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679B1 - Beverage vessel having straw - Google Patents

Beverage vessel having stra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679B1
KR101992679B1 KR1020180122780A KR20180122780A KR101992679B1 KR 101992679 B1 KR101992679 B1 KR 101992679B1 KR 1020180122780 A KR1020180122780 A KR 1020180122780A KR 20180122780 A KR20180122780 A KR 20180122780A KR 101992679 B1 KR101992679 B1 KR 101992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ner container
outer container
suction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7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종석
공석준
Original Assignee
공석준
오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석준, 오종석 filed Critical 공석준
Priority to KR1020180122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6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679B1/en
Priority to PCT/KR2019/012799 priority patent/WO202008070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6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w integrated type beverage container, more specifically, the container comprising: an external container; an internal container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external container and forming a beverage outlet at one side of a lower part on a side surface part adjacent to the bottom part; and a straw including a body part with a pipe shape vertically sealed between the external container and internal container by coupling the external container to the internal container, a lower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beverage output at a lower end of the body part, and a suction part arrang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part and protruding toward an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external container and internal container, wherein the beverage within the internal container, by suction of the suction unit, flows to the suction unit via the beverage output and the body unit. Therefore, the straw is formed at the beverage container itself when the internal container is coupled to the external container to eliminate the need for a disposable straw and to be eco-friendly, and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straw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internal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external container to be easily cleaned and to enable a user to visually check the cleanliness.

Description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BEVERAGE VESSEL HAVING STRAW}{BEVERAGE VESSEL HAVING STRAW}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결합하면 음료용기 자체에 빨대가 형성됨으로써, 일회용 빨대의 사용이 불필요하여 친환경적이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분리하면 빨대의 각 구성부분이 분리된 채로 외부에 노출되므로 세척이 용이함은 물론,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청결상태를 직접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는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container in which a straw is formed in a beverage container itself by combining an inner container and an outer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w-integrated beverage container which can be easily cleaned and can be directly used by a user to directly check the cleanliness of the beverage container.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음료수나, 카페에서 판매하는 1회용 용기 또는 반복적인 사용을 위한 텀블러 등과 같은 각종 음료용기는, 1회용 빨대가 내장되어 있거나 사용시 1회용 빨대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Generally, various kinds of beverage containers such as drinks sold in the market, disposable containers sold in cafes, or tumblers for repeated use are generally used in which disposable straws are incorporated or disposable straws are inserted in use .

그런데, 매장에서 판매되는 빨대 삽입형 음료수의 경우에는 빨대 주변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유통되므로 이물질에 의한 오염가능성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고, 카페에 비치된 1회용 빨대는 포장 없이 비치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위생상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drinking straws that are sold in store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traw is exposed to the outside because the periphery of the straw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drinking straw is contaminated by foreign substances. Then there is a hygiene problem.

이와 동시에, 최근 자원낭비 및 환경오염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1회용 빨대 자체의 사용을 자제하거나 금지하고 있는 추세이다. At the same time, as the interest in resource wasting and environmental pollution has increased recently, the use of the disposable straw itself is inhibited or prohibited.

이를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137737 "빨대가 내장된 컵"에는 음료용기 자체에 빨대를 내장하여 제공하는 것이 공지된 바 있다. For this purpose,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3-0137737 entitled "Cup with straws"

그러나, 상기의 경우에도 빨대는 좁은 관 형상으로 되어 있어 이를 세척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내장 빨대를 일회용으로 제작하여 교체하는 경우에는 여전히 1회용 빨대의 사용과 관련된 위생 및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다. However, even in the above case, since the straw has a narrow tubular shape, it is difficult to repeatedly use the straw because it is difficult to clean the straw. In case of replacing the built straw with a disposable straw, And environmental pollu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13773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3773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결합하면 음료용기 자체에 빨대가 형성되어 음료를 마실 수 있으므로, 별도의 빨대가 필요하지 않으며, 일회용 빨대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친환경적인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aw-based beverage drink which is free from the need to use a disposable straw because a straw is formed in the beverage container itself by combining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It is in providing the courag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분리하면 빨대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매우 쉽게 세척이 가능함은 물론,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세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aw-integrated beverage which can be easily cleaned because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straw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in providing the courag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결합되며, 바닥부와 인접한 측면부의 하부 일측에 음료유출구가 형성되는 내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 및 내부용기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외부용기와 내부용기 사이에 상하로 밀폐된 관 형상을 이루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으로 상기 음료유출구와 연통되는 하단개구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에 마련된 상기 외부용기 및 내부용기의 일측 상부으로 돌출된 흡입부를 갖는 빨대;를 포함하여, 상기 흡입부의 흡입에 의하여 상기 내부용기 내부의 음료가 상기 음료유출구, 상기 몸통부를 거쳐 상기 흡입부로 유출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This object is achie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ner container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container and having a beverage outlet formed at a lower side of a side portion adjacent to the bottom; A tubular body having a tubular shape sealed up and down between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by engagement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a lower end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beverage outlet at the lower end of the torso, And a straw having a suction portion protruded to one upper side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so that the beverage inside the inner container can flow out to the suction portion through the beverage outlet and the body by the suction of the suction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straw-integrated beverage container.

