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109B1 - 기기별 유틸리티, 전력 및 물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기기별 유틸리티, 전력 및 물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109B1
KR101998109B1 KR1020170111605A KR20170111605A KR101998109B1 KR 101998109 B1 KR101998109 B1 KR 101998109B1 KR 1020170111605 A KR1020170111605 A KR 1020170111605A KR 20170111605 A KR20170111605 A KR 20170111605A KR 101998109 B1 KR101998109 B1 KR 101998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sage
water
amount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5773A (ko
Inventor
이재용
오세승
최재준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11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109B1/ko
Priority to EP18182508.4A priority patent/EP3451274B1/en
Publication of KR20190025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2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 G01D4/004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to a fixed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1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 G01F15/063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using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7Integration to give total flow, e.g. using mechanically-operated integrating mechanism
    • G01F15/075Integration to give total flow, e.g. using mechanically-operated integrating mechanism using electrically-operated integrating means
    • G01F15/0755Integration to give total flow, e.g. using mechanically-operated integrating mechanism using electrically-operated integrating means involving digital coun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G01R21/13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adapted for special tariff meas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제1형태의 물에 대한 검침간격별 공급량에 대응되는 제1유량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전력인입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대한 검침간격별 공급량에 대응되는 전력량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유량데이터 및 상기 전력량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1기기의 상기 제1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패턴과 상기 제1기기의 상기 전력에 대한 사용패턴이 동시에 검출되는 시구간에서, 상기 제1기기의 상기 제1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량과 상기 전력에 대한 사용량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기별 유틸리티, 전력 및 물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METHOD FOR SEPARATELY DETECTING UTILITY USAGE, WATER USAGE AND ELECTRIC POWER USAGE BY DEVICE}
본 발명은 유틸리티 사용량을 검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용 설비미터 중 수도미터, 온수미터는 각 세대의 수도 및 온수의 누적 사용량을 계측한다. 그리고, 사업자는 각 세대의 수도미터 및 온수미터를 검침하고 각 세대의 누적 사용량에 따라 요금을 부과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사업자는 매주기-예를 들어, 매달-의 말일에 각 세대의 설비미터별 누적 사용량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요금을 부과한다. 과거에는 각세대마다 사람이 직접 방문해서 월 1회 누적계량값을 확인하는 수기검침 방식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 관리실에 설치된 검침 시스템과 연결된 통신방식을 이용해 각 세대의 전력/가스/수도/난방/온수 사용량을 수시로 확인 가능한 원격검침 방식이 보급되고 있다.
원격검침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공동주택에서도 단순 과금을 위해서는 월 1회의 검침값만 확인하면 되지만, 검침 주기를 짧게 운영하는 경우 세대 전기/가스/수도/난방/온수 사용량을 시계열로 파악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수기검침으로 사용량을 확인하거나 원격검침 방식을 가지더라도 과금을 위한 매주기 최종 누적값만 기록 및 고지하는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매주기의 누적 사용량은 확인할 수 있으나, 개별 기기별 사용량을 확인하기는 어렵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한 달 동안의 수도와 온수 사용량은 확인할 수 있으나, 세탁기의 수도/온수 사용량과 식기세척기의 수도/온수 사용량을 분리해서 확인할 수는 없다.
사용자에게 유틸리티-수도, 온수, 전력 등-의 적정한 사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을 분리하여 고지하는 것이 필요한데, 종래의 방법에 의해서는 이러한 분리 고지가 어렵게 된다.
