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685B1 - 실내기와 실외기 상호 간을 연결하는 다중케이블 구조 - Google Patents

실내기와 실외기 상호 간을 연결하는 다중케이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685B1
KR102011685B1 KR1020190065205A KR20190065205A KR102011685B1 KR 102011685 B1 KR102011685 B1 KR 102011685B1 KR 1020190065205 A KR1020190065205 A KR 1020190065205A KR 20190065205 A KR20190065205 A KR 20190065205A KR 102011685 B1 KR102011685 B1 KR 102011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end portion
exposed
refrigerant
recep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찬
임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티
Priority to KR1020190065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6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부위는 실내기(1)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실내기(1) 외부로 돌출되는 제1연결단(11), 제1, 2냉매호스(13, 15)와 연결되어 제1연결단(11)의 타단부위를 통해 노출되는 제1, 2수용체(14, 16) 및 제1전력통신선(17)과 제1드레인호스(19) 각각이 마련되는 제1연결부(10); 타단부위는 실외기(5)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일단부위는 실외기(5) 외부로 돌출되는 제2연결단(21), 제3, 4냉매호스(23, 25)와 연결되어 제2연결단(21)의 타단부위를 통해 노출되는 제3, 4수용체(24, 26) 및 제2전력통신선(27)과 제2드레인호스(29)가 구비되는 제2연결부(20); 일정길이를 가지는 연결튜브(31), 연결튜브(31)의 양단 부위 각각에 마련되는 제3연결단(32), 제5, 6냉매호스(34, 36)의 양단부위가 연결되어 일측 및 타측 각각의 제3연결단(32)을 통해 노출되어 제1, 2, 3, 4수용체(14, 16, 24, 26) 각각과 결합되는 제1, 2수용체(14, 24) 및 제1, 2전력통신선(17, 27) 및 제1, 2드레인호스(19, 29) 각각과 연결되는 제3전력통신선(37) 및 제3드레인호스(39)가 구비되는 케이블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내기와 실외기 상호 간을 연결하는 다중케이블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실내기와 실외기 상호 간을 연결하는 다중케이블 구조{Structure of multi cable connecting indoor unit and outdoor unit in air-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실내기와 실외기 상호 간을 연결하는 다중케이블 구조로서, 실내기 및 실외기 각각에 수용체가 구비되는 연결부를 마련하고 양단 부위 각각에 삽입체가 구비되는 케이블을 이들 연결부 각각과 간편하게 연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비숙련공이라도 매우 편리하게 연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냉매 호스의 연결 부위를 통해 냉매가 누설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나아가 배관 내부에 채워져 있는 냉매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케이블을 단지 분리하여 이동한 다음 재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중케이블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공기조화기는 사람들이 활동하는 공간에 설치되는 실내기 및 옥외에 설치되는 실외기가 분리 구성된다. 이때, 실내기에는 증발기와 송풍팬을 마련하고, 실외기에는 압축기와 응축기를 마련하며, 실내기 및 실외기 상호 간은 배관 등에 의해 연결하여 냉매를 순환시킨다.
공기조화기에 있어 냉매를 순환시키는 배관은 대개의 경우 동과 같은 금속관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냉매 배관은 응축수를 배출시키기 위해 길게 연장 형성되는 배수관과 전원 및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케이블과 함께 보온용 테이프 등에 의해 감싸진 상태로 실내에서 실외로 인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인출 구성은 배관을 연결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해체한 다음에 배관을 연결하는 경우 배관에 냉매를 추가적으로 보충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냉매 배관, 응축수 배관, 케이블 등을 튜브 내에 동시에 내장하여 시공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부류의 기술은 도 10에 개시된 것과 같이, 배관 및 케이블을 단일 부재의 몰드형 배관으로 구성하고, 실내기 및 실외기 각각과는 별도의 암, 수연결구와 같은 커넥터를 이용하여 한 번에 다수의 냉매커넥터 및 전원, 그리고 통신선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럴 경우,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공기조화기의 배관 연결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밀폐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배관 교체 작업과정에서 냉매를 추가로 주입할 필요가 없으며,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별도의 뒤처리 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외관상 깔끔한 마무리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하나의 대안으로 눈여겨볼 만하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현재 제안되고 있는 이러한 부류의 기술들은 몰드 배관과 실내기(및 실외기) 상호 간의 연결 작업 자체가 여전히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그 연결 부위가 긴밀하게 폐쇄되지 못하여 실내기나 실외기의 위치를 이동 설치하는 경우 배관에 채워져 있던 냉매를 제거한 다음 다시 냉매를 주입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37727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 부위를 통한 냉매의 누설이나 냉매의 손실 없이 위치를 달리하여 설치되는 실내기 및 실외기 상호 간을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 점검 과정에서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다중케이블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단부위는 실내기(1)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실내기(1) 외부로 돌출되는 제1연결단(11),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각 내부에는 제1, 2탄성수단(143, 163)에 의해 지지되는 제1, 2개폐체(145, 165) 각각이 동축상에 마련되며 각각의 타단부위는 제1연결단(11)의 타단부위로 노출되는 제1, 2수용체(14, 16), 각각의 타단부위는 제1, 2수용체(14, 16) 각각의 일단부위와 연결되고 각각의 일단부위는 실내기(1) 내부로 연장되는 제1, 2냉매호스(13, 15), 타단부위는 제1, 2수용체(14, 16) 각각의 타단부위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연결단(11) 타단부위를 관통하여 노출되고 일단부위는 실내기(1) 내부로 연장되는 제1전력통신선(17), 타단부위는 제1, 2수용체(14, 16) 각각의 타단부위 타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연결단(11) 타단부위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일단부위는 실내기(1) 내부로 연장되는 제1드레인호스(19)가 마련되는 제1연결부(10); 타단부위는 실외기(5)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일단부위는 실외기(5) 외부로 돌출되는 제2연결단(21),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각 내부에는 제3, 4탄성수단(243, 263)에 의해 지지되는 제3, 4개폐체(245, 265) 각각이 동축상에 마련되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2연결단(21)의 일단부위로 노출되는 제3, 4수용체(24, 