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709B1 - Method for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for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709B1
KR102026709B1 KR1020180021135A KR20180021135A KR102026709B1 KR 102026709 B1 KR102026709 B1 KR 102026709B1 KR 1020180021135 A KR1020180021135 A KR 1020180021135A KR 20180021135 A KR20180021135 A KR 20180021135A KR 102026709 B1 KR102026709 B1 KR 102026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ontroller
terminal
identifier
external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1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2748A (en
Inventor
은동진
윤여준
강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1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709B1/en
Publication of KR20180022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7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7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04M1/725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근접한 단말기들 간에 쉽고 빠르게 페어링을 하여 데이터 통신할 수 있도록 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식별정보와 랜덤하게 선택된 채널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를 외부기기로 브로드 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브로드 캐스팅된 식별자에 응답한 외부기기와 페어링을 하는 단계; 및 상기 페어링된 외부기기와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 terminal for implemen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 terminal for implementing the same, so that data can be easily and quickly paired between adjacent terminals.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generating an identifier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n application and randomly selected channel information; Broadcasting the identifier to an external device; Pairing with an external device responsive to the broadcasted identifier; And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aired external device and the application.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METHOD FOR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FOR}Near field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for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FOR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근접한 단말기들 간에 쉽고 빠르게 페어링을 하여 데이터 통신할 수 있도록 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 terminal for implemen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 terminal for implementing the same, so that data can be easily and quickly paired between adjacent terminals.

휴대 단말기 시장은 구매를 자극하는 다양한 디자인과 어플리케이션으로 인하여 빠른 성장을 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온라인 마켓에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market is growing rapidly due to various designs and applications that stimulate purchase. In particular, unlike conventional mobile phones that only use a given function, a smart phone can download and install various applications from the online market.

한편, 최근 휴대 단말기의 성능과 저장 공간이 향상되면서 사람과 사람, 기기와 기기 간의 연결 및 컨텐츠 공유가 많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방법은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기기들 간에 페어링(Pairring)하여 통신하는 방식과, 액세스 포인트 없이 기기들 간에 직접 페어링하여 통신하는 방식이 있다. 여기서, 와이파이(WiFi) 모듈을 이용해 기기들 간에 직접 페어링하여 통신하는 방식은 애드훅(Adhoc), 모바일 액세스 포인트(Mobile AP) 및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등이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performance and storage space of the portable terminal have been recently improv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person and the person, the device, and the device and the content sharing have increased. In general,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cludes a method of pairing and communicating between devices through an access point, and a method of directly pairing and communicating between devices without an access point. Here, a method of directly pairing and communicating between devices using a Wi-Fi module may include an Adhoc, a mobile access point, and a Wi-Fi Direct.

그러나, 종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와이파이 등을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무선랜 등에 지식이 없거나 익숙치 않는 사용자에게는 페어링 절차가 매우 까다롭고 복잡하게 느껴지게 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has a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manually set the Wi-Fi, and the like. Therefore, the pairing procedure is very difficult and complicated for users who are not knowledgeable or unfamiliar with WLAN.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근접한 기기들 간에 페어링을 자동으로 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nabling data communication by automatically pairing between adjacent devices and a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식별정보와 랜덤하게 선택된 채널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를 외부기기로 브로드 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브로드 캐스팅된 식별자에 응답한 외부기기와 페어링을 하는 단계; 및 상기 페어링된 외부기기와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generating an identifier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n application and randomly selected channel information; Broadcasting the identifier to an external device; Pairing with an external device responsive to the broadcasted identifier; And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aired external device and the application.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식별정보와 랜덤하게 선택된 채널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식별자를 브로드 캐스팅하고, 상기 브로드 캐스팅된 식별자에 응답한 외부기기와 페어링하며, 상기 페어링된 외부기기와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 identifier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and randomly selected channel information;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broadcasts the identifi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pairs with an external device in response to the broadcasted identifier, and communicates data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with the paired external device.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에 따르면, 근접한 기기들 간에 페어링을 자동으로 할 수 있고, 페어링 절차가 매우 간단하고 쉽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pairing between adjacent devices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and a pairing procedure is very simple and eas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reen displayed on the mast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reen displayed on the slav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reen displayed on the mast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reen displayed on the slav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or words us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와이파이 모듈을 구비한 단말기로서,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단말기가 스마트폰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having a Wi-Fi module, which is a notebook PC, a desktop PC, an MP3 player,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tablet PC,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pplicable to al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ultimedia devices and applications thereof will be apparent.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terminal corresponds to the smartpho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누가 호스트 또는 액세스 포인트 역할을 하느냐에 따라,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로 구분된다. 다시 말해, 페어링을 위해 식별자 즉,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생성하고 페어링을 수락하는 단말기가 마스터가 되고, 이러한 마스터 단말기에게 페어링을 요청하는 단말기가 슬레이브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말기는 마스터가 될 수도 있고 슬레이브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말기는 이러한 페어링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온라인 마켓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말기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어플리케이션으로써, 파일 송수신, 게임, 채팅, 화면 공유, 영상 통화, 음성 통화, 원격 제어 어플리케이션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 파일 송수신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master terminal and a slave terminal according to who serves as a host or an access point. In other words, a terminal that generates an identifier, that is, a SSID (Service Set Identifier) for pairing and accepts the pairing becomes a master, and a terminal requesting pairing to the master terminal becomes a slav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may be a master or a slav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may download and install an application for performing such a pairing function from an online market.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may receive and use an application from a cloud server that provides a cloud computing service. Here,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lication having a pairing function, and may be a file transmission, reception, game, chat, screen sharing, video call, voice call, remote control application, or the like.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application corresponds to a fi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l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단말기는 마스터 시작 이벤트를 감지하면, 다수의 채널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랜덤하게 설정하고, 설정된 채널번호와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생성하며, 생성된 식별자를 외부기기 즉, 슬레이브 단말기로 브로드 캐스팅하여 페어링 준비를 완료한다. 여기서, 식별정보에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앱 고유코드를 포함한다. 즉, 어플리케이션은 그 종류별로 앱 고유코드를 달리한다. 예컨대, 게임 어플리케이션과 파일 송수신 어플리케이션은 앱 고유코드를 달리한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는 설정된 채널번호를 표시하여, 마스터 단말기의 사용자는 물론, 그 주변의 슬레이브 단말기의 사용자로 하여금 마스터 단말기의 채널번호를 인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는 보안을 위해, 식별자를 브로드 캐스팅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 대신, 자신의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를 전송한 슬레이브 단말기에게 응답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는 다수의 슬레이브 단말기와 페어링을 할 수 있다. 한편, 드문 경우이겠지만, 근접한 거리에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가 다수 존재할 수가 있다. 이때, 다수의 마스터 단말기가 서로 동일한 식별자를 사용하게 되면 페어링의 오류가 생긴다. 즉, 채널번호는 식별자가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채널번호를 선택할 수 있는 범위가 0~999라고 가정하면, 마스터 단말기들은 상기 범위에서 동일한 채널번호를 선택할 확률은 극히 적다. 따라서, 마스터 단말기들은 서로 다른 채널번호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식별자 중복으로 인한 페어링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mast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master start event, randomly sets any one of a plurality of channel numbers, generates an identifier including the set channel number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the generated identifier Broadcasts to an external device, that is, a slave terminal, to complete pairing preparation. 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app unique code of the executed application. That is, the application varies the app unique code for each kind. For example, a game application and a file transceiving application have different app unique codes. In addition, the master terminal may display the set channel number so that not only the user of the master terminal but also the user of the slave terminal in the vicinity may recognize the channel number of the master terminal. In addition, the master terminal may not broadcast the identifier for security. Instead, it can respond to the slave terminal that sent the same identifier as its identifier. In addition, the master terminal can be paired with a plurality of slave terminals. On the other hand, in rare cases, there may be a large number of terminals performing a master function in close proximity. At this time, when a plurality of master terminals use the same identifier, a pairing error occurs. That is, the channel number is to prevent the identifier from overlapping.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range in which the channel number can be selected is 0 to 999, the master terminals are extremely unlikely to select the same channel number in the range. Accordingly, the master terminals use different channel numbers, thereby preventing pairing errors due to duplicated identifier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단말기는 슬레이브 시작 이벤트를 감지하면, 수신된 식별자들 중에서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검색할 수 있다. 슬레이브 단말기는 검색된 식별자를 브로드 캐스팅한 외부기기 즉, 마스터 단말기를 선택하여 페어링을 하게 된다. 즉, 슬레이브 단말기는 식별정보를 포함한 식별자를, 자신이 페어링을 해야 할 마스터 단말기가 브로드 캐스팅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만약, 드문 경우이지만, 주변에 마스터로 동작하는 단말기가 있게 되어 식별정보를 포함한 식별자가 두 개 이상 검색되면, 슬레이브 단말기는 사용자가 마스터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수의 검색된 식별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슬레이브 단말기는 식별정보를 포함한 식별자가 두 개 이상 검색되면, 다수의 검색된 식별자 중에서 신호 감도가 가장 좋은 식별자를 선택하고, 선택된 식별자의 해당 마스터 단말기와 페어링을 할 수도 있다.When the slav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slave start event, the slave terminal may search for an identifier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n application among received identifiers. The slave terminal selects an external device that broadcasts the retrieved identifier, that is, a master terminal, and performs pairing. That is, the slave terminal recognizes the identifier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broadcast by the master terminal to which it should be paired. In rare cases, when there is a terminal operating as a master around two or more identifiers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lave terminal may display a plurality of retrieved identifiers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 master terminal. Alternatively, when two or more identifiers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searched for, the slave terminal may select an identifier having the best signal sensitivity among the plurality of searched identifiers, and may pair with the corresponding master terminal of the selected identifi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메모리(130), 무선통신부(140), 카메라(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10)는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발생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하는 것으로, 터치스크린(111)과 키입력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put unit 110, a display unit 120, a memory 13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a camera 150, and a controller 160. It can be made, including. Here, the input unit 110 generates a user input even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user input event to the controller 160, and may include a touch screen 111 and a key input unit 112.

