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305B1 - 접이식 시스템 비계 - Google Patents

접이식 시스템 비계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305B1
KR102032305B1 KR1020190054242A KR20190054242A KR102032305B1 KR 102032305 B1 KR102032305 B1 KR 102032305B1 KR 1020190054242 A KR1020190054242 A KR 1020190054242A KR 20190054242 A KR20190054242 A KR 20190054242A KR 102032305 B1 KR102032305 B1 KR 102032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race
horizontal member
fold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훈
Original Assignee
박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훈 filed Critical 박기훈
Priority to KR1020190054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3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4Scaffold constructions able to be folded in prismatic or flat parts or able to be turned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접이식 시스템 비계가 개시된다. 상기 접이식 시스템 비계는, 동일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재(10); 상기 복수 개의 수직재(10)에 수직재(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수평 배치되어 설치되고, 수직 상으로 각각 높이가 다른 복수 개의 층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며, 분리되어 맞닿는 단부에 설치되는 절첩부(100)에 의해 정중앙을 기준으로 2등분되어 접혀지거나 고정되고, 상기 절첩부(100) 외측으로 나사산(22)이 형성된 수평재(20); 상기 복수 개의 수직재(10)에 수직재(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일측과 타측 단부의 설치 높이를 다르게 대각선 상으로 배치되어 설치되고, 분리되어 맞닿는 단부에 설치되는 절첩부(100)에 의해 3분할되어 접혀지거나 고정되고, 상기 절첩부(100) 외측으로 나사산(32)이 형성된 가새(30); 및 상기 수평재(20)에 설치되고, 작업자의 고소작업을 위해 보행공간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발판(40);을 포함하여 하나의 세트 모듈로서 구성되어,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쉽게 접을 수 있어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운반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시스템 비계{Folding type system scaffolding}
본 발명은 접이식 시스템 비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쉽게 접을 수 있어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운반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며, 작업공간을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는 접이식 시스템 비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에서는 고소작업을 실시하고자 할 경우, 고정식, 일자형, A자형, H자형, 접이식 등의 구조로 이루어진 사다리를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다리는 높은 곳을 오르내리기 위한 용도에 맞춰 제작된 것으로, 고소작업 시에는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고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서 있을 수 있는 작업공간을 제공하지 못함에 따라 작업자가 고소작업 시 사다리에서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서울시와 고용부 등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사다리 사고로 인한 사상자의 수는 3만8859명으로 집계되었고, 이 가운데 71%인 2만7739명이 중상해를 입었으며, 사망자는 371명이나 된다는 결과를 발표하였다. 또한, 10년 전에 비해 건설업에서 사다리에 의한 재해가 40% 이상 증가하였고, 사망자 또한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이러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고자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은 2019년 1월 1일부로 각종 현장에서 작업 용도의 사다리 사용을 전면 금지하고 있다. 즉, 높은 공간에서 작업을 실시할 경우, 고정식, 일자형, A자형, H자형, 접이식 등의 구조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사다리는 사용이 금지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향후에는 고소작업 시 2개의 사다리 최상단에 작업발판을 설치한 예컨대, 틀비계 및 말비계 형태만 사용이 가능한 상황으로서, 안정적으로 작업발판이 고정이 되어있는 형태만 허용된 상황이다.
