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478B1 - 방수 전도성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방수 전도성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478B1
KR102002478B1 KR1020180050628A KR20180050628A KR102002478B1 KR 102002478 B1 KR102002478 B1 KR 102002478B1 KR 1020180050628 A KR1020180050628 A KR 1020180050628A KR 20180050628 A KR20180050628 A KR 20180050628A KR 102002478 B1 KR102002478 B1 KR 102002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polymer
present
met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윤
서정목
최병우
이재홍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50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4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1Yarns or threads with antistatic, conductive or radiation-shiel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D06M11/42Oxides or hydroxides of copper, silver or gol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07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69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or synthetic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core) 섬유상에 고분자 용액을 코팅한 뒤, 코팅된 고분자 층 상에 은 전구체를 흡수 및 환원하는 방법을 통해 은 나노입자를 형성, 전도성 및 표면 거칠기 구조를 형성하고, 금속과의 친화력이 높으며 표면장력이 낮은 화학물질을 기체상으로 표면흡착시켜 전도성 섬유의 물리적 안정성 및 높은 전기전도성은 물론, 물에 대해 젖지않고 세탁이 가능한 방수 전도성 섬유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금속-폴리머 복합체 표면 개질을 통한 방수 전도성 섬유 기술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초적인 구성요소인 인터커넥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회로의 구성 및 장치의 연결을 수행함에 있어, 인터커넥터 자체가 방수역할을 수행하여, 회로의 구성 및 장치의 연결이 추가적인 방수 처리 없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의류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성에 있어서, 방수처리에 대한 추가적인 요구사항을 최소화하며, 섬유의 외형을 해치지 않아 의류형으로 장비를 구성하기에 더욱 유리한 조건을 가진다. 또한, 방수 표면 구현을 위한 표면처리물질의 경우, 금속과의 결합력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물리적인 외력이나, 세탁과 같은 충격에 있어서도 방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있어, 기존의 방수 처리 방법에 비해 큰 장점을 지니며 의류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성을 위한 전도성 섬유의 방수 기술 구현에 있어 큰 가능성을 지닌다.

Description

방수 전도성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aterproof conductive fiber,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wearab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수 전도성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어(core) 섬유 상에 금속-고분자 복합체 형성을 통해 전도성 섬유의 표면을 개질하여 방수 전도성 섬유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물리적 안정성 및 높은 전기전도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물에 젖지 않아 세탁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방수 전도성 섬유로 응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분야의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물인터넷의 플랫폼으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분야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이질감을 느끼지 않고 착용한 상태로 생활 및 기기조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큰 강점을 지니고 있는데, 이러한 강점을 극대화 하기 위해 의류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연구 또한 각광을 받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사용이 가능한 전기적 장치를 이야기하는 것으로, 착용한 상태로 일상 생활이 가능하며 사용자와 장치간의 밀접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세대 기술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전도성 섬유 기술은 섬유소재 자체의 물리적 특성을 보유함과 동시에 전기전도성을 나타내는 소재기술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특성상, 물리적 변형의 범위가 크고, 변형이 많이 반복되기 때문에, 형태변형이 이루어져도 지속적인 전기전도성을 요구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핵심적인 기술로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전도성 섬유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반복된 변형에도 파손되지 않기 위한 물리적 강도, 또한 전기적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전도성이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두 가지 특성 이외에도,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의류의 형태로 개발될 시, 물에 젖게 되어도 고장사고 또는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특성 및 세탁 후에도 청결한 상태로 사용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방수특성을 지닐 필요성이 있다. 