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928B1 - 파이프형 용접철망 - Google Patents

파이프형 용접철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928B1
KR102020928B1 KR1020170096636A KR20170096636A KR102020928B1 KR 102020928 B1 KR102020928 B1 KR 102020928B1 KR 1020170096636 A KR1020170096636 A KR 1020170096636A KR 20170096636 A KR20170096636 A KR 20170096636A KR 102020928 B1 KR102020928 B1 KR 102020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rizontal
vertical
weld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2906A (ko
Inventor
박선옥
Original Assignee
박선옥
(유)선진철망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옥, (유)선진철망산업 filed Critical 박선옥
Priority to KR1020170096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928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E04C5/04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27Three-dimensional reinforcements composed of a prefabricated reinforcing mat combined with reinforcing elements protruding out of the plane of the ma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형 용접철망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로철선 및 세로철선으로 구성되는 용접철망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배열된 가로철선의 상측으로 세로철선이 등간격으로 용접되고, 상기 가로철선 및 세로철선은 내부가 관통되어 있는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용접철망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형 용접철망{Pipe type welded wire mesh}
본 발명은 파이프형 용접철망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내부가 관통되어 있는 파이프형 철선으로 형성되어, 외부충격을 흡수하고 심한 변형을 방지하는 파이프형 용접철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철망은 고강도 철선을 사용하여 세로철선과 가로철선을 직각으로 배열하여, 교차점을 전기저항 용접으로 접합한 격자형의 철망으로 건축물의 바닥, 천장, 벽 및 기둥의 콘크리트 타설시나 콘크리트관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작시 콘크리트의 수축팽창할 때 생기는 크랙(crack)이나 깨짐을 방지하고 콘트리트에 부족한 인장강도를 보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종래의 용접철망은 콘크리트의 크랙 방지나 깨짐을 방지하는 효과에 한계가 있었고, 콘크리트의 사용용도에 따라 더욱 높은 인장강도를 요하는 작업에 있어서는 사용되는 철선의 지름을 증가시켜 굵은 철선을 사용하여 작업비용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접철망은 콘크리트 중간 위치에 매입되게 시공되는데, 용접철망을 콘크리트의 중간 위치에 매입되게 하기 위해서는 포장 두께에 비례하여 철망이 매입될 수 있도록 지면 위에서 적정높이로 들려지게 깔아 준 다음 콘크리트를 부어야 되는데 종래에는 철망을 들려지게 깔기 위해 공사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돌등으로 철망을 받쳐 주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방법은 많은 돌을 사용해야 되는데 돌들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철망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깔기가 매우 어렵고, 포장공사 시 사용하는 철망은 그 규격이 취급하기 편리하도록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 면적에 따라 많은량의 철망들을 깔아야 되므로 하나의 철망 자체는 물론 다른 철망과도 서로 수평유지가 불가능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수평을 유지시키기 위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함은 물론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감독소홀을 틈타 규정대로 철망을 적정높이로 들려지게 하지 않고, 지면 위에 그냥 깔아놓고 공사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용접철망을 설치하였더라도, 도로에 균열이 발생되고 쉽게 파손되어 자주 보수를 해야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내부가 관통되어 있는 파이프형 철선으로 형성되어, 외부충격을 흡수하고 심한 변형을 방지하는 파이프형 용접철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파이프형 용접철망은 가로철선 및 세로철선으로 구성되는 용접철망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배열된 가로철선의 상측으로 세로철선이 등간격으로 용접되고, 상기 가로철선 및 세로철선은 내부가 관통되어 있는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용접철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로철선 하측에 형성되는 받침철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철선은 상기 가로철선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용접되고,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용접철망.
