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880B1 - Baby carrier - Google Patents

Baby carr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880B1
KR101989880B1 KR1020150037558A KR20150037558A KR101989880B1 KR 101989880 B1 KR101989880 B1 KR 101989880B1 KR 1020150037558 A KR1020150037558 A KR 1020150037558A KR 20150037558 A KR20150037558 A KR 20150037558A KR 101989880 B1 KR101989880 B1 KR 101989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ember
waist belt
reinforcing
wearer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75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12243A (en
Inventor
최수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케이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케이비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케이비앤씨
Priority to KR1020150037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880B1/en
Publication of KR20160112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2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8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는 유아의 몸 및 엉덩이를 감싸는 바디 지지 부재; 상기 바디 지지 부재의 하단에 제공되고,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 벨트 부재; 양단이 상기 바디 지지 부재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한쌍의 어깨 벨트 부재; 및 상기 허리 벨트 부재에 위치되어 상기 허리 벨트 부재의 탄성을 강화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carrier. A child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supporting member surrounding a baby's body and a hip; A waist belt memb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supporting member and surrounding the waist of the wearer; A pair of shoulder belt members, both ends of which are connected to the body supporting member and worn on the shoulder of the wearer; And a reinforcing member located on the waist belt member to reinforce the elasticity of the waist belt member.

Description

유아용 캐리어{BABY CARRIER}Baby Carrier {BABY CARRIER}

본 발명은 유아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carrier.

유아용 캐리어는 보호자가 아기를 업거나 가슴에 안고자 할 때 사용된다. 유아용 캐리어는 캐리어의 몸체가 아기의 등과 엉덩이를 감싸고, 엉덩이를 지지하는 영역 양측으로 아기의 다리가 빠져 나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아기는 보호자에 업히거나 안겨진 상태에서 다리가 일정 각도로 빠져 나오는 경우 편안함을 느낀다.The baby carrier is used when the caregiver wants to lift the baby or hold it in the chest. The baby carrier may be provided so that the carrier body surrounds the baby's back and hips and allows the baby's legs to escape to both sides of the area supporting the hips. The baby feels comfortable when his or her legs are lifted or held up at a certain angle.

일반적인 유아용 캐리어는 캐리어 몸체가 아기의 등과 엉덩이를 감싸므로 통풍이 잘 되지 않아 아기가 답답함을 느낀다. 그리고 아기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영역의 폭이 일률적이므로, 아기의 발육 정도 및 체형에 따라 아기의 다리가 벌어지는 각도가 달라진다. 이는 아기에게 불편함을 주며, 아기의 다리가 'O'자 형으로 발육될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In general, the baby carrier feels frustrating because the carrier body surrounds the baby's back and hips and is not well ventilated. Since the width of the area supporting the baby's hips is uniform, the angle at which the baby's legs are opened depends on the baby's development degree and body shape. This can cause discomfort to the baby and cause the baby's legs to develop into an 'O' shap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유아가 쾌적함을 느낄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fant carrier in which the infant can feel comfort.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착용감이 향상된 유아용 캐리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fant carrier with improved wearer comfort.

