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974B1 - 화장도구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화장도구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974B1
KR102023974B1 KR1020170182709A KR20170182709A KR102023974B1 KR 102023974 B1 KR102023974 B1 KR 102023974B1 KR 1020170182709 A KR1020170182709 A KR 1020170182709A KR 20170182709 A KR20170182709 A KR 20170182709A KR 102023974 B1 KR102023974 B1 KR 102023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oiletries
seating
seating panel
receiv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1698A (ko
Inventor
임재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코
Publication of KR20180091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화장도구 건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 건조장치는 세척된 화장도구에 열을 가하여 화장도구가 신속히 건조되도록 할 수 있고, 공기의 유동에 의해 세척된 화장도구로부터 증발된 수증기가 신속히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화장도구의 건조가 더욱 촉진되고 세균의 번식이 억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세척된 화장도구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여 화장도구에 잔류하는 세균이 사멸되도록 함으로써 위생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도구 건조장치{DRYER FOR MAKE UP TOOL}
본 발명은 화장도구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장용 퍼프 또는 화장용 브러시와 같이 세척 후 반복 사용되는 화장도구를 살균 및 건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피부의 결점을 가리거나 피부상태가 양호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한 화장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품으로는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트윈케이크 및 BB크림 등이 있으며, 대부분 파우더 형태의 화장안료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화장품은 화장용 퍼프(puff) 또는 화장용 브러시와 같은 화장도구를 이용하여 원하는 부위에 고르게 도포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화장을 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피부로부터 화장안료가 탈락되어 화장품을 덧바를 필요가 있으며, 이때에도 화장용 퍼프 또는 화장용 브러시와 같은 화장도구가 사용된다.
화장용 퍼프 및 화장용 브러시와 같은 화장도구는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는 과정에서 손이나 얼굴에 접촉된다. 일반적인 환경에서 사람의 피부에는 세균, 땀, 피지, 탈락된 각질 및 먼지와 같은 다양한 물질이 존재하므로, 한 번 사용한 화장도구는 이물질 및 세균에 의해 오염되며, 시간이 경과될수록 세균의 증식에 의해 오염도가 증가된다.
피부가 예민한 사람은 오염된 화장도구의 사용에 의해 발진이 발생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되므로, 화장용 퍼프나 화장용 브러시와 같은 화장도구는 한 번 사용된 후 폐기되거나, 세척 및 건조를 거쳐 재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화장도구가 세척된 후에도 미량의 각질이나 피지가 잔존할 수 있고 잔류하는 수분이 신속히 건조되지 않으면 앞에서 언급한 각질이나 피지를 먹이로 하는 세균이 증식되므로, 세척된 화장도구는 신속히 건조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9331호(이하, '선행문헌'이라고 함)에는 세척된 화장도구 등을 신속히 건조시키고 살균하기 위한 살균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에 따른 살균기는 그 규모가 커서 휴대하며 사용하기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수시로 화장을 할 경우 다수의 화장도구를 휴대하였다가 살균기가 설치된 장소에 가서 한 번에 건조 및 살균을 행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므로 장기간의 출장이나 여행 및 일상적인 외출 시에도 휴대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화장도구를 건조 및 살균할 수 있는 수단의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9331호(고안의 명칭: 칫솔, 화장용 퍼프 및 화장솔 살균기, 등록일: 2016년 1월 11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세척 후 반복 사용되는 화장도구를 용이하게 살균 및 건조시킬 수 있는 화장도구 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가 간편한 화장도구 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형상의 화장도구를 살균 및 건조시킬 수 있는 화장도구 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의 수용본체 및 수용본체의 개방된 상면이 개폐되도록 하는 커버를 갖는 하우징과, 수용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수용본체 내에 배치된 안착패널 및 안착패널의 저면에 결합된 히터를 갖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안착패널의 중간부분에는 화장도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하방향으로 함입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안착패널 전체 또는 안착패널의 안착홈이 형성된 부분은 열의 양도체로 이루어진 화장도구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화장도구 건조장치의 가열부에는 안착홈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화장도구 건조장치에는 커버가 수용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한 상태일 때 커버의 하측 및 안착패널의 상측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한 공기의 유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환기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환기부는 수용본체의 바닥면에 설치된 팬모듈을 포함하고, 수용본체의 바닥면에는 흡기공이 형성되며, 안착패널에는 급기공이 형성되고, 커버에는 배기공이 형성되어, 팬모듈이 작동되면 수용본체 외부의 공기가 흡기공, 팬모듈, 급기공 및 배기공을 거쳐 커버 외부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급기공은 안착패널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배기공은 커버의 타측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안착패널의 상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화장도구 건조장치에는 커버가 