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128B1 - 과제성취도에 의한 적응적 알림 기반 건강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과제성취도에 의한 적응적 알림 기반 건강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128B1
KR101998128B1 KR1020180020927A KR20180020927A KR101998128B1 KR 101998128 B1 KR101998128 B1 KR 101998128B1 KR 1020180020927 A KR1020180020927 A KR 1020180020927A KR 20180020927 A KR20180020927 A KR 20180020927A KR 101998128 B1 KR101998128 B1 KR 101998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k
notification
achievement
user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577A (ko
Inventor
송승재
안기환
김동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Publication of KR20190024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na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사용자의 과제 성취도에 따라 과제 수행의 알림 방식과 알림 주기를 조절하되,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이상이면 알림 방식의 수준을 낮추거나 알림주기를 늘이고,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보다 낮으면 성취도의 증가 여부에 따라 알림 주기를 줄이거나 알림 방식의 수준을 높이는, 과제성취도에 의한 적응적 알림 기반 건강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사용자의 과제를 설정하는 단계; (b) 사용자가 수행한 과제의 결과를 수집하는 단계; (c) 수집된 과제 결과로부터 과제 성취도를 산출하는 단계; (d) 산출된 과제 성취도와 해당 과제 성취도의 증감에 따라 알림 방식 및 알림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e) 결정된 알림 방식 및 알림 주기에 따라 과제 수행 알림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사용자의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이상이면, 알림 주기를 늘림으로써 잦은 알림을 통한 불쾌감이나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과제성취도에 의한 적응적 알림 기반 건강관리 방법 { A health care method by using adaptive notification by task achievement }
본 발명은 사용자의 과제 성취도에 따라 과제 수행의 알림 방식과 알림 주기를 조절하되,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이상이면 알림 방식의 수준을 낮추거나 알림주기를 늘이고,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보다 낮으면 성취도의 증가 여부에 따라 알림 주기를 줄이거나 알림 방식의 수준을 높이는, 과제성취도에 의한 적응적 알림 기반 건강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의 건강은 주로 개인이 직접 병원이나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관리되었으나, 인터넷과 이동통신이 발달하고 개인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요양시설이나 노인복지시설 및 산후조리원과 같이 지속적인 건강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의해 원격진료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종래의 원격진료 기술을 살펴보면, 대상자(환.자 또는 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람)의 다양한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대상자의 생체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원격지의 진료시스템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전문의가 해당 대상자의 생체정보를 확인하여 간단한 소견(진료결과)을 알려주도록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건강진료를 원하는 대상자는 병원을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전문의로부터 자신의 건강생태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특허문헌 1].
그러나, 이러한 원격진료 기술은 단순히 대상자의 생체정보를 확인하여 진료결과를 알려주고, 해당 진료결과에 기초하여 처방을 알려주는 것으로, 대상자가 담당의사의 지시(처방)를 반드시 지킨다는 전제하에서만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대상자가 개인적인 사정이나 실수로 인하여 담당의사의 지시를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예를 들어, 회의 등으로 인해 정해진 시간에 처방약을 복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해당 처방에 의한 약리 효과가 달라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대상자의 실제 생활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변동사항에 대해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대응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상자의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관리일정정보에 의해 대상자에게 정해진 시간마다 정해진 관리일정을 알려주고, 이에 대한 대상자의 수행여부를 확인하며, 해당 관리일정이 정확히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하여 해당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2].
