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289B1 - 부품 실장 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실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289B1
KR101994289B1 KR1020140060492A KR20140060492A KR101994289B1 KR 101994289 B1 KR101994289 B1 KR 101994289B1 KR 1020140060492 A KR1020140060492 A KR 1020140060492A KR 20140060492 A KR20140060492 A KR 20140060492A KR 101994289 B1 KR101994289 B1 KR 101994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lane
door
transfer gantry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6302A (ko
Inventor
홍성룡
반종억
이제필
주용태
박강제
Original Assignee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480079183.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6465575B/zh
Priority to PCT/KR2014/010906 priority patent/WO2015137593A1/ko
Priority to JP2016557037A priority patent/JP6490707B2/ja
Publication of KR20150106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13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with orientation of the component while holding it; Drive mechanisms for gripping tools, e.g. lifting, lowering or turning of gripping too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헤드와, 상기 제1 헤드가 설치되며 상기 제1 헤드를 이송하는 제1 이송 갠츄리와, 상기 제1 헤드에 의해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이 놓여지는 제1 작업 레인과, 상기 제1 헤드, 상기 제1 이송 갠츄리 및 상기 제1 작업 레인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제1 작업 레인과 나란히 배치되는 제2 작업 레인과, 상기 제2 작업 레인에 놓여진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는 제2 헤드와, 상기 제2 헤드가 설치되며 상기 제2 헤드를 이송하는 제2 이송 갠츄리와, 상기 제2 헤드, 상기 제2 이송 갠츄리 및 상기 제2 작업 레인을 제어하며 상기 제1 제어부와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품 실장 장치{A mounter}
본 발명은, 부품 실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품 실장 장치는 IC 칩 등의 전자 부품을 기판 상에 실장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부품 실장 장치는 실장 헤드와 실장 헤드를 이송하는 이송 갠츄리를 구비한다.
실장 헤드에는 복수개의 노즐이 구비되어 있어, 실장 헤드는 부품을 부품 공급부로부터 픽업하여 작업 레인 상의 기판으로 이송하고, 기판 상의 소정 위치에 픽업한 부품을 실장하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10-2012-0133976호에는 전자 부품 실장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부품 실장 장치에 구비되는 실장 헤드와 이송 갠츄리의 수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경우, 작업 대상인 기판이 놓여지는 작업 레인도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작업 레인을 구비한 종래의 부품 실장 장치는, 그 중 하나의 작업 레인이 보수 등의 이유로 작업을 중단하는 경우에는 나머지 작업 레인도 함께 작업이 중단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작업 레인별로 독립적인 구동을 수행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부품 실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헤드;와, 상기 제1 헤드가 설치되며 상기 제1 헤드를 이송하는 제1 이송 갠츄리;와, 상기 제1 헤드에 의해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이 놓여지는 제1 작업 레인;과, 상기 제1 헤드, 상기 제1 이송 갠츄리 및 상기 제1 작업 레인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제1 작업 레인과 나란히 배치되는 제2 작업 레인;과, 상기 제2 작업 레인에 놓여진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는 제2 헤드;와, 상기 제2 헤드가 설치되며 상기 제2 헤드를 이송하는 제2 이송 갠츄리;와, 상기 제2 헤드, 상기 제2 이송 갠츄리 및 상기 제2 작업 레인을 제어하며 상기 제1 제어부와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부품 실장 장치는,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와 연결된 메인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품 실장 장치는, 상기 제1 이송 갠츄리와 상기 제2 이송 갠츄리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 이송 갠츄리와 상기 제2 이송 갠츄리의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품 실장 장치는, 상기 제1 이송 갠츄리와 상기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거리 유지용 실린더와, 상기 제2 이송 갠츄리와 상기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거리 유지용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품 실장 장치는, 상기 제1 헤드, 상기 제1 이송 갠츄리, 상기 제1 작업 레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 라인과, 상기 제2 헤드, 상기 제2 이송 갠츄리 및 상기 제2 작업 레인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1 전원 라인과 분리되어 설치되는 제2 전원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품 실장 장치는, 상기 제1 헤드, 상기 제1 이송 갠츄리, 상기 제1 작업 레인으로의 접근을 방지 또는 허용하도록 설치되는 제1 도어;와, 상기 제2 헤드, 상기 제2 이송 갠츄리, 상기 제2 작업 레인으로의 접근을 방지 또는 허용하도록 설치되는 제2 도어;가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작업 레인 및 상기 제2 작업 레인에 실장 작업이 동시에 진행될 때, 상기 제1 도어가 열리면 상기 제1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작업 레인에 대한 실장 작업만을 중단시키고, 상기 제1 작업 레인 및 상기 제2 작업 레인에 실장 작업이 동시에 진행될 때, 상기 제2 도어가 열리면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2 작업 레인에 대한 실장 작업만을 중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품 실장 장치는, 상기 제1 도어의 개폐를 검지하는 제1 도어 센서와, 상기 제2 도어의 개폐를 검지하는 제2 도어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헤드;와, 상기 제1 헤드가 설치되며 상기 제1 헤드를 이송하는 제1 이송 갠츄리;와, 상기 제1 헤드에 의해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이 놓여지는 제1 작업 레인;과, 상기 제1 헤드, 상기 제1 이송 갠츄리 및 상기 제1 작업 레인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제1 작업 레인과 나란히 배치되는 제2 작업 레인;과, 상기 제2 작업 레인에 놓여진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는 제2 헤드;와, 상기 제2 헤드가 설치되며 상기 제2 헤드를 이송하는 제2 이송 갠츄리;와, 상기 제2 헤드, 상기 제2 이송 갠츄리 및 상기 제2 작업 레인을 제어하며 상기 제1 제어부와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제2 제어부;와, 상기 제1 헤드, 상기 제1 이송 갠츄리, 상기 제1 작업 레인으로의 접근을 방지 또는 허용하도록 설치되는 제1 도어;와, 상기 제2 헤드, 상기 제2 이송 갠츄리, 상기 제2 작업 레인으로의 접근을 방지 또는 허용하도록 설치되는 제2 도어;와, 상기 제1 이송 갠츄리와 상기 제2 이송 갠츄리 사이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부품 실장 장치는, 상기 제1 이송 갠츄리와 상기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로드를 포함하는 제1 거리 유지용 실린더;와, 상기 제2 이송 갠츄리와 상기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며, 제2 로드를 포함하는 제2 거리 유지용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거리 유지용 실린더는 상기 제1 이송 갠츄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거리 유지용 실린더는 상기 제2 이송 갠츄리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도어가 열렸을 때, 상기 제1 로드가 전진하여 상기 스토퍼에 접촉하여 지지하며, 상기 제2 도어가 열렸을 때, 상기 제2 로드가 전진하여 상기 스토퍼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품 실장 장치는,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와 연결된 메인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거리 유지용 실린더 및 상기 제2 거리 유지용 실린더는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2개의 작업 레인을 포함하는 부품 실장 장치에 있어서 작업 레인별로 작업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어느 하나의 작업 레인에 대한 작업이 중단되어도 나머지 하나의 작업 레인에 대한 작업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부품 실장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품 실장 장치의 도어부를 분리하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부품 실장 장치의 제1 헤드와 제1 이송 갠츄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부품 실장 장치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부품 실장 장치의 실장 작업의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작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부품 실장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부품 실장 장치의 도어부를 분리하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부품 실장 장치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부품 실장 장치의 제2 도어가 열렸을 때 실린더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부품 실장 장치의 제1 도어가 열렸을 때 실린더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부품 실장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인데, 설명을 위해 도어부가 모두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품 실장 장치의 도어부를 분리하고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부품 실장 장치의 제1 헤드와 제1 이송 갠츄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 장치(100)는 제1 헤드(110), 제1 이송 갠츄리(120), 제1 작업 레인(130), 제1 제어부(140), 제2 작업 레인(150), 제2 헤드(160), 제2 이송 갠츄리(170), 제2 제어부(180), 메인 제어부(191), 제1 전원 라인(192), 제2 전원 라인(193), 도어부(194), 스토퍼(195), 지지 프레임부(196), 입출력 콘솔부(197), 주 전원 라인(198)을 포함한다.
