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399B1 - 모듈식 거치대 - Google Patents

모듈식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399B1
KR102006399B1 KR1020190012083A KR20190012083A KR102006399B1 KR 102006399 B1 KR102006399 B1 KR 102006399B1 KR 1020190012083 A KR1020190012083 A KR 1020190012083A KR 20190012083 A KR20190012083 A KR 20190012083A KR 102006399 B1 KR102006399 B1 KR 102006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modular
unit
support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향
고병설
Original Assignee
세비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비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비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2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3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399B1/ko
Priority to CN201922254200.0U priority patent/CN211749165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1Accessories for showers or bathing douches, e.g. cleaning devices for walls or floors of sh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33Hollow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2Soap boxes or recep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 유닛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고, 다양한 거치 유닛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듈식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거치대는,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에 탈부착되는 거치 유닛을 포함하는 모듈식 거치대로서, 상기 지지봉은, 제1 외경을 갖는 복수의 제1 외주부와, 2개의 상기 제1 외주부 사이에 상기 제1 외경 보다 작은 제2 외경을 갖는 제2 외주부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거치 유닛은, 상기 제2 외주부를 감싸도록 양 갈래로 돌출편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외주부에 수평 방향으로 탈부착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식 거치대 {Modular stand}
본 발명은 모듈식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위 유닛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고, 다양한 거치 유닛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듈식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을 하며 다양한 물품들을 거치하거나 수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욕실 내에는 세면 및 샤워를 위한 각종 세면 용품들이 구비되는데, 세면 용품들을 거치할 마땅한 장소가 부족하면 세면 용품들을 욕실 내 여기저기에 늘어놓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들은 일상 생활에서 필요한 곳에 선반을 설치하여 다양한 용품들을 거치하거나 수납하곤 한다.
통상 다양한 용품들을 거치하기 위하여 쉽게 구매할 수 있는 다용도 선반을 사용하곤 하는데, 다층으로 이루어진 선반은 규격이나 높낮이가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가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협소한 공간에 선반을 설치하게 되면 거치 및 수납의 편의성은 있더라도,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적절한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 등록 제 10-1835701 호의 발명 (선행기술 1) 에 따르면, 사용자 의 용도에 따라 크기 및 규격을 다양하게 확장하거나 변형을 가능한 '조립형 다용도 선반'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 1에 따르면, 반제품 형태의 조립 선반으로서,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크기 및 규격을 다양하게 확장하거나 변형할 수 있도록 하여 선반의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용품의 거치 및 수납에 있어 활용성은 높일 수 있더라도, 해당 선반을 두게 되면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 측면에서 한계점을 가진다.
실용신안 공개 제 20-2012-0001739 호의 고안 (선행기술 2) 에 따르면, 협소한 욕실 내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욕실용품 거치대가 구비된 수도꼭지'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 2에 따르면, 수도꼭지의 몸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거치대의 결합 돌기가 수도꼭지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거치대가 지지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수도꼭지의 사용과 비누 등의 욕실 용품 거치 기능이 가능하도록 한다. 욕실 내 필수적으로 형성되는 수도꼭지 주변에 거치대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협소한 공간 내 공간 활용도는 향상시킬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 욕실 내에 상기 거치대가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수도꼭지를 사용함에 있어서 거치대가 번거롭게 방해가 되는 등의 불폄함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 특허 등록 제 10-1835701 호 (발명의 명칭 : 조립형 다용도 선반) 2. 한국 실용신안 공개 제 20-2012-0001739 호 (욕실용품 거치대가 구비된 수도꼭지)
