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930B1 - 필름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930B1
KR101992930B1 KR1020180074245A KR20180074245A KR101992930B1 KR 101992930 B1 KR101992930 B1 KR 101992930B1 KR 1020180074245 A KR1020180074245 A KR 1020180074245A KR 20180074245 A KR20180074245 A KR 20180074245A KR 101992930 B1 KR101992930 B1 KR 101992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late
fixing plate
support plat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텍
Priority to KR1020180074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930B1/ko
Priority to PCT/KR2019/007423 priority patent/WO202000486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지지플레이트, 지지플레이트의 일면에 이격 배치되어 필름을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 고정플레이트의 일측에 필름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일방향 롤링을 통하여 필름을 이동시키며 대상물에 가압하는 필름부착수단, 지지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 설치되어 고정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조절수단, 고정플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대상물의 형상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형상인식부 및 감지신호 수신하고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조절수단에 출력하여 고정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필름 부착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필름 부착장치{DEVICE OF ATTACHING FILM}
본 기술은 필름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곡면의 외형을 가지는 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지지플레이트의 높이가 변화되어 곡면의 외형에 필름을 자동으로 부착할 수 있는 필름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는 과거 TV, 모니터 등을 주로 지칭하는 의미였으나, 최근에는 기술발전을 통하여 휴대폰, 차량의 계기판 표시,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장치를 지칭하는 의미로 확장되었으며 최근에는 박형이며, 경량화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위주로 급격히 변화되고 있다.
기존에 디스플레이는 평판 디스플레이(FDP)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표시장치(OLED: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등으로 평판형의 글라스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 이었으나, 유연성이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경우 기존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기에보다 잘 휘어지면서 안전성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에 대한 업계의 관심과 연구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유연하기 때문에 임의로 휘어지는 것만 의미하지 않고, 휘어지지는 않지만 디스플레이 표면 자체가 직선이 아닌 다양한 곡선을 구비하는 것도 포함하여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곡선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는 설치장소가 보다 폭넓게 적용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차량에 설치되는 일체형 디스플레이가 곡선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형상의 기기들이 개발되어 새로운 심미감과 기능성을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곡선의 디스플레이에는 필름이 부착되는데 현재에는 디스플레이의 곡면의 형상을 연산하고, 이에 따라 필름을 고정하는 플레이트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의 경우, 디스플레이의 곡면의 형상을 연산하여 필름이 고정된 플레이트의 위치를 연산하여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모된다. 따라서 다양한 형상의 디스플레이에 필름을 자동으로 부착하기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국내 등록특허 등록번호 "10-1637947" "곡면 글라스의 필름 부착방법 및 부착장치" 국내 등록특허 등록번호 "10-1735538"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필름 합착장치"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곡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에 필름을 부착시키기 위하여 필름이 고정된 플레이트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연산에 소모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필름 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으로 필름이 고정된 플레이트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연산을 수행하므로, 다양한 곡면 형상에 대응 가능한 필름 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이 디스플레이에 부착 시 기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필름 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인 필름 부착장치는 지지플레이트, 지지플레이트의 일면에 이격 배치되어 일면에는 필름이 배치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측에 상기 필름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상기 필름을 이동시키며 대상물에 상기 필름을 부착하는 필름부착수단,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의 이격된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조절수단,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대상물의 형상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형상인식부 및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조절수단에 출력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조절수단은 설정된 경사를 가지고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판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에 따라 상기 지지판이 이동되도록 동력을 인가하는 동력인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동력인가부는 일방향으로 배치된 모터샤프트와 상기 모터샤프트에 설치된 제1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제2기어가 상기 제1기어와 이격되고, 상기 모터샤프트와 적어도 교차되지 않는 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에는 연결벨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플레이트가 상기 지지판과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지지판의 경사진 면에 배치되는 동작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필름부착수단에 인접된 일측이 타측보다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설정된 각도로 경사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고정플레이트에는 압력형성부가 연결되어 부압이 형성되는 홀이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필름은 상기 홀에 형성된 압력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상기 압력형성부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에 형성되는 압력을 적어도 동일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일측은 수직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흰지 연결되도록 힌지연결수단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힌지연결수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서 타측에서 설정된 높이를 가지며 제1관통홀이 형성된 제1브라켓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타측에서 상기 제1관통홀과 매칭되며 배치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된 제2브라켓과, 상기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각도로 상기 연결부를 회전시키는 힌지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형상인식부가 먼저, 형상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고정플레이트의 위치를 연산하므로, 곡면의 위치에 따른 고정플레이트의 연산에 소모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형상인식부가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곡면의 형상을 자동으로 인식하므로, 다양한 곡면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힌지연결수단을 포함하므로, 필름이 디스플레이에 부드럽게 부착될 수 있어서 필름과 디스플레이 사이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도록 부착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필름 부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필름 부착장치의 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필름 부착장치의 일부 분해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필름 부착장치의 고정플레이트의 하부의 일부 구성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필름 부착장치의 힌지연결수단을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a)와 (b)는 본 발명인 필름 부착장치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며 필름을 디스플레이에 부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하지 않았다. 디스플레이는 별도의 지그에 의하여 고정되고, 고정플레이트(200)의 상면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도 5는 (a)와 (b)는 본 발명인 필름 부착장치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며 필름을 디스플레이에 부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통하여 필름 부착장치가 필름이 디스플레이에 부착되는 것을 설명하겠다. 여기서, 도 5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정플레이트(200)와 지지플레이트(100)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는 것은 도시하지 않았다.
