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950B1 -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950B1
KR102006950B1 KR1020130152321A KR20130152321A KR102006950B1 KR 102006950 B1 KR102006950 B1 KR 102006950B1 KR 1020130152321 A KR1020130152321 A KR 1020130152321A KR 20130152321 A KR20130152321 A KR 20130152321A KR 102006950 B1 KR102006950 B1 KR 102006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air growth
wool
acid
prom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6811A (ko
Inventor
손성길
정국인
김지현
김중헌
강택균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30152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950B1/ko
Publication of KR20150066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또는 모발 표면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특정 관능기를 갖는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 또는 모발에 손상 없이 공유결합을 형성하여 반영구적으로 원하는 양모ㆍ육모 촉진 효과를 제공해 준다.

Description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s compositions for hair growth promoter}
본 발명은 단백질과 결합하는 관능기가 결합된 반응성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 및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모ㆍ육모제는 사람의 신체 중 특히 모발의 비정상적인 탈모의 진행을 예방, 방지하기 위하여 또는 빠진 머리카락을 다시 나게 하는 발모를 위하여 두피에 사용하는 제품으로, 외관을 미화하고, 매력을 증가시키고, 용모를 변화시키고, 또는 모발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신체에 도포, 산포, 기타 이들에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관련된 의약부외품은 화장품에 비해서 인체에 작용이 있더라도 작용이 경미하고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지 않고, 신체의 구조,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같은 사용 목적을 함께 갖고 있지 않을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모발은 계속 성장하여 길이가 길어지지만 수명이 있어 3~6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모낭으로부터 떨어져 나온다. 모발이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의 순서대로 헤어사이클을 거치는 동안 퇴행기나 휴지기가 되면 모발의 성장이 정지되고 머리카락이 빠지기 쉬운 상태가 된다. 정상적인 사람의 경우 하루에 50~100개의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자연의 노화, 유전적 원인, 스트레스의 과다, 식생활의 변화 등의 이유로 정상인 보다 많은 개수의 머리카락이 빠지는 탈모, 머리카락이 가늘어지는 박모의 증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증상으로 고민하는 남녀가 매년 증가하고 있어 양모제에 대한 기대 또한 커지고 있다.
이러한 탈모의 원인으로는 남성호르몬에 의한 모포 기능의 저하, 모포 및 모구부의 신진대사 기능의 저하, 두피 생리 기능의 저하, 두피 긴장에 의한 국소 혈류 장애, 영양부족, 스트레스, 양물에 의한 부작용, 유전적 요인들이 그 원인으로 밝혀지고 있다.
탈모 및 박모를 치료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혈관 확장 및 혈행 촉진, 두피 국소자극, 피지 분비 억제, 세포 부활, 영양 공급, 모포 부활, 항 남성 호르몬, 항염증(지루), 각질 용해, 살균, 소염 등의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양모ㆍ육모 촉진용 조성물은 두피 및 모발을 케어하기 위한 세안, 정돈, 보호용의 제품 및 베이스, 포인트용, 목욕용, 제한, 방취, 제모 등의 바디용 제품도 일부 포함하고 있다. 모발 및 두피를 위한 육모 양모 치유 제품에는 먼저 세정, 트리트먼트, 정발, 펌, 염모, 탈색과 같은 두발용 제품과 양모 및 육모용 트리트먼트 등 두피용 제품을 포함하며, 방향기능을 갖는 방향 치유 제품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양모 및 육모 제품을 제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원료로는 유지, 왁스, 탄화수소, 고급지방산, 고급알콜, 에스텔유, 실리콘유 등과 같은 유성원료,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및 피막형성제로 사용되는 고분자화합물, 자외선흡수 및 차단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염료 및 안료를 포함한 색재, 향료, 방부제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으로 혈관 확장 및 혈류촉진 효과로 모유두 및 모포에의 영양 보급을 원활히 하기 위해 말초혈관의 혈관 확장 효과 및 혈류촉진 효과를 위해 사용되는 당약 추출물, 염화카프로니움, 세파란틴, 니코틴산벤질, 두피를 자극하는 것으로 혈관을 확장하고 혈행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고추 틴크, 칸타리스틴크, l-멘톨,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으로 DHT로 변환할 때에 작용하는 효소(5α-reduct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성분 또는 남성호르몬의 생리 