이에,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는 사용자의 편의 및 용도에 따라 크기 및 규격을 다양하게 확장하고 변형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듈식 거치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는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더라도 사용자가 활용하는 공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좁은 영역에 효율적으로 설치 가능한 형태의 거치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는 단순한 결합 방식을 채용하되 각종 용품들이 강고히 지지될 수 있도록 내구성이 우수한 거치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는 선반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 기구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가정용뿐만 아니라 사무용, 산업용으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거치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거치대는,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에 탈부착되는 거치 유닛을 포함하는 모듈식 거치대로서, 상기 지지봉은, 제1 외경을 갖는 복수의 제1 외주부와, 2개의 상기 제1 외주부 사이에 상기 제1 외경 보다 작은 제2 외경을 갖는 제2 외주부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거치 유닛은, 상기 제2 외주부를 감싸도록 양 갈래로 돌출편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외주부에 수평 방향으로 탈부착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는, 상기 제1 외주부와 상기 제2 외주부 사이에 수평 방향의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단턱부에 접촉하여 상기 체결부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지지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의 상기 체결부는, 상기 돌출편이 탄성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이 형성하는 내부 직경과 상기 제2 직경이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외주부에 탄성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의 상기 돌출편의 두께는 상기 제1 외주부의 반경과 상기 제2 외주부의 반경의 차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2 외주부에 결합된 경우, 서로 이웃한 상기 제1 외주부의 외주면과 상기 돌출편의 외주면이 일 직선상에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의 상기 거치 유닛은, 상기 체결부에서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물품이 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체결부에서 연장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거치부 측에 형성된 제2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서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이루는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는, 2개의 상기 제1 외주부와, 1개의 상기 제2 외주부와, 상기 제2 외부주에 체결되는 하나의 거치 유닛이 상기 모듈식 거치대의 단위 거치대 유닛을 구성하고, 상기 단위 거치대 유닛이 상기 수직 방향에 따라 소정 횟수 반복되어 배치되고, 반복된 단위 거치대 유닛의 양 단부에 상기 모듈식 거치대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의 상기 모듈식 거치대는, 샤워 헤드가 구비된 급수관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의 상기 거치부는, 선반, 고리, 샤워기 지지대, 거울 및 비누 받침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는, 적어도 상기 지지봉이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는 단위 유닛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고, 다양한 거치 유닛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 및 용도에 따라 거치대의 높낮이와 결합되는 거치 유닛의 종류를 다양하게 확장하고 변형할 수 있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체결부를 형성하지 않고도 수직 방향의 지지봉에 다양한 거치 유닛이 결합될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더라도 사용자가 활용하는 공간에 방해가 되지 않고, 설치 공간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는 미리 설치된 봉 형태의 구조물을 둘러싸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거치대를 위한 별도 공간을 마련하지 않고도 설치 가능한 점에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는 거울 등 다양한 부가 기구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선반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거치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다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거치 유닛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의 단위 거치대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의 다양한 조립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거치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거치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다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거치 유닛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거치대 (100) 는 지지봉 (110) 및 이에 탈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거치 유닛 (120) 을 포함한다.
지지봉 (110) 은 수직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거치 유닛 (120) 이 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지지봉 (110) 은 제1 외경 (d1) 을 갖는 복수의 제1 외주부 (111) 와, 제1 외주부 (111) 들 사이에 제1 외경 (d2) 보다 작은 제2 외경 (d2) 을 갖는 제2 외주부 (112) 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1 외주부 (111) 및 복수의 제2 외주부 (112) 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2개의 제1 외주부 (111) 의 사이에 제2 외주부 (112) 가 개재되고, 이러한 배치가 반복되어 길게 연장되며 지지봉 (110) 을 이룬다.
거치 유닛 (120a, 120b, 120c, 120d, 이하 '120'으로 통칭함) 은 물품을 거치하는 다양한 부재를 총칭한다.
거치 유닛 (120) 은 지지봉 (110) 의 제2 외주부 (112) 에 수평 방향으로 탈부착된다. 거치 유닛 (120) 은 양 갈래로 돌출편 (121) 이 형성된 체결부 (122) 를 포함하고, 이러한 체결부 (122) 를 통해 제2 외주부 (112) 를 감싸며 탈부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봉 (110) 의 제1 외주부 (111) 및 제2 외주부 (112) 는 일체로 형성되되, 그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되어 서로 다른 외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봉 (110) 의 내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달리 내부가 찬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도 있다.
