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323B1 - 정미기 - Google Patents

정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323B1
KR102014323B1 KR1020170086037A KR20170086037A KR102014323B1 KR 102014323 B1 KR102014323 B1 KR 102014323B1 KR 1020170086037 A KR1020170086037 A KR 1020170086037A KR 20170086037 A KR20170086037 A KR 20170086037A KR 102014323 B1 KR102014323 B1 KR 102014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processing
polishing
section
mesh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5422A (ko
Inventor
이준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리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리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리슨
Priority to KR1020170086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323B1/ko
Priority to CN201880038940.6A priority patent/CN110753582A/zh
Priority to PCT/KR2018/007591 priority patent/WO2019009623A2/ko
Publication of KR20190005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미기에 관한 것으로, 도정기에 의해 처리 가공된 쌀을 가공하는 정미기에 있어서, 일측 상단에 쌀을 투입하기 위한 호퍼 및 타측에 가공 처리된 쌀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로 구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인 덮개의 하중을 견고히 지지하는 망틀, 및 상기 망틀의 내부에서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호퍼로 투입된 쌀들을 회전 방식으로 비벼 깎아냄에 따라 쌀에 붙은 호분층이 제거되며 가공 처리하는 가공수단을 포함하여, 쌀의 가공(도정) 처리 효율을 제고하기 위한 정미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정미기{Rice Polisher}
본 발명은 정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정기를 거친 쌀을 가공 처리하기 위한 정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 또는 현미를 저분도 쌀 또는 백미로 도정하는 기계를 통상적으로 도정기라 한다.
이러한 도정기로부터 처리 가공된 쌀은 호분층(미강) 및 배아가 많은 관계로 이를 제거하기 위한 가공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가공은 정미기를 통하여 구현된다.
그러나, 종래의 정미기는 대부분 수직형으로 회전되는 축을 이용하여 쌀의 미강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직형 타입의 정미기는 중력 영향을 매우 많이 받는 구조인 관계로 회전축의 상단에서부터 하단에 이르는 쌀의 도정 처리 구간에 걸쳐 쌀의 투입 분포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수직형 타입의 정미기뿐만 아니라, 수평으로 회전되는 축을 이용한 수평형 타입의 정미기도 활용되고 있으나, 쌀의 호분층(미강)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가공 수단의 구체적인 구조 및 경사각을 제시하지 못하여 쌀에 붙은 호분층(미강)뿐만 아니라 쌀의 백미 부위까지 깎여나가는 과분(過分, 과하게 깎임)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과분 현상은 실질적으로 가공 처리된 쌀의 품질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소비자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쌀의 품질 저하뿐만 아니라, 쌀의 가공 처리량도 줄어들고 있다.
특허문헌 001 : 출원번호 제10-2000-0047564호 특허문헌 002 : 출원번호 제10-2002-0015492호 특허문헌 003 : 출원번호 제10-2005-0066199호 특허문헌 004 : 출원번호 제10-2005-0066201호 특허문헌 005 : 출원번호 제20-1995-0010085호 특허문헌 006 : 출원번호 제20-2005-0004061호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정기로 가공 처리된 쌀에 대하여 호분층(미강)의 제거 효율과 함께 가공 처리 효율을 제고할 수 있는 정미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정기에 의해 처리 가공된 쌀을 가공하는 정미기에 있어서, 일측 상단에 쌀을 투입하기 위한 호퍼 및 타측에 가공 처리된 쌀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로 구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인 덮개의 하중을 견고히 지지하는 망틀, 및 상기 망틀의 내부에서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호퍼로 투입된 쌀들을 회전 방식으로 비벼 깎아냄에 따라 쌀에 붙은 호분층(미강)이 제거되며 가공 처리시키는 가공수단을 포함하는 정미기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가공수단은 상기 망틀의 내부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쌀에 붙은 호분층(미강)을 깎아냄과 동시 상기 쌀로부터 분리된 호분층(미강)을 상기 망틀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메쉬망, 상기 메쉬망의 내부에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수평 설치되고, 회전을 통하여 상기 호퍼로 투입된 쌀들을 가공 처리 구간으로 이동시키는 한편, 가공 처리 구간으로 이동된 쌀들의 호분층을 분리시키는 연마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정미기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메쉬망은, 그 외관이 8각형 구조이면서, 내부에서부터 