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774B1 -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774B1
KR102024774B1 KR1020170139189A KR20170139189A KR102024774B1 KR 102024774 B1 KR102024774 B1 KR 102024774B1 KR 1020170139189 A KR1020170139189 A KR 1020170139189A KR 20170139189 A KR20170139189 A KR 20170139189A KR 102024774 B1 KR102024774 B1 KR 102024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gas
layer
nozzle
pressur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6068A (ko
Inventor
이상열
오정은
봉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트리
Priority to KR1020170139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7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46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1Pretreatment of the gases prior to electrostatic precipitation
    • B03C3/014Addition of water; Heat exchange, e.g.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19Post-treatment of gases

Landscapes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통전에 의한 단락이나 감전 등의 전기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액체 공급구조를 개선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킨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는, 가스유동로가 형성된 챔버, 챔버 내 배치된 노즐, 노즐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체를 하전하고 무화(霧化)시키는 전원부, 액체가 충전된 액체층과, 액체를 도입하는 액체공급구와, 액체공급구와 액체층 사이의 공간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구와, 기체의 압력으로 액체공급구와 액체층을 분리하고 액체층의 수위를 조절하는 가압기체층을 포함하는 압력탱크, 및 액체층과 노즐의 사이에 연결되어 노즐로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주입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Pollutant treating apparatus using electrospray}
본 발명은 정전분무 방식으로 액체를 분사하여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전에 의한 단락이나 감전 등의 전기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액체 공급구조를 개선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염물질이 포함된 가스는 다양한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가스 내 함유된 오염물질의 종류나 크기 등에 대응하여 보다 적합한 처리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는 다공질 필터를 이용한 물리적 처리방식이나, 전기력으로 포집하는 방식, 가스를 액체와 접촉시켜 처리하는 습식 스크러빙 등의 처리방식이 알려져 있다.
상대적으로 최근에 개발된 처리방식 중 하나로는 정전분무를 이용한 처리방식이 있다. 정전분무(electrospray/electrostatic spray)는 액체의 분사점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이로부터 유도된 전위차로 액체를 액적으로 분산시키는 기술이다(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6042호 등 참조). 정전분무 방식으로 생성된 액적은 보다 미세하게 분사되며 하전되어 전기력을 띠게 되므로 오염물질 입자 등의 포집 능력이 크게 향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정전분무 방식으로 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고압전원과 액체의 공급로 등이 함께 필요하다. 따라서 예상치 못한 경로로 전류가 흐르거나 통전되어 단락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기기가 파손될 수도 있고 사람이 감전되는 등의 위험상황이 초래될 수도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나 적절한 해결책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6042호, (2006. 07.31), 도 2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통전에 의한 단락이나 감전 등의 전기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액체 공급구조를 개선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는, 내부에 가스유동로가 형성된 챔버; 상기 챔버 내 배치된 노즐; 상기 노즐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로 토출되는 액체를 하전하고 무화(霧化)시키는 전원부; 상기 액체가 충전된 액체층과, 상기 액체를 내부로 도입하는 액체공급구와, 상기 액체공급구와 상기 액체층 사이의 공간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구와, 상기 기체의 압력으로 상기 액체공급구와 상기 액체층을 분리하고 상기 액체층의 수위를 조절하는 가압기체층을 포함하는 압력탱크; 및 상기 액체층과 상기 노즐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노즐로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주입관을 포함한다.
상기 압력탱크는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는, 상기 압력탱크의 내벽에 소수성물질(疏水性物質)로 코팅되어 상기 액체를 자중에 의해 상기 액체층으로 귀환시키는 표면회수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는, 상기 압력탱크의 상기 기체공급구에 연결되어 상기 기체를 주입하는 컴프레서, 및 상기 압력탱크의 상기 가압기체층을 외부와 연통시켜 상기 가압기체층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는, 상기 압력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액체층의 수위 및 상기 가압기체층의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는, 상기 측정모듈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액체 및 상기 기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압력탱크로 입출하는 제어를 하여, 상기 액체층 및 상기 가압기체층의 크기를 제한된 범위 내로 조정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는, 상기 액체공급구와 외부의 액체도입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액체공급구와 상기 액체도입관의 접촉을 막는 연결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는, 상기 액체공급구를 통한 상기 액체의 유동이 차단된 후에, 상기 압력탱크의 상기 가압기체층의 압력을 변화시켜 상기 액체층의 상기 액체를 상기 노즐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압력탱크는 복수 개가 상기 액체주입관을 통해 상기 노즐에 병렬로 접속되고, 복수 개의 상기 압력탱크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노즐로 상기 액체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상기 가스유동로를 통과하는 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액체를 토출하며, 복수 개로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는 상기 챔버의 중앙에 위치하는 