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054B1 - 퍼포먼스의 출력 및 퍼포먼스 컨텐츠 생성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퍼포먼스의 출력 및 퍼포먼스 컨텐츠 생성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054B1
KR102013054B1 KR1020177032726A KR20177032726A KR102013054B1 KR 102013054 B1 KR102013054 B1 KR 102013054B1 KR 1020177032726 A KR1020177032726 A KR 1020177032726A KR 20177032726 A KR20177032726 A KR 20177032726A KR 102013054 B1 KR102013054 B1 KR 102013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mance
content
module
sound
vie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9274A (ko
Inventor
천솔지
Original Assignee
천종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종윤 filed Critical 천종윤
Publication of KR20170129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9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erformance evaluation, i.e. judging, grading or scoring the musical qualities or faithfulness of a performance, e.g. with respect to pitch, tempo or other timings of a reference perform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포먼스의 출력 및 퍼포먼스 컨텐츠 생성을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퍼포먼스 룸의 투명부재와 퍼포먼스 음향신호의 출력에 의해 현장 관람자가 퍼포먼스 룸으로부터 출력되는 퍼포먼스를 감상할 수 있고, 동시에 높은 품질의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퍼포먼스의 출력 및 퍼포먼스 컨텐츠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퍼포먼스의 출력 및 퍼포먼스 컨텐츠 생성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본 발명은 퍼포먼스의 출력 및 퍼포먼스 컨텐츠 생성을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퍼포먼스 룸의 투명부재와 퍼포먼스 음향신호의 출력에 의해 현장 관람자가 퍼포먼스 룸으로부터 출력되는 퍼포먼스를 감상할 수 있고, 동시에 높은 품질의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퍼포먼스의 출력 및 퍼포먼스 컨텐츠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본의 가라오케, 한국의 노래방으로 불리는 반주기를 구비한 전통적인 노래방에서는 사람들이 분리되고 밀폐된 장소 또는 공간에서 비용을 지불하고 노래를 부를 수 있다.
이러한 노래방은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형태의 기술을 결합하여 개발되어 왔다. 특히, 사용자는 자신의 노래로부터 음향 및 영상의 기록을 원하였기 때문에 반주기는 음향 및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CD 및 USB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였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사용자의 노래하는 모습에 대한 영상과 음향을 저장 매체에 저장하지 않고, 노래반주 시설에서 생성된 신호를 e-mail, SNS(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특정 웹사이트 등으로 직접 업로드 된다. 또한, 전문적인 반주기 사용에 의한 음향 및 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공개 스튜디오를 제공하고 있다.
종래에 제안된 공개 스튜디오인 미국공개특허 US20050097613호에는 스튜디오에서 스튜디오를 사용하는 사용자(실연자)가 비공개로 수행하는 노래와 춤 등의 퍼포먼스가 기록되고 스튜디오의 메인 서버로 전송되고, 메인 서버에 연결된 스트리밍 서버를 통한 인터넷에 의해 대중들에게 공개되고 있다.
미국공개특허 US20050097613호는 스튜디오에서 노래 등의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 제작된 컨텐츠를 온라인상으로 전송함으로써 대중들에게는 컨텐츠만을 공개할 수 있다. 따라서, 선행특허문헌은 스튜디오 내에서 수행되는 실시간 공연은 현장 관람자가 접근할 수 없으며, 생성된 컨텐츠를 통해서만 퍼포먼스가 표시될 수 있다.
선행특허문헌에 개시된 컨텐츠 제작을 위한 스튜디오는 실연자의 공연을 직접 관람할 수 있는 라이브 공연을 통한 실연자와 관객들과의 양방향 소통이 이루어질 수 없었다.
선행특허문헌에서 제시된 문제점은 라이브 공연을 통해 해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객들이 모여있는 공개된 장소(예를 들어, 오픈 스튜디오, 극장 등)에서 노래, 연극 등의 공연을 관객들에게 공개하고, 이러한 공연을 촬영 및 녹음하여 컨텐츠로 제작할 수 있다.
미국공개특허공보 US20080201276호는 미국공개특허공보 US20050097613호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미국공개특허공보 US20080201276호는 캠퍼스 내에 스튜디오 섹션, 비디오 캐스트 스테이지,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센터 및 카페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캠퍼스는 단일 빌딩이며 특히, 비디오 캐스트 스테이지는 카페에 오픈되어 있는데, 비디오 캐스트 스테이지에서 수행되는 라이브 공연 또는 녹화된 공연은 카페의 관객에게 제공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미국공개특허공보 US20080201276호에서 카페에 오픈되어 있는 비디오 캐스트 스테이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미국공개특허공보 US20050097613호에서 제시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나, 공개된 공간에서 수행되는 공연을 컨텐츠로 제작하기 때문에 고품질의 컨텐츠가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공개된 장소에서 생성되는 잡음과 바람직하지 않는 소리가 녹음에 포함될 수 있다.
결국, 컨텐츠 제작 중에 카페 내의 실연자가 생성한 음성 및 음향효과가 카페 내의 고객 및 관객의 대화 또는 함성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소리와 노이즈가 함께 결합될 수 있다.카페에 오픈된 비디오 캐스트 스테이지에서의 공연을 통해 제작되는 컨텐츠에는 공연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소리 및 공연에 수행되는 음향 효과의 소리뿐만 아니라 카페의 손님 및 카페 관객들의 함성 소리 등이 함께 녹음된다. 이러한 소음과 소음과 바람직하지 않은 소리를 가진 컨텐츠는 컨텐츠를 감상하는 고객에게 불편하고 부정적인 느낌을 준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다수의 특허들 및 문헌들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괄호로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러한 특허들 및 문헌들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특허문헌 1(미국공개공보 US20050097613호, 2005.05.05) 특허문헌 2(미국공개공보 US20080201276호, 2008.08.21)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퍼포먼스 룸이 위치한 곳에 있는 현장 관람자에게 퍼포먼스를 제공하면서 퍼포먼스 룸에서 수행되는 퍼포먼스를 퍼포먼스 컨텐츠로 생성하는 신규한 처리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 관람자의 관람이 가능한 퍼포먼스 룸에서 수행되는 퍼포먼스를 퍼포먼스 컨텐츠로 생성할 때, 현장 관람자로부터의 외부 음향이 퍼포먼스 룸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양질의 퍼포먼스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다.또한, 퍼포먼스 룸의 적어도 일면에 설치된 투명부재를 통하여, 퍼포먼스를 현장 관람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실시간 퍼포먼스를 보다 생생하게 현장 관람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퍼포먼스 룸에서 수행되는 실연자(實演者, performers)의 퍼포먼스를 실시간으로 퍼포먼스 룸의 외부로 출력하고, 그 퍼포먼스에 따른 퍼포먼스 컨테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퍼포먼스 룸에서 실연자의 퍼포먼스를 실시간으로 퍼포먼스 룸의 외부로 출력하고, 퍼모먼스에 따라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음 단계를 포함하여 퍼포먼스 룸에서 수행되는 실연자의 퍼포먼스를 상기 퍼포먼스 룸 외부로 실시간 출력하고, 상기 퍼포먼스에 기반한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a) 퍼포먼스 룸 제어부가 상기 퍼포먼스 룸 내부의 퍼포먼스에 따라 생성되는 퍼포먼스 음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퍼포먼스 룸 내부에 구비된 음향 입력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로서; 상기 퍼포먼스 룸은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방음수단 및 상기 퍼포먼스를 현장 관람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적어도 일면에 설치된 투명부재를 포함하는 단계; (b) 상기 퍼포먼스 룸 제어부가 상기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음향신호 출력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퍼포먼스 룸의 외부에서 상기 투명부재를 통해 상기 퍼포먼스를 시각적으로 관람하는 상기 현장 관람자에게 상기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실시간 출력하기 위해 상기 퍼포먼스 룸의 외부에 구비된 상기 음향신호 출력모듈을 제어하는 단계; (c) 상기 퍼포먼스 룸 제어부가 상기 음향 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컨텐츠 생성부에게 전달하는 단계; 및 (d) 상기 컨텐츠 생성부가 기설정된 음향효과를 상기 퍼포먼스 음향신호에 추가한 음향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음향신호 출력모듈에서 출력되는 상기 퍼포먼스 음향신호는, 기설정된 음향효과가 실시간 추가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현장 관람자로부터 발생하는 음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수득되는 현장 관람자 음향신호를 더 포함하는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하되; 상기 현장 관람자 음향신호는 상기 퍼포먼스 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현장음향 입력모듈에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 내지 (d)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평가모듈이 상기 퍼포먼스 또는 상기 퍼포먼스 음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현장 관람자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퍼포먼스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현장 관람자 평가결과는 상기 현장 관람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기 평가모듈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평가모듈이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에 대한 온라인 관람자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컨텐츠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온라인 관람자 평가결과는 상기 온라인 관람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기 평가모듈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퍼포먼스 룸 제어부는, 상기 퍼포먼스로부터 발생하는 장면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퍼포먼스 영상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퍼포먼스 룸 내부에 구비된 영상 입력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퍼포먼스 룸 제어부는, 상기 영상 입력모듈에 의해 생성된 상기 퍼포먼스 영상신호를 상기 컨텐츠 생성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기설정된 영상효과를 상기 퍼포먼스 영상신호에 추가한 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퍼포먼스 룸 제어부는, 상기 퍼포먼스 영상신호를 상기 퍼포먼스 룸 외부에 구비된 영상신호 출력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퍼포먼스 영상신호를 상기 퍼포먼스 룸의 외부의 상기 현장 관람자에게 실시간으로 출력하기 위해 상기 영상신호 출력모듈의 제어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퍼포먼스 영상신호는, 기설정된 영상효과가 실시간 추가되어 상기 영상신호 출력모듈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현장 관람자로부터 발생하는 장면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수득되는 현장 관람자 영상신호를 더 포함하는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하되; 상기 현장 관람자 영상신호는 상기 퍼포먼스 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현장영상 입력모듈에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 내지 (d)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평가모듈이 상기 퍼포먼스 영상신호에 대한 현장 관람자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현장 관람자 평가결과는 상기 현장 관람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기 평가모듈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평가모듈이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에 대한 온라인 관람자 평가결과를 사용하여 컨텐츠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온라인 관람자 평가결과는 온라인 관람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기 평가모듈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퍼포먼스 룸 제어부는, 상기 평가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투명부재의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상기 투명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단하기 위해 투명도 조절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퍼포먼스 룸 제어부는, 상기 평가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음향신호 