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391B1 - 시트 몰딩 컴파운드 성형용 난연성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성 성형품 - Google Patents

시트 몰딩 컴파운드 성형용 난연성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성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391B1
KR102032391B1 KR1020190062407A KR20190062407A KR102032391B1 KR 102032391 B1 KR102032391 B1 KR 102032391B1 KR 1020190062407 A KR1020190062407 A KR 1020190062407A KR 20190062407 A KR20190062407 A KR 20190062407A KR 102032391 B1 KR102032391 B1 KR 102032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lame
flame retardan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헌충
김승오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062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3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3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2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carbo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29C70/18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in the form of a mat, e.g. sheet moulding compound [SM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10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used in the polymer mix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3/2279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ntimon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난연성의 효과가 있는 시트 몰딩 컴파운드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성 시트에 관한 것으로,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시트를 이용하여 철도차량 내장용으로 성형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대규모 참사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트 몰딩 컴파운드 성형용 난연성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성 성형품{Flame retarding sheet for sheet molding compound and molded article having the flame retarding sheet}
본 발명은 시트 몰딩 컴파운드 성형용 난연성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성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강화 플라스틱 가공 업계에 있어서, 노동력 절감, 제품의 양산화, 작업 환경 개선 등의 요구로 인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기재 재료로 하는 시트 몰딩 컴파운트(sheet molding compound, SMC) 에 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며, 관련 기술도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시트 몰딩 컴퍼운트는 일반적으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합성 단량체, 무기 충전재, 이형제, 난연제 등을 혼합한 수지 조성물에 증점제로서 알칼리토금속의 산화물이나 수산화물을 첨가하고 유리섬유 보강재를 함침시켜 이형필름에 샌드위치 형태로 증점시켜 시트상으로 제조한다.
이렇게 해서 제조된 시트 몰딩 컴파운드는 성형을 위해 금형 내에서 가열 성형되어 최종 형사의 성형품이 되며, 내열성, 내수성, 내약품성 및 강도가 높아 보트, 철도차량, 항공기 부품 등에 적용되고 있다.
그 중에, 철도차량용 자재는 재료의 기계적 강도도 우수해야 하며, 난연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근래에 철도차량의 경우 화재로 인한 대규모 참사가 발생하면서 난연성 내장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여러 공정을 거치는 번거로움과 이로 인한 제조원가의 상승으로 인하여 비용의 부담으로 실용화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1399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난연성의 효과가 있는 시트 몰딩 컴파운드 성형용 난연성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성 성형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
할로겐계 수지, 삼산화안티몬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수지층; 및
난연성 수지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분산되는 유리섬유; 를 포함하며,
ISO 4589 기준에 따른 한계산소지수(Limited oxygen lndex)가 평균 30 이상이고,
ASTM D 638-14 기준에 따른 인장강도가 평균 40 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C 성형용 난연성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SMC 성형용 난연성 시트를 포함하는 난연성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SMC 성형용 난연성 시트는 할로겐계 수지와 삼산화안티몬을 포함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고 있어, 난연성에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특히, 할로겐의 경우, 연소의 추진 역할을 하는 활성라디칼인 OH·, H· 을 할로겐 화합물인 HX 가 연소과정에서 포착함으로써 난연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아울러, HX 는 불연성가스를 발생시킴으로써 가스를 희석시키고 산소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SMC 성형용 난연성 시트는 ISO 4589 기준에 따른 한계산소지수(Limited oxygen lndex)가 평균 30 이상일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수지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유리섬유가 분산됨으로써, SMC 성형용 난연성 시트는 우수한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SMC 성형용 난연성 시트를 포함하는 난연성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SMC 성형용 난연성 시트를 이용하여 철도차량 내장용으로 성형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대규모 참사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난연성의 효과가 있는 시트 몰딩 컴파운드 성형용 난연성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성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
할로겐계 수지, 삼산화안티몬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수지층; 및
난연성 수지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분산되는 유리섬유; 를 포함하며,
ISO 4589 기준에 따른 한계산소지수(Limited oxygen lndex)가 평균 30 이상이고,
ASTM D 638-14 기준에 따른 인장강도가 평균 40 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C 성형용 난연성 시트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SMC 성형용 난연성 시트는 할로겐계 수지와 삼산화안티몬을 포함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고 있어, 난연성에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특히, 한로겐의 경우, 연소의 추진 역할을 하는 활성라디칼인 OH·, H· 을 할로겐 화합물인 HX 가 연소과정에서 포착함으로써 난연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아울러, HX 는 불연성가스를 발생시킴으로써 가스를 희석시키고 산소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술한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수지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유리섬유가 분산됨으로써, SMC 성형용 난연성 시트는 우수한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난연성 수지층을 설명하도록 한다.