지지봉 (110) 의 제1 외주부 (111) 와 제2 외주부 (112) 사이에, 수평 방향의 단턱부 (113) 가 형성된다. 상부 단턱부 (113a) 와 하부 단턱부 (113b) 는 서로 마주보고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봉 (110) 의 제2 외주부 (112) 에 거치 유닛 (120) 의 체결부 (122) 가 결합되는 경우, 돌출편 (121) 의 상단과 하단은 단턱부 (113) 에 접촉하게 배치된다. 단턱부 (113) 는 체결부 (122) 가 지지봉 (110) 의 수직 방향으로 지지력을 받을 수 있도록 돌출편 (121) 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돌출편 (121) 이 제2 외주부 (112) 에 삽입되면 단턱부 (113) 는 돌출편 (121) 이 수직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따라서, 거치 유닛 (120) 에 물품이 거치되어 거치 유닛 (120) 에 수직 방향 (또는, 자중 방향) 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단턱부 (113) 가 돌출편 (121) 의 유동을 방지하고 특히 하부 단턱부 (113b) 가 체결부 (122) 에 수직 상방으로의 지지력을 제공함으로써, 거치 유닛 (120) 이 지지봉 (110) 에 강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 (100) 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지지봉 (110) 이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지지봉 (110) 이 급수관과 같은 금속 파이프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거치 유닛 (120a, 120b, 120c, 120d) 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거치 유닛 (120a) 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거치 유닛 (120a) 은 체결부 (122a), 지지부 (123a) 및 거치부 (124a)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체결부 (122a) 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 갈래로 돌출된 돌출편 (121a) 을 포함한다.
돌출편 (121a) 은 탄성 부재로 형성되어, 제2 외주부 (112) 에 탄성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돌출편 (121a) 이 형성하는 내부 직경은 제2 외주부 (112) 제2 직경 (d2) 이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 유닛 (120a) 의 체결부 (122a) 가 제2 외주부 (112) 에 닿으면, 외력 (사용자의 힘) 에 의해 탄성의 돌출편 (121a) 이 양 갈래로 소정 간격 벌어질 수 있다. 이때 돌출편 (121a) 의 양 단부 사이의 간격이 제2 직경 (d) 만큼 벌어지며 체결부 (122a) 가 제2 외주부 (112) 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돌출편 (121a) 의 두께는 제1 외주부 (111) 의 반경 (r1) 과 제2 외주부 (112) 의 반경 (r2) 의 차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체결부 (122a) 가 제2 외주부 (112) 에 결합되면, 이웃한 제1 외주부 (111) 의 외주면과 돌출편 (121a) 의 외주면이 서로 일 직선상에 놓이면서, 돌출편 (121a) 이 제2 외주부 (112) 가 형성하는 공간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지지부 (123a) 는 체결부 (122a) 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거치부 (124a) 는 지지부 (123a) 의 단부에 형성되어 물품이 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도 3a에 도시된 거치 유닛 (120a) 은 물품이 고리 형상의 거치부 (124a) 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 예를 나타낸다. 지지부 (123a) 및 거치부 (124a) 는 거치 유닛 (120a) 의 기능에 따라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b에 도시된 거치 유닛 (120b) 은 물품이 선반 형상의 거치부 (124b) 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 예를 나타내고, 도 3c에 도시된 거치 유닛 (120c) 은 물품이 링 형상의 거치부 (124c) 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예를 나타내며, 도 3d에 도시된 거치 유닛 (120d) 은 거치부 (124d) 에 거울이 부착된 예를 나타낸다.
