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125B1 - 낚시용 스피닝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스피닝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125B1
KR102005125B1 KR1020147005725A KR20147005725A KR102005125B1 KR 102005125 B1 KR102005125 B1 KR 102005125B1 KR 1020147005725 A KR1020147005725 A KR 1020147005725A KR 20147005725 A KR20147005725 A KR 20147005725A KR 102005125 B1 KR102005125 B1 KR 102005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haft
tubular member
handle arm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5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2737A (ko
Inventor
슈우타 가노
마나부 마츠하시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22371A external-priority patent/JP59378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22369A external-priority patent/JP5820338B2/ja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2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핸들 부분에서의 덜걱거림을 방지하거나, 핸들 부분의 실장 조작이나 절첩 조작을 하기 쉬운 핸들의 조립 구조를 갖는 낚시용 스피닝 릴을 제공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시용 스피닝 릴은, 드라이브 기어와 일체화된 구동축과, 핸들의 조작에 따라서 회전하는 핸들 아암과, 일단부측에 핸들 아암을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함과 함께 핸들 아암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고, 구동축과 축방향으로 분단되어 있는 핸들축과, 구동축 및 핸들축과 각각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핸들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구동축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핸들 아암과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갖는 통 형상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낚시용 스피닝 릴 {SPINNING FISHING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스피닝 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핸들의 조립 구조에 특징을 갖는 낚시용 스피닝 릴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 특허 출원 2012-122369(2012년 5월 29일 출원) 및 일본 특허 출원 2012-122371(2012년 5월 29일 출원)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은 참조에 의해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낚시용 스피닝 릴은, 핸들의 권취 회전 조작에 의해 연동 회전하는 로터 및 전후 이동하는 스풀을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고, 핸들의 회전 구동력을, 핸들축을 통해 드라이브 기어에 전달하고, 드라이브 기어의 회전에 의해 로터 및 스풀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핸들은, 콤팩트화할 수 있도록, 핸들축에 대해 핸들 아암이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들을 절첩식으로 구성하면, 핸들 아암, 핸들축 및 드라이브 기어와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 백래쉬가 발생하기 쉽게 되어 버린다. 이로 인해, 특허문헌 1에는, 핸들축에 핸들 아암을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또한 드라이브 기어의 기어축(구동축 통)을 구동할 때, 덜걱거림을 방지한 핸들의 조립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핸들의 조립 구조는, 선단에 핸들 아암을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한 핸들축을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내부 끼움한 통 형상 부재(컬러)를 배치하고, 이 통 형상 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핸들 아암과 기어축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93949호
상기한 공지 기술에서는, 핸들축과 회전 방지 끼워 맞춤되는 통 형상 부재의 양단부에서, 핸들 아암과 기어축을 각각 결합시키고, 또한 핸들축을 기어축에 회전 방지 끼워 맞춤하고 있고, 핸들 아암으로부터 기어축에 이르는 구동력의 전달 계통이 통 형상 부재와 함께 일체화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결합 부분에서의 백래쉬(간극·교차)를 일정하게 하는 것이 번잡해져, 각 부재에 고정밀도의 치수 관리가 요구되어 버린다. 즉, 각 결합 부분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정밀도(교차)가 엄격하게 되어 버려, 이에 의해, 핸들 부분의 실장 조작 및 절첩 조작을 하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통 형상 부재 전체적인 덜걱거림 상태를 일정하게 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결합 부분에 있어서 회전 방향의 부하가 크게 걸리기 쉽게 되어 버려, 결과적으로, 그 부분에서 축방향으로 덜걱거림이 발생하기 쉽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핸들 부분에서의 덜걱거림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들 부분의 실장 조작이나 절첩 조작을 하기 쉬운 핸들의 조립 구조를 갖는 낚시용 스피닝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낚시용 스피닝 릴이며, 드라이브 기어와 일체화된 구동축과, 핸들의 조작에 따라서 회전하는 핸들 아암과, 일단부측에 상기 핸들 아암을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함과 함께 상기 핸들 아암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고, 상기 구동축과 축방향으로 분단되어 있는 핸들축과, 상기 구동축 및 상기 핸들축과 각각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핸들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핸들 아암과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갖는 통 형상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의 낚시용 스피닝 릴에서는, 통 형상 부재에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를 설치하고, 이들 결합부를, 핸들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구동축과 핸들 아암에 결합시키고 있으므로, 핸들 아암으로부터 구동축에 이르는 부분에서의 덜걱거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핸들 아암으로부터의 구동력은, 구동축과는 축방향으로 분단된 상태에 있는 핸들축과 통 형상 부재의 연결 및 핸들축과는 축방향으로 분단된 상태에 있는 구동축과 통 형상 부재의 연결을 통해, 구동축측으로 전달되는 구성이므로, 핸들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 계통은, 통 형상 부재와 함께 일체화된 상태가 아니다. 따라서, 통 형상 부재의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일정한 백래쉬(간극·교차)의 범위로 정밀도를 유지할 필요가 없고, 각 결합부에서의 백래쉬가 독자적으로 허용되므로, 치수 관리에 여유가 발생하게 되어, 핸들 부분의 실장 조작이나 절첩 조작을 하기 쉬워진다. 또한, 이에 의해, 통 형상 부재의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에 있어서, 회전 방향의 부하가 걸리기 어려워지므로, 축방향의 덜걱거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낚시용 스피닝 릴이며, 드라이브 기어와 일체화된 구동축과, 핸들의 조작에 따라서 회전하는 핸들 아암과, 일단부측에 핸들 아암을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함과 함께 상기 핸들 아암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고, 상기 구동축에 대해 일체 회전 가능하게 내부 끼움되어 있는 핸들축과, 상기 핸들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고, 상기 핸들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핸들 아암과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갖는 통 형상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의 낚시용 스피닝 릴에서는, 통 형상 부재에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를 설치하고, 이들 결합부를, 핸들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구동축과 핸들 아암에 결합시키고 있으므로, 핸들 아암으로부터 구동축에 이르는 부분에서의 덜걱거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핸들 아암으로부터의 구동력은, 구동축에 대해 일체 회전 가능하게 내부 끼움된 핸들축으로부터 전달되도록 되어 있고, 핸들축은, 통 형상 부재에 대해서는 회전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으므로, 핸들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 계통은, 통 형상 부재와 함께 일체화된 상태가 아니다. 따라서, 통 형상 부재의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일정한 백래쉬(간극·교차)의 범위로 정밀도를 유지할 필요가 없고, 각 결합부에서의 백래쉬가 독자적으로 허용되므로, 치수 관리에 여유가 발생하게 되어, 핸들 부분의 실장 조작이나 절첩 조작을 하기 쉬워진다. 또한, 이에 의해, 통 형상 부재의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에 있어서, 회전 방향의 부하가 걸리기 어려워지므로, 축방향의 덜걱거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는, 낚시용 스피닝 릴이며, 드라이브 기어와 일체화된 구동축과, 핸들의 조작에 따라서 회전하는 핸들 아암과, 일단부에 상기 핸들 아암을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함과 함께 상기 핸들 아암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고, 상기 구동축의 일단부측에 배치되는 핸들축과, 상기 구동축과 상기 핸들 아암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핸들축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통 형상 부재와, 상기 구동축의 타단부측으로부터 상기 핸들축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 삽입되는 연결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 아암 및 상기 통 형상 부재에는 각각, 상기 핸들축과 상기 연결 샤프트의 나사 결합에 수반되는 축방향 체결력에 의해 서로 면 접촉하는 계면 부위에 테이퍼 형상의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축방향 체결력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상기 지지면을 따라 상기 핸들 아암과 상기 통 형상 부재가 상대적으로 변위함으로써 상기 핸들 아암과 상기 핸들축이 서로 압박 접촉되어 고정된다.