한편, 고소작업 시 사용되는 비계(틀비계 및 말비계)는 고정식과 이동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고정식 비계는 작업이 필요한 위치에 필요한 작업에 부합하도록 설치하므로 특정 작업에 있어서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는 있으나, 다른 작업을 위해 비계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기가 어렵고, 경우에 따라 비계를 해체한 후 다시 조립해야 하므로 전체적인 공사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반면, 이동식 비계는 일반적으로 비계의 고정부에 바퀴가 부착되어, 다양한 작업 공간으로의 이동이 용이하여 공사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장소를 이동하면서 작업을 해야할 경우에는 이동식 비계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이동식 비계에 있어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정 형태로 접히도록 제작되어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접이식 구조의 비계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 중에서 구조물 일부가 절첩됨으로써 부피가 줄어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된 '접이식 비계(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58429)'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접이식 비계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종래의 접이식 비계(100)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입설된 두개의 지주봉(1)과, 상기 지주봉(1)의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층설된 횡간(2)으로 측부프레임(3)이 형성되고, 상기 두개의 측부프레임(3)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 마주보게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측부프레임(3)의 일측 지주봉(1)에 1개 이상의 연결간(4)의 일측단부가 슬리브(8)를 통해 회동되게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간(4)의 타측단부끼리 슬리브(8)에 의해 회전되게 체결되며, 상기 각각의 측부프레임(3)의 최상부의 횡간(2)에 체결고리(5)로서 발판(6)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접이식 비계는 종방향의 축부프레임(3) 사이에 설치된 연결간이 반으로 접히는 구조로서, 횡방향의 축부프레임(3) 사이의 횡간(2)은 고정된 상태로 종방향에 대해서만 접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최종적으로 비계가 접혀진 상태에서도 횡방향의 부피는 줄어들지 않아 보관 및 취급을 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58429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쉽게 접을 수 있어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운반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접이식 시스템 비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본적으로 시스템 비계 형태를 가지고 있어 작업공간을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는 접이식 시스템 비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시스템 비계는, 동일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재(10); 상기 복수 개의 수직재(10)에 수직재(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수평 배치되어 설치되고, 수직 상으로 각각 높이가 다른 복수 개의 층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며, 분리되어 맞닿는 단부에 설치되는 절첩부(100)에 의해 정중앙을 기준으로 2등분되어 접혀지거나 고정되고, 상기 절첩부(100) 외측으로 나사산(22)이 형성된 수평재(20); 상기 복수 개의 수직재(10)에 수직재(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일측과 타측 단부의 설치 높이를 다르게 대각선 상으로 배치되어 설치되고, 분리되어 맞닿는 단부에 설치되는 절첩부(100)에 의해 3분할되어 접혀지거나 고정되고, 상기 절첩부(100) 외측으로 나사산(32)이 형성된 가새(30); 및 상기 수평재(20)에 설치되고, 작업자의 고소작업을 위해 보행공간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발판(40);을 포함하여 하나의 세트 모듈로서 구성되되, 상기 절첩부(100)는,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분리된 부분을 연결하여 회동가능하게 하고,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에 있어 분리되어 맞닿는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111), 상기 결합부(111) 일측에 설치되어 분리된 부분을 연결하는 힌지부(112), 상기 결합부(111) 타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삽입홈(1131)이 형성된 고정홈부(113)로 구성되는 회동부(110); 및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분리된 부분 중 어느 한 곳 또는 양측 부분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링부(121), 상기 링부(121)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홈부(113)의 삽입홈(1131)에 삽입되어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분리된 부분을 하나의 몸체로서 고정시키는 삽입부(122)로 구성되는 고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재(10)는, 복수 개가 수직상으로 결합되되, 상단부 일부는 중심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하단부 내부에는 직경이 작은 상기 상단부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새(30)는, 상기 수직재(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재(10) 하단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세웠을 때 단부의 높이와 상기 수직재(10)의 단부의 높이에 따른 길이 차이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중심부분이 절단되어 분리됨으로써 3분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세트 모듈의 접이식 시스템 비계의 발판(40)은, 하나의 층에 배치되는 구성이, 가로 400mm, 세로 1829mm 사이즈로 이루어진 4개와 가로 229mm, 세로 1829mm 사이즈로 이루어진 1개가 병렬로 배치되어, 총 가로 1829mm, 세로 1829mm가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첩부(100)는, 상기 회동부(110)의 고정홈부(113)가 상기 결합부(111)를 중심으로 양측 및 하측에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120)의 삽입부(122)는 상기 복수 개의 고정홈부(113)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첩부(100)는, 상기 고정홈부(113)는 상기 결합부(111)를 중심으로 하측에 설치되고 홈 주변이 폐쇄된 제1고정홈부(113a)와 상기 고정홈부(113)는 상기 결합부(111)를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되고 홈 주변이 개방된 복수 개의 