특히, 대상자가 정해진 일정을 제대로 수행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상자의 휴대단말기에 알림 메시지 등을 전송한다. 그러나 잦은 알림 메시지는 대상자에게 스팸 문자와 같은 불편함이나 불쾌감을 주어 거부감을 갖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알림 메시지를 묵살하는 경우도 매우 많아 대상자의 일정 상태를 알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관리 대장자가 일정 관리를 수행하였는지에 대한 여부를 직접 전송해야 하고, 정해진 항목만을 관리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로만 관리 일정이 전달되기 때문에 실제 생활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어렵다. 결과적으로, 상기 선행기술은 실질적인 건강관리를 하기에 부족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알림 메시지를 받지 않는 경우에는 상담사가 직접 전화를 통화하여 대상자에게 문답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담사를 통해 직접 전화 통화를 너무 자주 하는 경우, 상담사의 인건비나 통신 비용 등 상담 비용이 매우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89694호(2010.10.18.공고)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46337호(2015.08.27.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이상이면 알림 방식의 수준을 낮추거나 알림주기를 늘이고,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보다 낮으면 성취도의 증가 여부에 따라 알림 주기를 줄이거나 알림 방식의 수준을 높이는, 과제성취도에 의한 적응적 알림 기반 건강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과제성취도에 의한 적응적 알림 기반 건강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사용자의 과제를 설정하는 단계; (b) 사용자가 수행한 과제의 결과를 수집하는 단계; (c) 수집된 과제 결과로부터 과제 성취도를 산출하는 단계; (d) 산출된 과제 성취도와 해당 과제 성취도의 증감에 따라 알림 방식 및 알림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e) 결정된 알림 방식 및 알림 주기에 따라 과제 수행 알림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과제성취도에 의한 적응적 알림 기반 건강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과제성취도를 사전에 정해진 평가 기간을 주기로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과제성취도에 의한 적응적 알림 기반 건강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직전 평가 기간 동안의 과제 성취도와, 직직전 평가 기간의 과제 성취도 대비 직전 평가 기간의 과제 성취도의 증감으로, 상기 알림 방식과 알림 주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과제성취도에 의한 적응적 알림 기반 건강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알림 방식의 알림 주기를 증가시켜 설정하고, 최소 기준치 이상인 평가기간이 사전에 정해진 기준 횟수 이상 유지되면 상기 알림 방식을 높은 수준으로 올리고, 상기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과제 성취도의 증감에 따라 상기 알림 방식의 알림 주기를 길게 하거나, 상기 알림 방식의 수준 보다 높은 알림 방식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과제성취도에 의한 적응적 알림 기반 건강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미만이고 상기 과제 성취도가 증가하면 상기 알림 방식의 주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미만이고 상기 과제 성취도가 감소하면 상기 알림 방식의 수준 보다 높은 알림 방식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션 수행 관리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의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이상이면, 알림 주기를 늘림으로써 잦은 알림을 통한 불쾌감이나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션 수행 관리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의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미달이면서도 과제 성취도가 증가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하는 알림 방식을 더 영향력을 줄 수 있는 방식으로 변경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과제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션 수행 관리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과제 성취도에 따라 알림 방식 및 그 주기를 변경함으로써, 직접 관리가 필요한 사용자에 대해 집중 관리하여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제성취도에 의한 적응적 알림 기반 건강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제성취도에 따라 알림 방식 및 그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이동통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10),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10)에 설치되어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용 서비스 앱(20), 및,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건강관리 서버(30), 이동통신망을 통해 스마트 단말(10)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서버(50), 상담사에 의해 스마트 단말(10)로 직접 통화를 하는 상담사 시스템(60)으로 구성된다. 이들 서비스 앱(20), 및, 건강관리 서버(30) 등은 인터넷 등 네트워크(81)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추가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서버(50)와 상담사 시스템(60)은 이동통신망(82)을 통해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전화 통화로 연결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10)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로서, 스마트폰, 패블릿, 태블릿PC 등 통상의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이다. 특히, 스마트 단말(10)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어플) 등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단말이다. 또한, 스마트 단말(10)은 이동통신망을 통한 이동통신 메시지(단문 메시지, 장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의 송수신 기능이나, 전화 통화 기능을 구비한다.
다음으로, 사용자용 서비스 앱(20)은 스마트 단말(10)에 설치되어 수행되는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어플)으로서, 건강관리 서버(30)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시스템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용 서비스 앱(20)은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과제를 건강관리 서버(30)로부터 수신하고, 과제 수행을 안내하거나, 과제 수행을 촉구하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사용자로부터 과제 결과를 입력받는다.