개별 기기별로 설비미터를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설비미터의 설치 비용에 비해 분리 고지의 이익이 크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은 실익이 없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수도미터, 온수미터와 달리, 전력미터에 대한 기술분야에서는 하나의 계측값에서 기기별 전력 사용량을 분리 검출하는 방법들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대표적인 방법이 패턴 매칭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전력미터에서 생성된 전력량데이터에서 특정 기기의 전력에 대한 사용패턴과 동일한 부분을 찾아내고 해당 부분에서 확인된 전력 사용량을 특정 기기의 전력 사용량으로 할당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현재까지 개발된 패턴 매칭 방법은 정확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 측면에서, 기기별로 유틸리티 사용량을 분리하여 검출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비미터의 계측값과 전력미터의 계측값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 분리 검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을 분리 고지하여 사용자에게 유틸리티 사용의 절약 동기를 일으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1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제1형태의 물에 대한 검침간격별 공급량에 대응되는 제1유량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전력인입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대한 검침간격별 공급량에 대응되는 전력량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유량데이터 및 상기 전력량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1기기의 상기 제1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패턴과 상기 제1기기의 상기 전력에 대한 사용패턴이 동시에 검출되는 시구간에서, 상기 제1기기의 상기 제1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량과 상기 전력에 대한 사용량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1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제1형태의 물에 대한 검침간격별 공급량에 대응되는 제1유량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전력인입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대한 검침간격별 공급량에 대응되는 전력량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력량데이터에서 상시적으로 제1범위의 전력을 사용하는 베이스 부하를 분리 검출하고, 상기 베이스 부하가 제거된 상기 전력량데이터에서 주기적으로 제2범위의 전력을 사용하는 주기성 부하를 분리 검출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부하 및 상기 주기성 부하가 제거된 전력량데이터에서, 상기 제1기기의 상기 전력에 대한 사용패턴과 대응되는 시구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유량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시구간에서 상기 제1기기의 상기 제1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패턴이 검출되면, 상기 시구간에서 상기 제1기기의 전력에 대한 사용량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기별 전력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1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제1형태의 물에 대한 검침간격별 공급량에 대응되는 제1유량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전력인입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대한 검침간격별 공급량에 대응되는 전력량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유량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제1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량이 변동하는 시구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량데이터에서 상기 시구간에서 제1기기의 상기 전력에 대한 사용패턴이 검출되면, 상기 시구간에서 상기 제1기기의 상기 제1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량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기별 물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기별로 유틸리티 사용량을 분리하여 검출할 수 있게 되고, 설비미터의 계측값과 전력미터의 계측값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 분리 검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을 분리 고지하여 사용자에게 유틸리티 사용의 절약 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의 유틸리티 연결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 분리 검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유틸리티데이터에 포함되는 값의 일 예시를 그래프로 표현한 것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기별 전력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기별 물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이 분리되어 고지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의 유틸리티 연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세대(1)는 유틸리티 공급망과 연결될 수 있다. 유틸리티 공급망은 예를 들어, 전력망, 수도공급망(도 1에서 제1설비망), 온수공급망(도 1에서 제2설비망) 등일 수 있다.
세대(1)는 미터기를 통해 각각의 유틸리티 공급망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대(1)는 전력미터(110)를 통해 전력망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세대(1)는 제1설비미터-예를 들어, 수도미터-를 통해 제1설비망-예를 들어, 수도공급망-과 연결될 수 있고, 제2설비미터-예를 들어, 온수미터-를 통해 제2설비망-예를 들어, 온수공급망-과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미터기는 하나의 경로를 통해 인입되는 유틸리티의 양을 계측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미터기에서 계측되는 유틸리티의 양은 사업자의 과금 기준이 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전력미터(110)는 전력인입선(2)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의 양을 계측할 수 있다. 세대(1)로 인입된 전력은 세대(1) 내부의 배선망을 통해 각각의 기기-예를 들어, 제1기기(10), 제2기기(20), 제3기기(30), 제4기기(40)-로 분기되어 공급되는데, 이때, 각각의 분기전력선에는 전력을 계측하는 미터기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설비미터(120)는 제1공급관(4)을 통해 공급되는 제1형태의 물의 양을 계측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형태의 물은 세대(1) 내부의 배관을 통해 각각의 기기-예를 들어, 제1기기(10), 제2기기(20), 제5기기(50)-로 분기되어 공급되는데, 이때, 각각의 분기배관에는 제1형태의 물의 양을 계측하는 미터기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2설비미터(130)는 제2공급관(6)을 통해 공급되는 제2형태의 물의 양을 계측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형태의 물은 세대(1) 내부의 배관을 통해 각각의 기기-예를 들어, 제1기기(10), 제2기기(20), 제6기기(60)-로 분기되어 공급되는데, 이때, 각각의 분기배관에는 제2형태의 물의 양을 계측하는 미터기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세대(1)의 기기 중에는 두 가지 이상의 유틸리티를 사용하는 기기가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제1기기(10) 및 제2기기(20)가 이러한 기기의 예가 될 수 있다.
