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819B1 - Receptacle supply device - Google Patents

Receptacle suppl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819B1
KR101987819B1 KR1020130040906A KR20130040906A KR101987819B1 KR 101987819 B1 KR101987819 B1 KR 101987819B1 KR 1020130040906 A KR1020130040906 A KR 1020130040906A KR 20130040906 A KR20130040906 A KR 20130040906A KR 101987819 B1 KR101987819 B1 KR 101987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up
conveying
chain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9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01743A (en
Inventor
요시쿠니 욧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브리카 도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브리카 도야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브리카 도야마
Publication of KR20140001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7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8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57/0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and operating to control, or to stop, the feed of such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컵 모양 용기(2)를 수용하는 리테이너(12)가 부착되어 있는 반송체인(10)이 신장된 경우에, 용기(2)를 상방의 흡착컵(46)으로부터 수취하여 하방의 리테이너(12)로 반송을 할 때에 그리퍼(44)를 수평이동시킨다.
(해결수단)
상방의 컵 매거진(34)에서 컵 모양 용기(2)를 인출하여, 하방의 용기반송 컨베이어(4)의 체인(10)에 부착된 리테이너(12)로 인도하는 이송수단(36)을 구비한 용기공급장치(1)에 있어서, 이송수단(36)의 흡착컵(46)과 용기반송 컨베이어(4)의 사이에, 용기(2)를 지지하여 반송을 하는 그리퍼(44)를 배치하고, 이 그리퍼(44)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90)과,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수단(98, 102)을 설치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체인(10)이 신장되었을 때에는 용기(2)를 지지하여 하강하는 그리퍼(44)를 수평이동시켜서 리테이너(12)의 위치에 합치시킨다.
(assignment)
When the conveying chain 10 with the retainer 12 for accommodating the cup-shaped container 2 is extended, the container 2 is received from the adsorption cup 46 located above and is conveyed to the lower retainer 12 The gripper 44 is horizontally moved when carrying.
(Solution)
And a conveying means 36 for taking out the cup container 2 from the upper cup magazine 34 and delivering it to the retainer 12 attached to the chain 10 of the lower container conveying conveyor 4 A gripper 44 for carrying and carrying the container 2 is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cup 46 of the conveying means 36 and the container conveying conveyor 4 in the feeding device 1, A lifting means 90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container 44 and horizontal moving means 98 and 102 for horizontally moving the container 10 are provided and when the chain 10 is elongated as time elapses, The gripper 44 is moved horizontally to conform to the position of the retainer 12.

Description

용기공급장치{RECEPTACLE SUPPLY DEVICE}{RECEPTACLE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푸딩(pudding)이나 젤리(jelly) 등의 용기를, 용기반송수단인 반송체인(搬送chain)에 설치되어 간헐적(間歇的)으로 반송되고 있는 리테이너(retainer)의 용기수용부(容器收容部)로 공급하는 용기공급장치(容器供給裝置)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a container such as pudding or jelly is placed in a container holding portion of a retainer which is intermittently conveyed, (Container receiving section) for supplying the container to the container holding section.

푸딩이나 젤리 등을 용기에 충전(充塡)하는 충전라인(充塡line)에서는, 용기를 지지하는 복수의 용기수용부(용기수용구멍)가 형성된 리테이너가 소정의 간격으로 반송체인에 부착된 용기반송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각 리테이너에 용기를 수용하여 간헐적으로 반송하고, 반송경로의 도중에 설치된 충전부(充塡部), 밀봉부(密封部) 및 트리밍부(trimming部) 등에 순차적으로 정지하여 충전, 밀봉 및 트리밍 등의 처리를 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충전라인에 있어서, 용기반송수단에 용기를 공급하는 용기공급장치가 종래부터 널리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In a filling line (filling line) for filling puddings, jelly, or the like into a container, a retainer having a plurality of container receiving portions (container receiving holes) for supporting the container is placed in a container And the containers are accommodated in the respective retainers and are intermittently transported and stopped sequentially in the charging section (charging section), the sealing section (sealing section), and the trimming section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transport path Filling, sealing, trimming, and the like. In such a charging line, a container supplying device for supplying the container to the container conveying means has been widely known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상기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체인에 다수의 슬랫(slat)이 연속하여 부착된 슬랫 컨베이어(slat conveyor)로 이루어지는 용기반송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각 슬랫에는 용기지지구멍이 일렬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어, 간헐적으로 구동되는 슬랫이 공급 스테이션(供給 station)에서 정지되었을 때에 용기공급장치로부터 용기가 공급된다.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above Patent Document 1 has a container conveying conveyor made up of a slat conveyor in which a plurality of slats are successively attached to a chain, And the container is supplied from the container supply device when the intermittently driven slat is stopped at the supply station.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1-253412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253412