현재까지 전도성 섬유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방수 기술은 코팅을 통한 별도의 방수층 형성을 통한 방법과 탄소재료의 다층 코팅방식을 통해 구현되어 왔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법중 코팅층 형성 방법은 별도의 코팅층 형성을 위한 별도의 공정의 필요성, 코팅층이 박리될 시 방수 성능의 소멸로 인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탄소재료의 다층 코팅방식을 통한 방수기술은 탄소재료 자체의 전도성이 약하다는 단점이 존재하며, 방수표면을 위한 반복적인 코팅과정으로 인해 제작과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특히, 전도성 섬유 구현 과정에서 방수표면의 거칠기와 표면장력조건을 동시에 만족시켜, 발수표면을 통한 우수한 방수기술의 구현은 단지 물에 대한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에서 더욱 나아가 젖음(wetting)특성을 극대화하여 수중 담지상태에서도 물에 젖지 않는 특성을 보여줄 수 있어, 전도성 섬유의 방수기술에 대해서 필수적인 기술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코어 섬유 상에 금속-고분자 복합체 형성을 통해 전도성 섬유의 표면을 개질하여 방수 전도성 섬유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물리적 안정성 및 높은 전기전도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물에 젖지 않아 세탁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방수 전도성 섬유로 응용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 공보 제10-2015-0130598호 특허문헌 2. 한국 공개특허 공보 제10-2017-00233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어 섬유 상에 금속-고분자 복합체 형성을 통해 전도성 섬유의 표면을 개질하여 방수 전도성 섬유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물리적 안정성 및 높은 전기전도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물에 젖지 않아 세탁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방수 전도성 섬유로 응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코어 섬유, 상기 코어 섬유 상에 형성된 고분자 층, 상기 고분자 층 상에 형성된 금속 클러스터, 및 상기 금속 클러스터가 형성된 고분자 층 상에 형성된 소수성 표면층을 포함하는 방수 전도성 섬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전도성 섬유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a) 코어 섬유 상에 고분자 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고분자 층 상에 금속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금속 클러스터가 형성된 고분자 층 상에 소수성 표면처리 물질을 기상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 전도성 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 섬유 상에 금속-고분자 복합체 형성을 통해 전도성 섬유의 표면을 개질하여 방수 전도성 섬유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물리적 안정성 및 높은 전기전도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물에 젖지 않아 세탁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방수 전도성 섬유로 응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로부터 제조된 섬유의 물에 대한 표면 소수성 확인 실험 이미지이다[(a) 비교예 1, (b)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방수 전도성 섬유 단면에 대한 에너지분산형 분광분석(EDS)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제조과정에서, 은 전구체 흡수/환원 과정이 반복됨에 따른 전기저항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비교예 3 원자간력 현미경(AFM)을 통한 표면 거칠기 (a, b) 이미지 및 (c) 그래프이다[(a) 비교예 3, (b) 실시예 2, (c) 비교예 3 및 실시예 2 비교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a) 물 및 (b) pH 3의 산성용액 내에 담지 후 전기저항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물에 6 시간 동안 담지 후의 X-선 회절분석(XRD) 결과 그래프이다[(a) 비교예 1, (b) 실시예 1].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상용 직물상에 바느질 한 뒤, 이를 세탁기를 이용하여 30 분간 세탁 후 자연건조 이후의 (a) 이미지 및 (b) 전기 저항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코어 섬유, 상기 코어 섬유 상에 형성된 고분자 층, 상기 고분자 층 상에 형성된 금속 클러스터, 및 상기 금속 클러스터가 형성된 고분자 층 상에 형성된 소수성 표면층을 포함하는 방수 전도성 섬유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섬유 상 방수층 형성 기술은 별도의 방수층 형성, 방수 재료를 통한 장비의 구성, 코팅액 도포를 통한 방수 성질의 부여와 같은 방법을 취하고 있다. 