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293B1 -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시분할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부차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시분할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부차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293B1
KR101995293B1 KR1020120013283A KR20120013283A KR101995293B1 KR 101995293 B1 KR101995293 B1 KR 101995293B1 KR 1020120013283 A KR1020120013283 A KR 1020120013283A KR 20120013283 A KR20120013283 A KR 20120013283A KR 101995293 B1 KR101995293 B1 KR 101995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sub
control message
subcarrier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5783A (ko
Inventor
장재혁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2/00126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115412A2/en
Priority to CN201710591316.6A priority patent/CN107276735B/zh
Priority to JP2013555359A priority patent/JP6104822B2/ja
Priority to CN201280018872.XA priority patent/CN103493412B/zh
Priority to EP12748832.8A priority patent/EP2678959B1/en
Priority to US13/400,962 priority patent/US8867466B2/en
Publication of KR20120095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783A/ko
Priority to US14/518,494 priority patent/US9031031B2/en
Priority to US14/695,642 priority patent/US973022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5Buffe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48Time-out mechanisms
    • H04L1/1851Time-out mechanisms using multiple t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74Buffe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Time-out mechanisms
    • H04L1/1883Time-out mechanisms using multiple t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2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where the power saving management affects multip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using past power values 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during data packet transmission, e.g.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04W52/346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distributing total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5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at the moment of starting communication in a multiple access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04W52/545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modifying TPC bits in special si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0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synchronizing of arrival of multiple up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4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by altering transmission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by adjustment in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based on requested quality, e.g.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41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 H04W74/085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41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 H04W74/0858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collision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6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 H04W74/0891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for synchronize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2Symbol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8Connection release triggered by t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분할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반송파 집적 (Carrier Aggregation)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주 반송파 (Primary Carrier) 이외의 부차반송파 (Secondary Carrier)의 활성화 (Activation)와 비활성화 (Deactivation)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본 발명을 통해, 단말은 SCell 활성화 및 비활성화 시 취하는 동작을 명확히 정의하여 오동작을 없는 통신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시분할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부차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RATUS OF ACTIVATING OR DEACTIVATING SECONDARY CARRIERS IN TIME DIVISION DUPLEX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본 발명은 시분할 (Time Division Duplex, 이하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TDD를 사용하는 LTE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 다수개의 반송파를 동시에 사용하는 반송파 집적 (Carrier Aggregation)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주반송파 (Primary Carrier) 이외의 부차반송파 (Secondary Carrier)를 활성화 (Activation) 또는 비활성화 (Deactivation)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 기술은 급격한 발전을 이루었으며, 이에 따라 통신 시스템 기술도 진화를 거듭하였고, 이 가운데 현재 4세대 이동통신 기술로 각광받는 시스템이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다. LTE 시스템에서는, 폭증하는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도입되었으며, 그 가운데 도입된 기술이 반송파 집적 기술이다. 반송파 집적 기술이란 기존의 통신에서 단말 (UE, 이하 단말이라 칭함) 과 기지국 (eNB, 이하 기지국이라 칭함) 사이에서 하나의 반송파만 사용하던 것을, 주반송파와 하나 혹은 복수개의 부차반송파를 사용하여 부차반송파의 갯수만큼 전송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 한편, LTE에서는 주반송파를 PCell (Primary Cell)이라 하며, 부차반송파를 SCell (Secondary Cell)이라 칭한다.
상기의 전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PCell에서 SCell을 제어하는 추가 복잡도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즉, PCell에서 어떠한 SCell들을 사용할 지 혹은 사용하지 말아야할지가 정해져야하며, 이러한 사항들이 정해졌을 경우 해당 SCell의 사용 및 비사용과 관련한 제반 사항들에 대한 제어를 해주어야 한다. 한편 SCell을 활성화 하는 방법도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즉, 기지국으로부터 SCell 활성화 및 비활성화 명령을 받았을 경우에 실제 동작은 구체적으로 명시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분할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SCell의 제어 방법 즉, SCell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SCell 활성화 시에 상향링크는 일정 시간의 지연 동안 S 서브프레임 포함 여부에 따라 이후에 시작되는 가장 첫 번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활성화하고 하향링크는 일정 시간의 지연 이후에 시작되는 가장 첫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활성화 한다.
또한, SCell 비활성화 시에 상향링크는 일정 시간의 지연 동안 S 서브프레임 포함 여부에 따라 이후에 시작되는 가장 첫 번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비활성화하고 하향링크는 일정 시간의 지연 이후에 시작되는 가장 첫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비활성화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시분할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부차 반송파 제어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부차 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제어하기 위한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가 특정 부차 반송파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경우,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 구동 만료 후, 최초 도래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특정 부차 반송파의 순방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시분할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부차 반송파를 제어하는 단말은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부차 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제어하기 위한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가 특정 부차 반송파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경우 타이머를 구동하며, 상기 타이머 구동 만료 후 최초 도래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특정 부차 반송파의 순방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이용하면, 시분할 시스템에서도 SCell 활성화 및 비활성화 시에 필요한 모든 동작을 성공적으로 수행가능해 짐으로써 오류 없는 활성화 및 비활성화 동작을 마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단말에서 캐리어 집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LTE 시스템 가운데 5ms의 스위치 포인트 주기를 갖는 시분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식화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였을 때의 메시지 흐름도면.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단말의 동작 순서도 제1도면.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한 단말의 동작 순서도 제2도면.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단말의 장치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중 반송파들이 집적된 단말이 부차반송파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 Node B 또는 기지국)(105, 110, 115, 120)과 MME (125, Mobility Management Entity) 및 S-GW(130, Serving-Gateway)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135)은 ENB(105 ~ 120) 및 S-GW(1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1에서 ENB(105 ~ 120)는 UMTS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된다. ENB는 UE(13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한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05 ~ 120)가 담당한다. 하나의 E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예컨대, 100 Mbps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 시스템은 예컨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한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S-GW(1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125)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한다. MME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205, 240), RLC(Radio Link Control 210, 235), MAC (Medium Access Control 215,230)으로 이루어진다.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205, 240)는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하고,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한다)(210, 2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해서 ARQ 동작 등을 수행한다. MAC(215,2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물리 계층(220, 2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도 3은 단말에서 캐리어 집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기지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여러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다중 캐리어들이 송출되고 수신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305)에서 중심 주파수가 f1인 캐리어(315)와 중심 주파수가 f3(310)인 캐리어가 송출될 때, 종래에는 하나의 단말이 상기 두 개의 캐리어 중 하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였다. 그러나 캐리어 집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은 동시에 여러 개의 캐리어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305)은 캐리어 집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330)에 대해서는 상황에 따라 더 많은 캐리어를 할당함으로써 상기 단말(330)의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전통적인 의미로 하나의 기지국에서 송출되고 수신되는 하나의 순방향 캐리어와 하나의 역방향 캐리어가 하나의 셀을 구성한다고 할 때, 캐리어 집적이란 단말이 동시에 여러 개의 셀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최대 전송 속도는 집적되는 캐리어의 수에 비례해서 증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단말이 임의의 순방향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임의의 역방향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것은 상기 캐리어를 특징짓는 중심 주파수와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셀에서 제공하는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LTE 시스템을 가정하여 설명될 것이나, 본 발명은 캐리어 집적을 지원하는 각종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LTE 시스템 가운데 5ms의 스위치 포인트 주기를 갖는 시분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즉, 도 4 하단부의 테이블의 설정(Configuration) 0, 1, 2, 6에 해당하는 프레임 구조이다. Configuration 3, 4, 5에 해당하는 프레임 구조는 하기 설명할 스페셜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이 한 프레임 내에 #1 subframe 자리에 하나만 나오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LTE 에서의 한 프레임의 길이는 10 ms로, 이는 다시 1 ms의 길이를 갖는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나뉜다 (#0, #1, #2, …, #9). 여기서 #0, #2, #3, #4, #5, #7, #8, #9는, 도 4 하단부의 테이블을 참조하면, 설정(configuration)에 따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Downlink Subframe, 표에 'D'로 표기)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Uplink Subframe, 표에 'U'로 표기)로, TDD 설정(TDD configuration)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즉, TDD configuration 0번의 경우, 서브프레임 #0, #5는 하향링크로, 서브프레임 #2, #3, #4, #7, #8, #9는 상향링크로 사용되며, TDD configuration 1번의 경우, 서브프레임 #0, #4, #5, #9는 하향링크로, 서브프레임 #2, #3, #7, #8은 상향링크로 사용된다.
