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027B1 -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027B1
KR102005027B1 KR1020170078412A KR20170078412A KR102005027B1 KR 102005027 B1 KR102005027 B1 KR 102005027B1 KR 1020170078412 A KR1020170078412 A KR 1020170078412A KR 20170078412 A KR20170078412 A KR 20170078412A KR 102005027 B1 KR102005027 B1 KR 102005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silica
essential oil
fragrance
ratio
dire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8327A (ko
Inventor
이용의
정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스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스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스컨
Priority to KR1020170078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027B1/ko
Priority to US16/621,480 priority patent/US11370989B2/en
Priority to PCT/KR2018/007047 priority patent/WO2018236170A1/ko
Publication of KR20180138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with the help of a non-organic comp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with the help of a macromolecular compound as a carrier or dil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2Adsorbed ingredients, e.g. ingredients on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045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7Fragrance addit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 정유의 향의 취 및 강도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향 정유를 포함한 발향 재료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는, 방향 정유와, 상기 방향 정유를 담지하며, 표면의 친수성 또는 소수성이 조절된 다공성실리카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 정유의 rHLB(required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와 상기 다공성실리카의 O/C 비율은, 0.9 ≤ 방향 정유의 rHLB(required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 (다공성실리카 O/C 비율) ≤ 2.9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및 그 제조 방법{ESSENTIAL OIL CONTAINING SUBSTANCE AND ITS FABRICATION METHOD FOR LONG LASTING FRAGRANCE}
본 발명은 방향 정유의 향의 취 및 강도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향 정유를 포함한 발향 재료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향은 방향제, 세정제, 화장품, 식품 등 거의 모든 생활용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제조(추출) 방법에 따라 인공합성향과 천연향으로 나눌 수 있다. 현재 사용되는 생활용품은 거의 대부분이 인공합성향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인공합성향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메틸이소티아졸린, 클로록실레놀, 나프탈렌 파라디클로로벤젠등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이 최근 알려지고 있어서, 향 제품에 대한 유해성 이슈가 심각히 대두되고 제품 사용자들에게 경각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정유(에센셜오일 이라고도 함)는 천연 식물에서 추출하여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적절히 사용했을 경우 자극 촉진 작용, 진정 작용, 신진 대사 기능 촉진 작용, 면역 기능 향상 작용 등의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인공합성향을 대체했을 경우 사용자들에게 많은 유익함을 줄 수 있지만, 그 사용 범위가 공간적, 시간적으로 극히 제한되어 있으며, 높은 가격으로 인해 프리미엄급 제품에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재료 측면에서 방향 정유는 자연에서 성장하거나 유기농법으로 재배된 방향성 식물의 꽃, 꽃봉우리, 잎, 줄기, 껍질, 뿌리 등에서 추출한 천연오일을 일컫는다.
정유의 주성분은 아이소프렌이 중합한 모노 및 세스퀴테르펜 탄화수소와 여기에서 유도되는 알코올, 알데하이드, 케톤, 에스터 등의 테르펜 화합물이다. 현재 알려져 있는 정유는 1,500종 이상이며, 그 중 약 200여종이 천연 정유로 사용된다. 이러한 천연 정유는 인체에 유해한 인공 합성 물질이 없고, 좋은 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적절하게 사용할 경우 소독, 방부효과가 뛰어나며, 생명력과 치유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정유는 단독 혹은 몇가지 정유의 혼합물 또는 캐리어오일(호호바, 바질, 코코넛, 아몬드, 헤이즐넛 오일등)에 희석하여 아로마테라피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정유와 그 효능에 대해서 정리한 것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대표적인 방향 정유 종류 및 효능
방향유(에센셜오일) 효능
라벤더(Lavender) 진정작용, 스트레스 완화, 숙면도움, 두통/신경통/생리통 완화 등
계피잎(Cinnamon Leaf) 심신 에너지 제공, 혈액순환 촉진, 감염증상 완화, 무좀치료 등
티트리(Tea Tree) 기분전환, 항세균/곰팡이/바이러스, 면역력 강화, 살균작용 등
시더우드(Cedar Wood) 긴장/불안 해소, 진정, 살균, 방충효과 등
오렌지(Orange) 항우울, 항염증, 항균, 진경, 항진 등
유칼립투스(Eucalyptus) 방부제, 향균, 탈취, 해열, 진경, 혈액정화, 항바이러스 등
베르가못(Bergamot) 기분전환, 진정과 짜증완화, 살균, 염증 완화 등
레몬(Lemon) 기분전환, 식욕억제, 두통완화, 향균, 독감치료, 피부질환 완화 등
라임(Lime) 기분전환, 소화촉진, 식욕증진, 해열, 기침 완화 등
만다린(Mandarin) 불안감해소, 불면증완화, 소화촉진, 식욕증진, 피부재생촉진 등
미르(Myrrh) 방부효과, 원기회복, 감기/기관지염 완화, 피부활성 등
네롤리(Neroli) 심신 휴식, 마음 진정, 수면도움, 스트레스 완화 등
니아울리(Niaouli) 집중력향상, 면역력 강화, 살균 및 소독 작용 등
페퍼민트(Peppermint) 기분전환, 집중력향상, 멀미/구토완화 등
파인(Pine) 기분전환, 살균/소독효과, 감염예방, 통증완화 등
로즈마리(Rosemary) 기억력, 집중력강화, 활력제공, 혈액순환 촉진, 통증완화 등
캐모마일(Chamomile) 스트레스완화, 수면유도, 통증완화 등
일랑일랑(Ylang Ylang) 진정/흥분 균형 도움, 숙면도움, 살균 등
님(Neem) 피부트러블 진정, 항곰팡이, 해충 방제 등
프랑킨센스(Frankincense) 불안/긴장 완화, 폐 정화, 기침/천식 완화 등
벤조인(Benzoin) 불안/긴장 완화, 감기/기침 완화 등
헬리크리섬(Helichrysum) 면역력증가, 항알러지, 항염, 살균 등
피톤치드(Phytoncide) 산림욕 효과, 소취/탈취, 향균, 방충 등
이러한 방향 정유에는 보통 여러 종류의 휘발성 향성분이 혼합되어 있으며, 이때 함유된 휘발성 향 종류 및 이들의 조성비에 의해 취의 종류가 결정된다. 정유는 액상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향 방출의 농도나 속도를 조절하기가 힘들며, 특히, 오랜시간 방출 시 휘발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성분이 우선적으로 증발하여 잔존 정유의 향성분비가 바뀌고, 이에 의해 초기취 대비 다른 취의 특성을 보인다.