제1 헤드(110)는 전자 부품을 흡착하고 흡착된 전자 부품을 기판(P1)에 실장하는 장치이며, 제1 헤드(110)에는 1개 또는 복수개의 노즐(111)이 Z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즉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헤드(110)는 제1 이송 갠츄리(120)의 X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제1 실시예에 관한 제1 헤드(110)는 단일의 개수로 구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헤드(110)의 개수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경우 복수개의 제1 헤드(110)는 제1 작업 레인(130)에 배치된 기판(P1)에 부품을 실장하게 된다.
제1 이송 갠츄리(120)는 제1 헤드(110)를 이송하는데, 제1 X 방향 빔(121)과 한 쌍의 제1 Y 방향 지지 프레임(122)을 포함한다.
제1 X 방향 빔(121)은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제1 X 방향 빔(121)에는 제1 헤드(110)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1 Y 방향 지지 프레임(122)은 제1 X 방향 빔(121)과 직교하여 X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배치되는데, 제1 X 방향 빔(121)에는 가이드 홈(121a)이 형성되고, 제1 Y 방향 지지 프레임(122)에는 가이드 홈(121a)에 끼워지는 가이드 돌기(122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X 방향 빔(121)은 제1 Y 방향 지지 프레임(122)을 따라 Y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이송 갠츄리(120)는 제1 X 방향 빔(121)과 한 쌍의 제1 Y 방향 지지 프레임(122)으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이송 갠츄리는 제1 헤드(110)를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으면 되고, 그 외의 구성상의 특별한 제한은 없다.
제1 작업 레인(130)은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P1)이 놓여져 실장 작업이 수행되는 곳인데, 기판(P1)의 이송을 위해 콘베이어 시스템(131)이 설치되어 있다. 즉,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P1)이 제1 작업 레인(130)에 놓이게 되면 콘베이어 시스템(131)에 의해 실장 작업 위치로 이동한 후에 실장 작업이 수행되고, 실장 작업을 마치면 콘베이어 시스템(131)에 의해 기판(P1)이 배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제1 제어부(140)는, 제1 헤드(110), 제1 이송 갠츄리(120), 제1 작업 레인(130)을 제어하는데, 제1 제어부(140)는 전자 회로, IC 칩,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40)는 제1 헤드(110)의 움직임, 제1 헤드(110)의 노즐(111)의 상승 및 하강, 노즐(111)의 진공 유지 및 진공 파괴, 제1 이송 갠츄리(120)의 움직임, 제1 작업 레인(130)의 콘베이어 시스템(131)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한편, 제2 작업 레인(150)은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P2)이 놓여져 작업을 수행하는 곳인데, 이송을 위해 콘베이어 시스템(151)이 설치되어 있다. 즉,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P2)이 제2 작업 레인(150)에 놓이게 되면 콘베이어 시스템(151)에 의해 실장 작업 위치로 이동한 후에 실장 작업이 수행되고, 실장 작업을 마치면 콘베이어 시스템(151)에 의해 기판(P2)이 배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제2 헤드(160)는 전자 부품을 흡착하고 흡착된 전자 부품을 기판(P2)에 실장하는 장치이며, 제2 헤드(160)에는 1개 또는 복수개의 노즐(161)이 Z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즉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헤드(160)는 제2 이송 갠츄리(170)의 X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제1 실시예에 관한 제2 헤드(160)는 단일의 개수로 구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 헤드(160)의 개수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경우 복수개의 제2 헤드(160)는 제2 작업 레인(150)에 배치된 기판(P2)에 부품을 실장하게 된다.
제2 이송 갠츄리(170)는 제2 헤드(160)를 이송하는데, 제2 X 방향 빔(171)과 한 쌍의 제2 Y 방향 지지 프레임(172)을 포함한다.
제2 X 방향 빔(171)은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제2 X 방향 빔(171)에는 제2 헤드(160)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2 Y 방향 지지 프레임(172)은 제2 X 방향 빔(171)과 직교하여 X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배치되는데, 제2 X 방향 빔(171)에는 가이드 홈(171a)이 형성되고, 제2 Y 방향 지지 프레임(172)에는 가이드 홈(171a)에 끼워지는 가이드 돌기(172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X 방향 빔(171)은 제2 Y 방향 지지 프레임(172)을 따라 Y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이송 갠츄리(170)는 제2 X 방향 빔(171)과 한 쌍의 제2 Y 방향 지지 프레임(172)으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 이송 갠츄리는 제2 헤드(160)를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으면 되고, 그 외의 구성상의 특별한 제한은 없다.
한편,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1 Y 방향 지지 프레임(122)과 제2 Y 방향 지지 프레임(172)이 별개로 형성된 후 조립되어 일렬로 배치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Y 방향 지지 프레임(122)과 제2 Y 방향 지지 프레임(172)이 처음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제어부(180)는, 제2 헤드(160), 제2 이송 갠츄리(170), 제2 작업 레인(150)을 제어하는데, 제1 제어부(140)와 독립적으로 작동되며, 전자 회로, IC 칩,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제어부(180)는 제2 헤드(160)의 움직임, 제2 헤드(160)의 노즐(161)의 상승 및 하강, 노즐(161)의 진공 유지 및 진공 파괴, 제2 이송 갠츄리(170)의 움직임, 제2 작업 레인(150)의 콘베이어 시스템(151)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한편, 메인 제어부(191)는 제1 제어부(140) 및 제2 제어부(180)와 연결되어 있다. 즉, 메인 제어부(191)는 부품 실장 장치(100)의 기본적인 제어 작용을 수행하며, 제1 제어부(140)와 제2 제어부(180)의 제어 작용을 조율한다.
메인 제어부(191)는, 전자 회로, IC 칩,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제어부(191)는 제1 제어부(140) 및 제2 제어부(180)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설치되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제어부(191)의 일부로서 제1 제어부(140)와 제2 제어부(180)를 구성할 수 있으며, 그 경우 제1 제어부(140), 제2 제어부(180), 메인 제어부(191)가 하나의 IC 칩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 장치(100)는 메인 제어부(191)를 포함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 장치(100)는 메인 제어부(191)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전원 라인(192)은 제1 헤드(110), 제1 이송 갠츄리(120), 제1 작업 레인(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라인이며, 제2 전원 라인(193)은 제2 헤드(160), 제2 이송 갠츄리(170), 제2 작업 레인(1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라인이다.
제1 전원 라인(192)과 제2 전원 라인(193)은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두 라인 중 어느 하나의 라인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하나의 라인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한편, 도어부(194)는 제1 도어(194a)와 제2 도어(194b)를 포함한다. 도 1에는 설명을 위해 제1 도어(194a)와 제2 도어(194b)가 모두 열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도어(194a)는, 제1 헤드(110), 제1 이송 갠츄리(120), 제1 작업 레인(130)으로의 접근을 방지 또는 허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도어(194a)는 지지 프레임부(196)에 힌지 구조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제1 작업 레인(130)에 대한 실장 작업 중에는 닫혀 있도록 하여 작업자를 보호하고, 점검이나 수리 중에는 열리도록 하여 제1 도어(194a)의 안쪽에 위치한 장치(제1 헤드(110), 제1 이송 갠츄리(120), 제1 작업 레인(130), 기판(P1) 등)에 작업자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1 도어(194a)는 버튼 등의 장치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경우에 버튼을 조작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도어(194a)는 수동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도어(194a)는 지지 프레임부(196)에 힌지 구조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도어(194a)는 그 안쪽에 위치한 장치로의 접근을 방지 또는 허용하는 기능을 가지기만 하면 되고, 그 구조 및 설치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1 도어(194a)는 지지 프레임부(196)에 미끄러져 개폐되도록 슬라이딩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
제1 도어(194a)에는 제1 도어 센서(194a_1)가 설치되어 있는데, 제1 도어 센서(194a_1)는 제1 도어(194a)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면 그 상태를 검지하여 제1 제어부(140)로 송신한다.
