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125B1 -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125B1
KR102011125B1 KR1020180173988A KR20180173988A KR102011125B1 KR 102011125 B1 KR102011125 B1 KR 102011125B1 KR 1020180173988 A KR1020180173988 A KR 1020180173988A KR 20180173988 A KR20180173988 A KR 20180173988A KR 102011125 B1 KR102011125 B1 KR 102011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pipe
block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숙
Original Assignee
최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숙 filed Critical 최경숙
Priority to KR1020180173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 F16K47/023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for preventing water-hammer, e.g. damping of the valv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의 공급원과 연결되도록 제1결합단턱 및 완충공간부를 구비하고, 제1유로를 형성하는 제1배관; 상기 제1유로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2유로를 구비하고, 제2결합단턱을 구비하여 상기 제1배관과 일체로 연결되는 제2배관;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의 연결부위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고, 안착턱부 및 와류공간부를 구비하는 개폐구;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을 구획하도록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의 연결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구에 대향되는 통과홀부를 구비하는 개폐격벽; 상기 개폐구를 따라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이 볼트결합되고, 상기 개폐구에 설치되는 개폐블록;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통과홀부를 개폐하는 마개부재; 상기 개폐블록을 구속시키도록 상기 개폐구에 결합되는 마감캡; 상기 구동축을 출몰시키도록 상기 구동축에 일체로 연결되는 레버부재; 및 상기 마감캡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개폐블록과 상기 개폐구 사이의 간격을 마감하는 착탈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 {Sealing type valve unit equipped with inclined opening and closing hole}
본 발명은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가 흐르는 유로와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말찰요소를 최소화하면서 유로를 개폐할 수 있고, 밸브의 개폐작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는 개폐구를 통해 유체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마개부재의 교체작업이 진행될 때에 개폐블록을 용이하게 착칼시킬 수 있는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는 유체를 통하게 하거나 차단 또는 제어하기 위해 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가동 기구를 가진 기기를 말하며 밸브의 양측에는 각각 관로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구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의 결합구는 관로와 결합될 때 관로 내부를 고압으로 흐르는 유체가 결합구와 관로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누출될 수 있기 때문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장치가 결합되게 된다.
한국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80098호는 관 연결용 체결부재의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한 측부에 결합홈을 형성하는 바디와, 결합홈에 내입되어 압착되는 슬리브와, 결합홈에 연결관이 끼워진 상태로 나사결합으로 체결하는 압착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슬리브는 전방부의 외면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바디의 결합홈 내측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경사부가 접촉으로 압착너트가 조여주면 경사부가 내측으로 구부러져 연결관에 압착되도록 하는 관연결용 체결부재의 슬리브에 있어서, 슬리브 후단부의 외측 둘레에 외측곡면부를 형성하면서 후단부의 내측으로 패킹 내입홈을 형성하여 바디에 체결되는 압착너트에 형성한 내측곡면부가 외측곡면부에 밀착한 상태로 눌러 패킹 내입홈이 오므라져서 패킹 내입홈에 끼워진 패킹이 연결관에 압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용 체결부재의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기계의 진동에 의해 너트가 조금이라도 풀리게 되면 슬리브 및 패킹을 가압하는 힘이 줄어들기 때문에 틈이 발생하게 되어 유체가 외부로 누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탄성력을 이용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밸브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어 하우징의 