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792B1 - 적층 전자부품 및 내부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적층 전자부품 및 내부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792B1
KR102004792B1 KR1020140077156A KR20140077156A KR102004792B1 KR 102004792 B1 KR102004792 B1 KR 102004792B1 KR 1020140077156 A KR1020140077156 A KR 1020140077156A KR 20140077156 A KR20140077156 A KR 20140077156A KR 102004792 B1 KR102004792 B1 KR 102004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mol
glass
internal electrod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163A (ko
Inventor
이영일
송소연
손수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7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792B1/ko
Priority to JP2014182975A priority patent/JP6234903B2/ja
Priority to US14/485,485 priority patent/US9576697B2/en
Publication of KR20160000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163A/ko
Priority to US15/388,101 priority patent/US982479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9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91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4/00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 C03C4/14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for electro-conductive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02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14Glass frit mixtures having non-frit additions, e.g. opacifiers, colorants, mill-additions
    • C03C8/18Glass frit mixtures having non-frit additions, e.g. opacifiers, colorants, mill-additions containing free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1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inorganic material
    • H01B1/16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in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04/00Glasses, glazes or enamels with speci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07/00Compositions specially applicable for the manufacture of vitreous enam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2017/0066Printed inductances with a magnetic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01F2027/2809Printed windings on stacked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자성체층을 포함하는 적층 본체; 및 상기 적층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내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전극은 도전성 금속 및 글래스를 포함하며, 상기 글래스는 바나듐(V) 산화물을 포함하는 적층 전자부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적층 전자부품 및 내부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Multilayered electronic component and conductive paste compound for internal electrode}
본 발명은 적층 전자부품 및 내부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자부품 중 하나인 인덕터(inductor)는 저항, 커패시터와 더불어 전자회로를 이루어 노이즈(Noise)를 제거하는 대표적인 수동소자이다.
적층 전자부품 중 적층 인덕터는 자성체 또는 유전체를 주재료로 하는 절연 층 상에 도체 패턴을 형성하고, 이를 적층하여 적층 본체 내부에 코일 형상의 내부전극을 형성하며, 적층 본체의 외면에 내부전극을 외부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외부전극을 형성한다.
일본공개특허 제2007-027354호
본 발명은 우수한 비저항 및 치밀한 미세구조의 내부전극을 갖는 적층 전자부품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내부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적층 본체 내부에 배치된 내부전극이 도전성 금속 및 글래스를 포함하며, 상기 글래스는 바나듐(V) 산화물을 포함하는 적층 전자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보다 낮은 열처리 온도에서 내부전극의 소결을 촉진하여 우수한 비저항 특성 및 치밀한 미세구조를 갖는 내부전극을 구현함으로써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전자부품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전자부품의 내부전극을 주사전자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적층 전자부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전자부품을 설명하되, 특히 적층 인덕터(inductor)로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전자부품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전자부품(100)은 복수의 자성체층(10)을 포함하는 적층 본체(110), 상기 적층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된 코일 형상의 내부전극(120) 및 상기 적층 본체(110)의 외측에 형성된 외부전극(130)을 포함하며, 상기 적층 본체(110)의 외측에 형성된 외부전극(130)은 적층 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전극(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전자부품(100)에 있어서, '길이 방향'은 도 1의 'L' 방향, '폭 방향'은 'W' 방향, '두께 방향'은 'T' 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 적층 본체(110)는 길이 방향(L)의 양 단면, 폭 방향(W)의 양 측면 및 두께 방향(T)의 상, 하면을 갖는 육면체로 형성된다. 두께 방향은 자성체층(10)을 쌓아 올리는 방향 즉, 적층 방향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적층 본체(110)는 복수의 자성체층(10)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복수의 자성체층(10)은 소결된 상태로, 인접하는 자성체층(10)끼리의 경계는 주사전자현미경(SEM)를 이용하지 않고 확인하기 곤란할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을 수 있다.