제1기기(10)는 예를 들어, 세탁기일 수 있다. 세탁기는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며, 작동 중에는 수도물 혹은 온수를 사용할 수 있다.
제2기기(20)는 예를 들어, 식기세척기일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며, 작동 중에는 수도물 혹은 온수를 사용할 수 있다.
제1형태의 물과 제2형태의 물은 온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형태의 물은 가열되지 않은 상온 상태의 물-예, 수도물-일 수 있고, 제2형태의 물은 가열된 물-예, 온수-일 수 있다.
세대(1)는 전력 및 제1형태의 물-예, 수도물-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력, 제1형태의 물과 더불어, 제2형태의 물-예, 온수-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다.
계산장치(140)는 세대(1) 내의 미터기(110, 120, 130)와 연결되어 있으면서, 미터기(110, 120, 130)로부터 계측값을 전달받고, 이러한 계측값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산장치(140)는 제1설비미터(120)로부터 제1형태의 물에 대한 시간별 공급량에 대응되는 제1유량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계산장치(140)는 제2설비미터(130)로부터 제2형태의 물에 대한 시간별 공급량에 대응되는 제2유량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계산장치(140)는 전력미터(110)로부터 전력에 대한 시간별 공급량에 대응되는 전력량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별 공급량은 검침간격별 공급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침은 수 초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전술한 제1유량데이터, 제2유량데이터 혹은 전력량데이터는 수 초(검침간격) 동안 공급된 양에 대응되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시간별 공급량이라는 표현을 주로 사용하여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이러한 실시예에는 검침간격별 공급량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시간별 공급량 혹은 검침간격별 공급량에 대응되는 제1유량데이터는 예를 들어, 순시공급량을 포함할 수 있거나 누적공급량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간별 공급량 혹은 검침간격별 공급량에 대응되는 제2유량데이터는 예를 들어, 순시공급량을 포함할 수 있거나 누적공급량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간별 공급량 혹은 검침간격별 공급량에 대응되는 전력량데이터는 예를 들어, 순시공급량을 포함할 수 있거나 누적공급량을 포함할 수 있다. 설비미터나 전력미터가 적산계인 경우, 시간별 공급량 혹은 검침간격별 공급량은 누적공급량의 형태로 저장되는 것이 용이할 수 있으나,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제1유량데이터, 제2유량데이터 및 전력량데이터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계산장치(140)는 획득된 제1유량데이터, 제2유량데이터 및 전력량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을 분리하여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산장치(140)는 제1유량데이터 및 전력량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1기기(10)의 제1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패턴과 제1기기(10)의 전력에 대한 사용패턴이 동시에 검출되는 시구간에서, 제1기기(10)의 제1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량과 전력에 대한 사용량을 추출할 수 있다.