가스유입구와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는, 상기 챔버 내 상기 액체의 토출방향으로 상기 노즐과 이격되어 배치된 데미스터(demis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의 액체 공급경로와 전류경로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불필요하거나 예상치 못한 통전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액체 분사점에 원활하게 전압을 인가하여 정전분무가 가능한 동시에 불필요한 통전은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단락이나 감전 등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사고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면서 안정적으로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의 안전성을 강화하고 보다 안정적, 효율적으로 오염물질을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의 압력탱크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의 유체 제어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의 압력탱크의 작동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1의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의 챔버의 구조 및 오염물질처리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의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정전분무식 오염물질 처리장치는 오염물질을 정전분무에 의해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 때 오염물질은 '대기오염물질' 등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대기오염물질은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는 물질로, 가스상물질 및 입자상물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가스상물질은 물질이 연소, 합성, 분해될 때에 발생하거나 물리적 성질로 인하여 발생하는 기체상태의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입자상물질은 물질이 파쇄, 선별, 퇴적, 이적될 때, 그 밖에 기계적으로 처리되거나 연소, 합성, 분해될 때에 발생하는 고체상태 및/또는 액체상태의 물질일 수 있다. 또한, 대기오염물질은 넓게는 온실가스와 같은 기후/생태계 변화유발물질도 포함할 수 있다. 온실가스는 적외선 복사열을 흡수하거나 다시 방출하여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대기 중의 가스상태 물질로서,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수소불화탄소, 과불화탄소, 및 육불화황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대기오염물질을 예시하면, 입자상물질, 브롬 및 그 화합물, 알루미늄 및 그 화합물, 바나듐 및 그 화합물, 망간화합물, 철 및 그 화합물, 아연 및 그 화합물, 셀렌 및 그 화합물, 안티몬 및 그 화합물, 주석 및 그 화합물, 텔루륨 및 그 화합물, 바륨 및 그 화합물, 일산화탄소, 암모니아,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황화수소, 화화메틸, 이황화메틸, 메르캅탄류, 아민류, 사염화탄소, 이황화탄소, 탄화수소, 인 및 그 화합물, 붕소화합물, 아닐린, 벤젠, 스틸렌, 아크롤레인, 카드뮴 및 그 화합물, 시안화물, 납 및 그 화합물, 크롬 및 그 화합물, 비소 및 그 화합물, 수은 및 그 화합물, 구리 및 그 화합물, 염소 및 그 화합물, 불소화물, 석면, 니켈 및 그 화합물, 염화비닐, 다이옥신, 페놀 및 그 화합물, 베릴륨 및 그 화합물, 프로필렌옥사이드, 폴리염화비페닐, 클로로포름,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벤지딘, 1,3-부타디엔,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류, 에틸렌옥사이드, 디클로로메탄, 테트라클로로에틸렌, 1,2-디클로로에탄, 에틸벤젠, 트리클로로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 히드라진, 아세트산비닐, 비스(2-에틸헥실)프탈레이트, 디메틸포름아미드,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수소불화탄소, 과불화탄소, 및 육불화황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본 발명의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의 처리대상이 되는 오염물질은 정전분무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의 압력탱크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1)는 압력탱크(10)와 압력탱크(10)에 연결된 노즐(30)이 배치된 챔버(2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노즐(30)에는 전원부(40)가 연결되어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챔버(20)내 배치된 노즐(30)에 전압을 인가하여 노즐(30)로 토출되는 액체를 하전하고 무화(霧化)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처리대상 가스(즉, 오염물질을 함유한 가스)는 챔버(20) 내부를 통과하며 처리된다.
이때 노즐(30)은 액체의 공급경로 상에 배치되고 노즐(30)과 연결된 압력탱크(10)로부터 액체를 공급받는다. 특히, 압력탱크(10)는 내부에 가압기체층(10b)을 형성하여 액체가 충전된 액체층(10a)을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공급구(11)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즉, 압력탱크(10)는 액체 공급경로 상에서 노즐(30)로 액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내부의 가압기체층(10b)으로 액체 공급경로 일부[액체층(10a)과 액체공급구(11)의 사이]를 분리하여 전기적으로 완전히 절연시킨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액체 공급경로[또는 액체 자체]를 통한 예상치 못한 통전이나 그로 인한 단락, 감전 등의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1)는 표면회수층(도 2의 10c참조)을 이용하여 압력탱크(10) 내부의 액면이 변동되거나 외부에서 액체가 공급되어 액체가 비산하는 경우에도 이를 즉시 액체층(10a)으로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탱크 내면에 부착된 액체를 따라 불필요한 전류 경로가 형성되는 것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압력탱크(10)를 절연체로 형성하여 통전 가능성을 크게 낮출 수 있고, 가압기체층(10b)이 형성된 복수 개의 압력탱크(10)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각 압력탱크(10)로 절연상태를 유지하면서 노즐(30)로는 연속적으로 액체를 공급하는 이점도 가지고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1)는 예상치 못한 통전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보다 원활한 정전분무가 가능한 여러 가지 구성적, 구조적 특징들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1)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1)는 내부에 가스유동로(20a)가 형성된 챔버(20), 챔버(20) 내 배치된 노즐(30), 노즐(30)에 전압을 인가하여 노즐(30)로 토출되는 액체를 하전하고 무화(霧化)시키는 전원부(40), 액체가 충전된 액체층(10a)과, 액체를 내부로 도입하는 액체공급구(11)와, 액체공급구(11)와 액체층(10a) 사이의 공간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구(12)와, 기체의 압력으로 액체공급구(11)와 액체층(10a)을 분리하고 액체층(10a)의 수위[액체층(10a)의 액면 높이를 말한다]를 조절하는 가압기체층(10b)을 포함하는 압력탱크(10), 및 액체층(10a)과 노즐(30)의 사이에 연결되어 노즐(30)로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주입관(140)을 포함한다.