제2고정홈부(113b)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120)의 삽입부(122)는 상기 제1고정홈부(113a)와 제2고정홈부(113b)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가 형성되되, 상기 제2고정홈부(113b)에 삽입되는 삽입부(122)의 단부에 걸림부(1221)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122)가 상기 제2고정홈부(113b)에 삽입 후 끝단에 걸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분리된 부분 양측의 외주면에 각각 끼움 결합되되,일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a)는 타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b)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작게 형성되고, 상기 타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b) 내부에 상기 일측 고정부(120)의 사입부(122a)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타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b) 내의 홈에 일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a)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분리된 부분 양측의 외주면에 각각 끼움 결합되되, 일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c)와 타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d)가 중첩된 상태로 결합되되, 상호 밀착되는 부분에는 각각 돌기(1222)와 돌기홈(1223)이 구비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분리된 부분 양측의 외주면에 각각 끼움 결합되되, 일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e)와 타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f)가 중첩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호 밀착되는 부분은 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커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첩부(100)는, 상기 고정부(120) 외측과 밀착되도록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상기 절첩부(100)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22, 32)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부(120)가 상기 회동부(110)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밀착고정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이식 시스템 비계는, 상기 수직재(10) 최하단에 설치되는 바퀴(50); 상기 수직재(10) 최하단에 설치되는 전도방지대(60); 상기 수직재(10) 최상단에 설치되는 핸드레일(70); 및 상기 수평재(20)에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사다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이식 시스템 비계는, 하나의 세트 모듈 복수 개가 확장된 구조로서 설치되되, 일정 거리를 두고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수직상으로 2개의 세트 모듈이 증설되어 총 4개의 세트 모듈이 설치되고, 일측과 타측의 간격 사이에는 트러스 구조의 브릿지(90)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브릿지(90) 상에 복수 개의 발판(40)이 설치되어 작업공간이 확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시스템 비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시스템 비계에 있어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평재와 가새가 절첩부에 의해 절첩가능함에 따라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쉽게 접을 수 있어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운반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하나의 세트 모듈형 구조로 이루어지되, 복수 개의 세트 모듈을 증설하여 확장된 구조를 가지는 구성으로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공간을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접이식 비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시스템 비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세트 모듈로 구성되는 접이식 시스템 비계의 발판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접이식 시스템 비계의 절첩부 요부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접이식 시스템 비계의 절첩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접이식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 작동상태도.
도 7은 도 2의 접이식 시스템 비계의 가새 작동상태도.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시스템 비계의 절첩부 도면.
도 13은 도 2의 접이식 시스템 비계 구성에 추가적인 구성들이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세트 모듈로 구성되는 접이식 시스템 비계 복수 개가 확장된 구조로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시스템 비계는, 시스템 비계에 있어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평재와 가새가 절첩부에 의해 절첩가능함에 따라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쉽게 접을 수 있어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운반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하나의 세트 모듈형 구조로 이루어지되, 복수 개의 세트 모듈을 증설하여 확장된 구조를 가지는 구성으로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공간을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는 접이식 시스템 비계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시스템 비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시스템 비계는, 크게 수직재(10), 수평재(20), 가새(30), 발판(40)을 포함하여 하나의 세트 모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시스템 비계는 기본적으로 규격화된 자재를 사용하여 견고하고 안전하게 조립이 가능하고 확장성이 용이한 시스템 비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수직재(10)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일정하게 동일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지주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의 경우 동일한 간격으로 4곳에 배치되어 발판(40)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상태로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재(10)는 한 곳의 수직상에 설치되는 부분이 복수 개가 수직으로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단부 일부는 