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746B1 - 부채 자동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부채 자동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746B1
KR101990746B1 KR1020180121718A KR20180121718A KR101990746B1 KR 101990746 B1 KR101990746 B1 KR 101990746B1 KR 1020180121718 A KR1020180121718 A KR 1020180121718A KR 20180121718 A KR20180121718 A KR 20180121718A KR 101990746 B1 KR101990746 B1 KR 101990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setting
handle
plate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4884A (ko
Inventor
고봉규
Original Assignee
고봉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봉규 filed Critical 고봉규
Priority to KR1020180121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746B1/ko
Publication of KR20180114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7/00Ladies' or like fans

Landscapes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부채손잡이가 적층 수납된 부채손잡이 수납부와, 상기 수납된 복수의 부채손잡이 중 하측의 부채손잡이를 하나씩 공급하는 부채손잡이 공급부와, 상기 공급된 부채손잡이를 홀딩하면서 부채손잡이의 결합헤드를 끼움 가능한 상태로 세팅하는 부채손잡이 세팅부와, 복수의 부채판이 적층 수납된 부채판 수납부와, 상기 수납된 복수의 부채판 중 하측의 부채판을 하나씩 홀딩하여 상기 결합헤드가 끼워질 수 있는 상태로 세팅하는 부채판 세팅부와, 상기 부채손잡이 세팅부를 부채판 세팅부로 전진 이송시켜 부채손잡이의 결합헤드가 부채판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부채를 조립하는 조립이송부를 포함하는 부채 자동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채손잡이와 부채판이 자동으로 조립되면서 동시에 대량으로 조립이 가능하므로 부채 조립의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신속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부채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채 자동조립장치 {AUTOMATIC ASSEMBLING DEVICE FOR FAN}
본 발명은 부채 자동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부채손잡이와 부채판을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어 부채 조립의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부채 자동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채란 손으로 잡고 흔들면 바람을 일으키는 것으로서, 무더운 여름철에 더위를 식히기 위해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그 외에 햇볕을 가리거나 장식용 등으로도 활용이 되어 왔다.
상기 부채는 그 구조에 따라 부채손잡이의 상부에 둥근 부채판이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고정된 형태를 갖는 고정식 부채(단선(團扇)이라 함)와, 하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한 다수의 부채살에 창호지와 같은 부채면을 부착한 다음 일정하게 반복하여 접음으로써 휴대시 접고 사용시에는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접철식 부채(접선(摺扇)이라 함)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러한 부채 중, 고정식 부채는 접철식 부채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여 경제적인 부담이 적기 때문에 보다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제조비용이 저렴함과 함께, 평판형태의 부채판에 다양한 광고나 홍보문구 등을 인쇄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에 판촉용으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부채의 조립작업이 순수하게 수동으로 이루어졌는 바, 작업자가 일일이 부채손잡이의 선단에 형성된 결합헤드를 벌려준 후 부채판의 선단에 결합헤드를 끼워 조립을 해야만 했으므로, 작업효율성이 좋지 못하였고, 숙련도가 떨어지는 작업자의 경우 조립작업이 쉽지 않아 조립시간이 상당히 지연되었음과 함께, 그에 따라 대량으로 제조되는 판촉용 부채를 조립함에 있어 많은 인원이 투입되어야만 했으므로 인건비 상승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제조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41660호 : 조립식 부채 등록실용신안 제20-0475061호 :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채손잡이와 부채판을 자동으로 그리고 대량으로 조립하여 부채 조립의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부채 자동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복수의 부채손잡이가 적층 수납된 부채손잡이 수납부와, 상기 수납된 복수의 부채손잡이 중 하측의 부채손잡이를 하나씩 공급하는 부채손잡이 공급부와, 상기 공급된 부채손잡이를 홀딩하면서 부채손잡이의 결합헤드를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하여 끼움 가능한 상태로 세팅하는 부채손잡이 세팅부와, 복수의 부채판이 적층 수납된 부채판 수납부와, 상기 수납된 복수의 부채판 중 하측의 부채판을 하나씩 홀딩하여 상기 결합헤드가 끼워질 수 있는 상태로 세팅하는 부채판 세팅부와, 상기 부채손잡이 세팅부를 부채판 세팅부로 전진 이송시켜 부채손잡이의 결합헤드가 부채판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부채를 조립하는 조립이송부를 포함하는 부채 자동조립장치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부채손잡이 공급부는, 상기 부채손잡이 수납부의 하단 일측에 구비되는 공급실린더와, 상기 공급실린더에 의해 부채손잡이 세팅부 쪽으로 전진하면서 