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101B1 - 우산이 탈부착되는 링겔대 - Google Patents

우산이 탈부착되는 링겔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101B1
KR101999101B1 KR1020180015590A KR20180015590A KR101999101B1 KR 101999101 B1 KR101999101 B1 KR 101999101B1 KR 1020180015590 A KR1020180015590 A KR 1020180015590A KR 20180015590 A KR20180015590 A KR 20180015590A KR 101999101 B1 KR101999101 B1 KR 101999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mbrella
ring
wheel
wh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승남
박미경
양용주
이채영
한성진
Original Assignee
신성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성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5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우산이 탈부착되는 링겔대는, 지면에서 이동가능 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바퀴를 연결하는 어느 하나의 바퀴축부를 구비한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일 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파이프 형상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어 고리를 구비한 링겔부, 상기 링겔부 하부에 위치하고, 우산의 손잡이와 탈부착되는 탈부착홈의 내부면에 다수의 탄성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우산을 고정시키는 탈부착부, 상기 탈부착부의 일 측에 형성된 볼바디가 개구부를 통해 회동가능 하도록 수용되고, 상기 볼바디를 고정시키는 제1 볼고정부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볼타입연결부, 각 바퀴축부에 형성된 각 중량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각 바퀴로 전달된 중량의 합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할 때, 각 바퀴축부 사이의 축간거리를 조절하는 축간조절부 및 상기 어느 하나의 바퀴로 전달된 중량이 각 중량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중량의 평균값보다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바퀴와 상기 이동부 사이의 축륜거리를 조절하는 축륜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산이 탈부착되는 링겔대{A RINGER MOVING APPARATUS FOR REMOVING AND ATTACHING AN UMBRELLA}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우산이 탈부착되는 링겔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우산이 탈부착되는 링겔대에서, 우산을 거치하여 용이하게 펴지거나 접히도록 탈부착부와 볼타입연결부를 형성하고, 우산의 중량이나 거치된 각도에 따라 이동부의 축간거리와 축륜거리를 조절하여 무게중심을 분산시킬 수 있는 우산이 탈부착되는 링겔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는 링겔액을 투여받고 있는 환자가 이동할 때 편리하도록 이동형 링겔대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형 링겔대는 환자가 링겔액이 든 링겔병 또는 링겔팩과 함께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걸어놓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특히, 이동형 링겔대를 이용한 환자들이 비가 오는 날이나 햇빛이 강한 날에 실외로 외출할 때, 강한 햇빛으로 인한 자외선 차단을 위해 또는 수액을 맞고 있는 팔에 빗물이 닿지 않도록 한 손으로 링겔대를 끌고, 다른 한 손으로 우산이나 양산을 쓰고 가야하기 때문에, 이동형 링겔대를 이용하는 환자들에게는 번거로움과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더구나, 환자들은 질병 또는 사고로 인하여 이동형 링겔대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외로 외출 시 양 손에 가해지는 힘이 없어, 외출이 필요한 경우에도, 외출을 시도조차 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동형 링겔대를 이용한 환자들이 외출 시 빗물이나 강한 태양광선으로부터 몸을 쉽게 보호하고, 용이하게 링겔대를 이용할 수 있도록 우산이 탈부착되는 링겔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지지부의 일 측에 형성된 탈부착부에 끼움 결합된 우산이 접히거나 펴질 때, 상기 탈부착부에 연결된 볼타입연결부를 통해 링겔이나 링겔부에 의해 간섭되지 않게 회동하도록 형성되어, 링겔대에서 우산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우산이 탈부착되는 링겔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산의 중량으로 인하여 가중된 하중에 따라 링겔대가 이동 시 일 측으로 편중되는 중량을 감지하고, 각 중량에 따라 이동부의 축간거리와 축륜거리가 조절되어, 무게중심을 분산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우산이 탈부착되는 링겔대는, 지면에서 이동가능 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바퀴를 연결하는 어느 하나의 바퀴축부를 구비한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일 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파이프 형상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어 고리를 구비한 링겔부, 상기 링겔부 하부에 위치하고, 우산의 손잡이와 탈부착되는 탈부착홈의 내부면에 다수의 탄성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우산을 고정시키는 탈부착부, 상기 탈부착부의 일 측에 형성된 볼바디가 개구부를 통해 회동가능 하도록 수용되고, 상기 볼바디를 고정시키는 제1 볼고정부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볼타입연결부, 각 바퀴축부에 형성된 각 중량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각 바퀴로 전달된 중량의 합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할 때, 각 바퀴축부 사이의 축간거리를 조절하는 축간조절부 및 상기 어느 하나의 바퀴로 전달된 중량이 각 중량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중량의 평균값보다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바퀴와 상기 이동부 사이의 축륜거리를 조절하는 축륜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우산이 탈부착되는 링겔대는, 지지부의 일 측에 형성된 탈부착부에 끼움 결합된 우산이 접히거나 펴질 때, 상기 탈부착부에 연결된 볼타입연결부를 통해 링겔이나 링겔부에 의해 간섭되지 않게 회동하도록 형성되어, 링겔대에서 우산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산의 중량으로 인하여 가중된 하중에 따라 링겔대가 이동 시 일 측으로 편중되는 중량을 감지하고, 각 중량에 따라 이동부의 축간거리와 축륜거리가 조절되어, 무게중심을 분산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우산이 탈부착되는 링겔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부의 하측면도에 대한 실시 예이다.
