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105B1 -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 Google Patents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105B1
KR101995105B1 KR1020170015521A KR20170015521A KR101995105B1 KR 101995105 B1 KR101995105 B1 KR 101995105B1 KR 1020170015521 A KR1020170015521 A KR 1020170015521A KR 20170015521 A KR20170015521 A KR 20170015521A KR 101995105 B1 KR101995105 B1 KR 101995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toes
buffer
support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5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90548A (en
Inventor
손태석
Original Assignee
손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태석 filed Critical 손태석
Priority to KR1020170015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105B1/en
Priority to PCT/KR2018/001522 priority patent/WO2018143755A1/en
Publication of KR20180090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5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1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Toe correcting or sprea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4Special medical insertions for shoes for flat-feet, club-feet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정돌기가 발가락 사이에 끼워져서 지압과 교정이 이루어지는 발가락 교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지지체에 형성되어 보행 시 발바닥, 특히 전족부와 중족부를 연결하는 발볼에 가해지는 체중에 의한 압력 내지 충격을 흡수 해소할 수 있으며, 바닥지지체의 변형을 통해 발가락 교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중족지관절을 지지하는 발볼 지지부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오목 형성된 제1 완충부를 포함하는 완충수단을 구비한 발가락 교정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발가락을 벌려주고 유연하게 교정해 주어, 발가락의 구조, 기능, 역할을 향상시키므로 혈액(산소, 영양 공급)순환 등 신진대사를 좋게 하고, 발과 발가락 및 신체 전반의 좌우 균형을 맞춰줄 수 있으며, 인체공학적인 구조 설계를 통해 보행 시 이물감 없이 편리하게 착용하여 생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e orthodontic appliance that the acupressure and correction is made by the correction protrusion is inserted between the toes, and more specifically formed by the bottom support body due to the weight applied to the foot, especially the forefoot and foot foot connecting the forefoot and midfoot A buffer including a first buffer part which is concav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oot ball support part supporting the metatarsal joint of the user, so as to absorb the pressure to the shock and improve the toe correction effect through deformation of the floor support. A toe orthodontic appliance provided with mean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n the toes and flexibly correct, improve the structure, function, role of the toes to improve the metabolism, such as blood (oxygen, nutrient supply) circulation, balance the left and right of the foot and toes and the whole body Through the ergonomic structure desig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worn comfortably without a foreign body when walking.

Description

발가락 교정구{CORRECTING APPARATUS FOR TOES}Toe Braces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본 발명은 교정돌기가 발가락 사이에 끼워져서 지압 또는 교정이 이루어지는 발가락 교정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e corrector in which acupressure or correction is performed by fitting a correction protrusion between the toes.

특히 본 발명은 발가락을 벌려주고 유연하게 교정해 주어, 발가락의 구조, 기능, 역할을 향상시키므로 혈액(산소, 영양 공급)순환 등 신진대사를 좋게 하고, 발과 발가락 및 신체 전반의 좌우 균형을 맞춰줄 수 있으며, 인체공학적인 구조 설계를 통해 보행 시 이물감 없이 편리하게 착용하여 생활 및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n the toes and flexibly correct, improve the structure, function, role of the toes to improve the metabolism, such as blood (oxygen, nutrient supply) circulation, balance the left and right of the foot and toes and the whole body Through the ergonomic structure desig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worn and comfortable to walk and walk without a sense of life.

소득 수준이 향상되면서 자연스럽게 건강에 대한 인식이 날로 높아져 가고 있는 추세에 발맞춰 발가락, 발 특히 신체의 기초가 되는 발가락이 체형 및 체질 개선에 영향을 주어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올바른 형태의 발가락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In line with the growing awareness of health as the level of income naturally increases, the toes, feet, especially the toes that are the foundation of the body, have an effect on body shape and constitution, which helps prevent disease and improve health. As this is known, the importance of correct toes is emerging.

특히 발가락은 인간이 직립 보행을 시작한 이후 모든 신체의 기초가 되는 부분으로써, 발가락(지골과 중족골)은 서고 걸을 때 가장 아래쪽에서 가장 많은 움직임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인체의 혈액순환 및 체형의 균형과 이동, 운동 등 가장 많은 부분을 담당하는 스위치 센서와 같은 일을 하고, 따라서 올바른 자세로 걷거나 서있는 것만으로도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In particular, the toes are the basic parts of every body after humans start walking upright, and the toes (the phalanges and the metatarsal bones) play an important role with the most movements at the bottom when standing and walking, and the human body's blood circulation and body balance Doing the same thing as a switch sensor that takes care of the most, such as overwork, movement, and exercise, can help you stay healthy just by walking or standing in the correct position.

그런데 바른 걸음걸이 또는 서있는 자세를 유지하지 않을 경우 발가락을 이루는 관절들이 변형되어 관절 연쇄 원리에 따라 발가락에서부터 발, 발목에서 무릎, 골반, 허리, 척추, 내장기관, 어깨, 목, 머리까지 파급되어 O자 다리, X자 다리, 골반 불균형, 어깨 불균형, 척추 디스크, 측만증, 혈액순환장애, 보행 장애 등이 신체 전반에 걸쳐 일어나게 된다.However, if you do not maintain the correct gait or standing posture, the joints that make up the toes are deformed, an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joint chaining, the toes, feet, ankles to knees, pelvis, waist, spine, internal organs, shoulders, neck, and head are spread. Legs, X-legs, pelvic imbalances, shoulder imbalances, spinal discs, scoliosis, poor circulation, and walking disorders occur throughout the body.

더욱이 현대인들은 특히 발가락을 포함한 하지 건강의 중요성을 간과한 채 미(美)적 관심에만 급급하여 굽이 높은 하이힐이나, 키높이 같은 신발 등의 사용함으로써, 발가락으로 체중이 쏠리면서 발가락이 변형되어, 종국적으로 신체 균형이 깨지게 되면서 어깨 등이 쑤시고 피로감을 더욱 빨리 느끼고, 면역력이 저하되면서 각종 질병에 걸리기 쉬워 국민 건강에 위험을 초래하고 있고, 이에 따라 무지외반증과 같은 발가락 질환이 국민 건강을 해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In addition, modern people are particularly concerned about the importance of lower limb health, including toes, and by using only high-heeled shoes and shoes such as high-heeled shoes. As the balance is broken, the shoulders are swelled, the fatigue is felt more quickly, and the immunity is lowered, and it is easy to get various diseases, which causes a risk to the public health. have.

특히 발가락은 신체 중 가장 약하면서 가장 많은 움직임과 활동량을 소화하고, 체중이 가장 많이 쏠리는 중요한 부위임에 비하여 현대인들은 그 중요성을 간과한 채 발가락을 비롯한 발의 관리를 소홀히 하여 신체의 기초가 불안정해짐에 따라 건강의 불균형, 각종 질환의 발병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toes are the weakest part of the body, digesting the most amount of movement and activity, and the weight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body, while modern people neglect their importance and neglect the management of the toes and feet, and the foundation of the body becomes unstable.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an increase in the balance of health and the onset of various diseases.

또한 걷거나 뛰어갈 때, 산에 오르거나 내려올 때, 운동을 할 때, 심지어 서 있는 경우라도 발가락은 체중이 집중되어 신체를 지지하는 가장 기초된 것으로, 이러한 신체의 기초인 발가락의 균형이 무너질 경우 신체 전반에 걸쳐 다수의 질병과 통증, 장애 등을 유발함에도 불구하고, 현대인들의 관리 소홀로 인하여 이러한 발가락의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The toes are also the most basic to support the body when it is walking, running, climbing up or down the mountain, exercising, or even standing. Although causing a number of diseases, pain, and disability throughout, the importance of these toes is overlooked due to the neglect of modern peopl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을 건강하게 관리하는 습관으로 꾸준한 발 마사지, 자극 요법 등이 있는데, 이러한 마사지, 자극요법은 발뿐만 아니라 신체 전반에 걸친 질병 예방이나 치료에 효과가 크기 때문에 근래 들어 여러 방법으로 널리 행해지고 있으나, 신체의 기초가 되는 발가락을 올바른 형태로 교정시키는 효과가 없어 질환 예방 및 건강 증진 효과의 한계가 명확하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is a constant foot massage, stimulation therapy, etc. as a habit of managing the foot healthy, such massage, stimulation therapy is not only the foot, but also effective in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throughout the body in recent years Although it is widely used in various ways, there is no effect of correcting the toes, which are the basis of the body, in the correct form, and thus the limitations of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effects are clea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써, 특허출원 제10-2004-0072903호 "발가락 지압기의 제조방법"이 있는데,상기 종래 기술의 지압기는 발가락을 지압하는데만 중점을 두고 개발된 것임에 따라 발가락의 기형을 교정하는 것에는 특징적인 효과는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As a prior ar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re is a patent application No. 10-2004-0072903 "manufacture method of toe acupressure," the pressure of the prior art was developed with emphasis only on acupressure toes Correcting malformations of the toes does not have a characteristic effect.

이에 따라 근래에 사용자가 별도의 시간을 할애하지 않더라도 자연적인 일상생활 속에서 발가락(지골과 중족골)의 건강을 예방, 증진시키고, 발가락의 형태를 올바른 형태로 교정할 수 으면서, 발가락 교정구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가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함으로써,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없고 운동 시에도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발가락 교정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user does not spend any time in recent years, the toes (braces and metatarsal bones) can be prevented and promoted in natural daily life, and the toe shape can be corrected to the correct shape, and the toe corrector is worn. By minimizing the sense of foreign body when the user feels, there is a need for a toe correction device that can improve the exercise effect even when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daily life.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하이힐, 키높이 구두 등의 착용 또는 잘못된 습관으로 일어나는 발가락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변형된 발가락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신체의 기초인 발가락의 교정을 통해 굽은 다리, O자 다리, 굽은 어깨, 휘어진 척추 등 체형 전체를 전반적으로 교정하는 효과가 있어 질병 예방 및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될 수 있는 발가락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prevents deformation of the toes caused by wearing high heels, high shoes, or wrong habits, and at the same time corrects deformed toes. The ai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e corrector that can help to prevent disease and promote health as it has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whole body shape such as a curved spine.

그리고 본 발명은 새끼발가락(5지)를 상부 내측으로 들면서 지지함으로써, 새끼 발가락를 유연하게 지지하고, 변형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새끼 발가락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d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upport the little toes by holding the little toe (5 finger) to the upper inside, to support the little toes flexibly, and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little toe, the deformation most occurs.

아울러 본 발명은 인체공학적인 구조 설계를 통하여 사용자의 착용감을 만족시키고, 발가락 교정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물감을 최소화하여 사용에 불편함이 없으며, 보행 시나 운동할 때, 발바닥, 특히 전족부와 중족부 사이의 관절인 중족지관절들이 있는 발볼에 가해지는 체중에 의한 압력 내지 충격을 흡수, 해소할 수 있도록, 발볼 지지부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오목 형성된 제1 완충부를 포함하는 발가락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the user's fit through the ergonomic structure design, and minimizes the foreign body in the state wearing the toe correction device, there is no inconvenience to use, when walking or exercise, the soles, especially forefoot and foot Providing a toe orthodontic device comprising a first buffer portion concav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oot ball support so as to absorb and relieve the pressure or impact caused by the weight applied to the foot ball with the metatarsal joints, which are the joints in between. The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보행 시나 운동할 때, 체중이 집중되는 발볼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고, 교정돌기를 이용한 발가락 교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발의 뼈 구조, 특히 서로 분리되어 있는 중족골의 형태에 맞춰 각 중족지관절에 대응하는 형태로 분절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 완충홈을 포함하는 발가락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t the bone structure of the foot, in particular the shape of the metatarsal bones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as to relieve the impact on the foot ball where the weight is concentrated when walking or exercising, and to increase the toe correction effect using the correction protrus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e corrector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buffer grooves segment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metatarsal joints.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1 완충홈의 형성을 쉽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완충홈이 변형되면서 발볼을 부드럽게 감싸면서 지족골뿐만 아니라 중족골까지 교정 효과가 전달될 수 있도록, 발볼 지지부의 상부면에서 돌출 형성된 볼록지지부를 포함하는 발가락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formation of the first buffer groove, at the same time the first buffer groove is deformed while gently wrapping the ball, so that the correction effect can be transmitted to the metatarsal bone as well as the metatarsal bone,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suppo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e corrector including a protruding convex support.