도 4에서 #1, #6은 스페셜 서브프레임 (Special Subframe)으로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의 전환기에 있는 서브프레임이다. 즉, 이는 DwPTS (Downlink Pilot Time Slot), GP (Guard Period), UpPTS (Uplink Pilot Time Slot)의 세 구간으로 나뉘며, DwPTS 구간에서는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나, UpPTS 구간에서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하며, 사운딩 기준신호 (Sounding Reference Symbol, SRS) 등의 전송은 가능한 슬롯이다. GP는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의 전환 사이의 휴지구간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SCell 활성화 및 비활성화 명령을 받았을 경우에 단말의 동작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특히 활성화 명령을 수신한 경우, 단말의 일부 동작들을 특정 시점 이후에 시작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특히 비활성화 명령을 받았을 때 단말의 일부 동작은 특정 시점이 되기 전에 종료하며, 다른 일부 동작은 특정 시점 이후에 종료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는 예를 들어 임의의 동작을 수행 및 종료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은 다른 임의의 동작을 수행 및 종료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과 다를 수 있으며 상기 동작들을 동일한 시점에 개시 혹은 종료할 경우 시간이 많이 걸리는 동작을 기준으로 시점을 정함으로써 활성화 및 비활성화에 걸리는 지연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명령을 받자마자 해당 SCell을 바로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할 수 없다. 이는 SCell을 사용하기 위한 장치들을 활성화하는데에 부가적인 시간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일부 동작들은 장치들이 활성화되었다고 하더라도 실제 동작에는 시간이 걸리는 동작들이 있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였을 때의 메시지 흐름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기지국 (503)은 단말 (501)에게 상기 단말에게 설정된 SCell들 가운데 어떠한 SCell 들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지 여부에 대해 SCell 제어 메시지(또는, 부차반송화 제어 메시지)를 사용하여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알려준다(505). 이하에는 상기 SCell 제어 메시지가 활성/비활성 MAC 제어 요소(Activation/Deactivation MAC Control Element(CE)) 메시지임을 가정하기로 한다. . 상기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는 8 비트로 이루어진 고정된 크기의 MAC CE로써, 일곱개의 C 필드들과 하나의 R 필드로 이루어 진다. R은 예비 (reserved) 필드이며, 7개의 C 필드 각각은 C7, C6, C5, C4, C3, C2, C1 (즉, Ci)로 쓸 수 있으며, SCell i에 대해 1일 경우 활성화, 0일 경우 비활성화로 표시하여 각각의 부차반송파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알려주는데 사용된다.
상기 SCell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501)은, 어떠한 SCell을 활성화또는 비활성화 해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특정 SCell이 활성화되는 경우, 단말(501)은 각 SCell에 대해 제1 타이머와 제2 타이머 를 구동한다 (507).
상기 제1 타이머는 SCell 당 하나 씩 구동이 되며, 해당 SCell에 대한 순방향 혹은 역방향 전송 자원이 할당되면 재구동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타이머 만료 시까지 임의의 캐리어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캐리어는 비활성화된다. 또한, 상기 제1 타이머는 m 서브프레임의 만료 시간을 가지며, m은 1 이상의 정수의 숫자이다 (예를 들어, 8 등이 사용 가능). 상기 m은 단말이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를 수신해서 디코딩하고 그 의미를 파악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고려한 것으로, 처리 속도가 낮은 저가의 단말까지 고려해서 충분히 큰 값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단말(501)은, 상기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를 수신하고 m 서브프레임이 지나 제2 타이머가 만료된 후, 가장 첫 번째(최초 도래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도 4의 테이블에서 'D'로 표기된 서브프레임) 에서 SCell의 순방향을 활성화 한다 (509). 임의의 SCell의 순방향을 활성화 한다는 것은 상기 SCell의 순방향 관련 동작, 예를 들어 물리 하향 제어 채널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모니터링 등을 해당 서브프레임부터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동시에, 단말(501)은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를 수신하고 m 서브프레임이 지나 제2 타이머가 만료된 후, 제2 타이머 가 구동되는 동안 도 4의 S 서브프레임이 존재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타이머 2가 구동되는 동안 S 서브프레임이 존재했다면, 단말(501)은 제2 타이머 만료 후. 첫 번째(최초 도래하는) 물리 하향 제어 채널이 없는 서브프레임에서 SCell의 역방향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S 서브프레임에서 SCell의 역방향을 활성화한다.
만약, 타이머 2가 구동되는 동안에 S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제 1 실시예로, 타이머가 만료된 후 첫 번째 S 서브프레임 혹은, 첫 번째 S 서브 프레임의 바로 다음 서브 프레임에서 Scell의 역방향을 활성화 한다 (511). 여기서 임의의 SCell의 역방향을 활성화 시킨다는 것은 상기 SCell에서 역방향 관련 동작,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동작 등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채널상태정보 보고 (CSI reporting) 시작
o 상기 채널상태정보는 해당 단말에게 기지국이 링크적응 (link adaptation)과 스케쥴링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CQI/PMI/RI/PTI 등을 포함
- 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채널 품질 지시자: 비트에러확률 10%를 만족하는 추천 전송포맷
- PMI (Precoding Matrix Index): 프리코딩 매트릭스 인덱스: closed-loop spatial multiplexing에 사용되는 인덱스
- RI (Rank Indicator): 랭크 지시자: 추천하는 전송 랭크
- PTI (Precoder Type Indication): 프리코더 타입 지시자
- 사운딩 기준신호 (SRS: Sounding Reference Symbol) 전송 시작 (사운딩 기준신호가 설정된 경우에 한함)
만약, 타이머 2가 구동되는 동안에 S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제 2 실시예로, 타이머가 만료된 후 첫번째 S 서브프레임에서 제 1 동작을 수행하고, 타이머가 만료된 후 첫번째 S 서브 프레임 다음 서브프레임에서 제 2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동작은, 상기 사운딩 기준신호 전송과 같은 역방향 전송 신호 전송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제 2 동작은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전송을 포함한 일상적인 역방향 전송을 포함한다.
