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131B1 - 드레싱제 - Google Patents

드레싱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131B1
KR102028131B1 KR1020180081842A KR20180081842A KR102028131B1 KR 102028131 B1 KR102028131 B1 KR 102028131B1 KR 1020180081842 A KR1020180081842 A KR 1020180081842A KR 20180081842 A KR20180081842 A KR 20180081842A KR 102028131 B1 KR102028131 B1 KR 102028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ound
dressing agent
support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우
Original Assignee
이민우
주식회사 나노셀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우, 주식회사 나노셀바이오 filed Critical 이민우
Priority to KR1020180081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131B1/ko
Priority to PCT/KR2019/008707 priority patent/WO202001367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2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 A61F13/01029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made of multiple layers
    • A61F13/0002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4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61F13/0006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34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a property
    • A61F13/01042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5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sub-pressure or over-pressure therapy, wound drainage or wound irrigation, e.g. for use with negative-pressure wound therapy [NPW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61L2300/102Metals or metal compounds, e.g. salts such as bicarbonates, carbonates, oxides, zeolites, silicates
    • A61L2300/104Silver, e.g. silver sulfadiaz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레싱제에 관한 것으로, 상처에서 발생되는 삼출액을 흡수하는 흡수층과; 상기 흡수층의 상측에 결합된 상부층과; 상처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흡수층의 하측에 결합된 하부층과; 상기 하부층, 상기 흡수층 및 상기 상부층을 관통 형성된 관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습윤 상태 및 건조한 상태간의 전환이 빠르고 용이하며 상처에서 발생하는 삼출액으로 인해 상처 부위가 짓물리거나 불리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 시에도 드레싱제의 변형을 예방하여 삼출액의 흡수 능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드레싱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레싱제 {Dressing}
본 발명은, 드레싱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발생한 삼출액을 습윤 상태와 건조 상태 사이를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제품의 형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고, 상처 부위를 음압을 이용하여 치료를 하는 경우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드레싱제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여러 가지의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부도 그 중 하나이다.
피부는 인체를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며 수분의 손실을 막아주고 체온조절, 세균침입 방지 등 중요한 생명보호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피부가 화상이나 각종 외상에 의해서 결손이 일어나게 되면 그 보호 작용이 상실되어 기능의 장애를 초래하게 되고, 수분 손실 등에 따른 여러 가지 부작용과 외부로부터의 세균 감염 등을 일으켜 환부의 치료를 어렵게 하거나 이차적인 기능장애 또는 손상 등과 같은 추가적인 부작용을 초래하게 된다. 심한 경우에는 생명 연장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상처의 치료를 신속하게 하고 이차적인 각종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다. 이러한 상처는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인 창상으로 나타난다. 창상에는 찰과상, 타박상, 열상, 칼날에 의한 절창, 자창, 할창, 총창, 폭창, 교창 등이 있다. 이러한 상처에서는 다음과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상처로의 박테리아의 침입은, 전형적으로 환자의 면역 반응을 활성화시키는 염증을 유발한다 즉, 호중구 과립성 백혈구를 비롯한 백혈구 세포를 염증원을 향해 이동하게 한다. 이것이 병원균과 싸우는 동안, 이러한 호중구 또한 세포를 손상시키는 염증성 사이토킨 및 효소를 방출한다. 특히, 호중구가 마이엘로페록시다제(myeloperoxidase)로 지칭되는 효소를 생성하고, 이는 다시 대사작용되어 박테리아를 죽이는 반응성 산소 종을 생성한다. 대등하게, 이러한 효소 및 반응성 산소 등은 상처 주변의 주변부("상처주변부(periwound)"로 지칭됨)에서 세포를 손상시켜, 이로써, 치료를 촉진하는, DNA, 지질, 단백질, 세포외 기질 및 사이토킨을 손상시킴으로써 세포 증식 및 상처 봉합을 방해한다. 호중구가 급성 상처에 비해 만성 상처에서 보다 길게 잔류하기 때문에, 이는 보다 높은 수준의 염증의 원인이 된다. 게다가, 만성 상처의 지속되는 염증상은 고 농도의 MMP(matrix metalloproteases)를 갖는 삼출액(상처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을 원인으로 한다. 과도한 MMP는 세포외 기질 단백질의 열화를 유발한다. 상처를 손상시키는 것 외에, 삼출액은 여기에 노출되는 상처주변부 조직도 손상시킨다. 특히, 상처로부터 유출되어 상처주변부 영역을 향하는 삼출액은 당뇨증과 같은 근원적인 병인을 경험하는 환자에 의해 이미 면역반응-저하된 연약한 피부를 손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손상은 상처주변부 피부를 저하시키고, 이것을 쇠약하게 하여 다시 상처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처주변부 영역으로 유동된 삼출액은, 상처 크기를 증가시키고 그의 치유를 연장시킬 가능성을 비롯한 다수의 합병증을 유발할 것이다.
