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294B1 - Pressure sensor - Google Patents

Pressure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294B1
KR102000294B1 KR1020120108887A KR20120108887A KR102000294B1 KR 102000294 B1 KR102000294 B1 KR 102000294B1 KR 1020120108887 A KR1020120108887 A KR 1020120108887A KR 20120108887 A KR20120108887 A KR 20120108887A KR 102000294 B1 KR102000294 B1 KR 102000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holder
spring
housing
springs
press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8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42304A (en
Inventor
변을출
이상봉
김범규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8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294B1/en
Priority to PCT/KR2013/008554 priority patent/WO2014051313A2/en
Priority to JP2015534383A priority patent/JP6233898B2/en
Priority to CN201380050717.0A priority patent/CN104736985B/en
Publication of KR20140042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3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2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1Detecting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Measuring values used in the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7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 B60T8/368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combined with other mechanical components, e.g. pump units, master cylinders

Abstract

접속기판과의 접속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압력센서가 기재된다. 압력센서는,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에 결합되는 접속기판, 일단이 상기 접속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스프링, 상기 각 스프링의 하부 부분을 수용하는 하부 스프링 홀더, 상기 각 스프링에서 상기 하부 스프링 홀더와 반대쪽의 상부 부분을 수용하고 단부에 제1 체결부가 형성된 스프링 홀더 및 상기 접속기판을 수용하고 상기 제1 체결부에 체결되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 pressure sensor capable of stably maintaining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connection board is described. The pressure sensor includes a sensor module, a connecting board coupled to the sensor module, a plurality of springs having one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oard, a lower spring holder receiving a lower portion of each spring, And a housing having a spring holder having an upper portion opposite to the holder and having a first fastening portion at an end thereof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connection board and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Figure R1020120108887
Figure R1020120108887

Description

압력센서{PRESSURE SENSOR}Pressure sensor {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의 유압블록에 설치되어 전자제어장치의 회로기판과 접촉되며 브레이크 액압을 감지하는의 자동차용 압력센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 sensor for an automobile installed in a hydraulic block of an anti-lock brake system of an automobile and contacting a circuit board of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sensing a brake fluid pressur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감속 또는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이 구비된다. 브레이크 시스템은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페달과, 상기 페달과 연결되어 제동유압을 형성하는 부스터 및 마스터 실린더와, 부스터 및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입력된 제동유압에 따라 차량의 바퀴를 제동하는 휠 브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Generally,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a brake system for deceleration or braking. The brake system includes a pedal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force of the user, a booster and a master cylinder connected to the pedal to form a braking oil pressure, a booster and a wheel brake for braking the vehicle's wheels according to the braking hydraulic pressure inputted from the master cylinder .

이러한 브레이크 시스템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제동력이 발생할 때, 제동압력이 노면상태보다 크거나 제동압력으로 발생하는 휠 브레이크에서의 마찰력이 타이어나 노면에서 발생하는 제동력보다 큰 경우에는 타이어가 노면에서 미끄러지는 슬립현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상태에서는 조향장치가 잠겨서 원하는 방향으로 조향할 수 없다.When the braking force is generated by the driver pressing the brake pedal or when the braking pressure is larger than the road surface condition or the frictional force at the wheel brake generated by the braking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braking force generated at the tire or the road surface, A slip phenomenon occurs. And, when the brake is operated in this way, the steering apparatus is locked and can not be steered in a desired direction.

종래에는 슬립현상 발생시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전자적으로 브레이크의 답력을 제어하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 ABS)이 개발되었다.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은 휠 브레이크 측으로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개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저압 어큐뮬레이터 및 고압 어큐뮬레이터 등이 장착된 유압블록(hydraulic unit)과,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를 구비한다. 또한, 유압블록에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답력에 비례하여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된 브레이크 작동 압력을 감지하고, 이를 전자제어장치에 전기적 신호로 전달하는 압력센서가 설치된다. 전자제어장치는 압력센서에서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브레이크 작동을 제어한다.Conventionally, an anti-lock brake system (ABS) has been developed which electronically controls the brake force to enable steering when a slip phenomenon occurs. The anti-lock brake system includes a hydraulic unit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olenoid valves for adjusting braking hydraulic pressure transmitted to the wheel brake side, a low-pressure accumulator and a high-pressure accumulator,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The hydraulic block is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the brake operating pressure generated in the master cylinder in proportion to the brake pedal depression of the driver and transmitting the brake operating pressure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as an electrical signal. The electronic control unit controls the brake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ressure sensor.

