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046B1 - The electric precipitation hood - Google Patents

The electric precipitation hood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046B1
KR102032046B1 KR1020180028583A KR20180028583A KR102032046B1 KR 102032046 B1 KR102032046 B1 KR 102032046B1 KR 1020180028583 A KR1020180028583 A KR 1020180028583A KR 20180028583 A KR20180028583 A KR 20180028583A KR 102032046 B1 KR102032046 B1 KR 102032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ood
pipe
coupled
electrostatic precipi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5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7385A (en
Inventor
김효수
Original Assignee
김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수 filed Critical 김효수
Priority to KR1020180028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046B1/en
Publication of KR20190107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3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046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24F3/16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육류 구이 전문 음식점의 각 테이블에 설치되는 배출닥트에 장착해서, 배출닥트로 배출되는 연기 및 기름때와 먼지 등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여 각종 이물질과 냄새를 제거한 후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원통형상으로 양측이 모두 관통된 상태로서 하단에는 유입관(10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관(100)과 일체로 상측에는 슬라이딩관(1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관(110)이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관(111)이 결합 형성된 유입부(10)와 상기 삽입관(111) 상측에 결합되는 집진관(20)과 상기 집진관(20) 상측에는 배출관(30)이 결합된 상태에서 내측에는 코로나방전부(40)을 포함하며,
상기 집진관(20) 외주면 일측 상부에는 결합공(2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유입관(100)은 고정관(101)과 분리관(102)으로 분리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분리관(102) 중앙에 천공된 유입공(103)의 지름이 상기 고정관(101)과 슬라이딩관(110) 및 삽입관(111)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유입공(103)의 외주부에는 낙하된 수분이나 기름을 포함한 먼지를 수납 가능하도록 홈부(104)를 포함하는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와,
상기 집진관(20) 하측은 상기 삽입관(111) 내측으로 삽입 결합 가능한 상태로서 양측에 볼트(20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삽입관(111) 상단 양측에는 일단이 수직 절개된 상태에서 수평 절개를 형성하여 상기 볼트(201)가 결합되어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체결홈부(112)를 형성하고 그 상측에는 이탈방지편(113)이 형성토록 하며 상기 체결홈부(112)에 체결된 볼트(201)를 삽입관(111)의 외측에서 체결가능하도록 너트(202)를 포함하는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와,
상기 삽입관(111)의 하단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이상의 절개홈(114)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홈(114) 상부는 내측으로 절곡된 제1 절곡면(1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관(110)의 상부는 상기 제1 절곡면(115)과 일치하는 내측으로 절곡된 제2 절곡면(116)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관(111)이 상기 슬라이딩관(110)의 하부에서 삽입시 상기 제1 절곡면(115)이 제2 절곡면(116)에 걸려서 상측으로 빠지지 아니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와,
상기 코로나방전부(40)는,
상기 결합공(200)으로 삽입 결합되는 메인애자(410)와,
상기 메인애자(410)의 가로방향 중앙을 관통하여 외부로 부터 유입된 전압인가부(420)와,
상기 메인애자(410)의 중앙을 세로방향으로 관통 결합되며 상기 전압인가부(420)와 상측에 연결되어 전압을 공급받는 고전압환봉(430)과,
상기 고전압환봉(43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결합되는 방전판(440)과,
상기 고전압환봉(430)의 하단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보조애자(450)를 포함하는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와,
상기 방전판(440)은 중앙에 상기 고전압환봉(430)이 관통 결합 가능하도록 통공(44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통공(441)의 외주면 사방에는 공기유도공(442)이 천공되되 상기 방전판(440)에 천공된 공기유도공(442)의 천공위치가 각 방전판(440) 마다 상이하게 천공되어 있어 공기 흐름 속도의 지연 및 와류현상을 발휘토록 한 것을 포함하는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와,
상기 방전판(440)은 원형상으로 외주면에 톱니형상이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본 발명인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는 연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함에 있어서 비용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고, 연기 및 기름때 기타 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함으로서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실외 공기의 오염을 방지토록 하며,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누구나 손쉽게 내부 세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향상된 성능을 유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d, and in particular, at least on a discharge duct installed in each table of a grilled meat specialty restaurant, to filter out smoke, oil and dust discharged by the discharge duct to remove various foreign substances and odo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d u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to remove and purify clean air after removal.
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sides are penetrat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n inflow pipe 100 is provid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sliding pipe 110 is provided at an upper side integrally with the inflow pipe 100 and the sliding pipe 110 is disposed up and down. The inlet 10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elevating pipe (111) and the dust collecting pipe 2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sertion pipe 111 and the dust collecting pipe 20, the discharge pipe 30 is coupled to the state In the inner side includes a corona discharge portion 40,
Coupling hole 200 is perfor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20,
The inlet pipe 100 is separable into the fixed tube 101 and the separating tube 102, the diameter of the inlet hole 103 perforated in the center of the separating tube 102 is fixed tube 101 and the sliding tube 110 And a hood u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including a groove 104 relatively smaller than a diameter of the insertion tube 111 and configured to accommodate dust and water, including oil or oil, dropp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inlet hole 103.
The low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20 is a state capable of inserting coupling into the insertion tube 111 is provided with bolts 201 on both sides and the horizontal incision in one end is vertically inver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tube 111 To form the fastening groove 112 so that the bolt 201 is not coupled to be separated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iece 113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insert the bolt 201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112 A hood u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including a nut 202 to be fastened at an outer side of the tube 111;
A plurality of incision grooves 114 ar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insertion tube 111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n upper portion of the incision grooves 114 is formed with a first bent surface 115 bent inward and the sliding tube An upper portion of the 110 forms a second bent surface 116 bent inwardly coinciding with the first bent surface 115 so that the insertion tube 111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ing tube 110. A hood u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including the first bent surface 115 being caught by the second bent surface 116 so as not to be pulled out upward;
The corona discharge portion 40,
A main insulator 410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00;
A voltage applying unit 420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horizontal center of the main insulator 410,
A high voltage bar 430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main insulator 410 in a vertic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voltage applying unit 420 to receive a voltage;
A discharge plate 440 coupled to the high voltage round bar 430 in multiple stag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hood u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including an auxiliary insulator 450 coupled to a lower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high voltage round bar 430;
The discharge plate 440 is perforated through the hole 441 so that the high-voltage round bar 430 can be coupled through the center and the air induction hole 442 is perfor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441, the discharge plate 440 And a hood u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comprising a perforation position of the air induction hole 442 perforated differently per each discharge plate 440 to exhibit a delay in air flow rate and vortex phenomena.
The discharge plate 440 is circular by the configuration of the hood u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including the one provided with a sawtooth sha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hood us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cost and noise in removing harmful substances such as dust contained in the smoke, and removes the clean air purified by removing harmful substances such as dust and other substances when smoke and oil. It can be discharged to prevent the pollution of the outdoor air, and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so that anyone can easily clean the inside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improved performance.

