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618B1 - Content Design - Google Patents

Content Desig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618B1
KR101992618B1 KR1020170143015A KR20170143015A KR101992618B1 KR 101992618 B1 KR101992618 B1 KR 101992618B1 KR 1020170143015 A KR1020170143015 A KR 1020170143015A KR 20170143015 A KR20170143015 A KR 20170143015A KR 101992618 B1 KR101992618 B1 KR 101992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reality
reality content
user
unit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0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8238A (en
Inventor
하태진
조승원
김국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온시이노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온시이노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온시이노베이터
Priority to KR1020170143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618B1/en
Publication of KR20190048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2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6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ard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conom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호환경조건 방식의 기억법을 적용한 MCI 집중력 증진 콘텐츠
설계로서, 가상현실공간을 통해 인지장애 환자로 하여금 과거의 생활환경을 가상의 공간에서 시각적으로 경험하게 하여 기억력 및 집중력이 개선되도록 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고 또 가상현실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서비스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복수개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가상현실 콘텐츠 저장부(50);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저장부(5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가상현실 콘텐츠 중 재생시킬 가상현실 콘텐츠를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선택하기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 선택부(51);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저장부(50)에 접속하여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저장부(50)가 저장하고 있는 복수개의 가상현실 콘텐츠의 리스트를 영상 표시부(53)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리스트를 보면서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선택부(51)를 통해 키 조작에 의해 선택한 가상현실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재생 제어부(60);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재생 제어부(60)로부터 재생되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음성 출력부(52);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재생 제어부(60)로부터 재생되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영상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는 영상 표시부(53);
사용자의 단위 시간당 심박수를 검출하는 심박수 검출부(54); 및 사용자의 동공의 크기가 커지는 정도를 검출하는 동공 크기 검출부(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MCI concentration-enhancing content
As a design, a virtual reality service providing a cognitive disorder patient visually experiences a past living environment in a virtual space through a virtual reality space to improve memory and concentration, and to provide a virtual reality service device.
The service system is as follows.
A virtual reality content storage unit 50 for storing a plurality of virtual reality contents;
A virtual reality content selection unit (51) for selec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to be reproduced among a plurality of virtual reality contents stored i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torage unit (50) by a key operation of a user;
A list of a plurality of virtual reality contents stored i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torage unit 50 is displayed on the video display unit 53 by access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torage unit 50, A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unit (60) for controlling the reproduction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elected by the key operation through the content selection unit (51);
An audio output unit 52 for outputting a voice of a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ed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unit 60 and allowing the user to hear the voice;
A video display unit (53) displaying an image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ed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unit (60) and allowing the user to view the image;
A heart rate detector 54 for detecting a heart rate per unit time of the user; And a pupil size detecting unit 55 for detecting the degree of increase in size of the user's pupil.

Description

선호환경조건 방식의 기억법을 적용한 MCI 집중력 증진 콘텐츠 제공방법 {Content Design}{Content Design} Method for Providing MCI Concentration Enhancement Content Applying a Memorization Method of Preferred Environmental Condition Method [

본 발명은 선호환경조건 방식의 기억법을 적용한 MCI 집중력 증진 콘텐츠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MCI concentration-enhancing content

설계(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포함)로서, 가상현실공간을 통해 인지장애 환자로 하여금 과거의 생활환경을 가상의 공간에서 시각적으로 경험하게 하여 기억력 및 집중력이 개선되도록 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고, 또 가상현실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Design (including a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provides virtual reality contents that allow a cognitive impairment patient to visually experience a past living environment in a virtual space through a virtual reality space to improve memory and concentration, To provide a real service device.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이란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축한 가상공간(Virtual Environmental)속에서 인간 감각계(sensory system)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물리적, 공간적 제약에 의해 현실세계에서는 직접 경험하기 어려운 상황을 간접체험 할 수 있도록 만든 정보활동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가상현실 기술은 사용자의 위치 및 주시 방향을 실시간 측정하여 사용자가 관측하는 시야에 속하는 대상 물체의 가상 세부 정보를 정합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이 핵심 기술이다.Virtual Reality (VR) is a virtual reality that is created by using a computer and interacts with a human sensory system in a virtual environment. It is a field of information activity that makes you experience. In general, virtual reality technology is a core technology that real-time measures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user and matches the virtual details of the object belonging to the field of view observed by the user in real time.

