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352B1 -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352B1
KR102013352B1 KR1020190075276A KR20190075276A KR102013352B1 KR 102013352 B1 KR102013352 B1 KR 102013352B1 KR 1020190075276 A KR1020190075276 A KR 1020190075276A KR 20190075276 A KR20190075276 A KR 20190075276A KR 102013352 B1 KR102013352 B1 KR 102013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pper plate
drone body
inner space
dr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민기
Original Assignee
홍민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민기 filed Critical 홍민기
Priority to KR1020190075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3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025/325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specially adapted for helicopters
    • B64C2201/024
    • B64C2201/042
    • B64C2201/108
    • B64C2201/16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이 수면으로 떨어질 시에 수면 밑으로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드론 몸체; 상기 드론 몸체의 측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드론 몸체를 상공으로 승강시키는 프로펠러부; 및 상기 드론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면으로 착륙시 상기 드론 몸체를 지면에서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DRONE AND WATER SURFACE LANDING GEAR THEREOF}
본 발명은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이 수면으로 떨어질 시에 수면 밑으로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다중 회전익 드론의 경우 기체가 가벼워 휴대가 간편하고 신속성이나, 경제성이 뛰어나 항공촬영, 저고도 정찰수색, 경량화물운송, 재난구조업무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다중 회전익 드론은 유인 항공기를 이용해 비행하기 위험한 지역이나, 도심지 등과 같이 대형 유인 항공기가 비행하기 곤란한 지역을 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중 회전익 드론은 유인 항공기에 비해 매우 소형화하여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및 운용 비용의 측면에서도 유인 항공기에 비해 크게 유리하다. 이러한 이유로 무인다중 회전익 드론은 유인 항공기에 비해 영상 데이터 수집을 위한 촬영 시스템으로서 많이 이용될 수 있 다.
하지만, 다중 회전익 드론의 결함이나 비행 중 외부환경적인 원인에 의해서 추락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 회전익 드론의 조작 미숙이나 운용 미숙이 다중 회전익 드론이 추락하는 이유가 될 수 있다. 또는, 다중 회전익 드론이 전동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전자적인 오류로 통제불능 상태인 경우에, 다중 회전익 드론이 추락할 수 있다. 그리고, 풍속이나 기상적 원인에 의하여 다중 회전익 드론이 추락할 수 있다.
다중 회전익 드론은 소형 및 경량으로 제조되어, 다중 회전익 드론이 추락하여 지면과 충돌해 다중 회전익 드론의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영상 촬영을 위해 다중 회전익 드론에 장착되는 촬영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고사양의 고가 제품이며 충격에 약한 전자 장치들이기 때문에 다중 회전익 드론의 추락에 의해 촬영 장치가 파손되게 되면 비용 면에서 큰 손실을 입게 될 우려가 있다.
더불어, 다중 회전익 드론은 소형 및 경량으로 제조된다 하여도, 다중 회전익 드론이 인구 밀집 지역에 추락할 경우,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39283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65547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드론이 추락하여 수면으로 떨어지게 되는 경우, 에어포켓이 자동으로 부풀어 올라 드론이 수면 밑으로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드론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 부착시 충분한 두께 및 고르기를 가지고 도포될 수 있으며, 악취 및 세균 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는, 드론 몸체; 상기 드론 몸체의 측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드론 몸체를 상공으로 승강시키는 프로펠러부; 및 상기 드론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면으로 착륙시 상기 드론 몸체를 지면에서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펠러부는, 상기 드론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 프레임; 상기 연결 프레임의 단부에 설치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상측에 설치되며, 회전하여 부양력(Floating Force)을 형성하는 프로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단 및 후단 하측에 각각 두 개씩 설치되며, 수면으로 낙하시 수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가 되면 내부에 구비된 어어포켓이 부풀어 올라 에어 튜브를 형성하여 상기 드론 몸체가 수면 밑으로 잠기는 것을 방지하는 침수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침수 방지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침수 방지부는, 상기 드론 몸체가 수면 위로 낙하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드론 몸체의 고도를 실시간으로 판독하여 상기 드론 몸체가 수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까지 낙하하면 상기 어어포켓이 부풀어 오르도록 구동시키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드론 몸체가 수면 또는 지면으로 불시착한 경우, 불시착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위치 전송부, 자신의 위치를 청각적으로 알릴 수 있도록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고음 출력부, 및 자신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도록 연막탄을 발사하는 연막탄 발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X" 형태로 교차되어 프레임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의 각 모서리 상부에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 몸체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대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드론 몸체의 하부 중심에 형성되는 구형의 체결홈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구체와, 상기 회전 구체로부터 "X" 형태의 중심 교차 부분까지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기둥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드론 몸체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부 프레임의 