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900B1 -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 및 공법 - Google Patents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 및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900B1
KR102027900B1 KR1020170121348A KR20170121348A KR102027900B1 KR 102027900 B1 KR102027900 B1 KR 102027900B1 KR 1020170121348 A KR1020170121348 A KR 1020170121348A KR 20170121348 A KR20170121348 A KR 20170121348A KR 102027900 B1 KR102027900 B1 KR 102027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zone
treatment
tank
concent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2919A (ko
Inventor
장원석
최윤수
오문세
박성용
김경민
김형수
김지훈
김건엽
권주희
이현철
Original Assignee
한국지역난방공사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역난방공사,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to KR1020170121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900B1/ko
Priority to PCT/KR2017/011927 priority patent/WO2019059449A1/ko
Publication of KR20190032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 및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고품질의 처리수를 생산하기 위해 전처리 분리막 공정, 주처리 분리막 공정 및 생물학적 농축수 처리 공정을 거치고, 전처리 분리막 공정과 주처리 분리막 공정 전에 원수를 오존 처리함으로써 전력사용량을 저감하고, 막오염 저감 및 투과성능을 향상시키며, 고품질의 처리수를 생산하며, 막에서 발생된 고농도의 유기물, 질소, 인 등이 포함된 농축수는 전처리의 배오존처리로 생물학적 처리효율을 더 높여주고, 이를 고밀도 생물학적 처리인 생물여과공정으로 처리하여, 최종처리수가 방류수 수질기준이하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하는 전오전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 및 공법{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OZONE PRETREATMENT}
실시예는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 및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품질의 처리수를 생산하기 위해 전처리 분리막 공정, 주처리 분리막 공정 및 생물학적 농축수 처리 공정을 거치고, 전처리 분리막 공정과 주처리 분리막 공정 전에 원수를 오존 처리함으로써 전력사용량을 저감하고, 막오염 저감 및 투과성능을 향상시키며, 고품질의 처리수를 생산하며, 막에서 발생된 고농도의 유기물, 질소, 인 등이 포함된 농축수는 전처리의 배오존처리로 생물학적 처리효율을 더 높여주고, 이를 고밀도 생물학적 처리인 생물여과공정으로 처리하여, 최종처리수가 방류수 수질기준이하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하는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 및 공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구증가, 기후변화, 도시화 및 산업발달로 인해 물 수요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물 공급량은 한정되어 있어 지속가능한 수자원확보에 대한 기술개발이 대두되고 있다.
하?폐수는 수량의 변동이 적은 장점을 지님으로 인해 안정적인 수자원을 공급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어 대체수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분리막을 사용하여 고품질의 용수를 생산할 경우 농업용수, 중수도용수, 간접음용수, 공업용수, 보일러용수 등 각종 용수로 재이용하여 용수수급에 대한 지역적 불균형을 완화하고, 생태계 회복 및 친수기능 증진을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하?폐수 처리장에서 처리된 처리수에는 법적으로 규제가 마련되지 않은 내분비계 교란물질, 중금속, 의약품, 화장품, 개인미용 및 위생용품의 성분, 잔류성 유기화합물 등의 물질들이 완벽히 처리되지 못한 상태로 방류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물질은 인간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물질로써 응집, 흡착, 산화 공정 등을 통해 제거하거나 고순도의 처리수 생산이 가능한 분리막 공정으로 처리하여 재이용하여야 한다. 최근 분리막 공정은 투과성 향상, 운영 프로토콜 인자, 물리화학적 세정, 막오염 저감에 대한 기술이 점차 개선됨에 따라 점차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분리막 공정은 기존 공정에 비해 믿을 수 있는 처리수질의 확보가 가능하고, 기존 설비 대비 높은 집적도를 지님으로 인하여 부지면적 축소가 가능하다. 또한 약품사용량 절감이 가능하고, 자동화 구현이 용이하며, 타 공정과의 연계가 가능한 장점을 지닌다.
