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493B1 -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 - Google Patents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493B1
KR102027493B1 KR1020170016355A KR20170016355A KR102027493B1 KR 102027493 B1 KR102027493 B1 KR 102027493B1 KR 1020170016355 A KR1020170016355 A KR 1020170016355A KR 20170016355 A KR20170016355 A KR 20170016355A KR 102027493 B1 KR102027493 B1 KR 102027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terior lighting
light transmitting
pap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1343A (ko
Inventor
박명옥
Original Assignee
박명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옥 filed Critical 박명옥
Priority to KR1020170016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493B1/ko
Publication of KR20180091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6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1/18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21V1/08Frames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6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1/22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부착되고, 빛이 투과 가능한 투과부 또는 절개부를 통해 문양이 형성된 광투과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광투과부재의 일면에 형성된 투과부 또는 절개부를 통해 문양이 형성되고, 투과부 또는 절개부가 형성된 지점에 광원이 투과됨으로써, 조명효과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Interior lighting using paper craft}
본 발명은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하여 전체 또는 일부를 조명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에 관한 것이다.
인테리어 조명은 건물의 내부 또는 외부, 특히 실내를 조명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즉 예컨대, 인테리어 조명은 인테리어 측면에서 절대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며, 외관으로 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 같아도 조명을 중요하게 생각한 인테리어는 평범한 공간을 아주 특별한 느낌으로 만들어준다. 특히 간접 조명은 빛을 은은하게 걸러줌으로써 실내 공간을 편안하고 더욱 아늑한 분위기로 만들어주는 힘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인테리어 조명은 다양하게 제조되어 있으며, 그 하나의 예를 (특허문헌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한지를 이용한 조명 갓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원통형 필름 일측단 개방부를 모아 원통형 필름 내부에 위치하도록 뒤집어 봉투가 형성된 결착부재로 결착하고, 뒤집힌 봉투 내부에 성형모형을 충입하며, 성형모형이 봉투 내부에 타측 개방부를 결착부재로 결착하여 조명 갓을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제작공정이 다소 복잡하고, 한정된 공간 내에서 미려한 심미감이 연출되며, 조명을 이용한 인테리어 데커레이션이 조명 등, 조명 갓에 한정되어 연출됨으로써 심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418290호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내, 외부에 설치 가능하며, 일면을 음각 또는 절개함으로써 조명효과를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은 건물의 내, 외부에 부착 가능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기판의 일면에 구비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부착되고, 빛이 투과 가능한 절개부를 통해 문양이 형성되되, 광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가 상부를 향하도록 굴곡되거나, 상기 제2 부재가 제1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구성된 광투과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광투과부재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받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재는 서로 다른 문양이 형성되어 다중으로 적층되고, 서로 적층되는 광투과부재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광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재는 서로 다른 문양이 형성되어 다중으로 적층되고, 서로 적층되는 광투과부재에 형성된 절개부가 동일선상에 배치되어 광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재는 종이, 한지, 판재, 필름 또는 섬유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광투과부재의 일면에 형성된 투과부 또는 절개부를 통해 문양이 형성되고, 투과부 또는 절개부가 형성된 지점에 광원이 투과됨으로써, 조명효과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은 서로 다른 문양이 형성된 광투과부재를 적층함으로써 광투과부재의 내측에 형성된 투과부 또는 절개부에 형성된 위치 및 수에 따라 광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다르면,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은 서로 다른 문양이 형성된 광투과부재를 적층 할 때, 투과부 또는 절개부가 형성되지 않은 지점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가 도포된 지점에 투과율을 낮춤으로써 광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의 광투과부재가 절개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의 광투과부재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1)은 건물의 내, 외부에 부착 가능한 케이스(10),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케이스(10)의 일면 또는 다면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재(20) 및 케이스(10)의 일면에 부착되고, 빛이 투과 가능한 투과부(31) 또는 절개부(33)를 통해 문양이 형성된 광투과부재(30)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육면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조명부재(20)가 구비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텍스, 타일, 판재, 섬유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구성되며, 일면 예컨대 도면상 상면에는 조명부재(20)에서 생성된 광원이 투과가 이루어지도록 투명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케이스(10)는 일면 단부에 받침부재(11)가 형성되어 광투과부재(30)를 고정 및 지지하여 광투과부재(30)를 용이하게 탈착 또는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받침부재(11)는 예컨대, 경첩으로 구성되어 탈, 부착이 이루어지거나 볼트, 나사와 같은 통상의 고정수단으로 조립될 수 있다.