작용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에스트라디올(estradiol), 에티닐에스트라디올(ethinylestradiol) 등의 여성호르몬, 과산화물질 이나 비듬의 발생의 원인이 되는 피지량의 과잉 분비를 억제하고, 두피 및 모포 주변을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염산피리독신, 여분인 각질을 제거하고 두피 및 모포 주변을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살리실산이나 레소르신 및 비듬의 발생을 방치해 놓으면 더욱 악화되고 염증을 동반하게 되고 발적 또는 가려움이 증대하고 마침내는 탈모로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비듬 방지를 위해 염화벤잘코니움, 염화벤제토니움, 이소프로필메칠페놀, 피록톤올아민, 클림바졸 등의 살균제, 기능이 저하된 모모 세포를 부활시켜 발모나 모발의 성장을 촉진할 목적으로 판토텐산 및 그 유도체, 플라센타 추출물, 비오틴, 모노니트로구아야콜, 감광소301 등을 사용한다. 또 휴지기의 모유두에 에너지를 줄 목적으로 펜타데칸산글리세라이드가 사용되며, 말소 혈관의 순환 장해 등에 의해 기능이 저하된 모모세포에의 영양분으로서 각종 비타민, 각종 아미노산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비듬의 발생이나 외계의 자극 등에 의해 야기된 두피의 염증을 억제하고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글리시레틴산, 글리시레틴산의 칼륨염이나 암모늄염, 알란토인 등을 사용하며, 기타 미녹시딜, 스테로이드, 비타민, 호르몬류, 아미노산류, 천연물 유래 약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국내 의약외품 탈모 방지. 양모제 사용 전례가 있는 에스트라디올, 에치닐에스트라디올, 안식향산에스트라디올, 에스트론, (초산)히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솔론, 염산디펜히드라민, 글리시리진산디칼륨, 염산피리독신, 디카프릴산피리독신, 트리코사카라이드, 토코페롤/초산토코페롤, 당약 엑스, 세파란친, 히노키티올, 덱스판테놀, 판토테닐에칠에테르, 판토텐산나트륨/칼슘, 감광소, 비오틴, 레소르신, 살리실산, 이소프로필에틸페놀, 모노니트로구아야콜, 글루콘산클로로헥시딘액, 니코틴산에틸, 니코틴산벤질, 니코틴산아미드, 고추 틴크, 멘톨, 레이소겐, 콜레스테롤, 스웨르치올, 용성시스틴, 고삼 틴크, 세신틴크 등의 약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육모용 약제로는 부평추 추출물, 자주쓴플 엑기스, 세파란틴, 비타민 E 및 그 관능기가 결합된 형태의 유도체, 감마-오리자롤 등 혈행을 촉진하는 성분과, 고추 틴크, 칸타리스 틴크(cantharis tinc), 건강 틴크, 니코틴산 벤질에스테르와 같은 국소 자극제를 포함하는 혈관확장제를 포함한다. 또한, 비타민 A, B1, B2, B6, E 및 그 관능기가 결합된 형태의 유도체, 판토텐산 및 그 관능기가 결합된 형태의 유도체, 비오틴 등 비타민류 및 시스틴, 시스테인, 메치오닌, 루신, 트립토판, 아미노산 엑기스 등 아미노산류 등을 이용하여 모유두 및 모모세포 주변의 모세혈관 순환장애 등에 의한 모모세포 영양장애를 해결하는 양모제, 에스트라디올, 에티닐에스트라디올과 같은 여성 호르몬제, 판토텐산 및 그 관능기가 결합된 형태의 유도체, 플라센타 엑기스, 알란토인, 감광소 301등 모근 부활제, 두피 건조를 막기 위해 배합되는 글리세린, 피롤리돈 카르본산 등의 보습제 및 비듬 가려움용 약제 등을 포함하는 육모용 약제 성분 및 멘톨, 캄파 등의 청량화제 성분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으로 두피 및 모발에 사용하는 경우 처리 후에 다음 세정 시까지 일시적인 효과만을 제공할 뿐 세정 이후에는 재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항상 존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피부 또는 모발용 비수계 퍼스널 케어 제품에 관한 것으로, 비수계 파트에 모발 또는 피부 표면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로 카보네이트(carbonate), 알데히드(aldehyde), 프로피온알데히드(propionaldehyde), 부틸알데히드(butylaldehyde),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nitrophenyl carbonate), 아지리딘(aziridine),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티오시아네이트(thiocyanate), 에폭사이드(epoxide), 트레실레이트(tresylate), 숙신이미드(succinimide), 하이드록시숙신이미딜 에스테르(hydroxysuccinimidyl ester), 이미다졸(imidazole), 옥시카보닐 아미다졸(oxycarbonylamidazole), 이민(imine), 티올(thiol), 말레이미드(maleimide), 비닐설폰(vinylsulfone), 에틸렌이민(ethyleneimine), 티오에테르(thioether), 아크릴로나이트릴(acrylonitrile),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acrylic acid or methacrylic ester), 디설파이드(disulfide), 케톤(ketone) 및 RX로 표시되는 관능기(R은 알킬, 아릴, 아랄킬, 고리 및 불포화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X는 I, Br 또는 Cl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갖는 컨디셔닝 성분을 포함하면서 비수계 파트와 수계 파트로 분리되어 있고, 사용 직전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또는 피부용 퍼스널 케어 제품을 개시하고 있지만, 상기에 제시된 다양한 관능기들의 경우 인체에 유해하거나 또는 모발 또는 피부를 구성하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중에서 그 함량이 모발(1.9~3.1%), 피부 케라틴(3.1~6.9%) 정도로 적은 양을 함유하는 라이신을 표적하거나, 모발(16.6~18%), 피부 케라틴(2.3~3.8%) 정도인 시스테인을 표적하여 반응시키기 때문에 반응 효율이 저하되고 각각의 물질을 하나하나 따로 합성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 특허 제 