전력량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전력을 사용하는 기기의 전력 사용패턴이 검출되는 시구간에서, 해당 기기의 전력사용량을 분리하여 검출할 수 있으나, 기기들이 복합되어 작동되는 경우, 전력량데이터에 대한 분석만으로 기기별로 전력사용량을 분리 검출하는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산장치(140)는 제1유량데이터, 제2유량데이터 및 전력량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의 분리 검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산장치(140)는 동시구간에서 제1유량데이터에서 제1기기(10)에 대한 물 사용패턴이 검출되고 전력량데이터에서 제1기기(10)에 대한 전력 사용패턴이 검출되면 해당 시구간에서의 제1유량데이터에서 제1기기(10)의 물사용량을 검출할 수 있고, 전력량데이터에서 제1기기(10)의 전력사용량을 검출할 수 있다. 반대로, 계산장치(140)는 동시구간에서 전력량데이터에서 제1기기(10)에 대한 전력 사용패턴이 검출되나 제1유량데이터에서 제1기기(10)에 대한 물 사용패턴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해당 시구간에서 제1기기(10)가 작동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하고 다른 기기가 해당 시구간에서 전력을 사용하였는지 분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계산장치(140)는 제1유량데이터 및 전력량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1기기(10)의 제1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패턴과 제1기기(10)의 전력에 대한 사용패턴이 동시에 검출되는 시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계산장치(140)는 제2유량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해당 시구간에서 제1기기(10)의 제2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패턴이 검출되면, 해당 시구간에서 제1기기(10)의 제2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량을 추출할 수 있다.
계산장치(140)는 기기별로 유틸리티 사용량을 분리 검출하고, 검출된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산장치(140)는 제1주기-예를 들어, 매월-마다 제1형태의 물에 대한 누적공급량과 함께 기기별 누적사용량을 표시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거나 인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혹은 계산장치(140)는 제1주기마다 제1형태의 물에 대한 누적공급량과 함께 기기별 누적사용량을 사용자단말-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전송할 수 있다.
계산장치(140)는 제2형태의 물 및 전력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누적공급량과 함께 기기별 누적사용량을 표시하거나 인쇄하거나 사용자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계산장치는 세대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세대와 별도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 분리 검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200)은 각 세대(201)에 배치되는 전력미터(110), 제1설비미터(120), 제2설비미터(130)와 각 세대(201) 밖에 배치되는 계산장치(24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세대(201)는 전력미터(110)에서 생성된 전력량데이터, 제1설비미터(120)에서 생성된 제1유량데이터, 및 제2설비미터(130)에서 생성된 제2유량데이터를 계산장치(240)로 전송할 수 있다.
계산장치(240)는 전력량데이터, 제1유량데이터 및 제2유량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을 분리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시와 같이, 계산장치(240)는 둘 이상의 유틸리티를 사용하는 기기에 대하여, 서로 다른 유틸리티데이터-예를 들어, 전력량데이터, 제1유량데이터, 제2유량데이터 등-에서 동일 기기의 유틸리티 사용패턴-예를 들어, 제1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패턴, 제2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패턴, 전력에 대한 사용패턴 등-이 검출되면, 검출된 시구간에서 해당 기기가 유틸리티를 사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계산장치(240)는 해당 시구간에서 해당 기기의 유틸리티 사용량을 추출할 수 있다.
계산장치(240)는 사업자가 운영하는 원격검침시스템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사업자는 각 세대(201)별로 유틸리티 사용량을 검침하고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는데, 이때, 계산장치(240)에서 검출한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을 과금 내역에 함께 기재하여 사용자에게 고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유틸리티 절약 동기 및 추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업자는 공동주택의 유틸리티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사업자일 수 있으나, 개별적으로 하나의 유틸리티-예를 들어, 온수-를 제공하는 사업자인 경우에도 다른 사업자와의 연계를 통해 각 세대(201)의 유틸리티데이터를 획득하여 처리할 수 있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계산장치는 제1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제1형태의 물에 대한 시간별 공급량에 대응되는 제1유량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300). 세대에 제2형태의 물이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경우, 계산장치는 제2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제2형태의 물에 대한 시간별 공급량에 대응되는 제2유량데이터를 추가적으로 획득할 수도 있다.