출력모듈 또는 상기 영상신호 출력모듈의 출력 강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출력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음향신호 출력모듈 또는 상기 영상신호 출력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음을 포함하는 퍼포먼스 룸에서 수행되는 실연자의 퍼포먼스를 상기 퍼포먼스 룸의 외부로 실시간 출력하고, 상기 퍼포먼스를 기반한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방음수단 및 상기 퍼포먼스 룸의 외부에 현장 관람자에게 상기 퍼포먼스를 보여주기 위해 상기 퍼포먼스 룸의 적어도 일면에 설치된 투명부재를 포함하는 퍼포먼스 룸; 상기 퍼포먼스 룸의 상기 퍼포먼스로부터 생성된 퍼포먼스 음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음향 입력모듈; 상기 퍼포먼스 룸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퍼포먼스 룸의 상기 투명부재를 통해 상기 퍼포먼스를 관람하는 현장 관람자에게 실시간으로 상기 퍼포먼스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신호 출력모듈; 상기 음향 입력모듈 및 상기 음향신호 출력모듈을 제어하는 퍼포먼스 룸 제어부; 및 상기 퍼포먼스 음향 신호에 기설정된 음향효과를 추가하여 생성된 음향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를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음향신호 출력모듈에서 출력되는 상기 퍼포먼스 음향신호는, 기설정된 음향효과가 실시간 추가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상기 퍼포먼스 음향신호에 실시간으로 상기 기설정된 음향효과를 추가하여 생성하기 위한 음향효과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현장 관람자로부터 발생하는 음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수득되는 현장 관람자 음향신호를 더 포함하는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로 생성하되; 상기 현장 관람자 음향신호는 상기 퍼포먼스 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현장음향 입력모듈에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보여지는 상기 퍼포먼스 및 상기 퍼포먼스 음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현장 관람자 평가결과를 사용하여 퍼포먼스 평가결과를 제공하거나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에 대한 온라인 관람자 평가결과를 사용하여 컨텐츠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평가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현장 관람자 평가결과는 상기 현장 관람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기 평가모듈에 입력되고, 상기 온라인 관람자 평가결과는 온라인 관람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기 평가모듈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상기 퍼포먼스로부터 생성되는 장면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퍼포먼스 영상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영상 입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퍼포먼스 영상 신호에 기설정된 영상 효과를 추가한 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상기 현장 관람자에게 실시간으로 퍼포먼스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퍼포먼스 룸의 외부에 구비된 영상신호 출력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퍼포먼스 영상신호는 상기 퍼포먼스 영상신호에 실시간으로 기설정된 영상효과가 추가되어 상기 영상신호 출력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상기 퍼포먼스 영상신호에 추가되는 상기 기설정된 영상 효과를 생성하는 영상효과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현장 관람자로부터 발생되는 장면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수득되는 현장 관람자 영상신호를 더 포함하는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하되; 상기 현장 관람자 영상신호는 상기 퍼포먼스 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현장영상 입력모듈에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상기 퍼포먼스 영상 신호에 대한 현장 관람자 평가결과를 사용하여 퍼포먼스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평가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현장 관람자 평가결과는 현장 관람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평가모듈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에 대한 온라인 관람자 평가결과를 사용하여 컨텐츠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평가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온라인 관람자 평가결과는 온라인 관람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기 평가모듈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상기 평가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퍼포먼스 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투명부재의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상기 투명부재를 일부 또는 전부를 차단하는 투명도 조절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평가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음향신호 출력모듈 또는 상기 영상신호 출력모듈의 출력 강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출력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음향신호 출력모듈 또는 상기 영상신호 출력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상기 컨텐츠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웹서비스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웹서비스부는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를 온라인상에 게시하는 컨텐츠 게시모듈; 및 게시된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를 온라인 관람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웹사이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퍼포먼스 룸에서 실연자의 퍼포먼스가 수행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 관람자에게 퍼포먼스 음향/영상 신호 및 퍼포먼스를 출력하고, 이에 대한 퍼포먼스 평가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온라인 관람자에게 컨텐츠를 출력하고, 이에 대한 컨텐츠 평가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퍼포먼스 및 퍼포먼스 컨텐츠의 출력과 이에 대한 평가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퍼포먼스의 출력 및 컨텐츠 생성을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퍼포먼스의 출력 및 퍼포먼스 컨텐츠의 생성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현장 관람자에 의한 퍼포먼스 평가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관람자에 의한 컨텐츠 평가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수단”, “..부”, “..모듈”, “..서버”, “..시스템”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의 시스템 또는 각각 다른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단수 형태는 문맥 상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형태를 포함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퍼포먼스 룸에서 실연자의 퍼포먼스가 수행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퍼포먼스 룸(110)은 현장 관람자(B)가 존재하는 곳에 위치하며, 퍼포먼스를 현장 관람자(B)에게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한 면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 부재(114)와 외부의 소음을 실질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방음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또한, 퍼포먼스 룸(110) 내부의 퍼포먼스에 따라 발생하는 장면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퍼포먼스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입력모듈(111)과 퍼포먼스로부터 발생되는 퍼포먼스 음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생성하는 음향 입력모듈(112)을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현장 관람자”는 퍼포먼스 룸 외부에 위치하고, 실시간 퍼포먼스를 관람하는 관람자(audience)를 말한다.
이러한 퍼포먼스 룸(110)을 사용하여 퍼포먼스 룸(110) 내부에서 실연자(實演者, performers, A)에 의해 수행되는 퍼포먼스가 현장 관람자(B)에게 출력됨과 동시에 해당 퍼포먼스를 퍼포먼스 컨텐츠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소음(현장 관람자의 소음 등)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현장 소음이 배제된 양질의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실연자(A)는 퍼포먼스 룸(110)의 내부에 위치하여 퍼포먼스를 수행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실연자(A)가 수행하는 퍼포먼스는 노래, 연주, 연기, 개그, 마술 공연, 시 낭송, 무술 공연, 합창, 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퍼포먼스 룸(110)에서 실연자(A)가 퍼포먼스를 수행하여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함에 있어서, 퍼포먼스 룸(110)의 외부에 위치한 현장 관람자(B)와 교감(交感)을 통해 보다 실감나는 퍼포먼스를 수행할 수 있다. 현장 관람자(B)는 실연자(A)의 퍼포먼스를 통해 발생하는 퍼포먼스 음향 및 퍼포먼스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퍼포먼스 음향신호 및 퍼포먼스 영상신호를 퍼포먼스 룸(110)의 외부로 출력하여 감상할 수 있다. 또한, 현장 관람자(B)는 투명부재(114)를 통해 퍼포먼스 룸(110) 내부의 퍼포먼스를 실제 관람할 수 있다.
현장 관람자(B)는 퍼포먼스 룸(110)의 투명 부재(114)를 통해 내부에서 진행되는 퍼포먼스를 관람하고, 음향신호 출력모듈(132)을 통해 퍼포먼스를 통해 발생하는 퍼포먼스 음향을 관람할 수 있다.
투명 부재(114)는 현장 관람자(B)가 실연자(A)의 퍼포먼스를 용이하게 관람할 수 있는 크기로 퍼포먼스 룸(110)의 적어도 일면에 설치된다.
현장 출력부(130)의 음향신호 출력모듈(132)은 실연자(A)의 퍼포먼스 음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출력하며, 필요에 따라 퍼포먼스를 위해 제공되는 퍼포먼스 배경음악 등의 오디오 데이터도 함께 출력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현장 출력부”는 현장 관람자를 위한 출력부를 말한다. 현장 출력부는 퍼포먼스 룸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음향 입력모듈(112)은 실연자(A)의 퍼포먼스 음향을 입력 받는 마이크 등의 기기가 포함된다. 음향신호 출력모듈(132)는 음향 입력모듈(112)에 입력된 퍼포먼스 음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헤드폰 등의 기기를 포함한다.
퍼포먼스 컨텐츠 생성은 퍼포먼스 룸(110)의 내부에서 실연자(A)에 의해 수행되는 퍼포먼스에 따라 입력되는 퍼포먼스 영상 및 퍼포먼스 음향을 이용하여 컨텐츠 생성부(150)에 의해 수행된다. 이때 영상 녹화는 영상 입력모듈(111)을 통해 수행되며, 음향 녹음은 음향 입력모듈(112)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퍼포먼스 룸(110)에는 실연자(A)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116)이 어느 하나의 일면에 위치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 관람자에게 퍼포먼스 음향/영상 신호 및 퍼포먼스를 출력하고, 이에 대한 퍼포먼스 평가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실연자(A)가 퍼포먼스 룸(110)에서 퍼포먼스를 수행하면, 음향 입력모듈(112)과 영상 입력모듈(111)은 퍼포먼스로부터 퍼포먼스 음향신호와 퍼포먼스 영상신호로 생성하고,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퍼포먼스 음향신호와 퍼포먼스 영상신호를 실시간 퍼포먼스 룸(110)의 외부로 출력한다. 이때, 현장 관람자(B)는 투명 부재(114)를 통해 보여지는 실시간 퍼포먼스를 관람할 수 있다.
즉, 현장 관람자(B)는 영상신호 출력모듈(131) 및/또는 음향신호 출력모듈(132)로부터 출력되는 퍼포먼스 영상신호 및/또는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관람하거나, 퍼포먼스 룸(110)의 투명부재(114)를 통해 퍼포먼스를 관람하되, 퍼포먼스에 대한 퍼포먼스 평가를 입력할 수 있다.
퍼포먼스 평가는 평가모듈(163)에 직접 연결 또는 간접 연결되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로컬(local) 단말기(230), 현장 관람자(B)의 단말기(210) 등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현장 관람자(B)에 의해 입력되는 퍼포먼스 평가는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로컬 방식 또는 인터넷에 연결되는 온라인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로컬 방식 또는 온라인 방식은 다양한 통신수단을 사용하는 단말기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장 관람자(B)는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패드(smart pad) 등의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를 이용하여 퍼포먼스 평가를 입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현장 관람자(B)는 키보드를 사용하여 퍼포먼스 평가를 평가모듈(163)에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온라인 방식인 현장 관람자(B)의 단말기(210)로부터 입력된 퍼포먼스 평가는 인터넷을 통해 웹사이트 모듈(162)에 기록된 후, 평가모듈(163)에 전송됨으로써, 퍼포먼스 평가의 입력이 완료될 수 있다.