수용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한 상태일 때 커버의 하측 및 안착패널의 상측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살균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살균부에는 커버의 저면에 설치된 반사경 또는 도광판과, 커버 또는 안착패널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소자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화장도구 건조장치에는 커버의 저면과 반사경 또는 도광판 사이에 개재된 함침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화장도구 건조장치에는 커버의 상면에 설치된 표시수단을 더 포함될 수 있는데, 표시수단에는 히터, 팬모듈 및 발광소자 중 하나 이상의 작동여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화장도구 건조장치에는 가요성 및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배기공을 커버하도록 상기 커버에 설치된 밀폐막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된 화장도구에 열을 가하여 화장도구가 신속히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의 유동에 의해 세척된 화장도구로부터 증발된 수증기가 신속히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화장도구의 건조가 더욱 촉진되고 세균의 번식이 억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된 화장도구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여 화장도구에 잔류하는 세균이 사멸되도록 함으로써 위생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형상의 화장도구를 건조 및 살균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 건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장도구 건조장치의 일부분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표시된 Ⅲ-Ⅲ 선분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표시된 Ⅳ 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 건조장치의 제어부의 계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 건조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표시된 Ⅶ-Ⅶ 선분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도 7에 표시된 Ⅷ 부분의 확대도
도 9는 도 7에 표시된 Ⅸ 부분의 확대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 건조장치(1)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화장도구 건조장치(1)의 일부분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에 표시된 Ⅲ-Ⅲ 선분에 따른 화장도구 건조장치(1)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1)에는 하우징(100), 환기부(200), 살균부(300) 및 가열부(400)가 포함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에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의 수용본체(110)와, 수용본체(110)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130)가 포함된다.
수용본체(110) 및 커버(130)는 도시된 형상 외에 횡단면이 다각형, 원 및 타원 등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130)는 수용본체(110)에 힌지(도 2의 115, 도 3의 135)에 의해 결합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본체(110)에 대하여 커버(130)가 회동되면서 수용본체(110)의 개방된 일면이 개폐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버(130)가 수용본체(1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가열패널(410)은 수용본체(110)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수용본체(110) 내부에 설치된다. 가열패널(410)에는 화장도구(10)가 안착되는 안착홈(411)이 하방향으로 함입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열패널(410)은 전체가 열의 양도체로 이루어지거나, 안착홈(411)이 형성된 부분만 열의 양도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열의 양도체로는 표면이 아노다이징(anodizing) 처리된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금, 백금, 은, 열전도성 합성수지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가열패널(410)의 표면에는 내화학성 및 내수성을 갖는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참고로, 화장도구(10)는 화장용 퍼프를 예시한 것으로, 도시되지 않은 화장용 브러시 등 다양한 도구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열부(400)에는 상술한 안착패널(410), 히터(420) 및 온도센서(430)가 포함된다.
히터(420)는 가열패널(410)의 저면에 결합된다. 이때 히터(4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411)이 형성된 부분에만 설치될 수 있다. 히터(420)로는 PTC 히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 또는 니크롬선 등과 같이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히터(420)가 작동되면 열의 양도체인 가열패널(410)을 통해 전도된 열이 화장도구(10)로 전달된다.
가열패널(410)의 전체가 열의 양도체일 경우에는 히터(420)의 열이 가열패널(410)의 가장자리부분까지 전달된다. 따라서 히터(420)가 작동되는 중에 사용자가 하우징(100)에 접촉될 경우 고온에 의한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동시에 열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패널(410)은 안착홈(411)이 형성된 부분만 열의 양도체로 이루어지고, 그 외의 부분은 열의 부도체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온도센서(430)는 가열패널(410)의 안착홈(411) 부분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온도센서(430)에 의해 감지되는 가열패널(410)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히터(42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화장도구(10)에 과도한 열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화장도구(10)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므로 과도한 열이 가해지면 변형 또는 변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환기부(200)는 커버(130)가 수용본체(110)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한 상태일 때 커버(130)의 하측 및 안착패널(410)의 상측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한 공기의 유동이 발생되도록 한다.
