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504B1 - Multifunctional clothing with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clothing with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504B1
KR101995504B1 KR1020180009703A KR20180009703A KR101995504B1 KR 101995504 B1 KR101995504 B1 KR 101995504B1 KR 1020180009703 A KR1020180009703 A KR 1020180009703A KR 20180009703 A KR20180009703 A KR 20180009703A KR 101995504 B1 KR101995504 B1 KR 101995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
inner sleeve
user
tape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7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용희
신희정
윤창용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9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5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5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6Closures using hooks and eyel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A multifunctional clothing having a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 comprises: an inner sleeve unit coupled with a bio-signal measurement unit; and an outer sleeve unit provided to cover the inner sleeve unit and having an accommodation hole fac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unit. The inner sleeve unit has a tightening unit provided to tighten the inner sleeve unit so the bio-signal measurement unit adheres to arms of a user. Accordingly, a user can put on and off the clothing in an easy manner and bio-signals of the user can be measured when the user moves actively.

Description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Multifunctional clothing with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Multifunctional clothing with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

본 발명은 다기능 의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gar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garment having a function of measuring a biological signal.

최근의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일상생활을 하면서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건강상태를 점검하거나, 이 생체신호를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파라미터로 사용하는 여러 가지 모바일 형태의 심박수 모니터(heart rate monitor)가 상품화되고 있다.In addition to the recent advanc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re are various mobile heart rate monitors, which measure the vital signs to check their health status in daily life and use the vital signs as parameters to improve their exercise capacity. Is being commercialized.

종래 판매되고 있는 심박수 모니터 제품은 주로 가슴에 착용된 벨트를 이용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무선으로 손목시계에 측정 결과를 전송하여 심박수를 표시한다. 가슴에 벨트를 착용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땀이 심박수 측정에 영향을 주거나, 가슴에 착용하므로 심하게 움직이다 보면 벨트가 흘러 내리거나 가슴을 조여서 답답함을 느끼게 하는 단점이 있다.Conventional heart rate monitor products mainly measure the vital signs by using a belt worn on the chest, transmit the measurement results to the wristwatch by radio, and display the heart rate. Because it is the form to wear the belt on the chest, the sweat caused by the exercise affects the measurement of the heart rate, or it wears on the chest, and when it moves strongly,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belt flows down or tightens the chest and makes it feel tight.

의복에 결합된 형태의 종래의 기술들은 클립(clip)을 이용하여 센서 유닛을 의복에 설치하여 생체신호를 수집하고 무선으로 컴퓨터나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보내는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health signs monitoring, PCT, WO00/067633)을 취하거나, 의복에 들어간 다양한 인덕턴스 혈량계측 센서(inductive plethysmographic sensor)와 심전도(ECG) 전극을 포함하는 비관혈적 생리 신호 모니터링 장치 형태로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건강관리 제공자(health care provider)에게 전송하여 분석하는 방법(Physiologic signs feedback system, 미국특허 제6047203호)을 취한다.Conventional techniques in the form of clothing coupled to a garment include installing a sensor unit on a garment using a clip to collect biomedical signals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m to a computer or a display unit / 067633) or as a non-invasive physiological signal monitoring device that includes a variety of inductive plethysmographic sensors and electrocardiogram (ECG) electrodes placed in a garment and wirelessly communicating data to a health care provider (Physiologic signs feedback system, U.S. Patent No. 6047203).

이 방법들은 생체 신호 측정 결과를 즉시 알 수 없고 다른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야만 한다는 단점이 있다.These methods are disadvantageous in that they can not immediately know the results of bio-signal measurement and must use other external devices.

또한 의복을 이용한 위와 유사한 방법들 중에는 많은 센서가 부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움직임이 많은 활동을 하기에 불편하며, 입고 벗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among the above-mentioned methods using clothes, many sensors are attached, which is inconvenient for users to carry out a lot of activities and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wear off.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3064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63064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입고 벗기가 간편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이 많은 활동 상태에서 사용자 생체 신호 측정이 가능하며, 측정 결과를 즉시 확인 가능한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 capable of measuring a user's living body signal in an active stat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gar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은, 생체신호 측정부가 결합되는 안쪽 소매부; 및 상기 안쪽 소매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를 마주보는 면에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를 수용하도록 수용홀이 형성되는 바깥쪽 소매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쪽 소매부에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가 사용자의 팔에 밀착되도록 상기 안쪽 소매부를 조이도록 형성되는 조임부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functional garment having a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 the multifunctional garment comprising: an inner sleeve to which a bio-signal measurement unit is coupled; And an outer sleeve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sleeve and having a receiving hole formed on a surface thereof fac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unit to receive the bio-signal measurement unit, wherein the inner sleeve has a bio- And a fastening portion formed to fasten the inner sleev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arm of the additional user.

상기 바깥쪽 소매부에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가 상기 사용자의 팔에 더욱 밀착되도록 상기 바깥쪽 소매부를 조이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스트랩이 구비될 수 있다.The outer sleeve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straps formed to tightly fasten the outer sleeve so that the bio-signal measuring part is more closely attached to the user's arm.

상기 안쪽 소매부는, 늘어나고 줄어들 수 있도록 신축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ner sleeve may be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to stretch and shrink.

상기 조임부는, 상기 안쪽 소매부의 바깥쪽면에 결합되고, 복수의 이를 구비하는 제1테이프, 상기 안쪽 소매부의 바깥쪽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테이프의 이 각각을 마주보는 방향에 복수의 이를 구비하는 제2테이프와, 상기 제1테이프와 상기 제2테이프 양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상기 제1테이프의 복수의 이와 상기 제2테이프의 복수의 이가 맞물려 결합되도록 하거나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first tape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sleeve and having a plurality of teeth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sleeve and having a plurality of teeth in a direction facing the first tape, A second tape, and a second tape, which are slidably connected to both the first tape and the second tape so that a plurality of the first tape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tape are engaged or separated according to a sliding operation And a slide member.

상기 제1테이프 및 상기 제2테이프는, 각각의 일단이 서로 인접하고 각각의 타단이 이격되도록 상기 안쪽 소매부의 바깥쪽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tape and the second tape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leeve so that one ends of the first tape and the second tape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other ends of the tap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안쪽 소매부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가 관통 위치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는 상기 관통홀에 관통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안쪽 소매부에 재봉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inner sleeve may be formed with a through hole so that the bio-signal measuring part is positioned to penetrate through the inner sleeve, and the bio-signal measuring part may be joined to the inner sleeve by sewing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상기 한 쌍의 스트랩은, 상기 바깥쪽 소매부를 마주보는 안쪽면에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제1스트랩, 상기 바깥쪽 소매부를 마주보는 안쪽면과 반대편 바깥쪽면에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제2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제1스트랩과 상기 제2스트랩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바깥쪽 소매부를 조이도록 체결될 수 있다.The pair of straps includes a first strap having a fastening member on an inner surface facing the outer sleeve, and a second strap having a fastening member on an outer surface opposite to the inner sleeve facing the outer sleeve. And the first strap and the second strap can be fastened by the fastening member so as to fasten the outer sleeve.

상기 체결부재는 후크 앤 루프(hook and loop) 체결부재일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 may be a hook and loop fastening member.

좌측부 및 우측부에 상기 안쪽 소매부와 상기 바깥쪽 소매부 각각이 연결되고, 사용자의 상체 전면부분과 후면부분을 덮도록 형성되는 의복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깥쪽 소매부는, 상기 수용홀에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가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수용홀을 기준으로 상기 의복본체에 가까운 측의 안쪽면이 상기 안쪽 소매부의 바깥쪽면에 결합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garment main body connected to the inner sleeve and the outer sleeve at a left side portion and a right side portion so as to cover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of the upper body of the user, The inner surface on the side closer to the garment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hole can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leeve so that the bio-signal measuring part can be easily accommodat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에 의하면, 사용자가 입고 벗기가 간편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이 많은 활동 상태((예컨대, 스포츠 및 야외 활동 등)에서 조임부 또는 한 쌍의 스트랩에 의해 생체신호 측정부가 사용자의 팔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생체신호 측정부가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끊기는 일 없이 측정 가능하게 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multifunctional garment hav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garment wherein the user can easily wear and take off, The biometric signal measuring unit is held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arm by the pair of straps so that the biometric signal measuring unit can measure the user's biometric signal without breaking it.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생체신호 측정부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s bio-signal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so that the user can check his / her bio-signal in real time.