가상현실을 구현해내는 시스템들이 사용자의 시점과 동작이 실현되는 가상의 환경을 제공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시점이나 동작의 변화를 가상의 공간에서 실제로 행하거나 가상현실 공간에서 인간의 신체를 대신하여 행위를 수행하는 존재를 통하여 그 환경을 경험한다.When systems implementing virtual reality provide a virtual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s viewpoint and operation are realized,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the user changes the viewpoint or operation of the user in a virtual space or acts on behalf of the human body in the virtual reality space Through the presence of performing the environment.

가상현실은 건축, 디자인 분야에서 설계된 가상공간에 사람이 들어가 설계된 장소에 대해 실제 경험을 하기도 하고 최근에는 게임과 레저 분야에서 적용하고 있다. 특히 군사분야에서는 모의전투체험을 하는 등 재연하기 힘든 상황에서 재연하는데 효과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등록번호 10-1713223호에서 참조할 수 있음)VIRTUAL REAL ESTATE is a virtual space designed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and design. Especially, in military field, it is applied effectively to reproduce in situations where it is difficult to reproduce such as simulated battle experience. (Which can be referred to under registration number 10-1713223)

그러나 인지장애 환자의 기억력이 돌아오게 하는 가상공간 체험 서비스장치가 존재하지 않아, 인지장애 환자의 기억력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However, there is no cyber space experience service device that allows the memory of cognitive impaired patients to return, and a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that can help the memory of cognitive impaired patients is desperately needed.

참고로, 일반적으로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가상 현실을 구현하는 장치로서, 영상장치, 조종장치, 운동장치, 제어장치로 구성되는 것이다.Generally, a virtual reality simulator is a device that implements a virtual reality in cooperation with a simulation program, and is composed of an image device, a manipulator, a motion device, and a control device.

여기에서 운동장치와 제어장치에 해당하는 것을 모션 플랫폼(또는 모션 베이스)이라 칭한다.Here, what corresponds to a motion device and a control device is called a motion platform (or motion base).

이와 같은 종래 모션 플랫폼은 다양한 형태로 개시된 바 있다. 본 출원인은 등록실용신안 제20-0469149호에서 베이스와 상판 사이로 동일 중심을 향하는 대향 위치에 3개의 운동수단을 설치하는데 상기 3개의 운동수단은 엑츄에이터를 수직 설치하고, 상기 엑츄에이터의 상단을 상판에 볼 조인트로 연결 설치하여 상기 3개의 엑츄에이터를 승 하강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판의 히브(heave; 상하), 피치(pitch; 앞뒤 회전), 롤(roll; 좌우 회전) 운동을 복합 유도하여 3차원 움직임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이러한 플랫폼을 본원발명이 이용할 수 있다.Such conventional motion platforms have been disclosed in various forms.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9149 that three moving means are provided at opposed positions facing the same center between a base and a top plate, the three moving means being vertically installed with an actuator, Pitch, back and forth, and roll motion of the upper plate to generate a three-dimensional motion by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the three actuators by joints I will. This platform can be u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으로서, 가상현실공간을 통해 인지장애 환자로 하여금 과거의 생활환경을 가상의 공간에서 시각적으로 경험하게 하여 기억력 및 집중력이 개선되도록 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고, 이용자가 가상 공간에 집중할 수 있는 헤드셋을 더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that provides a virtual reality content that allows a cognitive disorder patient to visually experience a past living environment in a virtual space through a virtual reality space to improve memory and concentration, I would like to offer more headsets that can focus on space.

