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883B1 - 축산폐수 정화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축산폐수 정화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883B1
KR101989883B1 KR1020180143120A KR20180143120A KR101989883B1 KR 101989883 B1 KR101989883 B1 KR 101989883B1 KR 1020180143120 A KR1020180143120 A KR 1020180143120A KR 20180143120 A KR20180143120 A KR 20180143120A KR 101989883 B1 KR101989883 B1 KR 101989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livestock wastewater
reaction
spac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진
Original Assignee
(주)호승기업
양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호승기업, 양승진 filed Critical (주)호승기업
Priority to KR1020180143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C02F9/0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21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comprising treatment of the recirculated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78Provisions for mixing or aeration of the mixed liquor
    • C02F3/1284Mix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사조, 혐기조, 무산소조, 제1호기조, 제2호기조, 제1침전조, 색도 희석 모듈, 제2침전조, 복수의 카트리지 필터 탱크, 분리막 필터 탱크 등으로 구성되는 축산폐수 정화 처리 장치로서, 각 단계들의 효율을 높이면서 전체적인 장비가 컴팩트하게 설계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축산폐수 정화 처리 장치{Purification plant for livestock waste water}
본 발명은 축산 분뇨 등의 축산폐수를 정화 처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축산폐수 정화 처리 장치로서, 구체적으로는 이동형 컨테이너에 각종 장비를 배치한 후 현장에 이동형 컨테이너를 설치하여 전체 장치의 설치가 완료되는 축산폐수 정화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 분뇨 등의 축산폐수에는 부영양화의 원인 물질인 질소, 인 등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심한 악취가 발생 되는데, 이러한 축산폐수에 포함된 질소, 인은 미생물의 활동 및 증식을 위한 단백질과 핵산 합성의 필수 영양소로 작용하게 되며 잉여분은 제거되거나 방류된다.
특히, 질소와 인이 하천이나 호수로 방류될 경우 부영양화의 주된 원인이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생활하수 또는 공장에서 버려지는 오폐수 등에는 많은 양의 오염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배출된 오염원수는 여러 가지 환경문제를 야기하므로 다양한 처리를 거치도록 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하수처리장에서는 표준활성슬러지공법으로 유기물 제거 위주의 공법으로 처리하고 있으나, 갈수록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보다 엄격한 하수처리를 법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오염원수 중 함유된 질소와 인을 그대로 배출시 부영양화 등 많은 악영향을 미치므로 질소와 인의 처리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질소와 인 제거를 통상적으로 고도처리라 칭한다.
고도처리는 기본적으로 혐기조-무산소조-호기조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기본구성으로 질소와 인을 처리하는데, 이하에서는 질소와 인 처리를 위한 각조의 기능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혐기조에서는 혐기성 조건에서 미생물이 인을 방출시키고, 무산소조에서는 호기조에서 반송된 질산성 질소를 탈질미생물(denitrifier)이 유기물을 이용하여 질소가스로 전환시키며, 호기조에서는 공기를 불어넣어 유기물을 산화, 질산화 그리고 용출된 인의 량보다 많은 양의 인을 과잉 섭취하여 인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질소와 인의 처리를 위해 별도로 고도처리가 필요한 이유는 화학물의 특성에 기인한다.
즉, 오염물질로 버려지는 하폐수 중의 질소성분은 유기성질소(Organic-N), 암모니아성질소(NH3-N), 아질산성질소(NO2-N) 그리고 질산성질소(NO3-N) 등의 형태로 존재하며, 보통 암모니아성 질소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한다. 암모니아성 질소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질산화(Nitrification) 공정 및 탈질 공정(Denitrification)이 필요하며, 먼저 질산화 공정에서는 암모니아를 호기성 조건에서 질산염의 형태로 전환시키고, 탈질공정에서는 질산염을 질소가스로 전환시켜 질소성분을 제거해야 한다.