터치스크린(111)은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이러한 터치 이벤트는 그 동작에 따라, 터치 앤 드롭(Touch&Drop), 드래그 앤 드롭(Drag&Drop) 및 플릭 앤 드롭(Flick&Drop)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앤 드롭은 어느 한 지점을 눌렀다가 그 지점에서 손가락을 떼는 동작이고, 드래그 앤 드롭은 어느 한 지점을 누른 상태에서 손가락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킨 다음 떼는 동작이며, 플릭 앤 드롭은 튀기듯이, 손가락을 빠른 속도로 이동시킨 다음 떼는 동작을 의미한다. 제어부(160)는 이동 속도로 플릭과 드래그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앤 드롭은 터치 시간에 따라, 탭(Tap)과 프레스(Press)로 구분될 수 있다. 즉, 탭은 짧게 터치한 후 손가락을 떼는 터치 동작이고, 프레스는 상대적으로 길게 터치한 후 손가락을 떼는 터치 동작을 의미한다.The touch screen 111 transmits a touch event to the controller 160. The touch events may be classified into touch and drop, drag and drop, and flick and drop according to their operation. Here, touch and drop is an operation of pressing a point and then releasing a finger, and drag and drop is an operation of moving a finger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hile releasing a point and then releasing it. , Moving your finger quickly and then releasing it. The controller 160 may distinguish the flick and the drag by the moving speed. In addition, the touch and drop may be classified into a tap and a press according to the touch time. That is, a tap is a touch operation of releasing a finger after a short touch, and a press is a touch operation of releasing a finger after a relatively long touch.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이벤트는 그 의미에 따라, 마스터 시작 이벤트, 마스터 종료 이벤트, 슬레이브 시작 이벤트 및 슬레이브 종료 이벤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외에도, 터치 이벤트는 위치, 방향, 거리 및 압력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한편, 터치스크린(111)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및 압력 방식(pressure type) 등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uch ev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lassified into a master start event, a master end event, a slave start event, and a slave end event according to the meaning thereof. In addition, the touch events may be classifi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location, direction, distance, and pressure. Meanwhile, the touch screen 111 may include a resistive type, a capacitive type, a pressure type, or the like.

키입력부(112)는 단말기(100)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로 구성되고, 키 이벤트를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여기서, 키 이벤트는 전원 온/오프 이벤트, 볼륨 조절 이벤트, 화면 온/오프 이벤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key input unit 11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s for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and transmits a key event to the controller 160. Here, the key event may be divided into a power on / off event, a volume control event, a screen on / off event, and the like.

표시부(120)는 제어부(16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2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화면을 지시자 영역,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고, 지시자 영역에 시간, 배터리 잔량 및 수신율 등을 표시하고 나머지 두 영역에는 각각 메인 화면과 서브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메인 화면은 잠금 화면, 홈 화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잠금 화면은 일반적으로 표시부(120)의 화면이 켜지면 표시되는 영상이다. 또한, 홈 화면은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다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영상이다. 한편, 서브 화면은 실행 중이거나 사용자가 즐겨 찾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는 영상일 수 있다. 또는, 서브 화면은 메인 화면의 변경 등을 위한 메뉴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20 converts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160 into an analog signal for display.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20 divides the screen into an indicator region, a main region, and a sub reg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displays the time, battery level, and reception rate in the indicator region, and displays the main screen in the remaining two regions, respectively. And the sub screen. Here, the main screen may be any one of a lock screen, a home screen, and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Here, the lock screen is generally an image displayed whe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20 is turned on. Also, the home screen is an image including a plurality of icons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Meanwhile, the sub screen may be an image including an application icon which is being executed or user's favorite. Alternatively, the sub screen may be configured as a menu for changing the main screen.

메모리(130)는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는 주기억부(main storage unit)와 보조기억부(secondary storage unit)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조기억부는 플래시 메모리로 그리고 주기억부는 램(RA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emory 130 stores a program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and may store data such as an operating system, an application, an image, audio, and video. The memory 130 also includes a main storage unit and a secondary storage unit. The auxiliary memory may be a flash memory and the main memory may be a RAM.

주기억부는 운영체제와 어플리케이션이 로딩되는 공간이다. 즉, 단말기(100)가 부팅되면, 운영체제는 보조기억부에서 주기억부로 로딩된 상태에서 실행된다. 어플리케이션 또한, 보조기억부에서 주기억부로 로딩된 상태에서 실행된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실행이 종료되면, 주기억부에서 삭제된다. 한편, 보조기억부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 OS), 각종 어플리케이션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다. 여기서, 보조기억부는 데이터 영역과 프로그램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식별자 생성을 위한 앱 고유코드와 패스워드 테이블을 저장한다. 여기서, 앱 고유코드는 유니코드(Unicode) 체계일 수 있다. 또한, 패스워드 테이블은 다수의 채널번호 각각에 대응되는 패스워드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다수의 채널번호는 앱 고유코드와 함께, 식별자에 포함되는 번호로써, 예컨대 그 범위는 "0~999"가 될 수 있다.The main memory is the space where the operating system and applications are loaded. That is, when the terminal 100 is booted, the operating system is executed in a state loaded from the auxiliary memory to the main memory. The application is also executed while being loaded from the auxiliary memory into the main memory. When the application ends, the application is deleted from the main memory. Meanwhile, the auxiliary memory unit is a space for storing an operating system (OS), various applications, and various data. The auxiliary memory may be divided into a data area and a program area. In particular, the data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n app unique code and a password table for identifier generation. Here, the app unique code may be a Unicode system. In addition, the password table is composed of password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hannel numbers. Here, the plurality of channel numbers are numbers included in the identifier together with the app unique code, for example, the range may be "0 to 999".

