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949B1 - A method for manufacturing customized shoes - Google Patents

A method for manufacturing customized sho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949B1
KR102001949B1 KR1020180127351A KR20180127351A KR102001949B1 KR 102001949 B1 KR102001949 B1 KR 102001949B1 KR 1020180127351 A KR1020180127351 A KR 1020180127351A KR 20180127351 A KR20180127351 A KR 20180127351A KR 102001949 B1 KR102001949 B1 KR 102001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user
foot
shoes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3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성표
류원호
심재륜
Original Assignee
삼덕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덕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덕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7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9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9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2Producing footwear made in one piece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or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18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filamentary material being melted, e.g. fused deposition modelling [FD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customized shoes, which is capable of providing a user with an optimal shoe wearing state.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customized shoes using a first device including a casing, a first pocket which is embedded in the casing and has air or gel filled therein, and a second pocket which is attached to and embedded in a surface of the first pocke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oot of the user and has a magnetorheological fluid filled therein, and a second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device to mold shoes, comprises: a step (a) of putting the foot of the user into the first pocket and expanding the first pocket to simulate a three-dimensional foot shape; a step (b) of applying a current to the second pocket, thereby adjusting viscosity of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to simulate a plurality of shoe wearing states and allow the user to select an optimal shoe wearing state; and a step (c) of manufacturing the shoes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foot shape simulated in the step (a) and the optimal shoe wearing state selected in the step (b).

Description

맞춤형 신발의 제조방법{A METHOD FOR MANUFACTURING CUSTOMIZED SHOES}METHOD FOR MANUFACTURING CUSTOMIZED SHOES [0002]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에 최적화된 맞춤형 신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king a customized shoe that is optimized for the user's feet.

일반적으로 기성 제품의 신발은 대량생산을 통해 일괄적인 모양으로 제조된다. 이런 기성 제품은 매장에 진열되어 사용자가 색상 및 디자인을 선택한 후 신발 사이즈를 기준으로 착용하여 발에 맞는 신발을 구매하거나, 온라인 상에서 사이즈와 디자인을 보고 선택하여 구매하는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다.In general, shoes of ready-made products are manufactured in bulk shape through mass production. These off-the-shelf products are offered in a way that the user selects the color and design, then purchases the shoe according to the shoe size, or selects and purchases the size and design online.

그러나, 사람의 발 형상은 개개인마다 다른 형태를 띠고 있어 신발을 선택할 때 단순히 발의 치수만이 고려대상이 될 수 없으며, 좌우 발 치수, 발등의 두께, 발볼의 넓이, 개개인의 착용감 기호도가 달라 기성 제품으로는 모든 사용자들을 만족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발의 외형적인 크기, 예를 들어, 발 직선거리, 발볼 거리, 발꿈치 너비, 발 볼 둘레 등으로 인한 신발의 형상뿐만 아니라 발의 건강 상태나 운동 등에 필요한 경우에 따른 최적화된 신발이 요구된다.However, since the foot shape of a person has a different shape from one to another, only the foot dimensions can no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selecting the shoes, and the dimensions of the left and right foot, the thickness of the foot, the width of the foot, It is impossible to satisfy all the users. In addition, it is required that the footwear is optimized in terms of foot size, for example, foot straight line distance, foot ball distance, heel width, foot ball circumference, etc., as well as foot health condition and exercise.

특히, 족저근막염, 관절염, 순환장애, 중족골통증, 무릎 통증, 아킬레스건염 등의 발 관련 질환이 있는 사용자의 경우 기성 제품의 신발을 착용하는 경우 발의 질환이 심각해질 우려가 있고 합병증 등의 기타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발 질환을 가진 사용자는 맞춤형 신발을 착용함으로써 발 질환의 악화예방 및 기타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신발은 사용자가 착용하고 걸을 때의 체중으로부터 올 수 있는 충격을 기성 제품보다 양호하게 분산시키거나, 격렬한 운동 중에 발걸음을 내딛거나 발이 회전될 때 부상당하기 용이한 발, 발목, 다리, 무릎, 등 등에 대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users who have foot related diseases such as plantar fasciitis, arthritis, circulatory disorder, metatagic pain, knee pain, achilles tendinitis, etc., wearing footwear of a ready-made product may cause serious foot diseases and lead to other diseases such as complications . Users with these foot diseases can prevent the worsening of foot disease and other injuries by wearing customized shoes. For example, a customized shoe can be used to better disperse the impact that a user may have from his or her weight when walking, better than a ready-to-wear product, to take a step during intense exercise, or to be easily injured when the foot is rotated. , A knee,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다만, 일반 사용자가 맞춤형 신발을 맞추기 위해서는 신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정밀한 치수 측정 및 족형을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작업으로 맞춤형 신발을 제조하는 경우 가격적인 면에서도 부담될 뿐만 아니라 제조 기간도 길어 일반 사용자가 불편함을 겪을 수 있고 빠른 제조 및 착용이 어려울 수 있다.However, when customized shoes are tailored by the general user, the customized shoes are manufactured manually by measuring the precise dimension measurement and foot type by measuring with the shoe experts, and it is not only costly but also has a long manufacturing period, May be inconvenient and may be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wear quickly.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발을 스캐닝하여 가상 착화상태로 제시하고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데이터화하고,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신발을 제조하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3D 스캐너를 이용한 가상 착화상태의 구현은 착화감, 쿠션감 등의 실제적인 착화상태의 구현이 불가능하여 사용자에게 완벽하게 만족시키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has been proposed in which shoes are manufactured using a 3D printer based on data obtained by scanning a foot using a 3D scanner and presenting it in a virtual ignition state, information required by a user, Implementation of the virtual ignition state using the 3D scanner may not be able to realize the actual ignition state such as the sense of grip and cushion feeling, and it may be difficult to satisfy the user completely.