통상적인 상처 치료는, 상처를 드레싱제로 덮어서, 추가의 오염 및 감염을 예방하고, 수분을 유지하고, 삼출액을 흡수하는 것을 포함한다. 삼출액이 전술한 바와 같이 상처 치유에 유리한 생화학적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경우에도, 상처 중 삼출액이 과량이거나 상처주변부 영역에서의 그의 존재는 조직의 열화를 용이하게 하고, 삼출액은 추가로 박테리아를 위한 성장 배지로서 작용할 수 있다. 삼출액의 점조도는, 상처의 유형, 및 치유 단계에 따라 변한다. 예를 들어, 삼출액은 물기가 많거나, 극도로 점도가 있거나, 다소의 경우, 이들 중간일 수 있다. 게다가, 상처의 크기는, 그의 치유에 따라, 상당히 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처와의 접촉면에서 적당한 습기의 유지 능력, 상처에 발생하는 삼출액의 흡수 능력, 상처에 대한 부착과 제거의 용이성, 외부와의 가스ㆍ수증기 전달 능력, 외부로부터의 단열성, 박테리아의 침입에 대한 방어력, 인체에 대한 방어력, 인체에 독성 여부, 경제성 등에 대한 것이 드레싱제를 선택하는 요건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처 치유를 하는 방법 중에 상처 조직 부위에 감압(negative pressure)을 적용하면 조직 부위에서 새로운 조직의 성장을 증가시키고 촉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치료(의학계에서는 종종 "음압 상처 요법(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감압 요법(reduced pressure therapy)" 또는 "진공 요법(vacuum therapy)"이라고 함)은, 더 빠른 치료를 유도할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음압 상처 요법은 비싸고, 장비 등이 복잡하여 보편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여기서 드레싱제를 사용하는 경우 상처에서 발생하는 삼출액을 용이하게 배출하여 피부의 짓무름이나 불림을 예방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 시에도 변형되지 않고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압 상처 요법에 사용되는 드레싱제는 음압이 작용하여도 찌그러짐 등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 문헌]
공개특허공보 : 제10-2010-0052542호 (2010.05.19. 공개)
공개특허공보 : 제10-2006-0059385호 (2006.06.02.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습윤 상태 및 건조한 상태간의 전환이 빠르고 용이하며 상처에서 발생하는 삼출액으로 인해 상처 부위가 짓물리거나 불리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드레싱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시간 사용 시에도 드레싱제의 변형을 예방하여 삼출액의 흡수 능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드레싱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삼출액의 발생량 변화에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음압 하에서도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는 드레싱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관통홀을 통해 공기도 통하고 필요로 하는 항생제를 포함하는 액을 상처 부위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주입할 수 있고, 심플한 구조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용 드레싱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처에서 발생되는 삼출액을 흡수하는 흡수층과; 상기 흡수층의 상측에 결합된 상부층과; 상처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흡수층의 하측에 결합된 하부층과; 상기 하부층, 상기 흡수층 및 상기 상부층을 관통 형성된 관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제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층과 상기 하부층은 각각 관통 형성된 기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수층에는 상기 흡수층을 상하 방향으로 지지 가능하게 상기 흡수층을 관통한 관통홀에 결합된 지지부가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 또는 중공이 형성되지 않은 막대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중공에는 삼출액을 흡수 가능하게 마련된 심지가 착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처 부위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하부층의 하측에 결합된 보조흡수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흡수층은 은을 함유한 알지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처 부위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하부층의 하측에 결합된 보조흡수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흡수층은 피부 또는 연부조직의 재생을 촉진하고 염증을 완화 가능하게 베타글루칸 또는 알로에 성분을 포함하는 제제를 도포 또는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레싱제를 상처 부위를 덮어 상처 부위와 상기 드레싱제에 진공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드레싱제를 지지 가능하게 상기 상부층 또는 상기 하부층에 결합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부는, 상기 흡수층, 상기 상부층 및 상기 하부층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거나, 상기 흡수층, 상기 상부층 및 상기 하부층 중 어느 하나의 층이 나머지 층과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게 관통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처에서 발생되는 삼출액을 흡수하는 흡수층과; 상기 흡수층의 상측에 결합된 상부층;을 