종래의 압력센서는 마스터 실린더의 선단에 형성된 가공홀에 장착되며 별도의 커넥터와 케이블을 통해 전자제어장치의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런데 압력센서는 운전자의 답력에 의해 제동력이 발생할 경우, 미세한 진동에 의해 압력센서가 움직이게 된다. 이때, 압력센서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기존의 압력센서는 큰 진동이 입력될 경우, 전자제어장치의 회로기판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회로기판의 단자간에 정확한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고, 접촉불량이 발생할 수 있어 신호 및 전원이 불안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압력센서는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데, 압력센서의 크기가 비교적 작은 편이어서, 부품 조립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압력센서는 정밀 부품이기 때문에 정확한 조립이 필요한데 부품의 수가 증가할 수 록 제조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압력센서는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A conventional pressure sensor is mounted on a machining hole formed at the tip of a master cylinde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ircuit board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through a separate connector and a cable. However, when the braking force is generated by the driver's pressing force, the pressure sensor is moved by the minute vibration. At this time, the pressure sensor is elastically pressed by a spr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However, in the conventional pressure sensor, when a large vibration is input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falls off the circuit board of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s of the circuit board is not precisely performed, the contact failure may occur, there is a problem.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pressure senso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rts, the size of the pressure sensor is relatively small, so that the assembly process of the component is complicated, and since the pressure sensor is a precision component, accurate assembly is required. Failure may occur in the lock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ressure sensor ha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부품 수를 줄여서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압력센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ressure sensor capable of reducing the number of components, there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제어장치의 회로기판과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다양한 회로기판의 단자에 정확하게 체결이 가능한 압력센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ressure sensor capable of preventing a contact failure from occurring with a circuit board of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capable of accurately fastening to terminals of various circuit boards.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용 압력센서는,센서모듈(11), 상기 센서모듈(11)에 결합되는 접속기판(14), 상기 접속기판(14) 상부에 구비되며, 상단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접속기판(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스프링(15), 상기 접속기판(14)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각 스프링(15)의 하부 부분을 수용하는 하부 스프링 홀더(162), 상기 각 스프링(15)에 대해서 상기 하부 스프링 홀더(162)와 반대쪽의 상부 부분을 수용하고 단부에 제1 체결부(1613)가 형성된 상부 스프링 홀더(161) 및 상기 접속기판(14)을 수용하고 상기 제1 체결부(1613)에 체결되는 제2 체결부(122)가 형성된 하우징(12)을 포함하고, 상기 각 스프링(15)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상단과 상기 하단이 일 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도중에 단차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151)는 상기 복수의 스프링(15)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The automotive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module 11, a connection board 14 coupled to the sensor module 11, A plurality of springs 15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having a lower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oard 14 and a plurality of springs 15 disposed on the connecting board 14, An upper spring holder 161 having an upper portion opposite to the lower spring holder 162 with respect to the respective springs 15 and having a first fastening portion 1613 formed at an end thereof, And a housing (12) housing a substrate (14) and provided with a second fastening part (122) to b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1613), wherein each spring (15) And the lower end of the step portion 1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not to b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1, and the step portions 151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prings 15. [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1 체결부는 훅(hook)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가 걸림 결합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may have a hook shape,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s engaged.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안착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기판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안착 플랜지 상에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기판과 상기 하부 스프링 홀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체결부를 밀폐시키는 오링이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housing is formed with an inwardly projecting seating flange, and the connecting board is seated on the seating flange within the housing. Here, an O-ring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ng board and the lower spring holder to seal the second fastening part.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스프링은 길이 방향을 따라 '

Figure 112019061634486-pat00001
' 형태로 꺾여서 단차부가 형성된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plurality of springs are "
Figure 112019061634486-pat00001
Quot; shape and a stepped portion.

삭제delete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나의 하우징을 사용하므로 압력센서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조립 공정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의 조립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 발생률을 줄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ingle housing is used, the structure of the pressure sensor can be simplified and the assembling process can be reduced,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idence of defects that may occur in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pressure sens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력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압력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sure sensor of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ure sensor of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a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may be omitted so as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압력센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압력센서(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참고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압력센서(10)의 단면도 및 도 3은 도 1의 압력센서(10)의 분해 사시도이다.1 to 3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essure sensor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sure sensor 10 of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sure sensor 10 of FIG.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It is a perspective view.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압력센서(10)는 센서모듈(11)과 접속기판(14) 및 스프링(15)과 하우징(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1 to 3, the pressure sensor 10 includes a sensor module 11, a connecting board 14, a spring 15, and a housing 12.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use the same names for component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Figs. 1 to 3, and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센서모듈(11)은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각종 센서 게이지가 장착되고, 센서모듈(11)에서 센서가 장착된 단부에 접속되도록 접속기판(14)이 구비된다. 여기서, 센서모듈(11) 및 접속기판(14)의 상세한 기술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ensor module 11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board 14 such that various sensor gauges for sensing pressure are mounted an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nsor module 11 where the sensor is mounted. He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structure and functions of the sensor module 11 and the connection board 14 will be omitted.