그리고 본 발명은 발볼의 형상에 맞게 제1 완충홈들과 볼록지지부가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전후 길이가 긴 중앙 광폭부와, 상대적으로 전후 길이가 짧은 양측 협폭부를 갖고, 상기 중앙 광폭부에서 상기 양측 협폭부로 갈수록 테두리부의 전후 길이가 점감되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는 볼록지지부 및 상기 볼록지지부의 평면 형상에 상응하는 제1 완충홈들로 이루어진 제1 완충부를 포함하는 발가락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wide front and rear central wide portion, and a relatively narrow front and rear length both side narrow width so that the first buffer grooves and the convex support portion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to fit the shape of the ball, the center Providing a toe corrector including a first buffer portion consisting of a convex support portion formed in a streamline shape,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edge portion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wide portion to the narrow side portion and the first buffer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lanar shape of the convex support portion For the purpose of

또한 본 발명은 발가락 교정구의 지압 효과에 따라 혈액 순환을 도와주어 혈류 장애를 개선하여 다양한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교정돌기의 몸체부 상측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측면날개와, 측면날개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후방날개로 구성된 날개부를 포함하는 발가락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the blood circulation in accordance with the effect of the acupressure of the toe correction device to improve blood flow disorders to prevent a variety of diseases, side wings formed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body of the orthodontic projections to both sides, and the rear side formed extending from the rear w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e corrector including a wing configured as a w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구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oe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의 전족부를 지지하는 발가락 지지부와, 사용자의 중족지관절을 지지하는 발볼 지지부로 이루어진 바닥지지체;A bottom support comprising a toe support for supporting the forefoot of the user and a foot ball support for supporting the metatarsal joint of the user;

발가락들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발가락 지지부의 상부면에서 돌설된 복수개의 교정돌기; 및A plurality of straighten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toe support portion to be inserted between the toes; And

상기 바닥지지체에 형성되어 발에 가해지는 압력 내지 충격을 해소하도록 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Is formed on the bottom support and buffer means for releasing the pressure to the impact applied to the foot;

상기 완충수단은,The buffer means,

상기 발볼 지지부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오목 형성된 제1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buffer portion concav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l suppor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구에서,And in the to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상기 제1 완충부는,The first buffer part,

사용자의 중족지관절에 대응하는 형태로 분절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 완충홈으로 구성되고,Consists of a plurality of first buffer grooves segment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metatarsal joint of the user,

양쪽 최외측에 배치된 제1 완충홈은, 중앙 내측에 배치된 제1 완충홈보다 상대적으로 전후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buffer grooves disposed on both outermost sides are formed to have a relatively shorter front and rear length than the first buffer grooves disposed inside the cen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구에서,Also in the toe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바닥지지체는,The bottom support is,

상기 발볼 지지부의 상부면에서 돌출된 볼록지지부를 포함하되,Including a convex support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support,

상기 볼록지지부는, The convex support part,

상대적으로 전후 길이가 긴 중앙 광폭부와, 상대적으로 전후 길이가 짧은 양측 협폭부를 갖고, 상기 중앙 광폭부에서 상기 양측 협폭부로 갈수록 테두리부의 전후 길이가 점감되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streamlined shape having a central wide portion having a relatively long front and rear length, and both side narrow portions having a relatively short front and rear length, and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edge portion are gradually reduced from the central wide portion to both side narrow portions.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구에서,In addition, in the toe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볼록지지부는,The convex support part,

상기 중앙 광폭부가, 상기 제1 완충부에서 중앙 내측에 배치된 제1 완충홈에 상응하는 전후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The central wide portion is formed to have a front and rear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buffer groove disposed inside the center in the first buffer portion,

상기 양측 협폭부가, 상기 제1 완충부에서 양쪽 최외측에 배치된 제1 완충홈에 상응하는 전후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wo narrow portions are formed to have a front and rear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buffer grooves disposed at both outermost sides of the first buffer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구는 전족부를 지지하는 발가락 지지부와 중족부를 지지하는 발볼 지지부로 이루어진 바닥지지체와, 상기 발가락 지지부에서 돌설되어 발가락이 끼워지는 복수개의 교정돌기 및 상기 발볼 지지부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오목 형성된 제1 완충부로 이루어진 완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발가락(지골과 중족골)의 기형을 예방하고 교정할 수 있으며, 무지외반증과 같은 기타 발가락 질환을 예방함과 동시에 치료할 수 있기 때문에 국민 건강을 증진시키고 유지하는데 매우 유리하고, To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ttom support consisting of a toe support for supporting the forefoot and a foot support for supporting the forefoot, a plurality of orthodontic protrusions to the toe is inserted from the toe suppor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oot support It comprises a buffer means consisting of the first buffer formed concave, prevents and corrects the malformation of the toes (golgol and metatarsal bone), and can prevent and treat other toe diseases such as hallux valgus, thereby promoting national health Very advantageous to make and maintain,

특히, 신체의 기초인 발가락의 교정을 통해 굽은 다리, O자 다리, 굽은 어깨, 휘어진 척추 등 체형 전체를 전반적으로 교정하여 체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어 건강 증진에 매유 유익한 발명이다.In particular, through the correction of the toes that are the basis of the body, bent legs, O-shaped legs, bent shoulders, curved spine, and the overall body shape, such 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stitution is a very beneficial invention to promote health.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구는 교정돌기들이 발가락을 올바른 형태로 교정함과 동시에, 발볼 지지부에 형성된 제1 완충부에 의해 바닥지지체가 변형되어, 보행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제1 완충부를 구성하는 분절된 형태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 완충홈들과, 발볼 지지부의 상부면에서 돌출된 볼록지지부 및 제1 완충부와 볼록지지부의 인체 공학적 형상 설계를 통해 교정돌기와 함께 발볼 지지부가 변형되면서, 직접적으로 지골과 중족골을 함께 벌려주면서 사용자의 체형의 균형(밸런스)을 잡아주어, 발가락 교정 효과가 뛰어나며, 사용자가 보행 또는 운동을 할 때에도 부상과 상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oe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correcting the toes to the correct shape, the bottom support is deformed by the first buffer portion formed on the foot ball support, and can absorb the impact generated during walking, the first Deformation of the ball support along with the orthodontic protrusion through the ergonomic shape design of the plurality of first buffer grooves formed in the segmented form constituting the buffer, the convex support project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support and the first buffer and the convex support While, directly opening the phalanges and metatarsals together to balance the user's body shape (balance), the toe correction effect is excellent, the user can prevent injuries and injuries even when walking or exercising.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구는 상대적으로 전후 길이가 긴 중앙 광폭부와, 상대적으로 전후 길이가 짧은 양측 협폭부를 갖고, 상기 중앙 광폭부에서 상기 양측 협폭부로 갈수록 테두리부의 전후 길이가 점감되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발볼 지지부가 사용자의 발바닥 구조에 맞게 중족지관절을 부드럽게 감싸는 형태로 적절하게 변형되어 발가락 교정 효과와 완충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Furthermore, the toe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entral wide portion having a relatively long front and rear length, and a bilateral narrow portion having a relatively short front and rear length, and a streamlined shap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edge portion decrease gradually from the central wide portion to both side narrow portions. Consisting of, the foot ball support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in a form that gently wraps the metatarsal joint to fit the sole structure of the user can increase the toe correction effect and buffering effec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구는 착용이 편리하며, 특히 인체 공학적인 구조 설계를 통해 착용 시 이물감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최고의 교정 효과를 낼 수 있고, 발의 형상을 거스르지 않도록 설계됨으로써, 발가락 교정구를 착용한 상태라도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으므로 별도의 교정, 지압 시간을 투자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다.Meanwhile, the toe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nient to wear, and in particular, the ergonomic structure design can produce the best corrective effect in a state of minimizing foreign object when worn, and is designed so as not to counteract the shape of the foot, thereby wearing the toe corrector. Even in one condition, it does not interfere with daily life, so there is no need to invest additional calibration and acupressure tim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구는 볼록지지부를 통해 제1 완충부를 위한 두께를 확보하여 제작이 쉽고, 이를 통해 발볼 지지부가 사용자의 발볼 부위를 부드럽게 감싸면서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어, 올바른 보행 자세 유지 및 발가락 교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e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manufacture by securing the thickness for the first buffer portion through the convex support, through which the foot ball support has the effect of gently wrapping and fixing the user's foot area, maintaining correct walking posture and toes It can provide a correction effect.

또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구는 발가락 교정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덧신, 양말, 스타킹 등을 신더라도 불편함이 없고, 이에 더 나아가 운동화, 구두와 같은 신발을 신더라도 불편함이 없으며, 이에 따라 발가락 교정구를 착용한 것이 노출되지 않아 미적으로도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고 시간적, 공간적 제한을 받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oe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convenient to wear overshoes, socks, stockings, etc. in the state of wearing a toe corrector, and furthermore, even if you wear shoes such as sneakers, shoes, toes accordingly Wearing orthodontics is not exposed, so it is not aesthetically pleasing to the user and is not subject to time and space restrictions.

도 1a는 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b 및 1c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발가락 교정구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구를 도시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한 사시도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구의 배면도, 좌측면도, 하측 방향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구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구의 다양한 변형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1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foot.
1B and 1C are views of the toe straigh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fferent direction.
Figure 3 is a rear view, left side view, lower direction plan view of the toe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wearing a to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to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have various forms, embodiments (o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form disclos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each of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particular, the tens and ones digits, or the same digits, tens, ones, and alphabets refer to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each member in the figures The member referred to by the reference numeral may be regarded as a member conforming to these criteria.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aggerated in size (or thick) in size (or thick) in size (or thin) or simplifi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the like, thereby limiting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suns, aspects, and embodiments) (o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consists”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to second and the second to refer to different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of manufacture, and their names are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match.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에 대하여, 발뒤꿈치 부위인 후족부, 발의 중앙 부위로써 중족골들이 위치하는 부위인 중족부, 발가락들의 지골(기절골, 중절골, 말절골)이 위치하는 부위인 전족부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중족골과 지골이 연결되는 중족지관절들이 위치하는 부위를 발볼로 별도로 구분하여 설명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as shown in FIG. 1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th respect to the foot, the posterior portion of the heel, the metatarsal region where the metatarsal bones are located as the central portion of the foot, and the phalanges of the toes , Metacarpal bones, and horse fractures)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into the forefoot where the metatarsal joints and phalanges are connected.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구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3의 [A]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 3의 [A]에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In describing the toe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non-strict approximate direction reference is specified with reference to [A] of FIG. 3. The direction in which gravity acts in [A] of FIG. It determines the up, down, left and right as the direction shown, and the direction is specified in accordance with this standard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related to the other drawing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to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요부를 도시한 도 1b 및 1c, 본 발명을 후방 우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인 도 2, 본 발명을 후방 우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인 도 3, 본 발명의 배면도인 도 3의 [A], 본 발명의 좌측면도인 도 3의 [B], 본 발명을 하부에서 바라본 하측방향 평면도인 도 3의 [C], 본 발명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인 도 4, 본 발명의 변형예들을 평면도들로 도시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Figures 1B and 1C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upper right sid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lower right side, and Figure 3A is a rear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3, which is a left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a lower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below, and FIG. 3C, a plan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5-8, which are shown in plan views,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구(C)는 크게, 발가락(전족부)과 발바닥의 발볼(중족지관절 부근의 중족부)을 지지하는 바닥지지체(10)와, 발가락들 사이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교정돌기(20) 및 상기 바닥지지체(10)에 형성되는 완충수단(30)을 포함한다.Toe correction device (C)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large, the bottom support (10) for supporting the toes (forefoot) and the foot of the foot (medium foot near the metatarsal joints), and a plurality of orthodontic protrusions inserted between the toes 20 and the buffer means 30 formed on the bottom support (10).