난연성 수지층은 할로겐계 수지, 산화안티몬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다.
할로겐계 수지는 불소, 염소, 브롬, 아이오딘 등의 할로겐계 수지일 수 있으며, 폴리테트라클로로에틸렌, 폴리디클로로디플루오로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및 폴리트리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예로, 할로겐계 수지는 폴리테트라클로로에틸렌일 수 있다. 상기 할로겐계 수지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난연효과를 발휘할 수 없으며, 4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할로겐계 수지가 너무 많이 첨가되어 유해가스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난연제는 방염제라고도 하며, 플라스틱의 내연소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첨가제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난연제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수산화알루미늄, 삼산화안티몬, 중비금속 화합물,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클레이, 탈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삼산화안티몬과 수산화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난연제를 조성물에 도입하면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추가 피해 예방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수산화알루미늄만으로도 난연효과를 거둘 수 있으나, 원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성형품의 물성이나 성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삼산화안티몬과 수산화알루미늄를 함께 난연제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난연제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삼산화안티몬 1 내지 10 중량부; 및 수산화알루미늄 9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삼산화안티몬은 난연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난연성이 취약하게 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유독성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수산화알루미늄은 난연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9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난연성이 취약하게 되고, 4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점도가 높아지고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몰딩 컴파운드 성형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저수축제, 경화제, 지연제, 분산제, 분리방지제, 내부이형제, 착색제, 점도조절제, 충진제 및 증점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몰딩 컴파운드 성형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할로겐계 수지 10 내지 40; 난연제 10 내지 50 중량부; 저수축제 4 내지 10 중량부; 경화제 0.2 내지 0.5 중량부; 지연제 0.2 내지 0.5 중량부; 분산제 0.1 내지 0.5 중량부; 분리방지제 0.1 내지 1 중량부; 내부이형제 0.5 내지 3 중량부; 착색제 0.5 내지 3 중량부; 점도조절제 1 내지 5 중량부; 충진제 10 내지 25 중량부; 및 증점제 1 내지 5 중량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저수축제(low profile agent)는 불포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불포화 포리비닐아세테이트(PVAc), 불포화 폴리우레탄(PU), 불포화 폴리스티렌(PS), 및 불포화 폴리스티렌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저수축제는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난연성 수지 조성물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저수축제를 4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성형 후 제품 수축 발생으로 표면 평활도가 떨어지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이 감소할 수 있다.
경화제는 가열에 의해 분해되어 라디컬을 발생시켜 전도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포함된 중합체와 스티렌을 가교 반응시켜 열경화 수지 조성물 전체를 경화시키는 성분이다.
이러한 경화제로는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벤조일퍼옥시드, 큐멘히드로옥시드, 메틸에틸케톤퍼옥시드, 디큐밀퍼옥시드,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디-t-부틸히드로퍼옥시드, 라우릴로일퍼옥시드, 1,1-디-t-부틸퍼옥시-3,5,5-트리메틸시클로헥산,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비스(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카보네이트 등의 유기 과산화물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의 함량은 난연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0.5 중량부일 수 있다. 만일 상기 경화제의 함량이 0.2 중량부 미만인 경우, SMC 공정으로 성형 시 경화가 불충분할 수 있고, 0.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지연제는 벤조퀴논, 3차-부틸카테콜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 둘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연제의 함량은 난연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0.5 중량부일 수 있다. 만일, 0.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성형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분산제는 통상의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난연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난연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배합 물질간의 고른 분산 효과 저하로 제품 풀질의 산포가 클 수 있으며, 0.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분리방지제는 뷰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로진, 로진의 유도체 및 화합물 이소프로판올 및 이소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분리방지제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난연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미만인 경우에는 증점 전 배합물질층이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내부이형제는 성형시 제품의 탈형을 용이하게 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본 발명에서는 아연스테아레이트 또는 칼슘스테아레이트 또는 이 둘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연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부이형제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난연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미만인 경우에는 성형 후 제품 탈형이 어려운 문제가 있고,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타 제품과의 접착 성능을 저해할 수 있다.
