보디를 형성하고 있다.The control valve 301 is configured as a Ps detection valve, bu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power element 6 directly senses the suction pressure Ps rather than the crank pressure Pc. The control valve 301 is configured by integrally assembling the valve body 302 and the solenoid 3. Moreover, also in this embodiment, the body 305, the core 46, the case 56, and the end member 58 form the body of the control valve 301 whole.

보디(305)에는, 그 상부에 마련된 구획벽(306)에 의해 작동실(322)이 구획되어 있다. 작동실(322)에는 파워 엘리먼트(6)가 수용되어 있다. 구획벽(306)의 중앙에는 삽통 구멍(308)이 마련되어 있다. 작동 로드(38)는, 그 상단부가 삽통 구멍(308)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여, 파워 엘리먼트(6)와 작동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 포트(12)는 구획벽(306)의 하방에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44)은 구획벽(306)과 서브 밸브체(3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보디(305)에는, 작동실(322)과 압력실(28)을 연통하는 연통로(310)가 마련되어 있다. 압력실(28)의 흡입 압력(Ps)은, 이 연통로(310)를 통해 작동실(322)에도 도입된다.The operating chamber 322 i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306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305. The power element 6 is accommodated in the operation chamber 322. An insertion hole 308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partition wall 306. The actuating rod 38 is slidably penetra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308 so that the actuating rod 38 can be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power element 6. The port 12 is provided below the partition wall 306. The spring 44 is dispos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306 and the sub valve body 36. In addition, the body 305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path 310 for communicating the operation chamber 322 and the pressure chamber 28. The suction pressure Ps of the pressure chamber 28 is also introduced to the operation chamber 322 via this communication path 310.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메인 밸브체(30)의 메인 밸브에 있어서의 유효 수압 지름 B와, 메인 밸브체(30)의 슬라이딩부의 유효 수압 지름 C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메인 밸브체(30)와 서브 밸브체(36)의 결합체에 작용하는 토출 압력(Pd)의 영향은 캔슬된다. 파워 엘리먼트(6)가 배치되어 있는 작동실(322)이 흡입 압력(Ps)로 채워지기 때문에, 제어 밸브(301)는 이른바 Ps감지 밸브로서 기능한다. 또한, 메인 밸브의 제어 상태에 있어서 메인 밸브체(30)와 서브 밸브체(36)의 결합체에는 크랭크 압력(Pc)과 흡입 압력(Ps)의 차압(Pc-Ps)이 작용하기 때문에, 특히 토출 압력(Pd)이 낮은 경우의 메인 밸브의 개방 감도가 높아진다.In this embodiment, the effective hydraulic pressure diameter B in the main valve of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effective hydraulic pressure diameter C of the sliding part of the main valve body 30 are set similarly. For this reason, the influence of the discharge pressure Pd which acts on the combination of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sub valve body 36 is canceled. Since the operating chamber 322 in which the power element 6 is disposed is filled with the suction pressure Ps, the control valve 301 functions as a so-called Ps sensing valve. In addition, since the differential pressure Pc-Ps of the crank pressure Pc and the suction pressure Ps acts on the combination of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sub-valve body 36 in the control state of a main valve, especially discharge is performed. The opening sensitivity of the main valve when the pressure Pd is low increases.

[제4실시형태]Fourth Embodiment

도 7은 제4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밸브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어 밸브는, 감압부의 구성이나 메인 밸브체의 지지 구조가 제3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3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도면에 있어서 제2, 제3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7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an upper half of a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s for the control valve of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of a pressure reduction part, and the support structure of a main valve body differ from 3rd Embodiment. For this reason, below, it demonstrates centering around difference with 3rd Embodiment. 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substantially same structural part as 2nd, 3rd embodiment in the said figure.

제어 밸브(401)는, 제2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다이어프램을 감압 부재로 하는 파워 엘리먼트(206)를 구비한다. 제어 밸브(401)는, 파워 엘리먼트(206)가 흡입 압력(Ps)을 직접 감지하여 동작하는 Ps감지 밸브로서 구성된다. 제어 밸브(401)는, 밸브 본체(402)와 솔레노이드(403)를 일체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보디(405), 코어(446), 케이스(56) 및 단부 부재(58)가 제어 밸브(401) 전체의 보디를 형성하고 있다.The control valve 401 is provided with the power element 206 which makes a diaphragm a pressure reduction member similarly to 2nd Embodiment. The control valve 401 is configured as a Ps sensing valve in which the power element 206 directly operates by sensing the suction pressure Ps. The control valve 401 is configured by integrally assembling the valve body 402 and the solenoid 403. Also in this embodiment, the body 405, the core 446, the case 56, and the end member 58 form the body of the entire control valve 401.

