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903B1 - 안전관제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안전관제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903B1
KR102033903B1 KR1020180072476A KR20180072476A KR102033903B1 KR 102033903 B1 KR102033903 B1 KR 102033903B1 KR 1020180072476 A KR1020180072476 A KR 1020180072476A KR 20180072476 A KR20180072476 A KR 20180072476A KR 102033903 B1 KR102033903 B1 KR 102033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image
event
photographing apparatus
represent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현준
구본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Priority to KR1020180072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관제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제시스템은, 지정된 지역의 각 관리대상구역에서 그룹을 지어 동작하고, 각 관리대상구역의 촬영영상을 사물인터넷(IoT) 기반으로 제공하는 복수의 촬영장치, 및 복수의 촬영장치를 대표하는 대표 촬영장치에 결합되어 구성되며, IoT 기반으로 제공된 영상을 분석하여 이벤트를 도출하고, 도출한 이벤트 중에서 기설정된 중요도의 이벤트를 필터링하여 관리자 장치로 통지하는 영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관제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Monitering System for Secuirty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안전관제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망(network) 구축이 어려운 지역에 보안감시 솔루션 구축과 관리가 간편한 독립형 보안용 안전관제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시민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요구가 점점더 대두되고 있다. 이는 시민 의식이 점점더 고양됨에 따라 정부에 대하여 사회권의 일종으로서 안전권 및 생명 보호권을 요구하는 추세에 있는 것도 있겠으나 무엇보다 자본주의 하에서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빈부의 격차가 더욱더 첨예화되고 이에 따라 평범한 시민이 범죄에 노출되는 등 일상 범죄가 증가하고 있는 이유도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해 종래에는 거리와 같이 개방된 공간에서의 시민의 안전과, 특히 보안이 요구되는 구역에 침입하는 침입자를 감시하기 위한 감시 시스템은 잘 알려진 바 있다. 대표적으로 감시 카메라 즉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를 이용한 방식이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CCTV를 이용한 방식은 최근들어 거리의 가로등과 결합되어 시민의 안전을 보호하는 형태로 기술이 서서히 일상생활과 밀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CCTV형 카메라의 가격을 대폭 감소시키기 위하여 블랙박스형 스마트 가로등을 설치하는 곳도 언론에 간헐적으로 발표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방식은 시스템의 구축에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이러한 비용적인 이유로 망 구축이 어려운 지역, 가령 정밀한 감시가 필요한 우범 지역 등에까지 그 설치가 확대되지는 못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안전이나 보안 관제를 위하여 서버를 구축하고, 인터넷 기반의 유선망을 설치하는 등의 작업은 비용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에는 특정 장소에 고정되어 카메라가 설치되는 등의 문제로 인해 이를 의도적으로 회피하여 범죄를 저지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뿐 아니라, 카메라를 관리하기 위하여 시스템 관리자가 카메라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근하여 관리하므로 관리자의 안전성이 완전하게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특허문헌1: KR등록실용신안 제20-0388527호(2005.06.22) 특허문헌2: KR등록특허 제10-1651638호(2016.08.22)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망 구축이 어려운 지역에 보안감시 솔루션 구축과 관리가 간편한 독립형 보안용 안전관제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제시스템은, 지정된 지역의 각 관리대상구역에서 그룹을 지어 동작하고, 상기 각 관리대상구역의 촬영영상을 사물인터넷(IoT) 기반으로 제공하는 복수의 촬영장치, 및 상기 복수의 촬영장치를 대표하는 대표 촬영장치에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IoT 기반으로 제공된 영상을 분석하여 이벤트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한 이벤트 중에서 기설정된 중요도의 이벤트를 필터링하여 관리자 장치로 통지하는 영상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장치는, 상기 복수의 촬영장치 중 상기 대표 촬영장치 이외의 촬영장치와 각각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IoT 기반으로 상기 촬영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영상장치는, 상기 관리자 장치의 요청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IoT 기반으로 상기 촬영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영상장치는,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전경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전경 영역에서 객체를 검출 및 추적하여 분류하며, 상기 분류한 객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영상장치는 상기 객체를 추적하기 위하여 상기 객체가 검출된 픽쳐(picture) 영상을 기준으로 전 및 후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일련의 픽쳐 영상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안전관제시스템은, 상기 각 관리대상구역에 광(light)을 제공하는 램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장치는 상기 램프의 상태에 따라 상기 촬영장치의 렌즈 초점을 자동조절할 수 있다.