스프링(15)은 접속기판(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접속기판(14)에 구비된 단자(미도시)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스프링(15)의 수와 배치 형태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15)은 4개가 정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되지만,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프링(15)의 수와 그 배치 형상은 접속기판(14)의 단자 형상에 따라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spring 15 is provid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oard 14 and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springs 15 are determined so as to correspond one-to-one with terminals (not shown) provided on the connection board 14. For example, although four springs 15 are arranged in a square shap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the number of the springs 15 and the arrangement thereof may be substantially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한편, 스프링(15)은 접속기판(14)에서 단자에 접촉되며 진동 상태에서도 접속기판(14)과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접속기판(14)에 소정의 탄성력이 가해진 상태로 결합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15)은 일정 길이를 갖는 코일 스프링이고, 길이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접속기판(14)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15)은 상부와 하부의 배치 간격이 다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프링(15)은 양쪽 단부가 서로 일직선 상에 배치되지 않는 형상을 가지며, 예를 들어, 스프링(15)은 길이 방향 중간에서 '

Figure 112018126411716-pat00002
' 형태로 꺾여서 단차부(151)가 형성된다. 스프링(15)은 단차부(15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15)을 도면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하였을 때 상부와 하부에서 스프링(15) 사이의 간격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스프링(15)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접속기판(14)과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가 되므로, 스프링(15)을 '
Figure 112018126411716-pat00010
' 형태로 단차부(151)를 형성함으로써, 접속기판(14)의 단자 위치에 대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프링(15)의 형상은 양쪽 단부가 사이의 거리가 서로 다르게 배치할 수 있다면,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pring 15 contacts the terminal on the connecting board 14 and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board 14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spring 15 can be st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oard 14 even in a vibrating state. For example, the spring 15 is a coil spring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can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board 14 in a compressed st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pring 15 may be formed to have a different spacing betwee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Specifically, the spring 15 has such a shape that the both ends are not arranged in a straight line with each other, for example,
Figure 112018126411716-pat00002
'So that the step portion 151 is formed. Since the stepped portion 151 is formed in the spring 15, when the spring 15 is arranged in the lengthwise direc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gap between the spring 15 and the spring 15 can be formed differently .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spring 15 serve as terminals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board 14 and the outside,
Figure 112018126411716-pat00010
By forming the step portion 151 in the shape of a " connection terminal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the shape of the spring 15 may have substantially various shapes, provid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both ends can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하우징(12)은 센서모듈(11), 접속기판(14)을 수용하여 압력센서(10)의 외관을 형성하고, 센서모듈(11)과 반대쪽에는 스프링 프로텍터(13)가 구비된다. 여기서, 스프링 프로텍터(13)는 스프링(15)이 스프링 홀더(16)에서 돌출된 부분을 수용하여 스프링(15)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스프링(15) 및 압력센서(10)가 전기장비의 단자에 장착될 때는 스프링 프로텍터(13)를 제거한 후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12) 내부에는 스프링(15)을 고정 및 지지하는 스프링 홀더(16)가 구비된다. 즉, 압력센서(10)는 하우징(12) 내부에 센서모듈(11)의 일부, 접속기판(14), 오링(17)이 수용된다. 하우징(12)의 하단부가 센서모듈(11)과 용접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2)의 상부에 스프링 홀더(16)에 장착된 스프링(15)이 결합된다.The housing 12 accommodates the sensor module 11 and the connection board 14 to form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pressure sensor 10 and a spring protector 13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nsor module 11. Here, the spring protector 13 serves to receive a portion of the spring 15 protruding from the spring holder 16 and prevent the spring 15 from being deformed. When the spring 15 and the pressure sensor 10 are mounted on the terminals of the electric equipment, the spring protector 13 is removed and then mounted. Inside the housing 12, a spring holder 16 for fixing and supporting a spring 15 is provided. That is, the pressure sensor 10 accommodates a part of the sensor module 11, the connecting board 14, and the O-ring 17 in the housing 12.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12 can be fixed to the sensor module 11 by welding. A spring 15 mounted on the spring holder 16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2.