2008-0064467호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발 또는 피부에 손상 없이 반영구적인 양모ㆍ육모 촉진 효과를 지속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을 포함하는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에, 카르보디이미드, 이미도에스터, 아릴아자이드, 디아지린,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펜타플루오로페닐에스터, 피리딜 디설파이드,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알콕시 아민, 하이드라자이드, 할로아세틸 및 아자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발 또는 피부 표면의 단백질과 공유 결합하는 관능기가 결합된 반응성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반응성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을 포함하는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또는 피부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특정 관능기를 도입한 반응성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 및/또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모발 또는 피부에 손상 없이 공유결합을 형성하여 반영구적으로 양모ㆍ육모 촉진 효과를 제공해 준다.
본 발명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양ㆍ육모 촉진 성분을 포함하는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기존에 알려진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에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반응시켜 카르보디이미드기가 결합된 반응성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을 거쳐 모발 또는 피부의 단백질과 공유결합을 형성시킴으로써 양모ㆍ육모 촉진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 0.01 내지 7 중량% 또는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이면 지속적인 양모ㆍ육모 촉진 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피부 또는 모발에 존재하는 반응위치 이상으로 과도하게 존재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이 피부 또는 모발과 반응하지 못한 상태에서 효능 물질과 반응함으로써 지속성 향상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손실되는 성분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양모ㆍ육모 촉진 효과'라 함은 모발의 비정상적인 탈모 또는 박모 진행을 방지하거나, 빠진 머리카락을 다시 나게 하는 발모 기능 또는 모발이 빠르게 자라게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은 동, 식물, 광물 등의 천연물 유래 추출물,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 당류, 비타민 등과 같이 피부 또는 모발의 손상 부위를 채워줄 수 있는 양모ㆍ육모 촉진 작용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당약 추출물, 염화카프로니움, 세파란틴, 니코틴산벤질, l-멘톨, 에스트라디올, 에티닐에스트라디올, 염산피리독신, 살리실산, 레소르신, 염화벤잘코니움, 염화벤제토니움,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피록톤올아민, 클림바졸, 판토텐산, 플라센타 추출물, 비오틴, 모노니트로구아야콜, 감광소, 펜타데칸산글리세라이드, 글리시레틴산, 글리시레틴산의 칼륨염이나 암모늄염, 알란토인, 미녹시딜, 스테로이드, 안식향산에스트라디올, 에스트론, (초산)히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솔론, 염산디펜히드라민, 글리시리진산디칼륨, 디카프릴산피리독신, 트리코사카라이드, 토코페롤/초산토코페롤, 히노키티올, 덱스판테놀, 판토테닐에틸에테르, 판토텐산나트륨/칼슘, 이소프로필에틸페놀, 모노니트로구아야콜, 글루콘산클로로헥시딘액, 니코틴산에틸, 니코틴산아미드, 고추 틴크, 레이소겐, 콜레스테롤, 스웨르치올, 용성시스틴, 고삼 틴크, 세신 틴크, 부평초 추출물, 자주쓴플 엑기스, 세파란틴, 감마-오리자롤, 칸타리스틴크(cantharis tinc), 건강 틴크, 니코틴산 벤질에스테르,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E, 시스틴, 시스테인, 메치오닌, 루신, 트립토판, 글리세린, 피롤리돈 카르본산 및 캄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부, 0.001 내지 30 중량부, 0.01 내지 10 중량부 또는 0.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함량이 0.001 중량부 미만이면 효과적인 성능 발휘 한계의 문제가 있고,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형화 및 제형 안정화에 문제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은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 또는 아민기를 포함함으로써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과의 반응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은 모발 또는 피부 표면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과 공유 결합하는 관능기는 카르보디이미드, 이미도에스터, 아릴아자이드, 디아지린,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펜타플루오로페닐에스터, 피리딜 디설파이드,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알콕시 아민, 하이드라자이드, 할로아세틸, 아자이드, 카보네이트, 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아지리딘, 이소시아네이트, 티오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트레실레이트, 숙신이미드, 하이드록시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이미다졸, 옥시카보닐 아미다졸, 이민, 티올, 말레이미드, 비닐설폰, 에틸렌이민, 티오에테르,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디설파이드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단백질은 티올(thiol), 하이드록실(hydroxyl), 카르복실(carboxyl) 또는 아민(amine)의 반응성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분자 내에 포함하는 화합물을 총칭한다.