이후, 평가모듈(163)은 로컬 단말기(230) 또는 현장 관람자(B)의 단말기(210)를 통해 웹사이트 모듈(162)에 기록된 퍼포먼스 평가를 취합하여 퍼포먼스 평가결과를 제공한다. 제공된 퍼포먼스 평가결과는 퍼포먼스 컨테스트(contest)에 적용되어 퍼포먼스를 선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온라인 관람자에게 퍼포먼스를 출력하고, 이에 대한 컨텐츠 평가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실연자(A)가 퍼포먼스 룸(110)에서 퍼포먼스를 수행하게 되면, 영상 입력모듈(111)과 음향 입력모듈(112)은 퍼포먼스의 장면과 음향을 영상 녹화 및 음향 녹음을 통해 퍼포먼스 영상신호와 퍼포먼스 음향신호로 생성한다.
컨텐츠 생성부(150)는 생성된 퍼포먼스 영상 신호 또는 퍼포먼스 음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퍼포먼스 컨텐츠로 생성한다.
컨텐츠 생성부(150)에 의해 생성된 퍼포먼스 컨텐츠는 컨텐츠 배포모듈(154)에 의해 온라인 등으로 배포(release)된다. 퍼포먼스 룸(110) 외부에서 웹사이트 모듈(162)에 게시된 퍼포먼스 컨텐츠는 온라인 관람자(C)에 의해 관람될 수 있다.
퍼포먼스 컨텐츠는 온라인 또는 방송 등의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배포(release)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배포모듈(154)은 웹서비스부(160)의 컨텐츠 게시모듈(161)로 퍼포먼스 컨텐츠를 전송한다. 컨텐츠 게시모듈(161)은 수신한 퍼포먼스 컨텐츠를 웹사이트 모듈(162)에 게시되도록 한다.
웹사이트 모듈(162)은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컴퓨터 환경에서 온라인 관람자(C)의 단말기(220)가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의 모바일 기기 환경에서 온라인 관람자(C)의 모바일 단말기(220)가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온라인 관람자(C)의 단말기(220)는 퍼포먼스 컨텐츠를 관람하기 위해 웹브라우저 또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웹사이트 모듈(162)에 연결될 수 있다.
온라인 관람자(C)가 단말기(220)를 통해 퍼포먼스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은 해당 퍼포먼스 컨텐츠를 온라인 관람자(C)의 단말기(220)로 다운로드(download)하여 재생하는 방법과 웹사이트 모듈(162)에서 제공하거나, 단말기(220)에 설치된 플레이어를 통해 스트리밍(streaming)으로 재생하는 방법 등이 있다. 컨텐츠 배포모듈(154)은 상기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웹사이트 모듈(162)을 통해 퍼포먼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웹사이트 모듈(162)에 게시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단말기(220)를 이용하여 재생한 온라인 관람자(C)는 해당 퍼포먼스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평가를 입력할 수 있다.
온라인 관람자(C)의 단말기(220)는 입력된 컨텐츠 평가를 인터넷을 통해 웹사이트 모듈(162)에 전송하고, 웹사이트 모듈(162)는 수신된 컨텐츠 평가를 웹서비스부(160)의 평가모듈(163)로 전달한다.
이후, 평가모듈(163)은 인터넷을 통해 전송된 컨텐츠 평가를 취합하여 컨텐츠 평가결과를 제공한다. 컨텐츠 평가결과는 퍼포먼스 컨텐츠 컨테스트(contest)에 적용되어 퍼포먼스 컨텐츠를 선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퍼포먼스 및 퍼포먼스 컨텐츠의 출력과 이에 대한 평가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실연자(A)가 퍼포먼스 룸(110)에서 퍼포먼스를 수행하게 되면, 컨텐츠 생성부(150)는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영상 입력모듈(111) 및 음향 입력모듈(112)에 의하여 생성되는 퍼포먼스 영상신호 또는 퍼포먼스 음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한다.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는 영상신호 출력모듈(131) 및 음향신호 출력모듈(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고, 퍼포먼스 영상신호 및 퍼포먼스 음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퍼포먼스 룸(110)의 외부로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컨텐츠 생성부(150)는 퍼포먼스 영상신호 또는 퍼포먼스 음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배포모듈(154)은 생성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온라인 관람자(C)가 관람할 수 있도록 웹서비스부(160)의 컨텐츠 게시모듈(161)로 전송한다. 컨텐츠 게시모듈(161)은 수신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웹사이트 모듈(162)에 게시한다. 온라인 관람자(C)가 퍼포먼스 컨텐츠를 관람할 수 있는 단말기(PC, 모바일 기기 등)(220)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퍼포먼스 컨텐츠를 관람할 수 있도록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 관람자(C)의 단말기(220)가 접속할 수 있는 웹사이트 모듈(162)에 퍼포먼스 컨텐츠를 게시할 수 있다.
웹사이트 모듈(162)는 PC 등의 컴퓨터 환경에서 온라인 관람자(C)의 단말기(220)가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의 모바일 기기 환경에서 온라인 관람자(C)의 단말기(220)가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온라인 관람자(C)의 단말기(220)는 각각의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웹사이트 모듈(162)에 연결하여 퍼포먼스 컨텐츠를 관람하거나, 각각의 기기에 설치되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퍼포먼스 컨텐츠를 관람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배포모듈(154)은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TV, 모바일 기기)를 통해 퍼포먼스 컨텐츠를 관람할 수 있도록, 컨텐츠 생성부(150)에서 생성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지상파 방송,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 케이블 방송 등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방송 송출 시설(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현장 관람자(B)는 영상신호 출력모듈(131) 및/또는 음향신호 출력모듈(132)에 의하여 출력되는 퍼포먼스 영상신호 및/또는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관람할 수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퍼포먼스 룸(110)에 구비되는 투명부재(114)를 통해 출력되는 퍼포먼스를 관람할 수 있다.
온라인 관람자(C)는 웹사이트 모듈(162)에 게시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온라인 관람자(C)의 단말기(220)를 통해 관람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별도로 온라인 관람자(C)는 컨텐츠 배포모듈(154)에 의해 방송으로 배포(release)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온라인 관람자(C)의 단말기(220) 또는 이를 수신할 수 있는 별도의 단말기를 통해 관람할 수 있다.
웹사이트 모듈(162)에 게시된 퍼포먼스 컨텐츠는 온라인 관람자(C)의 요청에 의해 퍼포먼스 컨텐츠를 다운로드(download) 방식으로 제공되거나,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방송으로 출력된 퍼포먼스 컨텐츠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별도의 단말기를 통해 퍼포먼스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현장 관람자(B)는 퍼포먼스 룸(110)의 외부로 출력된 퍼포먼스 영상신호/퍼포먼스 음향신호 및 퍼포먼스 룸(110)의 투명부재(114)를 통한 실시간 퍼포먼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관람하고, 이들에 대한 퍼포먼스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온라인 또는 방송으로 출력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관람한 온라인 관람자(C)는 해당 퍼포먼스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현장 관람자(B)는 퍼포먼스 룸(110)의 외부에 구비된 로컬 단말기(230) 또는 현장 관람자(B)의 단말기(210)를 이용하여 퍼포먼스 평가를 입력할 수 있으며, 온라인 관람자(C)는 온라인 관람자(C)의 단말기(220)를 이용하여 컨텐츠 평가를 입력할 수 있다.
로컬 단말기(230)는 현장 관람자(B)에 의해 입력된 퍼포먼스 평가를 평가모듈(163)에 전달할 수 있도록 평가모듈(163)에 직접 연결되는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로 구성되거나, 평가모듈(163)에 간접 연결되는 PC,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 등의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 로컬 단말기(230)는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평가모듈(163)과 연결되어 퍼포먼스 평가를 전달할 수 있다.
PC,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 등으로 이루어진 현장 관람자(B)의 단말기(210) 또는 온라인 관람자(C)의 단말기(220)는 입력된 퍼포먼스 평가 또는 컨텐츠 평가를 인터넷을 통해 평가모듈(163)에 전송한다. 이때, 웹사이트 모듈(162)를 통해 평가모듈(163)로 전송된다. 이때, 퍼포먼스 평가 또는 컨텐츠 평가를 입력하는 현장 관람자(B)의 단말기(210) 또는 온라인 관람자(C)의 단말기(220)는 각각 단말기의 형태에 따라 웹 환경 또는 모바일 환경의 웹사이트 모듈(162)에 접속하여 평가를 입력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평가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현장 관람자(B)의 단말기(210), 온라인 관람자(C)의 단말기(220) 또는 로컬 단말기(230) 이외에 다양한 대체 입력 단말기를 사용하여 퍼포먼스 평가 또는 컨텐츠 평가를 입력할 수 있다.
이후, 평가모듈(163)은 퍼포먼스 평가 및 컨텐츠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평가 결과를 제공한다. 제공된 평가결과는 컨테스트(contest)에 적용되어 퍼포먼스 또는 컨텐츠를 선발할 수 있도록 한다.
제공되는 평가결과는 (i) 현장 관람자(B)가 입력한 퍼포먼스 평가만을 이용하여 제공된 퍼포먼스 평가결과이거나, (ii) 온라인 관람자(C)가 입력한 컨텐츠 평가만을 이용하여 제공된 컨텐츠 평가결과이거나, (iii) 퍼포먼스 평가와 컨텐츠 평가를 함께 이용하여 제공된 평가결과일 수 있다.