착색제는 성형품에 포함된 유리섬유 등의 보강섬유를 은폐하고,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는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인 경우, 성형품의 물성 저하나 원가상승을 억제하면서 효과적으로 보강섬유의 은폐와 색상 구현을 달성할 수 있다.
점도조절제는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스틸렌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도조절제는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높아서 후술하게 되는 유리섬유의 함침이 불가능할 수 있으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가 낮아서 수지필름 제주시 수지가 필름 상부에서 흘러내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충진제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마이카, 탈크, 카올린, 세라이트, 아스베스토, 바라이트, 중정석, 실리카, 규사, 돌로마이트, 석회석, 석고, 알루미늄 미분말, 알루미나, 한수석, 산화지르코늄 및 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특히, 충진제로 상기 탄산칼슘이 작업성, 최종 성형체의 강도, 외관, 경제성 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진제는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성형체의 강도가 약할 수 있으며, 2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SMC 공정으로 성형 시 클랙이 발생할 수 있다.
증점제는 점도를 증가시키는 물질로서, 본 발명에서는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증점 효과 저하로 성형이 어려울 수 있으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빠른 증점 작용으로 인해 시트화 작업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시트 몰딩 컴파운드 성형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수지층에는 유리섬유가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난연성 시트는 조성물이 형틀에 주형(캐스팅)하여 시트상으로 투입된 후에, 상기 투입된 조성물 위에 유리섬유(glass fiber)를 분산시켜 함침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보강제 역할을 하여 강도를 보강하고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유리 섬유의 예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유리 단섬유 형태로서 그 섬유 길이가 2 내지 4 mm, 직경 10 내지 13 ㎛ 의 범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시트 몰딩 컴파운드 성형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과 유리섬유의 중량비는 1:0.25 내지 0.50 범위일 수 있다. 만일, 시트 몰딩 컴파운드 성형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과 유리섬유의 중량비가 1:0.25 미만인 경우, 유리섬유의 함량이 너무 적어,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없으며, 1:0.50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수지 조성물 대비 유리섬유의 함량이 많아 성형성 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SMC 난연성 시트의 두께는 2 내지 5 mm 범위일 수 있다. 만일 SMC 난연성 시트의 두께가 2 mm 미만이거나, 5 mm 를 초과하는 경우 성형용 시트의 두께가 너무 얇거나 두꺼워서 원하는 형태의 성형품을 성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시트는, ISO 4589 기준에 따른 한계산소지수(Limited oxygen lndex)가 30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계산소지수는 방염처리를 한 고분자 재료와 그 소재의 연소성을 비교하기 위한 지표로, 산소와 질소를 혼합한 기류 중에서 점화된 시료가 계속적으로 연소하는데 필요한 산소의 최저 농도(용량 %)를 의미한다. 특히, 이 값이 21 보다 커질수록 공기 중에서 연소하기 어렵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시트는 한계산소 지수가 30 이상일 수 있으며, 35 내지 5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계산소지수가 41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시트는 공기 중에서 연소하기 어려울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시트는, ISO 5658 기준에 따른 열방출률(FlameSpread)이 3.0 MJ/m2 이상일 수 있다. 열방출률은 화염전파를 의미하는 것으로, 고체의 포면에 착염하여 착염 영역이 확대해 가는 현상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이 값이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은 3.0 MJ/m2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3.5 내지 10 MJ/m2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염전파는 4.4 MJ/m2 일 수 있다.
상기 난연 시트는 ISO 5696에 따른 연기밀도(Ds)가 1.5 min, 4.0 min, 10 min 일 때, 각각 50, 100, 200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 10 내지 40, 50 내지 100, 100 내지 150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 19.5, 96.9, 131.6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난연 조성물은, 난연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연기 발생이 적어 내장재로서 우수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난연 시트는 BS 6853 에 따른 독성지수(R) 가 1.5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난연성 시트는 암형 금형과 수형 금형을 포함하는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암형 금형과 수형 금형 사이에 상기 난연성 시트를 배치하고 열 성형하여 성형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열 성형으로는 진공 성형, 압공 성형 또는 진공 성형과 압공 성형을 조합한 진공 압공 형성, 수형 금형(플러그)을 사용하면서 또는 수형 금형을 사용한 후, 진공 및/또는 압공 성형하는 등의 열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난연성 시트는 철도차량 내장용 소재로 성형할 수 있다. 즉, 상기 난연성 시트는 철도차량 내장용으로 성형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대규모 참사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난연성 SMC 시트 제조
먼저, 하기 표 1의 배합원료를 배합하였다.