보디(405)는, 그 상단 개구부가 파워 엘리먼트(206)에 의해 봉지되고, 그 파워 엘리먼트(206)와 구획벽(306) 사이에 작동실(322)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압력실(28)의 흡입 압력(Ps)은, 연통로(310)를 통해 작동실(322)에도 도입된다. 코어(446)의 상단부에는, 제3실시형태와 같은 축지 부재(60)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스프링(42)은 메인 밸브체(30)와 코어(44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As for the body 405, the upper opening part is sealed by the power element 206, and the operation chamber 322 is partitioned between the power element 206 and the partition wall 306. As shown in FIG. The suction pressure Ps of the pressure chamber 28 is also introduced into the operation chamber 322 via the communication path 310. In the upper end part of the core 446, the bearing member 60 like 3rd Embodiment is not provided. The spring 42 is disposed between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core 446.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제3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메인 밸브체(30)의 메인 밸브에 있어서의 유효 수압 지름 B와, 메인 밸브체(30)의 슬라이딩부의 유효 수압 지름 C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메인 밸브체(30)와 서브 밸브체(36)의 결합체에 작용하는 토출 압력(Pd)의 영향은 캔슬된다. 파워 엘리먼트(206)가 배치되어 있는 작동실(322)이 흡입 압력(Ps)로 채워지기 때문에, 제어 밸브(401)는 이른바 Ps감지 밸브로서 기능한다.In the above structure, similarly to 3rd Embodiment, the effective hydraulic pressure diameter B in the main valve of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effective hydraulic pressure diameter C of the sliding part of the main valve body 30 are set the same. . For this reason, the influence of the discharge pressure Pd which acts on the combination of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sub valve body 36 is canceled. Since the operating chamber 322 in which the power element 206 is disposed is filled with the suction pressure Ps, the control valve 401 functions as a so-called Ps sensing valve.

[제5실시형태][Fifth Embodiment]

도 8은 제5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밸브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어 밸브는, 감압부나 각 밸브체의 구성이 제1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도면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8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an upper half of a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he control valve of this embodiment differs in the structure of a pressure reduction part and each valve body from 1st Embodiment. For this reason, below, it demonstrates centering around difference with 1st Embodiment. 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component which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1st Embodiment in the said figure.

제어 밸브(501)는, 밸브 본체(502)와 솔레노이드(3)를 일체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보디(505), 코어(46), 케이스(56) 및 단부 부재(58)가 제어 밸브(501) 전체의 보디를 형성하고 있다. 포트(12)는, 보디(505)의 상단 개구부에 마련되어 있다. 보디(505)의 상단 개구부에는 단부 부재(513)가 고정되어 있다. 단부 부재(513)의 외주면에 마련된 복수의 연통홈(15)과, 단부 부재(513)의 중앙에 마련된 연통 구멍(515)을 통해 냉매가 도입 또는 도출된다.The control valve 501 is configured by integrally assembling the valve body 502 and the solenoid 3. Also in this embodiment, the body 505, the core 46, the case 56, and the end member 58 form the body of the control valve 501 whole. The port 12 is provided in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body 505. The end member 513 is fixed to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body 505. The refrigerant is introduced or drawn out through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grooves 15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member 513 and the communication hole 515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end member 513.

포트(12)와 메인 밸브 구멍(18) 사이에는, 크랭크 압력(Pc)이 채워지는 작동실(522)이 형성된다. 파워 엘리먼트(506)는 작동실(522)에 배치된다. 포트(14)에는 링 형상의 스트레이너(strainer)(17)가 장착되어 있다. 스트레이너(17)는, 보디(505)의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억제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한다. 한편, 포트(12)에는 저부를 갖는 원통 형상의 스트레이너(11)가 장착되어 있다. 스트레이너(11)는, 보디(505)의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억제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한다.Between the port 12 and the main valve hole 18, an operating chamber 522 is formed in which the crank pressure Pc is filled. The power element 506 is disposed in the operating chamber 522. The port 14 is equipped with a ring-shaped strainer 17. The strainer 17 includes a filter for suppressing intrusion of foreign matter into the interior of the body 505. On the other hand, the port 12 is equipped with the cylindrical strainer 11 which has a bottom part. The strainer 11 includes a filter for suppressing intrusion of foreign matter into the interior of the body 505.

