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928B1 -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928B1
KR102008928B1 KR1020170125300A KR20170125300A KR102008928B1 KR 102008928 B1 KR102008928 B1 KR 102008928B1 KR 1020170125300 A KR1020170125300 A KR 1020170125300A KR 20170125300 A KR20170125300 A KR 20170125300A KR 102008928 B1 KR102008928 B1 KR 102008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alue
control
air conditioner
expan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6277A (ko
Inventor
안기정
오승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5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928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06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0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3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5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 F25B2700/21151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at the suction side of the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5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 F25B2700/21152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at the discharge side of the compres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는,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및 메인 팽창장치가 구비된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하고,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토출온도를 측정하여 그 변화량(제 1 정보)을 저장하고, 상기 토출온도와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 차이(제 2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실외기의 외부온도(제 3 정보)를 측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메인 팽창장치의 개도 변화(제 4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제 1 내지 3 정보가 각각의 소정의 수치(B, C, D)범위에 해당되고 상기 제 4 정보가 0보다 작은 경우, 상기 메인 팽창장치의 개도 변화량을 제한하는 제한 제어로 진입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쾌적한 실내의 공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에는,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및 메인 팽창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조화기는, 상기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 운전으로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조화기의 작동 방식인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은 순환하는 냉매의 흐름에 따라 결정된다. 즉, 상기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방 운전으로 작동할 수도 있고 난방 운전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먼저, 상기 공기 조화기가 냉방 운전으로 작동할 때 냉매의 흐름을 설명한다. 상기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로 기능하는 실외 열교환기를 거쳐서 중온 고압의 액 냉매가 된다. 상기 액체 냉매가 상기 실내기로 공급되면, 증발기로 기능하는 실내 열교환기에서 냉매가 팽창되면서 기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기화 현상에 의해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주변 공기의 온도가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 팬이 회전하면 온도가 하강된 상기 실내기의 열교환기의 주변 공기는 실내로 토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 조화기가 난방 운전으로 작동할 때 냉매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상기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가 실내기로 공급되면, 응축기로 기능하는 실내 열교환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가 액화될 수 있다. 상기 액화 현상에 의해 방출된 에너지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주변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실내기 팬이 회전되면 온도가 상승된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주변 공기가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액화된 냉매는 메인 팽창장치에서 팽창된 후 증발기로 기능하는 실외 열교환기로 유입되어 기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조화기가 난방운전을 수행할 때, 상기 실외기의 외부온도(실외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 사이클 헌팅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친환경 냉매로 주목받고 있는 R32를 사용하는 경우, 타 냉매에 비하여 급격하게 압력이 상승되기 때문에 사이클 헌팅 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에 따른 토출온도 등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자세하게는, 도 1은 공기조화기의 구동시간에 따른 압축기의 토출온도 및 주파수 변화와, 메인 팽창장치(EEV)의 개도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a구간은 시동제어(시동운전)에 해당되고, b구간은 정시제어(일반적인 운전)에 해당된다. 이때, c구간에서 압축기의 토출온도가 상승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메인 팽창장치의 개도량은 계속 줄어들어 냉매량을 감소시킨다. 그에 따라 토출온도가 급격하게 상승되며 d구간에서 비상제어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비상제어가 수행되어 상기 메인 팽창장치의 개도량을 빠르게 증가시킴에도 불구하고, 토출온도는 계속하여 상승한다. 그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주파수가 급격하게 하강되며 사이클 헌팅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토출온도가 하강된 e구간에서도 토출온도가 계속하여 변화되며 불안정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즉, 기존의 제어로는 R32의 특성에 맞춘 안정적인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불안정한 상태가 계속됨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R32의 특성에 따라 최적화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토출온도의 급격한 상승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는,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및 메인 팽창장치가 구비된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하고,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토출온도를 측정하여 그 변화량(제 1 정보)을 저장하고, 상기 토출온도와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 차이(제 2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실외기의 외부온도(제 3 정보)를 측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메인 팽창장치의 개도 변화(제 4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제 1 내지 3 정보가 각각의 소정의 수치(B, C, D)범위에 해당되고 상기 제 4 정보가 0보다 작은 경우, 상기 메인 팽창장치의 개도 변화량을 제한하는 제한 제어로 진입된다.
상기 제 1 정보가 B 수치 이상이고(제 1 진입조건), 상기 제 2 정보가 C 수치 이상이며(제 2 진입조건), 상기 제 3 정보가 D 수치 미만이고(제 3 진입조건), 상기 제 4 정보가 0보다 작은 경우(제 4 진입조건), 상기 제한 제어로 진입될 수 있다.