도 1에 구성을 살펴보면,Referring to FIG. 1,

복수개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가상현실 콘텐츠 저장부(50); A virtual reality content storage unit 50 for storing a plurality of virtual reality contents;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저장부(5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가상현실 콘텐츠 중 재생시킬 가상현실 콘텐츠를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선택하기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 선택부(51);A virtual reality content selection unit (51) for selec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to be reproduced among a plurality of virtual reality contents stored i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torage unit (50) by a key operation of a user;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저장부(50)에 접속하여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저장부(50)가 저장하고 있는 복수개의 가상현실 콘텐츠의 리스트를 영상 표시부(53)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리스트를 보면서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선택부(51)를 통해 키 조작에 의해 선택한 가상현실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재생 제어부(60); A list of a plurality of virtual reality contents stored i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torage unit 50 is displayed on the video display unit 53 by access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torage unit 50, A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unit (60) for controlling the reproduction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elected by the key operation through the content selection unit (51);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재생 제어부(60)로부터 재생되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음성 출력부(52);An audio output unit 52 for outputting a voice of a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ed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unit 60 and allowing the user to hear the voice;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재생 제어부(60)로부터 재생되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영상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는 영상 표시부(53);A video display unit (53) displaying an image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ed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unit (60) and allowing the user to view the image;

사용자의 단위 시간당 심박수를 검출하는 심박수 검출부(54); 및 사용자의 동공의 크기가 커지는 정도를 검출하는 동공 크기 검출부(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heart rate detector 54 for detecting a heart rate per unit time of the user; And a pupil size detecting unit 55 for detecting the degree of increase in size of the user's pupil.

본 발명은 가상현실공간을 통해 인지장애 환자로 하여금 과거의 생활환경을 가상의 공간에서 시각적으로 경험하게 하여 기억력 및 집중력이 개선되도록 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서 기억력이 되살아나는 효과가 있고,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viving memory by provid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that allows a cognitive impairment patient to visually experience a past living environment in a virtual space through a virtual reality space to improve memory and concentration.

이용자가 가상공간에 집중할 수 있도록 헤드셋을 제공함으로서 가상현실 공간에 집중할 수 있는 것이다.By providing a headset so that the user can concentrate on the virtual space, the user can concentrate on the virtual reality spa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 이미지.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virtual reality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images of a virtual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VR(virtual reality) 헤드셋(headset)은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용도들, 훈련 용도들, 및 상업 용도들을 위해 점차 대중화되고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머리에 상기 VR 헤드셋을 착용한다. 사용자는 상기 VR 헤드셋을 이용하여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software application)을 통해 VR을 경험한다. 상기 VR 헤드셋은 상기 VR 헤드셋의 디스플레이(display)에 상기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3차원 이미지들(images)을 투영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virtual reality (VR) headsets are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for entertainment, training, and commercial applications. The user wears the VR headset on the user's head. The user experiences the VR through a software application executed using the VR headset. The VR headset projects three-dimensional images for the software application on a display of the VR headset.

본 발명의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은, 사용자 가상현실 헤드셋, 가상현실 운영서버, 및 통신망을 포함한다.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virtual reality headset, a virtual reality operation server, and a communication network.

통신망은, 가상현실 운영서버와 헤드셋(100) 간의 데이터 통신을 제공한다. The communication network provides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virtual reality operating server and the headset 100.

그 통신은 유선케이블을 통해 구현될 수 있고,The communication may be implemented via a wired cable,

가상현실 운영서버와 휴대용 컴퓨터(헤드셋과 연동되는 컴퓨터에 해당)간의 데이터 통신을 제공한다. 이러한 통신망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참고로,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은 기지국(BTS), 이동교환국(MSC), 홈 위치 등록기(HLR) 이외에, 무선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액세스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등과 같은 구성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nd provides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virtual reality operating server and a portable computer (corresponding to the computer associated with the headset). When such a communication network is implement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ata communication is performed using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and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can do. For reference,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in addition to a base station (BTS),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and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an access gateway (Access Gateway) Data Serving Node), and the like.