외부에 이르기까지 관통된 구멍으로서 전체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연마공들을 더 포함하는 정미기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연마공은, 쌀에 붙은 호분층(미강)의 효율적 제거를 위해 직사각형 형상이면서, 상기 메쉬망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23°의 경사 범위로 경사져 있는 정미기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연마샤프트는, 일측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호퍼로 투입된 쌀들을 가공 처리 구간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류, 타측 부위에서 소정의 비틀림 각으로 돌출되고, 회전을 통하여 쌀들에 붙은 호분층(미강)을 깎아 내는 연마팁, 및 상기 연마팁의 인접 부위에서 상기 연마팁의 길이에 걸쳐 하나 이상으로 관통 형성되어 쌀로부터 떨어져 나간 호분층(미강)을 집소 유도하는 제2 송풍홀을 더 포함하는 정미기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연마샤프트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송풍홀 방향으로 바람을 보내기 위한 제1 송풍홀들이 형성된 중심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송풍홀들은 상기 중심축의 타측 부위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되, 상기 제2 송풍홀의 비틀림 각과 동일하게 비틀어지며 형성되는 정미기에 일 특징이 있다.
메쉬망의 중심에서부터 가상선으로 그려진 수직선과 수평선을 기준으로 제3 사분면, 제2 사분면, 제1 사분면, 제4 사분면에 각각 해당되는 C 구간 > B 구간 > A 구간 > D 구간 순으로 메쉬망의 내면에 억류형 돌기들이 더 분포 형성되는 정미기에 일 특징이 있다.
이상,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정기에 의해 가공 처리된 쌀을 투입하여 쌀에 붙은 호분층(미강)의 박리 제거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최고품질의 백미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쌀에 붙은 호분층(미강)의 효율적인 박리 제거로 인하여 쌀의 백미 부위에 대한 깎임을 최소한으로 줄여주며 가공 처리량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하는 방식으로 쌀의 가공 처리 과정에서 중력 요인을 덜 받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쌀의 회전 반경을 따라 처리되는 쌀의 투입 가공 처리량이 고르게 분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중심축 및 연마샤프트의 회전 부하 감소와 모터의 과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미기 외관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미기의 내부 구조 파악을 위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망틀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메쉬망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메쉬망의 내측면 및 정면을 함께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연마샤프트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연마샤프트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중심축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메쉬망 및 연마샤프트의 사이에서 가공 처리되는 쌀들이 중력 요인에 의해 분포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를 참고로 쌀들의 중력 요인 구간을 개념적으로 파악한 도면.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도시됨을 밝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여러 변형 실시되는 점까지 감안한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회전 동력에 요구되는 모터 및 바람의 송풍에 요구되는 송풍팬 및 바람을 빨아들이기 위한 흡기팬 등은 본 발명의 주된 요지가 아닌 관계로 상세 설명의 생략과 함께 도면에 미도시되어 있음을 참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 본 발명에 의한 정미기에 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로 설명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정미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 하우징 형체로 구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의 일측 상부에 설치된 호퍼(110)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설치된 배출부(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호퍼(110)는 정미기를 통하여 수거된 쌀을 투입하기 위한 용도이며, 상기 배출부(120)는 상기 호퍼로 투입된 쌀의 표피에 붙은 호분층 즉 미강 및 배아를 가공 처리하여 최상의 백미를 배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백미는 배출부(120)로서 배출받이(121)를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상기 호퍼(110)로 투입된 쌀이 상기 배출부(120)를 통하여 배출되기까지 가공 처리에 요구되는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내부에 구성된 망틀(160), 가공수단(메쉬망(150) 및 연마샤프트(140)), 및 중심축(130)의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망틀(160)은 몸체(100)를 구성하는 하우징인 덮개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틀(160)의 길이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원 형상의 리브(161)들이 결합 구성되는 구조이다.