중심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하단부 내부에는 직경이 작은 상기 상단부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순차적으로 끼움 결합되어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재(10)는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조립될 경우, 각각의 수직재(10)들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거나 또는 각각이 길이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수평재(20)는 상기 복수 개의 수직재(10)에 수직재(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수평 배치되어 설치되는 부분으로, 수직 상으로 각각 높이가 다른 복수 개의 층으로 구분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재(10)들을 서로 연결하여 전체 외관의 틀을 완성하고 수직재(10)가 세워질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재(20)는 작업 장소 및 용도에 따라 복수의 층으로 구분하여 설치할 수 있고, 이때 해당 층의 높이마다 수평재(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수평재(20)는 본 발명의 접이식 시스템 비계가 접이식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절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수직재(10) 상에 고정 설치되기 위해 양단부에 체결수단(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21)은 상기 수직재(10) 외주면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상기 수직재(10)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수평재(20)와 연결되는 부분은 힌지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평재(20)는 정중앙을 기준으로 2등분으로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며, 분리되어 맞닿는 단부에 후술하는 절첩부(100)가 설치되어 상기 절첩부(100)에 의해 분리된 부분이 접혀지거나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첩부(1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절첩부(100) 외측, 즉 분리된 부분을 기준으로 좌측, 우측 또는 좌우측 모두의 일측 외주면에 나사산(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22)은 후술하는 절첩부(100)의 밀착고정부(130)가 나사결합되기 위한 부분으로, 이하 절첩부(100)를 설명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가새(30)는 상기 복수 개의 수직재(10)에 수직재(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일측과 타측 단부의 설치 높이를 다르게 대각선 상으로 배치되어 설치되어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가새(30)는 상기 수평재(20)와 마찬가지로 접이식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절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수직재(10) 상에 고정 설치되기 위해 양단부에 체결수단(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31)은 상기 수직재(10) 외주면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상기 수직재(10)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수평재(20)와 연결되는 부분은 힌지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새(30)는 분리되어 맞닿는 단부에 절첩부(100)가 설치되어 상기 절첩부(100)에 의해 분리된 부분이 접혀지거나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새(30)는 절첩부(100)에 의해 3분할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직재(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재(10) 하단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세웠을 때 단부의 높이와 상기 수직재(10)의 단부의 높이에 따른 길이 차이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중심부분이 절단되어 분리됨으로써 3분할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첩부(100) 외측, 즉 분리된 부분을 기준으로 좌측, 우측 또는 좌우측 모두의 일측 외주면에 나사산(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32)은 후술하는 절첩부(100)의 밀착고정부(130)가 나사결합되기 위한 부분으로, 이하 절첩부(100)를 설명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발판(40)은 작업자의 고소작업을 위해 보행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각 층마다 설치되는 수평재(20)의 일측 및 타측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판(40)은 상기 수평재(20)에 걸림 설치되기 위한 고리(41)가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리(41)가 수평재(20) 양측에 걸어짐으로써 발판(40)이 수평재(2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와 같이 사다리(80)를 설치할 경우 작업자가 통행하기 위해 발판(40) 일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해치(미도시)가 구비된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판(40)은 상기 수평재(20)에 의해 정해진 작업공간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다양한 크기의 복수 개의 발판(40)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구성들의 조합에 의해 하나의 세트 모듈의 접이식 시스템 비계가 구성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세트 모듈로 구성되는 접이식 시스템 비계의 발판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나의 세트 모듈로 구성되는 시스템 비계에서 하나의 층에 배치되는 발판 구성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400mm, 세로 1829mm 사이즈로 이루어진 4개와 가로 229mm, 세로 1829mm 사이즈로 이루어진 1개가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총 가로 1829mm, 세로 1829mm가 되도록 하나의 세트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판(40)의 하나의 세트로 구성될 경우 평면에서 봤을 때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도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2의 접이식 시스템 비계의 절첩부 요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접이식 시스템 비계의 절첩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의 접이식 시스템 비계의 수평재 작동상태도이고, 도 7은 도 2의 접이식 시스템 비계의 가새 작동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수평재(20) 및 가새(30)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시스템 비계의 절첩부(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절첩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분리된 