과제는 사용자가 건강관리를 위하여 일상적으로 수행해야할 것들을 말한다. 예를 들어, 약을 복용하는 것, 재활운동 수행, 식단 관리 등이 과제이다. 바람직하게는, 과제는 일정한 주기(수행 주기) 기준으로 부여된다. 약 복용 과제는 하루 3번 매끼 마다 식후 30분후 등 일정한 주기에 따라 주어진다. 또한, 일주일에 3번 30분 이상 걷기 운동 등의 과제는 일정한 주기 내에 수행되어야 할 횟수 등으로 정의되기도 한다.
서비스 앱(20)은 상기와 같은 과제 수행 내용을 안내한다.
또한, 서비스 앱(20)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수행결과, 즉, 수행한 경우 수행 완결, 수행되지 않으면 미수행 등의 정보를 입력받는다. 수행결과는 건강관리 서버(30)로 전송된다.
또한, 서비스 앱(20)은 과제 수행 시기가 도래하거나, 과제 수행이 되지 않았거나, 과제 수행이 완료되었으나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 앱 알림 메시지(앱에서의 메시지)를 출력한다. 앱 알림 메시지는 스마트 단말(10)의 팝업 등 알림 수단에 의해 출력된다. 한편, 서비스 앱(20)은 정해진 알림 주기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서비스 앱(20)은 수행결과 데이터를 건강관리 서버(30)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메시지 서버(50)는 건강관리 서버(30)와 연동하여, 건강관리 서버(3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10)로 이통통신용 메시지(단문메시지 SMS, 장문메시지 LMS, 멀티미디어 메시지 MMS 등)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알림 메시지는 과제 수행 시기가 도래하거나, 과제 수행이 되지 않았거나, 과제 수행이 완료되었으나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 과제 수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나, 과제 결과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 등이다.
다음으로, 상담사 시스템(60)은 건강관리 서버(30)의 요청에 따라, 상담사에 의해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10)로 전화 통화를 하여, 상담사가 직접 전화 통화를 하도록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또는, 상담사 시스템(60)은 자동 음성 메시지를 통화 내용으로 전송하여, 알림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즉, 건강관리 서버(30)는 전화통화에 의한 알림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해당 사용자에 대한 전화 통화 알림 요청을 상담사 시스템(60)에 전송한다. 상담사 시스템(60)은 수신한 알림 요청에 따라, 상담사로 하여금 해당 사용자에게 알림 통화를 할 것(또는 자동 음성 안내로 통화를 할 것)을 요청한다.
다음으로, 건강관리 서버(30)는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과제를 생성하고 관리한다.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과제는 건강관리를 위해 사용자가 일상적으로 수행할 내용으로서, 의사 등 전문가에 의해 설정된다. 건강관리 서버(30)는 상기와 같이 사전에 정해진 과제를 생성한다. 과제는 사용자의 전문가 등에 의해 결정되거나,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건강관리 서버(30)는 과제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과제 결과는 서비스 앱(20)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받거나 센서나 측정기기에 의해 측정된 생체신호를 직접 받을 수 있다. 또한, 과제 결과를 입력받지 못하는 경우도 기록하여 저장한다.
또한, 건강관리 서버(30)는 과제 결과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과제성취도를 산출한다. 바람직하게는, 과제성취도는 주어진 과제의 수행 비율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건강관리 서버(30)는 사용자의 과제성취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과제 수행을 요청하는 알림 방식이나 알림 주기를 결정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과제성취도의 현재 수치와, 과제성취도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알림 방식 등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이상이면 알림 방식의 수준을 낮추거나 알림주기를 늘인다. 또한,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보다 낮으면 성취도의 증가 여부에 따라 알림 주기를 줄이거나 알림 방식의 수준을 높인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제성취도에 의한 적응적 알림 기반 건강관리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알림 기반 건강관리 방법은 건강관리 서버(30) 또는 건강관리 시스템(3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이다.
도 2에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제성취도에 의한 적응적 알림 기반 건강관리 방법(30)은 사용자의 과제를 설정하는 단계(S10), 사용자가 수행한 과제의 결과를 수집하는 단계(S20), 수집된 과제 결과로부터 과제 성취도를 산출하는 단계(S30), 과제 성취도에 따라 알림 방식 및 그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S40), 및 알림방식에 따라 과제 수행 알림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S50)로 구성된다.