즉, 상기 리브(161)들은 원 형상으로 망틀(160)의 길이에 걸쳐 망틀(160)에 결합되어 있는 관게로 몸체(100)의 덮개 하중에 대한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고, 망틀(160)의 내부에 구성되는 가공수단으로서 메쉬망(150)과 연마샤프트(140)을 포함한 중심축(130)에 대한 보호 기능도 할 수 있다.
상기 가공수단으로서 상기 메쉬망(150)은, 상기 망틀(160)의 내부에 설치되는바, 도 2를 참고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망(150)의 면에 촘촘히 빼곡하게 형성된 다수의 연마공(151)들이 형성되며, 도 5에서와 같이 메쉬망(150)의 형태가 8각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쉬망(150)이 8각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은, 메쉬망(150)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연마샤프트(140)에 의해 연마 처리되는 쌀의 가공(도정) 처리량을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도 쌀의 가공(도정) 처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만일 상기 메쉬망(150)이 6각형이나 5각형 등으로 각이 줄어드는 구조일 경우 쌀의 가공 처리 효과가 저하된다. 즉, 쌀이 거칠게 가공되는데, 여기서 쌀이 거칠다 라는 표현은 쌀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즉, 메쉬망의 다각형 구조에 있어 각이 줄어들수록 쌀의 투입 가공량은 많아질 수 있되, 가공 처리 과정에서 쌀이 거칠어질 수밖에 없지만, 반면 본 발명에서와 같이 메쉬망(150)이 8각 구조일 경우 쌀의 거칠기를 약화시킬 수 있으면서도 적정량의 투입도 가능하다. 이는 메쉬망의 다각 구조가 많을수록 쌀의 가공 처리 과정에서 쌀을 비벼 깎을 수 있는 즉 마찰과 찰리의 양 작용 여지가 높아 호분층 및 배아의 박리율이 향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찰리작용(frictional separating operation, 擦籬作用)은 쌀의 입자에 가해지는 접촉 압력이 특정 값 이상이 되면서 쌀의 접촉면은 미끄러지지 않고 쌀의 강층이 전분층과 분리되어 얇은 조각 상태로 벗겨지는 작용인 강층을 박리화시키는 작용을 의미한다.
상기 연마공(151)들은 메쉬망(150)의 내부 면에서부터 외부 면에 이르기까지 관통된 구멍이며, 그 형상은 직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쉬망(150)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23°의 경사 범위로 기울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마공(151)들은 직사각형 구조와 경사 범위 23°가 조합되는 점이 특징인데, 직사각형 구조이어야 함은 쌀의 형상이 타원형상이면서 후술될 연마샤프트를 통하여 쌀이 완만하게 전진하는 이동 패턴을 가지기 때문에 직사각형이 쌀의 가공(도정) 처리에 가장 효과적인 구조가 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연마공(151)들이 23°의 경사 범위로 기울어져 있어야 함은, 상기 연마공(151)들이 상기의 경사 범위 수치를 초과한 상태로 경사져 있을 경우 쌀이 과분(過分, 과하게 깎임)될 수 있고, 상기의 경사 범위 수치를 미만인 상태로 경사져 있을 경우 쌀이 덜 깎이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상기 연마공(151)들이 상기의 경사 범위 수치로 경사져 있어야 쌀에 묻은 호분층(미강)의 효율적인 제거와 함께 미강 이외의 백미 부위 깎임이 최소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가공수단으로서 상기 연마샤프트(140)는 상기 메쉬망(150)의 내부에 설치되는바, 도 6 및 7에서와 같이, 연마샤프트(140)의 일측 부위 축에 형성된 스크류(141), 타측 부위 축에 형성된 연마팁(142), 및 상기 연마팁의 길이에 걸쳐 상기 연마팁의 근접 부위에 형성된 제2 송풍홀(1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류(141)는 연마샤프트(140)의 회전에 따라 호퍼(110)로부터 투입된 쌀을 가공 처리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기능을 담당하는 한편, 상기 연마팁(142)은 상기 스크류(141)의 회전 동작에 의해 가공 처리 방향으로 이동된 