수납된 복수의 부채손잡이 중 하측의 부채손잡이를 밀어 부채손잡이 세팅부로 인출시키는 공급푸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채손잡이 세팅부는, 상기 공급된 부채손잡이가 삽입 안착되는 세팅블록과, 상기 안착된 부채손잡이의 관통공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이 관통공에 끼워져 부채손잡이를 홀딩하도록 고정핀을 상승시키는 홀딩실린더와, 상기 안착된 부채손잡이의 결합헤드 전방에 구비되는 세팅지그와, 상기 세팅지그를 결합헤드로 접근시켜 세팅지그가 결합헤드의 하측편 위에 위치되게 하는 지그조정실린더와, 상기 세팅지그가 결합헤드의 하측편을 누름 가압하도록 세팅지그를 하강시켜 결합헤드가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하는 지그가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채판 세팅부는, 상기 부채판 수납부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팅아암과, 상기 세팅아암의 선단에 구비되며, 수납된 복수의 부채판 중 하측 부채판의 저면에 흡착되면서 부채판을 홀딩하는 홀딩핸드와, 상기 세팅아암을 일정각도 하향 회동시켜, 홀딩핸드에 흡착된 부채판의 선단부를 상기 결합헤드가 끼워질 수 있는 위치로 이격시키는 회동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채 자동조립장치에 의하면,
부채손잡이와 부채판이 자동으로 조립되면서 동시에 대량으로 조립이 가능하므로 부채 조립의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신속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부채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 대상이 되는 부채의 분해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 대상이 되는 부채의 조립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채 자동조립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채손잡이 수납부와 수채손잡이 공급부를 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채손잡이 세팅부를 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채손잡이 세팅부의 분해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채손잡이 세팅부의 작동을 순서대로 일 예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채판 수납부 및 부채판 세팅부의 구성 및 작동을 일 예시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송부의 구성 및 조립작동을 평면에서 일 예시한 도면,
도 15는 부채손잡이와 부채판의 조립과정을 일 예시한 도면,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부채 탈거부의 구성 및 조립부채의 탈거작동을 평면에서 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채 자동조립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형성되어”, “설치되어”,“결합되어”, “연결되어”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형성, 설치, 결합,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부채 자동조립장치(이하, “조립장치(100)”라 약칭함.)는 부채(200)를 자동으로 조립하는 장치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장치(100)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조립장치(100)에 의해 조립되는 대상물인 부채(200)의 구성에 대하여 먼저 간략하게 살펴본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조립대상이 되는 부채(200)가 일 예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부채(20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일정 길이의 부채손잡이(210)와, 바람을 일으키는 평판 형태의 부채판(220)으로 분리 구성된다.
그리고, 부채손잡이(210)의 선단에는 부채판(220)과의 조립을 위한 결합헤드(23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헤드(230)는 상호간에 탄성적으로 밀착이 되는 하측편(231)과 상측편(232)으로 이루어지며, 하측편(231)은 선단 일부분이 상측편(232)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결합헤드(230)에는 체결편(233)이 형성되고, 부채판(220)에는 상기 체결편(233)에 대응하여 체결편(233)이 끼워질 수 있는 체결구(221)가 형성된다.
또한, 부채손잡이(2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장치(100)의 홀딩핀(32)이 끼워질 수 있도록 관통공(211)이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부채(200)는 결합헤드(230)의 하측편(231)과 상측편(232)을 약간 벌려 부채판(220)의 선단에 결합헤드(230)를 끼워주면, 하측편(231)과 상측편(232)이 부채판(220)의 양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됨과 동시에 체결편(233)이 체결구(221)를 관통 체결되어 부채손잡이(210)와 부채판(220)이 상호 결합됨으로써, 도 2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장치(100)는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부채(200)를 자동으로 조립하는, 즉 부채손잡이(210)와 부채판(220)을 자동으로 조립하는 장치로서, 도 3 내지 도 1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100)의 구성 및 작동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한 도면들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100)는 부채손잡이 수납부(10)와, 부채손잡이 공급부(20)와, 부채손잡이 세팅부(30)와, 부채판 수납부(40)와, 부채판 세팅부(50)와, 조립이송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채손잡이 수납부(10)는 부채손잡이(210)를 수납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부채손잡이 수납부(10)에는 복수의 부채손잡이(210)가 상하로 적층이 되어 수납이 이루어진다.