포함하되, 상기 흡수층에는 상기 흡수층을 상하 방향으로 지지 가능하게 상기 흡수층을 관통한 관통홀에 결합된 지지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중공에는 삼출액을 흡수하고 공기의 유동을 발생 가능한 기공을 구비한 심지가 착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습윤 상태 및 건조한 상태간의 전환이 빠르고 용이하며 상처에서 발생하는 삼출액으로 인해 상처 부위가 짓물리거나 불리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드레싱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장시간 사용 시에도 드레싱제의 변형을 예방하여 삼출액의 흡수 능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드레싱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삼출액의 발생량 변화에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음압 하에서도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는 드레싱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관통홀을 통해 공기도 통하고 필요로 하는 항생제를 포함하는 액을 상처 부위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주입할 수 있고, 심플한 구조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용 드레싱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드레싱제의 작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제의 단면도,
도 5는 음압 하에서 드레싱제가 사용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제(10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드레싱제의 작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제의 단면도이며, 도 5는 음압 하에서 드레싱제가 사용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드레싱제(100)는, 상처를 빠르게 치유할 수 있도록 상처 부위를 덮어 씌우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처에서 발생되는 삼출액을 흡수하는 흡수층(110)과; 상기 흡수층(110)의 상측에 결합된 상부층(130)과; 상처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흡수층(110)의 하측에 결합된 하부층(150)과; 상기 하부층(150), 상기 흡수층(110) 및 상기 상부층(130)을 관통 형성된 관통부(17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드레싱제(40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공(160)과, 지지부(180)와, 보조흡수층(41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드레싱제(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처 치유를 빠르게 하도록 도와주고, 드레싱제(100)는 교체될 수 있으므로 교체 시에 통증이 감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빠른 치료를 위해서는 흡수층(110)에 과도하게 흡수한 삼출액을 빠르게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삼출액의 과도한 수분은 피부의 불림을 포함하는 연화나 짓무름을 유발할 수 있고, 이러한 연화나 짓무름은 피부의 일체성을 저하시키고 상처주변부 영역(도 3의 'P' 참조)의 피부를 물리적 공격 또는 감염에 취약하게 하고 상처의 상피재생화 과정을 더디게 한다. 물론, 수분이 흡수층(110)에 적절한 정도 보유되어 있는 것도 상처 치유에 효과가 있다.
흡수층(110)은, 약간의 탄력성을 가지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상으로 구비되어 상처에서 유출되는 삼출액을 흡수할 수 있는 공지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층(110)은, 예를 들면, 푹신한 폴리우레탄 쿠션을 갖는 폼 제제, 젤라틴,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펙틴으로 구성되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또는 하이드로겔 제제를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흡수층(110)은 하이드로콜로이드 또는 하이드로겔 제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폼보다 얇지만 반창고보단 두껍고 말랑말랑한 재질로 삼출액과 결합해 콜로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처에서 삼출액이 많은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콜로이드겔로 된 흡수층(110)으로만 삼출액을 흡수하지 못하므로 도 4b와 같이 하측에 보조흡수층(410)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다만, 흡수층(11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공지의 다양한 재질을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흡수층(11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된 흡수관통부(170), 흡수지지부(180)가 구비되어 있다.
상부층(130)은, 흡수층(110)을 보호하고 수분의 과도한 증발을 방지하고 외부에서 병균이 침입을 하지 못하도록 코팅 처리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코팅으로 인해 상부층(130)은 수분이나 공기 등의 통과가 용이하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층(130)에는 다수의 기공(160)이 상부층(130)의 판면에 균등하게 배치되어 관통되어 있고, 다수의 기공(160)은 흡수층(110)의 상측으로 이동한 삼출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가 되어 삼출액의 증발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층(13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관통부(173)와 상부지지부(183)가 각각 관통되어 결합 되어 있다.