쌀을 가공 처리하는 한편, 상기 제2 송풍홀(143)은 가공 처리된 쌀로부터 떨어져 나간 호분층(미강)을 망틀(160)의 하부 방향인 즉 몸체(100)의 하부 방향으로 집진 시키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마팁(142)은 연마샤프트(140)의 수평 길이에 걸쳐 소정의 비틀림 각을 유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비틀림 각을 두는 이유는 상기 연마팁(143)과 상기 연마공(151) 사이로 쌀이 끼워지는 과정을 거치면서 쌀의 가공(도정) 처리가 이루어지는데, 이때 쌀에 붙은 호분층의 제거 효율은 향상되는 한편, 쌀의 백미 부위의 깎임은 최소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연마팁(142)은 연마샤프트(140)의 수평 길이를 기준으로 30°로 비틀려 있게 되는데, 만일 상기 연마팁(142)의 비틀림 각이 30°를 초과하면 연마샤프트(140)의 회전 무리에 따른 모터 부하의 증대와 함께 쌀의 백도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반면 상기 연마팁(142)의 비틀림 각이 30°미만이면 모터 부하는 감소될 수 있으나 백도율이 높아져 과백(過白)화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상기 연마팁(142)은 긴 직사각형 막대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지는바, 쌀에 붙은 호분층(미강)의 깎임은 긴 막대 형상에서의 모서리 부위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송풍홀(143)도 직사각형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가공(도정) 처리 구간에 걸쳐 분포된 쌀을 향하여 송풍을 보내기 위함이며 송풍의 분산이 아닌 송풍의 수렴 효과에 따라 호분층의 집진 효과를 도모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중심축(130)은 상기 연마샤프트(140)의 내부에 설치되는바, 도 8에서와 같이, 중심축(130)의 타측 부위에서 중심축(130)의 수평 길이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며 다수로 형성된 제1 송풍홀(131)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망(150)이 가상선인 수직선 및 수평선을 기준으로 제1 사분면인 A 구간, 제2 사분면인 B 구간, 제3 사분면인 C 구간, 제4 사분면인 D 구간으로 구분될 경우 중력 요인에 의해 중심축(130) 및 연마샤프트(140)의 회전에 따라 메쉬망(150)의 내부에서 쌀의 가공(도정) 처리량 분포가 상대적으로 D 방향으로 갈수록 그 밀집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이처럼, 쌀의 가공 처리량 분포가 균일하지 못하게 되면, 쌀의 가공 효율이 현저히 저하될 수밖에 없고, 중심축(130) 및 연마사프트(140)의 부하와 함께 모터의 과부하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도 10에서와 같이, 메쉬망의 중심에서부터 가상선으로 그려진 수직선과 수평선을 기준으로 제3 사분면, 제2 사분면, 제1 사분면, 제4 사분면에 각각 해당되는 C 구간 > B 구간 > A 구간 > D 구간 순으로 메쉬망의 내면에 억류형 돌기들이 분포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억류형 돌기는 미도시 되었음을밝혀둔다.
즉, 여기서 억류형 돌기들은 쌀이 연마팁(142)과 연마공(151) 사이에서 정상적인 깎임에 방해되지 않는 규모 및 사이즈로 구성될 수 있으며, C 구간에서 돌기들이 가장 많이 분포되는 이유는, 중력 요인으로 떨어지는 쌀의 낙하를 방해할 수 있는 구조가 다른 구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일 취약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낙하 방해란 낙하 지연의 의미로 해석되어도 무방하다.
B 구간은 상기 C 구간에 비해 돌기들의 분포가 적지만 A 구간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되어 있다. 이는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쌀의 낙하를 방해할 수 있는 구조가 C 구간에 비해 B 구간이 더 확보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A 구간에 비해서는 쌀의 낙하를 방해할 수 있는 구조가 덜 확보되어 있는 이유에서다.