압력탱크(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또는 기체를 입출할 수 있는 입출구가 형성되며 나머지 부분은 밀폐된다. 압력탱크(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압력탱크(10)를 하나 이상 배치할 수 있다. 즉, 압력탱크(10)는 복수 개가 액체주입관(140)을 통해서 노즐(30)에 병렬로 접속되고, 복수 개의 압력탱크(10)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노즐(30)로 액체가 공급될 수 있다. 액체주입관(140)은 서로 다른 압력탱크(10)와 연결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분기될 수 있다. 그러나 압력탱크(10)의 형상이나 배치가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그에 알맞은 적절한 형상이나 배치로 변경 가능하다.
압력탱크(10)는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압력탱크(10) 내부에 액체가 충전되어 있고 액체를 통해 예상치 못한 전류경로가 형성되더라도 액체가 압력탱크(10)와 접촉하는 지점에서 전류가 차단된다. 압력탱크(10)는 그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가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절연체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될 필요는 없다. 압력탱크(10)의 내부에는 액체가 충전된 액체층(10a) 및 기체가 충전된 가압기체층(10b)을 수용가능한 빈 공간이 형성되며, 빈 공간은 액체공급구(11), 기체공급구(12), 기체배출구(13), 액체배출구(14) 등과 연결된다. 특히, 액체공급구(11)와 액체배출구(14)는 각각 압력탱크(10)의 상부 및 하부에 완전히 분리되어 배치된다.
이때 액체층(10a)을 형성하는 액체는 물일 수 있으며 가압기체층(10b)을 형성하는 기체는 공기일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액체는 물 또는 물이 아닌 액상의 물질이 될 수도 있고 물과 다른 물질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기체 역시 공기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그 밖의 다른 기상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체 역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물질이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층(10a)은 압력탱크(10) 내 액체가 충전되어 형성된다. 액체층(10a)은 액체의 자중에 의해 압력탱크(10) 하부로부터 층을 이루어 형성되고 액체공급구(11)는 이와 분리되어 압력탱크(10) 상부에 배치된다. 액체공급구(11)는 액체도입관(110)을 통해 액체를 유입하여 압력탱크(10) 내부에 공급하는 통로이나 액체가 공급된 직후에는 제1조절밸브(111) 등을 제어함으로써 액체공급구(11)를 통한 액체 유동은 중단시킬 수 있다.
기체공급구(12)는 액체공급구(11)와 액체층(10a) 사이의 공간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기체공급구(12) 역시 압력탱크(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기체공급구(12)를 통해 공급된 기체는 액체공급구(11)와 액체층(10a)의 사이에 채워지며 압력이 증가되어 기체의 압력으로 액체층(10a)의 수위를 조절하여 액체공급구(11)와 액체층(10a)을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액체공급구(11)와 액체층(10a) 사이의 공간으로 기체를 공급하여 기체의 압력으로 액체공급구(11)와 액체층(10a)을 분리하고 액체층(10a)의 수위를 조절하는 가압기체층(10b)을 형성할 수 있다. 압력탱크(10)의 기체공급구(12)에는 기체를 주입하는 컴프레서(16)가 연결되고, 기체배출구(13)에는 압력탱크(10)의 가압기체층(10b)을 외부와 연통시켜 가압기체층(10b)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관(130)을 연결할 수 있다. 컴프레서(16)와 압력조절관(130)을 이용하여 압력탱크(10) 내 기체를 입출하며 기체 압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컴프레서(16)와 기체공급구(12)를 연결하는 기체공급관(120)에는 제2조절밸브(121)를 설치하고, 기체배출구(13)와 압력탱크(10) 외부를 연결하는 압력조절관(130)에는 제3조절밸브(131)를 설치하여 각각의 관로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조절밸브(111)는 액체도입관(110) 측에 설치하고, 후술하는 제4조절밸브(141)는 액체주입관(140) 측에 설치하여 액체도입관(110)과 액체주입관(140) 역시 개폐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들을 제어하여 각각의 관로를 개폐하는 방식으로 액체층(10a)에 액체를 공급하고, 압력탱크(10) 내 기체를 주입하여 가압기체층(10b)을 형성하고, 압력탱크(1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거나 액체를 압력탱크(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밸브들의 배치 역시 예시적인 것이므로 이와 같이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다.
압력탱크(10)의 내벽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회수층(10c)이 형성된다. 표면회수층(10c)은 압력탱크(10) 내벽에 소수성물질(疏水性物質)로 코팅되어 액체를 자중에 의해 액체층(10a)으로 귀환시킬 수 있다. 즉, 압력탱크(10) 내부로 공급되는 액체는 압력탱크(10) 상부의 액체공급구(11)로부터 낙하하여 비산되거나, 액체층(10a)의 수위가 바뀜으로써 압력탱크(10) 내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의 부착물이 압력탱크(10) 내 잔존하면 전류의 이동이 가능한 경로를 형성할 수도 있으므로 이들을 표면회수층(10c)을 통해 액체층(10a)으로 회수하여 예기치 못한 통전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표면회수층(10c)을 형성하는 소수성물질은 예를 들어 기름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로써 한정되지 않으며 물 등 액상 물질의 부착이 어려운 것인 한 제한되지 않는다.