부분을 연결하여 회동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부분으로, 본 발명의 접이식 시스템 비계가 접이식으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핵심적인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절첩부(100)는 크게 회동부(110) 및 고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110)는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에 있어 분리되어 맞닿는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111), 상기 결합부(111) 일측에 설치되어 분리된 부분을 연결하는 힌지부(112), 상기 결합부(111) 타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삽입홈(1131)이 형성된 고정홈부(113)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분리된 부분 양측으로 각각 상기 결합부(111)가 결합되고, 상기 힌지부(112)에 의해 힌지부(112)를 기준으로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분리된 양측 부분이 회동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부(113)는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 각각을 서로 맞댄 상태로 고정시켜 접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분리된 부분 양측 방향으로 연통하는 삽입홈(1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분리된 부분 중 어느 한 곳 또는 양측 부분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링부(121), 상기 링부(121)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홈부(113)의 연통된 삽입홈(1131)에 삽입되어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분리된 부분을 하나의 몸체로서 접히지 않게 고정시키는 삽입부(12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링부(121)는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분리된 부분 중 어느 한 곳 또는 양측 부분의 외주면에 끼움되어 외주면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고, 상기 삽입부(122)가 상기 고정홈부(113)에 형성된 삽입홈(113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분리된 부분이 접히지 않고 하나의 몸체로서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삽입홈(1131)과 삽입부(122)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삽입홈(1131)의 내측면이 평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주름, 요철, 돌기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삽입부(122)의 외측면 형상은 상기 삽입홈(1131)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평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주름, 요철, 돌기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삽입홈(1131)에 삽입된 삽입부(122)가 쉽게 분리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수평재(20)의 경우 분리되어 맞닿는 단부에 절첩부(100)가 설치되어 정중앙을 기준으로 2등분으로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절첩부(100)에 의해 분리된 부분이 접혀지거나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새(30)의 경우 분리되어 맞닿는 단부에 절첩부(100)가 설치되어 중심부분이 절단되어 분리됨으로써 3분할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절첩부(100)에 의해 분리된 부분이 접혀지거나 고정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시스템 비계의 절첩부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절첩부(100)는 상기 회동부(110)의 고정홈부(113)가 상기 결합부(111)를 중심으로 양측 및 하측에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120)의 삽입부(122)는 상기 복수 개의 고정홈부(113)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111)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형상으로 삽입홈(1131)이 형성된 고정홈부(113)이 형성되어 단일의 고정홈부(113)가 형성되는 것에 비해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홈부(113)는 적어도 2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절첩부(100)는상기 고정홈부(113)는 상기 결합부(111)를 중심으로 하측에 설치되고 홈 주변이 폐쇄된 제1고정홈부(113a)와 상기 고정홈부(113)는 상기 결합부(111)를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되고 홈 주변이 개방된 복수 개의 제2고정홈부(113b)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120)의 삽입부(122)는 상기 제1고정홈부(113a)와 제2고정홈부(113b)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가 형성되되, 상기 제2고정홈부(113b)에 삽입되는 삽입부(122)의 단부에 일부 돌출된 걸림부(1221)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122)가 상기 제2고정홈부(113b)에 삽입 후 끝단에 걸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고정홈부(113a) 끝단부에 걸림부(1221)가 걸림됨과 동시에 고정될 수 있어 좀 더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삽입부(122)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걸림부(1221)가 걸림되어 체결된 후 분리하고자 할 경우 쉽게 손으로 걸림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분리된 부분 양측의 외주면에 각각 끼움 결합되되, 일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a)는 타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b)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작게 형성되고, 상기 타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b) 내부에 상기 일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a)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타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b) 내의 홈에 일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a)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부(122b) 내의 홈에 상기 삽입부(122a)가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좀 더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삽입부(122a)의 두께보다 상기 삽입부(122b) 내의 홈을 좀 더 작게 형성함으로써 억지끼움 형태로 견고하게 조립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분리된 