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471B1 -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471B1
KR102001471B1 KR1020120150807A KR20120150807A KR102001471B1 KR 102001471 B1 KR102001471 B1 KR 102001471B1 KR 1020120150807 A KR1020120150807 A KR 1020120150807A KR 20120150807 A KR20120150807 A KR 20120150807A KR 102001471 B1 KR102001471 B1 KR 102001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film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1253A (ko
Inventor
유태연
국윤호
이남석
홍성곤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0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471B1/ko
Publication of KR20140081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름상에 터치전극들이 형성되어 있는 터치패널이, 유기발광소자들이 형성되어 있는 유기발광패널을 밀봉시키고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유기발광층이 형성되어 있는 유기발광패널; 필름과, 상기 필름상에 형성되어 있는 터치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유기발광패널과 합착되어, 상기 유기발광층을 밀봉시키기 위한 터치패널; 및 상기 터치패널 상단에 부착되는 편광필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치패널이 부착되어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발광표시장치(Light Emitting Display)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평판 디스플레이가 실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 중에서 발광 표시 장치는 응답속도가 1ms 이하로서 고속의 응답속도를 가지며, 소비 전력이 낮고, 자체 발광이므로 시야각에 문제가 없어서,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발광표시장치는 발광 물질을 전기적으로 여기 시켜 발광시키는 표시 장치로서, 그의 재료 및 구조에 따라 무기발광표시장치와 유기발광표시장치로 구분된다.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해 광을 출력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유리로 형성되는 하부기판, 상기 하부기판 상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층 및 유리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기판과 합착되어 상기 유기발광층을 밀봉시키기 위한 상부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발광층은, 스위칭 트랜지스터(ST), 구동 트랜지스터(DT), 커패시터(C) 및 유기발광소자(OLED) 등을 포함한다.
한편,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대체하여, 최근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펜을 이용하여 직접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패널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터치패널은 상기 유기발광표시장치에도 적용되어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치패널을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터치패널을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발광패널(10), 상기 유기발광패널(10)에 점착제로 부착되어 있는 터치패널(20), 상기 터치패널 상단에 부착되는 편광필름(30) 및 상기 편광필름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커버글래스(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치패널의 구동방식은, 정전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중, 정전용량 방식은, 터치전극에 인체가 접촉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정전기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를 인식하는 방식으로서, 저항 막 방식에 비해 탁월한 내구성과 빠른 반응속도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터치패널(20)이 상기 유기발광패널(20)에 부착되면,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전체 두께 및 무게가 증가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터치패널(20)은, 유리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두께가 두껍고, 점착체를 이용하여 상기 유기발광패널(10)에 부착되기 때문에, 상기 유기발광패널(10)과 상기 터치패널(20) 사이에는 점착체 두께만큼의 갭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터치패널(20)을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두께는 두꺼워지고, 무게는 무거워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터치패널(20)은, 보다 얇고 가벼운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조하는데에 장애가 되고 있다.