상기 부채손잡이 공급부(20)는 부채손잡이 수납부(10)로부터 부채손잡이 세팅부(30)로 부채손잡이(210)를 하나씩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부채손잡이 공급부(20)는 도 4에 일 예시된 것처럼, 공급실린더(21)와, 공급푸셔(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실린더(21)는 부채손잡이 수납부(10)의 하단 일측에 구비되며, 공급푸셔(22)를 전후진 이동시킨다.
상기 공급푸셔(22)는 도 4의 (b)에 예시된 것처럼, 공급실린더(21)에 의해 부채손잡이 세팅부(30)쪽으로 전진하면서 부채손잡이 수납부(10)에 수납된 복수의 부채손잡이(210) 중에서 하측의 부채손잡이(210)를 밀어주며, 공급푸셔(22)에 의해 밀린 부채손잡이(210)는 부채손잡이 수납부(10)로부터 부채손잡이 세팅부(30)로 인출되어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부채손잡이 세팅부(30)로 부채손잡이(210) 하나가 공급되면, 공급실린더(21)에 의해 공급푸셔(22)는 원위치로 후진되고, 부채손잡이 수납부(10) 내에서는 적층된 부채손잡이(210)가 한칸씩 하강하여 공급대기 상태가 된다.
상기 부채손잡이 세팅부(30)는 상기 부채손잡이 공급부(20)로터 공급된 부채손잡이(210)를 홀딩하여 고정하며, 부채손잡이(210) 선단의 결합헤드(230)가 부채판(22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헤드(230)를 끼움 가능한 상태로 세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부채손잡이 세팅부(30)는 도 5 내지 도 6에 예시된 것처럼, 세팅블록(31)과, 홀딩핀(32)과, 홀딩실린더(33)와, 세팅지그(34)와, 지그조정실린더(35)와, 지그조정바(36)와, 지그가압실린더(3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팅블록(31)은 상기 부채손잡이 공급부(20)의 반대쪽에서 부채손잡이 수납부(10)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상기 세팅블록(31)으로는 상기 공급푸셔(22)에 의해 밀려 부채손잡이 수납부(10)로부터 공급된 부채손잡이(210)가 삽입 안착된다.
이러한 세팅블록(31)은 도 6에 일 예시된 것처럼, 하부블록(31a)과 중간블록(31b)과 상부블록(31c) 및 지지블록(31d)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블록(31a)과 중간블록(31b)은 그 사이에 상기 지그조정바(36)가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도록 상호 결합이 되고, 중간블록(31b)와 상부블록(31c)은 그사이에 상기 지지블록(31d)이 위치되도록 상호 결합이 된다.
상기 지지블록(31d)은 도 6에 일 예시된 것처럼, 부채손잡이(210)의 형상에 대응되게 절개된 형태를 가지며, 이렇게 지지블록(31d)이 중간블록(31b)과 상부블록(31c) 사이에 결합된 구성에 따라, 공급푸셔(22)에 의해 부채손잡이(210)가 공급되면, 부채손잡이(210)는 중간블록(31b)과 상부블록(31c) 사이로 삽입되면서 지지블록(31d)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세팅블록(31)에 정위치 안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홀딩핀(32)은 세팅블록(31)에 구비되는데, 상기 안착된 부채손잡이(210)의 관통공(211) 위치에 대응하여 관통공(211)의 하부에 수직으로 구비된다.
상기 홀딩핀(32)이 세팅블록(31) 내부에서 간섭없이 승강될 수 있게 하부블록(31a)과 중간블록(31b)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지그조정바(36)에는 장공(36a)이 형성된다.
이러한 홀딩핀(32)은 도 8에 일 예시된 것처럼, 상승에 따라 부채손잡이(210)의 관통공(211)에 끼워짐으로써 안착된 부채손잡이(210)를 홀딩하게 된다.
상기 홀딩실린더(33)는 세팅블록(31)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홀딩핀(32)을 승강시킨다.
이러한 홀딩실린더(33)는 부채손잡이(210)가 세팅블록(31)에 안착되면, 홀딩핀(32)이 관통공(211)에 끼워져 부채손잡이(210)를 홀딩함으로써 부채손잡이(210)가 세팅블록(31)에 고정되도록 홀딩핀(32)을 상승시키며, 이후, 부채손잡이(210)가 부채판(220)과 조립된 이후에는 조립된 부채(200)가 세팅블록(3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홀딩핀(32)을 원위치로 하강시킨다.