그러나 제어부가 조절수단(30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의 굴곡진 형상에 따라 지지플레이트(100)와 고정플레이트(200) 사이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변경한다.
본 발명인 필름 부착장치는 하부에 이동암부에 연결되어 일방향으로 설정된 속도를 가지고 이동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00)에는 필름이 고정되어 있다. 필름부착수단(400)은 필름을 필름 부착장치가 이동하는 일방향과 반대방향인 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서 필름을 디스플레이 측으로 가압하여 필름과 디스플레이를 부착시킨다. 여기서, 필름이 고정플레이트(200)와 맞닿지 않은 면에는 부착수단(일예시로 양면테이프 등)이 형성되어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이와 동시에 고정플레이트(200)와 지지플레이트(100) 사이의 위치가 조절수단(300)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화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이 동작되는 필름 부착장치의 각 구성을 세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필름 부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필름 부착장치의 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필름 부착장치의 일부 분해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필름 부착장치의 고정플레이트의 하부의 일부 구성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필름 부착장치의 힌지연결수단을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인 필름 부착장치는 형상인식부(700), 제어부, 지지플레이트(100), 고정플레이트(200), 조절수단(300), 필름부착수단(400), 압력형성부(500), 힌지연결수단(600)을 포함한다.
형상인식부(700)는 지지플레이트(100)의 둘레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형상인식부(700)는 일예시로 하우징과 탐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에는 디스플레이의 형상을 금형을 통하여 인지하고, 이를 통하여 필름이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200)의 위치(상, 하)를 연산하고, 이 연산을 바탕으로 고정플레이트(20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식을 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일일이 디스플레이의 외형에 맞춰 그 연산되는 값을 입력하여야 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리고 다양하게 변화되며 개발되는 디스플레이의 형상의 변화 발전을 따라잡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인 필름 부착장치는 형상인식부(700)를 통하여 이를 해결한다. 지그에 디스플레이를 고정하고 고정플레이트(200)의 상면으로 공급하기 전 금형을 고정하고 필름 부착장치에 공급한다.
형상인식부(700)의 하우징은 고정플레이트(200)의 둘레면, 보다 정확하게는 필름부착수단(400)과 인접한 둘레면에 설치된다. 탐침은 하우징에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탐침은 금형의 외형에 따라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된다. 형상인식부(700)는 탐침이 인입된 정도에 따라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일예시적으로 금형이 "U"의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금형이 지나감에 따라 탐침은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고, 외부로 다시 인출된다. 이 인입되고 인출된 정도에 따라서 금형의 형상이 인지될 수 있다. 생성된 감지신호는 제어부로 전송된다.
제어부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금형를 통하여 제조될 디스플레이의 형상을 인지하고,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조절수단(300)을 통하여 고정플레이트(200)의 위치를 변화시킨다.
지지플레이트(100)는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부에 조절수단(300), 힌지연결수단(600), 고정플레이트(200)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00)의 하부에는 별도의 브라켓이 설치되고, 하부에 배치된 메인플레이트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00)의 하부에 설치된 브라켓은 리니어가이드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된 모터의 회전동력을 수신하고, 그에 따라 리니어가이드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200)는 제1고정플레이트(210), 제2고정플레이트(220), 동작롤러(230)를 포함한다.