따라서, 퍼포먼스 평가결과를 컨테스트(contest)에 적용하여 선발되는 것은 퍼포먼스이며, 퍼포먼스 컨텐츠 평가결과를 컨테스트(contest)에 적용하여 선발되는 것은 퍼포먼스 컨텐츠이고, 퍼포먼스 평가결과와 컨텐츠 평가결과를 함께 컨테스트(contest)에 적용하여 선발되는 것은 퍼포먼스 또는 퍼포먼스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퍼포먼스의 출력 및 컨텐츠 생성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이다. 퍼포먼스 출력 및 퍼포먼스 컨텐츠 생성을 수행하는 시스템(100)는 퍼포먼스를 현장 관람자(B)에게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일면에 투명부재(114)가 형성되고,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방음수단(미도시)을 포함하는 퍼포먼스 룸(110); 퍼포먼스 룸(110) 내부의 퍼포먼스에 따라 발생하는 퍼포먼스 음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음향 입력모듈(112); 퍼포먼스 룸(110) 외부에서 투명부재(114)를 통해 상기 퍼포먼스를 관람하는 현장 관람자(B)에게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실시간 출력하기 위해 퍼포먼스 룸(110)의 외부에 구비되는 음향신호 출력모듈(132); 음향 입력모듈(112) 및 음향신호 출력모듈(132)을 제어하는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 및 퍼포먼스 음향신호에 기설정된 음향효과를 실질적으로 실시간 추가한 음향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퍼포먼스 영상신호 및 퍼포먼스 음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퍼포먼스 룸(110)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현장 출력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함에 있어서, 퍼포먼스 영상신호 및/또는 퍼포먼스 음향신호에 기설정된 영상효과 및/또는 기설정된 음향효과를 추가하기 위한 효과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컨텐츠 생성부(150)에서 생성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온라인상에 게시하기 위한 컨텐츠 게시모듈(161), 컨텐츠 게시모듈(161)에 의해 퍼포먼스 컨텐츠가 게시되는 웹사이트 모듈(162) 및 게시된 퍼포먼스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평가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평가를 이용하여 컨텐츠 평가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평가모듈(163)을 구비하는 웹서비스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퍼포먼스 컨텐츠 등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퍼포먼스 룸(110)의 외부에 위치한 현장 관람자(B)의 음향 및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현장 관람자 영상신호 및 현장 관람자 음향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현장 입력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퍼포먼스 출력’은 현장 관람자(B)에게 제공되는 퍼포먼스 영상신호, 퍼포먼스 음향신호뿐만 아니라 퍼포먼스 룸(110)에서 수행되는 퍼포먼스가 투명부재(114)를 통해 현장 관람자(B)에게 보여지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현장 입력부”는 본 방법이 실시되는 공간에 존재하는 입력부를 말한다. 현장 입력부는 퍼포먼스 룸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퍼포먼스 룸(110)은 내부에서 실연자(A)에 의해 수행되는 퍼포먼스에 대한 장면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퍼포먼스 영상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영상 입력모듈(111) 및 음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음향 입력모듈(112)을 포함한다. 퍼포먼스의 출력 및 퍼포먼스 컨텐츠 생성 시스템(100)은 현장 관람자(B)의 퍼포먼스 평가에 따라 투명부재(114)의 투명도 조절 또는 투명부재(114)를 차단하기 위한 투명도 조절모듈(115)을 더 포함한다.
또한, 퍼포먼스의 출력 및 퍼포먼스 컨텐츠 생성 시스템(100)은 퍼포먼스 룸(110)의 내부에 조명을 공급하기 위한 조명 구동모듈(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퍼포먼스 룸(110)은 외부의 소음을 실질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방음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퍼포먼스 룸(110)은 퍼포먼스 룸(110)의 내부에서 퍼포먼스를 수행하는 실연자(A)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모니터링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연자(A)는 퍼포먼스 룸(110) 내에서 다양한 퍼포먼스를 실시할 수 있으며, 퍼포먼스는 노래, 연주, 연기, 개그, 마술, 시 낭송, 무술, 합창, 댄스 등이다.
퍼포먼스 룸(110)은 현장 관람자(B)가 있는 공간에 제공되며, 퍼포먼스 룸(110)에서 수행되는 퍼포먼스로부터 현장 관람자(B)가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밀폐된 구조로 형성되며, 밀폐된 구조에는 출입문(116)이 포함되어 실연자(A)가 출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퍼포먼스 룸(110)은 현장 관람자(B)가 내부의 퍼포먼스를 관람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한 면은 투명부재(114)와 퍼포먼스의 장면을 현장 관람자(B)에게 제공하기 위해 퍼포먼스의 장면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 입력모듈(111)과 퍼포먼스의 음향을 현장 관람자(B)에게 제공하기 위해 퍼포먼스 음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음향 입력모듈(112)을 포함한다. 이때, 영상 입력모듈(111)과 음향 입력모듈(112)은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퍼포먼스 음향신호 및 퍼포먼스 영상신호로 생성된다.
즉, 퍼포먼스 룸(110)은 현장 관람자(B)가 있는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될 수 있으며, 퍼포먼스 룸(110)의 외부에는 현장 관람자(B)를 위한 관람석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현장 관람자(B)의 퍼포먼스 관람을 위한 퍼포먼스 룸(110)은 카페, 레스토랑, 경기장, 백화점, 지하철 대합실, 쇼핑몰, 전시장, 교육기관, 보육기관, 행사장, 거리, 공공장소 등에 설치될 수 있다. 현장 출력부(130), 효과부(140), 컨텐츠 생성부(150), 현장 입력부(180) 등의 구성요소들은 퍼포먼스 룸(110)과 같은 장소에 구비되거나, 별도의 장소에 구비될 수 있다.
퍼포먼스 룸(110)은 다수의 실연자(A)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크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서 수행되는 퍼포먼스를 이용하여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퍼포먼스 룸(110) 외부의 소음, 특히 현장 관람자(B)의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방음수단(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방음수단은 방음부재, 방음장치 또는 방음기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영상 입력모듈(111)은 퍼포먼스 룸(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실연자(A)의 퍼포먼스 장면을 촬영한다. 영상 입력모듈(111)은 디지털 카메라, DSLR 카메라, 방송 카메라 등의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포함하며, 카메라 모듈이 구비되는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의 모바일 기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영상 입력모듈(111)는 퍼포먼스의 종류 및 실연자(A)의 수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입력모듈(112)은 퍼포먼스 룸(110) 에 구비될 수 있으며, 실연자(A)의 퍼포먼스 음향을 녹음한다. 음향 입력모듈(112)은 음향을 전문적으로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입력모듈(111)에 함께 구비된 마이크 또는 마이크 모듈이 구비되는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의 모바일 기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음향 입력모듈(112)은 퍼포먼스의 종류 및 실연자(A)의 수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입력모듈(111)과 음향 입력모듈(112)에 의해 생성되는 퍼포먼스 영상신호와 퍼포먼스 음향신호는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현장 출력부(130)로 전송되며, 현장 출력부(130)의 영상신호 출력모듈(131)과 음향신호 출력모듈(132)을 통해 퍼포먼스 룸(110) 외부의 현장 관람자(B)에게 출력된다.
조명 구동모듈(113)은 퍼포먼스를 촬영하는 영상 입력모듈(111)의 촬영 품질을 보다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퍼포먼스 룸(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퍼포먼스를 수행하는 실연자(A) 및 퍼포먼스 룸(110) 내부를 밝게 비추어 준다. 조명 구동모듈(113)은 광원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조명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퍼포먼스 룸(110)의 내부에서 수행되는 퍼포먼스를 외부에 위치한 현장 관람자(B)에게 출력하기 위해 퍼포먼스 룸(110)에 구비되는 투명부재(114)는 현장 관람자(B)가 퍼포먼스를 보다 용이하게 관람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퍼포먼스 룸(110)에 구비되는 투명부재(114)는 내부의 퍼포먼스를 관람할 수 있도록 투명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등의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다.
투명도 조절모듈(115)은 퍼포먼스 룸(110)에 구비되는 투명부재(114)의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를 차단하여 현장 관람자(B)의 시각적인 관람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투명도 조절모듈(115)은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투명부재(114)의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투명부재(114)의 전부 또는 일부를 차단한다.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는 퍼포먼스, 퍼포먼스 영상신호(기설정된 영상효과 포함 가능) 및 퍼포먼스 음향신호(기설정된 음향효과 포함 가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관람하는 현장 관람자(B)의 퍼포먼스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투명도 조절모듈(115)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투명도 조절모듈(115)로 전송하여 투명부재(114)의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차단한다.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는 퍼포먼스 컨텐츠를 관람하는 온라인 관람자(C)의 컨텐츠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투명도 조절모듈(115)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투명도 조절모듈(115)로 전송하여 투명부재(114)의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차단한다.
또한,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는 퍼포먼스 평가결과와 컨텐츠 평가결과를 함께 이용하여 투명부재(114)의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는 퍼포먼스 평가결과 및 컨텐츠 평가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영상신호 출력모듈(131) 및 음향신호 출력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절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출력의 조절은 출력의 강도(intensity)를 조절하거나, 노이즈(noise)를 조절하거나, 선명도(definition)를 조절하거나, 대체 영상신호 및 대체 음향신호를 제공하거나, 출력되는 퍼포먼스 영상신호에 블라인드 처리하는 동작 등을 포함한다.
결국,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퍼포먼스 평가결과 또는 컨텐츠 평가결과에 의해 현장 관람자(B)에게 제공되는 퍼포먼스의 출력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실연자(A)와 현장 관람자(B), 온라인 관람자(C)의 상호작용을 유도할 수 있다.
투명도 조절모듈(115)은 투명부재(114)를 전부 또는 일부를 차단할 수 있는 블라인드(blind), 커튼(curtain), 롤스크린(roll screen) 등의 창 가리개(window canopy)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투명도 조절모듈(115)은 투명부재(114) 내에 삽입된 필름에 전기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모니터링 모듈(미도시)은 퍼포먼스를 수행하는 실연자(A)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기이다. 실연자(A)에게 제공되는 정보는 영상 정보 및 음향 정보가 있을 수 있으며, 영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display) 기기와 음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audio) 기기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실연자(A)가 수행하는 퍼포먼스가 노래인 경우, 모니터링 모듈(미도시)은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가사 등의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오디오 기기를 통해 노래 반주 등의 음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장 출력부(130)에 구비되는 영상신호 출력모듈(131)은 현장 관람자(B)가 퍼포먼스의 장면을 관람할 수 있도록 영상 입력모듈(111)에 의해 퍼포먼스의 장면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퍼포먼스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영상신호 출력모듈(131)은 퍼포먼스 영상신호를 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display) 기기 등이 포함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개인이 휴대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의 모바일 기기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음향신호 출력모듈(132)은 현장 관람자(B)가 퍼포먼스의 음향을 들을 수 있도록 음향 입력모듈(112)에 의해 퍼포먼스의 음향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출력한다. 음향신호 출력모듈(132)은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 등의 소리를 전문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오디오(audio) 기기 등이 포함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개인이 휴대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의 모바일 기기 등도 포함될 수 있다.
퍼포먼스 영상신호와 퍼포먼스 음향신호는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영상 입력모듈(111)과 음향 입력모듈(112)에서 각각 생성된 이후, 기설정된 영상효과 또는 기설정된 음향효과 등이 추가되는 편집이 수행되지 않고 직접 영상신호 출력모듈(131)과 음향신호 출력모듈(132)에서 각각 출력될 수 있다.