본 발명의 발가락 교정구(C)는, 실리콘, 세라믹, 합성수지 등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기타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써, Toe straightener (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other materials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such as silicon, ceramics, synthetic resin,

상기 바닥지지체(10)는 사용자의 전족부를 지지하는 발가락 지지부(11)와 사용자의 중족지관절 부근을 지지하는 발볼 지지부(12)로 이루어지며,The bottom support 10 is composed of a toe support 11 for supporting the forefoot of the user and the ball support 12 for supporting the vicinity of the metatarsal joint of the user,

상기 발가락 지지부(11)의 상부면에서 돌설된 복수개의 교정돌기(20)가 바닥지지체(10)의 가로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The plurality of straightening protrusions 20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oe support 11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bottom support 10.

본 발명은 총 3~4개의 교정돌기(20)가 돌설되어 상기 교정돌기(20)들 사이의 공간부(20A)에 사용자의 발가락들이 끼워지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일반적인 4개의 교정돌기(20)를 갖는 발가락 교정구(C)를 대표하여 설명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total of three to four straightening protrusions 20 are protruded so that the user's toes are fitted into the space portion 20A between the straightening protrusions 20. It demonstrates on behalf of the toe straightener (C) having a projection (2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엄지와 검지 발가락 사이에 제1 교정돌기(20a; 각 교정돌기의 도면 부호는 도 2 참고.)가 끼워지고, 검지와 중지 발가락 사이에 제2 교정돌기(20b)가 끼워지고, 중지와 약지 발가락 사이에 제3 교정돌기(20c)가 끼워지고, 약지와 새끼 발가락 사이에 제4 교정돌기(20d)가 끼워짐에 따라, 발가락들 사이를 벌려 발가락들 사이가 좁아지거나 내측으로 휘는 무지외반증과 같은 발가락 변형을 교정하게 된다.As shown in Figure 4,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rrection protrusion 20a (see Figure 2 for reference numerals of each correction protrusion) is inserted between the thumb and index toe, the second correction between the index finger and the middle toe. As the projections 20b are fitted, and the third straightening protrusion 20c is inserted between the middle finger and the ring finger toe, and the fourth straightening protrusion 20d is inserted between the ring finger and the ring finger toe, the toes are spread between the toes. Toe deformities, such as narrowing or inwardly curvature valgus, are corrected.

다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가락 지지부(11)는 교정돌기(20)들 사이의 공간부(20A) 및 제1, 제4 교정돌기(20a)(20d) 외측 상부면에, 가로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지지부(미지칭)가 형성되어, 발가락 교정구(C)를 끼웠을 때, 상기 돌출지지부가 발가락들의 아치(기절골, 중절골, 말절골의 관절 연결 구조로 인하여 형성되는 하측 공간)에 수용되면서, 발가락을 지지하면서 접촉이 이루어져 발가락을 본래의 형상으로 유지시키는 교정 효과가 발생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toe support 11 is provided on the space 20A between the orthodontic protrusions 20 and on the outer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fourth orthodontic protrusions 20a and 20d. , Protruding support (unnamed) formed to protrude upwar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when the toe corrector (C) is fitted, the protruding support is the arch of the toes (joint bone, middle bone, end fracture) Due to the lower space is formed), the contact is made while supporting the toes to produce a corrective effect of maintaining the toes in their original shape.

또한 상기 발가락 지지부(11)는 양측 전방 및 교정돌기(20)들의 공간부(20A) 전방에 발가락들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후방을 향해 오목 형성된 오목홈부(미지칭)가 마련되어, 발가락의 말절골 부위의 살이 바닥지지체(10)와 접촉되지 않아 보행 시 발가락을 통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toe support portion 11 is provided with concave grooves (unnamed) concave toward the rear to correspond to the lower shape of the toes in front of the space portion 20A of the front and both sides of the straightening projections 20, The flesh is not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pport 10, it is possible to support a stable through the toes when walking.

그리고 상기 발볼 지지부(12)는 상기 발가락 지지부(11)에서 후방측으로 대략 2~4cm 연장 형성되어 연결되는 것으로, 발가락 교정구(C)를 끼웠을 때 상기 발볼 지지부(12)가 중족지관절들이 위치하는 발볼의 일부를 지지한다.And the foot ball support portion 12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extend from the toe support portion 11 to the rear side approximately 2 ~ 4 cm, when the toe corrector (C) is inserted, the foot ball support portion 12 is located in the metatarsal joints Support a portion of the ball.

다시 도 1b를 참조하면, 약지와 새끼 발가락 사이에 위치하는 제 4 교정돌기(20d)만 다른 교정돌기(20a~20c)에 비하여 몸체부(21) 형상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평면도인 도 1b를 참조하면 제 4 교정돌기(20d)의 몸체부(21)는 전방의 직선부(212)와 후방 굴곡부(211)를 포함한다. 전방 직선부(212)는 다른 교정돌기(20a~20c)와 마찬가지로 전방을 향하여 직선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러나 제 4 교정돌기(20d)의 전방 직선부(212)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굴곡부(211)는 발 외측 방향(도면에서 우측 방향)을 향하여 굴곡지게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B again, only the fourth straightening protrusion 20d positioned between the ring finger and the toe of the baby body has a different shape than the other straightening protrusions 20a to 20c.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B, which is a plan view, the body portion 21 of the fourth straightening protrusion 20d includes a front straight portion 212 and a rear curved portion 211. The front straight portion 212 is provided in a straight line shape toward the front like other calibration protrusions 20a to 20c. However, the rear bent portion 211 located behind the front straight portion 212 of the fourth straightening protrusion 20d is formed to be bent toward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foot (right direction in the drawing).

이는 제 4 교정돌기(20d)의 우측에 위치하게 될 새끼 발가락에 대하여 발 안쪽 방향으로 비틀림이 작용하도록 하고, 새끼 발가락 끝단을 약지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는 새끼 발가락과 발바닥이 만나는 부위(도 1b [B]의 'A' 참조)를 자극하는 작용과 동시에 진행되며, 이는 다섯 발가락 중 신발 착용시 변형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새끼 발가락을 유연하게 지지함으로써 새끼 발가락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한다.This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twisting action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foot to the baby toes to be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fourth straightening protrusion 20d, and the end of the baby toes are bent in the ring finger direction. This proceeds simultaneously with the action of stimulating the area where the toe and the sole of the foot meet (see 'A' in FIG. 1B [B]), which flexibly supports the toe of the five toes, the most deformed when the shoes are worn. Prevent toe deformation.

제 4 교정돌기(20d)의 전방 직선부(212)와 후방 굴곡부(211)가 이루는 각도(α)는 25도 내지 30도, 더 바람직하게는 27도 내지 28도인 것이, 새끼 발가락의 변형 방지 및 새끼 발가락과 약지 사이의 밸런스 유지에 가장 유리하다.The angle α between the front straight portion 212 and the rear curved portion 211 of the fourth straightening protrusion 20d is 25 degrees to 30 degrees, more preferably 27 degrees to 28 degrees,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little toe and It is most advantageous to maintain the balance between the young toe and ring finger.

그리고 도 1c를 참조하면, 제 4 교정돌기(20d)의 몸체부(21)는 배면(혹은 정면)에서 바라본 측면 형상 또한 외측(도 1c에서 우측) 방향에 하면 굴곡부(213)가 형성된다. 이 하면 굴곡부(213)는 새끼 발가락에 대하여 배면도 기준으로도 약지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는 새끼 발가락의 좌하부(도 1c의 [B]에 도시된 도면부호 'B' 부분)를 자극하는 작용과 동시에 진행되며, 이 역시 다섯 발가락 중 신발 착용시 변형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새끼 발가락을 유연하게 지지함으로써 새끼 발가락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C, the body portion 21 of the fourth straightening protrusion 20d may have a bent portion 213 formed in a side shape viewed from the rear (or front) and in an outer side (right in FIG. 1C). In this case, the curved portion 213 is configured to be bent in the ring fing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ar toe of the baby toe. This progresses simultaneously with the action of stimulating the lower left part of the toe of the young toe (part 'B' shown in [B] of FIG. 1C).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baby toes.

그리고 상기 완충수단(30)은, 발가락 교정구(C)를 끼운 상태에서 서있거나 보행할 때, 바닥지지체(10)를 탄성 변형시켜, 발가락과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 내지 충격을 흡수, 해소할 수 있도록 쿠션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And the shock absorbing means 30, when standing or walking in the state in which the toe corrector (C) is inserted, by elastically deforming the bottom support 10, it is possible to absorb and relieve the pressure to the toe and the soles to the soles of the foot. By providing a cushion function,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발볼 지지부(12)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오목 형성된 제1 완충부(31)와,More specifically, the first buffer portion 31 formed concav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l support portion 12,

상기 발가락 지지부(11)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오목 형성된 제2 완충부(32)로 구성된다.It consists of a second buffer portion 32 formed concav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oe support (11).

상기 제1 완충부(31)는 발볼 지지부(12)의 바닥면 일부가 상측으로 오목 형성되어 발볼 지지부(12)에 체중 내지 압력이 가해질 때 제1 완충부(31)가 형성된 발볼 지지부(12)가 탄성 변형되도록 하고,The first buffer part 31 is a ball support part 12 having a first buffer part 31 formed when the weight or pressure is applied to the foot ball support part 12 by recessing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l support part 12 upwardly. Is elastically deformed,

상기 제2 완충부(32)는 발가락 지지부(11)의 바닥면 일부가 상측으로 오목 형성되어 발가락 지지부(11)에 체중 내지 압력이 가해질 때 제2 완충부(32)가 형성된 발가락 지지부(11)가 탄성 변형되도록 함으로써,The second buffer part 32 is a toe support part 11 in which a second buffer part 32 is formed when a weight or pressure is applied to the toe support part 11 when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oe support part 11 is concave upward. By elastically deforming

발가락 교정구를 착용한 상태로 서있거나 보행 중 또는 운동을 할 때, 가해지는 체중에 의한 압력 내지 충격을 흡수, 해소하여, 이를 통해 발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When standing with a toe corrector, walking, or exercising, absorbing and releasing pressure or impact due to the weight applied to the foot, thereby reducing the fatigue of the foot.

먼저 서있거나 보행 시 실질적으로 발을 지탱하는 중족지관절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압력 내지 충격만을 흡수하고, 중족지관절들 사이의 살 부위에 대해서 압박이 발생하여 후술하는 교정돌기(20)를 이용한 발의 교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First, when standing or walking, the foot absorbs only the pressure or impact delivered directly to the metatarsal joints that substantially support the foot, and the pressure is generated on the flesh portion between the metatarsal joints, and then the foot using the correction protrusion 20 described below. To increase the correction effect,

상기 제1 완충부(31)는, 사용자의 중족지관절에 대응하는 형태로 분절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 완충홈으로 구성된다.The first buffer part 3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rst buffer grooves segment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metatarsal joint of the user.

즉, 발볼 지지부(12) 중, 제1-1 완충홈(31a)은 엄지발가락의 중족지관절이 접촉되는 부위에 형성되고, 제1-2 완충홈(31b)은 검지발가락의 중족지관절이 접촉되는 부위에 형성되고, 제1-3 완충홈(31c)은 중지발가락의 중족지관절이 접촉되는 부위에 형성되고, 제1-4 완충홈(31d)은 약지발가락의 중족지관절이 접촉되는 부위에 형성되며, 제1-5 완충홈(31e)은 새끼발가락의 중족지관절이 접촉되는 부위에 형성된다.That is, the 1-1 buffer groove 31a of the ball support part 12 is formed at the site where the metatarsal joint of the big toe contacts, and the 1-2 buffer groove 31b is the metatarsal joint of the index finger. It is formed in the contact area, the 1-3 buffer groove (31c) is formed in the site where the metatarsal joint of the middle toe is contacted, the 1-4 buffer groove (31d) is the metatarsal joint of the weak toe contact It is formed in the site, the 1-5 buffer groove (31e) is formed in the site where the metatarsal joint of the little toe contact.