그러나 분리막 공정기술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하?폐수 내 막오염 물질로 인하여 투과성능이 감소하게 된다. 막오염은 오염물질이 막표면에 침착하여 오염층을 형성하거나 공극 내 흡착 또는 공극막힘으로 인해 나타나며, 막오염 현상이 심화될 경우 저항상승으로 인해 높은 압력이 요구됨으로 운전비용 증가 및 잦은 세정주기를 가져와 분리막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된다.
막오염 저감 방안으로는 물리화학적 역세정(physical/chemical backwash), 회복세정(cleaning in place, CIP), 유지화학세정(Maintenance chemical cleaning, MCC) 등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나, 화학약품 사용에 대한 세정폐액처리 등의 2차적인 문제와 분리막공정의 가동률을 낮추는 등 유지관리측면에서 운영효율을 낮추게 된다. 따라서, 분리막 공정에서 이러한 막오염물질 유입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정적인 여과가 가능한 수처리 공정이 필요하다.
또한, 물 재이용을 위한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RO 공정의 농축수는 고농도의 유기물질 및 영양염류(질소, 인), 총 용존고형물(total dissolved solid, TDS)이 포함되어 있으며, 생물학적 분해가 가능한 유기물의 농도는 낮고, 대부분 난분해성 유기물로 구성되어 처리효율이 낮음에 따라 법적 방류수질 기준을 충족시키기에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오존산화 공정과 분리막 공정을 결합하여 인체에 유해한 유기물질을 산화시킴과 동시에 막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초기 설계안대로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한 분리막 공정과 생산공정에서 발생한 농축폐수에 대해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방류수질기준 충족이 가능한 공정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730978호
(특허문헌 2)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36002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부분 난분해성 유기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방류수에 대해 전오존 및 분리막 처리 공정을 적용하여 인체에 유해한 유기물을 제거하도록 하는 물 재이용과 분리막 농축수 처리를 위해 전오존, 분리막 및 생물여과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 및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수 부하량 변동에 대해 실시간으로 수질항목을 측정하여 오존주입량을 제어함으로써 과도한 주입을 예방하고, 전력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물 재이용과 분리막 농축수 처리를 위해 전오존, 분리막 및 생물여과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 및 공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오존산화효과로 인한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특성을 변화시켜줌으로써 생물학적 처리효율을 높여주며, 입상 활성슬러지를 적용하여 단일 생물여과조 내에서 목표물질을 처리하여 시설의 집적화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물 재이용과 분리막 농축수 처리를 위해 전오존, 분리막 및 생물여과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 및 공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원수가 저장되는 원수조;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기; 원수 공급펌프를 통해 상기 원수조의 원수를 공급받고, 상기 오존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오존을 주입하여 반응시키는 오존 반응조; 상기 오존 반응조로부터 배출되는 오존 처리수를 공급받는 오존 처리수조; 제 1유입 펌프를 통해 상기 오존 처리수조로부터 오존 처리수를 공급받아 처리하여 여과수 및 농축수를 각각 배출하는 전처리 분리막; 상기 전처리 분리막으로부터 여과된 여과수를 공급받는 여과수조; 제 2유입 펌프를 통해 상기 여과수조로부터 여과수를 공급받아 처리하여 용수와 농축수를 각각 배출하는 주처리 분리막; 상기 주처리 분리막으로부터 배출되는 농축수를 공급받고, 상기 오존 반응조에서 배출되는 배오존을 주입하여 반응시키는 농축수조; 및 농축수 공급펌프로부터 배출되는 농축수를 공급받아 생물여과 및 유기 탄소원과 반응시키되, 상기 오존 반응조에서 배출되는 배오존을 주입하여 함께 반응시킨 후 농축수를 방류수질 기준으로 충족시킨 후 방류하는 생물여과조;를 포함하는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원수의 수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수질 측정값을 전송하는 수질 측정부; 및 상기 수질 측정부에서 측정된 수질 측정값에 따라 상기 오존 발생기의 