또한, 상기 받침철선은 상기 가로철선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결합부; 다수개의 상기 결합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결합부 위치 및 개수에 상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받침부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철선 및 세로철선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보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보조부재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로철선 상측으로 결합되는 제1 보조결합부 및 상기 보조부재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세로철선 하측으로 결합되는 제2 보조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조결합부 및 제2 보조결합부는 상기 보조부재를 기준으로 90°이상의 각도를 가지며,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꺽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철선은 사다리꼴의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번하여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제1 가로철선 및 상기 제1 가로철선 하측에 용접되어 연결되고, 사다리꼴의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번하여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제2 가로철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가로철선의 오목부와 제2 가로철선의 볼록부가 만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가로철선의 높이가 제2 가로철선의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로철선은 사다리꼴의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번하여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세로철선 및 상기 제1 가로철선 하측에 용접되어 연결되고, 사다리꼴의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번하여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세로철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세로철선의 오목부와 제2 세로철선의 볼록부가 만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세로철선의 높이가 제2 세로철선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용접철망은 파이프형 철선으로 형성되어, 외부 충격을 흡수하고 심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가 관통되어 있어 철망의 무게가 감소되어 작업하는데 편리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충격을 흡수하므로, 콘크리트에 사용되어 콘크리트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용접철망은 콘크리트 보강용도 외에도 다양하게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용접철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용접철망을 콘크리트에 사용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용접철망의 받침철선을 포함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 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철선을 포함한 파이프형 용접철망을 콘크리트에 사용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용접철망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용접철망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재를 용접철망에 장착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재를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용접철망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용접철망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용접철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용접철망을 콘크리트에 사용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용접철망의 받침철선을 포함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철선을 포함한 파이프형 용접철망을 콘크리트에 사용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용접철망(1)은 가로철선(10) 및 세로철선(20)을 포함하고, 가로철선(10) 및 세로철선(20)은 각각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가로철선(10) 상측으로 세로철선(20)이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결합된 가로철선(10) 및 세로철선(20)은 메쉬망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가로철선(10)에 세로철선(20)이 직교하도록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가로철선 및 세로철선(20)은 내부가 관통되어 있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용접철망(1)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고, 심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용접철망(1)은 콘크리트(C1,C2)의 중간위치에 위치하여 콘크리트의 강성을 높이고,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콘크리트(C1,C2)의 파손, 크랙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용접철망(1)은 받침철선(30)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철선(30)은 가로철선(10)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받침철선(30)은 가로철선(10) 및 세로철선(20)이 직교하여 용접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고, 용접에 의해 가로철선(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받침철선(30)은 다수개의 가로철선(10) 중에 2n-1 번째의 가로철선(1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가로철선(10)에 구비되는 것은 원가에 비해 받침 기능이 향상되지 못하므로 비경제적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2n, 22n 등 다양한 배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철선(30)은 뒤집어진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 등 용접철망(1)이 콘크리트(C1) 중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받쳐줄 수 있는 형상이라면 가능하다.
또한, 받침철선(30)이 ''∧''자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가로철선(10)에 접하는 모서리부분은 평평한 부분이 형성되어 접하는 면적을 넓히고 용접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서리로 충격이 응집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받침철선(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받침철선(30)의 지면과 닿는 2개의 끝단은 지면과 평평하게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받침철선(30)의 2개의 끝단 일부만 지면과 접할 경우, 충격이 한쪽으로 쏠리게 되어 받침철선(30)의 파손이 쉽게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받침철선(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철망(1)을 지면에 설치한 뒤 한번의 콘크리트(C1)로 포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C1)를 도포하고, 그 위에 용접철망(1)을 설치하고, 다시 한번 콘크리트(C2)로 포장하는 과정이 필요했기 때문에, 받침철선(30)은 이러한 과정을 단순화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용접철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용접철망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재를 용접철망에 장착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재를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용접철망(1)은 가로철선(10), 세로철선(20), 받침철선(40) 및 보조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받침철선(40)의 형상 및 보조부재(50)를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용접철망(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받침철선(40)의 형상 및 보조부재(50)만 설명하기로 한다.