따라서 발볼 지지부(12)는 사용자의 발볼을 구름 지지하여, 사용자의 체중이나 보행에 따른 압력 내지 충격이 발볼 지지부(12)에 가해지면, 중족지관절에 집중되므로,Therefore, the ball support unit 12 is to support the foot ball of the user, when the pressure or impact according to the weight or walking of the user is applied to the ball support unit 12, since it concentrates on the metatarsal joints,

제1-1 내지 제1-5 완충홈(31a~31e) 부위만 상대적으로 강한 힘으로 압축되면서 탄성 변형이 발생하여 발의 뼈로 전달되는 압력 내지 충격을 흡수, 해소한다.Only the first-first to first-fifth buffer grooves 31a to 31e are compressed with relatively strong force, and elastic deformation occurs to absorb and relieve pressure to impact delivered to the bone of the foot.

동시에 제1-1 내지 제1-5 완충홈(31a~31e)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발볼 지지부(12)는 중족지관절들 사이의 살들에 의해 상대적으로 약한 힘으로 압축되므로, 중족지관절들이 각 완충홈(31a~31e)들에 수용됨에 따라, 제1 완충홈들이 형성되지 않은 발볼 지지부(12)의 나머지 부위가 중족지관절들을 부드럽게 감싸는 형태를 갖게 되며, At the same time, since the remaining ball support portion 12 except for the first to first to fifth buffer grooves 31a to 31e is compressed with a relatively weak force by the flesh between the metatarsal joints, the metatarsal joints are each buffered. As accommodated in the grooves 31a to 31e,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ball support 12, in which the first buffer grooves are not formed, have a shape that gently wraps the metatarsal joints.

이 경우 상대적으로 압축되지 않은 발볼 지지부(12) 부위는 흡사, 중족지관절들 사이를 압박하는 형태가 됨에 따라, 중족지관절들을 발가락 교정구(C)의 구조에 맞게 가압하는 효과가 발생되어 후술하는 교정돌기(20)와 함께 발가락들을 교정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In this case, the relatively uncompressed foot support 12 part is similar to the form of pressing between the metatarsal joints, so that the effect of pressing the metatarsal joints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e of the toe correction device (C) will be described later. To have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toes with orthodontic protrusion 20.

즉 제1-1 내지 제1-5 완충홈(31a~31e) 부위가 하측으로 오목 형성된 'U'자형으로 압축됨에 따라 발볼 지지부(12)의 나머지 부위가 중족지관절들 사이로 수용되면서 중족지관절들을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압박하여, 발의 쿠션 기능과, 지압 내지 교정 기능이 동시에 구현된다.That is, as the first-first to first-fifth buffering grooves 31a to 31e are compressed into a 'U' shape which is concave downward,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foot support 12 are accommodated between the metatarsal joints and the metatarsal joints. By pressing them so as to be open to both sides, the cushion function of the foot and the acupressure or correction function are simultaneously implemented.

그리고 상기 제1 완충부(31)에서, 발볼 지지부(12)의 양쪽 최외측에 배치된 제1 완충홈은, 중앙 내측에 배치된 나머지 제1 완충홈보다 상대적으로 전후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In the first shock absorbing portion 31, the first shock absorbing grooves disposed at both outermost sides of the ball support 12 are shorter in front and rear length than the remaining first shock absorbing grooves disposed inside the center.

즉, 도시된 발가락 교정구에 있어서, 상기 제1-2, 제1-3, 제1-4 완충홈(31b)(31c)(31d)은 상대적으로 좌우 폭이 넓고 전후로 소정 길이를 갖는 장방형 형태를 갖고, 상기 제1-1, 제1-5 완충홈(31a)(31e)은 나머지 다른 완충홈들보다 상대적으로 면적이 좁은 유사 삼각형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That is, in the illustrated toe corrector, the 1-2, 1-3, and 1-4 buffer grooves 31b, 31c, and 31d have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relatively wide left and right width and a predetermined length back and forth. The first-first and first- fifth buffering grooves 31a and 31e are formed to have a similar triangular shape with a narrower area than the other buffering grooves.

이는 최외측 발가락, 즉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이 나머지 발가락들에 비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엄지발가락의 경우 중절골이 없음.), 그만큼 발가락의 아치가 좁게 형성되고, 이들을 제외한 중앙에 배치된 바가락들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면서 발가락의 아치가 넓게 형성되므로, 이에 대응하여 각 완충홈(31a~31e)의 전후 길이를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제1 완충부(31)가 발의 구조에 최적화된 인체 공학적 설계 구조를 이루게 된다.This is because the outermost toes, ie, the big toe and the little toe, are relatively shorter than the rest of the toes (no big toe in the big toe), so that the arch of the toe is narrowed and placed in the center except for these. Since the toes have a relatively long length and a wide arch of the toes, correspondingly forming different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respective buffer grooves 31a to 31e, the first buffer part 31 is optimized for the structure of the foot. An engineering design structure is achieved.

한편, 상기 제1-1 내지 제1-5 완충홈(31a~31e)의 형성 및 이를 이용한 쿠션 기능을 위해선, 발볼 지지부(12)가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하나, 너무 두꺼울 경우 발볼 바닥을 과도하게 압박하여 착용감이 떨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for the formation of the first to 1 to 1-5 buffer grooves (31a to 31e) and the cushion function using the same, the ball support 12 should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or more, if too thick football bottom Too much pressure will reduce the fit.

이에 상기 바닥지지체(10)는, 상기 발볼 지지부(12)의 상부면에서 돌출된 볼록지지부(13)를 포함한다.Accordingly, the bottom support 10 includes a convex support 13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support 12.

상기 볼록지지부(13)는, 상기 제1 완충부(31)의 형성을 위한 발볼 지지부(12)의 적절한 두께를 제공함과 동시에, 제1 완충부(31)의 쿠션 기능을 증대시켜 상기한 발의 피로 저감 및 압박을 통한 발의 교정 효과를 증대시키도록 한다.The convex support 13 provides the appropriate thickness of the ball support 12 for the formation of the first shock absorbing portion 31,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s the cushioning function of the first shock absorbing portion 31, thereby preventing the fatigue of the foot. Increase the corrective effect of the foot through reduction and compression.

이때 상기 볼록지지부(13)는, At this time, the convex support 13,

상대적으로 전후 길이가 긴 중앙 광폭부(13a)와, 상대적으로 전후 길이가 짧은 양측 협폭부(13b)를 갖고, 상기 중앙 광폭부(13a)에서 상기 양측 협폭부(13b)로 갈수록 테두리부(13A)의 전후 길이가 점감되는 유선형 형태(전체적으로 유사 타원 형태)로 이루어진다.It has a central wide portion 13a having a relatively long front and rear length, and a narrow side portion 13b having a relatively short front and rear length, and the edge portion 13A gradually goes from the central wide portion 13a to the both side narrow portions 13b. ) Has a streamlined shape (total oval shape as a whole) with decreasing front and rear lengths.

특히, 상기 볼록지지부(13)는In particular, the convex support 13 is

상기 중앙 광폭부(13a)가, 상기 제1 완충부(31)에서 중앙 내측에 배치된 제1 완충홈(제1-2, 제1-3, 제1-4 완충홈(31b, 31c, 31d))에 상응하는 전후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First buffer grooves (1-2, 1-3, 1-4 buffer grooves 31b, 31c, 31d) in which the central wide portion 13a is disposed inside the center of the first buffer portion 31. Is formed to have a length before and after corresponding to)),

상기 양측 협폭부(13b)가, 상기 제1 완충부(31)에서 양쪽 최외측에 배치된 제1 완충홈(제1-1, 제1-5 완충홈(31a, 31e)에 상응하는 전후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both narrow narrow portions 13b correspond to the first buffer grooves (first to first and first to fifth buffer grooves 31a and 31e) disposed at both outermost sides of the first buffer unit 31. It is formed to have.

즉, 상기 볼록지지부(13)는 상기 복수개의 제1 완충홈의 각 전단부들과 각 후단부들을 연결하는 가상선에 상상하는 형태의 테두리부(13A)와, 상기 테두리부(13A)에서 중앙을 향해 완만하게 높이가 점가되는 중앙볼록부(13B)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convex support part 13 has an edge portion 13A having a shape imagined in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each front end portion and each rear end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buffer grooves, and the center of the edge portion 13A. It consists of the central convex part 13B which becomes a point height gently.

도 1의 [A]에서, 테두리부(13A)와 중앙볼록부(13B) 사이의 실선은 볼록지지부(13)의 경사도가 달라지는 경계선(13C)을 도시한 것으로, 볼록지지부(13)는 테두리부(13A)에서 경계선(13C)까지 상대적으로 작은 경사도를 갖도록 완만하게 높이가 점가되며, 경계선(13C)에서 중앙볼록부(13B)까지 상대적으로 큰 경사도를 갖도록 가파르게(테두리부(13A) 인근보다 경사도가 크다는 의미일 뿐, 볼록지지부(13)의 전체적인 경사도는 완만한 형태를 갖게 됨.) 높이가 점가되는 형태로 형성되며,In FIG. 1A, the solid line between the edge portion 13A and the central convex portion 13B shows a boundary line 13C in which the inclination of the convex support portion 13 is different, and the convex support portion 13 is an edge portion. The height gradually becomes a point to have a relatively small inclination from 13A to the boundary line 13C, and steeply to have a relatively large inclination from the boundary line 13C to the central convex portion 13B (inclination than the vicinity of the edge 13A). It means that the large, the overall inclination of the convex support 13 will have a gentle form.) The height is formed in the form of a dot,

이 경우, 테두리부(13A)에서 경계선(13C) 사이의 경사도 및 경계선(13C)에서 중앙볼록부(13B) 사이의 경사도는 사용자의 발볼 형태에 적합하도록 주문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In this case, the inclination between the edge portion 13A and the boundary line 13C and the inclination between the central convex portion 13B in the boundary line 13C are preferably made to be suitable for the shape of the user's ball,

보다 바람직하게는, 테두리부(13A)에서 경계선(13C) 사이의 경사도가 대략 1~3ㅀ사이로 형성되고, 경계선(13C)에서 중앙볼록부(13B) 사이의 경사도가 대략 7~13ㅀ사이로 형성하여 발볼에 가해지는 이물감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제1 완충부(31)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inclination between the edges 13A and the boundary line 13C is formed to be approximately 1 to 3 degrees, and the inclination between the boundary lines 13C and the central convex portion 13B is approximately 7 to 13 degrees. By minimizing the sense of foreign material applied to the ball,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formation of the first buffer portion (31).

이러한 중앙볼록부(13B)는, 발볼 지지부(12)가 상기 제1-1 내지 제1-5 완충홈(31a~31e)을 형성할 수 있는 두께를 갖도록 함과 동시에, 발볼 지지부(12)가 직접 접촉되어 쿠션 기능을 제공하며,The central convex portion 13B is such that the ball support portion 12 has a thickness capable of forming the first to fifth buffer grooves 31a to 31e, and at the same time, the ball support portion 12 is formed. Direct contact provides cushioning,

볼록지지부(13)로 인해, 완충홈(31a~31e)들이 압축되면서 발생하는 발볼 지지부(12)의 탄성 변형을 이용한 중족지관절을 둘러싼 압박 기능이 보다 강하게 구현될 수 있다.Due to the convex support 13, the compression function surrounding the metatarsal joint using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foot ball support 12 generated while the buffer grooves 31a to 31e are compressed may be more strongly implemented.