하우징(12)은 접속기판(14)이 안착되며, 센서모듈(11)에서 접속기판(14)을 소정 간격 이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 플랜지(121)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안착 플랜지(121)는 하우징(12)의 소정 높이에서 내측 방향을 향해 일정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안정적으로 접속기판(14)을 지지할 수 있도록 4개의 안착 플랜지(121)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착 플랜지(121)의 수와 높이 및 형상은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안착 플랜지(121)는 하우징(12)과 일체로 형성되며, 하우징(12)을 펀칭하여 펀칭된 부분을 내측으로 벤딩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2)을 하나의 개체로 형성함으로써 하우징(12)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공정을 단순화 시키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 housing 12 is formed with at least one seating flange 121 on which the connecting board 14 is seated and the sensor board 11 is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ng board 1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the seating flange 121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housing 12 toward the insid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but the number, height, and shape of the mounting flange 121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mounting flange 121. For example, And may be practically variously modified. The mounting flange 12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12 and may be formed by punching the housing 12 and bending the punched portion inward. Here, by forming the housing 12 into a single entity,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12 can be simplified,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하우징(12)은 하나의 개체로 형성되고, 하우징(12)의 상단부가 스프링 홀더(16) 중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체결된다. 여기서, '체결'이라 함은 용접 또는 접착 등의 방법을 제외한 물리적인 결합 방식을 말한다.The housing 12 is formed as one piece and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2 is fastened to the upper spring holder 161 of the spring holder 16. Here, 'fastening' refers to a physical joining method except welding or adhesion.

구체적으로, 상부 스프링 홀더(161)의 단부에는 하우징(12)의 제2 체결부(122)에 결합되는 제1 체결부(1613)가 형성되고, 하우징(12)에는 제1 체결부(1613)가 맞물릴 수 있는 제2 체결부(122)가 형성된다.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하부 스프링 홀더(162) 및 하우징(12)가 조립되면, 제1 체결부(1613)가 하부 스프링 홀더(162)의 외주면을 통해서 하부 스프링 홀더(162)보다 하방으로 더 돌출되어서 하우징(12)의 상단부에 체결된다. 예를 들어, 제1 체결부(1613)는 상부 스프링 홀더(161)의 단부에서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 훅(hook)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체결부(122)는 제1 체결부(1613)가 걸림 결합 가능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체결부(122)는 하우징(12)에 형성된 홈 또는 개구부일 수 있다.A first coupling part 1613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art 122 of the housing 1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upper spring holder 161 and a first coupling part 1613 is formed in the housing 12, A second fastening portion 122 is formed. When the upper spring holder 161, the lower spring holder 162 and the housing 12 are assembled,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613 is moved downward from the lower spring holder 162 throug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spring holder 162 And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2. For example, the first fastening part 1613 may have a hook shape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upper spring holder 161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second fastening part 122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first fastening part 1613 can engage. For example,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22 may be a groove or an opening formed in the housing 12.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2)에서 안착 플랜지(121)가 형성되면서 형성된 개구는 스프링 홀더(16)와 체결될 수 있는 제2 체결부(122)가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체결부(1613)가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하우징(12)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하우징(12)을 결합 수단은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pening formed while the seating flange 121 is formed in the housing 12 becomes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22 which can be fastened to the spring holder 16. [ Althoug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613 has been described as coupling the upper spring holder 161 and the housing 1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the upper spring holder 161, (12) can be changed substantially in various ways.

하우징(12)은 안착 플랜지(121)를 형성하는 공정으로 인해서 제2 체결부(122)가 개구되어 형성되므로, 압력센서(10)의 밀폐를 위해서 개구된 제2 체결부(122)를 밀폐시키는 오링(o-ring)(17)이 구비된다. 오링(17)은 소정 두께를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접속기판(14)과 하부 스프링 홀더(162) 사이에 개재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링(17)은 제2 체결부(122)의 개구된 부분에 대응되는 소정 크기의 밀폐부(171)가 형성된다. 그리고, 접속기판(14)이 안착 플랜지(121) 상에 장착되고, 오링(17)은 접속기판(14)의 상면에 장착되어 압력센서(10) 내부를 밀폐시키며, 오링(17)의 밀폐부(171)가 개구된 제2 체결부(122)를 막아서 압력센서(10)를 밀폐시킨다.The housing 12 is formed by opening the second fastening part 122 due to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ating flange 121 so that the second fastening part 122 opened for sealing the pressure sensor 10 is sealed An o-ring 17 is provided. The O-ring 17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on board 14 and the lower spring holder 162.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O-ring 17 is formed with a sealing portion 171 of a predetermined size corresponding to the opened portion o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22. The connecting board 14 is mounted on the mounting flange 121 and the O-ring 17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oard 14 to seal the inside of the pressure sensor 10,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22 having the opening 171 is closed to seal the pressure sensor 10.