여기서, 상기 몸통부는 상기 음료유출구의 양측으로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 또는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고정돌기와, 일단은 상기 각 고정돌기에 삽입되며 타단은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 또는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면 중 다른 하나로 연장되어 상기 몸통부를 형성하는 탄성밀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either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ontainer or the out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to both sides of the beverage outlet, the one end being inserted into each of the fixing protrusions, And an elastic sealing member extending to the other of the inner side surface or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to form the body portion.

또는, 상기 탄성밀폐부재의 타단에 대응하는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 또는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면에는 상기 탄성밀폐부재의 타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or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seal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sealing member is inserted.

또는, 상기 몸통부는 상기 음료유출구의 양측으로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 또는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1돌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 또는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면 중 다른 하나에서 돌출되어 상기 각 제1돌기와 결합되어 밀폐된 상기 몸통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2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body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projections projecting from either one of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ontainer or the out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to the other side of the beverage outlet,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other one of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container and joined with the respective first protrusions to form the sealed body portion.

또는, 상기 몸통부는 상기 음료유출구의 양측으로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 또는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밀폐돌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 또는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면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각 밀폐돌기의 단부가 삽입되어 밀폐된 상기 몸통부를 형성하는 밀폐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body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aling projections projecting in either direction from either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ontainer or the out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to either side of the beverage outlet, And the seal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other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sealing protrusions to form the hermetically sealed body by inserting the ends of the sealing protrusions.

한편, 상기 외부용기 및 내부용기의 상부를 덮는 용기뚜껑을 더 포함하되, 상기 흡입부는 상기 몸통부가 상기 외부용기 및 내부용기 상부로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용기뚜껑에는 상기 흡입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마련되거나, 상기 흡입부는 상기 용기뚜껑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흡입부의 하부가 상기 몸통부의 상단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흡입부의 일측은 상기 외부용기가 상기 몸통부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흡입부의 타측은 상기 용기뚜껑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뚜껑이 상기 외부용기의 상부에 결합될 때 상기 흡입부가 형성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The container further includes a container lid which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The suc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body extended from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container lid is provided with through- Or the suction part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container lid and the lower part of the suction part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or the one side of the suction part extends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of the suction part, And the suction portion is formed when the container lid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한편, 상기 하단개구부는 상기 음료유출구의 하부에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 또는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몸통부의 바닥을 밀폐하는 바닥밀폐면이 형성될 수 있다. The bottom opening may be a bottom sealing surface protruding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or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at a lower portion of the beverage outlet to seal the bottom of the body.

상기 외부용기의 바닥면 중앙에는 상기 내부용기가 삽입되는 관통부가 마련되어 상기 내부용기의 하부가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며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통부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내부용기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The bottom of the outer container may have a penetration portion through which the inner container is insert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may be inserted into the penetration portion. In this case, a stopper for limi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inner container may be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penetration portion.

또는, 상기 내부용기의 바닥부는 상기 내부용기의 측면부보다 넓게 마련되고, 상기 외부용기는 바닥부가 없는 통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외부용기의 측면부 단부가 상기 내부용기의 바닥부에 결합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bottom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may be wider than the side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out a bottom portion so that the side end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한편,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 또는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내부용기가 상기 외부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면과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 사이에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간격유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inner container is coupled to the outer container, an interval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is maintained at any on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or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A gap maintaining portion may be provid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결합하면 음료용기 자체에 빨대가 형성되어 음료를 마실 수 있으므로, 별도의 빨대가 필요하지 않으며, 일회용 빨대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친환경적이다. Therefore, when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are combined, the straw can be formed in the beverage container itself, so that no separate straw is required, and there is no need to use the disposable straw, which is environmentally friendly .

또한,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분리하면 빨대의 각 구성부분이 분리된 채로 외부에 노출되므로 세척하는 것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청결상태를 직접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the straw are separat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it is very easy to clea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의 단면도,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몸통부 형성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용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의 요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용기의 내측의 요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결합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단면도이다.
1 is a sectional view of a straw-integrated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to 4 illustrate a trunking structur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elevational view of a container li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of the out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gaging cross-sectional view of an inner container and an outer contain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tional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1)는, 외부용기(20)와, 내부용기(30)와, 외부용기(20) 및 내부용기(30)의 결합에 의하여 밀폐된 관 형상을 이루는 빨대(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외부용기(20) 및 내부용기(30)의 상부를 덮는 용기뚜껑(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 a straw-integrated beverage contai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container 20, an inner container 30, a combination of the outer container 20 and the inner container 30, Shaped straw 50 that is closed by a pipe. Here, the container 10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container 20 and a container lid 10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30.

이하, 각 구성별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외부용기(20)는 일반적인 형태의 컵과 같은 음료용기의 외관으로 마련된다. The outer container 20 is provided with the appearance of a beverage container such as a cup in the general form.

외부용기(20)는 공지된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마련될 수 있는 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상단부의 단면은 더 크고 하단부의 단면은 상대적으로 좁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The outer container 2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as known in the art. As shown in FIG. 1, the outer container 20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outer container 20 may have a larger upper end section and a lower end section. .

또한,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 등 제한 없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Needless to say, the cross section may be provided without limitation such as a circular shape or a polygonal shape.

이 경우, 후술할 내부용기(30)는 외부용기(20)의 형상이나 크기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또한, 내부용기(30)의 단면은 후술한 빨대(50)를 형성할 수 있는 한, 외부용기(20)의 단면과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단면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In this case, the inner container 30 to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outer container 20.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inner container 30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cross section of the outer container 20 as long as the straw 50 described later can be formed.