이때 상기 복수개의 제1 완충홈(31a~31e)들의 전, 후단부 테두리를 연결한 평면 형상과, 상기 볼록지지부(13)에서 경계선(13C)의 평면 형상이 1:1 대응하는 형태가 되는 것이, 이물감을 최소화하면서 제1 완충부(31)의 형성에 보다 적합한 구조를 갖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anar shape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end edges of the plurality of first buffer grooves 31a to 31e and the planar shape of the boundary line 13C in the convex support part 13 correspond to 1: 1. It is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more suitable for the formation of the first buffer portion 31 while minimizing foreign matter.

이로 인해 볼록지지부(13)는, 평면 형상이 발볼 지지부(12)의 가로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유사 타원형 형태를 갖게 되며, 이때 양쪽 최외측 완충홈(31a, 31e)과 양측 형폭부(13b)의 전후 길이를, 중앙 내측에 배치된 완충홈(31b~31d)과 중앙 광폭부(13a)의 전후 길이의 1/3 ~ 1/2가 되도록 짧게 형성하여, 제1 완충부(31)와 볼록지지부(13)의 평면이 전체적으로 '

Figure 112017011641375-pat00001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 모든 중곡지관절의 길이에 상응하는 인체 공학적인 설계가 가능해진다.As a result, the convex support part 13 has a similar elliptical shape in which the planar shape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all support part 12, wherein both outermost buffer grooves 31a and 31e and both side width portions (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13b) are shortened to be 1/3 to 1/2 of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buffer grooves 31b to 31d and the central wide portion 13a disposed inside the center, and the first buffer portion 31 is formed. And the plane of the convex support 13 are generally
Figure 112017011641375-pat00001
'Shaping the shape allows for an ergonomic design that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all of the metacarpophalangeal joints.

특히, 무지외반증이 심한 사용자의 경우 단순히 엄지발가락이 안쪽으로 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 모두의 중족골까지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특정된 제1 완충부(31)와 상기 볼록지지부(13)를 통해 중족골들을 가압하여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교정 및 지압 효과가 발생하여, 체형, 체질 개선 및 치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user with severe valgus valgus, the big toe goes further inwardly, and deformation occurs to the metatarsal bones of both the big toe and the remaining toes, and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es the first buffer part 31 as described above. By pressing and opening the metatarsal bones through the convex support part 13, the orthodontic and acupressure effects occur, so that the body shape, the constitution improvement and the treatment effect can be increased.

이어서 상기 발가락 지지부(11)에 형성된 제2 완충부(32)는, 상기 발가락 지지부(11)의 바닥면에서 상기 발가락 지지부(11)의 가로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 제2-1 완충홈(32a)과, 상기 제2-1 완충홈(32a)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제2-2 완충홈(32b)으로 이루어진다.Subsequently, the second buffer part 32 formed in the toe support part 11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e support part 11 in the 2-1 buffer groove 32a formed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toe support part 11. And a plurality of second-second buffering grooves 32b extending backward from the second-first buffering grooves 32a.

상기 제2 완충부(32)는 상기 제1 완충부(31)와 같이 발을 구름 지지한다는 점에서 동일하나, 다만 제1 완충부(31)가 발볼의 중족지관절을 받치는 반면에 제2 완충부(32)는 발가락을 받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The second buffer part 32 is the same in that it supports the foot like the first buffer part 31, except that the first buffer part 31 supports the metatarsal joint of the foot ball while the second buffer The part 32 is different in that it supports the toes.

특히 상기 제2-1 완충홈(32a)은 상기 돌출지지부에 대응하는 위치(즉 발가락 지지부(13)의 가로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제2-2 완충홈(32b)들은 각각 상기 제1 완충부(31)에서 중앙에 배치된 제1 완충홈(검지, 중지, 약지발가락에 대응하는 제1-2 내지 제1-4 완충홈(31b~31d)) 위치에 형성되어, 돌출지지부가 하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완충 작용을 함과 동시에, 각 교정돌기(20)들이 내측방향(중지 발가락 방향)으로 모아지도록 함으로써 교정돌기(20)가 발가락에 밀착됨에 따라 교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2-1 buffer groove 32a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support portion (ie,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toe support portion 13), and the 2-2 buffer grooves 32b are each buffered in the first buffer. In the part 31 is formed in the first buffer groove (located in the center (1-2 to 1-4 buffer grooves 31b to 31d)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middle finger, ring finger toe), the projection support is lowered While elastically deformed and at the same time buffering action, by allowing each orthodontic protrusions 20 to be collected in the inner direction (stop toe direction) can be improved as the orthodontic protrusion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1 완충부(31)와 상기 제2 완충부(32)가 각각, 발볼과 발가락을 개별적으로 구름 지지함에 따라 보행 시, 각각의 관절들의 모양이 변하는 것에 대응하여 각 완충부가 적절하게 탄성 변형되어, 발의 피로를 줄임과 동시에 교정 기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uffer portion 31 and the second buffer portion 32, respectively, when the foot ball and the toe to support each cloud when walking, each of the buff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 in the shape of each joint Appropriate elastic deformation can reduce foot fatigue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the corrective function.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정돌기(20)는 상기 바닥지지체(10)와 연결되는 몸체부(21)와 몸체부(21)의 상측 단부에 형성된 날개부(22)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calibration projection 20 is a body portion 21 and the wing portion 22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21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pport (10). It is composed.

우선 제1, 제2 교정돌기(20a)(20b)의 몸체부(21)는 제3, 제4 교정돌기(20c)(20d)의 몸체부(21)에 비하여 2~3배 두껍게 형성된다. 즉, 제3, 제4 교정돌기(20c)(20d)의 몸체부(21)의 두께는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이 벌어진 간격을 고려하여 1.5~3mm로 형성되는데, 이 두께에 비하여 2~3배 두꺼운 폭을 갖는다.First, the body portions 21 of the first and second straightening protrusions 20a and 20b are two to three times thicker than the body portions 21 of the third and fourth straightening protrusions 20c and 20d.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21 of the third and fourth straightening protrusions 20c and 20d is formed in the range of 1.5 to 3 mm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val between the middle finger, the ring finger, and the little toe. Have a pear thick width.

특히 상기 제1 교정돌기(20a)의 몸체부(21)는 상기 제2 교정돌기(20b)의 몸체부(21)보다 1.2~2배 두껍게 형성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구(C)가 엄지발가락이 안쪽으로 심하게 휘는 무지외반증을 예방하고, 무지외반증에 의한 기형이 발생할 경우 기형적인 발가락을 바깥쪽으로 가압하여 정상적인 형태로 교정하기 위한 구성이다.In particular, the body portion 21 of the first straightening protrusion 20a is formed to be 1.2 to 2 times thicker than the body portion 21 of the second straightening protrusion 20b. This toe correction device (C)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valgus valgus that the big toe big bowing inwards, when the malformation caused by valgus valgus is configured to press the malformed toes to the outside to correct the normal form.

예를 들어 제3, 제4 교정돌기(20c)(20d)의 몸체부(21) 두께는 2mm로 형성하고, 제2 교정돌기(20b)의 몸체부(21) 두께는 5mm로 형성하며, 제1 교정돌기(20a)의 몸체부(21) 두께는 8mm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21 of the third and fourth straightening protrusions 20c and 20d is 2 mm, and the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21 of the second straightening protrusion 20b is 5 mm. 1 The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21 of the calibration protrusion 20a may be formed to 8mm.

상기와 같은 몸체부(21)들의 구성을 통하여 엄지와 검지 발가락 사이와 검지와 중지 발가락 사이를 나머지 발가락 사이보다 더 벌려 주어 정상적인 발 모양으로 교정을 할 수 있다.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body portion 21 as described above, the gap between the thumb and index toes and between the index and middle toes can be widened than between the remaining toes to correct the normal foot shape.

따라서 본 발명의 발가락 교정구(C)를 끼우게 되면 발가락들을 강제로 벌려주면서 교정이 이루어지고, 특히 제1 및 제2 교정돌기(20b)의 몸체부(21)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폭방향 두께를 갖게 되어 있어 엄지발가락이 검지 발가락 쪽으로 심하게 휘는 무지외반증의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해진다.Therefore, when the toe straightener (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while forcibly opening the toes, the correction is made, and in particular, the body portion 21 of the first and second straightening protrusions 20b has a relatively thick width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d treat valgus valgus, in which the big toe is severely bent toward the index toe.

여기서 발가락은 벌어지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너무 과도하게 벌어지게 되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교정돌기(20)의 몸체부(21)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Here, the toes are not only limited to open, but too much widening may cause pain, so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21 of the orthodontic protrusion 20 within the above range,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발가락 교정구(C)를 지압용으로 사용하고,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발가락 교정구(C)를 교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Relatively thin toe straightener (C) can be used for acupressure, and relatively thick toe straightener (C) can be used for straightening.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정돌기(20)의 몸체부(21)는 발가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형상을 감안하여 전방 협폭부(21a)와, 후방 광폭부(21b)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협폭부(21a)와 상기 후방 광폭부(21b)의 연결부는 내측방향으로 오목 형성된 유선형 구조로 이루어진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the body portion 21 of the straightening protrusion 20 includes the front narrow portion 21a and the rear wide portion 21b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toes.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ront narrow portion 21a and the rear wide portion 21b has a streamlined concave shape formed inward.

즉, 상술한 몸체부(21)의 두께를 기준으로 전방 협폭부(21a)를 형성하여 발가락들이 벌어지도록 하되, 발의 형상에 따라 중족부와 발가락이 연결되는 부위의 공간이 발가락의 끝마디 사이의 공간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감안하여, 몸체부(21)의 후방 단부가 전방 단부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광폭부로 구성되도록 하고, In other words, the toe is formed by forming the front narrow portion 21a based on the thickness of the above-described body portion 21, but the space between the midfoot and the portion where the toe is connec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oot is the space between the ends of the toes. In consideration of being formed wider,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21 to be composed of a wider portion relatively thicker than the front end,

발가락의 종단면 형상이 유사 'O'자 형임을 감안하여, 상기 전방 협폭부(21a)와 상기 후방 광폭부(21b)와의 연결부를 오목 형성된 유선형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Considering that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oe is a similar 'O' shape,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ront narrow portion 21a and the rear wide portion 21b has a concave streamlined structure.

몸체부(21)를 통한 발가락의 교정 및 지압이 발가락의 형상에 상응한 구조로 이루어져 발가락 교정구(C)사용 시 이물감 내지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oe correction and acupressure of the toes through the body portion 21 is made of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oes to minimize the discomfort or discomfort when using the toe corrector (C).

상기 후방 광폭부(21b)의 두께는 상기 전방 협폭부(21a)의 두께보다 1.5~2배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rear wide portion 21b is preferably formed to be 1.5 to 2 time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ront narrow portion 21a.

또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1)는 전단에 측면 형상이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유사 'C'자 형으로 이루어진 전방돌출부(21c)를 포함한다.As shown in 3B, the body portion 21 includes a front projection portion 21c formed in a similar 'C' shape in which a lateral shape protrudes forward.

상기 전방돌출부(21c)는 보행 시 발가락의 모양 변위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발가락의 측면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발가락의 교정 및 지압 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front protrusion 21c may increase the side contact area of the toe and increase the correction and acupressure function of the toe without disturbing the shape displacement of the toe during walking.

그리고 상기 몸체부(21)는 후단부가 측면 형상이 전방을 향하여 오목된 유사 'C'자 형으로 이루어진 후방오목부(21d)를 포함한다.And the body portion 21 includes a rear recess 21d made of a similar 'C' shape, the rear end of which is concave toward the front shape.

상기 후방오목부(21d)가 중족부의 근육 형상에 상응하는 형태로 교정이 이루어짐으로써, 교정 및 지압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Since the rear concave portion 21d is correct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muscle shape of the midfoot, the correction and acupressure effects can be further increased.

이어서 상기 몸체부(21) 상부에 형성된 날개부(22)를 설명한다.Next, the wing portion 22 formed on the body portion 21 will be describ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22)는 상기 몸체부(21)의 상측 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가락의 상면을 가압하는 측면날개(23)와, 상기 측면날개(23)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가락들 사이의 연결부를 가압하는 후방날개(24)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wing portion 22 extends from both end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1 to press side surfaces 23 to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toe, and from the side wings 23. It is formed by extending rearward and consists of a rear wing 24 for press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toes.