전도성 섬유의 경우, 별도의 방수층 형성을 통해 개발이 이루어질 경우 섬유의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얇고 긴 형태의 섬유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을 있다. 또한 내재적으로 방수 성질을 가진 재료를 통해 장비를 구성할 경우, 방수 안정성은 높으나, 금속의 산화되는 성질로 인해 높은 전도성을 가진 금속재료의 사용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코팅액 도포의 경우, 장비와 코팅액 사이의 친화력/결합력에 따라 코팅 유지기간이 유동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으며, 지속적인 사용을 위해 코팅액의 도포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방수 전도성 섬유 제조과정에서 표면 거칠기 구조를 형성하여 발수성 표면을 구성하였고, 금속과의 친화력이 매우 높고 표면장력이 낮은 물질을 표면처리하여 소수성 표면성질을 극대화하였다. 전도성 섬유의 전도성은 금속 나노입자로 인하여 발현되는데, 전도성 섬유 표면상의 금속 나노입자는 수십개의 금속 나노입자가 뭉쳐진(cluster) 형태로 발현되기 때문에 표면 거칠기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표면처리 물질은 싸이올(thiol, SH)계 분자, 실란(silane, SiHx)계 분자 및 아민(amine, NHx)계 분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분자는 표면과의 강한 친화력을 통해 표면에 강하게 흡착된다. 따라서 표면 처리과정은 금속과 표면처리 물질간의 높은 친화력으로 인해 표면처리가 손쉽게 이루어지며, 표면의 방수 성질 역시 쉽게 상실되지 않는다. 이러한 금속-고분자 복합체 기반의 전도성 섬유를 위한 방수 코팅기술은 금속-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전도성 섬유의 높은 전도성과 동시에 방수표면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초발수표면을 나타낼 정도로 방수 성능이 우수하고, 표면 처리과정이 간단하며, 처리된 표면 특성이 쉽게 손실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수 전도성 섬유의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저를 구성하는 인터커넥터 소재로서 이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회로구조 및 연결을 구성함에 있어서 물리적 안정성, 높은 전기전도성과 동시에 방수 특성을 보유할 수 있으므로, 세탁이 가능한 의류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초 소재기술로서 응용이 가능하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는 부타디엔, 우레탄, 및 에스터계 고분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부타디엔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클러스터는 은 클러스터를 포함할 수 있고, 특히 은 클러스터를 사용할 경우 다른 종류의 금속 클러스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표면 거칠기가 현저히 높게 나타나 발수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소수성 표면층은 싸이올계 분자, 실란계 분자 및 아민계 분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싸이올계 분자, 실란계 분자 및 아민계 분자는 금속 표면과의 강한 친화력을 통해 자가조립단층을 형성할 수 있어, 반복적이고 물리적인 외력이나, 세탁과 같은 충격에 있어서도 방수 성질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싸이올계 분자는 2,2,2-트라이플루오르에탄싸이올, 1H,1H,2H,2H-퍼플루오르옥탄싸이올, 1H,1H,2H,2H-퍼플루오르데칸싸이올과 같은 싸이올 작용기를 가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란계 분자는 헵타데카플루오르-1,1,2,2-테트라하이드로데실트리클로로실레인, 트리데카플루오르-1,1,2,2-테트라하이드로옥틸트리클로로실레인, 트리클로로(1H,1H,2H,2H-플루오르옥틸)실레인, 1H,1H,2H,2H-퍼플오르옥틸트리에톡시실레인과 같이 실레인기를 가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아민계 분자는 펜타데카플루오르트라이에틸아민, 퍼플루오르트라이펜틸아민과 같이 아민기를 가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1H,1H,2H,2H-퍼플루오르데칸싸이올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하기 실시예 또는 비교예 등에는 명시적으로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전도성 섬유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고분자에 대하여 금속 클러스터의 종류, 소수성 표면층 물질의 종류가 변화된 방수 전도성 섬유의 300 회 비틀림 강도를 측정한 후 외부 표면 거칠기 변화 및 금속 클러스터의 유실여부를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ⅰ) 고분자는 부타디엔이고, (ⅱ) 금속 클러스터는 은 클러스터이며, (ⅳ) 소수성 표면층은 1H,1H,2H,2H-퍼플루오르데칸싸이올인 조건을 모두 만족하였을 때 300 회 비틀림 강도 측정 후에도 섬유가 전혀 파괴되지 않았고, 초기 외부 표면의 거칠기가 변화없이 상당히 매끄러웠을 뿐만 아니라, 금속 클러스터의 유실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다만, 상기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300 회 이상 비틀림 강도 측정에 따른 섬유의 파괴가 일어나고, 외부 표면에 상당한 거칠기 변화 및 금속 클러스터의 유실이 현저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전도성 섬유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a) 코어 섬유 상에 고분자 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고분자 층 상에 금속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금속 