상기한 구성의 낚시용 스피닝 릴에서는, 상기 통 형상 부재 및 상기 핸들 아암 각각이, 상기 핸들축과 상기 연결 샤프트의 나사 결합에 수반되는 축방향 체결력에 의해 서로 면 접촉하는 계면 부위에 테이퍼 형상의 지지면을 갖고, 상기 축방향 체결력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상기 지지면을 따라 상기 핸들 아암과 상기 통 형상 부재가 상대적으로 변위함으로써 상기 핸들 아암과 상기 핸들축이 서로 압박 접촉되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핸들의 조립 구조의 기존의 구성 부품을 사용하여(별개의 부품을 설치하는 일 없이), 핸들의 조립 구조의 구성 부품을 조립 장착하는 것만으로, 핸들 아암과 핸들축 사이의 덜걱거림이 자동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제거된다. 즉, 핸들의 조립 구조의 구성 부품의 조립 장착시에는 그 조립 장착에 필요한 최소한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하면서, 조립 장착 완료시에는 그 클리어런스를 제거하여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핸들의 조립 구조의 구성 부품의 실장성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조립 완료시의 구성 부품간의 덜걱거림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서는, 상기 축방향 체결력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상기 지지면을 따라 상기 핸들 아암과 상기 통 형상 부재가 상대적으로 변위함으로써 더욱 상기 통 형상 부재와 상기 핸들축이 서로 압박 접촉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핸들의 조립 구조 전체(복수 개소)의 덜걱거림이 1회의 조립 장착 조작으로 효율적으로 해소되어 유익하다. 또한, 상기 핸들 아암과 상기 통 형상 부재의 상대적인 변위에 의해 상기 핸들축이 상기 핸들 아암 또는 상기 통 형상 부재에 압박 접촉되어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핸들 아암의 외표면과 상기 통 형상 부재의 외표면이 동일 높이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으로부터, 미관이 좋은 핸들의 조립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핸들 부분에서의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거나, 핸들 부분의 실장 조작이나 절첩 조작을 하기 쉬운 핸들의 조립 구조를 갖는 낚시용 스피닝 릴이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을 후방측으로부터 본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핸들을 90° 회전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핸들의 조립 부분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4의 C-C선을 따른 단면도.
도 8은 핸들의 조립 부분의 주요부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후방으로부터 본 부분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D-D선을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E-E선을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9의 F-F선을 따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후방으로부터 본 부분 단면도.
도 14는 핸들의 조립 부분의 주요부의 부분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G-G선을 따른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H-H선을 따른 단면도.
도 17은 도 14의 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18은 핸들의 조립 부분의 주요부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19는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낚시용 스피닝 릴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후방으로부터 본 부분 단면도.
도 20은 도 19의 J-J선을 따른 단면도.
도 21은 도 19의 K-K선을 따른 단면도.
도 22는 도 19의 L-L선을 따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 릴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낚시용 스피닝 릴(1)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은 부분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1)을 후방측으로부터 본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1)에 있어서, 핸들을 90° 회전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핸들의 조립 부분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4의 C-C선을 따른 단면도, 그리고 도 8은 핸들의 조립 부분의 주요부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낚시용 스피닝 릴(1)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낚시용 스피닝 릴(1)은,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한 장대 장착부(2a)가 형성된 릴 본체(2)와, 릴 본체(2)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로터(3)와, 로터(3)의 회전 운동과 동기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스풀(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릴 본체(2) 내에는, 구동축(기어축)(7)과 일체화된 드라이브 기어(페이스 기어)(7A)가, 한 쌍의 베어링(8)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축(7)은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가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하, 「구동축 통」이라 칭한다.