내부용기(30)는, 외부용기(20)의 내부에 결합되며, 바닥부(35)와 인접한 측면부의 하부 일측에 음료유출구(31)가 형성된다. The inner container 3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container 20 and the beverage outlet 31 is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side portion adjacent to the bottom portion 35.

음료유출구(31)는 내부용기(30) 내부에 담겨진 음료가 후술할 빨대(50)로 유출되는 통로로서,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내부용기의 바닥부(35)와 인접한 일측에 관통홀 형상으로 마련된다. The beverage outlet 31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inner container 30 flows out to the straw 50 to be described later. Referring to FIGS. 1 and 5, And is formed in a hole shape.

음료유출구(31)의 위치는 내부용기(30)에 담겨진 음료가 남김 없이 유출이 가능한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예를 들어, 바닥부(35)의 일부에 걸쳐 또는 바닥부(35)에 접하여 또는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of the beverage outlet 31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beverage can be discharged without remaining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inner container 30. For example, the beverage outlet 31 may be provided on a part of the bottom part 35 or on the bottom part 35 They may be installed adjacent or adjacent to each other.

한편, 음료유출구(31)의 형상이나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 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크기로 마련될 수도 있고, 빨대(50)의 하단개구부(55) 및 몸통부(53)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5, the beverage outlet 31 may b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lower end opening 55 of the straw 50 and / Or it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body 53.

빨대(50)는 외부용기(20) 및 내부용기(30)의 결합에 의하여 외부용기(20)와 내부용기(30) 사이에 형성된다. The straw 50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ontainer 20 and the inner container 30 by the engagement of the outer container 20 and the inner container 30. [

즉, 본 발명에 따른 빨대(50)는 음료용기 내부에 삽입되거나 또는 착탈식으로 마련되는 것이 아닌, 외부용기(20) 및 내부용기(30)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고, 반대로 외부용기(20) 및 내부용기(30)가 서로 분리되면 빨대(50)가 해체되는 것이다. That is, the straw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combining the outer container 20 and the inner container 30, not being inserted into the beverage container or being removably provided, When the inner containers 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straw 50 is disassembled.

도 1을 참조하면, 빨대(50)는 흡입부(51)와, 몸통부(53)와, 하단개구부(55)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straw 50 includes a suction portion 51, a body portion 53, and a bottom opening portion 55. As shown in Fig.

몸통부(53)는 외부용기(20) 및 내부용기(30)의 결합에 의하여 외부용기(20)와 내부용기(30) 사이에 상하로 밀폐된 관 형상으로 마련된다. The trunk portion 53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container 20 and the inner container 30 by a combination of the outer container 20 and the inner container 30 so as to be sealed up and down.

몸통부(53)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body 53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53)는 음료유출구(31)의 양측으로 외부용기(20)의 내측면 또는 상기 내부용기(30)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고정돌기(5311)와, 일단은 각 고정돌기(5311)에 삽입되며 타단은 외부용기(20)의 내측면 또는 내부용기(30)의 외측면 중 다른 하나로 연장되어 몸통부(53)를 형성하는 탄성밀폐부재(5312)를 포함할 수 있다. 2, the body 5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eferably two or more) beverage outlets 31 protruding from either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ontainer 20 or the out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30 on both sides of the beverage outlet 31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oth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20 or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30 to form the trunk portion 53 And may include an elastic sealing member 5312.

도 2의 (a)는 탄성밀폐부재(5312)가 외부용기(20)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내부용기(30)측으로 연장된 것이고, 도 2의 (b)는 탄성밀폐부재(5312)가 내부용기(30)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외부용기(20)의 내측면으로 연장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2 (a) is an example in which the elastic sealing member 5312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20 and extends toward the inner container 30, and FIG. 2 (b) And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30 and extend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20. As shown in Fig.

여기서, 탄성밀폐부재(5312)의 상하 길이는 몸통부(53)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마련되며, 탄성밀폐부재(5312)의 폭(또는 돌출길이)는 외부용기(20)와 내부용기(30) 사이 간격과 동일 또는 조금 길게 마련되어 내부용기(30)와 외부용기(20)가 결합될 때 반대편 측면에 밀착되면서 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elastic sealing member 5312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body 53 and the width of the elastic sealing member 5312 (or protrusion length) 30 so that the inner container 30 and the outer container 20 are joined to each other to form a tube while adhering to the opposite side surface.

상기 각 경우에 있어서, 탄성밀폐부재(5312)의 타단에 대응하는 외부용기(20)의 내측면 또는 내부용기(30)의 외측면에는 탄성밀폐부재(5312)의 타단이 삽입되는 삽입홈(5313)이 마련될 수 있다.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20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sealing member 5312 or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30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groove 5313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sealing member 5312 is inserted ) May be provided.

이 경우, 탄성밀폐부재(5312)의 타단이 도 2의 (b)와 같이 삽입홈(5313)에 삽입고정됨으로써 몸통부(53)의 밀폐력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sealing member 5312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groove 5313 as shown in Fig. 2B, thereby further securing the sealing force of the body portion 53. [

탄성밀폐부재(5312)의 단면은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 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각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직사각형 또는 도 3의 (b) 또는 도 4의 (c)(부호 5331 참조)와 같이, 원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The cross section of the elastic sealing member 5312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and may be provided in a tri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2, or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r a shape shown in FIG. 3B or FIG. (See reference numeral 5331).

