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400B1 - 빌딩 자동화 시스템, 그에 포함된 게이트웨이 및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빌딩 자동화 시스템, 그에 포함된 게이트웨이 및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400B1
KR101990400B1 KR1020130021393A KR20130021393A KR101990400B1 KR 101990400 B1 KR101990400 B1 KR 101990400B1 KR 1020130021393 A KR1020130021393 A KR 1020130021393A KR 20130021393 A KR20130021393 A KR 20130021393A KR 101990400 B1 KR101990400 B1 KR 101990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torage means
control unit
gateway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6981A (ko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1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400B1/ko
Publication of KR20140106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6Special purpose or proprietary protocols or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떤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갖는 기기 또는 네트워크라도 게이트웨이에 연결하기 위한 빌딩 자동화 시스템, 게이트웨이 및 그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 포함된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을 지원하는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1 네트워크와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상호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간에 상기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참조되는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제1 저장수단;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저장수단은 데이터를 쓸 수 있는 저장장치로 구성하고, 상기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네트워크 변수 세트는 동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를 제공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빌딩 자동화 시스템, 게이트웨이 및 그의 동작방법은 어떤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갖는 기기 또는 네트워크라도 하나의 게이트웨이만을 통해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빌딩 자동화 시스템, 그에 포함된 게이트웨이 및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 {BUILDING AUTOMATION SYSTEM, GATEWAY COMPRISED THEREI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GATEWAY}
본 발명은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 포함된 게이트웨이 및 그의 동작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하거나, 빌딩에서 각종 시설물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해당 설비 및 각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나 DDC(Direct Digital Controller) 등과 같은 제어기기가 필요하다. 또한 각 설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각종 센서나 액츄에이터(actuator)들이 입출력 장치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종래의 자동화 시스템에서는 필드(field)에 설치된 센서가 일대일(point-to-point)로 중앙의 제어컴퓨터에 전달되었고, 상기 제어컴퓨터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도 역시 일대일로 액츄에이터에 전달되었으나, 이러한 자동화 시스템의 경우에는 시스템이 대형화되고 복잡해질수록 길게 연결되는 수많은 전선들 때문에, 배선에 소요되는 비용은 물론, 오류 발생시 시스템의 유지, 보수에 많은 노력과 비용을 필요로 하며, 중앙의 제어컴퓨터에 문제 발생시 전체 시스템이 동작불능 상태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후,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술의 발전과 함께 분산제어기술이 소개되면서 중앙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되던 중앙 집중제어 기능이 여러 대의 작은 컴퓨터로 분산된 분산 시스템으로 구성하였으나, 분산 시스템에서도 역시 제어기의 프로세서와 입출력 장치가 하나의 장치로 묶여 있어 여전히 필드에 설치된 센서나 액츄에이터들과는 일대일로 연결될 수밖에 없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입출력 장치를 센서나 액츄에이터에 근접해서 설치되는 형태로 변형된 필드버스(field bus) 즉, 입출력 장치가 현장에 분산된 형태가 나타났다. 필드버스는 배선을 획기적으로 간소화하고, 공정제어 및 빌딩제어에서 신속한 처리가 요구되는 다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효과적이며, 필드 디바이스(device)의 추가변경이 용이하여 시스템 구성에 유연성을 제공한다.