Description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The electric precipitation hood}Hood using electric dust collection method

본 발명은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육류 구이 전문 음식점의 각 테이블에 설치되는 배출닥트에 장착해서, 배출닥트로 배출되는 연기 및 기름때와 먼지 등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여 각종 이물질과 냄새를 제거한 후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되, 후드 배관의 직경은 최대한 줄이면서 공기 유속을 느리게 하는 동시에 방전판에서 방전되는 각도와 방전의 세기를 최대한 발생 되도록 설계하여 유속이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에서도 집진 효율을 극대화 시킨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d, and in particular, at least on a discharge duct installed in each table of a meat-roasting restaurant, so as to filter out smoke and oil and dust discharged by the discharge duct to remove various foreign substances and odors. After the removal, clean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ut the diameter of the hood pipe is reduc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air flow rate is slowed down, while the angle and intensity of discharge from the discharge plate are designed to generate the maximum flow r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d u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to maximize dust collection efficiency even in a situation.

일반적으로 육류나 생선 등의 고기류를 구울 때 사용하는 조리용 구이판의 상부에는 조리용 구이판에서 구워지는 육류나 생선으로부터 발생되는 수분이나 기름을 포함한 연기와 냄새 및 먼지(이하 '유해물질'이라 함)를 흡입하여 외부로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후드가 설치된다.In general, the upper part of the cooking grill used for roasting meats such as meat or fish includes smoke, odors and dust (including `` harmful substances '') containing water or oil from meat or fish baked on the cooking grill. A hood is installed to suck the air and to discharge the polluted air to the outside.

그러나, 후드를 설치하면 실내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은 흡입되지만, 이와 같이 흡입된 유해물질은 외부공간으로 배출되게 되며, 외부로 배출된 유해물질로 인해 외부 공기가 오염되고 이로 인해 각종 민원이 제기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when the hood is installed, the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in the room are inhaled, but the harmful substances inhaled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space, and the outside air is contaminated by the harmful substance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ch causes various complaints. There was a problem.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형 업소들은 건물의 외부에 중앙식 대형 집진기를 설치하여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대형 집진기는 그 설치비용이 과다하고 동작과정에서 과도한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large businesses are removing harmful substances by installing a central large dust collector on the outside of the building, but such a large dust collector has an excessive installation cost and excessive noise in the operation process.

또한, 배출배관의 가장 후단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고 대부분 건물의 옥상이나 외부에 설치를 하며, 이로 인해 유지관리의 어려움과 건물외관을 해치고, 가장 중요한 문제는 분진 및 기름기 등이 흡입후드부터 배관 끝부분까지 지나면서 배관 내부에 침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배관의 막힘 현상과 배관 내부에 화재가 발생할 수 있고 화재의 진압 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In addition, it is often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exhaust pipe, and most of them are installed on the roof or outside of the building, which causes difficulties in maintenance and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and most importantly, dust and grease etc. As it passes through the part, it is deposited inside the pipe, which may cause a blockage of the pipe and a fire in the pipe, and it is difficult to extinguish the fire itself.

더불어, 후드의 유해물질 흡입관의 내부에는 수분이나 기름을 포함한 연기와 냄새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흡입관의 내부에는 기름 등의 찌꺼기가 형성되게 되고, 이로 인해 유해물질 흡입장치의 유해물질 흡입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흡입되는 유해물질의 열기로 인해 후드가 과열되어 화재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inhaling smoke and odors including moisture or oil in the hood of the harmful substance suction pipe, debris such as oil is formed in the suction tube, thereby degrading the harmful substance suction performance of the harmful substance suction devic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ood may overheat due to the heat of the harmful substances inhaled, may cause a fire accident,

또한, 상기 유해물질이 흡입관 내부에 고착되어 위생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흡입관 내부청소를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된다.In addition, the harmful substances are fixed inside the suction pipe, which is not only hygienic, but also causes the cleaning of the suction pipe to be difficult.