도 3은 도 2의 축간조절부에 대한 동작도이다.
도 4는 도 2의 어느 하나의 축륜조절부에 대한 동작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우산이 탈부착되는 링겔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우산이 탈부착되는 링겔대의 전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부의 하측면도에 대한 실시 예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우산이 탈부착되는 링겔대(1000)는 이동부(100), 지지부(200), 링겔부(300), 탈부착부(400), 볼타입연결부(500), 축간조절부(600-1, 600-2) 및 축륜조절부(700-1~700-N)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이동부(100)는 지면에서 이동가능 하도록 형성된 각 바퀴(1-1~1-N)를 한쌍으로 연결하는 어느 하나의 바퀴축부(110-1~110-N)가 구비되고, 후술할 구성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프레임(120)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바퀴축부(110-1~110-N)는 지지프레임(120)과 각 바퀴(1-1~1-N) 사이에 배치되고, 각 바퀴(1-1~1-N)로 전달되는 각각의 하중을 감지하도록 각 중량감지부(130-1~130-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바퀴축부(110-1~110-N)는 지지프레임(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 바퀴축부(110-1~110-N) 사이에 형성된 축간거리(D1, D2)가 조절되도록 축간연결부(15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지부(200)는 이동부(100)의 일 면에 수직으로 결합하고,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200)는 지지프레임(120)의 일 면에 중심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10)와 연장부(210)의 위치를 락킹 또는 해제하도록 형성된 높이조절수단(220)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링겔부(300)는 지지부(200)의 연장부(210)에 대해 수직으로 연결되고, 일 측에 형성되는 고리를 구비하여 링겔 수액을 걸어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탈부착부(400)는 링겔부(300)의 하 측에서, 우산(10)의 손잡이가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탈부착부(400)는 우산(10)이 손잡이가 수용되는 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탄성돌기를 통해 우산(10)의 손잡이를 끼움 결합시키는 구조, 좌우 양방향으로 신축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우산(10)의 손잡이를 끼움 결합시키는 "C"자형 또는 "U"자형의 홀더의 구조, 우산(10)의 손잡이가 끼워질 때,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는 결합나사(미도시)를 통해 우산(10)의 손잡이와 고정 결합시키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볼타입연결부(500)는 탈부착부(400)의 일 측에 형성된 볼나사(450)를 수용하고, 링겔부(300)의 하부에서 우산(10)이 펼쳐지는 동시에, 접히도록 탈부착부(400)에 형성된 볼나사(450)가 개구부(510)를 통해 회동가능 하도록 형성되며, 볼바디(450)를 고정시키는 제1 볼고정부(520)와 지지부(200)에 탈부착부(400)와 볼타입연결부(50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고정부(530)는 지지부(200)의 일 측 외면을 감싸도록 밴드로 형성될 수 있고, 볼타입연결부(500)의 일 측이 지지부(200)의 일 측에 접촉되어 각각이 형성한 나사홈(미도시)을 통해 삽입되어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나사(미도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축간조절부(600-1, 600-2)는 우산(10)의 하중으로 인하여 중량감지부(130-1~130-N)를 통해 감지된 각 중량의 합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각 바퀴축부(110-1~110-N) 사이의 축간거리(D1, D2)가 조절되도록 이동부(100)의 중심에 위치한 바퀴축부(예컨대, 110-2)를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한 적어도 둘 이상의 바퀴축부(예컨대, 110-1, 110-3)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중량감지부(130-1~130-N)는 서로 연결되어, 각 중량감지부(130-1~130-N)를 통해 감지된 각 중량을 측간조절부(600-1, 600-2)에 전송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축간조절부(600-1, 600-2)는 축간연결부(15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되어, 중량감지부(130-1~130-N)를 통해 감지된 각 바퀴(1-1~1-N)로 전달된 각 중량의 합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각각의 축간거리(D1, D2)를 조절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펌프(610), 실린더(620), 밸브(630), 밸브제어부(640) 및 로드부(650)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하나의 축간조절부(600-1)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유압펌프(610)는 중량감지부(130-1~130-N)를 통해 감지된 각 중량의 합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할 때, 축거밸브제어부(350)로부터 구동신호를 전송받아, 작동유를 펌핑시켜 실린더(620)에 공급하는 펌프로서, 별도의 유압공급라인을 실린더(620)에 연결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실린더(620)는 유압펌프(610)로부터 상기 작동유를 공급받아 일 측 내부에 형성된 내부압력을 통해 타 측 내부에 형성된 로드부(650)를 외부로 각각 돌출 연장 시키는 유압식 실린더일 수 있다.