26),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3, 4수용체(24, 26) 각각의 타단부위와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부위는 실외기(5) 내부로 연장되는 제3, 4냉매호스(23, 25), 일단부위는 제3, 4냉매호스(23, 25) 각각의 일단부위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2연결단(21) 일단부위를 관통하여 노출되고 타단부위는 실외기(5) 내부로 연장되는 제2전력통신선(27), 일단부위는 제3, 4냉매호스(23, 25) 각각의 일단부위 타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2연결단(21) 일단부위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부위는 실외기(5) 내부로 연장되는 제2드레인호스(29)가 마련되는 제2연결부(20); 일정길이를 가지는 연결튜브(31), 연결튜브(31)의 양단부위 각각에 마련되어 제1, 2연결단(11, 21) 각각과 결합되는 제3연결단(32), 내부에는 제5탄성수단(343)에 의해 지지되는 제5개폐체(345)가 동축상에 마련되며 일측 제3연결단(32)의 일단부위 상측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일단부위는 제1연결부(10)의 제1수용체(14)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측 제3연결단(32)의 타단부위 상측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타단부위는 제2연결부(20)의 제3수용체(2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삽입체(34), 내부에는 제6탄성수단(363)에 의해 지지되는 제6개폐체(365)가 동축상에 마련되며 일측 제3연결단(32)의 일단부위 하측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일단부위는 제1연결부(10)의 제2수용체(16)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측 제3연결단(32)의 타단부위 하측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타단부위는 제2연결부(20)의 제4수용체(26)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삽입체(36),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결튜브(31)에 내장되되 각각의 일단부위는 일측 제1, 2삽입체(34, 36) 각각의 타단부위와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부위는 타측 제1, 2삽입체(34, 36) 각각의 일단부위와 연결되는 제5, 6냉매호스(33, 35), 연결튜브(31)에 내장되되 일단부위는 일측 제3연결단(32)의 일단부위를 관통하여 노출되어 제1연결부(10)의 제1전력통신선(17) 타단부위와 연결되고 타단부위는 타측 제3연결단(32)의 타단부위를 관통하여 노출되어 제2연결부(20)의 제2전력통신선(27) 일단부위와 연결되는 제3전력통신선(37), 일정길이를 가지며 연결튜브(31)에 내장되되 일단부위는 일측 제3연결단(32)의 일단부위를 관통하여 노출되어 제1연결부(10)의 제1드레인호스(19) 타단부위와 연결되고 타단부위는 타측 제3연결단(32)의 타단부위를 관통하여 노출되어 제2연결부(20)의 제2드레인호스(29) 일단부위와 연결되는 제3드레인호스(39)가 마련되는 케이블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2수용체(14, 16) 각각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제1, 2관통공(142, 162) 각각이 형성되는 제1, 2지지판(141, 161)이 마련되며, 상기 제1, 2개폐체(145, 165)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 2지지판(141, 161) 각각의 중앙부위에 관통하여 삽입되고 테이퍼진 각각의 타단부위는 제1, 2수용체(14, 16) 각각의 타측부위 내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제1, 2경사단(146, 166) 각각과 밀착되고, 상기 제1, 2탄성수단(143, 163) 각각은 제1, 2개폐체(145, 165) 각각의 외면을 감싸며 위치하며; 상기 제3, 4수용체(24, 26) 각각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제3, 4관통공(242, 262) 각각이 형성되는 제3, 4지지판(241, 261)이 마련되며, 상기 제3, 4개폐체(245, 265) 각각의 타단부위는 제3, 4지지판(241, 261) 각각의 중앙부위에 관통하여 삽입되고 테이퍼진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3, 4수용체(24, 26) 각각의 일측부위 내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제3, 4경사단(246, 266) 각각과 밀착되고, 상기 제3, 4탄성수단(243, 263) 각각은 제3, 4개폐체(245, 265) 각각의 외면을 감싸며 위치하고; 상기 제1, 2삽입체(34, 36) 각각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제5, 6관통공(342, 362) 각각이 형성되는 제5, 6지지판(341, 361)이 마련되며, 상기 제5, 6개폐체(345, 365) 각각의 타단부위는 제5, 6지지판(341, 361) 각각의 중앙부위에 관통하여 삽입되고 테이퍼진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 2삽입체(34, 36) 각각의 일측부위 내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제5, 6경사단(346, 366) 각각과 밀착되고, 상기 제5, 6탄성수단(343, 363) 각각은 제5, 6개폐체(345, 365) 각각의 외면을 감싸며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2수용체(14, 16) 각각의 타측부위 내면에는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2냉매배기홈(147, 167)이 형성되고; 상기 제3, 4수용체(24, 26) 각각의 일측부위 내면에는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3, 4냉매배기홈(247, 26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제3연결단(32)에 있어 제1삽입체(34)의 일단부위와 제3전력통신선(37)의 일단부위 사이 및 타측 제3연결단(32)에 있어 제1삽입체(34)의 타단부위와 제3전력통신선(37)의 타단부위 사이 각각에는 일정길이의 제1가이드핀(381)이 돌출되어 제1, 3가이드공(181, 281) 각각에 삽입되고; 상기 일측 제3연결단(32)에 있어 제2삽입체(36)의 일단부위와 제3드레인호스(39)의 일단부위 사이 및 타측 제3연결단(32)에 있어 제2삽입체(36)의 타단부위와 제3드레인호스(39)의 타단부위 사이 각각에는 일정길이의 제2가이드핀(382)이 돌출되어 제2, 4가이드공(182, 282) 각각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튜브(31), 제1, 2, 3, 4, 5, 6냉매호스(13, 15, 23, 25, 34, 36), 제3드레인호스(39) 각각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숙련공이 아니라 할지라도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의 배관 등을 한 번의 작업으로 연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실내기나 실외기의 이동 설치 과정에서 냉매 제거 및 냉매 보충과 같은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나아가 냉매호스 및 드레인호스가 내장되는 케이블부 자체를 플렉시블하게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이동 및 연결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매 호스 상호 간의 연결 부위가 탄성수단에 의해 일정 힘으로 밀폐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공기조화기 작동과정에서 일시 점검이나 교체작업 필요한 경우 케이블부 실내기 또는 실외기와 분리되더라고, 각 냉매 호스의 단부를 냉매 누설은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부에 양단 부위 각각에 일정양의 냉매가 배출될 수 있는 배기홈을 형성함으로써, 케이블부를 실내외기와 분리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냉매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케이블의 개략적인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케이블에 있어 케이블부의 개략적인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케이블에 있어 제1, 2연결부의 개략적인 사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케이블에 있어 케이블부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케이블에 있어 제1, 2연결부와 케이블부 각각의 개략적인 측단면구성도.