본 발명은 유아용 캐리어를 제공한다. 일 예에 의하면, 유아용 캐리어는 유아의 바디를 감싸는 바디 지지 부재; 상기 바디 지지 부재의 하단에 제공되고,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 벨트 부재; 양단이 상기 바디 지지 부재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어깨에 걸쳐 착용되는 한쌍의 어깨 벨트 부재; 및 상기 허리 벨트 부재에 제공되며, 띠 형상으로 제공되고, 일단은 상기 허리 벨트 부재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허리 벨트 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fant carrier.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infant carrier comprises a body support member surrounding the infant's body; A waist belt memb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supporting member and surrounding the waist of the wearer; A pair of shoulder belt members, both ends of which are connected to the body supporting member and worn over the shoulder of the wearer; And a reinforcing member provided on the waist belt member and provided in a strip shape,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waist belt member and the other end is joined to the lower end of the waist belt member.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ne or more of the reinforcing members may be provided.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허리 벨트 부재의 내측면 또는 상기 허리 벨트 부재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제공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member may be provided by being inserted and fix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ist belt member or the waist belt member.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허리 벨트 부재와 결합되되, 상기 허리 벨트 부재와 착용자가 접하는 타측에 결합되어 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안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member coupled to the waist belt member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waist belt member contacting the wearer, for supporting the hip of the infan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안착 부재와 이격되게 제공되어 착용자의 옆구리를 지지하는 제2 보강 부재; 및 상기 제2 보강 부재와 상기 안착 부재의 사이에 제공되어 착용자의 엽구리를 지지하는 제1 보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member includes: a second reinforcing member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member to support a side of the wearer; And a first reinforc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and the seating member to support the wear copper of the wearer.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부재는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안착 부재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may be inclined toward the seating member toward the lower end.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 부재는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안착부재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may be inclined toward the lower 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ating member.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허리 벨트 부재는 상기 안착 부재를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더 길게 제공되고, 길게 제공된 측의 허리 벨트 부재에 제3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3 보강 부재는. 상기 허리 벨트 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3 보강 부재는, 착용자가 상기 안착 부재를 배에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허리 벨트 부재를 착용 시, 착용자의 척추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허리 벨트 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 사이의 이격거리는 그 상단의 이격 거리가 하단의 이격 거리에 비해 작게 제공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aist belt member may be provided longer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ating member, and may further include a third reinforcing member on the waist belt member provided on the longer side.
In one embodiment, the third reinforcing member comprises: And may be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ist belt member.
In one embodiment, the third reinforcing member may be provided to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vertebra of the wearer when the wearer wears the waist belt member with the seating member positioned on the abdomen.
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member may be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ist belt member.
In one embodimen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may be provided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at the upper end is small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at the lower en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유아가 유아용 캐리어에 효율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ant can be efficiently supported on the infant carri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착용자는 유아를 지지한 상태의 유아용 캐리어를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er can comfortably wear the child carrier in a state in which the child is suppor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아용 캐리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아용 캐리어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제 1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제 2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정면 사시도 이다.
도 7의 도 6의 유아용 캐리어의 배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ild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child carrier of Figure 1;
Fig. 3 is a rear view of the child carrier of Fig. 1;
4 is a first use state view of a child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ond use state view of a child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child carr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child carrier of Fig. 6;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us, the shape of the elements in the figures has been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ild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유아용 캐리어(10)는 바디 지지 부재(100) 및 허리 벨트 부재(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baby carrier 10 includes a body support member 100 and a waist belt member 300.

바디 지지 부재(100)는 유아의 몸을 감싸는 부분으로 제공된다. 바디 지지 부재(100)는 그 면적이 유아의 상체 및 엉덩이의 면적에 대응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아가 유아용 캐리어(10)에 위치되었을 때, 머리의 전체 또는 머리의 일부는 바디 지지 부재(100)의 상단 밖으로 노출되고, 유아의 엉덩이 부위는 바디 지지 부재(10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The body supporting member 100 is provided as a portion that surrounds the infant's body. The body support member 100 may be provided so that its area corresponds to the area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infant. Thus, when the infant is positioned in the infant carrier 10, the entire head or part of the head is exposed out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support member 100, and the hip region of the infant is positioned below the body support member 100 .

도 2는 도 1의 유아용 캐리어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유아용 캐리어의 배면도이다.Fig. 2 is a front view of the child carrier of Fig. 1, and Fig. 3 is a rear view of the child carrier of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바디 지지 부재(100)는 메인 지지부(110) 및 보조 지지부(120)를 포함한다.1 to 3, the body supporting member 100 includes a main supporting portion 110 and an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120.

메인 지지부(110)는 유아용 캐리어(10)의 상부 골격을 이룬다.The main support portion 110 forms the upper skeleton of the child carrier 10.

메인 지지부(110)는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넓게 제공될 수 있다. 메인 지지부(110)의 측면은 선형을 이루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지지부(110)의 측면은 안쪽으로 오목한 유선형을 이루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지지부(110)의 측면은 바깥쪽으로 볼록한 유선형을 이루거나 직선을 이루게 제공될 수 있다. 메인 지지부(110)의 측면에는 외측 쿠션(111)이 제공될 수 있다. 외측 쿠션(111)은 유아가 유아용 캐리어(10)에 위치될 때 유아의 다리 부분에 접하여 착용감을 향상 시킬 수 있다.The main support portion 110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portion. The side of the main support 110 may be provided in a linear shape. For example, the side of the main support 110 may be provided with an inwardly concave streamlined shape. In additi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support portion 110 may be provided to be outwardly convex, streamlined, or straight. The outer cushion 111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support portion 110. The outer cushion 111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eg portion of the infant when the infant is placed on the infant carrier 10, thereby improving the comfort of the infant.