모서리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상판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공급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상판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판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중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회동 체결부;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연결 볼; 상기 제1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1 지지 바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상기 제2 지지부로 공급되는 충전액 탱크; 및 상기 충전액 탱크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회동 체결부;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연결 볼; 상기 제2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2 지지 바아; 상기 제2 지지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연결관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의 크기가 줄어들어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하는 승하강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하강 조절부는,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 바아와 대향하는 내측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드론이 추락하여 수면으로 떨어지게 되는 경우, 에어포켓이 자동으로 부풀어 올라 드론이 수면 밑으로 침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침수에 따라 드론이 파손되거나 분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호 커버 부착시 친위생적이면서도 접착성이 우수한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침수 방지부의 설치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지지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4의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도 6의 탄성 지지대의 각 구성들의 연결과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10)는, 드론 몸체(100), 프로펠러부(200) 및 지지 프레임(300)을 포함한다.
드론 몸체(100)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10)의 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측면을 따라 설치된 프로펠러부(200)에 의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하며, 하부에 지지 프레임(300)이 설치된다.
프로펠러부(200)는, 드론 몸체(100)의 측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며, 드론 몸체(100)를 상공으로 승강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펠러부(200)는, 연결 프레임(210), 모터(220) 및 프로펠러(230)를 포함한다.
연결 프레임(210)은, 드론 몸체(10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단수에 모터(220)가 설치된다.
모터(220)는, 연결 프레임(210)의 단부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측에 설치된 프로펠러(230)를 회전시킨다.
프로펠러(230)는, 모터(220)의 상측에 설치되며, 회전하여 부양력(Floating Force)을 형성한다.
지지 프레임(300)은, 드론 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면으로 착륙시 드론 몸체(100)를 지면에서 지지함으로써, 드론 몸체(100)이 지면으로 바로 추락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드론 몸체(100)은, 심미적 기능을 수행하거나 빗방울 등의 이물질이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신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보호 커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외측에 부착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보호 커버는, 이하 후술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드론 몸체(100)에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드론 몸체(100)에 커버를 부착시키기 위한 커버 부착용 접착제 조성물로서,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1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조성물의 주성분으로서, 접착력과 응집력 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비닐기 또는 수산화기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40~8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용융 점도가 높아지고 용융 흐름 지수는 낮아져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며, 함량이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원단에 바로 적용되기에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저분자량 수지로, 용융 점도를 낮추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접착 초기 젖음성과 접착제의 피착재 표면에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고화시간 등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석유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점착부여수지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및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인 제품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A-1100, Hikorez A-1100S, Hikorez C-1100, Hikorez R-1100, Hikorez R-1100S 등이 있다. 또한,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로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DCPD)을 단량체로 포함하는 탄화수소 수지 등이 있고,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tack P-110S, Hikotack P-120, Hikotack P-120HS, Hikotack P-120S, Hikotack P-140, Hikotack P-140M, Hikotack P-150, Hikotack P-160, Hikotack P-90, Hikotack P-90S, Hirenol PL-1000, Hirenol PL-400 등이 있다. 또한,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T-1080, Hikorez T-1100 등이 있다. 또한,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는 하이드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하이드로겐화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 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의 탄소 수가 4~10인 탄화수소 수지이며, 구체적으로 C5 지방족 수지, C9 방향족 수지, C5/C9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부여수지는 보다 바람직하게 단량체로 디사이클로펜타디엔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한국)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작업자가 드론 몸체(100) 또는 보호 커버에 도포시 작업자의 피부에 튈 경우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다양한 석유수지에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를 함께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생분해성 폴리머에 폴리머의 단량체를 용융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로는 폴리락트산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락트산은 유산의 축중합 도는 락티드의 개환중합에 의해 합성되는 폴리에스터로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간 정도의 물성을 갖고 있으며, 주로 감자와 옥수수로부터 얻어지는 천연 식물성 당 성분을 원료로 하므로 생분해도가 높지만 일반적으로 경도가 높고, 탄성이 낮으며, 내구성이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에는 동일한 폴리머 단량체를 용융혼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는 단량체와 결합되면서 쇄절단이 부분적으로 발생되어 전체적으로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진다. 