상기 구동축 통(7)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핸들(21)의 회전 조작에 의해 일체 회전하는 핸들축(22)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구동축 통(7)과 일체화된 드라이브 기어(7A)의 이부(齒部)(7a)에는, 상기 구동축 통(7)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로터(3)가 회전 방지 고정된 피니언 기어(12)가 맞물려 있다. 이 피니언 기어(12)에는, 상기 스풀(5)을 지지한 스풀축(5a)이 삽입 관통되어 있고, 이 스풀축(5a)의 후단부에는, 공지의 오실레이팅 기구(15)가 결합되어, 핸들(21)의 권취 조작에 수반하여 스풀축(5a)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로터(3)의 원통부에는, 대략 180°의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지지 아암(3a)이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전단부에는, 베일(3b)의 기단부를 장착한 베일 지지 부재(3c)가 낚싯줄 방출 위치와 낚싯줄 권취 위치 사이에서 반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베일(3b)의 한쪽의 기단부는, 베일 지지 부재(3c)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낚싯줄 안내부(3d)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핸들(21)을 권취 조작함으로써, 핸들축(22)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드라이브 기어(7A) 및 피니언 기어(12)를 통해 로터(3)가 회전 구동되고, 또한 스풀(5)이 오실레이팅 기구(15)를 통해 전후 이동되므로, 낚싯줄은, 낚싯줄 안내부(3d)를 통해 스풀(5)에 균등하게 권회된다. 또한, 낚싯줄을 방출하는 경우, 베일 지지 부재(3c)를, 도 1에 도시하는 낚싯줄 권취 위치로부터 낚싯줄 방출 위치로 반전 조작하여, 낚싯줄을 낚싯줄 안내부(3d)로부터 빼서 낚싯대를 던짐으로써 행해진다.
다음에, 핸들의 조립 부분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핸들의 조립 부분의 조립 구조(20)는, 상기 핸들축(22)의 일단부측에, 지지축(축지지 핀)(22a)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핸들 아암(24)을 구비한 핸들(21)을, 도 2에 나타내는 실선의 상태로부터 점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절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립 구조(20)는 상기 구동축 통(7)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는 연결 샤프트(25)와, 상기 구동축 통(7)과 핸들축(22)에 걸쳐 배치되는 통 형상 부재(컬러 부재)(2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결 샤프트(25)는, 우측 권취용, 좌측 권취용에 따라서, 릴 본체(2)로부터 돌출되는 구동축 통(7)의 단부(7b) 중 어느 한 측으로부터 구동축 통(7)에 삽입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의 예를 들어 좌측으로부터 구동축 통(7)에 삽입하고, 연결 샤프트(25)의 좌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캡(회전 손잡이)(25a)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핸들(21)을 사용 상태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2에서는, 우측 권취용으로 설정되어 있음). 이 경우, 상기 연결 샤프트(25)의 돌출 단부에는, 수나사부(25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핸들축(22)의 중심축 구멍(22c)에 형성된 암나사부(22b)와 나사 결합됨으로써, 핸들축(22)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통 형상 부재(27)는, 구동축 통(7)의 핸들축(22)측의 단부[릴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단부(7b)]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 범위의 외면과, 핸들축(22)의 드라이브 기어(7A)측[구동축 통(7)측]의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 범위[상기 지지축(22a)의 앞쪽까지의 범위]의 외면을 덮도록 구성, 배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 통(7)과 핸들축(22)은 통 형상 부재(27)에 의해 덮이는 범위 내에서 축방향으로 분단되어 배치되어 있다. 즉, 구동축 통(7)과 핸들축(22)은 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중첩되는 일 없이(양자가 끼움 삽입되는 일 없이), 비연속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 부재의 단부끼리가, 후술하는 통 형상 부재(27)의 구획벽(27A)에 의해 이격되어 있지만, 단부면끼리가 접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통 형상 부재(27)의 중공부에는, 그 축방향 중간보다도 드라이브 기어(7A)측으로 이동한 위치에, 축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구획벽(27A)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획벽(27A)의 대략 중앙에는 개구(27a)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 샤프트(25)의 수나사부(25b)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또한, 이 구획벽(27A)에 의해, 상기 구동축 통(7)과 핸들축(22)은 축방향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샤프트(25)를 체결해도, 구획벽(27A)과 핸들축(22) 사이에, 축방향 갭(G)이 생기는 관계로 되어 있다.
상기 통 형상 부재(27)의 중공을 구성하는 내주면[구획벽(27A)으로부터 드라이브 기어(7A)측의 내주면(27b) 및 구획벽(27A)으로부터 핸들 아암(24)측의 내주면(27c)]은, 모두 단면 다각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들 부분에, 각각 구동축 통(7)의 단면 다각 형상으로 형성된 단부(7b) 및 단면 다각 형상으로 형성된 핸들축(22)이 회전 방지 끼움 삽입되어 있다. 즉, 이러한 끼움 삽입 구조에 의해, 핸들축(22)은 통 형상 부재(27)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또한 핸들축(22)과 분단된 구동축 통(7)은 통 형상 부재(27)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통 형상 부재(27)와 핸들축(22)이 끼워 맞추어지는 부분에 있어서, 핸들축(22)[및 통 형상 부재(27)의 중공부]은, 핸들 아암(24)측으로부터 드라이브 기어(7A)측을 향해,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통 형상 부재(27)에는, 핸들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구동축 통(7)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28)와, 핸들 아암(24)과 결합되는 제2 결합부(29)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결합부(28)는, 상기 구획벽(27A)의 드라이브 기어(7A)측의 측면(27d)에 형성되어 있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27a)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된 오목부(28a)[예를 들어, 대략 60°간격으로 형성된 6개의 오목부(28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 통(7)의 구획벽(27A)측의 개구 단부면(7c)에는, 이러한 오목부(28a)와 결합 가능한 복수의 볼록부(7d)[예를 들어, 대략 180°간격으로 2개의 볼록부(7d)]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볼록부(7d)는 상기 구획벽(27A)의 측면(27d)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28a)와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오목부(28a)와 볼록부(7d)는, 결합되는 부분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테이퍼 형상으로 하는(테이퍼면끼리의 결합 관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결합 관계로 함으로써, 체결 조작시에 결합하기 쉽고, 축방향의 덜걱거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결합부(29)는, 통 형상 부재(27)의 핸들 아암(24)측의 단부면(27e)에 형성되어 있고, 개구(27a)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된 볼록부(29a)[예를 들어, 대략 180° 간격으로 형성된 2개의 볼록부(29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핸들 아암(24)의 구획벽(27A)측의 단부면(24a)에는, 이러한 볼록부(29a)와 결합 가능한 복수의 오목부(24f)[예를 들어, 대략 60°간격으로 6개의 오목부(24f)]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오목부(24f)는 상기 통 형상 부재(27)의 측면(27e)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29a)와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볼록부(29a)와 오목부(24f)는, 결합되는 부분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테이퍼 형상으로 하는(테이퍼면끼리 축방향으로 압접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결합 관계로 함으로써, 체결 조작시에 결합하기 쉽고, 축방향의 덜걱거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서는, 연결 샤프트(25)를 계속 완화하면, 핸들 아암(24)은 핸들축(22)과 함께 통 형상 부재(27)로부터 최종적으로 이탈해 버리므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축(22)의 중심축 구멍(22c)의 종점 부근에, 빠짐 방지 부재(빠짐 방지 핀)(22p)를 장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 형상 부재(27)의 상기 내주면(27c)에는, 빠짐 방지 부재(22p)가 들어가도록,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27p)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핸들 아암(24)측 단부를 코킹함으로써, 핸들축(22)이 빠지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핸들의 조립 부분의 조립 구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릴 본체(2)에 대해서는, 구동축 통(7)의 양단부(7b)가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된 단부(7b)를 이용하여, 좌우의 핸들의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우측 핸들로 하는 경우, 릴 본체(2)로부터 돌출되는 구동축 통(7)의 우측 단부(7b)에, 통 형상 부재(27)의 내주면(27b)을 회전 방지 끼움 삽입함과 함께, 통 형상 부재(27)의 내주면(27c)에 핸들축(22)을 회전 방지 끼움 삽입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구동축 통(7)의 반대 단부측[좌측 단부(7b)측]으로부터 연결 샤프트(25)를 삽입하고, 캡(25a)을 회전 조작하면서 연결 샤프트(25)와 핸들축(22)을 나사 결합시켜 간다.