또한, 상기 유기발광패널(10)의 하부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발광층을 상부기판으로 밀봉시켜 유기발광패널(10)을 제조한 이후에, 상기 유기발광패널의 상단에 점착제를 이용하여 터치패널이 부착되므로, 터치패널(20)이 부착되어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이 복잡해 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필름상에 터치전극들이 형성되어 있는 터치패널이, 유기발광소자들이 형성되어 있는 유기발광패널을 밀봉시키고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유기발광층이 형성되어 있는 유기발광패널; 필름과, 상기 필름상에 형성되어 있는 터치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유기발광패널과 합착되어, 상기 유기발광층을 밀봉시키기 위한 터치패널; 상기 터치패널과 합착되어 상기 유기발광층을 밀봉시키기 위한 베리어필름; 및 상기 터치패널 상단에 부착되는 편광필름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필름과 상기 베리어필름은 광등방성필름이고, 상기 터치패널은, 상기 필름; 상기 필름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전극; 및 상기 필름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의 상면에는, 상기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전극패드 및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전극패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전극은 구동전극이고, 상기 제2전극은 수신전극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 제조 방법은, 필름에 금속층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금속층을 식각하여 터치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유리기판에 유기발광층을 형성하여 유기발광패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터치전극이 형성된 상기 필름을 베리어필름에 합착시킨 후, 상기 베리어필름을 상기 유기발광패널에 합착시켜 상기 유기발광층을 밀봉하는 단계; 및 상기 유기발광패널과 합착된 상기 필름의 상단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층을 증착하는 단계는, 광등방성필름의 상면과 하면 각각에 투명전극층과 금속층을 순차적으로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터치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필름의 저면에 제1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필름의 상면에 제2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터치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필름에 컨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름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금속층을 식각하여 상기 제1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름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금속층을 식각하여 상기 제2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름의 상면에, 상기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전극패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의 상면에, 상기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전극패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극패드는 터치IC의 터치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전극패드는 상기 터치IC의 터치수신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습기를 차단하는 베리어(Barrier) 특성 및 터치(Touch) 성능을 동시에 만족하는 광 등방성 필름(Film)에 의해 유기발광패널이 밀봉(Encapsulation)되기 때문에, 경량 및 박형의 유기발광표시장치가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패널에 적용되는 필름이 편광필름 하부에 배치되지만, 상기 터치패널에 적용되는 필름으로 광등방성 필름이 사용되기 때문에, 시인성 저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터치패널을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일실시예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기발광패널에 형성되는 화소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유기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일실시예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h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일실시예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기발광패널에 형성되는 화소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유기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일실시예 단면도이다.
터치패널을 구동하는 방법은, 저항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으로 구분된다. 정전용량 방식은 다시 셀프캡(Self Cap) 방식과 뮤츄얼(mutual)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셀프캡 방식으로 구성되는 터치패널 및 뮤추얼 방식으로 구성되는 터치패널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정전용량 방식은, 터치전극에 인체가 접촉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정전기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를 인식하는 방식으로서, 저항 막 방식에 비해 탁월한 내구성과 빠른 반응속도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뮤추얼 방식으로 구성되는 터치패널이 본 발명의 일예로서 설명된다.
한편, 본 발명은 필름 타입의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얇고 가볍게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광 등방성 필름을 사용하여, 습기를 차단하는 베리어(Barrier) 기능 및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패널이 제조됨으로써, 박형 타입의 유기발광표시장치가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의 교차영역마다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되어 있는 유기발광패널(100), 구동전극(131)들과 수신전극(132)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기발광패널에 합착되어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층을 밀봉시키기 위한 필름형태의 터치패널(130), 상기 유기발광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발광층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200) 및 상기 터치패널(130)을 구동하기 위한 터치IC(300)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유기발광패널(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로 형성된 하부기판(110) 및 상기 하부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발광소자(OLED)를 포함한 유기발광층(120)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발광패널(100)에는 스캔신호가 공급되는 게이트라인(SL)들과,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데이라인(DL)들이 교차되는 영역마다, 픽셀이 형성되며, 상기 픽셀에는 유기발광소자(OLED)로 구성되는 화소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화소 회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트랜지스터(ST), 구동 트랜지스터(DT), 커패시터(C) 및 유기발광소자(OLED)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ST)는 주사 라인(SL)에 공급되는 주사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데이터 라인(DL)에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Vdata)을 구동 트랜지스터(DT)에 공급한다.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DT)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T)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Vdata)에 따라 스위칭되어, 구동 전원(Vdd)으로부터 유기발광소자(OLED)로 흐르는 데이터 전류(Ioled)를 제어한다.
상기 커패시터(C)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단자와 소스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단자에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Vdata)에 대응되는 전압을 저장하고, 저장된 전압으로 구동 트랜지스터(DT)를 턴-온시킨다.