상기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지면서 점착제로 사용할 수 있는 물성을 나타내며 가공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락트산 단량체는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가 2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면, 수평균분자량이 높고 딱딱하여 점착제로 사용되기 어려우며, 상기 단량체가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표면에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하여 역시 점착제로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석유수지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은 1~2:1(w/w)인 것이 바람직하며, 석유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생분해성 저자극 효과가 나오기 힘들고,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고 전체적인 점착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부여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5~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점착부여 수지 첨가에 따른 용융 점도 저하 효과가 미비하고 그에 따른 용융 흐름 지수의 증가가 크지 않아 작업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할 염려가 있고,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부여수지의 초과에 따른 용융흐름지수 증가율이 크지 않아 경제성이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열가소성 폴리머의 함량이 줄어들어 조성물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송진은 접착제 조성물의 전체적인 접착력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며 인체에 무해하며 천연방부제 역할을 한다. 상기 송진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접착력 개선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시에 점착력이 증대되어 제품으로의 가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가소제는 고분자에 유연성 및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소제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솔비톨,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글리세린디아세테이트, 및 펜타에리쓰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가소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소제의 과다 사용에 의해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충전재는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충전재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탄산칼슘, 점토, 벤토나이트, 또는 칼슘스테아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드론 몸체(100) 또는 커버의 부착면에 도포되는 것으로서, 적용 환경상 악취 및 세균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본 발명은 접착제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면서도 악취 및 세균발생을 저하시기키 위하여, 충전재로서 석분(stone powder)과 펄프 분말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분은 입자의 치밀함으로 인하여 첨가제를 다량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 강도를 구현할 수 있고, 주변 환경에 따른 부피 변형률이 낮아 온도 변화가 큰 경우에도 접착제의 갈라짐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석분은 황토석, 대리석, 맥반석, 화강석, 옥석 등 다양한 암석의 분말 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항균성, 항곰팡이성, 자외선 방출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황토석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펄프 분말은 액체 성분들을 빨아들이면서 석분들을 응집하는 역할을 하며 성분들간 혼화성을 높이고 응집력을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석분과 펄프 분말은 7:3~8:2(w/w) 정도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재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충전재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산화 및 분해로 인한 점도의 변화, 황변현상, 접착력 저하 및 내구성 저하 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페놀류, 방향족 아민류, 구연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0.1~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산화방지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드론 몸체(100) 또는 커버의 부착면에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 실리카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 실리카의 함량은 0.1~5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나노 실리카의 사이즈(primary particles)는 1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실리카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나노실리카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접착제의 표면에 블루밍(blooming)이 발생하는 불량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 중량부, Sukorez D-300 25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중량부, Sukorez D-300 15중량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 10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나노실리카 1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3으로 하였다.
[비교예]
종래의 TPU 핫멜트 필름에서 이면지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메쉬접착강도
열용융 접착제의 메쉬접착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드론 몸체(100)와 커버 사이에 정량된 접착제 펠렛을 170℃에서 용융 도포한 후, 130℃에서 30초 동안 60㎏f/㎠의 압력으로 프레스 작업을 진행하고 메쉬접착강도(㎏f/㎠)를 측정하였다.