이에 정유의 향 방출 농도 및 속도의 조절, 그리고 취 및 강도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고, 원하는 다양한 환경에서 쉽게 향을 발산하게 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취의 강도 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액체 상태의 정유에 폴리머를 코팅하여 마이크로캡슐화하거나 다공성 물질에 향을 담는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제품화될 만큼의 개발 완성도가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정유는 동물의 경우에도 행동장애 개선, 분노조절, 피부 트러블 완화 또는 벼룩, 해충 퇴치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동물을 위한 아로마테라피에도 그 응용이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동물의 경우 사람에 비해 50~100 배 정도 향에 민감하고, 인체에 무해한 향도 종류에 따라서는 동물의 건강에 치명적일 수 있다는 것으로 알려져 그 사용 방법에 있어서 매우 주의를 필요로 한다.
방향 정유는 보통 사람이나 동물의 피부에 직접 바르거나 뿌려서 사용하거나, 향증기를 코로 흡입하는 방법으로 대부분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향증기를 흡입하는 방법은 오일을 병에 담고 디퓨저를 사용하여 향을 공기중으로 발산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석고, 캔들등 고체화된 담지체에 오일을 떨어뜨리거나 소량 혼합하여 주로 실내에서 사용된다.
이때, 오일을 병에 담아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떨어뜨리면 병이 깨질 수 있고, 오일의 유출이 발생하여 어린이나 동물들에게 위험 요소를 만들 수 있으며, 향초의 경우에는 화재의 위험성이 있는 등 방향 정유를 실제 생활에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보호자가 있어야 하는 등 공간적, 시간적 제약이 심해서 그 사용이 매우 제한적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방향 정유에는 다양한 종류의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함유된 성분들에 의해서 방향 정유의 친수성 또는 소수성 특성이 결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정유를 담지체에 온전히 담고, 담지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담지체의 친수 또는 소수 특성을 조절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중요하다.
담지체의 친수성 또는 소수성 조절은 담지체 표면에 존재하는 관능기의 조절로 가능하며, 이러한 관능기의 조절은 담지체의 분위기 열처리, 화학 반응 또는 흡/탈착 등을 통하여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는 다공성 실리카 표면의 친수성 또는 소수성을 조절하여 다양한 종류의 액상 향 성분을 담지함으로써, 액상상태의 정유를 담지한 고상형태(일차담지체)의 재료로 제조하여, 상기에 언급한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사용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정유 발향 재료(일차담지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기 발향 지속성 갖는 발향 재료는 상기 정유 발향 재료(일차담지체)를 실리콘, 러버, 플라스틱, 우레탄 등의 폴리머 재료 또는 Clay(찰흙), 석고 등의 재료와 혼합 또는 코팅함으로써, 이중담지체 기능을 부여하여, 향의 발산 농도 및 시간을 추가 조절하고, 기존 사용법에서 존재하는 잠재 위험 요소(화재, 병 깨짐 등)를 제거하고, 휴대성 등의 사용 편리성을 부여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유 제품으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향에 매우 민감한 애완 동물을 위해서 향 농도 및 지속성을 조절함으로써 보호자 없이도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실내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애완동물용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응용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는, 방향 정유와, 상기 방향 정유를 담지하며, 표면의 친수성 또는 소수성이 조절된 다공성실리카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 정유의 rHLB(required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와 상기 다공성실리카의 O/C 비율은,
0.9 ≤ 방향 정유의 rHLB(required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 (다공성실리카 O/C 비율) ≤ 2.9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다공성실리카는 산소 또는 수증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분위기 하에서 열처리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처리는, 상기 다공성실리카를 가열로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가열로의 온도를 약 100-550℃로 유지하는 조건 하에서 약 1시간~3시간 가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처리된 다공성실리카를 25℃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는, 폴리머 재료, 클레이, 석고 등의 재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부가담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가담지체는 상기 다공성실리카와 혼합되거나, 또는 상기 다공성실리카를 코팅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는, 상기 부가담지체를 상기 다공성실리카와 혼합 또는 코팅한 후, 기설정된 디자인에 따라 경화 또는 건조시키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머 재료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러버 또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애완 동물용 발향 제품은, 방향 정유와; 상기 방향 정유를 담지하며, 표면의 친수성 또는 소수성이 조절된 다공성실리카와; 폴리머 재료, 클레이, 석고 등의 재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되, 상기 다공성실리카와 혼합되거나, 상기 다공성실리카를 코팅하는 부가담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실리카와 상기 부가담지체를 혼합하거나 부가담지체로 상기 정유를 담지한 다공성실리카를 코팅한 후, 기설정된 디자인으로 건조 또는 경화시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공성실리카는 산소 또는 수증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분위기 하에서 열처리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처리는, 상기 다공성실리카를 가열로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가열로의 온도를 약 100-550℃로 유지하는 조건 하에서 약 1시간~3시간 가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처리된 다공성실리카를 25℃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머 재료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러버 또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제품은, 방향 정유와, 상기 방향 정유를 담지하며, 표면의 친수성 또는 소수성이 조절된 다공성실리카와,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정제수는 상기 방향 정유가 담지된 다공성실리카와 혼합되거나 상기 방향 정유가 담지된 다공성실리카를 분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향 정유의 rHLB(required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와 상기 다공성실리카의 O/C 비율은,
0.9 ≤ 방향 정유의 rHLB(required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 (다공성실리카 O/C 비율) ≤ 2.9 일 수 있다.
그리고, 다공성실리카는 산소 또는 수증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분위기 하에서 열처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는, 상기 다공성실리카를 가열로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가열로의 온도를 약 100-550℃로 유지하는 조건 하에서 약 1시간~3시간 가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처리된 다공성실리카를 25℃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제품은, 폴리머 재료, 클레이, 석고 등의 재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부가담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머 재료는 실리콘, 러버, 플라스틱, 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그 합성물일 수 있다.