최근 빌딩 자동화 시스템(자동화 시스템에서 적용 대상을 한정하지 않고, 공장 자동화 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나 본 명세서에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으로 약칭한다)에서 이용하는 필드버스 네트워크에는 CAN, DeviceNet, Profibus, Interbus, LonWorks 등이 있으며, 그 중 특히 LonWorks는 OSI 7계층을 모두 사용하여 인터넷에 쉽게 연결될 수 있어 인터넷을 통한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다양하게 응용되고, 그 중요성 역시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빌딩 자동화 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빌딩종합관리시스템(BMS; Building Management System)(1), 게이트웨이(2) 및 기기(3a, 3b, 3c, 4a, 4b, 5) 그리고 이들 간 통신을 위한 제1 및 제2 네트워크(N1, N2)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3a, 3b, 3c, 4a, 4b, 5)는 빌딩에서 사용되는 각종 설비로서, 공조(HAVC; Heating, Ventilation, Air-Condition), 전력, 조명, 엘리베이터 시스템 등일 수 있고, 빌딩종합관리시스템(1)은 상기 기기 등을 감시 및/또는 제어하기 수단으로서, 상기 빌딩종합관리시스템(1)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기기(3a, 3b, 3c, 4a, 4b, 5) 상호 간에는 통신을 위해 제1 네트워크(N1)로 연결된다. 이때, 제1 네트워크(N1)는 바람직하게 LonWorks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기기(5) 중 일부는 제1 네트워크(N1)에서 사용하는 제1 프로토콜(protocol)에 따른 통신이 가능하여 제1 네트워크(N1)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제1 프로토콜과 다른 제2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3a, 3b, 3c, 4a, 4b)는 제1 네트워크(N1)에 직접 연결될 수 없어 게이트웨이(gateway)(2)를 통해 제1 네트워크(N1)에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즉, 게이트웨이(2)는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가진 네트워크(N1, N2) 간을 연결해주는 수단으로서, 게이트웨이(2)에 연결된 기기(3a, 3b, 3c, 4a, 4b)는 하나일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네트워크(N2)를 형성한 둘 이상일 수도 있다. 제2 네트워크(N2)의 경우 주로 RS-485 따위의 직렬통신방식을 갖는 네트워크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빌딩종합관리시스템(1)은 제1 네트워크(N1)를 통해 기기(5)를 제어하거나, 제1 네트워크(N1) 및 제2 네트워크(N2)를 통해 실내기(3a, 3b, 3c) 및 실외기(4a, 4b)를 제어할 수 있고, 반대로 리모컨(3a´, 3b´, 3c´)을 통해 실내기(3a, 3b, 3c) 각각에 입력된 정보가 제1 네트워크(N1) 및 제2 네트워크(N2)를 통해 빌딩종합관리시스템(1)에 전달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1 네트워크(N1)에 직접 연결된 기기(5)에 대한 상태 정보 등 역시 제1 네트워크(N1)를 통해 빌딩종합관리시스템(1)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게이트웨이(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저장수단(2a) 및 제어부(2b)를 포함한다.
제1 저장수단(2a)은 제어부(2b)에 대한 펌웨어(firmware)를 포함하여, 제어부(2b)를 제어하되, 펌웨어 이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변수(network variable)를 더 포함하여 제어부(2b)에 제공함으로써, 게이트웨이(2)에 연결된 제1 네트워크(N1)와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상호 간에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binding)에 의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종래에 제1 저장수단(2a)을 제어부(2b)와 별도로 구비한 것은, 그 이전 제어부(2b) 내에서 선언된 네트워크 변수는 메모리 제약을 사유로 64개의 네트워크 변수에 불과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방법이었다.
이에 따라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를 통한 관제점(monitoring and control point)을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제1 저장수단(2a)을 게이트웨이에 연결되는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변수와 함께 제어부(2b)에 대한 펌웨어를 함께 저장하였기 때문에, 하드웨어적인 특성에 의해 상기 제1 저장수단(2a)은 읽기 전용의 저장수단(ROM, EPROM, EEPROM 등)으로 구성되어야만 했다.