하부층(150)은, 흡수층(110)의 하부에 결합 되어 드레싱제(100)를 피부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피부의 조직에 손상이 없도록 하거나 건조한 상태에서 피부에 달라붙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코팅 처리되는 바람직하다. 이러한 코팅으로 인하여 하부층(150)에서는 수분이나 공기의 통과가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부층(150)에는 다수의 기공(160)이 하부층(150)의 판면에 균등하게 배치되어 관통되어 있고, 다수의 기공(160)은 상처에서 흡수층(110)으로 수분이 이동하는 통로가 되어 삼출액의 이동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층(13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부관통부(175)와 하부지지부(185)가 각각 관통되어 결합 되어 있다.
관통부(170)는 상부층(130), 흡수층(110) 및 하부층(150)을 모두 관통하며 드레싱제(100)의 판면에 가능하면 규칙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부(170)는 흡수관통부(171), 상부관통부(173) 및 하부관통부(175)가 상하로 연결되어 있다.
관통부(170)는 하부층(150), 흡수층(110) 및 상부층(130)을 관통하고 외부 공기가 간접적으로 피부에 접촉할 수 있는 통로가 되기도 하고 관통부(170)의 원통형 벽으로 유출되는 삼출액,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되기도 한다. 즉, 이러한 관통부(170)가 형성되어 외기와 하부층(150), 흡수층(110) 및 상부층(130)과 접촉되는 면적을 최대화시킬 수 있으므로 수분이나 삼출액의 증발을 촉진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에서 전열면적을 증대시켜 열전달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처럼 증발이 이루어지는 면적으로 최대화하여 증발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관통부(170)의 구조는, 필요에 따라 상부층(130), 하부층(150) 및 흡수층(110)이 상하 방향으로 일체로 관통된 것이 아니고, 흡수층(110)과 상부층(130)이나 흡수층(110)과 하부층(150)에만 구비(도 4c의 '770a' 및 '770b' 참조)되어 있어 상하 방향으로 완전하게 관통이 되지 않아 외부 공기, 병균 등이 상처부위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통부(170)의 관통된 홀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중앙영역은 크게 테두리 영역은 중앙영역보다 작게 형성하거나 그 반대로 하거나 크고 작은 홀이 불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관통부(170)는 의사, 간호사를 포함하는 드레싱제(100) 사용자가 피부나 상처에 주사를 통해 예를 들면 항생제, 줄기세포, 세척액 등을 주입하는 통로로도 활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 관통부(170)가 중공(中孔)인 경우 가운데가 비어 있으므로 삼출액을 흡수할 수 있으면서 공기의 유동이 흡수층(110)보다 더 빠르게 일어날 수 있는 흡수층(110)의 통기도와 동일하거나 더 높은 통기도를 갖는 심지(미도시)를 중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필요에 따라 중공에 심지를 결합하여 삼출액을 흡수하면서 동시에 공기가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액을 주입하는 경우 심지를 분리하고 지지부(170)의 중공에 주사기를 삽입하여 원하는 액을 주입할 수 있다.