상기 세팅지그(34)는 세팅블록(31)에 안착된 부채손잡이(210)의 결합헤드(230) 전방에 구비된다.
세팅지그(34)는 상단이 절곡된 “ㄱ”자 형태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지그조정바(36)를 수직으로 관통하면서 하단은 후술하는 지그가압실린더(37)에 결합된다.
이러한 세팅지그(34)는 지그조정실린더(35)에 의해 수평위치가 조정됨과 함께 지그가압실린더(37)에 의해 승강되면서 부채손잡이(210)의 결합헤드(230)를 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지그조정실린더(35)와 지그조정바(36)는 결합헤드(230)에 대한 세팅지그(34)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그조정실린더(35)는 세팅블록(31)의 후단쪽에 구비되고, 지그조정바(36)는 지그조정실린더(35)에 결합되면서 세팅지그(34)에 관통되도록 전방으로 연장된다.
지그조정바(36)에는 전후진 위치이동시 상기 홀딩핀(32)과 간섭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장공(36a)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그조정실린더(35)와 지그조정바(36)는 도 8에 일 예시된 것처럼, 세팅지그(34)가 결합헤드(230)의 하측편(231) 위에 위치되게끔 세팅지그(34)를 결합헤드(230)로 접근 이동시키며, 이후, 부채손잡이(210)의 결합헤드(230)가 부채판(220)에 끼워지면 결합헤드(230)로부터 이격되도록 세팅지그(34)를 원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지그가압실린더(37)는 상기 세팅지그(34)가 결합헤드(230)를 탄성적으로 벌리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지그가압실린더(37)는 지그조정실린더(35)와 지그조정바(36)에 의하여 결합헤드(230)의 하측편(231) 위에 세팅지그(34)가 위치되면, 도 9에 일 예시된 것처럼, 세팅지그(34)가 하측편(231)을 눌러 가압함으로써 결합헤드(230)가 탄성적으로 벌어져 끼움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세팅지그(34)를 하강시키게 되며, 이후, 부채손잡이(210)가 부채판(220)과 조립된 후 조립된 부채(200)가 세팅블록(31)으로부터 이탈되면 세팅지그(34)를 원위치로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 부채판 수납부(40)는 부채판(220)을 수납하는 부분이다.
상기 부채판 수납부(40)에는 복수의 부채판(220)이 상하로 적층이 되어 수납이 이루어지며, 적층된 복수의 부채판(220)이 들뜨지 않도록 부채판 수납부(40)에는 누름편(4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부채판 수납부(40)는 상기 부채손잡이 세팅부(30)로부터 직선상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부채판 세팅부(50)는 부채판 수납부(40)에 수납된 복수의 부채판(220) 중 하측의 부채판(220)을 하나씩 홀딩하여, 상술한 것처럼 세팅된 부채손잡이(210)의 결합헤드(230)가 끼워질 수 있는 상태로 부채판(220)을 세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부채판 세팅부(50)는 도 10에 일 예시된 것처럼, 세팅아암(51)과, 홀딩핸드(52)와, 회동실린더(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팅아암(51)은 상기 부채판 수납부(4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홀딩핸드(52)는 상기 세팅아암(51)의 선단에 구비되며, 세팅아암(51)과 마찬가지로 좌우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홀딩핸드(52)는 수납된 복수의 부채판(220) 중 하측 부채판(220)의 저면에 흡착되어 부채판(220)을 홀딩하며, 이를 위해 홀딩핸드(52)는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발생기(54)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동실린더(53)는 상기 세팅아암(51)에 링크 결합되어 세팅아암(51)을 일정각도로 상하 회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구성의 부채판 세팅부(50)는 회동실린더(53)에 의해 세팅아암(51)이 상향 회동하면 홀딩핸드(52)가 수납된 복수의 부채판(220) 중 하측 부채판(220)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진공 흡입력에 의해 밀착된 부채판(220)의 저면을 흡착 홀딩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회동실린더(53)에 의해 세팅아암(51)이 일정각도 하향 회동되면, 도 11에 일 예시된 것처럼 홀딩핸드(52)도 하강하면서 이에 흡착된 부채판(220) 또한 선단부가 부채판 수납부(40)의 하측으로 이격됨으로써, 부채손잡이(210)의 결합헤드(230)가 끼워질 수 있는 위치로 세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조립이송부(60)는 부채손잡이 세팅부(30)와 부채판 세팅부(50)에 의해 각각 부채손잡이(210)와 부채판(220)이 상호 결합이 가능한 상태로 세팅이 되면, 부채손잡이 세팅부(30)를 부채판 세팅부(50)로 전진 이송시켜 부채손잡이(210)가 부채판(220)에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조립이송부(60)는 부채손잡이 세팅부(30)에 전후진 이송력을 제공하는 이송실린더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송실린더는 단수로 이루어지면서 부채손잡이 세팅부(30)와 직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보다는 원활한 이송력의 제공 및 제어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복수의 이송실린더, 즉 도 12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제1 이송실린더(61)와 제2 이송실린더(6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실린더(61)는 부채손잡이 세팅부(30)의 세팅블록(31)과 커넥팅로드(63)를 통해 결합되어 부채손잡이 세팅부(30)를 전후진 이송시킨다.
