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680B1 - 전원분배장치 - Google Patents

전원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680B1
KR102020680B1 KR1020170159556A KR20170159556A KR102020680B1 KR 102020680 B1 KR102020680 B1 KR 102020680B1 KR 1020170159556 A KR1020170159556 A KR 1020170159556A KR 20170159556 A KR20170159556 A KR 20170159556A KR 102020680 B1 KR102020680 B1 KR 102020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housing
plate
top plate
power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1311A (ko
Inventor
배광호
Original Assignee
삼원액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원액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원액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9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680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정 공간에 삽입되는 버스바(Bus-Bar)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측면 하우징; 상기 제1측면 하우징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위치하는 제2측면 하우징; 상기 제1측면 하우징과 상기 제2측면 하우징의 일정 간격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 및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을 커버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단기와 접속되면서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전원을 복수로 분기시킬 수 있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분배장치{An Electric Power Distributing Device}
본 발명은 전원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단기와 접속되면서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전원을 복수로 분기시킬 수 있는 전원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공장 또는 아파트 등에는 전력회사에서 공급하는 전기를 받아들여 각 수용가의 부하로 배전하는 수배전장치가 구비된다. 수배전장치는 고압 또는 특고압의 전기를 공급받아 용도에 맞게 감압한 뒤 수용가의 각 부하로 보내기 위한 것으로, 각종 차단기와 보호장비, 그리고 변류기, 전력계, 영상 변류기, 전류계, 전압계 등과 같은 각종 계전장비가 설치된다.
이러한 수배전장치는 소정의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된 메인 차단기와, 이 메인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배전용 차단기와, 복수의 부스바로 구성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부스바를 통해 전기를 배분하여 공급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부스바에 전원분배를 위한 전기선을 접속하여 사용하였다.
따라서, 전기접속 및 분배를 위한 부스바는 접속시 항상 노출된 상태로 구비되므로, 노출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고, 미관상 좋지 않은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543741호
본 발명은 차단기와 접속되면서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전원을 복수로 분기시킬 수 있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정 공간에 삽입되는 버스바(Bus-Bar)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측면 하우징; 상기 제1측면 하우징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위치하는 제2측면 하우징; 상기 제1측면 하우징과 상기 제2측면 하우징의 일정 간격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 및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을 커버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과 체결되는 제1하우징 블럭; 상기 제2측면 하우징과 체결되는 제2하우징 블럭을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블럭은, 하면 플레이트; 상기 하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배면 플레이트; 상기 배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배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높이를 갖는 제1상면 플레이트;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정면 플레이트; 상기 제1정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정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제2높이를 갖는 제2상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정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블럭은, 상기 제2정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정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제3높이를 갖는 제3상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3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3상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배면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3정면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블럭은,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보조 플레이트;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보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버스바는, 제1버스바; 및 상기 제1버스바와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버스바는, 복수개의 제1접점을 포함하고, 제1높이를 갖는 제1전원분배부; 상기 제1전원분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높이 조절부; 상기 제1높이 조절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버스바는, 복수개의 제2접점을 포함하고, 제2높이를 갖는 제2전원분배부; 상기 제2전원분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높이 조절부; 상기 제2높이 조절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원분배부 및 상기 제2전원분배부의 높이는 상이하고, 상기 제1단자부 및 상기 제2단자부의 높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와 상기 제1보조 플레이트의 이격 간격에 상기 제1버스바의 제1전원분배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와 상기 제2보조 플레이트의 이격 간격에 상기 제2버스바의 제2전원분배부가 삽입되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개구홀 및 상기 제1개구홀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개구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3개구홀; 상기 제3개구홀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측 반개구홀 및 상기 제3개구홀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 반개구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의 제1개구홀 및 제2개구홀의 사이 영역에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의 제3개구홀이 위치하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 중 어느 하나의 하우징 블럭의 반개구홀과 다른 하나의 반개구홀이 만나, 하나의 개구홀을 구성하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은, 제1측면 플레이트;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의 내측에 위치하는 버스바 높이조절부 안착부; 및 상기 버스바 높이조절부 안착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버스바 단자부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높이 조절부 안착부는, 제1버스바 제1높이조절부 안착부; 및 제2버스바 제2높이조절부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스바 단자부 삽입공은 제1버스바 제1단자부 삽입공; 및 제2버스바 제2단자부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버스바의 제1높이 조절부는 상기 제1버스바 제1높이조절부 안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2버스바의 제2높이 조절부는 상기 제2버스바 제2높이조절부 안착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1버스바의 제1단자부는 상기 제1버스바 제1단자부 삽입공을 통해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2버스바의 제2단자부는 상기 제2버스바 제2단자부 삽입공을 통해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측면 하우징은 제2측면 플레이트;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의 내측에 위치하는 버스바 일단부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일단부 