(2) 융융흐름지수
용융흐름지수 측정기의 가열 실린더에 펠렛 타입의 접착제를 가득 채우고 160℃에서 약 5분간 녹였다. 3㎏의 추를 얹고 10분간 실린더를 통해 통과되는 접착제의 중량(g)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19064673426-pat00001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이 기존 제품보다 향상된 접착력과 흐름지수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생분해 저자극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도 접착렵과 흐름지수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나노 실리카를 혼합하는 경우 흐름지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20)는, 드론 몸체(100), 프로펠러부(200), 지지 프레임(300) 및 침수 방지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드론 몸체(100), 프로펠러부(200) 및 지지 프레임(300)은,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침수 방지부(500)는, 지지 프레임(300)의 전단 및 후단 하측에 각각 두 개씩 설치되며, 수면으로 낙하시 수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예를 들어 1m 등)가 되면 내부에 구비된 어어포켓(510)이 부풀어 올라 에어 튜브를 형성하여 드론 몸체(100)가 수면 밑으로 잠기는 것을 방지한다.
다만, 어어포켓(510)이 부풀어 오르는 고도는, 낙하하는 드론 몸체(100)의 속도 또는 기상 상태 등을 고려하여 예시한 1m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설정 또는 기 설정된 높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침수 방지부(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클립(520)을 볼트(B)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침수 방지부(500)에 체결하는 방식 등을 이용하여 지지 프레임(3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침수 방지부(500)는, 드론 몸체(100)가 수면 위로 낙하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드론 몸체(100)의 고도를 실시간으로 판독하여 드론 몸체(100)가 수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예를 들어 1m 등)까지 낙하하면 어어포켓(510)이 부풀어 오르도록 구동시키는 구동 제어부(5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20)는, 드론 몸체(100)가 수면 또는 지면으로 불시착한 경우, 불시착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위치 전송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자신의 위치를 청각적으로 알릴 수 있도록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고음 출력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자신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도록 연막탄을 발사하는 연막탄 발사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장치를 더 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20)는, 드론이 추락하여 수면으로 떨어지게 되는 경우, 에어포켓이 자동으로 부풀어 올라 드론이 수면 밑으로 침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침수에 따라 드론이 파손되거나 분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지지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300)은, "X" 형태로 교차되어 프레임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310)의 각 모서리 상부에 탄성력을 이용하여 드론 몸체(100)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대(400)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프레임(3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 몸체(100)의 하부 중심에 형성되는 구형의 체결홈(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구체(320)와, 회전 구체로부터 "X" 형태의 중심 교차 부분까지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기둥(3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 프레임(300)은, 하측면을 지지하는 4 개의 탄성 지지대(400)를 통해 드론이 착지시 발생되는 충격을 감쇄시킴으로써 드론 본체(100)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최소화시켜 많은 전자장비를 구비하는 드론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4의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대(400)는, 상판(410), 케이스(420) 및 상판 지지부(430)를 포함한다.
상판(41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드론 몸체(100)의 하측면을 지지하며, 상판 지지부(430)에 의하여 지지된다.
케이스(420)는, 상부 프레임(310)의 모서리 상부에 설치되고, 상판(410)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 지지부(430)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판 지지부(430)는,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케이스(42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410)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대(400)는, 드론 몸체(100)의 하측면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여 어느 방향으로 드론이 착지하던지 드론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드론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도 6의 탄성 지지대의 각 구성들의 연결과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431)는, 상판(410)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로 공급한다.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는, 상판(410)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판(410)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431)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이용하여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410)를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431)는, 제1 회동 체결부(4311), 제1 연결 볼(4312), 제1 지지 바아(4313), 충전액 탱크(4314) 및 연결관(4315)을 포함한다.
제1 회동 체결부(431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10)의 하측면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1 연결 볼(4312)이 연결 설치된다.
제1 연결 볼(4312)은, 제1 회동 체결부(431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1 회동 체결부(431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1 지지 바아(4313)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지지 바아(4313)는, 제1 연결 볼(431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1 연결 볼(4312)을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하여 충전액 탱크(4314)에 담긴 충전액을 하측 방향으로 압착시킨다.