또한, 별도의 연동장치에 사용자의 생체신호가 전송되도록 하고, 연동장치에 의해 외부 전자 장치(예컨대, 통제실 컴퓨터 또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 등)에 사용자의 생체신호가 전달되도록 하여,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신호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biometric signal of a user is transmitted to a separate interlocking device, a biometric signal of a user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 control room computer or a user portable terminal) by an interlocking device, May be displayed

이와 더불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사용자가 직접 볼 수 있도록 표시하거나,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표시함으로써 표시되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자신 또는 외부에서 객관적으로 판단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user's body condition can be objectively judged from the user's own or the outside through the user's bio-signal displayed by displaying the user's bio-signal directly for viewing or displaying the user's bio-signal for viewing from the outsid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의복에 의하면, 사용자가 입고 행동 가능한 의복본체에 형성된 포켓에 생체신호 측정부가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생체신호 측정부가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건강 상태 관리가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functional garment wherein a living body signal measuring unit is provided in a pocket formed in a garment main body that can be put on and taken out by a user so that the living body signal measuring unit measures a user's living body signal, The result can be displayed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health status of the user.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의복에 의하면, 의복본체의 전면부와 후면부 소정 부분을 덮도록 공기튜브가 구비됨으로써, 평상시 의복본체에 의해 감춰져 있던 공기튜브가 사용자가 물에 빠지는 등의 긴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전개 가능하고, 이후 물속에 빠진 사용자를 물에 띄워 사용자가 물 속으로 가라앉지 않게 하여, 사용자의 수중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ultifunctional gar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ir tube is provided so as to cover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garment body, the air tube, The user can be deployed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 user occurs, and then the user who is in the water can float on the water so that the user does not sink into the water, thereby preventing the user's underwater accid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쪽 소매부와 바깥쪽 소매부의 결합 부분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에 따른 안쪽 소매부와 바깥쪽 소매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의(a)는 안쪽 소매부의 정면도이고, 도 3의(b)는 바깥쪽 소매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a)의 안쪽 소매부를 반대편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의(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임부에 의해 안쪽 소매부가 조여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의(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임부에 의해 안쪽 소매부가 조임 해제된 상태를 보여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부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에 구비되는 포켓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포켓이 전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의복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의복의 후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의복에 구비되는 포켓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10의 A-A'선에 따른 포켓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의복에 구비되는 유리창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1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의복에 구비되는 생체신호 측정부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켓에 삽입된 생체신호 측정부의 상태를 보여주는 제1 상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켓에 삽입된 생체신호 측정부의 상태를 보여주는 제2 상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의복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의복에 구비된 공기튜브의 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공기튜브의 전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multifunctional garment having a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mating portion of an inner sleeve and an outer slee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inner sleeve and FIG. 3 (b) is a front view of the outer sleeve.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inner sleeve, to be.
4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ner sleeve is tightened by a tighten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sleeve is unfastened by the tightening por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bining process of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a pocket included in a multifunctional garment having a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developed state of the pocket of FIG. 6; FIG.
8 is a front view of a multifunctional gar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rear view of a multifunctional gar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of a pocket provided in a multifunctional gar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cket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2 is a front view of a window provided in a multifunctional gar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FIG. 14 is a view showing various views of a bio-signal measuring unit provided in the multifunctional cloth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irst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of a bio-signal measurement unit inserted into a po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econd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of a bio-signal measuring unit inserted into a po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front view of a multifunctional gar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n exposed state of an air tube provided in a multifunctional gar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view showing an expanded state of the air tube of FIG. 18;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쪽 소매부와 바깥쪽 소매부의 부분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multifunctional garment having a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front view of an inner sleeve and an outer slee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600)은, 사용자가 입고 행동 가능하고,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 가능한 것으로서, 의복본체(610), 안쪽 소매부(620), 바깥쪽 소매부(630), 조임부(640), 한 쌍의 스트랩(650), 및 포켓(66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multifunctional garment 600 having a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arment body 610 An inner sleeve portion 620, an outer sleeve portion 630, a tightening portion 640, a pair of straps 650, and a pocket 660.

의복본체(610)는 사용자의 상체 전면부분과 후면부분을 덮도록 형성된다. 안쪽 소매부(620)는 생체신호 측정부(700)가 결합된다. 바깥쪽 소매부(630)는 안쪽 소매부(620)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생체신호 측정부(700)를 마주보는 면에 생체신호 측정부(700)를 수용하도록 수용홀(ah)(도 3의(b) 참조)이 형성된다. 조임부(640)는 안쪽 소매부(620)에 구비되고(도 4 참조), 생체신호 측정부(700)가 사용자의 팔에 밀착되도록 안쪽 소매부(620)를 조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쌍의 스트랩(650)은 바깥쪽 소매부(630)에 구비되고, 생체신호 측정부(700)가 사용자의 팔에 더욱 밀착되도록 바깥쪽 소매부(630)를 조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켓(660)은 바깥쪽 소매부(630)에 구비되고, 생체신호 측정부(700)와 연동하는 별도의 연동 모듈(미도시)을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garment body 610 is formed to cover the front and back portions of the upper body of the user. The inner sleeve 620 is coupled to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700. The outer sleeve 630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inner sleeve 620 and has a receiving hole ah (see FIG. 3 (a)) to accommodate the living body signal measuring unit 700 on the surface facing the living body signal measuring unit 700, (B)). The throttle unit 640 is provided on the inner sleeve 620 (see FIG. 4) and is configured to tighten the inner sleeve 620 such that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700 closely contacts the user's arm . The pair of straps 650 is provided on the outer sleeve 630 and is configured to tighten the outer sleeve 630 such that the bio-signal measuring part 700 is more closely attached to the user's arm . The pockets 660 may be formed in the outer sleeve 630 and may be formed to receive a separate interlocking module (not shown) interlocked with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700.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600)은 조임부(640)를 이용하여 안쪽 소매부(630)를 조임으로써 안쪽 소매부(630)에 결합되어 있는 생체신호 측정부(700)가 사용자의 팔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고, 한 쌍의 스트랩(640)을 이용하여 바깥쪽 소매부(630)를 조임으로써 생체신호 측정부(700)가 사용자의 팔에 더욱 밀착되도록 한다.The multifunctional garment 600 hav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be assembled to the inner sleeve 630 by tightening the inner sleeve 630 by using the throttle 640. [ The living body signal measuring unit 70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arm and the outside sleeve 630 can be tightened using the pair of straps 640, Make it more tight on your arm.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600)은 사용자가 입고 벗기가 간편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이 많은 활동(예컨대, 스포츠 및 야외 활동 등)에서 조임부(640) 또는 한 쌍의 스트랩(650)에 의해 생체신호 측정부(700)가 사용자의 팔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생체신호 측정부(700)가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끊기는 일 없이 측정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생체신호는 사용자의 체온 및 심박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ultifunctional garment 600 hav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nd safely used in a variety of activities such as sports and outdoor activities, Or the pair of straps 650 maintains the living-body-signal measuring unit 700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arm so that the living-body-signal measuring unit 700 can measure the user's living-body signal without disconnecting . Here, the user's bio-signal may include the user's body temperature and heart r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600)은 사용자가 자신의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생체신호 측정부(700)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garment 600 hav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user's biomedical signal through the bio-signal measurement unit 700 so that the user can check his or her bio-signal in real time .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600)은 포켓(660)에 구비되는 별도의 연동 모듈에 사용자의 생체신호가 전송되도록 하고, 연동 모듈에 의해 외부 전자 장치(예컨대, 통제실 컴퓨터 또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 등)에 사용자의 생체신호가 전달되도록 하여,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신호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garment 600 hav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ser's biometric signal to be transmitted to a separate interlock module provided in the pocket 660, A user's biologica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a device (e.g., a control room computer, a user portable terminal, or the like), and the user's biological signal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600)은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사용자가 직접 볼 수 있도록 표시하거나,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표시함으로써 표시되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자신 또는 외부에서 객관적으로 판단하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가 좋지 않은 상태로 급격히 변하는 경우 사용자 스스로 대처하도록 하거나, 외부에서 발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생명 보호를 가능하게 한다.Therefore, the multifunctional garment 600 hav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the user's biomedical signal directly for viewing by the user, So that the user's body condition can be judged objectively from the user or from the outside. This enables the user to cope with the sudden change of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or the user can be protected from the outside by allowing quick external ac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600)의 구성에 대해 상세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multifunctional garment 600 hav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의복본체(610)는 사용자의 상체 전면부분과 후면부분을 덮도록 형성된다. 의복본체(610)는 사용자의 목 부분을 감싸도록 상부에 칼라(collar)가 결합될 수 있다. 의복본체(610)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덮도록 상부에 모자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의복본체(610)는 사용자의 양팔 부분을 감싸도록 좌측부와 우측부 각각에 안쪽 소매부(620) 및 바깥쪽 소매부(630)가 결합된다.The garment body 610 is formed to cover the front and back portions of the upper body of the user. The garment body 610 may be coupled with a collar at the top to enclose the neck of the user. The garment body 61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top portion to cover the head portion of the user. The garment body 610 is coupled to the inner sleeve 620 and the outer sleeve 63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so as to enclose both arms of the user.

