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627B1 - a toilet stool for infant - Google Patents

a toilet stool for inf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627B1
KR102018627B1 KR1020130134758A KR20130134758A KR102018627B1 KR 102018627 B1 KR102018627 B1 KR 102018627B1 KR 1020130134758 A KR1020130134758 A KR 1020130134758A KR 20130134758 A KR20130134758 A KR 20130134758A KR 102018627 B1 KR102018627 B1 KR 102018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toilet seat
cover member
auxiliary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47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63424A (en
Inventor
노부아키 다카미즈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63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4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6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유아의 옷 등이 끼일 가능성이 낮은 영유아용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영유아용 변기(1)가 변기 본체(10)에 선회 가능하게 접속된 덮개부재(40)와, 덮개부재(40)와 변기 본체(10)와의 접속부에 설치되고, 덮개부재(40)의 폐쇄동작을 제한하는 덮개폐쇄 제한수단을 구비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for infants with a low possibility of being pinched by clothes of infants and the like.
Infant toilet (1) is installed on the cover member 40, the cover member 40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toilet body 10, the cover member 40 and the toilet seat body 10,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lid member 40 It is provided with a cover closing limit means for limiting.

Description

영유아용 변기{a toilet stool for infant}Toilet bowl for infants {a toilet stool for infant}

본 발명은 영유아용 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for infants.

전방에 있어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를 가지는 영유아용 변기가 공지이다(특허문헌 1). 영유아가 이러한 타입의 영유아용 변기를 사용할 때에는, 손잡이를 피하도록 옆쪽에 서서 변기를 일단 넘도록 하여 착석할 필요가 있다.A toilet for an infant having a handle extending upward in the front is known (Patent Document 1). When infants use this type of potty, it is necessary to sit sideways to the side to avoid the handle and seated.

그런데, 손잡이를 가지지 않는 타입의 영유아용 변기도 존재한다. 영유아가 이러한 타입의 영유아용 변기를 사용할 때에는 의자에 앉는 것처럼 전방에서 접근한 후, 뒤돌아 보고나서 그대로 앉아 착석한다. 후자의 타입은, 착석식의 일반용 변기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변기시트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부재를 가지는 것도 있다.By the way, there is a type of toilet for infants do not have a handle. When infants use this type of potty, they approach from the front as if they are sitting in a chair, then look back and sit as they are. The latter type has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a seated general toilet, and may have a cover member for closing the opening of the toilet seat.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160072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160072

하지만, 덮개부재를 가지는 영유아용 변기는, 덮개부재가 개방위치에서 어떠한 계기로 그 자중으로 인하여 폐쇄되는 경우, 덮개부재와 변기시트 사이 또는 덮개부재와 변기 본체 사이에 영유아의 옷 등이 끼일 우려가 있다.However, when the cover member is closed due to its own weight by an occasion when the cover member is closed in the open position, the infant's clothes may be caught between the cover member and the toilet seat or between the cover member and the toilet body. have.

그래서, 본 발명은 영유아의 옷 등이 끼일 가능성이 낮은 영유아용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for infants with a low possibility of being pinched by clothes of infants and the lik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변기 본체에 선회 가능하게 접속된 덮개부재와, 이 덮개부재와 변기 본체와의 접속부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부재의 폐쇄동작을 제한하는 덮개폐쇄 제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변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d member pivotally connected to a toilet body and a connection part between the lid member and the toilet body are provided, and a lid closure restricting means for limit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lid member. Infants and toilets are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덮개폐쇄 제한수단이, 요철의 톱니면을 가지며 상기 덮개부재측에 설치된 톱니부와, 상기 톱니부와 상보적인 요철의 톱니면을 가지며 변기 본체측에 설치된 톱니부와, 탄성부재를 가지고, 이들 톱니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맞물리는 방향으로 밀림으로써, 상기 덮개부재의 폐쇄동작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변기가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d closing limiting means has a tooth surface having an uneven tooth surface provided on the cover member side, and a tooth surface of the unevenness complementary to the tooth portion, The toilet for infants and toddlers provided with a tooth part provided and an elastic member, and these tooth parts are pushed in the direction which engages with the said elastic member is restrict | limited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aid cover member.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덮개폐쇄 제한수단이, 상기 덮개부재를 개방방향으로 미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변기가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ilet for the inf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closing means is an elastic member for pushing the cover member in the open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덮개폐쇄 제한수단이, 상기 덮개부재에 설치된 제 1 부재와, 이 제 1 부재와 맞닿도록 변기 본체에 설치된 제 2 부재를 가지고, 상기 덮개부재의 폐쇄동작에 따른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 사이의 마찰저항에 의하여 상기 덮개부재의 폐쇄동작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변기가 제공된다.More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d closing limiting means has a first member provided on the lid member and a second member provided on the toilet body so as to abut on the first member, and the lid member is closed. Infant toilet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lid member is limited by th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영유아의 옷 등이 끼일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공통의 효과를 나타낸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common effect that the likelihood of the clothes of infants and the like being caught becomes low.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영유아용 변기의 외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주요 부품의 설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바닥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보조스텝부재의 설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2단 스텝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1단 스텝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중통(中桶)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중통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보조변기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보조변기시트의 뒷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보조변기시트를 세로로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난 변기시트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변기시트 고정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9의 보조변기시트를 일반용 변기에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0의 변기시트 고정부재의 설치의 조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덮개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덮개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덮개부재의 개폐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난 베어링 이너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베어링 이너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베어링 이너 부재의 선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8에 나타난 베어링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베어링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베어링 부재의 선 B-B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보조스텝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보조스텝부재의 바닥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보조스텝부재의 선 C-C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변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변기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변기 본체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나타난 스텝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덮개부재의 변기 본체로의 설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32의 변형예에서의 덮개부재의 개방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덮개부재의 변기 본체로의 설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도 34의 변형예에서의 덮개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덮개부재의 변기 본체로의 설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도 36의 변형예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toilet for the infa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infant toilet of FIG.
3 is a bottom view of the potty of the infant of FIG.
4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auxiliary step member of the infant toilet of FIG.
5 is a view showing a two-stage step state of the infant toilet of FIG.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ep 1 step state of the infant toilet of FIG. 1.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iddle pain of the potty of the infant of FIG. 1. FIG.
FIG. 8 is a side view of the barrel of FIG. 7.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of the infant toilet of Figure 1;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of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toilet seat of Figure 9 placed vertically.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shown in FIG. 10.
13 is a side view of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of FIG. 10.
FIG. 1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toilet seat of FIG. 9 is placed in a general toilet. FIG.
15 is a view showing adjustment of the installation of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of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ver member of the infant toilet of FIG. 1.
17 is a side view of the lid member of FIG. 16.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of the cover member of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earing inner member shown in FIG. 18.
20 is a front view of the bearing inner member of FIG. 19.
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bearing inner member of FIG. 20.
2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earing member shown in FIG. 18.
FIG. 23 is a front view of the bearing member of FIG. 22.
2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the bearing member of FIG. 23.
2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step member of the infant toilet of FIG.
FIG. 26 is a bottom view of the auxiliary step member of FIG. 25.
FIG. 2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the auxiliary step member of FIG. 26.
2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ilet body of the infant toilet of FIG. 1.
FIG. 29 is a plan view of the toilet body of FIG. 28.
30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toilet body of FIG. 28.
FIG. 3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ep fixing member shown in FIG. 30.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modified example of installation of a cover member to the toilet main body.
33 is a view showing an opening operation of the lid member in the modification of FIG. 32.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ther modified example of installation of a cover member to the toilet main body.
3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id member in the modification of FIG.
36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modification of the installation of the cover member to the toilet main body.
3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odification of FIG. 36.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모든 도면에 걸쳐,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공통의 참조부호를 붙인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referring drawings. Throughout all the drawings,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common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영유아용 변기(요강)(1)의 외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영유아용 변기(1)의 주요부품의 설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영유아용 변기(1)의 바닥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ternal appearance of a potty (abstract) 1 for infant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main components of the potty 1 for infants of FIG. 1, and FIG. Bottom view of the potty 1 for infants.

영유아용 변기(1)는, 변기 본체(10)와, 중통(20)과, 변기 본체(10)에 놓이는 변기시트(보조변기시트)(30)와, 변기 본체(10)에 씌워지는 덮개부재(40)와, 변기 본체(10)의 아래쪽에 수납되는 보조스텝부재(50)를 가지고 있다. 덮개부재(40)는 변기 본체(10)에 대하여 선회 가능, 즉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원발명의 명세서 중에는 영유아용 변기(1)로의 착석시의 배면측, 즉 개방된 덮개부재(40)측을 '뒤'쪽으로 규정하고, 그것과 반대측을 '앞'쪽으로 규정한다.The toilet 1 for infants includes a toilet seat 10, a heavy barrel 20, a toilet seat (auxiliary toilet seat) 30 placed on the toilet seat 10, and a cover member which is covered by the toilet seat 10. 40 and an auxiliary step member 50 housed below the toilet body 10. The cover member 40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swing, that is, open and close with respect to the toilet body 10. On the other han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 side at the time of sitting on the potty 1 for infants, that is, the open cover member 40 side is defined as the 'back' side, and the opposite side thereof is defined as the 'front' side.

각 부재의 상세를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영유아용 변기(1)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Before explaining the detail of each member, the usage method of the potty 1 for infants and toddlers to which this invention is applied is demonstrated.

도 4는 도 1의 영유아용 변기(1)의 보조스텝부재(50)의 설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영유아용 변기(1)의 2단 스텝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1의 영유아용 변기(1)의 1단 스텝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of the potty 1 of FIG. 1,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wo-step step state of the potty 1 of FIG.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one-step step state of the potty 1 of the infant.

영유아용 변기(1)는 기저귀를 떼는 화장실 훈련의 제 1 단계로서,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통상의 요강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후, 유아가 성장함에 따라서 요강이 아닌 일반용(성인용) 변기의 사용 훈련이 이루어진다. 유아에게 있어서 일반용 변기시트의 개구는 커서, 그대로 착석하면 변기 안으로 낙하할 가능성이 있다.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용 변기시트 위에 보조변기시트로서 변기시트(30)가 놓인다. 이때, 유아가 일반용 변기의 변기시트에 착석할 때까지의 스텝, 즉 승강대로서 또는 정면을 향하여 착석한 상태로 일을 볼 때에 힘을 주기 쉽도록 다리를 벌리고 버티기 위한 스텝, 즉 발판으로서 덮개부재(40) 및 보조스텝부재(50)가 사용된다.The potty 1 for infants is a first step of the toilet training to remove the diaper, and as shown in FIG. Thereafter, as the infant grows, training for use of a general-purpose (adult) toilet is performed, not the lumen. The opening of the toilet seat for general children is large, and if seated as it is, there is a possibility of falling into the toilet. In order to prevent the fall, the toilet seat 30 is placed on the general toilet seat as an auxiliary toilet seat. At this time, the step until the child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of the general-purpose toilet seat, that is, as a platform or step to spread the legs so that it is easy to support the force when viewing the work seated toward the front, that is, the foot member ( 40 and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are used.