먼저, 사전에 정해진 사용자의 과제를 설정한다(S10).
과제는 사용자가 건강관리를 위하여 일상적으로 수행해야 할 과제로서, 예를 들어, 약을 복용하는 것, 재활운동 수행, 식단 관리 등이다. 바람직하게는, 과제는 일정한 주기(또는 수행 주기) 기준으로 부여된다. 약 복용 과제는 하루 3번 매끼 마다 식후 30분후 등 일정한 주기에 따라 주어진다. 또한, 일주일에 3번 30분 이상 걷기 운동 등의 과제는 일정한 주기 내에 수행되어야 할 횟수 등으로 정의되기도 한다.
한편, 과제는 다수의 단위 과제들로 구성된다. 약 복용 과제의 단위 과제는 약을 복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루 2번 약을 복용한다면, 단위 과제가 하루에 2개가 있는 것이다.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과제는 건강관리를 위해 사용자가 일상적으로 수행할 것으로서, 의사 등 전문가에 의해 설정된다.
다음으로, 과제의 수행 결과를 수집한다(S20).
과제의 수행 결과는 서비스 앱(20)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받거나, 서비스 앱(20)을 통해 센서나 측정 기기에 의해 측정된 생체신호를 직접 받을 수 있다. 또한, 과제 결과를 입력받지 못하는 경우도 기록하여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과제의 수행 결과는 단위 과제의 수행 여부로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약 복용의 과제의 경우, 약을 복용하면 수행 완료, 약을 복용하지 않으면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과제의 수행 결과를 수치나 등급 등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 과제가 걷기 인 경우, 수행 결과는 1일 보행한 거리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수치 대신 등급으로 나누어, 상, 중, 하 등의 등급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과제 수행 결과를 과제 성취도를 산정한다(S30).
바람직하게는, 수행할 과제 전체 대비 수행되어 완료된 과제의 비율로 과제 성취도를 산정한다. 과제 성취도는 단위 과제의 수행 결과에 형태에 따라 달리 산정될 수 있다.
즉, 수행 결과가 단위 과제의 수행 여부로 입력되는 경우, 전체 단위 과제 중에서 수행을 완료한 단위 과제의 비율로, 과제 성취도를 산정한다.
또한, 단위 과제의 수행결과가 수치로 입력되는 경우, 단위 과제에서 목표하는 수치 대비 완료한 수치의 비율로 각 단위 과제의 성취도를 구한다. 그리고 단위 과제의 성취도들을 평균하여 전체 과제 성취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최소 수행 기준을 설정하여, 최소 수행 기준 이상인 경우, 해당 과제를 완수한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전체 과제들 중에서 완료한 단위 과제의 비율로, 전체 과제 성취도를 산정한다.
또한, 전체 평가 기간을 세부 기간(또는 세부 주기)로 나누어 해당 세부 기간(또는 세부 주기) 내에서 수행되는 비율이 최소치를 넘어야 과제 완료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1일에 3번 약을 복용하기로 설정했으나, 적어도 1일 2회 이상은 복용해야 한다고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1일에 1회 약을 복용한 경우, 해당 일에 전혀 과제가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과제 성취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알림 방식(또는 알림방식의 수준)이나 알림 주기를 결정한다(S40).
알림은 사용자에게 과제를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것이고, 그 알림 방식은 도 3의 예와 같은 방식들이 있다.
먼저, 서비스 앱(20)을 통한 앱 알림 메시지(또는 푸시 메시지) 방식이 있다. 가장 수준이 낮은 알림 메시지 방식이다. 즉, 수준 1인 알림 방식이다. 사용자가 앱 알림을 차단하면 알림 메시지는 팝업 되지 않을 수 있다. 앱 푸시 메시지에 대한 초기 주기(T0)는 1일로 사전에 정해질 수 있다. 즉, 초기에는 1일 1회 전송하는 주기로, 앱 푸시 메시지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이동통신망을 통한 이통통신 메시지(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 방식이다. 앱 알림 메시지 보다 수준이 높은 방식이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이동통신 메시지 방식의 수준을 2로 사전에 설정된다. 이 방식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방식이고, 사람들은 앱 알림 보다 문자 메시지를 더 잘 확인한다. 또한, 이동통신 메시지 방식의 초기 주기(T0)도 1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음성 자동 메시지에 의한 전화 자동음성 통화방식이다. 사용자에게 전화로 통화를 연결하되, 이미 녹음되었거나 생성된 알림 내용을 자동으로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통화 내용으로 출력한다. 이 방식은 사용자에게 전화통화를 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가 응답하나, 일방적으로 전화를 끊을 수 있다. 음성 자동 메시지의 수준을 3으로 설정하고, 초기 주기(T0)를 1일로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즉, 음성 자동 메시지는 1일 간격으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과제 성취도에 따라 해당 주기는 늘어나기도 하고 단축되기도 한다.
