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026B1 - 염증 또는 알러지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염증 또는 알러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염증 또는 알러지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염증 또는 알러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026B1
KR102017026B1 KR1020130002748A KR20130002748A KR102017026B1 KR 102017026 B1 KR102017026 B1 KR 102017026B1 KR 1020130002748 A KR1020130002748 A KR 1020130002748A KR 20130002748 A KR20130002748 A KR 20130002748A KR 102017026 B1 KR102017026 B1 KR 102017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ion
allergy
peptid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0757A (ko
Inventor
한장희
김민서
Original Assignee
(주) 수파드엘릭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수파드엘릭사 filed Critical (주) 수파드엘릭사
Priority to KR1020130002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026B1/ko
Publication of KR20140090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6Tr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IL-1R로부터 유래된 작은 펩타이드 단편(small peptide fragment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 단편을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펩타이드는 NF-κB 활성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는 다양한 염증 매개분자의 발현을 억제하고 백혈구의 혈관외유출을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활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 단편은 IgE-매개 즉시과민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과민반응에 의해 유발된 염증 및 알러지에 대한 우수한 억제 활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염증 또는 알러지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염증 또는 알러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ion or allergy and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inflammation or allergy}
본 발명은 IL-1R(interleukin-1 receptor)로부터 유래된 작은 펩타이드 단편(small peptide fragment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 단편을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감염, 외상 등에 의해 손상된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복원하기 위한 생체의 방어 반응을 통칭하여 염증 반응이라 한다. 염증 부위로의 백혈구 세포의 이동(mobilization)은 감염에 대한 신속한 해결(resolution) 및 다양한 외상으로부터 발생하는 조직 손상을 복구하는데 중요하다. 그러나, 잘못되거나 지속적인 염증 반응은 인체 조직의 손상과 질환을 야기한다. 예를 들어, 염증 질환은 뇌척수막염, 장염, 피부염, 포도막염, 뇌염, 성인성 호흡곤란 증후군 등과 같이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이나, 외상, 자가면역질환과 장기이식 거부 등과 같은 비감염 요인에 의하여 발생한다. 염증 질환은 증상이나 병리학적 특징이 구분되는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분류된다. 알러지나 세균과 바이러스의 감염과 같은 급성 염증의 국소적 증상은 혈류 및 혈관 크기의 변화, 혈관 투과성의 변화 및 백혈구의 침윤 등으로 나타난다. 이에 반하여 류마티스 관절염, 죽상 동맥경화증. 만성 신장염, 간경화증 등을 비롯한 만성 염증의 주요 병리학적 특징은 염증 유발 요인이 제거가 되지 않아 염증부위로 단핵구, 호중구, 림프구, 형질세포들이 지속적으로 침윤하는 것으로, 그 결과 염증 반응이 만성화된다.
염증 부위에서 발현되는 염증 매개인자, 즉, 싸이토카인(cytokine), 케모카인(chemokine), 활성산소 중간생성물, 싸이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xygenase-2, COX-2), 5-리폭시게나아제(5-lipoxygenase, 5-LOX), 매트릭스 매탈로프로티나아제(matrix metalloproteinase, MMP) 등은 염증반응의 발생 및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염증 매개인자들의 발현은 전사인자인 NF-κB(nuclear factor κB), STAT3(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AP-1(activator protein1), HIF-1a(hypoxia-inducible factor 1a) 등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외선은 IL-1과 같은 염증싸이토카인의 분비를 유도하는데, 이 염증 유도분자들은 각질세포에서 bFGF를 발현을 촉진하며, 그 결과 bFGF가 각질세포와 멜라닌세포의 과도한 증식을 유도하여 표피비후와 색소침착이 발생한다. 또한 IL-1은 섬유모세포에서 전사인자인 NF-κB를 활성화하여 결과적으로 MMP-1이나 MMP-9과 같은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진피의 아교섬유 또는 탄력섬유를 분해한다. 이와 같이 자외선은 피부에서는 염증반응을 유발하며, 그 결과 표피비후, 색소침착과 진피섬유분해에 의한 주름형성이나 피부이완과 같은 노화현상이 촉진된다.