보조스텝부재(50)는 수납되어 있는 변기 본체(10)의 아래쪽으로부터 분리되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기 본체(10)의 상부에 대하여 폐쇄상태의 덮개부재(40)의 위쪽으로부터 설치된다.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보조스텝부재(50)가 설치된 영유아용 변기(1)는, 폐쇄상태의 덮개부재(40)를 제 1단째 스텝으로 하고, 그 위에 설치된 보조스텝 부재(50)를 제 2단째 스텝으로 하는 2단 스텝을 가지는 발판으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상태를 2단 스텝상태라고 한다. 2단 스텝 상태의 영유아용 변기(1)를 보조변기시트(30)가 설치된 일반용 변기(2)의 정면에 배치함으로써, 영유아용 변기(1)를 승강대 및 발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The auxiliary step member 50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of the toilet body 10 accommodated, and as shown in FIG. 4, is provided from the top of the lid member 40 in a closed state with respect to the top of the toilet body 10. . As shown in FIG. 5, the potty 1 for infants and toddlers provided with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uses the lid member 40 in the closed state as the first step, and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provided thereon is disposed. It functions as a scaffold having a two-stage step to be the second-stage step. This state is called a two-stage step state. The potty 1 for infants and toddlers can be used as a platform and a footrest by arranging the potty 1 for infants in a two-step state in front of the toilet seat 2 provided with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유아가 더욱 성장하면, 보조스텝부재(50)가 불필요하게 된다. 그 경우, 보조스텝부재(50)는 변기 본체(10)의 상부로부터 분리하여, 다시 변기 본체(10)의 아래쪽에 수납된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보조스텝부재(50)가 분리된 영유아용 변기(1)는, 폐쇄상태의 덮개부재(40)를 제 1단째 스텝으로 하는 1단 스텝을 가지는 발판으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상태를 1단 스텝상태라고 한다. 1단 스텝상태의 영유아용 변기(1)를 보조변기시트(30)가 설치된 일반용 변기(2)의 정면에 배치함으로써, 영유아용 변기(1)를 2단 스텝상태보다 낮은 스텝을 가지는 승강대 및 발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1단 스텝상태는 일을 볼 때의 발판 이외에, 세면장에서 손을 씻거나 양치를 할 때의 발판으로서도 사용 가능하다.As the infant grows further,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becomes unnecessary. In that case,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is separat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toilet main body 10 and stored again under the toilet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6, the potty 1 for infants with which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was separated functions as a footrest which has the 1st step which makes the cover member 40 of a closed state the 1st step. This state is called a 1 step step state. By placing the toilet for infants 1 in a stepped state in front of the toilet 2 with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installed, the platform and the platform having the steps lower than the stage for the infants toilet 1 are provided. It can be used as. On the other hand, the one-step step state can be used as a scaffold for washing hands or brushing teeth at the washroom, in addition to the scaffold for work.

이상과 같이, 1단 스텝상태 및 2단 스텝상태를 영유아의 성장에 따라서 선택함으로써, 승강대 및 발판의 높이를 최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As mentioned above, by selecting the 1st step state and the 2nd step state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infant, the height of the platform and the footrest can be adjusted optimally.

이어서, 영유아용 변기(1)를 구성하는 각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each member which comprises the potty 1 for infants is demonstrated.

우선, 변기 본체(10) 내에 수납되고, 배설물을 저장하는 중통(20)부터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유아용 변기(1)의 중통(2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중통(20)의 측면도이다. 중통(20)은 도 7에 있어서 앞쪽, 도 8에 있어서 좌측이 영유아용 변기(1)의 앞쪽에 배치되도록 변기 본체(10) 내에 수납된다. 중통(20)은 배설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구성하는 측벽(21) 및 바닥벽(22)을 가진다. 측벽(21)의 상단은 모든 둘레에 걸쳐 바깥쪽으로 휘어져서 바깥둘레부(23)를 형성한다. 중통(20)의 앞단 부분의 바깥둘레부(23)는 다른 부분보다 상방으로 연장되며, 또한 절결부(23a)를 가지고 있다. 절결부(23a)를 가지는 바깥둘레부(23) 부분은 변기 본체(10)로부터 중통(20)을 분리할 때에 파지된다.First, it demonstrates from the barrel 20 accommodated in the toilet main body 10, and storing excre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rrel 20 of the potty 1 of FIG. 1, and FIG. 8 is a side view of the barrel 20 of FIG. 7. The barrel 20 is housed in the toilet body 10 so that the front side in FIG. 7 and the left side in FIG. 8 are disposed in front of the potty 1 for infants and toddlers. The barrel 20 has a side wall 21 and a bottom wall 22 constituting a space for storing excremen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21 is bent outward over all the perimeters to form the outer circumference 23.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23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barrel 20 extends upwardly from other portions, and has a cutout portion 23a. The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23 having the cutout 23a is gripped when the central barrel 20 is separated from the toilet body 10.

바닥벽(22)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한 형상의 분리 볼록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분리 볼록부(22a)는 중통(20)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부분, 또는 그것보다 앞쪽에 형성되어 있다. 중통(20)이 분리 볼록부(22a)를 가짐으로써, 영유아가 배설할 때, 분리 볼록부(22a)보다 앞쪽에는 소변이 저장되고, 분리 볼록부(22a)보다 뒤쪽에는 대변이 저장된다. 즉, 중통(20) 내에 있어서 소변과 대변의 혼합이 방지된다. 따라서, 소변과 대변이 혼합되어 중통(20)의 청소가 어려워지는 일은 없다. 소변과 대변의 혼합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볼록한 형상의 분리 볼록부가 아닌, 바닥벽(22)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된 분리 벽부여도 좋다. 한편, 중통(20)은 경질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The bottom wall 22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onvex portion 22a having a convex shap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parating convex part 22a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rrel 20, or in front of it. Since the middle barrel 20 has the separated convex portion 22a, when infants excrete, urine is stored in front of the separated convex portion 22a, and feces are stored behind the separated convex portion 22a. That is, the mixing of urine and feces in the barrel 20 is prevented. Therefore, urine and feces are mixed, so that cleaning of the heavy pain 20 is not difficult. As a means of preventing mixing of urine and feces, a protruding separating wall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ttom wall 22 in the lateral direction may be used instead of the convex separating convex portion. On the other hand, the barrel 20 is formed by integrally molding a hard plastic, for example, polypropylene.

도 9는 도 1의 영유아용 변기(1)의 보조변기시트(30)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보조변기시트(30)의 뒷면의 사시도이다. 한편,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변기시트(30)를 보조변기시트로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보조변기시트(30)라고 한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of the infant toilet 1 of Figure 1,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of FIG. On the other hand, for the sake of simplicity, the toilet seat 30 is referred to as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even when the toilet seat is not used as the auxiliary toilet seat.

보조변기시트(30)는, 도 9에 있어서 안쪽, 도 10에 있어서 앞쪽이, 영유아용 변기(1)의 앞쪽에 배치되도록, 변기 본체(10) 상에 놓인다. 보조변기시트(30)는 일반용 변기에도 설치 가능한 변기시트로서 구성되고, 고리형상의 시트부(보조변기시트 본체)(31)와, 소변을 받기 위한 소변받이(32)와, 날개부(33)를 가지고 있다. 시트부(31)와 소변받이(32)와 날개부(33)는, 경질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한편, 소변받이(32)를 시트부(31)로부터 착탈 가능한 별체의 부재로 하여도 좋다.The auxiliary toilet seat 30 is placed on the toilet main body 10 so that the inner side in FIG. 9 and the front side in FIG. 10 are disposed in front of the potty 1 for infants and toddlers.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is configured as a toilet seat that can be installed in a general toilet, and includes an annular seat portion (auxiliary toilet seat main body) 31, a urine receiving unit 32 for receiving urine, and a wing unit 33. Have The seat part 31, the urine receiver 32, and the wing part 33 are formed by integrally molding a hard plastic, for example, polypropylene. On the other hand, the urine receiver 32 may be a separate member detachable from the seat portion 31.

시트부(31)는 영유아가 착석하는 시트면(34)과, 시트면(34) 내주측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개구부(35)를 구성하는 내벽(36)과, 시트면(34) 외주측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바깥둘레부(37)를 가진다. 시트면(34)의 앞단 쪽에는 구형상으로 융기하는 융기부(34a)가 형성된다. 내벽(36)의 앞단측에는 융기부(34a)에 인접하여 전방을 향하는 오목부(36a)가 형성된다. 내벽(36)의 오목부(36a)는 융기부(34a)의 형상에 맞추어 융기부(34a)의 내면까지 위쪽으로 연장되고, 융기부(34a)의 내면과 함께 소변받이(32)를 형성한다. 소변받이(32)의 앞면(32a), 즉 내벽(36)의 오목부(36a)의 뒷면과, 앞면(32a)의 좌우로부터 돌출하는 한쌍의 리브부재(32b)는 일반용 변기시트로의 고정시에 사용된다.The seat 31 includes a seat face 34 on which an infant is seated, an inner wall 36 extending downward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seat face 34 to form an opening 35,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seat face 34. It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37 extending downwar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seat surface 34, a raised portion 34a which is raised in a spherical shape is form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inner wall 36, a concave portion 36a is formed adjacent to the raised portion 34a and facing forward. The recessed portion 36a of the inner wall 36 extends upwardly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aised portion 34a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raised portion 34a, and forms the urine collecting portion 32 together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aised portion 34a. . The front surface 32a of the urine collecting tray 32, that is, the rear surface of the recess 36a of the inner wall 36 and the pair of rib members 32b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surface 32a are fixed to the toilet seat. Used for

날개부(33)는 시트부(31)의 좌우후방에 있어서 시트부(31)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보조변기시트(30)가 한쌍의 날개부(33)를 가짐으로써, 영유아용의 작은 시트부(31)를 일반용 변기시트 위에 안정적으로 놓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날개부(33)의 뒷면에 한쌍, 및 시트부(31)의 앞단 부분의 뒷면에 1개, 합계 3개의 고무발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고무발부재(60)는 보조변기시트(30)가 놓이는 일반용 변기와의 미끄럼 방지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고무발부재(60)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고, 나사에 의하여 고정된다. 한편, 도 10에 있어서 날개부(33)의 한쪽 고무발부재(60)는 생략되어 있다.The wing part 33 protrudes from the seat part 31 to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left-right rear of the seat part 31, and is formed. Since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has a pair of wings 33, it is possible to stably place the small seat 31 for infants on the toilet seat. In addition, one rubber pair member 6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ng portion 33 and one pair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eat portion 31. The rubber foot member 60 is u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slipping with the general toilet seat on which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is placed. The rubber foot member 60 is formed of, for example, a thermoplastic elastomer and is fixed by screws. In addition, one rubber foot member 60 of the wing part 33 is abbreviate | omitted in FIG.