한편, 탄성밀폐부재(53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5311)에 탈부착이 되도록 마련할 수도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용기(30)와 외부용기(20)의 결합에 의하여 밀폐된 몸통부(53)를 형성할 수 있는 한, 공지된 다양한 방법의 고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the elastic sealing member 5312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xing protrusion 5311. 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ner container 30 and the outer container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long as it is possible to form the hermetically sealed body portion 53, it is possible to fix various known methods.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1)는, 외부용기(20)와 내부용기(30)가 분리된 상태에서, 외부용기(20)의 내측 또는 내부용기(30)의 외측에 탄성밀폐부재(5312)를 고정한 다음, 내부용기(30)를 외부용기(20)의 내부로 삽입하여 결합하면, 탄성밀폐부재(5312)에 의해 몸통부(53)가 형성되며, 하단개구부(55)는 음료유출구(31)와 연통되어 빨대(50)를 통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straw-integrated beverage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outer container 20 and the inner container 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ontainer 20 or the out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30 The body 53 is formed by the elastic sealing member 5312 and the lower end opening 55 is formed by inserting the inner container 30 into the outer container 20 after the sealing member 5312 is fixed. The beverage outlet 31 can communicate with the beverage outlet 31 and drink the beverage through the straw 5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결합하면 음료용기 자체에 빨대가 형성되어 음료를 마실 수 있으므로, 별도의 빨대가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으며, 일회용 빨대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straw-integrated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a straw is formed in the beverage container itself by combining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so that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straw, and a disposable straw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environment-friendly because there is no.

또한,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분리하면 빨대를 구성하는 구성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매우 쉽게 세척이 가능함은 물론,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세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lso, when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constituent parts constituting the straw ar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it is very easy to clean, and the user can directly check the cleaning status with eyes.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몸통부(53)가 도시된다. 3 shows a body 5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몸통부(53)는 음료유출구(31)의 양측으로 외부용기(20)의 내측면 또는 내부용기(30)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1돌기(5321)와, 외부용기(20)의 내측면 또는 내부용기(30)의 외측면 중 다른 하나에서 돌출되어 각 제1돌기(5321)와 결합되어 밀폐된 몸통부(53)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2돌기(53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ody 5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embers protruding from either on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20 or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30 to the opposite sides of the beverage outlet 31, 1 protrusions 5321 and the other on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20 or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30 so as to be combined with the respective first protrusions 5321 to form the hermetically sealed body 53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5322.

즉,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용기(20) 및 내부용기(30)에서 각각 돌출된 제1돌기(5321) 및 제2돌기(5322)가 서로 겹치면서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rotrusions 5321 and the second protrusions 5322 protruding from the outer container 20 and the inner container 30 respectively overlap to form a closed space.

여기서, 도면에서는 제2돌기(5322)가 제1돌기(5321)의 내부로 삽입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대로 제2돌기(5322)가 제1돌기(5321)의 외부로 삽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second protrusion 5322 is illustrated as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protrusion 5321,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second protrusion 5322 can be inserted outside the first protrusion 5321 .

또한, 제1돌기(5321) 및 제2돌기(5322)의 형상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 바, 도 3의 (a)와 같이 1자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 3의 (b)와 같이 원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The first protrusions 5321 and the second protrusions 5322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and may be provided in a one-letter shape as shown in FIG. 3 (a) And may be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몸통부(53)를 도시한 것이다. 4 shows a body 5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몸통부(53)는 음료유출구(31)의 양측으로 외부용기(20)의 내측면 또는 내부용기(30)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밀폐돌기(5331)와, 외부용기(20)의 내측면 또는 내부용기(30)의 외측면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각 밀폐돌기(5331)의 단부가 삽입되어 밀폐된 몸통부(53)를 형성하는 밀폐홈(5332)을 포함할 수 있다. 4, the body 53 includes a plurality of body portions 53 protruding from either on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20 or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30 to the opposite sides of the beverage outlet 31 A sealing protrusion 5331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20 or the other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inner container 30 so that the end of each sealing protrusion 5331 is inserted to form a hermetically sealed body 53 And may include a sealing groove 5332.

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별도의 탄성밀폐부재(5312)를 마련하지 않고 밀폐돌기(5331)를 더욱 연장시켜 반대편의 밀폐홈(5332)에 삽입함으로써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Unlike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this embodiment differs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in that the sealing projection 5331 is further extended without inserting a separate elastic sealing member 5312 and inserted into the opposite sealing groove 5332 to form a closed space will be.

밀폐돌기(5331)는 도 4의 (a) 및 (b)와 같이 외부용기(20)의 내측면에서 돌출될 수도 있고, 도 4의 (c)와 같이 내부용기(30)의 외측면에서 돌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sealing projection 5331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20 as shown in FIGS. 4A and 4B or may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30 as shown in FIG. Of course.

한편,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몸통부(53)를 구성하는 내부용기(30), 외부용기(20) 및 각 돌기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용기(30)의 일측면부가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 각 돌기 즉, 도 4의 (c)와 같이 밀폐돌기(5331))가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돌기가 외부용기(20)에서 돌출되는 경우에도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inner container 30, the outer container 20, and the respective projections constituting the trunk portion 53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 One side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30 may be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and each of the projections, that is, the sealing protrusion 5331 as shown in FIG. 4C) may be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even when the projections protrude from the outer container 20, they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하단개구부(55)는 몸통부(53)의 하단으로 음료유출구(31)와 연통되며 마련된다. The lower opening 55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beverage outlet 31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53.