도 6a 및 도 6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케이블에 있어 제1, 2연결부와 케이블부 상호 간의 개략적인 결합구성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케이블부에 있어 제1, 2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7b는 도 7a에 있어 A-A´라인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케이블부에 있어 케이블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8b는 도 8a에 있어 B-B´라인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
도 9는 도 7a 및 도 8a 각각에 개시된 케이블부와 제1, 2연결부 상호간의 개략적인 결합구성도.
도 10은 종래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다중케이블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케이블의 개략적인 전체구성도이며, 도 2 및 도 3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케이블에 있어 케이블부 및 제1, 2연결부의 개략적인 사시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케이블에 있어 케이블부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케이블에 있어 제1, 2연결부와 케이블부 각각의 개략적인 측단면구성도이다.
각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실내기(1)에 마련되는 제1연결부(10), 실외기(5)에 마련되는 제2연결부(20), 그리고 제1, 2연결부(10, 20) 상호 간을 연결하는 케이블부(30)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 이들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1연결부(10)에는 제1연결단(11), 제1, 2냉매호스(13, 15), 제1, 2수용체(14, 16), 제1전력통신선(17), 제1드레인호스(19)가 구비된다. 제1연결단(11)은 그 일단부위가 실내기(1)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그 타단부위는 실내기(1) 외부로 돌출된다. 도면부호 111은 나사산이다.
제1, 2냉매호스(13, 15) 각각은 냉매가 이동하는 통로로서, 외부 방열을 위한 저압냉매 및 실내 냉각을 위한 고압냉매가 이동한다. 제1, 2냉매호스(13, 15) 각각의 일단부위는 실내기(1) 내부로 일정길이 연장된다. 도면부호 131, 151 각각은 제1, 2냉매호스(13, 15) 각각의 타단부위와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결합단이다.
제1, 2수용체(14, 16) 각각은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 2냉매호스(13, 15) 각각의 타단부위와 연결되며, 각각의 타단부위는 제1연결단(11)의 타단부위로 노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2수용체(14, 16) 각각의 일단부위는 전술한 결합단(131, 151) 각각과 연결된다.
이때, 제1, 2수용체(14, 16) 각각에는 제1, 2지지판(141, 161), 제1, 2탄성수단(143, 163), 제1, 2개폐체(145, 165) 각각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2지지판(141, 161) 각각은 일정두께를 가지는 판상구조로 이루어져 제1, 2수용체(14, 16) 각각의 내부통로에 직교한 상태로 설치되며, 복수 개의 제1, 2관통공(142, 162) 각각이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제1, 2관통공 각각은 냉매가 이동하는 부분이다.
제1, 2개폐체(145, 165) 각각은 제1, 2수용체(14, 16) 각각의 내부통로를 개폐하는 수단으로,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 2지지판(141, 161)의 중앙부위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각각의 타단부위는 제1, 2수용체(14, 16) 각각의 타측부위로 연장된다. 이때, 제1, 2개폐체(145, 165) 각각의 타단부위는 테이퍼져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어 제1, 2수용체(14, 16) 각각의 타측부위 내면에는 환형의 제1, 2경사단(146, 166) 각각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2개폐체(145, 165)의 각각의 타단부위는 제1, 2경사단(146, 166) 각각과 밀착된다.
제1, 2탄성수단(143, 163) 각각은 제1, 2개폐체(145, 165) 각각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도면과 같이 제1, 2개폐체(145, 165) 각각의 외면을 감싸며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제1, 2개폐체(145, 165) 각각이 외력에 의해 일정거리 후퇴하면 제1, 2탄성수단(143, 163) 각각이 압축되며, 외력이 해제되면 제1, 2개폐체(145, 165) 각각은 전진하며 원위치로 복귀한다. 제1, 2탄성수단은 통상적인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전력통신선(17)은 실내기에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부분으로, 그 타단부위는 제1, 2냉매호스(13, 15) 각각의 일단부위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에서 제1연결단(11) 타단부위를 관통하여 노출되고, 그 일단부위는 실내기(1) 내부로 연장된다.
제1드레인호스(19)는 실내기의 작동과정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배출하는 부분으로, 그 타단부위는 제1, 2냉매호스(13, 15) 각각의 일단부위 타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제1연결단(11) 타단부위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그 일단부위는 실내기(1) 내부로 연장된다.
실외기(5)에 마련되는 제2연결부(20)에는 제1연결부(10)와 유사한 구성으로, 제2연결단(21), 제3, 4냉매호스(23, 25), 제3, 4수용체(24, 26), 제2전력통신선(27), 제2드레인호스(29) 각각이 구비된다.
제2연결단(21)은 그 타단부위가 실외기(5)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그 일단부위는 실외기(5) 외부로 돌출된다. 도면부호 211은 제2연결단(21)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이다.
제3, 4냉매호스(23, 25) 각각은 냉매가 이동하는 통로로서, 저압냉매 및 고압냉매 각각이 이동한다. 제3, 4냉매호스(23, 25) 각각의 타단부위는 실외기(5) 내부로 일정길이 연장된다. 도면부호 231, 251 각각은 제3, 4냉매호스(23, 25) 각각의 일단부위와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결합단이다.
제1, 2수용체(14, 16) 각각과 유사하게, 제3, 4수용체(14, 16) 각각 역시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각각의 타단부위는 제3, 4냉매호스(23, 25) 각각의 일단부위와 연결되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2연결단(21)의 일단부위로 노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 4수용체(24, 26) 각각의 타단부위는 전술한 결합단(231, 251) 각각과 연결된다.