보조변기시트(30)의 뒷면의 좌우후방에는, 후술하는 변기시트 고정부재(70)가 설치되는 한쌍의 통형상의 보유부재(3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한쪽 보유부재(38)에는 변기시트 고정부재(70)가 이미 설치되어 있다. 보유부재(38)는 중심축선 둘레에 90도 간격으로 중심축선에서 직경방향으로 같은 거리만큼 돌출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보유 돌기(39)를 가지고 있다.On the left and right rears of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a pair of cylindrical holding members 38, to which a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to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are formed. On the other hand,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is already provided on one holding member 38. The retaining member 38 has four retaining protrusions 39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jecting the same distance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ral axis at 90 degree intervals around the central axis.

보조변기시트(30)는,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즉 세로로 자립하여 놓을 수 있다. 보조변기시트(30)가 자립한 세로 배치는, 보조변기시트(30)의 후단이 적어도 3개의 지지점을 가지는 것으로부터 실현된다. 즉, 각 날개부(33)의 후단에, 지지점(33a)이 형성되고, 시트부(31)의 후단에 지지점(31a)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변기시트(30)를 세로로 놓고자 하면, 좌우의 지지점(33a)과, 이러한 2점간을 연결한 직선의 중앙을 통과하는 수직선 상에 배치되는 지지점(31a)에 의하여 바닥면 상에 이등변삼각형을 형성하는 3개의 지지점이 확립된다. 세로로 놓은 상태에서 보조변기시트(30)의 중심은 3개의 지지점(31a, 33a)에 의한 이등변삼각형 내의 위쪽에 배치되도록 설정된다. 그 결과, 보조변기시트(30)는, 안정적이고 자립한 세로 배치가 가능하게 되므로, 보조변기시트(30) 단독체에서의 수납 및 보관에 적합하다.As shown in FIG. 11,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may be freely placed vertically, that is,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The vertical arrangement in which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is self-supporting is realized because the rear end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has at least three support points. That is, the support point 33a is formed in the rear end of each blade | wing part 33, and the support point 31a is formed in the rear end of the sheet | seat part 31. As shown in FIG. When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is to be placed vertically, an isosceles triangle is formed on the bottom by a support point 33a on the left and right, and a support point 31a disposed on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wo points. Three support points are formed to form In the vertically placed state, the center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is set to be disposed above the isosceles triangle by three support points 31a and 33a. As a result, since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can be stably and freely arranged vertically,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is suitable for storage and storage in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alone.

또한, 지지점(31a) 및 지지점(33a) 근방은, 각각 평탄하지 않고,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변기시트(30)를 세로로 놓지 않은 상태에서 그 후단을 보아도, 균일하지 않은 직선이나 평면의 요소는 일절 없어, 유연한 미감을 느끼게 한다. 한편, 지지점은 4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모든 지지점이 시트부(31)의 후단에만 또는 날개부(33)의 후단에만 배치되도록 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vicinity of the support point 31a and the support point 33a is not flat, but is formed in the curved surface. Therefore, even if the rear end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is not placed vertically, there is no non-uniform straight line or planar element, which makes it feel flexible. In addition, four or more support points may be sufficient. In addition, all the supporting points may be arranged only at the rear end of the seat part 31 or only at the rear end of the wing part 33.

도 12는 도 10에 나타난 변기시트 고정부재(70)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0의 변기시트 고정부재(70)의 측면도이다. 변기시트 고정부재(70)는 통형상으로 형성된 통형상 벽부(71)와, 통형상 벽부(71) 내부를 폐쇄하는 지지벽(72)을 가진다. 통형상 벽부(71)의 상부에는, 대략 반원에 상당하는 부분을 절결한 절결부(71a)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벽(72)에는 통형상의 통형상 벽부(71)의 중심축선(C)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설치구멍(72a)이 형성되어 있다.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shown in FIG. 10, and FIG. 13 is a side view of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of FIG. 10.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has a cylindrical wall portion 71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support wall 72 for closing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wall portion 71. In the upper part of the cylindrical wall part 71, the notch part 71a which cut | disconnected the part corresponded to substantially semicircle is formed. The supporting wall 72 is formed with a circular mounting hole 72a centered on the central axis C of the cylindrical cylindrical wall portion 71.

통형상 벽부(71)의 둘레면에는, 중심축선(C) 둘레에 90도 간격으로 중심축선(C)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돌출되는 2개의 고정돌기(73a, 73b)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돌기(73a)의 돌출량은, 고정돌기(73b)의 돌출량보다 크다. 또한, 통형상 벽부(71)의 하단으로서 각 고정돌기(73a, 73b)에 대응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중심축선(C) 둘레에 90도 간격으로 하단면보다 소정 깊이에 삽입된 4개의 삽입부(74)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wall portion 71, two fixing protrusions 73a, 73b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ral axis C at a 90 degree interval around the central axis C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fixing protrusion 73a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fixing protrusion 73b. In addition, four insertion portions 74 insert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bottom surface at intervals of 90 degrees around the central axis C including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fixing protrusions 73a and 73b as the lower ends of the cylindrical wall portions 71. ) Is formed.

변기시트 고정부재(70)의 보조변기시트(30)의 뒷면으로의 설치는, 변기시트 고정부재(70)의 자세를 확인하면서, 삽입부(74)가 형성된 측의 통형상 벽부(71) 내에 보조변기시트(30)의 보유부재(38)를 삽입한다. 즉, 변기시트 고정부재(70)의 삽입부(74) 내에, 보유부재(38)로부터 돌출되는 4개의 보유돌기(39)가 삽입되도록, 중심축선(C) 둘레의 회전위치를 맞춘다. 이러한 상태로 변기시트 고정부재(70)는 설치구멍(72a)에 나사를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보조변기시트(30)의 뒷면에 고정된다(도 10). 한편, 변기시트 고정부재(70)는 경질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Installation of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on the back side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is carried out in the cylindrical wall portion 71 on the side where the insertion portion 74 is formed while checking the posture of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Insert the retaining member 38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That is, the rotational position around the central axis C is adjusted so that the four retaining protrusions 39 protruding from the retaining member 38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ng portion 74 of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In this state,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is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by inserting a screw into the installation hole 72a and fastening it (FIG. 10). On the other hand,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is formed by integrally molding a hard plastic, for example, polypropylene.

도 14는 도 9의 보조변기시트(30)의 일반용 변기시트(3)로의 설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조변기시트(30)를 일반용 변기시트(3)에 놓을 때, 일반용 변기시트(3)의 개구부(4) 내에, 소변받이(32) 및 좌우 한쌍의 변기시트 고정부재(70)가 삽입된다. 보조변기시트(30)는 개구부(4) 내에 삽입된 소변받이(32) 및 변기시트 고정부재(70)가, 개구부(4)를 구성하는 측둘레부(4a)와 강하게 맞닿음으로써, 일반용 변기시트(3)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소변받이(32)에 대해서는, 앞면(32a) 또는 리브부재(32b)가 변기시트(3)의 개구부(4) 전방의 측둘레부(4a)와 맞닿는다. 또한, 변기시트 고정부재(70)에 대해서는, 각각 좌우방향의 바깥쪽 부분이 변기시트(3)의 개구부(4)의 좌우 측둘레부(4a)와 맞닿는다.FIG. 14 is a view showing installation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of FIG. 9 to the general toilet seat 3. When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is placed on the toilet seat 3 for general use, a urine receiving unit 32 and a pair of toilet seat fixing members 70 are inserted into the opening 4 of the toilet seat 3 for general use. In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the urine receiver 32 and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inserted into the opening 4 strongly contact the side circumferential portions 4a constituting the opening 4, thereby providing a general toilet. It is fixed to the sheet 3.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the urine receiver 32, the front surface 32a or the rib member 32b is in contact with the side circumferential portion 4a in front of the opening portion 4 of the toilet seat 3. In addition, about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the outer part of the left-right direction contact | connects the left-right side peripheral part 4a of the opening part 4 of the toilet seat 3, respectively.

여기에서, 일반용 변기시트(3)의 개구부(4)의 크기나 형상은, 변기 제조업체에 따라 다양하므로, 보조변기시트(30)가 확실하게 고정되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도 15는 도 10의 변기시트 고정부재(70) 설치의 조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 나타나 있는 것은, 도 14에 있어서 우측의 변기시트 고정부재(70)이다. 도 15에 있어서, 일반용 변기시트(3)는 생략되어 있고, 변기시트(3)의 개구부(4)의 측둘레부(4a)만이 나타나 있다.Here, since the size and shape of the opening portion 4 of the general toilet seat 3 varies depending on the toilet manufacturer,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to be securely fixed. 15 is a view showing the adjustment of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installation of FIG. 15 is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on the right side in FIG. In FIG. 15, the toilet seat 3 for general use is abbreviate | omitted and only the side peripheral part 4a of the opening part 4 of the toilet seat 3 is shown.

예를 들어, 변기시트(3)의 개구부(4)가 비교적 큰 경우에는, 개구부(4)의 측둘레부(4a)는 변기시트 고정부재(70)에 대하여 보다 우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 15의 (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중심축선(C)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고정돌기(73a)가 측둘레부(4a)에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변기시트 고정부재(70)의 회전위치를 조정한다. 변기시트 고정부재(70)의 회전위치의 조정은, 설치구멍(72a)에 삽입된 나사를 일단 푼 뒤에, 변기시트 고정부재(70)를 회전축선 둘레로 회전시키고, 나사를 다시 조임으로써 행해진다. 회전축선은 보조변기시트(30)의 배치상태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축선이고, 여기에서는 통형상 벽부(71)의 중심축선(C)과 동일하다.For example, when the opening part 4 of the toilet seat 3 is comparatively large, the side circumference part 4a of the opening part 4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further. Therefore, as shown in FIG. 15A,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is disposed such that the fixing protrusion 73a most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axis C is disposed opposite the side circumferential portion 4a. Adjust the rotation position.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is adjusted by loosening the screw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72a once, then rotating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around the rotation axis and tightening the screw again. . The rotation axis is an axis extending downward in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and here it is the same as the center axis C of the cylindrical wall portion 71. As shown in FIG.

또한, 변기시트(3)의 개구부(4)가 작은 경우에는, 도 15의 (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보다 돌출량이 작은 고정돌기(73b)가 측둘레부(4a)에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변기시트 고정부재(70)의 회전위치를 조정한다. 변기시트(3)의 개구부(4)가 더욱 작은 경우에는, 도 15의 (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고정돌기(73a, 73b)가 아니라, 통형상 벽부(71)가 측둘레부(4a)에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변기시트 고정부재(70)의 회전위치를 조정한다. 변기시트(3)의 개구부(4)가 더 작은 경우에는, 도 15의 (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절결부(71a)가 측둘레부(4a)에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변기시트 고정부재(70)의 회전위치를 조정한다.In addition, when the opening part 4 of the toilet seat 3 is small, as shown in FIG.15 (b), the toilet bowl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73b with smaller protrusion amount may be arrange | positioned facing the side peripheral part 4a.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seat fixing member 70 is adjusted. When the opening part 4 of the toilet seat 3 is smaller, as shown in FIG.15 (c), the cylindrical wall part 71 is not the fixing protrusion 73a, 73b but the side peripheral part 4a. Adjust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to be disposed opposite to. When the opening 4 of the toilet seat 3 is smaller, as shown in FIG. 15D,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is disposed such that the cutout 71a is disposed opposite the side circumferential part 4a. Adjust the rotation position of).