한국 특허공개 제10-2014-001031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10315 한국 특허공개 제10-2015-011601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16013 한국 특허등록 제10-235533호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35533

본 발명은, 주로 음식점 테이블마다 설치된 음식을 굽거나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부에 설치토록 하는 것으로서 연기, 냄새, 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함에 있어서 비용, 설치공간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고 성능의 우수성을 발휘하는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고,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to be installed on the heating means for baking or heating the food installed in each restaurant table to minimize the cost, installation space and noise in removing harmful substances such as smoke, odor, dust and excellent performanc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hood u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또한, 연기 및 기름때 기타 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실외 공기의 오염을 방지토록 하는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고,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od u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to prevent the pollution of outdoor air by removing the harmful substances such as smoke and oil and other dusts to the outside,

또한,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누구나 손쉽게 내부 세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향상된 성능을 유지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od u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so that anyone can easily clean the inside to maintain improved performan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Specific solution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원통형상으로 양측이 모두 관통된 상태로서 하단에는 유입관(10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관(100)과 일체로 상측에는 슬라이딩관(1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관(110)이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관(111)이 결합 형성된 유입부(10)와 상기 삽입관(111) 상측에 결합되는 집진관(20)과 상기 집진관(20) 상측에는 배출관(30)이 결합된 상태에서 내측에는 코로나방전부(40)을 포함하며,
상기 집진관(20) 외주면 일측 상부에는 결합공(2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유입관(100)은 고정관(101)과 분리관(102)으로 분리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분리관(102) 중앙에 천공된 유입공(103)의 지름이 상기 고정관(101)과 슬라이딩관(110) 및 삽입관(111)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유입공(103)의 외주부에는 낙하된 수분이나 기름을 포함한 먼지를 수납 가능하도록 홈부(104)를 포함하는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와,
상기 집진관(20) 하측은 상기 삽입관(111) 내측으로 삽입 결합 가능한 상태로서 양측에 볼트(20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삽입관(111) 상단 양측에는 일단이 수직 절개된 상태에서 수평 절개를 형성하여 상기 볼트(201)가 결합되어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체결홈부(112)를 형성하고 그 상측에는 이탈방지편(113)이 형성토록 하며 상기 체결홈부(112)에 체결된 볼트(201)를 삽입관(111)의 외측에서 체결가능하도록 너트(202)를 포함하는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와,
상기 삽입관(111)의 하단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이상의 절개홈(114)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홈(114) 상부는 내측으로 절곡된 제1 절곡면(1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관(110)의 상부는 상기 제1 절곡면(115)과 일치하는 내측으로 절곡된 제2 절곡면(116)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관(111)이 상기 슬라이딩관(110)의 하부에서 삽입시 상기 제1 절곡면(115)이 제2 절곡면(116)에 걸려서 상측으로 빠지지 아니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와,
상기 코로나방전부(40)는,
상기 결합공(200)으로 삽입 결합되는 메인애자(410)와,
상기 메인애자(410)의 가로방향 중앙을 관통하여 외부로 부터 유입된 전압인가부(420)와,
상기 메인애자(410)의 중앙을 세로방향으로 관통 결합되며 상기 전압인가부(420)와 상측에 연결되어 전압을 공급받는 고전압환봉(430)과,
상기 고전압환봉(43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결합되는 방전판(440)과,
상기 고전압환봉(430)의 하단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보조애자(450)를 포함하는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와,
상기 방전판(440)은 중앙에 상기 고전압환봉(430)이 관통 결합 가능하도록 통공(44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통공(441)의 외주면 사방에는 공기유도공(442)이 천공되되 상기 방전판(440)에 천공된 공기유도공(442)의 천공위치가 각 방전판(440) 마다 상이하게 천공되어 있어 공기 흐름 속도의 지연 및 와류현상을 발휘토록 한 것을 포함하는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와,
상기 방전판(440)은 원형상으로 외주면에 톱니형상이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를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Both sides are penetrat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n inflow pipe 100 is provid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sliding pipe 110 is provided at an upper side integrally with the inflow pipe 100 and the sliding pipe 110 is disposed up and down. The inlet 10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elevating pipe (111) and the dust collecting pipe 2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sertion pipe 111 and the dust collecting pipe 20, the discharge pipe 30 is coupled to the state In the inner side includes a corona discharge portion 40,
Coupling hole 200 is perfor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20,
The inlet pipe 100 is separable into the fixed tube 101 and the separating tube 102, the diameter of the inlet hole 103 perforated in the center of the separating tube 102 is fixed tube 101 and the sliding tube 110 And a hood u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including a groove 104 relatively smaller than a diameter of the insertion tube 111 and configured to accommodate dust and water, including oil or oil, dropp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inlet hole 103.
The low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20 is a state capable of inserting coupling into the insertion tube 111 is provided with bolts 201 on both sides and the horizontal incision in one end is vertically inver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tube 111 To form the fastening groove 112 so that the bolt 201 is not coupled to be separated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iece 113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insert the bolt 201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112 A hood u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including a nut 202 to be fastened at an outer side of the tube 111;
A plurality of incision grooves 114 ar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insertion tube 111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n upper portion of the incision grooves 114 is formed with a first bent surface 115 bent inward and the sliding tube An upper portion of the 110 forms a second bent surface 116 bent inwardly coinciding with the first bent surface 115 so that the insertion tube 111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ing tube 110. A hood u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including the first bent surface 115 being caught by the second bent surface 116 so as not to be pulled out upward;
The corona discharge portion 40,
A main insulator 410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00;
A voltage applying unit 420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horizontal center of the main insulator 410,
A high voltage bar 430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main insulator 410 in a vertic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voltage applying unit 420 to receive a voltage;
A discharge plate 440 coupled to the high voltage round bar 430 in multiple stag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hood u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including an auxiliary insulator 450 coupled to a lower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high voltage round bar 430;
The discharge plate 440 is perforated through the hole 441 so that the high-voltage round bar 430 can be coupled through the center and the air induction hole 442 is perfor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441, the discharge plate 440 And a hood u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comprising a perforation position of the air induction hole 442 perforated differently per each discharge plate 440 to exhibit a delay in air flow rate and vortex phenomena.
The discharge plate 440 may achieve the above object by having a configuration using a hood u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including a tooth having a sawtooth shap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n a circular sha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는 연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함에 있어서 비용, 설치 공간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고, 연기 및 기름때 기타 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실외 공기의 오염을 방지토록 하며,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누구나 손쉽게 내부 세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향상된 성능을 유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Hood us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minimize the cost, installation space and noise in removing harmful substances such as dust contained in the smoke, by removing the harmful substances such as dust and other smoke and oil Clean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prevent pollution of the outdoor air, and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so that anyone can easily clean the inside to maintain the improved performance.