유로에 흐르는 유체를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는 조절장치와, 하우징의 유로와 연결되는 제1관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구와, 결합구의 제1관로가 내부로 삽입되도록 연결되며 재질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관로와 밀착되는 제2관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4895호(2018년 09월 04일 공고, 발명의 명칭 : 탄성력을 이용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밸브는, 조절장치가 유체가 흐르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므로 밸브의 개폐작동을 행할 때에 조절장치에 의해 유체의 흐름이 방해되어 유체의 공급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밸브는, 장기간 동안 개폐작동이 반복되면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마개부재가 마모되어 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유체가 마개부재와 밸브 유로 사이의 간격으로 유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마개부재를 별도로 분리하여 교체하기 어려워 밸브 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유체가 흐르는 유로와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말찰요소를 최소화하면서 유로를 개폐할 수 있고, 밸브의 개폐작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는 개폐구를 통해 유체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마개부재의 교체작업이 진행될 때에 개폐블록을 용이하게 착칼시킬 수 있는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체의 공급원과 연결되도록 제1결합단턱 및 완충공간부를 구비하고, 제1유로를 형성하는 제1배관; 상기 제1유로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2유로를 구비하고, 제2결합단턱을 구비하여 상기 제1배관과 일체로 연결되는 제2배관;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의 연결부위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고, 안착턱부 및 와류공간부를 구비하는 개폐구;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을 구획하도록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의 연결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구에 대향되는 통과홀부를 구비하는 개폐격벽; 상기 개폐구를 따라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이 볼트결합되고, 상기 개폐구에 설치되는 개폐블록;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통과홀부를 개폐하는 마개부재; 상기 개폐블록을 구속시키도록 상기 개폐구에 결합되는 마감캡; 상기 구동축을 출몰시키도록 상기 구동축에 일체로 연결되는 레버부재; 및 상기 마감캡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개폐블록과 상기 개폐구 사이의 간격을 마감하는 착탈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착탈고정부는, 상기 개폐블록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폐블록이 상기 안착턱부에 지지되어 상기 개폐블록 내부로 삽입되는 작동블록; 상기 작동블록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개폐블록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개폐구 내벽에 밀착되는 실링블록; 상기 실링블록을 상기 개폐블록 외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작동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실링블록이 수납되는 공간부에 삽입되는 가압대; 상기 실링블록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작동블록이 상기 개폐블록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개부재의 마모가 진행되어 유체가 유실되면 상기 개폐블록을 상기 개폐구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구동축과 상기 마개부재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과 상기 마개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교체착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배관의 지름은 상기 제2배관의 지름과 비교하여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배관과 상기 개폐격벽 사이에는 상기 제2배관와 비교하여 지름이 짧은 제1가속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격벽과 상기 제2배관 사이에는 상기 제1가속부와 비교하여 지름이 짧은 제2가속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1가속부 사이에는 상기 개폐격벽에 충돌되어 후진하는 유체가 일정 시간 동안 머물면서 충격을 상쇄시키도록 상기 제1배관과 비교하여 지름이 길게 형성되는 상기 완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공간부와 상기 제1가속부 사이에는 후진되는 유체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찰턱부와 상기 완충공간부 사이에는 상기 마찰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가 상기 완충공간부 내측으로 안내되도록 제1곡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는, 유체가 