적층 본체(110)의 형상 및 치수는 본 실시형태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성체층(10)의 두께는 적층 전자부품(100)의 용량 설계에 맞추어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적층 본체(110)를 이루는 자성체층(10)을 형성하는 원료는 금속자성입자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속자성입자는 연자성 합금, 예를 들어 Fe, Si, Cr, Al 및 N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Fe-Si-Cr계 합금일 수 있다.
상기 금속자성입자를 포함하는 적층 전자부품의 경우, 금속자성입자가 포화자화 값이 크기 때문에 높은 DC-bias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금속자성입자를 포함한 적층 전자부품은 페라이트를 소결할 때와 같이 고온에서 소결할 경우 금속자성입자의 과도한 산화로 인해 자성 특성이 열화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페라이트 소결 온도보다 100℃ 내지 200℃ 정도 낮은 온도인 약 700℃ 내지 80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금속자성입자의 표면에 산화막을 형성시킴으로써 높은 자성 특성을 유지시키면서도 금속자성입자 간의 절연성을 확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같이 금속자성입자를 포함한 적층 전자부품의 경우 DC-bias 특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으나, 일반적인 페라이트를 포함한 적층 전자부품에 비하여 저온의 소결온도 조건을 가지기 때문에 적층 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전극(120)이 충분히 소결되지 않아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내부전극(120)을 도전성 금속과 바나듐(V) 산화물을 포함하는 글래스를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보다 낮은 소결온도에서 소결을 촉진하여 우수한 비저항 특성 및 치밀한 미세구조를 갖는 내부전극을 구현하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내부전극(120)은 코일 형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복수의 자성체층(10) 상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도체 패턴(12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도체 패턴(121)은 도전성 금속과 바나듐(V) 산화물을 포함하는 글래스를 포함하는 내부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를 자성체층(10)상에 인쇄 공법 등으로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전성 페이스트의 인쇄 방법은 스크린 인쇄법 또는 그라비아 인쇄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체 패턴(121)이 인쇄된 각 자성체층(10)에는 소정의 위치에 비아(via)가 형성되고, 상기 비아를 통해 각 자성체층(10) 상에 형성된 도체 패턴(121)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코일 형상의 내부전극(120)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전극(120)을 형성하는 도전성 금속은 전기 전도도가 우수한 금속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은(Ag), 팔라듐(Pd), 알루미늄(Al), 니켈(Ni), 티타늄(Ti), 금(Au), 구리(Cu) 또는 백금(Pt) 등의 단독 또는 혼합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내부전극(120)을 비교적 저온에서 소결하여 치밀화하기 위하여 글래스를 사용한다. 상기 글래스는 도전성 페이스트 내에 분산되어 액상화됨으로써 도전성 금속의 이동을 촉진하여 보다 저온에서 소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소결된 내부전극(120) 내부의 공극을 유동성이 좋은 글래스가 채움으로써 소결 밀도를 개선하고 전기적 특성 향상의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바나듐(V) 산화물을 포함하는 글래스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낮은 열처리 온도, 특히, 금속자성입자를 포함하는 적층 전자부품의 경우의 낮은 소결온도 조건에서 내부전극의 소결을 촉진하여 우수한 비저항 특성 및 치밀한 미세구조를 갖는 내부전극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글래스는 바나듐(V) 산화물을 10 mol% 내지 30 mol%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나듐(V) 산화물을 10 mol% 내지 30 mol%를 만족하는 범위에서 첨가함으로써 글래스의 연화 온도(softening temperature)를 저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래스의 연화 온도를 450℃ 내지 600℃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글래스의 연화 온도가 600℃ 이하로 저하됨에 따라 보다 낮은 열처리 온도에서 내부전극의 소결을 촉진할 수 있다.