다음으로, 캐리어 필름(carrier film) 을 형틀에 투입하여 상기 배합원료(수지)를 도포하고, 상기 수지가 도포된 필름 위에 유리 섬유를 분산하여 함침시켰다. 그리고, 40 ℃에서 40시간 동안 숙성하여 시트 몰딩 컴파운드를 얻었다.
항목 배합(중량부)
수지 할로겐 수지 17.90
저수축제 LPS-30 4.47
경화제 TBPB 0.34
지연제 PBQ(2%) 0.34
분산제 BYK-9070 0.22
분리방지제 BYK-972 0.11
내부이형제 Zn-St 1.01
색상조색제 COLOR 1.12
점도조절제 스틸렌모노머 2.24
난연제 삼산화안티몬 2.24
수산화알루미늄 26.85
충진제 CaCO3 11.19
증점제 MgO 2.01
조성물 합계 70.04
유리섬유 29.96
합계 100
<시험예>
시험예 1. 난연성 특성 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시트 몰딩 컴파운드 성형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시트의 난연성 특성을 아래와 같이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 항목 시험규격 단위 기술수준 결과
산소지수
(Limiting Oxygen Index)
ISO 4589 LOI 24 41
화염전파
(Flame Spread)
ISO 5658 MJ/m2 1.5 4.4
연기밀도
(Smoke Density)
ISO 5696 Ds(1.5min) ≤ 50 19.5
Ds(4.0min) ≤ 100 96.9
Ds(10min) ≤ 200 131.6
독성지수
(Toxic Gas)
BS 6583 R ≤ 1.6 0.07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시트는 산소지수, 화염전파, 연기밀도 및 독성지수가 기술수준 대비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2. 인장강도 및 인장탄성률 평가
제조된 두께 3mm 의 난연시트를 10 cm×10 cm 의 크기로 절단하여 시편을 제작하고, 상기 시편의 인장강도와 인장탄성률을 만능재료시험기(Universsal test machine, UTM) 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참고로, 인장강도 및 인장탄성률은 ASTM D 638-14 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실온에서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항목 단위 시험 결과 비고
인장강도(S1) MPa 61.7 (23±2)℃, (50±20) % R.H
인장탄성률(S1) GPa 12.01 (23±2)℃, (50±20) % R.H
인장강도(S2) MPa 50.5 (23±2)℃, (50±20) % R.H
인장탄성률(S2) GPa 12.71 (23±2)℃, (50±20) % R.H

Claims (10)

  1. 할로겐계 수지 10 내지 40, 삼산화안티몬 1 내지 10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9 내지 40 중량부, 저수축제 4 내지 10 중량부, 경화제 0.2 내지 0.5 중량부, 지연제 0.2 내지 0.5 중량부, 분산제 0.1 내지 0.5 중량부, 분리방지제 0.1 내지 1 중량부, 내부이형제 0.5 내지 3 중량부, 착색제 0.5 내지 3 중량부, 점도조절제 1 내지 5 중량부, 충진제 10 내지 25 중량부 및 증점제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수지층; 및
    난연성 수지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분산되는 유리섬유; 를 포함하며,
    상기 난연성 수지 조성물과 유리섬유의 중량비는 1:0.25 내지 0.50 범위이며,
    ISO 4589 기준에 따른 한계산소지수(Limited oxygen lndex)가 평균 30 이상이고,
    ASTM D 638-14 기준에 따른 인장강도가 평균 40 MPa 이상이며,
    두께가 2 내지 5 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내장 소재 SMC 성형용 난연성 시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할로겐계 수지는, 폴리테트라클로로에틸렌, 폴리디클로로디플루오로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및 폴리트리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내장 소재 SMC 성형용 난연성 시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ISO 5658 기준에 따른 화염전파가 3.0 MJ/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내장 소재 SMC 성형용 난연성 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BS 6853 기준에 따른 독성지수(R)는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내장 소재 SMC 성형용 난연성 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ASTM D 638-14 기준에 따른 인장탄성률은 평균 10 내지 15 GPa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내장 소재 SMC 성형용 난연성 시트.
  10. 제1항, 제3항,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철도차량 내장 소재 SMC 성형용 난연성 시트를 포함하는 난연성 성형품.