한편 미생물들은 인을 세포합성과 에너지 전달을 위한 물질로 사용하여 생물학적 처리과정을 통해 유입수내의 인의 10 내지 30%가 미생물의 신진대사에 의해 제거된다. 이러한 인 제거를 위한 미생물들은, 혐기성 상태에서는 유입수내의 휘발성지방산과 반응하여 미생물 내에 축적된 인을 몸 밖으로 방출하며, 이때 수중의 인 농도는 증가하게 된다. 혐기성 지역 뒤에 호기성 조건에서는 혐기성 상태에서 인을 방출했던 미생물들은 정상수준 이상의 인을 과다섭취(luxury uptake)하게 됨으로써 수중의 인이 제거되게 된다. 따라서 생물학적 인 제거의 핵심은 인 제거 미생물들을 혐기성과 호기성 상태로 교대로 노출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질소와 인의 제거를 위해서는 호기조, 혐기조, 무산소조 등의 조건이 필요하며 이러한 조건들을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고도처리의 효율 및 설치비 등이 결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질소와 인의 생물학적인 처리를 위해서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가장 흔히 대표되는 공정으로 A2O 공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이외에도 UCT, Bardenpho법 등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기본적으로 혐기조, 무산소조, 호기조 등을 직렬로 배치 설계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대단위의 설치 부지면적과 설치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9099호 "단계주입 상향류 반응조를 이용한 하폐수 내 질소, 인 고도처리장치"(2006.11.16.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형 컨테이너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각 단계들을 컴팩트하게 설계한 축산폐수 정화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축산폐수가 유입되는 축산폐수 유입관과 상기 축산폐수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축산폐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 부재와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형 바닥면이 마련되는 침사조 ; 상기 침사조를 거친 축산폐수가 유입되며, 혐기성 상태에서 미생물의 인 방출을 유도하며, 혐기성 미생물의 부착을 위한 제1접촉여재가 마련되며, 축산폐수의 가열을 위한 제1전기히터가 마련되며, 축산폐수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1산기관이 마련되는 혐기조 ; 상기 혐기조를 거친 축산폐수가 유입되며, 무산소 상태에서 탈질 반응을 유도하며, 축산폐수의 교반을 위한 복수의 교반기가 마련되며, 축산폐수의 가열을 위한 제2전기히터가 마련되며, 내부 공간을 축산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공간과 축산폐수가 유출되는 유출공간으로 구획하며 하부를 통하여 상기 유입공간과 상기 유출공간이 서로 연통되는 수직 격벽이 형성되는 무산소조 ; 직육면체 형태의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본체 내부 공간을 상부의 제1반응용 상부공간과 하부의 제1침전용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광하협의 사각뿔대 형태로서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1본체의 내벽에 결합되며 중앙에 제1연통구멍이 형성된 제1경사판 부재와,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제1연통구멍을 개폐하기 위한 수평판 형태의 제1개폐판과, 상기 제1개폐판을 상하로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개폐판에 연결되는 제1개폐판 상하 구동원과, 축산폐수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1반응용 상부공간에 배치되는 제3-1산기관과, 호기성 미생물의 부착을 위하여 상기 제1반응용 상부공간에 배치되는 제3-1접촉여재와, 축산폐수의 가열을 위하여 상기 제1반응용 상부공간에 배치되는 제3전기히터가 마련되어, 상기 제1반응용 상부공간으로 상기 무산소조를 거친 축산폐수가 유입되어 호기성 상태에서 질산화 반응과 인 제거 반응을 유도하는 제1호기조 ; 상기 제1호기조의 제1침전용 하부공간의 침전 슬러지를 상기 무산소조로 반송하기 위한 제1반송배관 ; 직육면체 형태의 제2본체와, 상기 제2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본체 내부 공간을 상부의 제2반응용 상부공간과 하부의 제2침전용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광하협의 사각뿔대 형태로서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2본체의 내벽에 결합되며 중앙에 제2연통구멍이 형성된 제2경사판 부재와,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제2연통구멍을 개폐하기 위한 수평판 형태의 제2개폐판과, 상기 제2개폐판을 상하로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2개폐판에 연결되는 제2개폐판 상하 구동원과, 축산폐수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2반응용 상부공간에 배치되는 제3-2산기관과, 호기성 미생물의 부착을 위하여 상기 제2반응용 상부공간에 배치되는 제3-2접촉여재와, 상기 제2반응용 상부공간으로 상기 무산소조를 거친 축산폐수가 유입되어 호기성 상태에서 질산화 반응과 인 제거 반응을 유도하는 제2호기조 ; 상기 제2호기조의 제2침전용 하부공간의 침전 슬러지를 상기 무산소조로 반송하기 위한 제2반송배관 ; 상기 제1호기조를 거친 축산폐수 및 상기 제2호기조를 거친 축산폐수가 유입되며, 복수의 제1활성탄 부재가 상하로 이격되며 배치되며, 축산폐수가 상향류를 형성하면서 상기 복수의 제1활성탄 부재를 지나도록 하는 