상기 바나듐(V) 산화물이 10 mol% 미만이거나, 30 mol% 를 초과할 경우 글래스의 연화 온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고, 비저항 특성이 개선되지 않으며, 입정상이 제한되고, 공극(pore)이 존재하는 등 치밀한 미세구조를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글래스는 규소(Si) 산화물 및 붕소(B)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 리튬(Li) 산화물, 칼륨(K) 산화물 및 칼슘(Ca)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 티타늄(Ti) 산화물 및 알루미늄(Al)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글래스는 a(Si, B)-b(Li, K, Ca)-c(V)-d(Ti, Al)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a는 규소(Si) 산화물 및 붕소(B)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의 몰비, b는 리튬(Li) 산화물, 칼륨(K) 산화물 및 칼슘(Ca)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의 몰비, c는 바나듐(V) 산화물의 몰비, d는 티타늄(Ti) 산화물 및 알루미늄(Al)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의 몰비를 의미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a, b, c 및 d 는 a+b+c+d= 100(mol%)을 만족하고, 30(mol%) ≤ a ≤ 60(mol%), 10(mol%) ≤ b ≤ 30(mol%), 10(mol%) ≤ c ≤ 30(mol%) 및 1(mol%) ≤ d ≤ 20(mol%)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각 산화물의 몰비를 만족하는 글래스를 포함함으로써 내부전극(120)의 비저항 특성을 향상시키고, 입성장 및 소결 치밀도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내부전극(120)은 상기 글래스를 0.1 중량% 내지 1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래스가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글래스로 인한 액상 소결 메커니즘의 구현이 어려우며, 공극 채움을 통한 치밀도 향상 등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소결 온도가 상승하며 이로 인해 전기적 특성이 악화되고 신뢰성이 하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글래스가 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글래스가 과량의 액상을 형성하여 도전성 금속의 이동 거리를 증가시키고, 컨텍 포인트(contact point)을 감소시켜 오히려 소결을 방해할 수 있으며, 비전도성 물질인 글래스가 도전성 금속의 입계에 과량 존재하여 내부전극의 전기 전도도를 저하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내부전극의 내부에서 글래스의 뭉침 또는 부유와 같은 부작용에 의해 전극 소결에 기여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내부전극(120)은 상기 도전성 금속에 대한 상기 바나듐(V) 산화물의 중량비가 0.00025 내지 0.00500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를 만족함에 따라 내부전극(120)의 비저항 특성을 향상시키고, 입성장 및 소결 치밀도를 개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전자부품의 내부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내부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내부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도전성 금속 및 글래스를 포함하며, 상기 글래스는 바나듐(V) 산화물을 포함한다.
상기 바나듐(V) 산화물은 규소(Si) 산화물이나 붕소(B) 산화물과 같은 망목 형성 산화물 성분으로써 글래스 형성 능력이 양호하면서도, 망목 구조를 완화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함으로써 글래스의 연화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내부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자성체 시트 상에 인쇄 공법 등으로 도포하여 도체 패턴을 형성하고, 소정의 온도에서 소결하여 내부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도전성 금속과 바나듐(V) 산화물을 포함하는 글래스를 포함함으로써 보다 낮은 소결온도에서 소결을 촉진하여 우수한 비저항 특성 및 치밀한 미세구조를 갖는 내부전극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글래스는 규소(Si) 산화물 및 붕소(B)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 리튬(Li) 산화물, 칼륨(K) 산화물 및 칼슘(Ca)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 티타늄(Ti) 산화물 및 알루미늄(Al)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글래스는 a(Si, B)-b(Li, K, Ca)-c(V)-d(Ti, Al)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a는 규소(Si) 산화물 및 붕소(B)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의 몰비, b는 리튬(Li) 산화물, 칼륨(K) 산화물 및 칼슘(Ca)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의 몰비, c는 바나듐(V) 산화물의 몰비, d는 티타늄(Ti) 산화물 및 알루미늄(Al)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의 몰비를 의미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a, b, c 및 d 는 a+b+c+d= 100(mol%)을 만족하고, 30(mol%) ≤ a ≤ 60(mol%), 10(mol%) ≤ b ≤ 30(mol%), 10(mol%) ≤ c ≤ 30(mol%) 및 1(mol%) ≤ d ≤ 20(mol%)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내부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상기 조성의 글래스를 0.1 중량% 내지 1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래스가 0.1 중량% 내지 1 중량%의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글래스의 액상화로 도전성 금속의 이동을 촉진하여 보다 저온에서 소결이 가능해지며, 소결된 내부전극 내부의 공극을 유동성이 좋은 글래스가 채움으로써 소결 밀도를 개선하고 전기적 특성 향상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내부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상기 도전성 금속에 대한 상기 바나듐(V) 산화물의 중량비가 0.00025 내지 0.00500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를 만족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로 내부전극을 형성함에 따라 내부전극의 비저항 특성을 향상시키고, 입성장 및 소결 치밀도를 개선할 수 있다.
