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164B1 - Method for generating bending path of tooth straitening wire - Google Patents

Method for generating bending path of tooth straitening w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164B1
KR102019164B1 KR1020170044608A KR20170044608A KR102019164B1 KR 102019164 B1 KR102019164 B1 KR 102019164B1 KR 1020170044608 A KR1020170044608 A KR 1020170044608A KR 20170044608 A KR20170044608 A KR 20170044608A KR 102019164 B1 KR102019164 B1 KR 102019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virtual
bending path
tooth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6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3275A (en
Inventor
정연호
정재웅
최광선
Original Assignee
정연호
정재웅
최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호, 정재웅, 최광선 filed Critical 정연호
Priority to KR1020170044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164B1/en
Priority to PCT/KR2018/002371 priority patent/WO2018186590A1/en
Publication of KR20180113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2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1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Abstract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은 대상 환자의 구강내 복수의 치아에 대해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통하여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에 대해 교합평면을 생성하고, 상기 교합평면과 평행한 가상평면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평면과 상기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이 만나는 교합면을 생성하고, 상기 교합면을 따라 가상의 점을 생성하여 와이어(wire)의 벤딩(bending)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와이어의 벤딩 경로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대상 환자의 구강내 복수의 치아에 대해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3차원 치아모형을 생성하고, 생성된 3차원 치아모형에 대해서 교합평면 및 가상평면을 생성하여 이들이 만나는 교합면에 따라 와이어 밴딩 경로를 생성함으로써, 치아 교정용 와이어의 성형 경로를 간단히 설정할 수 있다..Disclosed is a method for generating a wire bending path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generating a wire bending path for orthodontics generates scan data of a plurality of teeth in a mouth of a target patient using a 3D scanner, and virtual 3D through the generated scan data. Create a tooth model, create an occlusal plane with respect to the virtual three-dimensional tooth model, generate a virtual plane parallel to the occlusal plane, and create an occlusal surface where the virtual plane meets the virtual three-dimensional tooth model And generating a bending path of a wire by generating a virtual point along the occlusal surface, and outputting a bending path of the wir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ee-dimensional dental model is generated using a three-dimensional scanner for a plurality of teeth in the oral cavity of a target patient, and the occlusal plane and the virtual plane are generated for the generated three-dimensional dental model, By creating a wire banding path along the occlusal surface where it meets, the forming path of the orthodontic wire can be set simply.

Description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METHOD FOR GENERATING BENDING PATH OF TOOTH STRAITENING WIRE}METHOD FOR GENERATING BENDING PATH OF TOOTH STRAITENING W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과 관련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method of generating a wire bending path for orthodontics.

치과 치료는 치아와 그 주위 조직 및 구강을 포함한 악안면 영역의 질병이나 비정상적 상태 등을 예방하고 진단하며 치료를 도모하는 일련의 치료를 의미한다.Dental treatment refers to a series of treatments for preventing, diagnosing, and treating diseases and abnormal conditions of the maxillofacial region including teeth, surrounding tissues, and oral cavity.

최근 구강 위생 상태를 개선하고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진료 이외에 교정 치료가 많이 수행된다. 교정 치료란 단순히 비뚤어진 치아를 가지런히 하는 것을 포함, 성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골격적 부조화를 바로잡아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한 구강 조직 및 아름다운 얼굴 모습을 만들어주는 것을 의미한다.Recently, many orthodontic treatments are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treatments necessary to improve oral hygiene and maintain healthy teeth. Orthodontic treatment simply means correcting various skeletal inconsistencies that may occur during the growth process, including straightening of the crooked teeth, so that they can function normally and produce healthy oral tissue and beautiful facial appearance.

교정 치료 과정에서 교정용 와이어가 많이 사용된다. 교정환자의 치아배열, 치아모양 등의 치아 구조에 따라 정확한 형상의 치아 교정용 와이어를 제작하는 것이 시술기간을 단축시키고 시술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제 조건이다. 따라서, 성공적인 교정 치료를 위해서, 치아 교정용 와이어는 각각의 환자의 구강구조에 따라 정교하게 성형되어야 한다.Orthodontic wires are often used in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tooth structure of the orthodontic patient's teeth, such as the shape of the tooth to produce the correct shape of the wire for orthodontics is a prerequisite for shortening the procedure period and improving the treatment effect. Therefore, for successful orthodontic treatment, the orthodontic wire must be precisely shaped according to the oral structure of each patient.