제1침전조 ; 상기 제1침전조의 침전 슬러지를 상기 혐기조로 반송하기 위한 제3반송배관 ; 상기 제1침전조를 거친 축산폐수를 차아염소산에 의하여 대장균을 제거하고 색도를 희석하는 색도 희석 모듈 ; 상기 색도 희석 모듈을 거친 축산폐수가 유입되며, 복수의 제2활성탄 부재가 상하로 이격되며 배치되며, 축산폐수가 상향류를 형성하면서 상기 복수의 제2활성탄 부재를 지나도록 하는 제2침전조 ; 상기 제2침전조를 거친 축산폐수를 가압 이송하는 필터용 펌프 ; 상기 필터용 펌프에 의하여 가압 이송되는 축산폐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카트리지 필터 탱크 ;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 필터 탱크를 거친 축산폐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하여, 중공사막 필터와 상기 중공사막 필터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필터용 공기공급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리막 필터 탱크 ; 상기 분리막 필터 탱크를 거친 축산폐수를 외부에 방출하는 배출 펌프 ; 상기 혐기조의 제1산기관, 상기 제1호기조의 제3-1산기관, 상기 제2호기조의 제3-2산기관, 상기 분리막 필터 탱크의 필터용 공기공급구 각각에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제1반송배관, 상기 제2반송배관, 상기 제3반송배관 각각에 슬러지 공기 이송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침사조, 상기 혐기조, 상기 무산소조, 상기 제1호기조, 상기 제2호기조, 상기 제1침전조, 상기 색도 희석 모듈은 어느 하나의 이동형 컨테이너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침전조,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 필터 탱크, 상기 분리막 필터 탱크, 상기 송풍기는 다른 하나의 이동형 컨테이너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축산폐수 정화 처리 장치의 각 단계들의 효율을 높이면서 전체적인 장비가 컴팩트하게 설계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모든 장치들이 이동형 컨테이너에 배치될 수 있어 매우 간편하고 편리하게 본 축산폐수 정화 처리 장치가 현장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축산폐수 정화 처리 장치의 흐름도,
도 2는 도 1의 축산폐수 정화 처리 장치의 평면 배치도,
도 3은 도 2의 주요부의 정면 개념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축산폐수 정화 처리 장치의 흐름도이며, 도 2는 도 1의 축산폐수 정화 처리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며, 도 3은 도 2의 주요부의 정면 개념도이다.
침사조(110)는 축산폐수가 최초로 유입되어 비교적 큰 크기의 이물질과 무거운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부위이다.
침사조(110)에는, 축산폐수가 유입되는 축산폐수 유입관(111)과, 축산폐수 유입관(111)으로 유입되는 축산폐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 부재(112)가 마련된다.
아울러 침사조(110)의 하부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형 바닥면(113)이 마련되어 무거운 이물질이 일측으로 모이면서 가라앉도록 하여, 침전 이물질의 배출이 용이하다.
침사조(110)를 거친 축산폐수는 혐기조(120)로 유입된다.
즉 침사조(110)의 일측 상부와 혐기조(120)의 일측 상부가 제1연결관(119)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제1연결관(119)에 의하여 침사조(110)의 축산폐수가 혐기조(120)로 월류한다.
아울러 후술하는 제1침전조(180)의 침전 슬러지가 제3반송배관(190)을 통하여 혐기조(120)로 유입된다.
즉 혐기조(120)에는 침사조(110)를 거친 축산폐수와 제1침전조(180)의 침전 슬러지가 유입된다.
혐기조(120)는, 혐기성 상태에서 미생물의 인 방출을 유도한다.
혐기조(120)에는, 혐기성 미생물의 부착을 위한 제1접촉여재(121)와, 축산폐수의 가열을 위한 제1전기히터(122)와, 축산폐수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1산기관(123)이 마련된다.
제1산기관(123)을 통하여 혐기조(120)에 최소한의 공기가 공급되며, 이에 의하여 본 혐기조(120)에서는 산소 존재하에 생육이 불가능한 절대 혐기성 미생물은 물론이며, 산소 존재 유무와 관계없이 생육이 가능한 통성 혐기성 미생물이 활성화되도록 하여, 서로 다른 미생물 생성을 극대화하여 보다 많은 인이 방출되도록 유도한다.
제1산기관(123)을 이용한 공기 투입은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예로서 공기 투입 2시간, 공기 투입 정지 4시간의 간격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제1산기관(123)은 후술하는 송풍기(26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다.
혐기조(120)를 거친 축산폐수는 무산소조(130)로 유입된다.
즉 혐기조(120)와 무산소조(130)가 제2연결관(129)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제2연결관(129)에 의하여 혐기조(120)의 축산폐수가 무산소조(130)로 월류한다.
아울러 후술하는 제1호기조(140)의 침전 슬러지 및 제2호기조(160)의 침전 슬러지가 제1반송배관(150) 및 제2반송배관(170)을 통하여 무산소조(130)로 유입된다.
즉 무산소조(130)에는 혐기조(120)를 거친 축산폐수와 제1호기조(140)의 침전 슬러지 및 제2호기조(160)의 침전 슬러지가 유입된다.
무산소조(130)는, 무산소 상태에서 탈질 반응을 유도한다. 즉, 제1,2호기조(140, 160)에서 질산화 반응에 의하여 질산염 형태로 전환된 질소가, 무산소조(130)로 유입된 후 질산염 형태의 질소가 질소가스로 전환되면서 질소 성분이 제거되는 것이다.