상기 유기발광소자(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드레인 단자와 접지 전원(Vss)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동 트랜지스터(DT)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류(Ioled)에 의해 발광한다. 이때, 유기발광소자(OLED)에 흐르는 데이터 전류(I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소스 사이의 전압(Vgs), 구동 트랜지스터(DT)의 문턱 전압(Vth), 및 데이터 전압(Vdata)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화소 회로는 데이터 전압(Vdata)에 따른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스위칭을 이용하여 구동 전원(Vdd)으로부터 유기발광소자(OLED)로 흐르는 데이터 전류(Ioled)의 크기를 제어하여 유기발광소자(OLED)를 발광시킴으로써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유기발광소자(OLED)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층(122), 언도프드 반도체층(123), N형 질화물 반도체층(124), 활성층(125), P형 질화물 반도체층(126), 투명전극층(127), 및 투명전극층(127) 상에 형성된 P형 전극(128)과, 활성층(125)과 P형 질화물 반도체층(126)의 일부를 식각 함으로써 노출된 N형 질화물 반도체층(124) 상에 형성된 N형 전극(12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소자(OLED)는 P형 전극(128) 및 N형 전극(129)에 전압을 인가하면, P형 질화물 반도체층(126)과 N형 질화물 반도체층(124) 사이에 순방향 바이어스(Forward Bias)가 걸리게 되고, 이때 활성층(125)에서 전자 및 정공들이 재결합(Recombination)되어 광을 방출하게 된다.
다음, 상기 터치패널(130)은 사용자의 터치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특히,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기 터치패널(130)은 뮤츄얼(mutual) 방식을 이용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이다. 뮤추얼 방식을 이용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130)은 구동전극(131)들 및 수신전극(132)들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패널(130)은 상기 유기발광패널(100)의 표시영역(A)과, 비표시영역(B)을 포함한다. 즉,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터치패널(130)을 지시하는 도면부호인 '130'이, 상기 표시영역(A)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터치패널(130)은 상기 표시영역(A) 외부의 비표시영역(B)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패널(130)은, 상기 표시영역(A) 및 상기 비표시영역(B)에 형성되어 있는 구동전극 배선(133)들 및 수신전극 배선(134)들을 포함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비표시영역(B)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전극(131)을 상기 터치IC(300) 또는 상기 구동부(200)와 연결시키기 위한, 제1전극패드(138) 및 상기 수신전극(132)을 상기 터치IC(300) 또는 상기 구동부(200)와 연결시키기 위한 제2전극패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전극(131)들 및 상기 수신전극(132)들은 격자 형태로 유리기판(135) 상에 형성된다.
상기 구동전극(131)들과 연결되어 있는 구동전극 배선(133)들 및 상기 수신전극(132)들과 연결되어 있는 수신전극배선(134)들은 상기 비표시영역(B)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전극 배선(133)들 및 상기 수신전극배선(134)들은, 상기 구동부(200)를 통해 상기 터치IC(300)와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상기 터치IC(300)와 연결될 수 있다.
다음, 상기 베리어필름(180)은, 상기 터치패널(130)과 합착되어 상기 유기발광층을 밀봉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터치패널(130)의 필름과 상기 베리어필름(180)이 합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리어필름(180)이 접착제(140)를 통해 상기 유기발광패널(100)과 합착되어 상기 유기발광패널(100)을 밀봉시킨다. 이때, 상기 필름(133)과 상기 베리어필름(180) 모두 등방성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습기의 침투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패널(130)을 형성하는 필름도 상기 유기발광패널(100)로의 습기 침투를 차단시킬 수 있으나, 상기 베리어필름(180)과의 합착에 의해 그 성질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다음,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유기발광패널(100)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라인으로 입력되는 신호들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부, 상기 유기발광패널(100)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라인으로 입력되는 신호들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를 구성하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집적회로(IC)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개별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스마트폰이나 테블릿PC와 같은 소형단말기에서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가 하나의 데이터 드라이브 IC(구동부)(200)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텔레비젼과 같은 대형단말기에서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가 개별적인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를 구성하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온도검출부의 기능을 개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어온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를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에 따라 쉬프트시켜, 순차적으로 상기 게이트라인에 게이트 온 전압(Von)을 갖는 스캔신호를 공급한다.
둘째,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어온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게이트라인에 스캔신호가 공급되는 1수평기간마다 1수평라인분의 상기 데이터전압을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한다.
즉,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감마전압 발생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감마전압들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전압으로 변환시킨 후 상기 데이터라인으로 출력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쉬프트 레지스터부, 래치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DAC) 및 출력버퍼를 포함한다.