안쪽 소매부(620)는 의복본체(610)의 좌측부에 결합되는 좌측 안쪽 소매부, 및 의복본체(610)의 우측부에 결합되는 우측 안쪽 소매부를 포함하여 한 쌍으로 구성된다. 안쪽 소매부(620)의 좌측 안쪽 소매부에는 생체신호 측정부(70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생체신호 측정부(700)는 체온 및 심박수 등의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안쪽 소매부(620)의 우측 안쪽 소매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 안쪽 소매부(620)에 대해서는 좌측 안쪽 소매부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안쪽 소매부(620)는 사용자의 팔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안쪽 소매부(620)는 사용자의 체온 유지를 위한 방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안쪽 소매부(620)에는 생체신호 측정부(700)가 사용자 팔에 밀착되도록 하는 조임부(640)가 결합된다(도 4 참조). 여기서, 조임부(640)에 대해서는 도 4에서 후술한다.The inner sleeve portion 620 is comprised of a pair including a left inner sleeve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garment body 610 and a right inner sleeve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garment body 610. The living-body signal measuring unit 700 is coupled to the left inner sleeve of the inner sleeve 620. Here,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700 measures a user's bio-signal such as body temperature and heart rate, and may be coupled to a right inner sleeve of the inner sleeve 620 according to the user's need. Hereinafter, the inner side sleeve portion 6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eft inner side sleeve portion. The inner sleeve 620 is configured to wrap the user's arms. The inner sleeve 620 may be formed of a heat resistant material for maintaining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In the inner sleeve 620, a tightening portion 640 is attached to the living body signal measuring portion 700 so as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arm (see FIG. 4). Here, the tightening unit 64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바깥쪽 소매부(630)는 의복본체(610)의 좌측부에 결합되는 좌측 바깥쪽 소매부 및 의복본체(610)의 우측부에 결합되는 우측 바깥쪽 소매부를 포함하여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하 바깥쪽 소매부(630)에 대해서는 좌측 바깥쪽 소매부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바깥쪽 소매부(630)는 안쪽 소매부(62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바깥쪽 소매부(630)는 사용자의 신체 보호를 위한 방풍 또는 방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깥쪽 소매부(630)의 소정 부분에는 생체신호 측정부(700)가 관통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생체신호 측정부(700)의 일면(표시부)은 외부에 노출된다. 바깥쪽 소매부(630)에는 생체신호 측정부(700)를 둘러싸도록 강성한 재질의 테두리(bd)가 형성되어 생체신호 측정부(700)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바깥쪽 소매부(630)에는 생체신호 측정부(700)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스트랩(650)이 구비된다. 한 쌍의 스트랩(650)은 후술한다.The outer sleeve portion 630 comprises a pair of left outer sleeves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garment body 610 and a right outer sleeve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garment body 610. The outer sleeve 6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eft outer sleeve. The outer sleeve portion 630 is formed to enclose the inner sleeve portion 620. The outer sleeve 630 may be formed of a windproof or waterproof material for protecting the user's body. The living body signal measuring unit 700 can be position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uter sleeve 630. The display unit of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70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outer sleeve 630 is formed with a rigid material frame bd so as to surround the living-body-signal measuring unit 700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living-body-signal measuring unit 700. A pair of straps 650 are provided on the outer sleeve 630 with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700 therebetween. The pair of straps 65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의 (a) 및 도 3의(b)를 참고하면, 서로 분리된 상태의 안쪽 소매부(620)와 바깥쪽 소매부(630)를 확인 가능하다.Referring to FIGS. 3 (a) and 3 (b), the inner sleeve 620 and the outer sleeve 6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도 3의(a)에서, 안쪽 소매부(620)는 사용자의 팔목 부분을 감싸는 부분과 그 외 부분이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쪽 소매부(620)는 생체신호 측정부(700)가 결합되는 부분이 늘어나고 줄어들 수 있도록 신축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쪽 소매부(620)는 전기 절연을 위해 생체신호 측정부(700)를 둘러싸도록 절연부재(Ins)가 형성될 수 있다.3 (a), the inner sleeve 6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surrounding portion of the user's cuff,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inner sleeve 620 is preferably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so that the portion to which the bio-signal measuring part 700 is coupled can be stretched or shrunk. The inner sleeve 620 may be formed with an insulating member Ins to surround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700 for electrical insulation.

도 3의(b)에서, 바깥쪽 소매부(630)는 생체신호 측정부(700)를 마주보는 면에 수용홀(ah)이 형성된다. 여기서, 수용홀(ah)은 생체신호 측정부(700)의 형상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b), a receiving hole ah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outer sleeve 630 facing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700. [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iving hole ah be formed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700. [

도 4의(a) 및 도 4의(b)를 참고하면, 생체신호 측정부(700)가 형성된 전방의 안쪽 소매부(620)와 반대편인 후방의 안쪽 소매부(620)를 확인 가능하다.4 (a) and 4 (b),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inner sleeve 620 at the front side where the bio-signal measuring part 700 is formed, and the inner sleeve 620 at the rear opposite to the inner sleeve 620. [

도 4의(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임부(640)에 의해 안쪽 소매부(620)가 조여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의(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임부(640)에 의해 안쪽 소매부(620)가 조임 해제된 상태를 보여는 도면이다.4 (a)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inner sleeve 620 is tightened by the tightening part 6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b) And the inner sleeve 620 is unfastened by the female part 640. [

도 4의(a) 및 도 4의(b)에서, 조임부(640)는 일종의 지퍼(zipper)로서, 제1테이프(641), 제2테이프(643), 및 슬라이드 부재(645)를 포함할 수 있다.4A and 4B, the tightening portion 640 is a kind of zipper and includes a first tape 641, a second tape 643, and a slide member 645 can do.

제1테이프(641)는 안쪽 소매부(620)의 바깥쪽면에 결합된다. 제1테이프(641)는 복수의 이를 구비한다. 제2테이프(643)는 안쪽 소매부(620)의 바깥쪽면에 결합된다. 제2테이프(643)는 제1테이프(641)의 이 각각을 마주보는 방향에 복수의 이를 구비한다. 슬라이드 부재(645)는 제1테이프(641)와 제2테이프(643) 양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슬라이드 부재(645)는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상기 제1테이프(641)의 복수의 이와 상기 제2테이프(643)의 복수의 이가 맞물려 결합되도록 하거나 또는 분리되도록 한다. 슬라이드 부재(645)에는 슬라이드 부재(645)를 사용자가 잡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tape 641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leeve 620. The first tape 641 has a plurality of these. The second tape 643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leeve portion 620. The second tape 643 has a plurality of teeth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tape 641 faces. The slide member 645 is slidably provided on both the first tape 641 and the second tape 643. [ The slide member 645 allows a plurality of the first tapes 64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tapes 643 to be engaged or disengaged according to a sliding operation. The slide member 645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handle so that the slide member 645 can be easily held by the user.

제1테이프(641)와 제2테이프(643)는 각각의 일단이 서로 인접하고 각각의 타단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안쪽 소매부(620)의 바깥쪽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의(b) 참조). 이를 통해 조임부(640)는, 슬라이드 부재(645)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제1테이프(641)와 제2테이프(643)의 각각의 이가 맞물려 결합되는 경우, 생체신호 측정부(700)가 사용자 팔에 밀착되도록 안쪽 소매부(620)를 조이는 것이 가능하다(도 4의(a) 참조).The first tape 641 and the second tape 643 are preferably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leeve 620 such that one ends of the first tape 641 and the second tape 643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other ends of the first tape 641 and the second tape 64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Reference). When the first tape 641 and the second tape 643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lide member 645, the throttle unit 64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bio- It is possible to tighten the inner sleeve 62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arm (see Fig. 4 (a)).

한편, 제1테이프(641)와 제2테이프(643) 각각의 타단에는 슬라이드 부재(645)가 제1테이프(641)와 제2테이프(643) 각각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A stopper (not shown) for preventing the slide member 645 from escaping from the first tape 641 and the second tape 643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tape 641 and the second tape 643 .

다시 도 1, 도 2, 및 도 3(b)를 참고하면, 한 쌍의 스트랩(650)은 제1스트랩(651)과 제2스트랩(65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1, 2, and 3 (b), the pair of straps 650 may include a first strap 651 and a second strap 653.