제1고정플레이트(210)는 제2고정플레이트(220)의 상면에 매칭되어 배치된다. 제1고정플레이트(210)와 제2고정플레이트(220)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다. 복수홀은 각각 그 개수가 상이하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1고정플레이트(210)에는 복수개의 제1홀(211)이 같은 간격으로 설정된 면적에 여러 가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고정플레이트(220)에는 이와 매칭되지 않도록 소수개의 복수의 제2홀(212)이 형성된다.
제2고정플레이트(220)의 제2홀(212)에는 압력형성부(500)가 삽입될 수 있다. 압력형성부(500)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통하여 압력의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압력형성부(500)는 일예시로 공압 노즐일 수 있다. 또는 공압 노즐에 연결된 고무관일 수 있다. 압력형성부(500)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필름이 디스플레이에 부착되면 압력을 약하게 형성하며, 그렇지 않은 압력형성부(500)는 압력을 강하게 형성한다.
일예시로 도 5를 통하여 이를 설명하면 필름이 디스플레이에 부착되는 필름부착수단(400) 측에 인접한 복수의 제2홀(212)에 압력을 가하는 압력형성부(500)는 압력을 약하게 형성하고, 필름부착수단(400) 측에서 원거리에 배치된 복수의 제2홀(212)에 압력을 가하는 압력형성부(500)는 압력을 강하게 형성한다.
즉, 제어부는 필름이 디스플레이에 부착되도록 압력형성부(500)가 형성하는 압력을 필름부착수단(400) 측은 강하게, 원거리는 약하게 형성하도록 압력을 제어한다.
한편, 제2고정플레이트(220)의 제2홀(212)과 제1고정플레이트(210)의 제1홀(211)은 대응되지 않는데, 이는 제2고정플레이트(220)의 제2홀(212)을 통하여 압력형성부(500)가 압력을 형성하면 설정된 면적에 같은 간격으로 형성된 제1고정플레이트(210)의 설정된 개수의 제1홀(211)을 커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예시로, 하나의 제2고정플레이트(220)의 제2홀(212)에 압력이 형성된 경우 제1고정플레이트(210)의 15개의 제1홀(211)에 압력이 균등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제2고정플레이트(220)에 제2홀(212)을 제1고정플레이트(210)의 제1홀(211)과 대응시켜 형성하지 않아도 충분히 필름을 고정할 수 있는 압력을 형성된다.
고정플레이트(200)는 설정된 경사각도를 가지고 배치된다. 도 2를 통하여 이를 확인하면 고정플레이트(200)는 좌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고정플레이트(200)는 조절수단(300)의 의하여 지지플레이트(100)와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되, 필름이 디스플레이에 부착되는 고정플레이트(200)의 타측이 일측보다 항상 지지플레이트(100) 사이의 거리가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필름부착수단(400) 측의 필름만이 필름부착수단(40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와 부착될 수 있다.
일예시로 도 5를 통하여 이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가 "U"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라고 가정하고, 지지플레이트(100)가 경사져 형성되지 않고 평평한 형상이라고 가정하고, 필름 부착장치가 도 5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정하면 "U" 형상의 디스플레이의 우측에 필름을 부착하려고 고정플레이트(200)가 지지플레이트(100) 사이의 거리가 커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의 좌측이 우측보다 아래에 위치되기 때문에 필름부착수단(400)에 의하여 필름이 디스플레이부로 가압되어 부착되는 부분 이외에 부분이 디스플레이와 맞닿아 부착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필름 부착장치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플레이트(200)가 경사져 형성된다.
고정플레이트(200)는 필름부착수단(400)과 인접된 측은 별도의 프레임을 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상, 하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그렇지 않은 측은 힌지연결수단(600)을 통하여 지지플레이트(100)와 연결된다. 한편, 지지플레이트(100)는 고정플레이트(200)의 필름부착수단(400)과 인접된 측이 수평이 유지되도록 메인플레이트를 슬라이드 이동하며 이동될 수 있다.
동작롤러(230)는 고정플레이트(200)의 하부에 설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2고정플레이트(220)의 하부에 설치된다. 동작롤러(230)는 조절수단(300)에 배치된다.
동작롤러(230)는 조절수단(300)의 동작에 따라서 조절수단(300) 위를 롤링하며 이동하여 고정플레이트(200)와 지지플레이트(100) 사이 거리를 조절한다.