압력탱크(10)의 상부에는 연결블록(15)이 형성된다. 연결블록(1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공급구(11)와 외부의 액체도입관(110) 사이에 연결되어 액체공급구(11)와 액체도입관(110)의 접촉을 막는다. 즉, 액체공급구(11)는 연결블록(15)을 경유하여 액체도입관(110)에 연결되며 액체도입관(110)과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역시 액체공급구(11)가 형성된 압력탱크(10)와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경로인 액체도입관(110)의 사이를 분리하고 액체 공급경로를 통한 통전 등을 차단할 수 있다. 연결블록(15)은 예를 들어, 내부에 액체도입관(110)과 액체공급구(11)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로(도 2의 151참조) 등이 형성된 다기관(manifold)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기전도도가 낮은 금속이나 절연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블록(15)의 형태 역시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른 형태로도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압력탱크(10)의 하부에는 액체를 배출하는 액체배출구(14)가 형성되며 액체배출구(14)는 액체주입관(140)과 연결된다. 액체층(10a)의 액체는 액체주입관(140)을 통해서 노즐(도 1의 30참조)로 공급된다. 즉, 압력탱크(10)의 액체층(10a)은 상방의 가압기체층(10b)에 의해 액체 공급경로[액체공급구(11), 액체도입관(110) 등]에서 분리되어 절연 상태를 유지하며 액체주입관(140)을 통해서만 노즐(30)과 연결된다. 따라서 액체층(10a)과 액체주입관(140) 상의 액체는 실질적으로 노즐(30)에 인가되는 전압과 등전위를 유지하게 되어 액체층(10a) 등을 통한 역전류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액체주입관(140) 역시 절연체로 형성하여 외부에서 도체 등이 접촉하는 경우에도 전위가 변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탱크(10) 자체가 절연체로 형성되어 통전을 방지하는 구조이고, 압력탱크(10) 내벽의 표면회수층(10c)으로 압력탱크(10) 내부에 액체 방울 등이 부착되는 것을 막고 이들을 액체층(10a)으로 회수할 수 있는바 액체 또는 액체 공급경로를 통한 불필요한 통전 등이 매우 효과적으로 차단된다.
액체주입관(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층(10a)과 노즐(30)의 사이에 연결되어 압력탱크(10)의 액체를 노즐(30)로 공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체주입관(140)에 형성된 제4조절밸브(141)를 제어하여 액체주입관(140)을 개폐할 수 있고, 그 외 제1조절밸브(111), 제2조절밸브(121), 제3조절밸브(131) 등을 제어하여 액체도입관(110), 기체공급관(120), 압력조절관(130) 등을 개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액체층(10a)의 수위나 가압기체층(10b)의 압력 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압력탱크(10)의 내부에는 액체층(10a)의 수위 및 가압기체층(10b)의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모듈(17)을 형성하여 측정모듈(17)의 측정값에 따라 액체 및 기체 중 적어도 하나를 압력탱크(10)로 입출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특히 이를 통해서 액체층(10a) 및 가압기체층(10b)의 크기를 제한된 범위 내로 조정하는 등의 보다 효과적인 조작이 가능하다. 측정모듈(17)은 액체층(10a)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수위계와 압력탱크(10) 내부의 압력을 측정가능한 압력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위계와 압력계가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측정모듈(17)은 수위 측정을 위한 기계식 또는 전자식 측정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압력 측정을 위한 전자식 또는 기계식 센서와 부가장치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의 유체 제어구조 및 그와 관련된 압력탱크(10)의 작동과정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의 유체 제어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의 압력탱크의 작동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모듈(17)과 제1조절밸브(111), 제2조절밸브(121), 제3조절밸브(131), 제4조절밸브(141), 및 컴프레서(16)를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제어모듈(50)을 형성할 수 있다. 제어모듈(50)은 전자식 제어장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이 가능한 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 등을 제어모듈(50)로 사용할 수 있다. 제어모듈(50)은 측정모듈(17) 및 각 조절밸브들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모듈(50)은 측정모듈(17)의 측정값에 따라 액체 및 기체 중 적어도 하나를 압력탱크(도 1 및 도 2의 10참조)로 입출하는 제어를 할 수 있고, 특히 액체층(도 1 및 도 2의 10a참조) 및 가압기체층(도 1 및 도 2의 10b참조)의 크기를 제한된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에도 액체층(10a)의 액체를 노즐(도 1의 30참조)로 공급하거나 노즐(30)로의 액체 공급은 중단하고 압력탱크(10) 내부에 액체를 채우는 등의 제어를 제어모듈(50)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모듈(50)의 제어를 통해서 압력탱크(1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탱크(10) 내부에 액체(A) 및 기체(B)를 유입하여 액체층(10a)과 가압기체층(10b)을 형성할 수 있다. 