한편, 3D 프린터는 설계 데이터를 바탕으로 액체, 파우더 형태의 수지, 금속 분말, 고체 등과 같은 재료를 가공 및 적층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장비이며, 3D 프린터 기술은 재료에 따라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3D printer is a device that manufactures products by processing and laminating materials such as liquid and powder type resin, metal powder, and solid based on design data. 3D printer technology is classified into FDM (Fused Deposition Modeling) SLS (Selective Laser Sintering), SLA (Stereo Lithography Apparatus).

FDM 방식은 필라멘트 형태의 열가소성 재료를 노즐 내에서 녹여 얇은 필름 형태로 출력하는 것이고, SLS 방식은 분말에 선택적으로 레이저 또는 접착제를 조사하여 제품을 출력하는 것이며, SLA 방식은 광경화성 재료에 레이저 광선을 주사하여 제품을 출력하는 방식이다. 이들 중 FDM 방식이 다른 방식에 비해 생산 단가가 저렴하고, 소형화 적용에 용이하여 상업용에서 가정용까지 적용 범위가 확대되면서 3D 프린터가 대중화되는 추세이다.In the FDM method, a filament-type thermoplastic material is melted in a nozzle to output in the form of a thin film. In the SLS method, a product is output by selectively irradiating a laser with a laser or an adhesive. In the SLA method, And the product is outputted by scanning. Among these, the 3D printers are becoming more popular because of the lower production cost and easier application of the miniaturization than the other methods.

따라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사용 목적, 및 다양한 기호도를 만족시킬 수 있는 맞춤형 신발의 제조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development of customized footwear manufacturing technology that can satisfy the user's health condition, purpose of use, and various preferences.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최적의 착화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맞춤형 신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ustomized shoe capable of providing an optimal ignition state to a user.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내장된 에어 또는 겔이 충진된 제 1 포켓, 및 상기 제1 포켓 중 사용자의 발과 접촉하는 면에 부착 및 내장된 자기유변유체가 충진된 제2 포켓을 포함하는 제1 장치 및 상기 제1 장치와 연결되어 신발을 성형하는 제2 장치를 이용한 맞춤형 신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포켓에 사용자의 발을 넣고 상기 제1 포켓을 팽창시켜 3D(3-dimensional) 족형을 모사하는 단계; (b) 상기 제2 포켓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자기유변유체의 점성을 조절하여 복수의 착화상태를 모사하고 사용자가 최적의 착화상태를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a) 단계에서 모사된 3차원 족형 및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된 최적의 착화상태에 기초하여 신발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맞춤형 신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uch comprising a casing, a first pocket filled with air or gel contained in the casing, and a second pocket filled with a magnetorheological fluid attached and embedded in a surface of the first pocke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ustomized shoe using a first device including a first device and a second device coupled to the first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placing a user's foot in the first pocket, To simulate a 3D (3-dimensional) footprint; (b) applying a current to the second pocket to adjust viscosity of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to simulate a plurality of ignition states and to select an optimal ignition state by the user; (c) fabricating shoes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footprint simulated in the step (a) and the optimal ignition state selected in the step (b).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사용자가 신발의 부재별 디자인, 형태, 색상 및 소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선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step (b), the user may further select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design, shape, color, and material of each sho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는 3D 프린터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device may be a 3D print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D 프린터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3D printer may be driven by a 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schem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3D(3-dimensional) 족형을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을 통해 모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step (a), the 3D (3-dimensional) pattern may be simulated through an augmented reality or a virtual real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발의 제조방법은 에어 또는 겔이 충진되어 있는 제1 포켓 및 자기유변유체가 충진된 제2 포켓을 포함하는 케이싱 내에 사용자의 발을 넣어 족형 및 최적의 착화상태를 모사하여 맞춤형 신발을 제조함으로써, 사용자 개개인에 알맞은 맞춤형 신발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구매욕구 및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customized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lacing a user's foot in a casing including a first pocket filled with air or gel and a second pocket filled with a magnetorheological flui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stomized shoe suitable for each user,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esire for purchase and satisfaction of the user.