제 2 실시예와 같이 동작을 분리하는 이유는, S 서브프레임의 UpPTS 에서는 역방향 전송이 이루어지나, 모든 역방향 전송이 가능한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딩 기준신호 전송 등의 전송만이 지원되며, 상기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이 지원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후, 상기 기지국(503)은 상기 단말(501)에게 설정된 SCell들 가운데 어떠한 SCell 들을 활성화/비활성화할지 여부를 SCell 제어 메시지(또는, 부차반송화 제어 메시지)를 사용하여 알려준다(513).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차 반송파 활성화 메시지가 Activation/Deactivation MAC Control Element (CE)임을 가정하기로 한 바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다.
상기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는 8 비트로 이루어진 고정된 크기의 MAC CE로써, 일곱개의 C 필드들과 하나의 R 필드로 이루어 진다. R은 예비 (reserved) 필드이며, 7개의 C 필드 각각은 C7, C6, C5, C4, C3, C2, C1 (즉, Ci)로 쓸 수 있으며, 식별자가 i인 SCell에 대해 1일 경우 활성화, 0일 경우 비활성화로 표시하여 각각의 부차반송파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알려주는데 사용된다. i는 부차반송파를 지시하는 식별자로 1에서 7사이의 값을 가지는 정수이며, 새로운 부차반송파가 설정될 때 부차반송파 정보와 함께 기지국이 단말에게 통보한다.
상기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를 수신한 단말(501)은, 어떠한 SCell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해야하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특정 SCell이 비활성화되는 경우에는 타이머 2를 구동한다 (515). 혹은 상기 (513) 단계를 거치지 않고, 일정시간동안 해당 SCell에 대한 순방향 혹은 역방향 전송 자원이 할당되지 않으면, 상기 타이머 1이 만료가 되고, 이 경우에도 타이머 2를 구동한다 (515). 또한, 상기 타이머 2는 m 서브프레임의 만료 시간을 가지며, m은 1 이상의 정수의 숫자이다 (예를 들어, 8 등이 사용 가능).
이후, 단말(501)은 타이머 2가 만료된 후, 가장 첫 번째(최초 도래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도 4의 테이블에서 'D'로 표기된 서브프레임) 에서 SCell의 순방향을 비활성화 한다 (519). 임의의 SCell의 순방향을 비활성화 한다는 것은 상기 SCell의 순방향 관련 동작, 예를 들어 해당 서브프레임부터는 물리 하향 제어 채널 모니터링 등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동시에 단말(501)은 타이머 2가 만료된 후, 타이머 2가 구동되는 동안 S 서브프레임이 존재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타이머 2가 구동되는 동안 S 서브프레임이 존재했다면, 단말(501)은 타이머가 2가 만료된 후 첫 번째 물리 하향 제어 채널이 없는 서브프레임에서 역방향을 비활성화하거나 또는 S 서브프레임 에서 SCell을 비활성화한다.
만약, 타이머 2가 구동되는 동안에 S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타이머가 만료된 후 첫 번째 S 서브프레임 혹은, 첫 번째 S 서브 프레임의 바로 다음 서브 프레임에서 SCell의 역방향을 비활성화 한다 (511). 여기서 임의의 SCell의 역방향을 비활성화 시킨다는 것은 상기 SCell에서 역방향 관련 동작,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동작 등을 중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채널상태정보 보고 (CSI reporting) 중단
- 사운딩 기준신호 (SRS: Sounding Reference Symbol) 전송 중단
상기와 같은 동작을 따름으로써 모든 동작이 올바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차 반송파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단말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단말은 8 비트 비트맵이 포함된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를 수신하여 어떠한 SCell의 활성화 혹은 비활성화 여부를 확인한다 (601).
이를 수신한 단말은 신규로 활성화할 SCell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신규로 활성화할 SCell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SCell에 대해 각각, 제1 타이머 및 제2 타이머를 구동한다 (603).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은 MAC CE를 수신하기 전에 비활성화 되어 있는 SCell들을 확인하고, MAC CE를 수신하였을 때 비활성화 되어 있는 SCell들에 대해 MAC CE의 비트맵에 '활성화' 표시가 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후 타이머 2가 만료된 후,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순방향과 역방향을 활성화 한다 (605).
즉, 타이머 2 만료 이후 가장 첫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순방향을 활성화 한다. 임의의 SCell의 순방향을 활성화 한다는 것은 상기 SCell의 순방향 관련 동작, 예를 들어 물리 하향 제어 채널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모니터링 등을 해당 서브프레임부터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동시에 타이머 2가 만료된 후, 타이머 2가 구동되는 동안 도 4의 S 서브프레임이 존재했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타이머 2가 구동되는 동안 S 서브프레임이 존재했다면, 타이머가 2가 만료된 후 첫 번째 물리 하향 제어 채널이 없는 서브프레임에서 역방향을 활성화하거나 S 서브프레임에서 활성화하고, 만약, 타이머 2가 구동되는 동안에 S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타이머가 만료된 후 첫 번째 S 서브프레임 혹은, 첫 번째 S 서브 프레임의 바로 다음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을 활성화 한다. 여기서 임의의 SCell의 역방향을 활성화 시킨다는 것은 상기 SCell에서 역방향 관련 동작,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동작 등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채널상태정보 보고 (CSI reporting) 시작
o 상기 채널상태정보는 해당 단말에게 기지국이 링크적응 (link adaptation)과 스케쥴링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CQI/PMI/RI/PTI 등을 포함
- 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채널 품질 지시자: 비트에러확률 10%를 만족하는 추천 전송포맷
- PMI (Precoding Matrix Index): 프리코딩 매트릭스 인덱스: closed-loop spatial multiplexing에 사용되는 인덱스
- RI (Rank Indicator): 랭크 지시자: 추천하는 전송 랭크
- PTI (Precoder Type Indication): 프리코더 타입 지시자
- 사운딩 기준신호 (SRS: Sounding Reference Symbol) 전송 시작 (사운딩 기준신호가 설정된 경우에 한함)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차 반송파를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단말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단말은 8 비트 비트맵이 포함된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를 수신하여 해당 SCell의 비활성화 여부를 확인하거나, 혹은 도 6의 (603) 단계에서 구동한 타이머 1이 만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 (701).
만약 그러한 경우에는 해당 SCell에 대해 타이머 2를 가동한다 (703).
이후 타이머 2가 만료된 후,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순방향과 역방향을 비활성화 한다 (705).
즉, 타이머 2가 만료된 후, 가장 첫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순방향을 비활성화 한다.