[화학식 1]
-N=C=N-
상기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화학식 1의 구조가 최소한 1개 내지 1000개 정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화학식 1로 표시된 구조를 분자 내에 1개 내지 100개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분자 내에 1개 내지 10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 하나의 분자 내에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보디이미드기가 1000개를 초과하면 원료의 점도가 너무 크고, 분자량이 너무 과도하게 크고, 반응할 수 있는 반응 위치가 너무 과도하게 많아지며, 카르보디이미드기를 보유한 분자가 너무 거대해져서 실질적인 기능을 갖는 분자의 기능 효과를 나타내는 부분을 가림에 의해서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 2에서 n이 4이고, m이 11인 화합물은 벤젠, 1,3,-비스(1-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에테르-블록트(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이하, 화학식 2의 고분자 형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로 명명된다.
[화학식 2]
Figure 112019058804728-pat00005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1 내지 100이고, m은 1 내지 100이다.
본 발명에 있어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의 다른 예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또는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ㆍHCl(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ㆍHCl)를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3112471239-pat00002
본 발명에 따른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 카르복실기를 갖는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을 직접 생체 반응성을 갖는 반응성 에스테르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 형태로 만들어 주거나, 모발(17.5~21.9%) 및 피부 케라틴(15.5~23.5%)에 과량 존재하는 아미노산(ex,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을 반응성 에스테르화시켜 아민기를 포함하는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이 표적화할 수 있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사용하여 반응성을 갖는 에스테르 형태(반응성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를 만들어서 반응 효율을 증대시킴으로써 그 효과를 확연히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기타 다른 아미노산을 표적할 수 있는 카르보디이미드, 이미도에스터, 아릴아자이드, 디아지린,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펜타플루오로페닐에스터, 피리딜 디설파이드,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알콕시 아민, 하이드라자이드, 할로아세틸, 아자이드와 같은 관능기를 분자 내에 포함하는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을 사용하여 그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카르복실기를 갖는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 분자 또는 피부 또는 모발의 단백질 표면에 먼저 화학식 2의 고분자 형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이나 또는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염산(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HCl)과 같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1차 반응하여 반응성 에스테르를 형성하고, 형성된 반응성 에스테르 관능기에 다시 아민을 분자 내에 갖는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을 반응시키거나, 모발 또는 피부 표면의 아민과 반응시킴으로써 우수한 양모ㆍ육모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반응 시에는 바람직하게 pH 2 내지 10의 조건에서 반응이 가능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3 내지 9에서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pH 4 내지 5 정도의 산성 내지 약산성 수용액 상에서 반응하는 것이 가장 반응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반응은 1분 내지 30분 이내 완결된다.
