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3149B1 - 제강분진으로부터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제강분진으로부터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149B1
KR101993149B1 KR1020180132612A KR20180132612A KR101993149B1 KR 101993149 B1 KR101993149 B1 KR 101993149B1 KR 1020180132612 A KR1020180132612 A KR 1020180132612A KR 20180132612 A KR20180132612 A KR 20180132612A KR 101993149 B1 KR101993149 B1 KR 101993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nc sulfate
leaching solution
steelmaking dust
zinc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황윤
Original Assignee
주황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황윤 filed Critical 주황윤
Priority to KR1020180132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9/00Compounds of zinc
    • C01G9/06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80Compositional pur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4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강분진으로부터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강분진을 황산용액에 습식처리하여 발생되는 황산아연침출액에 포함된 철화합물, 중금속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고순도의 황산아연을 수득하고, 이를 균일한 형상 및 입도를 갖도록 분말화함으로써 산업적 이용가치를 높인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강분진으로부터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은 제강분진에 황산용액을 투입하여 황산아연침출액을 수득하는 황산아연침출액 수득단계(S100);와 상기 황산아연침출액에 포함된 철을 제거하는 제 1불순물 제거단계(S200);와 철이 제거된 황산아연침출액에 포함된 납, 크롬, 카드뮴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중금속을 제거하는 제 2불순물 제거단계(S300);와 중금속이 제거된 황산아연침출액을 증발농축 및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분말화단계(S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강분진으로부터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zinc sulfate powder from electric arc furnace dust}
본 발명은 제강분진으로부터 황산아연분말을 수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강분진을 황산용액에 습식처리하여 발생되는 황산아연침출액에 포함된 철화합물, 중금속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고순도의 황산아연을 수득하고, 이를 균일한 형상 및 입도를 갖도록 분말화함으로써 산업적 이용가치를 높인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강산업에서 발생하는 전기로 제강분진은 아연, 철, 망간, 구리 등 다양한 금속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산업부산물이다. 하지만 전기로 제강분진은 상기 금속원소 이외에 납, 카드뮴 등과 같은 유해 중금속 또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지정폐기물로 분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제강 분진은 철 생산량의 약 1~1.5%가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013년 기준 약 40만 톤 정도가 발생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단순 매립하여 왔으나, 토양 및 지하수오염에 대한 우려 증가 및 기술 발전에 따라 점차 재활용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2013년 기준 매립 30.1%, 재활용 65.3%, 기타 1.9%, 보관 2.7%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분진에는 아연, 철, 구리 등 많은 유가금속을 포함하고 있어 적절한 처리를 거치면 폐자원으로써의 가치가 창출된다.
전기로 제강분진의 재활용기술의 대부분은 크게, 습식법과 건식법으로 분류되고 있다.
건식법은 제강분진의 유가금속성분을 환원, 휘발시켜 회수하는 방법으로서, 크게 Rotary Kiln를 이용한 waelz법, Plasma법, 용융환원을 이용하는 Romelt법 등이 있다.
습식법은 산 또는 알칼리 용액을 이용하여 유가금속성분을 침출 및 회수하는 방법으로, 크게 제강분진을 고온분리법으로 처리하여 조산화아연을 제조한 다음 산용액 또는 알칼리용액을 유가금속성분을 회수하는 방법, 분진을 직접 산 및 알칼리 용액으로 침출하여 유가금속을 회수함과 동시에 유해원소들을 제거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공개특허 제10-2009-0034423호는 축상에 다수의 교반날개가 장착되어 있는 반응기(30)를 구동시키면서 전기로 더스트 및 농황산을 연속하여 주입하고, 회전 반응기를 넘어오는 반응혼합물을 저류조(50)에 수집하고, 이 반응생성물에 물을 가하고 약70∼90℃를 유지하여 pH를 4∼4.5로 될 때까지 교반한 후, 이를 여과 분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아연의 회수방법 및 그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 10-0326480호에서는 전기로 제강로 안에서 발생하는 분진(electric arc furnace (EAF)dust)을 염산용액으로 처리하여 고순도의 염산과 금속아연을 회수함에 있어, 활성탄과 금속 아연분말을 사용한 정제와 양이온 멤브레인을 사용한 염산의 직접회수, 전착시 발생한 염소가스를 활성탄을 사용하여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아연페라이트가 함유된 제강분진으로부터 염산과 금속아연의 회수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제강분진으로부터 고순도의 황산아연의 수득하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제강분진을 황산용액에 습식처리하여 발생되는 황산아연침출액에 포함된 철화합물, 중금속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고순도의 황산아연을 수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균일한 형상 및 입도를 갖도록 최적의 조건으로 분말화함으로써 산업적 이용가치를 높인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9-0034423호(전기로 더스트로부터 황산아연의 회수방법 및 그 장치) 국내등록특허 제 10-0326480호(아연페라이트가 함유된 제강분진으로부터 염산과 금속아연의 회수방법)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강분진을 황산용액에 습식처리하여 발생되는 황산아연침출액에 포함된 철화합물, 중금속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고순도의 황산아연을 수득하고, 이를 균일한 형상 및 입도를 갖도록 분말화함으로써 산업적 이용가치를 