도 1은 본 발명인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에 있어서 유입부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에 있어서 전지집진부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의 작동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인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에 있어서 방전판의 공기유도공이 존재치 아니한 상태에서 유해물질의 흐름을 나타낸 실험도면,
도 8은 본 발명인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에 있어서 방전판의 공기유도공이 존재한 상태에서 유해물질의 흐름을 나타낸 실험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od using the present inventors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ood using the present inventors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let portion of the hoo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dust collecting part in the hood us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od using the present inventors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6 is a use state of the hood using the present inventors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7 is an experimental view showing the flow of harmful substances in the absence of the air induction hole of the discharge plate in the hood us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erimental view showing the flow of harmful substances in the state in which the air induction hole of the discharge plate in the hood us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only. As various changes may be made and various forms may be included,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and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claims are ordinary or dictionary. Not limited to the meaning, of course,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replaced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or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Also,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ave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herein. Do not.

이하, 본 발명인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hoo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인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에 있어서 유입부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에 있어서 전지집진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의 작동 상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에 있어서 방전판의 공기유도공이 존재치 아니한 상태에서 유해물질의 흐름을 나타낸 실험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에 있어서 방전판의 공기유도공이 존재한 상태에서 유해물질의 흐름을 나타낸 실험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od us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ood us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let portion of the hood us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dust collecting part in the hoo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od us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tate of use of the hood us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erimental view showing the flow of harmful substances in the absence of the air conduction hole of the discharge plate in the hood us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scharge in the hood us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perimental drawing showing the flow of harmful substances in the presence of air induction plate.

본 발명은 유입부, 집진관, 배출관, 코로나방전부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inlet, dust collector, discharge pipe, corona discharge,

우선 지시부호 10은 유입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입부(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rst, the reference numeral 10 indicates an inlet, and the inlet 10 is shown in FIG. 2,

원통형상으로 양측이 모두 관통된 상태로서 하단에는 유입관(100)과 상기 유입관(100)과 일체로 상측에는 슬라이딩관(110)과 상기 슬라이딩관(110)이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관(111)이 결합 형성된 구조이다.Both sides are penetrated into a cylindrical shape, the lower end of the inlet pipe 100 and the inlet pipe 100 integrally with the upper side of the sliding tube 110 and the sliding tube 110 to the elevating up and down the insertion pipe ( 111) is a bonded structure.

한편 상기 유입관(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관(101)과 분리관(102)으로 이루어지된 상기 고정관(101)과 분리관(102)는 분리 가능한 구조로서, On the other hand, the inlet pipe 100, as shown in Figure 3, the fixed tube 101 and the separation tube 102 consisting of a fixed tube 101 and the separation tube 102 is a removable structure,

상기 분리관(102) 중앙에 천공된 유입공(103)의 지름이 상기 고정관(101)과 슬라이딩관(110) 및 삽입관(111)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유입공(103)의 외주부에는 낙하된 수분이나 기름을 포함한 먼지를 수납 가능하도록 홈부(104)를 구비한 것이다. The diameter of the inlet hole 103 drilled in the center of the separation tube 102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diameters of the fixed tube 101, the sliding tube 110, and the insertion tube 111. The groove part 104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e dust | moisture containing the water | moisture content and the oil which fell.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관(111)의 하단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이상의 절개홈(114)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홈(114) 상부는 내측으로 절곡된 제1 절곡면(1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관(110)의 상부는 상기 제1 절곡면(115)과 일치하는 내측으로 절곡된 제2 절곡면(116)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관(111)이 상기 슬라이딩관(110)의 하부에서 삽입시 상기 제1 절곡면(115)이 제2 절곡면(116)에 걸려서 상측으로 빠지지 아니하도록 한 구조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cutting grooves 114 ar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insertion tube 111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utting grooves 114 is bent inwardly. 115 is forme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tube 110 forms a second bent surface 116 bent inwardly coinciding with the first bent surface 115 so that the insertion tube 111 is the sliding tube The first bent surface 115 is hooked to the second bent surface 116 when insert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110 so as not to fall upward.