제4조절밸브(141)를 제어하여 액체주입관(140)은 폐쇄하고, 제1조절밸브(111)를 제어하여 액체도입관(110)은 개방함으로써, 액체공급구(11)를 통해 액체(A)를 압력탱크(10) 내부로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컴프레서(16)를 작동시켜 기체를 펌핑하고, 제2조절밸브(121)를 제어하여 기체공급관(120)을 개방함으로써 기체공급구(12)를 통해 기체(B)를 압력탱크(10) 내부로 주입할 수 있다. 내부 압력을 신속하게 상승시키기 위해 제3조절밸브(131)를 제어하여 압력조절관(130)은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낙하하는 액체(A)나 액체(A)가 액체층(10a)에 충돌되어 비산하는 파편들이 압력탱크(10) 내벽까지 도달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소수성물질로 이루어진 표면회수층(10c)의 회수작용으로 액체(A)는 액체층(10a)으로 즉각 회수된다. 따라서 액체층(10a)이 하부에, 가압기체층(10b)이 상부에 층을 이루어 형성되고 가압기체층(10b)에 의해 액체층(10a)과 액체공급구(11)는 서로 완전히 분리된다. 이러한 과정은 압력탱크(10) 내부로 액체(A)와 기체(B)를 시간차를 두고 공급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도 있고, 액체(A)와 기체(B)를 동시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액체층(10a)과 가압기체층(10b)을 형성하는 동안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조절밸브(131)를 제어하여 압력조절관(130)을 개방하고 가압기체층(10b)의 압력을 보다 유연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압력 조절과정을 통해 예를 들어 가압기체층(10b)과 액체층(10a)이 교환하는 압력이 평형 상태에 도달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1조절밸브(111)를 제어하여 액체도입관(110)은 폐쇄할 수 있고, 액체주입관(140) 역시 폐쇄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제4조절밸브(141)를 제어하여 액체주입관(140)의 일부를 개방하고 액체층(10a)의 수위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액체(A) 및 기체(B) 중 적어도 하나를 압력탱크(10)로 입출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측정모듈(17)의 수위측정값 및 압력측정값에 따라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액체(A) 공급량과 기체(B) 공급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가압기체층(10b)과 액체층(10a)의 압력이 적정 수준에서 평형을 이루도록 하고 액체층(10a)의 과도한 상승을 막아 액체층(10a) 및 가압기체층(10b)의 크기를 제한된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층(10a)이 일정 높이를 초과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가압기체층(10b)과 압력의 평형을 이루도록 제어하여, 액체층(10a)의 부피에 대한 가압기체층(10b)의 부피비가 설정된 비율 미만으로 감소하지 않도록 조정하고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액체층(10a)과 액체공급구(11) 사이에 충분한 양의 기체(B)를 충전시켜 액체층(10a)의 액면 등에 유동이 발생하더라도 액체공급구(11) 등으로 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체층(10a)과 가압기체층(10b)의 크기를 제한된 범위 내로 조정함으로써 가압기체층(10b)을 이용한 보다 효과적인 절연이 가능하다.
한편, 이와 같이 액체층(10a)과 가압기체층(10b)이 형성된 압력탱크(10)는 가압기체층(10b)에 의해 절연된 상태가 되므로 액체층(10a)의 액체(A)를 안전하게 노즐(도 1의 30참조)로 공급할 수 있다. 즉, 도 5의 (a)와 같이 제1조절밸브(111)를 제어하여 액체도입관(110)이 폐쇄되면 액체공급구(11)를 통한 액체(A) 유동은 차단되며 이와 같이 액체공급구(11)를 통한 액체(A) 유동이 차단된 후에, 압력탱크(10)의 가압기체층(10b)의 압력을 변화시켜 액체층(10a)의 액체(A)를 노즐(3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4조절밸브(141)를 조절하여 액체주입관(140)은 개방하고, 컴프레서(16)에서 펌핑되는 기체(B)의 공급량을 늘려 가압기체층(10b)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체층(10a)의 액체(A)가 액체배출구(14)를 통해 액체주입관(140)으로 배출되면 도 5의 (b)와 같이 액체층(10a)의 수위가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측정모듈(17)의 압력 측정값에 따라 기체(B) 공급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컴프레서(16)를 제어하여 기체(B)의 공급량을 가감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조절밸브(131)를 제어하여 압력조절관(130)을 개방하고 기체(B) 일부를 배기하며 내부 압력을 보다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압력 평형을 유지하면서 노즐(30)로 공급되는 액체(A)의 양을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가압기체층(10b)으로 절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압력탱크(10) 내부의 액체(A)를 노즐(30)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챔버의 구조, 노즐의 배치, 및 정전분무를 통한 오염물질 처리과정 등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1의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의 챔버의 구조 및 오염물질처리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챔버(20)는 내부에 가스유동로(20a)가 형성되어 있어 가스(도 8의 C참조)를 통과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챔버(20) 내 노즐(30)이 배치된다. 가스(C)는 오염물질을 함유한 가스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탱크(도 4 및 도 5의 10참조)에서 배출된 액체를 노즐(30)로 공급하고 노즐(30)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챔버(20) 내부에서 액체를 하전하고 미세한 액적 형태로 무화(霧化)시킬 수 있다.