그리고, 부가담지체는 상기 다공성실리카와 혼합되거나, 또는 상기 다공성실리카를 코팅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제품은, 발향 제품은 방향스프레이, 방향액상제품, 세정제, 세안제, 바디용품, 헤어용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제조방법은, 다공성실리카를 열처리하여 표면의 친수성 또는 소수성을 조절하는 단계, 방향 정유를 상기 열처리된 다공성실리카와 혼합하여 담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 정유의 rHLB(required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와 상기 다공성실리카의 O/C 비율은,
0.9 ≤ 방향 정유의 rHLB(required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 (다공성실리카 O/C 비율) ≤ 2.9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처리는, 산소 또는 수증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분위기 하에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열처리는 상기 다공성실리카를 가열로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가열로의 온도를 약 100-550℃로 유지하는 조건 하에서 약 1시간~3시간 가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처리된 다공성실리카를 25℃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제조방법은, 폴리머 재료, 클레이, 석고 등의 재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부가담지체를 상기 다공성실리카와 혼합하거나, 또는 상기 정유가 담지된 다공성실리카를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머 재료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러버 또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제조방법은, 상기 부가담지체를 상기 다공성실리카와 혼합 또는 코팅한 후, 기설정된 디자인에 따라 경화 또는 건조시키는 것에 의하여 발향 응용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유는 라벤더(Lavender), 계피잎(Cinnamon Leaf), 티트리(Tea Tree), 시더우드(Cedar Wood), 오렌지(Orange), 유칼립투스(Eucalyptus), 베르가못(Bergamot), 레몬(Lemon), 라임(Lime), 만다린(Mandarin), 미르(Myrrh), 네롤리(Neroli), 니아울리(Niaouli), 페퍼민트(Peppermint), 파인(Pine), 로즈마리(Rosemary), 캐모마일(Chamomile), 일랑일랑(Ylang Ylang), 님(Neem), 프랑킨센스(Frankincense), 벤조인(Benzoin), 헬리크리섬(Helichrysum), 또는 피톤치드(Phytoncide)로 부터 추출된 단일 정유이거나, 이들 정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혼합물이거나 캐리어오일(호호바, 바질, 코코넛, 아몬드, 헤이즐넛 오일 등)에 희석한 정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는 친수성 또는 소수성을 조절할 수 있는 다공성실리카를 담지체로 사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향 성분을 담지하고, 취의 지속성뿐만 아니라 향의 강도 및 발산 시간을 조절할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실리콘 또는 우레탄을 포함하는 러버 또는 플라스틱 등 폴리머재료나 석고, 클레이 재료등으로 코팅 혹은 혼합하여 이중담지체 기능을 부여하여 향의 농도 및 발산 시간을 추가로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응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는 정제수등과 혼합 또는 분산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방향스프레이, 방향액상제품, 세정제, 세안제, 얼굴, 바디용품, 헤어용품등 생활용품과 화장품 등에 폭넓게 응용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유 담지체인 다공성실리카의 모식도이며, 도 1b는 다공성실리카에 담지된 방향 정유를 포함한 발향 재료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정유의 종류 및 각각에 포함된 주성분의 화학구조식과 rHLB (required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을 도시한 것이다. 정유의 rHLB는 문헌값을 표시한 것으로, 측정방법에 따라 값이 일정 부분 변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와 실시예의 진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바이얼 내벽에 입자의 응집 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비교예 8, 실시예 8의 향 강도 지속성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비교예 9, 실시예 9의 향 강도 지속성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비교예 10, 실시예 10의 향 강도 지속성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비교예 11, 실시예 11의 향 강도 지속성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비교예 8과 실시예 8의 초기향 유지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비교예 9과 실시예 9의 초기향 유지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비교예 10과 실시예 10의 초기향 유지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비교예 11과 실시예 11의 초기향 유지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 정유를 담지한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향 정유를 담지하는 담지체인 다공성실리카의 모식도이며, 도 1b는 다공성실리카에 담지된 방향 정유를 포함한 발향 재료의 모식도이며, 도 2는 정유의 종류 및 각각에 포함된 주성분의 화학구조식과 rHLB (required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을 도시한 것이다.
우선 도 1a를 참고하면, 다공성실리카는 미세한 크기의 구형의 입자이며, 그 표면에 수 많은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공성실리카는 그 표면에 형성된 공극에 의하여 표면적이 매우 크며, 3차원의 골격구조를 형성하여 정유를 효율적으로 담지할 수 있다. 이때, 다공성실리카의 평균 지름은 1~100㎛, 입자의 기공율 80%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공성실리카는 평균 지름이 1~20㎛, 입자의 기공율 90% 이상일 경우 더욱 바람직하다
실리카는 화학적으로 안정한 재료이나 실리카 표면에 존재하는 친수성 또는 소수성 관능기에 원하는 관능기의 탈/부착이 가능하다. 특히, 물, 산, 알칼리 및 대기 중의 수분, 이산화탄소 등과 표면 흡/탈착 또는 화학반응을 유도하는 것에 의한 관능기의 조절을 통해서 실리카 표면의 친수성 또는 소수성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소수성 관능기를 다량 포함하는 다공성실리카를 산소 또는 수증기가 포함된 분위기에서 열처리를 진행하는 경우, 다공성실리카의 표면에 존재하는 소수성 관능기를 탈착시키고, -OH 등의 친수성 관능기로 치환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다공성실리카의 산소와 탄소 비율(O/C)를 변화시켜서 친수성 또는 소수성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방향 정유는 그 종류가 다양하다. 상기 정유는 라벤더(Lavender), 계피잎(Cinnamon Leaf), 티트리(Tea Tree), 시더우드(Cedar Wood), 오렌지(Orange), 유칼립투스(Eucalyptus), 베르가못(Bergamot), 레몬(Lemon), 라임(Lime), 만다린(Mandarin), 미르(Myrrh), 네롤리(Neroli), 니아울리(Niaouli), 페퍼민트(Peppermint), 파인(Pine), 로즈마리(Rosemary), 캐모마일(Chamomile), 일랑일랑(Ylang Ylang), 님(Neem), 프랑킨센스(Frankincense), 벤조인(Benzoin), 헬리크리섬(Helichrysum), 또는 피톤치드(Phytonc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라벤더(Lavender), 계피잎(Cinnamon Leaf), 티트리(Tea Tree), 시더우드(Cedar Wood), 오렌지(Orange), 유칼립투스(Eucalyptus), 페퍼민트(Peppermint)로부터 추출된 치료적 정유(Therapeutic Essential Oil)에 포함된 화학성분은 -OH를 포함하는 친수성 화합물과 C, H로만 이루어진 소수성 화합물이 각각 혼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각각의 정유에 포함된 주성분은 그 화학구조식에 의해서 여러 가지 수준의 극성을 나타내게 된다. 