스프링(15)이 소정 길이를 갖는 코일 스프링이며 길이 방향을 따라 힘을 받게 되므로 스프링(15)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 홀더(16)가 스프링(15)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스프링 홀더(16)는 스프링(15)의 단차부(151) 상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스프링(15)의 단차부(151)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스프링 홀더(162)로 구성된다.A spring holder 16 is formed to receive the spring 15 so as to prevent buckling of the spring 15 because the spring 15 is a coil spring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receives a for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pring holder 16 includes an upper spring holder 161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tep portion 151 of the spring 15 and a lower spring holder 162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tep portion 151 of the spring 15 .

상부 스프링 홀더(161)는 스프링(15)의 단차부(151) 상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1611)이 형성되고, 중앙에 하부 스프링 홀더(162)와 결합되는 결합 홀(1612)이 형성된다. 하부 스프링 홀더(162)는 스프링(15)의 단차부(151) 하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1621)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부 스프링 홀더(161)의 결합 홀(1612)에 체결되는 결합 돌기(1623)가 형성된다.The upper spring holder 161 is formed with a guide hole 1611 through which the upper part of the stepped portion 151 of the spring 15 is inserted and a coupling hole 1612 formed with the lower spring holder 162 at the center thereof. The lower spring holder 162 is formed with a guide hole 1621 into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step portion 151 of the spring 15 is inserted and a coupling protrusion 1623 are formed.

여기서,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하부 스프링 홀더(162)는 서로 체결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하부 스프링 홀더(162)의 중앙 부분에 소정 높이로 돌출된 결합 돌기(1623)가 형성되고, 상부 스프링 홀더(161)에는 결합 돌기(1623)에 대응되는 결합 홀(16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스프링 홀더(162)의 결합 돌기(1623)가 상부 스프링 홀더(161)의 결합 홀(1612)에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다.Here, the upper spring holder 161 and the lower spring holder 162 are formed to be fastenable to each other. For example, a coupling protrusion 1623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pring holder 162, and a coupling hole 1612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1623 is formed in the upper spring holder 161 . The engaging projections 1623 of the lower spring holder 162 are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s 1612 of the upper spring holder 161 and engaged with each other.

스프링(15)은 단차부(151) 부분이 하부 스프링 홀더(162)의 상면에 장착되는데 단차부(151) 길이만큼 상부 스프링 홀더(161)의 가이드 홀(1611)과 하부 스프링 홀더(162)의 가이드 홀(1621)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스프링 홀더(161)의 가이드 홀(1611)과 하부 스프링 홀더(162)의 가이드 홀(1621)이 어긋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부 스프링 홀더(161)의 가이드 홀(1611)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1622)가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1622)가 상부 스프링 홀더(161)의 가이드 홀(1611)에 삽입된다.The spring 15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pring holder 162 by the step portion 151. The guide hole 1611 of the upper spring holder 161 and the lower spring holder 162 of the lower spring holder 162 The guide holes 1621 are formed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In order to keep the guide hole 1611 of the upper spring holder 161 and the guide hole 1621 of the lower spring holder 162 from shifting, a guid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611 of the upper spring holder 161 A projection 1622 is formed. 3, the guide protrusion 1622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611 of the upper spring holder 161. As shown in Fig.

상부 스프링 홀더(161)의 단부에는 하우징(12)의 제2 체결부(122)에 결합되는 제1 체결부(16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스프링 홀더(161)가 하부 스프링 홀더(162)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체결부(1613)가 제2 체결부(122)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부 스프링 홀더(162)의 측면에 홈(1624)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e end of the upper spring holder 161, a first coupling part 1613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art 122 of the housing 12 is formed. The upper spring holder 161 is coupled to the lower spring holder 162 so that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613 can be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22, 1624 may be formed.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 스프링(15)을 타고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단부재(18)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프링(15)을 관통하여 차단부재(18)가 구비된다. 또한, 차단부재(18)는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하부 스프링 홀더(16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차단부재(18)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차단부재(18)가 복수의 스프링(15)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스프링(15) 각각에 차단부재(18)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blocking member 18 may be provided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spring 15.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a blocking member 18 is provided through a plurality of springs 15. In addition, the blocking member 18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spring holder 161 and the lower spring holder 162. In addition, the blocking member 18 may include all of the plurality of springs 15, as shown in Fig. Alternatively,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hat a blocking member 18 is provided on each of the springs 15.