높인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강분진으로부터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은 제강분진에 황산용액을 투입하여 황산아연침출액을 수득하는 황산아연침출액 수득단계(S100);와 상기 황산아연침출액에 포함된 철을 제거하는 제 1불순물 제거단계(S200);와 철이 제거된 황산아연침출액에 포함된 납, 크롬, 카드뮴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중금속을 제거하는 제 2불순물 제거단계(S300);와 중금속이 제거된 황산아연침출액을 증발농축 및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분말화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황산아연침출액 수득단계(S100)는 제강분진과 2 내지 3N 농도의 황산수용액을 1 : 2 내지 3중량비로 혼합하여 30 내지 120분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불순물 제거단계(S200)는 상기 황산아연침출액에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판을 투입하여 pH를 4 내지 6, 온도 35 내지 60 ℃로 유지하면서 1 내지 3시간 반응시켜 상기 금속판에 철을 석출시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불순물 제거단계(S300)는 철이 제거된 황산아연침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 평균입경을 갖는 아연말 0.5 내지 5중량부 투입하여 50 내지 80 ℃에서 30 내지 90분간 반응시켜 중금속을 석출시키고, 석출된 중금속을 필터프레스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말화단계(S400)는 중금속이 제거된 황산아연침출액을 증발농축시킨 증발 농축물에 첨가제를 투입하여 200 내지 700 cps를 갖는 분무건조용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S400);와 상기 분무건조 슬러리를 분무건조하는 분무건조단계(S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강분진으로부터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면, 제강분진을 황산용액에 습식처리하여 발생되는 황산아연침출액에 포함된 철화합물, 중금속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고순도의 황산아연을 수득하고, 이를 균일한 형상 및 입도를 갖도록 분말화함으로써 산업적 이용가치를 높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강분진으로부터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용어 '황산아연침출액'은 제강분진의 재활용 부산물로서 제강분진에 황산용액을 투입하여 수득된 것으로서, 황산아연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어 황산아연침출액으로 표현하였으나, 제강분진에는 아연을 제외한 철, 염소, 칼륨, 나트륨, 칼슘, 납, 카드뮴, 크롬, 구리, 망간 등의 불순물도 함께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황산아연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제강분진으로부터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강분진을 황산용액에 습식처리하여 발생되는 황산아연침출액에 포함된 철화합물, 중금속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고순도의 황산아연을 수득하고, 이를 균일한 형상 및 입도를 갖도록 분말화함으로써 산업적 이용가치를 높인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강분진으로부터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강분진으로부터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은 제강분진에 황산용액을 투입하여 황산아연침출액을 수득하는 황산아연침출액 수득단계(S100)와 상기 황산아연침출액에 포함된 철을 제거하는 제 1불순물 제거단계(S200)와 철이 제거된 황산아연침출액에 포함된 납, 크롬, 카드뮴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중금속을 제거하는 제 2불순물 제거단계(S300)와 중금속이 제거된 황산아연침출액을 증발농축 및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분말화단계(S400)를 포함한다.
황산아연침출액 수득단계(S100)에서는 제강분진에 황산용액을 투입하여 황산아연침출액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상기 황산아연침출액 수득단계(S100)는 제강분진에 황산용액을 투입하기에 앞서, 제강분진을 수세 및 분쇄하는 전처리 공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세처리를 통해 제강분진에 포함된 염화물 등의 불순물이 제거될 수 있으며, 분쇄처리를 통해 황산수용액과 반응성 및 아연의 침출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강분진에는 Cl, Na, K, Ca 등의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불순물은 아연과 황산의 반응 및 여과를 방해하기 때문에 수세를 통한 불순물 제거를 통해 아연의 침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들 중 Cl 는 산 침출 공정에서 여과를 방해하거나 열을 가할 경우 다이옥신(dioxin) 등의 독성 물질 생성에 관여하며, Na, K 등의 알칼리 금속은 용해력이 높아 용액 상으로부터 제거가 용이하지 않으며 알칼리 토금속인 Ca은 산 소모량을 높인다.
수세처리는 제강분진을 물에 1 내지 5회 반복세척하여 수행되거나, 수산화나트륨을 추가 투입하여 pH를 제어하면서 교반 및 여과시키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강분진과 물을 1: 1 내지 2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에 1 내지 2N 농도의 수산화나트륨을 투입하여 pH 9 내지 11로 유지시키면서 30 내지 90분간 반응시켜 상기 불순물을 수산화물 침전물 형태로 변환하고, 상기 침전물을 여과시켜 제거하는 공정을 1 내지 5회 반복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제강분진을 수득하게 되며, 상기 반응조건 하에서 아연의 손실없이 불순물 제거 효율이 우수하다.
분쇄공정에서는 제강분진을 습식 볼밀에 투입하여 평균입경 1 내지 50 ㎛를 갖도록 분쇄하며,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 1 내지 20 ㎛,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 1 내지 10 ㎛을 갖도록 분쇄한다. 상기 분쇄공정은 수세처리 전 또는 후에 수행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수세처리시 제강분진입자의 응집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수세처리 후에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제강분진은 평균입경 1 내지 50 ㎛을 갖도록 분쇄되는데, 평균입경 50 ㎛을 초과할 경우에는 제강분진과 황산수용액과의 반응 및 아연의 침출 향상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고, 평균입경 1㎛ 미만에서는 입경 감소에 따른 반응성 향상효과가 미미하고, 오히려 입자들간의 응집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평균입경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전처리된 제강분진은 황산수용액과 반응시켜 제강분진에 포함된 아연을 산침출시키고, 황산아연침출 반응물을 형성한 후, 여과공정을 통해 황산아연침출액과 침출잔사를 분리하고, 상기 침출잔사를 제거한다.