흐르는 유로로부터 일정 각도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개폐구가 형성되므로 개폐구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래부재가 개폐작동을 행할 때에 유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가 마개부재와 간섭되면서 발생되는 유체 흐름의 방해는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는, 마감캡의 조작에 의해 마개부재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개폐블록을 구속 또는 해제할 수 있으므로 마개부재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는, 마감캡의 체결력에 의해 개폐블록과 개폐구 사이의 간격을 차단하여 개폐구를 통해 유체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착탈고정부가 구비되므로 장기간 동안 밸브의 개폐작동을 반복하여도 개폐구를 통해 유체가 유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는, 마감캡의 해체작업과 착탈고정부의 개방작업이 연동되어 이루어지므로 밸브 내부에 위치하여 개폐작동을 행하는 마개부재만을 별도로 분리시킬 수 있어 마개부재만을 용이하게 교체하고, 밸브의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는, 마개부재를 구동축에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교체착탈부가 구비되므로 마개부재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개폐부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개폐부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는, 유체의 공급원과 연결되도록 제1결합단턱(12) 및 완충공간부(14)를 구비하고, 제1유로를 형성하는 제1배관(10)과, 제1유로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2유로를 구비하고, 제2결합단턱(32)을 구비하여 제1배관(10)과 일체로 연결되는 제2배관(30)과, 제1배관(10)과 제2배관(30)의 연결부위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고, 안착턱부(52) 및 와류공간부(54)를 구비하는 개폐구(50)와, 제1배관(10)과 제2배관(30)를 구획하도록 제1배관(10)과 제2배관(30)의 연결부위에 형성되고, 개폐구(50)에 대향되는 통과홀부(72)를 구비하는 개폐격벽(70)과, 개폐구(50)를 따라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102)과, 구동축(102)이 볼트결합되고, 개폐구(50)에 설치되는 개폐블록(100)과, 구동축(102)에 설치되고, 통과홀부(72)를 개폐하는 마개부재(108)와, 개폐블록(100)을 구속시키도록 개폐구(50)에 결합되는 마감캡(106)과, 구동축(102)을 출몰시키도록 구동축(102)에 일체로 연결되는 레버부재(104)와, 마감캡(106)의 체결력에 의해 개폐블록(100)과 개폐구(50) 사이의 간격을 마감하는 착탈고정부(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개폐구(50)는 유체가 흐는 제1배관(10) 및 제2배관(30)와 비교하여 40~50도 경사지게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45도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개폐구(50)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개폐격벽(70)에 형성되는 통과홀부(72)를 개폐하여 유체의 공급 또는 차단을 행할 때에 제1배관(10) 및 제2배관(30)를 따라 흐르는 유체가 마개부재(108) 또는 구동축(102)에 간섭되면서 유체의 흐름이 방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마개부재(108) 및 구동축(102)이 유체가 흐는 방향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유체가 마개부재(108) 및 구동축(102)에 접촉되어도 경사면을 따라 유체가 슬라이딩되므로 유체와 마개부재(108) 또는 구동축(102)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마찰손실이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1배관(10)의 지름은 제2배관(30)의 지름과 비교하여 길게 형성되고, 제1배관(10)과 개폐격벽(70) 사이에는 제2배관(30)와 비교하여 지름이 짧은 제1가속부(80)가 구비되고, 개폐격벽(70)과 제2배관(30) 사이에는 제1가속부(80)와 비교하여 지름이 짧은 제2가속부(92)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1배관(10)를 지나 제1가속부(80) 및 제2가속부(92)를 통과하는 유체는 이동속도가 상승하게 되어 개폐격벽(70)에 형성되는 통과홀부(72)를 빠르게 통과하게 되어 개페격벽에 의한 유체의 흐름이 방해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1배관(10)과 제1가속부(80) 사이에는 개폐격벽(70)에 충돌되어 후진하는 유체가 일정 시간 동안 머물면서 충격을 상쇄시키도록 제1배관(10)과 비교하여 지름이 길게 형성되는 완충공간부(14)가 형성되므로 개폐격벽(70)에 충돌되어 일정량 역류되는 유체가 완충공간부(14) 내부에 담수된 후에 다시 전진되므로 개폐격벽(70)에 의해 유체의 역류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완충공간부(14)와 제1가속부(80) 사이에는 후진되는 유체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턱부(86)가 형성되고, 마찰턱부(86)와 완충공간부(14) 사이에는 마찰턱부(86)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가 완충공간부(14) 내측으로 안내되도록 제1곡선부(82)가 형성된다.
따라서 개폐격벽(70)에 충돌된 후에 역류되는 유체는 마찰턱부(86)에 의해 일부분 와류가 발생되면서 제1곡선부(82)를 따라 완충공간부(14) 내부에 머무르게 되므로 제1배관(10) 및 제1가속부(80)의 중앙부를 따라 전진하는 유체의 흐름을 최소로 방해하게 된다.