이러한 치아 교정용 와이어를 성형하는 방법은 치아를 포함한 구강 내부의 틀(모형)을 뜬 뒤 치과의사 또는 치기공사 등에 의하여 수작업을 통해 수행되는 경우가 많았다.Such a method of forming the orthodontic wire was often performed by hand by a dentist or a dental technician after floating a mold (model) in the oral cavity including a tooth.

상기와 같이 수작업 방법에 의하여 교정용 와이어가 성형되는 경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교정용 와이어의 성형품질이 좌우되고, 작업 비용 및 작업 시간이 크게 증가할 수 있고 이는 교정 치료비용의 증가 요인으로 작용한다.When the orthodontic wire is molded by the manual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molding quality of the orthodontic wire depends on the skill of the operator, and the work cost and work time can be greatly increased, which acts as an increase factor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cost. do.

따라서, 와이어를 성형하는 방법이 단순화되고, 교정용 와이어의 밴딩 성형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밴딩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of forming the wire is simplified, and a banding method capable of reducing the bending molding cost of the calibration wire is requir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2896호 (2014. 12. 15.)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42896 (2014. 12. 15.)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치아 교정용 와이어의 밴딩 경로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method for generating a bending path of the orthodontic wi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와이어 밴딩 경로에 따라 와이어를 간단하게 성형하고 교정용 와이어의 밴딩 성형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that can easily form the wire according to the wire bending path and reduce the bending molding cost of the orthodontic wi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환자의 구강내 복수의 치아에 대해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통하여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에 대해 교합평면을 생성하고, 상기 교합평면과 평행한 가상평면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평면과 상기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이 만나는 교합면을 생성하고, 상기 교합면을 따라 가상의 점을 생성하여 와이어(wire)의 벤딩(bending)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와이어의 벤딩 경로를 출력하는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an data is generated using a 3D scanner for a plurality of teeth in the oral cavity of a target patient, a virtual 3D tooth model is generated through the generated scan data, and the virtual Create an occlusal plane for a three-dimensional dental model of, create a virtual plane parallel to the occlusal plane, create an occlusal plane where the virtual plane meets the virtual three-dimensional dental model, and virtually along the occlusal plan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generating a wire bending path for orthodontics, which generates a bending path of a wire by generating a dot and outputs a bending path of the wire.

또한, 상기 치아 스캔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치아에 대해 인상재를 이용하여 치아음형을 채득한 이후 석고 모형으로 제작하고, 제작된 석고모형에 대해서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상기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oth scan data may be produced as a gypsum model after obtaining the tooth sound using the impression material for the plurality of teeth, and the scan data may be generated using a three-dimensional scanner for the produced gypsum model.

또한, 상기 치아 스캔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치아에 대해서 직접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oth scan data may directly generate scan data of the plurality of teeth using a 3D scanner.

또한, 상기 3차원 치아모형의 교합평면은 상기 복수의 치아의 가장 높은 3개 이상의 점을 이은 가상평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occlusal plane of the three-dimensional teeth model may be a virtual plane connecting the three or more points of the plurality of teeth.

또한, 상기 교합평면은 상기 복수의 치아의 상악 및 하악의 각각에 대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cclusal plane may be formed for each of the upper and lower jaws of the plurality of teeth.

또한, 상기 가상평면은 기울기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rtual plane may be adjusted at least one of tilt and height.

또한, 상기 와이어 벤딩 경로는 각각의 치아에 대해 적어도 3개 이상의 가상의 점들을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 bending path may generate at least three or more virtual points for each tooth.

또한, 상기 가상의 점들은 상기 각각의 치아의 중앙 부위 및 상기 중앙 부위에 대해 좌우 경계부에 생성되는 3개 이상의 점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virtual points may be three or more points generated at the left and right boundari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spective teeth and the central portion.