이상으로부터, 변기시트 고정부재(70)는, 삽입되는 변기시트(3)의 개구부(4)의 측둘레부(4a)와의 거리에 따라서 변기시트 고정부재(70)를 회전시켜서 측둘레부(4a)에 맞닿게 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맞닿음부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맞닿음부란, 즉 고정돌기(73a, 73b)와, 통형상 벽부(71)와, 절결부(71a)의 4개의 맞닿음부이다.From the above,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rotates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from the side peripheral portion 4a of the opening portion 4 of the toilet seat 3 to be inserted, and thereby the side peripheral portion 4a. It can be said that it has a some contact part formed so that it may contact | connect. Here, the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are four contact portions of the fixing protrusions 73a and 73b, the cylindrical wall portion 71 and the cutout portion 71a.

도 15에서는, 도 14에 있어서 우측의 변기시트 고정부재(70)의 설치의 4가지 조정 패턴을 설명하였다. 좌측의 변기시트 고정부재(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4가지 조정 패턴이 있는 것으로부터, 좌우의 변기시트 고정부재(70)를 독립적으로 조정함으로써, 합계 10패턴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In FIG. 15, four adjustment patterns of the installation of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on the right side in FIG. 14 have been described. Similarly, since there are four adjustment patterns for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on the left side, adjustment of the total of 10 patterns is possible by independently adjusting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s 7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상술한 보조변기시트(30)의 조정기구에 따르면, 변기시트 고정부재(70)를 중심축선(회전축선) 둘레의 회전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변기시트(3)의 개구부(4)의 크기나 형상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보조변기시트(30)를 일반용 변기시트(3) 상에 놓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조정기구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조정기구와 비교하여 부품수도 적고, 각 부품 형상도 단순하기 때문에, 낮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djustment mechanism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described above, the size and shape of the opening 4 of the toilet seat 3 is changed by changing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around the central axis (rotation axis). Despite the difference,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can be placed on the general toilet seat (3). Moreover, such an adjustment mechanism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for example, compared with the adjustment mechanism of patent document 1, since there are few parts and the shape of each component is also simple.

상술한 조정기구는, 각 변기시트 고정부재에 있어서 개구부의 측둘레부와 맞닿는 4개의 맞닿음부를 가지는 것으로부터, 4개의 고정 가능한 회전 위치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조정기구가 5개 이상 또는 3개 이하의 맞닿음부를 가지고, 대응하는 고정 가능한 회전 위치를 가지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고정돌기의 돌출량이나 형상 등도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더욱이, 복수의 맞닿음부는, 변기시트 고정부재와 개구부의 측둘레부와의 거리에 따라서 맞닿게 하는 부위를 가지면 좋기 때문에, 예를 들어 상술한 고정돌기의 맞닿음부를 연결하는 것과 같은 연속적인 곡면을 가지는 듯한 형상이어도 좋다. 더욱이, 조정기구가 상술한 조정기구와 같은 보유돌기 및 삽입부를 가지지 않고, 단순히 변기시트 고정부재의 통형상 벽부 내에 보조변기시트의 보유부재를 삽입하고, 나사로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 회전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적이 아니라, 무단계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같은 고정돌기(73a)를 보아도, 회전위치를 무단계적으로 미조정함으로써, 최적의 위치 및 각도 등으로 측둘레부(4a)에 맞닿게 할 수 있게 된다.The adjustment mechanism mentioned above had four contact parts which contact | abut with the side peripheral part of an opening part in each toilet seat fixing member, and had four fixable rotation positions. However, the adjustment mechanism may have five or more or three or less contact portions, and may have a corresponding fixable rotational position. In addition, the protrusion amount, shape, etc. of a fixed protrusion can also be set arbitrarily. Furthermore, the plurality of abutting portions may have a portion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so that a continuous curved surface, for example, connecting the abutting portions of the fixing projections described above. It may be a shape that seems to have. Furthermore, the adjusting mechanism may not have the holding protrusion and the insertion portion as the adjusting mechanism described above, and may simply insert the holding member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into the cylindrical wall portion of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and fix it with screws. In this case, the rotational position can be adjusted steplessly as described above, not stepwise. Therefore, even if the same fixing projection 73a is see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make contact with the side circumferential portion 4a at an optimal position and angle by steplessly adjusting the rotation position.

도 16은 도 1의 영유아용 변기(1)의 덮개부재(40)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덮개부재(40)의 측면도이다. 덮개부재(40)는 제 1단째 스텝이 되는 평탄한 천판(41)과, 덮개부재(40)의 폐쇄상태에 있어서 천판의 둘레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둘레벽(42)과, 덮개부재(40)의 좌우후단에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직으로 연장되는 지지판(43)과, 좌우의 지지판(43) 사이에 연장되어 지지판(43)을 보강하는 보강판(44)을 가지고 있다.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member 40 of the infant toilet 1 of FIG. 1, and FIG. 17 is a side view of the cover member 40 of FIG. 16. The lid member 40 includes a flat top plate 41 serving as the first step, a peripheral wall 4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top plate in the closed state of the lid member 40, and the lid member 40. It has the support plate 43 arrange | positioned at the left-right rear end, and extends perpendicularly to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reinforcement board 44 extend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43, and reinforcing the support plate 43. As shown in FIG.

천판(41)은 도시하지 않지만, 도 25를 참조하면서 후술하는 보조스텝부재(50)의 천판(51)과 마찬가지로, 덮개부재(40)의 폐쇄상태에 있어서 둘레벽(42)의 윗둘레부로부터 미소한 단차를 가지는 단부를 통하여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덮개부재(40)를 제 1단째 스텝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단부는 발이 걸리는 것에 의한 미끄럼 방지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천판(41)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와 디자인적인 목적으로 주름 가공이 되어 있다.Although the top plate 41 is not shown, similarly to the top plate 51 of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5, from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42 in the closed state of the lid member 40. It is placed at a low position through the end having a minute step. When the cover member 40 is used as the first step, this end has an anti-slip effect due to the foot being caught.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top plate 41 is wrinkled for the purpose of slip prevention and design.

둘레벽(42)의 뒤쪽 부분은, 길이방향의 길이의 절반 정도에서 절결된 절결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4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덮개부재(40)를 폐쇄할 때, 유아동이 변기 본체(10)와의 사이에 옷 등을 끼일 가능성이 저감된다.The rear part of the circumferential wall 42 is formed with the notch 42a cut off about half of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forming the notch part 42a, when closing the cover member 40, the possibility that a baby is pinched | interposed with the toilet body 10 is reduced.

지지판(43)의 각각은 그 외측면에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속이 빈 보스부(45)와, 보스부(45)와 동심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되고, 바깥쪽을 향하여 요철의 톱니면을 가지는 톱니부(46)를 가지고 있다. 보스부(45)의 길이방향의 지지판(43)측 외주면에는, 복수의 돌기(47)가 중심축선 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Each of the support plates 43 is a hollow boss portion 45 extending outwardly on its outer surface, and a tooth portion having an annular concentric shape with the boss portion 45 concentrically and outwardly facing outwardly. Has 46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43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ss portion 45, a plurality of projections 47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central axis line.

도 18은 도 16의 덮개부재(40)의 개폐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덮개부재(40)의 개폐기구는, 베어링 이너 부재(80)와, 스프링 부재(탄성부재)(90)와, 베어링 부재(100)와, 핀부재(110)를 가지고 있다.18 is a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cover member 40 of FIG.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lid member 40 includes a bearing inner member 80, a spring member (elastic member) 90, a bearing member 100, and a pin member 110.

도 19는 도 18에 나타난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정면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선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베어링 이너 부재(80)는 정사각형의 정면 및 뒷면을 가지는 직육면체 부재이다.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정면에는 덮개부재(40)의 톱니부(46)와 맞물리도록 상보적인 요철이 형성된 톱니부(81)가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리형상의 톱니부(81)의 안쪽에는, 작은 직경이 원형단면을 가지는 원형 개구부(8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뒷면에는 정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직사각형 개구부(83)가 형성되어 있다. 즉, 직사각형 개구부(83)는 직사각형의 둘레벽(84)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원형 개구부(82) 및 직사각형 개구부(83)는, 분리벽(85)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는데, 분리벽(85)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부(86)에 의하여 연통하고 있다.FIG. 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earing inner member 80 shown in FIG. 18, FIG. 20 is a front view of the bearing inner member 80 of FIG. 19, and FIG. 21 is a line AA of the bearing inner member 80 of FIG. 20. It is a cross section. The bearing inner member 80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member having a square front and rear surface. In the front face of the bearing inner member 80, the tooth part 81 in which complementary unevenness | corrugation was formed so that the tooth part 46 of the cover member 40 may engage is formed in ring shape. Further, inside the annular toothed portion 81, a circular opening 82 having a small diameter circular cross section is formed. On the other hand, a rectangular opening 83 having a square cross section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earing inner member 80. That is, the rectangular opening part 83 is comprised by the rectangular peripheral wall 84. As shown in FIG. Although the circular opening part 82 and the rectangular opening part 83 are isolate | separated by the partition wall 85, it communicates with the circular opening part 86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85. As shown in FIG.

덮개부재(40)의 개폐기구의 조립시에, 원형 개구부(82)에는 보스부(45)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47) 부분이 수용되고, 개구부(86)에는 돌기(47)보다 선단의 보스부(45) 부분이 삽입 통과된다. 덮개부재(40)의 개폐에 의한 보스부(45)의 회전은, 복수의 돌기(47)를 통한 원형 개구부(82)의 내주면과, 개구부(86)의 내주면에 의하여 지지된다. 베어링 이너 부재(80)는 경질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In assembling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of the cover member 40, the circular opening 82 receiv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47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ss portion 45, and the opening 86 has a tip end than the protrusion 47. The boss portion 45 of the portion is inserted through. Rotation of the boss part 45 by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d member 40 is support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opening 82 through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47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86. The bearing inner member 80 is formed by integrally molding a hard plastic, for example polyacetal.

도 22는 도 18에 나타난 베어링 부재(100)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베어링 부재(100)의 정면도이며, 도 24는 도 23의 베어링 부재(100)의 선 B-B에서의 단면도이다. 베어링 부재(100)는 도 23에 있어서 우측이 영유아용 변기(1)의 앞쪽에 배치되도록 변기 본체(10)의 뒷부분에 설치된다. 베어링 부재(100)는 사각기둥 형상의 축부(101)와, 축부(101)의 상부에 배치된 원주형상의 이너 보유부(102)를 가진다. 축부(101)의 하단면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변기 본체(10)에 삽입되는 삽입부(10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101)의 전단면은 후술하는 변기 본체(10)의 후단면(18c)과 맞닿는 평탄한 맞닿음면(101b)을 형성한다. 맞닿음면(101b)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 지부(枝部)(103)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지부(103)는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변기 본체(10)에 삽입되는 삽입부(103a)를 가진다.FIG. 2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earing member 100 shown in FIG. 18, FIG. 23 is a front view of the bearing member 100 of FIG. 22, and FIG. 2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the bearing member 100 of FIG. 23. The bearing member 100 is provided in the rear part of the toilet main body 10 so that the right side may be arrange | positioned in front of the potty 1 for infants in FIG. The bearing member 100 has a square pillar-shaped shaft portion 101 and a columnar inner retaining portion 102 disposed above the shaft portion 101.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shaft portion 101, an insertion portion 101a is formed which protrudes downward and is inserted into the toilet body 10. In addition,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shaft part 101 forms the flat contact surface 101b which contact | connects the rear end surface 18c of the toilet body 10 mentioned later. At the upper part of the contact surface 101b, the support branch 103 which protrudes forward is formed. The support branch 103 protrudes downward and has an insertion portion 103a inserted into the toilet body 10.