지지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조절수단(300)이 설치된다. 조절수단(300)은 지지플레이트(100)와 고정플레이트(200) 사이에 설치된다.
조절수단(300)은 지지판(310), 동력인가부(320), 가이드부(330), 연결벨트를 포함한다.
지지판(310)의 상면은 일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된다. 지지판(310)의 상면에는 동작롤러(230)가 설치된다. 지지판(310)은 경사져 형성돼 있으므로 동작롤러(230)가 지지판(310)에 배치되어 있어서 지지판(310)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된다면 고정플레이트(200)의 높이는 변화될 것이다.
도 2를 통하여 조절수단(300)을 통하여 고정플레이트(200)와 지지플레이트(100)의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동력인가부(320)는 제1기어(321), 모터(322), 모터샤프트를 포함한다.
동력인가부(320)는 지지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설치된다. 동력인가부(320)의 모터(322)와 모터샤프트는 설정된 형상의 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 커버 내부에는 모터(322)의 샤프트와 제1기어(321)가 배치된다.
모터(322)는 미도시된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는 모터(322)를 동작시킨다. 모터(322)는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모터샤프트를 회전시킨다. 모터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제1기어(321)도 회전 동작된다.
가이드부(330)는 지지플레이트(100)의 상면에서 동력인가부(320)와 교차되지 않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330)는 제2기어(331), 가이드샤프트, 가이드플레이트(332)를 포함한다.
가이드샤프트는 지지플레이트(100)의 일측과 타측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가이드샤프트는 충분한 길이를 가지고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샤프트의 일측에는 제2기어(331)가 설치된다. 제2기어(331)와 제1기어(321)의 둘레에는 연결벨트(340)가 설치된다. 따라서 모터샤프트의 회전이 제1기어(321), 연결벨트(340)를 통하여 제2기어(331)로 전달된다. 가이드샤프트에는 가이드플레이트(332)가 설치된다.
가이드플레이트(332)는 가이드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일예로 가이드플레이트(332)는 가이드샤프트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일측으로 이동되고,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타측으로 이동된다.
가이드플레이트(332)에는 지지판(310)이 설치된다. 지지판(310)은 가이드플레이트(332)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지지판(310)이 가이드플레이트(332)에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고정플레이트(200)와 지지플레이트(100) 사이는 변경될 수 있다.
일예시로 도 3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플레이트(200)의 하면에는 동작롤러(230)가 배치되고, 이 동작롤러(230)는 도 2에 도시된 지지판(310)의 경사진 상면에 배치된다. 동력인가부(320)의 모터(322)가 동작되면 가이드플레이트(332)가 이동되고, 이에 따라 지지판(310)이 이동된다. 동작롤러(230)는 지지판(310)의 상면의 경사를 따라서 롤링하며 이동한다. 이에 따라 고정플레이트(200)와 지지플레이트(100) 사이의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절수단(300)의 동작에 따라 고정플레이트(200)와 지지플레이트(100)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며 필름부착수단(400)은 계속 동작하며 필름을 타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가압하여 디스플레이에 필름을 부착시킨다.
필름부착수단(400)은 주롤러(410), 부롤러(420)를 포함한다.
주롤러(410)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이는 부롤러(420)의 설정된 길이보다 작지 않은 길이를 가진다. 주롤러(410)는 양측이 프레임이 고정되어야 한다. 양측이 프레임에 고정된 주롤러(410)는 안정적으로 회전을 하며 고정플레이트(200)의 상면에 고정된 필름을 타측으로 이동시키며 가압하여 필름을 상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부롤러(420)는 주롤러(410)와 적어도 설정된 면이 맞닿도록 형성되고 부롤러(420)는 주롤러(410)의 회전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위와 같은 조절수단(300)의 동작에 따라 고정플레이트(200)의 상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지지플레이트(100)가 메인플레이트의 상면을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고정플레이트(200)는 힌지연결수단(600)을 통하여 지지플레이트(100)와 연결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고정플레이트(200)의 일측은 지지플레이트(100)의 일측과 힌지연결수단(600)을 통하여 연결된다.