안착부는, 제1버스바 일단부 안착부; 및 제2버스바 일단부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버스바 일단부 안착부에는 상기 제1버스바의 제1전원분배부의 일단부가 안착되고, 상기 제2버스바 일단부 안착부에는 상기 제2버스바의 제2전원분배부의 일단부가 안착되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기와 접속되면서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전원을 복수로 분기시킬 수 있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일정 공간에 버스바(Bus-Bar)를 삽입함으로써, 미관을 좋게하고, 버스바의 노출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원분배장치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전원분배장치의 전체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측면 하우징의 타측 상단으로부터 상기 보호커버를 분리하여, 상기 보호커버를 오픈하는 것은 2단 오픈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보호커버가 의도하지 않게 클로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를 도시하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서의 보호커버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하는 결합사시도이며,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제1분리사시도이고,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제2분리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블럭의 일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블럭의 타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블럭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블럭이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측면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측면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측면 하우징 및 제2측면 하우징과 보호커버의 분리 또는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일반적인 구조의 차단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일반적인 구조의 차단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구조의 차단기(100)는 상기 차단기 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입력단자부(120) 및 상기 차단기 몸체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출력단자부(14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단자부(120)는 제1입력단자부(120a), 상기 제1입력단자부(120a)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입력단자부(120b) 및 상기 제2입력단자부(120b)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3입력단자부(120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단자부(140)는 제1출력단자부(140a), 상기 제1출력단자부(140a)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출력단자부(140b) 및 상기 제2출력단자부(120b)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3출력단자부(14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입력단자부 및 상기 출력단자부가 3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입력단자부 및 상기 출력단자부는 적어도 1개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는 상기 출력단자부(140)를 커버하는 단자커버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커버부(130)는 상기 출력단자부(140)를 커버하여, 상기 출력단자부 및 상기 출력단자부와 연결되는 전원분배장치의 연결부위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기 몸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스위치부(110)를 포함한다.
상술한 차단기의 구성은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전원분배장치는 상기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차단기로부터의 전원을 다수개로 분배할 수 있다. 이는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기 차단기와 상기 전원분배장치의 연결관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를 도시하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서의 보호커버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하는 결합사시도이며,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제1분리사시도이고,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제2분리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200)는, 하우징(210); 및 상기 하우징(210)의 일정 공간에 삽입되는 버스바(Bus-Bar, 4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210)은, 제1측면 하우징(210); 상기 제1측면 하우징(210)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위치하는 제2측면 하우징(220); 상기 제1측면 하우징(210)과 상기 제2측면 하우징(220)의 일정 간격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300); 및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300)을 커버하는 보호커버(24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300)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210)과 체결되는 제1하우징 블럭(310); 상기 제2측면 하우징(210)과 체결되는 제2하우징 블럭(320); 및 상기 제1하우징 블럭(310)으로부터 상기 제2하우징 블럭(320)까지 순차적으로 체결되는 제3하우징 블럭(330), 제4하우징 블럭(340) 및 제5하우징 블럭(35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하우징 블럭(310)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210) 및 상기 제3하우징 블럭(330)과 체결되고, 상기 제3하우징 블럭(330)은 상기 제1하우징 블럭(310) 및 상기 제4하우징 블럭(340)과 체결되며, 상기 제4하우징 블럭(340)은 상기 제3하우징 블럭(330) 및 상기 제5하우징 블럭(350)과 체결되고, 상기 제5하우징 블럭(350)은 상기 제4하우징 블럭(340) 및 상기 제2하우징 블럭(320)과 체결되며, 상기 제2하우징 블럭(320)은 상기 제5하우징 블럭(350) 및 상기 제2측면 하우징(210)과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하우징 블럭(300)의 개수가 5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하우징 블럭(300)은 적어도 2개 이상일 수 있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 블럭(300)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 블럭(300)의 개수가 2개인 경우는,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210)과 체결되는 제1하우징 블럭(310); 및 상기 제2측면 하우징(210)과 체결되는 제2하우징 블럭(32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하우징 블럭(310)과 상기 제2하우징 블럭(320)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 블럭(300)의 개수가 3개인 경우는,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210)과 체결되는 제1하우징 블럭(310); 상기 제2측면 하우징(210)과 체결되는 제2하우징 블럭(320); 상기 제1하우징 블럭(310)과 일측이 체결되고, 상기 제2하우징 블럭(320)과 타측이 체결되는 제3하우징 블럭(3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하우징 블럭(310)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210) 및 상기 제3하우징 블럭(330)과 체결되고, 상기 제3하우징 블럭(330)은 상기 제1하우징 블럭(310) 및 상기 제2하우징 블럭(320)과 체결되며, 상기 제2하우징 블럭(320)은 상기 제3하우징 블럭(330) 및 상기 제2측면 하우징(210)과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의 개수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210)의 길이(X 방향)를 조절할 수 있으며, 즉, 상기 하우징(210)의 일정 공간에 삽입되는 상기 버스바(Bus-Bar, 400)의 길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길이(X 방향)의 전원분배장치(1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세부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블럭의 일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블럭의 타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블럭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블럭이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한편, 상술한 도 1에서의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은 모두 동일한 형상이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하우징 블럭은 도 1에서 설명한 하우징 블럭을 의미한다.