제강분진과 2 내지 3N 농도의 황산수용액을 1 : 2 내지 3중량비로 혼합하여 30 내지 120분간 반응시킨다.
황산수용액은 2 내지 3N 농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데, 상기 황산수용액의 농도가 2N 미만일 경우에는 아연의 침출 및 황산아연의 수득율이 낮고, 반응속도가 느려 비효율적이며, 3N 초과하는 황산수용액을 사용할 경우, 농도 증가 대비 황산아연의 수득율의 증가가 미미하여 이 또한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2 내지 3N 농도를 갖는 황산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강분진과 황산수용액은 1 : 2 내지 3중량비로 혼합하는데, 황산수용액의 투입량이 적으면 아연의 침출률이 낮고 반응속도가 느리며, 황산수용액의 투입량이 많으면 투입량 대비 아연의 침출률의 증가가 미미하고, 잔여하는 다량의 황산수용액을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중량비를 벗어나지 않는 것 바람직하다.
제 1불순물 제거단계(S200)에서는 황산아연침출액에 포함된 철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황산아연침출액에는 황산과의 반응에 의해 침출된 철을 함께 포함하고 있으며,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판과 반응시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금속판은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소재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크되, 황산아연보다는 이온화경향이 작은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아연 및 아연합금 소재로 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금속판을 대체하여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분말을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금속분말은 평균입도 5 내지 30㎛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평균입도 범위 내에서 반응성이 우수하고, 응집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정상의 효율을 고려하여 제거가 용이한 금속판을 사용할 수 있다.
아연은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크기 때문에 황산아연침출액에 포함된 철이 아연판과 반응하면 아연판이 산화되어 아연이온의 형태로 용해되고, 철이 환원되어 아연판에 석출되어 제거가능하며, 이때 이온화된 아연은 황산아연침출액에 포함된 미량의 중금속과 시멘테이션 반응을 일으켜 석출 및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판은 미세다공이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평균포어사이즈 5 내지 50 ㎛, 공극률 30 내지 60%, 두께 0.1 내지 5mm를 갖는 금속 다공판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반응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반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때 반응분위기는 pH 4 내지 6, 온도 35 내지 60 ℃로 조성하는데, 상기 pH 및 온도조건에서 산화 및 환원 반응이 원활하게 발생된다.
또한, 반응은 1 내지 3시간 수행되는데, 반응시간이 1시간 미만이면 황산아연침출액 내에 석출되지 못한 철이 잔여할 수 있으며, 3시간을 초과할 경우, 반응시간 증가 대비 철의 제거율이 미미하기 때문에 공정 효율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강분진으로부터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은 황산아연침출액 수득단계(S100)와 제 1불순물 제거단계(S200) 사이에 황산아연침출액에 포함된 황산칼슘을 제거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강분진을 황산용액에 처리하는 과정에서 제강분진 포함된 미량의 칼슘이 황산과 반응하여 황산아연침출액 내에 황산칼슘이 형성되는데 황산칼슘은 불순물로 작용하여 고순도의 황산아연을 수득하기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건조시 균일한 형태 및 입경을 갖는 분말의 형성을 어렵게 하기 때문에 제거되어야 한다.
황산칼슘이 다량으로 형성될 때는 앙금 및 침전물의 형태로 존재하여 고액분리를 통해 제거가 용이하지만, 미량으로 존재할 때에는 고액분리가 힘든 미량의 잔사의 형태로 존재하거나 이온의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제거가 용이하지 않다.
황산칼슘을 제거가 용이한 형태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소다회를 투입하여 탄산칼슘 침전물을 형성하여 고액분리 및 제거한다.
황산아연침출액 100중량부에 소다회 0.5 내지 5 중량부를 투입하여 45 내지 85 ℃에서 30분 내지 6시간 반응시키게 된다.
이때, 소다회가 황산아연침출액 100중량부 대하여 0.5 중량부 미만으로 투입되면, 치환반응이 원활하게 발생되지 않아 황산칼슘을 탄산칼슘의 형태로 변화시키기 어렵고, 황산아연침출액 100중량부 대하여 소다회 5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소다회 증가량 대비 반응속도 증가 효과가 미미하고, 잔여하는 소다회가 불순물로 작용할 수 있고, 황산아연과 반응하여 탄산아연의 형태로 변화시켜 황산아연의 수득률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온도 미만에서는 반응성 및 반응속도가 느리고, 상기 반응온도를 초과할 경우에는 반응온도 증가 대비 반응성 증대 효과가 미미하고,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가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반응온도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시간 미만에서는 미반응 황산칼슘이 잔여하게 되며, 상기 반응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반응시간 증가 대비 소다회와 반응성 증대 효과가 미미하고, 황산용액에 포함된 칼슘 이외에 미량 금속과 반응하여 탄산염 불순물을 형성하거나, 황산아연을 탄산아연의 형태로 변화시켜 황산아연의 수득률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반응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불순물 제거단계(S300)에서는 철이 제거된 황산아연침출액에 포함된 중금속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중금속은 납, 크롬, 카드뮴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제강분진에 포함되는 중금속이라면 한정하지 않는다.