제1 도어 센서(194a_1)로는 자기 센서, 광 센서 등 공지의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도어(194a)에는 제1 도어 센서(194a_1)가 설치되어 있어 제1 도어(194a)의 개폐여부를 검지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도어(194a)에는 제1 도어 센서(194a_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어(194a)가 버튼을 조작하여 개방하는 방식인 경우에 버튼의 동작으로도 개폐여부를 검지할 수 있으므로 제1 도어 센서(194a_1)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제2 도어(194b)는 제2 헤드(160), 제2 이송 갠츄리(170), 제2 작업 레인(150)으로의 접근을 방지 또는 허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도어(194b)는 지지 프레임부(196)에 힌지 구조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제2 작업 레인(150)에 대한 실장 작업 중에는 닫히도록 하여 작업자를 보호하고, 점검이나 수리 중에는 열리도록 하여 제2 도어(194b)의 안쪽에 위치한 장치(제2 헤드(160), 제2 이송 갠츄리(170), 제2 작업 레인(150), 기판(P2) 등)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2 도어(194b)는 버튼 등의 장치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경우에 버튼을 조작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도어(194b)는 수동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도어(194b)는 지지 프레임부(196)에 힌지 구조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 도어(194b)는 그 안쪽에 위치한 장치로의 접근을 방지 또는 허용하는 기능을 가지기만 하면 되고, 그 구조 및 설치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2 도어(194b)는 지지 프레임부(196)에 미끄러져 개폐되도록 슬라이딩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
제2 도어(194b)에는 제2 도어 센서(194b_1)가 설치되어 있는데, 제2 도어 센서(194b_1)는 제2 도어(194b)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면 그 상태를 검지하여 제2 제어부(180)로 송신한다.
제2 도어 센서(194b_1)로는 자기 센서, 광 센서 등 공지의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도어(194b)에는 제2 도어 센서(194b_1)가 설치되어 있어 제2 도어(194b)의 개폐여부를 검지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도어(194b)에는 제2 도어 센서(194b_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도어(194b)가 버튼을 조작하여 개방하는 방식인 경우에 버튼의 동작으로도 개폐여부를 검지할 수 있으므로 제2 도어 센서(194b_1)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도어 센서(194a_1)와 제2 도어 센서(194b_1)가 각각 제1 도어(194a)와 제2 도어(194b)에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도어 센서(194a_1)와 제2 도어 센서(194b_1)는 각각, 제1, 2 Y 방향 지지 프레임(122)(172)에 설치되거나 지지 프레임부(196)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스토퍼(195)는 제1 이송 갠츄리(120)와 제2 이송 갠츄리(170)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제1 이송 갠츄리(120)와 제2 이송 갠츄리(170)의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한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195)의 형상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는 제1 이송 갠츄리(120)와 제2 이송 갠츄리(170)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제1 이송 갠츄리(120) 및 제2 이송 갠츄리(170)의 각각의 움직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만 있으면 되고, 그 형상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지지 프레임부(196)에는 제1 이송 갠츄리(120), 제1 작업 레인(130), 제1 제어부(140), 제2 작업 레인(150), 제2 이송 갠츄리(170), 제2 제어부(180), 메인 제어부(191), 제1 전원 라인(192), 제2 전원 라인(193), 도어부(194), 스토퍼(195) 등이 설치된다. 즉, 지지 프레임부(196)는 부품 실장 장치(100)의 기본 골격부를 구성한다.
입출력 콘솔부(197)는 메인 제어부(191)에 연결되어 있는데, 키보드, 키패드, 터치 패드 등으로 사용자의 지시를 입력할 수 있고, 모니터 등으로 부품 실장 장치(100)의 상태, 작업 수행 정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주 전원 라인(198)은, 제1 제어부(140), 제2 제어부(180), 메인 제어부(191), 입출력 콘솔부(197)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라인이며, 제1 전원 라인(192) 및 제2 전원 라인(193)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설치된다. 즉, 주 전원 라인(198)은, 제1 전원 라인(192) 및 제2 전원 라인(193)으로의 전원인가 여부와 관계없이, 부품 실장 장치(100)가 on 되어 있으면 계속적으로 전원이 인가되게 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 장치(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부품 실장 장치의 실장 작업의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작업도인데, 제1 작업 레인(130)쪽의 유지 보수 작업이 실시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입출력 콘솔부(197)를 통해 부품 실장 장치(100)를 작동시키면, 제1 제어부(140)는 제1 전원 라인(192)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1 헤드(110), 제1 이송 갠츄리(120), 제1 작업 레인(130)을 구동시켜 기판(P1)에의 실장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그와 동시에 제2 제어부(180)는 제2 전원 라인(193)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2 헤드(160), 제2 이송 갠츄리(170), 제2 작업 레인(150)을 구동시켜 기판(P2)에의 실장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실장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제1 작업 레인(130)의 작업쪽에 문제가 발생하여 유지 보수 작업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제1 도어(194a)를 열게 되면 제1 도어 센서(194a_1)는 개방 상태를 감지하여 제1 제어부(140)로 개방 신호를 보내게 된다.
제1 제어부(140)는 상기 개방 신호를 받으면 제1 작업 레인(130)의 실장 작업을 즉시 중단하고, 제1 이송 갠츄리(120)를 구동시켜 제1 헤드(110)를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켜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작업자를 보호하게 된다. 이어, 제1 제어부(140)는 제1 전원 라인(192)의 전원을 차단하여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오작동을 사전에 방지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 장치(100)는 제1 제어부(140)와 제2 제어부(180)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되므로, 제2 작업 레인(150)쪽의 작업은 그대로 계속 진행되게 된다. 즉, 제2 제어부(180)는 제1 작업 레인(130) 쪽의 유지 보수 작업이 진행되는 중에도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고 제2 헤드(160), 제2 이송 갠츄리(170), 제2 작업 레인(150)을 구동시켜 기판(P2)에의 실장 작업을 계속 수행한다.
한편, 이 경우에 제1 이송 갠츄리(120)와 제2 이송 갠츄리(170) 사이에 설치되는 스토퍼(195)의 존재는, 제2 헤드(160)와 제2 이송 갠츄리(170)가 제1 작업 레인(130) 쪽의 작업 영역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더욱 보장하게 된다.
이어, 제1 작업 레인(130)의 쪽의 유지 보수 작업이 종료되어 사용자가 제1 도어(194a)를 닫게 되면 제1 도어 센서(194a_1)는 폐쇄 상태를 감지하여 제1 제어부(140)로 폐쇄 신호를 보내게 된다.