상기 영상장치는, 상기 각 관리대상구역의 인구밀도 및 통행량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을 기반으로 상기 램프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안전관제시스템은, 상기 각 관리대상구역의 음원을 취득하는 음원감지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장치는, 상기 취득한 음원을 근거로 상기 각 관리대상구역의 소음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촬영장치는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제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지정된 지역의 각 관리대상구역에서 그룹을 지어 동작하고 상기 각 관리대상구역의 촬영영상을 사물인터넷(IoT) 기반으로 제공하는 복수의 촬영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IoT 기반으로 제공된 영상을 분석하여 이벤트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한 이벤트 중에서 기설정된 중요도의 이벤트를 필터링하여 관리자 장치로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촬영장치 중 상기 대표 촬영장치 이외의 촬영장치와 각각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IoT 기반으로 상기 촬영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안전관제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상기 관리자 장치의 요청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IoT 기반으로 상기 촬영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전경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전경 영역에서 객체를 검출 및 추적하여 분류하며, 상기 분류한 객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를 추적하기 위하여 상기 객체가 검출된 픽쳐 영상을 기준으로 전 및 후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일련의 픽쳐 영상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안전관제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상기 각 관리대상구역에 광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램프의 상태에 따라 상기 촬영장치의 렌즈 초점을 자동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관제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상기 각 관리대상구역의 인구밀도 및 통행량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을 기반으로 상기 램프의 광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관제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상기 각 관리대상구역의 음원을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취득한 음원을 근거로 상기 각 관리대상구역의 소음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 혹은 보안관제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비용이 아주 저렴하게 소요될 뿐 아니라, 우범지역을 아주 촘촘하게 관제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고정식이 아닌 이동식으로도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여 범죄예방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관제장치의 유지 및 관리도 간편하기 때문에 시스템 관리자의 안전을 분명하게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제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동작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촬영장치 및 영상장치의 설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촬영장치 및 영상장치의 다른 설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영상장치의 유지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영상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영상처리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8은 도 6의 영상처리장치의 다른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9는 도 1의 안전관제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리고
도 10은 도 6의 영상처리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제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동작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제시스템(90)은 감시, 안전, 위험 등 올인원(all-in-one) 시스템 구축을 통해 위험상황에 즉각 대처하기 위하여 복수의 촬영장치(100), 영상장치(110), 통신망(120), 관제장치(130) 및 보안센터장치(1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보안센터장치(140)와 같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영상장치(110)나 관제장치(130) 등의 구성요소가 통신망(120) 내의 네트워크장치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복수의 촬영장치(100)는 임의 지역의 각 관리대상구역에 설치되어 해당 구역을 촬영한다. 가령 임의 지역이 복수의 관리대상구역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복수의 지역그룹을 각각 감시하는 제1 그룹의 복수의 촬영장치(100) 내지 제3 그룹의 복수의 촬영장치(100)로 도 1의 시스템(90)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역과 구역은 영역의 상위 개념과 하위 개념을 단순히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어의 개념에 국한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영역이냐, 구역이냐 지역이냐 장소냐의 용어에 대한 정확한 정의는 제쳐두기로 한다.
예컨대, (통신)망 구축이 어려운 지역에서 전원 공급만 있으면 아주 간편하게 촬영장치(100)를 이용한 시스템(90)의 구축이 용이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전원이라 함은 110/220V의 상용전원을 지칭하지만, 직류전원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복수의 촬영장치(100)는 위의 지역 이외에도 불법 쓰레기 투기 지역 감시, 우범지역 감시, 공공기관, 교육기관, 주차장, 시설물 관리, 농·어촌 농장 및 어장 등의 외곽 및 절도 감시, 사생활보호를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감시를 위해 특정 구역에 설치되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복수의 촬영장치(100)가 공공기관이나 교육기관, 또는 개인과 같이 소규모 구역에 설치되어 해당 구역을 세밀하게 관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 사용자 즉 관리자는 별도의 서버(server)를 구축하지 않아도 가령 통신 반경 내에서 쉽게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사례가 가장 적합하지만, 서버를 구축하는 것도 배제하지는 않을 것이다.
복수의 촬영장치(100)는 관리대상구역에 설치되며, 복수의 촬영장치(100)를 대표하는 대표 촬영장치(100a)에 결합되는 영상장치(11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더 정확히 말해, 대표 촬영장치(100a)는 영상장치(110)와 결합되는 관계로 유선에 의해 연결될 수 있지만, 이를 제외한 나머지의 각각의 촬영장치(100)는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촬영장치(100)는 자신이 관할하는 곳 즉 각 관리대상구역의 촬영영상을 영상장치(110)로 전송하고, 또 영상장치(110)의 제어 하에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촬영 위치나 방향을 변경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촬영장치(100)는 특정 관리대상구역을 그룹지어 관리하되, 사물인터넷 기반의 무선통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최근의 5G 통신망은 유선의 광통신망을 함께 이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여 통신을 수행해도 무관할 것이다. 개별 촬영장치(100)간 설치거리는 통신반경 즉 통신거리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와이파이(Wi-Fi)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100~200m의 거리마다 촬영장치(100)가 설치되고, 이를 통해 관리대상구역을 관리할 수 있다. 만약,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나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라면 그 간격은 더욱 좁아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100)는 카메라의 설치 및 변경이 용이할 수 있도록 모듈 형태를 갖는 모듈형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100)는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 CCTV용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블랙박스용 카메라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100)는 바람직하게는 영상장치(110)의 제어 하에 동작을 수행하지만, 서로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핸드오버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가령, 전원절약을 위하여 카메라가 대기 상태에 있다가 소음을 기반으로 복수의 촬영장치(100) 중 특정 촬영장치(100)가 먼저 턴온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강도와 같이 대상물의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 그 이동하는 방향의 촬영장치(100)를 가동하도록 요청하고 자신은 촬영 동작을 오프하는 것이다. 또는 대상물이 정확하게 인식되지 않을 때 주변의 촬영장치(100)로 촬영을 요청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촬영장치(100)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기술을 적용하여 핸드오버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는 어디까지나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른 것이므로, 어느 하나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각각의 촬영장치(100)는 가령 50m 거리의 감시가 가능하도록 광을 출력하는 램프(예: IR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렌즈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장치(100)는 램프를 이용하여 어두운 환경을 밝히거나 촬영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램프를 가동하고 이의 과정에서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촬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램프는 해당 구역의 시간별 인구밀도, 통행량에 따라 자동으로 광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인구밀도나 통행량은 촬영영상의 영상분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지만, 마이크로폰과 같은 음원취득장치 혹은 음원감지기를 통해 취득한 음성을 분석하여서도 얼마든지 판단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위의 동작들은 영상장치(110)의 제어 하에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그것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요약해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별 촬영장치(100)는 모듈형 카메라를 포함하고, 이에 쉽게 연동하여 제조(예: 조립 등)가 가능하도록 하는 램프, 나아가 마이크로폰과 같은 장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촬영장치(100)는 관리대상구역을 저비용으로 안전하게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장치(100)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CPU와 같은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사물인터넷은 기본적으로 개별 장치와 개별 장치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장치(110)는 각 관리대상구역을 감시하는 복수의 촬영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촬영영상을 사물인터넷 기반의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한다. 이를 위하여 영상장치(110)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해당 모듈은 액세스포인트(AP)와 같은 개별 장치가 그 구성과 기능을 대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이후에 좀더 다루기로 한다.