환기부(200)에는 팬모듈(210)이 포함된다.
팬모듈(210)은 수용본체(130)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팬모듈(210)은 개인용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에 부착된 쿨링팬과 같이 공기가 일방향으로 유동되게 하는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수용본체(130)의 바닥면에는 흡기공(111)이 형성된다. 이때 흡기공(111)은 모두 팬모듈(210)에 의해 커버되도록 배치된다. 이는 팬모듈(210)이 작동될 때 흡기공(111)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다시 흡기공(111) 중 일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안착패널(410)에는 급기공(412)이 형성되고, 커버에는 배기공(131)이 형성된다.
따라서, 팬모듈(210)이 작동되면 수용본체(110) 외부의 공기가 흡기공(111)을 통하여 하우징본체(110) 및 안착패널(41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로 유입되고, 이 공기는 급기공(412)을 통하여 폐쇄된 상태의 커버(130) 및 안착패널(4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동된다. 이 공기는 다시 배기공(131)을 통하여 커버(130)의 외부로 유동된다.
따라서 팬모듈(210)이 작동되면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00) 내부를 통과한 후 다시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공기가 화장도구(10)를 거쳐 유동되므로 화장도구(10)에 잔류된 수분의 증발이 촉진된다.
화장도구(10)에 잔류된 수분의 증발이 더욱 효율적으로 촉진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공(412)은 안착패널(410)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배기공(131)은 커버(130)의 타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급기공(412)과 배기공(131)이 최대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유동되는 공기가 화장도구(10)의 전체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화장도구(10)에 잔류된 수분이 전체적으로 신속히 증발되도록 할 수 있다.
급기공(412) 및 배기공(131)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급기공(412) 및 배기공(131)의 수 또한 필요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한편, 화장도구(10)와 안착홈(411)이 접촉된 부분으로는 공기의 유동이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안착패널(410)의 상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화장도구(10)와 안착패널(410)의 사이로도 공기가 유동되어 수분이 원활히 증발되도록 할 수 있다.
수용본체(110)의 저면 외측에는 받침돌기(11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본체(110)의 저면이 평판 형상일 경우 화장도구 건조장치(1)가 평평한 바닥면이나 책상의 상면 등에 놓여있으면 흡기공(111)이 상면에 의해 막혀서 공기가 원활히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받침돌기(117)는 상술한 바닥면이나 책상의 상면과 수용본체(110)의 저면이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흡기공(111)을 통한 공기의 유입이 원활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받침돌기(117)는 팬모듈(21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다른 물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고무 또는 연질 합성수지와 같이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흡기공(111)을 통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유입되어 화장도구(1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기공(111)에는 공기를 거르는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는 도 1에 표시된 Ⅳ 부분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커버(130)에는 배기공(131)이 형성되어 있다.
배기공(131)은 수용본체(110)의 개방된 상면이 커버(130)에 의해 폐쇄된 상태일 때에도 팬모듈(210)의 작동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커버(130)의 외부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배기공(131)은 하우징(100)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도록 그 형태나 배치 및 수가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배기공(131)에는 외부의 물질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필터(도시되지 않음)나 밀폐막(도 6의 132 참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살균부(300)는 커버(130)가 수용본체(110)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한 상태일 때 커버(130)의 하측 및 안착패널(410)의 상측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 화장도구(10)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한다.
살균부(300)에는 반사경(310) 및 발광소자(320)가 포함된다.
발광소자(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패널(410)의 상면에 설치되거나, 커버(130)의 내면에 설치될 수 있다. 발광소자(320)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와 같이 전력이 인가되면 자외선 영역의 광을 발하는 것이 사용된다.