상기 제한 제어 수행시, 상기 제 1 내지 3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각각의 소정의 수치(E, F, G)범위에 해당되거나 상기 제 4 정보가 0이상인 경우, 상기 제한 제어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한 제어 수행시, 상기 제 1 정보가 E 수치 이하이거나(제 1 해제조건), 상기 제 2 정보가 F 수치 미만이거나(제 2 해제조건), 상기 제 3 정보가 G 수치 이상이거나(제 3 해제조건), 상기 제 4 정보가 0 이상인 경우(제 4 해제조건), 상기 제한 제어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토출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토출온도가 A 수치 이상인 경우, 비상 제어로 진입될 수 있다.
상기 비상 제어 수행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메인 팽창장치의 개도를 J 수치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토출온도가 A수치 미만인 경우, 상기 비상 제어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한 제어 수행시, 상기 제 1 정보가 소정의 수치 범위인 경우, 상기 메인 팽창장치의 개도를 유지하고(개도 변화량=0), 상기 제 1 정보가 H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메인 팽창장치의 개도를 I 수치로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정보가 B 수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한 제어 진입의 일 조건이 만족되고, 상기 제한 제어 수행시, 상기 제 1 정보가 E 수치 초과, H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메인 팽창장치의 개도를 유지하며, 상기 B 수치와 상기 E 수치는 서로 상이한 수치일 수 있다.
상기 제한 제어 수행시, 상기 제 1 정보가 E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한 제어가 해제되고,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E 수치 초과, H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메인 팽창장치의 개도를 유지하고(개도 변화량=0),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H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메인 팽창장치의 개도를 I 수치로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I 수치는 +2pulse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정보가 3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한 제어 진입의 일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제한 제어 수행시, 상기 제 1 정보가 1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한 제어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정보가 20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한 제어 진입의 일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제한 제어 수행시, 상기 제 2 정보가 18도 미만인 경우, 상기 제한 제어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 3 정보가 0도 미만인 경우, 상기 제한 제어 진입의 일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제한 제어 수행시, 상기 제 3 정보가 2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한 제어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냉매는 R3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서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친환경 냉매인 R32에 최적화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여, R32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자세하게는, 압축기 토출온도의 급격한 상승을 미연에 방지함에 따라, 사이클 운전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새로운 냉매(R32)가 적용된 공기조화기의 안정적인 동작으로 인해, 사용자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새로운 냉매(R32)를 사용함에 따라, 단가가 절감되어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사이클이 안정적으로 운전됨에 따라, 상기 압축기가 최대 효율을 내도록 운전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하여 보다 간편하게 새로운 냉매에 대응하여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에 따른 토출온도 등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매 흐름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에 따른 토출온도 등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에는,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실내기 및 실외공간에 설치되는 실외기가 구비된다. 상기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는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냉동사이클을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외기만을 도시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도록 실외공간에 마련된다.
상기 실외기(10)에는, 외관을 형성하며 다수의 부품을 내장하는 케이스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에는, 전방패널(11), 후방패널(12), 상면패널(13) 및 측면패널(14, 15)이 포함된다.
상기 전방패널(11)은 상기 실외기(10)의 전면을 구성하며, 상기 실외기(10)의 외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전방토출구(11a)가 구비된다.
상기 후방패널(12)은 상기 실외기(10)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전방패널(11)과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후방패널(12)에는 상기 실외기(1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후방흡입구(12a)가 구비된다.