여기서, 각각의 정유가 극성을 가진 성분을 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친수성(hydrophilic properties)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주성분이 낮은 극성인 경우 소수성(hydrophobic properties)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정유의 경우 각각의 구성 성분 종류에 의해 친수성 또는 소수성이 결정되므로, 이들 정유를 담지하고, 담지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담지체의 특성을 정유의 특성에 맞추어 조절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향 재료는 수 많은 공극이 형성된 구형의 다공성실리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 다공성실리카의 표면 특성을 조절함으로써 정유를 효율적으로 담지할 수 있다. 특히, 산소가 포함된 분위기 하에서 열처리를 통하여 다공성실리카 표면의 산소와 탄소의 비율(O/C)을 조절하여 정유와의 담지 친화력을 개선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정유 향 성분에 대한 향의 강도 및 취의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정유의 향은 정유가 함유한 휘발성분 및 휘발성분들의 조성비에 의해 그 종류가 결정되며, 오랜 시간 발향 시 서로 다른 휘발성에 기인한 조성비의 변화 등에 의해 초기 취 대비 다른 취의 특성을 보일 수 있으므로, 휘발성분에 대한 서방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유의 초기 취가 오래도록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재료는 다공성실리카의 표면 물성 조절을 통하여 정유의 초기 취가 오랜 시간 동안 지속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열로에서 열처리된 것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순한 열처리를 통하는 것에 비하여, 산소 또는 수증기를 능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된 가열로에서 다공성실리카를 열처리함으로써, 다공성실리카 표면의 산소와 탄소비(O/C)의 조절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정유는 종류에 따라 주성분이 다양할 수 있으나, 향의 강도(냄새 강도)와 초기 취의 유지도(초기 취 유지도)를 고려하면, 담지하고자 하는 정유와 다공성 실리카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0.9 ≤ 정유의 rHLB(required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 (다공성실리카 O/C 비율) ≤ 2.9
이때, 정유의 rHLB(required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 (다공성실리카 O/C 비율) 이 0.9 미만이거나 2.9 초과인 경우, 즉 정유와 담지체의 극성의 차이가 큰 경우에는 정유가 담지체에 안정적으로 담지되지 않거나, 담지 후 다공성실리카 외부로 재방출되어 다공성실리카가 서로 응집하는 정도 또는 점도가 매우 높아지므로 담지안정성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다. 담지안정성이 낮아지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초기의 취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에 있어서, 다공성실리카를 열처리하는 하는 경우, 상기 열처리 공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열처리 공정은, 다공성실리카를 가열로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가열로의 온도를 약 100-550℃로 유지하는 조건 하에서 약 1시간~3시간 가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열처리된 다공성실리카를 25℃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공성실리카는 약 100℃ 미만의 온도에서 약 1시간 미만의 열처리가 이루어지는 경우, 다공성실리카의 표면의 탄소가 공급된 산소와 충분히 결합하기 어렵다. 한편, 실리카는 비교적 안정한 물질이지만, 약 550℃를 초과하는 온도조건 하에서 약 3시간을 초과하여 열처리가 이루어지는 경우 다공성실리카에 존재하는 C의 증발을 심각하게 유발시켜 다공성실리콘의 O/C 비율을 조절하기 힘들다. 이를 고려하면, 상기 다공성실리카는 약 100-550℃의 조건 하에서 약 1시간~3시간 가열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을 통하여, 표면의 O/C 중량비율이 약 3 ~ 15인 다공성실리카를 포함하는 장기 지속성 향 담지체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는, 산소, 수증기 또는 이의 혼합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능동적으로 산소, 수증기 또는 이의 혼합물을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다공성실리카 표면 전체의 O/C 비율이 균일하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열처리단계에 있어서, 산소만을 공급하는 경우, 반응안정성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수증기를 함께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재료는 실리콘, 러버, 플라스틱, 우레탄 등의 폴리머 재료, 또는 클레이, 석고 재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부가담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담지체는 정유가 담지된 다공성실리카와 혼합되거나, 또는 다공성실리카를 코팅하는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부가담지체를 혼합하거나 코팅하는 과정을 거친 후 경화 또는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 또는 소비자가 원하는 형상의 디자인으로 제조할 수 있다. 경화시키는 경우, 원하는 디자인의 틀 속에 채워넣거나 빚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코팅하는 경우에는 스프레이, 마이크로캡슐화, 또는 블레이드 코팅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경화 또는 코팅하는 방법은 상기 예시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향 장기 지속을 위한 정유를 포함한 재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과 디자인의 제품으로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사람 뿐만 아니라 애완용 동물의 아로마테라피 용 각종 장신구 또는 악세사리로 응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재료의 정유 담지안정성을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와 실시예의 진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비교예와 실시예는 도3과 같이 진행되었다.
1. 다공성실리카 산소/ 탄소(O/C)비 조절 테스트
여기서, 정유(100% 에센셜오일) 담지 및 안정성 테스트를 위한 다공성실리카 열처리 공정은 표 2와 같이 수행되었다.
방향 정유(100% 에센셜오일) 담지 안정성테스트를 위한 다공성실리카 열처리 방법 및 산소/탄소(O/C) 함량 분석 방법
분류 다공성실리카 종류 다공성실리카-1, -2, -3 실험 방법
비교예 1-1 다공성실리카-1 ( 다공성실리카 -1 제조방법)
1. 다공성실리카 약 100g을 취함.
2. 산소 및 수증기 공급 장치가 준비되어 있는 가열로에 투입.
3. 산소 및 수증기 공급장치를 통하여 수증기가 포함된 산소원을 유입하면서, 가열로는 온도 약 350℃로 상승시킴.
4. 약 350℃에서 약 2시간 열처리를 진행.
5. 상온(약 25℃)로 냉각.
6. 상온에서 샘플 채취.
7. 탄소분석기를 통하여 C 함량(탄소함량)을 측정/산소분석기를 통하여 O(산소함량)을 측정.
(다공성실리카-2 제조방법)
1. 다공성실리카 약 100g을 취함.
2. 산소 및 수증기 공급 장치가 준비되어 있는 가열로에 투입.
3. 산소 및 수증기 공급장치를 통하여 수증기가 포함된 산소원을 유입하면서, 가열로는 온도 약 400℃로 상승시킴.
4. 약 400℃에서 약 2시간 열처리를 진행.
5. 상온(약 25℃)로 냉각.
6. 상온에서 샘플 채취.
7. 탄소분석기를 통하여 C 함량(탄소함량)을 측정/산소분석기를 통하여 O(산소함량)을 측정.
(다공성실리카-3 제조방법)
1. 다공성실리카 약 100g을 취함.
2. 산소 및 수증기 공급 장치가 준비되어 있는 가열로에 투입.
3. 산소 및 수증기 공급장치를 통하여 수증기가 포함된 산소원을 유입하면서, 가열로는 온도 약 500℃로 상승시킴.
4. 약 500℃에서 약 2시간 열처리를 진행.
5. 상온(약 25℃)로 냉각.
6. 상온에서 샘플 채취.
7. 탄소분석기를 통하여 C 함량(탄소함량)을 측정/산소분석기를 통하여 O(산소함량)을 측정.
1-2 다공성실리카-3
2-1 다공성실리카-1
2-2 다공성실리카-3
3-1 다공성실리카-3
4-1 다공성실리카-1
5-1 다공성실리카-1
6-1 다공성실리카-1
6-2 다공성실리카-3
7-1 다공성실리카-1
7-2 다공성실리카-3
실시예 1-1 다공성실리카-2
2-1 다공성실리카-2
3-1 다공성실리카-1
3-2 다공성실리카-2
4-1 다공성실리카-2
4-2 다공성실리카-3
5-1 다공성실리카-2
5-2 다공성실리카-3
6-1 다공성실리카-2
7-1 다공성실리카-2
2. 산소/ 탄소(O/C)비가 조절된 다공성실리카에 방향 정유( 100%에센셜오일 ) 담지 테스트
여기서, 산소/탄소(O/C)비를 조절한 다공성실리카에 다양한 종류의 정유(100% 에센셜오일)를 표 3과 같은 방법으로 담지하였다.
열처리한 다공성실리카에 정유 담지 실험 방법
분류 다공성실리카 종류 담지정유 정유 담지 실험 방법
비교예 1-1 다공성실리카-1 라벤더(Lavender) 1. 열처리한 다공성실리카(-1, -2, -3)를 2g 취함.
2. 이를 70ml 바이얼(vial)에 투입.
3. 바이얼에 원하는 정유(100% 에센셜오일) 6g 투입.