클러스터가 형성된 고분자 층 상에 소수성 표면처리 물질을 기상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 전도성 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환원제는 하이드라진하이드레이트(N2H4), 옥살산(C2H2O4) 및 포름산(HCOOH)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라진하이드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상기 코어 섬유 상에 상기 고분자 용액을 코팅하여 수행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고분자 층 상에 상기 금속 전구체를 흡수시킨 후 환원제로 환원시켜 수행되고, 상기 (c) 단계는 6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 ℃,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 ℃에서 1 내지 10 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특히, 하기 실시예 또는 비교예 등에는 명시적으로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전도성 섬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고분자에 대하여 금속 클러스터의 종류, 소수성 표면처리 물질의 종류, 환원제의 종류, 상기 (a) 단계, (b) 단계 및 (c) 단계의 수행 조건을 달리하여 제조된 방수 전도성 섬유의 300 회 압축하중을 측정한 후 섬유 단면의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ⅰ) 고분자는 부타디엔이고, (ⅱ) 금속 클러스터는 은 클러스터이며, (ⅲ) 환원제는 하이드라진하이드레이트이며, (ⅳ) 소수성 표면처리 물질은 1H,1H,2H,2H-퍼플루오르데칸싸이올이며, (ⅴ) (a) 단계는 코어 섬유 상에 고분자 용액을 코팅하여 수행되며, (ⅵ) (b) 단계는 상기 고분자 층 상에 금속 전구체를 흡수시킨 후 환원제로 환원시켜 수행되며, (ⅶ) (c) 단계는 60 내지 100 ℃에서 1 내지 10 시간 동안 수행되는 조건이 모두 만족하였을 때 300 회 압축하중 측정 후에도 섬유가 전혀 파괴되지 않았고, 금속 클러스터의 응집이 전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상기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300 회 압축하중 측정에 따름 섬유의 파괴가 일어날 뿐만 아니라, 금속 클러스터의 응집이 현저히 발생하여 섬유의 방수성이 현저히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및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방수 전도성 섬유의 제조
상용 섬유상에 부타디엔(butadiene) 고분자 용액을 코팅한 뒤, 은 전구체 용액을 통해 은 전구체 흡수시킨 후 하이드라진하이드레이트(hydrazine hydrate) 환원제를 이용하여 은 나노입자를 환원하고, 이후 섬유 표면상에 1H,1H,2H,2H-퍼플루오르데칸싸이올을 섭씨 80도의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기상 증착하여 소수성 표면을 구현한, 방수 전도성 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방수 전도성 섬유를 포함하는 직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방수 전도성 섬유를 직조기를 이용해 1/1 직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1H,1H,2H,2H-퍼플루오르데칸싸이올이 처리되지 않고 방수 전도성 섬유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로부터 제조된 전도성 섬유를 직조기를 이용해 1/1 직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용 섬유상에 부타디엔 고분자 용액을 코팅한 뒤 이를 직조기를 이용해 1/1 직물로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물 표면에서의 표면 소수성 실험
실시예 1 및 비교예 1로부터 제조된 섬유의 물에 대한 표면 소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물 표면에 섬유를 담그는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a) 비교예 1, (b) 실시예 1].
물 표면에서 섬유가 물을 밀어내는 현상을 통해 육안으로 소수성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실험으로서, 실시예 1의 경우 물 표면을 밀어내며 섬유가 물속으로 담지되지 않아 표면이 소수성으로 구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의 경우 아무런 저항력 없이 물속으로 담지되어 섬유 표면이 친수성에 가까움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EDS분석
실시예 1의 단면을 EDS(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와 같이, 실시예 1 표면의 부타디엔 고분자 코팅 부분에 은 나노입자가 전체적으로 분포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표면상에 불화 탄소(C-F. fluorocarbon) 화합물이 흡착함으로써 조밀한 불소 분포를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 은 전구체 흡수/환원에 따른 전기저항 변화
실시예 1의 제조과정에서, 은 전구체 흡수/환원 과정이 반복됨에 따른 전기저항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은 전구체가 전도성 섬유 내에 흡수되고 환원되어 은 나노입자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기전도체의 비율이 높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전기 저항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 AFM 분석
실시예 2와 비교예 3의 표면을 AFM(atomic force microscope)로 분석하여, 표면의 거칠기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이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a) 비교예 3, (b) 실시예 2, (c) 비교예 3 및 실시예 2 비교그래프].