또한, 사용자의 발이 상기 제2 포켓과 직접 접촉하고, 제2 포켓에 충진된 자기유변유체의 점성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쿠션감, 밀착감 등의 세밀한 착용감을 구체적으로 모사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최적의 착화상태의 신발을 제공할 수 있어 착화감 및 만족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feet of the user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econd pocket and the viscosity of the magnetorheic fluid filled in the second pocket is controlled, the detailed fit of the user, such as cushion feeling and tightness, can be specifically simulated, The shoe in the ignited state can be provided, thereby maximizing the gripping feeling and satisfaction.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but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or th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set forth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장치의 단면을 도식화한 것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내장된 에어 또는 겔이 충진된 제 1 포켓, 및 상기 제1 포켓 중 사용자의 발과 접촉하는 면에 부착 및 내장된 자기유변유체가 충진된 제2 포켓을 포함하는 제1 장치 및 상기 제1 장치와 연결되어 신발을 성형하는 제2 장치를 이용한 맞춤형 신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포켓에 사용자의 발을 넣고 상기 제1 포켓을 팽창시켜 3D(3-dimensional) 족형을 모사하는 단계; (b) 상기 제2 포켓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자기유변유체의 점성을 조절하여 복수의 착화상태를 모사하고 사용자가 최적의 착화상태를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a) 단계에서 모사된 3차원 족형 및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된 최적의 착화상태에 기초하여 신발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맞춤형 신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uch comprising a casing, a first pocket filled with air or gel contained in the casing, and a second pocket filled with a magnetorheological fluid attached and embedded in a surface of the first pocke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ustomized shoe using a first device including a first device and a second device coupled to the first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placing a user's foot in the first pocket, To simulate a 3D (3-dimensional) footprint; (b) applying a current to the second pocket to adjust viscosity of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to simulate a plurality of ignition states and to select an optimal ignition state by the user; (c) fabricating shoes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footprint simulated in the step (a) and the optimal ignition state selected in the step (b).

일반적으로 신발은 기성 제품의 형태로 제공되나, 사용자의 발의 형태가 개인별로 차이가 있고, 발의 건강 상태나 운동 종목에 따라 신발이 갖춰야할 요소가 상이하다. 이에 따라, 기능적으로 구별되는 맞춤형 신발을 제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데, 사용자의 발의 형태, 즉, 족형을 모사하여 데이터화하는 작업은 종래 3D 스캐닝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shoes are provided in the form of ready-made products, but the shapes of the users' feet vary from person to person. Accordingly, a functionally distinguishable customized shoe can be manufactured and provided to a user. Conventionally, a 3D scanning technique is used for an operation of simulating a foot shape of a user, that is, a foot shape.

다만, 상기 3D 스캐닝은 비접촉식으로 족형의 데이터를 모사하기 때문에 그 정보가 부정확할 수 있고, 밀착감, 착화감 등의 신발과 접촉할 시 인지할 수 있는 정밀하고 세밀한 착화감을 모사하기 어려울 수 있다.However, since the 3D scanning simulates the footprint data in a noncontact manner, the information may be inaccurate and it may be difficult to simulate a precise and fine gripping feeling that can be recognized when touching shoes such as a feeling of closeness or a grip.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장치의 단면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맞춤형 신발의 제조방법은,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에 내장된 에어 또는 겔이 충진된 제1 포켓(100) 및 상기 제1 포켓 중 사용자의 발과 접촉하는 면에 부착 및 내장된 자기유변유체가 충진된 제2 포켓(200)을 포함하는 제1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치와 연결되어 신발을 성형하는 제2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장치는 상기 제1 포켓 중 사용자의 발과 접촉하는 면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센서(300)을 포함할 수 있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ustomized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ocket 100 filled with a casing and air or gel built in the casing, and a second pocket 100 attached to a surface of the first pocket, And a second device including a second pocket (200) filled with an embedded magnetorheological fluid, wherein the second device is connected to the first device to shape the shoe. In addition, the first device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300) attached to a surface of the first pocke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feet.

상기 케이싱은 상기 제1 포켓 및 제2 포켓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족형을 모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에서 사용자의 발을 상기 케이싱에 포함된 제1 포켓 내에 넣고, 에어 또는 겔이 충진되어 있는 제1 포켓을 팽창시켜 상기 제1 포켓의 일 면이 사용자의 발에 접촉하도록 한 다음,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 획득한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3차원(3-dimensional) 족형을 모사할 수 있다. 상기 제1 포켓은 사용자의 발을 감싸는 형태이므로 보다 사용자의 족형을 정밀하게 모사할 수 있다.The casing may include a first pocket and a second pocket to simulate a footprint of a user. Specifically, in step (a), the user's feet are placed in a first pocket included in the casing, and a first pocket filled with air or gel is inflated so that one side of the first pocket contacts the feet of the user And then, a three-dimensional (3D) footprint can be simulated using an electrical signal obtained from the sensor. Since the first pocket covers the feet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ecisely simulate the footprint of the user.