상기 양 측면날개(23)는 교정돌기(20)가 끼워진 발가락들의 상면을 가압하고 지압하여 발가락이 올바른 형태로 간격이 벌려지고 구부러진 것이 펴지게 되어 교정이 되도록 하고 안정적으로 교정된 발가락은 인체의 기초로써 충실해지고 걷고 뛰는 움직임이 주어질 때 체형교정의 효과가 더욱 확실하게 나타나게 된다.The two side wings 23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toes fitted with orthodontic protrusions 20 and press the toes so that the toes are widened and bent to the correct shape so that they are straightened and the toes stably corrected are the basis of the human body. As a result, the effect of body correction becomes more apparent when given a faithful walking and running movement.

이때 상기 양 측면날개(23)는 발가락의 관절 부위 상부(즉, 엄지발가락의 경우 기절골의 상부, 나머지 발가락의 경우 기절골과 중절골의 상부)를 가압하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both side wings 23 are formed to press the upper portion of the toe joint (ie, the upper part of the fractured bone in the case of the big toe, the upper portion of the fractured bone and the middle fracture in the case of the remaining toes).

즉, 상기 교정돌기(20)는 상기 몸체부(21)의 전방돌출부(21c)에 의하여 발가락 측면의 (거의) 모든 면적(기절골에서부터 말절골 부위까지)에 접촉되면서 가압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날개부(22)는 전방돌출부(21c)가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구비되어 발가락의 관절(기절골 및 중절골) 부위에만 접촉,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을 착용한 상태에서 거부감 없이 정상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orthodontic protrusion 20 is pressed by contacting (almost) all areas of the toe side (from the osteotomy to the end fracture site) by the front protrusion 21c of the body portion 21, the wing The part 22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front protrusion 21c is not formed so that the contact and pressurization is made only to the joints of the toe (the osteotomy and the medullary bone) so that the user does not disturb the walking so that the user wears the present invention. Make sure you live normally without being rejected.

그리고 상기 측면날개(23)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후방날개(24)는 발가락들 사이의 연결부 근육을 가압하여 지압 효과가 발생되고, 특히 사용자가 본 발명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할 경우 상기 후방날개(24)가 재질의 특성에 의하여 휘어지면서 발가락들 사이의 연결부 상면을 가압하여 교정 및 지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And the rear wing (24) formed to extend rearward from the side wing (23) is to press the connection muscles between the toes acupressure effect is generated, especially when the user walks in the state wear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wing ( 24) can be bent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to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toes can increase the effect of correction and acupressure.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날개(23)와 상기 후방날개(24)로 구성되는 날개부(22)는 평면 형상이 유사 'O'자 형으로 이루어져 발가락의 상부 접촉 면적을 확보함과 동시에 발가락들의 관절이 변위되는 부위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보행 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the wing portion 22 composed of the side wing 23 and the rear wing 24 has a planar shape similar to the 'O' shape to secure the upper contact area of the toe. At the same time, by minimizing the contact area of the area where the toes joints are displaced, it can reduce the discomfort during walking.

이어서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22)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 and FIG. 6, the present invention can deform the wing 22 in various forms.

이는 상기 날개부(22)가 일괄적으로 유사 'O'자 형으로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발가락 형태에 따라 사용에 불편함을 주는 것이 기인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날개부(22)의 변형례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맞춤 제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is is due to the inconvenience that the wing portion 22 is made in a similar 'O' shape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toe of the user to use, a modification of the wing portion 22 to be described below Various applications can be made to make it possible to customize.

우선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22A)는 평면 형상이 유사 '8'자 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irst, as shown in [A] of FIG. 5, the wing portion 22A may have a similar '8' shape in planar shape.

이 경우 상기 날개부(22A)의 측면날개(24A)는 몸체부(21)의 상측 단부에서 양측 중앙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되, 후방 단부가 몸체부(21)의 상측 단부의 폭과 동일(또는 상응)하도록 유선형 구조로 이루어지고,In this case, the side wings 24A of the wing portion 22A extend toward both centers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21, and the rear end is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21 (or the corresponding). Is made of a streamlined structure,

후방날개(24B)(24A)는 유선형 구조의 후방 단부에서 다시 폭이 넓어지면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rear wings 24B and 24A have a structure that extends toward the rear while widening again at the rear end of the streamlined structure.

이러한 날개부(22A)는 발가락 관절들의 길이가 일반적인 형태(체형, 길이)와 다른 경우 적용될 수 있으며, 도 5의 [B]에 도시된 다른 형태의 날개부(22B)를 통해 측면날개(23B)와 후방날개(24B)가 접촉하여 교정하는 발가락의 상부를 더욱 세분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The wing portion 22A may be applied when the length of the toe joints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shape (body type, length), and the side wings 23B through the wing portion 22B of another type shown in FIG. 5B. And the rear wing 24B can be made to further subdivide the upper part of the toes to be corrected in contact.

도 5의 [B]에서 날개부(22B)는 평면 형상이 좌우 길이가 달라지는 파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측면날개(23B)는 몸체부(21)의 상측 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두 개 이상이 구비되어 측면날개(23B)의 측면부가 지그재그 구조로 돌출 및 오목이 반복되는 구조를 갖고,In [B] of FIG. 5, the wing part 22B may be formed in a waveform in which the planar shape is different in length from left to right. In this case, the side wings 23B extend from both upper ends of the body part 21 to both sides. More than one is provided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ide portions of the side wings 23B protrude and concave repeatedly in a zigzag structure,

후방날개(24B)는 상기 측면날개(23B)의 최후방 오목부에서 다시 폭이 넓어지면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rear wing 24B has a structure that extends toward the rear while widening again at the rearmost recess of the side wing 23B.

따라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다양한 형태의 날개부(22)를 도입함에 따라 사용자의 체형 등을 고려한 적절한 교정 효과(또는 지압 효과)를 보장하며, 사용에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ypes of wings 22 shown in FIG. 5 may be used to ensure appropriate correction effects (or acupressure effects)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body shape and the like, and may minimize inconvenience in use.

그리고 재질의 특성상 수축과 이완이 자유로워 걸을 때마다 전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수축과 이완이 반복되면서 상시적인 지압이 이루어지며, 특히 발가락 관절의 변형 형태에 맞게 밀착되므로 발가락(지골, 중족골)의 변형에 있어서 교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바닥지지체(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1, 제2 완충부(32)로 이루어진 완충수단(30)은, 바닥지지체(10)가 쉽게 탄성 변형되도록 하여 보행 시 전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발의 피로를 줄이며 교정 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is free and the pressure is transmitted constantly as the walking and contraction are repeated. The pressure is always constant. In particular, it is closely adhered to the deformation of the toe joint. In this case, the correction effect can be increased, and the cushioning means 30 formed of the first and second shock absorbing portions 3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upport 10 allows the bottom support 10 to easily deform and walk. It effectively absorbs the shock that is transmitted, reducing foot fatigue and increasing corrective function.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정돌기(20)들 사이의 공간부(20A)에 끼워지는 발가락들이 교정돌기(20)들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절개홈(25) 및 발가락들에 공기가 소통되도록 하는 공기소통수단(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ncision groove 25 and toes to allow the toes fitted in the space portion 20A between the orthodontic projections 2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rthodontic projections (20). It may further include an air communication means 26 to allow air to communicate with.

우선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정돌기(20)는 날개부(22)에서 몸체부(21)로 천공된 절개홈(25)을 포함한다.First, as shown in FIG. 7A, the straightening protrusion 20 includes a cutting groove 25 drilled from the wing portion 22 to the body portion 21.

상기 절개홈(25)은 날개부(22)의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몸체부(21)까지 연결되어 빈 공간이 기능하게 되는데,The incision groove 25 is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21 in the form of the upper portion of the wing portion 22 is opened so that the empty space functions,

따라서 재질의 특성 상 사용자가 교정구(C)를 발가락에 끼우면 상기 절개홈(25)이 수축되면서 발가락의 형태에 맞게 몸체부(21)가 변형되어 접촉, 가압 면적을 최대한으로 유지하여 지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inserts the orthodontic tool (C) on the toes, the incision groove 25 is contracted and the body portion 21 is deformed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toes, thereby maintaining the contact and pressure area to the maximum. You can increase it.

또 상기 절개홈(25)이 수축된 후 재질의 특성 상 발가락의 형태에 맞게 유지되면서 절개홈(25)이 팽창하게 되므로 접촉, 가압에 의한 지압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cision groove 25 is expanded and the incision groove 25 is expanded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toe after the contrac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the acupressure effect due to contact and pressure can be maximized.

이어서 도 7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가락들을 위한 공기소통수단(26)을 포함하는데, 이는 상기 절개홈(25) 의하여 교정돌기(20)가 발가락의 측면에 밀착됨에 따라(상기 절개홈(25)이 생략되더라도 교정돌기(20)는 발가락의 측면에 밀착됨은 자명하다.),Subsequently, as shown in [B] and [C] of FIG. 7,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ommunication means 26 for the toes, which is provided by the incision groove 25 so that the orthodontic protrusion 20 is on the side of the toe. As it is in close contact (even though the incision groove 25 is omitted, the straightening protrusion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toe.),

발가락들 사이에 공기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아 땀이 차면서 교정구(C)가 발가락에서 이탈되거나, 습진, 무좀 등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물론 본 발명은 발가락들의 벌림을 통해 발가락들이 기형적으로 접촉되면서 습진, 무좀 등의 질병을 예방, 치료하는 것이 주된 목적 중 하나이며, 다만 이러한 목적은 발가락들을 벌림으로써 발가락들 간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질병들이 유발되는 것을 예방, 치료한다는 의미이고, 상기 공기소통수단(26)은 발가락과 교정돌기(20)와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질병들이 유발되는 것을 예방, 치료한다는 의미이므로,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을 통해 주된 목적 달성이 저해된다는 의미가 아님을 밝힌다.)There is no air communication between the toes and sweating is a component for preventing the orthodontic appliance (C) from falling off the toes, causing eczema, athlete's foot, etc.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oes through the opening of the toes) Preventing and treating diseases such as eczema and athlete's foot with malformed contact is one of the main purposes, but this purpose means preventing and treating the diseases caused by contact between the toes by opening the toes. Since the air communication means 26 means to prevent and treat the diseases caus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toe and the straightening protrusion 20, it indicates that the main purpose is not impeded by the present invention by such a configuration. .)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교정구(C)에 구현될 수 있는 공기소통수단(26)은 우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1) 또는 날개부(22) 또는 이들 모두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공기 소통홈(26A)으로 구성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air communication means 26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corrector 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 shown in FIG. 7B, the body 21 or the wing 22 or both of them. It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air communication groove (26A) formed recessed inward from both sides.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날개부(22)에만 공기 소통홈(26A)이 구현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구간이 더욱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몸체부(21)와 날개부(22) 모두에 공기 소통홈(26A)이 구비될 수 있고,In the drawings, the air communication groove 26A is illustrated in only the wing portion 22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owever, in the form shown in the drawing, a section recessed inwardly is further extended, so that the body portion 21 is provided. ) And the wing 22 may be provided with an air communication groove (26A),

경우에 따라 몸체부(21)의 양측에만 공기 소통홈(26A)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some cases, the air communication groove 26A may be provided only at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21.

따라서 사용자가 본 발명의 교정구(C)를 착용하게 되면 교정돌기(20)와 발가락들 사이의 접촉에 의한 지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공기 소통홈(26A)이 교정돌기(20)와 발가락들의 접촉부에서 외부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미세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wears the orthodontic tool (C) of the present invention, acupressure due to contact between the orthodontic protrusion 20 and the toes is made,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communication groove 26A contacts the orthodontic protrusions 20 and the toe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by forming a fine hole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can be circulated.