본 발명자들은 염증의 예방 및 치료활성을 갖는 작은 펩타이드 단편(small peptide fragments)을 검색하고자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염증 매개인자들의 기능을 저해할 수 있는 다양한 작은 펩타이드 단편을 설계하였으며, 놀랍게도 IL-1R의 특정 부위로부터 유래된 특정 펩타이드 단편이 IL-1R의 기능을 조절함으로써 염증 반응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IL-1R를 매개로 한 염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피부 염증 및 피부 노화에 대한 우수한 억제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 단편은 IgE-매개 즉시과민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과민반응에 의해 유발된 염증 및 알러지에 대한 우수한 억제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IL-1R으로부터 유래된 특정 펩타이드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특정 펩타이드 단편을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 또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 또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염증은 피부 염증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과민반응에 의해 유발된 염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러지는 면역글로불린 E(IgE)에 의해 매개되는 즉시과민반응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IL-1R로부터 유래된 특정 펩타이드 단편이 NF-κB의 전사 촉진 기능을 조절함으로써 염증 반응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피부 염증 및 피부 노화에 대한 우수한 억제활성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IgE-매개 즉시과민반응을 억제함으로써, 과민반응에 의해 유발된 염증 및 알러지에 대한 우수한 억제 활성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상기 펩타이드는 염증 또는 알러지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염증 또는 알러지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의 시험관 내(in vitro) 단핵구 혈관외유출 억제 활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IgE-매개 즉시과민반응에 대한 영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염증"이라 함은 인체내 염증 반응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IL-1R에 의해 활성화되는 염증 반응을 말하며, 급성 및/또는 만성 염증 질환;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예를 들어,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등)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염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한 피부 염증(즉, 피부염(dermatitis))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과민반응에 의해 유발된 염증을 포함한다.
"피부노화(skin aging)"이라 함은 내재적 및 외부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주름 형성을 포함한 피부의 노화를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피부주름 형성을 동반하는 피부 광노화(photoaging)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피부주름 형성을 동반하는 자외선 자극에 의한 피부 광노화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노화는 피부상에 형성된 주름(wrinkle formation on skin), 즉 피부주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알러지(allergy)"라 함은 환경 항원에 대한 제1형 과민반응(IgE에 의해 매개되는 즉시과민반응)을 말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천식(asthma), 알러지비염(allergic rhinitis), 아토피성피부염(atopic dermatitis), 음식 알러지(food allergy)와 같은 즉시과민반응과 옻과민반응과 같은 지연형과민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천식, 알러지비염, 아토피성피부염, 음식 알러지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 또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 또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IL-1R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는 다양한 염증 매개분자의 발현을 억제하고 백혈구의 혈관외유출을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활성을 갖는다. 또한, 자외선 자극에 의해 증가되는 염증 매개인자인자로서, NF-κB 에 의해 전사조절되는 염증 매개인자인 MMP-1, TNF-α, 및 IL-1α의 발현을 억제하고, 염증매개분자인 PGE2 생성 및 이를 매개하는 효소인 COX-2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광노화 억제 활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IgE-매개 즉시과민반응을 억제함으로써, 과민반응에 의해 유발된 염증 및 알러지에 대한 우수한 억제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락토즈, 옥수수전분 등의 부형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등의 윤활제, 공지되어 사용가능한 유화제, 현탁제, 완충제, 등장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 형태,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제를 포함한 비경구 투여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근육내, 복강내, 피하 및 정맥내 투여 형태의 경우, 통상 활성 성분의 멸균 용액을 제조하고, 용액의 pH를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는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맥내 투여의 경우 제제에 등장성이 부여되도록 등장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pH가 7.4인 염수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제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용액제의 형태로 국소적으로 환자의 근육내 혈류에 도입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제제학적 방법에 따라 외용액제, 에멀젼, 연고제, 패치 등의 경피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1일 약 1 내지 20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적절한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체중 및 증상에 따라 일반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화장료 제조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향장 제품, 화장수, 크림, 로오숀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클렌징액, 수렴액 및 보습액으로 희석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의 함량은 염증 또는 알러지 억제 효과를 달성하기에 유효한 양, 예를 들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0.01 ∼ 1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펩타이드의 합성