셋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타이밍 신호, 즉, 수직동기신호(Vsync), 수평동기신호(Hsync)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부들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GCS)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들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생성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로 전송될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영상데이터(Input Data) 및 타이밍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각종 제어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입력영상데이터를 재정렬하여, 재정렬된 영상데이터(Data)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정렬부 및 상기 제어신호들과 상기 영상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터치IC(300)는 터치감지기간 동안, 상기 구동전극(131)들로 복수의 구동펄스를 인가하며, 상기 구동펄스에 의해 상기 수신전극(132)들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패널(130)의 터치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터치IC(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펄스를 상기 터치전극(131)으로 출력하기 위한 터치구동부(310) 및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터치수신부(32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성이 상세히 설명된다.
우선, 상기 유기발광패널(100)은, 유리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기판(110) 및 상기 하부기판(110)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발광층(120)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발광층(120)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유기발광소자(OLED) 및 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화소 회로들을 포함하고 있다.
다음, 상기 터치패널(130)은, 필름(133) 및 상기 필름상에 형성되어 있는 터치전극(131, 132)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전극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동전극(131) 및 수신전극(132)을 총칭한다.
상기 터치패널(130)은, 상기 터치전극(131)을 이용하여, 터치여부의 감지하는 기능 이외에, 상기 유기발광패널(100)과 합착되어, 상기 유기발광패널(100)의 상기 유기발광층(120)을 밀봉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필름(133)은 특히, 광등방성필름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필름(133)으로 광이방성 필름이 적용되면, 상기 필름(133)의 ㅅ사상단에 부착되는 편광필름과의 위상차 교란에 의해 ACR(Ambient Contrast Ratio) 시인성 저하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필름(133)으로 광등방성 필름을 적용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시인성 저하 문제점을 개선시키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유리기판 보다 매우 얇게 형성될 수 있는 필름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패널이 구성되며, 상기 필름이 상기 유기발광패널(100)의 봉지(Encapsulation)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전체적인 두께가 얇아지고, 전체적인 무게가 가벼워질 수 있다.
상기 터치전극(131, 132)이 형성된 상기 터치패널(130)은 제1점착제(140)를 통해 상기 유기발광패널(100)과 합착되어, 상기 유기발광패널을 밀봉시킬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3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터치패널(130)은, 상기 필름(133), 상기 필름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전극 및 상기 필름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전극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은 상기 터치전극을 구분한 것으로서, 상기 제1전극은 상기 구동전극(131)이 될 수 있고,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수신전극(132)이 될 수 있다.
상기 구동전극(131)과 상기 수신전극(132)의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으나, 상기 터치패널(130)의 하단에 상기 유기발광소자(OLED)의 캐소드(Cathode)가 배치되는 것을 고려할 때, 노이즈에 민감한 상기 수신전극(132)이, 상기 필름(133)의 상단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유기발광소자(OLED)의 구동에 의해, 상기 터치패널(130)로 노이즈가 유도된다. 이 경우, 상기 수신전극(132)에 노이즈가 인가되면, 터치여부 판단에 이용되는 감지신호에도 노이즈가 포함되어, 터치여부 판단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수신전극(제2전극)(132)는, 상기 필름(133)의 상단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133)의 상면에는, 상기 제2전극(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전극패드 및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전극(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전극패드(1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터치패널(1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유기발광패널(100)의 상단면에 제1점착제(140)를 이용하여 부착되고, 상기 터치패널(130)의 상단면에는 제2점착제를 이용하여 편광필름(160)이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패널(13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1전극(131)에는 배선이 연결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필름(133)에는 상기 필름(133)을 관통하는 컨택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름(133)의 상면에는, 상기 컨택홀을 통해 상기 필름(133)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전극(131)과 연결된 제1전극패드(1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컨택홀에는 은(Ag)이 충전되어, 상기 제1전극(131)과 상기 제1전극패드(138)는 상기 은(Ag)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터치패널(130)은, 제1점착제(140)를 이용하여 상기 유기발광패널(100)과 합착된다.