출력 값을 제어하여 오존 발생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질 측정값과 출력값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데이터를 수집하는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존 반응조의 배오존은, 상기 농축수조, 생물 여과조 또는 농축수가 농축수 공급펌프를 통해 상기 생물여과조로 주입되는 주입배관 중 적어도 하나에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를 이용한 수처리 공법에 있어서, 원수조의 원수를 원수 공급펌프를 통해 오존 반응조로 공급시 오존 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을 공급하여 반응시킨 다음, 오존 처리수조에 오존 처리수를 저장하는 전오존 처리 공정과; 상기 오존 처리수조의 오존 처리수를 전처리 분리막으로 처리하여 여과수를 여과수조에 저장하고, 농축수를 배출하는 전처리 분리막 공정과; 상기 여과수조의 여과수를 주처리 분리막으로 처리하여 농축수를 농축수조에 저장하되, 농축수와 상기 오존 반응조에서 배출되는 배오존을 주입하여 반응시키고, 용수를 배출하는 주처리 분리막 공정; 및 상기 농축수조의 농축수를 생물여과조에 저장하고, 생물여과 및 유기 탄소원과 반응시키서 농축수를 방류수질 기준으로 충족시킨 후 방류하는 생물학적 농축수 처리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공법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오존 처리 공정은, 상기 원수조의 원수의 수질을 수질 측정부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제어부에서 수질 측정값을 통해 상기 오존 발생기의 출력값을 제어하여 오존 발생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물학적 농축수 처리 공정은, 상기 농축수조의 농축수가 농축수 공급펌프를 통해 상기 생물여과조로 공급될 시 농축수 처리효율을 높여줌으로써 방류수질 기준을 충족시키도록 상기 오존 반응조의 배오존을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오존 처리 공정을 적용하여 막오염을 저감함과 동시에 투과성능을 높여주어 더 많은 원수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수 부하량에 따라 오존발생기의 출력값을 실시간 제어하여 전력사용량을 최소화하며, 잦은 회복세정 예방에 따른 분리막의 수명연장 및 세정폐액에 대한 2차처리 발생량 최소화, 분리막 공정의 가동률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오존산화효과로 인해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특성을 변화시켜 방류수질기준 충족이 원활하도록 입상 활성슬러지의 생물학적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요소인 제어부에서 오존 발생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오전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산화효과로 인한 전처리분리막의 막간차압(transmembrane pressure, TMP)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산화효과로 인한 입상 활성슬러지의 CODMn 제거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2 구성 요소는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1 구성 요소도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제어부에서 오존 발생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1)는, 원수조(T1)와, 오존 발생기(10)와, 오존 반응조(T2)와, 오존 처리수조(T3)와, 전처리 분리막(20)과, 여과수조(T4)와, 주처리 분리막(30)과, 농축수조(T5)와, 생물여과조(T6)와, 수질 측정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먼저, 원수조(T1)는 하폐수와 같은 처리하고자 하는 원수가 저장된다.
그리고, 오존 발생기(10)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출력값이 제어되어 오존 발생량이 조절되고, 발생된 오존을 오존 반응조(T2)로 공급한다.
또한, 오존 반응조(T2)는 원수 공급펌프(P1)를 통해 원수조(T1)의 원수를 하부로 공급받고, 오존 발생기(10)로부터 발생된 오존이 저면 중앙부로 주입되어 오존이 상승되면서 원수와 반응되도록 하며, 반응이 완료된 오존 처리수를 오버플로우시켜 배출한다
이때, 오존 반응조(T2)에서 배출되는 배오존을 재활용을 위해 농축수조(T5) 및 생물여과조(T6)로 각각 공급하고, 농축수조(T5)의 농축수가 농축수 공급펌프(P5)를 통해 생물여과조(T6)로 공급될 시 배관 내 주입한다.
이어서, 오존 처리수조(T3)는 오존 반응조(T2)로부터 배출되는 오존 처리수를 공급받아 저장한다. 이때, 오존 처리수조(T3)는 오존 반응조(T2)의 상부에서 오버플로우되어 배출되는 오존 처리수가 저장되도록 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계속해서, 전처리 분리막(20)은 제1 유입 펌프(P2)를 통해 오존 처리수조(T3)로부터 오존 처리수를 공급받아 여과 처리해서 여과수 및 농축수를 각각 배출한다.