연결 샤프트(25)를 체결하면, 핸들축(22)은 점차 드라이브 기어(7)측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통 형상 부재(27)도 드라이브 기어(7)측으로 이동하고, 구동축 통(7)과 통 형상 부재(27)는 제1 결합부인 구획벽(27A)의 측면(27d)에 형성된 오목부(28a)에, 구동축 통(7)의 개구 단부면(7c)에 형성된 볼록부(7d)가 결합됨으로써, 덜걱거리는 일 없이 결합된다. 또한, 핸들축(22)이 점차 드라이브 기어(7)측으로 이동하면, 도 2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축(22)에 대해 지지축(22a)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한 상태(절첩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었던 핸들 아암(24)은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립하고, 최종적으로, 제2 결합부인 핸들 아암(24)측의 단부면(27e)에 형성된 볼록부(29a)에, 핸들 아암(24)의 단부면(24a)에 형성된 오목부(24f)가 결합됨으로써, 통 형상 부재(27)와 핸들 아암(24)은 덜걱거리는 일 없이 결합된다. 즉, 핸들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구동축 통(7)과 핸들 아암(24)[핸들축(22)]은, 상기한 통 형상 부재(27)의 제1 결합부(28) 및 제2 결합부(29)를 통해 덜걱거리는 일 없이 연결된다. 특히, 양 결합부를, 축방향으로 테이퍼 형상으로 하는 테이퍼면끼리의 결합 관계로 함으로써, 회전 방향의 덜걱거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핸들 아암(24)을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한 구동력은, 구동축 통(7)과는 축방향으로 분단된 상태에 있는 핸들축(22)과 통 형상 부재(27)의 연결(양자의 회전 방지 끼워 맞춤) 및 핸들축(22)과는 축방향으로 분단된 상태에 있는 구동축 통(7)과 통 형상 부재(27)의 연결(양자의 회전 방지 끼워 맞춤)을 통해, 구동축 통(7)측에 전달되는 구성이므로, 핸들측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 계통은, 통 형상 부재(27)와 함께 일체화된 상태로는 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해, 통 형상 부재(27)의 제1 결합부(28) 및 제2 결합부(29)는, 일정한 백래쉬(간극·교차)의 범위로 정밀도를 유지할 필요가 없고, 각 결합부에서의 백래쉬가 독자적으로 허용되므로, 치수 관리에 여유가 생기게 되어, 핸들 부분의 실장 조작이나 절첩 조작을 하기 쉬워진다. 또한, 통 형상 부재(27)의 제1 결합부(28) 및 제2 결합부(29)에 있어서, 회전 방향의 부하가 걸리기 쉬워지므로, 축방향의 덜걱거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획벽(27A)과 핸들축(22) 사이에, 연결 샤프트(25)를 체결해도, 갭(G)이 생기는 관계로 되어 있으므로, 핸들축(22)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치수 정밀도에 대해서도, 다소의 여유도를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통 형상 부재(27)의 중공부에 구획벽(27A)을 형성하고, 이 구획벽(27A)을 경계로 하여, 구동축 통(7)과 핸들축(22)을 직접 결합(직접 끼움 삽입)하는 일 없이 구획하고 있으므로, 구동축 통(7)의 내부에, 길게 형성된 핸들축(22)을 직접 끼움 삽입시킬 필요가 없어져, 양자의 덜걱거림이 확실하게 방지됨과 함께, 핸들축(22)을 소직경화하는 일이 없어져, 소직경화에 수반되는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 형상 부재(27)에 대해 구획벽(27A)을 경계로 하여 양측으로부터 구동축 통(7) 및 핸들축(22)을 내부 끼움시키고, 또한 그 구획벽(27A)의 측면(27d)에 제1 결합부(28)를 형성하고, 통 형상 부재(27)의 단부면(27e)에 제2 결합부(29)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통 형상 부재(27)의 실장성이 향상된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통 형상 부재(27)에 대해서는, 구획벽(27A)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제1 결합부(28)는 통 형상 부재(27)의 드라이브 기어(7A)측의 단부면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핸들축(22) 및/또는 구동축 통(7)은 통 형상 부재(27)에 대해 외부 끼움되는 구조여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인 낚시용 스피닝 릴(101)에 대해,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도 9는 낚시용 스피닝 릴(101)을 후방으로부터 본 부분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D-D선을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E-E선을 따른 단면도, 그리고, 도 12는 도 9의 F-F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인 낚시용 릴(101)은 핸들의 조립 부분의 구조를 제외한 구성은,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의 낚시용 스피닝 릴(1)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의 낚시용 스피닝 릴(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스피닝 릴(101)의 핸들의 조립 부분의 조립 구조(50)는,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핸들 아암(54)을 구비한 핸들(51)의 핸들축(52)을,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 형상 부재(57)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삽입 관통시키고 있다. 즉, 통 형상 부재(57)의 관통 구멍은, 그 내주면(57a)이 단면 원형으로 되어 있고, 여기에 단면 다각 형상으로 형성된 핸들축(52)을 삽입 관통시키고 있어, 양자는 회전 가능한 관계로 되어 있다. 또한, 통 형상 부재(57)는 구동축 통(7)의 핸들축(52)측의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 범위의 외면을 덮도록 구성, 배치되어 있다. 