먼저,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블럭(600)은, 하면 플레이트(610); 상기 하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배면 플레이트(620); 상기 배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배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높이를 갖는 제1상면 플레이트(631);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정면 플레이트(641); 상기 제1정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정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제2높이를 갖는 제2상면 플레이트(632);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정면 플레이트(642); 상기 제2정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정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제3높이를 갖는 제3상면 플레이트(633); 및 상기 제3상면 플레이트(633)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3상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배면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3정면 플레이트(643)를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정면 플레이트 및 상기 상면 플레이트가 각각 3개씩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어, 각각의 상면 플레이트가 제1높이, 제2높이 및 제3높이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상면 플레이트가 이루는 단차가 3 단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면 플레이트 및 상기 상면 플레이트는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일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정면 플레이트 및 상기 상면 플레이트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상면 플레이트가 제1높이, 제2높이 및 제3높이를 포함하고 있어, 이러한 복수개의 상면 플레이트의 계단형 배치를 통해, 상기 하우징 블록의 사이즈를 최소화하면서, 분배되는 전원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면 플레이트 및 상기 상면 플레이트가 2개인 경우, 즉, 제1정면 플레이트, 제2정면 플레이트, 제1상면 플레이트, 제2상면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술한 제2정면 플레이트는 상기 배면 플레이트와 연결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블럭(310)은,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보조 플레이트(651)를 포함하고,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보조 플레이트(652)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3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3상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3보조 플레이트(65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상면 플레이트와 상기 보조플레이트의 각각의 이격 간격에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의 전원분배부가 삽입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는, 제1버스바(410); 상기 제1버스바와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버스바(420); 및 상기 제2버스바와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3버스바(4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버스바(410)는, 복수개의 제1접점(411a)을 포함하고, 제1높이를 갖는 제1전원분배부(411); 상기 제1전원분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높이 조절부(412); 상기 제1높이 조절부(412)로부터 연장되는 제1단자부(4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버스바(420)는, 복수개의 제2접점(412a)을 포함하고, 제2높이를 갖는 제2전원분배부(412); 상기 제2전원분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높이 조절부(422); 상기 제2높이 조절부(422)로부터 연장되는 제2단자부(42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버스바(430)는, 복수개의 제3접점(413a)을 포함하고, 제3높이를 갖는 제3전원분배부(413); 상기 제3전원분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3높이 조절부(432); 상기 제3높이 조절부(432)로부터 연장되는 제3단자부(433)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전원분배부(411) 내지 상기 제3전원분배부(413)의 높이는 각각 상이하나, 상기 제1단자부(413) 내지 상기 제3단자부(433)의 높이는 동일하며, 이는 상기 제1높이 조절부(412) 내지 제3높이 조절부(432)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단자부(413) 내지 상기 제3단자부(433)는 각각 상술한 도 6의 차단기의 상기 제1출력단자부(140a) 내지 상기 제3출력단자부(140c)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차단기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를 통해 분배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631)와 상기 제1보조 플레이트(651)의 이격 간격에 상기 제1버스바(410)의 제1전원분배부(411)가 삽입되고,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632)와 상기 제2보조 플레이트(652)의 이격 간격에 상기 제2버스바(420)의 제2전원분배부(421)가 삽입되며, 상기 제3상면 플레이트(633)와 상기 제3보조 플레이트(653)의 이격 간격에 상기 제3버스바(430)의 제3전원분배부(431)가 삽입된다.