계산장치는 전력인입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대한 시간별 공급량에 대응되는 전력량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302).
그리고, 계산장치는 제1유량데이터 및 전력량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1기기의 제1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패턴과 전력에 대한 사용패턴이 동시에 검출되는 시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S304).
예를 들어, 제1기기가 세탁기이고 제1형태의 물이 수도물일 때, 계산장치는 세탁기의 수도물에 대한 사용패턴을 제1유량데이터의 특정 시구간에서 확인하고 세탁기의 전력에 대한 사용패턴을 전력량데이터의 동일한 시구간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계산장치는 해당 시구간에서 제1기기의 유틸리티 사용량을 분리해서 검출할 수 있다(S306).
예를 들어, 세탁기의 수도물 사용패턴과 전력 사용패턴이 동시에 검출되는 시구간에서, 수도물 사용량의 변화량-예를 들어, 이전 시구간보다 더 늘어난 수도물의 사용량-을 세탁기의 수도물 사용량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시구간에서 전력 사용량의 변화량-예를 들어, 이전 시구간보다 더 늘어난 전력의 사용량-을 세탁기의 전력 사용량으로 추정할 수 있다.
도 4는 유틸리티데이터에 포함되는 값의 일 예시를 그래프로 표현한 것이다.
도 4에는 전력량데이터에 포함된 시간별 순시전력공급량(410) 및 누적전력공급량(412)이 표시되어 있으며, 제1유량데이터에 포함된 시간별 제1누적공급량(420)이 표시되어 있고, 제2유량데이터에 포함된 시간별 제2누적공급량(430)이 표시되어 있다.
순시전력공급량(410)은 실제 전력량계가 측정하고 있는 순간의 값을 표현한 것이다. 순시전력공급량(410)은 실제 전력량계에서 실시간 계산되는 값을 일정 간격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전력량계는 이를 내부에서 누적하여 누적전력공급량(412)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시간별 순시전력공급량(410)의 제1시구간(TD1)에서 세탁기의 전력 사용패턴이 검출된다. 이때, 전력 사용패턴은 세탁기의 초기 운전모드-예를 들어, 세탁모드-에서의 전력 사용패턴에 대응된다. 그리고, 시간별 제1누적공급량(420)의 제1시구간(TD1)-특히, 제1시구간(TD1)에서도 제1시점(T1)-에서 세탁기의 제1형태의 물의 사용패턴과 제2형태의 물의 사용패턴이 검출된다.
여기서, 전력 사용패턴은 시간당 전력량 및 전력의 사용주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제1형태의 물의 사용패턴이나 제2형태의 물의 사용패턴은 일정 시간동안의 총 사용량 및 해당 시간동안의 시간당 사용량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당 A리터의 유량으로 T시간 동안 공급하여 A x T의 총 사용량이 검출되는 경우, 해당 유량은 세탁기의 물 사용패턴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제1시구간(TD1)과 같이 물과 전력을 함께 사용하는 세탁기와 같은 기기는 전력량데이터와 제1유량데이터 혹은 제2유량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 사용량을 쉽고 정확하게 분리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시구간(TD2)에서도 마찬가지로 시간별 전력공급량(410)에서 세탁기의 전력사용패턴-예를 들어, 헹굼모드의 전력 사용패턴-이 검출되고, 시간별 제1누적공급량(420)에서 세탁기의 제1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패턴이 검출되며, 시간별 제2누적공급량(430)에서 세탁기의 제2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패턴이 검출된다.
한편, 제2시구간(TD2)의 후속되는 제3시구간(TD3)에서는 시간별 제1누적공급량(420) 및 시간별 제2누적공급량(430)에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때는, 세탁기의 제1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패턴이나 제2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패턴이 검출되기 어렵다.