다음, 지시부호 20은 집진관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집진관(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관(111) 상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외주면 일측 상부에는 결합공(200)이 천공되어 있는 구조로서,Next, the 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 dust collecting tube, and the dust collecting tube 2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sertion tube 111 as shown in FIG. As a structur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관(20) 하측은 상기 삽입관(111) 내측으로 삽입 결합 가능한 상태로서 양측에 볼트(20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삽입관(111) 상단 양측에는 일단이 수직 절개된 상태에서 수평 절개를 형성하여 상기 볼트(201)가 결합되어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체결홈부(112)를 형성하고 그 상측에는 이탈방지편(113)이 형성토록 하며 상기 체결홈부(112)에 체결된 볼트(201)를 삽입관(111)의 외측에서 체결가능하도록 너트(20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 3, the dust collecting tube 20 is provided with a bolt 201 at both sides of the dust collecting tube 20, and the one end is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tube 111. In the vertical cut state to form a horizontal incision to form a fastening groove 112 so that the bolt 201 is not separated from being separated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iece 113 to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112 The nut 202 is provided to fasten the bolt 201 to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tube 111.

이와 같은 볼트(201), 너트(202)를 이용한 구조는 상기 집진관(20)의 상측과 배출관(30)의 결합구조도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The structure using the bolt 201 and the nut 202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upp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pipe 20 and the discharge pipe 30.

다음, 지시부호 40은 코로나방전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코로나방전부(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관(20) 상측에는 배출관(30)이 결합된 상태에서 내측에는 코로나방전부(4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Next, the reference numeral 40 indicates a corona discharge portion, the corona discharge portion 40 is a corona discharge portion on the inside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pipe 3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20, as shown in FIG. 40 is provided and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상기 코로나방전부(40)는,The corona discharge portion 40,

상기 결합공(200)으로 삽입 결합되는 메인애자(410)와,A main insulator 410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00;

상기 메인애자(410)의 가로방향 중앙을 관통하여 외부로 부터 유입된 전압인가부(420)와,A voltage applying unit 420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horizontal center of the main insulator 410,

상기 메인애자(410)의 중앙을 세로방향으로 관통 결합되며 상기 전압인가부(420)와 상측에 연결되어 전압을 공급받는 고전압환봉(430)과,A high voltage bar 430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main insulator 410 in a vertic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voltage applying unit 420 to receive a voltage;

상기 고전압환봉(43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결합되는 방전판(440)과, A discharge plate 440 coupled to the high voltage round bar 430 in multiple stag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고전압환봉(430)의 하단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보조애자(450)로 이루어진 것이며, It consists of the auxiliary insulator 450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high voltage round bar 430,

상기 방전판(440)은 중앙에 상기 고전압환봉(430)이 관통 결합 가능하도록 통공(44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통공(441)의 외주면 사방에는 공기유도공(442)이 천공되되 상기 방전판(440)에 천공된 공기유도공(442)의 천공위치가 각 방전판(440) 마다 상이하게 천공되어 있어 공기 흐름 속도의 지연 및 와류현상을 발휘토록 한 것이다.The discharge plate 440 is a through hole 441 is perforated so that the high voltage round bar 430 can be coupled through the center and the air induction hole 442 is perfor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441, the discharge plate 440 The perforation position of the air induction hole 442 perforated) is perforated differently for each discharge plate 440 to exhibit a delay in air flow rate and a vortex phenomenon.

한편, 상기 방전판(440)은 원형상으로 외주면에 톱니형상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서 방전판(440)에서 방사되는 전극의 방향이나 세기 등을 상기 방전판(440)의 외주면을 톱니형상으로 함으로서 불규칙적이며 다방면으로 방사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plate 440 is irregular by having a sawtooth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 circular shape to mak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late 440 into a sawtooth shape in the direction or intensity of the electrode radiated from the discharge plate 440. It is for making it possible to radiate in various directions.

즉, 원형 그대로 일 경우보다 전극의 방사가 상대적으로 일정치 아니함에 따라 유해물질의 정화 또한 상대적으로 효율적이기 때문이다.In other words, since the radiation of the electrode is relatively constant rather than the original form, the purification of harmful substances is also relatively efficient.