무선통신부(140)는 휴대전화 통신,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및 데이터 통신 등과 관련한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또한, 무선통신부(140)는 음성/음향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 등을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고,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음향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 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통신부(14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한다. 또한, 무선통신부(140)는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거나 주변의 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하여,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related to cellular phone communication, short message service (SMS) or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voice call, video call, and data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converts and transmits voice / sound data and control data into a wireless signal, and receives and converts the wireless signal into voice / sound data and control data. To this e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includes a radio frequency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 radio frequency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 received signal and down-converting a frequency of the received signal.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may include a Wi-Fi module, a Bluetooth module, or the like for connecting to an access point or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nearby devices.

카메라(150)는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이미지를 제어부(160)로 출력하는 것으로, 단말기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 카메라와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150 captures an image and outputs the captured image to the controller 160. The camera 150 may include a front camera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terminal and a rear camera disposed at the rear of the terminal.

제어부(160)는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80)는 잠금 해제 이벤트 예컨대, 좌에서 우 방향으로의 드래그 앤 드롭을 감지하게 되면,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잠금 화면에서 홈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한다. 제어부(160)는 어느 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한 터치 이벤트 예컨대, 탭을 감지하게 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홈 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한다. 특히, 제어부(160)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및 슬레이브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에 대해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는 앞서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단말기(1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임을 밝혀 둔다.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and the signal flow between the internal blocks of the terminal 100. When the controller 180 detects a lock release event, for example, dragging and dropping from left to right, the controller 180 switches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from the lock screen to the home screen or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When the controller 160 detects a touch event, for example, a tap, on an application icon, the controller 160 executes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and switches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from the home screen to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60 performs the master and slave fun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2. Hereinafter, it turns out that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terminal 1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reen displayed on the mast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reen displayed on the slav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마스터 단말기의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도 3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시자 화면(301), 홈 화면(302) 및 서브 화면(303)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304)을 탭하게 되면, 터치스크린은 이와 관련한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로 전달하고,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여, 단계 201에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표시부를 제어하여 그 실행 화면(305)을 메인 화면 영역에 표시하게 한다. 이후, 단계 202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마스터 시작 이벤트 예컨대, 도 3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진 전송 아이콘(306)에 대한 탭을 감지하게 되면,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예컨대, 도 3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진 선택 화면(308)을 표시하게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사진을 선택하고 전송 버튼(309)을 탭하게 되면, 단계 203으로 진행한다. 단계 203에서 제어부는 채널번호를 임의로 설정한다. 예컨대, 단계 203에서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채널 번호 구간 예컨대, 0~999에서 305를 임의로 선택하여 채널번호로 설정한 다음 단계 204로 진행한다. 단계 204에서 제어부는 단계 201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앱 고유코드와 설정된 채널번호 "ch 305"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생성한 다음 단계 205 및 단계 206으로 진행한다. 단계 205 및 단계 206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도 3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명칭인 Emolink와 채널번호 "ch 305"를 표시하게 하고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식별자를 브로드 캐스팅하게 한다. 또한, 제어부는 도 3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널 준비 및 슬레이브 단말기와의 페어링 대기 중임을 나타내는 아이콘(307)을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of the master terminal displays the indicator screen 301, the home screen 302, and the sub screen 303 as shown in FIG. 3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When the user taps the icon 304 of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creen transmits a touch event related thereto to the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detects this and executes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201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he execution screen 305 is displayed in the main screen area. Then, in step 202, when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detects a tap for the photo transmission icon 306 as shown in FIG. 3 (b),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controls the display uni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C, the photo selection screen 308 is displayed. Next, when the user selects the picture and taps the send button 309,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03. In step 203, the controller arbitrarily sets the channel number. For example, in step 203, the controller arbitrarily selects 305 in a predetermined channel number section, for example, 0 to 999, sets the channel number, and then proceeds to step 204. In step 204, the controller generates an identifier including the app unique code of the application executed in step 201 and the set channel number "ch 305", and then proceeds to step 205 and step 206. In step 205 and step 206, the control unit of the master terminal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application name Emolink and the channel number "ch 305" as shown in FIG. 3 (d),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broadcast the identifier. Let's do it. Also, as illustrated in FIG. 3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n icon 307 indicating that the channel is ready and waiting for pairing with the slave terminal.

한편, 단계 207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표시부를 제어하여 도 4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실행 화면(401)을 메인 화면 영역에 표시하게 한다. 이후, 단계 208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슬레이브 시작 이벤트 예컨대, 도 4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아이콘(402)에 대한 탭을 감지하게 되면, 단계 209로 진행한다. 단계 209에서 제어부는 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식별자들 중에서 앱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검색한 다음 단계 210으로 진행한다. 단계 210에서 제어부는 검색된 개수를 확인한다. 단계 210에서의 확인 결과 2개 이상이면 단계 211로 진행하고, 1개이면 단계 212로 진행하며, 0개이면 단계 209로 복귀한다. 단계 211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도 4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색된 식별자들 예컨대, "EmoLink ch 107"과 "EmoLink ch 305"를 표시하게 한다. 사용자는 마스터 단말기에 표시된 채널번호(도 3 (c) 참조)와 동일한 채널번호 즉, "ch 305"을 탭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채널번호 "ch 305"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선택한 다음 단계 212로 진행한다.Meanwhile, in step 207,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executes the application and controls the display to display the execution screen 401 in the main screen area as shown in FIG. Thereafter, in step 208, when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senses a tap for the reception icon 402 as shown in FIG. 4A,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209. In step 209, the controller searches for an identifier including an app unique code among identifiers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n proceeds to step 210. In step 210, the controller checks the number found. If the result of the check in step 210 is two or mor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11, and if there is on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12. If zero, the process returns to step 209. In step 211,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retrieved identifiers, for example, "EmoLink ch 107" and "EmoLink ch 305", as shown in FIG. The user taps the same channel number as the channel number displayed on the master terminal (see FIG. 3 (c)), that is, "ch 305". Accordingly,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identifies the identifier including the channel number "ch 305". Select it and proceed to step 212.

단계 212에서 제어부는 단계 211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식별자에서 채널번호 즉, "ch 305"를 추출한 다음 단계 213으로 진행한다. 한편, 검색된 식별자의 개수가 1개인 경우, 단계 212에서 제어부는 검색된 식별자에서 채널번호 즉, "ch 305를 추출한 다음 단계 213으로 진행한다. 단계 213에서 제어부는 채널번호 "ch 305"에 해당되는 패스워드를 메모리에서 추출한 다음 단계 214로 진행한다. 단계 214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마스터 단말기에게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게 한다. 여기서, 페어링 요청 신호는 단계 213에서 추출된 패스워드와 마스터 단말기의 식별자를 포함한다.In step 212, the controller extracts the channel number, that is, "ch 305" from the identifier selected by the user in step 211, and then proceeds to step 213. On the other hand, if the number of identifiers searched is one, in step 212, the controller extracts the channel number, that is, "ch 305" from the searched identifiers, and proceeds to step 213. In step 213, the controller proceeds to the password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number "ch 305". Extract the memory from the memory and proceed to step 214. In step 214, the control unit of the slave terminal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pairing request signal to the master terminal, where the pairing request signal is the password and the master extracted in step 213. Contains an identifier of the terminal.