챔버(20)는 가스 입출구를 갖는 밀폐된 하우징과 갖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챔버(20)는 일 측으로 가스(C)를 유입하여 타 측으로 배출하며 내부의 가스유동로(20a)로 가스를 통과시킨다. 챔버(20)는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내부에 가스유동로(20a)로 기능하는 빈 공간이 형성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챔버(20)는 기존의 오염물질이 함유된 가스가 유동하는 유동통로 또는 유동공간의 적어도 일부일 수도 있다. 챔버(20)는 가스 유입측에 가스유입구(21)가 형성되고 배출측에는 가스배출구(22)가 형성되며 가스유입구(21)와 가스배출구(22)는 내부의 가스유동로(20a)와 연결된다. 가스유입구(21)는 챔버(20) 외측에서 가스(C)를 챔버(20) 내부로 도입하는 가스도입관(도 9 및 도 10의 210참조)과 연결되어 가스(C)를 공급받을 수 있다. 챔버(20) 하부에는 챔버(20) 내 분무된 액적의 응축액 등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관(23)이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관(23)은 드레인밸브(231)를 조절하여 개폐할 수 있다.
노즐(30)은 이러한 챔버(20)의 내부에 설치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30)을 챔버(20)의 가스유동로(20a) 내 가스 유입측에 설치할 수 있다. 노즐(30)은 도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부(40)와 결선되어 전압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전원부(40)는 고전압을 인가 가능한 전압 발생장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노즐(30)에 전압을 인가하여 노즐(30)로 토출되는 액체를 하전하고 무화(霧化)시킬 수 있다. 즉, 노즐(30)과 노즐(30)에 연결된 전원부(40)를 이용하여 챔버(20) 내 전계를 형성하고 전기력으로 액체를 하전시켜 액적 형태로 분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30)의 단부에는 고전압을 인가하고, 후술하는 데미스터(24) 측은 접지하여 챔버(20)내 정전분무가 가능한 전계를 형성할 수 있다.
노즐(30)은 가스유동로(20a)를 통과하는 가스(도 8의 C참조)의 유동방향으로 액체를 토출한다. 즉, 가스(C)는 챔버(20)의 가스유입구(21)로부터 가스배출구(22)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하며 노즐(30)은 이러한 가스(C)의 유동방향으로 액체를 토출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가스(C)와 하전된 액적이 같은 방향으로 유동하며 보다 용이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다. 특히, 노즐(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는 챔버(20)의 중앙에 위치하는 가스유입구(21)와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20) 내 설치된 서포트바(31)에 복수 개의 노즐(30)을 고정하여 서포트바(31)의 서로 다른 위치에 노즐(30)을 병렬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스(C)의 유동방향으로 챔버(20) 전체에 액적을 고르게 분무할 수 있다. 특히, 가스유입구(21)와 중첩된 노즐(30)로 액적을 유입된 가스(C)와 보다 효과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챔버(20)로 유입된 가스(C)는 이와 같이 분무된 액적과 충돌하거나 액적의 전기력에 의해 상호작용하여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포집되고 처리된다.
서포트바(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20)의 횡단면을 가로질러 교차 배열될수 있다. 서포트바(31)의 교차점은 챔버(20)의 가스유입구(21)와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바(31)의 교차점을 포함하는 각 부위에 복수 개의 노즐(30)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챔버(20)의 노즐(30) 반대편에는 데미스터(demister)가 설치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20) 내 액체의 토출방향으로 노즐(30)과 이격되어 배치된 데미스터(demister)(24)를 형성할 수 있다. 데미스터(24)는 챔버(20)의 가스 배출측에 노즐(30)과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액적과의 상호 작용으로 가스(C) 내 함유된 수분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즉, 정전분무로 생성한 액적으로 가스(C) 내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이로부터 다시 데미스터(24)를 이용하여 액적을 제거함으로써 정화된 가스(C)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데미스터(24)는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경사판과의 관성 충돌 등에 의해 수분이 제거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챔버(20) 내 설치된 노즐(30)로 액체를 분무하며 가스(C) 내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특히, 전기력으로 액체를 무화시키기 위해 노즐(30)이 전원부(40)에 접속되어 있더라도 노즐(30)로 액체를 공급하는 압력탱크(도 4 및 도 5의 10참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기체층(도 4 및 도 5의 10b참조)에 의해 액체층(도 4 및 도 5의 10a참조)과 액체 공급경로[액체공급구(11), 액체도입관(110) 등]가 서로 분리되어 완전히 절연되므로 불필요하거나 예상치 못한 전류경로의 생성을 차단하고 안전하게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 전체의 작동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1)는 압력탱크(10)에 액체(A)를 저장하였다가 이를 액체주입관(140)을 통해 챔버(20) 내 노즐(30)로 공급한다. 전술한 것처럼 압력탱크(10)는 액체도입관(110) 등 외부의 액체 공급경로와 연결되어 액체(A)를 공급받을 수 있으나, 내부의 액체층(10a)과 액체공급구(11) 사이에 기체(B)를 주입하여 가압기체층(10b)을 형성하고 유지함으로써, 액체층(10a)의 액체(A)를 액체 공급경로에서 분리하고 효과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또한, 압력탱크(10) 자체가 절연체로 형성되어 통전을 방지하도록 되어있고, 압력탱크(10) 내벽의 표면회수층(10c)으로는 압력탱크(10) 내부에 액체 방울 등의 부착을 막고 액체층(10a)으로 회수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액체 또는 액체 공급경로를 통한 예상치 못한 통전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그로 인한 단락이나 감전 등의 안전사고에 효과적으로 대비하며 안전하게 정전분무를 진행하고 가스(C) 내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압력탱크(10)의 구체적인 작동과정, 챔버(20) 내에서 액체를 무화시켜 가스를 처리하는 처리과정 등은 전술한 바와 같다.