상기 측면패널은 상기 실외기(10)의 양측면을 구성하며, 좌측패널(14) 및 우측패널(15)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패널(14) 및 상기 우측패널(15)은 상기 전방패널(11) 및 상기 후방패널(12)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실외기(10)의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좌측패널(14) 및 상기 우측패널(15)에는, 측면흡입구(14a, 15a)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상면패널(13)은 상기 실외기(10)의 상면을 구성하도록, 상기 전방패널(11), 상기 후방패널(12) 및 상기 측면패널(14, 15)의 상부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실외기(10)의 하면을 이루는 베이스(17)가 더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17)의 하면이 설치위치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실외기(10)가 설치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실외기(10)에는 상기 케이스에 의해서 둘러싸인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후술할 압축기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17)의 상면에는 상기 압축기 등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10)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2a, 14a, 15a)와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1a)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1a)는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구(12a, 14a, 15a)는 케이스의 후방 또는 측방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토출구 및 상기 흡입구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다양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10)에는, 압축기 등이 설치된 전장실을 커버하는 서비스패널(16)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패널(16)은 상기 실외기(10)의 전면에서 일측면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패널(16)은 상기 실외기(10)의 전면에서 우측면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패널(16)의 일 단이 상기 전방패널(11)의 우측단에 체결되고, 서비스패널(16)의 타 단이 상기 우측패널(15)의 전단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패널(16)은 하나의 패널로 구비되어, 전방과 측방을 동시에 개방 및 폐쇄할 수 있게 하므로, 설치자 또는 관리자는 전장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패널(16)에는, 서비스창과 서비스커버(16a)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창은 서비스패널(16)을 관통한 개구이며, 상기 서비스커버(16a)는 상기 서비스창을 개폐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서비스창은, 사용자가 실외기(10)의 상태를 판단하고 조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서비스창을 통해서 외부에 노출되므로, 설치자가 상기 서비스패널(16)을 전부 분리하지 않고, 상기 서비스커버(16a)만을 제거하여 실외기(1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창은 실외기(1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비스커버(16a)는 실외기(1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패널(16)의 우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창이 상기 실외기(10)의 측면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실외기(10)가 베란다나 건물의 벽면 등의 협소한 공간에 배치되어 전면에 접근이 힘든 경우에도, 상기 실외기(10)의 일 측면에 설치된 서비스창을 통해서 상기 실외기(1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10)에는, 상기 베이스(17)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열교환실과 전장실로 구분하는 분리벽(18)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분리벽(18)은 상기 열교환실 내부의 수분이 상기 전장실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분리벽(18)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이며, 일 단이 상기 베이스(17)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리벽(18)은 상기 전장실에 배치되는 구성들과 대응되도록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실은, 실외 열교환기(24) 및 실외팬(32) 등이 배치되는 공간이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를 통과하는 냉매와 상기 실외팬(32)에 의해서 유동하는 외부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상기 전장실은, 압축기(21) 및 전장부(22) 등이 위치하는 공간이다. 상기 전장부(22)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전장실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에는, 압축기(21), 오일분리기, 유동전환부(25, 도 4), 메인 팽창장치(27, 도 4), 어큐뮬레이터(26, 도 4) 및 다수의 냉매배관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냉매 사이클을 위한 구성 장치들로, 이하, 냉매 사이클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압축기(21)는 냉매를 압축하도록 상기 베이스(18)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오일 분리기는 상기 압축기(21)의 출구 측에 배치되며 상기 압축기(21)에서 토출된 냉매 중 오일을 분리한다.
상기 오일분리기의 출구 측에는, 상기 압축기(21)에서 토출된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24) 또는 실내기 측으로 가이드 하는 유동전환부(25)가 배치된다. 상기 유동전환부(25)는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에 따라 상기 실외 열교환기(24) 또는 상기 실내기 측으로 냉매를 유동시킨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는 외부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며, 상기 공기 조화기가 냉방 운전하는 경우에는 응축기의 기능을, 상기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하는 경우에는 증발기의 기능을 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는 냉매가 유동되는 열교환배관(24a)과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면전을 넓여주는 열교환핀(24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가 냉방 운전하는 경우,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를 통과한 냉매는 메인 팽창장치(27)를 통과한다. 즉, 상기 메인 팽창장치(27)는 냉방운전을 기준으로, 상기 실외 열교환기(24)의 출구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큐뮬레이터(26)는 냉매가 상기 압축기(21)로 유입되기 전, 즉 상기 압축기(21)의 입구 측에 배치되어 기상 냉매를 분리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26)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는 상기 압축기(21)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실외기(10)에는, 상기 실외팬(32)에 연결되는 모터(31) 및 모터마운트(33)가 더 포함된다. 상기 실외팬(32)은 상기 전방패널(11)에 구비되는 상기 전방토출구(11a)에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모터(31)의 회전축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3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실외팬(32)은 상기 실외기(10) 내부의 공기를 강제대류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실외팬(32)에 의해 상기 실외기(10)의 후면 및 측면에 형성된 흡입구(12a, 14a, 15a)로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전방토출구(11a)로 공기가 토출된다.
상기 모터(31)는 상기 모터마운트(33)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마운트(33)는 상기 모터(31) 및 상기 모터(31)에 결합된 상기 실외팬(32)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모터마운트(33)는 상기 베이스(17)와 상기 상면패널(13) 사이에 형성되는 구조물로 이해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마운트(33)의 일 단은 상기 베이스(17)의 상면에 체결되고, 타 단은 상기 상면패널(13)의 하면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모터(31) 및 상기 실외팬(32)은 상기 모터마운트(33)의 전면에 체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터(31) 및 상기 실외팬(32)은 상기 전방토출구(11a)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를 관통하는 공기의 유동을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모터(31)에 의해 상기 실외팬(32)이 회전되며 공기의 유동이 발생된다. 상기 실외기(10)의 후면 및 측면에 마련된 흡입구(12a, 14a, 15a)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를 통과하며 냉매와 열교환을 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전면토출구(11a)를 통해 상기 실외기(10)의 외부로 토출된다.