4. 믹싱볼을 바이얼에 넣고, 롤링머신(rolling-machine)에서 약 100rpm으로 4시간 혼합.
5. 샘플 회수.
6. 정유 담지 안정성 평가 기준에 따른 평가.
7. 샘플의 무게를 측정하여 정유 담지량 계산.
1-2 다공성실리카-3 라벤더(Lavender)
2-1 다공성실리카-1 계피잎(Cinnamon Leaf)
2-2 다공성실리카-3 계피잎(Cinnamon Leaf)
3-1 다공성실리카-3 티트리(Tea Tree)
4-1 다공성실리카-1 시더우드(Cedar Wood)
5-1 다공성실리카-1 오렌지(Orange)
6-1 다공성실리카-1 유칼립투스(Eucalyptus)
6-2 다공성실리카-3 유칼립투스(Eucalyptus)
7-1 다공성실리카-1 페퍼민트(Peppermint)
7-2 다공성실리카-3 페퍼민트(Peppermint)
실시예 1-1 다공성실리카-2 라벤더(Lavender)
2-1 다공성실리카-2 계피잎(Cinnamon Leaf)
3-1 다공성실리카-1 티트리(Tea Tree)
3-2 다공성실리카-2 티트리(Tea Tree)
4-1 다공성실리카-2 시더우드(Cedar Wood)
4-2 다공성실리카-3 시더우드(Cedar Wood)
5-1 다공성실리카-2 오렌지(Orange)
5-2 다공성실리카-3 오렌지(Orange)
6-1 다공성실리카-2 유칼립투스(Eucalyptus)
7-1 다공성실리카-2 페퍼민트(Peppermint)
3. 정유를 담지한 다공성실리카 재료의 담지 안정성 테스트
정유를 담지한 다공성실리카 재료의 담지 안정성 테스트는 다공성실리카에 정유를 담지한 후 표 4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얼 내벽에 입자의 응집 정도로 판단하였다.
도 4는 바이얼 내벽에 입자의 응집 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정유를 담지한 다공성실리카 입자의 담지 안정성 판단 기준
판단기준 안정성 판단
정유 담지 후, 바이얼 내벽에 응집된 입자 거의 없음. O
정유 담지 후, 바이얼 내벽에 응집된 입자 소량 관찰.
정유 담지 후, 바이얼 내벽에 입자가 응집되어 입자의 흐름이 없음. X
4. 정유 담지 안정성 평가 결과
4-1. 표 5는 열처리 후 다공성실리카의 산소/탄소(O/C)비의 측정 결과이다.
열처리 후 다공성실리카의 산소/탄소(O/C)비의 측정 결과
담지체 다공성
실리카-1
다공성
실리카-2
다공성
실리카-3
산소함량 (wt%) 38.5 48.6 52.5
탄소함량 (wt%) 12.4 5.8 3.5
산소/탄소(O/C) 비율 3.1 8.4 15.0
표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공성실리카를 본 테스트 조건인 온도와 분위기 하에서 열처리를 하면 산소/탄소(O/C)비의 조절이 3~15까지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다공성실리카의 친수성 또는 소수성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4-2. 정유의 rHLB(required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와 다공성 실리카의 산소/탄소(O/C) 비율에 따른 정유 담지 안정성
상기 도 2에 나타낸 다양한 정유(100%에센셜오일)의 주성분과 rHBL 값 결과와 상기 표 4에 나타낸 담지 안정성테스트 결과와, 그리고 상기 표 5에 나타낸 열처리 후 다공성실리카의 산소/탄소(O/C)비 결과를 종합하면, (정유 rHLB)/(다공성실리카 O/C비)가 정유 종류에 따라서 담지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종합하여 표 6에 나타내었다.
(정유 rHLB)/(다공성실리카 O/C비)가 정유의 담지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정유 종류 정유/실리카
담지 비율
정유 함침 안정성 정유rHLB (정유 rHLB) / (실리카 O/C 비율)
다공성 실리카-1 다공성 실리카-2 다공성 실리카-3 다공성
실리카-1
다공성
실리카-2
다공성
실리카-3
라벤더(Lavender) 3 X O 12.0 3.9 1.4 0.8
계피 잎(Cinnamon Leaf) 3 X O 11.1 3.6 1.3 0.7
티트리(Tea Tree) 3 O O X 9.0 2.9 1.1 0.6
시더우드(Cedar Wood) 3 X O O 16.7 5.4 2.0 1.1
오렌지(Orange) 3 X O O 13.0 4.2 1.5 0.9
유칼립투스(Eucalyptus) 3 O 9.8 3.2 1.2 0.7
페퍼민트(Peppermint) 3 X O 12.3 4.0 1.5 0.8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결과를 종합한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적절한 범위내의 산소/탄소(O/C) 비율(친수성 또는 소수성 특성)을 가진 다공성실리카를 사용할 경우만이 원하는 정유(100% 에센셜오일)의 담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다양한 종류의 방향 정유를 담지하기 우해서는 우선적으로 담지체(다공성실리카)의 산소/탄소(O/C)비의 조절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상기 표 6을 종합하면 담지하고자 하는 정유의 rHLB와 다공성실리카의 O/C 비율이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경우, 우수한 담지 안정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0.9 ≤ 정유의 rHLB(required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 (다공성실리카 O/C 비율) ≤ 2.9
5. 정유(100% 에센셜오일 )를 담지한 재료의 향 관능 및 지속성 평가 테스트를 위한 샘플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정유(100% 에센셜오일)와 산소/탄소(O/C)비가 조절된 다공성실리카의 중량비가 약 3:1 인 정유를 포함한 발향 재료(일차담지체)를 제조하고, 이 재료를 실리콘, 클레이(clay), 석고와 혼합하여 성형물을 제조(이중담지체)를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예를 위해서 정유와 실리콘 혼합 성형물, 정유와 클레이 혼합 성형물, 정유와 석고 혼합 성형물을 제조하여 이들 샘플들의 향 관능 평가를 각각 진행하였다.
비교예 8: 라벤더(Lavender) 정유(100% 에센셜오일) 관능평가
라벤더(Lavender) 0.5g을 70ml 바이얼에 넣고, 향 관능 평가 방법에 따라 평가를 진행한다.
실시예 8: 라벤더(Lavender) 정유/ 다공성실리카 -2 발향 재료( 일차담지체 ) 관능평가
실시예 1-1 에서 준비된 샘플 0.67g을 70ml 바이얼에 넣고, 향 관능 평가 방법에 따라 평가를 진행한다.
(비교예 8 과 실시예 8 에 포함된 라벤더의 양은 0.5g으로 동일 함량 기준임)
비교예 9: 라벤더(Lavender) 정유와 실리콘 혼합 성형물 관능평가
1) 라벤더(Lavender) 정유 0.5g을 실리콘 러버 원액 2g 과 혼합한다.
2) 일정 크기의 성형틀에 혼합액을 넣은 뒤, 경화시킨다.