상기 단면 다각 형상의 핸들축(52)은 구동축 통(7)의 내부, 구체적으로는, 드라이브 기어(7A)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고,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축 통(7)의 내면에 대해 일체 회전 가능하게 내부 끼움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핸들 아암(54)으로부터의 구동력은, 구동축 통(7)에 대해 일체 회전 가능하게 내부 끼움된 핸들축(52)으로부터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 통(7)의 내부에는, 구동축 통(7)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 샤프트(55)가 삽입 관통되어 있고, 연결 샤프트(55)의 선단에 형성된 수나사부(55b)는 상기 핸들축(52)의 선단에 형성된 암나사부(52b)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즉, 캡(회전 손잡이)(55a)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양자의 나사 결합 관계에 의해, 핸들축(52)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핸들(51)을 사용 상태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9에서는, 우측 권취용으로 설정되어 있음).
그리고, 상기 통 형상 부재(57)에는,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핸들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구동축 통(7)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58)와 핸들 아암(54)과 결합되는 제2 결합부(59)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결합부(58)는, 상기 구동축 통(7)의 핸들축(52)측의 단부와 접하는 측면(58a)에 형성되어 있고,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57a)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된 오목부(58a)[예를 들어, 대략 60°간격으로 형성된 6개의 오목부(58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 통(7)의 핸들축(52)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개구 단부면(7c)에는, 이러한 오목부(58b)와 결합 가능한 복수의 볼록부(7d)[예를 들어, 대략 180°간격으로 2개의 볼록부(7d)]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볼록부(7d)는 구동축 통(7)이 통 형상 부재(57)에 삽입될 때, 상기 측면(58a)에 형성된 오목부(58b)와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오목부(58b)와 볼록부(7d)는, 결합되는 부분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테이퍼 형상으로 하는(테이퍼면끼리의 결합 관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결합 관계로 함으로써, 체결 조작시에 결합하기 쉽고, 축방향의 덜걱거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결합부(59)는,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통 형상 부재(57)의 핸들 아암(54)측의 단부면(57e)에 형성되어 있고, 개구(57a)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된 볼록부(59a)[예를 들어, 대략 180°간격으로 형성된 2개의 볼록부(59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핸들 아암(54)의 통 형상 부재(57)측의 단부면(54a)에는, 이러한 볼록부(59a)와 결합 가능한 복수의 오목부(54f)[예를 들어, 대략 60°간격으로 6개의 오목부(54f)]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오목부(54f)는 상기 통 형상 부재(57)의 단부면(57e)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59a)와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볼록부(59a)와 오목부(54f)는, 결합되는 부분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테이퍼 형상으로 하는(테이퍼면끼리 축방향으로 압접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결합 관계로 함으로써, 체결 조작시에 결합하기 쉽고, 축방향의 덜걱거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 형태의 낚시용 스피닝 릴(101)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통 형상 부재(57)에 제1 결합부(58)와 제2 결합부(59)를 설치하고, 이들 결합부를, 핸들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구동축 통(7)과 핸들 아암(54)에 결합시키고 있으므로, 핸들 아암(54)으로부터 구동축 통(7) 부분에서의 덜걱거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핸들축(52)을 통 형상 부재(57)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삽입 관통시켜 구동축 통(7)에 대해 일체 회전 가능하게 내부 끼움하고, 핸들 아암(54)으로부터의 구동력을 핸들축(52)으로부터 구동축 통(7)에 대해 전달하도록 하고 있고, 핸들축(52)의 구동력이 통 형상 부재(57)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핸들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 계통은, 통 형상 부재(57)와 함께 일체화된 상태가 아니므로, 통 형상 부재(57)의 제1 결합부(58) 및 제2 결합부(59)는 일정한 백래쉬(간극·교차)의 범위로 정밀도를 유지할 필요가 없고, 각 결합부에서의 백래쉬가 독자적으로 허용되므로, 치수 관리에 여유가 생기게 되어, 핸들 부분의 실장 조작이나 절첩 조작을 하기 쉬워진다. 또한, 통 형상 부재(57)의 제1 결합부(58) 및 제2 결합부(59)에 있어서, 회전 방향의 부하가 걸리기 어렵기 때문에, 축방향의 덜걱거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축 통(7)을 통 형상 부재(57)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내부 끼움시킴과 함께, 그 내부 끼움되는 구동축 통(7)의 단부와 접하는 측면(58a)에 제1 결합부(58)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통 형상 부재(57)의 실장성이 향상된다.