미설명부호 D는 배출닥트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배출관(30)에 연결되어 외부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키 위한 것이며, 미설명부호 T는 테이블을 지시하는 것이며, 미설명부호 C는 컨트롤 박스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전원의 인가 및 기타 본 발명의 작동을 컨트롤 하는 것이다.Reference numeral D denotes a discharge duct and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30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to the outside, and reference numeral T denotes a table, and reference numeral C denotes a control box. It is to control the application of power and other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우선, 본 발명의 조립과정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삽입관(111)을 슬라이딩관(110)의 하측으로 끼워서 삽입하되 최대 삽입 길이는 상기 제1 절곡면(115)가 제2 절곡면(116)과 일치하여 접할때 까지이며 그 이상은 상기 삽입관(111)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고, 이와 같이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관(111)에 형성된 체결홈부(112)에 집진관(20) 하단에 구비된 볼트(201)을 삽입한 다음 너트(202)로 체결하면 유입부(10)와 집진관(20)이 결합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집진관(20) 내부로 코로나방전부(40)을 삽입하되 우선, 방전판(440)에 고전압환봉(430) 및 보조애자(450)을 결합하여 집진관(20) 내부에 삽입한 다음 상기 전압인가부(420)이 구비된 메인애자(410)를 결합공(200)을 통해 결합한 다음 상기 고전압환봉(430) 상단을 메인애자(410)에 결합하고 배출관(30)을 상기 집진관(20)에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First, referring to the assembly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insertion tube 111 is inserted into the lower side of the sliding tube 110, but the maximum insertion length of the first bending surface 115 is the second bending. It is until it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116 and more than that the insertion tube 111 is not to move upward, the dust collecting tube in the fastening groove 112 formed in the insertion tube 111 in the state coupled in this way (20) Insert the bolt 201 provided at the bottom and then fasten with the nut 202, the inlet 10 and the dust collecting pipe 20 is coupled, in this state the corona discharge portion into the dust collecting pipe 20 Insert the 40, but first, the high voltage rod 430 and the auxiliary insulator 450 is coupled to the discharge plate 440 and inserted into the dust collector tube 20, and then the main insulator provided with the voltage applying unit 420. 410 is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hole 200 and then coupled to the top of the high voltage round bar 430 to the main insulator 410 and double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fasten the outlet 30 to the said dust collecting pipe 20.

상기와 같이 조립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박스(C)의 조작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관(110)을 삽입관(111)에서 인출하여 유해물질이 발생하는 위치에 근접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0)를 통해 유해물질이 유입되면서 상기 코로나방전부(40)에서 유해물질이 제거토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입된 유해물질은 방전판(440)에 천공된 공기유도공(442)을 따라 유입되되 이때 공기 유도공(442)가 방전판(440)마다 상이한 위치에 천공됨으로서 공기 흐름을 지연시키고 와류현상을 발생토록 함으로서 유해물질의 제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특히 방전판(440)의 외주면이 톱니현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방사되는 전극의 방향이나 세기 등이 규칙적이며 안정적으로 강하게 방사 가능하도록 할 수 있어 유해물질의 제거를 더욱 완벽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며, 이에대한 실험은 도 7은 방전판(440)에 공기유도공(442)이 천공되지 아니한 상태로서 빨간색으로 표현된 유해물질이 일부 제거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배출되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방전판(440)에 공기유도공(442)를 천공함으로서 빨간색으로 표현된 유해물질의 현저하게 제거되어 유해물질의 제거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power is applied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box (C) as shown in Figure 6 in the assembled stat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1, the sliding tube 110 is drawn out from the insertion tube 111 harmful When the material is close to the location where the material is generated,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harmful material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0 so that the harmful material is removed from the corona discharge unit 40. It is introduced along the air induction hole 442 perforated in the discharge plate 440, and at this time, the air guide hole 442 is perforated at different positions for each discharge plate 440, thereby delaying the air flow and causing the vortex to remove the harmful substances. In particular,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late 440 is a tooth phenomenon, the direction or intensity of the electrode to be radiated can be regularly and stably strong. It is possible to more completely remove the harmful substances, the experiment for this is Figure 7 is a state in which the air conduction hole 442 is not punctured in the discharge plate 440 in a state in which some of the harmful substances represented in red are not removed. Although it is discharged, as shown in FIG. 8, by drilling the air induction hole 442 in the discharge plate 440, the harmful substances represented in red are remarkably removed, thereby increas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hazardous substances.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해물질의 제거시 발생되는 수분 또는 먼지가 함유된 기름찌꺼기는 하단에 구비된 분리관(102)의 홈부(104)에 수납되며 일정시간 사용후 상기 분리관(104)를 고정관(101)로 부터 분리하여 기름찌거기를 제거하면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the oil residue containing moisture or dust generated when the removal of harmful substances is stored in the groove portion 104 of the separation pipe 102 provided at the bottom and after the use of the separation pipe ( 104) is to remove the oil residue by separating from the fixed tube (101).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유입된 연기, 미세먼지 및 기름때 등 유해물질이 제거되고 나머지 정화된 공기만이 배출관(30)을 통해 배출닥트(D)을 거쳐 환풍기 또는 송풍기(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음)를 이용하여 실외로 배출토록 하는 것이다.  Through this process, harmful substances such as smoke, fine dust and oil are removed, and only the remaining purified air is passed through the discharge duct (D) through the discharge pipe (30) to the fan or the blower (not shown). To be discharged outdoors.