여기서, 차단부재(18)는 스프링(15)에 인서트 몰딩 또는 포밍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프링(15)을 따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로를 차단시킬 수 있는 방법이면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Here, the blocking member 18 may be formed by a method such as insert molding or forming on the spring 15, and may be practically variously modified as long as it can block the path through which the foreign matter flows along the spring 15 .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스프링(15)이 '

Figure 112012079521696-pat00003
' 형상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프링은 상술한 예와는 달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일자형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압력센서(10)는 센서모듈(11)과 접속기판(14) 및 스프링(25)과 하우징(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과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Figure 112012079521696-pat00003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pring may be a straight type coil spring which is generally used, unlike the above-described example. 5, the pressure sensor 10 includes a sensor module 11, a connection board 14, a spring 25, and a housing 12. The pressure sensor 10 includes a sensor module 11, In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the same names and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element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Figs. 1 to 3, and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스프링(25)은 접속기판(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접속기판(14)에 구비된 단자(미도시)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스프링(25)의 수와 배치 형태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25)은 4개가 정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되지만,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프링(25)의 수와 그 배치 형상은 접속기판(14)의 단자 형상에 따라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spring 25 is provid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oard 14 and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springs 25 are determined so as to correspond one-to-one to terminals (not shown) provided on the connection board 14. For example, although four springs 25 are arranged in a square shap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the number of the springs 25 and the arrangement thereof may be substantially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한편, 스프링(25)은 접속기판(14)에서 단자에 접촉되며 진동 상태에서도 접속기판(14)과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접속기판(14)에 소정의 탄성력이 가해진 상태로 결합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25)은 일정 길이를 갖고 직선 형상을 갖는 코일 스프링이고, 길이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접속기판(14)에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pring 25 contacts the terminal on the connection board 14 and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board 14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spring 25 can be st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oard 14 even in a vibrating state. For example, the spring 25 is a coil spring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linear shape, and can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board 14 in a compressed st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여기서, 하우징(12)은 접속기판(14)이 안착되는 안착 플랜지(121)가 형성된 제2 체결부(122)와 상기 제2 체결부(122)를 밀폐시키는 오링(o-ring)(17)이 구비되고, 스프링(25)을 고정 및 지지하면서 하우징(12)에 결합되는 스프링 홀더(16)가 구비된다.Here, the housing 12 includes a second fastening part 122 formed with a seating flange 121 on which the connecting board 14 is seated, an o-ring 17 sealing the second fastening part 122, And a spring holder 16 which is coupled to the housing 12 while fixing and supporting the spring 25. [

스프링(25)이 단면적에 비해 긴 길이를 갖는 코일 스프링이기 때문에, 스프링 홀더(16)는 스프링(25)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25)을 수용 및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스프링(25)의 상부를 수용하는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스프링(25)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스프링 홀더(16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프링 홀더(16)는 1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spring holder 16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support the spring 25 so as to prevent buckling of the spring 25, since the spring 25 is a coil spring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For exampl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upper spring holder 161 that receives the upper portion of the spring 25 and the lower spring holder 162 that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spring 25 may be configur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the spring holder 16 may be constituted by one spring.

상부 스프링 홀더(161)의 단부에는 하우징(12)의 제2 체결부(122)에 결합되는 제1 체결부(1613)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체결부(1613)는 상부 스프링 홀더(161)의 단부에서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스프링 홀더(161)가 하부 스프링 홀더(162)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체결부(1613)가 제2 체결부(122)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부 스프링 홀더(162)의 측면에 홈(1624)이 형성될 수 있다.At the end of the upper spring holder 161, a first coupling part 1613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art 122 of the housing 12 is formed. For example,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613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end of the upper spring holder 161. The upper spring holder 161 is coupled to the lower spring holder 162 so that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613 can be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22, 1624 may be formed.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체결부(1613)가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하우징(12)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하우징(12)을 결합시키는 수단은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Althoug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613 has been described as coupling the upper spring holder 161 and the housing 1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the upper spring holder 161, The means for engaging the engaging portion 12 can be substantially varied.