이너 보유부(102)는 베어링 이너 부재(80)를 수용하여 보유하는 보유 오목부(104)를 가진다. 보유 오목부(104)는 베어링 이너 부재(80)와 상보적인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베어링 부재(100)에 대한 회전이 규제된다. 보유 오목부(104)의 바닥면(104a)에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융기하고, 스프링 부재(90)의 일단을 맞닿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면(105)이 형성되어 있다.The inner retaining portion 102 has a retaining recess 104 for receiving and retaining the bearing inner member 80. The retention recess 104 is formed in a rectangle complementary to the bearing inner member 80. Therefore, rotation of the bearing inner member 80 with respect to the bearing member 100 is restricted. On the bottom surface 104a of the retaining recess 104, a spring supporting surface 105 is formed which is raised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abuts and supports one end of the spring member 90.

스프링 지지면(105)에는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보스부(45)의 단면과 대향하는 고리형상의 볼록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상 볼록부(106)에 의하여 둘러싸인 부분의 스프링 지지면(105)에는 핀부재(110)가 삽입되는 개구부(107)가 형성되어 있다. 이너 보유부(102)의 보유 오목부(104)와는 반대측 면에는 개구부(107)를 통하여 보유 오목부(104)와 연통하는 오목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부재(100)는 경질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The spring support surface 105 is formed with an annular convex portion 106 facing the end face of the boss portion 45 of the bearing inner member 80. An opening 107 through which the pin member 11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pring support surface 105 at the portion surrounded by the annular convex portion 106. The recessed part 108 which communicates with the retention recessed part 104 through the opening part 107 is formed in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retention recessed part 104 of the inner retention part 102. As shown in FIG. The bearing member 100 is formed by integrally molding a hard plastic, for example polypropylene.

도 18을 참조하면서, 덮개부재(40)의 개폐기구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덮개부재(40)의 지지판(43)에 대하여, 바깥쪽으로부터 베어링 이너 부재(80)를 설치한다. 이때, 보스부(45)가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원형 개구부(82), 개구부(86) 및 직사각형 개구부(83)를 관통한다. 그리고, 덮개부재(40)의 지지판(43)의 톱니부(46)와,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톱니부(81)가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상태로, 더욱이 스프링 부재(90)가 보스부(45)의 바깥쪽에 씌워진다. 스프링 부재(90)의 일단은,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분리벽(85)에 맞닿는다.Referring to FIG. 18, the assembl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lid member 40 will be described. The bearing inner member 80 is attached to the support plate 43 of the lid member 40 from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boss portion 45 penetrates through the circular opening portion 82, the opening portion 86, and the rectangular opening portion 83 of the bearing inner member 80. Then, the teeth 46 of the support plate 43 of the cover member 40 and the teeth 81 of the bearing inner member 80 are provided to engage. In this state, the spring member 90 is further covered on the outside of the boss portion 45. One end of the spring member 90 abuts against the separating wall 85 of the bearing inner member 80.

더욱이, 베어링 부재(100)가 스프링 부재(90)를 압축하면서 바깥쪽으로부터 설치된다. 이때, 베어링 이너 부재(80)는, 베어링 부재(100)의 보유 오목부(104) 내에 수용된다. 스프링 부재(90)의 타단은, 고리형상의 볼록부(106)의 바깥쪽에 씌워지고, 스프링 지지면(105)에 맞닿는다. 즉, 스프링 부재(90)는 베어링 이너 부재(80)를 덮개부재(40)의 지지판(43) 방향으로 밀고, 덮개부재(40)의 지지판(43)의 톱니부(46)와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톱니부(81)와의 맞물림을 보다 확실하게 하고 있다. 끝으로, 덮개부재(40)의 지지판(43)의 안쪽으로부터 핀부재(110)가 삽입된다. 핀부재(110)는 보스부(45) 내부를 관통하고, 그 선단은 베어링 부재(100)의 오목부(108)에 도달한다. 핀부재(110)의 선단은, 오목부(108) 내에 있어서, 나사고정이나 박음고정됨으로써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Moreover, the bearing member 100 is installed from the outside while compressing the spring member 90. At this time, the bearing inner member 80 is accommodated in the holding recess 104 of the bearing member 100. The other end of the spring member 90 is covered on the outer side of the annular convex portion 106 and abuts against the spring support surface 105. That is, the spring member 90 pushes the bearing inner member 80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43 of the cover member 40, and the teeth 46 and the bearing inner member (of the support plate 43 of the cover member 40) The engagement with the toothed part 81 of 80 is made more reliable. Finally, the pin member 110 is inserted from the inside of the support plate 43 of the cover member 40. The pin member 110 penetrates inside the boss portion 45, and its tip reaches the recess 108 of the bearing member 100. The tip of the pin member 110 is fixed in the recess 108 so as not to be pulled out by being screwed or locked.

덮개부재(40)를 베어링 부재(100)에 대하여 회전시키면, 덮개부재(40)의 지지판(43)의 톱니부(46)의 경사면과,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톱니부(81)의 경사면이 서로 미끄러져, 베어링 이너 부재(80)가 스프링 부재(90)의 미는 힘에 대항하여 지지판(43)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보유 오목부(104) 내를 슬라이딩 이동한다. 덮개부재(40)의 톱니부(46)의 정점이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톱니부(81)의 정점을 넘으면, 베어링 이너 부재(80)가 스프링 부재(90)의 미는 힘에 의하여 지지판(43) 방향으로 보유 오목부(104) 내를 슬라이딩 이동하고, 톱니부(46) 및 톱니부(81)가 다시 맞물린다. 즉, 톱니부(46) 및 톱니부(81)는 스프링 부재(90)에 의하여 맞물리는 방향으로 밀리고 있다. 따라서, 보유 오목부(104)는, 적어도 톱니부(46) 및 톱니부(81)의 맞물림 및 그 해제에 필요한 이동 거리만큼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깊이를 가지고 있다. 덮개부재(40)의 지지판(43)의 톱니부(46)의 경사면과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톱니부(81)의 경사면이 서로 미끄러질 때의 마찰력이나, 스프링 부재(90)의 미는 힘이 덮개부재(40)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이 된다.When the cover member 4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earing member 100, the inclined surface of the teeth 46 of the support plate 43 of the cover member 40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teeth 81 of the bearing inner member 80 are rotated. These slide together, and the bearing inner member 80 slides in the holding recess 104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support plate 43 against the push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90. When the apex of the tooth 46 of the cover member 40 exceeds the apex of the tooth 81 of the bearing inner member 80, the bearing inner member 80 is pushed by the spring member 90 to support the plate ( The toothed portion 46 and the toothed portion 81 engage again in the retaining recess 104 in the direction of 43). In other words, the teeth 46 and the teeth 81 are push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y are engaged by the spring member 90. Therefore, the retaining recess 104 has a depth at which the sliding movement of the bearing inner member 80 is possible at least as much as the movement distance necessary for engaging and disengaging the teeth 46 and the teeth 81. The frictional force whe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toothed portion 46 of the support plate 43 of the cover member 40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toothed portion 81 of the bearing inner member 80 slip, or the push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90 Becomes resistant to rotation of the cover member 40.

여기에서, 스프링 부재(90)는 덮개부재(40)의 자중에 의하여 톱니부(46)를 통하여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톱니부(81)에 전달되는 회전 모멘트에 대하여, 덮개부재(40)의 톱니부(46)와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톱니부(81)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지 않는 미는 힘을 가지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덮개부재(40)는 베어링 부재(100)에 대하여 임의의 회전위치에서 정지 가능하고,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덮개부재(40)를 개폐하고 있을 때에만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덮개부재(40)의 폐쇄동작이 제한되어, 영유아가 덮개부재(40)에 의하여 옷 등을 끼일 가능성이 저감된다.Here, the spring member 90 is the cover member 40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moment transmitted to the toothed portion 81 of the bearing inner member 80 through the toothed portion 46 by the weight of the lid member 40. The engagement of the tooth 46 and the tooth 81 of the bearing inner member 80 is selected to have a pushing force that does not release. Therefore, the cover member 40 can be stopped at any rotation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earing member 100, and can be rotated only when the user opens and closes the cover member 40 by applying a force. Therefore,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member 40 is limited, and the likelihood of infants being pinched by the cover member 40 is reduced.

도 25는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보조스텝부재(50)의 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보조스텝부재(50)의 바닥면도이며, 도 27은 도 26의 보조스텝부재(50)의 선 C-C에서의 단면도이다. 보조스텝부재(50)는 도 25에 있어서 앞쪽, 도 26에 있어서 위쪽이 영유아용 변기(1)의 2단 스텝상태(도 5)에 있어서 앞쪽에 배치된다.FIG. 2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of the infant toilet of FIG. 1, FIG. 26 is a bottom view of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of FIG. 25, and FIG. 27 is a bottom view of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of FIG. Sectional view at line CC.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is disposed in the front in FIG. 25 and in the upper step in FIG. 26 in the two-step step state (FIG. 5) of the infant toilet 1.

보조스텝부재(50)는 제 2단째 스텝이 되는 평탄한 천판(51)과, 천판(51)의 둘레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측벽(다리부)(52)을 가지고 있다. 천판(51)은 측벽(52)의 윗둘레부로부터 미소한 단차를 가지는 단부(53)를 통하여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보조스텝부재(50)를 제 2단째 스텝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단부(53)는 발이 걸리는 것에 의한 미끄럼 방지의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천판(51) 표면에도 미끄럼 방지와 디자인적인 목적으로 주름 가공이 되어 있다. 천판(51)의 뒷면 중앙에는, 뒷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조판(爪板)(54)이 형성되어 있다. 조판(54)의 각각은 외측면에 조부(爪部)(54a)를 가지고 있다.The auxiliary step member 50 has a flat top plate 51 serving as a second step and a side wall (leg portion) 5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top plate 51. The top plate 51 is disposed at a low position through the end 53 having a small step from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side wall 52. In the case where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is used as the second step, the end portion 53 exhibits the effect of preventing slipping due to the foot being caught.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top plate 51 is wrinkled for the purpose of anti-slip and design. In the center of the back surface of the top plate 51, a pair of typesetting plates 54 protruding from the back surface and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re formed. Each of the platens 54 has a rough portion 54a on its outer side.