제1스트랩(651)은 생체신호 측정부(700)를 수용하는 수용홀(ah) 우측의 바깥쪽 소매부(630)에 구비된다. 제2 스트랩(653)은 생체신호 측정부(700)를 수용하는 수용홀(ah) 좌측의 바깥쪽 소매부(630)에 구비된다.The first strap 651 is provided on the outer sleeve 630 on the right side of the receiving hole ah for accommodating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700. The second strap 653 is provided on the outer sleeve 630 on the left side of the receiving hole ah for receiving the bio-signal measuring part 700. [

제1스트랩(651)은 바깥쪽 소매부(630)의 바깥쪽면 중에서 우측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제2스트랩(653)은 바깥쪽 소매부(630)의 바깥쪽면 중에서 좌측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trap 651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right area of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sleeve 630 and the second strap 653 is formed to surround the left area of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sleeve 630 .

제1스트랩(651)은 바깥쪽 소매부(630)를 마주보는 안쪽면에 체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스트랩(653)은 바깥쪽 소매부(630)를 마주보는 안쪽면과 반대편 바깥쪽면에 체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스트랩(651)과 제2스트랩(653)은 체결부재에 의해 바깥쪽 소매부(630)를 조이도록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재는 후크 앤 루프(hook and loop) 체결부재일 수 있다. 제1스트랩(651)의 안쪽면에는 후크 체결부재가 구비되고, 제2스트랩(653)의 바깥쪽면에는 루프 체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스트랩(651)과 제2스트랩(653)은, 상기한 바 있는 안쪽 소매부(620)를 조이는 조임부(640)에 의해 생체신호 측정부(700)가 사용자 팔(특히, 사용자 손목부분)에 밀착된 상태에서, 바깥쪽 소매부(630)를 조이도록 서로 체결됨으로써 생체신호 측정부(700)가 사용자 팔에 더욱 밀착되도록 한다.The first strap 651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member on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outer sleeve 630. The second strap 653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member on the outer surface opposite to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outer sleeve 630. The first strap 651 and the second strap 653 can be fastened to fasten the outer sleeve 630 by the fastening member. Here, the fastening member may be a hook and loop fastening member. A hook fastening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trap 651 and a loop fastening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trap 653. That is, the first strap 651 and the second strap 65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tightening unit 640 that tightens the inner sleeve 620, The wrist portion is tightened to tighten the outer sleeve 630 so that the living body signal measuring unit 700 is more closely attached to the user's arm.

이하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부(700)의 결합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mbining process of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7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의(a)에서, 안쪽 소매부(620)는 소정 부분이 커팅된다. 여기서, 커팅은 레이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쪽 소매부(620)는 상기한 커팅에 의해 관통홀(ph)이 형성된다. 관통홀(ph)은 생체신호 측정부(700)의 형상에 맞춰 형성될 수 있다.In Fig. 5 (a), the inner sleeve 620 is cut at a predetermined portion. Here, the cutting can be performed by a laser method. The inner sleeve 620 is formed with a through-hole ph by the above-described cutting. The through-holes (ph)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700.

도 5의(b)에서, 생체신호 측정부(700)는 관통홀(ph)에 위치한다. 이때 생체신호 측정부(700)는 센싱부분이 안쪽 소매부(620)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표시부분 또는 입력부분이 안쪽 소매부(620)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생체신호 측정부(700)는 재봉선(sl)을 따라 재봉되면, 안쪽 소매부(620)에 고정된다. 여기서, 생체신호 측정부(700)는 재봉에 의해 안쪽 소매부(620)에 고정되도록 둘레를 따라 직물이 형성될 수 있다.5 (b),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700 is located at the through-hole ph. At this time,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700 is disposed so that the sensing portion is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inner sleeve portion 620, and the display portion or the input portion is directed toward the outside of the inner sleeve portion 620.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700 is fixed to the inner sleeve 620 when sewed along the seam sl. Here,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700 may be formed with a fabric around the periphery so as to be fixed to the inner sleeve 620 by sewing.

도 5의(c)에서, 절연부재(Ins)는 생체신호 측정부(70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안쪽 소매부(620)의 바깥쪽면에 부착된다. 절연부재(Ins)는 전기 또는 열이 통하지 않게 하는 부도체로 이루어진다.5 (c), the insulating member Ins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700 and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leeve 620. The insulator (Ins) is made of non-conductive material that prevents electricity or heat from passing through.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에 구비되는 포켓(66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6 and 7, the structure of the pocket 660 provided in the multifunctional garment having the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포켓(660)은 포켓 전면부(661), 포켓 후면부(663), 포켓 덮개(665), 모듈 홀더부(667), 및 체결부재(669)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cket 660 may include a pocket front portion 661, a pocket back portion 663, a pocket cover 665, a module holder portion 667, and a fastening member 669.

포켓 전면부(661)는 중심부에 관통홀(h)이 형성된다. 포켓 전면부(661)의 바깥쪽면의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테이프가 형성된다. 여기서, 테이프는 일종의 웨빙 테이프(webbing tape)일 수 있고, 포켓 전면부(661)의 형상 유지에 도움을 준다. 포켓 후면부(663)는 일단이 포켓 전면부(661)의 일단에 연결된다. 포켓 후면부(663)는 체결부재(669)에 의해 좌측부와 우측부가 포켓 전면부(661)에 체결되어, 포켓 전면부(661)와의 사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체결부재(669)는 후크 앤 루프 체결부재일 수 있고, 후크 체결부재(669a)와 루프 체결부재(669b)를 포함한다. 후크 체결부재(669a)는 포켓 후면부(663)를 마주보는 포켓 전면부(661)의 안쪽면의 좌측부와 우측부 각각에 형성되고, 루프 체결부재(669b)는 포켓 전면부(661)를 마주보는 포켓 후면부(663)의 일면의 좌측부와 우측부 각각에 형성된다. 이를 통해 포켓 후면부(663)는 좌측부와 우측부가 포켓 전면부(661)에 체결된다. 이때 서로 체결되지 않은 포켓 전면부(661)와 포켓 후면부(663) 각각의 타단 사이에는 개구가 형성된다. 포켓 덮개(665)는 포켓 후면부(663)의 타단에 연결되고, 포켓 전면부(661) 및 포켓 후면부(663) 각각의 타단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를 덮도록 형성된다. 모듈 홀더부(667)는 포켓 전면부(661)의 관통홀(h)과 연통하게 형성되고, 재봉에 의해 포켓 전면부(661)에 결합된다. 모듈 홀더부(667) 주변에는 모듈 홀더부(667)의 전기 절연을 위한 절연부재(Ins)가 형성된다. 모듈 홀더부(667)에는 전원 및 전기 신호 전송을 위한 케이블(cable)이 연결된다. 포켓 후면부(663)에는 케이블(cable)이 관통하는 케이블 홀(ch)이 형성된다.The pocket front portion 661 has a through hole h formed at its center. A tape is formed on the left side portion and the right side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ocket front portion 661. Here, the tape may be a kind of webbing tape, which helps maintain the shape of the pocket front portion 661. One end of the pocket rear portion 663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ocket front portion 661. The pocket rear portion 663 is fastened to the pocket front portion 661 by the fastening member 669 so that the left side portion and the right side portion thereof are formed with the pocket front portion 661. Here, the fastening member 669 may be a hook-and-loop fastening member, and includes a hook fastening member 669a and a loop fastening member 669b. The hook fastening member 669a is formed on each of the left side portion and the right side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ocket front portion 661 facing the pocket rear portion 663 and the loop fastening member 669b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pocket front portion 661, And is formed on each of the left side portion and the right side portion of one side of the pocket rear portion 663. Whereby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pocket rear portion 663 are fastened to the pocket front portion 661. At this time, an opening is formed between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ocket front portion 661 and the pocket rear portion 663, which are not fastened to each other. The pocket cover 665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ocket rear portion 663 and is formed to cover an opening formed between the other ends of the pocket front portion 661 and the pocket rear portion 663, respectively. The module holder portion 667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hole h of the pocket front portion 661 and is coupled to the pocket front portion 661 by sewing. An insulation member (Ins) for electrical insulation of the module holder portion 667 is formed around the module holder portion 667. A cable for transmitting electric power and electric signals is connected to the module holder part 667. A cable hole (ch) through which a cable penetrates is formed in the pocket rear portion (663).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포켓(660)은 포켓 전면부(661)와 포켓 후면부(663) 각각의 타단 사이의 개구를 통해 별도의 연동 모듈(미도시)을 내부 수용 공간에 수용 가능하다. 연동 모듈은 모듈 홀더부(667)에 장착되어 관통홀(h)을 통해 소정 부분이 포켓(660)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연동 모듈은 모듈 홀더부(66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듈 홀더부(667)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cable)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거나, 전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pocket 66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receive a separate interlocking module (not shown) in the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through an opening between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ocket front portion 661 and the pocket rear portion 663. The interlocking module may be mounted to the module holder portion 667 and a predetermined portion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cket 660 through the through hole h. The interlocking modul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dule holder portion 667 and may receive power from the cable connected to the module holder portion 667 or transmit and receive an electric signal.