또한 통신망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implemented a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it can be implemented as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and data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an Internet protocol such as TCP / 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이와 같은 통신망 중 본원발명에서는 가상현실 운영서버와 헤드셋(100) 간의 휴대용 데이터 통신을 유선케이블을 통해 구현되는 방법으로 설명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virtual reality server and the headset 100 is realized through a wired cable.

또한 가상현실 운영서버는, 가상현실 영상을 각 사용자가 휴대한 헤드셋(100)에 전송한다. 가상현실 영상은 지형, 공간, 위치, 캐릭터, 배경, 환경 등 현실적인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이 해당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rtual reality operation server transmits the virtual reality image to the headset 100 carried by each user. Virtual reality images can be images that enable realistic virtual reality such as topography, space, location, character, background, and environment to be experienced.

헤드셋(100)은, 사용자가 착용한 소형 컴퓨터에 해당할 수 있어 가상현실 운영서버간의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The headset 100 may correspond to a small computer worn by a user and transmits / receives data between the virtual reality operating servers.

참고로, 가상현실 운영서버는, 상기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b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For reference, the virtual reality server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a typical web server in hardware 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and various types of virtual reality servers such as C, C ++, Jaba, Visual Basic, And includes program modules that are implemented through a language and perform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DOS

(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 등이 이용될 수 있다.a web server program can be implemented using a variety of operating systems such as DOS, Windows, Linux, Unix, and Macintosh, Web site used, Internet Information Server (IIS) and CERN, NCSA, APPACH etc. used in UNIX environment can be us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가상현실 콘텐츠 저장부(50), 가상현실 콘텐츠 선택부(51), 음성 출력부(52), 영상 표시부(53), 심박수 검출부(54), 동공 크기 검출부(55) 및 가상현실 콘텐츠 재생 제어부(60)로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virtual reality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torage unit 50,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lection unit 51, the audio output unit 52, the video display unit 53, A heart rate detection unit 54, a pupil size detection unit 55, and a virtual reality content playback control unit 6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에 있어서, 가상현실 콘텐츠 저장부(50)는 복수개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다가 가상현실 콘텐츠재생 제어부(60)의 요청에 따라 가상현실 콘텐츠 재생 제어부(60)로 제공한다.1,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torage unit 50 stores a plurality of virtual reality contents and provides them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layback control unit 60 at the request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layback control unit 60. [

가상현실 콘텐츠 선택부(51)는 가상현실 콘텐츠 저장부(5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가상현실 콘텐츠 중 재생시킬 가상현실 콘텐츠를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가상현실 콘텐츠 재생 제어부(60)를 통해 선택한다.The virtual reality content selection unit 51 selects a virtual reality content to be reproduced from a plurality of virtual reality contents stored i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torage unit 50 through a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unit 60 do.

가상현실 콘텐츠 재생 제어부(60)는 가상현실 콘텐츠 저장부(50)에 접속하여 가상현실 콘텐츠 저장부(50)가 저장하고 있는 복수개의 가상현실 콘텐츠의 리스트를 영상 표시부(53)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복수개의 가상현실 콘텐츠의 리스트를 보면서 가상현실 콘텐츠 선택부(51)를 통해 키 조작에 의해 선택한 가상현실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한다.The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unit 60 access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torage unit 50 and displays a list of the plurality of virtual reality contents stored i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torage unit 50 on the video display unit 53, The reproduction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lected by the key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lection unit 51 while viewing the list of the plurality of virtual reality contents.

음성 출력부(52)는 가상현실 콘텐츠 재생 제어부(60)로부터 재생되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한다.The audio output unit 52 outputs the audio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ed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unit 60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the audio.