제 1실시예에 따른 제 2불순물 제거단계(S300)는 아연말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철이 제거된 황산아연침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평균입경 5 내지 50 ㎛을 갖는 아연말을 0.5 내지 5중량부 투입하여 50 내지 80 ℃에서 100 내지 150 rpm으로 30 내지 90분간 반응시켜 잔여하는 중금속과 시멘테이션 반응을 일으켜 석출시키고, 이들의 여과시킴으로써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연말은 5 내지 50 ㎛ 평균입경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데, 아연말의 평균입경이 5㎛ 미만일 경우, 응집이 발생하여 반응성이 저하되며, 50 ㎛을 초과할 경우에도 반응성이 떨어져 상기 평균입경 범위 내의 아연분말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연말은 철이 제거된 황산아연침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중량부 투입되는데, 아연말이 0.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시멘테이션 반응하지 못한 중금속이 잔여할 수 있으며, 5중량부를 초과하여 투입될 경우, 아연말 투입량 대비 중금속 제거율의 증가가 미미하며, 또한, 잔여하는 아연말이 황산아연분말의 순도 및 건조특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출된 중금속은 여과를 통해 제거되며, 중금속을 여과하는 방법은 한정하지 않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필터 프레스(filter press)를 이용할 수 있다.
필터 프레스(filter press)는 여과포 사이에 여과 대상 물질을 넣고 압력을 가하여 고액분리하는 가압 여과장치로서, 그 작동 방법은 공지된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플레이트 사이즈 700 mm, Chamber volume 200~500 ℓ/cycle, 시간당 처리속도 1.5 Ton/Hr 규격의 필터 프레스를 사용하였으며, 여과포 사이즈 50 내지 1000 mesh, 압력 2 내지 15 kgf/㎠ 하에서 여과공정이 수행되었다.
보다 상세하게는, 여과포 사이즈가 1000 mesh를 초과하면 여과포의 잦은 폐색이 발생하여 여과 효율이 저하되며, 여과포 사이즈가 50 mesh 미만이면 중금속의 여과 및 제거가 어렵기 때문에 상기 여과포 사이즈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 프레스의 압력이 2kgf/㎠ 미만이면, 중금속의 제거가 어려우며, 압력이 15 kgf/㎠를 초과할 경우에는, 압력 증가에 따른 고액 분리효율의 증대를 기대하기 힘들며,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압력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제 2불순물 제거단계(S300)는 침출액에 계면활성제를 투입하여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중금속이 흡착된 응집체를 형성시키고, 상기 응집체를 냉각침전 후 침전물을 여과시켜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중금속에 대하여 흡착성을 갖는 계면활성제로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전기적 인력을 의하여 효과적으로 양이온의 중금속을 흡착 및 응집체를 형성하여 침전분리가 가능한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카르복시산 염, 설폰산 염, 황산에스테르 염, 인산 에스테르 염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SDS),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Ammonium Lauryl Sulfate;ALS), 소듐 라우릴 에틸렌 설페이트(Sodium Lauryl Ethylene Sulfate;SLES), 리니어 알킬벤젠 설포네이트(Linear Alkylbenzene Sulfonate;LAS), 알파-올레핀 설포네이트(α-Olefin Sulfonate;AOS) 알킬 설페이트(Alkyl Sulfate; AS),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Alkyl Ether Sulfate; AES), 소듐 알칸 설포네이트(Sodium Alkane Sulfonate;SAS)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SDS)를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침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0중량부 투입되는데, 계면활성제의 투입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중금속의 흡착 및 분리수득이 어려우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함량 증대에 따른 중금속의 흡착 및 분리수득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공정 효율상 상기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는 투입한 시점부터 중금속 흡착 응집체의 분리까지는 2시간 내지 6시간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전체 반응시간 중 투입 초기(시작부터 전체 반응시간의 30%)는 30 내지 35℃에서 150 내지 300 rpm 으로 교반하여 계면활성제를 현탁액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전체 반응시간 30% 초과 내지 70% 까지는 교반을 멈추고, 상온(20 내지 25℃)에서 정치(定置)함으로써, 계면활성제의 미셸에 중금속 성분이 안정적으로 흡착되어 응집체를 형성하기 위한 시간을 가지며, 전체 반응시간 70% 초과 내지 종료시점까지는 3 내지 5℃에서 응집체를 냉각침전시키게 된다.