제1 제어부(140)는 상기 폐쇄 신호를 받고 제1 전원 라인(192)의 전원 공급을 재개하고, 제1 헤드(110), 제1 이송 갠츄리(120), 제1 작업 레인(130)의 구동을 재개하여, 기판(P1)에의 실장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에도, 제2 제어부(180)는 제1 작업 레인(130) 쪽의 실장 작업이 재개되는 것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고 제2 헤드(160), 제2 이송 갠츄리(170), 제2 작업 레인(150)의 구동을 계속 유지시켜 기판(P2)에의 실장 작업을 계속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실장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제1 작업 레인(130)의 작업 쪽에 문제가 발생하여 유지 보수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 부품 실장 장치(100)의 구동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실장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제2작업 레인(150)의 작업 쪽에 문제가 발생하여 유지 보수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 부품 실장 장치(100)의 구동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부품 실장 장치의 실장 작업의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작업도인데, 제2 작업 레인(150)쪽의 유지 보수 작업이 실시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판(P1)에 대한 제1 작업 레인(130)의 실장 작업과 기판(P2)에 대한 제2 작업 레인(150)의 실장 작업이 동시에 수행되는 도중에, 제2 작업 레인(150)의 작업 쪽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사용자가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해 제2 도어(194b)를 열게 되면 제2 도어 센서(194b_1)는 개방 상태를 감지하여 제2 제어부(180)로 개방 신호를 보내게 된다.
제2 제어부(180)는 상기 개방 신호를 받으면 제2 작업 레인(150)의 실장 작업을 즉시 중단하고, 제2 이송 갠츄리(170)를 구동시켜 제2 헤드(160)를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작업자를 보호하게 된다. 이어, 제2 제어부(180)는 제2 전원 라인(193)의 전원을 차단하여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오작동을 사전에 방지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 장치(100)는 제1 제어부(140)와 제2 제어부(180)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되므로, 제1 작업 레인(130)쪽의 작업은 그대로 계속 진행되게 된다. 즉, 제1 제어부(140)는 제2 작업 레인(150)쪽의 유지 보수 작업이 진행되는 중에도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고 제1 헤드(110), 제1 이송 갠츄리(120), 제1 작업 레인(130)을 구동시켜 기판(P1)에의 실장 작업을 계속 수행한다.
한편, 이 경우에 제1 이송 갠츄리(120)와 제2 이송 갠츄리(170) 사이에 설치되는 스토퍼(195)의 존재는, 제1 헤드(110)와 제1 이송 갠츄리(120)가 제2 작업 레인(150) 쪽의 작업 영역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더욱 보장하게 된다
이어, 제2 작업 레인(150)의 쪽의 유지 보수 작업이 종료되어 사용자가 제2 도어(194b)를 닫게 되면 제2 도어 센서(194b_1)는 폐쇄 상태를 감지하여 제2 제어부(180)로 폐쇄 신호를 보내게 된다.
제2 제어부(180)는 상기 폐쇄 신호를 받고 제2 전원 라인(193)의 전원 공급을 재개하고, 제2 헤드(160), 제2 이송 갠츄리(170), 제2 작업 레인(150)의 구동을 재개하여, 기판(P2)에의 실장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에도, 제1 제어부(140)는 제2 작업 레인(150) 쪽의 실장 작업이 재개되는 것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은 채, 제1 헤드(110), 제1 이송 갠츄리(120), 제1 작업 레인(130)의 구동을 계속 유지시켜 기판(P1)에의 실장 작업을 계속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 장치(100)에 따르면, 제1 제어부(140)와 제2 제어부(180)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된다. 즉, 제1 제어부(140)와 제2 제어부(180)는 각각, 실장 작업 관리, 장비의 오류 및 긴급 상황에 따른 멈춤, 긴급 상태에 대한 대응 등을 관리하는 운용 프로그램을 독립적으로 운용하고 있으며, 관련된 신호 처리도 각 작업 레인별로 독립적으로 운용하고 있다. 또한, 제1 전원 라인(192)과 제2 전원 라인(193)도 서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분리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작업 레인(130)쪽의 실장 작업과 제2 작업 레인(150)쪽의 실장 작업 중 어느 하나가 중단되어도 다른 하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작업이 중단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실장 작업이 계속 유지될 수 있으므로, 부품 실장 장치(100)의 생산성 및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부품 실장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인데, 설명을 위해 도어부가 모두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부품 실장 장치의 도어부를 분리하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부품 실장 장치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부품 실장 장치의 제2 도어가 열렸을 때 실린더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부품 실장 장치의 제1 도어가 열렸을 때 실린더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 장치(200)는, 제1 헤드(210), 제1 이송 갠츄리(220), 제1 작업 레인(230), 제1 제어부(240), 제2 작업 레인(250), 제2 헤드(260), 제2 이송 갠츄리(270), 제2 제어부(280), 메인 제어부(291), 제1 전원 라인(292), 제2 전원 라인(293), 도어부(294), 스토퍼(295), 지지 프레임부(296), 입출력 콘솔부(297), 주 전원 라인(298), 거리 유지용 장치(299)를 포함한다.
제1 헤드(210)는 전자 부품을 흡착하고 흡착된 전자 부품을 기판(P1)에 실장하는 장치이며, 제1 헤드(210)에는 1개 또는 복수개의 노즐(211)이 Z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즉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헤드(210)는 제1 이송 갠츄리(220)의 X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제1 헤드(210)와 제2 헤드(260)는 서로 마주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한편, 제1 이송 갠츄리(220)는 제1 헤드(210)를 이송하는데, 제1 X 방향 빔(221)과 한 쌍의 제1 Y 방향 지지 프레임(222)을 포함한다.
제1 X 방향 빔(221)은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제1 X 방향 빔(221)에는 제1 헤드(210)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1 X 방향 빔(221)의 부분 중 스토퍼(295)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제1 거리 유지용 실린더(299a)가 설치되는데,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 Y 방향 지지 프레임(222)은 제1 X 방향 빔(221)과 직교하여 X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배치되는데, 제1 X 방향 빔(221)에는 가이드 홈(221a)이 형성되고, 제1 Y 방향 지지 프레임(222)에는 가이드 홈(221a)에 끼워지는 가이드 돌기(222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X 방향 빔(221)은 제1 Y 방향 지지 프레임(222)을 따라 Y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1 작업 레인(230)은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P1)이 놓여져 실장 작업이 수행되는 곳인데, 기판(P1)의 이송을 위해 콘베이어 시스템(231)이 설치되어 있다. 즉,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P1)이 제1 작업 레인(230)에 놓이게 되면 콘베이어 시스템(231)에 의해 실장 작업 위치로 이동한 후에 실장 작업이 수행되고, 실장 작업을 마치면 콘베이어 시스템(231)에 의해 기판(P1)이 배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제1 제어부(240)는, 제1 헤드(210), 제1 이송 갠츄리(220), 제1 작업 레인(230)을 제어하는데, 제1 제어부(240)는 전자 회로, IC 칩,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제어부(240)는 제1 헤드(210)의 움직임, 제1 헤드(210)의 노즐(211)의 상승 및 하강, 노즐(211)의 진공 유지 및 진공 파괴, 제1 이송 갠츄리(220)의 움직임, 제1 작업 레인(230)의 콘베이어 시스템(231)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한편, 제2 작업 레인(250)은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P2)이 놓여져 작업을 수행하는 곳인데, 이송을 위해 콘베이어 시스템(251)이 설치되어 있다. 즉,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P2)이 제2 작업 레인(250)에 놓이게 되면 콘베이어 시스템(251)에 의해 실장 작업 위치로 이동한 후에 실장 작업이 수행되고, 실장 작업을 마치면 콘베이어 시스템(251)에 의해 기판(P2)이 배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제2 헤드(260)는 전자 부품을 흡착하고 흡착된 전자 부품을 기판(P2)에 실장하는 장치이며, 제2 헤드(260)에는 1개 또는 복수개의 노즐(261)이 Z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즉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헤드(260)는 제2 이송 갠츄리(270)의 X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제2 실시예에 관한 제2 헤드(260)는 단일의 개수로 구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 헤드(260)의 개수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경우 복수개의 제2 헤드(260)는 제2 작업 레인(250)에 배치된 기판(P2)에 부품을 실장하게 된다.