계속해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631)는,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631)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개구홀(661a) 및 상기 제1개구홀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개구홀(661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632)는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632)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3개구홀(662a); 상기 제3개구홀(662a)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측 반개구홀(662b) 및 상기 제3개구홀(662a)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 반개구홀(662c)을 포함한다.
이때, 반개구홀이라 함은 개구홀의 사이즈를 정의하기 위한 명칭으로, 본 발명에서는 반개구홀과 반개구홀이 만나, 하나의 개구홀을 구성한다.
즉,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 블럭(600a)의 반개구홀과 제2하우징 블럭(600b)의 반개구홀이 만나, 하나의 개구홀을 구성하며, 제2하우징 블럭(600b)의 반개구홀과 제3하우징 블럭(600c)의 반개구홀이 만나 하나의 개구홀을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631)의 제1개구홀(661a) 및 제2개구홀(661b)의 사이 영역에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632)의 제3개구홀(662a)이 위치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631)의 개구홀을 통해 노출된 제1버스바의 복수개의 제1접점(411a) 영역과,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632)의 개구홀을 통해 노출된 제2버스바의 복수개의 제2접점(412a) 영역들이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하여, 제1상면 플레이트와 제2상면 플레이트의 각각의 접점에 연결되는 배선들이 서로 간섭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상면 플레이트(633)는, 상기 제3상면 플레이트(633)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4개구홀(663a) 및 상기 제4개구홀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5개구홀(663b)을 포함하며, 이는 제1상면 플레이트의 개구홀과 동일하다.
계속해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블럭(310)은, 상기 하우징 블럭(310)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1체결부(670a, 670b, 670c, 670d, 670e)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블럭(310)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2체결부(671a, 671b, 671c, 671d, 671e)를 포함한다.
즉,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제1하우징 블럭(600a)의 복수개의 제2체결부와 제2하우징 블럭(600b)의 제1체결부가 상호 체결됨으로써, 제1하우징 블럭(600a)과 제2하우징 블럭(600b)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 및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 중 어느 하나의 단면적은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 및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 중 다른 하나의 단면적 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단면적이 큰 체결부는 체결공을 포함하고 있어, 단면적이 적은 체결부가 단면적이 큰 체결부의 체결공에 삽입됨으로써,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면적이 큰 체결부의 삽입공의 형태를 육각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단면적이 적은 체결부의 단면 형태는 원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단면적이 적은 체결부가 단면적이 큰 체결부의 체결공에 삽입됨에 있어서,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상기 육각형태의 삽입공에 원형형태인 단면적이 적은 체결부를 삽입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블럭(310)은, 상기 하우징 블럭(310)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체결핀 제1삽입부(680a, 680b, 680c)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블럭(310)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체결핀 제2삽입부(681a, 681b, 681c)를 포함한다.