특히 압력탱크(1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를 병렬로 배치하여 복수 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압력탱크(10)로부터 노즐(30)로 액체(A)를 공급하며 가스(C)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의 좌측에 위치하는 압력탱크(10)로는 전술한 도 5의 과정을 통해 액체주입관(140)으로 액체(A)를 배출하고, 도 9의 우측에 위치하는 압력탱크(10)로는 전술한 도 4의 과정을 통해 내부로 액체(A)를 공급하여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역으로 진행하여 도 10의 좌측에 위치하는 압력탱크(10)로는 전술한 도 4의 과정을 통해 내부로 액체(A)를 공급하여 충전하고, 도 10의 우측에 위치하는 압력탱크(10)로는 전술한 도 5의 과정을 통해 액체주입관(140)으로 액체(A)를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번갈아 진행함으로써 외부의 액체 공급경로로부터 액체(A)를 공급받는 압력탱크(10)[도 9의 우측 및 도 10의 좌측에 위치하는 압력탱크(10)]는 액체(A)를 내부에 저장할 뿐 노즐(30)로 배출하지 못하도록 하여 액체(A)를 통한 통전 가능성은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외부의 액체 공급경로로부터 액체(A) 공급이 중단되고 가압기체층(10b)에 의해 절연상태가 유지된 압력탱크(10)[도 9의 좌측 및 도 10의 우측에 위치하는 압력탱크(10)]만을 이용하여 노즐(30)로 안전하게 액체(A)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나 액체 공급경로를 통한 예상치 못한 통전이나 그로 인한 단락, 감전 등의 사고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며 장치를 안정적으로 구동하여 가스(C)를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 10: 압력탱크
10a: 액체층 10b: 가압기체층
10c: 표면회수층 11: 액체공급구
12: 기체공급구 13: 기체배출구
14: 액체배출구 15: 연결블록
16: 컴프레서 17: 측정모듈
20: 챔버 20a: 가스유동로
21: 가스유입구 22: 가스배출구
23: 드레인관 24: 데미스터
30: 노즐 31: 서포트바
40: 전원부 50: 제어모듈
110: 액체도입관 111: 제1조절밸브
120: 기체공급관 121: 제2조절밸브
130: 압력조절관 131: 제3조절밸브
140: 액체주입관 141: 제4조절밸브
151: 연결로 210: 가스도입관
231: 드레인밸브
A: 액체 B: 기체
C: 가스

Claims (11)

  1. 내부에 가스유동로가 형성된 챔버;
    상기 챔버 내 배치된 노즐;
    상기 노즐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로 토출되는 액체를 하전하고 무화(霧化)시키는 전원부;
    상기 액체가 충전된 액체층과, 상기 액체를 내부로 도입하는 액체공급구와, 상기 액체공급구와 상기 액체층 사이의 공간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구와, 상기 기체의 압력으로 상기 액체공급구와 상기 액체층을 분리하고 상기 액체층의 수위를 조절하는 가압기체층을 포함하는 압력탱크; 및
    상기 액체층과 상기 노즐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노즐로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주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액체공급구는 상기 액체층과 분리되어 상기 압력탱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압력탱크의 내벽에 소수성물질(疏水性物質)로 코팅되어 상기 액체를 자중에 의해 상기 액체층으로 귀환시키는 표면회수층, 및
    상기 압력탱크의 상기 가압기체층을 외부와 연통시켜 상기 가압기체층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관을 더 포함하는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탱크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탱크의 상기 기체공급구에 연결되어 상기 기체를 주입하는 컴프레서를 더 포함하는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액체층의 수위 및 상기 가압기체층의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모듈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액체 및 상기 기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압력탱크로 입출하는 제어를 하여, 상기 액체층 및 상기 가압기체층의 크기를 제한된 범위 내로 조정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공급구와 외부의 액체도입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액체공급구와 상기 액체도입관의 접촉을 막는 연결블록을 더 포함하는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공급구를 통한 상기 액체의 유동이 차단된 후에, 상기 압력탱크의 상기 가압기체층의 압력을 변화시켜 상기 액체층의 상기 액체를 상기 노즐로 공급하는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탱크는 복수 개가 상기 액체주입관을 통해서 상기 노즐에 병렬로 접속되고,
    복수 개의 상기 압력탱크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노즐로 상기 액체가 공급되는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가스유동로를 통과하는 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액체를 토출하며, 복수 개로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는 상기 챔버의 중앙에 위치하는 가스유입구와 중첩된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 상기 액체의 토출방향으로 상기 노즐과 이격되어 배치된 데미스터(demister)를 더 포함하는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
KR1020170139189A 2017-10-25 2017-10-25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 KR102024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189A KR102024774B1 (ko) 2017-10-25 2017-10-25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189A KR102024774B1 (ko) 2017-10-25 2017-10-25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068A KR20190046068A (ko) 2019-05-07