이하 도 8 내지 도 19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의복(100)에 대해 설명한다.8 to 19, a multifunctional garment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의복(100)은 사용자가 입고 행동 가능한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 값으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 건강상태를 체크하는 기능과 사용자가 물에 빠질 경우 구명 튜브를 긴급히 전개하는 기능 등 더욱 많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체신호 측정부(200), 송수신부(300), 에너지생성부(400) 및 공기튜브(500) 등이 구비될 수 있다.8 and 9, the multifunctional garment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rovides a basic function that a user can wear and take, but also acquires the user's body information and displays it as a data value,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the transceiving unit 300, the energy generating unit 400, and the bio-signal generating unit 400. [0043] And an air tube 500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의복(100)은, 사용자가 입고 행동 가능한 의복본체(110)의 어느 한 쪽 소매부에 생체신호 측정부(200)가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생체신호 측정부(200)가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건강 상태 관리가 가능하다.The multifunctional garment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living body signal measurement unit 200 inserted and withdrawable in one of the sleeves of the garment main body 110 that can be put on and taken out by the user, The measuring unit 200 measures the user's biological signal and displays the result of the measurement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resul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의복(100)은, 의복본체(110)의 전면부와 후면부 소정 부분을 덮도록 공기튜브(500)가 구비됨으로써, 평상시 의복본체(110)에 의해 감춰져 있던 공기튜브(500)가 사용자가 물에 빠지는 등의 긴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전개 가능하고, 물속에 빠진 사용자를 물에 띄워 사용자가 물 속으로 가라앉지 않게 하여, 사용자의 수중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의복(100)은 의복본체(110), 포켓(120), 투명창(130), 한 쌍의 스트랩(140) 및 덮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후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The multifunctional garment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ir tube 500 to cover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garment main body 110 so that the multifunctional garment 100 is concealed by the garment main body 110 The air tube 500 can be deployed when an emergency such as a user falls into the water and the user who is in the water can float on the water so that the user does not sink into the water, . A multifunctional garment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garment body 110, a pocket 120, a transparent window 130, a pair of straps 140,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의복본체(110)는 긴 소매를 가지는 상의일 수 있다. 즉, 의복본체(110)는 사용자 가슴을 덮는 전면부, 사용자 등을 덮는 후면부, 사용자 팔이 끼워지는 한 쌍의 소매부 및, 사용자 목 부분을 감싸는 칼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의복본체(110)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 머리를 덮는 모자부가 더욱 구비될 수도 있다.The garment body 110 may be a long sleeved top. That is, the garment body 110 may include a front portion covering the user's chest, a rear portion covering the user's back, a pair of sleeves into which the user's arm is inserted, and a collar portion surrounding the user's neck. The clothes main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a hat portion that covers the user's head as needed.

의복본체(110)는 생체신호 측정부(200), 송수신부(300), 에너지생성부(400) 및, 공기튜브(500)가 구비되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품이 추가되거나, 새로운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The garment main body 110 may be added with a new component to be provided with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the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300, the energy generating unit 400, and the air tube 500, .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의복본체(110)에는, 생체신호 측정부(200)가 구비되도록 하는 포켓(120)이 형성될 수 있다. 포켓(120)은 의복본체(110)의 한 쌍의 소매부 중 어느 한 쪽 소매부의 안쪽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포켓(120)은 소매부 전체 부분에서 팔목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S. 10 and 11, a pocket 120 may be formed in the garment main body 110 such that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is provided. The pockets 12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one of the sleeves of the pair of sleeves of the garment body 110. Preferably, the pocket 120 is form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cuff at the entire sleeve portion.

포켓(120)은 일단에 개폐 가능한 개구부(121)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121)는, 의복본체(110) 소매부의 상박부 방향에 위치하는 포켓(12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생체신호 측정부(200)가 포켓(120) 내부에 삽입된 이후에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pocket 120 may have an opening 121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t one end. Here, the opening 121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pocket 120 positioned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edge of the sleeve of the garment body 110. This is to prevent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from easily escaping to the outside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pocket 120.

개구부(121)는 의복본체(110) 소매부 안쪽 면에 체결되어 폐쇄되거나, 의복본체(110) 소매부 안쪽 면으로부터 체결 해제되어 개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구부(121)는 후크 앤 루프(hook and loop) 체결부재(vh, vl)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후크 앤 루프 체결부재(vh, vl)는 벨크로(Velcro) 체결부재로 일컬어진다. The opening 121 may be cl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f the garment body 110 or may be unlock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f the garment body 110 to be opened. To this end, the opening 121 may have hook and loop fastening members vh, vl. Here, the hook-and-loop fastening members vh and vl are referred to as Velcro fastening members.

예컨대, 의복본체(110) 소매부의 안쪽 면에 벨크로 루프(vl: Velcro loop)가 형성되고, 포켓(120)의 개구부(121)에 벨크로 후크(vh: Velcro hook)가 형성되면, 벨크로 루프(vl) 및 벨크로 후크(vh)가 서로 결합 가능하고, 이때 개구부(121)의 폐쇄가 가능하다. For example, when a velcro loop (vl)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f the garment body 110 and a velcro hook (vh) is formed in the opening 121 of the pocket 120, And the velcro hook vh can be coupled with each other, and at this time, the opening 121 can be closed.

반대로, 의복본체(110) 소매부의 안쪽 면에 벨크로 후크(vl: Velcro hook)가 형성되고, 포켓(120)의 개구부(121)에 벨크로 루프(vh: Velcro loop)가 형성되면, 벨크로 루프(vl) 및 벨크로 후크(vh)가 서로 결합가능하고, 이때 개구부(121)의 폐쇄가 가능하다. 여기서, 개구부(121)의 체결 방식은 벨크로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버튼 방식 또는 그 이외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Conversely, when a velcro hook (vl)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f the garment body 110 and a velcro loop (vh) is formed in the opening 121 of the pocket 120, the velcro loop vl And the velcro hook vh can be coupled with each other, and at this time, the opening 121 can be closed. Here, the fastening method of the opening 121 is not limited to the Velcro type, and a button type or various other methods may be applied.

포켓(120)은, 생체신호 측정부(200)가 삽입되어 위치하는 경우 생체신호 측정부(200)의 센싱부분이 노출되도록, 사용자 피부에 맞닿게 되는 면에 구멍(h)이 형성될 수 있다. 포켓(120)의 구멍(h) 형상은 생체신호 측정부(200)의 센싱부분 형상에 맞춰 적절히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체신호 측정부(200)가 포켓(120)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경우, 생체신호 측정부(200)의 센싱부분이 포켓(120)의 구멍(h)을 통해 사용자 피부에 맞닿게 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 생체신호의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A hole h may be formed in a surface of the pocket 120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ser's skin so that the sensing portion of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is exposed when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is inserted and positioned . The shape of the hole h of the pocket 120 may be appropriately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sensing portion of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When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pocket 120, the sensing part of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ser's skin through the hole h of the pocket 120, This makes it possible to measure the user's vital signs.

한편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포켓(120)과 대응하는 위치의 의복본체(110) 소매부의 바깥쪽 면에는 투명창(130)이 형성되고, 투명창(130) 양측에는 한 쌍의 스트랩(140)이 구비될 수 있다.12 and 13, a transparent window 13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leeve of the garment body 1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cket 120, (140) may be provided.

먼저 투명창(130)은, 포켓(120)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있는 생체신호 측정부(200)를 사용자가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생체신호 측정부(200)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투명창(130)은 생체신호 측정부(20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사용자 신체정보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한다. 투명창(130) 형상은 생체신호 측정부(200)의 표시부 형상에 맞춰 적절히 형성될 수 있다. 투명창(130)은 내구성이 높고 플렉서블한 강화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transparent window 130 allows the user to view the living body signal measuring unit 200 inserted into the pocket 120 from the outside. Here,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includes a display unit, and the transparent window 130 allows the user's body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to be viewed from the outside. The shape of the transparent window 130 may be appropriately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display portion of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The transparent window 130 may be formed of a highly durable and flexible tempered glass material.

한 쌍의 스트랩(140)은 투명창(130)을 사이에 두고 의복본체(110) 소매부의 바깥쪽 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트랩(140)은, 생체신호 측정부(200)의 센싱부분이 사용자의 팔에 밀착되도록 의복본체(110) 소매부를 조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트랩(140)은 우측 스트랩(141)과 좌측 스트랩(143)을 포함할 수 있다.A pair of straps 14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leeve of the garment body 110 with the transparent window 130 therebetween. The pair of straps 140 may be formed to tighten the sleeve of the garment body 110 such that the sensing portion of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arm. The pair of straps 140 may include a right strap 141 and a left strap 143.