또한, 마찰턱부(86)와 개폐격벽(70) 사이에는 제2곡선부(84)가 형성되고, 제2곡선부(84)와 연결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제1가속부(80)를 통과하는 유체가 개폐구(50) 측으로 배출되지 않고 돌출부를 지나 개폐격벽(70)의 통과홀부(72) 측으로 흐르도록 안내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개폐격벽(70)은, 제1가속부(80)로부터 연장되는 패널이 개폐구(50) 측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제1굴곡부(74)와, 제2가속부(92)로부터 연장되는 패널이 개폐구(50) 측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제2굴곡부(76)에 의해 개폐구(50)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개폐구(50)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마개부재(108)가 통과홀부(72)에 밀착되면서 통과홀부(72)를 견고하게 폐쇄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제1굴곡부(74) 일측에는 통과홀부(72)에 대향되는 역류방지공간부(78)가 형성되므로 통과홀부(72)를 지나 공급되는 유체가 제2가속부(92) 내벽에 충돌된 후에 일정량 역류되는 경우에 역류방지공간부(78)에 유체가 담수되면서 통과홀부(72)를 역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2굴곡부(76)의 배면에는 역류방지공간부(78)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역류방지경사면(77)이 형성되므로 제2굴곡부(76) 배면 측으로 역류되는 유체는 역류방지경사면(77)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역류방지공간부(78) 측으로 이동되므로 관통홀부를 역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미설명 부호 106은 구동축(102)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고, 개폐구(50)에 체결되어 개폐블록(100)이 개폐구(5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캡(106)이고, 94는 제2가속부(92)를 지나 제2배관(30)에 진입하면 제2가속부(92)와 비교하여 지름이 넓어지면서 유체의 배출유량을 증가시키는 확관부(94)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착탈고정부(130)는, 개폐블록(100)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개폐블록(100)이 안착턱부(52)에 지지되어 개폐블록(100) 내부로 삽입되는 작동블록(110)과, 작동블록(110)의 가압력에 의해 개폐블록(10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개폐구(50) 내벽에 밀착되는 실링블록(132)과, 실링블록(132)을 개폐블록(100) 외측으로 가압하도록 작동블록(110)에 설치되고, 실링블록(132)이 수납되는 공간부에 삽입되는 가압대(134)와, 실링블록(132)이 공간부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136)와, 작동블록(110)이 개폐블록(100)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138)를 포함한다.
개폐블록(100)의 하단에는 작동블록(110)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블록(110)의 상단에는 개폐블록(100)의 하단에 걸림결합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며, 돌기부는 개폐블록(100)의 하단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개폐블록(100)의 하단에는 돌기부가 걸림결합되는 턱부가 형성되며, 개폐블록(100)의 내벽과 작업블록(110)의 상면 사이에는 제2탄성부재(138)가 개재되어 작동블록(118)을 개폐블록(100)의 하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개폐블록(100)을 개폐구(50)에 삽입하고, 마감캡(106)을 개폐구(50) 상단에 체결하면 마감캡(106)의 내벽이 작동블록(110)의 상단을 개폐구(50) 내측으로 압입하고, 작동블록(110)의 하단은 안착턱부(52)에 의해 지지되어 작동블록(110)이 개폐블록(10) 내측으로 삽입되는 압축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작동블록(1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압대(134)는 개폐블록(100) 내부에 구비되는 작동 공간부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가압대(134)의 경사면이 실링블록(132)의 경사면을 밀어 실링블록(132)이 개폐블록(100)의 둘레면 측으로 돌출된다.