즉,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제1하우징 블럭(600a)의 체결핀 제1삽입부와 제2하우징 블럭(600b)의 체결핀 제2삽입부가 상호 체결됨으로써, 제1하우징 블럭(600a)과 제2하우징 블럭(600b)이 체결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제1하우징 블럭(600a)의 체결핀 제1삽입부와 제2하우징 블럭(600b)의 체결핀 제2삽입부의 연속적인 배치에 의해, 체결핀이 삽입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은, 제1측면 하우징(210); 상기 제1측면 하우징(210)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위치하는 제2측면 하우징(220); 상기 제1측면 하우징(210)과 상기 제2측면 하우징(220)의 일정 간격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300)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측면 하우징,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 및 상기 제2측면 하우징을 체결한 후에, 이들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체결핀(510a, 510b, 510c)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체결핀은, 도 2d에서와 같이, 제1하우징 블럭(600a)의 체결핀 제1삽입부와 제2하우징 블럭(600b)의 체결핀 제2삽입부의 연속적인 배치에 의해 제공되는, 체결핀이 삽입될 수 있는 경로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측면 하우징,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 및 상기 제2측면 하우징을 고정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측면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측면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측면 하우징(220)은 제1측면 플레이트(211);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211)의 내측에 위치하는 버스바 높이조절부 안착부(212); 상기 버스바 높이조절부 안착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버스바 단자부 삽입공(213)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스바 높이 조절부 안착부(212)는, 제1버스바 제1높이조절부 안착부(212a); 제2버스바 제2높이조절부 안착부(212b); 및 제3버스바 제3높이조절부 안착부(212c)를 포함하며, 상기 버스바 단자부 삽입공(213)은 제1버스바 제1단자부 삽입공(213a); 제2버스바 제2단자부 삽입공(213b); 제3버스바 제3단자부 삽입공(213c)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는, 제1버스바(410); 상기 제1버스바와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버스바(420); 및 상기 제2버스바와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3버스바(4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버스바(410)는, 복수개의 제1접점(411a)을 포함하고, 제1높이를 갖는 제1전원분배부(411); 상기 제1전원분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높이 조절부(412); 상기 제1높이 조절부(412)로부터 연장되는 제1단자부(4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버스바(420)는, 복수개의 제2접점(412a)을 포함하고, 제2높이를 갖는 제2전원분배부(412); 상기 제2전원분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높이 조절부(422); 상기 제2높이 조절부(422)로부터 연장되는 제2단자부(42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버스바(430)는, 복수개의 제3접점(413a)을 포함하고, 제3높이를 갖는 제3전원분배부(413); 상기 제3전원분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3높이 조절부(432); 상기 제3높이 조절부(432)로부터 연장되는 제3단자부(43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버스바(410)의 제1높이 조절부(412)는 상기 제1버스바 제1높이조절부 안착부(212a)에 안착되고, 상기 제2버스바(420)의 제2높이 조절부(422)는 상기 제2버스바 제2높이조절부 안착부(212b)에 안착되며, 상기 제3버스바(430)의 제3높이 조절부(432)는 상기 제3버스바 제3높이조절부 안착부(212c)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제1버스바(410)의 제1단자부(413)은 상기 제1버스바 제1단자부 삽입공(213a)을 통해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211)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2버스바(420)의 제2단자부(423)은 상기 제2버스바 제2단자부 삽입공(213b)을 통해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211)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3버스바(430)의 제3단자부(433)은 상기 제3버스바 제3단자부 삽입공(213c)을 통해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211)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전원분배부(411) 내지 상기 제3전원분배부(413)의 높이는 각각 상이하나, 상기 제1단자부(413) 내지 상기 제3단자부(433)의 높이는 동일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단자부(413) 내지 상기 제3단자부(433)의 높이가 동일하기 때문에, 단자부가 삽입되어 노출되는 상기 제1버스바 제1단자부 삽입공(213a) 내지 상기 제3버스바 제3단자부 삽입공(213c)의 높이도 동일하게 구성된다.
계속해서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측면 하우징(220)은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211)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3체결부(214a, 214b, 214c, 214d, 214e)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측면 하우징(220)은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211)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체결핀 제3삽입부(215a, 215b, 215c)를 포함한다.
상술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1측면 하우징은 하우징 블럭과 체결된다.
이때, 상술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 블럭은, 상기 하우징 블럭(310)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2체결부(671a, 671b, 671c, 671d, 671e)를 포함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측면 하우징(220)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3체결부(214a, 214b, 214c, 214d, 214e)와 상기 하우징 블럭(310)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2체결부(671a, 671b, 671c, 671d, 671e)가 상호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측면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블럭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 블럭은, 상기 하우징 블럭(310)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체결핀 제2삽입부(681a, 681b, 681c)를 포함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측면 하우징(220)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체결핀 제3삽입부(215a, 215b, 215c)와 상기 하우징 블럭(310)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체결핀 제2삽입부(681a, 681b, 681c)가 상호 체결됨으로써, 하우징 블럭의 체결핀 제2삽입부와 제1측면 하우징(220)의 체결핀 제3삽입부의 연속적인 배치에 의해, 체결핀이 삽입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측면 하우징(230)은 제2측면 플레이트(221);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221)의 내측에 위치하는 버스바 일단부 안착부(222)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스바 일단부 안착부(222)는, 제1버스바 일단부 안착부(222a); 제2버스바 일단부 안착부(222b); 및 제3버스바 일단부 안착부(222c)를 포함한다.
이때, 버스바의 일단부라 함은, 각 버스바의 전원분배부의 일단부를 의미한다.