조명부재(2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광투과부재(30)에 광원이 투과되고, 광원이 생성되는 예컨대 LED, 백열등, 형광등, 전구 등이 기판(20a)의 일면에 배열 구비될 수 있다. 이에서는 기판(20a)의 일면에 LED가 배열 구비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게 된다.
또한, 조명부재(20)는 케이스(10)의 내부공간 예컨대,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측벽에 설치되거나 또는 바닥면 및 측벽에 함께 설치되어 광원을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투과부재(30)는 종이, 한지, 판재, 필름, 섬유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일면에 투과부(31)를 음각하여 문양이 형성되고, 투과부(31)가 형성된 지점에 조명부재(20)를 통해 광원의 투과가 이루어지며, 투과부(31)으로 이루어진 문양에 광원이 투과된다.
구체적으로, 광투과부재(30)는 기본적으로 광원이 투과할 수 없는 재질로 형성하되, 조명부재(20)에서 생성된 광원이 투과할 수 있는 정도의 홈을 음각함으로써, 광원이 투과부(31)에 음각된 광투과부재(30)를 투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광투과부재(30)는 받침부재(11)와 탈, 부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장치가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광투과부재(30)는 일면에 홈을 조각하여 문양을 형성하는 투과부(31)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광투과부재(30)를 절개함으로써 문양을 형성하는 절개부(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투과부재(30)는 절개부(33)를 통해 문양을 형성함으로써 절개부(33)를 통해 형성된 틈에 조명부재(20)에서 생성되는 광원이 투과되며, 문양에 빛이 투과되어 시청자에게 미려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투과부재(30)는 어느 한 지점에 절개된 절개부(33)가 형성된 이후, 제1 부재(30a)가 상부를 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절개부(33) 사이에 틈이 형성되며, 조명부재(20)에서 생성되는 광원이 절개부(33) 사이에 형성된 틈에 투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광투과부재(30)는 어느 한 지점에 절개된 절개부(33)가 형성된 이후, 제2 부재(30b)가 제1 부재(30a)의 상면에 배치되며, 절개부(33)가 형성된 지점에 광원의 투과율이 증가됨으로써 절개부(33)를 통해 형성된 문양에 광원이 투과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광투과부재(30)는 어느 한 지점에 절개된 절개부(33)가 형성되고, 제1 부재(30a) 또는 제2 부재(30b)가 상부를 향하도록 굴곡되거나, 제2 부재(30b)가 제1 부재(30a)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배치된 지점에 광원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광투과부재(30)는 제2 부재(30b)가 제1 부재(30a)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제1 부재(30a)가 제2 부재(30b)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투과부재(30)는 서로 적층되는 광투과부재(30)에 형성된 투과부(31) 또는 절개부(33)를 동일선상에 배치하여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투과부재(30)는 다수 개로 이루어질 때, 각각의 광투과부재(30)의 일면에 투과부(31)를 통해 서로 다른 문양이 제작된 이후, 받침부재(11)에 적층시킴으로써 동일선상에 위치한 투과부(31)의 수에 따라 투과율을 다르게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광투과부재(30)는 동일선상에 위치한 투과부(31)가 많을수록 투과율이 증가됨으로써 밝은 광원이 투과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동일선상에 위치한 투과부(31)가 적을수록 투과율이 감소됨으로써 적은 광원이 투과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광투과부재(30)는 동일선상에 위치한 투과부(31)가 2개일 경우, 투과율이 0.4이고, 동일선상에 위치한 투과부(31)가 3개일 경우, 투과율이 0.5이며, 동일선상에 위치한 투과부(31)가 4개일경우 투과율이 0.7로 이루어져 투과부(31)의 위치 및 수에 따라 광원을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투과율의 수치는 하나의 예로 해석되어야 한다.