비교예 3의 경우, 고분자 용액의 비정형 특성상 불규칙적인 표면을 형성하고, 이로인해 거칠기 정도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의 경우, 비교예 3의 거칠기에 더불어, 은 나노입자의 구현으로 인해 더욱 높은 거칠기 정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a) 비교예 3, (b) 실시예 1].
시험예 5 : 수중 담지 이후의 전기저항 변화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a) 물 및 (b) pH 3의 산성용액 내에 담지 후 전기저항 변화를 확인하고, 이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의 경우, 소수성 표면으로 인해 물과의 접촉이 방지되고 이로 인해 전기저항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의 경우 물과 접촉하여 은 나노입자가 빠르게 산화되고, 이로인해 전기 저항이 증가되는 열화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6 : 수중 담지 이후의 XRD 분석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물에 6시간 동안 담지 후, XRD(X-ray diffraction)으로 분석하고, 이를 도 6에 나타내었다[(a) 비교예 1, (b) 실시예 1].
실시예 1의 경우, 소수성 표면으로 인해 물과의 접촉이 차단되어 산화은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의 경우, 물과 접촉하여 은 나노입자가 산화되어 산화은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7 : 빨래 시행 이후 전기 저항 변화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상용 직물상에 바느질한 뒤, 이를 세탁기를 이용하여 30 분간 세탁 후 자연건조 이후의 전기 저항을 확인하였고, 이를 도 7에 나타내었다[(a) 실시예 1의 세탁전과 후, (b) 자연건조 이후의 전기 저항].
실시예 1의 경우 세탁 과정 이후 전기 저항 변화가 매우 적음을 확인할 수 있으나, 비교예 1의 경우 세탁 과정에서 큰 파손이 일어나게 되고 이로인해 전기저항이 큰 폭으로 상승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 섬유 상에 금속-고분자 복합체 형성을 통해 전도성 섬유의 표면을 개질하여 방수 전도성 섬유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물리적 안정성 및 높은 전기전도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물에 젖지 않아 세탁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방수 전도성 섬유로 응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코어 섬유,
    상기 코어 섬유 상에 형성된 고분자 층,
    상기 고분자 층 상에 형성된 금속 클러스터, 및
    상기 금속 클러스터가 형성된 고분자 층 상에 형성된 소수성 표면층을 포함하는 방수 전도성 섬유로서,
    상기 소수성 표면층은 싸이올계 분자, 실란계 분자 및 아민계 분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전도성 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부타디엔, 우레탄, 및 에스터계 고분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전도성 섬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클러스터는 은 클러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전도성 섬유.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부타디엔이고,
    상기 금속 클러스터는 은 클러스터이며,
    상기 소수성 표면층은 1H,1H,2H,2H-퍼플루오르데칸싸이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전도성 섬유.
  6.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수 전도성 섬유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7. (a) 코어 섬유 상에 고분자 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고분자 층 상에 금속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금속 클러스터가 형성된 고분자 층 상에 소수성 표면처리 물질을 기상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 전도성 섬유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소수성 표면처리 물질은 싸이올계 분자, 실란계 분자 및 아민계 분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전도성 섬유의 제조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코어 섬유 상에 상기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용액을 코팅하여 수행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고분자 층 상에 상기 금속 클러스터의 전구체를 흡수시킨 후 환원제로 환원시켜 수행되며,
    상기 (c) 단계는 60 내지 100 ℃에서 1 내지 10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전도성 섬유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코어 섬유 상에 상기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용액을 코팅하여 수행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고분자 층 상에 상기 금속 클러스터의 전구체를 흡수시킨 후 환원제로 환원시켜 수행되며,
    상기 (c) 단계는 60 내지 100 ℃에서 1 내지 10 시간 동안 수행되며,
    상기 고분자는 부타디엔이고,
    상기 금속 클러스터는 은 클러스터이며,
    상기 환원제는 하이드라진하이드레이트이며,
    상기 소수성 표면처리 물질은 1H,1H,2H,2H-퍼플루오르데칸싸이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전도성 섬유의 제조방법.