또한 본 발명의 교정구(C)에 구현될 수 있는 공기소통수단(26)은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22)와 몸체부(21)에 각각 천공된 구멍(26a)이 상호 연통하도록 형성된 공기 소통홀(26B)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communication means 26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orthodontic tool (C)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C] of FIG. 7, the holes respectively drilled in the wing portion 22 and the body portion 21 It may be composed of an air communication hole (26B)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26a).

상기 공기 소통홀(26B) 역시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측 구멍(26a)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공기 소통홀(26B)을 따라 소통되면서 하측 구멍(26a), 즉 공기가 통하지 않는 교정돌기(20)와 발가락의 접촉부에 외부 공기가 순환되므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 할 수 있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communication hole 26B is also provided at least one, and the outside air is communicated along the air communication hole 26B through the upper hole 26a, and the lower hole 26a, that is, the correction protrusion through which the air does not pass ( 20) and the outside air is circulated to the contact portion of the to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특히 엄지발가락의 교정 기능을 강화하여, 엄지발가락이 내측으로 심하게 휘어지는 기형이 발생하는 무지외반증 전용 발가락 교정구(C)를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이하 제1 내지 제4 교정돌기(20a~20d)의 참조부호는 2의 [A] 참고.).Next,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to strengthen the correction function of the big toe. For reference numerals of the first to fourth calibration protrusions 20a to 20d, see [A] of 2.).

우선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정돌기(20)들 중, 제1 교정돌기(20a)의 날개부(22)는 상기 측면날개(23)에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 전방날개(2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rst, as shown in [A] of FIG. 7, among the straightening protrusions 20, the wing part 22 of the first straightening protrusion 20a extends forward from the side wings 23. It further comprises (27).

무지외반증이 심한 환자가 본 발명의 발가락 교정구(C)를 착용하게 되면 엄지와 검지 발가락 사이에 끼워지는 제1 교정돌기(20a)의 몸체부(21)에 의하여 엄지발가락이 외측으로 가압되면서 교정 및 지압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엄지발가락이 정확한 형태로 교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전방날개(27)가 엄지발가락의 상면을 잡아주어 엄지발가락이 교정되면서 상측으로 휘는 것을 방지한다.When the patient with severe valgus valgus wears the toe correction device (C)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g toe is corrected while being pressed outward by the body portion 21 of the first orthodontic protrusion 20a inserted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toe. And acupressure is made, in which the front wing 27 to hold the upper surface of the big toe so that the big toe is corrected in the correct form to prevent the big toe is corrected to prevent bending upwards.

특히 무지외반증이 심한 경우 엄지발가락만이 아니라 검지 발가락까지 내측으로 휘어지게 되는데, 제1, 제2 교정돌기(20a)(20b)의 몸체부(21)에 의하여 엄지 및 검지 발가락이 벌어지면서 상기 전방날개(27)의 좌우측부가 엄지 및 검지 발가락의 상면을 가압하여 교정 형태를 잡아주므로 정상적인 발 형태로 발가락이 교정되도록 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valgus is severe, not only the big toe but also the index toe bent inward, the first and second correction protrusions (20a, 20b) by the body portion 21 of the thumb and the index toe is opened while the fron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ng 27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thumb and index toe to hold the correction form, so that the toes can be corrected in the form of a normal foot.

이때 무지외반증 전용의 발가락 교정구(C)의 경우, 제1, 제2 교정돌기(20a)(20b)의 몸체부(21) 폭, 즉 전방 협폭부(21a)와 후방 광폭부(21b)는 다른 교정돌기(2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toe correction device C dedicated to hallux valgus, 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21 of the first and second correction protrusions 20a and 20b, that is, the front narrow width portion 21a and the rear wide portion 21b are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relatively wider than the width of the other straightening projections 20,

제1 교정돌기(20a)와 제2 교정돌기(20b)의 몸체부(21)간의 관계에서도 제1 교정돌기(20a)의 몸체부(21) 폭(전방 협폭부(21a) 및 후방 광폭부(21b))이 제2 교정돌기(20b)의 그것보다 상대적으로 보다 넓은 두께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21 of the first straightening protrusion 20a (front narrow width portion 21a and the rear wide width portion) also in the relation between the body portion 21 of the first straightening protrusion 20a and the second straightening protrusion 20b. It is more preferred that 21b)) has a relatively wider thickness than that of the second straightening protrusion 20b.

한편 무지외반증이 심한 환자는 엄지 및 검지 발가락의 기형뿐만 아니라, 다른 발가락들 사이의 폭도 정상적인 상태에서 벗어난 기형이 많이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patients with severe hallux valgus suffer from malformations of the thumb and index toe, as well as abnormalities in the width between the other toes.

이에 본 발명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가락 모두의 형태를 올바르게 교정하여 정상적인 발 모양이 이루어지도록 각 교정돌기(20)들의 몸체부(21)의 두께가 상호 상이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 [B], to correct the shape of all the toes to be made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21 of each of the orthodontic protrusions 20 to achieve a normal foot shape is mutually different Can be.

특히 상기 교정돌기(20)들 중 제1 교정돌기(20a)의 몸체부(21) 및 제2 교정돌기(20b)의 몸체부(21)는 전, 후방의 폭이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body portion 21 of the first calibration protrusion 20a and the body portion 21 of the second calibration protrusion 20b of the calibration protrusions 20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widths before and after.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교정돌기(20a)의 몸체부(21)는 전방 협폭부(21a)와 후방 광폭부(21b)를 갖도록 이루어지고,In more detail, the body portion 21 of the first straightening protrusion 20a is formed to have a front narrow portion 21a and a rear wide portion 21b,

제2 교정돌기(20b)의 몸체부(21)는 전방 광폭부(21e)와 후방 협폭부(21f)를 갖도록 이루어진다.The body portion 21 of the second straightening protrusion 20b has a front wide portion 21e and a rear narrow portion 21f.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제2 교정돌기(20a)(20b)의 몸체부(21) 각각은 상기한 구성과 반대로도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each of the body portions 21 of the first and second calibration protrusions 20a and 20b may be applied in the opposite manner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즉, 제1 교정돌기(20a)의 몸체부(21)는 전방 광폭부와 후방 협폭부를 갖도록 이루어지고,That is, the body portion 21 of the first straightening protrusion 20a is made to have a front wide portion and a rear narrow portion,

제2 교정돌기(20b)의 몸체부(21)는 전방 협폭부와 후방 광폭부를 갖도록 이루어진다.The body portion 21 of the second straightening protrusion 20b has a front narrow portion and a rear wide portion.

그리고 제3 교정돌기(20c)의 몸체부(21)는 전, 후방 폭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며,And the body portion 21 of the third straightening projection (20c) is made of a uniform front, rear width,

제4 교정돌기(20d)의 몸체부(21)는 전, 후방 폭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되, 후방 외측(도면 상 우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21g)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body portion 21 of the fourth straightening protrusion 20d has a uniform front and rear width, and includes a protrusion 21g protruding toward the rear outer side (right side in the drawing).

이는 정상적인 발 모양이 발가락들 사이의 폭이 상호 다르게 형성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이를 토대로 교정돌기(20)들의 몸체부(21)를 제작함으로써, 발가락 교정구(C)를 착용하였을 때 가압에 의한 교정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구성이다.This i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normal foot shape is formed differently between the width of the toes, by making the body portion 21 of the orthodontic protrusions 20 on the basis of this, by wearing the toe correction tool (C) by pressing This configuration is designed to maximize the calibration effect.

즉, 정상적인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는 발가락의 전방 양측이 상호 접하면서 후방이 벌어지는 유사 물방울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제1 교정돌기(20a)의 몸체부(21)에 전방 협폭부(21a)와 후방 광폭부(21b)를 도입하여 교정 후 정상적인 엄지와 검지 발가락 형태와 유사하도록 잡아줄 수 있다.(이때 제1 교정돌기(20a)의 후방 광폭부(21b)는 일반적인 다른 교정돌기(20b, 20c, 20d)의 후방 광폭부(21b)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between the normal big toe and the index finger toe is made in the form of a similar droplet in which the rear of the front side of the toes contact each other, the front narrow portion 21a and the body portion 21 of the first straightening protrusion (20a) The rear wide portion 21b may be introduced and held to resemble a normal thumb and index toe shape after correction. (At this time, the rear wide portion 21b of the first straightening protrusion 20a is another common straightening protrusion 20b, 20c. , 20d) may be formed relatively thicker than the rear wide portion 21b.)

따라서 엄지 및 검지발가락의 전방 양측은 전방 협폭부(21a)에 의하여 벌어지지만 발이 정상적인 형태로 교정될 경우 발가락 교정구(C)를 제거하면 발가락의의 뼈 구조에 의하여 엄지 및 검지발가락의 전방 양측이 자연스럽게 접하면서 후방 양측이 벌어진 형태를 갖게 된다.Therefore, the anterior sides of the thumb and index toe are opened by the anterior narrowing portion 21a, but when the foot is corrected in the normal form, when the toe straightener (C) is removed, the anterior both sides of the thumb and the index toe are removed by the bone structure of the toe. Naturally touching, the rear both sides open form.

또 무지외반증이 심할 경우 검지발가락이 중지 발가락에 심하게 붙는 경우가 있으므로, 제2 교정돌기(20b)의 몸체부(21)에 전방 광폭부(21e) 및 후방 협폭부(21f)를 도입함으로써, 엄지 및 검지발가락 사이의 형태를 정상적으로 교정하면서, 검지발가락뿐만 아니라 엄지발가락의 외측 가압 효과를 동시에 증대시킬 수 있다. 이는 교정구(C) 내측에 위치하는 교정돌기(20)를 통한 발가락 교정효과가 재질에 의하여 다른 교정돌기(20)들에 끼워진 발가락들에게도 미치는 것에 기인한 구성이다.In addition, when the valgus is severe, the toe of the index finger may stick to the middle toe severely. Therefore, the front wide part 21e and the rear narrow part 21f are introduced into the body part 21 of the second straightening protrusion 20b, thereby giving the thumb. And while correcting the shape between the toes normally,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increase the outside pressure effect of the big toe as well as the toe. This is a configuration due to the toe correction effect through the orthodontic protrusion 20 located inside the orthodontic tool (C) to the toes fitted to the other orthodontic protrusions 20 by the material.

한편 정상적인 중지발가락과 약지발가락 사이는 양측이 모두 접하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3 교정돌기(20c)의 몸체부(21) 전, 후방 폭이 균일하도록 함으로써 발가락 교정구(C) 착용 시 중지 및 약지발가락이 벌어지면서 교정된 후 발가락 교정구(C)를 제거하면 자연스럽게 중지 및 약지발가락이 접하는 형태를 갖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both sides are in contact between the normal stop toe and the ring finger toe, the front and rear width of the body portion 21 of the third orthodontic protrusion (20c) by making the toe straightener (C) stop and stop the toe when wearing After straightening and correcting the toe straightener (C) by removing the natural form of contact with the middle finger and toe.

또 정상적인 약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 사이는 양측이 모두 접하되, 새끼발가락의 후방 내측이 외측방향으로 일부 함몰되어 발가락들 사이가 소폭 벌어진 형태를 가지므로, 제4 교정돌기(20d)의 몸체부(21)가 전, 후방 폭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면서 후방 외측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21g)를 갖도록 함으로써, 발가락 교정구(C) 착용 시 약지 및 새끼발가락이 벌어지면서 교정된 후 발가락 교정구(C)를 제거하면 정상적인 발 모양으로 돌아오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oth sides are in contact between the normal toe and little toe, but the rear inner side of the little toe is recessed in the outward direction to have a slightly widened form between the toes, the body portion of the fourth straightening protrusion (20d) 21 ) To have the front and rear widths uniformly and have a protrusion 21g protruding outward from the rear, thereby removing the toe straightener (C) after the ring finger and the little toe are corrected while wearing the toe straightener (C). This will allow you to return to your normal foot shape.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전방날개(27) 및 상기 교정돌기(20)들의 몸체부(21) 형태를 달리한 구성에 대하여 무지외반증 전용의 발가락 교정구(C)를 대표하여 설명하나, 일반적인 발가락 교정구(C)에도 적용하여 무지외반증이 아니더라도 하이힐 착용과 같이, 과도하게 발을 사용하거나 장시간 걷거나 선 상태로 생활하면서 발가락이 기형적으로 변한 경우에 교정 효과가 발휘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발가락 형태 등을 감안하여 상술한 구성을 이용해 일부 조합되거나, 특수 제작된 맞춤형 발가락 교정구(C)를 제공함으로써 발가락 교정구(C)의 효용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wing 27 and the body portion 21 of the orthodontic protrusions 20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on behalf of the toe correction device (C) dedicated to the hallux valgus, It is also applied to the general toe correction device (C), even if it is not valgus valgus, such as wearing high heels, it is possible to exert a corrective effect when the toe is deformed while excessively using the foot, walking or standing for a long time, especially the user It is more preferable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toe straightener (C) by providing a combination or specially made custom toe straightener (C) us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toe shape of the.