또한, 상기 가상의 점들은 좌, 우, 앞, 뒤,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러한 위치 이동 시에는 한 방향으로만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rtual points can adjust the left, right, front, back, height, and can be controlled in only one direction when moving the position.

또한, 상기 가상의 점들은 상기 각각의 치아의 중앙 부위 및 상기 중앙 부위에 대해 좌우 경계부들 각각의 사이에 추가로 생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rtual points may be further generated between each of the left and right boundari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spective tooth and the central portion.

또한, 상기 와이어 벤딩 경로는 와이어의 두께를 설정하여 상기 와이어가 상기 교합면의 경계를 비관통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 bending path may be generated to set the thickness of the wire so that the wire does not penetrate the boundary of the occlusal surface.

또한, 상기 와이어 벤딩 경로에 대한 출력 데이터는 상기 와이어의 수직 단면에 대한 중앙점을 잇는 선에 해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data for the wire bending path may correspond to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point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wir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에 의해 출력된 데이터를 통하여 와이어를 벤딩하는 좌표를 변환하는 제어 보드 및 상기 변환된 좌표를 통하여 기계의 모터가 제어되고, 변환된 좌표를 통해 디자인된 상기 와이어의 형상에 따라 벤딩하는 와이어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board for converting the coordinates for bending the wire through the data output by the method for generating the orthodontic wire bending path and the motor of the machine is controlled through the converted coordinates, conversion It provides a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bending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wire designed through the coordinat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 제조 장치로 제조되는 와이어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 manufactured by the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대상 환자의 구강내 복수의 치아에 대해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3차원 치아모형을 생성하고, 생성된 3차원 치아모형에 대해서 교합평면 및 가상평면을 생성하여 이들이 만나는 교합면에 따라 와이어 밴딩 경로를 생성함으로써, 치아 교정용 와이어의 성형 경로를 간단히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ee-dimensional dental model is generated using a three-dimensional scanner for a plurality of teeth in the oral cavity of a target patient, and the occlusal plane and the virtual plane are generated for the generated three-dimensional dental model, By creating a wire bending path along the occlusal surface where it meets, the shaping path of the orthodontic wire can be easily se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설정된 와이어 경로에 따라 와이어 제조 장치가 와이어를 제조함으로써, 별도의 수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와이어를 성형하는 방법이 단순화되고, 작업 비용 및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manufactures wires according to a set wire path,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manual work, thereby simplifying a method of forming wires, and reducing work cost and work time.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합평면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합평면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평면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의 경로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의 경로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generating a calibration wire bending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reen showing a virtual three-dimensional teeth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reen showing an occlusal p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reen showing a process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occlusal p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reen illustrating a virtual p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reen illustrating a path of a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reen illustrating a path of a wir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assist 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 / 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scrip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only and should not be limiting. Unless expressly used otherwise,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of meaning.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es" or "equipment"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ortion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one or more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ortion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100)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100 for generating a wire bending path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llustrated flow chart, the metho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eps, but at least some of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a reverse order, in combination with other steps, omitted, divided into substeps, or not shown. One or more steps may be added and perform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100)은 대상 환자의 구강내 복수의 치아에 대해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01), 상기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통하여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을 생성하는 단계(S102), 상기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에 대해 교합평면을 생성하고, 상기 교합평면과 평행한 가상평면을 생성하는 단계(S103), 상기 가상평면과 상기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이 만나는 교합면을 생성하는 단계(S104), 상기 교합면을 따라 가상의 점을 생성하여 와이어(wire)의 벤딩(bending)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S105), 상기 와이어의 벤딩 경로를 출력하는 단계(S10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in the method 100 for generating a wire bending path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ing scan data using a 3D scanner for a plurality of teeth in a mouth of a target patient (S101). ), Generating a virtual three-dimensional teeth model through the generated scan data (S102), generating an occlusal plane for the virtual three-dimensional teeth model, and generating a virtual plane parallel to the occlusal plane (S103), generating an occlusal surface where the virtual plane and the virtual three-dimensional tooth model meet (S104), generating a virtual point along the occlusal surface to generate a bending path of a wire In step S105, and outputting the bending path of the wire (S106).