지지부(180)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가능하면 상부층(130), 흡수층(110) 및 하부층(150)의 판면에 동일한 위치에 규칙적으로 등간격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홀(미도시)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80)는 상부지지부(183), 하부지지부(185) 및 흡수지지부(181)로 구분되나 일체인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지지부(180)의 구조는, 필요에 따라 상부지지부(183), 하부지지부(185) 및 흡수지지부(181)가 상하 방향으로 일체로 관통된 것이 아니고, 흡수지지부(181)와 상부지지부(183)나 흡수지지부(181)와 하부지지부(185)에만 구비(도 4c의 '780' 참조)되어 있어 상하 방향으로 완전하게 관통이 되지 않아 외부 공기, 병균 등이 상처부위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80)의 관통된 홀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중앙영역은 적게 테두리 영역은 중앙영역보다 크게 형성하거나 그 반대로 하거나 크고 작은 홀이 불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8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갖는 것(180)도 있고 원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가운데가 비어 있지 않은 막대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지지부(180)의 단면을 원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180)는 쿠션을 갖는 흡수층(110)보다 다소 상하 방향의 압력에 저항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80)의 재질은 플라스틱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실리콘, PE, P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80)가 상부층(130)과 하부층(150) 사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드레싱제(100)는 전체적으로 삼출액이 과다하게 흡수되더라도 쳐지지 않고 두께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이렇게 흡수층(110)의 두께 내지 구조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무수한 기공을 갖는 흡수층(110)의 미세한 기공의 크기가 줄어들지 않고 원래의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기공의 크기가 변하지 않으므로 삼출액은 줄어들지 않은 기공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되고 흡수된 삼출액은 줄어들지 않은 기공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80)에 의해 상부층(130)에 가까운 흡수층(110)은 하부층(150)에 가까운 흡수층(110)보다 건조하게 되고 이러한 수분의 차이는 인해 흡수층(110) 내부에서 모세관 현상을 더욱 촉진시켜 삼출액이 과다하게 발생하더라도 삼출액 내지 수분의 증발 또는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부(180)가 중공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주사액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약제 등을 주사기 등을 지지부(180)를 통해 액이나 약제를 주입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부(180) 내부의 공간은 피부 내지 상처 측으로 공기의 유동이 일어나는 통로가 되어 수분 내지 삼출액의 증발을 촉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지지부(180)도 중공(中孔)인 경우 가운데가 비어 있으므로 삼출액을 흡수할 수 있으면서 공기의 유동이 흡수층(110)보다 더 빠르게 일어날 수 있는 흡수층(110)의 통기도와 동일하거나 더 높은 통기도를 갖는 심지(미도시)를 중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제(100)의 작용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의사, 간호사를 포함하는 사용자가 밀봉되고 멸균된 상태로 드레싱제(100)를 내부에 수용한 미도시된 포장지로부터 드레싱제(100)를 꺼내어 환자의 상처(도 3a의 'W' 참조) 및 상처주변부(도 3a의 'P' 참조)를 덮는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통기성을 갖는 밴드나 붕대(도 3a의 'support' 참조)로 드레싱제(100)가 상처 부위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드레싱제(100)를 상처 부위에 고정시킨다.
이렇게 상처 및 상처주변부에 고정된 드레싱제(100)을 사용하는 동안, 삼출액(도 3a의 'EX' 참조)은, 상처의 특징 및 삼출액의 점조도를 비롯한, 다양한 인자들에 좌우되는 유속으로 상처(W) 밖으로 흘러나온다. 삼출액(EX)이 상처로부터 배출되어, 이들 중 일부가 상처(W) 상부에 고인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높은 농도의 MMP를 갖는 과량의 삼출액의 축적은, 상처 및 상처주변부 피부 둘 다에서 세포외 기질 단백질의 열화를 유발한다. 그러나, 과량의 삼출액은 흡수층(110)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기공(160), 관통부(170) 및 중공을 갖는 지지부(180)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통하여 상처에서 외부로 수증기(도 3a의 'V' 참조)가 빠르게 이동하고 공기의 유동이 발생함과 동시에 상부층(130) 및 흡수층(110)의 상부에서 수분(증발되는 삼출액 또는 삼출액 중의 수분만을 의미함)이 빠르게 수증기(도 3a의 'V' 참조)로 되어 외부로 증발 내지 확산된다. 이에, 삼출액은 모세관 작용으로 인하여 흡수층(110)의 습윤 영역으로부터 건조 영역으로 신속하게 움직일 수 있다. 즉, 이러한 기공(160), 관통부(170) 등을 갖는 드레싱제(100)의 특성으로 인해 삼출액이 빠르게 건조되어 과량의 삼출액이 흡수층(110)에 존재하지 않아 상처주변부 피부의 짓물림이나 수분이 오래 머물려 피부가 불려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고 과도한 수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병균의 추가적인 생성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싱제(100)의 기공(160), 관통부(170) 등이 과도한 경우 공기가 통하지 않은 랩이나 밴드를 포함하는 기밀부재(195)로 드레싱제(100)의 일부분(도 3b의 전체 길이인 'L' 중 2개소의 'L1' 부분 참조)의 기공(160), 관통부(170)를 막아서 배출되는 수분의 량을 제한하여 사용할 수 있어 더욱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밀부재(195)는 공기가 통하지 않고 소독된 랩 형상으로 예를 들면 OP SITE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제(100)는 필요에 따라 삼출물을 급속하게 증발시켜 건조된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기밀부재(195)를 사용하여 드레싱제(100)를 습윤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드레싱제(100)를 이용하여 기밀부재(195)의 부착 여부에 따라 건조 드레싱제(100)와 습윤 드레싱제의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상처의 건조 상태 및 습윤 상태로의 전환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상처를 치유할 수 있고 보다 빨리 상처를 치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제(300, 40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층(150)이 없거나, 보조흡수층(410)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제(300)는, 특별하게 피부와 분리시 피부 조직의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거나 매우 적은 량의 삼출액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하부층(150)을 생략하고 흡수층(110)이 바로 피부와 접촉되는 구조를 갖는다.