메인 지지부(110)의 상부에는 머리 지지부(112)가 제공될 수 있다. 머리 지지부(112)는 위쪽으로 볼록한 유선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머리 지지부(112)의 전면에는 제 1 체결부(113a)가 제공될 수 있다. 제 1 체결부(113a)는 단추, 섕크 버튼(shank button)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체결부(113a)는 후드(13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체결부(131)가 결합될 수 있다. 후드(130)는 몸체(100)의 상단으로 노출된 유아의 머리를 감싼다. 후드(130)의 상단 또는 측면에는 상부체결부(132)가 제공된다. 상부체결부(132)는 좌우 양측에 대칭되게 2개가 제공될 수 있다. 어깨 벨트 부재(200)에는 상부체결부(132)와 대응되는 후드체결부(211)가 제공된다. 머리 지지부(112)는 상부가 아래쪽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제공되어, 유아의 머리를 지지하는 부분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머리 지지부(112)의 내부에 삽입되는 소재는 머리 지지부(112)의 외면 소재와 상이하게 제공되어, 머리 지지부(112)를 접을 때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 head support 11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support portion 110. The head support 112 may be provided in an upwardly convex streamlined manner. A first fastening part 113a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ead supporting part 112. [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3a may be provided with a button, a shank button, or the like. The first fastening part 113a may be coupled with a lower fastening part 131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od 130. [ The hood 130 covers the head of the infant expos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100. An upper fastening portion 132 is provided on the upper or side surface of the hood 130. Two upper coupling portions 132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he shoulder belt member 200 is provided with a hood fastening portion 211 corresponding to the upper fastening portion 132. [ The head supporting portion 112 is provided so that the upper portion thereof can be folded downward, so that the area of the portion supporting the head of the infant can be adjusted. In addition, the material to be inserted into the head supporting portion 112 is provided differentl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supporting portion 112, so that the convenience of folding the head supporting portion 112 can be improved.

머리 지지부(112)의 후면에는 제 2 체결부(113b)가 제공될 수 있다. 제 2 체결부(113b)는 단추, 섕크 버튼(shank button)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체결부(113b)에는 보조 커버(140)가 부착될 수 있다. 보조 커버(140)에는 제 2 체결부(113b)에 대응되는 커버 체결부(141)가 제공된다. 보조 커버(140)는 유아가 흘린 침 등이 머리 지지부(112)에 직접 묻는 방을 방지한다. 보조 커버(140)는 머리 지지부(112)의 상단이 외측으로 접힌 상태에서, 몸체(100)의 상단을 덮도록 위치될 수 있다.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3b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supporting portion 112. [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3b may be provided with a button, a shank button, or the like. And the auxiliary cover 140 may be attached to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3b. The auxiliary cover 140 is provided with a cover fastening portion 14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13b. The auxiliary cover 140 prevents a needle or the like, which is spilled by an infant, from directly touching the head supporting portion 112. The auxiliary cover 140 can be positioned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body 100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head supporting portion 112 is folded outward.

보조 지지부(120)는 메인 지지부(110)의 양 측에 각각 위치된다. 보조 지지부(120)는 고정부(121) 및 폭 조절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지지부(120)는 내측은 메인 지지부(110)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21)는 메인 지지부(110)의 측면에 상대적으로 고정된다. 이 때, 고정부(121)의 상부와 하부는 메인 지지부(110)에 대해 고정되고, 고정부(121)의 상부와 하부 사이는 메인 지지부(110)에 고정되지 않도록 제공되어, 바디 지지 부재(100)의 하부에는 양 측면에 홀(101)이 형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s 120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main supporting portion 110, respectively. 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120 may include a fixing portion 121 and a width adjusting portion 122. The inner side of 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120 is fixed relative to the main supporting portion 110. Specifically, the fixing portion 121 is relatively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supporting portion 110. [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xing portion 121 are fixed to the main supporting portion 110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xing portion 121 are not fixed to the main supporting portion 110, 100 may have holes 101 on both sides thereof.

폭 조절부(122)는 고정부(121)의 외측에서 바디 지지 부재(1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폭 조절부(122)는 고정부(121)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예를 들어, 폭 조절부(122)와 고정부(121) 사이에는 주름이 형성되어, 고정부(121)는 바디 지지 부재(100)의 폭 방향으로 폭 조절부(122)에 대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width adjusting portion 122 extends outwardly of the body supporting member 100 from the outside of the fixing portion 121. The width adjusting portion 122 is provided movably relative to the fixing portion 121. For example, a wrinkle is formed between the width adjusting portion 122 and the fixing portion 121, and the fixing portion 121 is slidably moved relative to the width adjusting portion 122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supporting member 100 Can be moved.