또한, 상기 3차원(3-dimensional) 족형을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을 통해 모사할 수 있다. 상기 제1 포켓에 의해 정보화된 3차원 족형은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을 통해 이미지화되어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가상현실을 통한 모사는 가상세계에 이미지화된 가상 물체, 즉, 가상 신발을 이미지화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증강현실을 통한 모사는 현실세계에 가상 신발의 이미지가 오버랩되어 역시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눈 앞에서 실제 제품을 확인할 수 있는 현실감 및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 the 3-dimensional (3D) foot pattern can be simulated through an augmented reality or a virtual reality. The three-dimensional footprint informed by the first pocket can be imaged through an augmented reality or a virtual reality and visually confirmed by the user. The simulation through the virtual reality can visualize the virtual object imaged in the virtual world, that is, the virtual shoe, and the simulation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overlaps the image of the virtual shoe in the real world, It can be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Accordingly, the user can provide a sense of reality and satisfa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confirm the actual product in front of the user.

상기 케이싱은 제1 포켓 및 제2 포켓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발을 넣을 수 있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소재가 알루미늄, 구리, 니켈, 탄소강, 스테인리스스틸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Preferably, the casing is of a type including a first pocket and a second pocket so that the user's feet can be inserted, and the materia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copper, nickel, carbon steel, stainless steel and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2 포켓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자기유변유체의 점성을 조절하여 복수의 착화상태를 모사하고 사용자가 최적의 착화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In the step (b), a current is applied to the second pocket to adjust the viscosity of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to simulate a plurality of ignition states, and the user can select an optimum ignition state.

상기 (a) 단계의 3차원 족형이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에 모사된 후, 상기 제2 포켓에 전류를 인가하고, 인가한 전류의 세기에 따라 상기 자기유변유체의 점성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2 포켓은 사용자의 발과 접촉하는 면에 부착되어 있어 상기 자기유변유체의 점성이 조절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자기유변유체의 점성의 조절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After the 3D pattern of the step (a) is copied to the augmented reality or virtual reality, a current is applied to the second pocket, and the viscosity of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applied current. The second pocket is attached to a surface of the user's fee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feet, so that the viscosity of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user can sense the control of the viscosity of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상기 자기유변유체(magneto-rheological fluid, MRF)는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점성이 변하는 유체이다. 상기 자기유변유체는 자기장이 없을 때는 낮은 점성 상태이다가 전류가 인가되어 자기장이 세지면 딱딱하게 굳는 것과 같은 높은 점성 상태로 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자기장의 영향 하에서 상기 자기유변유체의 입자들이 자기장 방향으로 사슬 모양의 구조로 배열되어 점도가 상승하게 된다.The magneto-rheological fluid (MRF) is a fluid whose viscosity varies with the intensity of a magnetic field.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is in a low viscous state when there is no magnetic field, and then it is changed into a high viscous state, such as hardening when a magnetic field is applied. Specifically, under the influence of the magnetic field, the particles of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are arranged in a chain-like structure in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thereby increasing the viscosity.

예를 들어, 상기 제2 포켓에 인가한 전류의 세기가 커져 상기 자기유변유체의 점성이 높아지면 사용자는 발에 접촉되어 있는 면인, 제2 포켓이 단단함을 감지할 수 있고, 이를 신발의 쿠션감, 밀착감 등의 복수의 착화상태와 동일하게 예상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2 포켓에 인가한 전류의 세기를 약하게 조절하면 상기 자기유변유체의 점성이 낮아져 비교적 유연한 쿠션감, 밀착감 등의 착화상태를 예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발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상기 제2 포켓의 자기유변유체의 점성을 조절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착화상태를 모사하고 이를 최종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second pocket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viscosity of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the user can sense the rigidity of the second pocket, which is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oot, , A feeling of adhesion,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if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 current applied to the second pocket is adjusted to be weak, the viscous property of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is lowered, so that a relatively flexible cushioning feeling, Thus, while adjusting the viscosity of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in the second pocket tha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user's foot, the user can simulate the optimum ignition state desired and finally select it.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사용자가 신발의 부재별 디자인, 형태, 색상 및 소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의 3차원으로 모사된 가상 제품을 확인하면서 (b) 단계의 복수의 착화상태의 모사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상기 3차원으로 모사된 가상 제품의 디자인, 형태, 색상 및 소재를 사용자의 취향에 맞춰 적용시킬 수 있고, 이를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쿠션감, 밀착감, 착용감 등의 착화상태를 동시에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최적의 착화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In the step (b), the user may further select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design, shape, color, and material of each sho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simulate a plurality of ignition states in step (b) while checking virtual products simulated in three dimensions in the step (a). The design, shape, color, and material of the virtual product simulated in three dimensions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and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virtual product i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product and visually recognize the cushion feeling, The optimum ignition state can be selected.