즉, 각 버스바의 전원분배부의 타단부에는 각각 높이 조절부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버스바 일단부 안착부에 안착되는 것은, 각 버스바의 전원분배부의 일단부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제1버스바 일단부 안착부(222a)에는 상기 제1버스바(410)의 제1전원분배부(411)의 일단부가 안착되고, 상기 제2버스바 일단부 안착부(222b)에는 상기 제2버스바(420)의 제2전원분배부(412)의 일단부가 안착되며, 상기 제3버스바 일단부 안착부(222c)에는 상기 제3버스바(430)의 제3전원분배부(413)의 일단부가 안착된다.
계속해서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측면 하우징(230)은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221)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4체결부(224a, 224b, 224c, 224d, 224e)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측면 하우징(230)은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221)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체결핀 제4삽입부(225a, 225b, 225c)를 포함한다.
상술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2측면 하우징은 하우징 블럭과 체결된다.
이때, 상술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 블럭은, 상기 하우징 블럭(310)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1체결부(670a, 670b, 670c, 670d, 670e)를 포함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측면 하우징(230)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4체결부(224a, 224b, 224c, 224d, 224e)와 상기 하우징 블럭(310)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1체결부(670a, 670b, 670c, 670d, 670e)가 상호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2측면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블럭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 블럭은, 상기 하우징 블럭(310)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체결핀 제1삽입부(680a, 680b, 680c)를 포함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측면 하우징(230)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체결핀 제4삽입부(225a, 225b, 225c)와 상기 하우징 블럭(310)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체결핀 제1삽입부(680a, 680b, 680c)가 상호 체결됨으로써, 하우징 블럭의 체결핀 제1삽입부와 제2측면 하우징(230)의 체결핀 제4삽입부의 연속적인 배치에 의해, 체결핀이 삽입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하우징(210)은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300)을 커버하는 보호커버(24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보호커버(240)는 상기 제1측면 하우징(220) 및 상기 제2측면 하우징(230)의 각각의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측면 하우징(220) 및 상기 제2측면 하우징(230)의 각각의 타측과 체결 또는 분리된다.
즉, 상기 보호커버(240)의 일측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220) 및 상기 제2측면 하우징(230)의 각각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며,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보호커버(240)의 타측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220) 및 상기 제2측면 하우징(230)의 각각의 타측과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호커버의 분리 또는 체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측면 하우징 및 제2측면 하우징과 보호커버의 분리 또는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단,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측면 하우징과 보호커버의 분리 또는 체결을 도시하였으며, 제2측면 하우징과 보호커버의 분리 또는 체결은 이하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240)는 상기 제1측면 하우징(220) 및 상기 제2측면 하우징(230)의 각각의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측면 하우징(220) 및 상기 제2측면 하우징(230)의 각각의 타측과 체결 또는 분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커버(240)는 일측(243)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220)의 일측 상단(도면부호 미도시)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축(217)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며, 상기 힌지축(217)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보호커버(240)의 타측(241)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220)의 타측 상단(218)과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커버(240)의 타측(241)은 결합돌기(24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 하우징(220)의 타측 상단(218)은 결합홈(218a)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결합돌기(242)가 상기 결합홈(218a)에 억지끼움됨(B-B' 영역)에 의하여, 상기 제1측면 하우징과 상기 보호커버를 체결(도 5b의 Z)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의 타측 상단으로부터 상기 보호커버를 분리하여, 상기 보호커버를 오픈하는 것은 2단 오픈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즉,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100°의 각도로 오픈하는 1단 오픈 및 120°의 각도로 오픈하는 2단 오픈을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100° 및 120°의 각도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각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다만, 상기 각도는 둔각의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측면 하우징(220)의 일측 상단(도면부호 미도시)은 수평 플레이트부(219a), 상기 수평 플레이트부(219a)로부터 연장되는 수직 플레이트부(219b)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플레이트부(219b)로부터 연장되는 제1돌출부(219c) 및 상기 제1돌출부(219c)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2돌출부(219d)를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219c) 및 상기 제2돌출부(219d)는 반 원형의 돌출부의 형태로, 상기 제1돌출부(219c) 및 상기 제2돌출부(219d)는 반 원형의 돌출부가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에 해당하여, 상기 제1돌출부(219c) 및 상기 제2돌출부(219c)의 연결지점에 곡선형태의 제1요(凹)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 플레이트부(219b)와 상기 제1돌출부(219c)의 연결지점에는 곡선형태와 직선형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형태의 제2요(凹)부가 형성되며, 상기 곡선형태는 상기 제2돌출부에 의해 곡선형태의 요(凹)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플레이트부(219c)로부터 연장되는 직선 플레이트(도면부호 미도시)에 의해 직선형태의 요(凹)부가 형성되어, 이들 곡선형태의 요(凹)부와 직선형태의 요(凹)부의 연결에 의해 제2요(凹)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커버(240)의 일측은 철(凸)부(X)를 포함하며, 상기 철(凸)부(X)는 반 원형의 돌출부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호커버(240)의 일측에 형성된 철(凸)부(X)와 상기 제1요(凹)부가 결합하여 1단 오픈이 되며, 상기 보호커버(240)의 일측에 형성된 철(凸)부(X)와 상기 제2요(凹)부가 결합하여 2단 오픈이 된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240)의 일측에 형성된 철(凸)부(X)가 상기 제1돌출부(219c) 및 상기 제2돌출부(219d)의 연결지점에 곡선형태의 제1요(凹)부에 위치하여 100°의 각도로 오픈하는 1단 오픈이 