하기 반응식 1에서 카르복실기를 갖는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 분자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과 1차 반응하여 반응성 에스테르를 형성하고 뒤이어 아민 잔기를 갖는 생체의 아미노산과 반응하여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반응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반응식 1]
Figure 112013112471239-pat00003
하기 반응식 2에서 모발 또는 피부의 단백질 표면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생체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산 및 글루타민산이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과 1차 반응하여 반응성 에스테르를 형성하고 뒤이어 아민 잔기를 갖는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과 반응하여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반응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반응식 2]
Figure 112013112471239-pat00004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에 의해 모발 또는 피부의 단백질과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의 반응 효율을 증대시켜 모발 또는 피부에 결합된 반응성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은 샴푸나 비누 등으로 인한 일반적인 세정 시에 잘 떨어져 나오지 않으며 거의 영구적으로 모발 또는 피부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에 카르보디이미드기, 이미도에스터, 아릴아자이드, 디아지린,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펜타플루오로페닐에스터, 피리딜 디설파이드,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알콕시 아민, 하이드라자이드, 할로아세틸, 아자이드, 카보네이트, 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아지리딘, 이소시아네이트, 티오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트레실레이트, 숙신이미드, 하이드록시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이미다졸, 옥시카보닐 아미다졸, 이민, 티올, 말레이미드, 비닐설폰, 에틸렌이민, 티오에테르,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디설파이드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과 공유결합하는 관능기가 결합된 반응성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응식 1에서와 같이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1차 반응시켜 생성된 카르보디이미드기가 결합된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응성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을 포함하는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부수적으로 효과 증대를 위하여 팔미틱산(palmitic acid), 스테아릭산(stearic acid) 등의 지방산, 지방알콜, 직쇄와 분기쇄의 장쇄 알킬 4급 암모늄염 등의 양이온화 계면활성제,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양이온화 구아, 양이온화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양이온화 폴리머, 실리콘 등과 혼용하면 제제화가 용이해 질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제제로의 제형화를 위하여 용제, 계면활성제, 증점제, 안정화제, 방부제, 착색제, pH 조절제, 금속이온 봉쇄제, 착색제, 펄화제, 외관개선제, 안료, 분체입자 등의 화장품 제제화를 위한 성분들을 부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제화를 위한 성분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내지 99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은 관능기를 가지는 양모ㆍ육모 촉진 기능의 성분을 포함하여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처방에 이용될 수 있다. 모발 적용 제품으로 샴푸, 린스, 트린트먼트, 헤어 팩, 헤어 에센스, 왁스, 젤, 스프레이 등의 모든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발명에 따른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면서 동시에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을 포함하게 되고, 위의 제제가 수계에서 활성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비수계 제형에서 그 활성을 유지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며, 사용 직전에 pH 조절을 위하여 완충액(buffer)과 혼합하거나, 세정과정에서 물과 접촉하는 방법으로 반응이 일어나도록 할 수도 있다. 비수계 제형의 예로는 통상의 비수계 화장품 제제로서 사용되는 액상형, 시트형, 분말 분체형, 정제형, 오일, 왁스, 앰플, 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과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을 캡슐화 형태의 단일제 또는 각각 분리된 형태의 2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또한, 캡슐화를 통해 반응성을 가지는 관능기와 양모ㆍ육모 촉진 기능을 갖는 성분이 결합된 형태의 유도체를 수분으로부터 차단하는 방법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관능기를 가지는 양모ㆍ육모 촉진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디옥틸 석시네이트, 디옥틸 아디페이트, 디에틸 세바케이트 등과 같은 2-염기산 에스텔유와 폴리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부타네디올 및 그들의 이성체, 글리세롤, 벤질 알코올, 에톡시디글리콜 및 그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용제는 모발 또는 피부의 침투성을 증가시키며 난용성 물질의 용제로서 이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관능기를 가지는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의 활성 유지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제는 디에틸 세바케이트, 에톡시글리콜, 비스-에톡시글리콜 시클로헥산 1,4-디카복실레이트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 3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과 함량으로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양모 육모용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조성물을 각각의 조성물에 대하여 탈모가 있다고 느끼는 15명씩의 평가 대상자에게 두정부에 고루 바르고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하여 반응을 유도하고 1차로 흐르는 물과 샴푸로 씻어내는 과정을 5일 동안 매일 1회씩 반복 후, 이후 10일이 경과한 후 5점 척도(5 매우 우수, 4 약간 우수, 3 차이 없음, 2 효과 없음, 1 매우 효과 없음)의 관능으로 양모ㆍ육모 효과를 비교하였다.