부분 양측의 외주면에 각각 끼움 결합되되, 일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c)와 타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d)가 중첩된 상태로 결합되되, 상호 밀착되는 부분에는 각각 돌기(1222)와 돌기홈(1223)이 구비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부(122c, 122d)들이 삽입홈(1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구비된 돌기홈(1223)에 상호 구비된 돌기(1222)가 맞물려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좀 더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분리된 부분 양측의 외주면에 각각 끼움 결합되되, 일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e)와 타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f)가 중첩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호 밀착되는 부분은 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커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삽입부(122e, 122f)들이 서로 만나는 앞단 부분부터 점차 두께가 커지도록 경사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서로 결합 시 원활하게 삽입 가능하고 결합이 완료된 이후에는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경사지고 상호 맞닿는 부분에는 주름, 요철, 돌기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시스템 비계는, 상기 회동부(110)에 상기 고정부(120)가 삽입되어 결합된 후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밀착고정부(130)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밀착고정부(130)는 상기 고정부(120) 외측과 밀착되도록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상기 절첩부(100)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22, 32)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부(120)가 상기 회동부(110)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분리된 상태 또는 분리되기 위한 상태일 경우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분리된 부분 중 어느 한 곳 또는 양측 부분의 외주면의 나사산(35)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부(120)의 삽입부(122)가 고정홈부(113)에 삽입된 후 상기 밀착고정부(130)를 링부(121)의 측면까지 밀착되도록 나사결합되면 회동부(110)로부터 고정부(120)가 쉽게 분리되지 못하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를 분리(접고자 할 경우)하고자 할 경우 밀착고정부(130)를 고정부(120)로부터 후퇴하여 밀착된 상태를 해제하고, 이때 상기 나사산(22, 32)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밀착고정부(130)가 특정 위치에서 고정되어 더 이상 후퇴하지 않도록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외주면에는 스토퍼(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스토퍼(미도시)는 외주면에 일부가 돌출된 형태로서 밀착고정부(130) 단부가 걸림되어 밀착고정부(13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3은 도 2의 접이식 시스템 비계 구성에 추가적인 구성들이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이식 시스템 비계는, 수직재(10), 수평재(20), 가새(30), 발판(40)를 포함하되, 바퀴(50), 전도방지대(60), 핸드레일(70) 및 사다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퀴(50)는 상기 수직재(10) 최하단에 설치되어 접이식 시스템 비계를 운반 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부분으로 수직재(10) 최하단에 끼움결합 또는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도방지대(60)는 상기 수직재(10) 최하단 외주면, 즉 상기 바퀴(50) 상측에 설치되어 접이식 시스템 비계가 설치된 이후 안정적으로 지면에 지지되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핸드레일(70)은 상기 수직재(10) 최상단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발판(40)을 보행할 경우 외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으로, 복수의 수직재(10)가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체결수단(21, 31)과 동일한 형태의 체결수단(71)을 통해 연장 설치된 수직재(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재(20)와 마찬가지로 절첩부(100)가 선택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사다리(80)는 상기 수평재(20)에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부분으로, 양측단에 구비된 고리(81)를 수평재(20)에 걸어 고정시키고, 작업자가 통행하기 위해 발판(40) 일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해치(미도시)가 구비된 형태의 발판(4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치 방향은 자유롭게 결정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세트 모듈로 구성되는 접이식 시스템 비계 복수 개가 확장된 구조로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접이식 시스템 비계는, 하나의 세트 모듈 복수 개가 확장된 구조로서 설치되되, 일정 거리를 두고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수직상으로 2개의 세트 모듈이 증설되어 총 4개의 세트 모듈이 설치되어 또 다른 단위가 큰 세트 모듈이 완성될 수 있다. 이때, 일측과 타측의 간격 사이에는 트러스 구조의 브릿지(90)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브릿지(90) 상에 복수 개의 발판(40)이 설치되어 작업공간이 확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하나의 세트 모듈에서 보다 높은 위치와 넓은 작업공간을 필요로할 경우 복수의 세트 모듈을 서로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브릿지(90)는 하나의 세트 모듈 접이식 시스템 비계 복수 개가 수직으로 세워질 경우 상단 부분에 양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브릿지(90) 양단에 고리(91)가 형성되어 상기 고리(91)를 통해 양측에 배치되는 하나의 세트 모듈의 양측 수평재(20) 각각에 걸어 고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시스템 비계는, 시스템 비계에 있어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평재(20)와 가새(30)가 절첩부(100)에 의해 절첩가능함에 따라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쉽게 접을 수 있어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운반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하나의 세트 모듈형 구조로 이루어지되, 복수 개의 세트 모듈을 증설하여 확장된 구조를 가지는 구성으로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공간을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수직재 20: 수평재