KR1020190062407A 2019-05-28 2019-05-28 시트 몰딩 컴파운드 성형용 난연성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성 성형품 KR102032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407A KR102032391B1 (ko) 2019-05-28 2019-05-28 시트 몰딩 컴파운드 성형용 난연성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성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407A KR102032391B1 (ko) 2019-05-28 2019-05-28 시트 몰딩 컴파운드 성형용 난연성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성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391B1 true KR102032391B1 (ko) 2019-10-15

Family

ID=6820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407A KR102032391B1 (ko) 2019-05-28 2019-05-28 시트 몰딩 컴파운드 성형용 난연성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성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3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023B1 (ko) * 2019-10-04 2020-11-04 주식회사 한국선진철도시스템 철도차량용 난연시트를 이용한 smc 성형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4747A (ja) * 2003-10-27 2005-06-16 Japan Composite Co Ltd 熱硬化性樹脂組成物、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69328A (ko) * 2009-12-17 2011-06-23 주식회사 한국몰드 저비중, 고강도 및 속경화 복합소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6121417A (ja) * 2014-12-25 2016-07-07 平岡織染株式会社 建築構造用不燃膜材
KR20180113991A (ko) 2016-02-25 2018-10-17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불연속 섬유 강화 복합 재료
KR20190044344A (ko) * 2017-10-20 2019-04-30 ㈜한국몰드김제 난연성 한지융착형 smc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4747A (ja) * 2003-10-27 2005-06-16 Japan Composite Co Ltd 熱硬化性樹脂組成物、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69328A (ko) * 2009-12-17 2011-06-23 주식회사 한국몰드 저비중, 고강도 및 속경화 복합소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6121417A (ja) * 2014-12-25 2016-07-07 平岡織染株式会社 建築構造用不燃膜材
KR20180113991A (ko) 2016-02-25 2018-10-17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불연속 섬유 강화 복합 재료
KR20190044344A (ko) * 2017-10-20 2019-04-30 ㈜한국몰드김제 난연성 한지융착형 smc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023B1 (ko) * 2019-10-04 2020-11-04 주식회사 한국선진철도시스템 철도차량용 난연시트를 이용한 smc 성형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1305B2 (en) Fire retardant elastic foam material
EP0414110A2 (en) Compression molded flame retardant and high impact strength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composition
EP3394172B1 (en) Sound insulation composition and sound insulation sheet for vehicle
KR101373241B1 (ko) 무기소재를 이용한 환경친화형 난연성 폴리올레핀수지조성물
US378139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synthetic resin-cement products
KR102032391B1 (ko) 시트 몰딩 컴파운드 성형용 난연성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성 성형품
KR101300289B1 (ko) 적층형 고무발포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2761B1 (ko) 셀 균일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발포폴리스틸렌의 난연 마스터배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947743B1 (ko) 반도체 제조공장의 배기가스 덕트 및 배관용 다층 구조를 갖는 불연성 섬유강화플라스틱(frp)의 제조방법
EP3165563B1 (en) Expandable and crosslinkable elastomeric formulation for the manufacture of insulation materials exhibiting high fire retardancy and low smoke creation properties
KR102174023B1 (ko) 철도차량용 난연시트를 이용한 smc 성형체의 제조방법
KR102188608B1 (ko) 그래핀 옥사이드를 이용한 eps 준불연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97720B1 (ko) 친환경 저독성 난연 고무 조성물
CN107629354B (zh) 一种主动型防火聚氯乙烯天花软膜及其制备方法
KR100504148B1 (ko) 방진용 고무발포체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방진용 고무발포체
KR100697868B1 (ko) 벌크 몰드 컴파운드 조성물
CN105419035A (zh) 一种抗拉伸电缆橡胶套及其制备方法
RU2770071C1 (ru) Трудногорючий полимерный композитный материал
KR102383660B1 (ko) 준불연 페놀 발포폼 조성물
KR101648855B1 (ko) 글라스파우더를 포함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
KR102635703B1 (ko) 가스켓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난연 팽창 가스켓
KR102256428B1 (ko) 방화 차단용 가열 발포 고무패드의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방화 차단용 가열 발포 고무패드
KR102282772B1 (ko)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 제조방법 및 상기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을 포함하는 석재 패널
KR101297447B1 (ko)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이용한 유무기 복합 발포체 제조방법 및 그 발포체
JPS61174263A (ja) 難燃性熱可塑性合成樹脂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