반사경(310)은 발광소자(320)가 발하는 자외선을 반사하여 화장도구(10)에 전반적으로 조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반사경(310)은 커버(130)의 저면, 즉 커버(130)의 상면 하측에 설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커버(130)의 내측 가장자리에도 추가적인 반사경이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자외선이 화장도구(10)의 최대한 넓은 표면에 고루 조사될 수 있도록 반사경(310)에는 복수의 굴곡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화장도구(10)와 안착패널(410)이 접하는 면에는 자외선이 조사되기 어려우므로, 화장도구(10)를 안착패널(410)에 안착시킬 때에는 화장도구(10)의 사용면, 즉 화장도구(10)와 피부가 접촉하는 면이 반사경(310)을 향하도록 한다.
수용본체(110)에는 잭삽입공(113)이 형성될 수 있고, 수용본체(110) 내에는 제어박스(510) 및 배터리(5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 건조장치(1)의 제어부(500)의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 건조장치(1)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화장도구 건조장치(1)에는 제어부(500)가 포함된다.
제어부(500)에는 상술한 제어박스(510) 외에, 제어박스(510) 내에 설치된 제어회로(511), 전원잭(520) 및 배터리(530)가 포함된다.
제어회로(511)에는 팬모듈(210), 발광소자(320), 히터(420), 온도센서(430), 전원잭(520) 및 배터리(5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500)에는 도시되지 않은 작동스위치가 더 포함되며, 작동스위치 또한 제어회로(5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작동스위치는 수용본체(110) 또는 커버(13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가볍게 터치하는 동작 등을 통하여 제어회로(511)로 작동신호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화장도구 건조장치(1)의 경량화를 위하여 제어부(500)에는 배터리(530)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회로(511)는 전원잭(520)을 통하여 전력이 인가될 때에만 작동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1)는 배터리(530)가 포함되어 전원이 없는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상정한 것이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 건조장치(1)의 작동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전원잭(520)에 도시되지 않은 플러그를 연결하여 전원잭(520)으로 전력이 인가되면 제어회로(511)는 배터리(530)를 충전시킨다. 배터리(530)로는 반복적인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가 사용된다.
사용자가 커버(130)를 개방하고 안착홈(411)에 세척된 화장도구(10)를 안착시킨 후 커버(130)를 폐쇄한 다음 작동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제어회로(511)는 전원잭(520)으로 인가된 전력 또는 배터리(530)의 전력이 팬모듈(210)에 공급되도록 하여 팬모듈(210)이 작동되도록 한다.
팬모듈(210)의 작동에 의해 하우징(100) 외부의 공기가 내부를 거쳐 다시 외부로 유동되면서 세척된 화장도구(10)에 잔류된 수분의 증발이 촉진된다.
그리고 제어회로(511)는 히터(420)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여 화장도구(10)에 열이 가해지도록 한다. 따라서 세척된 화장도구(10)에 잔류된 수분의 증발은 더욱 가속되며, 열과 공기의 유동에 의해 수분의 증발이 더욱 촉진된다.
또한 제어회로(511)는 발광소자(320)에 전력이 인가되도록 하여 발광소자(320)가 자외선을 발하도록 하며, 이 자외선은 반사경(310)에 의해 반사되어 화장도구(10)에 조사된다.
따라서 화장도구(10)의 표면에 잔류된 세균이 사멸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1)는 열과 공기의 순환에 의해 세척된 화장도구(10)에 잔류된 수분이 신속히 제거되어 화장도구(10)가 단시간에 재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세균의 증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1)는 자외선에 의해 화장도구(10)에 잔류된 세균이 사멸되도록 함으로써 위생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며, 하우징(100)의 외관을 화장품의 용기와 같이 미려하게 제조함으로써 화장품과 함께 휴대하거나 사용하는 과정에서 이질감이 유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 건조장치(2)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에 표시된 Ⅶ-Ⅶ 선분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는 도 7에 표시된 Ⅷ 부분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7에 표시된 Ⅸ 부분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2)에는 하우징(100'), 환기부(200), 살균부(300') 및 가열부(400)가 포함된다. 여기서 환기부(200) 및 가열부(400)는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1)에서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하우징(100')에는 수용본체(110) 및 커버(130')가 포함된다.