우측 스트랩(141)은 의복본체(110) 소매부의 바깥쪽 면 중에서 우측 및 하부 소정 영역(도6기준)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우측 스트랩(141) 바깥쪽에는 체결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우측 스트랩(141)에 형성되는 체결부재는 후크 앤 루프 체결부재일 수 있다. The right strap 141 may be formed to enclose the right and lower predetermined regions (reference in FIG. 6) out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sleeves of the garment body 110. A fastening member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right strap 141. The fastening member formed on the right strap 141 may be a hook-and-loop fastening member.

좌측 스트랩(143)은 의복본체(110) 소매부의 바깥쪽 면 중에서 좌측 및 하부 소정 영역(도6기준)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스트랩(143) 안쪽에는 체결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스트랩(141)에 형성되는 체결부재는 후크 앤 루프 체결부재일 수 있다. The left strap 143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left and lower predetermined regions (reference in FIG. 6) out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sleeves of the garment body 110. A fastening member may b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left strap 143. The fastening member formed on the left strap 141 may be a hook-and-loop fastening member.

예컨대, 우측 스트랩(141)에 벨크로 루프(vl: Velcro loop)가 형성되고, 좌측 스트랩(143)에 벨크로 후크(vh: Velcro hook)가 형성되면, 벨크로 루프(vl) 및 벨크로 후크(vh)가 서로 결합 가능하고, 이때 우측 스트랩(141)과 좌측 스트랩(143)이 체결되어 의복본체(110) 소매부를 조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velcro loop (vl) is formed on the right strap 141 and a velcro hook (vh) is formed on the left strap 143, the velcro loop vl and the velcro hook vh At this time, the right strap 141 and the left strap 143 can be fastened to tighten the sleeve of the garment main body 110.

반대로, 우측 스트랩(141)에 벨크로 후크(vh)가 형성되고, 좌측 스트랩(143)에 벨크로 루프(vl)가 형성되면, 벨크로 루프(vl) 및 벨크로 후크(vh)가 서로 결합 가능하고, 이때 우측 스트랩(141)과 좌측 스트랩(143)이 체결되어 의복본체(110) 소매부를 조일 수도 있다.Conversely, when the velcro hook vh is formed on the right strap 141 and the velcro loop vl is formed on the left strap 143, the velcro loop vl and the velcro hook vh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right strap 141 and the left strap 143 may be fastened together to tighten the sleeves of the garment body 110. [

여기서, 스트랩(140)의 체결 방식은 벨크로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버튼 방식 또는 그 이외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Here, the fastening method of the strap 140 is not limited to the Velcro type, but a button type or various other methods may be applied.

한 쌍의 스트랩(140)을 이용한 의복본체(110) 소매부를 조이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의복본체(110) 소매부의 바깥쪽 면 중에서 우측 및 하부 소정 영역에 우측 스트랩(141)의 안쪽 면이 맞닿도록 위치시키고, 이후 좌측 스트랩(143)을 이동시켜 좌측 스트랩(143)의 벨크로 후크(vh)가 우측 스트랩(141)의 벨크로 루프(vl)에 결합되도록 하면, 의복본체(110) 소매부가 조이게 된다. 이를 통해 의복본체(110) 소매부 내측에 위치하는 생체신호 측정부(200)가 사용자 팔에 밀착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right strap 14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ight and lower predetermined region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leeve of the garment main body 110, And then the left strap 143 is moved so that the velcro hook vh of the left strap 143 is engaged with the velcro loop vl of the right strap 141 to tighten the sleeve of the garment main body 110 . The living body signal measuring unit 200 located inside the sleeve of the garment main body 11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arm.

한편, 한 쌍의 스트랩(140)을 이용하여 의복본체(110) 소매부를 조이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의복본체(110) 소매부를 조이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우측 스트랩(141)를 제외하고 좌측 스트랩(143)만 구비되는 경우에는 의복본체(110) 소매부 자체에 벨크로 루프(vl)가 형성될 수 있고, 좌측 스트랩(143)의 벨크로 후크(vh)가 의복본체(110) 소매부의 벨크로 루프(vl)에 결합되도록 하여 의복본체(110) 소매부를 조일 수도 있다.While the pair of straps 140 are used to tighten the sleeves of the garment main body 110, the method of tightening the sleeves of the garment main body 110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variously applied. For example, when only the left strap 143 is provided except for the right strap 141, the velcro loop vl may be formed on the sleeve itself of the garment body 110, and the velcro hook vh of the left strap 143 May be coupled to the velcro loop (vl) of the sleeve of the garment body 110 to tighten the sleeve of the garment body 110. [

도 14를 참고하면, 생체신호 측정부(200)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14의 (a)에서 생체신호 측정부(200)의 표시부(210)를 확인할 수 있고, 도 14의(b)에서 생체신호 측정부(200)의 센싱부(220)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도 14의(c)에서 생체신호 측정부(200)의 측면 형상을 활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can be confirmed. That is, the display unit 210 of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can be confirmed in FIG. 14 (a), and the sensing unit 220 of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can be confirmed in FIG. 14 (b) 14 (c), the side surface shape of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can be activated.

생체신호 측정부(200)는, 표시부(210)와 센싱부(220)를 포함하여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생체신호 측정부(200)는, 센싱부(220)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시부(2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220)는 심박센서, 온도센서 및 위치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심박센서는 사용자 신체의 심박수 측정이 가능하고, 온도센서는 사용자 신체의 온도 측정이 가능하며, 위치센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측정이 가능하다.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may include a display unit 210 and a sensing unit 220 and may be formed of a single module. The living body signal measuring unit 200 measures the user's living body signal through the sensing unit 220 and displays the result through the display unit 210. Here, the sensing unit 220 may include a heartbeat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d a position sensor. Here, the heart rate sensor can measure the heart rate of the user's body, the temperature sensor can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user's body, and the position sensor can measure the user's current position.

이와 같이 센싱부(220)에서 측정된 각종 사용자 신체 정보는 표시부(21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정보를 즉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다.The user body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22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10. [ Accordingly, the user can immediately confirm his or her body information.

한편, 도 14의(c)에서 생체신호 측정부(200)의 센싱부(220)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생체신호 측정부(200)의 센싱부(220)를 굴곡진 사용자 팔에 밀착시킴으로써, 사용자 신체 정보를 더욱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함이다. 14 (c), the sensing unit 220 of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may have a curved surface. This is to closely measure the user's body information by closely contacting the sensing unit 220 of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to the curved user's arm.

또한, 생체신호 측정부(200)의 표시부(210)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의복본체(110)의 소매부에 팔을 넣어 입을 경우, 의복본체(110)의 유리창(130)이 사용자 팔 모양에 맞춰 휘어지게 되므로, 생체신호 측정부(200)의 표시부(210)가 유리창(130)에 밀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의복본체(110)를 착용함에 있어서 불편함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10 of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may have a curved surface. This is because when the user puts his / her arm into the sleeve of the garment main body 110, the glass window 130 of the garment main body 110 is ben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arm, So that the user can wear the garment main body 110 without any inconvenience.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생체신호 측정부(200)가 포켓(120)에 삽입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5와 같이 생체신호 측정부(200)의 센싱부(220)가 포켓(120)의 구멍(h)에 맞춰 삽입되면, 도 16과 같이 생체신호 측정부(200)의 표시부(210)는 유리창(120)에 맞춰 위치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S. 15 and 16, it can be seen that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pocket 120. FIG. 16, when the sensing unit 220 of the living body signal measuring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hole h of the pocket 120 as shown in FIG. 15, the display unit 210 of the living body signal measuring unit 200, as shown in FIG. 16, (120).

여기서, 생체신호 측정부(200)는 포켓(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 생체신호를 측정 가능할 뿐만 아니라, 포켓(120)에서 빠져 나와 다른 시계 장치 등에 장착되고 나서, 사용자 팔에 시계 장치가 장착되면, 시계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can not only measure the user's living body signal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pocket 120, , It is also possible to measure the user's vital sign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watch device.

다시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송수신부(300), 에너지생성부(400) 및 공기튜브(500)는 의복본체(110)의 적절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송수신부(300)는 의복본체(110) 전면부의 소정위치에 구비되고, 에너지생성부(400)는 의복본체(110) 소매부의 소정위치에 구비되며, 공기튜브(500)는 의복본체(110)의 목부분에 연결되되, 의복본체(110) 전면부와 의복본체(110) 후면부 소정 부분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8 and 9, the transceiver 300, the energy generator 400, and the air tube 500 may be provided at appropriate positions of the garment body 110.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00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garment main body 110, the energy generation unit 400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leeve of the garment main body 110, 110 so as to cover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garment main body 11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garment main body 110.