고정플레이트(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플레이트(200)의 타측에서 필름부착수단(400)을 통하여 필름을 디스플레이에 부착한다. 고정플레이트(200)의 경사진 형태는 디스플레이의 굴곡진 형태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필름을 부착시킬 수 있지만 필름의 단부가 디스플레이에 부착될 때 기포가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는 필름이 디스플레이 사이와 멀어져서 필름이 급격하게 디스플레이 측으로 이동되며 부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름의 단부가 부착될 때 고정플레이트(200)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를 좁혀서 부착되는 위치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인 필름 부착장치는 힌지연결수단(600)을 통하여 고정플레이트(200)의 경사진 각도를 완만하게 변경하므로 이를 가능하게 한다.
힌지연결수단(600)은 제1관통홀(611)이 형성된 제1브라켓(610), 제2관통홀(621)에 형성된 제2브라켓(620), 연결부(630) 및 힌지동력부(640)를 포함한다.
제1브라켓(610)은 지지플레이트(100)의 일측 상면에 설치된다. 제1브라켓(610)은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양측이 지지플레이트(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플랜지부에서 돌출된 바디부가 형성된다. 바디부에는 제1관통홀(611)이 형성된다.
제1브라켓(610)은 위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정된 높이를 가지며 형성된다. 이는 지지플레이트(100)의 상면에 배치되는 조절수단(300)과 그 위에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100)의 설치구조를 방해하지 않는다.
한편, 제2브라켓(620)도 제1브라켓(6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플레이트(20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다. 즉, 제2브라켓(620)도 플랜지부를 통하여 고정플레이트(200)에 설치되며, 바디부에 제2관통홀(621)이 형성된다.
제1브라켓(610)의 제1관통홀(611)과 제2브라켓(620)의 제2관통홀(621)은 매칭되며 배치된다. 그리고 제1관통홀(611)과 제2관통홀(621)에는 연결부(630)가 배치된다. 연결부(630)는 일예시로 설정된 형상의 봉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힌지동력부(640)와 연결된다. 힌지동력부(640)는 일예시로 모터일 수 있다.
제2브라켓(620)은 제1브라켓(610)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제2브라켓(620)의 외측에는 힌지동력부(640)가 배치된다. 힌지동력부(640)가 고정되는 프레임은 미도시하였다. 연결부(630)는 제1브라켓(610)과 제2브라켓(620)을 연결하며 힌지동력부(640)의 동작에 따라 설정된 각도로 회전된다.
힌지동력부(640)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감지신호를 통하여 수신하여 인지한 디스플레이의 곡면의 형상 중 마지막 부분에 필름이 부착될 때 힌지동력부(640)를 동작 시킬 수 있다.
제1브라켓(610)의 제1관통홀(611)에는 베어링이 설치된다. 연결부(630)는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브라켓(620)은 연결부(630)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제1브라켓(610)의 외측에서 가해지는 회전동력은 제2브라켓(6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2브라켓(620)은 설정된 각도로 회전되려고 하고, 이를 통하여 고정플레이트(200)의 일측의 각도로는 힌지동력부(640)가 가하는 회전동력에 따라 변경되어 경사가 완만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플레이트(100)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는 좁혀지게 되어 필름의 단부가 디스플레이에 부착될 때 기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지지플레이트
200 : 고정플레이트 210 : 제1고정플레이트
211 : 제1홀 212 : 제2홀
220 : 제2고정플레이트 230 : 동작롤러
300 : 조절수단 310 : 지지판
320 : 동력인가부 321 : 제1기어
322 : 모터 330 : 가이드부
331 : 제2기어 332 : 가이드플레이트
340 : 연결벨트
400 : 필름부착수단
410 : 주롤러 420 : 부롤러
500 : 압력형성부
600 : 힌지연결수단 610 : 제1브라켓
611 : 제1관통홀 620 : 제2브라켓
621 : 제2관통홀 630 : 연결부
640 : 힌지동력부
700 : 형상인식부

Claims (10)

  1.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면에 이격 배치되어 일면에는 필름이 배치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측에 상기 필름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상기 필름을 이동시키며 대상물에 상기 필름을 부착하는 필름부착수단;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되 설정된 경사를 가지고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에 일방향으로 배치된 모터샤프트와 상기 모터샤프트에 연결된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판을 이동시킬 수 있는 가이드샤프트를 포함하는 조절수단;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를 연결하는 연결밸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지지하되 상기 지지판이 이동되면 상기 지지판의 이동에 따라 롤링되는 동작롤러;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대상물의 형상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형상인식부; 및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조절수단에 출력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필름 부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필름부착수단에 인접된 일측이 타측보다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설정된 각도로 경사져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부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에는
    압력형성부가 연결되어 부압이 형성되는 홀이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필름은 상기 홀에 형성된 압력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부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형성부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에 형성되는 압력을 적어도 동일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부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일측은 수직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힌지연결되도록 힌지연결수단으로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부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수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서 타측에서 설정된 높이를 가지며 제1관통홀이 형성된 제1브라켓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타측에서 상기 제1관통홀과 매칭되며 배치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된 제2브라켓과, 상기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부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각도로 상기 연결부를 회전시키는 힌지동력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부착장치.