다음, 상기 베리어필름(180)은, 상기 터치패널(130)과 합착되어 상기 유기발광층을 밀봉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 상기 편광필름(160)은 제2점착제(150)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패널(130)의 상면에 합착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편광필름(170)의 상면에는, 제3점착제(미도시)를 이용하여 커버글래스(170)가 합착된다.
도 6a 내지 도 6h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우선, 도 6a를 참조하면, 필름(133)에 금속층이 증착된다.
상기 금속층을 증착하는 과정은, 상기 광등방성필름(133)의 상면에 투명전극층(ITO)(135)과 금속층(136)을 증착하는 과정 및 상기 광등방성필름(133)의 하면에 투명전극층(ITO)(135)과 금속층(136)을 순차적으로 증착하는 과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터치패널(130)은, 뮤추얼 방식을 이용한 것이고, 상기 뮤추얼 방식의 터치패널에는, 구동전극(131)과 수신전극(132)이 요구되므로, 상기 광등방성필름(133)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구동전극(131)과 수신전극(132)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전극층(ITO) 및 금속층(136)이 증착된다.
다음,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필름(133)에, 상기 필름(133)을 관통하는 컨택홀(137)이 형성된다.
상기 컨택홀(137)은 상기 제1전극(131)의 숫자만큼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택홀(137)은 상기 필름(133)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전극(131)을 상기 터치IC(300)의 터치구동부(310) 또는 상기 구동부(200)와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전극, 즉 상기 구동전극(131)의 숫자만큼 형성된다.
다음,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필름(133)의 상면과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투명전극층(ITO)과 상기 금속층을 포토레지스트 공정을 이용하여 식각시켜, 상기 필름(133)의 저면과 하면 각각에 터치전극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저면에는 상기 제1전극(131)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에는 상기 제2전극(132)이 형성된다.
상기 터치전극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컨택홀(137)을 형성하는 과정과 순서를 바꾸어 실행될 수 있다. 즉, 상기에서는 상기 컨택홀을 형성한 후, 상기 터치전극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터치전극이 형성된 후 상기 컨택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의 형성순서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전극이 형성된 후 상기 제2전극이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2전극이 형성된 후 상기 제1전극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이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 필름(133)의 상면에, 상기 컨택홀(137)을 통해 상기 제1전극(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전극패드(138)를 형성한다. 상기 제1전극패드(138)는 은(Ag)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필름(133)의 상면에는, 상기 제2전극(132)을 상기 터치IC(300)의 터치수신부(320) 또는 상기 구동부(200)와 연결시키기 위한 제1전극패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필름(133)의 저면에는 점착제(190)를 통해 상기 베리어필름(180)이 합착된다.
다음, 도 6e를 참조하면, 유리로 형성된 하부기판(110) 상에,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층(120)이 형성된 상기 유기발광패널(100)이 제조된다.
상기 유기발광패널(100)은 상기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기발광패널(100)을 제조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기발광패널(100)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생략된다.
다음, 도 6f를 참조하면, 상기 유기발광패널(100)의 상면에 제1점착제(140)가 도포된다.
다음, 도 6g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전극이 형성된 상기 터치패널(130)과 상기 베리어필름(180)이 합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리어필름(180)을 상기 제1점착제(140)를 이용하여, 상기 유기발광패널(100)에 합착시켜 상기 유기발광층(120)을 밀봉시킨다.
또한, 상기 유기발광패널(100)과 합착된 상기 터치패널(130)의 상단에, 제2점착제(150)를 이용하여 상기 편광필름(160)을 부착한다.