여기서, 로드부(650)는 축간연결부(150)의 일 측과 연결되어, 돌출 연장될 때, 하나의 축간조절부(600-1)가 형성된 바퀴축부(110-1)를 이동부(100)의 중심에 위치한 바퀴축부(110-2) 사이의 축간거리(D1)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밸브(630)는 유압펌프(610)와 축거실린더(620)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실린더(620)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예컨대,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밸브제어부(640)는 중량감지부(130-1~130-N)를 통해 감지된 각 중량의 합에 따라 유압펌프(610)를 구동시키고, 밸브(630)의 작동유 개방량을 조절하여 유압펌프(610)로부터 축거실린더(620)로 작동유를 공급하여 축거실린더(620의 타측 내부에 형성된 로드부(650)를 축간연결부(150) 방향으로 돌출 연장 시킴으로써, 해당 축간조절부(600-1)가 형성된 바퀴축부(110-1)와 이동부(100)의 중심에 위치한 바퀴축부(110-2) 사이의 축간거리(D1)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축간조절부(600-1, 600-2)는 우산(10)이 결합되여 발생한 중량에 따라, 축간연결부(15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된 각 로드부(650, 651)를 축간연결부(150) 방향으로 돌출 연장 시켜, 각 축간거리(D1, D2)를 조절하고, 무게중심을 분산시켜 링겔대(1000)의 전복에 대한 위험 또는 낙하위험을 예방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축륜조절부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어느 하나의 축륜조절부에 대한 동작도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구성들은, 도 3에 도시된 구성들 예컨대, 펌프, 실린더, 밸브와 동일한 동작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우산이 탈부착되는 링겔대(1000)는 중량감지부(130-1~130-N)를 통해 감지된 각 중량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바퀴(1-1~1-N)로 전달된 중량이 각 중량의 평균보다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바퀴(1-1~1-N)와 이동부(100) 사이의 축륜거리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축륜조절부(700-1~700-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중량감지부(130-1~130-N)는 서로 연결되어, 각 중량감지부(130-1~130-N)를 통해 감지된 각 중량을 축륜조절부(700-1~700-N)에 전송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축륜조절부(700-1~700-N)는 축간거리를 조절하는 구성과 별도로, 각 바퀴축부(110-1~110-N)에 한쌍(예컨대, 700-1, 700-2)으로 형성되고, 여기서, 어느 하나의 축륜조절부(예컨대, 700-1)는 어느 하나의 바퀴(예컨대, 1-1)와 이동부(100) 사이의 축륜거리(L1)가 조절되도록 유압펌프(710), 실린더(720), 밸브(730) 및 밸브제어부(740), 로드부(750)를 포함하고, 여기서, 로드부(750)는 바퀴(1-1)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밸브제어부(740)는 중량감지부(130-1~130-N)를 통해 감지된 해당 바퀴(1-1) 측의 중량이 각 중량의 평균보다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유압펌프(710)를 구동시키고, 축거밸브(730)의 작동유 개방량을 조절하여 유압펌프(710)로부터 축거실린더(720)로 작동유를 공급하여 축거실린더(720)의 타측 내부에 형성된 로드부(650)를 돌출 연장 시킴으로써, 로드부(750)에 연결된 어느 하나의 바퀴(예컨대, 1-1)와 이동부(100)의 중심부 사이의 축륜거리(L1)를 조절함으로써, 우산이 부착되어 결합된 링겔대(1000)가 이동 시 일 측으로 하중이 편중되는 중량을 분산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우산이 탈부착되는 링겔대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된다.