메인 밸브 구멍(18)의 작동실(522)과는 반대측에는 밸브실(26)이 마련되고, 포트(14)와 연통되어 있다. 밸브실(26)의 메인 밸브 구멍(18)과는 반대측에는, 메인 밸브 구멍(18)과 동축 형태로 가이드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포트(16)는, 가이드 구멍(24)의 축선 방향 중간부에 있어서 내외를 연통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24)의 밸브실(26)과는 반대측에는 압력실(28)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 밸브체(530)의 축선 방향 중간부에는 격벽(576)이 마련되어 있다. 격벽(576)은, 그 하면에 의해 작동 로드(538)의 계합부(78)와 적절히 계합 연결 가능한 "피계합부"로서 기능한다. 작동 로드(538)는, 상방을 향해 단계적으로 축경되는 단차를 갖는 원주 형상으로 되어 있고, 격벽(576)의 중앙에 마련된 삽통 구멍을 관통한다. 격벽(576)의 삽통 구멍의 주위에는, 냉매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 연통 구멍(532)이 형성되어 있다. 포트(16)는, 이 연통 구멍(532)을 통해 메인 밸브체(530)의 내부 통로(535) 및 압력실(28)에 연통된다. 스프링(42)은 격벽(576)과 축지 부재(6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The valve chamber 26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operation chamber 522 of the main valve hole 18 and communicates with the port 14. On the side opposite to the main valve hole 18 of the valve chamber 26, the guide hole 24 is formed coaxially with the main valve hole 18. The port 16 is provided so that internal and external communication may be carried out in the axial direction intermediate part of the guide hole 24. A pressure chamber 28 is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valve chamber 26 of the guide hole 24. The partition wall 576 is provided in the axial direction intermediate part of the main valve body 530. The partition 576 functions as a "to-be-joined part" which can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part 78 of the actuating rod 538 appropriately by the lower surface thereof. The working rod 538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tep that is reduced in stages upwards, and penetrates through an insertion hol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partition wall 576. In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partition 576, the multiple communication hole 532 for passing a refrigerant | coolant is formed. The port 16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passage 535 of the main valve body 530 and the pressure chamber 28 through this communication hole 532. The spring 42 is disposed between the partition 576 and the accumulator member 60.

서브 밸브체(536)는, 단차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고, 파워 엘리먼트(506)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파워 엘리먼트(506)는, 벨로우즈(45)의 상단 개구부를 제1스토퍼(584)에 의해 폐지하고, 하단 개구부를 제2스토퍼(586)에 의해 폐지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스토퍼(584)는, 단면이 T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보디(50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대경부(590)와, 벨로우즈(45) 내에서 축심을 구성하는 소경부(592)를 구비한다. 대경부(590)의 외주면에는, 냉매를 유통시키기 위한 복수 연통홈(594)이 마련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파워 엘리먼트(506)가 보디(505)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축선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부 부재(513)와 제1스토퍼(584) 사이에는, 파워 엘리먼트(506)을 하방(메인 밸브의 밸브 개방 방향이며 서브 밸브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596)("부세 부재"로서 기능한다)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596)은, 코어(46)와 플런저(50)를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오프 스프링(off spring)으로서 기능한다. 스프링(596)의 스프링 하중은, 스프링(42)의 스프링 하중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The sub valve body 536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step, and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power element 506. The power element 506 is configured by closing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bellows 45 by the first stopper 584, and closing the lower end opening by the second stopper 586. The first stopper 584 has a T-shaped cross section, and includes a large diameter portion 590 slidably supported by the body 505 and a small diameter portion 592 constituting an axis in the bellows 45. Equipp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590,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grooves 594 for circulating the refrigerant are provided.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power element 506 is not fixed to the body 505, and is displaceable in the axial direction. Between the end member 513 and the first stopper 584, as a spring 596 (“load member”) that biases the power element 506 downward (the valve opening direction of the main valve and the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sub valve). Function) is arranged. The spring 596 also functions as an off spring that biases the core 46 and the plunger 50 apart from each other. The spring load of the spring 596 is set larger than the spring load of the spring 42.