제3, 4수용체(24, 26) 각각 역시 제1, 2수용체(14, 16) 각각과 유사하게 제3, 4지지판(241, 261), 제3, 4탄성수단(243, 263), 제3, 4개폐체(245, 265) 각각이 구비될 수 있다. 제3, 4지지판(241, 261) 각각은 일정두께를 가지는 판상구조로 이루어져 제3, 4수용체(24, 26) 각각의 내부통로에 직교한 상태로 설치되며, 냉매의 이동 통로인 복수 개의 제3, 4관통공(242, 262) 각각이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제3, 4개폐체(245, 265) 각각은 제3, 4수용체(24, 26) 각각의 내부통로를 개폐하는 수단으로, 각각의 타단부위는 제3, 4지지판(241, 261) 각각의 중앙부위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3, 4수용체(24, 26)의 각각의 일측부위로 연장된다. 이때, 제3, 4개폐체(245, 265) 각각의 일단부위는 테이퍼져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어 제3, 4수용체(24, 26) 각각의 일측부위 내면에는 환형의 제3, 4경사단(246, 266) 각각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3, 4개폐체(245, 266) 각각의 타단부위는 제3, 4경사단(246, 266) 각각과 밀착된다.
제3, 4탄성수단(243, 263) 각각은 제3, 4개폐체(245, 265) 각각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제3, 4개폐체(245, 265) 각각의 외면을 감싸며 위치한다. 제3, 4개폐체(245, 265) 각각이 외력에 의해 일정거리 후퇴하면 제3, 4탄성수단(243, 263) 각각이 압축되며, 외력이 해제되면 제3, 4개폐체(245, 265) 각각이 전진하며 원위치로 복귀한다. 제3, 4탄성수단 각각은 통상적인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전력통신선(27)은 케이블부(30)를 통해 실내기에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부분으로, 그 일단부위는 제3, 4냉매호스(23, 25) 각각의 일단부위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제2연결단(21) 일단부위를 관통하여 노출되고, 그 타단부위는 실외기(5) 내부로 연장된다.
제2드레인호스(29)는 케이블부(30)를 통해 전달되는 응축수를 배출하는 부분으로, 그 일단부위는 제3, 4냉매호스(13, 15) 각각의 일단부위 타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제2연결단(21) 일단부위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그 타단부위는 실외기(5) 내부로 연장된다.
케이블부(30)는 실내기(1) 및 실외기(5) 상호 간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연결튜브(31), 제3연결단(32), 제5, 6냉매호스(33, 35), 제1, 2삽입체(34, 36), 제3전력통신선(37), 제3드레인호스(39)가 구비된다.
연결튜브(31)는 케이블부(3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부분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며 내부가 빈 관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은 제5, 6냉매호스(33, 35), 제3전력통신선(37), 제3드레인호스(39) 각 사이에 폼(foam)과 같은 별도의 단열재가 충전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3연결단(32)은 제1연결부(10)의 제1연결단(11) 및 제2연결부(20)의 제2연결단(21) 각각과 결합되는 부분으로, 연결튜브(31)의 양단 부위에 마련된다. 즉, 일측에 마련되는 제2연결단(32)은 그 일단부위가 제1연결단(11)의 타단부위와 결합되고 그 타단 부위는 연결튜브(31)의 일단부위와 결합된다. 또한, 타측에 마련되는 제2연결단(32)은 그 타단부위가 제2연결단(21)의 일단부위와 결합되고, 그 일단부위는 연결튜브(31)의 타단부위와 결합된다. 도면부호 321은 제3연결단(32) 내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나사산이다.
제5, 6냉매호스(33, 35) 각각은 저압냉매 및 고압냉매가 이동하는 통로로서,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결튜브(31)에 내장된다. 도면부호 331, 351 각각은 제5, 6냉매호스(33, 35) 각각의 양단부위에 마련되는 금속재질의 결합단이다.
제1삽입체(34)는 일측에 마련되는 제3연결단(31)의 일단부위 상측 및 타측에 마련되는 제3연결단(31)의 타단부위 상측 각각을 관통하여 노출되어, 제1, 2연결부(10, 20) 각각의 제1, 3수용체(14, 24) 각각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삽입체(34)의 일단부위는 일측에 마련되는 제3연결단(31)의 일단부위 상측을 관통하여 노출되어 제1연결부(10)의 제1수용체(14)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제1삽입체(34)의 타단부위는 타측에 마련되는 제3연결단(31)의 타단부위 상측을 관통하여 노출되어 제2연결부(20)의 제3수용체(24)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제2삽입체(36)는 일측에 마련되는 제3연결단(31)의 일단부위 하측 및 타측에 마련되는 제3연결단(31)의 타단부위 하측 각각을 관통하여 노출되어, 제1, 2연결부(10, 20) 각각의 제2, 4수용체(16, 26) 각각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삽입체(36)의 일단부위는 일측에 마련되는 제3연결단(31)의 일단부위 하측을 관통하여 노출되어 제1연결부(10)의 제2수용체(16)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제2삽입체(36)의 타단부위는 타측에 마련되는 제3연결단(31)의 타단부위 하측을 관통하여 노출되어 제2연결부(20)의 제4수용체(26)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제5냉매호스(33)의 일단부위 및 타단부위 각각은 일측의 제1삽입체(34) 타단부위 및 타측의 제1삽입체(34) 일단부위 각각과 연결되며, 제6냉매호스(35)의 일단부위 및 타단부위 각각은 일측의 제2삽입체(36) 타단부위 및 타측의 제2삽입체(36) 일단부위 각각과 연결된다.
또한 전술한 수용체의 구성과 유사하게, 제1, 2삽입체(34, 36) 각각 역시 제5, 6지지판(341, 361), 제5, 6탄성수단(343, 363), 제5, 6개폐체(345, 365) 각각이 구비될 수 있다. 제5, 6지지판(341, 361) 각각은 일정두께를 가지는 판상구조로 이루어져 제1, 2삽입체(34, 36) 각각의 내부통로에 직교한 상태로 설치되며, 냉매의 이동 통로인 복수 개의 제5, 6관통공(342, 362) 각각이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제5, 6개폐체(345, 365) 각각은 제1, 2삽입체(34, 36) 각각의 내부통로를 개폐하는 수단이다. 일측에 마련되는 제1, 2삽입체(34, 36) 각각에 구비되는 제5, 6개폐체(345, 365) 각각은, 그 타단부위가 제5, 6지지판(341, 361) 각각의 중앙부위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그 일단부위 각각은 일측에 마련되는 제1, 2삽입체(34, 35) 각각의 내부공간 일측부위로 연장된다.