상기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동축 통(7)은, 통 형상 부재(57)에 대해 외부 끼움되는 구조여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 형상 부재에 형성되는 결합부의 구조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결합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인 낚시용 스피닝 릴(201)에 대해,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도 13은 낚시용 스피닝 릴(201)을 후방으로부터 본 부분 단면도, 도 14는 핸들의 조립 부분의 주요부의 부분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G-G선을 따른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H-H선을 따른 단면도, 도 17은 도 14의 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18은 핸들의 조립 부분의 주요부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인 낚시용 릴(201)은, 핸들의 조립 부분의 구조를 제외한 구성은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의 낚시용 스피닝 릴(1) 등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의 낚시용 스피닝 릴(1) 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13, 도 14에 명확하게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동축 통(7)에 조립 장착되는 핸들의 조립 부분의 조립 구조(80)는, 구동축 통(7)의 일단부측에 축 방향을 따라 동축적으로 일체 회전 가능하게 병설되는 핸들축(82)과, 그 기단부가 핸들축(82)의 일단부에 지지축(축지지 핀)(82a)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장착 고정되고, 또한 그 선단부에 핸들(81)이 장착되는 핸들 아암(84)과, 구동축 통(7)과 핸들 아암(84) 사이에 개재되고, 또한 구동축 통(7)의 핸들축(82)측 단부와 핸들축(82)의 핸들 아암(84)측 단부를 제외하는 영역에 걸쳐 이들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통 형상 부재(87)와, 구동축 통(7)의 타단부측으로부터 그 중공부 내에 삽입 관통되고, 또한 핸들축(82)의 타단부에 형성된 중심축 구멍(82c)(도 14 참조)에 나사 결합 삽입되어 체결되는 단면 원형의 연결 샤프트(85)를 갖는다.
연결 샤프트(85)의 단부에는, 릴 본체(2)로부터 노출되는 캡(회전 손잡이)(85a)이 설치되어 있고, 이 캡(85a)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연결 샤프트(85)의 선단(85c)(도 14 참조)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85b)는, 핸들축(82)의 중심축 구멍(82c)(도 14 참조)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82b)(도 14 참조)에 나사 결합된다. 연결 샤프트(85)와 구동축 통(7)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대 회전 가능한 관계로 되어 있다.
통 형상 부재(87)의 내주면의, 축 방향 중간보다도 드라이브 기어(7A)측으로 이동한 위치에는 구획벽(87A)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획벽(87A)의 대략 중앙에는 개구(87a)가 형성되고, 이 개구(87a)에는 상기 단면 원형의 연결 샤프트(85)의 선단이 삽입 관통된다. 또한, 이 구획벽(87A)에 의해 구동축 통(7)과 핸들축(82)이 구획된다. 또한, 구획벽(87A)과 핸들축(82) 사이에는, 연결 샤프트(85)를 체결해도 갭(G)(도 14 참조)이 생기는 관계로 되어 있다.
통 형상 부재(87)는, 구획벽(87A)보다도 드라이브 기어(7A)측의 내주면(87b)(도 14 참조)과 구획벽(87A)보다도 핸들 아암(84)측의 내주면(87c)(도 14 참조)이 모두 단면 다각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들 부분에 각각 구동축 통(7)의 단면 다각 형상으로 형성된 단부(7b)(도 14 참조)와 단면 다각 형상의 핸들축(82)이 회전 방지 끼움 삽입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 형상 부재(87) 및 핸들 아암(84)에는 각각, 핸들축(82)과 연결 샤프트(85)의 나사 결합에 수반되는 축방향 체결력[핸들축(82)을 구동축 통(7)측을 향해 끌어당기는 도 14에 화살표 F로 나타나는 힘]에 의해 서로 면 접촉하는 계면 부위, 즉, 통 형상 부재(87)의 핸들 아암측 단부면(87e) 및 핸들 아암(84)의 구동축 통측 단부면(84a)에, 테이퍼 형상의 지지면으로서의 캠면이 형성되어 있다(도 18도 참조). 이들 캠면(84a, 87e)은, 핸들 회전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 그 캠 작용에 의해, 조립 구조(80)의 구성 부품에 발생하는 덜걱거림을 없앨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핸들축(82)과 연결 샤프트(85)를 나사 결합시켜 가면, 핸들축(82)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 아암(84)의 구동축 통측 단부면(84a), 즉 캠면(84a)의 일부가 통 형상 부재(87)의 핸들 아암측 단부면(87e), 즉 캠면(87e)에 충돌하고, 그 충돌 부분을 지지점으로 핸들 아암(84)이 지지축(82a)을 중심으로 요동하여 통 형상 부재(87)측으로 끌어당겨지고, 그것에 의해, 캠면(84a, 87e)끼리가 전면적으로 접촉한다. 그리고, 연결 샤프트(85)를 핸들축(82)으로 더욱 나사 삽입해 가면, 그 축방향 체결력 F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캠면(84a, 87e)을 따라 핸들 아암(84)과 통 형상 부재(87)가 상대적으로 변위되기 시작한다. 이것은, 핸들축(82)과 핸들 아암(84) 및 통 형상 부재(87)와의 사이에 이들의 실장에 필요한 클리어런스가 존재하기 때문이며, 이 클리어런스만큼 핸들 아암(84)과 통 형상 부재(87)가 상대적으로 변위된다. 즉, 도 14에 화살표 X, Y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핸들 아암(84) 및 통 형상 부재(87)는, 캠면(84a, 87e)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에 의해, 한쪽에서는, 핸들 아암(84)이 핸들축(82)에 접촉부(90)(도 14 및 도 15 참조)에서 측방으로부터 접촉함(압박 접촉함)과 함께, 다른 쪽에서는, 통 형상 부재(87)가 핸들축(82)에 접촉부(91)(도 14 및 도 16 참조)에서 측방으로부터 접촉한다(압박 접촉한다). 또한, 이러한 접촉부(90, 91)에서의 압박 접촉 상태는 축방향 체결력 F에 의해 유지된다. 즉, 이 상태에서는, 핸들 아암(84) 및 통 형상 부재(87)와 핸들축(82)이 서로 압박 접촉되어 고정되어, 이들 부품간의 덜걱거림이 방지된다. 