그러나, 기설정된 영상효과 또는 기설정된 음향효과 등을 추가하는 편집이 필요한 경우에는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퍼포먼스 영상신호 및 퍼포먼스 음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기설정된 영상효과 또는 기설정된 음향효과 등을 추가하는 편집이 각각 실질적으로 실시간 수행될 수 있다. 이후,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현장 출력부(130)로 전달되어 영상신호 출력모듈(131)과 음향신호 출력모듈(13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은 기설정된 영상효과 또는 기설정된 음향효과를 추가하기 위해 효과부(140)의 영상효과 모듈(141)과 음향효과 모듈(142)를 이용할 수 있다.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는 영상 입력모듈(111)이 퍼포먼스 장면을 퍼포먼스 영상신호로 변환하도록 제어하고, 음향 입력모듈(112)이 퍼포먼스 음향을 퍼포먼스 음향신호로 변환하도록 제어하고, 조명 구동모듈(113)이 퍼포먼스 룸(110)의 내부에 조명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는 영상 입력모듈(111)과 음향 입력모듈(112)에 의해 생성된 퍼포먼스 영상신호와 퍼포먼스 음향신호가 현장 관람자(B)에게 출력될 수 있도록 퍼포먼스 영상신호와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현장 출력부(130)의 영상신호 출력모듈(131)과 음향신호 출력모듈(132)로 전달하고, 각각의 영상신호 출력모듈(131)과 음향신호 출력모듈(132)이 퍼포먼스 영상신호와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는 퍼포먼스 영상신호와 퍼포먼스 음향신호에 기설정된 영상효과 및 기설정된 음향효과를 추가하는 편집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편집이 완료된 퍼포먼스 영상신호와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현장 출력부(130)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는 평가결과에 따라 투명부재(114)의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투명부재(114)의 전부 또는 일부를 차단하도록 투명도 조절모듈(115)을 제어한다.
또한,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는 평가결과에 따라 현장 출력부(130)의 영상신호 출력모듈(131) 또는 음향신호 출력모듈(132)의 출력을 조절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효과부(140)는 기설정된 영상효과와 기설정된 음향효과를 퍼포먼스 영상신호 및 퍼포먼스 음향신호에 추가하는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설정된 영상효과와 기설정된 음향효과는 효과부(140)에서 생성하거나 외부로부터 전달된 기설정된 영상효과와 기설정된 음향효과를 포함한다.
효과부(140)는 영상효과 모듈(141)과 음향효과 모듈(142)을 포함한다.
영상효과 모듈(141) 및 음향효과 모듈(142)은 현장 관람자(B)에게 출력되는 퍼포먼스 영상신호와 퍼포먼스 음향신호에 각각 기설정된 영상효과와 기설정된 음향효과가 추가되도록 할 수 있다.
영상효과 모듈(141) 및 음향효과 모듈(142)은 퍼포먼스 컨텐츠의 생성을 위해 각각 기설정된 영상효과와 기설정된 음향효과를 컨텐츠 생성부(150)로 제공하여 퍼포먼스 영상신호 또는 퍼포먼스 음향신호에 추가될 수 있도록 한다. 기설정된 영상효과는 영상의 배경(background), 비디오 이펙트(video effect), 애니메이션(animation), 3D 객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영상효과는 영상의 배경(background), 비디오 이펙트(video effect), 애니메이션(animation), 3D 객체 등이 퍼포먼스 영상신호에 적용되기 위한 시점, 조건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기설정된 음향효과는 배경 음향, EQ(equalizer), 에코(echo), 리버브(reverb), 가상악기(virtual instrument) 음향, 녹음된 음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음향효과는 배경 음향, EQ(equalizer), 에코(echo), 리버브(reverb), 가상악기(virtual instrument) 음향, 녹음된 음향 등이 퍼포먼스 음향신호에 적용되기 위한 시점, 조건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기설정된 음향효과 또는 기설정된 영상효과는 퍼포먼스 영상신호 또는 퍼포먼스 음향신호에 추가되는 하나 이상의 음향효과 또는 영상효과가 타임 테이블에 따라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효과 모듈(141)과 음향효과 모듈(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하드웨어(hardware)의 형태로 구비되거나, 소프트웨어(software) 형태로 구비되거나, 이를 조합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컨텐츠 생성부(150)는 퍼포먼스 룸(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컨텐츠 생성부(150)의 각 구성이 내부와 외부에 함께 위치할 수 있다.
컨텐츠 생성부(150)는 (i)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입력모듈(111)에서 생성되는 퍼포먼스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영상신호 처리모듈(151), (ii) 음향 입력모듈(112)에서 생성되는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처리하여 음향 컨텐츠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음향신호 처리모듈(152), (iii) 영상 컨텐츠 데이터와 음향 컨텐츠 데이터의 인코딩을 수행하여 퍼포먼스 컨텐츠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 변환모듈(153) 및 퍼포먼스 컨텐츠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컨텐츠 배포모듈(1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영상신호 처리모듈(151)은 퍼포먼스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필요에 따라 효과부(140) 내의 영상효과 모듈(141)에 기설정된 영상효과를 이용하여 퍼포먼스 영상신호에 영상효과를 추가하는 등의 편집을 통해 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생성한다.
음향신호 처리모듈(152)는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필요에 따라 음향효과 모듈(142)에 기설정된 음향효과를 이용하여 퍼포먼스 음향신호에 음향효과를 추가하는 등의 편집을 통해 음향 컨텐츠 데이터를 생성한다.
영상신호 처리모듈(151)과 음향신호 처리모듈(152)은 소프트웨어(S/W) 및 하드웨어(H/W)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영상신호 처리모듈(151)과 음향신호 처리모듈(152)은 설정된 정보에 따라 퍼포먼스 영상신호와 퍼포먼스 음향신호의 실시간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 처리모듈(151)과 음향신호 처리모듈(152)은 실연자(A)의 퍼포먼스가 종료된 이후에 퍼포먼스 영상신호와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설정된 정보에 따라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 처리모듈(151)과 음향신호 처리모듈(152)은 설정된 정보에 따라 퍼포먼스 영상신호와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실시간 편집을 수행한다.
또한, 영상신호 처리모듈(151)과 음향신호 처리모듈(152)은 실연자(A)의 퍼포먼스가 종료된 이후에 퍼포먼스 영상신호와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설정된 정보에 따라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신호 처리모듈(151)과 음향신호 처리모듈(152)에서 수행되는 편집은 설정된 정보에 따라 관리자의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영상신호 처리모듈(151)과 음향신호 처리모듈(152)에서 수행되는 편집은 영상 합성 및 음향 합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합성을 포함하며, 각각의 합성을 위한 합성 방법은 다양한 공지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영상 합성의 경우에는 퍼포먼스 룸(110)의 내부의 배경을 다른 배경화면으로 대체할 수 있는 크로마키(chroma-key) 기법을 사용하고, 이에 따라 생성되어 편집되는 퍼포먼스 컨텐츠는 퍼포먼스 룸(110)의 내부가 아닌 다른 장소에서 퍼포먼스가 수행된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신호 변환모듈(153)은 영상신호 처리모듈(151)과 음향신호 처리모듈(152)에서 퍼포먼스 영상신호와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처리한 결과물인 영상 컨텐츠 데이터와 음향 컨텐츠 데이터를 다양한 단말기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퍼포먼스 컨텐츠의 파일 형태, 파일 용량, 화면 크기 등을 변환시킨다.
이때, 신호 변환모듈(153)은 영상 컨텐츠 데이터 및 음향 컨텐츠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퍼포먼스 컨텐츠로 변환하는데, 퍼포먼스 컨텐츠는 영상 컨텐츠 데이터 및/또는 음향 컨텐츠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컨텐츠 데이터와 음향 컨텐츠 데이터를 함께 인코딩하여 하나의 퍼포먼스 컨텐츠로 변환할 수 있다.
신호 변환모듈(153)에서 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퍼포먼스 컨텐츠로 변환하는 경우, 퍼포먼스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최적 화면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신호로 출력되어 텔레비전을 통해 퍼포먼스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에는 텔레비전의 화면 크기에 맞도록 고해상도로 변환되며, 모바일 전용을 제공되는 퍼포먼스 컨텐츠의 경우에는 모바일 기기의 화면 크기와 전송속도에 맞도록 저해상도로 변환한다.
컨텐츠 배포모듈(154)은 생성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다양한 매체로 배포(release)하기 위한 수단이다. 컨텐츠 배포모듈(154)에 연결되어 퍼포먼스 컨텐츠를 수신하는 다양한 매체는 PC,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패드(smart pad) 등의 온라인 매체, 텔레비전, 라디오 등의 방송 매체, USB 메모리, CD 등의 저장 매체, 오디오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배포모듈(154)은 음향 컨텐츠 데이터가 포함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컨텐츠 배포모듈(154)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오디오 기기로 배포(release)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배포모듈(154)은 영상 컨텐츠 데이터가 포함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컨텐츠 배포모듈(154)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기기로 배포(release)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배포모듈(154)은 음향 컨텐츠 데이터 및 영상 컨텐츠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온라인 매체에 배포(release)할 수 있다. 퍼포먼스 컨텐츠가 출력되는 온라인 매체는 PC 대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web site), 모바일 대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web site), 모바일 어플리케이션(mobile application)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온라인 매체에 출력되는 퍼포먼스 컨텐츠는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온라인 관람자(C)의 단말기(220)를 통해 웹사이트 모듈(162)에서 다운로드(download) 또는 스트리밍(streaming)으로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배포모듈(154)은 생성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온라인 매체에 해당하는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인스타그램(Instagram) 등의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에 게시할 수 있고, 사용자들이 개설한 이메일(e-mail) 계정 등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배포모듈(154)은 온라인 연결 이외에도 생성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현장 관람자(B)의 단말기(210) 또는 온라인 관람자(C)의 단말기(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게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연결 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컨텐츠 배포모듈(154)은 생성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지상파 방송,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 케이블 방송, 라디오 방송 등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방송 송출 시설(미도시)로 배포(release)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배포모듈(154)은 생성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상의 외부 저장매체(미도시)에 저장되도록 배포(release)할 수 있다. 퍼포먼스 컨텐츠를 저장하는 외부 저장매체는 하드디스크 등의 자기 방식과 CD, DVD, Blu-Ray 등의 광학 방식과 RAM, 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방식의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라인상으로 연결된 저장매체로 전송하여 원격에 위치한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으며, 그 외에 다른 방식의 저장 매체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즉, 컨텐츠 배포모듈(154)을 통해 배포(release)되는 퍼포먼스 컨텐츠를 저장하는 외부 저장매체는 퍼포먼스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퍼포먼스를 수행한 실연자(A), 퍼포먼스 음향신호 및 퍼포먼스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관람한 현장 관람자(B), 퍼포먼스 컨텐츠를 관람한 온라인 관람자(C) 또는 해당 퍼포먼스 컨텐츠를 요청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에 따라 외부 저장매체는 퍼포먼스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경우에는 어떠한 방식의 저장매체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컨텐츠 배포모듈(154)는 인터넷, 방송, 외부 저장매체 등으로의 배포(release) 이외에도 생성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온라인 관람자(C)의 단말기(220)에게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배포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웹서비스부(160)는 (i) 온라인 상의 웹사이트에 퍼포먼스 컨텐츠를 게시하기 위한 컨텐츠 게시모듈(161), (ii) 컨텐츠 게시모듈(161)에 의해 퍼포먼스 컨텐츠가 게시되는 웹사이트 모듈(162) 와 및 (iii) 웹사이트 모듈(162)에 게시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관람한 온라인 관람자(C)가 입력한 컨텐츠 평가를 이용하여 컨텐츠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평가모듈(163)을 포함한다.