이러한 제1 저장수단(2a) 때문에, 롬 라이터(ROM writer) 따위로 한 번 버닝(burning)하여 필요 데이터를 저장하여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실장하게 되면, 네트워크 변수를 바꿀 수 없어 게이트웨이(2)에 연결될 수 있는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의 종류는 한정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즉, 도 3은 종래 게이트웨이가 기기와 연결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AC 기기(31)는 AC 게이트웨이(21)만 연결될 수 있고, DXHRV 기기(32)는 DXHRV(DX-Heat Reclaim Ventilation) 게이트웨이(22)에만 연결될 수 있으며, AWHP 기기(33)는 AWHP 게이트웨이(23)에만 연결될 수 있어, 기기 혹은 네트워크 변수 세트의 종류마다 제1 네트워크(N1)와 연결되기 위한 게이트웨이를 따로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필요 기술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떤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갖는 기기 또는 네트워크라도 게이트웨이에 연결하기 위한 빌딩 자동화 시스템, 게이트웨이 및 그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 포함된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을 지원하는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1 네트워크와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상호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간에 상기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참조되는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제1 저장수단;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저장수단은 데이터를 쓸 수 있는 저장장치로 구성하고, 상기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네트워크 변수 세트는 동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저장수단은, 상기 제어부에 대한 펌웨어를 저장한 제1 저장모듈; 및 상기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저장하여, 상기 제1 저장모듈에 제공하는 제2 저장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저장모듈은 데이터를 쓸 수 없는 저장장치로 구성하고, 상기 제2 저장모듈은 데이터를 쓸 수 있는 저장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가 서로 통신 매체를 공유하도록 연결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프로토콜을 이용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호스트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네트워크 변수 세트는 상기 호스트 제어부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내부 또는 외부의 제2 저장수단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2 저장 수단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변수 세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을 지원하는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1 네트워크와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상호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간에 상기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참조되는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제1 저장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저장수단은 쓰기 가능한 저장장치로 구성하고, 상기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네트워크 변수 세트는 동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각각에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노드들이 통신 매체를 공유하도록 연결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프로토콜을 이용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호스트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내부 또는 외부의 제2 저장수단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이용하여, 외부 입력에 따라 선택된 상기 네트워크 변수 세트로 상기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세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 포함된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을 지원하는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1 네트워크와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포함된 제1 저장수단은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와 다른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입력받아 변경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저장수단은 변경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제어부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상호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저장수단이 다른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입력받아 변경 저장하는 단계는, 호스트 제어부가 내부 또는 외부의 제2 저장수단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저장수단이 다른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입력받아 변경 저장하는 단계는, 입력 수단이 외부로부터 상기 제2 저장수단에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선택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저장수단이 다른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입력받아 변경 저장하는 단계는, 호스트 제어부가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빌딩 자동화 시스템, 게이트웨이 및 그의 동작방법은 어떤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갖는 기기 또는 네트워크라도 하나의 게이트웨이만을 통해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에 의해 변경할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저장한 제2 저장수단을 호스트 제어부 내부에 포함하거나 외부에 연결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네트워크 변수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은 물론, 변경할 네트워크 변수에 대한 추가나 변경 등이 용이하다.
도 1은 종래 빌딩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게이트웨이가 기기와 연결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딩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빌딩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을 단계별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고도 명확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게이트웨이 및 빌딩 자동화 시스템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게이트웨이(200)는 네트워크 변수(network variable)의 바인딩(binding)에 의한 통신방법을 지원하는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1 네트워크(N1)와 연결되고, 도 4A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제1 프로토콜과 다른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상호 간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데이터를 전달하는 수단이다.
이때, 게이트웨이(200)에 연결되어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대상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31)를 포함할 수 있고 혹은 동일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들(31a, 31b, 41a)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네트워크(N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제2 네트워크(N2)는 구성하고 있는 노드가 이루는 형태(topolgy)나 노드의 수 등을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200)는 제1 저장수단(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저장수단(210)은 종래와 달리, 데이터의 읽기(read) 이외에 쓰기(write)가 가능한 저장장치로 구성하고,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가 외부 입력 등에 의해 변할 수 있게 동적으로 구성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제어부(220)는 게이트웨이(20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수단으로서,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을 지원하는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1 네트워크와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를 소정의 처리 또는 가공을 하여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20)가 상기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1 네트워크와 그렇지 않은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간에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제2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참조하여야한다.
제2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변수 세트는 제1 저장수단(210)이 저장하고, 제어부(220)에 제공하게 된다.