마스터 단말기의 무선통신부는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단계 206에서 브로드 캐스팅된 식별자에 해당되는 패스워드를 메모리에서 추출한다. 다음으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추출된 패스워드와 수신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단계 215에서 무선통신부를 제어하여 페어링 수락 신호를 슬레이브 단말기에 전송하게 한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슬레이브 단말기와 페어링을 완료한 후, 표시부를 제어하여 도 3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어링 완료!"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도 마스터 단말기와 페어링을 완료하면, 표시부를 제어하여 도 4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어링 완료!"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master terminal receives a pairing request signal from the slav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extracts a password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broadcast in step 206 from the memory. Next, when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compares the extracted password with the received passwor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step 215 to transmit a pairing acceptance signal to the slave terminal. In addition, after completing the pairing with the slave terminal, the control unit of the master terminal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pairing complete!”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unit of the slave terminal also completes pairing with the master terminal, it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the "pairing complete!" As shown in Figure 4 (c).

단계 216에서, 서로 페어링된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된다. 예컨대,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단계 202에서 선택된 사진을 슬레이브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를 제어한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도 3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 상태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사진 전송이 완료되면,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도 3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 완료!"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슬레이브 단말기의 무선통신부는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사진을 수신한다. 또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도 4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상태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In step 216,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paired with each other are in data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picture selected in step 202 to the slav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of the master terminal can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transmission status, as shown in Fig. 3 (f). When the picture transfer is completed,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may display "Transfer complete!" As shown in FIG. Meanwhi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slave terminal receives a picture from the master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reception state as shown in FIG.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페어링 절차가 매우 간단하고 쉽다. 예컨대, 마스터 단말기의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304; 도 3 (a) 참조)과 사진 전송 아이콘(306; 도 3 (b) 참조)을 각각 탭하는 것만으로 페어링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단말기의 사용자도 적게는 두 번, 많게는 세 번의 탭으로 페어링을 완료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ing procedure is very simple and easy. For example, the user of the master terminal may complete pairing by simply tapping the application icon 304 (see FIG. 3 (a)) and the photo transfer icon 306 (see FIG. 3 (b)),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user of the slave terminal can complete pairing with as few as two taps.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501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 예컨대, 화면에 표시된 해당 아이콘에 대한 탭을 감지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단계502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마스터 시작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단계 503으로 진행한다. 단계 503에서 제어부는 채널번호를 임의로 설정한 다음 단계 504로 진행한다. 단계 504에서 제어부는 앱 고유코드와 설정된 채널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생성한 다음 단계 505 및 단계 506으로 진행한다. 단계 505 및 단계 506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설정된 채널번호를 표시하게 하고,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식별자를 브로드 캐스팅하게 한다.In step 501,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detects an application execution event, for example, a tap on a corresponding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and executes the application. Next, when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detects the master start event in step 502,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503. In step 503, the controller arbitrarily sets a channel number, and then proceeds to step 504. In step 504, the controller generates an identifier including an app unique code and a set channel number, and then proceeds to steps 505 and 506. In steps 505 and 506,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set channel number,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broadcast the identifi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브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앱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브로드 캐스팅하는 다른 단말기 즉, 마스터 단말기를 지속적으로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507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508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식별자들 중에서 앱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검색한다. 다음으로, 단계 509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검색된 개수를 확인한다. 단계 509에서의 확인 결과 0개이면 단계 508로 복귀하고 1개 이상이면 단계 510로 진행한다. 단계 510에서 제어부는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예컨대, 단계 510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게 한다. 다음으로, 단계 511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슬레이브 시작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단계 512로 진행한다. 단계 512에서 제어부는 검색된 개수를 다시 확인하여 2개 이상이면 단계 513으로 진행하고 1개이면 단계 514로 진행한다. 단계 513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검색된 식별자들 각각의 채널번호를 표시하게 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채널번호들 중에서 마스터 단말기에 표시된 것과 동일한 채널번호를 탭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탭이 된 채널번호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선택한 다음 단계 514로 진행한다. 단계 514에서 제어부는 식별자에서 채널번호를 추출한 다음 단계 515로 진행한다. 단계 515에서 제어부는 추출된 채널번호에 해당되는 패스워드를 메모리에서 추출한 다음 단계 516으로 진행한다. 단계 516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마스터 단말기에게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게 한다. 이에 따라, 마스터 단말기의 무선통신부는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단계 506에서 브로드 캐스팅된 식별자에 해당되는 패스워드를 메모리에서 추출한다. 다음으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추출된 패스워드와 수신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단계 517로 진행하여 페어링 수락 신호를 슬레이브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518에서 서로 페어링된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slav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inuously search for another terminal that broadcasts an identifier including an app unique code, that is, a master terminal, and notify the user. In detail, in step 507, when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detects an application execution event, the controller executes an application. Next, in step 508,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searches for an identifier including an app unique code among identifiers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ext, in step 509, the control unit of the slave terminal checks the number found. If the result of the check in step 509 is zero, the process returns to step 508, and if more than on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510. In step 510, the controller notifies the user of the search result. For example, in step 510,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output a notification message. Next, when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detects the slave start event in step 511,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512. In step 512, the controller checks the number of searched items again and proceeds to step 513 if there are two or more, and proceeds to step 514 if one. In step 513,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channel number of each of the retrieved identifiers. The user taps the same channel number as that displayed on the master terminal among the displayed channel numbers. Accordingly,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selects an identifier including the tapped channel number and proceeds to step 514. In step 514, the controller extracts the channel number from the identifier, and then proceeds to step 515. In step 515, the controller extracts the password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channel number from the memory and then proceeds to step 516. In step 516,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pairing request signal to the master terminal. According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master terminal receives a pairing request signal from the slav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extracts a password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broadcast in step 506 from the memory. Next, when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compares the extracted password with the received password,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517 to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pairing acceptance signal to the slave terminal. Next, in step 518,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paired with each other perform data communica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601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단계602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마스터 시작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단계 603으로 진행한다. 단계 603에서 제어부는 채널번호를 임의로 설정한 다음 단계 604로 진행한다. 단계 604에서 제어부는 앱 고유코드와 설정된 채널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생성한 다음 단계 605 및 단계 606으로 진행한다. 단계 605 및 단계 606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설정된 채널번호를 표시하게 하고,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식별자를 브로드 캐스팅하게 한다.In step 601,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executes the application when it detects an application execution event. Next, when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detects the master start event in step 602,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603. In step 603, the controller arbitrarily sets a channel number, and then proceeds to step 604. In step 604, the controller generates an identifier including the app unique code and the set channel number, and then proceeds to steps 605 and 606. In steps 605 and 606,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set channel number,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broadcast the identifi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브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있지 않더라도, 앱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브로드 캐스팅하는 다른 단말기 즉, 마스터 단말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마스터 단말기에 대해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607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식별자들 중에서 앱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검색한다. 다음으로, 단계 608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검색된 개수를 확인한다. 단계 608에서의 확인 결과 0개이면 단계 607로 복귀하고 1개 이상이면 단계 609로 진행한다. 단계 609에서 제어부는 식별자가 검색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예컨대, 단계 609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식별자가 검색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와 슬레이브 기능의 수행 여부에 대해 문의하기 위한 메시지를 출력하게 한다. 다음으로, 단계 610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슬레이브 시작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단계 611로 진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612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검색된 개수를 다시 확인하여 2개 이상이면 단계 613으로 진행하고 1개이면 단계 614로 진행한다. 단계 613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검색된 식별자들 각각의 채널번호를 표시하게 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채널번호들 중에서 마스터 단말기에 표시된 것과 동일한 채널번호를 탭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탭이 된 채널번호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선택한 다음 단계 614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614에서 제어부는 식별자에서 채널번호를 추출한 다음 단계 515로 진행한다. 단계 615에서 제어부는 추출된 채널번호에 해당되는 패스워드를 메모리에서 추출한 다음 단계 616으로 진행한다. 단계 616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마스터 단말기에게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게 한다. 이에 따라, 마스터 단말기의 무선통신부는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단계 606에서 브로드 캐스팅된 식별자에 해당되는 패스워드를 메모리에서 추출한다. 다음으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추출된 패스워드와 수신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단계 617로 진행하여 페어링 수락 신호를 슬레이브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618에서 서로 페어링된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된다.Meanwhile, even if the application is not executed, the slav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arch for another terminal broadcasting the identifier including the app unique code, that is, the master terminal, and guide the user to the found master terminal. In detail, in step 607,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searches for an identifier including an app unique code among identifiers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ext, in step 608,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checks the retrieved number. If the result of the check in step 608 is zero, the process returns to step 607. If one or mor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609. In step 609, the controller notifies the user that the identifier has been retrieved. For example, in step 609,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output a message for notifying that the identifier has been searched and a message for inquiring whether the slave function is performed. Next, when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detects the slave start event in step 610,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611 to automatically execute the application. Next, in step 612, the control unit of the slave terminal checks again the searched number, and if it is two or more, proceeds to step 613, and if one, proceeds to step 614. In step 613,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channel number of each of the retrieved identifiers. The user taps the same channel number displayed on the master terminal among the displayed channel numbers. Accordingly,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selects an identifier including the tapped channel number and proceeds to step 614. Next, in step 614, the controller extracts the channel number from the identifier, and then proceeds to step 515. In step 615, the controller extracts the password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channel number from the memory and proceeds to step 616. In step 616,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pairing request signal to the master terminal. According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master terminal receives a pairing request signal from the slav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extracts a password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broadcast in step 606 from the memory. Next, when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compares the extracted password with the received password,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617 to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pairing acceptance signal to the slave terminal. In operation 618,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paired with each other perform data communicatio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페어링을 위한 패스워드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패스워드 테이블에서 추출하여 설정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게 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701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702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패스워드를 설정한다. 예컨대, 단계 702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패스워드를 임의로 설정할 것인지 문의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게 한다. 이에 따라, 마스터 단말기의 사용자는 마스터 단말기의 입력부로 패스워드를 입력하게 되고, 마스터 단말기의 입력부는 입력된 패스워드를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로 전달하게 되며,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전달된 패스워드를 페어링을 위한 패스워드로 설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703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마스터 시작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단계 704로 진행한다. 단계 704에서 제어부는 채널번호를 임의로 설정한 다음 단계 705로 진행한다. 단계 705에서 제어부는 앱 고유코드와 설정된 채널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생성한 다음 단계 706 및 단계 707로 진행한다. 단계 706 및 단계 707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설정된 채널번호를 표시하게 하고,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식별자를 브로드 캐스팅하게 한다.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nhance security by allowing the user to set arbitrarily instead of extracting and setting a password for pairing from a password table stored in a memory. In detail, in step 701, when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detects an application execution event, the controller executes an application. Next, in step 702,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sets a password. For example, in step 702, the control unit of the master terminal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message asking whether to arbitrarily set a password. Accordingly, the user of the master terminal inputs a password to the input unit of the master terminal, the input unit of the master terminal transfers the input password to the control unit of the master terminal, the control unit of the master terminal is a password for pairing the transferred password Will be set. Next, when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detects the master start event in step 703,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704. In step 704, the controller arbitrarily sets a channel number, and then proceeds to step 705. In step 705, the controller generates an identifier including an app unique code and a set channel number, and then proceeds to steps 706 and 707. In steps 706 and 707,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set channel number,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broadcast the identifier.