이로서, 실내 공기는 물론이고 실외 공기 또한 깨긋한 공기가 유지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clean air can be maintained as well as indoor air.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본 발명인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는 연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기타 먼지나 냄새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함에 있어서 비용, 설치 공간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고, 연기 및 기름때 기타 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함으로서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실외 공기의 오염을 방지토록 하며,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누구나 손쉽게 내부 세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향상된 성능을 유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Hood us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can minimize the cost, installation space and noise in removing harmful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and other dust or odor contained in the smoke, smoke and oil, other dust, etc. By eliminating harmful substances, the clean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prevent pollution of the outdoor air, and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so that anyone can easily clean the inside to maintain improved performance. To exercis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of course,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idea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it will be apparent that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belong to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유입부 20 : 집진관
30 : 배출관 40 : 코로나방전부
100 : 유입관 101 : 고정관
102 : 분리관 103 : 유입공
104 : 홈부 110 : 슬라이딩관
111 : 삽입관 112 : 체결홈부
113 : 이탈방지편 114 : 절개홈
115 : 제1 절곡면 116 : 제2 절곡면
200 : 결합공 201 : 볼트
202 : 너트 410 : 메인애자
420 : 전압인가부 430 : 고전압환봉
440 : 방전판 441 : 통공
442 : 공기유도공 C : 컨트롤 박스
D : 배출닥트 T : 테이블
10: inlet 20: dust collecting tube
30: discharge pipe 40: corona discharge portion
100: inlet tube 101: fixed tube
102: separation pipe 103: inlet hole
104: groove 110: sliding tube
111: insertion tube 112: fastening groove
113: departure prevention piece 114: incision groove
115: first bent surface 116: second bent surface
200: coupling hole 201: bolt
202: nut 410: main insulator
420: voltage applied part 430: high voltage round bar
440: discharge plate 441: through hole
442: air guidance C: control box
D: Discharge Doc T: Table

Claims (7)

원통형상으로 양측이 모두 관통된 상태로서 하단에는 유입관(10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관(100)과 일체로 상측에는 슬라이딩관(1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관(110)이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관(111)이 결합 형성된 유입부(10)와 상기 삽입관(111) 상측에 결합되는 집진관(20)과 상기 집진관(20) 상측에는 배출관(30)이 결합된 상태에서 내측에는 코로나방전부(40)을 포함하며,
상기 집진관(20) 외주면 일측 상부에는 결합공(2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유입관(100)은 고정관(101)과 분리관(102)으로 분리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분리관(102) 중앙에 천공된 유입공(103)의 지름이 상기 고정관(101)과 슬라이딩관(110) 및 삽입관(111)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유입공(103)의 외주부에는 낙하된 수분이나 기름을 포함한 먼지를 수납 가능하도록 홈부(104)를 포함하는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
Both sides are penetrat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n inflow pipe 100 is provid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sliding pipe 110 is provided at an upper side integrally with the inflow pipe 100 and the sliding pipe 110 is vertically up and down. Inlet 10 is coupled to the insertion pipe 111 is formed to be elevated and the dust collecting pipe 20 coupled to the insertion pipe 111 and the upp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pipe 20 in the discharge pipe 30 in a combined state Inner side includes a corona discharge portion 40,
Coupling hole 200 is perfor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20,
The inlet pipe 100 is separable into the fixed tube 101 and the separating tube 102, the diameter of the inlet hole 103 perforated in the center of the separating tube 102 is fixed tube 101 and the sliding tube 110 And a groove part 104 that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tube 111 and includes a groove part 104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part of the inlet hole 103 so as to accommodate dust and water, including dropped wat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관(20) 하측은 상기 삽입관(111) 내측으로 삽입 결합 가능한 상태로서 양측에 볼트(20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삽입관(111) 상단 양측에는 일단이 수직 절개된 상태에서 수평 절개를 형성하여 상기 볼트(201)가 결합되어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체결홈부(112)를 형성하고 그 상측에는 이탈방지편(113)이 형성토록 하며 상기 체결홈부(112)에 체결된 볼트(201)를 삽입관(111)의 외측에서 체결가능하도록 너트(202)를 포함하는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20 is a state capable of inserting coupling into the insertion tube 111 is provided with bolts 201 on both sides and the horizontal incision in one end is vertically inver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tube 111 To form the fastening groove 112 so that the bolt 201 is not coupled to be separated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iece 113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insert the bolt 201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112 Hood u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comprising a nut (202) to be fastened from the outside of the tube (1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111)의 하단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이상의 절개홈(114)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홈(114) 상부는 내측으로 절곡된 제1 절곡면(1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관(110)의 상부는 상기 제1 절곡면(115)과 일치하는 내측으로 절곡된 제2 절곡면(116)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관(111)이 상기 슬라이딩관(110)의 하부에서 삽입시 상기 제1 절곡면(115)이 제2 절곡면(116)에 걸려서 상측으로 빠지지 아니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incision grooves 114 ar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insertion tube 111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n upper portion of the incision grooves 114 is formed with a first bent surface 115 bent inward and the sliding tube An upper portion of the 110 forms a second bent surface 116 bent inwardly coinciding with the first bent surface 115 so that the insertion tube 111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ing tube 110. A hood u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comprising the first bent surface 115 is caught by the second bent surface 116 so as not to fall ou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방전부(40)는,
상기 결합공(200)으로 삽입 결합되는 메인애자(410)와,
상기 메인애자(410)의 가로방향 중앙을 관통하여 외부로 부터 유입된 전압인가부(420)와,
상기 메인애자(410)의 중앙을 세로방향으로 관통 결합되며 상기 전압인가부(420)와 상측에 연결되어 전압을 공급받는 고전압환봉(430)과,
상기 고전압환봉(43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결합되는 방전판(440)과,
상기 고전압환봉(430)의 하단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보조애자(450)를 포함하는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rona discharge portion 40,
A main insulator 410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00;
A voltage applying unit 420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horizontal center of the main insulator 410,
A high voltage bar 430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main insulator 410 in a vertic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voltage applying unit 420 to receive a voltage;
A discharge plate 440 coupled to the high voltage round bar 430 in multiple stag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Hood u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comprising a secondary insulator 450 is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high voltage round bar 43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판(440)은 중앙에 상기 고전압환봉(430)이 관통 결합 가능하도록 통공(44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통공(441)의 외주면 사방에는 공기유도공(442)이 천공되되 상기 방전판(440)에 천공된 공기유도공(442)의 천공위치가 각 방전판(440) 마다 상이하게 천공되어 있어 공기 흐름 속도의 지연 및 와류현상을 발휘토록 한 것을 포함하는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
The method of claim 5,
The discharge plate 440 is perforated through the hole 441 so that the high-voltage round bar 430 can be coupled through the center and the air induction hole 442 is perfor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441, the discharge plate 440 A hood u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comprising a perforation position of the air induction hole 442 perforated differently per each discharge plate 440 to exhibit a delay of air flow rate and a vortex phenomen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판(440)은 원형상으로 외주면에 톱니형상이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후드.


