제2스토퍼(586)는, 저부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저부로 벨로우즈(45)의 하단 개구부를 폐지하고 있다. 제2스토퍼(586)에는, 내외를 연통시키는 T자 형상의 연통로(539)가 형성되어 있다. 서브 밸브체(536)는 제2스토퍼(586)의 하반부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서브 밸브체(536)가 벨로우즈(45)와 일체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서브 밸브체(536)의 내방에는 삽통 구멍(540)이 마련되고, 작동 로드(538)의 상단부가 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고 있다. 작동 로드(538)의 상단은 R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스토퍼(586)의 저부 중앙에 탈착 가능하게 당접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2스토퍼(586)의 내부에는 크랭크 압력(Pc)이 채워지게 된다. 즉, 작동 로드(538)의 상단부는, 크랭크 압력(Pc)을 수압하게 된다. 또한, 작동 로드(538)는, 서브 밸브체(536)가 서브 밸브 시트(34)에 착석한 상태에 있어서는, 계합부(78)가 격벽(576)으로부터 소정 간격(L)을 두고 이격하도록 계합부(78)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이 소정 간격(L)은 이른바 "유간"으로서 기능한다.The second stopper 586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bottom, and closes the lower end opening of the bellows 45 with the bottom. The second stopper 586 is provided with a T-shaped communication path 539 for communicating inside and outside. The sub valve body 536 is press-fitted to the lower half of the second stopper 586. As a result, the sub-valve body 536 is configured to operate integrally with the bellows 45. An insertion hole 540 is provided inside the sub valve body 536, and an upper end of the operation rod 538 slidably penetrates it.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rod 538 is formed in an R shape, and detachably abuts in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second stopper 586. With this configuration, the crank pressure Pc is filled in the second stopper 586.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working rod 538 receives the crank pressure Pc. In addition, in the state where the sub valve body 536 is seated on the sub valve seat 34, the actuating rod 538 is provided so that the engagement part 78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artition 576 at predetermined intervals L. FIG. The position of the matching portion 78 is set. This predetermined interval L functions as a so-called "gap".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벨로우즈(45)의 유효 수압 지름 A와, 메인 밸브체(530)의 메인 밸브에 있어서의 유효 수압 지름 B와, 메인 밸브체(530)의 슬라이딩부의 유효 수압 지름 C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메인 밸브체(530)와 파워 엘리먼트(506)가 작동 연결된 메인 밸브의 제어 상태에 있어서는, 솔레노이드력에 의해 파워 엘리먼트(506)가 단부 부재(513)에 가압되어, 파워 엘리먼트(506)가 실질적으로 보디(505)에 고정된 상태로 된다. 이때, 메인 밸브체(530)에 작용하는 토출 압력(Pd) 및 크랭크 압력(Pc)의 영향이 실질적으로 캔슬된다. 그 결과, 메인 밸브의 제어 상태에 있어서, 메인 밸브체(30)는, 압력실(28)에서 받는 흡입 압력(Ps)에 기초하여 개폐 동작하게 된다. 즉, 제어 밸브(501)는 이른바 Ps감지 밸브로서 기능한다.In the above structure, the effective hydraulic pressure diameter A of the bellows 45, the effective hydraulic pressure diameter B in the main valve of the main valve body 530, and the effective hydraulic pressure diameter C of the sliding part of the main valve body 530 are the same. It is set. In such a configuration, in the control state of the main valve in which the main valve body 530 and the power element 50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ower element 506 is pressed against the end member 513 by the solenoid force, and thus the power element. 506 is substantially fixed to the body 505. At this time, the influence of the discharge pressure Pd and the crank pressure Pc acting on the main valve body 530 is substantially canceled. As a result, in the control state of the main valve, the main valve element 30 is opened and closed based on the suction pressure Ps received in the pressure chamber 28. In other words, the control valve 501 functions as a so-called Ps detection valve.

[제6실시형태][Sixth Embodiment]

도 9는 제6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어 밸브는, 감압부나 밸브체의 지지 구조가 제5실시형태와 약간 상이하다. 이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5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도면에 있어서 제5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10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the upper half of FIG. 9. As for the control valve of this embodiment, the support structure of a pressure reduction part and a valve body differs slightly from 5th embodiment. For this reason, below, it demonstrates centering around difference with 5th Embodiment. 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structural part which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5th Embodiment in the said figure.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밸브(601)는, 밸브 본체(602)와 솔레노이드(603)를 일체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보디(605), 코어(646), 케이스(56) 및 단부 부재(58)가 제어 밸브(601) 전체의 보디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디(605)의 상단 개구부에 단부 부재(613)가 고정되어 있고, 파워 엘리먼트(606)가 그 단부 부재(613)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솔레노이드(603)에 있어서의 플런저(50)와 코어(646) 사이에는, 플런저(50)를 코어(646)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47)("부세 부재"로서 기능한다)이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9, the control valve 601 is configured by integrally assembling the valve body 602 and the solenoid 603. Also in this embodiment, the body 605, the core 646, the case 56, and the end member 58 form the body of the entire control valve 601. In this embodiment, the end member 613 is fixed to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body 605, and the power element 606 is fixed to the end member 613. 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plunger 50 and the core 646 in the solenoid 603, a spring 47 that functions to bias the plunger 5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re 646 (functions as a “taxing member”). This is arranged.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워 엘리먼트(606)의 제1스토퍼(684)는, 단부 부재(613)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메인 밸브체(630)는, 그 하단 개구부가 코어(646)의 상단면에 탈착하는 것에 의해, 그 내부 통로(635)와 압력실(28)의 연통 상태가 차단 또는 개방된다. 즉, 메인 밸브체(630)의 하단 개구부와 코어(646)의 상단면에 의해, 내부 통로(635)를 개폐하는 "차단 밸브부"가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0, the first stopper 684 of the power element 606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end member 613. The lower end opening of the main valve body 630 is detached from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core 646 to block or open the communication state between the inner passage 635 and the pressure chamber 28. That is, the "opening valve part" which opens and closes the internal passage 635 is comprised by the lower end opening part of the main valve body 630, and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core 646. As shown in FIG.