하지만, 제3시구간(TD3)에서 세탁기의 전력에 대한 사용패턴-예를 들어, 탈수모드의 전력 사용패턴-이 검출되는 경우, 계산장치는 제3시구간(TD3)에서 세탁기의 전력에 대한 사용량을 추출할 수 있다. 제3시구간(TD3)이 제2시구간(TD2)에 후속되는 시구간이기 때문에, 세탁기가 물의 사용없이 전력만 사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계산장치는 제3시구간(TD3)에서 세탁기의 작동을 추정하고, 세탁기의 전력에 대한 사용량을 추출할 수 있다.
전술한 예시에서는, 세탁기의 전력 사용패턴을 시간별 순시전력공급량(410)을 통해 분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세탁기의 전력 사용패턴은 누적전력공급량(412)에 대한 단독 분석을 통해, 혹은 순시전력공급량(410)과의 동시 분석을 통해 검출될 수도 있다.
한편, 계산장치는 검출에 있어, 유량데이터에서 물 사용패턴이 검출되면 검출된 시구간에서 전력 사용패턴이 검출되는지 판단하는 방법으로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을 분리 검출할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계산장치는 제1유량데이터 혹은 제2유량데이터에서 적산유량이 증가하는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S500).
그리고, 계산장치는 적산유량이 증가하는 시점 혹은 그 후속시점에서 특정 기기-예를 들어, 제1기기-의 전력 사용패턴이 전력량데이터에서 검출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502).
이때, 특정 기기의 전력 사용패턴이 검출되면(S502에서 YES), 계산장치는 특정 기기의 유틸리티 사용량을 분리하여 검출할 수 있다(S504).
한편, 계산장치는 전력에 있어서, 베이스 부하, 주기성 부하의 전력 사용량을 먼저 분리하고 나머지 전력 사용량에 대해 전력량데이터과 함께 제1유량데이터 및/혹은 제2유량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을 분리 검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기별 전력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계산장치는 전력량데이터에서 베이스 부하에 해당되는 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분리 검출할 수 있다(S600). 베이스 부하에 해당되는 기기는 예를 들어, 대기전력, 냉장고와 같은 기기로서 상시적으로 일정 범위의 전력을 소모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계산장치는 베이스 부하에 해당되는 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저장하고 있으면서 이를 전력량데이터에서 제거-예를 들어, 시간별 전력사용량에서 해당 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해당 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분리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계산장치는 베이스 부하가 제거된 전력량데이터에서 주기성 부하에 해당되는 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분리 검출할 수 있다(S602). 주기성 부하에 해당되는 기기는 예를 들어, 보온 기능으로 작동되는 전기밥솥과 같은 기기로서 주기적으로 일정 범위의 전력을 소모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전기밥솥은 발열을 위해 주기적으로 전력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전력량데이터에서 주기성을 가지는 부하로 인식된다.
그리고, 계산장치는 베이스 부하 및 주기성 부하가 제거된 전력량데이터에서, 특정 기기-예를 들어, 제1기기-의 전력에 대한 사용패턴과 대응되는 시구간을 검출할 수 있다(S604).
그리고, 계산장치는 제1유량데이터 혹은 제2유량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동시구간에서 특정 기기의 제1형태의 물 혹은 제2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패턴이 검출되는지 판단하고(S606), 검출되면(S606에서 YES), 해당 시구간에서 제1기기의 전력에 대한 사용량을 분리 검출할 수 있다(S608).
그리고, 계산장치는 나머지 전력량데이터에 대해서는 기기별 전력사용량을 매칭시켜 분리 검출할 수 있다.
한편, 계산장치는 물 사용량의 관점에서 기기별 물 사용량을 분리 검출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기별 물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계산장치는 제1유량데이터 혹은 제2유량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700). 그리고, 계산장치는 전력량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702).
그리고, 계산장치는 제1유량데이터 혹은 제2유량데이터에서, 제1형태의 물 혹은 제2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량이 변동하는 시구간을 검출할 수 있다(S704).