또한, 캠면(84a, 87e)이 핸들 회전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핸들 회전시의 회전 방향의 덜걱거림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덜걱거림 방지 상태에서는, 접촉부(90, 91)의 반대측에 간극(92, 93)이 생기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핸들 아암(84) 및 통 형상 부재(87)와 핸들축(82)이 접촉부(90, 91)에서 서로 압박 접촉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핸들 아암(84)의 외표면과 통 형상 부재(87)의 외표면이 동일 높이로 되도록 부품간의 끼워 맞춤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핸들 아암(84) 및 통 형상 부재(87)가 캠면(84a, 87e)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변위되는 변위량을 예상하여, 예를 들어 핸들 아암(84)의 홈 가공을 중심축으로부터 비키어 둠[핸들축(82)이 삽입되는 핸들 아암(84)의 삽입 구멍의 중심축을 핸들 아암(84)의 중심축으로부터 비키어 둠]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통 형상 부재(87) 및 핸들 아암(84) 각각이, 핸들축(82)과 연결 샤프트(85)의 나사 결합에 수반되는 축방향 체결력 F에 의해 서로 면 접촉하는 계면 부위에 테이퍼 형상의 캠면(84a, 87e)을 갖고, 축방향 체결력 F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캠면(84a, 87e)을 따라 핸들 아암(84)과 통 형상 부재(87)가 상대적으로 변위됨으로써 핸들 아암(84) 및 통 형상 부재(87)와 핸들축(82)이 서로 압박 접촉되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조립 구조(80)의 기존의 구성 부품을 사용하여(별개의 부품을 설치하는 일 없이), 조립 구조(80)의 구성 부품을 조립 장착하는 것만으로, 핸들 아암(84) 및 통 형상 부재(87)와 핸들축(82) 사이의 덜걱거림이 자동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제거된다. 즉, 조립 구조(80)의 구성 부품의 조립 장착시에는 그 조립 장착에 필요한 최소한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하면서, 조립 장착 완료시에는 그 클리어런스를 제거하여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는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인 낚시용 스피닝 릴(201B)을 후방으로부터 본 부분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J-J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19의 K-K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19의 L-L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제3 실시 형태의 낚시용 스피닝 릴(201)과는 달리, 핸들축(82)이 통 형상 부재(87)를 통하지 않고 직접 구동축 통(7)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핸들축(82)으로부터는 단면이 다각 형상인 통 형상의 연결부(82e)가 연장되어 있고, 이 연결부(82e)가, 구동축 통(7)의 단면이 다각 형상인 중공부에 들어가, 제3 실시 형태의 낚시용 스피닝 릴(201)보다도 짧은 연결 샤프트(85)와 나사 결합된다. 즉, 핸들축(82)이 구동축 통(7)에 회전 방지 끼워 맞춤되어 있다[물론, 이렇게 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구동축 통(7)의 중공부의 단면 형상 및 핸들축(82)의 연결부(82e)의 단면 형상이 원형이어도 상관없음]. 또한, 축방향 체결력 F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캠면(84a, 87e)을 따라 핸들 아암(84)과 통 형상 부재(87)가 상대적으로 변위됨으로써 핸들 아암(84) 및 통 형상 부재(87)와 핸들축(82)이 접촉부(90, 91)(도 20, 도 21 참조)에서 서로 압박 접촉되어 고정되는 점은 제3 실시 형태의 낚시용 스피닝 릴(201)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제3 실시 형태의 낚시용 스피닝 릴(201)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는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캠면의 경사 방향은 도 14에 도시되는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캠면의 경사 방향은,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축(82a)을 향하는 방향(핸들 회전 방향)이어도 되고, 혹은 그와는 반대로 지지축(82a)과 교차하는 방향(핸들 절첩 방향)이어도 되고, 혹은 그 밖의 방향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축으로서 통 형상의 구동축 통이 채용되어 있지만, 조립 구조(80)가 조립 장착되는 구동축은 통 형상을 이루고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구동축의 전체가 통 형상을 이루는 일 없이 구동축이 핸들 아암(84)측과 요철 결합에 의해 동력 전달을 행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 아암(84)이 지지축(82a)을 통해 핸들축(82)에 요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지만, 지지축(82a)을 통할 필요는 없다. 요는, 핸들 아암(84)이 핸들축(82)에 대해 요동할 수 있으면, 어떠한 결합 형태여도 상관없다. 또한,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축방향 체결력에 의해 핸들 아암(84)과 통 형상 부재(87)를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는 테이퍼 형상의 지지면으로서 캠 작용을 이루는 캠면이 채용되어 있지만, 그러한(축방향 체결력을 지지하는) 지지면은 캠면일 필요는 없다. 요는, 축방향 체결력에 의해 핸들 아암(84)과 통 형상 부재(87)를 상대적으로 변위시킬 수 있으면 어떠한 지지면이어도 된다. 또한, 그러한 지지면은, 통 형상 부재(87) 및 핸들 아암(84)의 접촉 계면 부위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지지면이 상기 계면 부위의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Claims (9)

  1. 낚시용 스피닝 릴이며,
    드라이브 기어와 일체화된 구동축과,
    핸들의 조작에 따라서 회전하는 핸들 아암과,
    일단부측에 상기 핸들 아암을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함과 함께 상기 핸들 아암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고, 상기 구동축과 축방향으로 분단되어 있는 핸들축과,
    상기 구동축 및 상기 핸들축과 각각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핸들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핸들 아암과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갖는 통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축의 끼워 맞춤 표면에 상기 핸들 아암측으로부터 상기 드라이브 기어측을 향해서 점차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통 형상 부재에 회전 방지 끼워 맞춤되는, 낚시용 스피닝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과 상기 핸들축은, 상기 통 형상 부재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분단되어 있고, 각각 상기 통 형상 부재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내부 끼움되어 있는, 낚시용 스피닝 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부재는, 상기 구동축과 상기 핸들축을 축방향으로 분단하는 구획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구획벽의 상기 드라이브 기어측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통 형상 부재의 상기 핸들 아암측의 단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스피닝 릴.