이하, 상기 실외기(10)에 유동되는 냉매의 흐름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매 흐름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냉매의 흐름을 도시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구성 중 일부만을 도시하고, 각 구성을 연결하는 냉매배관을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실외기의 외부로 연장되는 냉매배관은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10)에는, 상기 압축기(21) 및 상기 실외 열교환기(2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실외기(10)에는, 메인 팽창장치(27), 어큐뮬레이터(26) 및 유동전환부(25)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 팽창장치(27)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키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에는, 전자팽창장치(EEV, Electric Expansion Valve)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팽창장치(27)는 개도량(opening rate)을 변경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개도량은 pulse단위로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팽창장치(27)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개도량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팽창장치의 개도량은 최대로 16pulse 증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도량이 증가한다는 것은 밸브가 열린다는 것을 의미하며 (+)값으로 나타내며, 상기 개도량이 감소한다는 것은 밸브가 닫힌다는 것을 의미하며 (-)값으로 나타낸다. 또한, 상기 개도량이 증가되면 유동되는 냉매의 양이 증가되고, 상기 개도량이 감소되면 유동되는 냉매의 양이 감소된다.
상기 유동전환부(25)는 상기 압축기(21)의 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기(21)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방향을 전환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유동전환부(25)는 사방밸브(four-way valve)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10)에는 각 구성을 연결하여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배관이 구비된다. 설명의 편의상 각 냉매배관을 구분하면, 상기 냉매배관에는,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와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로 연장되는 제 1 배관(40),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를 연결하는 제 2 배관(42), 상기 실외 열교환기(24)와 상기 유동전환부(25)를 연결하는 제 3 배관(44), 상기 어큐뮬레이터(26)를 통과하여 상기 유동전환부(25)와 상기 압축기(21)의 흡입 측을 연결하는 제 4 배관(46), 상기 압축기(21)의 토출 측과 상기 유동전환부(25)를 연결하는 제 5 배관(48) 및 상기 유동전환부(25)에서 상기 실내기로 연장되는 제 6 배관(50)이 포함된다.
이때,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에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온도센서가 포함된다. 상기 온도센서는 다양한 장소에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특정 온도센서만을 도시하였다.
이하, 상기 제 5 배관(48)에는 설치되는 온도센서를 제 1 온도센서(52), 상기 제 4 배관(46)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를 제 2 온도센서(54)라 한다. 또한, 외기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외기(10)의 외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를 제 3 온도센서(56)라 한다.
상기 제 1 온도센서(52)는 상기 압축기(21)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하, 상기 제 1 온도센서(52)에서 측정되는 냉매의 온도를 'T1'이라 한다.
상기 제 2 온도센서(54)는 상기 압축기(21)로 흡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하, 상기 제 2 온도센서(54)에서 측정되는 냉매의 온도를 'T2'라 한다.
상기 제 3 온도센서(56)는 실외 공기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하, 상기 제 3 온도센서(56)에서 측정되는 공기의 온도를 'T3'라 한다.
도 4에 도시된 상기 제 1 내지 3 온도센서(52, 54, 56)의 위치 및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제 1 내지 3 온도센서(52, 54, 56)는 목적하는 온도를 측정하도록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에서 냉매의 흐름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냉방운전을 하는 경우 냉매의 흐름을 도 4에서 점선화살표로 도시하였다. 냉방운전은 상기 실내기가 설치된 소정의 공간에 냉기를 공급하는 경우에 해당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는 응축기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실내기에 배치되는 실내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하며 상기 소정의 공간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 6 배관(50)을 통해 상기 실내기에서 증발된 저온저압의 냉매가 상기 실외기(10)로 유입된다. 상기 유동전환부(25)는 상기 제 6 배관(50)과 상기 제 4 배관(46)을 연결하고, 그에 따라 냉매는 상기 어큐뮬레이터(26)를 통과하여 상기 압축기(21)로 유입된다.
상기 압축기(21)에서 고온고압으로 토출된 냉매는 상기 제 5 배관(48) 및 상기 제 3 배관(44)을 따라 유동된다. 그리고, 냉매는 응축기로 기능하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4)에서 응축되고, 상기 제 2 배관(42) 및 상기 제 1 배관(40)을 따라 상기 실내기로 유입되어 상기와 같이 순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팽창장치(27)는 완전히 개방되어 유동되는 냉매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을 하는 경우 냉매의 흐름을 도 4에 실선화살표로 도시하였다. 난방운전은 상기 실내기가 설치된 소정의 공간에 온기를 공급하는 경우에 해당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는 증발기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실내기에 배치되는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로 기능하며 상기 소정의 공간에 온기를 공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 1 배관(40)을 통해 상기 실내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상기 실외기(1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에서 팽창되어 상기 제 2 배관(42)을 따라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는 실외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켜 냉매를 증발시킨다. 증발된 냉매는 상기 제 3 배관(44)을 따라 상기 유동전환부(25)로 유동되고, 상기 유동전환부(25)는 상기 제 3 배관(44)과 상기 제 4 배관(46)을 연결한다. 즉, 상기 냉방모드와는 서로 다른 배관을 연결한다.