다음으로, 상담사에 의한 직접 전화 통화 방식이다. 가장 높은 수준의 알림 방식이다. 대부분의 사용자가 응답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예와 같이, 수준 4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담사는 사용자가 과제 성취도가 낮은 이유나,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 등을 알 수 있는 방식이기도 하다.
각 알림 방식들은 위의 순서대로 수준이 높다. 즉, 사용자는 푸시메시지 보다 문자 메시지를 받았을 때 확인할 가능성이 더 높고 반응할 가능성이 더 높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10)을 통해 단순히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보다 직접 상담사로부터 전화 통화를 받는 것이 반응할 가능성이 더 높다. 전화 통화 방식도 상담사에 의한 직접 통화 방식과, 자동 음성 메시지에 의한 통화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고, 전자가 후자보다 전달 강도의 수준이 더 높다.
또한, 알림 주기는 해당 알림 방식으로 전달하는 주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일 3회로 알림을 하거나, 매일 알림을 하거나, 2-3일 간격으로 알림을 하거나, 매주 알림을 하거나, 격주 단위로 알림을 하거나, 1개월마다 알림을 하는 등, 주기를 설정하여 해당 주기 단위로 알림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방식이 문자 메시지이고 알림주기가 1일이면, 매일 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
과제 성취도에 따라 알람방식의 수준이나 주기를 설정하는 세부 방법은 아래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음으로, 앞서 정해진 알림방식과 알림주기에 따라 알림을 수행한다(S50).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제성취도에 따라 알림 방식 및 그 주기를 설정하는 세부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알림 방식(또는 알림방식의 수준)과 알림 주기를 초기화 한다(S41). 즉, 알림 방식을 사전에 정해진 특정 수준의 알림 방식으로 설정하고, 알림 주기도 사전에 정해진 특정 주기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앱 알림 메시지로 알림 방식을 설정하고, 그 주기를 1일로 설정한다. 이 경우, 1일 1회에 알림 메시지가 앱 알림 메시지로 서비스 앱(2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바람직하게는, 초기화는 가장 수준이 낮은 알림 방식을 선정한다(알림방식의 수준을 가장 낮게 설정한다). 그러나 초기화는 각 사용자별로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부분 사용자에게 앱 알림 메시지를 알림방식으로 초기화 하나, 사용자 중에서 서비스 앱(20)을 사용하지 않으면 문자 메시지를 알림방식으로 초기화 할 수 있다. 일례로서, 초기에 수준을 1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한 시간 이후에 알림 방식과 알림 주기를 업데이트 한다. 예를 들어, 3일, 일주일, 2주일, 1개월 등 사전에 결정된 알림 방식과 알림 주기를 설정하고, 해당 방식으로 알림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후 갱신기간 동안의 과제 성취도 P(n) 및 과제 성취도의 증감율 △P(n)을 이용하여, 알림 방식을 업데이트 한다.
P(n)은 수행 기간(또는 단위 기간) n에서의 과제 성취도를 나타내고, △P(n)은 이전 수행기간 n-1의 과제 성취도의 대비, 현재 수행기간의 과제 성취도의 증감을 나타낸다. 이를 수학식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수학식 1]
△P(n) = P(n) - P(n-1)
업데이트 기간(또는 수행기간, 단위기간)이 도래하면,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42). 최소 기준치 PH는 과제를 수행되어야 할 최소 기준을 정한 수치이다. 예를 들어, 약 복용의 최소 기준치를 1일 2회 설정하면, 하루에 1번 약 복용을 하지 않더라도 과제 성취도는 최소 기준치를 넘은 것으로 본다. 최소 기준치는 사용자가 적어도 단위 과제들을 관심을 가지고 수행하려고 노력하는 것을 나타낸 기준치이다.