충전액 탱크(4314)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제1 지지 바아(4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판(410)이 하강할 경우 제1 지지 바아(4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연결관(4315)을 통과하여 제2 지지부(432)로 공급된다.
이때, 제1 지지 바아(4313)는,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에 담긴 충전액을 주사기의 구동 방식과 같이 압착시킬 수 있도록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고무 재질의 패킹(P)이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4315)은, 충전액 탱크(4314)의 하부로부터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까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하 제2 지지부(432)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지지부(432)는, 제2 회동 체결부(4321), 제2 연결 볼(4322), 제2 지지 바아(4323), 탄성 지지부(4324) 및 승하강 조절부(4325)를 포함한다.
제2 회동 체결부(432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10)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2 연결 볼(4322)이 연결 설치된다.
제2 연결 볼(4322)은, 제2 회동 체결부(432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2 회동 체결부(432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2 지지 바아(4323)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2 지지 바아(4323)는, 제2 연결 볼(432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2 연결 볼(4322)을 지지하며, 탄성 지지부(4324)에 의하여 지지된다.
탄성 지지부(4324)는, 제2 지지 바아(4323)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지지 바아(4323)를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서 지지한다.
승하강 조절부(4325)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4325h)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관통홀(4325h)에 제2 지지 바아(4323)가 삽입되며, 상판(410)이 하강할 경우 연결관(4315)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관통홀(4325h)의 크기가 줄어들어 제2 지지 바아(4323)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승하강 조절부(432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관통홀(4325h)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4325o)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제2 지지 바아(4323)와 대향하는 내측(4325i)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을 이용하여 상판(410)을 지지하되, 탄성력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이용하여 상판(410)의 각 모서리를 기본적으로 지지하고, 상판(410)이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강하게 되어 제1 지지부(431)를 하강시키면, 제1 지지부(431)에 담긴 충전액이 압착되어 함께 하강되고 있는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로 공급되며, 충전액의 공급에 따른 팽창으로 인해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하강이 저지되어 상판(410)의 하강이 점진적으로 큰 저항을 받게 된다.
즉, 상판(410)이 처음에는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탄성력만을 이용하여 지지되나, 제1 지지부(431)가 함께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431)으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따른 밀착력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값까지 추가됨으로써 상판(410)의 하강 구동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
100: 드론 몸체
200: 프로펠러부
300: 지지 프레임
400; 탄성 지지대
500: 침수 방지부

Claims (2)

  1. 드론 몸체;
    상기 드론 몸체의 측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드론 몸체를 상공으로 승강시키는 프로펠러부; 및
    상기 드론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면으로 착륙시 상기 드론 몸체를 지면에서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펠러부는, 상기 드론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 프레임; 상기 연결 프레임의 단부에 설치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상측에 설치되며, 회전하여 부양력(Floating Force)을 형성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단 및 후단 하측에 각각 두 개씩 설치되며, 수면으로 낙하시 수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가 되면 내부에 구비된 에어포켓이 부풀어 올라 에어 튜브를 형성하여 상기 드론 몸체가 수면 밑으로 잠기는 것을 방지하는 침수 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침수 방지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침수 방지부는, 상기 드론 몸체가 수면 위로 낙하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드론 몸체의 고도를 실시간으로 판독하여 상기 드론 몸체가 수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까지 낙하하면 상기 에어포켓이 부풀어 오르도록 구동시키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드론 몸체가 수면 또는 지면으로 불시착한 경우, 불시착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위치 전송부, 자신의 위치를 청각적으로 알릴 수 있도록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고음 출력부, 및 자신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도록 연막탄을 발사하는 연막탄 발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X" 형태로 교차되어 프레임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의 각 모서리 상부에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 몸체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드론 몸체의 하부 중심에 형성되는 구형의 체결홈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구체와, 상기 회전 구체로부터 "X" 형태의 중심 교차 부분까지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기둥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드론 몸체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부 프레임의 