평가모듈(16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웹서비스부(160)의 하나의 모듈로서 설명될 수 있지만, 다른 부(unit)에 포함될 수도 있다.
컨텐츠 게시모듈(161)은 신호 변환모듈(153)을 통해 온라인 상으로 출력되기 위해 변환된 퍼포먼스 컨텐츠가 컨텐츠 배포모듈(154)을 통해 배포(release)되는 경우, 해당 퍼포먼스 컨텐츠를 웹사이트 모듈(162)에 게시한다.
컨텐츠 게시모듈(161)은 온라인 관람자(C)의 단말기(220)의 형태에 따라 신호 변환모듈(153)에서 PC 기반으로 변환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PC 기반의 웹사이트에 게시하며, 모바일 기반으로 변환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모바일 기반의 웹사이트에 게시한다.
웹사이트 모듈(162)은 컨텐츠 게시모듈(161)에 의해 퍼포먼스 컨텐츠가 온라인에 게시되는 모듈이다. 온라인 관람자(C)의 단말기(220) 형태에 따라 웹사이트 모듈(162)은 PC 기반의 웹사이트와 모바일 기반의 웹사이트에서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220)를 통해 접속된 온라인 관람자(C)는 적어도 하나의 퍼포먼스 컨텐츠를 선택하고, 웹사이트 모듈(162)은 선택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해당 온라인 관람자(C)의 단말기(220)에 제공한다.
웹사이트 모듈(162)을 통한 퍼포먼스 컨텐츠는 스트리밍(streaming) 방식 또는 다운로드(download) 방식으로 온라인 관람자(C)의 단말기(22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웹사이트 모듈(162) 또는 온라인 관람자(C)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웹사이트 모듈(162)은 퍼포먼스의 출력 및 퍼포먼스 컨텐츠 생성 시스템(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웹사이트 모듈(162)의 운영주체는 퍼포먼스의 출력 및 퍼포먼스 컨텐츠 생성 시스템(100) 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현장 관람자(B)는 퍼포먼스 룸(110)의 투명부재(114)를 통한 퍼포먼스, 영상신호 출력모듈(131)의 퍼포먼스 영상신호(기설정된 영상효과 포함 가능) 및 음향신호 출력모듈(132)의 퍼포먼스 음향신호(기설정된 음향효과 포함 가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관람한다.
평가모듈(163)은 현장 관람자(B)의 단말기(210)로부터 현장 관람자(B)에 의해 입력된 퍼포먼스 평가를 수신한다.
현장 관람자(B)가 입력한 퍼포먼스 평가는 기설정된 영상효과를 포함하는 퍼포먼스 영상신호 또는 기설정된 음향효과를 포함하는 퍼포먼스 음향신호에 대한 퍼포먼스 평가일 수 있다. 퍼포먼스 평가는 평가모듈(163)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로컬 단말기(230)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로컬 단말기들(230)은 유선 또는 무선 등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로컬 단말기(230)는 특히 퍼포먼스 룸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평가모듈(163)은 웹사이트 모듈(162)에 게시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관람한 온라인 관람자(C)의 단말기(220)로부터 온라인 관람자(C)가 입력한 컨텐츠 평가를 수신한다.
또한, 평가모듈(163)은 컨텐츠 배포모듈(154)을 통해 배포(release)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관람한 방송 관람자(미도시)의 단말기로부터 방송 관람자가 입력한 컨텐츠 평가를 수신한다.
평가모듈(163)은 현장 관람자(B)의 단말기(210) 또는 로컬 단말기(230)를 통해 전송되는 퍼포먼스 평가를 수신하고, 퍼포먼스 평가결과를 제공한다.
평가모듈(163)은 온라인 관람자(C)의 단말기(220)를 통해 전송되는 컨텐츠 평가를 수신하고, 컨텐츠 평가결과를 제공한다.
평가모듈(163)은 방송 관람자(미도시)의 단말기(미도시)를 통해 전송되는 컨텐츠 평가를 수신하고, 컨텐츠 평가결과를 제공한다.
또한, 평가모듈(163)은 현장 관람자(B)의 퍼포먼스 평가, 온라인 관람자(C)의 컨텐츠 평가 또는 방송 관람자(미도시)의 컨텐츠 평가 중 적어도 두 개의 평가결과를 결합한 평가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퍼포먼스 평가결과 및 컨텐츠 평가결과는 평가모듈(163)에 의해 정량적 또는 정성적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정량적 및 정성적 방법은 퍼포먼스 평가 및 컨텐츠 평가의 형태에 따라 결정된다. 퍼포먼스 평가와 컨텐츠 평가가 점수, 순위, 등급과 같은 정량적 지표인 경우에는 퍼포먼스 평가 결과 및 컨텐츠 평가결과를 정량적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다.
퍼포먼스 평가와 컨텐츠 평가가 정성적 지표인 경우에는 퍼포먼스 평가결과 및 컨텐츠 평가결과를 정성적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다.
퍼포먼스 평가 또는 컨텐츠 평가의 내용 또는 방법은 퍼포먼스 및 퍼포먼스 컨텐츠의 장르나 형태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퍼포먼스 평가 및 컨텐츠 평가의 내용 및 방법이 다른 경우 평가모듈(163)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도 다를 수 있다.
평가모듈(163)에서 제공되는 퍼포먼스 평가결과 및 컨텐츠 평가결과는 더 좋거나 더 나은 퍼포먼스 또는 컨텐츠를 선별하기 위해 컨테스트에 적용될 수 있다.
평가모듈(163)은 퍼포먼스 평가 결과 또는 컨텐츠 평가 결과가 기설정된 컷오프(cut-off) 값보다 높을 때, 더 좋거나 더 나은 퍼포먼스 또는 컨텐츠를 선별할 수 있다.
또는, 평가모듈(163)은 퍼포먼스 평가결과와 컨텐츠 평가결과 중 적어도 두 개의 평가결과를 비교한 후, 보다 높은 평가결과를 갖는 퍼포먼스 또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더 좋거나 더 나은 퍼포먼스 컨텐츠를 선별할 수 있다. 이외에도, 평가모듈(163)은 컨텐스트를 수행하는 방법은 퍼포먼스 평가결과 또는 컨텐츠 평가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170)는 퍼포먼스 음향신호, 퍼포먼스 영상신호, 음향 컨텐츠 데이터, 영상 컨텐츠 데이터 및 퍼포먼스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170)는 퍼포먼스 평가, 컨텐츠 평가, 퍼포먼스 평가결과 또는 컨텐츠 평가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컨테스트 정보도 저장할 수 있다.
현장 입력부(180)는 퍼포먼스 룸(110) 외부에 존재하는 현장 관람자(B)로부터 발생하는 관람 장면 또는 관람 음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현장 관람자 영상신호 또는 현장 관람자 음향신호를 생성한다. 현장 입력부(180)는 현장 관람자(B)의 관람 장면을 현장 관람자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현장영상 입력모듈(181)과 현장 관람자(B)의 관람 음향을 현장 관람자 음향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현장음향 입력모듈(182)를 포함한다.
현장영상 입력모듈(181)은 현장 관람자(B)가 퍼포먼스, 퍼포먼스 영상신호 또는 퍼포먼스 음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관람하는 장면을 녹화한다.
현장영상 입력모듈(181)은 디지털 카메라, DSLR 카메라, 방송 카메라 등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장영상 입력모듈(181)은 현장 관람자(B)의 수 및 관람 형태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현장음향 입력모듈(182)은 현장 관람자(B)가 퍼포먼스, 퍼포먼스 영상신호 또는 퍼포먼스 음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관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관람 음향을 녹음한다. 현장음향 입력모듈(182)은 고품질의 음향을 녹음할 수 있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장음향 입력모듈(182)은 현장영상 입력모듈(181)에 장착된 마이크 및 마이크 모듈을 갖는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장음향 입력모듈(182)퍼포먼스의 형태와 실연자(A)의 수에 따라 여러 장소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현장영상 입력모듈(181)과 현장음향 입력모듈(182)에 의해 생성된 현장 관람자 영상신호 및 현장 관람자 음향신호는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컨텐츠 생성부(150)로 전송될 수 있고, 퍼포먼스 음향신호와 퍼포먼스 영상신호와 함께 컨텐츠 생성부(150)에 의해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현장 관람자 영상신호와 현장 관람자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기설정된 영상효과 또는 기설정된 음향효과에 의해 편집되고 퍼포먼스 컨텐츠의 생성에 사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퍼포먼스의 출력 및 컨텐츠의 생성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퍼포먼스 룸(110)에서 수행되는 퍼포먼스가 출력되고 퍼포먼스를 기반으로 한 퍼포먼스 컨텐츠는 실시간으로 생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i)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가 퍼포먼스 룸(110)의 퍼포먼스에 따라 생성되는 퍼포먼스 음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생성하도록 퍼포먼스 룸(110)에 구비된 음향 입력모듈(112)을 제어하는 단계; (ii)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가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퍼포먼스 룸(110)의 외부에 구비된 음향신호 출력모듈(13)로 전달하고, 퍼포먼스 룸(110)의 투명부재(114)를 통해 퍼포먼스를 관람하는 현장 관람자에게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실시간으로 출력하기 위해 음향신호 출력모듈(132)을 제어하는 단계; (iii) 음향 입력모듈(112)에서 생성된 퍼포먼스 음향신호가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에 의해 컨텐츠 생성부(150)로 전송되는 단계; 및 (iv) 기설정된 음향효과를 퍼포먼스 음향신호에 실시간 추가한 음향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퍼포먼스 컨텐츠가 컨텐츠 생성부(150)에 의해 생성되는 단계.