즉, B 구간은 C 구간에 비해 쌀의 낙하 각이 완만하면서 연마샤프트(140)에 낙하될 수 있는 구조적 확률이 높다. 이에 비해 B 구간은 A 구간과 비교할 경우 쌀의 낙하 각이 덜 완만하면서 연마샤프트(140)에 낙하될 수 있는 구조적 확률이 낮기 때문이다.
이처럼, C 구간 > B 구간 > A 구간 > D 구간 순은 쌀의 낙하 방해(지연)가 가장 취약한 순인 관계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쌀의 낙하를 방해(지연)하기 위한 방안으로 억류성 돌기들을 상기의 C 구간 > B 구간 > A 구간 > D 구간 순으로 분포 형성되게 함으로써, 메쉬망 내부에서의 쌀의 회전 전체 구간에 걸쳐 쌀의 가공 처리량 밀집도 분포가 비교적 균일하고도 고르게 확보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쌀의 가공 처리 효율도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호퍼(110)로 투입된 쌀은 회전되는 연마샤프트(140)의 스크류(141)를 통하여 메쉬망(150)의 내부로 진입하며 이동하게 된다.
상기 메쉬망(150)의 내부로 진입된 쌀은 회전되는 연마샤프트(140)의 연마팁(142)과 상기 메쉬망(150)의 연마공(151) 사이에서 마찰과 찰리의 양 작용을 통하여 쌀의 호분층이 박리되는 가공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쌀의 호분층이 박리되는 가공에서 쌀은 연마샤프트(140)의 회전력에 따라 연마샤프트(140)와 메쉬망(150)의 사이 구간을 회전하는 과정에서 쌀의 호분층이 박리처리되는데, 연마샤프트(140)와 메쉬망(150)의 사이 구간에 회전되는 쌀들은 중력 작용에 의해 메쉬망(150)의 내부 바닥에 해당되는 도 10의 참고 및 도 9의 D 구간에서 박리 중의 쌀 처리량이 많을 수밖에 없으며 D 구간에서 쌀 처리량이 제일 많이 쏠려 많을 수밖에 없다. 반면, 연마샤프트(140)와 메쉬망(150)의 사이 구간에 있어 A 구간에서는 박리 중의 쌀 처리량이 상대적으로 제일 적을 수밖에 없는 관계로, 박리 중의 쌀 가공 처리량이 균일하게 분포되지 못하여 박리의 효율이 저하되는 기존 종래의 도정 처리 구조를 탈피하여, 도 10과 같이 C 구간 > B 구간 > A 구간 > D 구간 순으로 메쉬망의 내면에 억류형 돌기들이 분포 형성되는 구조로 인하여, 박리 중의 쌀 처리량이 기존 종래에 비해 중력 작용을 덜 받음에 따라 연마샤프트(140)와 메쉬망(150)의 사이 구간에서 쌀의 박리 처리량이 균일할 수 있고 이로 인한 박리의 처리 효율도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쌀의 호분층 박리 과정에서 중심축(13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송풍홀(131)로부터 배기되는 송풍은 상기 연마샤프트(140)의 제2 송풍홀(143)을 통하여 배기되면서 쌀로부터 박리되고 있는 호분층들을 향하여 송풍됨에 따라 호분층들의 효과적인 분리와 함께 호분층들이 몸체(100)의 하부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몸체(100)의 하부에서 빨아드리는 흡입 공기를 통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반면, 호분층이 박리된 쌀은 배출부(120)의 배출받이(121)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수거될 수 있다.