그리고, 전처리 분리막(20)은 정밀여과막(microfiltration, MF) 또는 한외여과막(ultrafiltration, UF)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막오염을 제어하기 위해 역세정펌프(P3)와 컴프레셔(C)를 통해 여과수조(T4)의 여과수를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역세정을 수행한다. 이때, 농축수 및 역세척수는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여과수조(T4)는 전처리 분리막(20)으로부터 여과된 여과수를 상부로 공급받아 저장받고, 하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주처리 분리막(30)은 제 2유입 펌프(P4)를 통해 여과수조(T4)로부터 여과수를 공급받아 여과 처리하여 용수와 농축수를 각각 배출한다. 이때, 주처리 분리막(30)은 나노여과막(nanofiltration, NF) 또는 역삼투막(reverse osmosis, RO)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용수는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농축수조(T5)는 주처리 분리막(30)으로부터 배출되는 농축수를 상부로 공급받고, 오존 반응조(T2)에서 배출되는 배오존을 저면 중앙부로 주입하여 반응시킨 다음 농축수는 하부로 배출한다.
또, 생물여과조(T6)는 농축수 공급펌프(P5)로부터 배출되는 농축수를 공급받아 생물여과 및 유기 탄소원과 반응시키되, 오존 반응조(T2)에서 배출되는 배오존을 주입하여 함께 반응시킨 후 농축수를 방류수질 기준으로 충족시킨 후 방류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질 측정부(40)는 원수의 수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수질 측정값을 전송한다. 이때, 수질 인자로서 탁도, 색도, TOC, DOC, COD, UV254 등이 측정된다.
일실시예로, 제어부(50)는 수질 측정부(40)에서 측정된 수질 측정값에 따라 오존 발생기(10)의 출력값을 제어하여 오존 발생량을 제어한다.
제어부(50)는 수질 측정부(40)에서 측정되는 수질 인자로서 탁도, 색도, TOC, DOC, COD, UV254 등의 각각의 설정값(또는 농도) 범위를 설정하고, 각 설정값(또는 농도) 범위에서의 오존 발생량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유입되는 원수에서 측정된 하나의 수질 인자의 측정값이 설정값 2와 설정값 3의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오존 주입량은 출력값 2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오존 주입량은 각각의 수질 인자에서 결정될 수 있으며, 제어부(50)는 각각의 수질 인자에서 측정된 오존 주입량을 비교하고, 이 중에 가장 높은 오존 주입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각각의 수질 인자에 대한 오존 주입량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50)는 원수가 유입시 수질 측정부(40)에서 지속적으로 수질을 측정하게 된다. 이때, 원수의 수질기준이 종래에 유입되던 원수에 비해 변경되는 경우, 샘플 테스트를 이용하여 오존 주입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샘플 테스트는 오존 주입량을 결정하기 위해 시료를 채취한 후, 오존을 주입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는 오존 주입량에 따른 제거율을 측정하고 이에 따라 오존 주입량을 변경하면서 원하는 제거율이 생성되는 오존 주입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오존 주입량이 과다한 경우, 전력이 과소비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바, 최적의 범위의 오존 주입량을 결정함으로 수처리의 비용 감소 및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물 재이용과 분리막 농축수 처리를 위해 전오존, 분리막 및 생물여과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1)는 산화제 주입펌프(P6)를 통해 오존 반응조(T2)로 산화제를 공급하는 산화제 저장조(T7)와, 약품 주입펌프(P7)를 통해 생물여과조(T6)로 유기 탄소원을 공급하는 유기탄소원 약품조(T8) 및 수질 측정값과 출력값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데이터를 수집하는 서버(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산화제로는 차아염소산염(HOCl)와 같은 염소계, 과산화수소(H2O2)와 같은 산소계가 사용되고, 유기 탄소원으로는 아세트산나트륨(C2H3NaO2), 메탄올(CH3OH) 등이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공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오전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오전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공법은 전오존 처리 공정(S10)과, 전처리 분리막 공정(S20)과, 주처리 분리막 공정(S30) 및 농축수 처리 공정(S40)으로 이루어진다.