The method of claim 5,
The discharge plate 440 is a hood u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including a circular sawtooth shape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KR1020180028583A 2018-03-12 2018-03-12 The electric precipitation hood KR1020320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583A KR102032046B1 (en) 2018-03-12 2018-03-12 The electric precipitation h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583A KR102032046B1 (en) 2018-03-12 2018-03-12 The electric precipitation ho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385A KR20190107385A (en) 2019-09-20
KR102032046B1 true KR102032046B1 (en) 2019-10-14

Family

ID=68067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583A KR102032046B1 (en) 2018-03-12 2018-03-12 The electric precipitation ho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04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147B1 (en) 2021-03-25 2022-07-14 (주)씨코전자 Exhaust system for business use kitchen
KR20220144073A (en) 2021-04-19 2022-10-26 한국대동지공업 주식회사 Photo catalysis filter apparatus for business use kitchen exhaust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342B1 (en) * 2021-07-30 2023-02-07 이진석 Multi-layered Tubular Plasma Gener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4973B1 (en) * 1995-12-14 1999-06-15 김덕중 Exhaust gas purification reactor
JP2013124556A (en) * 2011-12-13 2013-06-24 Denso Corp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7047A (en) * 1993-06-08 1994-12-20 Yamaoka Kinzoku Kogyo Kk Smoke purifying system
KR100235533B1 (en) 1997-10-16 1999-12-15 이영길 Charcoal fire roaster
KR20110075783A (en) * 2009-12-29 2011-07-06 이용호 Exhaust hood
KR101400789B1 (en) 2012-07-16 2014-05-29 최일용 Hood pipe with adsorption means
KR101846046B1 (en) 2014-04-03 2018-04-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Using a heat source of grilled dust removal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4973B1 (en) * 1995-12-14 1999-06-15 김덕중 Exhaust gas purification reactor
JP2013124556A (en) * 2011-12-13 2013-06-24 Denso Corp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147B1 (en) 2021-03-25 2022-07-14 (주)씨코전자 Exhaust system for business use kitchen
KR20220144073A (en) 2021-04-19 2022-10-26 한국대동지공업 주식회사 Photo catalysis filter apparatus for business use kitchen exhaus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385A (en) 2019-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046B1 (en) The electric precipitation hood
US20030164093A1 (en) Two stage air filter
CN102705885B (en) Oily fume purifying device
EP1624254A1 (en) Exhausting hood to be arranged above a cooking area
US6820609B2 (en) Low-profile ventilation hood
US2226641A (en) Ventilator
KR101970531B1 (en) The zabaratype hood of fires smoke
US20110214664A1 (en) Extractor hood
CN110529895A (en) A kind of smoke exhaust ventilator of the convenient cleaning of environment-friendly type
KR101962109B1 (en) Dust Collecting Hood for Indoor
KR20190103568A (en) Exhaust system with enhanced smoke removal
CN215863620U (en) Double-ring type efficient oil fume purifier
KR20110087472A (en) Restaurant of the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CN105987417A (en) Purification system and integration environment-friendly kitchen and extractor hood with purification system
KR101343006B1 (en) Smoke processing device
ES1258715U (en) SELF-CLEANING FUME EXTRACTION HOOD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CN104534531A (en) Smoke exhauster filter plate and smoke exhauster
CN210786533U (en) Oil smoke separator and range hood
CN109915970A (en) A kind of integrated fresh air purifying unit of kitchen furred ceiling
RU91751U1 (en) DEVICE FOR VENTILATION OF AIR ABOVE THE STOVE FOR COOKING
KR20190062895A (en) Household air purifiers
KR102625711B1 (en) Mobile kitchen cooking apparatus equipped with an exhaust hood for separating oil and discharging it
KR102624361B1 (en) Recirculation ventilation system
CN204853603U (en) Clean system and applied clean system's integrated environmental protection kitchen and range hood
EP3677844B1 (en) Kitchen hood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