상기 제2 이송실린더(62)는 상기 제1 이송실린더(61)와 결합되어 제1 이송실린더(61)를 전후진 이송시킨다.
이러한 제1 이송실린더(61)와 제2 이송실린더(62)는 부채손잡이 세팅부(30)의 전체 이송거리를 각각 절반씩 담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조립을 위해 전진 이송시에는, 도 13에 일 예시된 것처럼, 제2 이송실린더(62)에 의해 부채손잡이 세팅부(30)와 제1 이송실린더(61)가 함께 이송거리의 절반만큼 전진 이송되고, 이어서 도 14에 일 예시된 것처럼, 계속적으로 제1 이송실린더(61)에 의해 부채손잡이 세팅부(30)는 나머지 이송거리를 전진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제1 이송실린더(61) 및 제2 이송실린더(62)에 의해 부채손잡이 세팅부(30)가 전진 이송되면 부채손잡이(210)의 결합헤드(230)가 부채판(220)의 선단부에 끼워져 부채손잡이(210)와 부채판(220)이 결합됨으로써 부채(200)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조립 후 원위치 후진시에는 제1 이송실린더(61)에 의해 부채손잡이 세팅부(30)가 이송거리의 절반만큼 후진 이송되고, 이어서 계속적으로 제2 이송실린더(62)에 의해 부채손잡이 세팅부(30)와 제1 이송실린더(61)가 나머지 이송거리를 후진 이송됨으로써 부채손잡이 세팅부(30)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위에서, 제1 이송실린더(61)와 제2 이송실린더(62)의 작동순서는 일 예시로서, 반대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은 조립부채 탈거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부채 탈거부(70)는 상기 조립이송부(60)의 전진 이송에 의한 부채(200)의 조립 후, 부채손잡이 세팅부(30)가 다시 원위치로 후진 이송될 때, 부채손잡이 세팅부(30)에 홀딩되어 함께 후진 이송되는 조립된 부채(200)를 부채손잡이 세팅부(30)로부터 이탈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조립부채 탈거부(70)는 도 3 또는 도 12에 일 예시된 것처럼, 부채손잡이 세팅부(30)의 이송경로 상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한쌍의 탈거봉(7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탈거봉(71)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데, 부채손잡이 세팅부(30)의 폭보다는 넓으면서 부채판(220)의 폭 보다는 좁도록 이격된다.
그에 따라 조립을 위해 부채손잡이 세팅부(30)가 부채판 세팅부(50)쪽으로 전진 이송될 때는, 도 13과 도 14에 일 예시된 것처럼, 부채손잡이 세팅부(30)가 한쌍의 탈거봉(71)과 간섭됨이 없이 바로 통과가 가능하다.
반면에, 조립 후 부채손잡이 세팅부(30)가 후진 이송될 때는, 도 16에 일 예시된 것처럼, 부채손잡이 세팅부(30)와 함께 이송되던 조립된 부채(200)의 부채판(220)이 한쌍의 탈거봉(71)에 걸리게 되며, 그에 따라 도 17에 일 예시된 것처럼 한쌍의 탈거봉(71)을 지나가면서 부채손잡이 세팅부(30)로부터 조립된 부채(200)는 자동으로 이탈되고 부채손잡이 세팅부(30) 만 계속 후진 이송되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립장치(100)는 부채손잡이 공급부(20), 부채손잡이 세팅부(30), 부채판 세팅부(50), 조립이송부(70)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당연히 포함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3과 같이, 조립대상물인 부채손잡이(210) 복수개와 부채판(220) 복수개를 각각 부채손잡이 수납부(10)와 부채판 수납부(40)에 상하로 적층시켜 수납한다.