상기 (a) 내지 (b) 단계를 요약해보면,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3차원 족형을 모사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제1 포켓 내에 발을 넣고 상기 제1 포켓에 내부에 충진된 에어 또는 겔에 의해 상기 제1 포켓이 팽창하면서 사용자의 발을 감싸게 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3차원 족형을 모사할 수 있다. 상기 획득된 3차원 족형은 가상세계를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해 가상 제품으로 이미지화되어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원하는 최적의 착화상태를 구현하기 위하여, 가상 제품의 디자인, 형태, 색상 및 소재, 쿠션감, 밀착감, 예를 들어, 검은 색상의 발 볼이 좁고 쿠션감이 비교적 있는 굽이 높은 스니커즈 형태의 신발을 최종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In the case of simulating a three-dimensional footprint using the augmented reality, the user inserts the foot into the first pocket, and the air or gel filled in the first pocket As the first pocket expands, the user ' s feet are wrapped, thereby simulating the user's three-dimensional footprint. The obtained three-dimensional footprint can be imaged as a virtual product by a system capable of implementing a virtual world and confirmed by the user's eyes. In order to realize the optimum ignition state ultimately desired by the user, the design, shape, color and material of the virtual product, cushioning feeling, adhesion feeling, for example, a sneaker shape with a black colored football and a comparatively cushiony shape Can finally be selected.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a) 단계에서 모사된 3차원 족형 및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된 최적의 착화상태에 기초하여 맞춤형 신발을 제조할 수 있고, 상기 맞춤형 신발은 제2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제1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장치에 포함된 상기 제1 포켓 및 제2 포켓에서 모사된 사용자의 3차원 족형 및 최종적으로 선택된 최적의 착화상태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맞춤형 신발을 제조할 수 있다.In the step (c), a customized shoe may be manufactured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foot pattern simulated in the step (a) and the optimal ignition state selected in the step (b), and the customized shoe may be manufactured using the second device . The second device is connected to the first device and receives the three-dimensional footprint of the user simulated in the first pocket and the second pocket included in the first device and the finally selected optimal ignition state, Can be prepared.

상기 제2 장치는 3D 프린터일 수 있고, 상기 3D 프린터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may be a 3D printer, and the 3D printer may be driven by a 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method.

일반적으로 3D 프린터는 생산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FDM 방식을 선호된다. 상기 FDM 방식은 필라멘트 형태의 열가소성 재료를 노즐 내에서 녹여 얇은 필름 형태로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FDM 방식으로 제품을 출력하기 위해서 필라멘트 형태의 열가소성 재료가 요구된다. 열가소성 재료는 노즐 내에서 용융되어 원하는 형태로 제품을 출력하는데, 열가소성 재료만을 이용하여 제품을 출력하는 경우 고온의 열을 배출하는 분야에 적용될 시 열에 취약하여 제품의 불량 및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In general, 3D printers are preferred to FDM, which is superior in productivity and formability. The FDM method melts a filament-type thermoplastic material in a nozzle and outputs the filament-like thermoplastic material in the form of a thin film. A filament-type thermoplastic material is required to output the product by the FDM method. The thermoplastic material melts in the nozzle and outputs the product in a desired form. When the product is output using only the thermoplastic material, it is vulnerable to heat when applied to a field of discharging high-temperature heat, which may cause defective or malfunction of the product.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3D 프린터의 필라멘트 소재는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우레탄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범용 플라스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범용 플라스틱(Commodity plastics)”은 일반적인 플라스틱의 물성을 가진 플라스틱을 의미한다.Therefore, the filament material of the 3D pr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hermoplastic resin. The thermoplastic resin may be one general plastic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vinyl chloride, polyurethane and mixtures of two or more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used herein, the term " Commodity plastics " refers to plastics having general plastic properties.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술폰, 액정고분자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마이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은 범용 플라스틱의 최대 단점인 열적 성질과 기계적 강도를 보완하여 공학 소재(Engineering material)에 적용할 수 있는 물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을 의미하며,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Super engineering plastics)”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보다 열적 및 기계적 물성이 더욱 개선된 고기능성 플라스틱을 의미한다.The thermoplastic resin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carbon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oxymethylene, polyamide, polyimide, polyether ketone, polyetheretherketone, polyether sulfone, polyphenylene sulfide, polysulfone, A mixture of two or more of the above, and preferably, it may be polyami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used herein, the term " engineering plastics " refers to plastics having physical properties that can be applied to engineering materials by complementing thermal and mechanical strength, which are the greatest disadvantages of general-purpose plastics. Super engineering plastics "refers to high-performance plastics with improved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ver engineering plastics.

상기 범용 플라스틱과 상기 엔지니어링 또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상기 필라멘트의 기재 상으로서 상호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최종 제품의 용도, 물성, 제조 비용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혼합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엔지니어링 또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고유 물성을 구현하고자 하나, 이 경우, 상업적 구득 가능성이 낮고 제조 비용이 상승할 수 있으므로, 범용 플라스틱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general-purpose plastic and the engineering or super engineering plastic may be us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n the base material of the filament, and may be mixed and used as necessary in consideration of the use, physical properties, manufacturing cost, and the like of the final product. For example, it is desirable to realize the inherent physical properties of engineering or super engineering plastics, but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ix commercial plastics in a certain ratio since commercial possibilities are low and manufacturing costs may increase.

또한, 상기 3D 프린터 필라멘트 소재는 그래핀, 탄소섬유, 탄소나노튜브, 나노흑연플레이크, 금속분말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3D printer filament material may further include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aphene, carbon fiber, carbon nanotube, nano graphite flake, metal powder, and combinations of two or more thereof.