수용본체(110)에 형성된 흡기공(111), 잭삽입공(도시되지 않음) 및 받침돌기(117)는 앞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커버(130')에는 앞에서 설명한 커버(130)에 비하여 밀폐막(132) 및 표시수단(140)이 더 포함되는데, 그 외의 형상 등은 커버(130)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수용본체(110)와 커버(130')는 힌지(도 8의 115' 및 135')에 의해 결합된다. 여기서 힌지(115' 및 135')는 커버(130')에 설치된 힌지축(135') 및 수용본체(110)에 설치된 힌지가이드(115')에 의해 이루어진다.
힌지가이드(115')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136)가 형성된다. 힌지축(135')은 개방부(136)를 통하여 힌지가이드(1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130')는 수용본체(1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본체(110)에 대하여 커버(130')가 회동되면서 수용본체(110)의 개방된 일면이 개폐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화장도구(11)는 화장용 브러시를 예시한 것으로, 이외에도 도 1에 예시된 퍼프(10) 등 다양한 도구로 대체될 수 있다. 특히 화장용 브러시(11)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도 6에는 안착패널(410)의 안착홈(411) 내에 수용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 것을 예시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2)로 화장도구(11)를 건조 및 살균하고자 할 때에는 화장도구(11) 중 피부에 접촉되는 부분은 화장도구 건조장치(2) 내에 수용되고 그 외의 손잡이 부분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배기공(13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도구(11)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배기공(131')의 면적이 넓을수록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기 용이해지는 동시에 환기부(200)에 의한 공기의 순환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기공(131')에는 앞에서 언급한 밀폐막(132)이 설치되는데, 밀폐막(1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공(131')을 커버하도록 커버(130')에 설치된다.
그리고 밀폐막(132)은 실리콘, 고무 또는 연질 플라스틱과 같이 가요성 및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서 화장도구(11)의 일부가 배기공(131')내로 삽입되면 밀폐막(132)이 적당량 번형되어 하우징(100')이 용이하게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밀폐막(132)은 환기부(200)가 작동될 때에는 도 9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변형되어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가 배기공(131')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환기부(200)가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본래의 형상으로 복귀되어 커버(130') 외부의 이물질이나 공기가 배기공(131')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앞에서 언급한 표시수단(140)으로는 발광다이오드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표시수단(140)은 제어회로(도 5의 5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팬모듈(210), 발광소자(320) 및 히터(420) 중 하나 이상의 작동여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팬모듈(210)이 작동되어 화장도구(11)가 건조되는 중이거나, 발광소자(320)로부터 자외선이 조사되어 화장도구(11)가 살균되는 중이거나, 히터(420)가 작동되어 화장도구(11)의 건조를 촉진하는 중일 때 사용자가 커버(130')를 개방하면 그 효과가 크게 저하되므로, 사용자가 표시수단(140)의 표시내용을 통하여 화장도구 건조수단(2)이 작동 중일 때 커버(130')를 개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표시수단(140)에는 배터리(530)의 남은 전력량이나 전원잭(520)이 연결여부 및 배터리(530)가 중전 중인 상태 등이 더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표시수단(140)에는 온도센서(430)에 의해 감지된 안착홈(411)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일 때에는 주의표시가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열된 상태의 화장도구(11)를 인출하여 화상을 입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참고로, 팬모듈(210), 발광소자(320) 및 히터(420)는 앞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커버(130)가 개방될 상태일 때 작동될 경우 그 효과가 크게 저하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2)에는 커버(13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개폐감지수단으로는 힌지(115', 135')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 수용본체(110)와 커버(130')의 근접상태를 감지하는 근접센서, 수용본체(110)와 커버(130')의 접촉상태를 감지하는 접촉센서, 수용본체(110)와 커버(13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영구자석 및 자기장의 크기를 감지하는 홀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살균부(300)에는 도광판(light guide plate, 311) 및 발광소자(320)가 포함된다. 