송수신부(300)는 생체신호 측정부(200)로부터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송수신부(300)는 사용자 심박수, 사용자 신체 온도 및 사용자 위치 정보 등을 생체신호 측정부(200)로부터 수신하여 외부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는 스마트폰, 서버 등 다양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외부에서는, 전달받은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진단할 수 있으며, 진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 위험 상황에 미리 대비하도록 한다.The transceiver unit 300 receives the bio-signal from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and can transmit it to the outside. That is, the transceiver 300 can receive the user's heart rate, the user's body temperature, and the user's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and deliver it to the outside. Here, the outside may be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a server, and the like. On the outside, the body condition of the user can be diagnosed based on the transmitted bio-signal, and the diagnosis result is informed to the user to prepare for the dangerous situation in advance.

송수신부(300)는 의복본체(110) 전면부의 바깥쪽 면과 안쪽 면 사이의 공간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ransceiver 300 may be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garment body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에너지생성부(400)는 생체신호 측정부(200) 또는 송수신부(300)에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에너지생성부(400)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솔라 패널(solar panel) 또는 바람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윈드 터빈(wind turbine) 등의 친환경 에너지 생성 장치일 수 있다. 에너지생성부(400)에서 생성된 에너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생체신호 측정부(200) 또는 송수신부(300)에 공급되어, 생체신호 측정부(200) 또는 송수신부(300)를 동작시킬 수 있다.The energy generating unit 400 may generate energy to be supplied to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or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300. For example, the energy generating unit 400 may be an eco-friendly energy generating device such as a solar panel that generates energy using solar heat or a wind turbine that generates energy using wind. The energy generated by the energy generating unit 400 may be supplied to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or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300 by wire or wireless to operate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0 or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300 .

에너지생성부(400)는 의복본체(110) 소매부의 상박부에 착탈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의복본체(110)의 소정 영역에 적절히 구비될 수 있다.The energy generating unit 400 may be provided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sleeve of the garment body 110 but may be suitably provid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garment body 110 as needed.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하면, 공기튜브(500)는 의복본체(110)를 입은 사용자가 물 속에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의복본체(110) 목부분에 연결되되, 의복본체(110) 전면부와 의복본체(110) 후면부의 소정 부분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17 and 18, the air tube 500 is for preventing the wearer of the garment body 110 from sinking in the water. The air tube 500 is connected to the neck of the garment body 110, And may be provided to cover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garment main body 110.

이러한 공기튜브(500)는 평소에 의복본체(110)의 덮개부(150)에 의해 덮이게 되어 외부와 차단된 상태일 수 있다.The air tube 500 may be covered by the lid 150 of the garment body 110 and may be shielded from the outside.

여기서, 덮개부(150)는, 의복본체(110)의 전면부와 의복본체(110)의 후면부 소정부분에 후크 앤 루프(hook and loop) 체결부재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The cover 150 may be attached to a front portion of the garment body 110 and a rear portion of the garment body 110 through a hook and loop fastening member.

예컨대, 덮개부(150)는 의복본체(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하게 되는 공기튜브(500)를 덮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덮개부(150) 각각은 의복본체(110)의 중앙에 인접한 부분이 의복본체(11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나머지 외곽 부분이 의복본체(11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후크 앤 루프(hook and loop) 체결부재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d part 150 may be provided in a pair so as to cover the air tube 500 position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garment body 110. Each of the lid parts 15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parts of the garment main body 110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garment main body 110 and the remaining outer parts are hooked to the front and rear parts of the garment main body 110, And can be attached through a hook and loop fastening member.

도 18은 덮개부(150)의 외곽 부분이 의복본체(11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부착되어, 공기튜브(500)가 덮개부(150)에 의해 덮인 상태이다. 도 19는 덮개부(150)의 외곽 부분이 의복본체(110)의 전면부와 후면부로부터 탈락되어, 그 틈을 통해 공기튜브(500)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다.18 shows a state in which an outer portion of the lid 150 is attached to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garment body 110 so that the air tube 500 is covered by the lid 150. [ 19 is a state in which the outer portion of the lid 150 is detached from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garment body 110 and the air tube 50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p.

한편, 덮개부(150)의 소정 영역에는 공기튜브(500)에 가스를 주입하는 인플레이터(510)가 보이도록 투명창(151)이 구비될 수 있다. 투명창(151)은 인플레이터(510) 위치를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써, 위급 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손쉽게 인플레이터(510)를 동작시키도록 도와준다. A transparent window 151 may b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lid 150 so that the inflator 510 for injecting gas into the air tube 500 is visible. The transparent window 151 shows the user the position of the inflator 510, thereby helping the user to easily operate the inflator 510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여기서, 인플레이터(510)는 사용자의 레버 조작에 따라 공기튜브(500)에 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인플레이터(510)는 수심에 따라 공기튜브(500)에 가스를 자동으로 주입할 수 있다. 이러한 인플레이터(510)에는 인플레이터(510)의 자동 동작을 위해 수심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Herein, the inflator 510 can inject gas into the air tube 5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ver of the user. Further, the inflator 510 can automatically inject gas into the air tube 500 according to the water depth. The inflator 510 may be equipped with a depth sensor for automatic operation of the inflator 510.

도 19를 참고하면, 공기튜브(500)의 전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9의(a)는 측방에서 바라본 공기튜브(500)이고, 도 19의(b)는 후방에서 바라본 공기튜브(500)이다.Referring to FIG. 19, the deployed state of the air tube 500 can be confirmed. Fig. 19 (a) is an air tube 500 viewed from the side, and Fig. 19 (b) is an air tube 500 viewed from the rear.

위급 상황 발생시 수동 또는 자동으로 공기튜브(500)가 전개되는 경우에는, 덮개부(150)의 벨크로 후크(vh)가 의복본체(110)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벨크로 루프(vl)로부터 떨어지게 되며, 전개된 공기튜브(500)에 의해 사용자가 물속으로 가라앉지 않고 물 밖에 띄워지게 되므로 수중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e velcro hook vh of the lid part 150 is detached from the velcro loop vl of the front and rear parts of the garment body 110 when the air tube 500 is deployed manually or automatically when an emergency occurs, The user can be prevented from sinking into the water and floating outside the water by the deployed air tube 500, so that an underwater accident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의복(100)은, 사용자가 입고 행동 가능한 의복본체(110)의 어느 한 쪽 소매부에 생체신호 측정부(200)가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생체신호 측정부(200)가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건강 상태 관리가 가능하다.The multifunctional garment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living body signal measurement unit 200 inserted and withdrawable in one of the sleeves of the garment main body 110 that can be put on and taken out by the user, The measuring unit 200 measures the user's biological signal and displays the result of the measurement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resul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의복(100)은, 의복본체(110)의 전면부와 후면부 소정 부분을 덮도록 공기튜브(500)가 구비됨으로써, 평상시 의복본체(110)에 의해 감춰져 있던 공기튜브(500)가 사용자가 물에 빠지는 등의 긴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전개 가능하고, 물속에 빠진 사용자를 물에 띄워 사용자가 물 속으로 가라앉지 않게 하여, 사용자의 수중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e multifunctional garment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ir tube 500 to cover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garment main body 110 so that the multifunctional garment 100 is concealed by the garment main body 110 The air tube 500 can be deployed when an emergency such as a user falls into the water and the user who is in the water can float on the water so that the user does not sink into the water,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600: 다기능 의복
610: 의복본체
620: 안쪽 소매부
ph: 관통홀
Ins: 절연부재
Sl: 재봉선
630: 바깥쪽 소매부
bd: 테두리
ah: 수용홀
640: 조임부
641: 제1 테이프
643: 제2 테이프
645: 슬라이드 부재
650: 한 쌍의 스트랩
651: 제1스트랩
653: 제2스트랩
660: 포켓
661: 포켓 전면부
Tape: 테이프
663: 포켓 후면부
665: 포켓 덮개
ch: 케이블홀
667: 모듈홀더부
h: 관통홀
669: 체결부재
669a: 후크 체결부재
669b: 루프 체결부재
100: 다기능 의복
110: 의복본체
120: 포켓
121: 개구부
h: 구멍
130: 투명창
140: 한 쌍의 스트랩
141, 143: 우측, 좌측 스트랩
vl: 벨크로 루프
vh: 벨크로 후크
150: 덮개부
151: 투명창
200: 생체신호 측정부
210: 표시부
220: 센싱부
300: 송수신부
400: 에너지생성부
500: 공기튜브
510: 인플레이터
600: Multifunctional Apparel
610: garment body
620: inner sleeve portion
pH: Through hole
Ins: Insulation member
Sl: seam
630: outer sleeve portion
bd: Border
ah: receiving hole
640:
641: first tape
643: Second tape
645: slide member
650: a pair of straps
651: first strap
653: second strap
660: Pocket
661: Pocket front part
Tape: Tape
663: Pocket Rear
665: Pocket cover
ch: Cable Hole
667: Module holder part
h: Through hole
669: fastening member
669a: hook fastening member
669b: Loop fastening member
100: Multifunctional Apparel
110: garment body
120: Pocket
121: opening
h: hole
130: Transparent window
140: a pair of straps
141, 143: Right and left straps
vl: Velcro Loop
vh: Velcro hook
150:
151: Transparent window
200: biological signal measurement unit
210:
220: sensing unit
300: Transmitting /
400: energy generating unit
500: air tube
510: Inflator