그 외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전자부품의 특징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여기서 생략하도록 한다.
하기 표 1은 글래스의 조성 및 글래스의 첨가량에 따른 내부전극의 비저항 특성과 미세구조를 평가한 결과이다.
평균 입경이 2.5㎛, 1㎛, 0.3㎛인 세 종류의 크기를 갖는 은(Ag) 분말을 적절히 혼합하고, 상기 은(Ag) 분말에 에틸셀룰로오스계 수지, 유기 용제 및 글래스 분말을 소량 첨가하여 혼합하여 도전성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첨가되는 글래스의 조성 및 첨가량은 하기 표 1의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달리하였다.
제조된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스크린 인쇄를 통해 자성체 시트 상에 도체 패턴을 형성하였으며, 소정의 온도(700℃, 750℃, 80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비저항 및 미세구조를 평가하였다.


글래스 조성(mol%) 글래스 첨가량
(중량%)
V산화물/Ag
중량비
특성
a(Si, B)-b(Li, K, Ca)-c(V)-d(Ti, Al) 비저항[Ωcm] 미세구조
a b c d 700℃ 750℃ 800℃
실시예1 48 25 12 15 0.1 0.00027 2.68 2.45 2.36 O
실시예2 48 25 12 15 0.2 0.00055 2.58 2.25 2.34 O
실시예3 48 25 12 15 0.3 0.00082 2.73 2.41 2.36 O
실시예4 48 25 12 15 0.5 0.00136 2.51 2.34 2.44 O
실시예5 48 25 12 15 1.0 0.00274 2.75 2.41 2.66
실시예6 48 25 12 15 1.5 0.00414 3.42 3.26 2.97 X
실시예7 42 21 25 12 0.1 0.00049 2.73 2.38 2.40 O
실시예8 42 21 25 12 0.2 0.00099 2.60 2.29 2.35 O
실시예9 42 21 25 12 0.3 0.00148 2.64 2.31 2.30 O
실시예10 42 21 25 12 0.5 0.00245 2.72 2.35 2.47 O
실시예11 42 21 25 12 1.0 0.00493 2.84 2.52 2.48 O
실시예12 42 21 25 12 1.5 0.00745 3.32 3.08 2.89 X
실시예13 32 16 43 9 0.3 0.00213 3.14 2.97 2.89
실시예14 32 16 43 9 0.5 0.00354 3.36 3.04 2.91
실시예15 32 16 43 9 1.0 0.00712 3.58 3.26 3.14 X
실시예16 53 26 6 15 0.3 0.00049 3.26 3.04 2.90
실시예17 53 26 6 15 0.5 0.00082 3.14 2.97 3.02
실시예18 53 26 6 15 1.0 0.00164 3.44 3.02 3.16 X
비교예1 - - - - - - 3.27 2.92 2.71 X
비교예2 65 25 - 10 0.5 - 3.46 3.35 3.05 X
비교예3 56 28 - 16 0.5 - 3.15 2.92 2.88
<미세구조 평가>
O: 양호(입성장이 일어나며, 치밀한 미세구조를 형성, 글래스 뭉침 또는 부유 없음)