구체적으로, 상기 (S101) 단계에서, 치아 스캔 데이터는 복수의 치아에 대해 인상재를 이용하여 치아음형을 채득한 이후 석고 모형으로 제작하고, 제작된 석고모형에 대해서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상기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step (S101), the tooth scan data is produced as a gypsum after obtaining the tooth shape by using the impression material for a plurality of teeth, and the scan data using the three-dimensional scanner for the produced gypsum model Can be generated.

또한, 치아 스캔 데이터는 별도의 석고 모형을 제작하지 않고, 복수의 치아에 대해서 구강 내에서 직접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데이터를 생성할 수 도 있다. In addition, the tooth scan data may be generated by using a three-dimensional scanner directly in the oral cavity for a plurality of teeth without producing a separate gypsum model.

이러한 경우, 별도의 석고 모형을 제작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를 성형하는 과정을 더욱 단순화 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separate gypsum model can be omitted, the process of forming the wire can be further simplified.

이때, 3차원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는 컴퓨터 및 컴퓨터와 연결된 주변 장치로부터 획득되어 저장 장치에 기록되는 형태로 획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차원 STL(StereoLithography) 파일로 생성 및 저장되는 구조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data obtained by the 3D scanner may be obtained from a computer and a peripheral device connected to the computer, and may be obtained in a form recorded in a storage device. For example, the data may be generated and stored as a 3D STL (StereoLithography) file. Can be.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을 나타내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합평면을 나타내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합평면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평면을 나타내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의 경로를 나타내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2 is a screen showing a virtual three-dimensional teeth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reen showing the occlusal p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screen showing a process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occlusal p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Figure 5 shows a screen showing a virtual p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screen showing a path of a wire is shown.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STL 파일로 생성 및 저장된 스캔데이터는 컴퓨터에 의해 로드 되어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200)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200)은 복수의 치아의 상악 및 하악 각각에 대해서 생성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2, the scan data generated and stored as an STL file is loaded by a computer to form a virtual three-dimensional dental model 200. The virtual three-dimensional dental model 200 includes a plurality of teeth. For each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can be generated.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S103) 단계에서,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200)에 대해 생성되는 교합평면(210)은 복수의 치아의 가장 높은 3개 이상의 점을 이은 형태로 생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치아의 가장 높은 3개의 점(221. 222, 223)을 이은 가상평면 형태로서 자동으로 생성되며,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200)이 형성된 상악 및 하악의 각각에 대하여 형성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3, in the step S103, the occlusal plane 210 generated for the virtual three-dimensional tooth model 200 is generated in a form in which three or more points of the plurality of teeth are connected in succession.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a virtual three-dimensional tooth model (eg, a virtual three-dimensional tooth model) is automatically generated as a virtual plane form following the three highest points 221. 222 and 223 of the plurality of teeth. 200) may be formed for each of the formed upper and lower jaws.

다음으로, 교합평면(210)과 평행한 가상평면(230)을 생성하게 되며, 이러한 가상평면(230)은 도 4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생성된 교합평면(210)에 대해서 임의의 3개의 축(241, 242, 243)을 형성하고, 이를 사용자가 기울기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형성된다.Next, a virtual plane 230 is generated that is parallel to the occlusal plane 210, and the virtual plane 230 may include any three of the generated occlusal planes 210, as shown in FIG. 4. Shafts 241, 242 and 243 are formed, which are formed by the user adjusting at least one of tilt and height.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S104) 단계에서, 교합평면(210)의 위치 조절에 의해서 생성된 가상평면(230)과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200)이 만나는 교합면(250)이 생성되고, 도 6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S105) 단계에서,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200)의 치면에 대해서 교합면(250)이 지나가는 위치에 가상의 점(271, 272, 273)을 생성하여 와이어(300)의 벤딩 경로를 생성한다.Next, referring to FIG. 5, in step S104, the occlusal surface 250 where the virtual plane 230 generated by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occlusal plane 210 and the virtual three-dimensional tooth model 200 meet each other. 6, the virtual points 271, 272, at positions where the occlusal surface 250 passes with respect to the tooth surface of the virtual three-dimensional dental model 200 in the step (S105). 273 to generate a bending path of the wire 300.