영상장치(110)는 복수의 촬영장치(100)가 관리대상구역에 설치된 후, 전원이 인가되면 주변의 복수의 촬영장치(100)와 서로의 장치에 대한 등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수동으로 등록시키는 방식도 가능하지만 자동으로 페어링(pairing)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복수의 촬영장치(100)는 각각의 식별정보(ID) 즉 장치정보와 제조사의 제조사정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장치정보는 서로의 장치를 인식하기 위해 사용된다면, 제조사정보는 공통적으로 가지는 정보이므로 이를 기반으로 각 장치의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더 정확한 등록을 위하여 거리(예: 통신반경)를 더 참조하여 등록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기초로 영상장치(110)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촬영장치(100)로부터의 촬영영상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 각 촬영장치(100)의 촬영영역에서 이벤트의 발생이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도 2의 (a)). 개략적으로 영상장치(110)는 특정 객체의 이벤트에 대한 탐지를 수행하며, 지능형 분석 기반으로 특정 움직임을 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능형 분석"이란 학습이나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분석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는 수상한 배회, 월담, 기물파손, 주거지 침입 등의 범죄상황을 의미한다. 객체는 개별인물, 군중, 차량 등을 포함한다.
예컨대 영상장치(110)는 개별 인물의 경우 쓰레기 투기 시도시 즉각 감지나 자동 추적이 가능할 수 있고, 만약 담배꽁초인 경우에는 불꽃이나 연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분석기술은 영상에서 특이점을 찾고 그 찾은 특이점을 기반으로 객체를 판단하고 판단한 객체들 간의 상관관계를 추정하는 등의 동작을 통해 이벤트를 판단한다고 볼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영상장치(110)는 특정 픽쳐(picture)에서 검출된 객체를 추적하기 위하여 이전 픽쳐나 다음 픽쳐를 참조할 수 있고, 또 복수의 일련의 픽쳐를 참조하여 객체를 정확히 분류하고, 그 분류된 객체들을 통해 이벤트를 정확히 감지할 수도 있다. 영상분석기술은 다양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영상장치(110)는 수집된 촬영영상뿐 아니라, 음성(혹은 음원) 등을 함께 수집하여 지역 혹은 구역 내 인구밀도 기반의 자동 광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싸움이 일어난 경우나 쓰러진 취객이나 환자가 발생한 경우에는 경찰서 등의 보안센터장치(140)로 즉시 통지하여 사태 수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장치(110)는 해당 관리대상구역에서 발생하는 촬영영상과 음성, 나아가 메타데이터를 확보하여 빅데이터를 통해 주민의 편의성과 경제적 효율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
영상장치(110)는 지능형 즉 인공지능(AI) 동작 등에 따라 누적되는 데이터를 이용한 학습효과 등을 통해 중요도가 높은 이벤트를 자동으로 도출할 수도 있다. 이의 경우가 아니라면 시스템 설계자나 관리자가 지정한 중요도 높은 이벤트를 기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특정 이벤트를 필터링해 낼 수 있을 것이다(도 2의 (b)).
물론 영상장치(110)는 수집된 영상에서 전경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한 전경 영역에서 객체를 검출하여 객체에 따라 먼저 분류하고, 그 분류된 객체에 따른 이벤트를 감지하여 위의 필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중요도가 높은 필터링된 이벤트마다 서로 다른 방식으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영상장치(110)는 관리자에게 통지하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해당 이벤트가 감지될 때 관리자에게 통지할 것이고, 관리자와 보안센터 직원이 있는 보안센터로 함께 통지하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것이다.