냉각침전된 응집체는 고액분리 및 이온교환수지 등을 이용한 여과공정을 통해 분리 및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수득된 중금속 응집체는 30 내지 50℃의 미온의 물에 용해 및 반복 수세척하여 응집체에 흡착된 중금속 성분을 분리수득하거나 부상분리 등의 공정을 거쳐 중금속 성분을 분리수득 및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분말화단계(S400)에서는 중금속이 제거된 황산아연침출액을 증발농축 및 건조하여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분말화방법은 고온건조 또는 분무건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온건조 또는 분무건조 공정 전에 황산아연침출액을 100 내지 150 ℃에서 30분 내지 12시간 증발 농축시켜, 비중 1.3 내지 1.6을 갖도록 제어하는 증발농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증발농축을 통해 잔여하는 유기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고온건조 또는 분무건조시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분무건조를 이용할 시, 증발농축을 통해 적절한 함수율 및 점도를 가짐으로써 황산아연의 분말의 형태 및 입경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분무 건조시 상기 분무건조장치는 입구온도 150 내지 170℃, 출구온도 90 내지 105℃, 분무압 5 내지 10 kPa, 열풍 공기량은 0.30 내지 0.50m3/분으로 설정되며, 상기 입구온도, 출구온도, 분무압 및 공기량 하에서, 평균입경 1 내지 100 ㎛를 갖는 구형의 황산아연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말화단계(S400)는 증발 농축물을 이용하여 분무건조용 슬러리를 제조 및 분무건조함으로서 더욱 균일한 형상 및 입경을 갖는 황산아연 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 농축물과 첨가제를 혼합하여 200 내지 700 cps를 갖도록 제어하여 분무건조용 슬러리를 제조하는 분무건조 슬러리 제조단계(S410)와 상기 분무건조 슬러리를 분무건조하는 분무건조단계(S420)를 포함한다.
분무건조 슬러리 제조단계(S410)에서는 증발 농축물에 대하여, 분산제, 결합제, 가소제, 소포제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200 내지 700 cps를 갖는 분무건조용 슬러리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 분산제는 분무건조용 슬러리의 제조시 및 분무건조시 성분들간의 응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균일한 형상 및 균일한 입도의 분말을 수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산제의 종류는 응집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면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르본산계, 나프탈렌술폰산, 인산염, 다가 알콜에스테르계, 폴리에스테르계, 아민계, 술폰산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조합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증발 농축물 100중량부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부 첨가되는데, 분산제가 0.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응집방지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고, 0.5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액적내 분산된 분말들이 건조시 액적표면으로 이동하면서 두터운 과립 표면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첨가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제는 입자들 간의 결합성을 향상시켜 점도를 향상시키게 되며, 상기 결합제는 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라면 한정하지 않으나, 구체적인 예로는, PVA, PVP, PEO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증발 농축물 100중량부 대하여 1내지 5 중량부 첨가되는데, 결합제가 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점도 향상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고, 5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분무건조 중 수분의 이동에 따라서 결합제가 과립의 표면층으로 분리되어 딱딱한 표면층을 형성하고 과립표면 내외의 압력 차이에 따라 과립의 붕괴가 발생되어 결과적으로 균일한 형상의 입자를 수득하기가 힘들게 되기 때문에 상기 첨가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분무건조용 슬러리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유리전이 온도를 낮춰 분무건조시 과립의 경계면 파괴가 용이하게 발생되도록 하여 소결성을 높이게 된다. 상기 가소제는 글리콜계, 글리세린계, 프탈레이트계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예로는, PEG, TEG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증발 농축물 100중량부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부 첨가되는데, 가소제가 0.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점도제어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고, 0.5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점도가 낮게 형성되어 입자의 입경이 작아지고, 입자들간의 응집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첨가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포제는 가소제, 결합제 등의 유기물질의 반응 및 교반에 의하여 분무건조용 슬러리 내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기포에 의한 입자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소포제의 종류는 저가알코올, 미네랄오일계, 실리콘계, 비 실리콘계 폴리머 소포제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소포제는 증발 농축물 100중량부 대하여 0.01 내지 0.3 중량부 첨가될 수 있다.
분무건조단계(S420)에서는 상기 분무건조 슬러리를 분무건조장치를 이용하여 분무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로서, 상기 분무건조장치는 입구온도 150 내지 170℃, 출구온도 90 내지 105℃, 분무압 5 내지 10 kPa, 열풍 공기량은 0.30 내지 0.50m3/분으로 설정되며, 상기 입구온도, 출구온도, 분무압 및 공기량 하에서, 평균입경 1 내지 50 ㎛를 갖는 구형의 황산망간 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다음에서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것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황산아연침출액의 수득
1-1. 제강분진의 전처리
제강분진 재활용 업체 A사로부터 제강분진(1kg)을 입수하였다.
원료의 성분분석은 XRF(MXF-2400)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성분을 분석한 결과, 하기의 표 1과 같이 측정되었다.
Figure 112018108134516-pat00001
원료와 물을 1: 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1.5N 농도의 수산화나트륨을 투입하여 pH 10 으로 유지시키면서 30분간 교반 후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ICP-OES(Varian Vista-MPX 사용)를 통해 원료의 수세전후 불순물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아연과 철 및 중금속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불순물 Cl, Na, K, Ca 은 각각 96.3%, 81.3%, 68.3% 35.7%의 감소율을 보여주었다.
불순물이 제거된 원료의 평균입경은 약 14㎛로, 황산수용액과의 반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습식볼밀장치를 이용하여 평균입경 약 7㎛로 분쇄하였다.