이때, 가상의 점(261, 262, 263)은 각각의 치아에 대해 적어도 3개 이상으로 생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가상의 점(261, 262, 263)은 도 5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치아의 중앙 부위(262) 및 중앙 부위에 대해 좌우 경계부(261, 263)에 생성되는 3개 이상의 점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t least three virtual points 261, 262 and 263 may be generated for each tooth, and specifically, the virtual points 261, 262 and 263 may be generated as shown in FIG. 5. It may consist of three or more points generated at the left and right boundaries 261 and 263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262 and the central portion of each tooth.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의 경로를 나타내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7 is a screen showing a path of a w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와이어(300)의 벤딩 경로를 생성하는 가상의 점(261, 262, 273)은 치아의 중앙 부위(262)를 기준으로 좌우 경계부(261, 263)에 각각 0.1mm 간격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도 7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3개의 가상의 점(261, 262, 263) 사이에 가상의 점(264, 265, 266)을 추가하여 좀더 세밀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6 and 7, virtual points 261, 262, and 273, which generate bending paths of the wire 300, are 0.1 at the left and right boundaries 261 and 263, respectively,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262 of the tooth. It can be generated at mm intervals, and as shown in FIG. 7, the virtual points 264, 265, and 266 can be added between the three virtual points 261, 262, and 263 to create a more detailed path. Can be.

상기 단계(S105)에서, 와이어(300)의 벤딩 경로는 필요에 따라 각각의 가상의 점(261, 262, 263)에 대해서 좌, 우, 앞, 뒤, 높이를 조절하여 변경할 수 있고, 각각의 가상의 점(261, 262, 263)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는 한 방향으로만 제어되는 구조일 수 있다.In the step (S105), the bending path of the wire 300 can be changed by adjusting the left, right, front, back, height for each virtual point 261, 262, 263 as necessary, When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virtual points 261, 262, and 263, the structure may be controlled in only one direction.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단계(S106)에서, 와이어(300)의 벤딩 경로를 출력할 때 사용되는 와이어(300)의 종류에 따라 굵기를 구분하여 출력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도 8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와이어(300)의 굵기에 따라, 치아(270)를 비관통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와이어(300)의 벤딩 경로는 와이어(300)의 두께를 설정하여 와이어가 교합면(250)의 경계를 비관통하도록 생성한다.6 and 8, in step S106, the thicknesses may be classified and outpu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ire 300 used when the bending path of the wire 300 is output. As disclosed in 8,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wire 300, the tooth 270 may be adjusted to be non-penetrating. That is, the bending path of the wire 300 sets the thickness of the wire 300 to generate the wire so as not to penetrate the boundary of the occlusal surface 250.

따라서, 와이어(300) 벤딩 경로에 대한 출력 데이터는 와이어(300)의 굵기를 고려하여, 와이어(300)의 수직 단면에 대한 중앙점을 잇는 선(310) 상에서 생성되는 형태로 조절될 수 있다.Therefore, the output data for the wire 300 bending path may be adjusted in a form generated on the line 310 connecting the center point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wire 300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wire 300.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200: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
210: 교합평면
221. 222, 223: 복수의 치아의 가장 높은 3개의 점
230: 가상평면
241, 242, 243: 임의의 3개의 축
250: 교합면
261, 262, 263, 264, 265, 266: 가상의 점
270: 치아
300: 와이어
310: 중앙점을 잇는 선
200: virtual three-dimensional tooth model
210: occlusal plane
221. 222, 223: the three highest points of the plurality of teeth
230: virtual plane
241, 242, 243: any three axes
250: occlusal surface
261, 262, 263, 264, 265, 266: virtual points
270: tooth
300: wire
310: line connecting the center point

Claims (15)