서열번호 1 및 2의 펩타이드는 자동화합성기(PeptrEx-R48, 펩트론사, 대전,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FMOC 고체-상 방법(FMOC solid-phase method)으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펩타이드는 C18 분석용 RP 컬럼(Shiseido capcell pak)을 사용한 역상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reverse-phase HPLC) (Prominence LC-20AB, Shimadzu사, 일본)로 정제 및 분석하였으며, 질량분석기(HP 1100 Series LC/MSD, Hewlett-Packard사, Roseville, 미국)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펩타이드 명칭 서열번호 아미노산 서열
IL1R-pep1 서열번호 1 Gly-Trp-Tyr
IL1R-pep2 서열번호 2 Trp-Tyr-Lys
실시예 2.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서열번호 1과 2의 펩타이드를 PBS에 각각 용해시켜, 1 M의 농도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얻어진 단백질 용액을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시험예 1. 단핵구의 시험관 내( in vitro ) 혈관외유출 억제 시험
생쥐 뇌내피세포인 bEND3 (ATCC사, 미국)를 보이덴 챔버(Boyden chamber)의 위칸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상층액을 제거하고,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서열번호 1 및 2의 펩타이드 용액(100 μM)으로 1시간 동안 전처리하거나 전처리하지 않은 생쥐 단핵구 WEHI247.1 (ATCC사, 미국)를 각 처리구에 5 x 105 개씩 가하였다. 이때 아래칸에는 생쥐 섬유모세포인 NIH/3T3를 0.005% 비타민 C와 0.1% 소혈청알부민이 첨가된 DMEM 무혈청배지에서 16시간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이 포함된 배양액을 넣어서 단핵구의 침윤을 유도하였다. 6 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아래칸으로 침윤하여 이동한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은 5회 반복하였으며, 결과는 도 1과 같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를 처리한 경우, 혈관 외로 유출된 단핵구의 갯수가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성있게 (약 60% 수준) 감소되었다. 백혈구가 혈관을 따라 이동하다가 염증 부위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혈관 밖으로 유출되는 과정이 수반됨을 감안할 때,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효과적인 염증반응 억제 활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시험예 2. IgE -매개 즉시과민반응( IgE - mediated immediate hypersensitivity reactions) 억제 시험
생후 6주 숫컷 Balb/c 생쥐의 꼬리 정맥에 5 ㎍의 IgE 항체를 주사하여 감작시켰다. 24시간 후,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 단편을 생리식염수 100 ㎕에 녹여 생쥐 1마리 당 10 mg/kg의 농도로 복강 투여하였다. 아세톤 및 올리브 오일의 혼합물(4:1, v/v) 중에 0.15%의 농도로 용해시킨 2,4-디니트로플루오로벤젠(2,4-dinitrofluorobenzene, DNFB)의 용액을 항원으로서 사용하여, 상기 용액을 귀에 바름으로써 IgE-매개 즉시과민반응을 유도하였다. 음성대조군 생쥐에는 생리식염수 100 ㎕를 주입하고 DNFB를 처리하지 않았으며, 양성대조군 생쥐에는 생리식염수 100 ㎕를 주입하고 DNFB를 처리하였다. 이후 3시간과 6시간 후 디지털측경양각기(digital caliper)를 이용하여 귀두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펩타이드 처리 1일 후부터 매일 시험군 생쥐에게는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 단편을 10 mg/kg 농도로 복강주사하고, 대조군 생쥐에게는 생리식염수만 복강주사하고, 3일간 귀두께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도 2는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DNFB처리에 의하여 증가한 시험군과 양성대조군 생쥐의 귀두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단편을 주입한 경우에 귀두께가 양성대조군에 비해서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IgE-매개 즉시과민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과민반응에 의해 유발된 염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10> SupadElixir Inc. <120>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ion or allergy and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inflammation or allergy <130> PN0626 <160> 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fragment <400> 1 Gly Trp Tyr 1 <210> 2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fragment <400> 2 Trp Tyr Lys 1

Claims (8)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 또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이 피부 염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이 과민반응에 의해 유발된 염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삭제