1-2. 황산과의 반응
황산수용액의 농도에 따른 아연의 침출률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2와 같이 침출반응을 수행하였으며, 반응완료 후 침출액을 여과시킨 후 여과물에 포함된 아연의 함유량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Figure 112018108134516-pat00002
그 결과, 농도 2N부터 여과물에 포함된 아연의 함량이 급격하게 줄어들기 시작하면서 농도 3N까지는 여과물에 포함된 아연의 함유량이 황산의 농도 증가에 따라 계속해서 감소하였으나, 3N을 초과하는 농도에서는 감소량이 미미한 것으로 보아 3N 농도를 초과하는 황산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후, 실험은 2.5N 농도의 황산수용액과 반응시킨 황산아연침출액을 사용하였다.
2. 불순물의 제거
2-1. 황산칼슘
제강분진의 전처리 공정에서 불순물 중 Ca는 pH 제어 및 수세에 의해 그 함량이 줄어들기는 하였으나 만족할만한 제거율을 보여주지 않았다. 이를 통해 반응물에 Ca이 포함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으며, Ca은 황산과 반응에서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황산칼슘을 생성하여 침전물에 존재하게 된다.
황산아연침출액에 포함된 황산칼슘잔사는 불순물로 작용하여 고순도의 황산아연 수득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건조시 균일한 형태 및 입경을 갖는 분말의 형성을 어렵게 하기 때문에 제거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황산아연침출액에 포함된 황산칼슘을 제거하기 위하여 황산아연침출액 100g당 소다회 3g을 투입하여 80 ℃에서 3시간 반응시켜 황산칼슘을 탄산칼슘앙금의 형태로 침전시킨 후 여과를 통해 탄산칼슘침전물을 제거하였다. 이후 ICP-OES(Varian Vista-MPX 사용)를 통해 Ca가 89.91%로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2. 철의 제거
황산아연침출액에 포함된 철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황산아연침출액 500ml가 남긴 비커에 7cm×10cm×5mm(가로×세로×두께)를 갖는 아연판을 투입하여 pH 5, 온도 45 ℃로 유지하며 2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또한, 아연판의 특성에 따른 철의 제거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평균포어사이즈 25㎛, 공극률 40%를 갖는 7cm×10cm×5mm(가로×세로×두께)다공성 아연판을 준비하여 동일한 반응조건 하에서 반응시켰다.
그 결과, 황산아연침출액에 포함된 철의 함량이 아연판 기준 91.5%, 다공성 아연판 기준 94.89%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아연판이 황산아연침출액에 포함된 여분의 철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며, 다공성 아연판은 공정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2-3. 중금속의 제거
황산아연침출액에 포함된 중금속(Pb, Cd, Cr)을 제거하기 위하여 아연분말을 투입하였다. 아연분말의 평균입경에 따른 중금속 제거효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평균입경크기 1, 5, 25, 50, 60, 100 ㎛의 평균입경을 갖는 아연분말을 투입하고 ICP-OES(Varian Vista-MPX 사용)를 사용하여 반응 전후의 침출액에 포함된 중금속 함량(wt%)을 확인하고 중금속 제거율(%)을 산출하였다(표 3에 기재). 아연분말은 반응여액 100g에 대하여, 3g 첨가되었으며, 반응시간은 60분이며, 반응시간 초기 30분간은 100rpm에서 교반처리하였다. 반응 후 시멘테이션 반응에 의해 형성된 결정은 (주)정도의 필터프레스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플레이트 사이즈 700 mm, Chamber volume 200ℓ/cycle, 여과포 사이즈 500 mesh, 압력 10 kgf/㎠ 하에서 여과공정이 수행되었다.
Figure 112018108134516-pat00003
그 결과, 1㎛, 60㎛ 및 100㎛ 평균입경 크기를 갖는 아연분말을 투입시 중금속 제거율이 비교적 높지 않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너무 입경이 작을 경우에는 응집으로 인하여, 입경이 클 경우에는 반응면적이 작아져 반응성이 저하되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5㎛~50㎛ 평균입경을 갖는 아연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반응 후 형성된 결정의 제거시 여과방법에 따른 중금속 결정 제거 특성을 확인하였을 때, 감압농축을 이용하여 고액분리를 하는 것보다 필터프레스를 이용하였을 때, 중금속 결정 제거효율이 약 10~40% 높게 측정되어 필터 프레스를 이용하는 것이 중금속 결정을 제거하는데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였다.
황산아연침출액 100g당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SDS(Sodium Dodecyl Sulfate)를 25g 투입하여 90분간 30℃에서 150rpm 으로 교반하고, 이후 120분간 교반을 멈추고 25℃에서 정치시켰다. 응집체가 육안으로 관찰되었으며, 형성된 응집체를 4℃에서 90분간 냉각 침전 처리하고, 상기 응집체를 MF(이노메디텍사, 5㎛)를 이용한 여과공정을 통해 제거한 후 중금속 제거효율을 확인하였다. ICP-OES(Varian Vista-MPX 사용)를 사용하여 반응 전후의 반응여액에 포함된 중금속 함량(wt%)을 확인하고 중금속의 제거율(%)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반응여액에 포함된 중금속 Pb, Cd 및 Cr의 제거효율이 각각 99.21%, 98.11%, 98.45% 로 확인되어 우수한 중금속 제거효율을 보여주었다.