또한, 동시에 타이머 2가 만료된 후, 타이머 2가 구동되는 동안 S 서브프레임이 존재했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타이머 2가 구동되는 동안 S 서브프레임이 존재했다면, 타이머가 2가 만료된 후 첫 번째 물리 하향 제어 채널이 없는 서브프레임에서 역방향을 비활성화하거나 S 서브프레임 에서 비활성화하고, 만약, 타이머 2가 구동되는 동안에 S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타이머가 만료된 후 첫 번째 S 서브프레임 혹은, 첫 번째 S 서브 프레임의 바로 다음 서브 프레임에서 역방향을 비활성화 한다. 여기서 임의의 SCell의 역방향을 비활성화 시킨다는 것은 상기 SCell에서 역방향 관련 동작,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동작 등을 중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채널상태정보 보고 (CSI reporting) 중단
- 사운딩 기준신호 (SRS: Sounding Reference Symbol) 전송 중단
상기와 같은 동작에 따라,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에 시분할 방식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도 SCell을 활성화 및 비활성화할 때 정해진 시점에서 정해진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오동작을 방지하고 정확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단말은 상위 계층 (805)과 데이터 등을 송수신하며, 제어 메시지 처리부 (807)를 통해 제어 메시지들을 송수신하며, 송신 시, 제어부 (809)의 제어에 따라 다중화 장치 (803)을 통해 다중화 후 송신기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며 (801), 수신 시, 제어부 (809)의 제어에 따라 수신기로 물리신호를 수신한 다음 (801), 역다중화 장치 (803)으로 수신 신호를 역다중화하고, 각각 메시지 정보에 따라 상위 계층 (805) 혹은 제어메시지 처리부 (807)로 전달해준다.
본 발명에서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를 제어 메시지 처리부 (807)이 수신하면, 이를 SCell 활성화/비활성화 처리부 (811)를 알려주어, 활성화할 경우 해당 SCell에 대해 제1타이머 및 제2 타이머를 구동하고, 제2타이머 만료 이후의 활성화를 시작할 하향링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찾아 해당 시점에서 활성화를 시작한다.
만약 기 활성화된 SCell을 비활성화할 것을 명령 받은 경우, 혹은 기 활성화된 SCell의 타이머 1이 만료된 경우, SCell 활성화/비활성화 처리부 (811)는 제2 타이머를 구동하고, 제2 타이머 만료 이후의 비활성화를 할 하향링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찾아 해당 시점에서 비활성화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단말이 각각의 기능 블록들로 구분되고, 각각의 기능 블록들이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제어 메시지 처리부 (807)가 수행하는 특정 동작을 제어부(809) 자체가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809)는 부차 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제어하기 위한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가 특정 부차 반송파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경우 타이머를 구동하며, 상기 타이머 구동 만료 후 최초 도래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특정 부차 반송파의 순방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09)는 상기 타이머 구동 만료 후 상기 타이머가 구동되는 동안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존재 여부를 확인(identify)하고,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타이머 구동 만료 후 최초 도래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없는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특정 부차 반송파의 역방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9)는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타이머 구동 만료 후 최초 도래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최초 도래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다음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특정 부차 반송파의 역방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09)는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타이머 구동 만료 후 최초 도래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에서 제1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타이머 구동 만료 후 최초 도래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다음 서브프레임에서 제2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동작 및 제2 동작에 대한 예시는 상술한 바 있으니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9)는 상기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가 특정 부차 반송파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타이머를 구동하고, 상기 타이머 구동 만료 후 최초 도래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특정 부차 반송파의 순방향을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09)는 상기 타이머 구동 만료 후, 상기 타이머가 구동되는 동안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존재 여부를 확인(identify)하고,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타이머 구동 만료 후 최초 도래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없는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특정 부차 반송파의 역방향을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9)는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타이머 구동 만료 후 최초 도래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최초 도래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다음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특정 부차 반송파의 역방향을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에 시분할 방식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도 SCell을 활성화 및 비활성화할 때 정해진 시점에서 정해진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오동작을 방지하고 정확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부차 반송파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부차 반송파의 활성화를 위한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부차 반송파를 위한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부차 반송파를 위한 사운딩 기준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상기 제1 서브프레임보다 빠르지 않은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제2 서브프레임 보다 늦지 않은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고, 상기 제2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1 서브프레임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차 반송파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 수신 후, 상기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존재 여부를 확인(identify)하는 단계; 및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최초 도래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없는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부차 반송파의 역방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차 반송파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최초 도래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최초 도래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다음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부차 반송파의 역방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차 반송파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정보는 CQI (channel quality indicato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차 반송파 제어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최초 도래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에서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최초 도래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다음 서브프레임에서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차 반송파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은 역방향 전송 신호 전송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동작은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 전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차 반송파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차 반송파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제2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최초 도래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부차 반송파의 순방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차 반송파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 수신 후, 상기 제2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 수신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존재 여부를 확인(identify)하는 단계; 및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최초 도래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없는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부차 반송파의 역방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차 반송파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최초 도래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최초 도래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다음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부차 반송파의 역방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차 반송파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은 상기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 수신 후 8개의 서브프레임 이후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차 반송파 제어 방법.
  11.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부차 반송파를 제어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부차 반송파의 활성화를 위한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부차 반송파를 위한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하고, 상기 부차 반송파를 위한 사운딩 기준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상기 제1 서브프레임보다 빠르지 않은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제2 서브프레임 보다 늦지 않은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고, 상기 제2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1 서브프레임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 수신 후, 상기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존재 여부를 확인(identify)하고,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최초 도래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없는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부차 반송파의 역방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최초 도래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최초 도래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다음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부차 반송파의 역방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정보는 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최초 도래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에서 제1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최초 도래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다음 서브프레임에서 제2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은 역방향 전송 신호 전송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동작은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 전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차 