바디 지지 부재(100)의 양측에는 어깨 벨트 부재(200)가 제공된다. 어깨 벨트 부재(200)의 일단은 바디 지지 부재(100)의 상부에 연결되고, 어깨 벨트 부재(200)의 타단은 바디 지지 부재(100)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깨 벨트 부재(200)의 일단은 메인 지지부(110에 바디 지지 부재(100)의 외측 상방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용 캐리어(10)가 착용되었을 때, 하중이 어깨 벨트 부재(200)를 통해 착용자의 어깨 또는 팔에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어깨 벨트 부재(200)의 타단은 메인 지지부(110)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어깨 벨트(220)의 타단은 바디 지지 부재(100) 측면의 중앙 부위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어깨 벨트 부재(200)가 착용되었을 때, 하중이 착용자의 어깨 또는 팔에 균일하게 전달되면서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On both sides of the body supporting member 100, a shoulder belt member 200 is provided. One end of the shoulder belt member 20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supporting member 100 and the other end of the shoulder belt member 200 i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supporting member 100. More specifically, one end of the shoulder belt member 200 can be connected to the main support portion 110 so as to extend obliquely upward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support member 100. Therefore, when the child carrier 10 is worn, The other end of the shoulder belt member 200 can b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main support portion 110. The other end of the shoulder belt 220 is connected to the body When the shoulder belt member 200 is worn, the load can be uniformly transmitted to the shoulder or arm of the wearer, so that the wearing feeling can be improved.

어깨 벨트 부재(200)는 어깨 패드(210) 및 어깨 벨트(220)를 포함한다. 어깨 패드(210)는 유아용 캐리어(10)가 착용되었을 때, 착용자의 어깨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어깨 패드(210)는 쿠션을 가지게 제공될 수 있다. 어깨 벨트(220)는 어깨 체결 부재(211)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houlder belt member 200 includes a shoulder pad 210 and a shoulder belt 220. The shoulder pad 210 may be locat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oulder of the wearer when the infant carrier 10 is worn. The shoulder pad 210 may be provided with a cushion. The shoulder belt 220 can be coupled to the shoulder fastening member 211 in a length-adjustable manner.

각각의 어깨 벨트 부재(200)들에는 보조벨트(230)가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보조벨트(230)의 단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보조체결부재(231a, 231b)가 제공된다. 보조벨트(230)는 유아용 캐리어(10)의 후면 방향에서 서로 체결되어, 어깨 벨트 부재(200)가 착용자의 어깨에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Each of the shoulder belt members 200 may be provided with an auxiliary belt 230. At the ends of the respective auxiliary belts 230, auxiliary fastening members 231a and 231b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auxiliary belt 230 is fastened to each other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child carrier 10 to prevent the shoulder belt member 200 from being peeled off from the shoulder of the wearer.

허리 벨트 부재(300)는 바디 지지 부재(100)의 하단에 제공된다. 허리 벨트 부재(300)는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제공된다. 허리 벨트 부재(300)는 허리 패드(310) 및 허리 벨트(320)를 포함한다. 허리 패드(310)는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부분에 제공된다. 허리 패드(310)에는 수납을 위한 주머니(311)가 제공될 수 있다. 주머니(311)는 지퍼에 의해 개폐 되는 방식, 상부의 차폐 부가 벨크로에 의해 착탈되는 방식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waist belt member 30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supporting member 100. The waist belt member 300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waist of the wearer. The waist belt member 300 includes a waist pad 310 and a waist belt 320. The waist pad 310 is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waist surrounding the wearer. The waist pad 310 may be provided with a pocket 311 for receiving. The bag 311 may be provided in such a manner that the bag 311 is opened and closed by a zipper, and the upper shielding portion is detached and attached by a velcro.

허리 벨트(320)는 허리 패드(310)의 단부 또는 허리 패드(310)의 중간에서 허리 패드(310)의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게 제공된다. 허리 벨트(320)의 단부에는 허리체결부(321, 322)가 제공된다.The waist belt 320 is provided to extend outwardly of the waist pad 310 at the end of the waist pad 310 or in the middle of the waist pad 310. [ At the end of the waist belt 320, waist fastening portions 321 and 322 are provided.