또한, 타측에 마련되는 제1, 2삽입체(34, 36) 각각에 구비되는 제5, 6개폐체(345, 365) 각각은, 그 일단부위가 제5, 6지지판(341, 361) 각각의 중앙부위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그 타단부위 각각은 타측에 마련되는 제1, 2삽입체(34, 35) 각각의 내부공간 타측부위로 연장된다.
이때, 제5, 6개폐체(345, 365) 각각의 일단부위는 테이퍼져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어 일측에 마련되는 제1, 2삽입체(34, 36) 각각의 일측부위 내면 및 타측에 마련되는 제1, 2삽입체(34, 36) 각각의 타측부위 내면 각각에는 환형의 제5, 6경사단(346, 366) 각각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5, 6개폐체(345, 365) 각각의 타단부위는 제5, 6경사단(346, 366) 각각과 밀착된다.
제5, 6탄성수단(343, 363) 각각은 제5, 6개폐체(345, 365) 각각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제5, 6개폐체(345, 365) 각각의 외면을 감싸며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제5, 6개폐체(345, 365) 각각이 외력에 의해 일정거리 후퇴하면 제5, 6탄성수단(343, 363) 각각이 압축되며, 외력이 해제되면 제5, 6개폐체(345, 365) 각각은 전진하며 원위치로 복귀한다. 제5, 6탄성수단은 통상적인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전력통신선(37)은 일정길이를 가지며 연결튜브(31)에 내장되며, 그 일단부위는 제5, 6냉매호스(34, 36) 각각의 일단부위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일측에 마련되는 제3연결단(32)의 일단부위를 관통하여 노출되어 제1연결부(10)의 제1전력통신선(17) 타단부위와 연결되고, 그 타단부위는 제5, 6냉매호스(34, 36) 각각의 타단부위 타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타측에 마련되는 제3연결단(32)의 타단부위를 관통하여 노출되어 제2연결부(20)의 제2전력통신선(27) 일단부위와 연결된다.
제3드레인호스(39)는 일정길이를 가지며 연결튜브(31)에 내장되며, 그 일단부위는 제5, 6냉매호스(34, 36) 각각의 일단부위 타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일측에 마련되는 제3연결단(32)의 일단부위를 관통하여 노출되어 제1연결부(10)의 제1드레인호스(19) 타단부위와 연결되고, 그 타단부위는 제5, 6냉매호스(34, 36) 각각의 타단부위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타측에 마련되는 제3연결단(32)의 타단부위를 관통하여 노출되어 제2연결부(20)의 제2드레인호스(29) 일단부위와 연결된다.
즉, 실내기(1)의 제1연결부(10) 및 실외기(5)의 제2연결부(20) 각각에 마련되는 제1전력통신선(17), 제1드레인호스(19) 각각의 타단부위 및 제2전력통신선(27), 제2드레인호스(29) 각각의 일단부위는 케이블부(30)에 마련되는 제3전력통신선(37), 제3드레인호스(39) 각각의 일단부위 및 타단부위 각각과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실내기(1)의 제1연결부(10) 및 실외기(5)의 제2연결부(20) 각각에 마련되는 제1, 2냉매호스(13, 15) 각각의 타단부위 및 제3, 4냉매호스(23, 25)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 2수용체(14, 24) 각각에 매개되어 케이블부(30)에 마련되는 제5, 6냉매호스(34, 36) 각각의 일단부위 및 타단부위에 매개되는 제1, 2삽입체(35, 37)와 연결된다.
즉, 도 6a 및 도 6b 각각과 같이, 제1, 2연결부(10, 20)에 있어 제1, 2연결단(11, 21) 각각의 외면에 마련되는 나사산(111, 211) 각각이, 케이블부(30)의 양단부위 각각에 마련되는 제3연결단(32)의 내면에 마련되는 나사산(321) 각각과 치합되면서 결합될 때, 케이블부(30)의 양단부위에 마련되는 제1, 2삽입체(34, 36) 각각이 제1, 2연결부(10, 20) 각각에 마련되는 제1, 2수용체(14, 24) 각각에 자연스럽게 삽입되며 긴밀하게 밀착되어 결합된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본 발명은 숙련공이 아니라 할지라도 제1, 2연결부(10, 20) 각각의 단부에 케이블부(30)의 양측 단부와 단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실내기(1)와 실외기(5) 사이의 배관 연결을 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이러한 단순한 연결 작업만 수행하더라도 냉매 호스 상호 간은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음 부위를 통해 냉매가 누설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제1, 2삽입체(34, 36) 각각의 내부통로는 제5, 6개폐체(345, 365) 각각에 의해 개폐되고, 제1, 2, 3, 4수용체(14, 16, 24, 26) 각각의 내부통로는 제1, 2, 3, 4개폐체(145, 165, 245, 265) 각각에 의해 개폐되며, 이들 제1, 2, 3, 4, 5, 6개폐체(145, 165, 245, 265, 345, 365) 각각은 일정 복원력을 가지는 제1, 2, 3, 4, 5, 6탄성수단(143, 163, 243, 263, 343, 363) 각각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이다.
이럴 경우, 공기조화기 작동과정에서 일시 점검이나 교체, 또는 이동 설치가 필요한 경우 실외기(1) 및 실내기(5) 각각으로부터 케이블부(30)가 분리되더라도, 제1, 2연결부(10, 20) 각각의 타단부위 및 일단부위, 그리고 케이블부(30)의 양단부위 각각은 각 탄성수단의 복원력에 의해 각 개폐체가 내부통로를 폐쇄한다.