실링블록(132)은 평면 형상이 반원 모양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실링블록(132) 양단부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원 모양을 이루게 되고,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가압대(134)의 작동에 의해 한 쌍의 실링블록(132)이 개폐블록(100)의 둘레면 측으로 돌출되면 개폐블록(100)과 개폐구(50) 사이의 간격에 실링블록(132)이 위치되면서 개폐블록(100)과 개폐구(50) 사이의 간격을 마감하여 유체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링블록(132)이 개폐블록(100)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개폐구(50) 내벽에 형성되는 걸림홈부(131)에 삽입되면 유체의 유압에 의해 개폐블록(100)이 개폐구(50) 외측으로 가압될 수 있는데, 실링블록(132) 및 걸림홈부(131)에 의해 개폐블록(100)이 개폐구(50)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폐블록(100)과 개폐구(50) 사이에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실링블록(132)이 개재되므로 개폐블록(100)이 개폐구(50) 내부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이후에, 마개부재(108)의 마모가 진행되어 개폐블록(100)을 개폐구(50)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마감캡(106)을 개폐구(50) 외벽에 형성되는 착탈나사산(154)으로부터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분리시키고, 이때, 개폐블록(100)을 개폐구(50) 내측으로 가압하는 외력이 해제되므로 제1탄성부재(136)의 복원력에 의해 실링부재(132)가 작동 공간부 내측으로 삽입되고, 작동블록(110)이 제2탄성부재(138)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블록(100)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개폐블록(100)이 개폐구(50)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폐블록(100)이 개폐구(50) 외측으로 분리되면서 개폐블록(10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구동축(102) 및 마개부재(108)가 노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마개부재(108)의 마모가 진행되어 유체가 유실되면 개폐블록(100)을 개폐구(50)로부터 분리시키고, 구동축(102)과 마개부재(108)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구동축(102)과 마개부재(108)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교체착탈부(15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교체착탈부(150)는, 구동축(102) 하단에 형성되는 착탈나사산(154)과, 착탈나사산(154)에 볼트결합되도록 마개부재(108)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부(152)를 포함하므로 구동축(102)이 외부로 노출되면 작업자는 마개부재(108)를 구동축(102)으로부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마개부재(108)와 구동축(102)의 연결 또는 분리작업을 손쉽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유체가 흐르는 유로와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말찰요소를 최소화하면서 유로를 개폐할 수 있고, 밸브의 개폐작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는 개폐구를 통해 유체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마개부재의 교체작업이 진행될 때에 개폐블록을 용이하게 착칼시킬 수 있는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밸브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제1배관 12 : 제1결합단턱
14 : 완충공간부 30 : 제2배관
32 : 제2결합단턱 50 : 개폐구
52 : 안착턱부 54 : 와류공간부
70 : 개폐격벽 72 : 통과홀부
74 : 제1굴곡부 76 : 제2굴곡부
77 : 역류방지경사면 78 : 역류방지공간부
80 : 제1가속부 82 ; 제1곡선부
84 : 제2곡선부 86 : 마찰턱부
92 : 제2가속부 94 : 확관부
100 : 개폐블록 102 : 구동축
104 : 레버부재 106 : 마감캡
108 : 마개부재 110 : 작동블록
130 : 착탈고정부 132 : 실링블록
134 : 가압대 136 : 제1탄성부재
138 : 제2탄성부재 150 : 교체착탈부
152 : 결합홈부 154 : 착탈나사산

Claims (5)

  1. 유체의 공급원과 연결되도록 제1결합단턱 및 완충공간부를 구비하고, 제1유로를 형성하는 제1배관;
    상기 제1유로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2유로를 구비하고, 제2결합단턱을 구비하여 상기 제1배관과 일체로 연결되는 제2배관;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의 연결부위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고, 안착턱부 및 와류공간부를 구비하는 개폐구;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을 구획하도록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의 연결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구에 대향되는 통과홀부를 구비하는 개폐격벽;
    상기 개폐구를 따라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이 볼트결합되고, 상기 개폐구에 설치되는 개폐블록;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통과홀부를 개폐하는 마개부재;
    상기 개폐블록을 구속시키도록 상기 개폐구에 결합되는 마감캡;
    상기 구동축을 출몰시키도록 상기 구동축에 일체로 연결되는 레버부재; 및
    상기 마감캡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개폐블록과 상기 개폐구 사이의 간격을 마감하는 착탈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고정부는,
    상기 개폐블록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폐블록이 상기 안착턱부에 지지되어 상기 개폐블록 내부로 삽입되는 작동블록;