또한, 압력센서(10)는 스프링(25)을 타고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단부재(18)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차단부재(18)는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하부 스프링 홀더(16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부재(18)는 4개의 스프링(25)에 설치되는 1개의 부재이거나, 4개의 스프링(25)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의 부재일 수 있다. 여기서, 차단부재(18)는 스프링(25)에 인서트 몰딩 또는 포밍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프링(25)을 따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로를 차단시킬 수 있는 방법이면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차단부재(18)가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차단부재(18)가 생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e sensor 10 may be provided with a blocking member 18 in order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spring 25. In addition, the blocking member 18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spring holder 161 and the lower spring holder 162. For example, the blocking member 18 may be a single member provided on the four springs 25, or a plurality of members provided on each of the four springs 25. Here, the blocking member 18 may be formed by a method such as insert molding or forming on the spring 25, and may be practically variously modified as long as it can block the path through which foreign matter flows along the spring 25. [ . Here, although the blocking member 18 is illustra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locking member 18 may b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 압력센서
11: 센서모듈
12: 하우징
121: 안착 플랜지
13: 스프링 프로텍트(spring protect)
14: 접속기판
15: 스프링
151: 단차부
16: 스프링 홀더
161: 상부 스프링 홀더
162: 하부 스프링 홀더
17: 오링(O-ring)
18: 차단부재
10: Pressure sensor
11: Sensor module
12: Housing
121: Mounting flange
13: Spring protect
14:
15: spring
151:
16: spring holder
161: Upper spring holder
162: Lower spring holder
17: O-ring
18:

Claims (10)

센서모듈(11);
상기 센서모듈(11)에 결합되는 접속기판(14);
상기 접속기판(14) 상부에 구비되며, 상단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접속기판(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스프링(15);
상기 접속기판(14)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각 스프링(15)의 하부 부분을 수용하는 하부 스프링 홀더(162);
상기 각 스프링(15)에 대해서 상기 하부 스프링 홀더(162)와 반대쪽의 상부 부분을 수용하고 단부에 제1 체결부(1613)가 형성된 상부 스프링 홀더(161); 및
상기 접속기판(14)을 수용하고 상기 제1 체결부(1613)에 체결되는 제2 체결부(122)가 형성된 하우징(12);
을 포함하고,
상기 각 스프링(15)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상단과 상기 하단이 일 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도중에 단차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151)는 상기 복수의 스프링(15)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압력센서.
A sensor module 11;
A connection board (14) coupled to the sensor module (11);
A plurality of springs (15) provided on the connecting board (14), an upper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a lower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oard (14);
A lower spring holder 162 provided on the connecting board 14 to receive a lower portion of each spring 15;
An upper spring holder 161 which receives an upper portion of the spring 15 opposite to the lower spring holder 162 and has a first fastening portion 1613 at an end thereof; And
A housing 12 having a second fastening part 122 for receiving the connecting board 14 and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1613;
/ RTI >
Each of the springs (15) is formed with a step portion (15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are not alig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step portion (151) is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prings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1613)는 훅(hook)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체결부(122)는 상기 제1 체결부(1613)가 걸림 결합되는 형상을 갖는 압력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astening part 1613 has a hook shape,
The second fastening part (122) has a shape in which the first fastening part (1613) is engag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은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안착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기판(14)은 상기 하우징(12) 내부에서 상기 안착 플랜지 상에 안착되는 압력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12 is formed with an inwardly projecting seating flange,
Wherein the connecting board (14) is seated on the seating flange within the housing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기판(14)과 상기 하부 스프링 홀더(16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체결부(122)를 밀폐시키는 오링(17)이 더 구비되는 압력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O-ring (17)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ng board (14) and the lower spring holder (162) to seal the second fastening part (12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프링(15)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
Figure 112019061634486-pat00004
' 형태로 꺾여서 단차부(151)가 형성된 코일 스프링인 압력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spective springs (15)
Figure 112019061634486-pat00004
And the stepped portion 151 is form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프링(15)에 설치되는 차단부재(18)가 더 구비되고,
상기 차단부재(18)는 상기 하부 스프링 홀더(162)와 상기 상부 스프링 홀더(16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스프링(15)을 따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로를 차단시키는 압력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locking member (18) provided to the plurality of springs (15)
The blocking member 18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spring holder 162 and the upper spring holder 161 to block a path through which the foreign matter flows along the plurality of springs 15. [
KR1020120108887A 2012-09-28 2012-09-28 Pressure sensor KR1020002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887A KR102000294B1 (en) 2012-09-28 2012-09-28 Pressure sensor
PCT/KR2013/008554 WO2014051313A2 (en) 2012-09-28 2013-09-25 Pressure sensor
JP2015534383A JP6233898B2 (en) 2012-09-28 2013-09-25 Pressure sensor
CN201380050717.0A CN104736985B (en) 2012-09-28 2013-09-25 pressur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887A KR102000294B1 (en) 2012-09-28 2012-09-28 Pressure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304A KR20140042304A (en) 2014-04-07
KR102000294B1 true KR102000294B1 (en) 2019-07-15