즉, 실외기 및 실내기 각각의 냉매호스, 그리고 케이블부 내부의 냉매호스는 외부와의 연결이 완전히 단절되며, 냉매호스 내부에 채워져 있던 냉매는 일정양이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점검이나 교체가 완료되거나, 또는 이동설치가 완료되면 별도의 냉매 보충 없이도 정상적인 작동을 담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 2수용체(14, 16) 각각의 타측부위 내면에는 복수 개의 제1, 2냉매배기홈(147, 167)이 형성되고, 제3, 4수용체(24, 26) 각각의 일측부위 내면에는 복수 개의 제3, 4냉매배기홈(247, 267)이 형성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이때, 각 냉매배기홈은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조화기에 있어 실내기나 실외기를 점검 및 교체하거나, 또는 이동 설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냉매호스가 내장된 케이블을 실내기나 실외기로부터 분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때, 냉매호스에는 일정양의 냉매가 채워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케이블을 실내기나 실외기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배관에 채워져 있던 냉매가 빠져나가며 큰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음은 물론 냉매의 압력으로 인해 부품이 튕겨져 나가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제1, 2, 3, 4수용체(14, 16, 24, 26) 각각에 제1, 2, 3, 4냉매배기홈(147, 167, 247, 267) 각각을 형성하게 되면, 도 6a와 같이 케이블부(30)의 양단부위 각각이 제1, 2연결부(10, 20) 각각과 분리되는 시점에서, 제1, 2삽입체(34, 36)의 양단부위 외면과 제1, 2수용체(14, 16)의 타단부위 내면 및 제3, 4수용체(24, 26)의 일단부위 내면 사이에는 일정크기의 공간이 형성된다.
케이블부의 양단부위 각각이 실내기의 제1연결부 및 실외기의 제2연결부 각각과 분리될 때, 케이블부, 실내기, 실외기 각각의 냉매호스 단부는 각 탄성수단의 복원력에 의해 각 개폐체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밀폐되어 냉매의 누설이 방지되나, 케이블부의 삽입체 및 제1, 2연결부 각각의 수용체 사이 공간에 일정양의 냉매가 잔존한다.
이처럼 케이블부의 삽입체 및 제1, 2연결부 각각의 수용체 사이 공간에 잔존하는 일정양의 냉매는, 제1, 2삽입체의 양단부위 외면과 제1, 2수용체의 타단부위 내면 및 제3, 4수용체의 일단부위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바로 이 공간을 통해 조금씩 빠져나가게 된다. 이에 따라, 냉매의 압력은 자연스럽게 저하되어 종래와 같은 사고는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부(30)와 제1, 2연결부(10, 20) 상호간의 정확하고 편리한 결합을 위해, 도 8a 내지 도 9b 각각과 같이 제1연결단(11)에는 제1, 2가이드공(181, 182)이 형성되고, 제2연결단(21)에는 제3, 4가이드공(281, 282)이 형성되며, 제3연결단(32)에는 제1, 2가이드핀(381, 382) 각각이 형성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제1가이드공(181)은 제1연결단(11)에 있어 제1수용체(14)의 타단부위와 제1전력통신선(19)의 타단부위 사이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며, 제2가이드공(182)은 제2수용체(16)의 타단부위와 제1드레인호스(17)의 타단부위 사이에 일정깊이로 형성된다.
제3가이드공(281)은 제2연결단(21)에 있어 제3수용체(24)의 일단부위와 제3전력통신선(39)의 일단부위 사이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며, 제4가이드공(282)은 제4수용체(26)의 일단부위와 제2드레인호스(27)의 일단부위 사이에 일정깊이로 형성된다.
제1가이드핀(381)은 일측의 제3연결단(32)에 있어 제1삽입체(34)의 일단부위와 제3전력통신선(37)의 일단부위 사이 및 타측의 제3연결단(32)에 있어 제1삽입체(34)의 타단부위와 제3전력통신선(37)의 타단부위 사이 각각에서 일정길이로 돌출된다.
제2가이드핀(382)은 일측의 제3연결단(32)에 있어 제2삽입체(36)의 일단부위와 제3드레인호스(39)의 일단부위 사이 및 타측의 제3연결단(32)에 있어 제2삽입체(36)의 타단부위와 제3드레인호스(39)의 타단부위 사이 각각에서 일정길이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도 9와 같이 작업자가 케이블부(30)를 제1, 2연결부(10, 20) 각각과 결합시킬 때, 케이블부(30)의 양단부위 각각에 마련되는 제1가이드핀(381) 각각은 제1, 2연결부(10, 20)의 제1, 3가이드공(181, 281) 각각에 삽입하고, 제2가이드핀(382) 각각은 제1, 2연결부(10, 20)의 제2, 4가이드공(182, 282) 각각에 삽입하게 되면, 냉매호스, 전력통신선, 드레인호스 각각은 정확하게 일치되어 상호 연결된다.