측벽(52)은 평탄한 뒷면(52a)과, 뒤쪽으로 휘어진 앞면(52b)과, 바깥쪽으로 휘어진 좌우의 측면(52c)으로 구성된다. 앞면(52b)이 뒤쪽으로 휘어져 있는 것에 의하여, 2단 스텝상태에 있어서 제 1단째 스텝인 덮개부재(40)의 천판(41) 상에 발을 놓는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e side wall 52 is comprised with the flat back surface 52a, the front surface 52b bent back, and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 52c bent outward. When the front surface 52b is bent backwards, it becomes possible to secure a large area for placing the foot on the top plate 41 of the cover member 40 which is the first stage step in the two-stage step state.

뒷면(52a)의 아래쪽 부분은 폭넓게 절결된 절결부(52d)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앞면(52b)의 아래쪽 부분은, 폭넓게 절결된 절결부(52e)가 형성되어 있다. 뒷면(52a) 및 앞면(52b)에, 각각 절결부(52d) 및 절결부(52e)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2단 스텝상태에 있어서 보조스텝부재(50)가 덮개부재(40)에 간섭하는 일이 없다. 바꿔 말하면, 절결부(52d) 및 절결부(52e)는 변기 본체(10)로의 설치시, 보조스텝부재(50)가 덮개부재(40), 특히 천판(41)과 간섭하지 않고 이간하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보조스텝부재(50)에 의하여 덮개부재(40)의 천판(41) 등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좌우 측면(52c)의 하단에는, 변기 본체(10)와 걸어 맞추는 계합돌기(52f)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스텝부재(50)는 경질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back surface 52a is formed with a cutout portion 52d that is widely cut out. Similarly,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urface 52b is formed with the notch 52e cut | disconnected widely. The cutout 52d and the cutout 52e are formed on the back surface 52a and the front surface 52b, respectively, so that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interferes with the lid member 40 in the two-step step state. There is no work. In other words, the cutout 52d and the cutout 52e are formed so that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cover member 40, in particular, the top plate 41, upon installation to the toilet body 10. . Accordingly, the top plate 41 of the cover member 40 and the like ar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At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52c, engagement protrusions 52f are engaged with the toilet body 10.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is formed by integrally molding a hard plastic, for example, polypropylene.

도 28은 도 1의 영유아용 변기(1)의 변기 본체(10)의 사시도이고, 도 29는 도 28의 변기 본체(10)의 평면도이다. 변기 본체(10)는 상단부(11)와, 하단부(12)를 구비하고 있다. 하단부(12)는 주로 디자인적인 목적으로, 상단부(11)와는 별도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단부(11)와 일체 성형하여도 좋다. 상단부(11) 및 하단부(12)는 각각 경질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으로 성형된다.FIG. 2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ilet body 10 of the infant toilet 1 of FIG. 1, and FIG. 29 is a plan view of the toilet body 10 of FIG. 28. The toilet body 10 has an upper end 11 and a lower end 12. The lower end part 12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upper end part 11 mainly for the purpose of design, and may be integrally molded with the upper end part 11. The upper end 11 and the lower end 12 are each molded of hard plastic, for example polypropylene.

변기 본체(10)의 윗면에는 중통(20)을 수납 가능하게 중통용 오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중통용 오목부(13)의 바닥면에는, 중통(20)의 분리 볼록부(22a)에 대응하는 볼록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13a)의 후방의 중통용 오목부(13)의 바닥면에는, 직사각형의 설치 개구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스텝부재(50)는 변기 본체(10)의 아래쪽에 수납할 때, 스텝부재(50)는 천판(51) 측을 아래, 즉 상하가 반대로 되어 수납된다(도 3). 이때, 보조스텝부재(50)의 조판(54)은, 변기 본체(10)의 설치 개구부(13b)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고, 좌우의 조판(54)의 조부(54a)에 의하여 설치 개구부(13b)의 좌우 측둘레(13c)에 스냅식으로 걸어 맞춘다. 따라서, 변기 본체(10)의 아래쪽에 수납되어 있는 보조스텝부재(50)는, 변기 본체(10)로부터 중통(20)을 분리한 상태에서, 설치 개구부(13b)의 위쪽으로부터 조판(54)의 걸어맞춤을 해제함으로써 변기 본체(1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main body 10, a hollow barrel recess 13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barrel 20. The convex part 13a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ng convex part 22a of the main cylinder 20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low part recessed part 13. Moreover, the rectangular installation opening 13b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low cylinder recessed part 13 behind the convex part 13a. When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is stored below the toilet main body 10, the step member 50 is accommodated with the top plate 51 side down, that is, upside down (FIG. 3). At this time, the platen 54 of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protrudes upward from the attachment opening 13b of the toilet body 10, and is provided by the attachment portion 13a of the left and right platens 54. FIG. It snaps into right and left side circumference (13c). Therefore,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accommodated below the toilet main body 10 has the state of the typesetting 54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stallation opening 13b in the state which isolate | separated the central cylinder 20 from the toilet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By releasing the engagement, it can be removed from the toilet body 10.

중통용 오목부(13)의 주위 근방에는 고리형상이면서 평탄하게 형성된 고리형상 평탄면(14)이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상 평탄면(14)의 좌우 뒤쪽의 폭넓은 부분에는, 보조변기시트(30)의 뒷면에 설치된 변기시트 고정부재(70)를 수용하는 수용구멍(14a)이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상 평탄면(14)은 중통(20)을 중통용 오목부(13)에 수납하였을 때, 중통(20)의 바깥둘레부(23)를 지지한다.In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hollow cylinder recessed part 13, the annular flat surface 14 formed in the annular shape and flat is formed. In the wide port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nnular flat surface 14, a receiving hole 14a is formed for accommodating the toilet seat fixing member 7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The annular flat surface 14 supports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23 of the barrel 20 when the barrel 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ss 13 for the barrel.

고리형상 평탄면(14)의 주위에는, 고리형상이면서 평탄하게 형성되고, 고리형상 평탄면(14)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변기시트 재치면(15)이 형성되어 있다. 변기시트 재치면(15)은 보조변기시트(30)를 변기 본체(10)에 설치하였을 때, 3개의 고무발부재(60)가 배치되는 재치면이다. 즉, 변기시트 재치면(15)은 보조변기시트(30)의 각 고무발부재(60)가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변기시트 재치면(15) 상에 배치됨으로써, 보조변기시트(30)를 지지한다.The toilet seat mounting surface 15 is formed around the annular flat surface 14 and is formed to be annular and flat and dispos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annular flat surface 14. The toilet seat mounting surface 15 is a mounting surface on which three rubber foot members 60 are disposed when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is installed in the toilet body 10. That is, the toilet seat mounting surface 15 is disposed on the toilet seat mounting surface 15 in which each rubber foot member 60 of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is in a corresponding position, thereby supporting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

변기시트 재치면(15)의 주위에는, 영유아용 변기(1)의 정면에서 보아 U자형이고 평탄하게 형성되고, 고리형상 평탄면(14) 및 변기시트 재치면(15)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U자형 평탄면(16)이 형성되어 있다. U자형 평탄면(16)에 의하여 둘러싸이고, 고리형상 평탄면(14) 및 변기시트 재치면(15)을 바닥면으로 하는 오목부(16a)는 보조변기시트(30)를 수용하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Around the toilet seat mounting surface 15, it is formed in a U-shape and is flattened from the front of the toilet bowl 1 for infants,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annular flat surface 14 and the toilet seat mounting surface 15. U-shaped flat surface 16 is formed. The concave portion 16a enclosed by the U-shaped flat surface 16 and having the annular flat surface 14 and the toilet seat mounting surface 15 as a bottom surface has a shape such as to accommodate the auxiliary toilet seat 30. It is formed.

U자형 평탄면(16)의 좌우 후방의 바깥쪽 부분에는, 규제벽(17)이 형성되어 있다. U자형 평탄면(16)에 있어서 규제벽(17)보다 전방 부분은, 덮개부재(40)의 둘레벽(42)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덮개 지지면(16b)이다. 또한, U자형 평탄면(16)의 규제벽(17) 근방 부분은, 2단 스텝상태에 있어서, 보조스텝부재(50)의 측벽(52)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스텝 지지면(16c)이다. 그 때문에, 스텝 지지면(16c)은 덮개부재(40)의 폐쇄상태에 있어서도 덮여있지 않다. 한편, 보조스텝부재(50)의 측벽(52)의 하단면을 배치하는 장소는, 스텝 지지면(16c)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변기 본체(10)의 다른 장소, 또는 덮개부재(40)에 배치 장소를 설치하고 그 위에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The restricting wall 17 is formed in the outer part of the left-right back side of the U-shaped flat surface 16. As shown in FIG. The front part of the U-shaped flat surface 16 rather than the restricting wall 17 is the lid support surface 16b which supports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42 of the lid member 40. The portion near the restricting wall 17 of the U-shaped flat surface 16 is a step support surface 16c that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side wall 52 of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in a two-stage step state. . For this reason, the step support surface 16c is not covered even in the closed state of the lid member 40. On the other hand, the place where the lower surface of the side wall 52 of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is arrange | positioned is not limited to the step support surface 16c. For example, an arrangement place may be provided in another place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10 or the cover member 40, and may be arrange | positioned on it.

규제벽(17)은 2단 스텝상태에 있어서 보조스텝부재(50)의 측면(52c)이 좌우방향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즉, 유아동이 2단 스텝상태에 있어서 보조스텝부재(50)의 천판(51) 위에 올라가면, 무게 때문에 측면(52c)이 좌우방향으로 휘어지려고 한다. 그러한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규제벽(17)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규제벽(17)의 내면은 보조스텝부재(50)의 측면(52c)에 상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U자형 평탄면(16)의 뒷부분에는 베어링 부재(100)의 지지 지부(103)의 삽입부(103a)를 수용하는 오목부(16d)가 좌우에 형성되어 있다.The restricting wall 17 restricts the side surface 52c of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from sprea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 two-step step state. In other words, when the child's baby ascends on the top plate 51 of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in the two-stage step state, the side surface 52c tends to b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due to the weight. In order to prevent such bending, the restricting wall 17 is provided. Therefore, the inner surface of the restricting wall 17 is formed complementarily to the side surface 52c of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In the rear part of the U-shaped flat surface 16, recessed part 16d which accommodates the insertion part 103a of the support branch part 103 of the bearing member 100 is formed in left and right.

변기 본체(10)의 후단면에는 베어링 부재(100)를 배치하기 위한 베어링 오목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오목부(18)의 바닥면(18a) 좌우에는, 베어링 부재(100)의 삽입부(101a)를 삽입하는 설치구멍(18b)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설치구멍(18b) 전방의 수직면은 베어링 부재(100)의 맞닿음면(101b)과 맞닿는 후단면(18c)이다. 좌우 후방의 U자형 평탄면(16) 및 규제벽(17)에 걸쳐, 설치 오목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설치 오목부(19)에는 별도의 스텝고정부재(120)가 설치되어 있다.A bearing recess 18 for arranging the bearing member 100 is formed in the rear end surface of the toilet body 1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face 18a of the bearing recessed part 18, the installation hole 18b which inserts the insertion part 101a of the bearing member 100 is formed. Moreover, the vertical surface in front of the installation hole 18b is the rear end surface 18c which abuts against the contact surface 101b of the bearing member 100. A mounting recess 19 is formed over the U-shaped flat surface 16 and the restricting wall 17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 additional step fixing member 120 is provided in the mounting recess 19.