《전오존 처리 공정-S10》
먼저, 원수조(T1)의 원수를 원수 공급펌프(P1)를 통해 오존 반응조(T2)의 하부로 공급하고, 오존 발생기(10)에서 발생된 오존을 오존 반응조(T2)의 저면 중앙부로 공급하여 오존이 상승되면서 반응되도록 한 다음, 반응이 이루어져 오버플로우되는 오존 처리수를 오존 처리수조(T3)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수질 측정부(40)에서 측정된 수질 측정값에 따라 오존 발생기(10)의 출력값을 제어하여 오존 발생량을 제어한다.
또한, 오존 산화 효과를 증대시키도록 산화제 저장조(T7)에 저장된 산화제를 산화제 주입펌프(P6)를 통해 오존 반응조(T2)로 공급한다.
《전처리 분리막 공정-S20》
이어서, 오존 처리수조(T3)에 저장된 오존 처리수가 제 1유입 펌프(P2)를 통해 전처리 분리막(20)으로 공급되면, 전처리 분리막(20)에서 오존 처리수를 여과하여 여과수를 여과수조(T4)에 저장하고, 농축수를 배출한다.
이때, 전처리 분리막(20)의 막오염을 제어하기 위해 역세정펌프(P3)와 컴프레셔(C)를 통해 여과수조(T4)의 여과수를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역세정을 수행한다.
《주처리 분리막 공정-S30》
계속해서, 여과수조(T4)의 여과수가 제 2유입 펌프(P4)를 통해 주처리 분리막(30)으로 공급되면, 주처리 분리막(30)에서 여과수를 여과하여 용수와 농축수를 각각 배출해서 농축수를 농축수조(T5)에 저장한다.
그리고, 농축수조(T5)에 저장된 농축수는 오존 반응조(T2)에서 배출되어 농축수조(T5)의 저면 중앙부 및 농축수가 유입되는 배관으로 주입되는 배오존과 반응된 다음 농축수 공급펌프(P5)를 통해 생물여과조(T6)로 배출된다.
이때, 오존 반응조(T2)에서 배출되는 배오존을 농축수조(T5)의 농축수가 농축수 공급펌프(P5)를 통해 생물여과조(T6)로 공급될 시 함께 주입하여 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물학적 농축수 처리 공정-S40》
그런 다음, 생물여과조(T6)로 유입된 농축수가 생물여과 및 유기 탄소원과 반응시 오존 반응조(T2)에서 배출되는 배오존을 생물여과조(T6)의 저면 중앙부로 주입하여 농축수를 기설정된 방류수질 기준으로 충족시킨 후 방류시킨다. 이때, 유기탄소원 약품조(T8)에 저장된 유기탄소원이 약품 주입펌프(P7)를 통해 생물여과조(T6)로 공급된다.
《실험예》
본 발명에 따른 전오전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공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산화효과로 인한 전처리분리막의 막간차압(transmembrane pressure, TMP)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오존산화 효과로 인한 전처리분리막 투과성능을 비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운전 예로써 오존주입유무에 따른 분리막 공정의 TMP 상승 변화를 나타내었다.