허리 벨트 부재(300)에는 탄성 강화를 위한 하나 이상의 보강 부재(350)가 제공된다. 보강 부재(350)는 직물 재질에 비해 강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350)는 나일론과 우레탄이 혼합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보강 부재(350)는 일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보강 부재 1개 이상이 허리 벨트 부재(3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350)는 허리 벨트 부재(30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보강 부재(350)는 허리 벨트 부재(300)의 내부에 삽입 고정 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도 있다.The waist belt member 30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reinforcement member 350 for elastic reinforcement. The reinforcing member 350 is provided as a material having a stronger elasticity than the fabric material. For example, the reinforcing member 350 may be made of a material mixed with nylon and urethane. The reinforcing member 350 may be provided in a long bar shape in one direction. One or more reinforcing members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aist belt member 300. [ For example, the reinforcing member 350 may be provided in such a manner that it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ist belt member 300. Further, the reinforcing member 350 may be provided in such a manner that it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waist belt member 300.

구체적인 예로, 보강 부재(350)는 제 1 보강 부재(351) 및 제 2 보강 부재(352)를 포함할 수 있다. 착용자가 허리 벨트 부재(300)를 착용시 제 1 보강 부재(351) 및 제 2 보강 부재(352) 가운데 하나는 착용자의 허리에서 측면에 인접한 전방 쪽에 위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허리의 측면에 인접한 후방 쪽에 위치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허리 벨트 부재(300)를 착용시, 제 1 보강 부재(351) 및 제 2 보강 부재(352)는 착용자의 허리 측면의 전후를 감싸는 방식으로 착용자의 허리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보강 부재(351)와 제 2 보강 부재(352)는 착용자의 허리 쪽을 향하도록 비스듬하게 허리 벨트 부재(300)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보강 부재(351)와 제 2 보강 부재(352)는 상단 사이의 이격 거리가 하단 사이의 이격 거리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방향으로 힘이 작용 하여도 보강 부재(350)가 쉽게 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reinforcing member 350 may include a first reinforcing member 351 and a second reinforcing member 352. One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351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352 is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adjacent to the side of the wearer's waist when the wearer wears the waist belt member 300 and the other is positioned on the rear side adjacent to the side of the waist As shown in FIG. Therefore, when the wearer wears the waist belt member 300,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351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352 can support the waist of the wearer in such a manner as to wrap the front and back of the waist side of the wearer.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351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352 may be provided to the waist belt member 300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waist of the wearer. Therefore,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351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352 may be formed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s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s. Therefore, even if a force acts in the later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inforcing member 350 from being easily ben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제 1 사용 상태도이다.4 is a first use state view of a child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유아용 캐리어(10)의 제 1 사용 모드는 유아의 다리(L1)와 다리(L1) 사이의 폭을 좁게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유아의 정면이 착용자의 앞을 향하고, 유아의 등이 착용자 쪽으로 향하게 유아를 위치시킬 때 사용될 수 있다. 착용자제 1 사용 모드에서 유아의 다리(L1)는 메인 지지부(110)와 보조 지지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홀(101)로 인출되게 위치된다. 제 1 사용 모드에서 메인 지지부(110) 및 허리 벨트 부재(300)가 유아의 몸 및 엉덩이를 지지한다. 어깨 벨트 부재(200)의 일단은 체결부(112)에 연결되고, 어깨 벨트 부재(200)의 타단은 메인 지지부(110)의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사용 모드에서도 유아의 몸무게에 의한 하중이 어깨 벨트 부재(200)에 효율적으로 전달된다.Referring to Fig. 4, the first mode of use of the child carrier 10 is used to narrow the width between the leg L1 and the leg L1 of the infant. For example, it can be used to position the infant with the infant's front facing the front of the wearer and the back of the infant facing the wearer. In the first use mode of the wearer, the leg L1 of the infant is positioned to be drawn out to the hole 101 formed between the main support portion 110 and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120. [ In the first mode of use, the main support 110 and the waist belt member 300 support the baby's body and buttocks. One end of the shoulder belt member 200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112 and the other end of the shoulder belt member 200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main support portion 110. Therefore, even in the first use mode, the load due to the infant's weight is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shoulder belt member 200.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제 2 사용 상태도이다.5 is a second use state view of a child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유아용 캐리어(10)의 제 2 사용 모드는 유아의 엉덩이 부위를 넓게 감싸도록 제공된다.Referring to FIG. 5, the second mode of use of the child carrier 10 is provided to widen the hip region of the infant.