한편, 작동 로드(538)의 상단부에 원통 형상의 계지 부재(612)가 압입되어 있고, 계합부(78)와 계지 부재(612)에 의해 격벽(576)이 상대적인 이동 범위가 규제된다. 상기 도면에는, 격벽(576)이 계지 부재(612)에 당접되어, 메인 밸브체(630)가 작동 로드(638)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사점에 위치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ylindrical locking member 612 is press-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rod 538, and the relative movement range of the partition 576 by the engaging part 78 and the locking member 612 is regulated. In this figure, the partition 576 abuts on the locking member 612, and the state in which the main valve body 630 is located at the top dead center relative to the actuating rod 638 is shown.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솔레노이드(603)가 비통전일 때는, 스프링(47)의 부세력에 의해 작동 로드(538)가 밀어 내려지지만, 그 때, 계지 부재(612)가 격벽(576)에 당접하여 메인 밸브체(630)를 밸브 개방 방향으로 부세한다. 그 결과,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밸브가 전개 상태로 되는 한편 차단 밸브부가 밸브 폐쇄 상태로 된다. 또한, 이때 차단 밸브부가 확실하게 폐쇄되도록,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솔레노이드(603)가 오프가 되어도, 플런저(50)의 하면과 슬리브(48)의 저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치수 구성으로 되어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olenoid 603 is not energized, the actuating rod 538 is pushed down by the biasing force of the spring 47, but the locking member 612 abuts the partition 576 at that time. The main valve element 630 is urged in the valve opening direction. As a result, as shown, the main valve is in the expanded state while the shutoff valve portion is in the valve closed state.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even if the solenoid 603 turns off so that a shutoff valve part may be closed reliably at this time, it has a dimension structure in which the clearance gap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plunger 5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leeve 48.