막오염 상승률을 비교하기 위해 여과 및 역세주기는 각각 29.5분, 0.5분으로 설정하여 주기적으로 역세정을 실시한 결과 전오존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 약 29.2 kPa/hr 상승한 반면, 전오존 실시 후 1.7 kPa/hr의 상승률을 보이며, 오존산화효과가 막오염 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산화효과로 인한 생물여과의 CODMn 제거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오존산화 효과로 인한 입상 슬러지의 유기물 제거효율을 비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운전 예로써 오존주입유무에 따른 농축수 내 유기물(CODMn)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총 6회에 걸쳐 농축수 내 유기물(CODMn)의 제거효율을 비교한 결과 전오존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 평균 약 9.7%의 제거효율을 보인 반면, 전오존 실시 후 약 55.9%의 제거효율을 보이며 오존산화효과로 인해 유기물 제거효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오존 발생기 20 : 전처리 분리막
30 : 주처리 분리막 40 : 수질 측정부
50 : 제어부 60 : 서버
T1 : 원수조
T2 : 오존 반응조 T3 : 오존 처리수조
T4 : 여과수조 T5 : 농축수조
T6 : 생물여과조

Claims (7)

  1. 원수가 저장되는 원수조;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기;
    원수 공급펌프를 통해 상기 원수조의 원수를 공급받고, 상기 오존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오존을 주입하여 반응시키는 오존 반응조;
    상기 오존 반응조로부터 배출되는 오존 처리수를 공급받는 오존 처리수조;
    제 1유입 펌프를 통해 상기 오존 처리수조로부터 오존 처리수를 공급받아 처리하여 여과수 및 농축수를 각각 배출하는 전처리 분리막;
    상기 전처리 분리막으로부터 여과된 여과수를 공급받는 여과수조;
    제 2유입 펌프를 통해 상기 여과수조로부터 여과수를 공급받아 처리하여 용수와 농축수를 각각 배출하는 주처리 분리막;
    상기 주처리 분리막으로부터 배출되는 농축수를 공급받고, 상기 오존 반응조에서 배출되는 배오존을 주입하여 반응시키는 농축수조;
    농축수 공급펌프로부터 배출되는 농축수를 공급받아 생물여과 및 유기 탄소원과 반응시키되, 상기 오존 반응조에서 배출되는 배오존을 주입하여 함께 반응시킨 후 농축수를 방류수질 기준으로 충족시킨 후 방류하는 생물여과조;
    원수의 수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수질 측정값을 전송하는 수질 측정부; 및
    상기 수질 측정부에서 측정된 수질 측정값에 따라 상기 오존 발생기의 출력 값을 제어하여 오존 발생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질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수질인자에 따른 오존 주입량을 결정하고, 각각의 인자에서 결정된 오존 주입량 중 가장 높은 오존 주입량을 결정하여 오존 발생기의 출력값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수질 측정값과 출력값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데이터를 수집하는 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반응조의 배오존은,
    상기 농축수조, 생물 여과조 또는 농축수가 농축수 공급펌프를 통해 상기 생물여과조로 주입되는 주입배관 중 적어도 하나에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
  5. 제1 항, 제3 항 또는 제4 항 중 어느 한 항의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를 이용한 수처리 공법에 있어서,
    원수조의 원수를 원수 공급펌프를 통해 오존 반응조로 공급시 오존 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을 공급하여 반응시킨 다음, 오존 처리수조에 오존 처리수를 저장하는 전오존 처리 공정과;
    상기 오존 처리수조의 오존 처리수를 전처리 분리막으로 처리하여 여과수를 여과수조에 저장하고, 농축수를 배출하는 전처리 분리막 공정과;
    상기 여과수조의 여과수를 주처리 분리막으로 처리하여 농축수를 농축수조에 저장하되, 농축수와 상기 오존 반응조에서 배출되는 배오존을 주입하여 반응시키고, 용수를 배출하는 주처리 분리막 공정; 및
    상기 농축수조의 농축수를 생물여과조에 저장하고, 생물여과 및 유기 탄소원과 반응시켜서 농축수를 방류수질 기준으로 충족시킨 후 방류하는 생물학적 농축수 처리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전오존 처리 공정은 상기 원수조의 원수의 수질을 수질 측정부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제어부에서 수질 측정값을 통해 상기 오존 발생기의 출력값을 제어하여 오존 발생량을 제어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질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수질인자에 따른 오존 주입량을 결정하고, 각각의 인자에서 결정된 오존 주입량 중 가장 높은 오존 주입량을 결정하여 오존 발생기의 출력값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공법.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농축수 처리 공정은,
    상기 농축수조의 농축수가 농축수 공급펌프를 통해 상기 생물여과조로 공급될 시 농축수 처리효율을 높여줌으로써 방류수질 기준을 충족시키도록 상기 오존 반응조의 배오존을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공법.