이를 위해, 영상장치(110)는 유/무선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기반의 공유기는 통신망(120)를 구성하는 기지국(예: e-Node)에 쉽게 연결될 수 있으므로, 영상장치(110)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120) 내의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여 위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영상장치(110)는 해당 영상장치(11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접속권한이 있다고 판단되면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영상을 다운로드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접속권한이 있는 시스템 관리자자 휴대폰이나 태블릿PC 등을 통해 접속을 요청하면, 이에 응답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영상장치(110)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안전과 관리의 편이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무선통신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장치(110)는 외부를 형성하는 본체 케이스 내에 액세스포인트(예: 무선공유기)와 같은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엄격하게는 영상장치(110)가 통신망(12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상장치(110)가 통신망(120)에 포함되는 개념보다는 촬영장치(100)와 결합하는 내용이 더 중요하게 간주되어 도 1에서와 같이 도시한 만큼, 간략한 설명으로 이를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영상장치(110)는 앞서 언급한 대로 복수의 촬영장치(100)와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무선통신을 통해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위의 핸드오버 기능을 통해 이동 객체의 순차적인 촬영이 그 좋은 예일 것이다.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 광통신망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 통신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20) 내의 액세스포인트(AP)(혹은 영상장치(11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5G 통신망은 자율주행차나 사물인터넷 기술의 구현을 위해 획기적으로 증가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기지국간, 또는 기지국과 교환국간, 혹은 기지국과 기지국 사이의 데이터처리장치간 유선의 광통신망을 지상 혹은 지하로 추가로 개설하여 빅데이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려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통신망(120)은 (영상장치(110) 내의 액세스포인트와 별도로)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영상장치(11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영상장치(11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관제장치(130) 및/또는 보안센터장치(14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관제장치(130)는 통신사들이 운영하는 통신망(120) 또는 댁내나 공공기관 등에서 운영하는 액세스포인트에 연결된 서버 및/또는 컴퓨터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장치(130)는 컴퓨터일 수 있고, 서버일 수 있으며, 서버와 그 서버에 연결된 컴퓨터를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술의 특성상 관리자가 소지하는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의 휴대폰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컴퓨터는 랩탑, 데스크탑, 태블릿 PC 등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상 관제장치(130)는 공공기관 등에 구비되는 컴퓨터로 설명한다. 컴퓨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프로그램의 설치에 따라 관제장치(130)는 중요 이벤트가 통지될 때 관리자가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화면에 팝업, 알람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관제시스템(90)의 특성상 관제센터에는 관제를 위한 많은 전용 컴퓨터 등이 관제장치(130)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관제장치(130)는 화면에 상시적으로 관리대상구역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이런 전제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화면에 팝업기능과 알람기능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경우가 아니라 하더라도, 가령 댁내에 감시시스템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시스템(90)을 구축한 경우에는 관제장치(130)가 특정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등이 될 수 있다. 이의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중요 이벤트가 감지되었음이 통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관제장치(130)는 DB(130a)를 더 포함하여 연동할 수 있다. 가령, 영상장치(110)의 요청에 따라 과거의 영상들을 DB(130a)에 저장해 둘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서버는 고가인 만큼 영상분석을 수행하고 이벤트를 도출하고 도출된 이벤트 중에서 중요도가 높은 이벤트를 필터링하기 위한 하드웨어(H/W)나 소프트웨어(S/W) 자원의 성능이 높기 때문에 영상장치(110)와 연계하여 이의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것도 어디까지나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지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나아가, 관제장치(130)는 영상장치(11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검색(예: 픽쳐 검색(I-search), 객체 검색(object search) 등)하거나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검색 및 재생엔진 즉 해당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의 검색과 재생 등을 위해 라스(RAS) 솔루션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관제장치(130)는 통신사와 연계하여 메시지로 알림 등을 주는 VMS(Voice Message Service)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안센터장치(140)는 자체 경비원, 사설 보안업체, 경찰 등 유관기관에서 운영하거나 소유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보안센터장치(140)는 영상장치(110)에서의 요청에 따라 중요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지만, 관제장치(130)에서 중요 이벤트를 알리도록 설계된 경우에는 그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예컨대, 관제장치(130)에 연계하여 동작하는 경우 관제장치(130)의 요청에 따라 중요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고 적절한 조처를 취하게 될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촬영장치 및 영상장치의 설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촬영장치 및 영상장치의 다른 설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도 1의 영상장치의 유지 및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촬영장치(100) 및 영상장치(110)는, 가령 복수의 촬영장치(100)를 대표하는 대표 촬영장치(100a)는 영상장치(110)와 서로 결합되어 도 3의 (a) 및 (b)에서와 같이 전주(혹은 전봇대) 기둥이나 가로등의 기둥과 같은 기둥(300)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전주 기둥이나 가로등 기둥은 전원 확보가 용이하므로 쉽게 설치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촬영장치(100) 및 영상장치(110)는 도 4에서와 같이 별도로 제조된 폴대(400) 혹은 지주를 통해서도 관리대상구역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의 경우에는 설치 장소에 특별히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고, 또 이동이 가능하므로 범죄자 등에게 쉽게 발견되지 않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100) 및 영상장치(110)는 전원 공급만 가능하다면, 벽면 등 어느 곳에도 쉽게 설치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영상장치(110)가 전주나 가로등의 기둥(300) 및/또는 폴대(400)에 설치된 후, 시스템 관리자는 도 5에서와 같이 무선 기반으로 영상장치(110)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관리자는 태블릿 PC 등의 영상표시장치(500)를 이용해 촬영영상을 다운로드 받아 확인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물리적인 직접 관리 대비 관리자의 안정성 확보에 더욱 유리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영상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상장치(110)는 영상처리장치(600), 제1 전원공급부(610), DC-DC 변압부(620), 제2 전원공급부(630), AC-DC 변압부(640), 통신부(650) 및 회로 보호부(66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영상처리장치(600)는 이후에 자세히 다루겠지만, 영상장치(110)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고, 통신부(650)를 통해 복수의 촬영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 이벤트를 도출하며 도출한 이벤트에서 중요도가 높은 이벤트를 필터링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처리장치(600)는 소형(MINI) 컴퓨터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영상장치(110) 내에서 제어장치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영상처리장치(600)는 제1 전원공급부(610)를 통해 AC 상용전원이 공급되면 이를 제2 전원공급부(630)에 제공하여 배터리 등에 전원을 제공하여 충전시키게 된다. 또한, 영상처리장치(600)는 과열에 의한 화재 등이 감지되거나 전원의 차단이 필요할 때 회로보호부(600)를 통해 특히 AC 전원인 제1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제1 전원공급부(610)는 콘센트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콘센트를 통해 영상장치(110) 내에서 AC 전원을 별도로 필요로하는 장치가 있다면, 예컨대 통신부(650)가 별도의 유무선공유기가 사용된다면 제1 전원공급부(610)를 통해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DC-DC 변압부(620)는 AC-DC 변압부(640)를 통해 1차적으로 변환된 DC 전압을 상승하거나 하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DC-DC 변환을 위한 어댑터가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제2 전원공급부(630)를 구성하는 배터리는 12V 전원으로 충전되는데, 영상처리장치(600)는 DC 19V의 전원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DC-DC 변압부(620)는 제2 전원공급부(630)의 전압을 레벨 업시켜 영상처리장치(6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전원공급부(630)는 AC-DC 변압부(640)에서 제공된 전압을 충전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이때 배터리에 충전된 전압은 촬영장치(100), DC-DC 변압부(620), 무선통신부(650) 및 팬(미도시)에 각각 공급할 수 있다.