제2 이송 갠츄리(270)는 제2 헤드(260)를 이송하는데, 제2 X 방향 빔(271)과 한 쌍의 제2 Y 방향 지지 프레임(272)을 포함한다.
제2 X 방향 빔(271)은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제2 X 방향 빔(271)에는 제2 헤드(260)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2 X 방향 빔(271)의 부분 중 스토퍼(295)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제2 거리 유지용 실린더(299b)가 설치되는데,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2 Y 방향 지지 프레임(272)은 제2 X 방향 빔(271)과 직교하여 X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배치되는데, 제2 X 방향 빔(271)에는 가이드 홈(271a)이 형성되고, 제2 Y 방향 지지 프레임(272)에는 가이드 홈(271a)에 끼워지는 가이드 돌기(272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X 방향 빔(271)은 제2 Y 방향 지지 프레임(272)을 따라 Y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이송 갠츄리(270)는 제2 X 방향 빔(271)과 한 쌍의 제2 Y 방향 지지 프레임(272)으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 이송 갠츄리는 제2 헤드(260)를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으면 되고, 그 외의 구성상의 특별한 제한은 없다.
한편, 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Y 방향 지지 프레임(222)과 제2 Y 방향 지지 프레임(272)이 별개로 형성된 후 조립되어 일렬로 배치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Y 방향 지지 프레임(222)과 제2 Y 방향 지지 프레임(272)이 처음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제어부(280)는, 제2 헤드(260), 제2 이송 갠츄리(270), 제2 작업 레인(250)을 제어하는데, 제1 제어부(240)와 독립적으로 작동되며, 전자 회로, IC 칩,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제어부(280)는 제2 헤드(260)의 움직임, 제2 헤드(260)의 노즐(261)의 상승 및 하강, 노즐(261)의 진공 유지 및 진공 파괴, 제2 이송 갠츄리(270)의 움직임, 제2 작업 레인(250)의 콘베이어 시스템(251)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한편, 메인 제어부(291)는 제1 제어부(240) 및 제2 제어부(280)와 연결되어 있다. 즉, 메인 제어부(291)는 부품 실장 장치(200)의 기본적인 제어 작용을 수행하며, 제1 제어부(240)와 제2 제어부(280)의 제어 작용을 조율한다.
메인 제어부(291)는, 전자 회로, IC 칩,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제어부(291)는 제1 제어부(240) 및 제2 제어부(280)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설치되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제어부(291)의 일부로서 제1 제어부(240)와 제2 제어부(280)를 구성할 수 있으며, 그 경우 제1 제어부(240), 제2 제어부(280), 메인 제어부(291)가 하나의 IC 칩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제1 전원 라인(292)은 제1 헤드(210), 제1 이송 갠츄리(220), 제1 작업 레인(2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라인이며, 제2 전원 라인(293)은 제2 헤드(260), 제2 이송 갠츄리(270), 제2 작업 레인(2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라인이다.
제1 전원 라인(292)과 제2 전원 라인(293)은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두 라인 중 어느 하나의 라인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하나의 라인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한편, 도어부(294)는 제1 도어(294a)와 제2 도어(294b)를 포함한다. 도 7에는 설명을 위해 제1 도어(294a)와 제2 도어(294b)가 모두 열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도어(294a)는, 제1 헤드(210), 제1 이송 갠츄리(220), 제1 작업 레인(230)으로의 접근을 방지 또는 허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도어(294a)는 지지 프레임부(296)에 힌지 구조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제1 작업 레인(230)에 대한 실장 작업 중에는 닫혀 있도록 하여 작업자를 보호하고, 점검이나 수리 중에는 열리도록 하여 제1 도어(294a)의 안쪽에 위치한 장치(제1 헤드(210), 제1 이송 갠츄리(220), 제1 작업 레인(230), 기판(P1) 등)에 작업자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1 도어(294a)는 버튼 등의 장치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경우에 버튼을 조작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도어(294a)는 수동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도어(294a)는 지지 프레임부(296)에 힌지 구조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도어(294a)는 그 안쪽에 위치한 장치로의 접근을 방지 또는 허용하는 기능을 가지기만 하면 되고, 그 구조 및 설치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1 도어(294a)는 지지 프레임부(296)에 미끄러져 개폐되도록 슬라이딩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
제1 도어(294a)에는 제1 도어 센서(294a_1)가 설치되어 있는데, 제1 도어 센서(294a_1)는 제1 도어(294a)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면 그 상태를 검지하여 메인 제어부(291)로 송신한다.
제1 도어 센서(294a_1)로는 자기 센서, 광 센서 등 공지의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도어 센서(294a_1)는 메인 제어부(291)에 연결되어, 개폐 신호를 메인 제어부(291)로 송신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도어 센서(294a_1)는 메인 제어부(291)뿐만 아니라 제1 제어부(240)와도 연결되어, 개폐 신호를 메인 제어부(291)와 제1 제어부(240)로 함께 송신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도어(294a)에는 제1 도어 센서(294a_1)가 설치되어 있어 제1 도어(294a)의 개폐여부를 검지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도어(294a)에는 제1 도어 센서(294a_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어(294a)가 버튼을 조작하여 개방하는 방식인 경우에 버튼의 동작으로도 개폐여부를 검지할 수 있으므로 제1 도어 센서(294a_1)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제2 도어(294b)는 제2 헤드(260), 제2 이송 갠츄리(270), 제2 작업 레인(250)으로의 접근을 방지 또는 허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도어(294b)는 지지 프레임부(296)에 힌지 구조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제2 작업 레인(250)에 대한 실장 작업 중에는 닫히도록 하여 작업자를 보호하고, 점검이나 수리 중에는 열리도록 하여 제2 도어(294b)의 안쪽에 위치한 장치(제2 헤드(260), 제2 이송 갠츄리(270), 제2 작업 레인(250), 기판(P2) 등)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2 도어(294b)는 버튼 등의 장치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경우에 버튼을 조작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도어(294b)는 수동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도어(294b)는 지지 프레임부(296)에 힌지 구조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 도어(294b)는 그 안쪽에 위치한 장치로의 접근을 방지 또는 허용하는 기능을 가지기만 하면 되고, 그 구조 및 설치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2 도어(294b)는 지지 프레임부(296)에 미끄러져 개폐되도록 슬라이딩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
제2 도어(294b)에는 제2 도어 센서(294b_1)가 설치되어 있는데, 제2 도어 센서(294b_1)는 제2 도어(294b)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면 그 상태를 검지하여 제2 제어부(280)로 송신한다.