최소 기준치는 다수의 조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복용인 경우, 1주일에 모두 21개의 단위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데, 1일 2회, 1주일 18회 등으로 최소 기준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하루에 적어도 2회는 복용해야 하나, 1주일 간 누적해서 적어도 17번 이상은 복용해야 한다"라고 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만약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이상이면, 알림방식의 주기를 늘린다(S43). 즉, 과제 성취도 P(n)가 최소 기준치 PH 이상이면, 해당 사용자는 그래도 단위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는 것이 나타나므로, 잦은 알림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오히려 스팸과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알림 주기를 길게 하여,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일정 횟수 연속으로 최소 기준치 이상을 유지하면(S44), 알림방식의 수준을 낮춘다(S45). 이때, 알림방식의 수준이 가장 낮은 수준이면, 가장 낮은 수준으로 유지된다. 또한, 알림방식의 수준을 2개 이상 사용하고 있다면, 이 중에서 높은 수준의 알림방식을 제거한다.
예를 들어, 과제 성취도가 낮아 알림방식의 수준이 4로 증가된 상태에서, 상담사의 안내에 의해 과제 성취도가 증가하여, 최소 기준치 PH 를 3주 이상 유지하면 알림방식의 수준을 낮춘다. 이 또한, 과제 수행을 꾸준히 노력하기 때문에, 해당 알림방식의 수준을 낮추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만약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보다 작으면, 과제 성취도의 증감이 0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46).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보다 낮다면, 현재 사용자는 단위 과제들을 잘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최소 기준치까지 과제를 수행하도록, 사용자에게 재촉할 필요가 있다.
한편, 과제 성취도의 증감 △P(n)은 현재 평가 기간에서의 과제성취도에서 이전 평가 기간에서의 과제 성취도의 차이로서, 과제 성취도가 증가했는지 과제 성취도가 증가하지 않았는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과제 성취도의 증감 △P(n)이 증가하였다면(0보다 크다면), 현재 알림 방식의 주기를 감소시킨다(S47). 즉, 최소 기준치 보다 낮은데 과제 성취도가 증가하였다는 것은 현재 알림 방식에 의하여 사용자가 자극되어 과제의 수행을 올리고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현재 진행중인 알림 방식의 주기를 늘려 과제 성취도를 더 높게 올릴 수 있다. 즉,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까지 오르도록 사용자를 종용한다.
다음으로,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보다 낮은데도 과제 성취도가 감소하였으면, 알림 방식을 더 높은 수준으로 높이거나, 더 높은 수준의 알림방식을 추가한다(S48). 즉, 기존의 알림 방식은 그대로 진행하고, 더 높은 수준의 알림방식을 추가로 진행한다.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보다 낮은데도 과제 성취도가 감소한다는 의미는 현재 진행중인 알림방식이 사용자에게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주기를 짧게 하여 앱 알림 메시지를 계속 알려주었으나 과제 성취도가 증가하지 않고 있다는 것은 앱 알림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영향력이 없다는 것이다. 사용자가 해당 기능을 차단하였거나, 해당 메시지를 무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경우는 더 높은 수준의 알림 방식으로 전송해야 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사용자 스마트 단말 20 : 사용자용 서비스 앱
30 : 건강관리 서버 40 : 데이터베이스
50 : 메시지 서버 60 : 상담사 시스템

Claims (5)

  1.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는 사용자용 서비스 앱과 통신하는 건강관리 서버가 수행하는, 과제성취도에 의한 적응적 알림 기반 건강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건강관리 서버는 사용자의 과제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건강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용 서비스 앱으로부터 사용자가 수행한 과제의 결과를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건강관리 서버는 수집된 과제 결과로부터 과제 성취도를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건강관리 서버는 산출된 과제 성취도와 해당 과제 성취도의 증감에 따라 알림 방식 및 알림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건강관리 서버는 결정된 알림 방식 및 알림 주기를 상기 사용자용 서비스 앱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단계에서, 상기 과제성취도를 사전에 정해진 평가 기간을 주기로 업데이트 하고,
    상기 (d)단계에서, 직전 평가 기간 동안의 과제 성취도(이하 현재 과제 성취도)와, 직직전 평가 기간의 과제 성취도 대비 직전 평가 기간의 과제 성취도의 증감으로, 상기 알림 방식과 알림 주기를 결정하고,
    상기 (d)단계에서, 상기 현재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알림 주기를 증가시키거나 상기 알림 방식의 수준을 낮추고,
    상기 현재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과제 성취도의 증감에 따라 상기 알림 주기를 감소시키거나 상기 알림 방식의 수준을 높이되,