영상 표시부(53)는 가상현실 콘텐츠 재생 제어부(60)로부터 재생되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영상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The video display unit 53 displays the video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ed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unit 60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video.

이와 같은 음성 출력부(52) 및 영상 표시부(53)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탑재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52 and the video display unit 53 may be mounted on the head mount display.

심박수 검출부(54)는 사용자의 단위 시간당 심박수를 검출하고 동공 크기 검출부(55)는 사용자의 동공의 크기가 커지는 정도를 검출한다.The heart rate detector 54 detects the heart rate per unit time of the user and the pupil size detector 55 detects the degree of increase in the size of the user's pupil.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재생 제어부(60)는 상기 심박수 검출부(54)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단위 시간당 심박수 정보와 상기 동공 크기 검출부(55)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동공의 크기가 커지는 정도를 정보 분석하여 사용자가 놀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사용자가 현재 이용 중인 가상현실 콘텐츠에서 놀랄만한 장면으로 분류된 장면의 재생을 반복시켜 사용자가 기억이 되살아 난 것으로 판단하고 동일 유사한 장면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반복해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 contents reproduction control unit 60 analyzes the information on the heart rate per unit time of the user provided from the heart rate detector 54 and the degree of the pupil size of the user provided from the pupil size detector 55,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surprised, the user repeatedly reproduces a scene classified as a remarkable scene in the currently used virtual reality content,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revived the memory, and repeatedly provid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of the same similar scene can do.

한편,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을 카페 등에서 고급안마의자에 앉아 즐길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can enjoy the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high-class massage chair in a cafe or the like.

본 발명에 가상현실 글로브 컨트롤러를 더 추가시켜 사용자에게 만지는 느낌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add a virtual reality globe controller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the user with a touched feel.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하는 중에 놀라 심박수가 빨라지거나 동공이 커지는 경우 사용자가 이용 중인 가상현실 콘텐츠에서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a user is surprised at heart rate or pupil size while using virtual reality contents,

놀랄만한 장면으로 분류된 장면의 재생을 반복시켜 사용자가 기억이 되살아 난 것으로 판단하고 동일 유사한 장면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반복해서 제공하기 때문에 기억력이 더욱 되살아 날 확률이 크다.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repeatedly reproduces the scene classified as the surprising scene, and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of the same similar scenes are repeatedly provided, so that the memory is more likely to be revived.

삭제delete

본 발명은 헤드셋(100)에 제1,2자이로 센서(110,120)를 탑재시켜 헤드셋을 착용한 사용자의 자세가 올바르지 않을 경우 센싱하여 브져를 울리게(도1의 발신부(130)에 해당) 하거나 헤드셋 내측에서 엘이디를 발광하도록 하므로서 바른 자세로 VR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The first and second gyro sensors 110 and 120 may be mounted on the headset 100 to sense the user's attitude when the wearer wears the headset and sound the buzzer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r 130 in FIG. 1) Thereby allowing the VR content to be used in a correct posture.

이러한 이유는 바른 자세가 아니면 집중력이 떨어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가 힘들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unless the correct posture is attained, the focus can be difficult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자이로 센서(112)(Gyro Sensor)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동작을 감지하여 사용자 동작 정보로서 사용자가 착용한 휴대용 컴퓨터(100)에 전송한다. The gyro sensor 112 is mounted on a user's body and senses the operation, and transmits the sensed operation to the portable computer 100 worn by the user as user operation information.

자이로 센서(110,120)는 3축의 변동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The gyro sensors 110 and 120 are sensors for sensing three-axis variations,

지구의 회전과 관계없이 높은 정확도로 항상 처음에 설정한 일정 방향을 유지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물체의 방위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It is a sensor that measures the azimuth change of an object by using property that maintains constant direction set at first always with high accuracy irrespective of earth rotation.