1-1~1-N: 바퀴 10: 우산
100: 이동부 130-1~130-N: 중량감지부
200: 지지부 300: 링겔부
400: 탈부착부 500: 볼타입연결부
600-1, 600-2: 축간조절부 700-1~700-N: 축륜조절부

Claims (1)

  1. 지면에서 이동가능 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바퀴를 연결하는 어느 하나의 바퀴축부를 구비한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일 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파이프 형상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어 고리를 구비한 링겔부;
    상기 링겔부 하부에 위치하고, 우산의 손잡이와 탈부착되는 탈부착홈의 내부면에 다수의 탄성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우산을 고정시키는 탈부착부;
    상기 탈부착부의 일 측에 형성된 볼바디가 개구부를 통해 회동가능 하도록 수용되고, 상기 볼바디를 고정시키는 제1 볼고정부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볼타입연결부;
    각 바퀴축부에 형성된 각 중량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각 바퀴로 전달된 중량의 합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할 때, 각 바퀴축부 사이의 축간거리를 조절하는 축간조절부; 및
    상기 어느 하나의 바퀴로 전달된 중량이 각 중량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중량의 평균값보다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바퀴와 상기 이동부 사이의 축륜거리를 조절하는 축륜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이 탈부착되는 링겔대.
KR1020180015590A 2018-02-08 2018-02-08 우산이 탈부착되는 링겔대 KR101999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590A KR101999101B1 (ko) 2018-02-08 2018-02-08 우산이 탈부착되는 링겔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590A KR101999101B1 (ko) 2018-02-08 2018-02-08 우산이 탈부착되는 링겔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101B1 true KR101999101B1 (ko) 2019-07-11

Family

ID=67254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590A KR101999101B1 (ko) 2018-02-08 2018-02-08 우산이 탈부착되는 링겔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1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1132A (zh) * 2019-11-29 2020-02-28 陕西中医药大学 一种背带便携式多功能输液架
KR20210059256A (ko) 2019-11-15 2021-05-25 김소현 필요한 곳에 탈부착할 수 있는 링거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067A (ko) * 2001-10-31 2003-05-09 파라마운트 베드 가부시키가이샤 손잡이겸용 이동조작장치
US20080035804A1 (en) * 2006-06-27 2008-02-14 Ferguson Kevin M Intravenous stand
JP2013052230A (ja) * 2011-08-11 2013-03-21 Mie Metal Industry Co Ltd 点滴スタンド
US20130134285A1 (en) * 2011-11-28 2013-05-30 Mtm International, Ltd. Mobile bas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067A (ko) * 2001-10-31 2003-05-09 파라마운트 베드 가부시키가이샤 손잡이겸용 이동조작장치
US20080035804A1 (en) * 2006-06-27 2008-02-14 Ferguson Kevin M Intravenous stand
JP2013052230A (ja) * 2011-08-11 2013-03-21 Mie Metal Industry Co Ltd 点滴スタンド
US20130134285A1 (en) * 2011-11-28 2013-05-30 Mtm International, Ltd. Mobile bas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256A (ko) 2019-11-15 2021-05-25 김소현 필요한 곳에 탈부착할 수 있는 링거대
CN110841132A (zh) * 2019-11-29 2020-02-28 陕西中医药大学 一种背带便携式多功能输液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9633B2 (en) Exoskeleton arm interface
KR101999101B1 (ko) 우산이 탈부착되는 링겔대
CN101795601A (zh) 铰接的人体手臂支撑
CN109681557B (zh) 减震装置及其轮子结构
DK2855203T3 (en) Cargo transport crawler and a system with a plurality of crawlers as well as a cargo transport method.
US20130253385A1 (en) Motorized exoskeleton unit
ES2830754T3 (es) Sistema de izado y transporte
EP2323610B1 (en) Walker
US20170143573A1 (en) Exoskeleton comprising a foot structure
MXPA06015059A (es) Dispositivo de ejercicio para caminar y estabilizar.
US5190265A (en) Vehicle service tool
CN106333801B (zh) 侧位升降多功能移位机
CN103315876A (zh) 一种用于步态康复训练的骨盆机构
EP3959043B1 (en) System for assisting an operator in exerting efforts
CN110051512A (zh) 一种多功能智能助行架
CN104814841A (zh) 全自动移位机
CA2437662A1 (en) Hand based weight distribution system
CN104800012A (zh) 基于计算机指令的电动轮椅调节装置
RU2565101C1 (ru) Экзоскелет с электропневматической системой управления
US10532002B2 (en) Walking aid
CN211863231U (zh) 一种下肢手术***调整用托架
EP3999284B1 (en) Exoskeleton for supporting a user's arm
DK1872761T3 (da) Vinkeljusteringsindretning til svingbare hjul på kørestole
JP2014012313A (ja) 自重補償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ロボットスーツ
CN219681607U (zh) 平衡功能训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