가능하며,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240)의 일측에 형성된 철(凸)부(X)가 상기 수직 플레이트부(219b)와 상기 제1돌출부(219c)의 연결지점에 위치하는, 곡선형태와 직선형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형태의 제2요(凹)부에 위치하여 120°의 각도로 오픈하는 2단 오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2단 오픈 구조를 작업의 편의성을 위함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및 전원분배장치는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즉, 전원분배장치를 벽면에 설치하여 사용한다고 가정시, 1단 오픈 구조에서는 상기 보호커버가 다시 클로즈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2단 오픈 구조인, 약 120°의 각도로 보호커버를 오픈하는 경우, 상기 보호커버가 다시 클로즈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으며, 클로즈되더라도, 2단 오픈 구조에서 1단 오픈 구조로 순차적으로 클로즈되기 때문에, 보호커버가 의도하지 않게 클로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b의 Y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가 120°의 각도를 초과하여 오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측면 하우징의 수평플레이트부(219a)는 스토퍼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단기와 접속되면서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전원을 복수로 분기시킬 수 있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일정 공간에 버스바(Bus-Bar)를 삽입함으로써, 미관을 좋게하고, 버스바의 노출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원분배장치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전원분배장치의 전체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측면 하우징의 타측 상단으로부터 상기 보호커버를 분리하여, 상기 보호커버를 오픈하는 것은 2단 오픈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보호커버가 의도하지 않게 클로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1)

  1.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정 공간에 삽입되는 버스바(Bus-Bar)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측면 하우징; 상기 제1측면 하우징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위치하는 제2측면 하우징; 상기 제1측면 하우징과 상기 제2측면 하우징의 일정 간격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 및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을 커버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제1버스바; 및 상기 제1버스바와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버스바는, 복수개의 제1접점을 포함하고, 제1높이를 갖는 제1전원분배부; 상기 제1전원분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높이 조절부; 상기 제1높이 조절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버스바는, 복수개의 제2접점을 포함하고, 제2높이를 갖는 제2전원분배부; 상기 제2전원분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높이 조절부; 상기 제2높이 조절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원분배부 및 상기 제2전원분배부의 높이는 상이하고, 상기 제1단자부 및 상기 제2단자부의 높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분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과 체결되는 제1하우징 블럭; 상기 제2측면 하우징과 체결되는 제2하우징 블럭을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블럭은, 하면 플레이트; 상기 하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배면 플레이트; 상기 배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배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높이를 갖는 제1상면 플레이트;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정면 플레이트; 상기 제1정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정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제2높이를 갖는 제2상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정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블럭은, 상기 제2정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정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제3높이를 갖는 제3상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3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3상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배면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3정면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블럭은,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보조 플레이트;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보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와 상기 제1보조 플레이트의 이격 간격에 상기 제1버스바의 제1전원분배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와 상기 제2보조 플레이트의 이격 간격에 상기 제2버스바의 제2전원분배부가 삽입되는 전원분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개구홀 및 상기 제1개구홀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개구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3개구홀; 상기 제3개구홀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측 반개구홀 및 상기 제3개구홀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 반개구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의 제1개구홀 및 제2개구홀의 사이 영역에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의 제3개구홀이 위치하는 전원분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 중 어느 하나의 하우징 블럭의 반개구홀과 다른 하나의 반개구홀이 만나, 하나의 개구홀을 구성하는 전원분배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 하우징은, 제1측면 플레이트;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의 내측에 위치하는 버스바 높이조절부 안착부; 및 상기 버스바 높이조절부 안착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버스바 단자부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높이 조절부 안착부는, 제1버스바 제1높이조절부 안착부; 및 제2버스바 제2높이조절부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스바 단자부 삽입공은 제1버스바 제1단자부 삽입공; 및 제2버스바 제2단자부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버스바의 제1높이 조절부는 상기 제1버스바 제1높이조절부 안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2버스바의 제2높이 조절부는 상기 제2버스바 제2높이조절부 안착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1버스바의 제1단자부는 상기 제1버스바 제1단자부 삽입공을 통해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2버스바의 제2단자부는 상기 제2버스바 제2단자부 삽입공을 통해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전원분배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 하우징은 제2측면 플레이트;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의 내측에 위치하는 버스바 일단부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일단부 안착부는, 제1버스바 일단부 안착부; 및 제2버스바 일단부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버스바 일단부 안착부에는 상기 제1버스바의 제1전원분배부의 일단부가 안착되고, 상기 제2버스바 일단부 안착부에는 상기 제2버스바의 제2전원분배부의 일단부가 안착되는 전원분배장치.