물론 이 경우에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흡수층(110) 하부에 보조흡수층(41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지지부(180, 380)는 일부는 중공이 없는 막대 형상의 지지부(380)이고 일부는 중공이 있는 파이프 형상의 지지부(180)일 수도 있다. 미도시하였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제(300)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의 관통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제(400)는, 하부층(150)의 하측에 보조흡수층(41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다.
여기서, 사용되는 보조흡수층(410)은, 예를 들면, 알지네이트(Alginate)를 포함하고, 특히, 보조흡수층(410)은 은(Ag)을 함유한 알지네이트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알지네이트는 해양 생물 가운데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는 갈조류의 세포막과 세포막간 물질을 구성하는 천연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부에 접촉하는 알지네이트는 친수성 및 생체적합성이 우수하고 상처부분에서 발생 되는 혈액이나 삼출물을 흡수하며, 상처면과의 점착성 및 습윤환경을 잘 유지시켜 주어 상피화를 가속시키고 육아조직(granulation tissue)의 생성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어 바람직하다.
즉, 상처에서 과다한 삼출액에 발생하는 경우 하부층(150)의 하측(미도시하였지만 하부층(150)이 없는 경우 흡수층(110)의 하측)에 보조흡수층(410)이 위치하여 피부와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흡수층(410)의 다른 실시예로는 피부 또는 연부조직의 재생을 촉진하고 염증을 완화 가능하게 베타글루칸 및/또는 알로에 성분을 포함하는 제제가 도포 또는 코팅되어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보조흡수층(410)에 많이 흡수된 삼출액은 기공(160), 관통부(170), 중공의 지지부(18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드레싱제(100)에 과다한 삼출액이 그대로 존재하지 않아 피부의 짓무름이나 불림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도 4c는 전술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의 드레싱제(700)로, 관통부(170, 770a, 770b)와 지지부(180, 780)가 전체적으로 관통되지 않은 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처부위로 직접 외부 공기가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병균 등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드레싱제(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압 상처 요법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판 상의 드레싱제(100)가 음압 하에서 예를 들면 판 형상이 휘거나 찌그러지지 않도록 드레싱제(100)의 상측 및 하측을 보강하는 지지부재(5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드레싱제(500)는, 튜브(531), 진공발생기(533) 및 일방향밸브(535)를 구비하여 진공을 발생, 유지시키는 진공발생부(530)와 기밀커버(5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지지부재(550)는 드레싱제(100)에 음압이 작용하더라도 변형되지 않고 드레싱제(100)가 판 형상으로 수평으로 유지하여 가능하면 드레싱제(100)가 상처측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상부층(130)의 상측 및 하부층(150)의 하측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550)는, 예를 들면, 비 연신성을 갖는 메쉬를 포함하고, 메쉬의 재질은 금속, 나일론 및 폴리에스터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처에 드레싱제(100)를 활용하여 음압을 걸어서 사용하는 경우에 보다 효과적으로 드레싱제(100)의 변형을 발생시키지 않아 드레싱제(100) 본연의 흡수 능력과 삼출액의 통과 능력을 유지시킬 수 있어 과도한 삼출액의 배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로 인해 통상의 음압 치료보다 더 빠른 상처 치유를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드레싱제(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처 상측에 스펀지 등을 놓고 그 위에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제(100)를 놓고 피부와 접촉시킨다. 그런 후 공기가 통하지 않게 기밀을 유지하는 랩을 포함하는 기밀커버(510)를 드레싱제(100) 위에 덮어 씌우고 피부에 접착시킨다. 