KR102024774B1 true KR102024774B1 (ko) 2019-09-25

Family

ID=66656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189A KR102024774B1 (ko) 2017-10-25 2017-10-25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7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415B1 (ko) * 2021-03-23 2021-09-10 김종석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 스탠드형 소독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3335B2 (ja) 2009-06-03 2011-08-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静電噴霧装置
CN102198369A (zh) 2011-06-01 2011-09-28 江苏大学 一种旋流进气式静电喷雾湿法烟气脱硫除尘装置
CN104162486A (zh) * 2013-05-20 2014-11-26 上海三卿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荷电喷雾同步去除烟气中二氧化硫及细颗粒物的方法
CN104259003A (zh) 2014-10-21 2015-01-07 青岛大学 一种静电喷雾消除可入肺颗粒物的装置
KR101603223B1 (ko) 2013-11-08 2016-03-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하전 초미세 액적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기 집진기
JP2017000927A (ja) 2015-06-08 2017-01-05 株式会社インターアクション 微粒子除去処理装置及び微粒子除去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6403B2 (ja) * 1994-11-01 2005-07-27 アドバンスド エナジー ジャパン株式会社 液体の気化供給装置
KR100646139B1 (ko) 2005-01-25 2006-11-14 한국기계연구원 양극성 정전분무식 복합응집 집진 장치
KR20130115754A (ko) * 2012-04-13 2013-10-22 한국기계연구원 소수성 집진판을 구비한 전기집진기
KR101972035B1 (ko) * 2012-06-21 2019-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전분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68536B1 (ko) * 2012-09-18 2019-04-12 세메스 주식회사 처리액 공급 유닛 및 이를 가지는 기판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3335B2 (ja) 2009-06-03 2011-08-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静電噴霧装置
KR101283153B1 (ko) * 2009-06-03 2013-07-05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정전 분무장치
CN102198369A (zh) 2011-06-01 2011-09-28 江苏大学 一种旋流进气式静电喷雾湿法烟气脱硫除尘装置
CN104162486A (zh) * 2013-05-20 2014-11-26 上海三卿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荷电喷雾同步去除烟气中二氧化硫及细颗粒物的方法
KR101603223B1 (ko) 2013-11-08 2016-03-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하전 초미세 액적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기 집진기
CN104259003A (zh) 2014-10-21 2015-01-07 青岛大学 一种静电喷雾消除可入肺颗粒物的装置
JP2017000927A (ja) 2015-06-08 2017-01-05 株式会社インターアクション 微粒子除去処理装置及び微粒子除去処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415B1 (ko) * 2021-03-23 2021-09-10 김종석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 스탠드형 소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068A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4676A (ko) 수막필터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636373B1 (ko) 산성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스크러버
KR102023950B1 (ko) 폐가스 처리 장치
KR102024774B1 (ko) 정전분무식 오염물질처리장치
KR102017653B1 (ko) 습식 및 건식 혼합 전기집진기
CN107249753A (zh) 用于处理气体的设备
KR101546227B1 (ko) 다단 원통형 구조물을 구비하는 스크러버
EP0159909B1 (en) Charging a dispersed phase-laden fluid
KR20190024349A (ko) 정전분무 집진장치
US20120304857A1 (en) Treatment of contaminated gases
KR101914775B1 (ko) 합성가스 정제를 위한 습식전기집진장치 및 습식전기집진방법
KR20200006712A (ko) 미세분진과 악취 제거를 위한 선회유동형 복합 약액 세정 탈취기
RU187842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качества рабочих диэлектрических жидкостей
KR102535541B1 (ko) 노 가스로부터의 건식 분진 제거
KR101832392B1 (ko) 전기 집진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스크러버 시스템
KR102030170B1 (ko) 아스콘 제조설비용 집진장치
EP1414549B1 (de) Anordnung und verfahren zur reinigung von abgasen
KR100917908B1 (ko) 혼합식 가스처리장치
KR101565135B1 (ko) 유증기 및 초미세입자의 처리가 가능한 오염물질처리장치
KR102577333B1 (ko) 다중 오염물질 처리장치
CN108201779B (zh) 一种有机废气净化装置及净化方法
KR102233535B1 (ko) 전해수 분사 구조의 하이브리드 스크러버 장치
KR102576278B1 (ko) Pou 가스 스크러버 연계 전기집진장치
KR102393423B1 (ko) 정화된 처리가스 배출이 가능한 오염토양 열처리 시스템
CN211025809U (zh) 一种硫磺尾气净化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