한편, 단계 708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709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슬레이브 시작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단계 710으로 진행한다. 단계 710에서 제어부는 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식별자들 중에서 앱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검색한다. 다음으로, 단계 711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검색된 개수를 확인한다. 단계 711에서의 확인 결과 0개이면 단계 710으로 복귀하고, 2개 이상이면 단계 712로 진행하며, 1개이면 단계 713으로 진행한다. 단계 712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검색된 식별자들 각각의 채널번호를 표시하게 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채널번호들 중에서 마스터 단말기에 표시된 것과 동일한 채널번호를 탭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탭이 된 채널번호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선택한 다음 단계 713으로 진행한다. 단계 713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패스워드 입력창을 표시하게 한다. 이에 따라, 슬레이브 단말기의 사용자는 슬레이브 단말기의 입력부로 패스워드를 입력하게 되고, 슬레이브 단말기의 입력부는 입력된 패스워드를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로 전달하게 되며,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전달된 패스워드를 페어링을 위한 패스워드로 설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714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마스터 단말기에게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게 한다. 즉, 페어링 요청 신호는 마스터 단말기의 식별자와 함께, 사용자가 입력한 패스워드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마스터 단말기의 무선통신부는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단계 702에서 설정된 패스워드와 수신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단계 715로 진행하여 페어링 수락 신호를 슬레이브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716에서 서로 페어링된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된다. In operation 708, when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detects an application execution event, the controller executes the application. Next, when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detects the slave start event in step 709,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710. In step 710, the controller searches for an identifier including an app unique code among identifiers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ext, in step 711,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checks the searched number. If the result of the check in step 711 is 0, the process returns to step 710, if two or mor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712, and if on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713. In step 712,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channel number of each of the retrieved identifiers. The user taps the same channel number as displayed on the master terminal among the displayed channel numbers. Accordingly,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selects an identifier including the tapped channel number, and then proceeds to step 713. In step 713,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password input window. Accordingly, the user of the slave terminal inputs a password to the input unit of the slave terminal, the input unit of the slave terminal transfers the input password to the control unit of the slave terminal, the control unit of the slave terminal is a password for pairing the transferred password Will be set. Next, in step 714,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pairing request signal to the master terminal. That is, the pairing request signal includes a password input by the user together with the identifier of the master terminal. Nex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master terminal receives a pairing request signal from the slave terminal. 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compares the password set in step 702 with the received password,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715 to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pairing acceptance signal to the slave terminal. Next, in step 716,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paired with each other perform data communication.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단말기는 채널번호를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아닌, 주변의 채널번호를 검색하여 비어있는 채널번호를 자신의 채널번호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801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단계802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마스터 시작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단계 803으로 진행한다. 단계 803에서 제어부는 주변의 채널번호를 검색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803에서 제어부는 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식별자들 중에서 앱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식별자에서 채널번호를 추출한 다음 단계 804로 진행한다. 단계 804에서 제어부는 검색된 채널번호를 제외하고 가장 빠른 채널번호를 자신의 채널번호로 설정한다. 예컨대, 채널번호 ch 0, ch 1이 검색되면, 이들을 제외하고 가장 빠른 번호인 ch 2를 자신의 채널번호로 설정한다. 이렇게, 마스터 단말기들이 채널번호를 순서대로 정하게 되면, 동일한 채널번호를 설정하는 오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단말기에서는 채널번호를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805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앱 고유코드와 설정된 채널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생성한 다음 단계 806 및 단계 807으로 진행한다. 단계 806 및 단계 807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설정된 채널번호를 표시하게 하고,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식별자를 브로드 캐스팅하게 한다.The mast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et the empty channel number as its own channel number by searching for the surrounding channel number instead of arbitrarily setting the channel number. In detail, in step 801, when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detects an application execution event, the controller executes an application. Next, when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detects the master start event in step 802,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803. In step 803, the controller searches for a surrounding channel number. In detail, in step 803, the controller searches for an identifier including an app unique code among identifiers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extracts a channel number from the found identifier, and then proceeds to step 804. In step 804, the controller sets the earliest channel number to its own channel number except for the found channel number. For example, if channel numbers ch 0 and ch 1 are found, the earliest number ch 2 is set as its channel number except these. In this way, when the master terminals determine the channel numbers in order, an error of setting the same channel number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slave terminals can display the channel numbers in order. Next, in step 805,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generates an identifier including an app unique code and a set channel number, and then proceeds to steps 806 and 807. In steps 806 and 807,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set channel number,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broadcast the identifier.