AC-DC 변압부(640)는 제1 전원공급부(610)를 통해 공급되는 AC 전원을 DC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DC 12V, 10A 규격의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650)는 유무선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을 통해서는 영상장치(110)와 연동하는 대표 촬영장치(100a), 영상처리장치(6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650)는 무선통신을 통해서 대표 촬영장치(100a)를 제외한 나머지 촬영장치(100)로부터 촬영영상을 수신하고, 또 촬영영상을 관리자가 요청하는 경우 무선통신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다.
회로 보호부(660)는 AC 전원이 영상장치(11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는 영상처리장치(600)의 제어 하에 자동으로 차단될 수 있지만,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차단되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도 6의 영상처리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600)는 영상장치(110)를 제어하는 일종의 제어장치로서, 통신인터페이스부(700) 및 영상처리부(7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통신인터페이스부(700)는 영상장치(110)의 내의 통신부(650)를 구성하는 유무선 액세스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연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표 촬영장치(100a)의 촬영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유선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인터페이스부(700)는 대표 촬영장치(100a)의 촬영영상은 유선 포트인 제1 경로로 수신하고, 그룹에 포함되는 나머지 촬영장치(100)들의 촬영영상은 유무선 액세스포인트와 연결된 연결 포트인 제2 경로로 수신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710)는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그 메모리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하드웨어적인 구성과 동작은 하나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처리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상처리부(710)가 어떻게 구성되느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영상처리부(710)는 그룹이 설정된 복수의 촬영장치(100)로부터 촬영영상이 수신되면 수신된 촬영영상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영상처리부(710)는 수신된 픽쳐 단위의 영상에서 전경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경 영역에서 객체를 검출하고 해당 객체를 추적하며, 이에 따라 객체를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분류된 객체들의 상관관계 등을 통해 이벤트를 감지하고 분류된 객체와 감지된 이벤트의 유형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단위) 영상에서 경계선을 접하는 두 영역을 분리해 내면 한 장면에서 지각의 대상이 되는 부분은 전경, 즉 객체 부위가 내고 그 밖의 나머지는 배경이 된다. 이에 따라 객체를 판단하고 추적하여 해당 객체에 어떠한 상황이 발생했는지를 감지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영상처리부(710)는 수신된 (단위 혹은) 일련의 영상과 분류된 객체 및 감지된 이벤트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매칭하여 메모리에 저장해 둘 수 있다.
이어 영상처리부(710)는 감지된 이벤트 중에서 중요도가 높은 이벤트를 필터링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는 도 1에서 볼 때, 관제장치(130)가 서버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해당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성상 서버를 필요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영상처리부(710)에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요도의 구분은 분석되는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학습에 의해 자동으로 중요도가 설정되어 이에 따라 이벤트가 구분될 수도 있지만, 시스템 설계자가 중요도가 높은 이벤트를 기설정하고 이에 따라 필터링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자동방식이나 수동방식 등 어떠한 방식도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처리부(710)는 중요도가 높은, 가령 긴급상황인 경우 이를 관리자에 통지하기 위하여 통신인터페이스부(7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자의 휴대폰이나 컴퓨터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관리자의 사용자 장치로 긴급상황을 통지해 줄 수 있다. 이때 관리자가 긴급상황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알람을 함께 요청하거나 화면에 메시지가 깜박이게 하는 등 다양한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영상처리부(710)는 복수의 촬영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촬영영상 등을 저장한 후, 관리자로부터 촬영영상의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촬영영상을 제공하고 관련 데이터들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는 통신부(650)를 통해 통신인터페이스부(700)로 전달된 요청에 따를 것이다.