3) 상기 성형물을 70ml 바이얼에 넣고 향 관능 평가 방법에 따라 평가를 진행한다.
실시예 9: 라벤더(Lavender) 정유/ 다공성실리카 -2 ( 일차담지체 )의 실리콘 성형물(실리콘 이중담지체) 관능평가
1) 실시예 1-1 에서 준비된 샘플 0.67g을 실리콘 러버 원액 2g 과 혼합한다.
2) 일정 크기의 성형틀에 혼합액을 넣은 뒤, 경화시킨다.
3) 상기 성형물을 70ml 바이얼에 넣고 향 관능 평가 방법에 따라 평가를 진행한다.
(비교예9 과 실시예9 에 포함된 라벤더(Lavender)의 양은 0.5g으로 동일 함량 기준임)
비교예 10: 라벤더(Lavender) 정유의 클레이 성형물 관능평가
1) 라벤더(Lavender) 0.5g을 클레이 2g 과 혼합한다.
2) 일정 크기의 성형틀에 혼합물을 넣은 뒤, 1일 정도 상온에서 건조시킨다.
3) 상기 성형물을 70ml 바이얼에 넣고 향 관능 평가 방법에 따라 평가를 진행한다.
실시예 10: 라벤더(Lavender) 정유/ 다공성실리카 -2 담지체의 클레이 성형물 (클레이 이중담지체) 관능평가
1) 실시예 1-1 에서 준비된 샘플 0.67g을 클레이 2g 과 혼합한다.
2) 일정 크기의 성형틀에 혼합물을 넣은 뒤, 1일 정도 상온에서 건조시킨다.
3) 상기 성형물을 70ml 바이얼에 넣고 향 관능 평가 방법에 따라 평가를 진행한다.
(비교예 10 과 실시예 10 에 포함된 라벤더의 양은 0.5g으로 동일 함량 기준임)
비교예 11: 라벤더(Lavender) 정유의 석고 성형물 관능평가
1) 라벤더(Lavender) 0.5g을 석고용액 4g (석고 2g, 물 2g) 과 혼합한다.
2) 일정 크기의 성형틀에 혼합물을 넣은 뒤, 1일 정도 상온에서 건조시킨다.
3) 상기 성형물을 70ml 바이얼에 넣고 향 관능 평가 방법에 따라 평가를 진행한다.
실시예 11: 라벤더(Lavender) 정유/ 다공성실리카 -2 담지체의 석고 성형물(석고 이중담지체)관능평가
1) 실시예 1-1 에서 준비된 샘플 0.67g을 석고용액 4g (석고 2g, 물 2g) 과 혼합한다.
2) 일정 크기의 성형틀에 혼합물을 넣은 뒤, 1일 정도 상온에서 건조시킨다.
3) 상기 성형물을 70ml 바이얼에 넣고 향 관능 평가 방법에 따라 평가를 진행한다.
(비교예 11과 실시예 11에 포함된 라벤더의 양은 0.5g으로 동일 함량 기준임)
6. 정유(100% 에센셜오일 )를 담지한 재료의 향 관능 및 초기향 유지도 평가/분석 방법
6-1. 향 관능 평가 및 초기향 유지도 평가용 샘플준비
1)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와 같이 샘플을 준비한다.
: 모든 종류의 샘플은 정유 함량을 동일량으로 맞춘다.
2) 70ml 바이알에 상기 1)에 준비된 샘플을 투입한다.
3) 1L 비이커에 적당량의 정제수를 넣고, 약 50℃로 설정한 핫플레이트(hot plate) 상에 올려 승온한다.
4) 샘플이 투입된 바이알을 상기 1L 비이커에 넣는다.
5) 50℃에 도달하면, 투입된 샘플의 뚜껑을 열고 방치한다.
6) 정해진 시간(방치 기간) 별로 1L 테들러 백을 이용하여 샘플을 포집한다.
7) 포집된 샘플은 향 훈련이 된 패널에 의해서, 하기표의 관능 평가 기준에 준하여 향 강도 및 초기 향 유지도를 평가한다.
6-2. 향 관능 평가 및 초기향 유지도 평가 기준
상기 6-1에서 제조한 샘플들의 향 관능 평가는 표 7에 표시한 기준으로, 초기향 유지도 평가는 표 8에 표시한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향단계 표시 평가기준
향단계 판정 기준
0 무취
1 약간 느낄 수 있는 향(최소감지농도)
2 무슨 향인지 알 수 있는 약한 향(최소인식농도)
3 쉽게 알 수 있는 향
4 자극성이 있는 향
5 강한 향
6 강렬한 향
7 매우 자극적이며, 강렬한 향
초기향 유지도
초기향 유지 단계 판정기준
0 전혀 다른 종류의 향
1 초기 대비 이취의 정도를 Grade화
(숫자가 높을수록 초기와 동일한 종류의 향)
2
3
4
5 초기와 동일한 향
7. 정유(100% 에센셜오일 )를 담지한 재료의 향 관능 및 초기향 유지도 분석/평가 결과
하기 표 9는 라벤더(Lavender) 정유(100% 에센셜오일)를 상기 실시예 (실시예 8~11)에 따른 다공성 실리카-2와 실리콘, 클레이 또는 석고를 각각 이중담지체로 적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향 장기 지속성을 위한 정유를 포함한 재료에 대한 상기 관능평가에 따른 향 지속성 테스트 결과이다.
표 9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다양한 이중담지체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향 강도와 초기 냄새 유지도와 관련한 특성이 강화됨을 알 수 있다.