도 3b를 참조하면, 체결부 (122b) 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 갈래로 돌출된 돌출편 (121b) 을 포함한다.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거치 유닛 (120b) 의 체결부 (122b) 가 제2 외주부 (112) 에 닿으면, 외력 (사용자의 힘) 에 의해 탄성의 돌출편 (121b) 이 양 갈래로 소정 간격 벌어지며 체결부 (122b) 가 제2 외주부 (112) 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 (123b) 는 체결부 (122b) 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선반형 거치 유닛 (120b) 의 지지부 (123b) 는 고리형 거치 유닛 (120a) 의 지지부 (123a) 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지지부 (123b) 는 양 갈래의 돌출편 (121b) 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두 갈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 (123a) 의 단부에 선반 형태의 거치부 (124b) 가 양 갈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 (123b) 및 거치부 (124b) 가 지지봉 (110) 을 U자 형태로 감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3b의 선반형 거치 유닛 (120b) 은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 (100) 가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 거치 유닛 (120b) 의 단부가 설치된 벽면에 닿도록 지지부 (123b) 및 거치부 (124b) 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선반형 거치 유닛 (120b) 은 상술한 단턱부 (113) 에 더하여, 설치된 벽면으로부터도 지지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체결부 (122c) 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 갈래로 돌출된 돌출편 (121c) 을 포함하고, 탄성의 돌출편 (121c) 이 양 갈래로 소정 간격 벌어지며 체결부 (122c) 가 제2 외주부 (112) 로 삽입될 수 있다. 체결부 (122c) 의 구성은 도 3a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지지부 (123c) 는 체결부 (122c) 에서 연장되는 제1 지지부 (123c) 와, 링 형상의 거치부 (124c) 측에 형성된 제2 지지부 (123c') 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부 (123c) 는 제1 지지부 (123c) 와 제2 지지부 (123c') 의 사이에 힌지부 (123c'') 를 포함한다. 힌지부 (123c'') 는 제1 지지부 (123c) 와 제2 지지부 (123c') 가 이루는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며, 흡사 인체의 관절과 같은 기능을 하며 거치부 (124c) 의 위치가 다양하게 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힌지부 (123c'') 는 종래의 샤워기 지지대와 달리,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영역이 직각 구조가 아닌 비스듬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제1 지지부 (123c) 와 제2 지지부 (123c') 가 이루는 각도가 가변될 수 있는 범위가 종래의 샤워기 지지대에 비하여 큰 이점이 있다.
거치부 (124c) 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체결부 (122c) 의 양 갈래의 돌출편 (121c) 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부 (124c) 는 욕실의 샤워기 지지대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c에 도시된 거치 유닛 (120c) 이 욕실에 설치되는 샤워기 지지대인 경우, 힌지부 (123c'') 의 회전에 의해 제1 지지부 (123c) 와 제2 지지부 (123c') 가 실선으로 도시된 배치 상태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배치 상태로 움직일 수 있다.
통상 샤워기에서 물이 분사되는 경우, 작용 반작용의 법칙에 의하여 물의 분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샤워기 거치 유닛이 힌지부를 포함하지 않아 흡사 도 3c의 실선으로 도시된 배치 상태와 같이 직선으로 배치된다면, 샤워기에서 물의 분사에 따라 거치 유닛 (120c) 에 토크 (torque) 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거치 유닛 (120c) 이 지지봉 (110) 을 중심으로 하여 원을 그리며 회전하게 되므로, 샤워기를 사용하는 동안 샤워기가 의도한 방향에서 계속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거치 유닛 (120c) 과 같이 힌지부 (123c'') 를 포함하여 도 3c의 점선으로 도시된 배치 상태를 이루면, 샤워기에서 물의 분사에 따라 발생한 반작용의 힘이 거치봉 (110) 을 미는 방향으로 가해지기 때문에 거치 유닛 (120c) 에 토크 (torque) 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거치 유닛 (123c) 는 샤워기를 통하여 물이 분사되더라도 샤워기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3d를 참조하면, 체결부 (122d) 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 갈래로 돌출된 돌출편 (121d) 을 포함하고, 탄성의 돌출편 (121d) 이 양 갈래로 소정 간격 벌어지며 체결부 (122d) 가 제2 외주부 (112) 로 삽입될 수 있다. 체결부 (122d) 의 구성은 도 3a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지지부 (123d) 는 체결부 (122d) 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단부에 거치부 (124d) 의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 (124d) 는 판상 형으로 구성되되 그 전면에 거울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거치 유닛 (120d) 의 지지부 (123d) 는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 (123d) 의 회전에 의해 거치부 (124d) 실선으로 도시된 배치 상태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배치 상태로 움직일 수 있다.