3. 분말화
3-1. 고온건조
중금속이 제거된 황산아연침출액을 130℃에서 24시간 건조시켜 수분함량 10 wt%를 갖는 황산아연분말을 수득하였다(비교예 1). 수득된 혼합분말의 형태 및 평균입경분포를 확인한 결과, 각진 형상 및 플레이크상 등의 불균일한 형상을 가지며, 입도분포는 약 37㎛에서 470㎛까지 넓게 확인되었고, 평균입경크기는 82.3㎛나타냈다. 보다 균일한 형상 및 입도 분포를 갖는 황산아연분말을 얻기 위하여 분무 건조공정을 수행하였다.
3-2. 분무건조
중금속이 제거된 황산아연침출액을 130 ℃에서 3시간 증발 농축시켜 비중 1.35를 갖는 증발농축물을 수득하였다. 분무건조용 슬러리를 제조하기 위한 첨가제로, 비이온성 분산제, 결합제로 PVA, 가소제로 PEG, 소포제로 에탄올을 준비하였다.
상기 증발농축물 100g당, 분산제 0.3g, 결합제 3g, 가소제 0.3g, 소포제 0.01g을 혼합하여 25 ℃기준 점도 240 cps를 갖는 분무건조용 슬러리를 제조하였다(실시예 1). 분무건조용 슬러리는 증발농축물과 분산제를 1차로 혼합하고, 2차로 결합제 및 가소제를 투입 및 혼합한 후, 3차로 소포제를 투입하여 형성된 탈포처리하였다.
그 외 분무건조용 슬러리의 조성특성 및 분무압에 따른 분무건조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4와 같이 배합 및 설정하고, 분무건조한 후 형상과 평균입경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3은 황산칼슘을 제거하지 않은 황산아연침출액을 이용하여 분무건조슬러리를 제조한 것이다. 이때, 분무건조장치의 입구온도는 150℃, 출구온도는 100℃, 열풍공기량은 0.50m3/분으로 설정하였다.
형상의 경우, 5점 척도로 기재하였다.(Hollow spherical 입자가 ~5%으로 관찰되는 경우: 5점, Hollow spherical 입자가 ~30%으로 관찰되는 경우: 4점, Hollow spherical 입자가 ~50%으로 관찰되는 경우: 3점, 플레이크상 및 파괴입자가 ~10% 으로 관찰되는 경우: 2점, 플레이크상 및 파괴입자가 10%초과하여 관찰되는 경우:1점)
Figure 112018108134516-pat00004
실시예 1 및 2에 따른 혼합분말은 구형의 형상을 가지며, 입도분포가 각각 1.3~19.37㎛, 0.9~26.2㎛, 평균입경이 각각 9.8㎛, 9.3㎛로 확인되었으며, 순도는 99.59%로 고순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첨가제의 구성성분, 성분비 및 분무압이 형상 및 평균입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균일한 형상 및 입경을 갖는 황산아연분말을 수득하기 위하여 건조방법, 분무 건조시 조성특성 및 분무건조장치의 조건 등의 제어가 요구됨을 시사하였다.
실시예 3은 황산칼슘을 제거하지 않은 황산아연침출액을 포함하여 분무건조슬러리를 제조한 것으로 황산칼슘을 제거한 황산아연침출액을 포함하여 분무건조 슬러리를 제조한 실시예 2와 동일한 분무건조 조건 하에서 분무건조가 수행되었음에도 형상에서 Hollow spherical 입자가 관찰되었으며, 평균입경에도 영향을 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순도는 96.72%로 다소 낮게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고순도, 균일한 형상 및 미립의 황산아연분말을 수득하기 위하여 황산칼슘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제강분진으로부터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강분진에 황산용액을 투입하여 황산아연침출액을 수득하는 황산아연침출액 수득단계(S100);와
    황산아연침출액 100중량부에 소다회 0.5 내지 5중량부를 투입하여 황산칼슘을 제거하는 황산칼슘 제거단계;와
    황산칼슘이 제거된 황산아연침출액에 포함된 철을 제거하는 제 1불순물 제거단계(S200);와
    철이 제거된 황산아연침출액에 포함된 납, 크롬, 카드뮴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중금속을 제거하는 제 2불순물 제거단계(S300);와
    중금속이 제거된 황산아연침출액을 증발농축 및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분말화단계(S400);를 포함하며,
    상기 제 2불순물 제거단계(S300)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에 상기 중금속을 흡착시켜 응집체를 형성하고, 상기 응집체를 냉각침전시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강분진으로부터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산아연침출액 수득단계(S100)는
    제강분진과 2 내지 3N 농도의 황산수용액을 1 : 2 내지 3중량비로 혼합하여 30 내지 120분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강분진으로부터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불순물 제거단계(S200)는
    상기 황산아연침출액에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판을 투입하여 pH를 4 내지 6, 온도 35 내지 60 ℃로 유지하면서 1 내지 3시간 반응시켜 상기 금속판에 철을 석출시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강분진으로부터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화단계(S400)는
    중금속이 제거된 황산아연침출액을 증발농축시킨 증발 농축물에 첨가제를 투입하여 200 내지 700 cps를 갖는 분무건조용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S400);와