반송파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제2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최초 도래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부차 반송파의 순방향을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 수신 후, 상기 제2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존재 여부를 확인(identify)하고,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최초 도래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없는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부차 반송파의 역방향을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최초 도래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최초 도래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다음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부차 반송파의 역방향을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은 상기 부차 반송파 제어 메시지 수신 후 8개의 서브프레임 이후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20013283A 2011-02-21 2012-02-09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시분할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부차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KR101995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1260 WO2012115412A2 (en) 2011-02-21 2012-02-20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secondary carriers in time division duplex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CN201710591316.6A CN107276735B (zh) 2011-02-21 2012-02-20 使用载波聚合的移动通信***中的方法和终端
JP2013555359A JP6104822B2 (ja) 2011-02-21 2012-02-20 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技術を使用する時分割無線通信システムでセカンダリキャリアの活性化または非活性化方法及び装置
CN201280018872.XA CN103493412B (zh) 2011-02-21 2012-02-20 使用载波聚合的时分双工移动通信***中激活或停用副载波的方法和装置
EP12748832.8A EP2678959B1 (en) 2011-02-21 2012-02-20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secondary carriers in time division duplex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US13/400,962 US8867466B2 (en) 2011-02-21 2012-02-21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secondary carriers in time division duplex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US14/518,494 US9031031B2 (en) 2011-02-21 2014-10-20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secondary carriers in time division duplex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US14/695,642 US9730224B2 (en) 2011-02-21 2015-04-24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secondary carriers in time division duplex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44844P 2011-02-21 2011-02-21
US61/444,844 2011-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783A KR20120095783A (ko) 2012-08-29
KR101995293B1 true KR101995293B1 (ko) 2019-07-02

Family

ID=46652668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283A KR101995293B1 (ko) 2011-02-21 2012-02-09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시분할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부차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KR1020120013941A KR101930332B1 (ko) 2011-02-21 2012-02-10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120017211A KR102003246B1 (ko) 2011-02-21 2012-02-21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부차반송파의 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KR1020120017310A KR101838205B1 (ko) 2011-02-21 2012-02-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측정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941A KR101930332B1 (ko) 2011-02-21 2012-02-10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120017211A KR102003246B1 (ko) 2011-02-21 2012-02-21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부차반송파의 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KR1020120017310A KR101838205B1 (ko) 2011-02-21 2012-02-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측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9) US8873413B2 (ko)
EP (4) EP2678959B1 (ko)
JP (3) JP6104822B2 (ko)
KR (4) KR101995293B1 (ko)
CN (7) CN103493412B (ko)
AU (1) AU2012222013B2 (ko)
CA (1) CA2826885C (ko)
ES (1) ES2707302T3 (ko)
WO (2) WO201211541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0543B2 (ja) 2011-02-15 2016-09-14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携帯端末機の使用可能送信電力報告方法および装置
WO2012111260A1 (ja) * 2011-02-15 2012-08-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報告方法
WO2012115421A2 (en) 2011-02-21 201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efficiently reporting user equipment transmission power and apparatus thereof
KR101995293B1 (ko) * 2011-02-21 2019-07-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시분할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부차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CN103493549B (zh) 2011-02-21 2017-05-31 三星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中用户设备的节省功率的方法和装置
CN103703704B (zh) * 2011-02-24 2017-02-15 爱立信(中国)通信有限公司 降低移动通信***中大气波导造成的干扰
US20120231836A1 (en) * 2011-03-07 2012-09-13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avoid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732936B2 (ja) * 2011-03-15 2015-06-10 富士通株式会社 送信局、受信局、通信システムおよびギャップ割当方法
US9118452B2 (en) 2011-03-28 2015-08-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 uplink signal, method for receiving an uplink signal,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KR101948348B1 (ko) * 2011-04-01 2019-02-14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성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20282942A1 (en) * 2011-05-02 2012-11-08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onfiguring frequency aggregation
US9042315B2 (en) * 2011-05-03 2015-05-26 Mediatek Inc. SCELL radio link monitoring and radio link failure handling
US9363753B2 (en) * 2011-07-19 2016-06-07 Qualcomm Incorporated Sleep mode for user equipment relays
KR101150846B1 (ko) * 2011-09-05 2012-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 측정 방법 및 그를 위한 정보 전송 방법
WO2013055169A1 (en) * 2011-10-14 2013-04-18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eivce coexistence inte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062359A1 (en) * 2011-10-26 2013-05-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of downlink subframe and apparatus therefor
US9219994B2 (en) * 2011-11-09 2015-12-22 Lg Electronics Inc.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data in MBSFN subframe and apparatuses thereof
WO2013125897A1 (en) * 2012-02-23 2013-08-29 Lg Electronic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ceiving or transmitting downlink signal in mbsfn subframe
US9300459B2 (en) * 2012-03-15 2016-03-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activation timer of cell
US9510212B2 (en) 2012-04-27 2016-11-29 Qualcomm Incorporated Signal designs for densely deployed network
JP6176515B2 (ja) * 2012-04-27 2017-08-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無線資源管理方法、及び無線資源管理プログラム
US9537638B2 (en) 2012-05-11 2017-01-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ordinated multipoint feedback under multiple channel and interference assumptions
US9661508B2 (en) * 2012-05-14 2017-05-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signal estimate by scaling
WO2014010988A1 (ko) * 2012-07-12 201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통신 수행 방법 및 장치
CN103686771B (zh) * 2012-09-20 2018-02-02 深圳市中兴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配置同频干扰小区的装置、方法和终端
KR102156886B1 (ko) * 2012-09-25 2020-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셀을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EP2901762B1 (en) * 2012-09-26 2017-09-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tim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950785B2 (ja) * 2012-10-05 2016-07-13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及び移動局
WO2014056187A1 (en) * 2012-10-12 2014-04-17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Dynamic carrier assignment of carrier aggregation in an lte-advanced system
WO2014067067A1 (zh) * 2012-10-30 2014-05-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分配的方法、装置及***
EP2939468B1 (en) 2012-12-27 2019-1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ne cell operation with fast small cell switch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B2509749A (en) * 2013-01-11 2014-07-16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with configuration of measuring reporting via mobile relays
US9591666B2 (en) * 2013-01-18 2017-03-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nodes for detecting activation of serving cell
KR102213461B1 (ko) * 2013-02-15 2021-0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 수행을 위한 전력 제어 및 다중화 방법 및 장치
WO2014126435A1 (en) 2013-02-15 2014-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and multiplexing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10200139B2 (en) * 2013-03-22 2019-02-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983393A4 (en) * 2013-04-05 2016-11-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NECTING ADMINISTRATION FOR A USER DEVICE WITH SMALL CELLS IN AN ENVIRONMENT WITH HETEROGENIC CELLS
US10149191B2 (en) * 2013-05-17 2018-12-04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10064163B2 (en) * 2013-06-27 2018-08-28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9414384B2 (en) * 2013-09-17 2016-08-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tate-driven secondary cell activation and deactivation