한편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교정돌기(20a)의 몸체부(21)는 전단부가 발의 내측(도면 상 오른발 기준으로 좌측)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A] of Figure 8, the body portion 21 of the first straightening protrusion 20a is formed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to the inner side of the foot (left side relative to the right foot on the drawing).

즉, 발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에 끼워지는 제1 교정돌기(20a)의 몸체부(21) 전단부가 전방 좌측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단순히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를 벌리는 것에서 더 나아가 엄지발가락 자체가 전방 좌측을 향해 벌어지도록 강제함으로써 엄지발가락이 매우 심하게 휜 무지외반증의 치료를 가능하도록 한다.That is,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1 of the first straightening protrusion 20a inserted between the big toe and the index finger toes based o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oot is provided to face the front left side, and thus, further from the gap between the big toe and the index finger. Furthermore, by forcing the big toe itself toward the front left, the big toe is very severe, it is possible to treat valgus valgus.

또한 무지외반증의 정도가 매우 심한 경우나, 하이힐 등의 과도한 착용 등으로 인하여 발가락들 모두가 발의 안쪽, 즉, 중지발가락이 있는 방향으로 휘어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내지 제4 교정돌기(20b~20d)들 각각의 몸체부(21)는 해당 발가락들이 휘어진 반대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egree of hallux valgus is very severe, or due to excessive wearing such as high heels, all of the toes may be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foot,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toe. As shown, the body portion 21 of each of the second to fourth straightening protrusions 20b to 20d may be formed to ope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which the toes are bent.

즉,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교정돌기(20b)의 몸체부(21)는 상기 제1 교정돌기(20a)의 몸체부(21)와 동일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구비되어, 검지발가락 자체를 전방 좌측을 향해 벌어지도록 강제함으로써 발가락이 교정되도록 한다.That is, as shown in [A] of FIG. 8, the body portion 21 of the second straightening protrusion 20b is provided to ope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ody portion 21 of the first straightening protrusion 20a. In this case, the toes are corrected by forcing the index toe itself toward the front left.

또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제4 교정돌기(20c, 20d)의 몸체부(21)는 상기 제1 교정돌기(20a)의 몸체부(21)와 반대 방향, 즉, 발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부가 전방 우측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구비되어 약지발가락 및 새끼발가락 자체를 전방 우측을 향해 벌어지도록 강제함으로써 발가락이 교정되도록 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8, the body portion 21 of the third and fourth calibration protrusions 20c and 20d is opposite to the body portion 21 of the first calibration protrusion 20a. That is, the front end portion is provided in the front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ot so that the toe is corrected by forcing the toe and the little toe itself toward the front right side.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발가락 교정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toe orthodontic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 : 발가락 교정구 10 : 바닥지지체
11 : 발가락 지지부 11a : 돌출지지부
11b : 오목홈부 12 : 발볼 지지부
13 : 볼록지지부 13A : 테두리부
13B : 중앙 볼록부 13a : 중앙 광폭부
13b : 양측 협폭부
20, 20a, 20b, 20c, 20d : 교정돌기 20A : 공간부
21 : 몸체부 21a : 전방 협폭부
21b : 후방 광폭부 21c : 전방 돌출부
21d : 후방 오목부 21e : 전방 광폭부
21f : 후방 협폭부 21g : 돌출부
211 : 후방 굴곡부 212 : 전방 직선부
213 : 하면 굴곡부
22, 22A, 22B : 날개부 23, 23A, 23B : 측면날개
24, 24A, 24B : 후방날개 25 : 절개홈
26 : 공기 소통수단 25A : 공기 소통홈
25B : 공기 소통홀 25a : 구멍
27 : 전방날개
C: toe straightener 10: bottom support
11 toe support 11a: protruding support
11b: concave groove portion 12: ball support portion
13: convex support part 13A: edge part
13B: central convex part 13a: central wide part
13b: Narrow side of both sides
20, 20a, 20b, 20c, 20d: correction protrusion 20A: space part
21 body portion 21a front narrow part
21b: rear wide part 21c: front protrusion
21d: rear recess 21e: front wide portion
21f: rear narrow 21g: projection
211: rear bend portion 212: front straight portion
213: bottom bend
22, 22A, 22B: wing 23, 23A, 23B: side wing
24, 24A, 24B: Rear wing 25: Incision groove
26: air communication 25A: air communication home
25B: air communication hole 25a: hole
27: Front wing

Claims (4)

사용자의 전족부를 지지하는 발가락 지지부와, 사용자의 중족지관절을 지지하는 발볼 지지부로 이루어진 바닥지지체(10); 및
발가락들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발가락 지지부의 상부면에서 돌설되며, 몸체부 및 날개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교정돌기(20);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 중, 약지와 새끼 발가락 사이에 위치하는 제 4 교정돌기의 몸체부는 평면도 기준 전방 직선부(212)와, 상기 전방 직선부(212)로부터 발 외측 방향으로 굴곡된 후방 굴곡부(211)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직선부(212) 및 후방 굴곡부(211)는 상기 제 4 교정돌기의 우측에 위치하게 되는 새끼 발가락에 대하여 발 안쪽 방향으로 비틀림이 작용하도록 하고, 새끼 발가락 끝단을 약지 방향으로 휘어지게 하고,
상기 전방 직선부(212)와 상기 후방 굴곡부(211)가 이루는 각도는 25도 내지 30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4 교정돌기의 몸체부는 배면도 기준 발 외측면 하단에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하면 굴곡부(2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면 굴곡부(213)는 새끼 발가락에 대하여 배면도 기준으로 약지 방향으로 휘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구.
A bottom support (10) consisting of a toe support for supporting the forefoot of the user and a ball support for supporting the metatarsal joint of the user; And
A plurality of orthodontic protrusions 20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toe support part to be inserted between the toes and including a body part and a wing part;
Including,
Among the body parts, the body part of the fourth straightening protrusion located between the ring finger and the little toe has a planar reference front straight part 212 and a rear bent part 211 bent in the outward direction from the front straight part 212. Including,
The front straight portion 212 and the rear bent portion 211 is to be twist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foot to the baby toe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fourth orthodontic projections, and to bend the end of the baby toes in the ring finger direction,
The angle formed by the front straight portion 212 and the rear bent portion 211 is made of 25 degrees to 30 degrees,
The body portion of the fourth straightening projection further comprises a lower surface curved portion 213 formed in a curved shape at the bottom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foot reference,
The lower curved portion 213 is a toe corrector, characterized in that to bend in the direction of the ring finger relative to the rear toe relative to the baby to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전방 직선부(212)와 상기 후방 굴곡부(211)가 이루는 각도는 27도 내지 28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구.
The method of claim 1,
Toe corr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formed by the front straight portion (212) and the rear bend (211) is 27 degrees to 28 degre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체(10)에 형성되는 완충수단(3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완충수단(30)은,
상기 발볼 지지부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오목 형성된 제1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부는, 사용자의 중족지관절에 대응하는 형태로 분절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 완충홈으로 구성되고,
양쪽 최외측에 배치된 제1 완충홈은, 중앙 내측에 배치된 제1 완충홈보다 상대적으로 전후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구.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uffer means 30 formed on the bottom support 10,
The buffer means 30,
It includes a first buffer portion concav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l support,
The first buffer par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rst buffer grooves segment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metatarsal joint of the user,
Toe orthodontic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uffer groove disposed on both outermost sides is formed shorter in the front and rear than the first buffer groove disposed inside the cent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체는 상기 발볼 지지부의 상부면에서 돌출된 볼록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볼록지지부는,
상대적으로 전후 길이가 긴 중앙 광폭부와, 상대적으로 전후 길이가 짧은 양측 협폭부를 갖고, 상기 중앙 광폭부에서 상기 양측 협폭부로 갈수록 테두리부의 전후 길이가 점감되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록지지부는, 상기 중앙 광폭부가 상기 제1 완충부에서 중앙 내측에 배치된 제1 완충홈에 상응하는 전후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양측 협폭부가, 상기 제1 완충부에서 양쪽 최외측에 배치된 제1 완충홈에 상응하는 전후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ottom support includes a convex support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support, the convex support,
It has a central wide section having a relatively long front and rear length, and both narrow narrow sections having a relatively short front and rear length, and has a streamlined shap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edge portion decrease gradually from the central wide section to both narrow sections,
The convex support portion is formed such that the central wide portion has a front and rear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buffer groove disposed inside the center at the first buffer portion,
The two side narrow portion, the toe corr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front and rear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buffer groove disposed on both outermost sides in the first buffer portion.
KR1020170015521A 2017-02-03 2017-02-03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1019951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521A KR101995105B1 (en) 2017-02-03 2017-02-03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PCT/KR2018/001522 WO2018143755A1 (en) 2017-02-03 2018-02-05 Toe corr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521A KR101995105B1 (en) 2017-02-03 2017-02-03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548A KR20180090548A (en) 2018-08-13
KR101995105B1 true KR101995105B1 (en) 2019-09-30

Family

ID=6304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521A KR101995105B1 (en) 2017-02-03 2017-02-03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5105B1 (en)
WO (1) WO201814375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071B1 (en) 2019-10-04 2020-10-13 박만봉 Shoe insole having toe corrector
KR102493950B1 (en) * 2020-09-29 2023-01-30 손태석 Apparatus of an exercise aid for body bala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899B1 (en) 2015-06-17 2016-01-22 손태석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6877A (en) * 2012-04-25 2013-11-21 여운광 Functional shoes insoles
JP5646006B1 (en) * 2013-06-11 2014-12-24 株式会社 イースマイル Toe pad
KR101454607B1 (en) * 2014-01-07 2014-10-27 남궁진 The human body maintains a healthy toe Straighteners
KR101781059B1 (en) * 2014-07-29 2017-09-25 손태석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200480494Y1 (en) * 2014-08-22 2016-05-31 문병곤 A correcting apparatus for the toe
KR101861912B1 (en) * 2016-02-29 2018-05-28 손태석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899B1 (en) 2015-06-17 2016-01-22 손태석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43755A1 (en) 2018-08-09
KR20180090548A (en) 201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0489B2 (en) High heel for exercising achilles tendons while walking
KR101454607B1 (en) The human body maintains a healthy toe Straighteners
KR102140044B1 (en) Calibration area customized foot orthotics
KR101622906B1 (en) Footwear for toes correction
KR101615520B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101441021B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101995105B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101587899B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101588651B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101522383B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101861912B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101579926B1 (en) Pressure clothing for lower extremity
KR101228491B1 (en) Toe shoe for correction of a toe
KR101853426B1 (en) Sandal for toes correction
KR101781059B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101620715B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101588650B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101722180B1 (en) Shoes for toes correction
KR101755331B1 (en) Sandal for toes correction
KR100457101B1 (en) Shoe of insole
KR101620714B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20140107898A (en) Toe Pressure Implement
KR102493950B1 (en) Apparatus of an exercise aid for body balance
RU2718262C1 (en) Insol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KR102618263B1 (en) Toe correcter with various mass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