Family

ID=50389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887A KR102000294B1 (en) 2012-09-28 2012-09-28 Pressure sens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33898B2 (en)
KR (1) KR102000294B1 (en)
CN (1) CN104736985B (en)
WO (1) WO2014051313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8388B2 (en) 2014-08-05 2017-02-14 Sensata Technologies, Inc. Small form factor pressure sensor
KR102597323B1 (en) * 2015-12-29 2023-11-06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essure sensor and manufacturing thereof
KR101907731B1 (en) 2015-12-29 2018-10-12 주식회사 한화 Trunkline Delay Detonator And Blast Initiation apparatus
KR102286353B1 (en) * 2020-04-23 2021-08-05 주식회사 센서뷰 Connector test probe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5514A (en) 2002-12-20 2004-07-22 Texas Instruments Inc Airtight pressure transducer
JP2005106796A (en) * 2003-08-05 2005-04-21 Fuji Koki Corp Pressure sensor
US20090314096A1 (en) 2008-06-19 2009-12-24 Eltek S.P.A. Pressure sensor device
WO2012007987A1 (en) 2010-07-13 2012-01-19 三菱電機株式会社 Pressure sensor unit and brak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23875A1 (en) * 1987-07-18 1989-02-02 Daimler Benz Ag SAFETY DEVICE FOR A ROAD VEHICLE EQUIPPED WITH AN ANTI-BLOCKING SYSTEM
JPH0821775A (en) * 1994-07-08 1996-01-23 Fuji Koki Seisakusho:Kk Pressure sensor
KR19990008150A (en) * 1996-03-07 1999-01-25 노무라마사나리 Pressure sensor module
CN1171547A (en) * 1996-07-22 1998-01-28 宇成电机工业株式会社 Pressure sensor
JP3405457B2 (en) * 2000-11-30 2003-05-12 日本精機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ressure sensor
JP4774678B2 (en) * 2003-08-29 2011-09-14 富士電機株式会社 Pressure sensor device
KR100923202B1 (en) * 2007-12-05 2009-10-22 주식회사 만도 Pressure sensor
KR100967131B1 (en) * 2007-12-04 2010-07-05 주식회사 만도 Pressure sensor
CN102171454B (en) * 2008-09-30 2014-03-12 佳能安内华股份有限公司 Vacuum evacuation system,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vacuum evacuation system
KR101600089B1 (en) * 2009-10-14 2016-03-07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vertical pressure sensor
KR101756477B1 (en) * 2010-12-30 2017-07-11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essure sens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5514A (en) 2002-12-20 2004-07-22 Texas Instruments Inc Airtight pressure transducer
JP2005106796A (en) * 2003-08-05 2005-04-21 Fuji Koki Corp Pressure sensor
US20090314096A1 (en) 2008-06-19 2009-12-24 Eltek S.P.A. Pressure sensor device
WO2012007987A1 (en) 2010-07-13 2012-01-19 三菱電機株式会社 Pressure sensor unit and brak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1313A3 (en) 2014-05-22
CN104736985B (en) 2019-01-01
KR20140042304A (en) 2014-04-07
WO2014051313A2 (en) 2014-04-03
CN104736985A (en) 2015-06-24
JP2015532418A (en) 2015-11-09
JP6233898B2 (en) 201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4357B2 (en) Connection unit for a pressure measuring cell
US9046436B2 (en) Sensor unit
KR101756477B1 (en) Pressure sensor
US9791338B2 (en) Pressure sensor capable of improving assembling efficiency by using spring electrode
US8671767B2 (en) Pressure sensor, in particular for a braking apparatus
KR102000293B1 (en) Pressure sensor
KR101575268B1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using coupling member and method thereof
KR102000294B1 (en) Pressure sensor
KR101945587B1 (en) A pressure sensor
US20150040673A1 (en) Support Unit for a Circuit Board in a Sensor Unit and Corresponding Sensor Unit
US20200282940A1 (en) Steering wheel
US9821776B2 (en) Brake actuation sensor device for a vehicle brake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a brake actuation sensor device on a vehicle brake system
KR101897293B1 (en) Pressure sensor
CN101434223A (en) Steering assembly
CN108778867B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KR20180097153A (en) Pressure sensor
KR101735741B1 (en) A sensor
KR102535655B1 (en) Pressure sensor
KR100847479B1 (en) Car anti-lock brake system electronic control unit housing assembly
KR101787703B1 (en) A sensor
US20180297568A1 (en) Electronic Brake Pressure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