제 2 사용 모드에서 유아의 다리(L2)는 보조 지지부(120)의 외측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 모드는 유아의 등 및 엉덩이가 유아용 캐리어(10)를 향하고, 유아의 전면이 착용자를 향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제 2 사용 모드에서, 폭 조절부(122)는 고정부(121)에 대해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유아용 캐리어(10)는 제 2 사용 모드에서 메인 지지부(110) 및 보조 지지부(120)가 유아의 등 및 엉덩이를 넓게 감싸도록 제공된다. 또한, 폭 조절부(122)가 펼져진 정도를 조절하여, 보조 지지부(120)가 유아의 엉덩이를 감싸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In the second mode of use, the leg L2 of the infant is located outside the auxiliary support 120. For example, the second mode of use may be used when the infant ' s back and hips are facing the infant carrier 10 and the infant's front is facing the wearer. In the second mode of operation, the width adjuster 122 may be positioned outwardly extended with respect to the securing portion 121. [ The child carrier 10 is provided in a second mode of use such that the main support 110 and the auxiliary support 120 surround the back and buttocks of the infant. In addition, the extent to which the width adjusting part 122 is stretched can be adjusted, so that the area of the auxiliary supporting part 120 surrounding the hip of the infant can be adjusted.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정면 사시도 이고 도 7의 도 6의 유아용 캐리어의 배면 사시도이다.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child carr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child carrier of FIG.

도 6 및 도 7참조하면, 유아용 캐리어(20)는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된 상태로, 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유아용 캐리어(20)는 허리 패드(410) 및 허리 벨트(420)들을 포함한다. 허리 패드(410)는 띠 형상으로 제공된다. 허리 패드(410)는 일정 두께를 가지고 쿠션감을 가지게 제공될 수 있다. 허리 패드(410)에는 수납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6 and 7, the baby carrier 20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support the hip of the infant while being worn on the waist of the wearer. The infant carrier 20 includes a waist pad 410 and a waist belt 420. The waist pad 410 is provided in a strip shape. The waist pad 410 may be provided with a cushioning feeling with a certain thickness. The waist pad 410 may have a receiving portion 411 formed therein.

허리 벨트(420)들은 허리 패드(4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허리 벨트(420)들에는 서로 대응되는 허리체결부(421a, 421b)가 제공된다. 각각의 허리체결부(321a, 321b)는 위치 조절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The waist belts 420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waist pad 410, respectively. The waist belts 420 are provided with waist fastening portions 421a and 421b corresponding to each other. Each of the waist fastening portions 321a and 321b can be provided in a position-adjustable manner.

허리 패드(410)의 외측면에는 안착부재(430)가 제공된다. 안착부재(430)는 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한다. 안착부재(430)는 일정 체적을 갖는 안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안착부재(430)의 상면에는 슬립 방지부(431)가 제공될 수 있다. 슬립 방지부(431)는 주위보다 마찰력이 큰 소재로 제공되어, 유아의 엉덩이가 미끄러 지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슬립 방지부(431)는 폴리염화비닐 소재의 원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슬립 방지부(431)는 안착 부재의 상면 전단에 위치될 수 있다.A seating member 43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ist pad 410. The seat member 430 supports the hip of the infant. The seating member 430 may be provided in a saddle shape having a constant volume. The slip prevention portion 431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430. The slip prevention portion 431 is provided as a material having greater frictional force than the surroundings, thereby preventing the hip of the infant from slipping. For example, the slip prevention portion 431 may be provided as a fabric of polyvinyl chloride material. The slip prevention portion 431 may be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유아용 캐리어(20)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 부재(440)가 제공된다. 보강 부재(440)는 직물 재질에 비해 강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440)는 나일론과 우레탄이 혼합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보강 부재(440)는 일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보강 부재(440)는 허리 패드(4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440)는 허리 패드(41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보강 부재(440)는 허리 패드(410)의 내부에 삽입 고정 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도 있다.The child carrier (20)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reinforcement members (440). The reinforcing member 44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stronger elasticity than the fabric material. For example, the reinforcing member 440 may be provided of a material mixed with nylon and urethane. The reinforcing member 440 may be provided in a long rod shape in one direction. The reinforcing member 440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aist pad 410. [ For example, the reinforcing member 440 may be provided in such a manner that it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ist pad 410. Further, the reinforcing member 440 may be provided in such a manner that it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waist pad 410.

보강 부재(440)는 제 1 보강 부재(441), 제 2 보강 부재(442) 및 제 3 보강 부재(443)를 포함한다.The reinforcing member 440 includes a first reinforcing member 441, a second reinforcing member 442, and a third reinforcing member 443.