모서리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상판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공급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상판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판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중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회동 체결부;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연결 볼; 상기 제1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1 지지 바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상기 제2 지지부로 공급되는 충전액 탱크; 및 상기 충전액 탱크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회동 체결부;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연결 볼; 상기 제2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2 지지 바아; 상기 제2 지지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연결관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의 크기가 줄어들어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하는 승하강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조절부는,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 바아와 대향하는 내측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
  2. 삭제
KR1020190075276A 2019-06-24 2019-06-24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 KR102013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276A KR102013352B1 (ko) 2019-06-24 2019-06-24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276A KR102013352B1 (ko) 2019-06-24 2019-06-24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352B1 true KR102013352B1 (ko) 2019-08-22

Family

ID=6776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276A KR102013352B1 (ko) 2019-06-24 2019-06-24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3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6219A (zh) * 2020-07-23 2020-10-16 安徽九洲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投放救生圈的警用无人机
KR20210033104A (ko) 2019-09-17 2021-03-2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추진 방향 변경이 가능한 드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0116A (ko) * 2012-01-06 2013-12-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로터 항공기
KR20160072445A (ko) * 2014-12-15 2016-06-2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해상 인명구조용 무인비행체
KR20170065474A (ko) 2017-05-24 2017-06-13 박진수 드론 추락 방지 장치
KR20170116765A (ko) * 2016-04-12 2017-10-20 주식회사 에이치큐테크 수자원 관리용 드론
KR20180005802A (ko) * 2016-07-07 2018-01-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충격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KR20180039283A (ko) 2016-10-08 2018-04-18 주제헌 탈부착식 드론용 낙하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0116A (ko) * 2012-01-06 2013-12-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로터 항공기
KR20160072445A (ko) * 2014-12-15 2016-06-2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해상 인명구조용 무인비행체
KR20170116765A (ko) * 2016-04-12 2017-10-20 주식회사 에이치큐테크 수자원 관리용 드론
KR20180005802A (ko) * 2016-07-07 2018-01-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충격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KR20180039283A (ko) 2016-10-08 2018-04-18 주제헌 탈부착식 드론용 낙하산
KR20170065474A (ko) 2017-05-24 2017-06-13 박진수 드론 추락 방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104A (ko) 2019-09-17 2021-03-2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추진 방향 변경이 가능한 드론
CN111776219A (zh) * 2020-07-23 2020-10-16 安徽九洲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投放救生圈的警用无人机
CN111776219B (zh) * 2020-07-23 2022-05-17 安徽九洲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投放救生圈的警用无人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3352B1 (ko)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
KR102027851B1 (ko) 태양광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483464B1 (ko) 인조잔디용 충진칩 및 그 제조 방법
KR102031259B1 (ko) 정면기
JP2019519403A (ja) 相変化材料を組み込んだ熱硬化性積層造形物品およびそれを作製する方法
AU2008210845A1 (en) Low-cost microbial habitat for water quality enhancement and wave mitigation
KR102021340B1 (ko) 약품 박스 이송 시스템
KR101656715B1 (ko) 타이어 펑크 실재
ES2706528T3 (es) Adhesivo de poliuretano bicomponente para pegar piezas moldeadas de fibra
WO2003002680A1 (en) Adhesive sheet and marking film
KR102031247B1 (ko) 관통부 내화 충전 구조
KR102039937B1 (ko)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KR101991959B1 (ko)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
KR102033890B1 (ko) 폐유 수거 차량용 무게 측정 장치
KR102034421B1 (ko) 연속 가공 시스템
KR102064587B1 (ko) 물품 보관 창고 시스템
KR102104575B1 (ko)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
KR101913653B1 (ko) 숨쉬는 환경친화형 인조잔디용 충진재
KR102020871B1 (ko) 오토바이 보관 창고 시스템
KR101088425B1 (ko) 던짐줄용 던짐추 및 이 던짐추의 제작방법
KR102034469B1 (ko) 가축 사육용 축사
KR101990638B1 (ko) 배합장치
KR102018108B1 (ko) 창호 조립체 시공방법
KR102023019B1 (ko)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KR102036070B1 (ko) 프레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