기밀커버(510)에는 상처 부위의 공기를 배출하는 통로가 되는 튜브(531)가 결합되어 있고 튜브(531)의 단부측에는 상처 및 드레싱제(100) 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처측에 음압을 형성시키는 진공발생기(533)가 있으며, 진공발생기(533)로 생성된 진공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일방향밸브(535)가 튜브(531)의 중류측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처 내지 드레싱제(100) 측에 진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음압이 작용하더라도 지지부(180) 및 지지부재(550)에 의하여 드레싱제(100)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드레싱제(100)는 음압 하에서도 상압과 동일하게 전술한 효과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습윤 상태 및 건조한 상태간의 전환이 빠르고 용이하며 상처에서 발생하는 삼출액으로 인해 상처 부위가 짓물리거나 불리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드레싱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장시간 사용 시에도 드레싱제의 변형을 예방하여 삼출액의 흡수 능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드레싱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삼출액의 발생량 변화에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음압 하에서도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는 드레싱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관통홀을 통해 공기도 통하고 필요로 하는 항생제를 포함하는 액을 상처 부위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주입할 수 있고, 심플한 구조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용 드레싱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드레싱제 110 : 흡수층
130 : 상부층 150 : 하부층
160 : 기공 170 : 관통부
171, 173, 175 : 흡수관통부, 상부관통부, 하부관통부
180, 380 : 지지부
181, 183, 185 : 흡수지지부, 상부지지부, 하부지지부
195 : 기밀부재 410 : 보조흡수층
510 : 기밀커버 530 : 진공발생부
531 : 튜브 533 : 진공발생기
535 : 일방향밸브 550 : 지지부재

Claims (12)

  1. 상처에서 발생되는 삼출액을 흡수하는 흡수층과;
    상기 흡수층의 상측에 결합된 상부층과;
    상처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흡수층의 하측에 결합된 하부층과;
    상기 하부층, 상기 흡수층 및 상기 상부층을 관통 형성된 관통부;를 포함하되,
    상기 흡수층에는 상기 흡수층을 상하 방향으로 지지 가능하게 상기 흡수층을 관통한 관통홀에 결합된 중공의 파이프 형상의 지지부가 포함되고,
    상기 지지부의 중공에는 삼출액을 흡수하고 공기의 유동을 발생 가능한 기공을 구비한 심지가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과 상기 하부층은 각각 관통 형성된 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중공이 형성되지 않은 막대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처 부위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하부층의 하측에 결합된 보조흡수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흡수층은 은을 함유한 알지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처 부위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하부층의 하측에 결합된 보조흡수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흡수층은 피부 또는 연부조직의 재생을 촉진하고 염증을 완화 가능하게 베타글루칸 또는 알로에 성분을 포함하는 제제를 도포 또는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흡수층, 상기 상부층 및 상기 하부층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거나, 상기 흡수층, 상기 상부층 및 상기 하부층 중 어느 하나의 층이 나머지 층과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게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제.
  10. 상처 치료용 드레싱제에 있어서,
    상처에서 발생되는 삼출액을 흡수하는 흡수층과;
    상기 흡수층의 상측에 결합된 상부층;을 포함하되,
    상기 흡수층에는 상기 흡수층을 상하 방향으로 지지 가능하게 상기 흡수층을 관통한 관통홀에 결합된 중공의 파이프 형상의 지지부가 포함되되,
    상기 지지부의 중공에는 삼출액을 흡수하고 공기의 유동을 발생 가능한 기공을 구비한 심지가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중공이 형성되지 않은 막대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제.