본 무산소조(130)에는 축산폐수의 교반을 위한 복수의 교반기(131)가 마련되며, 축산폐수의 가열을 위한 제2전기히터(132)가 마련된다. 제2전기히터(132)에 의하여 무산소조(130)는 내부 온도가 35°를 유지하도록 한다.
무산소조(130)에는 수직 격벽(133)이 마련된다.
수직 격벽(133)은 무산소조(130)를 수평 방향의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며, 수직 격벽(133)의 하부를 통하여 2개의 공간이 연통되도록 하고 있다.
즉 수직 격벽(133)에 의하여 무산소조(130)의 내부 공간은 축산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공간과 축산폐수가 배출되는 유출공간으로 구획되며, 수직 격벽(133)의 하부를 통하여 유입공간과 유출공간이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유입공간으로 유입된 축산폐수는 수직 격벽(133)의 하부를 지난 후 유출공간에서 제1,2호기조(140, 160)로 배출되므로, 수직 격벽(133)에 의하여 무산소조(130)에서의 축산폐수의 체류시간을 충분히 길게 할 수 있다.
무산소조(130)를 거친 축산폐수는 제1호기조(140) 및 제2호기조(160)로 유입된다.
즉 무산소조(130)와 제1호기조(140)가 제3연결관(138)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무산소조(130)와 제2호기조(160)가 제4연결관(139)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제3연결관(138)에 의하여 무산소조(130)의 축산폐수가 제1호기조(140)로 월류하며, 제4연결관(139)에 의하여 무산소조(130)의 축산폐수가 제2호기조(160)로 월류한다.
제1호기조(140) 및 제2호기조(160)에서는 공기를 불어넣어 호기성 상태에서 유기물을 산화, 질산화 그리고 혐기조에서 용출된 인의 량보다 많은 양의 인을 과잉 섭취하여 인을 제거하는 공정이 유도된다. 즉 제1,2호기조(140, 160)에서는 질산화 공정에 의하여 암모니아성 질소가 질산염 형태로 전환되며, 아울러 혐기성 상태에서 인을 방출했던 미생물들은 호기성 상태에서 정상수준 이상의 인을 과다섭취(luxury uptake)하게 됨으로써 수중의 인이 제거된다.
제1호기조(140)는, 직육면체 형태의 제1본체와, 제1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제1본체 내부 공간을 상부의 제1반응용 상부공간과 하부의 제1침전용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제1경사판 부재(141)를 구비한다.
제1경사판 부재(141)는, 상광하협의 사각뿔대 형태로서 외측 가장자리가 제1본체의 내벽에 결합되며 중앙에 제1연통구멍(141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경사판 부재(141)는 4개의 경사판에 의하여 사각뿔대 형태를 형성한 것이며, 제1연통구멍(141a)은 사각구멍 형태이다.
제1경사판 부재(141)의 제1연통구멍(141a)이 열리면서 상부의 제1반응용 상부공간과 하부의 제1침전용 하부공간이 연통되며, 아울러 제1경사판 부재(141)의 제1연통구멍(141a)이 닫히면서 하부의 제1침전용 하부공간이 상부의 제1반응용 상부공간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하로 이동하여 제1연통구멍(141a)을 개폐하기 위한 사각판 형태인 수평판 형태의 제1개폐판(142)과, 제1개폐판을 상하로 이동하기 위하여 제1개폐판에 연결되는 제1개폐판 상하 구동원(143)이 더 마련된다. 제1개폐판 상하 구동원(143)은 유압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상부의 제1반응용 상부공간에는, 축산폐수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3-1산기관(144)과, 호기성 미생물의 부착을 위한 제3-1접촉여재(145)와, 축산폐수의 가열을 위한 제3전기히터(146)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제1반응용 상부공간으로 무산소조(130)를 거친 축산폐수가 유입되어 호기성 상태에서 질산화 반응과 인 제거 반응을 유도한다.
제3전기히터(146)는 제1호기조(140)가 37℃로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제1호기조(140)의 제1침전용 하부공간의 침전 슬러지는 제1반송배관(150)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무산소조(130)로 반송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호기조(140)의 제1침전용 하부공간의 침전 슬러지는 15분간 무산소조(130)로 반송되며, 60분간 반송되지 않는 상태를 반복한다.
제1반송배관(150)으로 반송되지 않을 경우 제1개폐판(142)은, 제1개폐판 상하 구동원(143)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하여 제1연통구멍(141a)이 열리도록 하며, 이때 하부의 제1침전용 하부공간은 상부의 제1반응용 상부공간과 연통되면서 제1호기조(140) 전체에서 질산화 반응과 인 제거 반응이 유도된다.