마지막으로, 도 6h를 참조하면, 상기 편광필름(160)의 상면에, 제3점착제(미도시)를 이용하여 커버글래스(170)가 합착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유기발광패널 130 : 터치패널
200 : 구동부 300 : 터치IC

Claims (10)

  1. 유기발광층이 형성되어 있는 유기발광패널;
    필름과, 상기 필름상에 형성되어 있는 터치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유기발광패널과 합착되어, 상기 유기발광층을 밀봉시키기 위한 터치패널;
    상기 터치패널과 합착되어 상기 유기발광층을 밀봉시키기 위한 베리어필름; 및
    상기 터치패널 상단에 부착되는 편광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패널은, 상기 필름, 상기 필름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전극 및 상기 필름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의 상기 상면에는 상기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전극패드 및 상기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전극패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전극패드는, 상기 필름의 상기 상면과 상기 저면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과 상기 베리어필름은 광등방성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구동전극이고, 상기 제2전극은 수신전극이며, 상기 터치패널의 하단에는 상기 유기발광층에 포함되는 유기발광소자의 캐소드가 배치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층에 포함되는 유기발광소자는, 버퍼층, 언도프드 반도체층, N형 질화물 반도체층, 활성층, P형 질화물 반도체층, 투명전극층, 상기 투명전극층 상에 형성된 P형 전극 및 상기 활성층과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의 일부를 식각 함으로써 노출된 N형 질화물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N형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구동전극이고, 상기 제2전극은 수신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6. 필름의 상면과 저면 각각에 금속층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금속층을 식각하여 터치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유리기판에 유기발광층을 형성하여 유기발광패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터치전극이 형성된 상기 필름을 베리어필름에 합착시킨 후, 상기 베리어필름을 상기 유기발광패널에 합착시켜 상기 유기발광층을 밀봉하는 단계; 및
    상기 유기발광패널과 합착된 상기 필름의 상단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층을 식각하여 상기 저면에 제1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에 제2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름의 상기 상면과 저면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전극패드를 상기 필름의 상기 상면에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전극패드를 상기 상면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을 증착하는 단계는,
    광등방성필름의 상면과 하면 각각에 투명전극층과 금속층을 순차적으로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패드는 터치IC의 터치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전극패드는 상기 터치IC의 터치수신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패드와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컨택홀에 충전된 은(Ag)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은 제1점착제를 통해 상기 유기발광패널과 합착되며,
    상기 편광필름은 제2점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패널의 상면에 합착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0120150807A 2012-12-21 2012-12-21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01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807A KR102001471B1 (ko) 2012-12-21 2012-12-21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807A KR102001471B1 (ko) 2012-12-21 2012-12-21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253A KR20140081253A (ko) 2014-07-01
KR102001471B1 true KR102001471B1 (ko) 2019-07-18

Family

ID=51732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807A KR102001471B1 (ko) 2012-12-21 2012-12-21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4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788A (ko) * 2015-02-05 2016-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0632A (ja) 2007-09-19 2009-04-30 Fujifilm Corp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発光素子または表示素子
US20100265207A1 (en) * 2009-04-21 2010-10-2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ouch-sensing display apparatus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JP2011204037A (ja) * 2010-03-26 2011-10-13 Dainippon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センサ一体型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8770B1 (en) * 1998-01-09 2007-09-11 Nissha Printing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of touch input typ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90131506A (ko) * 2008-06-18 2009-12-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0632A (ja) 2007-09-19 2009-04-30 Fujifilm Corp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発光素子または表示素子
US20100265207A1 (en) * 2009-04-21 2010-10-2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ouch-sensing display apparatus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JP2011204037A (ja) * 2010-03-26 2011-10-13 Dainippon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センサ一体型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788A (ko) * 2015-02-05 2016-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63826B1 (ko) 2015-02-05 2022-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253A (ko) 201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5952B2 (en) Display panel having built-in touchscreen, display device having built-in touch screen, integrated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KR102011435B1 (ko)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964845B1 (ko)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US20230266849A1 (en) Display device
CN108628501B (zh) 适配于触摸感测的电流驱动的显示面板以及面板显示装置
CN108091669B (zh) 有机发光显示装置
KR20140110271A (ko)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599283B1 (ko)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US20230043940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140125578A (ko)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KR20190060910A (ko) 터치 센서를 포함한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11635846B2 (en) Display device
US10761652B2 (en) Touch panel, touch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ouch panel
KR20150019012A (ko)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KR20180046865A (ko) 터치 센서 내장형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001471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230195256A1 (en) Touch display device
US11367768B2 (en) Display device
US11886659B2 (en) Touch display device
US1196147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230367419A1 (en) Display device
KR102646488B1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US20240152228A1 (en) Touch display device and touch sensing method
CN118131946A (zh) 适配于触摸感测的电流驱动的显示面板以及面板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