Claims (9)

센싱부분과 표시부분을 구비하는 생체신호 측정부가 결합되는 안쪽 소매부; 및
상기 안쪽 소매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를 마주보는 면에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를 수용하도록 수용홀이 형성되는 바깥쪽 소매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안쪽 소매부에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가 사용자의 팔에 밀착되도록 상기 안쪽 소매부를 조이도록 형성되는 조임부가 구비되고,
상기 안쪽 소매부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가 관통 위치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는 상기 관통홀에 관통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안쪽 소매부에 재봉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
An inner sleeve coupled to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having a sensing portion and a display portion; And
An outer sleeve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sleeve and having a receiving hole for receiving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on a surface facing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Lt; / RTI >
Wherein the inner sleeve portion is provided with a tightening portion formed so as to tightly fasten the inner sleeve portion so that the bio-signal measuring portion closely contacts the user's arm,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inner sleeve so that the bio-signal measuring part penetrates through the inner sleeve,
Wherein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is coupled to the inner sleeve by sewing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소매부에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가 상기 사용자의 팔에 더욱 밀착되도록 상기 바깥쪽 소매부를 조이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스트랩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outer sleeve portion,
And a pair of straps formed to tightly fasten the outer sleeve so that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is more closely attached to the user's ar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 소매부는, 늘어나고 줄어들 수 있도록 신축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sleeve is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so as to be stretched and contract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는,
상기 안쪽 소매부의 바깥쪽면에 결합되고, 복수의 이를 구비하는 제1테이프,
상기 안쪽 소매부의 바깥쪽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테이프의 이 각각을 마주보는 방향에 복수의 이를 구비하는 제2테이프와,
상기 제1테이프와 상기 제2테이프 양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상기 제1테이프의 복수의 이와 상기 제2테이프의 복수의 이가 맞물려 결합되도록 하거나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슬라이드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
The method of claim 3,
The tightening portion
A first tape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sleeve and having a plurality of teeth thereon,
A second tape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sleeve and having a plurality of teeth in a direction facing the first tape,
A slide member slidably connected to both the first tape and the second tape so as to engage or separate a plurality of the first tapes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tapes according to a sliding operation,
And a biometric signal measuring function for measuring a bio sign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테이프 및 상기 제2테이프는, 각각의 일단이 서로 인접하고 각각의 타단이 이격되도록 상기 안쪽 소매부의 바깥쪽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tape and the second tape ar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leeve so that one ends of the first tape and the second tape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other ends of the first tape and the second tap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트랩은,
상기 바깥쪽 소매부를 마주보는 안쪽면에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제1스트랩과,
상기 바깥쪽 소매부를 마주보는 안쪽면과 반대편 바깥쪽면에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제2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제1스트랩과 상기 제2스트랩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바깥쪽 소매부를 조이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air of straps may include:
A first strap having a fastening member on an inner surface facing the outer sleeve,
And a second strap having a fastening member on an outer surface opposite to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outer sleeve,
Wherein the first strap and the second strap are fastened by the fastening member so as to fasten the outer sleev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후크 앤 루프(hook and loop) 체결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복.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astening member is a hook and loop fasten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좌측부 및 우측부에 상기 안쪽 소매부와 상기 바깥쪽 소매부 각각이 연결되고, 사용자의 상체 전면부분과 후면부분을 덮도록 형성되는 의복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깥쪽 소매부는, 상기 수용홀에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가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수용홀을 기준으로 상기 의복본체에 가까운 측의 안쪽면이 상기 안쪽 소매부의 바깥쪽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arment main body connected to the inner sleeve and the outer sleeve at a left side portion and a right side portion so as to cover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of the user's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leeve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leeve at an inner surface closer to the garment body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hole so that the bio- cloth.
KR1020180009703A 2018-01-26 2018-01-26 Multifunctional clothing with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 KR1019955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703A KR101995504B1 (en) 2018-01-26 2018-01-26 Multifunctional clothing with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703A KR101995504B1 (en) 2018-01-26 2018-01-26 Multifunctional clothing with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504B1 true KR101995504B1 (en) 2019-07-02

Family

ID=67258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703A KR101995504B1 (en) 2018-01-26 2018-01-26 Multifunctional clothing with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50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184B1 (en) * 2020-02-18 2020-07-24 (주)효진컴퍼니 Working clothes
KR102431172B1 (en) * 2022-05-09 2022-08-10 (주)르몽드인터내셔널 Multi- functional cloth manufacturing method and multi-functional cloth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20230039832A (en) * 2021-09-13 2023-03-22 큐리시스 주식회사 Smart safety vest for safety management and remote suppor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4115A (en) * 2002-08-27 2004-03-18 Goldwin Technical Center:Kk Garment
KR200428139Y1 (en) * 2006-07-10 2006-10-09 에프엔씨코오롱 주식회사 Sensor coupling structure of clothing
KR20060117449A (en) * 2005-05-11 2006-1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mart garment for measuring physiologic signs
KR100712259B1 (en) * 2006-07-10 2007-04-27 에프엔씨코오롱 주식회사 A functional cloth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63064B1 (en) 2007-08-03 2008-10-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Garment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4115A (en) * 2002-08-27 2004-03-18 Goldwin Technical Center:Kk Garment
KR20060117449A (en) * 2005-05-11 2006-1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mart garment for measuring physiologic signs
KR200428139Y1 (en) * 2006-07-10 2006-10-09 에프엔씨코오롱 주식회사 Sensor coupling structure of clothing
KR100712259B1 (en) * 2006-07-10 2007-04-27 에프엔씨코오롱 주식회사 A functional cloth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63064B1 (en) 2007-08-03 2008-10-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Garment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184B1 (en) * 2020-02-18 2020-07-24 (주)효진컴퍼니 Working clothes
KR20230039832A (en) * 2021-09-13 2023-03-22 큐리시스 주식회사 Smart safety vest for safety management and remote support
KR102657543B1 (en) * 2021-09-13 2024-04-16 큐리시스 주식회사 Smart safety vest for safety management and remote support
KR102431172B1 (en) * 2022-05-09 2022-08-10 (주)르몽드인터내셔널 Multi- functional cloth manufacturing method and multi-functional cloth manufacture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22758A1 (en) Sensor garment
KR101995504B1 (en) Multifunctional clothing with bio-signal measurement function
US9782124B2 (en) Apparel for physiological telemetry during athletics
US9028404B2 (en) Physiological status monitoring system
US6685634B1 (en) Portable physiological monitor including body-part-encircling GPS antenna
US20170071469A1 (en) Method and Device for Patient Monitoring Using Dynamic Multi-Function Device
US20210353228A1 (en) System for physiological monitoring
CN109844473A (en) It is configured to the portable physiological monitor of measurement tympanic temperature
EP1508298B1 (en) Heartbeat detection device
US20040019288A1 (en) Patient-worn medical monitoring device
US20070299325A1 (en) Physiological status monitoring system
US20110184270A1 (en) Physiological monitoring garment
US11185118B2 (en) Sensor connection assembly for integration with garment
US11320789B1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rmining bioimpedance
JP2009518057A (en) Banded clothing for physiological function monitors
JP2002525904A (en) Moldable transceiver used with apparel
US8060176B2 (en) Living body data detector
US20210059605A1 (en) Garment with electrocardiogram electrodes
WO1986002538A1 (en) Heartbeat monitoring necklace
US8228187B2 (en) Wireless monitoring device
CN110996656A (en) Wearing tool and wearing method
CN210990234U (en) Intelligent health monitoring garment
CN212438597U (en) Intelligent garment with health monitoring function
CN215124518U (en) Safety tool block chain intelligent positioning security protection device
CN213821388U (en) Health monitoring device for mobile phone of old peo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