△: 보통(입성장은 일어나지만, 공극이 일부 존재하며, 소량의 글래스 뭉침 또는 부유 있음)
X: :불량(입성장이 억제되고, 공극이 존재하며, 다량의 글래스 뭉침 또는 부유 있음)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6은 48(Si,B)-25(Li,K)-12(V)-15(Ti,Ca,Al)의 조성으로 497℃의 연화 온도를 갖는 글래스를 0.1~1.5 중량% 범위에서 첨가하였다. 글래스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과 비교해보면, 0.1~1.0중량%의 글래스를 첨가한 실시예 1 내지 5는 비저항 특성이 향상되고, 입성장 및 소결 치밀도가 개선되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상기 실시예 2의 조건에 따른 내부전극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성의 글래스를 0.2 중량% 첨가한 경우 약 10㎛ 수준까지 큰 입성장이 일어났으며, 매우 치밀한 미세구조가 구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조성의 글래스를 1.5중량% 첨가한 실시예 6은 과량의 글래스로 인해 비저항이 상승하고, 오히려 입성장이 제한되며, 글래스 뭉침 및 부유가 일어나 미세구조가 악화되었다.
실시예 7 내지 12는 42(Si,B)-21(Li,K)-25(V)-12(Ti,Ca,Al)의 조성으로 556℃의 연화 온도를 갖는 글래스를 0.1~1.5중량% 범위에서 첨가하였다. 실시예 1 내지 6과 유사하게, 상기 글래스를 0.1~1.0중량% 첨가할 경우 비저항 특성이 향상되고, 입성장 및 소결 치밀도가 개선되었으나, 글래스를 1.5중량% 첨가할 경우 비저항이 상승하고, 오히려 미세구조가 악화되었다.
실시예 13 내지 15는 32(Si,B)-16(Li,K)-43(V)-9(Ti,Ca,Al)의 조성으로 630℃의 연화 온도를 갖는 글래스를 0.3~1.0중량% 범위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글래스 조성은 바나듐(V) 산화물의 몰비가 과량을 이루어 비저항이 개선되지 않았으며, 입성장이 제한되고, 공극이 존재하는 등 치밀한 미세구조를 얻지 못하였다.
실시예 16 내지 18은 53(Si,B)-26(Li,K)-6(V)-15(Ti,Ca,Al)의 조성으로 570℃의 연화 온도를 갖는 글래스를 0.3~1.0중량% 범위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글래스 조성은 바나듐(V) 산화물이 너무 소량을 이루어 비저항이 개선되지 않았으며, 입성장이 제한되고, 공극이 존재하는 등 치밀한 미세구조를 얻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 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및 변형이 가능하고 동일하거나 균등한 사상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본 실시예에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본 발명의 범위 내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기재되었지만 청구범위에 기재되지 않은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로서 한정해석되지 아니한다.