또한, 이때 서브 밸브체(536)는 파워 엘리먼트(606)와 함께 메인 밸브체(630)로부터 이격하여 서브 밸브가 개방된다. 그 결과, 크랭크 압력(Pc)이 메인 밸브체(630)의 내부 통로(635)에 도입된다. 이에 의해, 메인 밸브체(630) 및 서브 밸브체(636)에 작용하는 크랭크 압력(Pc)의 영향이 캔슬된다. 이에 의해, 밸브체에는 차압(Pc-Ps)이 작용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다음에 솔레노이드(3)에 통전시켰을 때는 메인 밸브체(630)를 작은 솔레노이드력에 의해 밸브 폐쇄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b valve body 536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valve body 630 together with the power element 606 to open the sub valve. As a result, the crank pressure Pc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passage 635 of the main valve body 630. Thereby, the influence of the crank pressure Pc which acts on the main valve body 630 and the sub valve body 636 is canceled. As a result, since the differential pressure Pc-Ps does not act on the valve body, when the solenoid 3 is energized next, the main valve body 630 can be driven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by a small solenoid force.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벨로우즈(45)의 유효 수압 지름 A와, 메인 밸브체(630)의 메인 밸브에 있어서의 유효 수압 지름 B와, 메인 밸브체(630)의 슬라이딩부의 유효 수압 지름 C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메인 밸브체(630)에 작용하는 토출 압력(Pd) 및 크랭크 압력(Pc)의 영향이 실질적으로 캔슬된다. 그 결과, 메인 밸브의 제어 상태에 있어서, 메인 밸브체(630)는, 압력실(28)에서 받는 흡입 압력(Ps)에 기초하여 개폐 동작하게 된다. 즉, 제어 밸브(601)는 이른바 Ps감지 밸브로서 기능한다.In the above structure, the effective hydraulic pressure diameter A of the bellows 45, the effective hydraulic pressure diameter B in the main valve of the main valve body 630, and the effective hydraulic pressure diameter C of the sliding part of the main valve body 630 are the same. It is set. For this reason, the influence of the discharge pressure Pd and the crank pressure Pc which act on the main valve body 630 is substantially canceled. As a result, in the control state of the main valve, the main valve body 630 opens and closes based on the suction pressure Ps received in the pressure chamber 28. In other words, the control valve 601 functions as a so-called Ps detection valve.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aid specific embodiment, Of course,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is possible within the range of the technical idea of this invention.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밸브로서, 흡입 압력(Ps)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이른바 Ps감지 밸브를 제시했지만, 크랭크 압력(Pc)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이른바 Pc감지 밸브로서 구성해도 좋다. 그 경우, 포트(16)를 크랭크실에 연 통시키도록 한다.In each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 so-called Ps detection valve that operates by sensing the suction pressure Ps is provided as a control valve, but may be configured as a so-called Pc detection valve that operates by sensing the crank pressure Pc. In that case, let the port 16 communicate with the crank chamber.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크랭크실로 연통하는 크랭크실 연통 포트(도입 도출 포트)로서, 단일 포트(12)를 마련하는 예를 제시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크랭크실 연통 포트를, 작동실(22, 322, 522)의 냉매를 크랭크실로 도출하는 제1포트(도출 포트)와, 크랭크실의 냉매를 작동실(22, 322, 522)에 도입하는 제2포트(도입 포트)로 나누어 구성해도 좋다.In each said embodiment, the example which provided the single port 12 as a crankcase communication port (induction guide port) which communicates with a crankcase was shown. In a modification, the crank chamber communication port is a first port (draining port) which leads the refrigerant in the operating chambers 22, 322, 522 to the crank chamber, and the refrigerant in the crank chamber is the operating chambers 22, 322, 522. It may be configured by dividing into a second port (introduction port) to be introduced into.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42, 44, 47, 88) 등에 관하여, 부세 부재로서 스프링(코일 스프링)을 예시했지만, 고무나 수지 등의 탄성재료, 또는 판스프링 등의 탄성 기구를 채용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spring (coil spring) was illustrated as a biasing member about the springs 42, 44, 47, 88, etc.,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employ | adopt elastic materials, such as rubber | gum and resin, or elastic mechanisms, such as a leaf spring. Of course.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를 예시했지만, 예를 들면 다른 형태의 3방 밸브 등, 공용의 보디에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가 마련되고, 단일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복합 밸브라면, 동일한 실시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s was illustrated, if it is a combined valve provided with the main valve and the sub valve in a common body, such as a three-way valve of another form, for example, it will be the same. Embodiments can be appli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한정되지 않고,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 요소를 변형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적절히 조합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발명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개시되는 전체 구성 요소로부터 몇개의 구성 요소를 삭제해도 좋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and a modification, A component can be modified and actualized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You may form various inventions by combining suitably the several component disclosed by the said embodiment or modification. In addition, some components may be deleted from all the components disclosed in the abov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1: 제어 밸브
2: 밸브 본체
3: 솔레노이드
5: 보디
6: 파워 엘리먼트
12,14,16: 포트
20: 메인 밸브 시트
22: 작동실
24: 가이드 구멍
26: 밸브실
28: 압력실
30: 메인 밸브체
34: 서브 밸브 시트
36: 서브 밸브체
38: 작동 로드
42, 44: 스프링
45: 벨로우즈
50: 플런저
76: 작동면
78: 계합부
238: 작동 로드
201: 제어 밸브
202: 밸브 본체
203: 솔레노이드
205: 보디
206: 파워 엘리먼트
222: 압력실
230: 메인 밸브체
236: 서브 밸브체
245: 다이어프램
301: 제어 밸브
302: 밸브 본체
305: 보디
322: 작동실
401: 제어 밸브
402: 밸브 본체
403: 솔레노이드
405: 보디
501: 제어 밸브
502: 밸브 본체
505: 보디
506: 파워 엘리먼트
522: 작동실
530: 메인 밸브체
535: 내부 통로
536: 서브 밸브체
538: 작동 로드
601: 제어 밸브
602: 밸브 본체
603: 솔레노이드
605: 보디
606: 파워 엘리먼트
630: 메인 밸브체
635: 내부 통로
636: 서브 밸브체
1: control valve
2: valve body
3: solenoid
5: body
6: power element
12, 14, 16: Port
20: main valve seat
22: operating room
24: guide hole
26: valve chamber
28: pressure chamber
30: main valve body
34: sub valve seat
36: sub valve body
38: working rod
42, 44: spring
45: bellows
50: plunger
76: working surface
78: engagement
238: working rod
201: control valve
202: valve body
203: solenoid
205 body
206: power element
222: pressure chamber
230: main valve body
236: sub-valve body
245: diaphragm
301: control valve
302: valve body
305: body
322: operating room
401: control valve
402: valve body
403: solenoid
405: body
501: control valve
502: valve body
505: body
506: power element
522: operating room
530: main valve body
535: internal passage
536: sub-valve body
538: working rod
601: control valve
602: valve body
603: solenoid
605: body
606: power element
630: main valve body
635: internal passage
636: sub valve body