21: 체결수단 22: 나사산
30: 가새 31: 체결수단
32: 나사산 40: 발판
41: 고리 50: 바퀴
60: 전도방지대 70: 핸드레일
71: 체결수단 80: 사다리
81: 고리 90: 브릿지
91: 고리 100: 절첩부
110: 회동부 111: 결합부
112: 힌지부 113: 고정홈부
1131: 삽입홈 120: 고정부
121: 링부 122: 삽입부
1221: 걸림부 1222: 돌기
1223: 돌기홈 130: 밀착고정부
131: 나사부

Claims (12)

  1. 동일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재(10);
    상기 복수 개의 수직재(10)에 수직재(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수평 배치되어 설치되고, 수직 상으로 각각 높이가 다른 복수 개의 층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며, 분리되어 맞닿는 단부에 설치되는 절첩부(100)에 의해 정중앙을 기준으로 2등분되어 접혀지거나 고정되고, 상기 절첩부(100) 외측으로 나사산(22)이 형성된 수평재(20);
    상기 복수 개의 수직재(10)에 수직재(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일측과 타측 단부의 설치 높이를 다르게 대각선 상으로 배치되어 설치되고, 분리되어 맞닿는 단부에 설치되는 절첩부(100)에 의해 3분할되어 접혀지거나 고정되고, 상기 절첩부(100) 외측으로 나사산(32)이 형성된 가새(30); 및
    상기 수평재(20)에 설치되고, 작업자의 고소작업을 위해 보행공간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발판(40);을 포함하여 하나의 세트 모듈로서 구성되되,
    상기 절첩부(100)는,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분리된 부분을 연결하여 회동가능하게 하고,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에 있어 분리되어 맞닿는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111), 상기 결합부(111) 일측에 설치되어 분리된 부분을 연결하는 힌지부(112), 상기 결합부(111) 타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삽입홈(1131)이 형성된 고정홈부(113)로 구성되는 회동부(110); 및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분리된 부분 중 어느 한 곳 또는 양측 부분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링부(121), 상기 링부(121)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홈부(113)의 삽입홈(1131)에 삽입되어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분리된 부분을 하나의 몸체로서 고정시키는 삽입부(122)로 구성되는 고정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절첩부(100)는,
    상기 회동부(110)의 고정홈부(113)가 상기 결합부(111)를 중심으로 양측 및 하측에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120)의 삽입부(122)는 상기 복수 개의 고정홈부(113)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시스템 비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10)는,
    복수 개가 수직상으로 결합되되, 상단부 일부는 중심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하단부 내부에는 직경이 작은 상기 상단부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시스템 비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새(30)는,
    상기 수직재(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재(10) 하단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세웠을 때 단부의 높이와 상기 수직재(10)의 단부의 높이에 따른 길이 차이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중심부분이 절단되어 분리됨으로써 3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시스템 비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세트 모듈의 접이식 시스템 비계의 발판(40)은,
    하나의 층에 배치되는 구성이, 가로 400mm, 세로 1829mm 사이즈로 이루어진 4개와 가로 229mm, 세로 1829mm 사이즈로 이루어진 1개가 병렬로 배치되어, 총 가로 1829mm, 세로 1829mm가 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시스템 비계.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100)는,
    상기 고정홈부(113)는 상기 결합부(111)를 중심으로 하측에 설치되고 홈 주변이 폐쇄된 제1고정홈부(113a)와 상기 고정홈부(113)는 상기 결합부(111)를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되고 홈 주변이 개방된 복수 개의 제2고정홈부(113b)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120)의 삽입부(122)는 상기 제1고정홈부(113a)와 제2고정홈부(113b)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가 형성되되, 상기 제2고정홈부(113b)에 삽입되는 삽입부(122)의 단부에 걸림부(1221)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122)가 상기 제2고정홈부(113b)에 삽입 후 끝단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시스템 비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분리된 부분 양측의 외주면에 각각 끼움 결합되되,
    일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a)는 타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b)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작게 형성되고,
    상기 타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b) 내부에 상기 일측 고정부(120)의 사입부(122a)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타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b) 내의 홈에 일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a)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시스템 비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분리된 부분 양측의 외주면에 각각 끼움 결합되되,
    일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c)와 타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d)가 중첩된 상태로 결합되되, 상호 밀착되는 부분에는 각각 돌기(1222)와 돌기홈(1223)이 구비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시스템 비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분리된 부분 양측의 외주면에 각각 끼움 결합되되,
    일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e)와 타측 고정부(120)의 삽입부(122f)가 중첩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호 밀착되는 부분은 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커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시스템 비계.