그리고, 냉매는 상기 제 4 배관(46)을 따라 상기 어큐뮬레이터(26)를 통과하여 상기 압축기(21)로 유입된다. 상기 압축기(21)에서 고온고압으로 토출된 냉매는 상기 제 5 배관(48)으로 유동되어, 상기 유동전환부(25)에서 상기 제 6 배관(50)을 따라 유동된다. 그리고, 냉매는 상기 제 6 배관(50)을 따라 상기 실내기로 유입되어 상기와 같이 순환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상기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을 하는 경우는 실외온도가 낮은 겨울철에 해당된다. 특히, 실외온도가 낮을수록 사이클이 불안정해지고, 사이클 헌팅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유동되는 냉매는 R32에 해당된다. 상기 R32 냉매는 비교적 소량으로 높은 효율을 낼 수 있는 고효율 친환경 냉매로 주목받고 있다. 다만, 상기 R32 냉매를 사용하는 경우, 타 냉매에 비하여 상기 압축기(21)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경향은 실외공기가 낮을수록 심화되어, 사이클을 불안정하게 하고 상기 압축기(21)의 성능을 떨어트린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에는, R32의 특성에 최적화하여 상기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제어부(60)가 포함된다.
이하, 상기 제어부(60)와 관련된 상기 공기조화기의 구성에 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설명의 편의상 필요한 구성만을 도시하였고, 상기 제어부(60)에서 제어되는 구성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60)는 앞서 설명한 상기 제 1 내지 3 온도센서(52, 54, 56)로부터 온도정보를 제공받는다. 이때, 상기 제어부(60)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 1 내지 3 온도센서(52, 54, 56)에서 온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1분(60초) 간격으로 온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온도센서(52)에서 측정된 상기 압축기(21)에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값 T1을 전달받고, 상기 제 2 온도센서(54)에서 측정된 상기 압축기(21)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값 T2를 전달받는다. 또한, 상기 제 3 온도센서(56)에서 측정된 상기 실외기(10)의 외부온도값 T3를 전달받는다.
상기 제어부(60)는 이와 같은 온도정보를 메모리부(62)에 저장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 1 내지 3 온도센서(52, 54, 56)에서 제공받는 온도정보를 소정의 수식에 의해 계산된 값으로 상기 메모리부(62)에 저장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 1 온도센서(52)에서 측정된 온도값의 변화량을 상기 메모리부(62)에 저장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소정의 시간 간격을 주기라 하고, 현재 토출온도에서 이전 주기 토출온도를 뺀 값을 저장한다. 이를 토출온도 변화량로 정의하고, 이하, 제 1 정보라 한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시간 간격을 60초라 할 때, 주기는 60초가 된다. 60초 전 상기 제 1 온도센서(52)에서 측정된 온도값이 T1,0이고, 현재 상기 제 1 온도센서(52)에서 측정된 온도값이 T1이라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는 T1-T1,0값을 상기 제 1 정보로 상기 메모리부(62)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 1 온도센서(52)에서 측정된 온도값(T1)에서 상기 제 2 온도센서(54)에서 측정된 온도값(T2)을 뺀 값(T1-T2)을 상기 메모리부(62)에 저장한다. 이를 상기 압축기(21)의 토출과열도로 정의하고, 이하, 제 2 정보라 한다.
또한, 상기 제 3 온도센서(56)에서 측정된 온도값(T3)을 상기 메모리부(62)에 저장한다. 이를 상기 실외기(10)의 외부온도로 정의하고, 이하, 제 3 정보라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압축기(21), 상기 실외팬(32) 및 상기 메인 팽창장치(EEV, 27)의 동작을 제어하는 명령을 전달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압축기(21) 및 상기 실외팬(32)의 ON/OFF 및 구동단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압축기(21)의 주파수를 통해 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의 개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일반적으로 제어되는 경우(정시제어), 상기 제어부(60)는 다양한 요인을 통해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의 개도를 계산하여 그에 따라 제어한다. 이때, 각 요인에는 상기 압축기(21)의 토출온도, 냉매량, 실내온도 및 설정온도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의 제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는 상기와 같이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의 개도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계산한다. 즉, 각 요소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60)는 계속하여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의 개도를 계산하고 그 값은 계속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60)는 60초(1분)을 주기로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의 개도를 계산한다. 즉, 이전주기의 각 요인들에 의해 상기 메인 팽창장치(27)가 소정의 수치만큼 열리거나 닫히는 개도 변화량을 계산한다.