상기 그래핀은 탄소 원자들이 육각형 모양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탄소 동소체이며, 원자 수준의 두께와 2차원 판상 구조로 넓은 표면적을 가지며 우수한 기계적 특성, 전기 전도성, 및 열전도성을 가진다. 특히, 단일층 그래핀의 경우 낮은 발열량, 우수한 전하 이동도, 전류 밀도, 내화학성, 유연성, 신축성, 약 5,000W/mK의 뛰어난 열전도도를 나타낸다.The graphene is a carbon isotop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carbon atoms are connected in a hexagonal shape, and has an atomic level thickness and a large surface area in a two-dimensional plate-like structure, and h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rmal conductivity. In particular, single layer graphene exhibits low thermal conductivities, good charge mobility, current density, chemical resistance, flexibility, stretchability, and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of about 5,000 W / mK.

상기 탄소섬유는 레이온계, 피치계 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일 수 있다.The carbon fiber may be of rayon type, pitch type or polyacrylonitrile type.

상기 탄소섬유는 전구체 물질에 따라 레이온(rayon)계, 피치(pitch)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계로 구분될 수 있다. The carbon fibers may be classified into rayon, pitch, and polyacrylonitrile based on precursor materials.

상기 전구체 물질은 상기 탄소섬유 형태를 결정하는 물질, 즉, 출발 물질로서, 불활성 분위기에서 열분해하여 탄소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탄소섬유의 물성 중 탄화 수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내부 구조가 제어되고 순도가 높은 고분자 전구체 섬유의 제조, 안정화된 전처리 공정 및 탄화 공정 등이 필요하다.The precursor material may be a material that determines the shape of the carbon fiber, that is, a starting material, and may be pyrolyzed in an inert atmosphere to produce carbon fibers.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carbonization yield among the properties of the carbon fiber.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manufacture a polymer precursor fiber having a controlled internal structure and high purity, a stabilized pretreatment process, and a carbonization process.

이들 중 피치계로부터 제조되는 고탄성률 탄소섬유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로부터 제조되는 고강도 탄소섬유가 널리 쓰이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레이온계, 피치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탄소섬유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Among them, a high modulus carbon fiber produced from a pitch system and a high strength carbon fiber produced from a polyacrylonitrile system are wide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rayon type, a pitch type, a polyacrylonitrile type carbon fiber is selectively used, Mixtures of two or more of them may also be used.

상기 레이온계 탄소섬유는 결함이 적은 특수 등급의 비스코스 레이온(viscous rayon)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탄화 수율은 2~20%이고, 제조된 탄소섬유는 인장 강력 345~690MPa, 인장탄성계수 20~55GPa, 밀도 1.0~1.43g/cm3일 수 있다. 이러한 물성은 2800~3000℃에서 연신 흑연화함으로써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rayon-based carbon fiber can be produced using a special grade viscous rayon having few defects. The carbonization yield is 2 to 20%, and the carbon fiber produced may have a tensile strength of 345 to 690 MPa, a tensile modulus of 20 to 55 GPa, and a density of 1.0 to 1.43 g / cm < 3 >. Such physical properties can be enhanced by drawing graphitization at 2800 to 3000 ° C.

상기 피치계 탄소섬유는 피치의 원료 물질에 따라 석유 피치와 석탄 피치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피치는 응축된 벤젠 고리가 알킬 사슬을 가지고 있거나 알킬 사슬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다수의 이종 유기 화합물이 복잡하게 혼합된 형태로 존재한다. 특히, 메조페이즈 피치(mesophase pitch) 용융체를 액정 방사하여 제조되는 전구체 섬유는 탄화 및 흑연화 공정 중에 축배향이 유지되거나 향상될 수 있어 연신을 가하지 않고도 약 830Gpa의 인장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The pitch-based carbon fibers may be manufactured from petroleum pitch and coal pitch depending on the raw material of pitch. The pitch is present in a complex mixture of many heterogeneous organic compounds in which the condensed benzene ring has an alkyl chain or is separated by an alkyl chain. In particular, the precursor fibers produced by liquid crystal spinning of the mesophase pitch melt can maintain or enhance the axial orientation during the carbonization and graphitization processes, and can have a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about 830 Gpa without stretching.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탄소섬유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전구체 섬유의 제조 및 전구체 섬유의 안정화, 탄화 및 흑연화 공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형 고분자인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출발 물질로 하여 공기 중 200~300℃에서 1~2시간의 안정화 공정을 거치면 사슬 절단, 가교, 탈수소 반응과 고리화 반응 등에 의해 전구체 물질은 탄화 공정을 견딜 수 있는, 열적으로 안정한 사다리 구조(ladder structure)를 형성할 수 있다.The polyacrylonitrile-based carbon fibers can be produced by preparing polyacrylonitrile precursor fibers and stabilizing, carbonizing, and graphitizing the precursor fibers. Specifically, when a linear polymer, polyacrylonitrile, is used as a starting material and subjected to stabilization at 200 to 300 ° C for 1 to 2 hours in the air, the precursor material is subjected to carbonization by chain cutting, crosslinking, dehydrogenation and cyclization. A thermally stable ladder structure can be formed.