    상기 작동블록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개폐블록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개폐구 내벽에 밀착되는 실링블록;
    상기 실링블록을 상기 개폐블록 외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작동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실링블록이 수납되는 공간부에 삽입되는 가압대;
    상기 실링블록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작동블록이 상기 개폐블록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의 마모가 진행되어 유체가 유실되면 상기 개폐블록을 상기 개폐구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구동축과 상기 마개부재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과 상기 마개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교체착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관의 지름은 상기 제2배관의 지름과 비교하여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배관과 상기 개폐격벽 사이에는 상기 제2배관와 비교하여 지름이 짧은 제1가속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격벽과 상기 제2배관 사이에는 상기 제1가속부와 비교하여 지름이 짧은 제2가속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1가속부 사이에는 상기 개폐격벽에 충돌되어 후진하는 유체가 일정 시간 동안 머물면서 충격을 상쇄시키도록 상기 제1배관과 비교하여 지름이 길게 형성되는 상기 완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공간부와 상기 제1가속부 사이에는 후진되는 유체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찰턱부와 상기 완충공간부 사이에는 상기 마찰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가 상기 완충공간부 내측으로 안내되도록 제1곡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
KR1020180173988A 2018-12-31 2018-12-31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 KR102011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988A KR102011125B1 (ko) 2018-12-31 2018-12-31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988A KR102011125B1 (ko) 2018-12-31 2018-12-31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125B1 true KR102011125B1 (ko) 2019-08-14

Family

ID=67621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988A KR102011125B1 (ko) 2018-12-31 2018-12-31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1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701737A (ko) * 1989-09-30 1992-08-12 가미모리 다다요시 정량 유동 밸브
KR101365463B1 (ko) * 2013-04-04 2014-02-19 이병철 유량조절 기능이 탑재된 난방용 자동 조절 밸브
KR20170032117A (ko) * 2015-09-14 2017-03-2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역방향 글로브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701737A (ko) * 1989-09-30 1992-08-12 가미모리 다다요시 정량 유동 밸브
KR101365463B1 (ko) * 2013-04-04 2014-02-19 이병철 유량조절 기능이 탑재된 난방용 자동 조절 밸브
KR20170032117A (ko) * 2015-09-14 2017-03-2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역방향 글로브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89880B (zh) 手持式喷头保持装置
US20180245582A1 (en) Pipe device including slam mitigating means
CA2604947A1 (en) Fluid flow control valve with composition seal
EP2362123A1 (en) Underground shut-off valve with a hinged flap
US20200386346A1 (en) Valve Removal Method of Fluid Pipeline Structure, Fluid Pipeline Structure, and Valve Device
KR102011125B1 (ko)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실링형 밸브장치
US7188641B2 (en) Water valve assembly for bathroom faucets
US2532067A (en) Automatic return flow control valve
US5722636A (en) Double disk gate assembly for block and bleed type valves
JP2008106942A (ja) 管内流路遮断装置及び流体配管系統の流路遮断方法
KR20090034461A (ko) 소방용 개폐밸브
CN1299449A (zh) 滑板阀
KR102011124B1 (ko) 경사형 개폐구를 구비하는 밸브장치
KR20180029942A (ko) 슬램 완화 수단을 포함하는 배관 장치
KR100737925B1 (ko) 연결 아답터
JP4639181B2 (ja) ガスソケット
KR100963448B1 (ko) 전자석 급수밸브
KR200492543Y1 (ko) 진공 게이트 밸브에 적용되는 압력변동 충격방지장치
KR100595018B1 (ko)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
KR101437594B1 (ko) 수충격 방지 디스크장치
KR20160115365A (ko) 공기압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장치
KR20060109282A (ko) 버터플라이 밸브의 실링 장치
KR20180029941A (ko) 슬램 완화 수단을 포함하는 배관 장치
KR200494622Y1 (ko) 수도 계량기용 역류 방지장치
CN102439254A (zh) 液压门致动装置的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