한편, 단계 808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809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슬레이브 시작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단계 810으로 진행한다. 단계 810에서 제어부는 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식별자들 중에서 앱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검색한다. 다음으로, 단계 811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검색된 개수를 확인한다. 단계 811에서의 확인 결과 0개이면 단계 810으로 복귀하고, 2개 이상이면 단계 812로 진행하며, 1개이면 단계 813으로 진행한다. 단계 812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검색된 식별자들 각각의 채널번호 예컨대, ch 0, 1 및 2를 표시하게 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채널번호들 중에서 마스터 단말기에 표시된 것과 동일한 채널번호 예컨대, ch 2를 탭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탭이 된 채널번호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선택한 다음 단계 813으로 진행한다. 단계 813에서 제어부는 식별자에서 채널번호를 추출한 다음 단계 814로 진행한다. 단계 814에서 제어부는 추출된 채널번호에 해당되는 패스워드를 메모리에서 추출한 다음 단계 815로 진행한다. 단계 815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마스터 단말기에게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게 한다. 이에 따라, 마스터 단말기의 무선통신부는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단계 807에서 브로드 캐스팅된 식별자에 해당되는 패스워드를 메모리에서 추출한다. 다음으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추출된 패스워드와 수신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단계 816으로 진행하여 페어링 수락 신호를 슬레이브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817에서 서로 페어링된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된다.In operation 808, when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detects an application execution event, the controller executes the application. Next, when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detects the slave start event in step 809,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810. In step 810, the controller searches for an identifier including an app unique code among identifiers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ext, in step 811,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checks the found number. If the result of the check in step 811 is 0, the process returns to step 810, if two or mor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812, and if on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813. In step 812,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channel numbers, eg, ch 0, 1 and 2, of each of the retrieved identifiers. The user taps the same channel number displayed on the master terminal, for example, ch 2, among the displayed channel numbers. Accordingly,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selects an identifier including the tapped channel number, and then proceeds to step 813. In step 813, the controller extracts the channel number from the identifier, and then proceeds to step 814. In step 814, the controller extracts the password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channel number from the memory and then proceeds to step 815. In step 815,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pairing request signal to the master terminal. According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master terminal receives a pairing request signal from the slav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extracts the password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broadcast in step 807 from the memory. Next, when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compares the extracted password with the received password,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816 to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pairing acceptance signal to the slave terminal. Next, in step 817,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paired with each other perform data communication.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단말기는 식별자 브로드 캐스팅을 생략하여 식별자를 숨김으로써 네트워크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901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902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마스터 시작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단계 903으로 진행한다. 단계 903에서 제어부는 주변의 채널번호를 직접 검색한다. 다시 말해, 단계 903에서 제어부는 채널번호를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선점 여부를 확인한 다음, 단계 904로 진행한다. 단계 904에서 제어부는 검색되지 않은 채널번호를 자신의 채널번호로 결정한 다음 단계 905로 진행한다. 단계 905에서 제어부는 결정된 채널번호를 표시한다. 단계 903 내지 단계 905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다른 마스터 단말기를 검색하기 위한 제1순번의 검색용 식별자를 생성하고, 이를 브로드 캐스팅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한다. 브로드 캐스팅 결과 다른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있으면 다음 제2순번의 검색용 식별자를 생성한 다음 이를 브로드 캐스팅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고 반면, 다른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제1순번의 검색용 식별자를 슬레이브 단말기와 페어링을 위한 식별자로 결정한다. 여기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다수의 채널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이렇게 결정된 채널번호에서 내림 또는 오름차순으로 앱 고유코드와 조합하여 검색용 식별자를 차례대로 생성하게 된다. 예컨대, 마스터 단말기는 첫 번째로 "EmoLink ch 0"을 생성하여 브로드 캐스팅한다. 이에 대해 다른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있으면, 마스터 단말기는 두 번째로 "EmoLink ch 1"을 생성하여 브로드 캐스팅하고 반면, 응답이 없으면 "EmoLink ch 0"을 슬레이브 단말기와 페어링을 위한 식별자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결정된 식별자 또는 이에 포함된 채널번호 ch 1을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The mast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network security by hiding the identifier by omitting the identifier broadcasting. In detail, in step 901, when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detects an application execution event, the controller executes an application. Next, when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detects the master start event in step 902,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903. In step 903, the controller directly searches for the surrounding channel number. In other words, in step 903, the controller sequentially searches for channel numbers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preemptive, and then proceeds to step 904. FIG. In step 904,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channel number that is not found as its channel number, and then proceeds to step 905. FIG. In step 905, the controller displays the determined channel numb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teps 903 to 905,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generates a first search identifier for searching for another master terminal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broadcast it. If there is a response from the other master terminal as a result of broadcast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generates a next search sequence identifier and then broadcasts it, whereas if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other master terminal, the first search identifier is searched for the slave terminal. It is determined by the identifier for pairing with. Here, the control unit of the master terminal determines any one of a plurality of channel numbers, and generates a search identifier in order by combining with the app unique code in descending or ascending order from the determined channel number. For example, the master terminal first generates and broadcasts "EmoLink ch 0".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response from another master terminal, the master terminal generates and broadcasts "EmoLink ch 1" for the second time, whereas if there is no response, it determines "EmoLink ch 0" as an identifier for pairing with the slave terminal. Next,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determined identifier or the channel number ch 1 included therein.

한편, 단계 906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907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슬레이브 시작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단계 908로 진행한다. 단계 908에서 제어부는 주변의 채널번호를 직접 검색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908에서 제어부는 마스터 단말기를 검색하기 위한 제1순번의 검색용 식별자를 생성하고, 이를 브로드 캐스팅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한다. 브로드 캐스팅 결과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있으면 다음 제2순번의 검색용 식별자를 생성한 다음 이를 브로드 캐스팅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고 반면,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단계 909로 진행한다. 여기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다수의 채널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설정하고, 이렇게 설정된 채널번호에서 내림 또는 오름차순으로 앱 고유코드와 조합하여 검색용 식별자를 차례대로 생성하게 된다. 특히, 슬레이브 단말기는 마스터 단말기와 동일하게 채널번호를 설정한다. 즉,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가 다른 마스터 단말기를 검색하기 위해, 채널번호를 '0'번부터 오름차순으로 설정하듯이,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 또한 채널번호를 '0'번부터 오름차순으로 설정한다. 단계 909에서 제어부는 검색된 개수를 확인한다. 단계 909에서의 확인 결과 0개이면 단계 908로 복귀하고, 2개 이상이면 단계 910으로 진행하며, 1개이면 단계 911로 진행한다. 단계 910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검색된 식별자들 각각의 채널번호 예컨대, ch 0 및 1을 표시하게 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채널번호들 중에서 마스터 단말기에 표시된 것과 동일한 채널번호 예컨대, ch 1을 탭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탭이 된 채널번호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선택한 다음 단계 911로 진행한다. 단계 911에서 제어부는 식별자에서 채널번호를 추출한 다음 단계 912로 진행한다. 단계 912에서 제어부는 추출된 채널번호에 해당되는 패스워드를 메모리에서 추출한 다음 단계 913으로 진행한다. 단계 913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마스터 단말기에게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게 한다. 이에 따라, 마스터 단말기의 무선통신부는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자신의 식별자에 해당되는 패스워드를 메모리에서 추출한다. 다음으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추출된 패스워드와 수신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단계 914로 진행하여 페어링 수락 신호를 슬레이브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915에서 서로 페어링된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된다.In operation 906, when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detects an application execution event, the controller executes the application. Next, when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detects the slave start event in step 907,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908. In step 908, the controller directly searches for the surrounding channel number. Specifically, in step 908, the controller generates a first search identifier for searching for the master terminal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broadcast it. If there is a response from the master terminal as a result of the broadcas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controlled to generate the next search sequence identifier and then broadcast it, whereas if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master terminal,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909. Here,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sets any one of a plurality of channel numbers, and generates a search identifier in order by combining with the app unique code in descending or ascending order from the set channel number. In particular, the slave terminal sets the channel number in the same way as the master terminal. That is, as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sets the channel number in ascending order from '0' to search for another master terminal,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also sets the channel number in ascending order from '0'. In step 909, the controller checks the number found. If the result of the check in step 909 is 0, the process returns to step 908, if two or mor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910, and if on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911. In step 910,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channel numbers, eg, ch 0 and 1, of each of the retrieved identifiers. The user taps the same channel number displayed on the master terminal, for example, ch 1, among the displayed channel numbers. Accordingly,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selects an identifier including the tapped channel number and proceeds to step 911. In step 911, the controller extracts the channel number from the identifier, and then proceeds to step 912. In step 912, the controller extracts the password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channel number from the memory and proceeds to step 913. FIG. In step 913,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pairing request signal to the master terminal. According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master terminal receives a pairing request signal from the slav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extracts a password corresponding to its identifier from the memory. Next, when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compares the extracted password with the received password,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914 to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pairing acceptance signal to the slave terminal. Next, in step 915,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paired with each other perform data communica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이다. 아래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는 페어링을 종료하면, 기존의 네트워크로 복귀할 수 있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reen displayed on the mast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screen displayed on the slav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below, when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ds the pairing, it can return to the existing network.