KR1020180074245A 2018-06-27 2018-06-27 필름 부착장치 KR101992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245A KR101992930B1 (ko) 2018-06-27 2018-06-27 필름 부착장치
PCT/KR2019/007423 WO2020004864A1 (ko) 2018-06-27 2019-06-20 필름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245A KR101992930B1 (ko) 2018-06-27 2018-06-27 필름 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930B1 true KR101992930B1 (ko) 2019-06-25

Family

ID=6706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245A KR101992930B1 (ko) 2018-06-27 2018-06-27 필름 부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2930B1 (ko)
WO (1) WO202000486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5565A (ja) * 1995-03-16 1996-10-01 Sony Corp 面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と陰極線管製造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150118317A (ko) * 2014-04-14 2015-10-2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필름 부착장치
KR101637947B1 (ko) 2014-04-02 2016-07-21 주식회사 티에스티 곡면 글라스의 필름 부착방법 및 부착장치
KR101735538B1 (ko) 2015-07-07 2017-05-15 (주) 피엔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필름 합착장치
KR101760623B1 (ko) * 2016-11-01 2017-07-21 주식회사 미래엔지니어링 전자기기용 액정패널의 외부충격 파손 방지용 액정패널 운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6370B2 (ja) * 2006-06-12 2012-11-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フィルム貼付け方法
KR102208089B1 (ko) * 2015-05-27 202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편광필름 부착 시스템 및 편광필름 부착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5565A (ja) * 1995-03-16 1996-10-01 Sony Corp 面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と陰極線管製造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1637947B1 (ko) 2014-04-02 2016-07-21 주식회사 티에스티 곡면 글라스의 필름 부착방법 및 부착장치
KR20150118317A (ko) * 2014-04-14 2015-10-2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필름 부착장치
KR101735538B1 (ko) 2015-07-07 2017-05-15 (주) 피엔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필름 합착장치
KR101760623B1 (ko) * 2016-11-01 2017-07-21 주식회사 미래엔지니어링 전자기기용 액정패널의 외부충격 파손 방지용 액정패널 운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04864A1 (ko)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6558B1 (ko)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CN109074766B (zh) 显示装置
US10105943B2 (en) Lamination apparatus and la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CN107015675B (zh) 基板贴合装置及方法
KR101668081B1 (ko) 곡면형 윈도우 글래스에 플렉시블 소재 합착장치
US10599260B1 (en) System and methods for exterior vehicle display
US20180178499A1 (en) Bonding Apparatus
CN105047084A (zh) 可调显示装置及其在平面模式和弯曲模式下的驱动方法
US11132019B1 (en) Display apparatus
KR101992930B1 (ko) 필름 부착장치
KR20160050949A (ko) 커브형 글라스의 필름 부착장치
KR20140056669A (ko) 라미네이팅 장치
TW200500765A (en) Rubbing apparatus and method,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KR101056093B1 (ko) 미세갭조절장치가 구비된 슬롯다이를 이용한 코팅장치
CN109212798A (zh) 液晶屏气浮定位机构
CN106697949B (zh) 基板传送装置、传送基板的方法
KR101833883B1 (ko)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
KR20080051749A (ko) 거치대용 길이조절장치
CN108327231B (zh) 弯折装置
KR102252622B1 (ko) 디스플레이용 라미네이팅 장치
KR101834569B1 (ko) 곡면패널의 균일도 측정장치 및 곡면패널의 균일도 측정방법
KR20150029276A (ko) 라미네이트 시스템
KR20170006037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필름 합착장치
DE602004011173D1 (de) Halterung für aussen angebrachtes Reserverad
KR20140047788A (ko) 라미네이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