종래와 같이, 제어부(220)가 참조하는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제어부(220)의 내부가 아닌 외부의 제1 저장수단(210)에 저장하되 그로부터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제공받음으로써, 제어부(220)의 내장 메모리에 대한 제약이 없어져 더 많은 수의 네트워크 변수를 저장할 수 있게 되었고, 이에 따라 빌딩종합관리시스템(BMS)(1)이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에 대한 관제점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함께, 제1 저장수단(2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저장수단(2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는 것뿐 아니라, 제1 저장수단(210)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1 저장수단(210)에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외부 입력 등에 의해 수정 혹은 변경할 수 있도록 동적 구성함으로써,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게이트웨이(200)에 한 종류의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가진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만 연결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가진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를 게이트웨이(200)에 연결하더라도 상기 게이트웨이(200)를 그에 맞도록 적응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1 네트워크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AC 게이트웨이(21)를 수정 혹은 변경함으로써, DXHRV 기기(32) 또는 AWHP 기기(32)가 AC 게이트웨이(21)를 통해 제1 네트워크(N1)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 저장수단(210)은 일 예로서, 데이터의 읽기/쓰기가 자유로운 램(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저장수단(210)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저장모듈(211) 및 제2 저장모듈(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장모듈(211)은 제어부(220)에 대한 펌웨어를 저장하여 제어부(220)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수단이다. 이와 같이, 제1 저장모듈(211)은 하드웨어적인 특성을 포함하고 있어, 데이터를 임의로 쓸 수 없는 롬(ROM, EPROM, EEPROM 등)과 같은 저장장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저장모듈(212)은 상기 제1 저장모듈(211)과 달리,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1 네트워크가 상기 제1 프로토콜과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참조하는 네트워크 변수를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외부의 입력에 의해 제2 저장모듈(212)에 저장된 데이터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쓸 수 있는 저장장치로 구성하되, 일 예로 램이나 플래시 메모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저장모듈(212)에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는 제1 저장모듈(211) 또는 제어부(220)의 요청에 의해 제어부(220)에 제공(미도시)하되, 상기 제2 저장모듈(212)에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는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200)는 한 종류의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가진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와만 연결되지 않고 적응적으로 변경되어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가진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와도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20)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제어부(221) 및 호스트 제어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어부(221)는 상기 제1 네트워크(N1) 및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가 서로 통신 매체를 공유하도록 연결을 제어하는 수단이고, 호스트 제어부(222)는 인터페이스 제어부(221)와 연결되어 제1 프로토콜을 이용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수단이다.
이때, 인터페이스 제어부(221)는 호스트 제어부(222)와 상호 통신하기 위해 호스트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호스트 제어부(222) 역시 인터페이스 제어부(221)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인터페이스 제어부(221)와 호스트 제어부(222) 간에 원활한 통신을 위해 넓은 대역폭을 가진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네트워크(N1) 및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간 통신시, 인터페이스 제어부(221)는 OSI 계층에 대응한다면 주로 하위 계층(1 내지 5 계층)을 담당하여, 구체적으로 MAC(Media Access Control) 기능, 패킷 충돌 감지 기능, 수신 확인 기능, 재전송 기능 등을 수행하고, 호스트 제어부(222)는 OSI 계층에 대응한다면 주로 상위 계층(6 내지 7 계층)을 담당하여,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변수 값을 갱신하거나, 바인딩 정보를 관리하거나, 응용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호스트 제어부(2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수단으로서,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관제점에 대한 감지, 제어, 네트워크 관리, 통신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호스트 제어부(222)에 연결된 입력 수단(240) 등을 통해 외부 입력에 따라 제1 저장수단(210)에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제어부(2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기 때문에, 제1 저장수단(210) 보다 큰 메모리를 가진 저장수단이 요구된다. 따라서, 호스트 제어부(222)는 내부 또는 외부에 연결된 제2 저장수단(23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상기 제2 저장수단(230)은 복수의 네트워크 변수 세트(231, 232, 233)를 저장하여, 제1 저장수단(210) 또는 제2 저장모듈(212)에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제2 저장수단(230)에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231, 232, 233) 중 선택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로 변경한다.