이때, 본 발명은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 2가이드핀(381, 382) 각각의 직경을 달리 형성하고, 제1, 3가이드공(181, 281) 및 제2, 4가이드공(182, 282) 각각을 제1, 2가이드핀(381, 382) 각각의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이처럼, 제1, 2가이드핀(381, 382) 각각의 직경을 달리 형성하고 그에 대응되게 제1, 3, 2, 4가이드공(181, 281, 182, 282) 각각의 직경을 형성하게 되면, 굳이 각 냉매호스의 위치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 대응되는 가이드공에 가이드핀을 단순하게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케이블부와 제1, 2연결부 상호간의 정확한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부(30)를 이루는 연결튜브(31) 및 제1, 2, 3, 4, 5, 6냉매호스(13, 15, 23, 25, 34, 36), 그리고 제3드레인호스(39) 각각이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실내기(1)의 제1연결부(10)와 실외기(5)의 제2연결부(20)를 케이블부(30)로서 연결함에 있어, 케이블부(30)의 외피를 이루는 연결튜브 및 냉매의 이동통로로서 케이블부(30)에 내장되어 냉매호스, 그리고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제3드레인호스 각각이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면, 케이블부(30) 자체가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함은 물론 설치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실내기 5 : 실외기
10 : 제1연결부 11 : 제1연결단
13, 15 : 제1, 2냉매호스 14, 16 : 제1, 2수용체
17 : 제1전력통신선 19 : 제1드레인호스
20 : 제2연결부 21 : 제2연결단
23, 25 : 제3, 4냉매호스 24, 26 : 제3, 4수용체
27 : 제2전력통신선 29 : 제2드레인호스
30 : 케이블부 31 : 연결튜브
32 : 제3연결단 33, 35 : 제5, 6냉매호스
34, 36 : 제1, 2삽입체 37 : 제3전력통신선
39 : 제3드레인호스
181, 182, 281, 282 : 제1, 2, 3, 4가이드공
381, 382 : 제1, 2가이드핀

Claims (5)

  1. 일단부위는 실내기(1)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실내기(1) 외부로 돌출되는 제1연결단(11),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각 내부에는 제1, 2탄성수단(143, 163)에 의해 지지되는 제1, 2개폐체(145, 165) 각각이 동축상에 마련되며 각각의 타단부위는 제1연결단(11)의 타단부위로 노출되는 제1, 2수용체(14, 16), 각각의 타단부위는 제1, 2수용체(14, 16) 각각의 일단부위와 연결되고 각각의 일단부위는 실내기(1) 내부로 연장되는 제1, 2냉매호스(13, 15), 타단부위는 제1, 2수용체(14, 16) 각각의 타단부위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연결단(11) 타단부위를 관통하여 노출되고 일단부위는 실내기(1) 내부로 연장되는 제1전력통신선(17), 타단부위는 제1, 2수용체(14, 16) 각각의 타단부위 타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연결단(11) 타단부위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일단부위는 실내기(1) 내부로 연장되는 제1드레인호스(19)가 마련되는 제1연결부(10);
    타단부위는 실외기(5)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일단부위는 실외기(5) 외부로 돌출되는 제2연결단(21),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각 내부에는 제3, 4탄성수단(243, 263)에 의해 지지되는 제3, 4개폐체(245, 265) 각각이 동축상에 마련되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2연결단(21)의 일단부위로 노출되는 제3, 4수용체(24, 26),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3, 4수용체(24, 26) 각각의 타단부위와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부위는 실외기(5) 내부로 연장되는 제3, 4냉매호스(23, 25), 일단부위는 제3, 4냉매호스(23, 25) 각각의 일단부위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2연결단(21) 일단부위를 관통하여 노출되고 타단부위는 실외기(5) 내부로 연장되는 제2전력통신선(27), 일단부위는 제3, 4냉매호스(23, 25) 각각의 일단부위 타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2연결단(21) 일단부위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부위는 실외기(5) 내부로 연장되는 제2드레인호스(29)가 마련되는 제2연결부(20);
    일정길이를 가지는 연결튜브(31), 연결튜브(31)의 양단부위 각각에 마련되어 제1, 2연결단(11, 21) 각각과 결합되는 제3연결단(32), 내부에는 제5탄성수단(343)에 의해 지지되는 제5개폐체(345)가 동축상에 마련되며 일측 제3연결단(32)의 일단부위 상측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일단부위는 제1연결부(10)의 제1수용체(14)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측 제3연결단(32)의 타단부위 상측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타단부위는 제2연결부(20)의 제3수용체(2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삽입체(34), 내부에는 제6탄성수단(363)에 의해 지지되는 제6개폐체(365)가 동축상에 마련되며 일측 제3연결단(32)의 일단부위 하측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일단부위는 제1연결부(10)의 제2수용체(16)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측 제3연결단(32)의 타단부위 하측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타단부위는 제2연결부(20)의 제4수용체(26)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삽입체(36),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결튜브(31)에 내장되되 각각의 일단부위는 일측 제1, 2삽입체(34, 36) 각각의 타단부위와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부위는 타측 제1, 2삽입체(34, 36) 각각의 일단부위와 연결되는 제5, 6냉매호스(33, 35), 연결튜브(31)에 내장되되 일단부위는 일측 제3연결단(32)의 일단부위를 관통하여 노출되어 제1연결부(10)의 제1전력통신선(17) 타단부위와 연결되고 타단부위는 타측 제3연결단(32)의 타단부위를 관통하여 노출되어 제2연결부(20)의 제2전력통신선(27) 일단부위와 연결되는 제3전력통신선(37), 일정길이를 가지며 연결튜브(31)에 내장되되 일단부위는 일측 제3연결단(32)의 일단부위를 관통하여 노출되어 제1연결부(10)의 제1드레인호스(19) 타단부위와 연결되고 타단부위는 타측 제3연결단(32)의 타단부위를 관통하여 노출되어 제2연결부(20)의 제2드레인호스(29) 일단부위와 연결되는 제3드레인호스(39)가 마련되는 케이블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내기와 실외기 상호 간을 연결하는 다중케이블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수용체(14, 16) 각각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제1, 2관통공(142, 162) 각각이 형성되는 제1, 2지지판(141, 161)이 마련되며, 상기 제1, 2개폐체(145, 165)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 2지지판(141, 161) 각각의 중앙부위에 관통하여 삽입되고 테이퍼진 각각의 타단부위는 제1, 2수용체(14, 16) 각각의 타측부위 내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제1, 2경사단(146, 166) 각각과 밀착되고, 상기 제1, 2탄성수단(143, 163) 각각은 제1, 2개폐체(145, 165) 각각의 외면을 감싸며 위치하며; 상기 제3, 4수용체(24, 26) 각각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제3, 4관통공(242, 262) 각각이 형성되는 제3, 4지지판(241, 261)이 마련되며, 상기 제3, 4개폐체(245, 265) 각각의 타단부위는 제3, 4지지판(241, 261) 각각의 중앙부위에 관통하여 삽입되고 테이퍼진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3, 4수용체(24, 26) 각각의 일측부위 