도 8은 도 6의 영상처리장치의 다른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영상처리장치(600')는 통신인터페이스부(800), 제어부(810), 이벤트 처리부(820) 및 저장부(8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도 8의 영상처리장치(600')를 도 7의 영상처리장치(600)와 비교해 볼 때, 도 8의 영상처리장치(600')는 도 7의 영상처리부(710)가 제어부(810), 이벤트 처리부(820) 및 저장부(830)로 하드웨어적으로 구분된 형태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810), 이벤트 처리부(820) 및 저장부(830)의 동작은 도 7의 영상처리부(710)의 동작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으로 대신하고자 한다. 다만, 간략히 설명하면 제어부(810)는 영상처리장치(600') 내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령, 통신인터페이스부(800)를 통해 복수의 촬영장치(100)로부터 영상이 수신되면 수신된 영상을 저장부(830)에 저장한다. 그리고, 이벤트 처리부(820)에 저장된 영상을 제공하여 영상을 분석하고, 이벤트를 도출하며 도출된 이벤트에서 중요도가 높은 이벤트를 필터링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벤트 처리부(820)에서 처리된 데이터들은 해당 영상과 매칭하여 다시 저장부(830)에 저장해 둘 수 있다.
한편, 제어부(810)는 CPU와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PU는 영상처리장치(600')의 초기 구동시에 이벤트 처리부(8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불러내어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이를 실행시켜 위의 이벤트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데이터 처리 속도는 도 7의 경우보다 더 증가될 수 있다. CPU는 가령 마이크로프로세서 즉 마이컴으로서 연산회로(ALU)와 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명령 해석부나 레지스터 그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편의상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근거해 볼 때, 이벤트 처리부(820)는 롬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롬은 EEPROM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이벤트 처리부(820)는 프로그램의 기록 및 삭제가 용이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제외하면, 도 8의 통신인터페이스부(800), 제어부(810), 이벤트 처리부(820) 및 저장부(830)는 도 7의 통신인터페이스부(700) 및 영상처리부(710)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9는 도 1의 안전관제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9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제시스템(90)의 영상장치(110)는 관리대상구역에서 그룹이 설정되어 동작하는 복수의 촬영장치(100)로부터 촬영영상을 수신한다(S900). 무선통신의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촬영영상이 수신되므로, 단위 영상을 매크로블록 단위로 분할하고 부호화하여 촬영장치에서 전송하면, 영상장치(110)에서 이를 다시 단위 영상으로 복원하는 동작을 수행한다고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영상처리동작을 배제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리고, 영상장치(110)는 수신된 영상을 가령 픽쳐 단위로 분석하여 해당 영상에서 전경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한 전경 영역에서 객체를 검출하며 또 검출된 객체를 후속하는 일련의 픽쳐 영상을 이용하여 추적할 수 있다(S910 ~ S920). 물론 추적 과정은 이전의 픽쳐를 이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영상장치(110)는 객체를 정확히 판단하여 객체를 분류한다(S930). 예컨대, 객체는 개별인물, 군중, 차량 등이 될 수 있는데, 이를 검출 및 추적하여 객체를 분류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 영상장치(110)는 가령 분류된 객체들간의 상관관계 등을 통해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S940). 예컨대, 객체의 검출 및 추적을 통해 차량과 개별인물이 발견되고, 두대의 차량이 접촉하여 사고된 장면이 검출되었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장면의 분석은 영상에서 특이점들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장면분석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현재 어떠한 이벤트 즉 사고인지 사건인지 등을 영상장치(110)가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영상장치(110)는 감지된 이벤트에서 중요도가 높은 이벤트를 필터링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대로 학습효과, 인공지능(AI) 등을 이용한 자동방식이나 시스템 설계자가 설정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수동방식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영상장치(110)는 영상의 분석을 통해 확보된 데이터 즉 메타데이터를 수신된 촬영영상에 매칭시켜 DB에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S950). 여기서, 메타데이터는 일종의 부가정보로서 촬영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정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영상장치(110)는 도 1의 관제장치(130)로부터 촬영영상이나 다양한 정보(혹은 데이터)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영상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관제장치(130)는 서버나 컴퓨터의 자원(예: 검색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해당 영상을 재생하고, 또는 객체나 이벤트를 확인해 볼 수 있게 된다(S960).
이의 과정에서, 관제장치(130)는 모니터의 화면을 통해 검색이나 재생 화면을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또 중요도가 높은 이벤트의 경우에는 이를 팝업 형태 또는 다양한 형태로 관리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통지하게 된다(S970).
도 10은 도 6의 영상처리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0을 도 1 및 도 6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600)는 지정된 지역의 각 관리대상구역에서 그룹을 지어 동작하고 각 관리대상구역의 촬영영상을 사물인터넷(IoT) 기반으로 제공하는 복수의 촬영장치(100)로부터 촬영영상을 수신한다(S1000). 여기서, 사물인터넷 기반은 유무선통신을 통해 개별 기기 간의 통신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으며, 더 정확하게는 촬영장치(100)와 영상장치(110)간의 근거리 유무선통신에 의한 과정을 의미한다.