CN105144770A (zh) * 2013-10-30 2015-12-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间邻频干扰的消除方法及设备
KR102180959B1 (ko) * 2013-12-09 2020-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의 빔 스위핑 패턴 조정 방법 및 장치
WO2015111891A1 (en) * 2014-01-21 2015-07-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figuring transmission time interval bundling at a user equipment with multiple carriers and device therefor
US9832629B2 (en) * 2014-01-28 2017-11-28 Qualcomm Incorporated Discovery signals and network synchronization signals design in LTE
KR102307452B1 (ko) 2014-01-29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BR112016017767B1 (pt) * 2014-02-10 2022-11-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étodo e equipamento de usuário para realizar transmissões de preâmbulo e método e nó de rede para receber transmissões de preâmbulo em um canal de acesso aleatório
GB2526617A (en) * 2014-05-30 2015-12-02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WO2016010001A1 (ja) * 2014-07-15 2016-01-21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非アクティブ化タイマ制御方法
CN105491680B (zh) 2014-10-02 2019-04-19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网络节点
KR102543750B1 (ko) * 2015-01-20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활성화/비활성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7211420B (zh) * 2015-01-29 2021-06-01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无线基站、无线通信***以及无线通信方法
US10321443B2 (en) 2015-04-01 2019-06-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a PUCCH transmission on a deactivated PUCCH SCell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9967076B2 (en) 2015-04-16 2018-05-08 Ofinno Technologies, Llc Control signaling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KR102450976B1 (ko) * 2015-07-31 2022-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부차반송파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6174094B2 (ja) * 2015-09-24 2017-08-02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10390245B2 (en) * 2015-09-25 2019-08-20 Motorola Mobility Llc Enhanced measure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60898B1 (en) 2015-11-16 2018-01-02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control of carrier aggregation for user equipment
US10129175B1 (en) 2016-01-07 2018-11-13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carrier aggregation based on subframe configuration
CN106982476A (zh) * 2016-01-19 2017-07-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模终端的模式控制方法、装置及多模终端
US10085206B2 (en) * 2016-03-08 2018-09-25 Wipro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optimization of cell selection in TD-SCDMA networks
US10588141B2 (en) 2016-06-29 2020-03-10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antennas and interruption time values for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switching
EP3264619B1 (en) * 2016-07-01 2019-09-04 Intel IP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collocated transceivers
US10813028B2 (en) 2016-07-21 2020-10-20 Kt Corporation Method for performing mobility process of NB-IoT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US10440691B2 (en) 2016-09-30 2019-10-08 Kt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 status of UE and apparatus thereof
CN110140409B (zh) * 2017-01-05 2023-08-18 索尼公司 通信装置、基础设施设备和方法
CN106851739B (zh) * 2017-03-13 2020-07-07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调控移动终端的ca能力等级的方法、装置和移动终端
CN108632007B (zh) * 2017-03-22 2020-08-14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传输数据的方法和终端设备
JP2019080111A (ja) 2017-10-20 2019-05-23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2019092063A (ja) 2017-11-15 2019-06-13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局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CN109802776B (zh) * 2017-11-16 2021-06-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模糊期消除的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WO2019105472A1 (en) * 2017-12-01 2019-06-0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user equipment operable for bandwidth part timer configuration
EP3531773B1 (en) * 2017-12-26 2021-07-0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for activating and deactivating secondary cell, and terminal device
CN110011752B (zh) * 2018-01-04 2021-10-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cqi上报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CN108366407A (zh) * 2018-02-09 2018-08-03 厦门美图移动科技有限公司 服务小区选取方法及装置
US10880762B2 (en) * 2018-05-21 2020-12-29 Qualcomm Incorporated Link quality monitoring, signaling and procedures for specific service type
CN110740514B (zh) * 2018-07-20 2021-11-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监听方法及终端设备
CN110740470B (zh) 2018-07-20 2022-04-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测量指示方法、装置及***
CN115174021A (zh) * 2018-09-19 2022-10-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方法和装置
WO2020067847A1 (ko) * 2018-09-28 2020-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참조 신호에 기반하여 dtx를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64557B1 (ko) 2019-01-15 2024-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Dual Connectivity 지원 망에서 RRC_IDLE 상태 단말을 위한 SN(Secondary Node)에서의 V2X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CN109995500B (zh) * 2019-03-08 2021-10-29 北京集创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与显示控制装置
CN113767674B (zh) * 2019-09-27 2023-10-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定时器控制的方法和装置
US11528645B2 (en) 2019-10-02 2022-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carrier aggregation for serving cells having different start time points in 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218889B1 (en) 2020-05-20 2022-01-0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access node usage based on sector power ratio
US11197240B1 (en) 2020-06-22 2021-12-07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access node usage based on mobile active users
KR20230005302A (ko) * 2020-07-29 2023-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 정렬 타이머 보고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20021307A (ko) * 2020-08-13 202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부분 대역폭과 부분 대역폭 설정 정보를 고려한 SCell 활성화 또는 재활성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1773B2 (en) * 2008-09-05 2014-04-29 Blackberry Limited Multi-carrier operation for wireless systems
WO2004093476A1 (ja) 2003-04-16 2004-10-28 Nec Corporation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及びそれらに用いる無線通信方法
KR100766840B1 (ko) 2003-05-27 2007-10-17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간섭 상쇄 회로를 가지는 멀티-모드 라디오
JP5142452B2 (ja) * 2003-09-29 2013-02-13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充放電制御方法
EP1545040B1 (en) * 2003-12-19 2009-04-22 Panasonic Corporation HARQ protocol with synchronous retransmissions
US7184792B2 (en) 2004-02-10 2007-02-27 Qualcomm Incorporated Delayed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fter physical layer reconfiguration
CN100583718C (zh) * 2004-06-09 2010-01-20 三星电子株式会社 移动电信***中用于数据传输的方法和设备
JP4299270B2 (ja) 2004-06-09 2009-07-22 三星電子株式会社 向上した上りリンクサービスを支援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送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DE602005018040D1 (de) * 2005-07-25 2010-01-14 Panasonic Corp Einschränkung eines HARQ Verfahrens und Übertragung von ungeplanten Steuerdaten auf Aufwärtskanäle
ATE538554T1 (de) * 2005-08-16 2012-01-15 Panasonic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en für das zurücksetzen einer sendesequenznummer (tsn)
JP5027814B2 (ja) 2005-09-30 2012-09-19 テレコム・イタリア・エッセ・ピー・アー セル式移動通信網を計画する方法
US8089938B2 (en) 2005-12-28 2012-01-03 Alcatel Lucent Method of synchronizing with an uplink channel and a method of determining a propagation dela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0929087B1 (ko) 2006-02-09 2009-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시 업링크 타이밍싱크 프로시져 수행 방법 및 장치
WO2008085811A2 (en) * 2007-01-04 2008-07-1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transmission
PL2115909T5 (pl) * 2007-02-05 2017-10-31 Ericsson Telefon Ab L M Sposób i układ w systemie telekomunikacyjnym do pomiarów komórek sąsiadujących
EP2140708B1 (en) 2007-03-30 2017-05-24 Telecom Italia S.p.A.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conne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CN101653024B (zh) 2007-04-27 2013-03-27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用于在无线用户终端中节省功率的方法和装置
EP2141955A3 (en) 2007-06-12 2011-06-01 Sharp Kabushiki Kaisha Base station device, mobile station device, program, uplink synchronization requesting method, and synchronization-shift measurement signal transmitting method
KR101514841B1 (ko) 2007-08-10 2015-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효율적인 랜덤 액세스 재시도를 수행하는 방법
KR101479340B1 (ko) * 2007-09-18 2015-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