이렇게 부채손잡이(210)와 부채판(220)이 각각 수납되면, 작동버튼을 눌러 조립장치(10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먼저 도 4에 예시된 것처럼, 부채손잡이 공급부(20)의 공급실린더(21)가 작동되면서 공급푸셔(22)를 전진시키며, 그에 따라 부채손잡이 수납부(10)에 수납된 하측의 부채손잡이(210) 하나가 공급푸셔(22)에 의해 밀리면서 부채손잡이 세팅부(30)로 인출 공급되어,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이 세팅블록(31)으로 삽입 안착된다.
이어서, 부채손잡이 세팅부(30)의 홀딩실린더(33)가 작동되어 홀딩핀(32)을 상승시킨다. 그러면, 도 8과 같이 홀딩핀(32)이 부채손잡이(210)의 관통공(211)에 끼워지면서 홀딩함으로써 세팅블록(31)에 부채손잡이(210)를 고정시킨다.
이어서, 도 8과 같이 지그조정실린더(35)가 작동되어 지그조정바(36)를 후진시킴으로써 세팅지그(34)를 결합헤드(230)의 하측편(231) 위에 위치시키고, 이어서 지그가압실린더(36)가 작동되어 세팅지그(34)를 하강시킨다.
그러면, 도 9와 같이 세팅지그(34)에 의해 하측편(231)이 하향 가압되면서 부채손잡이(210)의 결합헤드(230)가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되며, 그에 따라 결합헤드(230)가 부채판(220)이 끼워질 수 있는 상태로 세팅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부채손잡이(210)의 세팅과정과 함께, 부채판(220)의 세팅과정도 진행되는 바, 먼저, 부채판 세팅부(50)의 회동실린더(53)가 작동되어 세팅아암(51)을 수납된 부채판(220)쪽으로 상향 회동시킨다.
그러면, 세팅아암(51) 선단의 홀딩핸드(52)가 부채판 수납부(40)에 수납된 하측의 부채판(220) 저면에 밀착되며, 이와 동시에 홀딩핸드(52)로 진공 흡입력에 제공됨으로써 홀딩핸드(52)가 부채판(220)의 저면에 흡착되면서 부채판(220)을 홀딩하게 된다.
이어서, 회동실린더(53)가 다시 작동되어 세팅아암(51)을 윈위치로 하향 회동시킨다.
그러면, 도 11과 같이 세팅아암(51)의 하향 회동에 따라 부채판(220)을 홀딩한 홀딩핸드(52)도 하강하면서 부채판(220)의 선단부를 부채판 수납부(4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시키고, 그에 따라 부채손잡이(210)의 결합헤드(230)가 끼워질 수 있는 위치로 부채판(220)의 세팅이 완료된다.
상기한 부채판(220)의 세팅과정은 부채손잡이(210)의 세팅과정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부채손잡이(210)의 세팅완료 이후에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부채손잡이(210)와 부채판(220)의 세팅이 각각 완료되면, 도 12 내지 도 14에 예시된 것과 같이, 조립이송부(60)에 의하여 부채손잡이(210)와 부채판(220)의 결합작동이 이루어진다.
먼저, 도 13과 같이 제2 이송실린더(62)가 작동되어 부채손잡이 세팅부(30)와 제1 이송실린더(61)가 함께 부채판 세팅부(50)를 향해 전진 이송되고, 이어서 도 14와 같이 제1 이송실린더(61)가 작동되어 부채손잡이 세팅부(30)가 계속적으로 전진 이송된다.
이렇게 부채손잡이 세팅부(30)가 전진 이송되면, 도 15의 (a)에 예시된 것처럼, 부채손잡이 세팅부(30)에 의해 세팅된 부채손잡이(210)의 결합헤드(230)가 부채판 세팅부(50)에 의해 세팅된 부채판(220)의 선단부에 끼워지게 된다.
이 때, 부채손잡이 세팅부(30)의 지그조정실린더(35)가 작동되어 결합헤드(230)의 하측편(231)을 가압하고 있던 세팅지그(34)를 결합헤드(230)로부터 원위치로 전진 이격시킨다.
그러면, 도 15의 (b)에 예시된 것과 같이, 가압의 해제에 따라 벌어져 있던 결합헤드(230)의 하측편(231)과 상측편(232)이 부채판(220)의 양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됨과 함께 체결편(233)이 체결구(221)를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부채손잡이(210)와 부채판(220)이 상호 결합되어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부채손잡이(210)와 부채판(220)이 결합되어 부채(200)가 조립되면, 진공 흡입력의 제공을 차단하여 부채판(220)을 홀딩하고 있던 홀딩핸드(52)의 흡착력을 제거하고, 이어서 도 16과 같이 조립이송부(60)의 제1 이송실린더(61)가 작동되어 부채손잡이 세팅부(30)를 후진 이송시킨다.