내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제3, 4경사단(246, 266) 각각과 밀착되고, 상기 제3, 4탄성수단(243, 263) 각각은 제3, 4개폐체(245, 265) 각각의 외면을 감싸며 위치하고; 상기 제1, 2삽입체(34, 36) 각각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제5, 6관통공(342, 362) 각각이 형성되는 제5, 6지지판(341, 361)이 마련되며, 상기 제5, 6개폐체(345, 365) 각각의 타단부위는 제5, 6지지판(341, 361) 각각의 중앙부위에 관통하여 삽입되고 테이퍼진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 2삽입체(34, 36) 각각의 일측부위 내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제5, 6경사단(346, 366) 각각과 밀착되고, 상기 제5, 6탄성수단(343, 363) 각각은 제5, 6개폐체(345, 365) 각각의 외면을 감싸며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와 실외기 상호 간을 연결하는 다중케이블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수용체(14, 16) 각각의 타측부위 내면에는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2냉매배기홈(147, 167)이 형성되고; 상기 제3, 4수용체(24, 26) 각각의 일측부위 내면에는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3, 4냉매배기홈(247, 26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와 실외기 상호 간을 연결하는 다중케이블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11)에 있어 제1수용체(14)의 타단부위와 제1전력통신선(19)의 타단부위 사이에는 제1가이드공(18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단(11)에 있어 제2수용체(16)의 타단부위와 제1드레인호스(17)의 타단부위 사이에는 제2가이드공(182)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단(21)에 있어 제3수용체(24)의 일단부위와 제3전력통신선(39)의 일단부위 사이에는 제3가이드공(28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단(21)에 있어 제4수용체(26)의 일단부위와 제2드레인호스(27)의 일단부위 사이에는 제4가이드공(282)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 제3연결단(32)에 있어 제1삽입체(34)의 일단부위와 제3전력통신선(37)의 일단부위 사이 및 타측 제3연결단(32)에 있어 제1삽입체(34)의 타단부위와 제3전력통신선(37)의 타단부위 사이 각각에는 일정길이의 제1가이드핀(381)이 돌출되어 제1, 3가이드공(181, 281) 각각에 삽입되고; 상기 일측 제3연결단(32)에 있어 제2삽입체(36)의 일단부위와 제3드레인호스(39)의 일단부위 사이 및 타측 제3연결단(32)에 있어 제2삽입체(36)의 타단부위와 제3드레인호스(39)의 타단부위 사이 각각에는 일정길이의 제2가이드핀(382)이 돌출되어 제2, 4가이드공(182, 282) 각각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와 실외기 상호 간을 연결하는 다중케이블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튜브(31), 제1, 2, 3, 4, 5, 6냉매호스(13, 15, 23, 25, 34, 36), 제3드레인호스(39) 각각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와 실외기 상호 간을 연결하는 다중케이블 구조.
KR1020190065205A 2019-06-03 2019-06-03 실내기와 실외기 상호 간을 연결하는 다중케이블 구조 KR102011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205A KR102011685B1 (ko) 2019-06-03 2019-06-03 실내기와 실외기 상호 간을 연결하는 다중케이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205A KR102011685B1 (ko) 2019-06-03 2019-06-03 실내기와 실외기 상호 간을 연결하는 다중케이블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685B1 true KR102011685B1 (ko) 2019-08-19

Family

ID=67807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205A KR102011685B1 (ko) 2019-06-03 2019-06-03 실내기와 실외기 상호 간을 연결하는 다중케이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6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2565A (zh) * 2019-11-13 2020-02-21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空调器室内、外机的连接结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125A (ko) * 2002-02-14 2002-04-03 황성수 매립관을 포함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JP2002277003A (ja) * 2001-03-19 2002-09-25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KR200311116Y1 (ko) * 2003-01-09 2003-04-23 영보화학 주식회사 에어컨용 배관선 장치
KR100437727B1 (ko) 2002-02-16 2004-06-30 에어컨테크 주식회사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KR20050044821A (ko) * 2003-11-08 2005-05-13 주식회사 에이티에이 에어컨 설치용 배관의 시공방법 및 시공장치
JP5047292B2 (ja) * 2007-08-10 2012-10-10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7003A (ja) * 2001-03-19 2002-09-25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KR20020025125A (ko) * 2002-02-14 2002-04-03 황성수 매립관을 포함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KR100437727B1 (ko) 2002-02-16 2004-06-30 에어컨테크 주식회사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KR200311116Y1 (ko) * 2003-01-09 2003-04-23 영보화학 주식회사 에어컨용 배관선 장치
KR20050044821A (ko) * 2003-11-08 2005-05-13 주식회사 에이티에이 에어컨 설치용 배관의 시공방법 및 시공장치
JP5047292B2 (ja) * 2007-08-10 2012-10-10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2565A (zh) * 2019-11-13 2020-02-21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空调器室内、外机的连接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1754A (ko) 에어컨 매설 배관 교체방법
KR102011685B1 (ko) 실내기와 실외기 상호 간을 연결하는 다중케이블 구조
KR101185556B1 (ko) 파이프 연결소켓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US6615860B2 (en) Fire block conduit coupler
EP0795942B1 (en) Gas distribution network with information transmission cable
CN104708164B (zh) 一种接头及使用该接头的充氮焊接联接装置
CN105953004A (zh) 一种消防水带接口连接器
CN204818362U (zh) 接头及使用该接头的充氮焊接联接装置
CN106091310B (zh) 一种模块化可自由组合的地面送风分配器
CN110630837B (zh) 转接接头
CN214405090U (zh) 一种高压气动快装型接头
CN210917945U (zh) 一种集成板
KR20090009534U (ko) 매립 작업이 용이한 공기조화기용 분배기 박스
JPH08240328A (ja) セパレート型空気調和機
KR102145874B1 (ko) 건축물용 통신과 전기케이블 방수관 장치
KR20100063422A (ko) 공기조화기용 매입배관의 연결장치
KR200421892Y1 (ko) 에어컨 배관용 보온재의 구조
KR100513250B1 (ko) 에어컨 설치용 배관의 시공방법 및 시공장치
KR20100037227A (ko) 급수설비 및 그 시공 방법
KR200438741Y1 (ko) 에어컨 설치배관용 플러그
KR20130094946A (ko) 결로방지용 에어컨 배관 조인트박스
KR20120055151A (ko) 공기조화기용 배관재 및 그 제조방법
CN211410815U (zh) 一种安装便捷的高密封性消防管
CN216210135U (zh) 气吹光缆固定装置和气吹光缆***
KR20200037709A (ko) 전력구 소화설비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