TW201524149A (zh) * 2007-10-25 2015-06-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無縣通信競爭式存取中控制上鏈反饋資訊方法及裝置
EP2244519B1 (en) * 2007-12-20 2012-08-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eleasing common enhanced dedicated channel, E-DCH, radio resources
JP4962310B2 (ja) 2007-12-27 2012-06-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制御装置、記録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14079B1 (ko) 2008-01-07 2015-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시간 동기 타이머의 재구성 방법
US9084201B2 (en) 2008-01-25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Power headroom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243667B2 (en) 2008-01-28 2012-08-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scheduling request effectivel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971662B (zh) * 2008-01-30 2014-07-23 爱立信电话股份有限公司 用于tdd***中移动终端的配置测量时隙的方法及设备
KR101375936B1 (ko) 2008-02-01 201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간동기 타이머의 만료 시 하향링크 harq의 동작 방법
KR101531419B1 (ko) 2008-02-01 2015-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간동기 타이머의 만료 시 상향링크 harq의 동작 방법
US8249004B2 (en) 2008-03-14 2012-08-2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oordinated uplink transmission in LTE DRX operations for a wireless transmit receive unit
KR100925333B1 (ko) 2008-03-14 200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상향링크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
CN101978745B (zh) * 2008-03-19 2014-09-24 爱立信电话股份有限公司 用于检测同步的丢失的方法和基站
EP2292052B1 (en) 2008-03-21 2014-08-06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configuring a long drx cycle in a lte ( e-utr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KR20090101793A (ko) 2008-03-24 2009-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유닛의 전송 성공 여부 판단 방법 및 장치
AU2009228928B2 (en) * 2008-03-26 2014-04-03 Cellular Communications Equipment Llc Extension of power headroom reporting and trigger conditions
WO2009128642A2 (en) 2008-04-14 2009-10-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procedures
CN101286772A (zh) * 2008-05-30 2008-10-15 北京北方烽火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IEEE802.16e的HARQ与功率控制相结合的方法
GB2461158B (en) 2008-06-18 2011-03-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procedures and terminal therof
JP5174554B2 (ja) 2008-06-23 2013-04-0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KR101487358B1 (ko) 2008-06-30 2015-01-30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E-utran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00054237A1 (en) 2008-09-04 2010-03-04 Motorola, Inc. Synchronization for femto-cell base stations
KR100917832B1 (ko) 2008-09-19 200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간 정렬 타이머를 고려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
US8514793B2 (en) 2008-10-31 2013-08-2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processing component carriers
CN101388722B (zh) 2008-11-03 2013-06-26 新邮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上行同步控制方法、基站和用户设备
KR101722810B1 (ko) 2008-12-03 2017-04-0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캐리어 집적에 대한 업링크 파워 헤드룸 보고
WO2010064858A2 (en) 2008-12-04 2010-06-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in a multi-carrier system
US8615230B2 (en) 2008-12-19 2013-12-24 Htc Corporation Method of reporting radio access technology capability and related apparatus
KR20100073976A (ko) 2008-12-23 2010-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2273309B (zh) 2009-01-08 2015-02-11 Lg电子株式会社 在随机接入过程期间处理时间对准命令的方法
WO2010087570A1 (en) 2009-02-02 2010-08-05 Lg Electronics Inc. Random access channel resource allocation
EP2399425A1 (en) 2009-02-18 2011-12-28 Nokia Siemens Networks OY Controlling transmissions on composite carriers
CN101841823B (zh) * 2009-03-16 2012-06-2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多载波***中非连续监听控制信道的方法及装置
WO2010107354A1 (en) 2009-03-17 2010-09-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High priority random access
US8989105B2 (en) 2009-03-17 2015-03-24 Htc Corporation Method of establishing multiple links with multiple component carriers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KR101568878B1 (ko) 2009-03-17 2015-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가용 전송 전력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841905B (zh) 2009-03-18 2012-12-2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指示重启终端时间对准定时器的方法及基站
US8761820B2 (en) * 2009-04-09 2014-06-24 Kyocera Corporation Radio base station, radio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968037B1 (ko) * 2009-04-21 2010-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베어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ES2905362T3 (es) 2009-04-23 2022-04-0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étodo y aparato para acceso aleatorio en comunicaciones inalámbricas multiportadoras
EP2244515A1 (en) 2009-04-23 2010-10-27 Panasonic Corporation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procedure for generating multiple uplink transport blocks
CN101873713A (zh) 2009-04-24 2010-10-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终端
US20100272091A1 (en) 2009-04-27 2010-10-28 Motorola, Inc. Uplink Scheduling Supoort in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437798B2 (en) 2009-04-27 2013-05-07 Motorola Mobility Llc Uplink scheduling support in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717522B1 (ko) * 2009-04-27 2017-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883437B (zh) 2009-05-05 2014-1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以及基站
WO2010135697A2 (en) 2009-05-22 2010-11-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wer headroom reporting for carrier aggregation
US20100302951A1 (en) 2009-05-26 2010-12-02 Ou Meng-Hui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Radio Link Failure
CN102461031B (zh) * 2009-06-12 2015-02-04 Lg电子株式会社 宽带无线接入***中管理载波的方法
US8917643B2 (en) 2009-06-12 2014-12-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fficiently managing carriers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CN101588629B (zh) 2009-06-16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载波聚合***中同步下行分量载波的确定方法和装置
US8634313B2 (en) 2009-06-19 2014-01-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hat facilitates a timing alignment in a multicarrier system
CN101932087A (zh) 2009-06-19 2010-12-2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功率余量的上报方法、装置和***
US9161232B2 (en) * 2009-06-29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Decentralized coexistence manager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ultiple radios
US20110158117A1 (en) 2009-06-29 2011-06-30 Qualcomm Incorporated Power headroom report for simultaneous transmissions on disparate radio access technologies
US20110002284A1 (en) 2009-07-06 2011-01-06 Shilpa Talwar Multi-tier network interference mitigation
CN101965027B (zh) * 2009-07-23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小区同步切换的方法和***
KR101644882B1 (ko) 2009-07-28 201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반송파 지원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송파 관리 절차 수행 방법 및 장치
US9135197B2 (en) * 2009-07-29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Asynchronous interface for multi-radio coexistence manager
CN101998661B (zh) 2009-08-13 2014-01-2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判决无线链路失败的方法和装置
KR101683113B1 (ko) 2009-08-14 201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와 기지국 간의 무선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CN101998646A (zh) 2009-08-19 2011-03-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长期演进***的随机接入方法及装置
KR20110021678A (ko) 2009-08-26 201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릴레이 매체접속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CN101646234A (zh) 2009-09-01 2010-0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定时提前量的获取方法
PL2472965T3 (pl) * 2009-09-15 2017-06-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posób przetwarzania synchronizacji połączenia wstępującego, urządzenie użytkownika i stacja bazowa
EP3474621B1 (en) * 2009-09-25 2022-05-04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ulti-carrier network operation
EP2317815A1 (en) 2009-11-02 2011-05-04 Panasonic Corporation Power-limit report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RU2558733C2 (ru) 2009-11-19 2015-08-10 Интердиджитал Пэйтент Холдингз, Инк. Активация/деактивация компонентных несущих в системах с несколькими несущими
US8315661B2 (en) 2009-12-31 2012-11-20 Cellco Partnership Enhanced power headroom reporting
KR101752500B1 (ko) 2010-01-07 2017-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 동기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MY163403A (en) 2010-01-08 2017-09-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aintaining time alignment with multiple uplink carriers
CN101835261B (zh) * 2010-01-29 2013-02-27 新邮通信设备有限公司 载波聚合***以及其中的信道传输方法、用户设备和基站
CN101959249B (zh) * 2010-01-30 2012-09-26 华为技术有限公司 组成载波管理方法与设备
KR101803015B1 (ko) 2010-02-10 2017-12-01 주식회사 골드피크이노베이션즈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MY164719A (en) 2010-02-12 2018-01-3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uplink random access channel transmission