이때, 상기 개도 변화량이 (+)값인지, (-)값인지 여부를 '개도 변화'라 정의하고, 이를 제 4 정보라 한다. 즉, 상기 제 4 정보는 상기 메인 팽창장치(27)가 닫히는 상태인지 열리는 상태인지 여부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 4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62)에 저장한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을 바탕으로 상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6,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하나의 제어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도시의 편의상 분리하여 도시하였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가 ON되어 난방운전으로 구동된다(S10, S11). 즉, 상기 실외 열교환기(24)가 증발기로 기능하도록 냉매가 순환된다. 이때, 냉매는 R32로 이해된다.
그에 따라, 상기 압축기(21)가 구동되며 시동 제어가 수행된다(S12). 이때, 시동 제어란 일종의 구동준비단계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각 장치의 영점 및 기초값이 조절될 수 있으며, 약 5분 내외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동 제어에서 에러가 감지되면 상기 공기조화기가 OFF될 수 있다.
상기 시동 제어가 끝나면, 정시 제어로 진입된다(S13). 상기 정시 제어는 일반적인 구동으로 이해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팽창장치(27)는 복수의 인자를 통해 계산된 값으로 개도가 제어된다.
상기 정시 제어에서는 상기 제 1 온도센서(52)에서 측정되는 상기 압축기(21)의 토출온도(이하, T1)를 계속하여 모니터링한다. 기재의 편의상, 도 6에서는 이 단계를 한 번 점검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구동하는 동안 주기별로 계속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T1이 A수치 이상인 경우(S14), 비상 제어에 돌입된다(S15). 상기 비상 제어는 다른 제어에 우선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다른 제어조건에 해당되더라도 상기 T1이 A수치 이상이면 비상 제어로 진입된다(S15).
상기 비상 제어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의 개도를 J 수치만큼 증가시키도록 수행된다. 예를 들어, 상기 A수치는 95도이고, 상기 J수치는 +5pulse일 수 있다. 즉, 상기 T1이 95도이상인 경우,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의 개도를 주기적으로 5pulse씩 증가시킨다. 이때, 주기는 30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T1이 A수치 미만인 경우, 상기 비상 제어가 해제될 수 있다. 즉, 상기 예에서, T1이 95도 미만으로 측정되는 경우 상기 비상 제어가 해제된다. 상기 비상 제어가 해제되면 다시 정시 제어로 진입된다.
그리고, 상기 정시 제어에서 제한 제어로 진입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정시 제어에서 상기 제한 제어로 진입되기 위해서는 제 1 내지 4 진입조건을 모두 만족하여야 한다. 즉, 상기 제 1 내지 4 진입조건은 'AND'조건에 해당된다.
상기 제 1 내지 4 진입조건은 앞서 설명한 상기 제 1 내지 4 정보와 연관된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3 정보가 각각의 소정의 수치(B, C, D)범위에 해당되고 상기 제 4 정보가 0보다 작은 경우 제한 제어로 진입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진입조건은 상기 제 1 정보가 B 수치를 이상일 것(S16), 상기 제 2 진입조건은 상기 제 2 정보가 C 수치 이상일 것(S17), 상기 제 3 진입조건은 상기 제 3 정보가 D 수치 미만인 것(S18), 상기 제 4 진입조건은 상기 제 4 정보가 0보다 작을 것(S19)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제 1 내지 제 4 진입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상기 제한 제어로 진입될 수 있다(S2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4 정보는 상기 메인 팽창장치(27)가 닫히는 상태인지 열리는 상태인지 여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 4 진입조건은 상기 메인 팽창장치(27)가 닫히고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B 수치는 3도, 상기 C 수치는 20도, 상기 D 수치는 0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B 수치 및 상기 C 수치는 비교적 크게 상승 및 차이가 있는 급격한 온도 값으로 이해되며, 상기 D 수치는 비교적 낮은 실외온도값으로 이해된다. 즉, 각 수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운전조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한 제어가 해제되기 위해서는 제 1 내지 4 해제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여야 한다. 즉, 상기 제 1 내지 4 해제조건은 'OR'조건에 해당된다. 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상 제어로 진입되는 경우 상기 제한 제어가 해제되고 비상 제어로 진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4 해제조건은 앞서 설명한 상기 제 1 내지 4 정보와 연관된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3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각각의 소정의 수치(E, F, G)범위에 해당되거나 상기 제 4 정보가 0이상인 경우, 상기 제한 제어가 해제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해제조건은 상기 제 1 정보가 E 수치 이하일 것(S21), 상기 제 2 해제조건은 상기 제 2 정보가 F 수치 미만일 것(S22), 상기 제 3 해제조건은 상기 제 3 정보가 G 수치 이상일 것(S23), 상기 제 4 해제조건은 상기 제 4 정보가 0 이상일 것(S24)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제 1 내지 4 해제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면 상기 제한 제어가 해제되고 상기 정시 제어로 진입될 수 있다(S25).