  5.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 또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이 피부 염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이 과민반응에 의해 유발된 염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KR1020130002748A 2013-01-10 2013-01-10 염증 또는 알러지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염증 또는 알러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748A KR102017026B1 (ko) 2013-01-10 2013-01-10 염증 또는 알러지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염증 또는 알러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748A KR102017026B1 (ko) 2013-01-10 2013-01-10 염증 또는 알러지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염증 또는 알러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757A KR20140090757A (ko) 2014-07-18
KR102017026B1 true KR102017026B1 (ko) 2019-09-02

Family

ID=51738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748A KR102017026B1 (ko) 2013-01-10 2013-01-10 염증 또는 알러지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염증 또는 알러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0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1752A1 (ja) * 2014-09-29 2016-04-07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プロテアーゼの基質ペプチド及びプロテアーゼの活性測定方法
JP7144441B2 (ja) * 2017-08-31 2022-09-29 チェジュ ナショナル ユニバーシティー インダストリー-アカデミ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 ファウンデーション 抗酸化及び抗高血圧効果を有するヒラメ練肉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8964A (ja) 1998-01-14 2002-03-26 スミスクライン・ビーチャム・コーポレイション インターロイキン−1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ベータ(IL−1RAβ)
JP2008539235A (ja) 2005-04-29 2008-11-13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炎症反応によって特徴付けられる病状を処置するためのペプチドおよびペプチド模倣物
US7655624B2 (en) 2000-08-17 2010-02-02 Biomet Deutschland Gmbh Peptide and peptide mimetic conjugates with integrin-inhibitor properties
WO2012122985A1 (en) 2011-03-14 2012-09-20 University Of Copenhagen Antagonists of the interleukin- 1 recep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8964A (ja) 1998-01-14 2002-03-26 スミスクライン・ビーチャム・コーポレイション インターロイキン−1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ベータ(IL−1RAβ)
US7655624B2 (en) 2000-08-17 2010-02-02 Biomet Deutschland Gmbh Peptide and peptide mimetic conjugates with integrin-inhibitor properties
JP2008539235A (ja) 2005-04-29 2008-11-13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炎症反応によって特徴付けられる病状を処置するためのペプチドおよびペプチド模倣物
WO2012122985A1 (en) 2011-03-14 2012-09-20 University Of Copenhagen Antagonists of the interleukin- 1 recep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757A (ko) 2014-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503B1 (ko) 아디포넥틴으로부터 유래한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US10167325B2 (en) Plant-derived elastin binding protein ligand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8163706B2 (en) Method for preparing a centella asiatica extract rich in madecassoside and in terminoloside
WO2007049400A1 (ja) コラーゲンおよび/または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用組成物
CN115089698B (zh) 改善皮肤的活性肽与干细胞外泌体在药品或化妆品中的应用
US20090054346A1 (en) Elastin production-enhancing agents
KR101594032B1 (ko) 염증 또는 피부노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염증 또는 피부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26B1 (ko) 염증 또는 알러지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염증 또는 알러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ang et al. Antiaging activity of peptide identified from fermented Trapa Japonica fruit extract in human dermal fibroblasts
KR102041803B1 (ko) 염증 또는 피부노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염증 또는 피부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20050059599A1 (en) Elastin peptide analogs and uses thereof
KR101772045B1 (ko) 표피성장인자 유래의 펩타이드 단편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
CN114983922B (zh) 生物活性肽与干细胞外泌体在皮肤修复中的应用
KR102017513B1 (ko) 백혈구의 혈관외유출 억제 활성 및 암세포의 성장 또는 전이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00023073A (ko)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40090755A (ko)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
KR20140096196A (ko) 백혈구의 혈관외유출 억제 활성 및 암세포의 성장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772048B1 (ko) 섬유모세포성장인자 유래의 펩타이드 단편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
CN116251100A (zh) Tpen在制备抗皮肤衰老或抗皮炎的组合物产品中的应用
CN116370602A (zh) 一种小分子肽在制备抗皮肤衰老或抗皮炎的组合物产品中的应用
KR20140090752A (ko)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