CN101848506B (zh) 2010-03-25 2012-10-10 新邮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长期演进增强***中的切换方法和***
US9084195B2 (en) 2010-04-01 2015-07-14 Nokia Technologies Oy Multiple timing advance and carrier aggregation
JP5620569B2 (ja) * 2010-04-01 2014-11-05 パナソニック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端末装置、電力制御方法及び集積回路
US9363059B2 (en) 2010-04-02 2016-06-07 Acer Incorporated Method of handling component carrier activation and deactiv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US20110243106A1 (en) * 2010-04-02 2011-10-06 Mediatek Inc. Methods for carrier agggregation
US8982805B2 (en) 2010-04-09 2015-03-17 Acer Incorporated Activating component carriers by non-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procedure
US9392608B2 (en) * 2010-04-13 2016-07-12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partitioning information for enhanced interference coordination
US8867440B2 (en) 2010-05-28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Power headroom reporting for multicarrier LTE systems
ES2773049T3 (es) 2010-06-18 2020-07-09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s para proporcionar informes de margen de potencia dispuestos en orden de índices de portadora de componentes y terminales inalámbricos y estaciones base conexos
CN101932116B (zh) * 2010-08-09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选择物理上行共享信道的方法及用户设备
CN101908951B (zh) * 2010-08-16 2016-05-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道状态信息的报告方法及基站
WO2012023894A1 (en) * 2010-08-20 2012-02-23 Telefonaktibe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node for reduced transmission activity pattern configuration
CN101958772B (zh) * 2010-09-29 2016-03-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跨载波调度的物理下行控制信道发送方法和基站
WO2012044102A2 (en) 2010-09-30 2012-04-05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reporting power headroo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951684B (zh) * 2010-09-30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确认信息的发送方法及用户终端
CN105898848B (zh) 2010-09-30 2019-08-06 索尼公司 电子设备、通信方法以及用户设备
US9173121B2 (en) * 2010-11-01 2015-10-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ed measuring in a wireless network
WO2012060613A2 (ko) * 2010-11-01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한된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EP2637332A4 (en) * 2010-11-05 2017-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activating secondary carri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using carrier aggregation technique
US8989025B2 (en) 2010-11-12 2015-03-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UE timing adjustment in a multi-RAT, carrier aggregation community system
JP5307112B2 (ja) 2010-12-17 2013-10-02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集積回路
BR112013010103B1 (pt) 2010-12-30 2021-1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quipamento de usuário e estação rádio base em um sistema de telecomunicações e métodos relacionados
CN103299690B (zh) 2011-01-07 2017-10-24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处理附加功率回退的方法、设备和***
KR101776873B1 (ko) 2011-01-11 2017-09-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송 출력 결정 방법 및 장치
WO2012108643A2 (en) 2011-02-09 2012-08-16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US10506512B2 (en) 2011-02-11 2019-12-10 Blackberry Limited User equipment battery saving in a HetNet deployment with eICIC
KR101995293B1 (ko) * 2011-02-21 2019-07-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시분할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부차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WO2012115421A2 (en) 2011-02-21 201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efficiently reporting user equipment transmission power and apparatus thereof
US8923251B2 (en) 2011-03-24 2014-12-30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uplink time alignment
TWI459847B (zh) * 2011-04-01 2014-11-01 Mediatek Inc 管理與維持多重時序提前的方法
CN105979576B (zh) * 2011-04-02 2019-09-13 华为技术有限公司 辅助定时提前量的获取方法和设备
US9226185B2 (en) * 2011-07-01 2015-12-29 Lg Electronics Inc. Cell measurement method and terminal
US9949221B2 (en) 2011-07-27 2018-04-17 Sharp Kabushiki Kaisha Devices for multi-cell communications
US9794900B2 (en) 2011-07-29 2017-10-17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uplink timing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CN108566682B (zh) * 2011-08-22 2021-08-10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无线电通信网络中的测量和报告配置
KR101150846B1 (ko) * 2011-09-05 2012-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 측정 방법 및 그를 위한 정보 전송 방법
US9253713B2 (en) * 2011-09-26 2016-02-0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mall cell discovery in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s
US9204316B2 (en) * 2011-09-30 2015-12-01 Blackberry Limited Enhancement and improvement for hetnet deployments
US8971250B2 (en) * 2011-10-29 2015-03-03 Ofinno Technologies, Llc Special subframe allocation
US8995405B2 (en) 2012-01-25 2015-03-31 Ofinno Technologies, Llc Pathloss reference configura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US9055453B2 (en) * 2012-02-03 2015-06-0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ode and method for adapting parallel measurements with respect to an enhanced receiver
US8964590B2 (en) 2012-04-01 2015-02-24 Ofinno Technologies, Llc Random access mechanism for a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KR20130126427A (ko) 2012-05-11 2013-11-20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의 성능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CN104246166B (zh) 2012-05-11 2016-10-12 日产自动车株式会社 恒温器故障检测装置以及恒温器故障检测方法
US9661508B2 (en) * 2012-05-14 2017-05-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signal estimate by scaling
FR3008690B1 (fr) 2013-07-22 2016-12-23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comportant un canal fluidique muni d'au moins un systeme micro ou nanoelectronique et procede de realisation d'un tel dispositif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04816*
3gpp R2-11088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84971B (zh) 2016-08-10
KR101838205B1 (ko) 2018-03-13
EP2678955B1 (en) 2020-04-01
US9681433B2 (en) 2017-06-13
WO2012115419A2 (en) 2012-08-30
US20120213107A1 (en) 2012-08-23
CN106059735A (zh) 2016-10-26
US11202285B2 (en) 2021-12-14
CN106059735B (zh) 2019-08-13
KR20120095783A (ko) 2012-08-29
US20150124788A1 (en) 2015-05-07
EP2678955A4 (en) 2016-08-31
AU2012222013A1 (en) 2013-08-15
JP6480540B2 (ja) 2019-03-13
CA2826885A1 (en) 2012-08-30
EP2678955A2 (en) 2014-01-01
KR20120095785A (ko) 2012-08-29
US20150124789A1 (en) 2015-05-07
EP2678961B1 (en) 2021-04-21
US8873413B2 (en) 2014-10-28
JP2014510462A (ja) 2014-04-24
US8917664B2 (en) 2014-12-23
CN103385027A (zh) 2013-11-06
CN107276735B (zh) 2020-06-02
US20150124767A1 (en) 2015-05-07
CN108990143A (zh) 2018-12-11
JP2014507909A (ja) 2014-03-27
US20150085842A1 (en) 2015-03-26
EP2679057A2 (en) 2014-01-01
EP2679057B1 (en) 2018-12-26
US20200221436A1 (en) 2020-07-09
KR20120095813A (ko) 2012-08-29
EP2678961A2 (en) 2014-01-01
CN103493412A (zh) 2014-01-01
WO2012115429A3 (en) 2012-12-20
WO2012115419A3 (en) 2012-11-15
CN103385027B (zh) 2017-03-15
KR20120095810A (ko) 2012-08-29
CA2826885C (en) 2020-06-23
EP2678961A4 (en) 2017-01-11
US9686779B2 (en) 2017-06-20
AU2012222013B2 (en) 2016-02-11
US9717077B2 (en) 2017-07-25
US20120213207A1 (en) 2012-08-23
US20150124768A1 (en) 2015-05-07
CN107276735A (zh) 2017-10-20
EP2678959A4 (en) 2017-01-11
CN103392301B (zh) 2017-06-20
EP2678959A2 (en) 2014-01-01
JP2018011363A (ja) 2018-01-18
KR102003246B1 (ko) 2019-07-24
CN103384971A (zh) 2013-11-06
US9717078B2 (en) 2017-07-25
EP2679057A4 (en) 2016-11-30
CN103392301A (zh) 2013-11-13
EP2678959B1 (en) 2021-02-17
JP6104822B2 (ja) 2017-03-29
US20150124766A1 (en) 2015-05-07
KR101930332B1 (ko) 2018-12-18
ES2707302T3 (es) 2019-04-03
CN103493412B (zh) 2017-08-11
US9681431B2 (en) 2017-06-13
CN108990143B (zh) 2023-04-18
US9681432B2 (en) 2017-06-13
WO2012115429A2 (en)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293B1 (ko)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시분할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부차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KR101763751B1 (ko)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부차반송파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US10123314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activating/deactivating secondary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US97302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secondary carriers in time division duplex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US9337967B2 (en) Method and device for activating secondary carri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using carrier aggregation technique
KR10195621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배터리 세이빙 모드의 단말이 역방향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