100 : 적층 전자부품
10 : 자성체층
110 : 적층 본체
120 : 내부전극
121 : 도체 패턴
130 : 외부전극

Claims (14)

  1. 복수의 자성체층을 포함하는 적층 본체; 및
    상기 적층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내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전극은 도전성 금속 및 글래스를 포함하며, 상기 글래스는 바나듐(V) 산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글래스는,
    규소(Si) 산화물 및 붕소(B)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
    리튬(Li) 산화물, 칼륨(K) 산화물 및 칼슘(Ca)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 및
    티타늄(Ti) 산화물 및 알루미늄(Al)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규소(Si) 산화물 및 붕소(B)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의 몰비를 a, 상기 리튬(Li) 산화물, 칼륨(K) 산화물 및 칼슘(Ca)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의 몰비를 b, 상기 바나듐(V) 산화물의 몰비를 c 및 상기 티타늄(Ti) 산화물 및 알루미늄(Al)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의 몰비를 d 라 하면, 상기 a, b, c 및 d 는
    a+b+c+d= 100(mol%)을 만족하고,
    30(mol%) ≤ a ≤ 60(mol%),
    10(mol%) ≤ b ≤ 30(mol%),
    10(mol%) ≤ c ≤ 30(mol%) 및
    1(mol%) ≤ d ≤ 20(mol%)
    을 만족하며,
    상기 자성체층은 Fe, Si, Cr, Al 및 N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을 포함하는 적층 전자부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전극은 글래스를 0.1 중량% 내지 1 중량% 포함하는 적층 전자부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전극은 상기 도전성 금속에 대한 상기 바나듐(V) 산화물의 중량비가 0.00025 내지 0.00500을 만족하는 적층 전자부품.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금속은 은(Ag), 팔라듐(Pd), 알루미늄(Al), 니켈(Ni), 티타늄(Ti), 금(Au), 구리(Cu) 및 백금(Pt)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적층 전자부품.
  9. 도전성 금속 및 글래스를 포함하며,
    상기 글래스는 바나듐(V) 산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글래스는,
    규소(Si) 산화물 및 붕소(B)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
    리튬(Li) 산화물, 칼륨(K) 산화물 및 칼슘(Ca)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 및
    티타늄(Ti) 산화물 및 알루미늄(Al)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규소(Si) 산화물 및 붕소(B)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의 몰비를 a, 상기 리튬(Li) 산화물, 칼륨(K) 산화물 및 칼슘(Ca)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의 몰비를 b, 상기 바나듐(V) 산화물의 몰비를 c 및 상기 티타늄(Ti) 산화물 및 알루미늄(Al)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의 몰비를 d 라 하면, 상기 a, b, c 및 d 는
    a+b+c+d= 100(mol%)을 만족하고,
    30(mol%) ≤ a ≤ 60(mol%),
    10(mol%) ≤ b ≤ 30(mol%),
    10(mol%) ≤ c ≤ 30(mol%) 및
    1(mol%) ≤ d ≤ 20(mol%)
    을 만족하는 내부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는 0.1 중량% 내지 1 중량% 포함하는 내부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금속에 대한 상기 바나듐(V) 산화물의 중량비는 0.00025 내지 0.00500을 만족하는 내부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금속은 은(Ag), 팔라듐(Pd), 알루미늄(Al), 니켈(Ni), 티타늄(Ti), 금(Au), 구리(Cu) 및 백금(Pt)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내부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KR1020140077156A 2014-06-24 2014-06-24 적층 전자부품 및 내부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KR102004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156A KR102004792B1 (ko) 2014-06-24 2014-06-24 적층 전자부품 및 내부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JP2014182975A JP6234903B2 (ja) 2014-06-24 2014-09-09 積層電子部品及び内部電極用導電性ペースト組成物
US14/485,485 US9576697B2 (en) 2014-06-24 2014-09-12 Multilayer electronic component and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for internal electrode
US15/388,101 US9824791B2 (en) 2014-06-24 2016-12-22 Multilayer electronic component and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for internal electr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156A KR102004792B1 (ko) 2014-06-24 2014-06-24 적층 전자부품 및 내부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63A KR20160000163A (ko) 2016-01-04
KR102004792B1 true KR102004792B1 (ko) 2019-07-29

Family

ID=54870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156A KR102004792B1 (ko) 2014-06-24 2014-06-24 적층 전자부품 및 내부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576697B2 (ko)
JP (1) JP6234903B2 (ko)
KR (1) KR1020047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28673B2 (ja) * 2017-12-15 2021-02-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インダクタ部品及び積層型インダクタ部品の製造方法
JP7156197B2 (ja) * 2019-07-25 2022-10-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部品
JP7226625B2 (ja) * 2021-01-13 2023-02-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インダクタ部品