상기 자이로 센서(110,120)는 사용자의 헤드셋(100) 상측과 전방에 부착하여 이용자가 의자에 앉아 있을 경우는 상측 자이로가 이용자를 센싱하고 거동이 자유롭지 않아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의자 등받이를 뒤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누워있는 자세를 할 경우 전방 자이로가 이용자를 센싱하도록 할 수 있다.The gyro sensors 110 and 120 are moun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front side of the user's headset 100 so that when the user is sitting on the chair, the upper gyro senses the user and the backrest is turned backward The front gyro may be able to sense the user.

즉, 자이로가 3축중 필요 이상으로 1축으로 이동(이용자가 누워있는 뒤쪽 방향)하면 브져가 울리지 않도록 하고 전방 자이로는 누워있는 이용자가 머리를 설정기준치 이상 좌우로 움직이면 브져가 울리게 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if the gyro moves on one axis more than the need for three axes (the backward direction where the user is lying), do not let the buzzer sound, and if the user who is lying on the front gyro moves the head more than the set reference value, .

상기 제1,2자이로 센서(110,120)가 아닌 수평센서일 수 있다, 수평센서는 수평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제어부(130)를 통해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센서는 특허청등록번호 10-1090518호, 공개번호 특1998-041408호, 등록번호 10-0261808호에서 참고하기 바란다.The horizontal sensor may be a horizontal sensor other than the first and second gyro sensors 110 and 120. If the horizontal sensor can not maintain the horizontal position, a signal may be generated through the controller 130. Such a horizontal sensor is referred to Korean Patent Office Registration No. 10-1090518, Publication No. 1998-041408, and Registration No. 10-0261808.

가상현실의 샘플은 도1,2,3,4,5와 같은 콘텐츠 이미지이다.A sample of a virtual reality is a content image as shown in Figs.

50 : 가상현실 콘텐츠 저장부 51 : 가상현실 콘텐츠 선택부
52 : 음성 출력부 53 : 영상 표시부
54 : 심박수 검출부 55 : 동공 크기 검출부
60 : 가상현실 콘텐츠 재생 제어부 100 : 헤드셋
110 : 제1 자이로 센서 120 : 제2 자이로 센서
130 : 제어부
50: virtual reality content storage unit 51: virtual reality content selection unit
52: audio output unit 53: video display unit
54: heart rate detector 55: pupil size detector
60: virtual reality content playback control unit 100: headset
110: first gyro sensor 120: second gyro sensor
130:

Claims (1)