Claims (8)

작동 유체를 도입 또는 도출하는 도입 도출 포트, 작동 유체를 도입하는 도입 포트, 작동 유체를 도출하는 도출 포트가 마련된 보디;
상기 보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도입 포트와 상기 도입 도출 포트 사이에 형성된 메인 밸브 시트에 탈착하여 메인 밸브를 개폐하는 한편, 상기 도입 도출 포트와 상기 도출 포트를 연통시키는 내부 통로가 형성된 메인 밸브체;
상기 내부 통로의 단부 또는 내부에 형성된 서브 밸브 시트에 탈착하여 서브 밸브를 개폐하는 서브 밸브체;
상기 보디의 일단측에 마련되어 피감지 압력을 감지하여, 그 피감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낮아지면 상기 메인 밸브체를 밸브 개방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감압부;
상기 보디의 타단측에 마련되고, 공급되는 전류량에 상응하여 상기 메인 밸브체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상기 감압부와 상기 솔레노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작동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솔레노이드력을 상기 감압부에 직접 전달 가능하도록, 상기 작동 로드의 일 단부는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서브 밸브체를 관통하여 상기 감압부에 작동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A body provided with an introduction derivation port for introducing or drawing a working fluid, an introduction port for introducing a working fluid, and an extraction port for drawing a working fluid;
A main valve which is slidably supported by the body, opens and closes the main valve by being detached from the main valve seat formed between the introduction port and the introduction induction port, and has an internal passage communicating the introduction induction port with the introduction port; sieve;
A sub-valve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a sub-valve by detaching a sub-valve seat formed at an end or inside of the inner passage;
A pressure reducing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to sense a pressure to be detected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driving the main valve body in a valve opening direction when the detected pressure is lower than a set pressure;
A solenoid provid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body and generating a solenoid force for driving the main valve element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An actuating rod disposed between the decompression unit and the solenoid,
One end of the operating rod is connected to the solenoid, the other end i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pressure reducing unit through the sub-valve body so that the operating rod can directly transfer the solenoid force to the pressure reducing unit. Control val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밸브체를 상기 메인 밸브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제1부세 부재;
상기 서브 밸브체를 상기 서브 밸브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부세하는 제2부세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biasing member biasing the main valve element in a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main valve;
And a second biasing member for biasing the sub-valve body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sub-val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로드는, 상기 메인 밸브의 밸브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밸브체를 상기 서브 밸브의 밸브 개방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력을, 상기 서브 밸브체에 전달하기 위한 가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The method of claim 2,
The actuating rod includes a pressurizing portion for transmitting a solenoid force for driving the sub valve body in a valve opening direction of the sub valve in the valve closing state of the main valve to the sub valve body. Control val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로드는, 상기 메인 밸브체에 마련된 피계합부에 계합(係合) 되는 것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력을 상기 메인 밸브체에 직접 전달 가능한 계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The method of claim 1,
The actuating rod includes a engaging portion capable of directly transmitting the solenoid force to the main valve body by engaging with the engaged portion provided in the main valve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로드는, 상기 메인 밸브체에 마련된 피계합부에 계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력을 상기 메인 밸브체에 직접 전달 가능한 계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부세 부재는, 상기 서브 밸브의 밸브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와 상기 피계합부 사이에 소정 간격이 형성되도록, 상기 메인 밸브체를 상기 메인 밸브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부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The method of claim 2,
The actuating rod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portion capable of directly transmitting the solenoid force to the main valve body by engaging with the engaged portion provided in the main valve body,
The first biasing member biases the main valve body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main valve so th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formed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engaged portion in the valve closing state of the subvalve. Control val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세 부재는, 상기 작동 로드와 상기 메인 밸브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 로드와 일체로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bias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actuating rod and the main valve element and is integrally displaceable with the actuating r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밸브체는 상기 작동 로드에 대해 소정의 클리어런스를 가지고 움직임 가능하게 감합되면서, 작동 로드에 의해 하방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ub-valve body is supported by the actuating rod while being movably fitted with a predetermined clearance with respect to the actuating rod.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입실에 도입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실로부터 토출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의 토출 용량을, 상기 토출실로부터 크랭크실에 도입하는 냉매, 및 상기 크랭크실로부터 상기 흡입실로 도출하는 냉매 중의 적어도 한쪽의 유량 또는 압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변화시키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로서 구성되고,
상기 보디는, 상기 도입 도출 포트로서 상기 크랭크실로 연통하는 크랭크실 연통 포트와, 상기 도입 포트로서 상기 토출실로 연통하는 토출실 연통 포트와, 상기 도출 포트로서 상기 흡입실로 연통하는 흡입실 연통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감압부는, 상기 흡입실의 흡입 압력 또는 상기 크랭크실의 크랭크 압력을 상기 피감지 압력으로서 감지하여, 그 피감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낮아지면 상기 메인 밸브체에 밸브 개방 방향의 힘을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t least one of the flow rate of the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suction chamber and discharging it from the discharge chamber,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crank chamber from the discharge chamber, and the refrigerant leading from the crank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or It is comprised as a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s which change by adjusting a pressure,
The body is provided with a crank chamber communication port communicating with the crank chamber as the introduction induction port, a discharge chamber communication port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chamber as the introduction port, and a suction chamber communication port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chamber as the introduction port. Become,
The decompression unit senses the suction pressure of the suction chamber or the crank pressure of the crank chamber as the detected pressure, and when the detected pressure is lower than a set pressure, exerts a force in the valve opening direction on the main valve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valve.
KR1020130130506A 2012-11-01 2013-10-30 Control valve KR10203490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42106 2012-11-01
JP2012242106A JP6064123B2 (en) 2012-11-01 2012-11-01 Control val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097A KR20140056097A (en) 2014-05-09
KR102034904B1 true KR102034904B1 (en) 2019-10-21