JP7081697B2 (ja) * 2021-01-13 2022-06-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インダクタ部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2343A (ja) * 2009-03-26 2010-10-14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4022A (ja) * 1992-12-25 1994-07-22 Tdk Corp フェライトペースト組成物および配線基板
JPH07326540A (ja) 1994-05-30 1995-12-12 Tdk Corp 積層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61648B2 (ja) * 2001-10-10 2006-12-20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銅導体ペースト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電子部品
US7083744B2 (en) * 2003-01-24 2006-08-0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erminal electrode compositions for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
JP4650794B2 (ja) * 2005-07-01 2011-03-16 昭栄化学工業株式会社 積層電子部品用導体ペース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電子部品
JP4794929B2 (ja) 2005-07-15 2011-10-19 東光株式会社 大電流用積層型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JP4899422B2 (ja) * 2005-11-02 2012-03-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導電性ペース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US20110076560A1 (en) * 2009-08-28 2011-03-31 Sion Power Corporation Electrochemical cells comprising porous structures comprising sulfur
KR20090108781A (ko) * 2008-04-14 2009-10-19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흑색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차폐용 필터 및 표시 장치
JP5633284B2 (ja) * 2010-01-25 2014-12-03 日立化成株式会社 電極用ペースト組成物および太陽電池
TWI448444B (zh) * 2010-08-11 2014-08-11 Hitachi Ltd A glass composition for an electrode, a paste for an electrode for use, and an electronic component to which the electrode is used
KR20120068622A (ko) * 2010-12-17 2012-06-27 삼성전기주식회사 외부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525643B1 (ko) * 2011-05-20 2015-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세라믹 전자부품
KR101843187B1 (ko) * 2011-07-08 2018-03-29 삼성전기주식회사 자성층 조성물, 적층형 코일 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JP5682548B2 (ja) * 2011-12-14 2015-03-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インダクタ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3099297A1 (ja) * 2011-12-28 2013-07-04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インダクタ
JP5598492B2 (ja) * 2012-03-30 2014-10-01 Tdk株式会社 積層コイル部品
JP6166021B2 (ja) 2012-06-08 2017-07-19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インダクタ
WO2014117409A1 (zh) * 2013-02-04 2014-08-07 深圳首创光伏有限公司 晶体硅太阳能电池正面电极导电浆料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2343A (ja) * 2009-03-26 2010-10-14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63A (ko) 2016-01-04
US9824791B2 (en) 2017-11-21
JP2016009861A (ja) 2016-01-18
US20150371728A1 (en) 2015-12-24
US9576697B2 (en) 2017-02-21
US20170103827A1 (en) 2017-04-13
JP6234903B2 (ja) 201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213B1 (ko) 적층 세라믹 콘덴서
KR101922876B1 (ko)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JP5281090B2 (ja) 積層インダクタ、その製造方法、及び積層チョークコイル
KR100811731B1 (ko) 비자성 Zn 페라이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 적층형 전자부품
US20110291784A1 (en) Electronic component
KR101659248B1 (ko) 인덕터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027033A (ja) 積層型複合電子部品
KR102004792B1 (ko) 적층 전자부품 및 내부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US10937581B2 (en) Hybrid indu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0018482A (ja) フェライ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077245B2 (ja) 抵抗ペースト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KR101367952B1 (ko) 적층형 전자부품용 비자성체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적층형 전자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US7728695B2 (en) Multilayer filter having an inductor portion and a varistor portion stacked with an intermediate portion
KR101408617B1 (ko) 적층형 코일 부품
KR101431954B1 (ko) 코일 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216636A (ja) 複合積層型電子部品
KR102052765B1 (ko) 페라이트 및 이를 적용한 칩 전자부품
JP2004339016A (ja) 非磁性フェライ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電子部品
JP7444146B2 (ja) コイル部品
JP2008289111A (ja) 積層型フィルタ
JP2007201143A (ja) 接合中間層および複合積層型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