대상 환자의 구강내 복수의 치아에 대해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통하여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에 대해 교합평면을 생성하고, 상기 교합평면과 평행한 가상평면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평면과 상기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이 만나는 교합면을 생성하고,
상기 교합면을 따라 각각의 치아에 대해 적어도 3개 이상의 가상의 점을 생성하여 와이어(wire)의 벤딩(bending)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와이어의 벤딩 경로를 출력하는,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Scan data is generated using a 3D scanner for a plurality of teeth in the oral cavity of a target patient,
Generate a virtual three-dimensional tooth model through the generated scan data,
Generate an occlusal plane for the virtual three-dimensional tooth model, create a virtual plane parallel to the occlusal plane,
Create an occlusal surface where the virtual plane and the virtual three-dimensional tooth model meet,
Generating at least three virtual points for each tooth along the occlusal surface to create a bending path of wire,
Outputting the bending path of the wire, the orthodontic wire bending path generation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아 스캔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치아에 대해 인상재를 이용하여 치아음형을 채득한 이후 석고 모형으로 제작하고, 제작된 석고모형에 대해서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상기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ooth scan data is obtained by using a impression material for the plurality of teeth using the impression material after making the gypsum model, and for the produced gypsum model to generate the scan data by using a three-dimensional scanner, the orthodontic wire How to create a bending pat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아 스캔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치아에 대해서 직접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데이터를 생성하는,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ooth scan data is a method of generating a wire bending path for orthodontics to generate the scan data for the plurality of teeth directly using a three-dimensional scann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치아모형의 교합평면은 상기 복수의 치아의 가장 높은 3개 이상의 점을 이은 가상평면인,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cclusal plane of the three-dimensional teeth model is a virtual plane connecting the highest three or more points of the plurality of teeth, wire bending path generation method for orthodontic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교합평면은 상기 복수의 치아의 상악 및 하악의 각각에 대하여 형성되는,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occlusal plane is formed for each of the upper and lower jaws of the plurality of teeth, the orthodontic wire bending path generation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상평면은 기울기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는,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irtual plane is a method of generating a wire bending path for orthodontics, at least one of tilt and height is adjuste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점들은 상기 각각의 치아의 중앙 부위 및 상기 중앙 부위에 대해 좌우 경계부에 생성되는 3개의 이상의 점인,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imaginary points are at least three points created at the left and right boundari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of each tooth and the central port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점들은 좌, 우, 앞, 뒤,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러한 위치 이동 시에는 한 방향으로만 제어되는,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virtual points can adjust the left, right, front, back, height, and is controlled only in one direction when moving the position, orthodontic wire bending path generation method.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점들은 상기 각각의 치아의 중앙 부위 및 상기 중앙 부위에 대해 좌우 경계부들 각각의 사이에 추가로 생성되는,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And the virtual points are further generated between each of the left and right boundari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spective tooth and the central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벤딩 경로는 와이어의 두께를 설정하여 상기 와이어가 상기 교합면의 경계를 비관통하도록 생성되는,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 bending path is generated by setting the thickness of the wire so that the wire does not penetrate the boundary of the occlusal surface, orthodontic wire bending path generation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벤딩 경로에 대한 출력 데이터는 상기 와이어의 수직 단면에 대한 중앙점을 잇는 선에 해당하는,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output data for the wire bending path corresponds to a line connecting a center point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wire.
삭제delete 청구항 1 내지 6 및 8 내지 12에 중 하나의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에 의해 출력된 데이터를 통하여 와이어를 벤딩하는 좌표를 변환하는 제어 보드; 및
상기 변환된 좌표를 통하여 기계의 모터가 제어되고, 변환된 좌표를 통해 디자인된 상기 와이어의 형상에 따라 벤딩하는, 와이어 제조 장치.
A control board for converting coordinates for bending wires through data output by the method for generating a wire orthodontic wire bending path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d 8 to 12; And
The motor of the machine is controlled via the converted coordinates, and bend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wire designed through the converted coordinates.
삭제delete
KR1020170044608A 2017-04-06 2017-04-06 Method for generating bending path of tooth straitening wire KR1020191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608A KR102019164B1 (en) 2017-04-06 2017-04-06 Method for generating bending path of tooth straitening wire
PCT/KR2018/002371 WO2018186590A1 (en) 2017-04-06 2018-02-27 Method for generating orthodontic wire bending pa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608A KR102019164B1 (en) 2017-04-06 2017-04-06 Method for generating bending path of tooth straitening w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275A KR20180113275A (en) 2018-10-16
KR102019164B1 true KR102019164B1 (en) 2019-11-04