착용자가 안착부재(430)가 앞쪽에 위치되도록 유아용 캐리어(20)를 착용할 때, 제 1 보강 부재(441) 및 제 2 보강 부재(442)는 착용자의 허리 측면의 전후를 감싸는 방식으로 착용자의 허리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보강 부재(441)와 제 2 보강 부재(442)는 착용자의 허리 쪽을 향하도록 비스듬하게 허리 벨트 부재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보강 부재(441)와 제 2 보강 부재(442)는 상단 사이의 이격 거리가 하단 사이의 이격 거리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 보강 부재(443)는 착용자의 허리 뒤쪽에서 척추에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착용자의 허리 뒤쪽을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보강 부재(442)는 한 쌍이 제공되고, 바디 지지 부재(100)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바디 지지 부재(100)의 하부 영역과 이격되게 제공되며 지지하며, 하단으로 갈수록 바디 지지 부재(100)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바깥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제공된다. 제1 보강 부재(441)는 한 쌍이 제공되고, 제2 보강 부재(442)의 내측 방향으로 제2 보강 부재(442)와 이격되게 제공되며, 하단으로 갈수록 제2 보강 부재(442)의 경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제공된다.The first reinforcing member 441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442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as to wrap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waist side of the wearer when the wearer wears the child carrier 20 so that the seat member 430 is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The waist can be supported. Also,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441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442 may be provided to the waist belt member at an oblique angle toward the waist of the wearer. Therefore,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441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442 may be formed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s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s. The third reinforcing member 443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vertebra at the back of the wearer's back, and supports the waist back of the wearer.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s 442 are provided and support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region of the body supporting member 100 in the outward direction from the lower region of the body supporting member 100, Is provided downwardly inclined from the lower region of the body supporting member 100 toward the outward direction. The pair of first reinforcing members 441 are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s 442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s 442, And is inclined downwardly in the opposite direction.

또한, 도 6의 실시 예에서는 유아용 캐리어(20)가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부분만을 갖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안착부재(430)의 상부 전방에 도 1의 유아용 캐리어(10)의 바디 지지 부재(100)와 유사한 구성이 탈착 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도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the child carrier 20 has only a portion to be worn on the waist of the wearer. However,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member 430, the body support member 100 may be combined in a detachable manner.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foregoing is intended to illustrate and explai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it is possible to make changes or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and / or within the skill and knowledge of the art.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best mod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required for specific applications and 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possible.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such other embodiments.

100: 바디 지지 부재 110: 메인 지지부
120: 보조 지지부 130: 후드
200: 어깨 벨트 부재 300: 허리 벨트 부재
310: 허리 패드 320: 허리 벨트
350: 보강 부재
100: Body supporting member 110: Main supporting part
120: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130: hood
200: shoulder belt member 300: waist belt member
310: waist pad 320: waist belt
350: reinforcing member

Claims (12)

유아의 바디를 감싸는 바디 지지 부재;`
상기 바디 지지 부재의 하단에 제공되고,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 벨트 부재;
양단이 상기 바디 지지 부재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어깨에 걸쳐 착용되는 한쌍의 어깨 벨트 부재; 및
상기 허리 벨트 부재에 제공되며, 띠 형상으로 제공되고, 일단은 상기 허리 벨트 부재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허리 벨트 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바디 지지 부재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상기 바디 지지 부재의 하부 영역과 이격되게 제공되며,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 지지 부재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바깥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제공되는 한 쌍의 제2 보강 부재; 및
상기 제2 보강 부재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제2 보강 부재와 이격되게 제공되며,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2 보강 부재의 경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제공되는 한 쌍의 제1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강 부재 및 제2 보강 부재 사이의 이격거리는 그 상단의 이격 거리가 하단의 이격 거리에 비해 작게 제공되는 유아용 캐리어.
A body support member surrounding the infant's body;
A waist belt memb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supporting member and surrounding the waist of the wearer;
A pair of shoulder belt members, both ends of which are connected to the body supporting member and worn over the shoulder of the wearer; And
And one or more reinforcing members provided on the waist belt member and provided in a strip shape and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waist belt member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waist belt member,
The reinforcing member
A pair of second reinforcing members provided to be apart from a lower region of the body support member in an outward direction from a lower region of the body support member and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a lower region of the body support member toward the lower end, ; And
And a pair of first reinforcing member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and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tilting direction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toward the lower end,
Wherein a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is smaller than a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허리 벨트 부재의 내측면 또는 상기 허리 벨트 부재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제공되는 유아용 캐리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inforcing member
And is provided to be inserted and fixed on the inner side of the waist belt member or the inside of the waist belt memb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벨트 부재와 결합되되, 상기 허리 벨트 부재와 착용자가 접하는 타측에 결합되어 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안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아용 캐리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ating member coupled to the waist belt member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waist belt member contacting the wearer to support the hip of the infant.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 부재는,
상기 안착 부재와 이격되게 제공되어 착용자의 옆구리를 지지하고,
상기 제1 보강 부재는 상기 제2 보강 부재와 상기 안착 부재의 사이에 제공되어 착용자의 옆구리를 지지하는 유아용 캐리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member to support the side of the wearer,
Wherein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and the seating member to support the side of the wearer.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부재는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안착 부재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공되는 유아용 캐리어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is provided at an angle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 부재는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안착 부재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공되는 유아용 캐리어.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is provided so as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ating member toward the lower end.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벨트 부재는 상기 안착 부재를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더 길게 제공되고, 길게 제공된 측의 허리 벨트 부재에 제3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아용 캐리어.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waist belt member is provided longer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ating member and further comprises a third reinforcing member on the waist belt member provided on the long sid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보강 부재는.
상기 허리 벨트 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제공되는 유아용 캐리어.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third reinforcing member.
And is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ist belt member.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보강 부재는
착용자가 상기 안착 부재를 배에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허리 벨트 부재를 착용 시, 착용자의 척추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도록 제공되는 유아용 캐리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hird reinforcing member
Wherein the wearer is provided so as to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spine of the wearer when the waist belt member is worn while the wearer places the seat member on the boa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037558A 2015-03-18 2015-03-18 Baby carrier KR1019898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558A KR101989880B1 (en) 2015-03-18 2015-03-18 Baby car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558A KR101989880B1 (en) 2015-03-18 2015-03-18 Baby carr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243A KR20160112243A (en) 2016-09-28
KR101989880B1 true KR101989880B1 (en) 2019-06-17