구분
(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증류수 49.0 49.0 49.0 48.0 48.0 48.0 48.0 48.0 48.0
판토텐산 1.0 - - 1.0 - - 1.0 - -
니코틴산아미드 - 1.0 - - 1.0 - - 1.0 -
비오틴 - - 1.0 - - 1.0 - - 1.0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염산 - - - 1.0 1.0 1.0 - - -
벤젠, 1,3,-비스(1-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에테르-블록트 - - - - - - 1.0 1.0 1.0
완충액
(pH 4.5)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실험결과(표 2), 생체 반응성기가 치환되지 않은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으로 카르보디이미드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카르보디이미드를 포함한 실시예 1 내지 6은 카르보디이미드의 공유결합 형성 효과로 보다 우수한 양모ㆍ육모 개선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폴리머 카르보디이미드를 사용한 실시예 4 내지 6이 보다 우수한 양모ㆍ육모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관능평가
(각각 n=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3 실시예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개선효과
(5점 척도)
1.7 2.0 1.8 3.2 3.3 3.4 3.8 3.7 3.7
제제예 1: 육모제 제조
통상적인 육모제 제조방법에 따라, 하기 표 3의 성분 및 함량으로 육모제를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육모제
판토텐산 0.5
니코틴산아미드 0.5
비오틴 0.5
나이아신아미드 1.0
벤젠, 1,3,-비스(1-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에테르-블록트 1.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80 0.5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완충액(pH 4.5) 잔량
합계 100.0

Claims (9)

  1.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모발 또는 피부 표면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을 포함하는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9058804728-pat00006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1 내지 100이고, m은 1 내지 100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은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 또는 아민기를 포함하는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은 당약 추출물, 염화카프로니움, 세파란틴, 니코틴산벤질, l-멘톨, 에스트라디올, 에티닐에스트라디올, 염산피리독신, 살리실산, 레소르신, 염화벤잘코니움, 염화벤제토니움,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피록톤올아민, 클림바졸, 판토텐산, 플라센타 추출물, 비오틴, 모노니트로구아야콜, 감광소, 펜타데칸산글리세라이드, 글리시레틴산, 글리시레틴산의 칼륨염이나 암모늄염, 알란토인, 미녹시딜, 스테로이드, 안식향산에스트라디올, 에스트론, (초산)히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솔론, 염산디펜히드라민, 글리시리진산디칼륨, 디카프릴산피리독신, 트리코사카라이드, 토코페롤/초산토코페롤, 히노키티올, 덱스판테놀, 판토테닐에틸에테르, 판토텐산나트륨/칼슘, 이소프로필에틸페놀, 모노니트로구아야콜, 글루콘산클로로헥시딘액, 니코틴산에틸, 니코틴산아미드, 고추 틴크, 레이소겐, 콜레스테롤, 스웨르치올, 용성시스틴, 고삼 틴크, 세신 틴크, 부평초 추출물, 자주쓴플 엑기스, 세파란틴, 감마-오리자롤, 칸타리스틴크(cantharis tinc), 건강 틴크, 니코틴산 벤질에스테르,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E, 시스틴, 시스테인, 메치오닌, 루신, 트립토판, 글리세린, 피롤리돈 카르본산 및 캄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과 공유 결합하는 관능기는 이미도에스터, 아릴아자이드, 디아지린,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펜타플루오로페닐에스터, 피리딜 디설파이드,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알콕시 아민, 하이드라자이드, 할로아세틸, 아자이드, 카보네이트, 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아지리딘, 이소시아네이트, 티오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트레실레이트, 숙신이미드, 하이드록시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이미다졸, 옥시카보닐 아미다졸, 이민, 티올, 말레이미드, 비닐설폰, 에틸렌이민, 티오에테르,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디설파이드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 100 중량%에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이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이 캡슐화된 형태의 단일제로 제형화되거나;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양모ㆍ육모 촉진 성분이 각각 분리된 형태의 2제로 제형화된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삭제