KR1020180050628A 2018-05-02 2018-05-02 방수 전도성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002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628A KR102002478B1 (ko) 2018-05-02 2018-05-02 방수 전도성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628A KR102002478B1 (ko) 2018-05-02 2018-05-02 방수 전도성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2478B1 true KR102002478B1 (ko) 2019-07-23

Family

ID=67439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628A KR102002478B1 (ko) 2018-05-02 2018-05-02 방수 전도성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4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0598A (ko) 2014-05-13 2015-11-24 한국과학기술원 코어〔Core, 고분자〕­쉘〔Shell, 금속박막〕 구조를 갖는 전도성 극세사 나노섬유와 전도성 일반사가 서로 꼬여서 만들어진 전도성 트위스트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53759A (ko) * 2015-06-29 2016-05-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도성 나노섬유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전도성 나노섬유 기반 압력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7008428A (ja) * 2015-06-18 2017-01-12 ナガセケムテックス株式会社 導電性組成物
KR20170023394A (ko) 2015-08-21 2017-03-0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웨어러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웨어러블 스마트 장치
JP2018032529A (ja) * 2016-08-24 2018-03-01 グンゼ株式会社 導電性生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0598A (ko) 2014-05-13 2015-11-24 한국과학기술원 코어〔Core, 고분자〕­쉘〔Shell, 금속박막〕 구조를 갖는 전도성 극세사 나노섬유와 전도성 일반사가 서로 꼬여서 만들어진 전도성 트위스트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JP2017008428A (ja) * 2015-06-18 2017-01-12 ナガセケムテックス株式会社 導電性組成物
KR20160053759A (ko) * 2015-06-29 2016-05-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도성 나노섬유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전도성 나노섬유 기반 압력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23394A (ko) 2015-08-21 2017-03-0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웨어러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웨어러블 스마트 장치
JP2018032529A (ja) * 2016-08-24 2018-03-01 グンゼ株式会社 導電性生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Flexible and multifunctional silk textiles with biomimetic leaf‐like MXene/silver nanowire nanostructures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humidity monitoring, and self‐derived hydrophobicity
Wang et al. MXene-coated conductive composite film with ultrathin, flexible, self-cleaning for high-performanc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Li et al. Durable, highly electrically conductive cotton fabrics with healable superamphiphobicity
Li et al. Stable superhydrophobic coatings from thiol-ligand nanocrystals and their application in oil/water separation
Liu et al. Multifunctional superamphiphobic fabrics with asymmetric wettability for one-way fluid transport and templated patterning
Guo et al. Fabrication of robust, superhydrophobic, electrically conductive and UV-blocking fabrics via layer-by-layer assembly of carbon nanotubes
Zou et al. The optimization of nanocomposite coating with polyaniline coated carbon nanotubes on fabrics for exceptional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Samanta et al. Conductive textiles prepared by spray coating of water-based graphene dispersions
KR20140099541A (ko) 향상된 전도도를 갖는 복합재를 위한 탄소 섬유
JP3845823B2 (ja) 天然繊維に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被覆する方法
KR20120047261A (ko) 신축성 전극의 제조 방법
He et al. Fabric-based superhydrophobic MXene@ polypyrrole heater with superior dual-driving energy conversion
YoungáLim Fabrication of a stretchabl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silver nanoparticle/elastomeric polymer composite
Wang et al. Tuning lightweight, flexible, self-cleaning bio-inspired core–shell structure of nanofiber films for high-performanc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KR102002478B1 (ko) 방수 전도성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Liu et al. Electrical energy generation via reversible chemical doping on carbon nanotube fibers
Kuzumaki et al. Nanoscale mechanics of carbon nanotube evaluated by nanoprobe manipulation i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Liu et al. The synergetic modification of surface micro-dissolution and cationization for fabricating cotton fabrics with high UV resistance and conductivity by enriched GO coating
Zou et al. Low-temperature treated polypyrrole coated cotton fabrics for efficient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Li et al. Design of abrasion resistant super-antiwetting nylon surfaces
JP2008169402A (ja) 電気化学的反応方法
Pulikollu et al. Nanoscale coatings for control of interfacial bonds and nanotube growth
US11393608B2 (en) Fabric material-based flexible electro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arafpour et al. Copper functionalization of polypropylene fabric surface in order to use in fog collectors
CN113201934B (zh) 一种水性超疏水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