제2 도어 센서(294b_1)로는 자기 센서, 광 센서 등 공지의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도어 센서(294b_1)는 메인 제어부(291)에 연결되어, 개폐 신호를 메인 제어부(291)로 송신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도어 센서(294b_1)는 메인 제어부(291)뿐만 아니라 제2 제어부(280)와도 연결되어, 개폐 신호를 메인 제어부(291)와 제2 제어부(280)로 함께 송신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도어(294b)에는 제2 도어 센서(294b_1)가 설치되어 있어 제2 도어(294b)의 개폐여부를 검지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도어(294b)에는 제2 도어 센서(294b_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도어(294b)가 버튼을 조작하여 개방하는 방식인 경우에 버튼의 동작으로도 개폐여부를 검지할 수 있으므로 제2 도어 센서(294b_1)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도어 센서(294a_1)와 제2 도어 센서(294b_1)가 각각 제1 도어(294a)와 제2 도어(294b)에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도어 센서(294a_1)와 제2 도어 센서(294b_1)는 각각, 제1, 2 Y 방향 지지 프레임(222)(272)에 설치되거나 지지 프레임부(296)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스토퍼(295)는 제1 이송 갠츄리(220)와 제2 이송 갠츄리(270)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제1 이송 갠츄리(220)와 제2 이송 갠츄리(270)의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한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295)의 형상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는 제1 이송 갠츄리(220)와 제2 이송 갠츄리(270)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제1 이송 갠츄리(220) 및 제2 이송 갠츄리(270)의 각각의 움직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만 있으면 되고, 그 형상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295)의 부분 중 제1 거리 유지용 실린더(299a)의 제1 로드(299a_1)와 제2 거리 유지용 실린더(299b)의 제2 로드(299b_1)가 닿는 부분에는 완충부가 설치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그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스토퍼(295)의 부분 중 제1, 2 거리 유지용 실린더(299a)(299b)의 각 로드(299a_1)(299b_1)의 단부가 닿는 부분에 완충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완충부는 충격 흡수가 용이한 합성수지, 천연수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 프레임부(296)에는 제1 이송 갠츄리(220), 제1 작업 레인(230), 제1 제어부(240), 제2 작업 레인(250), 제2 이송 갠츄리(270), 제2 제어부(280), 메인 제어부(291), 제1 전원 라인(292), 제2 전원 라인(293), 도어부(294), 스토퍼(295), 입출력 콘솔부(297), 주 전원 라인(298) 등이 설치된다. 즉, 지지 프레임부(296)는 부품 실장 장치(200)의 기본 골격부를 구성한다.
입출력 콘솔부(297)는 메인 제어부(291)에 연결되어 있는데, 키보드, 키패드, 터치 패드 등으로 사용자의 지시를 입력할 수 있고, 모니터 등으로 부품 실장 장치(200)의 상태, 작업 수행 정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주 전원 라인(298)은, 제1 제어부(240), 제2 제어부(280), 메인 제어부(291), 입출력 콘솔부(297)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라인이며, 제1 전원 라인(292) 및 제2 전원 라인(293)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설치된다. 즉, 주 전원 라인(298)은, 제1 전원 라인(292) 및 제2 전원 라인(293)으로의 전원인가 여부와 관계없이, 부품 실장 장치(200)가 on 되어 있으면 계속적으로 전원이 인가되게 된다.
거리 유지용 장치(299)는, 제1 X 방향 빔(221) 및 제2 X 방향 빔(271) 중 도어가 개방된 쪽에 위치된 것이 스토퍼(295)로부터 적어도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도록 하는 장치이며, 제1 거리 유지용 실린더(299a)와 제2 거리 유지용 실린더(299b)를 포함한다.
거리 유지용 장치(299)는 메인 제어부(291)의 제어를 받아 동작을 하는데, 주 전원 라인(298)으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거리 유지용 장치(299)의 제1 거리 유지용 실린더(299a)는 제1 로드(299a_1)를 구비하고, 제2 거리 유지용 실린더(299b)는 제2 로드(299b_1)를 구비하는데, 각 로드(299a_1)(299b_1)는 작동 시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거리 유지용 장치(299)의 제1, 2 거리 유지용 실린더(299a)(299b)는 각각 제1 X 방향 빔(221)과 제2 X 방향 빔(271)에 설치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2 거리 유지용 실린더(299a)(299b)는 스토퍼(295) 또는 지지 프레임부(296)에 설치될 수 있다. 그 경우 제1, 2 거리 유지용 실린더(299a)(299b)의 각 제1, 2로드(299a_1)(299b_1)는, 전진 시 각각 제1 X 방향 빔(221)과 제2 X 방향 빔(271)에 접촉하여 지지함으로써, 제1 X 방향 빔(221)과 제2 X 방향 빔(271)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2 거리 유지용 실린더(299a)(299b)의 구조는, 로드(299a_1)(299b_1)의 전진과 후퇴를 수행할 수 있는 구조이면 되고, 그 외의 구조상의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제1, 2 거리 유지용 실린더(299a)(299b)는 전자식 리니어 모터,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등의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 장치(2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입출력 콘솔부(297)를 통해 부품 실장 장치(200)를 작동시키면, 제1 제어부(240)는 제1 전원 라인(292)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1 헤드(210), 제1 이송 갠츄리(220), 제1 작업 레인(230)을 구동시켜 기판(P1)에의 실장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그와 동시에 제2 제어부(280)는 제2 전원 라인(293)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2 헤드(260), 제2 이송 갠츄리(270), 제2 작업 레인(250)을 구동시켜 기판(P2)에의 실장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실장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제2 작업 레인(250)의 작업 쪽에 문제가 발생하여 유지 보수 작업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로 하여, 그러한 경우의 부품 실장 장치(200)의 구동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와 같은 실장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제2 작업 레인(250)의 작업쪽에 문제가 발생하여 유지 보수 작업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제2 도어(294b)를 열게 되면 제2 도어 센서(294b_1)는 개방 상태를 감지하여 메인 제어부(291)로 개방 신호를 보내게 된다.
메인 제어부(291)는 상기 개방 신호를 받아 제2 제어부(280)로 전달한다. 개방 신호를 받은 제2 제어부(280)는 제2 작업 레인(250)의 실장 작업을 즉시 중단하고, 제2 이송 갠츄리(270)를 구동시켜 제2 헤드(260)를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켜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작업자를 보호하게 된다.
이어, 제2 제어부(280)는 제2 전원 라인(293)의 전원을 차단하여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오작동을 사전에 방지한다. 전원을 차단하게 되면 제2 헤드(260), 제2 이송 갠츄리(270), 제2 작업 레인(250)은 서보 오프(servo off) 상태가 되므로 무부하 상태로 정지하게 된다.
또한, 메인 제어부(291)는 상기 개방 신호를 받으면 제2 거리 유지용 실린더(299b)를 작동시켜 제2 로드(299b_1)를 전진시키게 된다. 전진한 제2 로드(299b_1)는 스토퍼(295)에 접촉하여 지지됨으로써, 스토퍼(295)와 제2 X 방향 빔(271) 사이의 거리가 적어도 소정의 거리 L1을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소정의 거리 L1은, 제2 헤드(260)가 제1 헤드(210)에 부딪히지 않을 정도로 결정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영역 A1은 작동 중인 제1 헤드(210)가 움직일 가능성이 있는 위험 영역인데, 제2 거리 유지용 실린더(299b)에 의해 스토퍼(295)와 제2 X 방향 빔(271) 사이의 거리가 적어도 소정의 거리 L1로 유지되므로, 제2 X 방향 빔(271) 및 제2 헤드(260)가 영역 A1과 충분히 이격되어 유지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제2 도어(294b)가 개방되고, 작업자가 작업을 위해 수동으로 제2 X 방향 빔(271)을 움직이는 경우에도 Y2 방향으로 이동이 되지 않고 Y1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2 X 방향 빔(271) 및 제2 헤드(260)가 제1 헤드(210)에 충돌할 위험이 미연에 방지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 장치(200)는 제1 제어부(240)와 제2 제어부(280)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되므로, 제1 작업 레인(230)쪽의 작업은 그대로 계속 진행되게 된다. 즉, 제1 제어부(240)는 제2 작업 레인(250) 쪽의 유지 보수 작업이 진행되는 중에도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고 제1 헤드(210), 제1 이송 갠츄리(220), 제1 작업 레인(230)을 구동시켜 기판(P1)에의 실장 작업을 계속 수행한다.
이 경우에 제1 헤드(210)와 제1 이송 갠츄리(220)는 스토퍼(295)에 의해 제2 작업 레인(250) 쪽의 작업 영역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충돌에 의한 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고,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더욱 보장하게 된다.
이어, 제2 작업 레인(250)의 쪽의 유지 보수 작업이 종료되어 사용자가 제2 도어(294b)를 닫게 되면 제2 도어 센서(294b_1)는 폐쇄 상태를 감지하여 메인 제어부(291)로 폐쇄 신호를 보내게 된다.