예를 들어, 상기 E 수치는 1도, 상기 F 수치는 18도 및 상기 G 수치는 2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E 수치 및 상기 F 수치는 비교적 작은 상승 및 차이가 있는 안정적인 온도 값으로 이해되며, 상기 G 수치는 비교적 높은 실외온도값으로 이해된다. 즉, 각 수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운전조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해제조건은 상기 메인 팽창장치(27)가 열리고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제한 제어는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의 개도 변화량을 제한하도록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60)에서 복수의 요인들로 계산된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의 개도 변화량을 무시하고, 소정의 수치로 제한하여 제어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정보가 소정의 수치 범위인 경우,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의 개도를 유지(개도 변화량=0)한다. 이때, 상기 소정의 수치 범위는 E 수치 초과, H 수치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정보가 H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의 개도를 I 수치로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I 수치는 +2pulse일 수 있다. 상기 +2pulse는 비교적 적은 변화량으로 상기 메인 팽창장치(27)를 여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제한 제어에서는 최대한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의 변화를 주지 않는 제어로 이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시스템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정보가 B 수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한 제어 진입의 일 조건이 만족된다. 이때, 상기 제한 제어 수행시 상기 메인 팽창장치의 개도를 유지하는 최소 수치인 E 수치는 상기 B 수치는 서로 상이한 수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한 제어 수행시,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E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한 제어가 해제된다.
예를 들어, 상기 B 수치는 3도, 상기 E 수치는 1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정보가 3도를 초과하면 상기 제한 제어로 진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정보가 1도 이하가 되어야 상기 제한 제어가 해제될 수 있다. 즉, 다른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이상, 상기 제 1 정보가 1도 초과, 3도 미만인 경우 상기 제한 제어가 해제되지 않는다.
이는 상기 제 2 정보 및 제 3 정보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에 따른 토출온도 등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공기조화기의 구동시간에 따른 압축기의 토출온도 및 주파수 변화와, 메인 팽창장치(EEV)의 개도량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도 8은 앞서 설명한 종래 제어방법에 따른 토출온도 등의 변화를 도시한 도 1과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것으로 실제 실험값과는 상이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가 ON됨에 따라, a구간에서 시동 제어(시동운전)가 수행된다. 또한, 상기 시동 제어 후, b구간에서 정시제어(일반적인 운전)가 수행된다. 이와 같은 제어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제어방법과 동일하다.
이때, b구간에서 압축기의 토출온도가 점점 상승되고, b구간에서 c구간 사이에서 상기 제 1 내지 4 진입조건이 만족된다. 즉, 상기 압축기(21)의 토출온도가 비교적 큰 차이로 상승되고, 과열도가 비교적 큰 값으로 나타나며, 실외온도가 비교적 낮은 상태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계산된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의 개도 변화가 (-)값에 해당된다.
그에 따라, c구간에서 제한 제어가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의 개도 변화량이 없거나 소정의 수치로 제한된다. 도 8에서는 소정의 수치로 제한되는 조건에 해당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메인 팽창장치(27)가 소정의 수치로 열림에 따라 상기 압축기(21)의 토출온도 상승률이 감소된다.
그리고, c구간에서 d구간 사이에서 상기 제 1 내지 4 해제조건 중 어느 하나에 만족되어 상기 제한 제어가 해제된다. 따라서, 다시 정시 제어로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의 개도가 제어된다. 이때, 상기 토출온도의 변화율은 거의 0에 가까워 매우 안정화된다.
따라서, e구간에서 상기 토출온도가 계속 동일한 값으로 유지되어 사이클이 안정화된다. 또한, 상기 압축기(21)의 구동을 보여주는 주파수값은 계속하여 안정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기(21)는 최대 효율을 갖도록 안정적으로 운전된다.