향 지속성 테스트

담지체 /정유 종류 정유/담지체 비율(wt/wt) 이중담지체 향 강도 관능 평가 (@50℃)
※숫자가 높을수록 향 강도 높음
초기향 유지도 관능 평가 (@50℃)
※숫자가 높을수록 초기향에 가까움
0 days 2 days 7 days 14 days 냄새 강도 잔존률 (%)
(14 days/0 days * 100)
0 days 2 days 7 days 14 days
비교예 8 없음 /라벤더(lavender) 3 없음 7 5.5 3 2 29 % 5 5 2 2
실시예 8 다공성 실리카-2 / 라벤더(Lavender) 3 없음 7 5.5 4.5 4 57 % 5 5 5 5
비교예 9 없음 /라벤더(lavender) 3 실리콘 7 5 4 3 43 % 5 4 3 3
실시예 9 다공성 실리카-2 /라벤더(lavender) 3 실리콘 7 4.5 4 4 57 % 5 5 5 5
비교예 10 없음 / 라벤더(lavender) 3 Clay 7 5 4 3 43 % 5 3 3 3
실시예 10 다공성 실리카-2 /라벤더(lavender) 3 Clay 7 5 5 5 71 % 5 5 5 5
비교예 11 없음 / 라벤더(lavender) 3 석고 7 5 4 3 43 % 5 4 3 3
실시예 11 다공성 실리카-2 /라벤더(lavender) 3 석고 7 5 5 5 71 % 5 5 5 4
도 5는 비교예 8, 실시예 8의 향 강도 지속성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비교예 9, 실시예 9의 향 강도 지속성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비교예 10, 실시예 10의 향 강도 지속성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비교예 11, 실시예 11의 향 강도 지속성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종합하며 보면, 14일 방치 기간 후에 100% 에센셜 라벤더(Lavender) 정유의 경우 약 29%의 잔존율을 보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된 다공성실리카에 라벤더 정유를 포함한 구조의 경우 약 57%의 잔존율을 보여 향의 강도 지속성이 매우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 도 7, 및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성형물 구조를 적용했을 때도 일차담지체 구조를 가진 경우 잔존율이 대폭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도 7과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성형물 (이중담지체)를 적용했을 경우 재료에 따라서 향 강도 지속성이 일차담지체 구조에 비해서 더욱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잔존율 57% -> 71%로 향상)
이는 적절한 재료를 선택하여 성형물을 제조할 경우 부가적인 발향 조절 및 지속성을 추가로 개선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방적으로 방향 정유(100%에센셜오일)는 단일 향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몇 개에서 몇십개 정도의 여러가지 향성분이 혼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향 성분의 경우에 각각 휘발성이 다르므로 방치기간에 길어짐에 따라 초기향 강도가 변하는 것뿐만 아니라 향의 종류도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향의 종류 변화는 사용자에게는 사용기간이 길어질수록 다른 향으로 변화된 것으로 감지될 수 있으며, 더욱이 방향 정유만이 가지는 신체적, 정신적 치료효과를 감소시키거나 없앨 수 있기 때문에 초기향의 유지성을 살펴보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도 9는 비교예 8과 실시예 8의 초기향 유지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비교예 9과 실시예 9의 초기향 유지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비교예 10과 실시예 10의 초기향 유지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비교예 11과 실시예 11의 초기향 유지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비교예 8에 의해서 제조한 샘플의 경우 14일 방치기간 후 초기향의 종류에서 다른 향으로 바뀐 것으로 알 수 있다. 이는 라벤더(Lavender) 정유에 포함된 휘발성이 다른 여러가지 향 성분중 상대적으로 높은 휘발 성분의 향 성분이 먼저 휘발된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한 실시예8 샘플의 경우 방치기간 14일이 지나도 초기향이 그대로 유지되는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정유를 포함한 재료의 경우 초기향 유지도가 매우 우수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도 10, 11, 및 12에서 알 수 있듯이 라벤더(Lavender) 정유와 성형물을 혼합한 경우 초기향 유지 단계가 라벤더 정유만의 경우에 비해서 약간 개선(2->3)된 결과를 보이지만, 본 발명의 정유(에센셜오일)를 포함한 재료를 이용하여 성형물(이중담지체)을 제조한 경우에는 방치기간 14일 경과 후 초기향이 그대로 유지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제조된 정유를 포함한 방향 재료(일차담지제)의 구조가 향 강도의 지속성과 초기향 유지성을 유지하는데 매우 큰 역할을 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발향 장기 지속성을 위한 정유를 포함한 재료의 경우 애완 동물의 아로마테라피에 사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다양하게 적용하는데 매우 큰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동물의 신체적, 정신적 상태의 개선이나 치료 효과를 주기 위해서는 아로마 정유 즉, 100% 에센셜오일을 사용해야 하며, 인공적인 향이나 첨가물은 동물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욱이 동물의 경우 간에서의 향분자 분해 능력이 사람과는 다른 이유로 사람에게는 유익한 100% 에센셜오일도 동물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큰 해를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그 사용에 있어서 매우 주의를 요한다. 또한 동물의 경우 사람에 비해 향이 50~100배 정도 더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고농축인 100% 에션셜오일을 그대로 사용할 수는 없다.
현재까지는 애완동물용 아로마테라피를 위해서 주로 희석화한 오일을 피부에 직접 바르거나, 향초나 물에 아로마 오일을 떨어뜨리고 증기를 발생시키거나, 스프레이로 바닥이나 펫용품에 분사하여 향을 맡게 하는 방법들의 제품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희석화한 오일을 피부에 직접 바르는 것은 피부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어 극히 주의를 요하며 사용 방법 또한 제한되어 있다.
또한, 기존에 많이 사용되는 향초나 분산시킨 오일에서 증기를 발생시키거나 향분사의 방법들은 향에 민감한 펫에게 향의 농도를 조절하는 것이 불편하며, 지속 시간 또한 제한적이어서 사용에 불편함이 많다.
더욱이, 향초는 화재의 위험이 있고, 스프레이는 애완동물이 핥아 먹을 수 있는 위험으로 인해 보호자 없이 혼자 있는 애완동물들을 위해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특히, 보호자가 혼자 살 경우에는 애완동물들이 절대적으로 혼자 있을 시간이 많고 이로 인한 정서적 불안함과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줄 수 있는 방안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방향정유(100%에센셜오일)를 사용하여 동물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개선,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방향정유의 1. 농도, 2. 지속시간, 3. 잠재위험요소 제거, 4.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개선한 편리한 사용성등이 더욱 주의 깊고, 세심하게 조절되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향 장기 지속성을 위한 정유를 포함하는 다공성실리카에 오일을 담지함으로써 향을 고정시키고, 담지체와 담지오일의 비, 성형재료(실리콘 또는 우레탄 러버나 플라스틱 등 폴리머와 석고, 클레이 등 재료)와 본 발명의 발향 장기 지속성을 위한 정유를 포함한 재료비를 조절함으로써 방향정유의 농도 및 발향 지속성을 조절할 수 있다. 더욱이 초기향 유지성이 매우 높아서 사용의 효율과 편리성을 더욱 부여할 수 있다.
실리콘 또는 우레탄 러버나 플라스틱 등 폴리머와 석고, 클레이등 재료를 성형물로 사용하여 이중담지체를 더 포함하는 경우 다양한 형상으로도 만들어 낼 수 있어서 안전하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인체 또는 애완동물의 신체에 부착하는 악세사리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5)

  1. 방향 정유와,
    상기 방향 정유를 담지하며, 표면의 친수성 또는 소수성이 조절된 다공성실리카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 정유의 rHLB(required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와 상기 다공성실리카의 O/C 비율은,
    0.9 ≤ 방향 정유의 rHLB(required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 (다공성실리카 O/C 비율) ≤ 2.9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실리카는 산소 또는 수증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분위기 하에서 열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상기 다공성실리카를 가열로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가열로의 온도를 100-550℃로 유지하는 조건 하에서 1시간~3시간 가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처리된 다공성실리카를 25℃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머 재료, 클레이, 석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부가담지체를 더 포함하는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담지체는 상기 다공성실리카와 혼합되거나, 또는 상기 다공성실리카를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담지체를 상기 다공성실리카와 혼합 또는 코팅한 후, 기설정된 디자인에 따라 경화 또는 건조시키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재료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러버 또는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로 제조된 애완 동물용 발향 제품.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방향 정유와,
    상기 방향 정유를 담지하며, 표면의 친수성 또는 소수성이 조절된 다공성실리카와,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정제수가 상기 방향 정유가 담지된 다공성실리카와 혼합되거나 상기 방향 정유가 담지된 다공성실리카를 분산시키는,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제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정유의 rHLB(required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와 상기 다공성실리카의 O/C 비율은,
    0.9 ≤ 방향 정유의 rHLB(required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 (다공성실리카 O/C 비율) ≤ 2.9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제품.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향 제품은 방향스프레이, 방향액상제품, 세정제, 세안제, 바디용품, 헤어용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제품.