메인 제어부(291)는 상기 폐쇄 신호를 받으면 제2 거리 유지용 실린더(299b)를 작동시켜 제2 로드(299b_1)를 후퇴시킨다. 또한, 메인 제어부(291)는 상기 폐쇄 신호를 받아 제2 제어부(280)로 전달하는데, 제2 제어부(280)가 상기 폐쇄 신호를 받으면, 제2 전원 라인(293)의 전원 공급을 재개하고, 제2 헤드(260), 제2 이송 갠츄리(270), 제2 작업 레인(250)의 구동을 재개하여, 기판(P2)에의 실장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에도, 제1 제어부(240)는 제2 작업 레인(250) 쪽의 실장 작업이 재개되는 것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고 제1 헤드(210), 제1 이송 갠츄리(220), 제1 작업 레인(230)을 구동시켜 기판(P1)에의 실장 작업을 계속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실장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제2 작업 레인(250)의 작업 쪽에 문제가 발생하여 유지 보수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 부품 실장 장치(200)의 구동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실장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제1 작업 레인(230)의 작업 쪽에 문제가 발생하여 유지 보수 작업이 필요한 경우의 부품 실장 장치(200)의 구동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장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제1 작업 레인(230)의 작업쪽에 문제가 발생하여 유지 보수 작업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제1 도어(294a)를 열게 되면 제1 도어 센서(294a_1)는 개방 상태를 감지하여 메인 제어부(291)로 개방 신호를 보내게 된다.
메인 제어부(291)는 상기 개방 신호를 받으면 제1 제어부(240)로 보낸다. 개방 신호를 받은 제1 제어부(240)는 제1 작업 레인(230)의 실장 작업을 즉시 중단하고, 제1 이송 갠츄리(220)를 구동시켜 제1 헤드(210)를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켜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작업자를 보호하게 된다.
이어, 제1 제어부(240)는 제1 전원 라인(292)의 전원을 차단하여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오작동을 사전에 방지한다. 전원을 차단하게 되면 제1 헤드(210), 제1 이송 갠츄리(220), 제1 작업 레인(230)은 서보 오프(servo off) 상태가 되므로 무부하 상태로 정지하게 된다.
또한, 메인 제어부(291)는 상기 개방 신호를 받으면 제1 거리 유지용 실린더(299a)를 작동시켜 제1 로드(299a_1)를 전진시키게 된다. 전진한 제1 로드(299a_1)는 스토퍼(295)에 접촉하여 지지됨으로써, 스토퍼(295)와 제1 X 방향 빔(221) 사이의 거리가 적어도 소정의 거리 L2를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소정의 거리 L2는, 제1 헤드(210)가 제2 헤드(260)에 부딪히지 않을 정도로 결정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영역 A2는 작동 중인 제2 헤드(260)가 움직일 가능성이 있는 위험 영역인데, 제1 거리 유지용 실린더(299a)에 의해 스토퍼(295)와 제1 X 방향 빔(221) 사이의 거리가 적어도 소정의 거리 L2로 유지되므로, 제1 X 방향 빔(221)과 제1 헤드(210)가 영역 A2와 충분히 이격되어 유지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제1 도어(294a)가 개방되고, 작업자가 작업을 위해 수동으로 제1 X 방향 빔(221)을 움직이는 경우에도 Y1 방향으로 이동이 되지 않고 Y2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1 X 방향 빔(221) 및 제1 헤드(210)가 제2 헤드(260)에 충돌할 위험이 미연에 방지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 장치(200)는 제1 제어부(240)와 제2 제어부(280)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되므로, 제2 작업 레인(250)쪽의 작업은 그대로 계속 진행되게 된다. 즉, 제2 제어부(280)는 제1 작업 레인(230) 쪽의 유지 보수 작업이 진행되는 중에도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고 제2 헤드(260), 제2 이송 갠츄리(270), 제2 작업 레인(250)을 구동시켜 기판(P2)에의 실장 작업을 계속 수행한다.
이 경우에 제2 헤드(260)와 제2 이송 갠츄리(270)는 스토퍼(295)에 의해 제1 작업 레인(230) 쪽의 작업 영역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충돌에 의한 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고,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더욱 보장하게 된다.
이어, 제1 작업 레인(230)의 쪽의 유지 보수 작업이 종료되어 사용자가 제1 도어(294a)를 닫게 되면 제1 도어 센서(294a_1)는 폐쇄 상태를 감지하여 메인 제어부(291)로 폐쇄 신호를 보내게 된다.
메인 제어부(291)는 상기 폐쇄 신호를 받으면 제1 거리 유지용 실린더(299a)를 작동시켜 제1 로드(299a_1)를 후퇴시킨다. 또한, 메인 제어부(291)는 상기 폐쇄 신호를 제1 제어부(240)로 전달하는데, 제1 제어부(240)가 상기 폐쇄 신호를 받으면, 제1 전원 라인(292)의 전원 공급을 재개하고, 제1 헤드(210), 제1 이송 갠츄리(220), 제1 작업 레인(230)의 구동을 재개하여, 기판(P1)에의 실장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에도, 제2 제어부(280)는 제1 작업 레인(230) 쪽의 실장 작업이 재개되는 것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고 제2 헤드(260), 제2 이송 갠츄리(270), 제2 작업 레인(250)을 구동시켜 기판(P2)에의 실장 작업을 계속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 장치(200)에 따르면, 제1 제어부(240)와 제2 제어부(280)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된다. 즉, 제1 제어부(240)와 제2 제어부(280)는 각각 실장 작업 관리 등을 관리하는 운용 프로그램을 독립적으로 운용하고 있으며, 관련된 신호 처리도 각 작업 레인별로 독립적으로 운용하고 있다. 또한, 제1 전원 라인(292)과 제2 전원 라인(293)도 서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분리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작업 레인(230)쪽의 실장 작업과 제2 작업 레인(250)쪽의 실장 작업 중 어느 하나가 중단되어도 다른 하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작업이 중단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실장 작업이 계속 유지될 수 있으므로, 부품 실장 장치(200)의 생산성 및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 장치(200)에 따르면, 거리 유지용 장치(299)를 포함하고 있다. 거리 유지용 장치(299)는, 개방된 도어 쪽의 이송 갠츄리 및 헤드가 개방되지 않은 도어 쪽의 헤드의 작업 영역에 간섭되지 않도록 소정의 거리를 유지시킴으로써, 충돌로 인한 내부 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고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더욱 보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들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부품 실장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100, 200: 부품 실장 장치 110, 210: 제1 헤드
120, 220: 제1 이송 갠츄리 130, 230: 제1 작업 레인
140, 240: 제1 제어부 150, 250: 제2 작업 레인
160, 260: 제2 헤드 170, 270: 제2 이송 갠츄리
180, 280: 제2 제어부 194, 294: 도어부
299: 거리 유지용 장치

Claims (11)

  1. 제1 헤드;
    상기 제1 헤드가 설치되며 상기 제1 헤드를 이송하는 제1 이송 갠츄리;
    상기 제1 헤드에 의해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이 놓여지는 제1 작업 레인;
    상기 제1 헤드, 상기 제1 이송 갠츄리 및 상기 제1 작업 레인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1 작업 레인과 나란히 배치되는 제2 작업 레인;
    상기 제2 작업 레인에 놓여진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는 제2 헤드;
    상기 제2 헤드가 설치되며 상기 제2 헤드를 이송하는 제2 이송 갠츄리; 및
    상기 제2 헤드, 상기 제2 이송 갠츄리 및 상기 제2 작업 레인을 제어하며 상기 제1 제어부와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제2 제어부;
    상기 제1 이송 갠츄리와 상기 제2 이송 갠츄리 사이에 설치되는 스토퍼;
    상기 제1 이송 갠츄리와 상기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거리 유지용 실린더; 및
    상기 제2 이송 갠츄리와 상기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거리 유지용 실린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와 연결된 메인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부품 실장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드, 상기 제1 이송 갠츄리, 상기 제1 작업 레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 라인; 및
    상기 제2 헤드, 상기 제2 이송 갠츄리 및 상기 제2 작업 레인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1 전원 라인과 분리되어 설치되는 제2 전원 라인;을 포함하는 부품 실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드, 상기 제1 이송 갠츄리, 상기 제1 작업 레인으로의 접근을 방지 또는 허용하도록 설치되는 제1 도어; 및
    상기 제2 헤드, 상기 제2 이송 갠츄리, 상기 제2 작업 레인으로의 접근을 방지 또는 허용하도록 설치되는 제2 도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 작업 레인 및 상기 제2 작업 레인에 실장 작업이 동시에 진행될 때, 상기 제1 도어가 열리면 상기 제1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작업 레인에 대한 실장 작업만을 중단시키고,
    상기 제1 작업 레인 및 상기 제2 작업 레인에 실장 작업이 동시에 진행될 때, 상기 제2 도어가 열리면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2 작업 레인에 대한 실장 작업만을 중단시키는 부품 실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의 개폐를 검지하는 제1 도어 센서와, 상기 제2 도어의 개폐를 검지하는 제2 도어 센서를 더 포함하는 부품 실장 장치.