여기서 발광소자(32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광판(311)은 LCD 디스플레이의 광원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것으로, 발광소자(320)로부터 도광판(311)으로 입사된 자외선이 도광판(311)의 일면으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화장도구(11)로 고루 조사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광판(311)은 투명 아크릴과 같이 투명도가 높은 소재로 이루어지며, 도광판(311)의 한쪽 면에는 다수의 점 형상의 홈이나 다수의 선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2)는 앞에서 설명한 반사경(310) 대신 도광판(311)이 사용됨에 따라 발광소자(320)가 더 적은 수가 설치되거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현상이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도광판(311)은 반사경(310)에 비하여 발광소자(320)로부터 발생된 자외선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면광이 되도록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이에 따라 화장용 브러시와 같이 복잡한 형상을 갖는 화장도구(11)일 때에도 최대한 음영이 형성되지 않고 자외선이 고르게 조사되어 자외선에 의한 살균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2)에는 커버(130')와 도광판(311) 사이에 개재된 함침재(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함침재(150)는 스펀지나 해면과 같은 다공성 소재와, 여기에 살균제 또는 방향제가 스며들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살균제 또는 방향제로는 피톤치드(phytoncide), 유칼립투스(eucalyptus) 오일과 같이 향기와 살균성을 갖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종류의 아로마 오일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향으로 이루어진 함침재(150)가 설치된 커버(130')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2)에 의한 화장도구(11)의 살균효과가 더욱 향상될 뿐만 아니라, 건조 및 살균이 완료된 화장도구(11)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향이 발산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감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함침재(150)로부터 살균제 또는 방향제가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도광판(311)에는 방출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 건조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화장도구 건조장치 10: 화장용 퍼프
100: 하우징 110: 수용본체
111: 통기공 113: 잭삽입공
115: 힌지 130: 커버
131: 배기공 135: 힌지
200: 환기부 210: 팬모듈
300: 살균부 310: 반사경
320: 발광소자 400: 가열부
410: 안착패널 411: 안착홈
412: 급기공 420: 히터
430: 온도센서 500: 제어부
510: 제어박스 511: 제어회로
530: 배터리

Claims (11)

  1.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의 수용본체와, 상기 수용본체의 개방된 상면이 개폐되도록 하는 커버를 갖는 하우징;
    상기 수용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상기 수용본체 내에 배치된 안착패널과, 상기 안착패널의 저면에 결합된 히터를 갖는 가열부; 및
    상기 커버가 상기 수용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한 상태일 때 상기 커버의 하측 및 상기 안착패널의 상측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한 공기의 유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환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패널의 중간부분에는 화장도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하방향으로 함입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패널 전체 또는 상기 안착패널의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부분은 열의 양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환기부는 상기 수용본체의 바닥면에 설치된 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본체의 바닥면에는 흡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패널에는 급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배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팬모듈이 작동되면 상기 수용본체 외부의 공기가 상기 흡기공, 상기 팬모듈, 상기 급기공 및 상기 배기공을 거쳐 상기 커버 외부로 유동되고,
    상기 급기공은 상기 안착패널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상기 배기공은 상기 커버의 타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가요성 및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기공을 커버하도록 상기 커버에 설치된 밀폐막을 포함하는
    화장도구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안착홈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화장도구 건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패널의 상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된
    화장도구 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수용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한 상태일 때 상기 커버의 하측 및 상기 안착패널의 상측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화장도구 건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커버의 저면에 설치된 반사경 또는 도광판 및
    상기 커버 또는 상기 안착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건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저면과 상기 반사경 또는 상기 도광판 사이에 개재된 함침재를 더 포함하는
    화장도구 건조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면에 설치된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히터, 상기 팬모듈 및 상기 발광소자 중 하나 이상의 작동여부가 표시되는
    화장도구 건조장치.