제1반송배관(150)으로 반송될 경우 제1개폐판(142)은, 제1개폐판 상하 구동원(143)에 의하여, 하부로 이동하여 제1연통구멍(141a)이 닫히도록 하며, 이때 하부의 제1침전용 하부공간은 상부의 제1반응용 상부공간과 격리되면서 제1침전용 하부공간의 슬러지들은 제3-1산기관(144)의 폭기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바닥에 침전된다.
이와 같이 제1개폐판(142)의 구동에 의하여 활성 슬러지의 반송이 원활하게 된다.
제2호기조(160)는 제1호기조(140)에 비하여 대형화되지만, 제1호기조(14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제2호기조(160)는, 직육면체 형태의 제2본체와, 제2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제2본체 내부 공간을 상부의 제2반응용 상부공간과 하부의 제2침전용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제2경사판 부재(161)를 구비한다.
제2경사판 부재(161)는, 상광하협의 사각뿔대 형태로서 외측 가장자리가 제2본체의 내벽에 결합되며 중앙에 제2연통구멍(161a)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하로 이동하여 제2연통구멍(161a)을 개폐하기 위한 수평판 형태의 제2개폐판(162)과, 제2개폐판을 상하로 이동하기 위하여 제2개폐판에 연결되는 제2개폐판 상하 구동원(163)이 더 마련된다.
상부의 제2반응용 상부공간에는, 축산폐수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3-2산기관(164)과, 호기성 미생물의 부착을 위한 제3-2접촉여재(165)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제2반응용 상부공간으로 무산소조(130)를 거친 축산폐수가 유입되어 호기성 상태에서 질산화 반응과 인 제거 반응을 유도한다.
제2호기조(160)에는 전기히터를 사용하지 않는다.
즉 제1호기조(140)와 제2호기조(160)는 그 온도 및 산소 투입량을 다르게 하여 매우 다양한 호기성 미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2호기조(160)의 제2침전용 하부공간의 침전 슬러지는 제2반송배관(170)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무산소조(130)로 반송된다.
제1호기조(140)를 거친 축산폐수 및 제2호기조(160)를 거친 축산폐수는 제1침전조(180)로 유입된다.
제1침전조(180)에는 복수의 제1활성탄 부재(181)가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축산폐수가 상향류를 형성하면서 복수의 제1활성탄 부재(181)를 지나 유기물이 여과되며 아울러 하부에 슬러지가 침전된다.
제1침전조(180) 하부에 침전되는 슬러지는 제3반송배관(190)에 의하여 혐기조(120)로 반송된다. 이때 제3반송배관(190)으로 반송되는 슬러지의 유량은 침사조(110)에서 혐기조(120)로 유입되는 유입 축산폐수 유량의 100%로 한다.
제1침전조(180)를 거친 축산폐수는 색도 희석 모듈(200)로 유입되어 차아염소산에 의하여 대장균이 제거되고 색도가 희석된다.
색도 희석 모듈(200)은, 제1침전조(180)의 축산폐수를 가압이송하는 색도 희석용 펌프(201)와, 고체형 차아염소산(202a)이 장착되어 축산폐수와 차아염소산이 혼합되는 차아염소산 혼합조(2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색도 희석용 펌프(201)는 제1침전조(180)의 수위에 따라 구동되거나 정지된다. 이를 위하여 제1침전조(180)에는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2개의 레벨 스위치(L/S)가 마련된다.
색도 희석용 펌프(201)가 축산폐수를 차아염소산 혼합조(202)에 장착된 고체형 차아염소산(202a)에 뿌려주면, 고체형 차아염소산(202a)이 녹으면서 축산폐수와 혼합된다. 고체형 차아염소산(202a)은 색도 희석용 펌프(201)가 축산폐수를 뿌려줄때만 녹게 되며, 그 이외에는 축산폐수와 혼합되지 않는다.
차아염소산은 대장균 제거 등의 소독 기능과 색도 희석 용도로 축산폐수에 혼합된다.
차아염소산 혼합조(202)에는 차아염소산이 녹아들어간 축산폐수가 지그재그로 유동하는 지그재그 유동 경로를 형성하여 체류 시간을 높이며 염소와 축산폐수의 혼합율을 높인다.
색도 희석 모듈(200)를 거친 축산폐수는 제2침전조(210)로 유입된다.
제2침전조(210)에는 복수의 제2활성탄 부재(211)가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축산폐수가 상향류를 형성하면서 복수의 제2활성탄 부재(211)를 지나면서 유기물이 여과되며 아울러 하부에 슬러지가 침전된다.
제2침전조(210)를 거친 축산폐수는 필터용 펌프(220)에 의하여 가압이송된다.
필터용 펌프(220)는 제2침전조(210)의 수위에 따라 구동되거나 정지된다. 이를 위하여 제2침전조(210)에는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2개의 레벨 스위치가 마련된다.