Family

ID=57101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7558A KR101989880B1 (en) 2015-03-18 2015-03-18 Baby carr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88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7246B (en) 2015-10-30 2021-11-23 爱歌宝宝背带有限公司 Adjustable children's backpack
KR102028090B1 (en) * 2016-12-01 2019-10-02 윤강림 Baby carrier and using method for baby carrier
KR200487262Y1 (en) * 2017-10-31 2018-08-28 전창헌 Baby blanket
KR102173981B1 (en) * 2018-10-30 2020-11-04 (주)와이앤피 Multifunctional baby equipment using 3D air mesh
EP3886653A4 (en) 2018-11-26 2022-08-03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enhanced freedom of movement
KR102377913B1 (en) * 2020-02-19 2022-03-2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 Function Baby Carrier Package
USD1024541S1 (en) 2020-06-19 2024-04-30 The Ergo Baby Carrier, Inc. Child carrier
EP4292479A1 (en) 2020-06-19 2023-12-20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multiple carry orientations
USD1010305S1 (en) 2020-12-18 2024-01-09 The Ergo Baby Carrier, Inc. Child carri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986B1 (en) * 2010-09-30 2011-08-16 (주)태양메디텍 Waist protecting band
KR101493031B1 (en) * 2014-04-04 2015-02-16 한국타넥스인터내셔날(주) Hip seat baby carri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986B1 (en) * 2010-09-30 2011-08-16 (주)태양메디텍 Waist protecting band
KR101493031B1 (en) * 2014-04-04 2015-02-16 한국타넥스인터내셔날(주) Hip seat baby c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243A (en)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880B1 (en) Baby carrier
CN204813013U (en) Buttock seat support device
KR200447518Y1 (en) Carrier for baby
EP2412566A2 (en) Cushion for retaining posture of child and structure using same cushion
JP2007022503A (en) Cushion for baby rack
JP6342163B2 (en) Lullaby
KR20150053581A (en) Baby carrier
US20110011902A1 (en) Baby sling with foot support shoes
KR20170105908A (en) Baby carrier having hip-seat
KR20160150567A (en) structrue for forearm type carrier fo baby
JP6408764B2 (en) Lullaby
JP4441231B2 (en) Lullaby
KR20150011217A (en) Baby carrier
KR20160046224A (en) Baby carrier
KR102392453B1 (en) Baby carrier capable of adjusting width between legs
KR200473921Y1 (en) Carrier for baby
KR20160035495A (en) Baby carrier
KR102028090B1 (en) Baby carrier and using method for baby carrier
KR200486269Y1 (en) Width adjustable structure for baby carrier
JP2017225505A (en) Wearing tool-integrated lower garment
KR20170051038A (en) Baby carrier
JP3127392U (en) Baby carrier
KR101502580B1 (en) Hip seat for infant
KR101706338B1 (en) Prosthesis structure of infant hip seat
KR200476692Y1 (en) baby wrap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