받침철선(40)은 결합부(41), 연결부(42) 및 받침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41)는 가로철선(10)에 결합되고 다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부(41)는 연결부(42)의 상측에 연결되고, 연결부(4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며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41)는 가로철선(10)이 상측에서 삽입되어 거치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41)의 간격 및 개수는 가로철선(10)과 세로철선(20)이 직교하여 결합된 위치 및 수에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결합부(41)는 단면이 원형인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로철선(10)이 상측에서 삽입되고, 양끝단에 세로철선(20)이 접하여 받쳐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결합부(41)의 형상은 가로철선(10)이 결합부(41)에 고정되거나 거치될 수 있고, 결합부(41) 'U'자 형상의 양끝단이 세로철선(20)의 가로철선(10)과 용접된 부분의 양옆을 받쳐줌으로써, 가로철선(10) 및 세로철선(20)의 용접된 부분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조적으로 세로철선(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이프형 용접철망(1)의 파손, 크랙 등을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42)는 다수개의 결합부(41)를 연결시킬 수 있고, 내부가 관통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연결부(42)는 가로철선(10)과 같은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고, 가로철선(10)과 같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결합부(41)에 가로철선(10)이 삽입되고 가로철선(10)의 결합부(41)에 삽입되지 않는 부분들을 하측에서 받쳐주기 위한 것이다.
받침부(43)는 연결부(42)의 하측에 연결되고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부(43)는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받침부(43)의 지면과 닿는 2개의 끝단은 지면과 평평하게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받침부(43)의 2개의 끝단 일부만 지면과 접할 경우, 충격이 한쪽으로 쏠리게 되어 받침부(43)의 파손이 쉽게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받침부(43)는 결합부(41)의 위치 및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충격을 받고 지지하는 위치가 동일하도록 구성하여, 결합부(41)로부터 전달된 충격이 받침부(43)를 통해 바로 지면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보조부재(50)는 가로철선(10) 및 세로철선(20)에 결합되어, 충격을 보조적으로 흡수하여 용접철망(1)의 파손을 방지하고, 콘크리트(C1) 내에서 단열재 기능을 하여 콘크리트(C1)의 열에 대한 변화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부재(50)는 제1 보조결합부(51) 및 제2 보조결합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결합부(51)는 가로철선(10)에 상측으로 결합될 수 있고,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가로철선(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조결합부(51)는 보조부재(50)를 기준으로 일측 방향으로 꺾여 소정의 각도(θ)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보조결합부(52)는 세로철선(20)에 하측으로 결합될 수 있고,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세로철선(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보조결합부(52)는 보조부재(50)를 기준으로 일측 방향으로 꺾여 소정의 각도(θ)를 가지도록 형성수 있다.
이러한, 제1 보조결합부(51) 및 제2 보조결합부(52)는 보조부재(50)를 기준으로 90°이상의 각도(θ)를 가지며, 서로 같은 방향으로 꺾이도록 형성되어 가로철선(10) 및 세로철선(20)에 보조부재(50)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조결합부(51)는 가로철선(10)의 상측으로, 제2 보조결합부(52)는 세로철선(20)의 하측으로 결합됨으로써, 가로철선(10)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세로철선(20)을 고려한 것으로, 위치에 따라 가해지는 응력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보조부재(50)는 다수개가 용접철망(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용접철망(1)의 한 칸에 최대 4개가 결합되어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부재(50)는 탄소 등 강성 및 유연성을 가지고 단열 기능을 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용접철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용접철망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용접철망(1)은 가로철선(60) 및 세로철선(7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로철선(60) 및 세로철선(70)의 형상,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용접철망(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가로철선(60) 및 세로철선(70)의 형상,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가로철선(60)은 제1 가로철선(61) 및 제2 가로철선(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로철선(61)은 사다리꼴의 오목부(61a) 및 볼록부(61b)가 교번하여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로철선(62)은 제1 가로철선(61)과 대칭되도록, 사다리꼴의 오목부(62a) 및 볼록부(62b) 교번하여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로철선(61)의 하측에 제2 가로철선(62)이 구비되고, 제1 가로철선(61)의 오목부(61a)와 제2 가로철선(62)의 볼록부(62b)가 만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로철선(61) 및 제2 가로철선(62)은 만나는 지점이 용접되어 하나의 가로철선(60)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로철선(61) 및 제2 가로철선(62)은 대칭되도록 형성되나, 높이가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로철선(61)의 높이가 제2 가로철선(62)의 높이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형상의 세로철선(70)이 가로철선(60)에 올라갈 경우 세로철선(70)만 상측으로 돌출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자세한 설명은 하기의 세로철선(70)의 구성을 설명할 때 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가로철선(60)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제1 가로철선(61) 및 제2 가로철선(62)으로 형성될 경우, 별도의 구성 없이 용접철망(1)을 콘크리트(C1)의 중심에 위치하게 하여 바로 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용접철망의 전체 균형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용접철망(1)의 설치 시 균형을 맞추는 과정이 불필요하다.