필터용 펌프(220)의 후단에는 복수의 카트리지 필터 탱크(231, 232, 233)와 분리막 필터 탱크(240)가 마련된다.
복수의 카트리지 필터 탱크(231, 232, 233)는 제1,2침전조(180, 210)에 걸러내지 못한 미세 입자를 걸러낸다. 카트리지 필터 탱크(231)는 10 마이크로 이상의 입자를 걸러내며, 카트리지 필터 탱크(232)는 5 마이크로 이상의 입자를 걸러내며, 카트리지 필터 탱크(233)은 1 마이크로 이상의 입자를 걸러낸다.
복수의 카트리지 필터 탱크(231, 232, 233)를 거친 축산폐수는 분리막 필터 탱크(240)에서 다시 이물질이 걸러진다.
분리막 필터 탱크(240)는 분리막 필터, 구체적으로는 중공사막 필터(241)를 이용하여 0.4 마이크로 이상의 입자를 걸러낸다. 아울러 중공사막 필터(241)의 미세구멍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용 공기공급구(242)가 마련되어 중공사막 필터(241) 아래쪽에서 중공사막 필터(241)를 향하여 공기를 불어넣는다.
이와 같이 분리막 필터 탱크(240)를 거친 축산폐수, 즉 처리수는 배출 펌프(250)에 의하여 외부로 방류된다.
한편, 각 구성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260)가 마련된다.
송풍기(260)는, 혐기조(120)의 제1산기관(123), 제1호기조(140)의 제3-1산기관(144), 제2호기조(160)의 제3-2산기관(164), 분리막 필터 탱크(240)의 필터용 공기공급구(242)에 공기를 공급하며, 아울러 제1반송배관(150), 제2반송배관(170), 제3반송배관(190) 각각에 슬러지 공기 이송을 위한 공기를 공급한다.
따라서 제1반송배관(150), 제2반송배관(170), 제3반송배관(190)은 별도의 펌프장치 없이 송풍기(260)의 공기 공급에 의하여 슬러지가 이송된다.
한편, 본 축산폐수 정화 처리 장치는 지반을 파서 콘크리트 작업에 의하여 건축되는 대형 정화 처리 장치가 아니라, 이동형 컨테이너 내부에 금속 구조물로 설치되어 이동이 편리하고 단위 구성요소를 쉽게 보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도 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어느 하나의 이동형 컨테이너 내부에 침사조(110), 혐기조(120), 무산소조(130), 제1호기조(140), 제2호기조(160), 제1침전조(180), 색도 희석 모듈(200)이 배치되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이동형 컨테이너 내부에 제2침전조(210), 복수의 카트리지 필터 탱크(231, 232, 233), 분리막 필터 탱크(240), 송풍기(260)가 배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공장에서 2개의 이동형 컨테이너에 주요 장비 및 배관들을 모두 설치한 후 현장으로 이동한 후, 현장에서 2개의 이동형 컨테이너를 인접하여 배치하고 관련 배관을 연결하면 매우 신속하고 간단하게 본 축산폐수 정화 처리 장치를 현장에 설치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침사조 112 : 스크린 부재
113 : 경사형 바닥면
120 : 혐기조 121 : 제1접촉여재
122 : 제1전기히터 123 : 제1산기관
130 : 무산소조 131 : 교반기
132 : 제2전기히터 133 : 수직 격벽
140 : 제1호기조 141 : 제1경사판 부재
141a : 제1연통구멍 142 : 제1개폐판
143 : 제1개폐판 상하 구동원
144 : 제3-1산기관 145 : 제3-1접촉여재
146 : 제3전기히터
150 : 제1반송배관
160 : 제2호기조 161 : 제2경사판 부재
161a : 제2연통구멍 162 : 제2개폐판
163 : 제2개폐판 상하 구동원
164 : 제3-2산기관 165 : 제3-2접촉여재
170 : 제2반송배관
180 : 제1침전조 181 : 제1활성탄 부재
190 : 제3반송배관
200 : 색도 희석 모듈 201 : 색도 희석용 펌프
202 : 차아염소산 혼합조
210 : 제2침전조 211 : 제2활성탄 부재
220 : 필터용 펌프
231 : 카트리지 필터 탱크 232 : 카트리지 필터 탱크
233 : 카트리지 필터 탱크
240 : 분리막 필터 탱크 241 : 중공사막 필터
242 : 필터용 공기공급구
250 : 배출 펌프
260 : 송풍기

Claims (2)

  1. 축산폐수가 유입되는 축산폐수 유입관과 상기 축산폐수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축산폐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 부재와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형 바닥면이 마련되는 침사조 ;
    상기 침사조를 거친 축산폐수가 유입되며, 혐기성 상태에서 미생물의 인 방출을 유도하며, 혐기성 미생물의 부착을 위한 제1접촉여재가 마련되며, 축산폐수의 가열을 위한 제1전기히터가 마련되며, 축산폐수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1산기관이 마련되는 혐기조 ;
    상기 혐기조를 거친 축산폐수가 유입되며, 무산소 상태에서 탈질 반응을 유도하며, 축산폐수의 교반을 위한 복수의 교반기가 마련되며, 축산폐수의 가열을 위한 제2전기히터가 마련되며, 내부 공간을 축산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공간과 축산폐수가 유출되는 유출공간으로 구획하며 하부를 통하여 상기 유입공간과 상기 유출공간이 서로 연통되는 수직 격벽이 형성되는 무산소조 ;