KR1020130152321A 2013-12-09 2013-12-09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6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321A KR102006950B1 (ko) 2013-12-09 2013-12-09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321A KR102006950B1 (ko) 2013-12-09 2013-12-09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811A KR20150066811A (ko) 2015-06-17
KR102006950B1 true KR102006950B1 (ko) 2019-08-02

Family

ID=53515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321A KR102006950B1 (ko) 2013-12-09 2013-12-09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9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0838B2 (en) 2017-06-23 2020-05-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skin
US11622963B2 (en) 2018-07-03 2023-04-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treating a skin condition
KR102102578B1 (ko) 2019-06-26 2020-04-21 코스맥스 주식회사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 및 멘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근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US11583488B2 (en) 2020-06-01 2023-0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improving penetration of a vitamin B3 compound into skin
US10959933B1 (en) 2020-06-01 2021-03-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 pH skin care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2023534287A (ja) * 2020-07-14 2023-08-08 エルジー ハウスホールド アンド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脱毛防止及び発毛促進用の組成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9210A (ja) * 2003-12-17 2005-07-07 Lion Corp 毛髪変形剤組成物、2剤混合型毛髪変形剤組成物、並びに毛髪変形剤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2511A (ja) * 1982-03-23 1983-09-27 Sakahito Matsuno 養毛用組成物
KR101351467B1 (ko) 2007-01-05 2014-01-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또는 모발용 혼합형 퍼스널 케어 제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9210A (ja) * 2003-12-17 2005-07-07 Lion Corp 毛髪変形剤組成物、2剤混合型毛髪変形剤組成物、並びに毛髪変形剤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811A (ko)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0750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hair growth
KR102006950B1 (ko)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3217B1 (ko)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09846773A (zh) 一种可抑制脂溢性脱发的头皮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006948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6952B1 (ko)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3091961A1 (en) Exfoliative hair retention-promoting formulation
KR102220534B1 (ko) 수딩 크림 및 이의 제조 방법
JP5455292B2 (ja) 皮膚外用組成物
KR102006951B1 (ko) 비듬 또는 가려움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6052181B2 (ja) 化粧料
KR101778654B1 (ko) 다이하이드로디하이드로다이이소유게놀의 용도 및 다이하이드로디하이드로다이이소유게놀을 포함하는 제제
JPH03112912A (ja) 化粧料組成物
JPH01242516A (ja) 養毛剤、養毛シャンプー及び養毛促進剤
KR102006956B1 (ko)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102075947B1 (ko) 아토피 또는 피부 트러블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139148B1 (ko) 체모 성장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4521B1 (ko)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TWI780699B (zh) 乳鐵蛋白、其衍生胜肽及其抑制及/或減緩油脂生成的用途
US9180135B2 (en) Miliacin and sphingolipids and/or phospholipids composition for hair and scalp care
WO2013180229A1 (ja) 育毛用組成物
CN115536743A (zh) 乳铁蛋白的衍生肽及其促进及/或增加油脂生成的用途
WO2016085160A2 (ko) 발모촉진용 또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JPH03130221A (ja) ニキビ治療用皮膚外用剤
KR20050119898A (ko) 양모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