KR1020170159556A 2017-11-27 2017-11-27 전원분배장치 KR102020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556A KR102020680B1 (ko) 2017-11-27 2017-11-27 전원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556A KR102020680B1 (ko) 2017-11-27 2017-11-27 전원분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809A Division KR102054217B1 (ko) 2019-09-04 2019-09-04 전원분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311A KR20190061311A (ko) 2019-06-05
KR102020680B1 true KR102020680B1 (ko) 2019-09-11

Family

ID=66844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556A KR102020680B1 (ko) 2017-11-27 2017-11-27 전원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6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4731A (ja) 2001-05-10 2002-11-22 Kawamura Electric Inc 端子カバーの取り付け構造
JP2006040692A (ja) 2004-07-27 2006-02-09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端子台
JP2007294333A (ja) * 2006-04-27 2007-11-08 Osada:Kk 分岐端子台装置
KR200464646Y1 (ko) * 2012-07-17 2013-01-11 권영로 배전반용 전원분배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741B1 (ko) 2014-03-03 2015-08-11 윤여관 전원분배용 터미널 블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4731A (ja) 2001-05-10 2002-11-22 Kawamura Electric Inc 端子カバーの取り付け構造
JP2006040692A (ja) 2004-07-27 2006-02-09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端子台
JP2007294333A (ja) * 2006-04-27 2007-11-08 Osada:Kk 分岐端子台装置
KR200464646Y1 (ko) * 2012-07-17 2013-01-11 권영로 배전반용 전원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311A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5257B2 (en) Plug-in system
KR101553946B1 (ko) 배선용 차단기
EP2903015B1 (en) Circuit breaker
US10141147B2 (en) Touch safe panel board system
US9608414B2 (en) Rack positioning assembly for an electric panel, electric panel comprising one such assembly and method for fitting this assembly
KR20100017368A (ko) 고전압 개폐기
RU2247454C1 (ru)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ита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потребителей
US9667041B2 (en) Electrically insulating cover for terminal assembly
US11342692B2 (en) Modular junction boxes
KR102054217B1 (ko) 전원분배장치
KR102020680B1 (ko) 전원분배장치
KR102246825B1 (ko) 접속클립 및 이를 구비하는 mcc
EP4082081B1 (en) Four pole outgoing plugging assembly
KR101082328B1 (ko)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US9667051B2 (en) Power terminal enclosure for power conductors
US9692213B2 (en) Doorless modular panelboard
US9525275B2 (en) Panelboard, and switchgear assembly and stab assembly therefor
KR100822266B1 (ko) 수변전 장치
KR20130117939A (ko) 전기기기 및 전기기기 지지부재
KR101615602B1 (ko) 배전반 버킷의 2차측 커넥터
US10297985B2 (en) Modular electrical device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nd mounting the same
CN203826798U (zh) 用于开关柜的紧固和分隔组件
KR101333569B1 (ko) 삼각모선부를 이용한 고ㆍ저압 배전반
RU248565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тажа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блока в канале для прокладки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ей или проводов и электрический узел, содержащий электрический блок и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825604B1 (ko)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