여기서, 하단개구부(55)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유출구(31)의 하부에 외부용기(20)의 내측면 또는 내부용기(30)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몸통부(53)의 바닥을 밀폐하는 바닥밀폐면(551)이 형성된다. 7, the lower end opening 55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beverage outlet 31 so as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20 or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30, A bottom sealing surface 551 for sealing the floor is formed.

이에 의해, 몸통부(53) 및 하단개구부(55)의 측면은 각 돌기 또는 탄성밀폐부재(5312)에 의해 밀폐력이 유지되고, 하단개구부(55)의 하단은 바닥밀폐면(551)에 의해 밀폐력이 유지된다. As a result, the side surfaces of the body 53 and the lower opening 55 are maintained in a sealing force by the respective projections or elastic sealing members 5312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opening 55 is closed by the bottom sealing surface 551 / RTI >

바닥밀폐면(551)은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유출구(31)와 동일선상에 마련될 수도 있으나, 도 8의 (a)와 같이, 음료유출구(31) 보다 하단에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bottom sealing surface 551 may be provided on the same line as the beverage outlet 31 as shown in FIG. 8 (b), but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everage outlet 31 as shown in FIG. 8 (a) Of course.

흡입부(51)는 몸통부(53)의 상단에 마련된 외부용기(20) 및 내부용기(30)의 일측 상부로 돌출되며 마련된다. The suction unit 51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outer container 20 and the inner container 30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53.

여기서, 외부용기(20) 및 내부용기(30)의 상부를 덮는 용기뚜껑(1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흡입부(51)는 용기뚜껑(10)과의 결합형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uction portion 51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in various directions depending on the type of engagement with the container lid 10,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tainer lid 10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20 and the inner container 30. In this case, .

이를 도 6을 참조하면 설명하면, 먼저 도 1 및 도 6의 (a)와 같이, 흡입부(51)의 일측(51c, 도 1참조)은 외부용기(20)가 몸통부(53) 상부로 연장형성되고, 흡입부(51)의 타측(51a, 도 1 및 도 6의 (c) 참조)은 용기뚜껑(10)에 형성되어 용기뚜껑(10)이 외부용기(20)의 상부에 결합될 때 흡입부(51)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6, one side 51c of the suction unit 51 (refer to FIG. 1)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53 by the outer container 20 1 and 6 (c) of the suction unit 51 are formed on the container lid 10 so that the container lid 1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20 The suction portion 51 can be formed.

이 경우, 외부용기의 흡입부(51c)와 용기뚜껑(10)의 흡입부(51a)의 결합형태는 예를 들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coupling between the suction portion 51c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suction portion 51a of the container lid 10 may b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b).

한편, 용기뚜껑(10)의 흡입부 하단(51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용기(30)의 몸통부(53) 내부로 삽입되면서 밀폐력을 유지한다. 1, the suction end lower end 51b of the container lid 1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trunk portion 53 of the inner container 30 to maintain the sealing force.

또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51)가 용기뚜껑(10)에 일체로 마련되어 흡입부(51)의 하부가 몸통부(53)의 상단부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6 (b), the suction portion 51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lid 10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portion 51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53 have.

이 경우, 외부용기(20)와 내부용기(30)의 결합에 의해서는 몸통부(53)까지만 형성되고, 흡입부(51)는 용기뚜껑(10)에 일체로 형성되며, 흡입부의 하단(51a)이 몸통부(53)의 상단 개구에 끼워지면서 밀폐력이 유지되는 것이다. In this case, only the body portion 53 is formed by the engagement of the outer container 20 and the inner container 30. The suction portion 5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lid 10, and the lower end 51a Is fitted into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53, thereby maintaining the sealing force.

또는, 도 6의 (c)와 같이, 흡입부(51)가 몸통부(53)가 외부용기(20) 및 내부용기(30) 상부로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용기뚜껑(10)에는 흡입부(51)가 관통되는 관통공(11)이 마련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6 (c), the suction unit 51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body 53 extends to a predetermined length above the outer container 20 and the inner container 30, (10) may b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11) through which the suction part (51) penetrates.

상기 각 경우에 있어서, 흡입부(51)의 돌출 길이는 필요에 따라 사용이 편리한 길이로 마련될 수 있으며, 흡입부(51) 단면의 크기 또는 형상도 사용이 편리하도록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the above cases,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uction unit 51 may be a length that is convenient for use, and the size or shape of the end surface of the suction unit 51 may be variously modified for convenient use. to be.

이하, 외부용기(20)와 내부용기(30)의 결합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coupling the outer container 20 and the inner container 30 will be described.