즉, 지지부 (123d) 가 지지봉 (110) 을 향하는 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고, 거치 유닛 (120d) 이 지지봉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거울이 부착된 거치 유닛 (120d) 를 지지봉 (110) 을 중심으로 왼쪽 또는 오른쪽에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처럼 도 3d와 같이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 (100) 는 거울 등 다양한 부가 기구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거치대 및 선반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거치 유닛 (120a, 120b, 120c, 120d) 이 고리, 선반, 샤워기 지지대 또는 거울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설명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거치 유닛 (120) 은 구체적으로, 거치부 (124) 는 다양한 종류로 확장되고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의 단위 거치대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의 다양한 조립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 (100) 는 하나 이상의 단위 거치대 유닛 (M) 이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듈식으로 구성된 단위 거치대 유닛 (M) 을 서로 연결하여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 (100) 의 크기 및 규격을 다양하게 확장하고 변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위 거치대 유닛 (M) 은 2개의 상기 제1 외주부 (111) 와, 1개의 상기 제2 외주부 (112) 와, 제2 외부주 (112) 에 체결되는 하나의 거치 유닛 (120) 을 포함한다. 이러한 단위 거치대 유닛 (M) 은 수직 방향에 따라 소정 횟수 반복 배치되어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 (100) 를 구성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 거치대 유닛 (M) 이 조립되어 본 발명의 다양한 형태의 모듈식 거치대 (100) 를 구성한다.
도 5a는 6단 형태로 구성된 모듈식 거치대 (100') 이고, 도 5B는 5단 형태로 구성된 모듈식 거치대 (100'') 이며, 도 5C는 4단 형태로 구성된 모듈식 거치대 (100''') 를 예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 (100', 100'', 100''', 이하 '100'으로 통칭함) 를 단위 거치대 유닛 (M) 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거치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또한 설치되는 공간의 용도에 다라 다양한 형태의 거치 유닛 (120) 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듈식 거치대 (100) 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 및 용도에 따라 거치대의 높낮이와 결합되는 거치 유닛의 종류를 다양하게 확장하고 변형할 수 있다.
상술한 도 1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 (100) 는 반복된 단위 거치대 유닛 (M) 의 양 단부에 모듈식 거치대 (100) 를 고정하는 고정부 (114) 를 포함한다.
고정부 (114) 는 단위 거치대 유닛 (M) 사이의 결합 관계를 고정시키며,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 (100) 를 벽면 등의 지지체에 고정한다.
고정부 (114) 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 (110) 의 수직 방향의 양 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 (114) 의 길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 (100) 와 벽면 등의 지지체에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고정부 (114) 를 원통형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 및 고정 방식으로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 (100) 를 고정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거치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거치대 (200) 는 지지봉 (210) 및 이에 탈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거치 유닛 (22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 (200) 는 미리 설치된 봉 형태의 구조물 (예컨대, 급수관) 을 둘러싸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벽면에 설치되는 모듈식 거치대 (100) 와 구별된다.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 (200) 에 따르면 사용자가 거치대를 위한 별도 공간을 마련하지 않고도 설치 가능한 점에 이점이 있다.
이하, 모듈식 거치대 (200) 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모듈식 거치대 (100) 의 구성과 동일하여 중복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본 실시예의 모듈식 거치대 (200) 만의 특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지지봉 (210) 은 수직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거치 유닛 (220) 이 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지지봉 (210) 은 제1 외경 (d1) 을 갖는 복수의 제1 외주부 (211) 와, 제1 외주부 (211) 들 사이에 제1 외경 (d2) 보다 작은 제2 외경 (d2) 을 갖는 제2 외주부 (212) 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1 외주부 (211) 및 복수의 제2 외주부 (212) 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지지봉 (210) 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을 갖도록 형성되고, 지지봉 (210) 의 내부에 급수관 (P) 이 배치된다. 즉, 모듈식 거치대 (200) 는 샤워 헤드가 구비된 급수관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 (200) 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지지봉 (210) 이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지지봉 (110) 이 급수관과 같은 금속 파이프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모듈식 거치대 (200) 는 반복된 단위 거치대 유닛 (M) 의 양 단부에 모듈식 거치대 (200) 를 고정하는 고정부 (214) 를 포함한다.