즉, 상기 제한 제어에 의해 상기 토출온도의 급격한 상승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이클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10 : 실외기 21 : 압축기
24 : 실외 열교환기 27 : 메인 팽창밸브
52 : 제 1 온도센서 54 : 제 2 온도센서
56 : 제 3 온도센서 60 : 제어부
T1 : 압축기 토출온도 T2 : 압축기 유입온도
T3 : 외기온도

Claims (14)

  1.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및 메인 팽창장치가 구비된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하고,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토출온도를 측정하여 그 변화량(제 1 정보)을 저장하고,
    상기 토출온도와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 차이(제 2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실외기의 외부온도(제 3 정보)를 측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메인 팽창장치의 개도 변화(제 4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제 1 내지 3 정보가 각각의 소정의 수치(B, C, D)범위에 해당되고 상기 제 4 정보가 0보다 작은 경우, 상기 메인 팽창장치의 개도 변화량을 제한하는 제한 제어로 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가 B 수치 이상이고(제 1 진입조건),
    상기 제 2 정보가 C 수치 이상이며(제 2 진입조건),
    상기 제 3 정보가 D 수치 미만이고(제 3 진입조건),
    상기 제 4 정보가 0보다 작은 경우(제 4 진입조건),
    상기 제한 제어로 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제어 수행시,
    상기 제 1 내지 3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각각의 소정의 수치(E, F, G)범위에 해당되거나 상기 제 4 정보가 0이상인 경우, 상기 제한 제어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제어 수행시,
    상기 제 1 정보가 E 수치 이하이거나(제 1 해제조건),
    상기 제 2 정보가 F 수치 미만이거나(제 2 해제조건),
    상기 제 3 정보가 G 수치 이상이거나(제 3 해제조건),
    상기 제 4 정보가 0 이상인 경우(제 4 해제조건),
    상기 제한 제어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토출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토출온도가 A 수치 이상인 경우, 비상 제어로 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제어 수행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메인 팽창장치의 개도를 J 수치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토출온도가 A수치 미만인 경우, 상기 비상 제어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제어 수행시,
    상기 제 1 정보가 소정의 수치 범위인 경우, 상기 메인 팽창장치의 개도를 유지하고(개도 변화량=0),
    상기 제 1 정보가 H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메인 팽창장치의 개도를 I 수치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가 B 수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한 제어 진입의 일 조건이 만족되고,
    상기 제한 제어 수행시, 상기 제 1 정보가 E 수치 초과, H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메인 팽창장치의 개도를 유지하며,
    상기 B 수치와 상기 E 수치는 서로 상이한 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제어 수행시,
    상기 제 1 정보가 E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한 제어가 해제되고,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E 수치 초과, H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메인 팽창장치의 개도를 유지하고(개도 변화량=0),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H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메인 팽창장치의 개도를 I 수치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0. 제 7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 수치는 +2puls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가 3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한 제어 진입의 일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제한 제어 수행시, 상기 제 1 정보가 1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한 제어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가 20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한 제어 진입의 일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제한 제어 수행시, 상기 제 2 정보가 18도 미만인 경우, 상기 제한 제어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가 0도 미만인 경우, 상기 제한 제어 진입의 일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제한 제어 수행시, 상기 제 3 정보가 2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한 제어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R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70125300A 2017-09-27 2017-09-27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08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300A KR102008928B1 (ko) 2017-09-27 2017-09-27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300A KR102008928B1 (ko) 2017-09-27 2017-09-27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277A KR20190036277A (ko) 2019-04-04
KR102008928B1 true KR102008928B1 (ko) 2019-08-08

Family

ID=6610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300A KR102008928B1 (ko) 2017-09-27 2017-09-27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9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8114B (zh) * 2021-06-04 2022-03-15 江苏拓米洛环境试验设备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的控制方法
CN116243850B (zh) * 2021-06-08 2024-05-28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存储器管理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2434A (ja) 2014-01-15 2015-07-2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0493A (ja) * 1992-02-28 1993-09-17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KR20100048194A (ko) * 2008-10-30 2010-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2434A (ja) 2014-01-15 2015-07-2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277A (ko)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7933B1 (ko)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EP2320151B1 (en) Air-conditioning device
EP2325578B1 (en) Heat pump
EP2325577B1 (en) Heat pump
EP3190357B1 (en) Air conditioner
EP3757492B1 (en) Refrigerator
US20130312443A1 (en)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and refrigeration cycle control method
US9857103B2 (en) Refrigerator having a condensation loop between a receiver and an evaporator
KR20110072441A (ko) 냉장고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JP2010249452A (ja) 空気調和装置
US11226145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mpressor based on temperature of storage compartment
KR102198955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EP3037750B1 (en) Refrigerato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0892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2012017920A (ja) 冷蔵庫
EP3299738A1 (en) System for air-conditioning and hot-water supply
KR102500807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4480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50545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0964369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190059026A (ko) 공기조화기
KR20140091794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EP2908062B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6832926B2 (ja) 空気調和機
JP4286106B2 (ja) 冷凍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