도 8을 참조하면, 외부용기(20)와 내부용기(30)의 결합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 바, 먼저, 도 8의 (a) 또는 (b)와 같이, 외부용기(20)를 기준으로 내부용기(30) 외부용기(20)의 내부로 결합될 수 있도 있고, 도 8의 (c)와 같이, 내부용기(30)를 기준으로 외부용기(20)가 내부용기(30)의 외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8 (a) and 8 (b), the outer container 20 is connected to the inner container 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inner container 30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container 20 and the outer container 20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container 30 as shown in Figure 8 (c) Lt; / RTI >

각 경우에 있어서, 내부용기(30)와 외부용기(20)는 삽입에 의한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삽입 후 회전방식으로 결합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ner container 30 and the outer container 20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by an insertion method or a rotary method after being inserted.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용기(20)의 바닥면에 내부용기(30)의 바닥부(35) 단면에 대응하는 홈을 형성하여, 내부용기(30)의 바닥부(35) 일측이 끼움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8 (b),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end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35 of the inner container 3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20, So that one side of the bottom portion 35 of the container 30 can be engaged.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용기(20)의 바닥면 중앙에는 내부용기(30)가 삽입되는 관통부(21)가 마련되어 내부용기(30)의 하부가 관통부(21)에 삽입되며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1, a penetration portion 21 into which the inner container 30 is inserted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20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30 is inserted into the penetration portion 21 And can be combined.

이 경우, 관통부(21)의 하부 일측에는 하단개구부(55)가 음료유출구(31)와 안전하게 연통되도록 내부용기(30)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23)가 마련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stopper 23 for limi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inner container 3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enetration portion 21 so that the lower opening 55 can communicate with the beverage outlet 31 securely.

여기서, 도 1 및 도 8의 (a)와 같이, 외부용기(20)의 바닥면에서 내부용기(30)의 바닥부(35)를 볼 수 있는 결합형태의 경우, 사용자가 내부용기(30)의 결합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내부용기(30)의 분리시 내부용기(30)의 바닥면을 밀어내어 분리할 수 있으므로 분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1 and 8 (a), in the case of an engagement type in which the bottom portion 35 of the inner container 30 can be seen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20,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30 can be easily removed by pushing out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30 when the inner container 30 is separated.

나아가, 외부용기(20)의 바닥면에 스토퍼(23)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스토퍼(23)에 의해 사용자가 하단개구부(55)의 연통여부 및 몸통부(53)의 밀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Further, when the stopper 23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20, the user can confirm whether or not the lower end opening 55 communicates with the stopper 23 and whether the body 53 is seal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한편,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용기(30)의 바닥부(35)는 내부용기(30)의 측면부보다 넓게 마련되고, 외부용기(20)는 바닥부가 없는 통형상으로 마련되어, 외부용기(20)의 측면부 단부가 내부용기(30)의 바닥부(35)에 결합될 수도 있다. 8 (c), the bottom portion 35 of the inner container 30 is provided wider than the side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30, and the outer container 2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out a bottom portion So that the side end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20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portion 35 of the inner container 30. [

이 경우, 바닥부(35)에는 용기결합홈(35a)이 형성되고, 외부용기(20)의 하단에는 용기결합돌기(35b)가 형성되어 끼움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a container coupling groove 35a is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35, and a container coupling protrusion 35b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external container 20 so as to be capable of fitting.

간격유지부(33)는, 외부용기(20)의 내측면 또는 내부용기(30)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내부용기(30)가 외부용기(20)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용기(30)의 외측면과 외부용기(20)의 내측면 사이에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pace holding portion 33 is formed on on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20 or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30 so that the inner container 3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20 can be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간격유지부(33)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용기(30)의 측면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두께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53)의 제외한 내부용기(30)의 측면부 둘레를 따라 띠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gap holding portion 33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30 And may be provided in a strip shape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30 except for the body 53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는 간격유지부에 의해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에 간격(도 1의 X)이 마련되므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보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straw-integrated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retain a warming and cold-inserting function because a gap (X in FIG. 1)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by the gap holding portion.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구분 없이, 음료용기(100)의 내부 일측에 용기 내부를 향해 개방된 통형상의 개구가 상하로 마련되고, 내부에 딱딱한 재질의 심지(120)가 삽입된 탄성재질의 빨대형성부(110)가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 빨대를 형성하는 실시예이다. 이 경우, 빨때형성부(110)는 심지(12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빨대형성부(110)는 개구보다 짧은 길이로 마련되어 빨대형성부(110)의 하단에서 용기내부의 음료가 유입도어 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 cylindrical opening opened toward the in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100 at one 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100, And a straw forming portion 110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wick 120 made of a hard material inserted therein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to form a straw. In this case, the sink forming unit 110 may not include the wick 120, and the straw forming unit 110 may be provided at a shorter length than the opening, so that the beverage inside the contain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flow door And flows out through the opening.

1 :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10 : 용기뚜껑 11 : 관통공
20 : 외부용기
21 : 관통부 23 : 스토퍼
30 : 내부용기
31 : 음료유출구 33 : 간격유지부
35 : 바닥부 35a : 용기결합홈
35b : 용기결합돌기
50 : 빨대
51(51a, 51b, 51c) : 흡입부
53 : 몸통부 5311 : 고정돌기
5312 : 탄성밀폐부재 5313 : 삽입홈
5321 : 제1돌기 5322 : 제2돌기
5331 : 밀폐돌기 5332 : 밀폐홈
55 : 하단개구부 551 : 바닥밀폐면
1: Straw integrated beverage container
10: container lid 11: through-hole
20: outer container
21: penetrating part 23: stopper
30: inner container
31: Beverage outlet 33:
35: bottom portion 35a: container coupling groove
35b: container coupling projection
50: Straws
51 (51a, 51b, 51c): Suction section
53: body portion 5311: fixing projection
5312: elastic sealing member 5313: insertion groove
5321: first projection 5322: second projection
5331: Sealing projection 5332: Sealing groove
55: lower opening 551: bottom sealing surface