이와 같이 제2 저장수단(230)을 호스트 제어부(222)에 내부에 포함하거나 외부에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네트워크 변수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호스트 제어부(222)는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입력수단(240)을 통해 변경할 네트워크 변수에 대한 추가나 변경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이트웨이(200)는 제2 저장수단(2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변수 세트(231, 232, 233)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선택하도록 입력수단(24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수단(2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저장수단(230)에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받을 수 있으나, 이외에도 호스트 제어부(222)가 실행하는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입력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저장수단(210) 또는 제2 저장모듈(212)에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직접 설정하거나, 제2 저장수단(230)에 저장하여 추후 선택 입력을 통해 제1 저장수단(210) 또는 제2 저장모듈(212)에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입력수단(240)은 게이트웨이(200)의 내장 여부와 무관하게 사용자로부터 설정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선택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다양한 공지의 수단이 채용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수단(240)은 게이트웨이(200)와 로컬(local)로 혹은 원격(remote)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원격으로 연결되는 경우 입력수단(240)은 제1 네트워크(N1)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
이하에서는 도 4A 및 도 4B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을 설명하되, 전술한 게이트웨이 및 이를 포함한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에 갈음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을 단계별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게이트웨이(200)의 동작방법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을 지원하는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1 네트워크와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S10)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S10)는 게이트웨이의 제1 저장수단은 다른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S110), 제1 저장수단은 변경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제어부에 제공하는 단계(S120) 및 제어부가 제1 네트워크와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상호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즉, 게이트웨이(200)에서 제1 네트워크(N1)와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간에 통신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220)에 네트워크 변수를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참조되는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제공하는 제1 저장수단(210)이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를 외부 입력 등에 의해 변경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게이트웨이에 다종의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갖는 기기 또는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저장수단이 다른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입력받아 변경 저장하는 단계(S110)는, 호스트 제어부(222)가 내부 또는 외부의 제2 저장수단(2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이용하여, 제1 저장수단(210)에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전 단계로서, 호스트 제어부(222)가 제1 저장수단(210) 또는 제2 저장모듈(212)에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변경할 때, 입력수단(240)이 사용자로부터 제2 저장수단(230)에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선택하도록 입력을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다르게, 호스트 제어부(222)가 실행하는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변경 세트를 직접 입력받아 제1 저장수단(210) 또는 제2 저장모듈(212)에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저장수단(230)에 기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지 않고, 직접 사용자가 구성할 수 있고, 한편으로 직접 입력받은 네트워크 변경 세트를 제2 저장수단(230)에 추가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에 의해 변경할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저장한 제2 저장수단(230)을 호스트 제어부 내부에 포함하거나 외부에 연결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네트워크 변수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은 물론, 변경할 네트워크 변수에 대한 추가나 변경 등이 용이하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 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빌딩종합관리시스템 2: 게이트웨이
3, 4, 5: 기기 3a´, 3b´, 3c´: 리모컨
10: 빌딩 자동화 시스템 21: AC 게이트웨이
22: DXHRV 게이트웨이 23: AWHP 게이트웨이
31: AC 기기 32: DXHRV 기기
33: AWHP 기기 100: 빌딩 자동화 시스템
200: 게이트웨이 210: 제1 저장수단
211: 제1 저장모듈 212: 제2 저장모듈
220: 제어부 221: 인터페이스 제어부
222: 호스트 제어부 230: 제2 저장수단
241, 242, 243: 네트워크 변수 세트 240: 입력수단
N1, N2: 네트워크

Claims (14)

  1.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 포함된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을 지원하는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1 네트워크와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상호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간에 상기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참조되는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제1 저장수단;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저장하는 제2 저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저장수단은 데이터를 쓸 수 있는 저장장치로 구성하고, 상기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네트워크 변수 세트는 동적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가 서로 통신 매체를 공유하도록 연결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프로토콜을 이용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변경하는 호스트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상기 제2 저장수단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수단은,
    상기 제어부에 대한 펌웨어를 저장한 제1 저장모듈; 및