고정부 (214) 는 단위 거치대 유닛 (M) 사이의 결합 관계를 고정시키며,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 (200) 를 봉 형태의 구조물 (예컨대, 급수관) 에 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거치 유닛 (220) 은 지지봉 (210) 의 제2 외주부 (212) 에 수평 방향으로 탈부착되며,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거치 유닛 (220) 이 미리 설치된 봉 형태의 구조물에 탈부착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 (100, 200) 는 단위 거치대 유닛 (M) 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고, 다양한 거치 유닛 (120, 220) 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 및 용도에 따라 거치대의 높낮이와 결합되는 거치 유닛의 종류를 다양하게 확장하고 변형할 수 있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 (100, 200) 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체결부를 형성하지 않고도 수직 방향의 지지봉 (110, 210) 에 다양한 거치 유닛이 결합될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더라도 사용자가 활용하는 공간에 방해가 되지 않고, 설치 공간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 (200) 는 미리 설치된 봉 형태의 구조물을 둘러싸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거치대를 위한 별도 공간을 마련하지 않고도 설치 가능한 점에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식 거치대 (100, 200) 는 거울 등 다양한 부가 기구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선반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 모듈식 거치대
M … 단위 거치대 유닛
110, 210 … 지지봉
111, 211 … 제1 외주부
112, 212 … 제2 외주부
113 … 단턱부
114, 214 … 고정부
120, 220 … 거치 유닛
121 … 돌출편
122 … 체결부
123 … 지지부
124 … 거치부

Claims (10)

  1.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에 탈부착되는 거치 유닛을 포함하는 모듈식 거치대로서,
    상기 지지봉은,
    제1 외경을 갖는 복수의 제1 외주부와, 2개의 상기 제1 외주부 사이에 상기 제1 외경 보다 작은 제2 외경을 갖는 제2 외주부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거치 유닛은,
    상기 제2 외주부를 감싸도록 양 갈래로 돌출편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외주부에 수평 방향으로 탈부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2개의 상기 제1 외주부와, 1개의 상기 제2 외주부와, 제2 외주부에 체결되는 하나의 거치 유닛이 상기 모듈식 거치대의 단위 거치대 유닛을 구성하고, 상기 단위 거치대 유닛이 상기 수직 방향에 따라 소정 횟수 반복되어 배치되고,
    상기 지지봉은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모듈식 거치대는 상기 지지봉의 소재와 서로 다른 소재로 구성된 급수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거치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주부와 상기 제2 외주부 사이에 수평 방향의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단턱부에 접촉하여 상기 체결부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지지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거치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돌출편이 탄성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이 형성하는 내부 직경과 상기 제2 외경이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외주부에 탄성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거치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의 두께는 상기 제1 외주부의 반경과 상기 제2 외주부의 반경의 차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2 외주부에 결합된 경우, 서로 이웃한 상기 제1 외주부의 외주면과 상기 돌출편의 외주면이 일 직선상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거치대.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유닛은,
    상기 체결부에서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물품이 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거치대.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체결부에서 연장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거치부 측에 형성된 제2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서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이루는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모듈식 거치대.
  7. 제1 항에 있어서,
    반복된 단위 거치대 유닛의 양 단부에 상기 모듈식 거치대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거치대.
  8. 삭제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선반, 고리, 샤워기 지지대, 거울 및 비누 받침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거치대.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식 거치대는,
    적어도 상기 지지봉이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거치대.