그리고, 계산장치는 전력량데이터에서 이러한 시구간에서 특정 기기-예를 들어, 제1기기-의 전력에 대한 사용패턴이 검출되면, 이러한 시구간에서 특정 기기의 제1형태의 물 혹은 제2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량을 분리 검출할 수 있다(S706).
물에 대한 사용량이 기기별로 분리 검출되면, 계산장치는 이를 사용자에게 분리하여 고지할 수 있다.
도 8은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이 분리되어 고지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물에 대한 누적공급량과 함께 각 기기의 누적사용량이 고지서에 표시될 수 있다. 더불어, 고지서에는 전력에 대한 누적공급량과 함께 각 기기의 누적사용량이 고지서에 표시될 수 있다.
고지서는 오프라인 매체를 통해 발급될 수도 있고, 사용자단말과 같은 온라인 매체를 통해 발급될 수도 있다.
고지서는 매주기-예를 들어, 매월-마다 발급될 수도 있고,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접근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몇 가지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기기별로 유틸리티 사용량을 분리하여 검출할 수 있게 되고, 설비미터의 계측값과 전력미터의 계측값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 분리 검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을 분리 고지하여 사용자에게 유틸리티 사용의 절약 동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 분리 검출 시스템에 사용되는 계산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계산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로서, 제1설비미터를 통해 제1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제1형태의 물에 대한 검침간격별 공급량에 대응되는 제1유량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계산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로서, 전력미터를 통해 전력인입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대한 검침간격별 공급량에 대응되는 전력량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계산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로서, 상기 전력량데이터에서 상시적으로 전력을 사용하는 베이스 부하를 분리 검출하고, 상기 베이스 부하가 제거된 상기 전력량데이터에서 주기적으로 전력을 사용하는 주기성 부하를 분리 검출하는 단계;
    상기 계산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로서, 상기 제1형태의 물과 상기 전력을 함께 사용하는 제1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시구간에서 상기 제1유량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상기 제1기기의 상기 제1형태의 물의 사용패턴이 검출되고 상기 베이스 부하와 상기 주기성 부하를 제외한 전력량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상기 제1기기의 상기 전력의 사용패턴이 검출되면, 상기 제1기기가 상기 시구간에서 상기 제1형태의 물과 상기 전력을 사용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로서, 상기 제1형태의 물의 사용패턴과 상기 전력의 사용패턴의 분석을 통해 상기 제1기기가 상기 시구간에서 상기 제1형태의 물과 상기 전력을 사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시구간에서 상기 제1기기의 상기 제1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량과 상기 전력에 대한 사용량 중의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제1형태의 물의 사용패턴과 상기 전력의 사용패턴 중의 어느 하나만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시구간에서 상기 제1기기가 작동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기는 세탁기 혹은 식기세척기인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량데이터는 상기 제1형태의 물의 검침간격별 누적공급량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량데이터는 상기 전력의 검침간격별 누적공급량을 포함하는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로서, 제1주기마다 상기 제1형태의 물에 대한 누적공급량과 함께 상기 제1기기의 누적사용량을 표시하거나 인쇄하거나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로서, 제2설비미터를 통해 제2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제2형태의 물에 대한 검침간격별 공급량에 대응되는 제2유량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로서, 상기 제2유량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시구간에서 상기 제1기기의 상기 제2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패턴이 검출되면, 상기 시구간에서 상기 제1기기의 상기 제2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량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형태의 물과 상기 제2형태의 물은 온도가 서로 다른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에 대한 사용패턴은 시간당 전력량 및 전력의 사용주기로 구분되는 패턴이고, 상기 제1형태의 물에 대한 사용패턴은 일정 시간동안의 총 사용량 및 상기 일정 시간동안의 시간당 사용량으로 구분되는 패턴인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로서, 상기 시구간의 후속 시구간에서, 상기 제1기기의 전력에 대한 사용패턴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후속 시구간에서 상기 제1기기의 전력에 대한 사용량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기별 유틸리티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70111605A 2017-09-01 2017-09-01 기기별 유틸리티, 전력 및 물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 KR101998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605A KR101998109B1 (ko) 2017-09-01 2017-09-01 기기별 유틸리티, 전력 및 물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