  11. 삭제
KR1020170182709A 2017-02-07 2017-12-28 화장도구 건조장치 KR1020239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16723 2017-02-07
KR1020170016723 2017-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698A KR20180091698A (ko) 2018-08-16
KR102023974B1 true KR102023974B1 (ko) 2019-09-23

Family

ID=6344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709A KR102023974B1 (ko) 2017-02-07 2017-12-28 화장도구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97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197B1 (ko) 2020-02-12 2021-03-17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자외선 led 및 오존 시스템을 적용한 복합 살균장치
KR102279364B1 (ko) * 2020-10-21 2021-07-21 주식회사 다함스타일 소독 장치
EP3960207A1 (en) * 2020-08-28 2022-03-02 LG Electronics Inc. Sterilization case
US11931604B2 (en) 2020-06-30 2024-03-19 Lg Electronics Inc. Mask apparatus
US11951337B2 (en) 2020-06-30 2024-04-09 Lg Electronics Inc. Mask apparatus
US11998769B2 (en) 2020-06-05 2024-06-04 Lg Electronics Inc. Mask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360B1 (ko) * 2018-09-27 2020-02-11 김성관 마스크 관리 디바이스
KR102576984B1 (ko) * 2021-03-22 2023-09-12 주식회사 바이제로텍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
KR102393891B1 (ko) * 2022-02-21 2022-05-03 최현겸 네일케어니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995B1 (ko) * 2012-11-12 2013-03-18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발열수단을 갖는 퍼프 용구
KR101682894B1 (ko) * 2015-06-04 2016-12-06 권세은 화장용 퍼프 살균 장치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101697242B1 (ko) * 2016-10-04 2017-02-02 주식회사 스킨드림 화장용 퍼프 살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3419A (ja) * 1993-12-14 1995-06-27 Naoharu Takamasa 入歯専用収納ケース
KR200479331Y1 (ko) 2015-10-16 2016-01-15 이길순 칫솔, 화장용 퍼프 및 화장솔 살균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995B1 (ko) * 2012-11-12 2013-03-18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발열수단을 갖는 퍼프 용구
KR101682894B1 (ko) * 2015-06-04 2016-12-06 권세은 화장용 퍼프 살균 장치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101697242B1 (ko) * 2016-10-04 2017-02-02 주식회사 스킨드림 화장용 퍼프 살균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197B1 (ko) 2020-02-12 2021-03-17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자외선 led 및 오존 시스템을 적용한 복합 살균장치
US11998769B2 (en) 2020-06-05 2024-06-04 Lg Electronics Inc. Mask apparatus
US11931604B2 (en) 2020-06-30 2024-03-19 Lg Electronics Inc. Mask apparatus
US11951337B2 (en) 2020-06-30 2024-04-09 Lg Electronics Inc. Mask apparatus
EP3960207A1 (en) * 2020-08-28 2022-03-02 LG Electronics Inc. Sterilization case
US12005147B2 (en) 2020-08-28 2024-06-11 Lg Electronics Inc. Sterilization case
KR102279364B1 (ko) * 2020-10-21 2021-07-21 주식회사 다함스타일 소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698A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974B1 (ko) 화장도구 건조장치
US20210001148A1 (en) Light treatment device
US10918201B2 (en) Brush cleaning device using UV light to dry, sanitize, and disinfect cosmetic brushes
KR102054265B1 (ko) Uv led를 사용한 화장품 도구의 살균기
KR101708434B1 (ko) 화장용 퍼프 살균장치
KR102603470B1 (ko) 살균 기능이 구비되는 가위 홀더
KR101808416B1 (ko)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
JP2006526490A (ja) 滅菌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7105465A1 (en) Hair brush sanitizing unit
KR101971618B1 (ko) 미용 마스크팩의 온열살균장치
KR102118572B1 (ko) 살균 및 마사지 기능을 갖는 화장용 퍼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KR20180045934A (ko) 화장용 퍼프 이중 살균기
KR101893395B1 (ko) 퍼프 살균장치
KR20180053503A (ko) 살균램프가 내장된 에어쿠션
US20210322591A1 (en) UV equipped smart hair appliance organizer that is either wall mounted or a travel caddy
KR100779390B1 (ko) 헤어케어용 조성물 카트리지 및 이를 적용한 모발용전열기구
EP4135836A1 (en) Light treatment device
KR102085860B1 (ko) 헤어드라이 빗
KR102073927B1 (ko) 살균장치를 갖는 화장용 화장품 케이스
KR102207996B1 (ko) 살균기능을 가지는 화장용구
KR102097628B1 (ko) 살균 및 마사지 기능을 갖는 화장용 퍼프 장치
WO2019077638A1 (en) DEVICE FOR NEBULATING A LIQUID, PARTICULARLY ACTIVE INGREDIENTS, FOR THE CARE AND / OR PROTECTION OF THE SKIN
JP2010017278A (ja) ヘアドライヤー
US9486053B2 (en) Coating device
KR102285929B1 (ko) 살균 기능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