Claims (11)

삭제delete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결합되며, 바닥부와 인접한 측면부의 하부 일측에 음료유출구가 형성되는 내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 및 내부용기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외부용기와 내부용기 사이에 상하로 밀폐된 관 형상을 이루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으로 상기 음료유출구와 연통되는 하단개구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에 마련된 상기 외부용기 및 내부용기의 일측 상부으로 돌출된 흡입부를 갖는 빨대;를 포함하여, 상기 흡입부의 흡입에 의하여 상기 내부용기 내부의 음료가 상기 음료유출구, 상기 몸통부를 거쳐 상기 흡입부로 유출이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몸통부는 상기 음료유출구의 양측으로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 또는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고정돌기와, 일단은 상기 각 고정돌기에 삽입되며 타단은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 또는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면 중 다른 하나로 연장되어 상기 몸통부를 형성하는 탄성밀폐부재를 포함하는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An outer container; An inner container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container and having a beverage outlet formed at a lower side of a side portion adjacent to the bottom; A tubular body having a tubular shape sealed up and down between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by engagement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a lower end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beverage outlet at the lower end of the torso, And a straw having a suction portion protruded to one upper side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so that the beverage inside the inner container can flow out to the suction portion through the beverage outlet and the body by the suction of the suction portion Respectively,
Wherein the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either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ontainer or the out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to both sides of the beverage outlet, one end inserted into each of the fixing protrusions, Or an elastic sealing member extending to the other one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inner container to form the body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밀폐부재의 타단에 대응하는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 또는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면에는 상기 탄성밀폐부재의 타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되는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or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sealing member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sealing member is inserted.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결합되며, 바닥부와 인접한 측면부의 하부 일측에 음료유출구가 형성되는 내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 및 내부용기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외부용기와 내부용기 사이에 상하로 밀폐된 관 형상을 이루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으로 상기 음료유출구와 연통되는 하단개구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에 마련된 상기 외부용기 및 내부용기의 일측 상부으로 돌출된 흡입부를 갖는 빨대;를 포함하여, 상기 흡입부의 흡입에 의하여 상기 내부용기 내부의 음료가 상기 음료유출구, 상기 몸통부를 거쳐 상기 흡입부로 유출이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몸통부는 상기 음료유출구의 양측으로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 또는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1돌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 또는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면 중 다른 하나에서 돌출되어 상기 각 제1돌기와 결합되어 밀폐된 상기 몸통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2돌기를 포함하는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An outer container; An inner container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container and having a beverage outlet formed at a lower side of a side portion adjacent to the bottom; A tubular body having a tubular shape sealed up and down between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by engagement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a lower end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beverage outlet at the lower end of the torso, And a straw having a suction portion protruded to one upper side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so that the beverage inside the inner container can flow out to the suction portion through the beverage outlet and the body by the suction of the suction portion Respectively,
Wherein the body has a plurality of first projections protruding from either one of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ontainer or the out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to the other side of the beverage outlet,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other one of the outer side surfaces and joined with the respective first protrusions to form the sealed body portion.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결합되며, 바닥부와 인접한 측면부의 하부 일측에 음료유출구가 형성되는 내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 및 내부용기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외부용기와 내부용기 사이에 상하로 밀폐된 관 형상을 이루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으로 상기 음료유출구와 연통되는 하단개구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에 마련된 상기 외부용기 및 내부용기의 일측 상부으로 돌출된 흡입부를 갖는 빨대;를 포함하여, 상기 흡입부의 흡입에 의하여 상기 내부용기 내부의 음료가 상기 음료유출구, 상기 몸통부를 거쳐 상기 흡입부로 유출이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몸통부는 상기 음료유출구의 양측으로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 또는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밀폐돌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 또는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면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각 밀폐돌기의 단부가 삽입되어 밀폐된 상기 몸통부를 형성하는 밀폐홈을 포함하는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An outer container; An inner container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container and having a beverage outlet formed at a lower side of a side portion adjacent to the bottom; A tubular body having a tubular shape sealed up and down between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by engagement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a lower end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beverage outlet at the lower end of the torso, And a straw having a suction portion protruded to one upper side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so that the beverage inside the inner container can flow out to the suction portion through the beverage outlet and the body by the suction of the suction portion Respectively,
The body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aling projections projecting from either one of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ontainer or the out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to the other side of the beverage outlet, And a sealing groove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side surfaces to form the sealed body with the end of each of the sealing projections inserted therein.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 및 내부용기의 상부를 덮는 용기뚜껑을 더 포함하되, 상기 흡입부는 상기 몸통부가 상기 외부용기 및 내부용기 상부로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용기뚜껑에는 상기 흡입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마련되거나, 상기 흡입부는 상기 용기뚜껑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흡입부의 하부가 상기 몸통부의 상단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흡입부의 일측은 상기 외부용기가 상기 몸통부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흡입부의 타측은 상기 용기뚜껑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뚜껑이 상기 외부용기의 상부에 결합될 때 상기 흡입부가 형성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4 and 5,
And a container lid fo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wherein the suc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body extending from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over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container lid is provided with a through- Or the suction part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lid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suction part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or the one side of the suction part extends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of the suction part, And the suction portion is formed when the container lid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개구부는 상기 음료유출구의 하부에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 또는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몸통부의 바닥을 밀폐하는 바닥밀폐면이 형성되는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4 and 5,
Wherein the bottom opening portion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or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at a lower portion of the beverage outflow port to form a bottom sealing surface for sealing the bottom of the trunk portion.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의 바닥면 중앙에는 상기 내부용기가 삽입되는 관통부가 마련되어 상기 내부용기의 하부가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며 결합되는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4 and 5,
Wherein a bottom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outer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penetration portion through which the inner container is insert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penetration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내부용기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마련되는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stopper for limiting an insertion depth of the inner container is provided on a lower side of the penetration portion.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의 바닥부는 상기 내부용기의 측면부보다 넓게 마련되고, 상기 외부용기는 바닥부가 없는 통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외부용기의 측면부 단부가 상기 내부용기의 바닥부에 결합되는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4 and 5,
Wherein a bottom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is formed to be wider than a side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out a bottom portion so that a side end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is coupled to a bottom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 또는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내부용기가 상기 외부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면과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 사이에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간격유지부가 마련되는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4 and 5,
Wherein either on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has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in a state where the inner container is coupled to the outer container And a space holding portion is provided.
KR1020180122780A 2018-10-15 2018-10-15 Beverage vessel having straw KR1019926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80A KR101992679B1 (en) 2018-10-15 2018-10-15 Beverage vessel having straw
PCT/KR2019/012799 WO2020080705A1 (en) 2018-10-15 2019-10-01 Beverage container integrated with stra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80A KR101992679B1 (en) 2018-10-15 2018-10-15 Beverage vessel having stra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679B1 true KR101992679B1 (en) 2019-06-25