Family

ID=5088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506A KR102034904B1 (en) 2012-11-01 2013-10-30 Control valv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064123B2 (en)
KR (1) KR10203490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10544A (en) * 2015-12-16 2017-06-22 株式会社不二工機 Control valve for variable capacity type compressor
CN107489791B (en) * 2016-06-13 2020-12-04 株式会社Tgk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11603832B2 (en) 2017-01-26 2023-03-14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having a throttle valve portion with a communication hole
CN110234874B (en) 2017-02-18 2020-11-13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Capacity control valve
CN114687984A (en) 2017-11-15 2022-07-01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Capacity control valve
EP3719364B1 (en) 2017-11-30 2023-11-15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and control method for capacity control valve
EP3722603B1 (en) 2017-12-08 2024-02-07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1542929B2 (en) 2017-12-14 2023-01-03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pacity control valve
US11486376B2 (en) 2017-12-27 2022-11-01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7171616B2 (en) 2017-12-27 2022-11-15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CAPACITY CONTROL VALVE AND CONTROL METHOD FOR CAPACITY CONTROL VALVE
WO2019142931A1 (en) * 2018-01-22 2019-07-25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Capacity control valve
US11326707B2 (en) 2018-01-22 2022-05-10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and control method of capacity control valve
US11635152B2 (en) 2018-11-26 2023-04-25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2262U (en) * 1980-03-25 1981-10-27
JP5167121B2 (en) * 2006-03-15 2013-03-21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Capacity control valve
JP2008240580A (en) 2007-03-26 2008-10-09 Tgk Co Ltd Control valve for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JP5467184B2 (en) * 2009-04-15 2014-04-09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Control valve for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JP5499254B2 (en) * 2009-07-09 2014-05-21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Control valve for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JP5699259B2 (en) * 2011-01-07 2015-04-08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Control valve for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JP6064132B2 (en) * 2012-10-09 2017-01-25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Compound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92207A (en) 2014-05-19
KR20140056097A (en) 2014-05-09
JP6064123B2 (en)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4904B1 (en) Control valve
KR102084613B1 (en) Complex valve
KR102129731B1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1387217B1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2057345B1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EP2821649B1 (en) Control valve for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WO2019131694A1 (en) Capacity control valv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40049478A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20150101944A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6216950B2 (en) Control valve and control valve for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KR102046664B1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6064182B2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KR102046660B1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20140141432A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6175630B2 (en) Control valve
KR20140074843A (en) Control valve
JP2020101242A (en) Control valve
JP6064181B2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