마스터 단말기의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도 11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시자 화면(1101), 홈 화면(1102) 및 서브 화면(1103)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104)을 탭하게 되면, 터치스크린은 이와 관련한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로 전달하고, 단계 1001에서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표시부를 제어하여 그 실행 화면(1105)을 메인 화면 영역에 표시하게 한다. 이후, 단계 1002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마스터 시작 이벤트 예컨대, 도 11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 시작 아이콘(1106)에 대한 탭을 감지하게 되면, 단계 1003으로 진행한다. 단계 1003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채널번호를 임의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단계 1004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앱 고유코드와 설정된 채널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생성한 후 단계 1005 및 단계 1006으로 진행한다. 단계 1005 및 단계 1006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도 11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를 제어하여 채널번호(1107)를 표시하게 하고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식별자를 브로드 캐스팅하게 한다. 또한, 제어부는 도 11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어링 시도 중임을 나타내는 아이콘(1108)을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식별자와 함께, 보안 설정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브로드 캐스팅하게 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of the master terminal displays the indicator screen 1101, the home screen 1102, and the sub screen 1103 as shown in FIG. 11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When the user taps the application icon 1104, the touch screen transmits a touch event related thereto to the controller, and in step 1001, the controller detects this, executes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and controls the display to display the execution screen 1105. Display in the main screen area. Subsequently, in step 1002, when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detects a tap for the master start event 1106, for example, the master start icon 1106 as shown in FIG. 11B,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1003. In step 1003,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arbitrarily sets a channel number. Next, in step 1004,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generates an identifier including an app unique code and a set channel number, and then proceeds to steps 1005 and 1006. In steps 1005 and 1006, the control unit of the master terminal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channel number 1107 as shown in FIG. 11 (c),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broadcast the identifier. Also, as shown in FIG. 11C,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n icon 1108 indicating that a pairing attempt is being mad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broadcast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o set security together with the identifier.

한편, 단계 1007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표시부를 제어하여 도 12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실행 화면(1201)을 메인 화면 영역에 표시하게 한다. 이후, 단계 1008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슬레이브 시작 이벤트 예컨대, 도 12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레이브 시작 아이콘(1202)에 대한 탭을 감지하게 되면, 단계 1009로 진행한다. 단계 1009에서 제어부는 수신된 식별자들 중에서 앱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검색한다. 다음으로, 단계 1010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검색된 개수를 확인한다. 단계 1009에서의 확인 결과 0개이면 단계 1009로 복귀하고, 2개 이상이면 단계 1011로 진행하며, 1개이면 단계 1012로 진행한다. 단계 1011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도 12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된 다수의 채널번호 예컨대, "EmoLink ch 107"과 "EmoLink ch 305"를 표시하게 한다. 또한, 제어부는 수신된 식별자들 중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Card Game"를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는 온라인 카드 게임을 실행 중인 다른 마스터 단말기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의 명칭 예컨대, Iptime을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마스터 단말기에 표시된 채널번호(1107; 도 11 (c))와 동일한 "EmoLink ch 305"을 탭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EmoLink ch 305"를 선택한 다음 단계 1012로 진행한다.On the other hand, in step 1007,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executes the application and controls the display to display the execution screen 1201 in the main screen area as shown in FIG. Thereafter, when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detects a tap for the slave start event, for example, the slave start icon 1202 as shown in FIG. 12A, in step 1008,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1009. In step 1009, the controller searches for an identifier including an app unique code among the received identifiers. Next, in step 1010,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checks the found number. If the result of the check in step 1009 is 0, the process returns to step 1009, if there are two or mor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011, and if there is on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012. In step 1011,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plurality of received channel numbers, for example, "EmoLink ch 107" and "EmoLink ch 305",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display another application, for example, "Card Game" among the received identifiers. That is, the controller may display another master terminal that is executing the online card game. The controller may also display the name of the access point, for example, Iptime. The user taps "EmoLink ch 305" which is the same as the channel number 1107 (FIG. 11 (c)) displayed on the master terminal. Accordingly,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selects "EmoLink ch 305" and then proceeds to step 1012.