  10.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100)는,
    상기 고정부(120) 외측과 밀착되도록 상기 수평재(20) 및 가새(30)의 상기 절첩부(100)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22, 32)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부(120)가 상기 회동부(110)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밀착고정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시스템 비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시스템 비계는,
    상기 수직재(10) 최하단에 설치되는 바퀴(50);
    상기 수직재(10) 최하단에 설치되는 전도방지대(60);
    상기 수직재(10) 최상단에 설치되는 핸드레일(70); 및
    상기 수평재(20)에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사다리(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시스템 비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시스템 비계는,
    하나의 세트 모듈 복수 개가 확장된 구조로서 설치되되,
    일정 거리를 두고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수직상으로 2개의 세트 모듈이 증설되어 총 4개의 세트 모듈이 설치되고, 일측과 타측의 간격 사이에는 트러스 구조의 브릿지(90)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브릿지(90) 상에 복수 개의 발판(40)이 설치되어 작업공간이 확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시스템 비계.
KR1020190054242A 2019-05-09 2019-05-09 접이식 시스템 비계 KR102032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242A KR102032305B1 (ko) 2019-05-09 2019-05-09 접이식 시스템 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242A KR102032305B1 (ko) 2019-05-09 2019-05-09 접이식 시스템 비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305B1 true KR102032305B1 (ko) 2019-10-14

Family

ID=6817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242A KR102032305B1 (ko) 2019-05-09 2019-05-09 접이식 시스템 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3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5490A (zh) * 2022-07-11 2022-09-13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施工用脚手架
KR102580756B1 (ko) 2022-10-13 2023-09-19 이희범 스캐폴드용 가새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187A (ja) * 1994-01-26 1995-08-15 Penta Ocean Constr Co Ltd 折り畳み式足場
KR200358429Y1 (ko) 2004-05-22 2004-08-07 주식회사 다양테크 접이식 비계
KR100841240B1 (ko) * 2007-03-27 2008-06-25 주식회사 엠코 건축용 조립식 비계
KR101623371B1 (ko) * 2015-04-08 2016-05-23 (주)세일시스 연결유닛 결합방법 및 그 연결유닛을 구비한 비계구조물
KR101734443B1 (ko) * 2016-01-13 2017-05-2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원터치 접이식 비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187A (ja) * 1994-01-26 1995-08-15 Penta Ocean Constr Co Ltd 折り畳み式足場
KR200358429Y1 (ko) 2004-05-22 2004-08-07 주식회사 다양테크 접이식 비계
KR100841240B1 (ko) * 2007-03-27 2008-06-25 주식회사 엠코 건축용 조립식 비계
KR101623371B1 (ko) * 2015-04-08 2016-05-23 (주)세일시스 연결유닛 결합방법 및 그 연결유닛을 구비한 비계구조물
KR101734443B1 (ko) * 2016-01-13 2017-05-2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원터치 접이식 비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5490A (zh) * 2022-07-11 2022-09-13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施工用脚手架
CN115045490B (zh) * 2022-07-11 2023-10-13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施工用脚手架
KR102580756B1 (ko) 2022-10-13 2023-09-19 이희범 스캐폴드용 가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8644B2 (en) Kit for erecting a platform
US8136633B2 (en) Modular scaffold system
US20200224436A1 (en) Foldable quad-chord truss
KR102032305B1 (ko) 접이식 시스템 비계
US5988317A (en) Modular hinged scaffold unit
US4602470A (en) Dismountable framework
KR101143076B1 (ko) 뭉치형 사다리 작업대
JP7316728B2 (ja) 日除け
CA1195716A (en) Pump jack poles
WO2016131839A1 (en) Collapsible elevated platforms
US5099953A (en) Foldable scaffold
US20110114417A1 (en) Lattice support structure with evacuation means
US20170028232A1 (en) Lifeline device for temporary scaffold and lifeline support device
US7086500B2 (en) Extensible, self locking platform and method of using same
CN1989309A (zh) 建筑台架配件
JP7300907B2 (ja) 簡易設置型の日除け
KR20190075583A (ko)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
KR20160045736A (ko) 액세스 구조 통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통합형 액세스 시스템 및 방법
EP0117643A2 (en) Dismountable framework
JPS6026761A (ja) 伸縮自在な歩廊
KR101743587B1 (ko)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
US10907367B2 (en) Adjustable scaffolding tunnel assembly
KR101863008B1 (ko) 네모프레임을 이용하는 건축물의 골조 또는 임시가설물에 사용되는 건축용 비계장치의 안전발판
JPH0314516Y2 (ko)
KR102655803B1 (ko)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