또한, 영상처리장치(600)는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제공된 영상을 분석하여 이벤트를 도출하고 도출한 이벤트 중에서 기설정된 중요도의 이벤트를 필터링하여 관리장치로 통지한다(S1010). 이벤트 도출을 위하여 영상처리장치(600)는 영상을 분석하여 전경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한 전경 영역에서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한 객체를 가령 후속하는 일련의 영상을 더 참조하여 추적하며,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객체를 분류하고, 분류된 객체들간의 상관관계 등을 통해 이벤트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영상처리장치(600)는 감지된 이벤트의 중요도를 판단하여 중요도가 높다고 판단되면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관리자에게 통지해 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촬영장치 100a: 대표 촬영장치
110: 영상장치 120: 통신망
130: 관제장치 140: 보안센터장치
300: 기둥 400: 폴대
600: 영상처리장치 610: 제1 전원공급부
620: DC-DC 변압부 630: 제2 전원공급부
640: AC-DC 변압부 650: 통신부
660: 회로 보호부 700, 800: 통신인터페이스부
710: 영상처리부 810: 제어부
820: 이벤트 처리부 830: 저장부

Claims (10)

  1. 지정된 지역의 각 관리대상구역에서 그룹을 지어 동작하고, 상기 각 관리대상구역의 촬영영상을 사물인터넷(IoT) 기반으로 제공하는 복수의 촬영장치;
    상기 복수의 촬영장치를 대표하는 하나의 대표 촬영장치에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촬영장치 중 상기 대표 촬영장치 이외의 촬영장치로부터 상기 IoT 기반으로 제공된 각각의 촬영영상 및 상기 대표 촬영장치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복수의 이벤트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한 복수의 이벤트의 중요도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 기준 이상의 중요도를 갖는 이벤트를 필터링하여 관리자 장치로 통지하는 영상장치; 및
    상기 각 관리대상구역에 광(light)을 제공하는 램프;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장치는,
    상기 램프의 상태에 따라 상기 촬영장치의 렌즈 초점을 자동조절하고,
    상기 각 관리대상구역에서 제1 그룹을 형성하는 복수의 촬영장치 중 제1 대표 촬영장치에 구비되는 제1 영상장치와 상기 각 관리대상구역에서 제2 그룹을 형성하는 복수의 촬영장치 중 제2 대표 촬영장치에 구비되는 제2 영상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상장치는,
    상기 제1 그룹의 복수의 촬영장치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기준 이상의 중요도를 갖는 필터링된 이벤트를 상기 관리자 장치로 통지하고,
    상기 제2 영상장치는,
    상기 제2 그룹의 복수의 촬영장치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기준 이상의 중요도를 갖는 필터링된 이벤트를 상기 관리자 장치로 통지하며,
    상기 제1 영상장치 및 상기 제2 영상장치는 각각,
    상기 복수의 촬영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촬영장치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 이벤트를 도출하며 도출한 이벤트에서 중요도에 높은 이벤트를 필터링하는 영상처리장치;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AC-DC 변압부; 및
    상기 AC-DC 변압부를 통해 1차적으로 변환된 DC 전압을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DC-DC 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대표 촬영장치 및 상기 영상처리장치와 유선으로 통신하고, 상기 대표 촬영장치 이외의 촬영장치와 상기 IoT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대표 촬영장치의 촬영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유선 포트인 제1 경로로 수신하고, 상기 대표 촬영장치의 이외의 촬영장치의 촬영영상을 유무선 액세스포인트(AP)가 연결된 연결 포트인 제2 경로로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 이벤트를 도출하며 도출한 이벤트에서 중요도에 높은 이벤트를 필터링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촬영장치로부터 수신된 촬영영상을 저장하고, 시스템 관리자가 휴대폰이나 태블릿PC를 통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IoT 기반으로 접속을 요청하면, 이에 응답하여 동작하며, 촬영영상의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저장한 촬영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촬영영상에 관련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안전관제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는,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전경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전경 영역에서 객체를 검출 및 추적하여 분류하며, 상기 분류한 객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를 도출하는 안전관제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는 상기 객체를 추적하기 위하여 상기 객체가 검출된 픽쳐(picture) 영상을 기준으로 전 및 후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일련의 픽쳐 영상을 참조하는 안전관제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는, 상기 각 관리대상구역의 인구밀도 및 통행량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을 기반으로 상기 램프의 광량을 조절하는 안전관제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관리대상구역의 음원을 취득하는 음원감지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장치는, 상기 취득한 음원을 근거로 상기 각 관리대상구역의 소음도를 측정하는 안전관제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를 포함하는 안전관제시스템.