    직육면체 형태의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본체 내부 공간을 상부의 제1반응용 상부공간과 하부의 제1침전용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광하협의 사각뿔대 형태로서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1본체의 내벽에 결합되며 중앙에 제1연통구멍이 형성된 제1경사판 부재와,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제1연통구멍을 개폐하기 위한 수평판 형태의 제1개폐판과, 상기 제1개폐판을 상하로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개폐판에 연결되는 제1개폐판 상하 구동원과, 축산폐수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1반응용 상부공간에 배치되는 제3-1산기관과, 호기성 미생물의 부착을 위하여 상기 제1반응용 상부공간에 배치되는 제3-1접촉여재와, 축산폐수의 가열을 위하여 상기 제1반응용 상부공간에 배치되는 제3전기히터가 마련되어, 상기 제1반응용 상부공간으로 상기 무산소조를 거친 축산폐수가 유입되어 호기성 상태에서 질산화 반응과 인 제거 반응을 유도하는 제1호기조 ;
    상기 제1호기조의 제1침전용 하부공간의 침전 슬러지를 상기 무산소조로 반송하기 위한 제1반송배관 ;
    직육면체 형태의 제2본체와, 상기 제2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본체 내부 공간을 상부의 제2반응용 상부공간과 하부의 제2침전용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광하협의 사각뿔대 형태로서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2본체의 내벽에 결합되며 중앙에 제2연통구멍이 형성된 제2경사판 부재와,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제2연통구멍을 개폐하기 위한 수평판 형태의 제2개폐판과, 상기 제2개폐판을 상하로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2개폐판에 연결되는 제2개폐판 상하 구동원과, 축산폐수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2반응용 상부공간에 배치되는 제3-2산기관과, 호기성 미생물의 부착을 위하여 상기 제2반응용 상부공간에 배치되는 제3-2접촉여재와, 상기 제2반응용 상부공간으로 상기 무산소조를 거친 축산폐수가 유입되어 호기성 상태에서 질산화 반응과 인 제거 반응을 유도하는 제2호기조 ;
    상기 제2호기조의 제2침전용 하부공간의 침전 슬러지를 상기 무산소조로 반송하기 위한 제2반송배관 ;
    상기 제1호기조를 거친 축산폐수 및 상기 제2호기조를 거친 축산폐수가 유입되며, 복수의 제1활성탄 부재가 상하로 이격되며 배치되며, 축산폐수가 상향류를 형성하면서 상기 복수의 제1활성탄 부재를 지나도록 하는 제1침전조 ;
    상기 제1침전조의 침전 슬러지를 상기 혐기조로 반송하기 위한 제3반송배관 ;
    상기 제1침전조를 거친 축산폐수를 차아염소산에 의하여 대장균을 제거하고 색도를 희석하는 색도 희석 모듈 ;
    상기 색도 희석 모듈을 거친 축산폐수가 유입되며, 복수의 제2활성탄 부재가 상하로 이격되며 배치되며, 축산폐수가 상향류를 형성하면서 상기 복수의 제2활성탄 부재를 지나도록 하는 제2침전조 ;
    상기 제2침전조를 거친 축산폐수를 가압 이송하는 필터용 펌프 ;
    상기 필터용 펌프에 의하여 가압 이송되는 축산폐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카트리지 필터 탱크 ;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 필터 탱크를 거친 축산폐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하여, 중공사막 필터와 상기 중공사막 필터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필터용 공기공급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리막 필터 탱크 ;
    상기 분리막 필터 탱크를 거친 축산폐수를 외부에 방출하는 배출 펌프 ;
    상기 혐기조의 제1산기관, 상기 제1호기조의 제3-1산기관, 상기 제2호기조의 제3-2산기관, 상기 분리막 필터 탱크의 필터용 공기공급구 각각에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제1반송배관, 상기 제2반송배관, 상기 제3반송배관 각각에 슬러지 공기 이송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정화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사조, 상기 혐기조, 상기 무산소조, 상기 제1호기조, 상기 제2호기조, 상기 제1침전조, 상기 색도 희석 모듈은 어느 하나의 이동형 컨테이너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침전조,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 필터 탱크, 상기 분리막 필터 탱크, 상기 송풍기는 다른 하나의 이동형 컨테이너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정화 처리 장치.