상기 안정화 공정에서 분자의 배향을 유지 및 개선시키기 위해서, 연신을 가하여 수축을 15% 이내로 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정화 공정에서는 복잡다단한 화학 반응이 수반되며, 물, 이산화탄소, 시안화수소 등이 방출되어 5~8%의 중량 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전구체 섬유내의 탄소 함량은 68%에서 62~65%의 범위로 감소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전구체 섬유를 1200~2500℃, 불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탄화시키면 전구체 섬유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45~55중량%의 탄소섬유를 수득할 수 있다.In order to maintain and improve the orientation of the molecules in the stabilization step, the shrinkage can be applied within 15% by applying stretching. Further, in the stabilization step, a complicated multi-step chemical reaction occurs and water, carbon dioxide, hydrogen cyanide and the like are released to cause a weight loss of 5 to 8%. The carbon content in the precursor fiber is 68 to 62% Lt; / RTI > Thereafter, when the precursor fibers are carbonized at 1200 to 2500 DEG C under an inert gas atmosphere, carbon fibers of 45 to 5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recursor fibers can be obtained.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탄소섬유는 거의 탄소로만 이루어져 있어 2500℃ 이상의 흑연화 공정에서도 중량 감소가 최소화될 수 있고, 탄소섬유의 축 방향으로의 결정 배향이 증가하는 구조적 변화가 일어날 수 있어, 탄소섬유의 역학적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Since the polyacrylonitrile-based carbon fiber is substantially composed only of carbon, weight reduction can be minimized even in a graphitization process at 2500 ° C or higher, and a structural chang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arbon fiber can be increased, Can be improved.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탄소섬유의 인장탄성계수는 흑연화 공정 간의 열처리 온도에 따라, 3000℃ 이상에서 열처리하는 경우 517GPa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흑연화 공정에서 공정 온도를 낮추고 공정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붕소 화합물을 촉매로 사용할 수도 있다.The tensile elastic modulus of the polyacrylonitrile-based carbon fiber may be 517 GPa or more when heat-treated at 3000 ° C or more, depending on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between graphitization processes. The boron compound may be used as a catalyst in order to lower the process temperature and shorten the process time in the graphitization process.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탄소 원자들을 1차원으로 말려서 하나의 탄소가 다른 탄소 원자와 육각형 벌집 무늬로 결합되어 튜브 형태를 이루고 있는 물질이며, 튜브의 직경이 나노미터 수준으로 극히 작은 영역의 물질이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 전기적 선택성, 고효율의 수소저장성 등을 가지나, 고분자 수지에 분산성이 낮아, 상기 에폭시 수지 및 그 외 성분과의 혼련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carbon nanotube is a substance in which carbon atoms are one-dimensionally dried so that one carbon is bonded to another carbon atom in a hexagonal honeycomb pattern to form a tube, and the diameter of the tube is extremely small in the nanometer level. The carbon nanotube h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electrical selectivity, high efficiency hydrogen storage, etc. However, the dispersibility of the carbon nanotube to the polymer resin is low, and the kneading property with the epoxy resin and other components may be deteriorated.

상기 나노흑연플레이크(nano graphite flake)는 다수의 그래핀들이 적층된 구조를 가지되, 1층 내지 50층의 그래핀 적층 구조를 가진 그래핀플레이크(grapheme flake)보다 그래핀의 적층 수가 많은 구조를 가지는 판상 구조체이다.The nano graphite flake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graphene flakes are stacked and a graphene flake having a stacked structure of graphene flakes having a graphene flake having 1 to 50 layers of graphene flakes The branch is a plate-like structure.

상기 금속분말은 알루미늄(Al), 구리, 은, 니켈, 철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금속분말은 자유전자가 풍부하여 열전도도가 높으나, 성형성이 떨어져 부품의 소형화 및 디자인의 다양성에 제약이 있다. 따라서, 상기 금속 분말보다 성형성이 좋은 세라믹 등의 비금속과 혼용하여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al powder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Al), copper, silver, nickel, iron, and mixtures of two or more thereof. The metal powder has a high thermal conductivity due to abundance of free electrons, but has a problem of miniaturization of components and a variety of designs because of low moldability.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dd them in combination with a base metal such as ceramics which is more formable than the above-mentioned metal powder.