현장 관람자(B)에게 퍼포먼스를 보여주기 위해 적어도 일면에 투명부재(114)가 형성되고,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방음수단(미도시)을 포함하는 퍼포먼스 룸(110)에서 실연자(A)에 의해 퍼포먼스가 수행된다(S110).
이때, 퍼포먼스 룸(110)은 투명부재(114)를 통해 현장 관람자(B)에게 수행되는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는 음향 입력모듈(112) 또는 영상 입력모듈(1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퍼포먼스 룸(110) 내부의 실연자(A)가 수행하는 퍼포먼스의 장면 및 음향을 입력 받은 후, 전기적 신호인 퍼포먼스 음향신호 또는 퍼포먼스 영상신호로 실시간 변환하도록 한다(S120).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는 현장 관람자(B)에게 퍼포먼스 음향신호 또는 퍼포먼스 영상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출력되도록 현장 출력부(130)를 제어한다(S130).
현장 출력부(130)는 퍼포먼스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영상신호 출력모듈(131)과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신호 출력모듈(132)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현장 출력부(130)는 현장영상 입력모듈(181)에 의해 입력된 현장 관람자 영상신호 및 현장 관람자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현장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퍼포먼스 영상신호, 퍼포먼스 음향신호, 현장 관람자 영상신호 또는 현장 관람자 음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효과부(140)의 영상효과 모듈(141) 또는 음향효과 모듈(142)를 통해 기설정된 영상효과 또는 기설정된 음향효과가 실질적으로 실시간 추가되어 출력될 수 있다.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음향 입력모듈(112) 및 영상 입력모듈(111)을 통해 변환된 퍼포먼스 음향신호 또는 퍼포먼스 영상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실시간으로 컨텐츠 생성부(150)로 전달된다(S140).
이후, 컨텐츠 생성부(150)는 전달된 퍼포먼스 음향신호 또는 퍼포먼스 영상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한다(S160).
선택적으로, 컨텐츠 생성부(150)는 효과부(140)를 통해 영상효과 또는 음향효과를 실시간으로 추가하여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150).
컨텐츠 생성부(150)의 영상신호 처리모듈(151)은 영상효과 모듈(141)을 통해 퍼포먼스 영상신호에 기설정된 영상효과를 추가하는 경우, 해당 기설정된 영상효과가 반영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생성한다.
음향신호 처리모듈(152)은 음향효과 모듈(142)을 통해 퍼포먼스 음향신호에 기설정된 음향효과를 추가하는 경우, 해당 기설정된 음향효과가 반영된 음향 컨텐츠 데이터를 생성한다.
컨텐츠 생성부(150)의 신호 변환모듈(153)은 기설정된 영상효과 또는 기설정된 음향효과가 추가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 및/또는 음향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한다.
컨텐츠 생성부(150)는 기설정된 영상효과 및 기설정된 음향효과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가할 수 있다. 영상효과 또는 음향효과가 필요치 않은 경우, 컨텐츠 생성부(150)는 전달된 퍼포먼스 영상신호 또는 퍼포먼스 음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현장 관람자에 의한 퍼포먼스 평가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도 7의 S110 단계 내지 S160 단계는 도 6의 단계들과 동일하다.
S130 단계 내지 S160 단계 이후에 웹서비스부(160)의 평가모듈(163)은 퍼포먼스를 투명부재(114), 퍼포먼스 영상신호를 위한 영상신호 출력모듈(131),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위한 음향신호 출력모듈(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퍼포먼스를 관람한 현장 관람자(B)의 퍼포먼스 평가를 수신한다(S170).
평가모듈(163)에 의해 수신된 퍼포먼스 평가는 현장 관람자(B)의 단말기(210) 및 퍼포먼스 룸(110)의 외부에 구비된 로컬 단말기(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입력된다.
평가모듈(163)은 현장 관람자(B)의 단말기(210) 또는 평가모듈(163)에 연결된 로컬 단말기(230)를 통해 입력되는 퍼포먼스 평가를 수신하고, 퍼포먼스 평가결과를 제공한다(S175).
S175 단계에서 제공된 퍼포먼스 평가결과는 더 좋거나 더 나은 퍼포먼스를 선발할 수 있는 컨테스트(contest)에 사용될 수 있다. 퍼포먼스 평가결과가 기설정된 컷오프(cut-off) 값보다 높은 경우, 더 좋거나 더 나은 퍼포먼스를 선택할 수 있다. 기설정된 컷오프(cut-off) 값은 퍼포먼스의 장르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대신에 적어도 두 개의 퍼포먼스 평가결과를 상호 비교하여 평가결과가 높은 퍼포먼스가 선택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퍼포먼스의 출력 및 컨텐츠 생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온라인 관람자에 의한 컨텐츠 평가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의 S100 단계 내지 S160 단계는 도 6의 단계들과 동일하다.
S160 단계 이후에 컨텐츠 생성부(150)을 통해 생성되고, 컨텐츠 배포모듈(154)를 통해 배포(release)된 퍼포먼스 컨텐츠는 컨텐츠 게시모듈(161)을 통해 실시간으로 웹사이트 모듈(162)에 게시된다(S180).
퍼포먼스 컨텐츠가 웹사이트 모듈(162)에 게시되는 것은 웹서비스부(160)에 구비된 컨텐츠 게시모듈(161)에 의해 수행된다. 컨텐츠 게시모듈(161)은 컨텐츠 배포모듈(154)에 의해 배포(release)된 퍼포먼스 컨텐츠가 온라인 상에 게시될 수 있도록 웹사이트 모듈(162)에 게시할 수 있다. 이후, 온라인 관람자(C)는 단말기(220)를 이용하여 웹사이트 모듈(162)에 게시된 퍼포먼스 컨텐츠를 관람하고, 퍼포먼스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평가를 단말기(220)에 입력한다. 입력된 컨텐츠 평가는 단말기(220)에 의해 평가모듈(163)에 전송된다. 평가모듈(163)은 온라인 관람자(C)의 단말기(2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 평가를 수신한다(S190).
평가모듈(163)은 온라인 관람자(C)의 단말기(220)를 통해 입력된 컨텐츠 평가결과를 수신하고 컨텐츠 평가결과를 제공한다(S195).
S195 단계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평가결과는 더 좋거나 더 나은 퍼포먼스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컨테스트(contest)에 사용될 수 있다. 퍼포먼스 평가결과가 기설정된 컷오프(cut-off) 값보다 높은 경우, 더 좋거나 더 나은 퍼포먼스 컨텐츠가 선택될 수 있다. 기설정된 컷오프(cut-off) 값은 퍼포먼스 컨텐츠의 장르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대신에 적어도 두 개의 컨텐츠 평가결과를 상호 비교하여 평가결과가 높은 퍼포먼스 컨텐츠가 선택될 수 있다.
영상 입력모듈(111)과 음향 입력모듈(112)에서 실시간 변환된 퍼포먼스 영상신호와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현장 관람자(B)에게 제공하기 위해, 영상신호 출력모듈(131)과 음향신호 출력모듈(132)은 두 신호를 실시간 출력한다.