100 : 몸체
110 : 호퍼
120 : 배출부
121 : 배출받이
130 : 중심축, 131 : 제1 송풍홀
140 : 연마샤프트, 141 : 스크류, 142 : 연마팁, 143 : 제2 송풍홀
150 : 메쉬망, 151 : 연마공
160 : 망틀 161 : 리브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도정기에 의해 처리 가공된 쌀을 가공하는 정미기에 있어서, 일측 상단에 쌀을 투입하기 위한 호퍼 및 타측에 가공(도정) 처리된 쌀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로 구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인 덮개의 하중을 견고히 지지하는 망틀, 및 상기 망틀의 내부에서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호퍼로 투입된 쌀들을 회전 방식으로 비벼 깎아냄에 따라 쌀에 붙은 호분층이 제거되며 쌀을 가공(도정) 처리하는 가공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공수단은 상기 망틀의 내부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쌀에 붙은 호분층(미강)을 깎아냄과 동시 상기 쌀로부터 분리된 호분층(미강)을 상기 망틀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메쉬망, 상기 메쉬망의 내부에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수평 설치되고, 회전을 통하여 상기 호퍼로 투입된 쌀들을 가공(도정) 처리 구간으로 이동시키는 한편, 가공(도정) 처리 구간으로 이동된 쌀들로부터 호분층(미강)을 박리시켜 분리하는 연마샤프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쉬망은 그 외관이 8각형 구조이면서, 내부에서부터 외부에 이르기까지 관통된 구멍으로서 전체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연마공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마샤프트는 일측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호퍼로 투입된 쌀들을 가공(도정) 처리 구간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류, 타측 부위에서 소정의 비틀림 각으로 돌출되고, 회전을 통하여 쌀들에 붙은호분층을 깎아 내는 연마팁, 및 상기 연마팁의 인접 부위에서 상기 연마팁의 길이에 걸쳐 하나 이상으로 관통 형성되어 쌀로부터 떨어져 나간 호분층을 집소 유도하는 제2 송풍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마샤프트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송풍홀 방향으로 바람을 보내기 위한 제1 송풍홀들이 형성된 중심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송풍홀들은 상기 중심축의 타측 부위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되, 상기 제2 송풍홀의 비틀림 각과 동일하게 비틀어지며 형성되며,
    상기 메쉬망의 중심에서부터 가상선으로 그려진 수직선과 수평선을 기준으로 제3 사분면, 제2 사분면, 제1 사분면, 제4 사분면에 각각 해당되는 C 구간 > B 구간 > A 구간 > D 구간 순으로 메쉬망의 내면에 억류형 돌기들이 더 분포 형성되고,
    상기 연마공은 쌀에 붙은 호분층의 효율적 제거를 위해 직사각형 형상이면서, 상기 메쉬망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23°의 경사 범위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연마팁은 연마샤프트의 길이를 기준으로 30°의 비틀림 각으로 비틀려 있고,
    상기 연마팁은 상기 연마샤프트의 외주연을 따라 긴 막대 형상으로 비틀려 있으며, 상기 제2 송풍홀은 상기 연마팁의 비틀림 각과 동일하게 비틀리며 상기 연마팁의 형성 지점 바로 일측에 형성되되 하나 이상의 직사각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어 쌀로부터 떨어져 나간 호분층을 집소 유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86037A 2017-07-06 2017-07-06 정미기 KR102014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037A KR102014323B1 (ko) 2017-07-06 2017-07-06 정미기
CN201880038940.6A CN110753582A (zh) 2017-07-06 2018-07-04 碾米机
PCT/KR2018/007591 WO2019009623A2 (ko) 2017-07-06 2018-07-04 정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037A KR102014323B1 (ko) 2017-07-06 2017-07-06 정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422A KR20190005422A (ko) 2019-01-16
KR102014323B1 true KR102014323B1 (ko) 2019-08-26

Family

ID=64950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037A KR102014323B1 (ko) 2017-07-06 2017-07-06 정미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14323B1 (ko)