Family

ID=63712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608A KR102019164B1 (en) 2017-04-06 2017-04-06 Method for generating bending path of tooth straitening wir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19164B1 (en)
WO (1) WO2018186590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8493A (en) * 2020-06-01 2020-08-28 哈尔滨理工大学 Orthodontic arch wire variable-angle dividing method based on bending point-angle distance ratio s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811B1 (en) * 2020-10-28 2020-12-30 요트 주식회사 Wire processing device to prevent z-axis bending
US20220280264A1 (en) * 2021-03-05 2022-09-08 YOAT Corporation Method for generating bending path of orthodontic wi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2966B2 (en) * 1995-04-14 2005-07-20 株式会社ユニスン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dental prediction model
JP5015197B2 (en) * 2002-09-26 2012-08-29 オルムコ コーポレイション Custom orthodontic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638B1 (en) * 2010-02-24 2011-12-22 박영석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production of orthodontic appliance components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treatment system
EP4059471A1 (en) * 2010-02-25 2022-09-21 3Shape A/S Dynamic virtual articulator
FR2959930B1 (en) * 2010-05-17 2012-07-20 H 32 METHOD FOR MANUFACTURING ORTHODONTIC ARC OR CONTAINING ARC,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AND ORTHODONTIC ARC OR ARC OF RESISTANCE, AND ORTHODONTIC APPARATUS COMPRISING SAME
KR101480147B1 (en) 2013-06-05 2015-01-07 (주)Sy이노베이션 Bracket for orthodontics
KR101658113B1 (en) * 2014-12-29 2016-09-21 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calculating bending points and angles of orthodontic archwires using computer and program thereof
KR101606668B1 (en) * 2015-01-13 2016-03-25 조건제 Manufacturing Method Of Teeth Alignment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2966B2 (en) * 1995-04-14 2005-07-20 株式会社ユニスン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dental prediction model
JP5015197B2 (en) * 2002-09-26 2012-08-29 オルムコ コーポレイション Custom orthodontic appliance system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8493A (en) * 2020-06-01 2020-08-28 哈尔滨理工大学 Orthodontic arch wire variable-angle dividing method based on bending point-angle distance ratio sum
CN111588493B (en) * 2020-06-01 2021-05-28 哈尔滨理工大学 Orthodontic arch wire variable-angle dividing method based on bending point-angle distance ratio s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6590A1 (en) 2018-10-11
KR20180113275A (en)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360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rrecting malocclusions of teeth
US117715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nlinear tooth modeling
US11596499B2 (en) Dental appliance with cavity for an unerupted or erupting tooth
US20220151736A1 (en) Aligners with enhanced gable bends
US11259896B2 (en) Method to manufacture aligner by modifying tooth position
KR102434934B1 (en) Orthodont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n orthodontic apparatus
US81557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generating of a cutting curve on a surface
JP6502953B2 (en) Occlusal adjustment structure for each treatment plan
CN111295153A (en) Dental appliance with selective occlusal loading and controlled cusp staggering
US20130323665A1 (en) Orthodontic aligners, methods of using such aligners, and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and using such aligners
US20150044627A1 (en) Dental positioner
JP2015523871A (en) Surgical planning method
KR102019164B1 (en) Method for generating bending path of tooth straitening wire
US9788918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dental correction splint and resulting splint
JP6029220B1 (en) Method for providing orthodontic set
Xu et al.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n canine teeth distalization by different accessories of bracket-free invisible orthodontics technology
KR20190130209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outhpiece type transparent pressure brace and mouthpiece type transparent pressure brace manufactured by the same
US20220280264A1 (en) Method for generating bending path of orthodontic wire
JP2021087465A (en) Orthodontics tool
EP3335665A2 (en) Coupling interface for use with at least one pair of orthodontic aligners, retainers or positioners
WO2020101582A1 (en) Protective material production with three dimensional printer in orthodontic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