    상기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저장하여, 상기 제1 저장모듈에 제공하는 제2 저장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저장모듈은 데이터를 쓸 수 없는 저장장치로 구성하고, 상기 제2 저장모듈은 데이터를 쓸 수 있는 저장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2 저장 수단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변수 세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8.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을 지원하는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1 네트워크와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상호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간에 상기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참조되는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제1 저장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저장수단은 쓰기 가능한 저장장치로 구성하고, 상기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네트워크 변수 세트는 동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각각에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노드들이 통신 매체를 공유하도록 연결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프로토콜을 이용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호스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제어부는,
    내부 또는 외부의 제2 저장수단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이용하여, 외부 입력에 따라 선택된 상기 네트워크 변수 세트로 상기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
  9. 삭제
  10.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 포함된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을 지원하는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1 네트워크와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포함된 제1 저장수단은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와 다른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입력받아 변경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저장수단은 변경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제어부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상호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저장수단이 다른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입력받아 변경 저장하는 단계는,
    호스트 제어부가 내부 또는 외부의 제2 저장수단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수단이 다른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입력받아 변경 저장하는 단계는,
    입력 수단이 외부로부터 상기 제2 저장수단에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선택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수단이 다른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입력받아 변경 저장하는 단계는,
    호스트 제어부가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
  14. 제 10 항, 제 12 항 및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021393A 2013-02-27 2013-02-27 빌딩 자동화 시스템, 그에 포함된 게이트웨이 및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 KR101990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393A KR101990400B1 (ko) 2013-02-27 2013-02-27 빌딩 자동화 시스템, 그에 포함된 게이트웨이 및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393A KR101990400B1 (ko) 2013-02-27 2013-02-27 빌딩 자동화 시스템, 그에 포함된 게이트웨이 및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981A KR20140106981A (ko) 2014-09-04
KR101990400B1 true KR101990400B1 (ko) 2019-06-18

Family

ID=51755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393A KR101990400B1 (ko) 2013-02-27 2013-02-27 빌딩 자동화 시스템, 그에 포함된 게이트웨이 및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4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092B1 (ko) * 2014-11-19 201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딩 자동화 시스템, 이에 포함된 설비 제어 장치 및 설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5438B1 (ko) * 2017-07-14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딩 관리 시스템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913B1 (ko) * 2001-12-24 2005-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바이스들간을 바인딩시키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207B1 (ko) * 2005-03-09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딩관리시스템 및 그의 프로토콜 변환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913B1 (ko) * 2001-12-24 2005-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바이스들간을 바인딩시키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981A (ko)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93785B (zh) 用于灵活的房间布置的分组
CN106154985B (zh) 工业过程网络上的数据传送
US7953419B2 (en) Method for integration of network nodes
US9874869B2 (en) Information controller, information control system, and information control method
US11038706B2 (en) Method for automatic configuration of sematic-based projects in building automation systems
JP2014512605A (ja) デバイス記述ファイルをホストに送信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130131837A1 (en) Prioritized Controller Arbitration
Kastner et al. Building Automation Systems Integration into the Internet of Things The IoT6 approach, its realization and validation
EP2631857A1 (en)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06270359A (ja) 生産システムにおけるネットワーク開通方法
KR101990400B1 (ko) 빌딩 자동화 시스템, 그에 포함된 게이트웨이 및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
KR102015438B1 (ko) 빌딩 관리 시스템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11880191B2 (en) Remote activation of the wireless service interface of a control device via a bus system
KR101214488B1 (ko)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KR101990399B1 (ko) 빌딩 자동화 시스템, 그에 포함된 게이트웨이 및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
KR101649659B1 (ko) 설비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한 빌딩 자동화 시스템 및 설비 제어 방법
JP2010134591A (ja) 制御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る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2020088707A (ja) クラウドブルートゥース装置管理システム
JP2010271758A (ja) データ集約型plc
ES2962496T3 (es) Método y dispositivo para generar un proyecto de automatización de edificios
JP4873220B2 (ja) フィールド通信システム
JP6969300B2 (ja) 制御システム、排他制御方法、対象装置
KR102026638B1 (ko) 게이트웨이, 그를 포함한 빌딩 자동화 시스템 및 그의 동작방법
KR102459770B1 (ko) 건물에 구비된 복수의 설비를 제어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58092B1 (ko) 빌딩 자동화 시스템, 이에 포함된 설비 제어 장치 및 설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