  12. 삭제
KR1020180081842A 2018-07-13 2018-07-13 드레싱제 KR102028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842A KR102028131B1 (ko) 2018-07-13 2018-07-13 드레싱제
PCT/KR2019/008707 WO2020013674A1 (ko) 2018-07-13 2019-07-15 드레싱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842A KR102028131B1 (ko) 2018-07-13 2018-07-13 드레싱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131B1 true KR102028131B1 (ko) 2019-10-02

Family

ID=68422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842A KR102028131B1 (ko) 2018-07-13 2018-07-13 드레싱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8131B1 (ko)
WO (1) WO20200136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45150A (zh) * 2022-05-26 2023-01-31 山东大学齐鲁医院 具有修复基质的医用敷料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9385A (ko) * 2004-11-29 2006-06-02 주식회사 바이오폴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KR200422370Y1 (ko) * 2006-05-16 2006-07-25 강정열 창상피복재
KR20070114158A (ko) * 2005-02-15 2007-11-29 빌헬름 플라이쉬만 상처 치료 장치
JP2009515873A (ja) * 2005-11-14 2009-04-16 ダエウォ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上皮細胞成長因子を含む創傷治療用の徐放性フィルム製剤
KR101202875B1 (ko) * 2012-09-24 2012-11-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메쉬 필름을 포함하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의 제조방법
JP5433762B2 (ja) * 2010-06-01 2014-03-05 株式会社瑞光 創傷被覆材用表面シートおよび創傷被覆材
JP2014168573A (ja) * 2013-03-04 2014-09-18 Nitto Denko Corp 発汗視認機能と貫通孔とを備えたフィルムドレッシング
WO2017079174A1 (en) * 2015-11-03 2017-05-11 Kci Licensing,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regulating negative pressure in a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5036B2 (en) * 2006-05-11 2009-11-10 Kalypto Medical, Inc. Device and method for wound therapy
JP6176851B2 (ja) * 2014-01-14 2017-08-09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治療用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9385A (ko) * 2004-11-29 2006-06-02 주식회사 바이오폴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KR20070114158A (ko) * 2005-02-15 2007-11-29 빌헬름 플라이쉬만 상처 치료 장치
JP2009515873A (ja) * 2005-11-14 2009-04-16 ダエウォ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上皮細胞成長因子を含む創傷治療用の徐放性フィルム製剤
KR200422370Y1 (ko) * 2006-05-16 2006-07-25 강정열 창상피복재
JP5433762B2 (ja) * 2010-06-01 2014-03-05 株式会社瑞光 創傷被覆材用表面シートおよび創傷被覆材
KR101202875B1 (ko) * 2012-09-24 2012-11-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메쉬 필름을 포함하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4168573A (ja) * 2013-03-04 2014-09-18 Nitto Denko Corp 発汗視認機能と貫通孔とを備えたフィルムドレッシング
WO2017079174A1 (en) * 2015-11-03 2017-05-11 Kci Licensing,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regulating negative pressure in a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45150A (zh) * 2022-05-26 2023-01-31 山东大学齐鲁医院 具有修复基质的医用敷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3674A1 (ko)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bagi et al. Principles of wound dressings: a review
Hanna et al. A review of wound healing and wound dressing products
ES2915475T3 (es) Apósito para heridas
Subrahmanyam Honey dressing versus boiled potato peel in the treatment of burns: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Lionelli et al. Wound dressings
Jacobsson et al. A new principle for the cleansing of infected wounds
Bryan Moist wound healing: a concept that changed our practice
Morin et al. Interactive dressings and topical agents
Agarwal et al. Polymeric materials for chronic wound and burn dressings
Thomas A structured approach to the selection of dressings
EP0601835A1 (en) Pharmaceutical product
KR102361867B1 (ko) 상처 드레싱
WO2016029602A1 (zh) 一种粘稠渗液、血液整体吸收敷料
Han Interactive wound dressings
KR102028131B1 (ko) 드레싱제
Jacobsen Update on wound dressings: indications and best use
Carter Hydropolymer dressings in the management of wound exudate
Thomas A guide to dressing selection
ES2683044T3 (es) Apósitos para heridas conductivos y procedimientos de uso
Foutsizoglou A practical guide to the most commonly used dressings in wound care
Rizani Modern Wound Dressing for Wound Infection: An Overview
RU2247580C2 (ru) Многослойный материал пролонгированного лечебн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обработки ран, ожогов, язв, пролежней и оказания первой медицинской помощи
JP2021530260A (ja) 創傷治療システム
Lau What dressing: New wound dressings
Maliyar et al. The Use of Antiseptic and Antibacterial Agents on Wounds and the Sk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