    상기 현재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미만이고 상기 과제 성취도의 증감이 증가하면 상기 알림 주기를 감소시키고, 상기 현재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미만이고 상기 과제 성취도의 증감이 감소하면 상기 알림 방식의 수준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제성취도에 의한 적응적 알림 기반 건강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현재 과제 성취도가 최소 기준치 이상인 평가기간이 사전에 정해진 기준 횟수 이상 유지되면 상기 알림 방식의 수준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제성취도에 의한 적응적 알림 기반 건강관리 방법.
  5. 삭제
KR1020180020927A 2017-08-29 2018-02-22 과제성취도에 의한 적응적 알림 기반 건강관리 방법 KR1019981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614 2017-08-29
KR20170109614 2017-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577A KR20190024577A (ko) 2019-03-08
KR101998128B1 true KR101998128B1 (ko) 2019-07-09

Family

ID=6580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927A KR101998128B1 (ko) 2017-08-29 2018-02-22 과제성취도에 의한 적응적 알림 기반 건강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1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0188A (ja) 2005-06-21 2007-01-11 Toshiba Corp 医療支援装置
KR101546337B1 (ko) * 2012-01-26 2015-08-27 (주)유투바이오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694B1 (ko) 2008-06-25 2010-10-26 재단법인 첨단산업개발원 착용자의 위치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단말기 및이를 이용하는 건강관제시스템
KR20110076745A (ko) * 2009-12-28 2011-07-06 한국과학기술원 졸음운전 경고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34556A (ko) * 2013-09-26 2015-04-03 주식회사 어웨이크그룹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의 습관 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 모바일 디바이스 및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0188A (ja) 2005-06-21 2007-01-11 Toshiba Corp 医療支援装置
KR101546337B1 (ko) * 2012-01-26 2015-08-27 (주)유투바이오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577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6690B2 (en) Alert management utilizing mobile devices
US20210272672A1 (en) Personalized pain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10319000B2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feedback collection and analysis
US20140249850A1 (en) Critical condition module
US20160042306A1 (en) Care plan regiment development
KR101250462B1 (ko) 병원 고객관리를 위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20140129255A1 (en) Medical Information and Scheduling Communication
CN105808574B (zh) 叫号排序方法与***
CN101490684A (zh) 收集可以从其确定糖尿病疗法的患者信息的***和方法
US7798961B1 (en) Acquisition and management of time dependent health information
US201501615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pping medical guidelines to clinical workflows and logistical operations
US201701242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and Remote Care Giving
US20150194032A1 (en) Wellbeing monitor
US2013009693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atient Self-Management
WO2018152365A1 (en) Activity monitoring system
KR20160065727A (ko) 복약 일정 수정 방법 및 시스템
US201801656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ad balancing of care requests for workload management
KR101998128B1 (ko) 과제성취도에 의한 적응적 알림 기반 건강관리 방법
JPH09313450A (ja) 日常健康データ自動送信システム
KR20160061004A (ko)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10375411A1 (en) Digital advance healthcare directive management
KR20200049253A (ko) 병원 고객 관리 및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6946888B2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サーバ装置、指導システム及び指導方法
US20240203584A1 (en)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follower and social support enhancements
KR102334346B1 (ko) 인공지능 귀 영상 또는 이미지 분석 건강관리 플랫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