또한, 제1 가로철선(61) 및 제2 가로철선(62)이 하나의 가로철선(60) 형성하면서, 이중 구조가 되고, 육각형의 형상을 구성하게 되어 충격에 더욱 강해질 수 있다.
세로철선(70)은 제1 세로철선(71) 및 제2 세로철선(7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로철선(71)은 사다리꼴의 오목부(71a) 및 볼록부(71b)가 교번하여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세로철선(72)은 제1 세로철선(71)과 대칭되도록, 사다리꼴의 오목부(72a) 및 볼록부(72b) 교번하여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세로철선(71)의 하측에 제2 세로철선(72)이 구비되고, 제1 세로철선(71)의 오목부(71a)와 제2 세로철선(72)의 볼록부(71b)가 만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세로철선(71) 및 제2 세로철선(72)은 만나는 지점이 용접되어 하나의 세로철선(70)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세로철선(70)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세로철선(71) 및 제2 세로철선(72)으로 형성될 경우, 별도의 구성 없이 용접철망(1)을 콘크리트(C1)의 중심에 위치하게 하여 바로 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용접철망의 전체 균형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용접철망(1)의 설치 시 균형을 맞추는 과정이 불필요하다.
또한, 제1 세로철선(71) 및 제2 세로철선(72)이 하나의 세로철선(70) 형성하면서, 이중 구조가 되고, 육각형의 형상을 구성하게 되어 충격에 더욱 강해질 수 있다.
이때, 제1 세로철선(71) 및 제2 세로철선(72)은 대칭되도록 형성되나, 높이가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로철선(61)의 높이가 제2 가로철선(62)의 높이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형상의 가로철선(60) 위에 세로철선(70)에 올라갈 경우 세로철선(70)만 상측으로 돌출되는 경우를 방지하고, 지면과 닿지 않고 뜨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가로철선(60)의 상측에 위치한 제1 가로철선(61)의 높이가 크고, 세로철선(70)의 상측에 위치한 제1 세로철선(71)의 높이가 작도록 형성하여, 가로철선(60)의 상단과 세로철선(70)의 상단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로철선(60)의 하측에 위치한 제2 가로철선(62)의 높이가 작고, 세로철선(70)의 하측에 위치한 제2 세로철선(72)의 높이가 크도록 형성하여, 가로철선(60)의 하단과 세로철선(70)의 하단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동일하게 지면과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가로철선(61)보다 제1 세로철선(71)의 높이가 작고, 제2 가로철선(62)보다 제2 세로철선(72)의 높이가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로철선(60) 및 세로철선(70)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동일하게 작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로철선(60) 및 세로철선(70)이 모두 지면에 지지되고,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는 위치가 동일하므로, 충격에 강하고, 쉽게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가로철선(60) 및 세로철선(70) 중 하나가 이중구조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가로철선(60) 및 세로철선(70) 모두 요철형상으로 형성되되, 가로철선(60) 및 세로철선(70)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제1 가로철선(61), 제2 가로철선(62), 제1 세로철선(71) 및 제2 세로철선(72)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파이프형 용접철망
10: 가로철선
20: 세로철선
30, 40: 받침철선
41: 결합부
42: 연결부
43: 받침부
50: 보조부재
51: 제1 보조결합부
52: 제2 보조결합부
60: 가로철선
61: 제1 가로철선
62: 제2 가로철선
70: 세로철선
71: 제1 세로철선
72: 제2 세로철선

Claims (10)

  1. 가로철선 및 세로철선으로 구성되는 용접철망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배열된 가로철선의 상측으로 세로철선이 등간격으로 용접되고,
    상기 가로철선 및 세로철선은 내부가 관통되어 있는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고,
    가로철선 하측에 형성되는 받침철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받침철선은,
    상기 가로철선에 결합되고 다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결합부;
    다수개의 상기 결합부를 연결시키는, 내부가 관통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결합부 위치 및 개수에 상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받침부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부의 간격 및 개수가 가로철선과 세로철선이 직교하여 결합된 위치 및 수에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양끝단이 세로철선의 가로철선과 용접된 부분의 양옆을 받쳐주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로철선과 같은 길이를 가지고 같은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로철선과 접하여 하측에서 받쳐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용접철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철선 및 세로철선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보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보조부재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로철선 상측으로 결합되는 제1 보조결합부 및