  10. 제1 그룹을 형성하는 복수의 촬영장치 중 제1 대표 촬영장치에 구비되는 제1 영상장치 및 제2 그룹을 형성하는 복수의 촬영장치 중 제2 대표 촬영장치에 구비되는 제2 영상장치를 포함하는 안전관제시스템의 구동방법으로서,
    지정된 지역의 각 관리대상구역에서 그룹을 지어 동작하고 상기 각 관리대상구역의 촬영영상을 사물인터넷(IoT) 기반으로 제공하는 복수의 촬영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촬영장치 중 하나의 대표 촬영장치를 제외한 촬영장치로부터 상기 IoT 기반으로 제공된 각각의 촬영영상 및 상기 대표 촬영장치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복수의 이벤트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한 복수의 이벤트의 중요도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 기준 이상의 중요도를 갖는 이벤트를 필터링하여 관리자 장치로 통지하는 단계;
    램프를 통해 상기 각 관리대상구역에 광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램프의 상태에 따라 상기 촬영장치의 렌즈 초점을 자동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상장치는,
    상기 제1 그룹의 복수의 촬영장치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기준 이상의 중요도를 갖는 필터링된 이벤트를 상기 관리자 장치로 통지하고,
    상기 제2 영상장치는,
    상기 제2 그룹의 복수의 촬영장치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기준 이상의 중요도를 갖는 필터링된 이벤트를 상기 관리자 장치로 통지하며,
    상기 제1 영상장치 및 상기 제2 영상장치는 각각,
    상기 복수의 촬영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촬영장치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 이벤트를 도출하며 도출한 이벤트에서 중요도에 높은 이벤트를 필터링하는 영상처리장치;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AC-DC 변압부; 및
    상기 AC-DC 변압부를 통해 1차적으로 변환된 DC 전압을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DC-DC 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대표 촬영장치 및 상기 영상처리장치와 유선으로 통신하고, 상기 대표 촬영장치 이외의 촬영장치와 상기 IoT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대표 촬영장치의 촬영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유선 포트인 제1 경로로 수신하고, 상기 대표 촬영장치의 이외의 촬영장치의 촬영영상을 유무선 액세스포인트(AP)가 연결된 연결 포트인 제2 경로로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 이벤트를 도출하며 도출한 이벤트에서 중요도에 높은 이벤트를 필터링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촬영장치로부터 수신된 촬영영상을 저장하고, 시스템 관리자가 휴대폰이나 태블릿PC를 통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IoT 기반으로 접속을 요청하면, 이에 응답하여 동작하며, 촬영영상의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저장한 촬영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촬영영상에 관련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안전관제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0180072476A 2018-06-25 2018-06-25 안전관제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033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476A KR102033903B1 (ko) 2018-06-25 2018-06-25 안전관제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476A KR102033903B1 (ko) 2018-06-25 2018-06-25 안전관제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903B1 true KR102033903B1 (ko) 2019-10-18

Family

ID=68462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476A KR102033903B1 (ko) 2018-06-25 2018-06-25 안전관제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9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480B1 (ko) * 2021-03-04 2021-12-07 주식회사 스누아이랩 자동 세그먼트 분류를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573708B1 (ko) * 2023-03-31 2023-09-01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판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527Y1 (ko) 2005-04-14 2005-06-29 흥진정보통신 주식회사 지역/울타리 감시 및 경보 시스템
KR101033922B1 (ko) * 2009-03-23 2011-05-11 주식회사 리퓨터 음성인식 지능형 폐쇄형 감시시스템
KR20140122322A (ko) * 2013-04-09 2014-10-20 퍼스텍주식회사 시설물 감시용 보안 시스템
JP2015140028A (ja) * 2014-01-27 2015-08-03 サクサ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KR101651638B1 (ko) 2015-04-21 2016-08-26 웅진보안시스템(주) 다수의 보안감시 카메라를 통합하여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시스템
KR101696801B1 (ko) * 2016-10-21 2017-01-16 이형각 사물 인터넷(IoT) 카메라 기반의 통합 영상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527Y1 (ko) 2005-04-14 2005-06-29 흥진정보통신 주식회사 지역/울타리 감시 및 경보 시스템
KR101033922B1 (ko) * 2009-03-23 2011-05-11 주식회사 리퓨터 음성인식 지능형 폐쇄형 감시시스템
KR20140122322A (ko) * 2013-04-09 2014-10-20 퍼스텍주식회사 시설물 감시용 보안 시스템
JP2015140028A (ja) * 2014-01-27 2015-08-03 サクサ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KR101651638B1 (ko) 2015-04-21 2016-08-26 웅진보안시스템(주) 다수의 보안감시 카메라를 통합하여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시스템
KR101696801B1 (ko) * 2016-10-21 2017-01-16 이형각 사물 인터넷(IoT) 카메라 기반의 통합 영상 감시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480B1 (ko) * 2021-03-04 2021-12-07 주식회사 스누아이랩 자동 세그먼트 분류를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WO2022186426A1 (ko) * 2021-03-04 2022-09-09 주식회사 스누아이랩 자동 세그먼트 분류를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573708B1 (ko) * 2023-03-31 2023-09-01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판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6655B2 (en) Security video searching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US10529206B2 (en) Security devices and associated audio/video communication methods
CN109166261B (zh) 基于图像识别的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9412026B2 (en) Intelligent video analysis system and method
US10708496B2 (en) Analytics based power management for cameras
WO2020057346A1 (zh) 视频监控方法及装置、监控服务器及视频监控***
US20190108735A1 (en) Globally optimized recognition system and service design, from sensing to recognition
KR102119721B1 (ko) 지능형 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10807888A (zh) 一种园区智能安防方法、***及存储介质
US93571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light-based intervention
KR102237086B1 (ko) 안면인식 기능에 기초하여 5g 이동통신망의 이용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를 통해 영상감시가 가능한 로비폰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4205127A (zh) 基于识别的安全性
KR101964683B1 (ko) 스마트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33903B1 (ko) 안전관제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CN210515326U (zh) 基于人脸ai识别的景区票证稽查***
CN112211496B (zh) 一种基于智能门锁的监控方法、***及智能门锁
KR102077632B1 (ko) 로컬 영상분석과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는 하이브리드 지능형 침입감시 시스템
KR102336480B1 (ko) 자동 세그먼트 분류를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2019153986A (ja) 監視システム、管理装置、監視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2395440B1 (ko) 클라우드 기반 건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03990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통행자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937582B1 (ko) 인도 보안 안전 시스템
US11765324B1 (en) Security light-cam with cloud-based video management system
KR102105892B1 (ko) 스마트관제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103210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