복수개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가상현실 콘텐츠 저장부(50);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저장부(5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가상현실 콘텐츠 중 재생시킬 가상현실 콘텐츠를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선택하기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 선택부(51);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저장부(50)에 접속하여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저장부(50)가 저장하고 있는 복수개의 가상현실 콘텐츠의 리스트를 영상 표시부(53)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리스트를 보면서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선택부(51)를 통해 키 조작에 의해 선택한 가상현실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재생 제어부(60);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재생 제어부(60)로부터 재생되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음성 출력부(52);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재생 제어부(60)로부터 재생되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영상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는 영상 표시부(53);
사용자의 단위 시간당 심박수를 검출하는 심박수 검출부(54); 및 사용자의 동공의 크기가 커지는 정도를 검출하는 동공 크기 검출부(55);를 더 포함한 것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재생 제어부(60)는 상기 심박수 검출부(54)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단위 시간당 심박수 정보와 상기 동공 크기 검출부(55)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동공의 크기가 커지는 정도를 정보 분석하여 사용자가 놀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사용자가 현재 이용 중인 가상현실 콘텐츠에서 놀랄만한 장면으로 분류된 장면의 재생을 반복시켜 사용자가 기억이 되살아 난 것으로 판단하고 동일 유사한 장면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반복해서 제공하되,
헤드셋(100)에 제1,2자이로 센서(110,120)를 탑재시켜 헤드셋을 착용한 사용자의 자세가 올바르지 않을 경우 센싱하여 브져를 울리게 하거나 헤드셋 내측에서 엘이디를 발광하도록 하므로서 바른 자세로 VR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호환경조건 방식의 기억법을 적용한 MCI 집중력 증진 콘텐츠 제공방법.
A virtual reality content storage unit 50 for storing a plurality of virtual reality contents;
A virtual reality content selection unit (51) for selec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to be reproduced among a plurality of virtual reality contents stored i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torage unit (50) by a key operation of a user;
A list of a plurality of virtual reality contents stored i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torage unit 50 is displayed on the video display unit 53 by access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torage unit 50, A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unit (60) for controlling the reproduction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selected by the key operation through the content selection unit (51);
An audio output unit 52 for outputting a voice of a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ed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unit 60 and allowing the user to hear the voice;
A video display unit (53) displaying an image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ed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unit (60) and allowing the user to view the image;
A heart rate detector 54 for detecting a heart rate per unit time of the user; And a pupil size detector (55) for detecting a degree of increase in size of a pupil of the user,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reproduction control unit 60 analyzes information of the user's heart rate per unit time provided from the heart rate detector 54 and the degree of the pupil size of the user provided from the pupil size detector 55,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surprised, the user repeatedly reproduces a scene classified as a remarkable scene in the currently used virtual reality content,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revived the memory, repeatedly provid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of the same similar scene,
By mounting the first and second gyro sensors 110 and 120 on the headset 100, if the attitude of the user wearing the headset is not correct, the VR content can be used in a right posture by sensing the buzzer or emitting the LED on the inside of the headset Wherein the MCI is stored in a storage medium.
KR1020170143015A 2017-10-31 2017-10-31 Content Design KR1019926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015A KR101992618B1 (en) 2017-10-31 2017-10-31 Content Desig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015A KR101992618B1 (en) 2017-10-31 2017-10-31 Content Desig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238A KR20190048238A (en) 2019-05-09
KR101992618B1 true KR101992618B1 (en) 2019-06-25

Family

ID=66546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015A KR101992618B1 (en) 2017-10-31 2017-10-31 Content Desig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61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599B1 (en) * 2021-07-07 2022-04-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inner concentr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609B1 (en) * 2016-12-05 2017-07-04 박형안 Apparatus for virtual reality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608A (en) * 2002-10-29 2004-05-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cyber theme park for virtual therapy treatment 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609B1 (en) * 2016-12-05 2017-07-04 박형안 Apparatus for virtual reality ser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599B1 (en) * 2021-07-07 2022-04-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inner concentration
WO2023282451A1 (en) * 2021-07-07 2023-01-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inner concent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238A (en)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6820B2 (en) Monitoring of motion sickness and addition of additional sound to suppress sickness
WO201800821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50325027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motion sickness in virtual reality ride systems
KR20240033136A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displaying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presentations
KR101839122B1 (en) A multi-access virtual space provisioning system linked with a multi-user real space loc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3D virtual reality images in a multiple access virtual space
US97558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a user presence
EP3446839A1 (en) Robot and housing
US11806621B2 (en) Gaming with earpiece 3D audio
Honda et al. Effects of head movement and proprioceptive feedback in training of sound localization
CN107291244A (en) A kind of VR visits system
Schraffenberger Arguably augmented reality: relationships between the virtual and the real
KR101839118B1 (en) A multi-access virtual space provisioning system linked with a multi-user real space location system
US10808879B2 (en) Actuator apparatus
KR101992618B1 (en) Content Design
WO201911668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A2948761A1 (en) Virtual training system
WO2020142402A1 (en) User groups based on artificial reality
JP2023546839A (en) Audiovisual render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2017079457A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US120039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attitude awareness in ambiguous environments
Calle et al. Head rotation data extraction from virtual reality gameplay using non-individualized HRTFs
US116017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attitude awareness in ambiguous environments
Kaghat et al. Experimenting with sound immersion in an arts and crafts museum
Röber et al. Authoring of 3D virtual auditory Environments
KR102167147B1 (en) Simulator and method to share training experi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