또한, 실시간 변환된 퍼포먼스 영상신호와 퍼포먼스 음향신호는 퍼포먼스 룸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컨텐츠 생성부(150)로 전달된다. 이후, 생성된 퍼포먼스 컨텐츠는 컨텐츠 배포모듈(154)과 컨텐츠 게시모듈(161)을 통해 실시간으로 웹사이트 모듈(162)에 게시되어 온라인 관람자(C)가 퍼포먼스 룸(110)에서 수행되는 퍼포먼스에 대한 퍼포먼스 컨텐츠를 관람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퍼포먼스의 수행과 동시에 컨텐츠 생성부(150)에 의해 생성된 퍼포먼스 컨텐츠가 실시간으로 웹사이트 모듈(162)에 게시되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퍼포먼스 수행됨과 동시에 변환된 퍼포먼스 영상신호와 퍼포먼스 음향신호가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된 후, 필요에 따라 컨텐츠 생성부(150)로 전송되어 퍼포먼스 컨텐츠로 생성되는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퍼포먼스 룸에서 수행되는 퍼포먼스를 이용하여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과 동시에 퍼포먼스 룸이 위치한 장소에 존재하는 현장 관람자에게 퍼포먼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장 관람자가 퍼포먼스를 관람할 수 있도록 구성된 퍼포먼스 룸에서 수생되는 퍼포먼스를 통해 퍼포먼스 컨텐츠가 생성되는 반면, 현장 관람자로부터의 외부 음향이 퍼포먼스 룸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고품질의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퍼포먼스는 퍼포먼스 룸의 적어도 일면에 설치된 투명부재를 통해 현장 관람자에게 보여줌으로써, 보다 생생하게 현장 관람자에게 실시간 퍼포먼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속하는 변형 예와 수정 예는 당업자에게 자명해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의 균등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29)

  1. 다음 단계를 포함하여 퍼포먼스 룸에서 수행되는 실연자의 퍼포먼스를 상기 퍼포먼스 룸 외부로 실시간 출력하고, 상기 퍼포먼스에 기반한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a) 퍼포먼스 룸 제어부가 상기 퍼포먼스 룸 내부의 퍼포먼스에 따라 생성되는 퍼포먼스 음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퍼포먼스 룸 내부에 구비된 음향 입력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로서; 상기 퍼포먼스 룸은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방음수단 및 상기 퍼포먼스를 현장 관람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적어도 일면에 설치된 투명부재를 포함하는 단계;
    (b) 상기 퍼포먼스 룸 제어부가 상기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음향신호 출력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퍼포먼스 룸의 외부에서 상기 투명부재를 통해 상기 퍼포먼스를 시각적으로 관람하는 상기 현장 관람자에게 상기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실시간 출력하기 위해 상기 퍼포먼스 룸의 외부에 구비된 상기 음향신호 출력모듈을 제어하는 단계;
    (c) 상기 퍼포먼스 룸 제어부가 상기 음향 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컨텐츠 생성부에게 전달하는 단계; 및
    (d) 상기 컨텐츠 생성부가 기설정된 음향효과를 상기 퍼포먼스 음향신호에 추가한 음향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기설정된 영상효과를 상기 퍼포먼스 영상신호에 추가한 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퍼포먼스 룸 제어부는,
    상기 퍼포먼스 영상신호를 상기 퍼포먼스 룸 외부에 구비된 영상신호 출력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퍼포먼스 영상신호를 상기 퍼포먼스 룸의 외부의 상기 현장 관람자에게 실시간으로 출력하기 위해 상기 영상신호 출력모듈의 제어를 더 수행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퍼포먼스 영상신호는,
    기설정된 영상효과가 실시간 추가되어 상기 영상신호 출력모듈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음향신호 출력모듈에서 출력되는 상기 퍼포먼스 음향신호는,
    기설정된 음향효과가 실시간 추가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현장 관람자로부터 발생하는 음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수득되는 현장 관람자 음향신호를 더 포함하는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하되; 상기 현장 관람자 음향신호는 상기 퍼포먼스 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현장음향 입력모듈에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내지 (d)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평가모듈이 상기 퍼포먼스 또는 상기 퍼포먼스 음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현장 관람자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퍼포먼스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현장 관람자 평가결과는 상기 현장 관람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기 평가모듈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평가모듈이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에 대한 온라인 관람자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컨텐츠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온라인 관람자 평가결과는 상기 온라인 관람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기 평가모듈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퍼포먼스 룸 제어부는,
    상기 퍼포먼스로부터 발생하는 장면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퍼포먼스 영상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퍼포먼스 룸 내부에 구비된 영상 입력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퍼포먼스 룸 제어부는,
    상기 영상 입력모듈에 의해 생성된 상기 퍼포먼스 영상신호를 상기 컨텐츠 생성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현장 관람자로부터 발생하는 장면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수득되는 현장 관람자 영상신호를 더 포함하는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하되; 상기 현장 관람자 영상신호는 상기 퍼포먼스 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현장영상 입력모듈에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내지 (d)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평가모듈이 상기 퍼포먼스 영상신호에 대한 현장 관람자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현장 관람자 평가결과는 상기 현장 관람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기 평가모듈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평가모듈이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에 대한 온라인 관람자 평가결과를 사용하여 컨텐츠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온라인 관람자 평가결과는 온라인 관람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기 평가모듈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4 항, 제 5 항,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퍼포먼스 룸 제어부는,
    상기 평가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투명부재의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상기 투명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단하기 위해 투명도 조절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4 항, 제 5 항,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퍼포먼스 룸 제어부는,
    상기 평가결과에 대응하여 음향신호 출력모듈 또는 영상신호 출력모듈의 출력 강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출력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음향신호 출력모듈 또는 상기 영상신호 출력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다음을 포함하는 퍼포먼스 룸에서 수행되는 실연자의 퍼포먼스를 상기 퍼포먼스 룸의 외부로 실시간 출력하고, 상기 퍼포먼스를 기반한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방음수단 및 상기 퍼포먼스 룸의 외부에 현장 관람자에게 상기 퍼포먼스를 보여주기 위해 상기 퍼포먼스 룸의 적어도 일면에 설치된 투명부재를 포함하는 퍼포먼스 룸;
    상기 퍼포먼스 룸의 상기 퍼포먼스로부터 생성된 퍼포먼스 음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퍼포먼스 음향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음향 입력모듈;
    상기 퍼포먼스 룸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퍼포먼스 룸의 상기 투명부재를 통해 상기 퍼포먼스를 관람하는 현장 관람자에게 실시간으로 상기 퍼포먼스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신호 출력모듈;
    상기 음향 입력모듈 및 상기 음향신호 출력모듈을 제어하는 퍼포먼스 룸 제어부; 및
    상기 퍼포먼스 음향 신호에 기설정된 음향효과를 추가하여 생성된 음향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퍼포먼스로부터 생성되는 장면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퍼포먼스 영상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영상 입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현장 관람자에게 실시간으로 퍼포먼스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퍼포먼스 룸의 외부에 구비된 영상신호 출력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퍼포먼스 영상신호는 상기 퍼포먼스 영상신호에 실시간으로 기설정된 영상효과가 추가되어 상기 영상신호 출력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퍼포먼스 영상신호에 추가되는 상기 기설정된 영상 효과를 생성하는 영상효과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신호 출력모듈에서 출력되는 상기 퍼포먼스 음향신호는,
    기설정된 음향효과가 실시간 추가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퍼포먼스 음향신호에 실시간으로 상기 기설정된 음향효과를 추가하여 생성하기 위한 음향효과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현장 관람자로부터 발생하는 음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수득되는 현장 관람자 음향신호를 더 포함하는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로 생성하되; 상기 현장 관람자 음향신호는 상기 퍼포먼스 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현장음향 입력모듈에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보여지는 상기 퍼포먼스 및 상기 퍼포먼스 음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현장 관람자 평가결과를 사용하여 퍼포먼스 평가결과를 제공하거나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에 대한 온라인 관람자 평가결과를 사용하여 컨텐츠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평가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현장 관람자 평가결과는 상기 현장 관람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기 평가모듈에 입력되고, 상기 온라인 관람자 평가결과는 온라인 관람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기 평가모듈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퍼포먼스로부터 생성되는 장면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퍼포먼스 영상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영상 입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1. 삭제
  22. 삭제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퍼포먼스 영상신호에 추가되는 상기 기설정된 영상 효과를 생성하는 영상효과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현장 관람자로부터 발생되는 장면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수득되는 현장 관람자 영상신호를 더 포함하는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를 생성하되; 상기 현장 관람자 영상신호는 상기 퍼포먼스 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현장영상 입력모듈에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5.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퍼포먼스 영상 신호에 대한 현장 관람자 평가결과를 사용하여 퍼포먼스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평가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현장 관람자 평가결과는 현장 관람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평가모듈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에 대한 온라인 관람자 평가결과를 사용하여 컨텐츠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평가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온라인 관람자 평가결과는 온라인 관람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기 평가모듈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7. 제 19 항,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평가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퍼포먼스 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투명부재의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상기 투명부재를 일부 또는 전부를 차단하는 투명도 조절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8. 제 19 항,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결과에 대응하여 음향신호 출력모듈 또는 영상신호 출력모듈의 출력 강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출력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음향신호 출력모듈 또는 상기 영상신호 출력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컨텐츠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웹서비스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웹서비스부는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를 온라인상에 게시하는 컨텐츠 게시모듈; 및 게시된 상기 퍼포먼스 컨텐츠를 온라인 관람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웹사이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77032726A 2015-04-10 2016-04-05 퍼포먼스의 출력 및 퍼포먼스 컨텐츠 생성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13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769 2015-04-10
KR20150050769 2015-04-10
PCT/KR2016/003540 WO2016163724A1 (en) 2015-04-10 2016-04-05 Method and system for outputting performance and creating performance cont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274A KR20170129274A (ko) 2017-11-24
KR102013054B1 true KR102013054B1 (ko) 2019-08-21

Family

ID=57073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726A KR102013054B1 (ko) 2015-04-10 2016-04-05 퍼포먼스의 출력 및 퍼포먼스 컨텐츠 생성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13054B1 (ko)
WO (1) WO20161637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92245B (zh) * 2016-11-22 2018-04-20 广州华多网络科技有限公司 直播间视频流合成方法、装置及终端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854Y1 (ko) * 2004-01-09 2004-04-28 최충현 다용도 방음부스
US20090231414A1 (en) * 2008-03-17 2009-09-17 Cisco Technology, Inc. Conferencing and Stage Display of Distributed Conference Participant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130B1 (ko) * 2001-10-25 2008-05-20 주식회사 온네트 온라인 공연 시스템
US20050097613A1 (en) 2003-11-03 2005-05-05 Ulate Alberto J.R. Interactive personal service provider
US20080201276A1 (en) 2007-02-16 2008-08-21 David Hadland Music and art network
KR20100034657A (ko) * 2008-09-24 2010-04-01 김학선 평가정보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10076379A (ko) * 2009-12-29 2011-07-0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응적 연출 장비 제어 장치 및 방법, 그 기록 매체
KR20140136632A (ko) * 2013-05-21 2014-12-01 라정란 라이브 카페 운영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854Y1 (ko) * 2004-01-09 2004-04-28 최충현 다용도 방음부스
US20090231414A1 (en) * 2008-03-17 2009-09-17 Cisco Technology, Inc. Conferencing and Stage Display of Distributed Conference Particip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274A (ko) 2017-11-24
WO2016163724A1 (en)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5203B2 (en) Enhancing perceptions of the sensory content of audio and audio-visual media
Holman Sound for film and television
CN101770772B (zh) 嵌入式网络卡拉ok娱乐装置及其声像控制方法
KR101381396B1 (ko) 입체음향 조절기를 내포한 멀티 뷰어 영상 및 3d 입체음향 플레이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8170239B2 (en) Virtual recording studio
KR101414217B1 (ko) 실시간 영상합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2013054B1 (ko) 퍼포먼스의 출력 및 퍼포먼스 컨텐츠 생성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JP7503257B2 (ja) コンテンツ収集・配信システム
Otondo et al. Creating sonic spaces: An interview with Natasha Barrett
Beck The evolution of sound in cinema
JP5459331B2 (ja) 投稿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Malecki et al. Electronic music production in ambisonics-case study
JP2018028646A (ja) 会場別カラオケ
Avarese Post sound design: the art and craft of audio post production for the moving image
Holm et al. Spatial audio production for 360-degree live music videos: multi-camera case studies
Scuda et al. Using audio objects and spatial audio in sports broadcasting
Meyer-Kahlen et al. Inside The Quartet-A first-person virtual reality string quartet production
KR20100055662A (ko)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 공연 감상 서비스 장치, 공연 감상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Ek Audio Storytelling in Today's Visual World: The Necessary Components of a Successful Soundscape for an Audio Play
Martin Being there: the creative use of location and post-production sound in documentaries
JP2004287362A (ja) カラオケ装置
Klein Is classical music ‘boring’? A discussion of fidelity, virtuosity and performance in classical music recording
JP2017044765A (ja) 映像提供装置、映像提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Filimowicz An audiovisual colocation display system
Gozzi et al. Listen to the Theatre! Exploring Florentine Performative Sp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