이 때, 부채손잡이(210)는 여전히 홀딩핀(32)에 의해 홀딩된 상태이므로 조립된 부채(200)는 부채손잡이 세팅부(30)에 고정된 채로 함께 후진 이송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이송실린더(61)에 의한 이송이 완료되면, 이어서 제2 이송실린더(62)가 작동되어 부채손잡이 세팅부(30)를 원위치로 계속 후진 이송시키는데, 이 때 홀딩실린더(33)가 작동되어 홀딩핀(32)을 부채손잡이(210)의 관통공(211)으로부터 원위치로 하강 이탈시킴으로써 홀딩력을 제거하게 되고, 동시에 조립된 부채(200)의 부채판(220)은 도 16에 예시된 것과 같이 한쌍의 탈거봉(71)에 걸리게 된다.
이렇게 부채손잡이(210)에 대한 홀딩력이 제거됨과 함께 부채판(220)은 한쌍의 탈거봉(71)에 걸려 이송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제2 이송실린더(62)에 의해 부채손잡이 세팅부(30)가 계속적으로 후진 이송됨에 따라, 도 17에 예시된 것과 같이, 조립된 부채(200)는 자연스럽게 부채손잡이 세팅부(30)로부터 이탈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위와 같이 조립된 부채(200)가 이탈되면 지그가압실린더(37)의 작동에 따라 세팅지그(34)가 윈위치로 상승되면서 부채손잡이 세팅부(30)는 제2 이송실린더(62)의 이송완료에 따라 부채손잡이 공급부(20)로부터 부채손잡이(210)를 공급받을 수 있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부채손잡이(210)와 부채판(220)이 결합된 부채(200) 하나의 조립동작을 완료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이 반복됨으로써 대량의 부채(200)를 자동으로 조립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부채손잡이 수납부 20: 부채손잡이 공급부
21: 공급실린더 22: 공급푸셔
30: 부채손잡이 세팅부 31: 세팅블록
32: 홀딩핀 33: 홀딩실린더
34: 세팅지그 35: 지그조정실린더
36: 지그조정바 37: 지그가압실린더
40: 부채판 수납부 50: 부채판 세팅부
51: 세팅아암 52: 홀딩핸드
53: 회동실린더 60: 조립이송부
61: 제1 이송실린더 62: 제2 이송실린더
63: 커넥팅로드 70: 조립부채 탈거부
71: 탈거봉

Claims (4)

  1. 복수의 부채손잡이(210)가 적층 수납된 부채손잡이 수납부(10);
    상기 수납된 복수의 부채손잡이(210) 중 하측의 부채손잡이(210)를 하나씩 공급하는 부채손잡이 공급부(20);
    상기 공급된 부채손잡이(210)를 홀딩하면서 부채손잡이(210)의 결합헤드(230)를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하여 끼움 가능한 상태로 세팅하는 부채손잡이 세팅부(30);
    복수의 부채판(220)이 적층 수납된 부채판 수납부(40);
    상기 수납된 복수의 부채판(220) 중 하측의 부채판(220)을 하나씩 홀딩하여 상기 결합헤드(230)가 끼워질 수 있는 상태로 세팅하는 부채판 세팅부(50);
    상기 부채손잡이 세팅부(30)를 부채판 세팅부(50)로 전진 이송시켜 부채손잡이(210)의 결합헤드(230)가 부채판(220)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부채(200)를 조립하는 조립이송부(60);를 포함하며,
    상기 부채손잡이 세팅부(30)는,
    상기 공급된 부채손잡이(210)가 삽입 안착되는 세팅블록(31)과, 상기 안착된 부채손잡이(210)의 관통공(211) 하부에 구비되는 홀딩핀(32)과, 상기 홀딩핀(32)이 관통공(211)에 끼우져 부채손잡이(210)를 홀딩하도록 홀딩핀(32)을 상승시키는 홀딩실린더(33)와, 상기 안착된 부채손잡이(210)의 결합헤드(230) 전방에 구비되는 세팅지그(34)와, 상기 세팅지그(34)를 결합헤드(230)로 접근시켜 세팅지그(34)가 결합헤드(230)의 하측편(231) 위에 위치되게 하는 지그조정실린더(35)와, 상기 세팅지그(34)가 결합헤드(230)의 하측편(231)을 누름 가압하도록 세팅지그(34)를 하강시켜 결합헤드(230)가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하는 지그가압실린더(37)를 포함하는 부채 자동조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부채손잡이 공급부(20)는,
    상기 부채손잡이 수납부(10)의 하단 일측에 구비되는 공급실린더(21);
    상기 공급실린더(21)에 의해 부채손잡이 세팅부(30) 쪽으로 전진하면서 수납된 복수의 부채손잡이(210) 중 하측의 부채손잡이(210)를 밀어 부채손잡이 세팅부(30)로 인출시키는 공급푸셔(22);를 포함하는 부채 자동조립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채판 세팅부(50)는,