    상기 보조부재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세로철선 하측으로 결합되는 제2 보조결합부를 포함하는 파이프형 용접철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결합부 및 제2 보조결합부는,
    상기 보조부재를 기준으로 90°이상의 각도를 가지며,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꺽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용접철망.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96636A 2017-07-31 2017-07-31 파이프형 용접철망 KR102020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636A KR102020928B1 (ko) 2017-07-31 2017-07-31 파이프형 용접철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636A KR102020928B1 (ko) 2017-07-31 2017-07-31 파이프형 용접철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906A KR20190012906A (ko) 2019-02-11
KR102020928B1 true KR102020928B1 (ko) 2019-09-11

Family

ID=65369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636A KR102020928B1 (ko) 2017-07-31 2017-07-31 파이프형 용접철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9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7549A (ja) * 2004-07-28 2006-02-09 Institute Of National Colleges Of Technology Japan 定着補強鉄筋およびこれを用いる帯鉄筋の定着構造
US20080172974A1 (en) * 2007-01-19 2008-07-24 Suarez Felix E Interlocking Mesh
JP2017036582A (ja) * 2015-08-10 2017-02-16 青森昭和産業 株式会社 配力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349Y1 (ko) * 1995-03-31 1999-02-18 이서형 철근 고정용 지지구
KR20160110928A (ko) * 2016-09-05 2016-09-23 석 규 이 파이프로 구조된 와이어 메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7549A (ja) * 2004-07-28 2006-02-09 Institute Of National Colleges Of Technology Japan 定着補強鉄筋およびこれを用いる帯鉄筋の定着構造
US20080172974A1 (en) * 2007-01-19 2008-07-24 Suarez Felix E Interlocking Mesh
JP2017036582A (ja) * 2015-08-10 2017-02-16 青森昭和産業 株式会社 配力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906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565B1 (ko) 강관삽입형 띠장 및 버팀보
JP4967039B2 (ja) 連続鉄筋コンクリート舗装用支持スペーサーの設置方法
US11525272B2 (en) Anti-seismic performance reinforcement and crack repair structure of masonry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ame
US10633860B2 (en) Reinforcing assemblies having downwardly-extending working members on structurally reinforcing bars for concrete slabs or other structures
KR100624075B1 (ko) 기초보강재
JP4213753B2 (ja) 基礎補強材
KR102020928B1 (ko) 파이프형 용접철망
CN204781617U (zh) 马凳
US20200240145A1 (en) Reinforcing assemblies having downwardly-extending working members on structurally reinforcing bars for concrete slabs or other structures
KR20110077140A (ko) 금속관 이음부 구조체
KR102288626B1 (ko) 망상거치대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코핑
CN108265886A (zh) 一种商务楼顶层结构
KR20110100168A (ko) 보강된 격자지보
US20190040977A1 (en) Concrete Reinforcement Elements and Structures
KR101304501B1 (ko) 강관파일 두부 보강장치
KR101317548B1 (ko) 원형 지지판의 처짐 및 분리가 방지되는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철근 캡 조립체
KR101598048B1 (ko) 고강도 격자지보
KR102005848B1 (ko)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의 철탑구조
KR200416906Y1 (ko) 강관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물
KR101247322B1 (ko) 철근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전단 보강 구조
KR200323006Y1 (ko) 거푸집용 데크플레이트
KR200496808Y1 (ko) 콘크리트 보강용 와이어 메쉬
KR101317194B1 (ko) 무량판 접합구조
CN211949402U (zh) 一种钢立柱式构造柱及电梯井
JP5791305B2 (ja) 鋼板コンクリー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