EP18182508.4A EP3451274B1 (en) 2017-09-01 2018-07-09 Method for separately detecting amount of utility, electric power, and water consumption for respective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605A KR101998109B1 (ko) 2017-09-01 2017-09-01 기기별 유틸리티, 전력 및 물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773A KR20190025773A (ko) 2019-03-12
KR101998109B1 true KR101998109B1 (ko) 2019-07-10

Family

ID=6290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605A KR101998109B1 (ko) 2017-09-01 2017-09-01 기기별 유틸리티, 전력 및 물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451274B1 (ko)
KR (1) KR1019981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8643A (ja) * 2010-05-27 2011-12-08 Osaka Gas Co Ltd エネルギー消費量表示システム
JP2014158085A (ja) * 2013-02-14 2014-08-28 Osaka Gas Co Ltd 情報表示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5917B2 (en) * 2006-05-26 2011-02-08 Board Of Regents Of The Nevada System Of Higher Education, On Behalf Of The Desert Research Institute Utility monitoring and disaggregation systems and methods of use
EP2304449B1 (en) * 2008-07-17 2012-05-16 ISIS Innovation Limited Utility metering
US9020769B2 (en) * 2009-01-26 2015-04-28 Geneva Cleantech Inc. Automatic detection of appliances
KR101793991B1 (ko) * 2015-11-12 2017-11-0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가전기기 전력 사용량 측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8643A (ja) * 2010-05-27 2011-12-08 Osaka Gas Co Ltd エネルギー消費量表示システム
JP2014158085A (ja) * 2013-02-14 2014-08-28 Osaka Gas Co Ltd 情報表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51274B1 (en) 2021-11-10
EP3451274A1 (en) 2019-03-06
KR20190025773A (ko) 201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336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power transmission
RU2428708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оверки измерительных приборов
Berges et al. Enhancing electricity audits in residential buildings with nonintrusive load monitoring
Ali et al. Implementation of Automatic Meter Reading (AMR) using radio frequency (RF) module
KR20060083366A (ko) 수용가의 도전 및 누전 감시가 가능한 원격검침 시스템
US20230038406A1 (en) System to Assess Utility Consumption
JP5859026B2 (ja) エネルギー使用量推定装置及びエネルギー使用量推定方法
EP3652515B1 (en) Water consumption management system
JP5465976B2 (ja) 生活変化検出システムおよび生活変化検出方法
KR101243214B1 (ko)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 및 방법
Farah et al. Smart water technology for leakage detection: feedback of large-scale experimentation
US20130173205A1 (en) Thermal energy metering by measuring average tank temperature
KR101998109B1 (ko) 기기별 유틸리티, 전력 및 물 사용량 분리 검출 방법
Ilic et al. Sensing in power distribution networks via large numbers of smart meters
KR101042304B1 (ko) 요금관리시스템 연계 유수율제고시스템
Akselrad et al. Making home energy usage transparent for households using smart meters
JP5560828B2 (ja) 変圧器の負荷推定方法
JP2005233804A (ja) 電力量の課金システム及びその電力量計
Swarnapali et al. Real-time synchronized monitoring of water consumption and leak detectection in the urban water supply of sri Lanka
JP5654074B2 (ja) 電力使用量予測装置、電力使用量予測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31697B1 (ko) 상수도 수용가 검침데이터 보정 방법
Bhakthavathsalam et al. Zigbee based energy monitoring system with e-billing through GSM network
KR20120050320A (ko) 도전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Davis et al. IEA HPT Annex 52-Long-term performance monitoring of GSHP systems for commercial, institutional, and multi-family buildings
KR100582213B1 (ko) 전력량 자동 원격 검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