    상기 부채판 수납부(4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팅아암(51);
    상기 세팅아암(51)의 선단에 구비되며, 수납된 복수의 부채판(220) 중 하측 부채판(220)의 저면에 흡착되면서 부채판(220)을 홀딩하는 홀딩핸드(52);
    상기 세팅아암(51)을 일정각도 하향 회동시켜, 홀딩핸드(52)에 흡착된 부채판(220)의 선단부를 상기 결합헤드(230)가 끼워질 수 있는 위치로 이격시키는 회동실린더(53);를 포함하는 부채 자동조립장치.
KR1020180121718A 2018-10-12 2018-10-12 부채 자동조립장치 KR101990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718A KR101990746B1 (ko) 2018-10-12 2018-10-12 부채 자동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718A KR101990746B1 (ko) 2018-10-12 2018-10-12 부채 자동조립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337A Division KR101909813B1 (ko) 2017-03-31 2017-03-31 부채 자동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884A KR20180114884A (ko) 2018-10-19
KR101990746B1 true KR101990746B1 (ko) 2019-06-18

Family

ID=64101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718A KR101990746B1 (ko) 2018-10-12 2018-10-12 부채 자동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7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5322A (ja) * 2006-01-13 2007-07-26 Nozaki Kamishoji Kk うちわ製造装置およびうちわ製造方法
KR101311371B1 (ko) * 2011-09-05 2013-09-25 이종고 미역 종묘 자동 끼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4119A (ko) * 2000-06-21 2001-12-29 조노현 부채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
KR200341660Y1 (ko) 2003-11-12 2004-02-14 백정기 조립식 부채
KR200475061Y1 (ko) 2014-05-19 2014-11-12 (주)예스피피 조립이 용이한 판촉용 부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5322A (ja) * 2006-01-13 2007-07-26 Nozaki Kamishoji Kk うちわ製造装置およびうちわ製造方法
KR101311371B1 (ko) * 2011-09-05 2013-09-25 이종고 미역 종묘 자동 끼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884A (ko) 2018-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18750A1 (zh) 用于产品自动转移料架的装置
CN108808422B (zh) 一种用于接口pin针组装的插针转料机构
CN107667695A (zh) 一种自动嫁接装置
JPS63140763A (ja) 自動はんだ付け装置
KR101909813B1 (ko) 부채 자동조립장치
KR101990746B1 (ko) 부채 자동조립장치
JP2003320780A (ja) 綴じ装置
CN105525455A (zh) 一种拉链无缝安装设备的切料机构
JPH0823772A (ja) 接木装置
CN213764501U (zh) 一种布料激光裁剪机用工作台
CN107399158A (zh) 一种高效鞋面立体图纹印刷生产线
CN105533937A (zh) 一种拉链的无缝安装设备
CN209442267U (zh) 搬运装置、搬运机器人以及串焊机
CN105525453A (zh) 一种拉链无缝安装设备的送料机构
CN207836357U (zh) 一种自动套袋机
CN203027607U (zh) 一种半自动真空吸取贴合机
CN205364540U (zh) 一种拉链无缝安装设备的拉链安装机构
JPH03143476A (ja) ミシンの布地自動供給装置
CN210368389U (zh) 一种用于自动叠衣机的叠衣机构
CN212096739U (zh) 一种便于板材切割装置
CN112895037B (zh) 一种生产家具用木板开榫用切割装置
CN211687238U (zh) 基板装卸设备及基板加工***
TWM563068U (zh) 一種基板傳送裝置以及包括該裝置的裂片系統
CN203726890U (zh) 纸箱成型加工流水线
CN208640372U (zh) 一种自动烹调翻转倒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