도 30은 도 28의 변기 본체(10)의 부분확대도이다. 또한, 도 31은 도 30에 나타난 스텝고정부재(120)의 사시도이다. 스텝고정부재(120)는 U자형 평탄면(16) 및 규제벽(17)의 형상에 적합한 L자형의 L자 부재(121)와 원주형상의 축부(122)를 가지고 있다. L자 부재(121)는 변기 본체(10)로의 설치 상태에 있어서 가로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 계합돌기(121a)와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계합조(爪)(121b)를 가진다. 스텝고정부재(120)는 경질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30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toilet body 10 of FIG. 28. 3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ep fixing member 120 shown in FIG. The step fixing member 120 has an L-shaped L-shaped member 121 and a cylindrical shaft portion 122 suitable for the shape of the U-shaped flat surface 16 and the restricting wall 17. The L-shaped member 121 has an engagement protrusion 121a projec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installation state to the toilet body 10 and a pair of engagement tanks 121b extending downward. The step fixing member 120 is formed by integrally molding a hard plastic, for example, polypropylene.

스텝고정부재(120)는 변기 본체(10)의 설치 오목부(19)에 대하여 위쪽으로부터 삽입되어, 한쌍의 계합조(121b)가 변기 본체(10)의 내부에서 걸어 맞춤으로써 변기 본체(10)에 대하여 설치된다. 스텝고정부재(120)의 L자 부재(121)는 변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축부(122)가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진다.The step fixing member 120 is inserted from abov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recess 19 of the toilet main body 10, and the toilet main body 10 is engaged by engaging a pair of engagement tanks 121b inside the toilet main body 10. Is installed against. The L-shaped member 121 of the step fixing member 120 has flexibilit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ince the shaft portion 122 is supported inside the toilet body 10.

보조스텝부재(50)를 변기 본체(10) 상에 설치할 때에는, 변기 본체(10)의 스텝고정부재(120)의 계합돌기(121a)와, 보조스텝부재(50)의 측벽(52)의 계합돌기(52f)가 스냅식으로 걸어 맞추어진다. 그때, 스텝고정부재(120)가 좌우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지기 때문에, 보조스텝부재(50)의 매끄러운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보조스텝부재(50)를 변기 본체(10)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양쪽의 스텝고정부재(120)의 상단부를 바깥쪽으로 누름으로써, 변기 본체(10)의 스텝고정부재(120)의 계합돌기(121a)와, 보조스텝부재(50)의 측벽(52)의 계합돌기(52f)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한편, 별도의 스텝고정부재(120)를 변기 본체(10)에 설치하는 것이 아닌, 규제벽(17)과 일체로 계합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보조스텝부재(50)를 분리할 때에, 보조스텝부재(50) 자체를 흔들어서 제거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계합돌기를 규제벽(17)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품수가 감소하여, 나아가서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보조스텝부재(50)는 변기 본체(10) 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또한 변기 본체(10)의 아래쪽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된다.When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is installed on the toilet main body 10, the engagement protrusion 121a of the step fixing member 120 of the toilet main body 10 and the side wall 52 of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are engaged. The projection 52f is snapped to fit. At this time, since the step fixing member 120 has flexibilit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can be smoothly installed. When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is separated from the toilet main body 10, by pressing the upper end portions of both step fixing members 120 outward, the engaging projection 121a of the step fixing member 120 of the toilet main body 10 is pushed out. ) And the engagement projection 52f of the side wall 52 of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are released. On the other hand, instead of installing the separate step fixing member 120 in the toilet main body 10,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engaging projection integrally with the restricting wall (17). In this case, when removing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itself may be removed by shaking. In addition, by forming the engagement protrusions integrally with the restricting wall 17,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the cost can be further reduced. From the above, the auxiliary step member 50 is detachably fixed on the toilet main body 10 and is detachably housed below the toilet main body 10.

이하, 영유아의 옷 등이 끼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덮개부재의 개폐기구의 변형예를 상술한 개폐기구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몇 가지 간단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some modifications of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of the cover member for preventing the clothes of infants or the like will be described.

도 32는 덮개부재(140)의 변기 본체로의 설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덮개부재(140)는 지지판(143)과, 지지판(143)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보스부(145)를 가진다. 본 변형예에서는, 토션 스프링(탄성부재)(190)이 사용된다. 토션 스프링(190)은 보스부(145)의 바깥쪽에 씌워진다. 토션 스프링(190)의 일단은 지지판(143)에 고정되고, 타단은 도시하지 않는 베어링 부재 등의 변기 본체측에 고정된다. 토션 스프링(190)은 덮개부재(14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밀리고 있다. 토션 스프링(190)은 덮개부재(140)의 자중에 의하여 덮개부재(140)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는 미는 힘을 가지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덮개부재(140)의 폐쇄동작이 제한되어, 영유아가 덮개부재(140)에 의하여 옷 등이 끼일 가능성이 낮다.32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installation of the cover member 140 to the toilet body. The cover member 140 has a support plate 143 and a boss portion 145 extending outward from the support plate 143. In this modification, a torsion spring (elastic member) 190 is used. The torsion spring 190 is covered outside of the boss portion 145.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190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143,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toilet body side such as a bearing member (not shown). The torsion spring 190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cover member 140. The torsion spring 190 is selected to have a pushing force in which the cover member 140 is not completely closed by the weight of the cover member 140. Therefore,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member 140 is limited, and the likelihood of infants being caught by the cover member 140 is low.

도 33은 도 32의 변형예에서의 덮개부재(140)의 개방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덮개부재(140)는 토션 스프링(190)에 의하여 완전히 폐쇄되지 않도록 개방하는 방향으로 밀리기 때문에,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기구가 필요하다. 그래서, 덮개부재(140)의 선단부 아랫면에 계지조(爪)(147)를 형성하고, 예를 들어 변기 본체의 U자형 평탄면(116)의 전단부에 계지구멍(116a)을 형성한다. 토션 스프링(190)의 미는 힘에 대항하여, 덮개부재(140)를 폐쇄하면, 계지조(147)가 계지구멍(116a)의 둘레부(116b)와 걸려 멈춘다(도 33의 (a)). 이러한 상태로, 예를 들어 변기 본체의 계지구멍(116a) 근방의 앞면에 배치된 버튼부(150)를 후방으로 누른다. 그에 따라, 변기 본체의 계지구멍(116a) 근방의 부재가 흔들려(도 33의 (b)), 계지 상태가 해제되어, 자동적으로 덮개부재(140)가 개방된다.33 is a view show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lid member 140 in the modification of FIG. According to this modification, since the cover member 140 is pushed in the opening direction so as not to be completely closed by the torsion spring 190, a mechanism for maintaining the closed state is required. Therefore, the locking tank 147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lid member 140, and the locking hole 116a is formed in the front end of the U-shaped flat surface 116 of the toilet bowl body, for example. When the lid member 140 is closed against the push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190, the locking tank 147 is caught with the circumferential portion 116b of the locking hole 116a and stopped (Fig. 33 (a)). In this state, the button part 150 arrange | positioned at the front surface near the locking hole 116a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is pushed back, for example. As a result, the member near the locking hole 116a of the toilet main body is shaken (FIG. 33B), the locking state is released, and the lid member 140 is automatically opened.

도 34는 덮개부재(240)의 변기 본체로의 설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덮개부재(240)는 지지판(243)과, 지지판(243)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속이 빈 보스부(245)를 가진다. 본 변형예에서는, 가요성으로 U자 판형상의 협지부재(290)가 이용된다. 보스부(245)의 둘레면은 기어와 같이 기어부(245a)가 형성되어 있다. 협지부재(290)의 휘어진 내주면에는 기어부(245a)의 기어 형상과 상보적인 톱니부(290a)가 형성되어 있다. 협지부재(290)는 보스부(245)를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때, 보스부(245)의 기어부(245a)와 협지부재(290)의 톱니부(290a)가 맞물리고 있다. 또한, U자형 직선부분에는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290b)이 좌우에 형성되어 있다.34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installation of the cover member 240 to the toilet body. The lid member 240 has a support plate 243 and a hollow boss portion 245 extending outward from the support plate 243. In the present modification, a U-plate-like holding member 290 is used flexibly. A gear portion 245a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ss portion 245 like a gear. On the curve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member 290, a tooth portion 290a complementary to the gear shape of the gear portion 245a is formed. The holding member 290 is disposed to sandwich the boss portion 245. At this time, the gear part 245a of the boss part 245 and the tooth | gear part 290a of the clamping member 290 are engaged. In addition, the U-shaped straight portion has long holes 290b extending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obliquely downward.

도 35는 도 34의 변형예에서의 덮개부재(24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협지부재(290)의 각 긴 구멍(290b)에는 도시하지 않는 베어링 부재로부터 지지판(243)을 향하여 연장되는 지지막대(200)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한, 협지부재(290)의 위쪽에는 도시하지 않는 베어링 부재로부터 지지판(243)을 향하여 연장되는 보스부(245)의 직경과 동등한 협지판(201)이 배치된다. 지지막대(200)에 의하여 U자형 협지부재(290)의 양단부가 이간하는 방향의 변형이 억제되고, 협지판(201)에 의하여 U자형의 협지부재(290)의 양단부가 접근하는 방향의 변형이 억제된다. 3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id member 240 in the modification of FIG. In each of the long holes 290b of the clamping member 290, a supporting rod 200 extending from the bearing member (not shown) toward the supporting plate 243 is inserted. Further, a holding plate 201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boss portion 245 extending from the bearing member (not shown) toward the supporting plate 243 is disposed above the holding member 290. Deforma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both ends of the U-shaped sandwiching member 290 are separated by the support rod 200 is suppressed, and deforma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both ends of the U-shaped sandwiching member 290 approaches by the sandwiching plate 201 is suppressed. Suppressed.

덮개부재(240)를 개폐하면, 보스부(245)의 기어부(245a)의 경사면과, 협지부재(290)의 톱니부(290a)가 서로 미끄러져, U자형의 협지부재(290)는 양단부가 이간하는 방향으로 변형된다(도 35의 (b)). 더욱이, 개폐동작을 단속하고, 보스부(245)의 기어부(245a)의 정점이 협지부재(290)의 톱니부(290a)의 정점을 넘으면, 가요성의 협지부재(290)의 복원력에 의하여 기어부(245a) 및 톱니부(290a)가 다시 맞물린다. 즉, 기어부(245a) 및 톱니부(290a)는 협지부재(290)에 의하여 맞물리는 방향으로 밀리고 있다.When the cover member 240 is opened and close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ear portion 245a of the boss portion 245 and the toothed portion 290a of the clamping member 290 slide each other, and the U-shaped clamping member 290 has both ends. Is deformed in the separating direction (Fig. 35 (b)). Furthermore, when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is interrupted and the apex of the gear portion 245a of the boss portion 245 exceeds the apex of the tooth portion 290a of the sandwiching member 290, the gear is restrain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flexible sandwiching member 290. Part 245a and toothed part 290a are meshed again. That is, the gear part 245a and the tooth | gear part 290a are pushed by the clamping member 290 to the engagement direction.