    상기 분무건조용 슬러리를 분무건조하는 분무건조단계(S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강분진으로부터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80132612A 2018-10-31 2018-10-31 제강분진으로부터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KR101993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612A KR101993149B1 (ko) 2018-10-31 2018-10-31 제강분진으로부터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612A KR101993149B1 (ko) 2018-10-31 2018-10-31 제강분진으로부터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149B1 true KR101993149B1 (ko) 2019-09-30

Family

ID=68098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612A KR101993149B1 (ko) 2018-10-31 2018-10-31 제강분진으로부터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14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3617A (en) * 1974-08-15 1975-12-02 Inspiration Cons Copper Electrolytic recovery of zinc
KR100326480B1 (ko) 1999-01-23 2002-11-16 (주) 상원이엔씨 아연페라이트가 함유된 제강분진으로부터 염산과 금속아연의 회수방법
KR20090034423A (ko) 2007-10-04 2009-04-08 서안켐텍 주식회사 전기로 더스트로부터 황산아연의 회수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90116A (ko) * 2010-12-30 2012-08-1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이차 더스트로부터 회수한 고순도 산화아연을 사용하는 아연도금용액 제조방법
KR101621967B1 (ko) * 2015-12-31 2016-05-19 주식회사 정수뉴테크 전기로 더스트로부터 황산아연 및 산화아연을 제조하는 방법
JP2016520411A (ja) * 2013-03-13 2016-07-14 エクステンド エナジー エルエルシーX−tend Energy, LLC 非中空の多孔性粒子を製造するための噴霧熱分解中でのスラリー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3617A (en) * 1974-08-15 1975-12-02 Inspiration Cons Copper Electrolytic recovery of zinc
KR100326480B1 (ko) 1999-01-23 2002-11-16 (주) 상원이엔씨 아연페라이트가 함유된 제강분진으로부터 염산과 금속아연의 회수방법
KR20090034423A (ko) 2007-10-04 2009-04-08 서안켐텍 주식회사 전기로 더스트로부터 황산아연의 회수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90116A (ko) * 2010-12-30 2012-08-1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이차 더스트로부터 회수한 고순도 산화아연을 사용하는 아연도금용액 제조방법
JP2016520411A (ja) * 2013-03-13 2016-07-14 エクステンド エナジー エルエルシーX−tend Energy, LLC 非中空の多孔性粒子を製造するための噴霧熱分解中でのスラリーの使用方法
KR101621967B1 (ko) * 2015-12-31 2016-05-19 주식회사 정수뉴테크 전기로 더스트로부터 황산아연 및 산화아연을 제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46800B (zh) 一种从含钨铁矿或含钨废渣中提取白钨精矿的工艺
CN103088205B (zh) 氧化铍生产工艺
KR102094398B1 (ko) 시멘트 제조 공정에서 발생되는 염소 바이패스 더스트의 재활용 방법
KR101966065B1 (ko) 산업폐기물로부터 복합미네랄을 제조하는 방법
JP2014205133A (ja) シリカ及びマグネシア抽出のためのスラグの処理方法
CN101921001A (zh) 一种从硫酸钴溶液中制备氢氧化钴的工艺
KR101979593B1 (ko) 제강분진으로부터 황산아연과 황산철의 혼합분말을 수득하는 방법
KR101993156B1 (ko) 제강분진 재활용 부산물인 조산화아연으로부터 황산아연분말을 수득하는 방법
CN112725629A (zh) 一种从钢渣中提炼有色金属及还原铁的制备方法
CN114538472B (zh) 一种垃圾焚烧飞灰脱氯制盐的方法
JP6493423B2 (ja) 亜鉛の分離方法、亜鉛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鉄材料の製造方法
RU251515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ентаоксида ванадия из ванадийсодержащего шлака.
KR101993149B1 (ko) 제강분진으로부터 황산아연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KR101966060B1 (ko) 제강분진 재활용 부산물인 철함유 슬러지로부터 황산철분말을 수득하는 방법
KR101351246B1 (ko) 슬래그로부터 유가 자원의 회수 방법
CN113060765A (zh) 一种钨原料的富氧分解工艺
CN104291362A (zh) 一种利用含钾、氯离子的固废物生产碳酸钾的方法
KR101966063B1 (ko) 제강분진, 망간폐기물 및 구리폐기물로부터 황산아연, 황산철, 황산구리 및 황산망간을 포함하는 복합 미네랄을 제조하는 방법
CN116334413A (zh) 一种三氧化二砷湿法还原制备单质砷的处理工艺
CN104445105B (zh) 一种从含碲苏打渣中富集回收二氧化碲的方法
KR101966068B1 (ko) 제강분진 재활용 부산물인 클링커로부터 황산철분말을 수득하는 방법
CN106755997A (zh) 一种含镍矿石综合利用的方法
JPH0797638A (ja) 製鉄所で発生するダスト類の処理方法
KR101968289B1 (ko) 제강분진 재활용 부산물로부터 금속납을 수득하는 방법
CN105776270B (zh) 一种铝质岩中纳米氢氧化铝的制备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