CN (1) CN110753582A (ko)
WO (1) WO201900962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103B1 (ko) * 2019-11-11 2020-01-20 김영희 종합 정곡기 구조
CN117643946B (zh) * 2023-11-13 2024-05-17 西藏月王药诊生态藏药科技有限公司 一种红曲加工方法及其研磨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891B1 (ko) * 2000-05-10 2002-12-05 최종진 압축공기를 이용한 미강분리장치
KR100642303B1 (ko) * 2004-07-29 2006-11-02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모토세이사쿠쇼 연미기
KR101006416B1 (ko) 2008-11-03 2011-01-06 김중효 현미·벼 겸용 정미기
KR101721641B1 (ko) * 2016-02-17 2017-03-30 주식회사 에이원컴퍼니 도정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1713U (zh) * 1988-05-12 1989-02-01 四川省万县地区机械技术开发咨询服务中心 用于农产品加工的磨皮机
KR950010085Y1 (ko) 1993-10-26 1995-11-25 주식회사인켈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CN2331420Y (zh) * 1998-03-21 1999-08-04 饶平县万胜粮食机械制造厂 一种碾米机
JP2000176456A (ja) 1998-12-16 2000-06-27 Sanyo Electric Co Ltd リン酸イオン含有水の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2000271496A (ja) * 1999-03-26 2000-10-03 Kaneko Agricult Mach Co Ltd 精米機の搗精装置
KR100398927B1 (ko) 2000-08-22 2003-09-19 문종웅 음란물 시청 방지장치
CN2709000Y (zh) * 2003-10-27 2005-07-13 陈硕 镶筋碾米辊
KR100557622B1 (ko) 2003-12-26 2006-03-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셋업/홀드타임 제어회로
KR100557611B1 (ko) 2003-12-26 2006-03-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산화막 형성 방법
JP5275053B2 (ja) * 2009-01-15 2013-08-28 有限会社毛利精穀研究所 精米機
JP5243475B2 (ja) * 2010-02-09 2013-07-24 福岡精米機器株式会社 精米装置
CN103170390A (zh) * 2013-04-22 2013-06-26 刘力成 主附米刀恒压式碾米机
JP6236742B2 (ja) * 2013-12-12 2017-11-29 株式会社サタケ 搗精装置
KR20160033544A (ko) * 2014-09-18 2016-03-28 주식회사 포커스 정미기의 이송스크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891B1 (ko) * 2000-05-10 2002-12-05 최종진 압축공기를 이용한 미강분리장치
KR100642303B1 (ko) * 2004-07-29 2006-11-02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모토세이사쿠쇼 연미기
KR101006416B1 (ko) 2008-11-03 2011-01-06 김중효 현미·벼 겸용 정미기
KR101721641B1 (ko) * 2016-02-17 2017-03-30 주식회사 에이원컴퍼니 도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09623A3 (ko) 2019-04-18
WO2019009623A2 (ko) 2019-01-10
KR20190005422A (ko) 2019-01-16
CN110753582A (zh) 202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853761U (zh) 一种胚芽米碾米机
KR102014323B1 (ko) 정미기
CN207342751U (zh) 一种新型大米抛光装置
KR101418531B1 (ko) 종자의 탈피방법 및 탈피장치
CN104174451B (zh) 碾米机
KR101883463B1 (ko) 쌀눈 선별용 로터리 시프터
CN107297329A (zh) 一种刨花分选装置及其分选方法
KR101670491B1 (ko) 쌀눈쌀 도정장치
WO2014183465A1 (zh) 一种研磨单元及精米***
CN107497523A (zh) 用于大米精加工的粉尘集中沉降装置
CN210357283U (zh) 一种新型稻谷加工设备
KR101590609B1 (ko) 쌀눈쌀 도정장치
KR101102508B1 (ko) 세라믹 정미기
CN210059000U (zh) 一种大米风选除杂装置
KR100718325B1 (ko) 정곡장치
RU2181308C2 (ru) Способ помола зерн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5107566A (zh) 精米机
AU2003290423B2 (en) An integrated small-scale pulse mill
CN105089120B (zh) 研磨腔及废弃食物处理装置
CN206731548U (zh) 一种茶叶风选过筛除尘一体机
KR20190116633A (ko) 낟알 탈피구조가 개선된 정미기
CN207238067U (zh) 用于大米精加工的粉尘集中沉降装置
KR101571625B1 (ko) 곡물 기피장치
CN108014879A (zh) 一种大米磨粉、混合一体机
CN106984373A (zh) 散热式碾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