Family

ID=67065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780A KR101992679B1 (en) 2018-10-15 2018-10-15 Beverage vessel having straw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2679B1 (en)
WO (1) WO2020080705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705A1 (en) * 2018-10-15 2020-04-23 오종석 Beverage container integrated with straw
KR20210130913A (en) 2020-04-23 2021-11-02 이미연 beverage container with beverage dispensing structure
KR20210143596A (en) * 2020-05-20 2021-11-29 김정섭 Straw Drink bottle with an easy-to-clean straw par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956Y1 (en) * 1999-12-02 2000-04-15 양봉철 Paper cup accompannied with straw
US6394302B1 (en) * 1999-01-06 2002-05-28 Henry C. Query, Jr. Drinking cup with straw lid
KR100872185B1 (en) * 2007-01-31 2008-12-09 주식회사 하나씨지 cup having an inhole tube
KR20130137737A (en) 2012-06-08 2013-12-18 김재홍 Cup with straw thereinside
KR20160044075A (en) * 2014-10-14 2016-04-25 오세일 Straw cup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5883A1 (en) * 2016-04-05 2017-10-12 박해엽 Straw and disposable container using same
KR101877903B1 (en) * 2017-09-20 2018-07-12 허남훈 Container with wall straw
KR101992679B1 (en) * 2018-10-15 2019-06-25 공석준 Beverage vessel having straw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4302B1 (en) * 1999-01-06 2002-05-28 Henry C. Query, Jr. Drinking cup with straw lid
KR200179956Y1 (en) * 1999-12-02 2000-04-15 양봉철 Paper cup accompannied with straw
KR100872185B1 (en) * 2007-01-31 2008-12-09 주식회사 하나씨지 cup having an inhole tube
KR20130137737A (en) 2012-06-08 2013-12-18 김재홍 Cup with straw thereinside
KR20160044075A (en) * 2014-10-14 2016-04-25 오세일 Straw cup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705A1 (en) * 2018-10-15 2020-04-23 오종석 Beverage container integrated with straw
KR20210130913A (en) 2020-04-23 2021-11-02 이미연 beverage container with beverage dispensing structure
KR20210143596A (en) * 2020-05-20 2021-11-29 김정섭 Straw Drink bottle with an easy-to-clean straw part
KR102386925B1 (en) * 2020-05-20 2022-04-14 김정섭 Straw Drink bottle with an easy-to-clean straw p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80705A1 (en)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679B1 (en) Beverage vessel having straw
KR102167453B1 (en) Reusable foldable drinking straw in storage case
KR101989217B1 (en) Cap for a receptacle such as a bottle
CN106864972B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and lid assembly
US10743689B2 (en)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novel two-chambered drinking receptacles
US20230028280A1 (en) Magnetic bottle brush
US11167905B2 (en) Beverage container with straw storage compartment
KR20160044075A (en) Straw cup
US6383457B1 (en) Toilet plunger sanitizing and storage container system
KR200478557Y1 (en) A multipurpose tumbler
KR200488770Y1 (en) Backflow prevention tube container Rubber cap
KR101373949B1 (en) Cosmetic vessel having other liquid
CA2698050C (en) Dentifrice container with oral care implement holder
KR200472763Y1 (en) toothbrush assembly
KR101949516B1 (en) Lunch box
EA034276B1 (en) Container for a dispensing system
KR20110000821U (en) Container with straw
KR101213047B1 (en) Air cap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KR20180127870A (en) Portable cups that can be assembled
KR200434246Y1 (en) Toothpaste squeezer
JP3113185U (en) container
US20230129226A1 (en) Stackable Bottle
KR200421796Y1 (en) Tubular container for containing toothpaste and similar contents
KR200487003Y1 (en) Punching cap for pouch
KR200446474Y1 (en) Liquid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