  4. 삭제
  5. 삭제
  6. 낚시용 스피닝 릴이며,
    드라이브 기어와 일체화된 구동축과,
    핸들의 조작에 따라서 회전하는 핸들 아암과,
    일단부에 상기 핸들 아암을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함과 함께 상기 핸들 아암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고, 상기 구동축의 일단부측에 배치되는 핸들축과,
    상기 구동축과 상기 핸들 아암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핸들축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통 형상 부재와,
    상기 구동축의 타단부측으로부터 상기 핸들축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 삽입되는 연결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 아암 및 상기 통 형상 부재에는 각각, 상기 핸들축과 상기 연결 샤프트의 나사 결합에 수반되는 축방향 체결력에 의해 서로 면 접촉하는 계면 부위에 테이퍼 형상의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축방향 체결력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상기 지지면을 따라 상기 핸들 아암과 상기 통 형상 부재가 상대적으로 변위함으로써 상기 핸들 아암과 상기 핸들축이 서로 압박 접촉되어 고정되고,
    상기 핸들축의 끼워 맞춤 표면에 상기 핸들 아암측으로부터 상기 드라이브 기어측을 향해서 점차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통 형상 부재에 회전 방지 끼워 맞춤되는, 낚시용 스피닝 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체결력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상기 지지면을 따라 상기 핸들 아암과 상기 통 형상 부재가 상대적으로 변위함으로써 상기 통 형상 부재와 상기 핸들축이 서로 압박 접촉되어 고정되는, 낚시용 스피닝 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아암과 상기 통 형상 부재의 상대적인 변위에 의해 상기 핸들축이 상기 핸들 아암에 압박 접촉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 아암의 외표면과 상기 통 형상 부재의 외표면이 동일 높이로 되는, 낚시용 스피닝 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아암과 상기 통 형상 부재의 상대적인 변위에 의해 상기 핸들축이 상기 통 형상 부재에 압박 접촉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 아암의 외표면과 상기 통 형상 부재의 외표면이 동일 높이로 되는, 낚시용 스피닝 릴.
KR1020147005725A 2012-05-29 2013-05-24 낚시용 스피닝 릴 KR1020051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22371A JP5937892B2 (ja) 2012-05-29 2012-05-29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JP-P-2012-122369 2012-05-29
JPJP-P-2012-122371 2012-05-29
JP2012122369A JP5820338B2 (ja) 2012-05-29 2012-05-29 魚釣用リール
PCT/JP2013/064465 WO2013180026A1 (ja) 2012-05-29 2013-05-24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737A KR20150022737A (ko) 2015-03-04
KR102005125B1 true KR102005125B1 (ko) 2019-07-29

Family

ID=4967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5725A KR102005125B1 (ko) 2012-05-29 2013-05-24 낚시용 스피닝 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32744B2 (ko)
EP (1) EP2749164A4 (ko)
KR (1) KR102005125B1 (ko)
CN (1) CN103857284B (ko)
WO (1) WO20131800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1209A (ko) 2021-12-29 2023-07-06 이명우 낚시용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9573A (ja) * 2003-01-31 2004-08-19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のハンドル
JP2008193949A (ja) * 2007-02-13 2008-08-28 Shimano Components Malaysia Sdn Bhd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2008237081A (ja) * 2007-03-27 2008-10-09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11041495A (ja) * 2009-08-20 2011-03-03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9432Y2 (ko) * 1977-02-07 1979-11-21
US5118048A (en) * 1990-01-17 1992-06-02 Team Lew's, Inc. Dual drag fishing reel
JPH0462063U (ko) * 1990-10-11 1992-05-27
JPH05184269A (ja) * 1992-01-13 1993-07-27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US5538198A (en) * 1992-11-05 1996-07-23 Daiwa Seiko, Inc. Handle for fishing reel
EP0641514B1 (en) * 1993-09-08 1998-01-07 Daiwa Seiko Inc. Handle mounting structure in fishing reel
JPH11299398A (ja) * 1998-04-21 1999-11-02 Ryobi Ltd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ガタ防止機構
JP4045167B2 (ja) * 2002-05-01 2008-02-13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4015957B2 (ja) * 2003-01-20 2007-11-2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SG121940A1 (en) * 2004-10-06 2006-05-26 Shimano Kk Handle knob and handle assembly for a fishing reel
JP2006217848A (ja) * 2005-02-09 2006-08-24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2007143457A (ja) * 2005-11-28 2007-06-14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のハンドル
JP5205120B2 (ja) * 2008-04-28 2013-06-05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JP5205121B2 (ja) * 2008-04-30 2013-06-0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5292152B2 (ja) * 2009-03-26 2013-09-18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アーム取付構造
JP2010273629A (ja) * 2009-05-29 2010-12-09 Shimano Components Malaysia Sdn Bhd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5481228B2 (ja) * 2010-02-26 2014-04-23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5501190B2 (ja) * 2010-10-21 2014-05-21 株式会社シマノ フェースギアの噛み合い進行方向線決定方法、フェースギアの製造方法、フェースギア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9573A (ja) * 2003-01-31 2004-08-19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のハンドル
JP2008193949A (ja) * 2007-02-13 2008-08-28 Shimano Components Malaysia Sdn Bhd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2008237081A (ja) * 2007-03-27 2008-10-09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11041495A (ja) * 2009-08-20 2011-03-03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69162A1 (en) 2015-03-12
EP2749164A4 (en) 2016-02-24
US9332744B2 (en) 2016-05-10
KR20150022737A (ko) 2015-03-04
WO2013180026A1 (ja) 2013-12-05
CN103857284A (zh) 2014-06-11
CN103857284B (zh) 2015-12-30
EP2749164A1 (en)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847B2 (en) Spinning reel
JP6381382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光学機器
KR102005125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KR102583873B1 (ko)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JP6590683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CN108697069A (zh) 钓鱼用旋压式卷线器
JP4843541B2 (ja) 魚釣用リール
JP5820338B2 (ja) 魚釣用リール
KR102413820B1 (ko) 낚시용 릴의 기어 장착 구조
JP6069155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5937892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8011812A (ja) 魚釣用リール
JP2018085955A5 (ko)
JP711370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US10624327B2 (en) Dual-bearing reel
JP4964709B2 (ja) 魚釣用リール
US5431354A (en) Spinning reel having an oscillating mechanism
US10709122B1 (en) Spinning reel
JP2011205951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6491594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20150089909A (ko)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
JP2018115726A (ja) 往復動装置
JP2007097491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3274819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2015181422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