KR1020190012083A 2019-01-30 2019-01-30 모듈식 거치대 KR102006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083A KR102006399B1 (ko) 2019-01-30 2019-01-30 모듈식 거치대
CN201922254200.0U CN211749165U (zh) 2019-01-30 2019-12-16 模块式置物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083A KR102006399B1 (ko) 2019-01-30 2019-01-30 모듈식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399B1 true KR102006399B1 (ko) 2019-10-01

Family

ID=6820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083A KR102006399B1 (ko) 2019-01-30 2019-01-30 모듈식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6399B1 (ko)
CN (1) CN21174916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284B1 (ko) * 2020-03-05 2021-09-01 주식회사 대호테크 협소 공간용 스마트 데스크시스템
KR102360231B1 (ko) * 2021-06-25 2022-02-08 김만선 욕실용 슬라이드 바 어셈블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5818A (ja) * 2002-12-13 2004-10-14 Hansgrohe Ag シャワーヘッドホルダ
JP3142796U (ja) * 2008-04-15 2008-06-26 藤塚 晃秀 棚構造
KR20120001739U (ko) 2010-08-04 2012-03-09 장일웅 욕실용품 거치대가 구비된 수도꼭지
KR20120128778A (ko) * 2011-05-18 2012-11-28 심민정 비누용 선반
KR101835701B1 (ko) 2017-09-29 2018-03-07 (주)남영산업 조립형 다용도 선반
KR200486306Y1 (ko) * 2017-08-28 2018-04-30 박귀출 비누 받침대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5818A (ja) * 2002-12-13 2004-10-14 Hansgrohe Ag シャワーヘッドホルダ
JP3142796U (ja) * 2008-04-15 2008-06-26 藤塚 晃秀 棚構造
KR20120001739U (ko) 2010-08-04 2012-03-09 장일웅 욕실용품 거치대가 구비된 수도꼭지
KR20120128778A (ko) * 2011-05-18 2012-11-28 심민정 비누용 선반
KR200486306Y1 (ko) * 2017-08-28 2018-04-30 박귀출 비누 받침대 고정구조
KR101835701B1 (ko) 2017-09-29 2018-03-07 (주)남영산업 조립형 다용도 선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284B1 (ko) * 2020-03-05 2021-09-01 주식회사 대호테크 협소 공간용 스마트 데스크시스템
KR102360231B1 (ko) * 2021-06-25 2022-02-08 김만선 욕실용 슬라이드 바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1749165U (zh) 202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399B1 (ko) 모듈식 거치대
US20080078018A1 (en) Shower bar assembly
US20080010739A1 (en) Curved shower curtain rod assembly
USD948889S1 (en) Bathroom storage basket
JP3150340U (ja) 多機能タオル置物ハンガー
US20110284484A1 (en) Cam-lock assembly for adjustable length tubes
AU607025B2 (en) An article retaining fixture with supporting structure
US20070125923A1 (en) Small household fixtures with wall mounting fixture assembly
KR200485419Y1 (ko) 욕실용 선반
KR102111981B1 (ko) 모듈식 거치대
KR101728456B1 (ko) 이동식 복합 샤워 거치대
KR102618918B1 (ko) 벽면 부착형 샤워기용 받침행거 장치
KR200400724Y1 (ko) 슬라이딩식 샤워기 걸이 장치
US2899688A (en) Bath tub accessory
KR101185777B1 (ko) 샤워기 걸이구가 구비된 액체용기
KR200440468Y1 (ko) 세움대가 설치된 샤워기 헤드
US20190090697A1 (en) Towel ring assembly
KR200460599Y1 (ko) 파티션 선반장치
KR101880648B1 (ko) 비누받침 일체형 손빨래 걸이
KR20240079372A (ko) 세면도구 거치대
USD444970S1 (en) Prism-shaped element for seating furniture
JP7424716B2 (ja) 浴槽
CN104653838A (zh) 一种水龙头出水管及水龙头
KR200276639Y1 (ko) 샤워기 홀딩장치
KR100815194B1 (ko) 자석 홀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