상기 3D 프린터의 필라멘트 소재 중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0.01~10중량%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첨가제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10중량% 초과이면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additive in the filament material of the 3D printer may be 0.01 to 10% by weight. If the amount of the additive is less than 0.01 wt%, the effect of the additive may be insufficient. If the additive is more than 10 wt%, the workability may be deteriorat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내장된 에어 또는 겔이 충진된 제 1 포켓, 및 상기 제1 포켓 중 사용자의 발과 접촉하는 면에 부착 및 내장된 자기유변유체가 충진된 제2 포켓을 포함하는 제1 장치 및 상기 제1 장치와 연결되어 신발을 성형하는 제2 장치를 이용한 맞춤형 신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포켓에 사용자의 발을 넣고 상기 제1 포켓을 팽창시켜 3D(3-dimensional) 족형을 모사하는 단계;
(b) 상기 제2 포켓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자기유변유체의 점성을 조절하여 복수의 착화상태를 모사하고 사용자가 최적의 착화상태를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a) 단계에서 모사된 3차원 족형 및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된 최적의 착화상태에 기초하여 신발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맞춤형 신발의 제조방법.
A first pocket including a casing, a first pocket filled with air or gel contained in the casing, and a second pocket filled with a magnetorheological fluid attached to and embedded in a surface of the first pocket, And a second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device to form a sho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placing a user's foot in the first pocket and inflating the first pocket to simulate a 3D (3-dimensional) footprint;
(b) applying a current to the second pocket to adjust viscosity of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to simulate a plurality of ignition states and to select an optimal ignition state by the user;
(c) fabricating the shoe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footprint simulated in the step (a) and the optimal ignition state selected in the step (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사용자가 신발의 부재별 디자인, 형태, 색상 및 소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선택하는 맞춤형 신발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b), the user further select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esign, shape, color, and material for each piece of sho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는 3D 프린터인 맞춤형 신발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device is a 3D print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D 프린터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으로 구동되는 맞춤형 신발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3D printer is driven by an FDM (fused deposition model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3D(3-dimensional) 족형을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을 통해 모사하는 맞춤형 신발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3D (3-dimensional) footprint is simulated through an augmented reality or a virtual reality in the step (a).
KR1020180127351A 2018-10-24 2018-10-24 A method for manufacturing customized shoes KR1020019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351A KR102001949B1 (en) 2018-10-24 2018-10-24 A method for manufacturing customized sho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351A KR102001949B1 (en) 2018-10-24 2018-10-24 A method for manufacturing customized sho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949B1 true KR102001949B1 (en) 2019-07-19

Family

ID=67511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351A KR102001949B1 (en) 2018-10-24 2018-10-24 A method for manufacturing customized sho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94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198B1 (en) * 2019-09-19 2020-11-19 한국신발피혁연구원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rticle using a 3 dimensional printi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6985A (en) * 2008-03-26 2009-10-15 Yamaha Corp Keyboard instrument
KR20150125112A (en) * 2014-04-29 2015-11-09 주식회사 인스턴 custom shoes using 3D printer, manufacturing method and an apparatur thereof
US20160235160A1 (en) * 2015-02-16 2016-08-18 Vocational Training Council Flexible Cushioning Device for Shoe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US20170255185A1 (en) * 2016-03-01 2017-09-07 Glen D. Hinshaw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custom shoe insole
KR101828785B1 (en) * 2017-03-20 2018-02-13 주식회사 에이치비티 Method of and system for producing customized shoe using 3d scann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6985A (en) * 2008-03-26 2009-10-15 Yamaha Corp Keyboard instrument
KR20150125112A (en) * 2014-04-29 2015-11-09 주식회사 인스턴 custom shoes using 3D printer, manufacturing method and an apparatur thereof
US20160235160A1 (en) * 2015-02-16 2016-08-18 Vocational Training Council Flexible Cushioning Device for Shoe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US20170255185A1 (en) * 2016-03-01 2017-09-07 Glen D. Hinshaw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custom shoe insole
KR101828785B1 (en) * 2017-03-20 2018-02-13 주식회사 에이치비티 Method of and system for producing customized shoe using 3d scan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198B1 (en) * 2019-09-19 2020-11-19 한국신발피혁연구원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rticle using a 3 dimensional prin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g et al. Effects of carbon nanotube on the thermal,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PLA/CNT printed parts in the FDM process
Priya et al. A comparative study between in-house 3D printed and injection molded ABS and PLA polymers for low-frequency applications
KR102001949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customized shoes
JP2004167801A (en) Controlling method for layer thickness of skin layer in composite resin molding
EP1784292B1 (en) Method of making a molded article from two or more different formable materials in a single heating cycle
Wu et al. 3D printing of thermoplastic PI and interlayer bonding evaluation
EP1885652A2 (en) Carbon composite material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Estelle et al. Manufacturing of smart composites with hyperelastic property gradients and shape memory using fused deposition
EP2285888A1 (en) Polymer and carbon nanotubes composite materials as low-cost temperature sensors
Kmetty et al. Development and characterisation of injection moulded, all-polypropylene composites
CN109456565A (en) A kind of intelligent macromolecule material, preparation method and its utilize method
CN109843532A (en) The 3 D-printing of structure for injection molding
KR101143051B1 (en) A heating polymer manufacturing process, heating-yarn manufacturing process and that heating-yarn
CN114616092A (en) Customized sole that 3D printed
CN105722660B (en) Knurling rolls
JP2022115834A (en) Molds and methods for producing parts by molding, parts thereof, and shoes with such parts
CN111566265A (en) Filament and 3D printed article
KR102373990B1 (en) A system for manufacturing customized shoes using foot shape data
KR102156264B1 (en) Method for making porous plastomer using microsphere and porous plastomer made by using the same
Glogowsky et al. Influence of print settings on conductivity of 3D printed elastomers with carbon-based fillers
CN106560262B (en) Hot-working mould
JP6179756B2 (en) Method for producing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composite material
Gong et al. Optimizing process parameters of a material extrusion–based overprinting technique for the fabrication of tensile specimens
KR0127872B1 (en) Improved thermal conductive material
TWI271298B (en) A process for forming fully encapsulated over-molding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