KR1020170121348A 2017-09-20 2017-09-20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 및 공법 KR102027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348A KR102027900B1 (ko) 2017-09-20 2017-09-20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 및 공법
PCT/KR2017/011927 WO2019059449A1 (ko) 2017-09-20 2017-10-26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 및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348A KR102027900B1 (ko) 2017-09-20 2017-09-20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 및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919A KR20190032919A (ko) 2019-03-28
KR102027900B1 true KR102027900B1 (ko) 2019-11-04

Family

ID=6581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348A KR102027900B1 (ko) 2017-09-20 2017-09-20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 및 공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7900B1 (ko)
WO (1) WO20190594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390B1 (ko) * 2019-12-06 2020-08-26 송원기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318B1 (ko) * 2011-10-28 2012-03-27 한국수자원공사 수처리공정에 이용되는 오존주입률 결정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7405B2 (ja) * 1994-07-08 2003-05-19 栗田工業株式会社 有機性排液の好気性処理方法および装置
DE69828821T2 (de) * 1998-11-05 2005-11-17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Wasserbehandlungsverfahren
JP2002306930A (ja) * 2001-04-13 2002-10-22 Toray Ind Inc 水処理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KR101099889B1 (ko) * 2009-05-22 2011-12-28 금호산업주식회사 고급산화공정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KR101360020B1 (ko) 2013-03-15 2014-02-12 재단법인 한국계면공학연구소 막여과 공정의 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막여과 공정의 전처리 시스템
KR20150085990A (ko) * 2014-01-17 2015-07-27 코웨이 주식회사 하·폐수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1730978B1 (ko) 2015-11-18 2017-04-27 한국지역난방공사 오존과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분리막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318B1 (ko) * 2011-10-28 2012-03-27 한국수자원공사 수처리공정에 이용되는 오존주입률 결정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919A (ko) 2019-03-28
WO2019059449A1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inkis et al. Membrane bioreactor (MBR) technology–a promising approach for industrial water reuse
US8910799B2 (en) Integrated membrane system for distributed water treatment
WO2016031331A1 (ja) 濾過膜の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並びに水処理システム
KR101431886B1 (ko) 재생수 제조 방법, 및 재생수 제조 시스템
KR101035899B1 (ko) 고회수 저오염형 하수처리수 재이용 장치 및 방법
JP2009006209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
KR102027900B1 (ko)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 및 공법
Toran et al. Membrane-based processes to obtain high-quality water from brewery wastewater
JP4897255B2 (ja) 水処理装置及び方法
JP4215381B2 (ja) 水処理方法とその装置
CN112135681B (zh) 膜清洗装置及膜清洗方法
Verrecht et al. Experimental evaluation of intermittent aeration of a hollow fibre membrane bioreactor
Janus et al. Application of MBR technology for laundry wastewater treatment
KR20230088599A (ko) 반도체 폐수의 재이용 처리수 생산 시스템 및 그 방법
JP4304803B2 (ja) 水処理装置の洗浄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de Oliveiraa et al. Pilot system of microfiltration and reverse osmosis membranes for greywater reuse
KR101054613B1 (ko) 생물처리공정과 막분리공정이 결합된 단일반응조를 이용한 하폐수 재활용수 생산장치
JP2000350997A (ja) 汚水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Dogan et al. Eco-sustainable paper wastewater management by water-resource recovery and concentrate minimization using a membrane oxidation reactor and membrane distillation system
JP2000051855A (ja) 水処理装置
CN205575789U (zh) 集成自动化的工业废水中水回用装置
Johir et al. Membrane Hybrid System in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JP3565083B2 (ja) し尿系汚水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JP2005218904A (ja) 水処理装置
KR101363142B1 (ko)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및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