아울러, 광투과부재(30)는 투과부(31)의 위치 및 수에 따라 투과되는 광원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절개부(33)의 위치 및 수에 따라 광원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광투과부재(30)는 다중으로 적층된 이후, 서로 적층되는 광투과부재(30)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면(35)이 구비되어 이 접착면(35)에 투과율을 감소시킴으로써 투과되는 광원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투과부재(30)는 투과부(31) 또는 절개부(33)가 형성된 지점 이외에 접착면(35)에 접착제를 도포하며, 접착면(35)에 광원의 투과율을 낮춰 광투과부재(30)의 광투과율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광투과부재(30)의 일면에 투과부 또는 절개부를 통해 문양이 형성되고, 투과부 또는 절개부가 형성된 지점에 광원이 투과됨으로써 미려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수 개로 형성되고 서로 다른 문양이 형성된 광투과부재(30)를 적층하여 광투과부재(30)의 내측에 형성된 투과부(31) 또는 절개부(33)가 형성된 위치 및 수에 따라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다수 개로 형성된 광투과부재(30)를 적층하기 전, 투과부(31) 또는 절개부(33)가 형성되지 않은 지점 및 투과율을 감소시킬 지점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인테리어 조명 10 - 케이스
11 - 받침부재 20 - 조명부재
20a - 기판 30 - 광투과부재
30a - 제1 부재 30b - 제2 부재
31 - 투과부 33 - 절개부
35 - 접착면

Claims (5)

  1. 건물의 내, 외부에 부착 가능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기판의 일면에 구비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부착되고, 빛이 투과 가능한 절개부를 통해 문양이 형성되되, 광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가 상부를 향하도록 굴곡되거나, 상기 제2 부재가 제1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구성된 광투과부재;
    를 포함하는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광투과부재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받침부재;
    를 더 포함하는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재는 서로 다른 문양이 형성되어 다중으로 적층되고, 서로 적층되는 광투과부재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광투과율을 조절하는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재는 서로 다른 문양이 형성되어 다중으로 적층되고, 서로 적층되는 광투과부재에 형성된 절개부가 동일선상에 배치되어 광투과율을 조절하는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재는 종이, 한지, 판재, 필름 또는 섬유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
KR1020170016355A 2017-02-06 2017-02-06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 KR102027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355A KR102027493B1 (ko) 2017-02-06 2017-02-06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355A KR102027493B1 (ko) 2017-02-06 2017-02-06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343A KR20180091343A (ko) 2018-08-16
KR102027493B1 true KR102027493B1 (ko) 2019-10-01

Family

ID=63443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355A KR102027493B1 (ko) 2017-02-06 2017-02-06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49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0982A (ja) * 2007-09-25 2009-04-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面発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3934A (ja) * 1997-08-01 1999-02-26 Eri Satou 水盤兼用投影燭台
KR100418290B1 (ko) 2002-02-02 2004-02-14 (주)옥야 일체형 손잡이를 구비한 페트 용기 및 페트 용기 제조용 블로우 금형
KR102005539B1 (ko) * 2012-12-17 2019-07-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면조명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0982A (ja) * 2007-09-25 2009-04-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面発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343A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74627S1 (en) Lighting fixture
AU2014203472B2 (en) Method for producing a light panel
GB2464915A (en) Lighting device
WO2008114882A1 (ja) ライトボックス
CN105090891A (zh) 用于显示器照明的光导组件
EP3123075B1 (en) Luminaire
EP2309170A1 (en) Embedded lamp with auxiliary illumination
US20200132276A1 (en) Luminaire With Electrochromic Film Reflector
KR102027493B1 (ko) 종이공예를 응용한 인테리어 조명
JP7005532B2 (ja) 車両用ランプおよびこれを含む車両
JP2009080982A (ja) 面発光装置
US11827050B2 (en) Luminous stone produ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6758050B2 (ja) 電飾表示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3360214B1 (en) Raised floor arrangement and pedestal member for supporting tiles of a raised floor arrangement
US20140071671A1 (en) T-bar lamp
TWM426710U (en) Double-side lighting type lamp structure
US9834092B2 (en) Linear bar graph
KR102042852B1 (ko) 투톤 컬러 채널형 간판 조립체
WO2017109838A1 (ja) 発光装置及び空気調和機
US20170292675A1 (en) Lamp for lighting with an asymmetric light distribution
CN104696736A (zh) 一种照明灯具及其照明模组
CN210373142U (zh) 一种吸顶灯
ITVR20090139A1 (it) Elemento di rivestimento
CN219955139U (zh) 一体化透镜模组
JP3220028U (ja) ランプシェード、並びに、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