KR1020180143120A 2018-11-20 2018-11-20 축산폐수 정화 처리 장치 KR101989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120A KR101989883B1 (ko) 2018-11-20 2018-11-20 축산폐수 정화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120A KR101989883B1 (ko) 2018-11-20 2018-11-20 축산폐수 정화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883B1 true KR101989883B1 (ko) 2019-06-18

Family

ID=67103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120A KR101989883B1 (ko) 2018-11-20 2018-11-20 축산폐수 정화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8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3258A (zh) * 2021-02-03 2022-08-05 浙江中养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规模化养殖场粪污污水处理***及其工作方法
KR102440990B1 (ko) 2022-03-10 2022-09-06 영원환경기술(주) 축산폐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1278A (ja) * 2001-06-26 2003-01-07 Bio Oriented Technol Res Advancement Inst 畜産系産業排水の連続脱色方法、および、その連続脱色装置。
KR100424068B1 (ko) * 2001-03-05 2004-03-24 주식회사 에코젠 축산 폐수 처리 장치
KR100649099B1 (ko) 2006-08-08 2006-11-24 (주) 영동엔지니어링 단계주입 상향류 반응조를 이용한 하폐수 내 질소, 인고도처리장치
KR20110044401A (ko) * 2009-10-23 2011-04-29 (주)한솔환경건설 담체부재와 분리막을 구비하는 고도하수처리시설
KR101231951B1 (ko) * 2012-12-12 2013-02-08 윤태한 고농도 질소 함유 가축분뇨의 처리장치 및 이의 처리방법
KR20180116806A (ko) * 2017-04-18 2018-10-2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하수 처리용 생물반응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068B1 (ko) * 2001-03-05 2004-03-24 주식회사 에코젠 축산 폐수 처리 장치
JP2003001278A (ja) * 2001-06-26 2003-01-07 Bio Oriented Technol Res Advancement Inst 畜産系産業排水の連続脱色方法、および、その連続脱色装置。
KR100649099B1 (ko) 2006-08-08 2006-11-24 (주) 영동엔지니어링 단계주입 상향류 반응조를 이용한 하폐수 내 질소, 인고도처리장치
KR20110044401A (ko) * 2009-10-23 2011-04-29 (주)한솔환경건설 담체부재와 분리막을 구비하는 고도하수처리시설
KR101231951B1 (ko) * 2012-12-12 2013-02-08 윤태한 고농도 질소 함유 가축분뇨의 처리장치 및 이의 처리방법
KR20180116806A (ko) * 2017-04-18 2018-10-2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하수 처리용 생물반응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3258A (zh) * 2021-02-03 2022-08-05 浙江中养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规模化养殖场粪污污水处理***及其工作方法
KR102440990B1 (ko) 2022-03-10 2022-09-06 영원환경기술(주) 축산폐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ttal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US7445715B2 (en) System for treating wastewater and a controlled reaction-volume module usable therein
US114076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ediation of wastewater including aerobic and electrocoagulation treatment
KR101686484B1 (ko) 하수 처리방법
RU2572329C2 (ru) Станци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US6372137B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for maximizing effluent quality
US20070102354A1 (en) System for treating wastewater and a media usable therein
CN107151053A (zh) 一种缺氧‑厌氧‑缺氧‑好氧‑膜组件处理装置
CN110431114A (zh) 废水处理***和方法
CN110183052A (zh) 一种粪污废水处理***及方法
KR101989883B1 (ko) 축산폐수 정화 처리 장치
KR100572662B1 (ko) 소규모 하수처리를 위한 모듈화된 하수처리장치
CN109879546A (zh) 一种分散式生活污水处理***及处理工艺
CN108191159A (zh) 一种餐厨垃圾废水非膜法处理***
KR101817471B1 (ko)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
KR100424060B1 (ko) 일체형 오수 및 폐수 처리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수 및폐수 처리 공정
KR101019092B1 (ko) 인 제거를 위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 장치 및 방법
CN108178454A (zh) 一种餐厨垃圾废水非膜法处理方法
KR200202247Y1 (ko) 하수 및 오,폐수의 질소, 인 동시 제거장치
US84310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ologically processing fluid
WO2021165980A1 (en) A multi-zone attached growth batch bio-reactor & method of biological treatment of domestic wastewater
KR20040043650A (ko) 미생물 배양기를 이용한 오, 폐수 및 중수 처리 시스템
KR101019070B1 (ko) 기존의 활성슬러지 처리시설을 개선한 하수 고도처리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고도처리방법
CN213037624U (zh) 双***全自动一体化污水处理设备
KR102283236B1 (ko) 여과형상등수배출장치를 활용한 연속회분식활성슬러지공법의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