단계 1012에서 제어부는 식별자에서 채널번호를 추출한 다음 단계 1013으로 진행한다. 단계 1013에서 제어부는 추출된 채널번호에 해당되는 패스워드를 메모리에서 추출한 다음 단계 1014로 진행한다. 한편, 이러한 패스워드 추출 과정은 마스터 단말기가 보안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단계 1014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마스터 단말기에게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게 한다. 이에 따라, 마스터 단말기의 무선통신부는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단계 1006에서 브로드 캐스팅된 식별자에 해당되는 패스워드를 메모리에서 추출한다. 다음으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추출된 패스워드와 수신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단계 1015로 진행하여 페어링 수락 신호를 슬레이브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게 된다. 슬레이브 단말기와 페어링을 완료한 후,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제3자와의 페어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별자의 브로드 캐스팅을 중지할 수 있다. 물론,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마스터 단말기는 예컨대 다수의 슬레이브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하고자 할 경우, 식별자의 브로드 캐스팅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단말기와 페어링을 완료한 후,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도 11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어링 완료!"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도 표시부를 제어하여 도 12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어링 완료!"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In step 1012, the controller extracts the channel number from the identifier, and then proceeds to step 1013. In step 1013, the controller extracts the password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channel number from the memory and proceeds to step 1014. On the other hand, such a password extraction process may be omitted, if the master terminal is not secure setting. In step 1014,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pairing request signal to the master terminal. According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master terminal receives a pairing request signal from the slav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extracts the password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broadcast in step 1006 from the memory. Next, when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compares the extracted password with the received password,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1015 to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pairing acceptance signal to the slave terminal. After completing pairing with the slave terminal,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may stop broadcasting the identifier to prevent pairing with the third party. Of course, it is not limited thereto. The master terminal can continue to broadcast the identifier, for example, if it wishes to communicate data with multiple slave terminals. In addition, after completing pairing with the slave terminal,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pairing complete!” As illustrated in FIG.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of the slave terminal may also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pairing complete!"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단계 1016에서, 서로 페어링된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된다. 하나의 예로, 도 11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진 전송 버튼(1109)을 탭하게 되면,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도 11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진 선택 화면(1110)을 표시하게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사진을 선택하고 전송 버튼(1111)을 탭하게 되면,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선택된 사진을 슬레이브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를 제어한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도 11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 상태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사진 전송이 완료되면,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도 11 (h)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 완료!"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도 12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진 수락 버튼(1203)을 탭하게 되면, 사진을 수신하도록 무선통신부를 제어한다. 또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도 12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상태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1017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종료 이벤트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종료 버튼(1112; 도 11 (h))에 대한 탭을 감지하게 되면, 단계 1018로 진행한다. 단계 1018에서 제어부는 이전에 연결되어 있던 네트워크로 복귀한다. 즉,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슬레이브 단말기와의 페어링을 종료하고, 슬레이브 단말기와 페어링 하기 전에 연결되어 있던 네트워크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에 다시 연결한다. 마찬가지로, 단계 1019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종료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단계 1020으로 진행하여 이전에 연결되어 있던 네트워크로 복귀한다.Next, in step 1016,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paired with each other are in data communication. As an example, when the user taps the photo transfer button 1109 as illustrated in FIG. 11E,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photo selection screen as illustrated in FIG. 11F. Display 1110. Next, when the user selects a picture and taps the transmit button 1111,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selected picture to the slav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of the master terminal can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transmission status, as shown in Fig. 11 (g). When the picture transfer is completed,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may display "Transfer complete!" As shown in FIG. 11 (h).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a picture when the user taps the photo accept button 1203 as shown in FIG. Also, as shown in FIG. 12E,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may display the reception state. Next, when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detects a tap for an application termination event, for example, an application termination button 1112 (FIG. 11 (h)),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1018. In step 1018, the control unit returns to the previously connected network. That is, the controller of the master terminal terminates pairing with the slave terminal and reconnects to a network, for example, an access point, which was connected before pairing with the slave terminal. Similarly, when the controller of the slave terminal detects an application termination event in step 1019,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1020 to return to a previously connected network.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The method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terminal for implementing the sam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단말기
110: 입력부 111: 터치스크린
112: 키입력부 120: 표시부
130: 메모리 140: 무선통신부
150: 카메라 160: 제어부
100: terminal
110: input unit 111: touch screen
112: key input unit 120: display unit
130: memory 14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camera 160: control unit

Claims (14)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및
디스플레이된 송신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됨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Executing an application;
Displaying an application including at least one content;
Detecting a touch input for selecting the at least one content; And
And transmitting the at least one selected content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in response to detecting a touch input of the displayed transmission butt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송신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됨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였음을 지시하는 인디케이터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In response to detecting a touch input with respect to the displayed transmission button, transmitting metadata of the at least one content to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And transmitting the at least one content in response to receiving an indicator indicating that the meta data has been receiv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식별자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Generating an identifier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ecuted application; And
And broadcasting the generated identifi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결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전송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전송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ing a connection state wit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ing a transmission status indicating whether the transmission of the selected content is complet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생성된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를 브로드캐스팅 하는 외부 전자 장치를 검색하는 동작;
상기 동일한 식별자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검색이 완료됨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전송하는데 이용될 채널의 채널 번호를 선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Searching for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broadcasting the same identifier as the generated identifier;
And in response to the search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broadcasting the same identifier being completed, selecting a channel number of a channel to be used for transmitting the at least one conten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전송한 비밀 번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채널 번호에 대응하는 비밀 번호를 메모리에서 검색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된 비밀 번호와 상기 검색된 비밀 번호의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Receiving a password transmitted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Retrieving a password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number from a memory; And
And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the selected content based on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received password with the retrieved passwor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페어링된 외부 전자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선택된 외부 전자 장치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Receiving a user input of selecting at least on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mong the paired external electronic devices; And
And transmitting the selected content to the selected external electronic device.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갖는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디스플레이된 송신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됨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In an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module;
A display for displaying an application having at least one content; And
Includes a processor,
The processor is
Run the application,
Detect a touch input for selecting the at least one content,
The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transmit the at least one selected content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in response to detecting a touch input of the displayed transmission button.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송신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됨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였음을 지시하는 인디케이터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cessor is
In response to the touch input of the displayed transmission button being detected, transmitting metadata of the at least one content to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in response to receiving an indicator indicating that the metadata has been received, transmitting the at least one content to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식별자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cessor is
Generating an identifier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ecuted application,
And control the communication module to broadcast the generated identifi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결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전송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전송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cessor is
Displays a connection status wit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a transmission state indicating whether the transmission of the selected content is complete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성된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를 브로드캐스팅 하는 외부 전자 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동일한 식별자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검색이 완료됨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전송하는데 이용될 채널의 채널 번호를 선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cessor is
Search for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broadcasting the same identifier as the generated identifier,
And in response to a search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broadcasting the same identifier being completed, selecting a channel number of a channel to be used for transmitting the at least one content.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전송한 비밀 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채널 번호에 대응하는 비밀 번호를 메모리에서 검색하고,
상기 수신된 비밀 번호와 상기 검색된 비밀 번호의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cessor is
Receiving a password transmitted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Retrieve the password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number from the memory,
And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the selected content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received password with the retrieved password.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페어링된 외부 전자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외부 전자 장치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cessor is
Receive a user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on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mong the paired external electronic devices,
The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transmit the selected content to the selected external electronic device.
KR1020180021135A 2018-02-22 2018-02-22 Method for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KR1020267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35A KR102026709B1 (en) 2018-02-22 2018-02-22 Method for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35A KR102026709B1 (en) 2018-02-22 2018-02-22 Method for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211A Division KR101833454B1 (en) 2011-06-14 2011-06-14 Method for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436A Division KR102056124B1 (en) 2019-09-16 2019-09-16 Method for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748A KR20180022748A (en) 2018-03-06
KR102026709B1 true KR102026709B1 (en) 2019-09-30

Family

ID=61727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135A KR102026709B1 (en) 2018-02-22 2018-02-22 Method for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70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375B1 (en) * 2018-11-02 2024-03-12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for sharing screen using inaudible sound and apparatus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03197A1 (en) 2008-05-02 2009-12-10 Bonczek Bryan S Touch sensitive video signal display for a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US20100070767A1 (en) 2005-11-03 2010-03-1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secured direct link set-up (DLS) for wireless networks
EP2261793A2 (en) 2009-06-09 2010-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with intuitively displayed content transmission direc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US20110076948A1 (en) * 2009-03-03 2011-03-31 E3 Ll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formation of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WO2011056044A2 (en) 2009-11-09 2011-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i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d-hoc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003B1 (en) * 2001-10-31 200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Data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0767A1 (en) 2005-11-03 2010-03-1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secured direct link set-up (DLS) for wireless networks
US20090303197A1 (en) 2008-05-02 2009-12-10 Bonczek Bryan S Touch sensitive video signal display for a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US20110076948A1 (en) * 2009-03-03 2011-03-31 E3 Ll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formation of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EP2261793A2 (en) 2009-06-09 2010-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with intuitively displayed content transmission direc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WO2011056044A2 (en) 2009-11-09 2011-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i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d-hoc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748A (en) 201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2524B2 (en)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101156321B1 (en) Method, system and mobile device for prioritizing a discovered device list
KR101784898B1 (en) Near field communication-base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EP26908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a call in an electronic device
JP2017503285A (en) Upgrade method, apparatus, facility,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2026709B1 (en) Method for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US201201098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sns information
KR102056124B1 (en) Method for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CN105631303B (en) Method for acquiring data, providing data and realizing search and electronic terminal thereof
KR10209940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KR20180063909A (en) Keyphone system and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KR20180084018A (en) Keyphone system and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KR20150027667A (en) Mobile terminal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ontents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