  8. 제1 헤드;
    상기 제1 헤드가 설치되며 상기 제1 헤드를 이송하는 제1 이송 갠츄리;
    상기 제1 헤드에 의해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이 놓여지는 제1 작업 레인;
    상기 제1 헤드, 상기 제1 이송 갠츄리 및 상기 제1 작업 레인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1 작업 레인과 나란히 배치되는 제2 작업 레인;
    상기 제2 작업 레인에 놓여진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는 제2 헤드;
    상기 제2 헤드가 설치되며 상기 제2 헤드를 이송하는 제2 이송 갠츄리;
    상기 제2 헤드, 상기 제2 이송 갠츄리 및 상기 제2 작업 레인을 제어하며 상기 제1 제어부와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제2 제어부;
    상기 제1 헤드, 상기 제1 이송 갠츄리, 상기 제1 작업 레인으로의 접근을 방지 또는 허용하도록 설치되는 제1 도어;
    상기 제2 헤드, 상기 제2 이송 갠츄리, 상기 제2 작업 레인으로의 접근을 방지 또는 허용하도록 설치되는 제2 도어;
    상기 제1 이송 갠츄리와 상기 제2 이송 갠츄리 사이에 설치되는 스토퍼;
    상기 제1 이송 갠츄리와 상기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로드를 포함하는 제1 거리 유지용 실린더; 및
    상기 제2 이송 갠츄리와 상기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며, 제2 로드를 포함하는 제2 거리 유지용 실린더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 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 유지용 실린더는 상기 제1 이송 갠츄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거리 유지용 실린더는 상기 제2 이송 갠츄리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도어가 열렸을 때, 상기 제1 로드가 전진하여 상기 스토퍼에 접촉하여 지지하며,
    상기 제2 도어가 열렸을 때, 상기 제2 로드가 전진하여 상기 스토퍼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부품 실장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와 연결된 메인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거리 유지용 실린더 및 상기 제2 거리 유지용 실린더는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부품 실장 장치.
KR1020140060492A 2014-03-11 2014-05-20 부품 실장 장치 KR101994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79183.9A CN106465575B (zh) 2014-03-11 2014-11-13 部件贴装装置
PCT/KR2014/010906 WO2015137593A1 (ko) 2014-03-11 2014-11-13 부품 실장 장치
JP2016557037A JP6490707B2 (ja) 2014-03-11 2014-11-13 部品実装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601 2014-03-11
KR20140028601 2014-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302A KR20150106302A (ko) 2015-09-21
KR101994289B1 true KR101994289B1 (ko) 2019-06-28

Family

ID=54245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492A KR101994289B1 (ko) 2014-03-11 2014-05-20 부품 실장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90707B2 (ko)
KR (1) KR101994289B1 (ko)
CN (1) CN106465575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3447A (ja) * 2003-02-18 2004-09-09 Yamaha Motor Co Ltd 電子部品の実装機
JP2010062340A (ja) * 2008-09-04 2010-03-18 Panasonic Corp 電子部品実装用装置及び電子部品実装用装置による作業方法
JP2012129449A (ja) * 2010-12-17 2012-07-05 Panasonic Corp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装置における機種切替え方法
JP2012146718A (ja) * 2011-01-07 2012-08-02 Panasonic Corp 部品実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878A (ja) * 1993-11-24 1995-05-30 Sanyo Electric Co Ltd 作業時間算出方法
JPH11126996A (ja) * 1997-10-24 1999-05-11 Juki Corp 部品搭載装置
JP3879469B2 (ja) * 2001-10-05 2007-02-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装置
JP2007194248A (ja) * 2006-01-17 2007-08-02 I-Pulse Co Ltd 表面実装機
JP5342159B2 (ja) * 2008-03-25 2013-11-13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インスツルメンツ 電子部品装着装置
JP4728423B2 (ja) * 2009-12-10 2011-07-2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電子部品の実装方法及び電子部品の実装機
JP5751945B2 (ja) * 2011-06-15 2015-07-22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マルチロボットシステムおよび電子部品実装機
JP5969789B2 (ja) * 2012-03-29 2016-08-17 Juki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3447A (ja) * 2003-02-18 2004-09-09 Yamaha Motor Co Ltd 電子部品の実装機
JP2010062340A (ja) * 2008-09-04 2010-03-18 Panasonic Corp 電子部品実装用装置及び電子部品実装用装置による作業方法
JP2012129449A (ja) * 2010-12-17 2012-07-05 Panasonic Corp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装置における機種切替え方法
JP2012146718A (ja) * 2011-01-07 2012-08-02 Panasonic Corp 部品実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65575B (zh) 2019-05-10
JP2017508299A (ja) 2017-03-23
CN106465575A (zh) 2017-02-22
JP6490707B2 (ja) 2019-03-27
KR20150106302A (ko) 201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2333B2 (en) Workpiece transfer robot system
JP5454481B2 (ja)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方法
US20090099680A1 (en) Manufacturing equipment
JP5454482B2 (ja)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方法
JP2511164Y2 (ja) レ―ザ加工機のカバ―装置
US10512993B2 (en) Production line
US11297751B2 (en) Component mounting line
US10233020B2 (en) Nozzle storage
JPWO2016059738A1 (ja) 横型工作機械
WO2012098894A1 (ja)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方法
CN112384333B (zh) 具有桌下机械手的工作设备
CN103863821B (zh) 掩模版传输装置和方法
CN105479243B (zh) 搬送装置、搬送***和搬送方法
ES2810814T3 (es) Máquina para trabajar losas de vidrio con un ensamblaje de control numérico computarizado y un proceso de producción relacionado
KR101994289B1 (ko) 부품 실장 장치
TWI776125B (zh) 用於自動化晶圓載具搬運的系統及方法
KR101890160B1 (ko)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
KR101909973B1 (ko) 2층구조의 가공기 소재 투입 및 취출 로봇 시스템
CN109757101B (zh) 作业装置及作业***
CN111655430B (zh) 喷丸处理装置
JP7212188B2 (ja) 製造装置および製造装置の制御方法
JP7123620B2 (ja) 生産システム、生産機器、生産システム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11655429B (zh) 喷丸处理装置
KR20220107720A (ko) 프로파일의 확장성이 용이한 협동로봇기반의 갠트리 로봇 시스템
WO2015137593A1 (ko) 부품 실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