  20. 다공성실리카를 열처리하여 표면의 친수성 또는 소수성을 조절하는 단계,
    방향 정유를 상기 열처리된 다공성실리카와 혼합하여 담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 정유의 rHLB(required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와 상기 다공성실리카의 O/C 비율은,
    0.9 ≤ 방향 정유의 rHLB(required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 (다공성실리카 O/C 비율) ≤ 2.9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산소 또는 수증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분위기 하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제조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실리카를 가열로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가열로의 온도를 100-550℃로 유지하는 조건 하에서 1시간~3시간 가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처리된 다공성실리카를 25℃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제조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폴리머 재료, 클레이, 석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부가담지체를 상기 다공성실리카와 혼합하거나, 또는 상기 다공성실리카를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제조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재료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러버 또는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제조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담지체를 상기 다공성실리카와 혼합 또는 코팅한 후, 기설정된 디자인에 따라 경화 또는 건조시키는 것에 의하여 발향 응용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제조방법.
KR1020170078412A 2017-06-21 2017-06-21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2005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412A KR102005027B1 (ko) 2017-06-21 2017-06-21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US16/621,480 US11370989B2 (en) 2017-06-21 2018-06-21 Fragrant material having long-lasting fragranc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PCT/KR2018/007047 WO2018236170A1 (ko) 2017-06-21 2018-06-21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412A KR102005027B1 (ko) 2017-06-21 2017-06-21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327A KR20180138327A (ko) 2018-12-31
KR102005027B1 true KR102005027B1 (ko) 2019-07-31

Family

ID=6473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412A KR102005027B1 (ko) 2017-06-21 2017-06-21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70989B2 (ko)
KR (1) KR102005027B1 (ko)
WO (1) WO201823617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429B1 (ko) * 2019-11-13 2020-04-09 주식회사 제이앤에스 다리 교정용 라텍스 베개
KR102099431B1 (ko) * 2019-11-13 2020-04-09 주식회사 제이앤에스 목 교정용 라텍스 베개
KR102099427B1 (ko) * 2019-11-13 2020-05-15 주식회사 제이앤에스 코골이 예방 라텍스 베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95427B (zh) * 2021-11-29 2022-08-12 云浮市欧铂利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香味亚克力人造石材及其制造方法
CN114470288B (zh) * 2022-03-14 2023-08-22 浙江宋朝臻选科技有限公司 具有舒缓作用的香氛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3492A1 (en) 2003-09-11 2007-01-04 Kabushiki Kaisha Toyota Chuo Kenkyusho Porous silica having substance carried thereon
KR100851730B1 (ko) 2007-11-22 2008-08-11 주학식 다기공 발향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375125B1 (ko) 2012-12-28 2014-03-18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향발생 세라믹스를 이용한 카트리지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123B1 (ko) * 1990-12-20 1993-08-26 주식회사 코오롱 복사 필름의 제조방법
GB9120951D0 (en) * 1991-10-02 1991-11-13 Unilever Plc Perfume particles
JP2000239694A (ja) * 1999-02-23 2000-09-05 Shiseido Co Ltd 芳香性蝋燭
GB2449876B (en) * 2007-06-06 2009-05-06 Post Harvest Solutions Ltd Active packaging materials incorporating micro-porous solids and essential oils
KR20110129505A (ko) * 2010-05-26 2011-12-02 윤종석 발향성수지의 제조방법
KR20120083737A (ko) * 2011-01-18 2012-07-26 주식회사태창물산 감 추출물 함유 방향 소취제
IN2015DN02997A (ko) * 2012-11-05 2015-09-25 Procter & Gamb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3492A1 (en) 2003-09-11 2007-01-04 Kabushiki Kaisha Toyota Chuo Kenkyusho Porous silica having substance carried thereon
KR100851730B1 (ko) 2007-11-22 2008-08-11 주학식 다기공 발향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375125B1 (ko) 2012-12-28 2014-03-18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향발생 세라믹스를 이용한 카트리지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429B1 (ko) * 2019-11-13 2020-04-09 주식회사 제이앤에스 다리 교정용 라텍스 베개
KR102099431B1 (ko) * 2019-11-13 2020-04-09 주식회사 제이앤에스 목 교정용 라텍스 베개
KR102099427B1 (ko) * 2019-11-13 2020-05-15 주식회사 제이앤에스 코골이 예방 라텍스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327A (ko) 2018-12-31
WO2018236170A1 (ko) 2018-12-27
US20200291325A1 (en) 2020-09-17
US11370989B2 (en)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027B1 (ko)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1319479B1 (ko) 일정한 발산농도로 장기간 균일한 발산특성을 나타내는 피톤치드 함유 방향성 복합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방향제 패키지
CN108078814A (zh) 一种具有驱蚊功效的植物芳香油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CN107753990A (zh) 一种新型固体空气清新剂及空气清新剂盒
CN110637839A (zh) 具有安神助眠作用的茉莉花驱蚊剂及其制备方法
KR101514240B1 (ko) 아로마테라피용 솔루션오일 안티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0843692B1 (ko) 정서안정용 향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형향료조성물
Buchbauer Aromatherapy: do essential oils have therapeutic properties
KR102176499B1 (ko) 항균성 방향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성 방향제
JP2001114619A (ja) アロマセラピー用エッセンシャルオイル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180064643A (ko) 천연식물 추출물로 만들어진 섬유향수
KR100626825B1 (ko) 기능성 마이크로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Bratovčić Synthesis of gel air freshener and its stability
KR101898060B1 (ko) 가습기 살균제용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수용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43689B1 (ko) 기분고양용 향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형향료조성물
KR100776345B1 (ko) 소취 및 항균 및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지닌 편백나무방향장치
CN101878787A (zh) 一种天然驱蚊香粉及其使用方法
KR20050099332A (ko)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551075B1 (ko) 천연성분 함유 수면 개선용 발향체
CN104985962A (zh) 一种薰衣草复配精油有效成分的驱蚊型文具筒
CN109864074A (zh) 一种驱蚊虫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291988B1 (ko) 침구용 살균 탈취 조성물
KR20170001518A (ko) 기화발산 쿠션체 7
KR20170001505A (ko) 기화발산 쿠션 볼
KR20120081705A (ko) 살균, 방충 및 탈취기능이 보강된 공기 정화액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