여기에서, 보스부(245)의 기어부(245a)의 경사면과 협지부재(290)의 톱니부(290a)가 서로 미끄러질 때의 마찰력이나, 협지부재(290)의 복원력에 의한 미는 힘이 덮개부재(240)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이 된다. 그 때문에, 협지부재(290)는 덮개부재(240)의 자중에 의하여 덮개부재(240)가 회전하지 않고, 임의의 회전위치에서 정지 가능하게 되는, 즉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덮개부재(240)를 개폐하고 있을 때에만 회전 가능하게 되는 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덮개부재(240)의 폐쇄동작에 제한되어, 영유아가 덮개부재(240)에 의하여 옷이 끼일 가능성이 저감된다.Here, the frictional force whe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ear portion 245a of the boss portion 245 and the toothed portion 290a of the sandwiching member 290 slip, or the pushing force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clamping member 290 is the cover member. It becomes the resistance to the rotation of 240. Therefore, the holding member 290 is made to stop at any rotational position without the cover member 240 rotating due to the weight of the cover member 240, that is, the user exerts a force on the cover member 240. It is formed to have a restoring force which becomes rotatable only when opening and closing. Therefore,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member 240 is limited, and the likelihood of the infant being caught by the cover member 240 is reduced.

도 36은 덮개부재(340)의 변기 본체로의 설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7은 도 36의 변형예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덮개부재(340)는 지지판(343)과, 지지판(343)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속이 빈 보스부(345)를 가진다. 본 변형예에서는, 고리형상의 와셔부재(300)와, 원통형상의 탄성부재(301)가 이용된다. 보스부(345)는 그 둘레면의 일부에 평탄면(345a)을 가진다. 보스부(345)에 끼워지는 와셔부재(300)는, 보스부(345)의 평탄면(345a)에 상보적인 직선둘레부(300a)를 가지는 것으로부터, 덮개부재(340)의 회전과 동시에 와셔부재(300)도 함께 회전한다. 도 36에 나타난 상태에서 탄성부재(301)가 보스부(345) 바깥쪽에 끼워지고, 더욱이 이 상태에서 탄성부재(301)는 베어링 부재(302)에 형성된 보유 오목부(303) 내에 압입된다(도 37).36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installation of the cover member 340 to the toilet body, and FIG. 3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odification of FIG. The cover member 340 has a support plate 343 and a hollow boss portion 345 extending outward from the support plate 343. In this modification, the annular washer member 300 and the cylindrical elastic member 301 are used. The boss portion 345 has a flat surface 345a on a part of its circumferential surface. The washer member 300 fitted to the boss portion 345 has a straight circumference portion 300a complementary to the flat surface 345a of the boss portion 345, thereby simultaneously washing the lid member 340. Member 300 also rotates together. In the state shown in FIG. 36, the elastic member 301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boss portion 345, and in this state, the elastic member 301 is press-fitted into the retaining recess 303 formed in the bearing member 302 (FIG. 37).

덮개부재(340)를 개폐하면, 와셔부재(300)의 단면과 탄성부재(301)의 단면 사이, 및 보스부(345)의 외주면과 탄성부재(301)의 내주면 사이에서 큰 마찰이 발생한다. 이들 마찰에 마찰저항이 덮개부재(340)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이 된다. 그래서, 이들 마찰저항을 덮개부재(340)의 자중에 의하여 덮개부재(240)가 회전하지 않고, 임의의 회전위치에서 정지 가능하게 되는, 즉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덮개부재(340)를 개폐하고 있을 때에만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조정한다. 그 결과, 덮개부재(340)의 폐쇄동작이 제한되어, 영유아가 덮개부재(340)에 의하여 옷 등이 끼일 가능성이 저감된다. When the cover member 340 is opened and closed, a large friction occurs between the end face of the washer member 300 and the end face of the elastic member 301 an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ss portion 345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301. The frictional resistance to these frictions is a resistance to the rotation of the cover member 340. Thus, these frictional resistances can be stopped at any rotational position without the rotation of the cover member 240 by the weight of the cover member 340, that is, the user is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member 340 by applying force. Adjust to be rotatable only when As a result,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member 340 is limited, and the likelihood of clothes and the like being caught by the cover member 340 is reduced.

덮개부재의 페쇄동작을 제한하여 영유아의 옷 등이 끼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덮개부재의 개폐기구의 그 밖의 변형예로서, 예를 들어 덮개부재의 급격한 개폐동작을 완화하는 댐퍼 기능을 가지는 부재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최종적으로 덮개부재와 변기 본체 등과의 사이에 옷 등이 끼이지 않도록 하면 되기 때문에, 덮개부재가 완전히 폐쇄되기 직전의 위치, 예를 들어 변기 본체로부터 5~15mm 정도의 간격을 남긴 위치에서 정지하는 것과 같은 기계적 기구를 가져도 좋다.Other modifications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lid member for restrict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lid member so as to prevent clothes of infants, etc., for example, by using a member having a damper function to alleviate the sudde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lid member. Also good. In addition, it is only necessary to finally prevent the clothes and the like from being caught between the lid member and the toilet body, and thus, stops at a position immediately before the lid member is completely closed, for example, a position of about 5 to 15 mm from the toilet body. You may have a mechanical mechanism, such as.

1: 영유아용 변기
10: 변기 본체
20: 중통
30: 변기시트(보조변기시트)
40: 덮개부재
1: Toilet bowl for infants
10: toilet seat
20: Zhongtong
30: toilet seat (secondary toilet seat)
40: cover member

Claims (4)

변기 본체에 선회 가능하게 접속된 덮개부재와,
이 덮개부재와 변기 본체와의 접속부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부재의 폐쇄동작을 제한하는 덮개폐쇄 제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폐쇄 제한수단이, 요철의 톱니면을 가지며 상기 덮개부재측에 설치된 톱니부와, 상기 톱니부와 상보적인 요철의 톱니면을 가지며 변기 본체측에 설치된 톱니부와, 탄성부재를 가지고, 이들 톱니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맞물리는 방향으로 밀림으로써, 상기 덮개부재가 임의의 회전위치에서 정지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재의 폐쇄동작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변기.
A lid member pivotally connected to the toilet body,
It is provided in the connection part of this cover member and a toilet main body, and is provided with the cover closing restriction means which restricts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aid cover member,
The cover closure limiting means has a tooth portion provided with a tooth surface of the unevenness and a tooth portion provided on the cover member side, a tooth portion provided on the toilet body side with a tooth surface complementary to the tooth portion, and an elastic member. A toilet for infants and toddl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sing action of the lid member is restricted such that the toothed portion is pushed in the engagement direction by the elastic member so that the lid member can be stopped at an arbitrary rotation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부의 양방이 상기 덮개부재의 선회 축선과 동심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요철의 톱니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변기.
The method of claim 1,
Both sides of the toothed portion has a toothed surface of the irregularities formed in an annular shape concentric with the pivot axis of the cover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부의 일방이 상기 덮개부재의 선회축의 둘레면에 형성된 기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변기.
The method of claim 1,
One of the toothed portion is a toilet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gear portion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vot shaft of the cover member.
삭제delete
KR1020130134758A 2012-11-15 2013-11-07 a toilet stool for infant KR10201862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51576 2012-11-15
JP2012251576A JP6214149B2 (en) 2012-11-15 2012-11-15 Baby toi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424A KR20140063424A (en) 2014-05-27
KR102018627B1 true KR102018627B1 (en) 2019-09-05

Family

ID=5075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4758A KR102018627B1 (en) 2012-11-15 2013-11-07 a toilet stool for infant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14149B2 (en)
KR (1) KR102018627B1 (en)
CN (1) CN103815822B (en)
TW (1) TWI672117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03555B1 (en) * 2015-06-12 2018-05-09 Sigma Laborzentrifugen GmbH Laboratory centrifuge with damping device
JP6722854B2 (en) * 2015-09-18 2020-07-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Portable toilet
KR102198065B1 (en) * 2020-10-07 2021-01-04 (주) 폴리텍 Movable toilet
KR102198066B1 (en) * 2020-10-07 2021-01-04 (주) 폴리텍 Movable toilet
KR102198067B1 (en) * 2020-10-07 2021-01-04 (주) 폴리텍 Movable toile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6395U (en) * 1983-09-27 1985-04-19 東陶機器株式会社 Toilet seat fall prevention device
JPS6244214A (en) * 1985-08-22 1987-02-26 加藤電機株式会社 Torque reducing mechanism of automatic opening/closing apparatus
CN2091126U (en) * 1991-03-20 1991-12-25 李在发 Flush toilet cushion with automatic lifting device
CN1028318C (en) * 1993-01-16 1995-05-03 杨炯耀 Implement for fixing and homing the toilet seat
JPH0720992U (en) * 1993-09-28 1995-04-18 株式会社イナックス Toilet seat device
US5724683A (en) * 1994-10-20 1998-03-10 Katoh Electrical Machinery Co., Ltd. Hinge mechanism for supporting the seat or the seat lid of a toilet bowl
JPH08117148A (en) * 1994-10-20 1996-05-14 Kato Electrical Mach Co Ltd Opening/closing device for lavatory seat and lavatory lid of water-closet bowl
JPH11244197A (en) * 1998-03-04 1999-09-14 Hitachi Chem Co Ltd Braking structure for toilet seat and toilet seat lid
TW348474U (en) * 1998-07-20 1998-12-21 Kuen-Ming Li Child^s chair with multi-function
JP4254348B2 (en) * 2003-05-27 2009-04-1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Backrest structure
JP2006006458A (en) * 2004-06-23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Opening/closing drive device of toilet lid and toilet seat
CN102551586B (en) * 2011-06-27 2015-10-21 楼明 A kind of turning device of toilet seat 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15822B (en) 2018-07-03
JP2014097248A (en) 2014-05-29
TWI672117B (en) 2019-09-21
TW201433292A (en) 2014-09-01
KR20140063424A (en) 2014-05-27
JP6214149B2 (en) 2017-10-18
CN103815822A (en)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627B1 (en) a toilet stool for infant
RU2404698C2 (en) Assembled high children's chair with height adjustment device
JP2010504788A (en) Toilet equipment
WO2008030255A1 (en) Infant seat
KR102024671B1 (en) A toilet stool for infant
KR102024672B1 (en) An auxiliary toilet seat for infant and a toilet stool for infant
US8302218B2 (en) Reconfigurable tub assembly
KR20160002223U (en) Child seat
US20140259338A1 (en) Child's Potty Ring
KR102010662B1 (en) Versatile chair with easy height adjustment
KR102034617B1 (en) An auxiliary toilet seat for infant and a toilet stool for infant
JP6436614B2 (en) Baby toilet
KR20060046541A (en) A toilet stool for a baby
JP3219386U (en) Auxiliary toilet seat structure for infants
KR200196479Y1 (en) A seat-Cover of toilet-stool for Adult and Child
TW202341914A (en) portable toilet
JP5674980B2 (en) Portable toilet
JP5674981B2 (en) Portable toilet
JP5735166B2 (en) Portable toilet
WO2015030763A1 (en) Infant support with storage compar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