종래의 용기반송장치에서는, 복수의 용기수용구멍을 구비한 다수의 슬랫(본 발명에서는 리테이너)을 동일한 간격으로 체인에 부착하고 있어, 시간이 경과하면 체인에 신장(伸長)이 발생한다. 이 체인의 신장이 커지게 되면, 용기를 공급할 때에 용기가 리테이너의 용기수용구멍으로부터 어긋나 버리기 때문에, 용기공급유닛을 체인의 신장량만큼 이동시켜서 대응하고 있었다. 그러나 자동공급장치 등을 구비한 고능력 장치의 경우에는, 용기공급유닛이 대형이 되어 조정작업에 큰 노동력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container transportation device, a plurality of slats (retainers 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plurality of container receiving holes are attached to the chain at equal intervals, and elongation occurs in the chain over time. When the elongation of the chain is increased, the container is displaced from the container receiving hole of the retainer when the container is fed. Therefore, the container feeding unit is moved by the elongation amount of the chain. However, in the case of a high-performance apparatus equipped with an automatic feeder or the lik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ainer supply unit becomes large and a large labor force is required for the adjustment operation.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기를 공급부에서 인출하여 이송하는 이송수단(移送手段)과, 이 이송수단이 이송하는 용기를 반송위치에서 수취하여 지지하는 지지수단(支持手段)과, 이 지지수단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昇降手段)을 구비하고, 반송체인에 부착되어 간헐적(間歇的)으로 반송되는 리테이너(retainer)의 용기수용부(容器收容部)에, 상기 지지수단을 하강시켜서 용기를 공급하는 용기공급장치(容器供給裝置)에 있어서,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veying device comprising conveying means (conveying means) for withdrawing and conveying a container from a conveying section, support means (support means)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the conveyance means from a conveying position, And the supporting means is lowered to a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a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of a retainer attached to the conveying chain and intermittently conveyed, In a container feeding device for feeding a container,

상기 지지수단을 상기 반송체인에 의한 반송방향을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수단(水平移動手段)을 설치하여, 상기 지지수단이 수취위치에서 수취한 용기를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Horizontal moving means) for horizontally moving the support means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by the conveyance chain, so that the support means can horizontally move the container received at the receiving position.

또한 제2발명은, 상기 제1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송체인의 신장을 검출하는 검출수단(檢出手段)을 설치하고, 반송체인에 신장(伸長)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용기를 지지한 지지수단의 하강동작 중에, 이 지지수단을 반송체인의 신장량만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용기를 상기 리테이너의 용기수용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In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ng means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elongation of the conveying chain is provided, and when the conveying chain is elongated, The holding means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amount of elongation of the conveying chain during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means so that the container is supplied to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retainer.

공급부에서 용기를 인출하여 이송하는 이송수단으로부터 용기를 수취하여, 하방의 반송체인에 부착되어 있는 리테이너로 공급하는 지지수단을 승강수단에 의하여 승강시킴과 아울러 수평이동수단에 의하여 반송방향을 따라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체인이 신장되었을 때에는 하강 중의 지지수단을 수평이동시킴으로써 용기의 수취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지지하고 있는 용기를 리테이너의 위치에 합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용기공급유닛을 이동하지 않고 용기를 확실하게 리테이너에 공급할 수 있다.
A holding means for receiving the container from the feeding means for feeding out the container from the feeding portion and feeding the container to the retainer attached to the conveying chain below is moved up and down by the elevating means and horizontally moved along the feeding direction by the horizontal moving means Therefore, when the chain is extended, the supporting means during horizontal descent can be horizontally moved, so that the container being supported can be aligned with the position of the retainer without changing the receiving position of the container. Therefore, Can be reliably supplied to the retainer.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용기공급장치를 구비한 용기충전 밀봉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실시예1).
도2의 (a)∼(c)는 용기의 공급부에서 인출된 용기를 반송체인의 리테이너로 공급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3은, 이송수단 및 지지수단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4의 (a), (b)는 이송수단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정면도이다.
도5는, 이송수단 및 지지수단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6은, 지지수단의 평면도이다.
도7의 (a), (b)는 용기공급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체인이 신장되지 않은 상태, (b)는 체인이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8의 (a)∼(c)는 제2실시예에 관한 용기공급장치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8의 (d)는 반송체인의 신장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실시예2).
1 is a side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container filling and seal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container su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1).
2 (a) to 2 (c) are explanatory diagrams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of feeding a container drawn out from a supply portion of a container to a retainer of a transport chain.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driving unit of the conveying unit and the supporting unit.
4 (a) and 4 (b) are views showing the driving unit of the conveying means, wherein (a) is a plan view and (b) is a front view.
5 is a front view showing a driving unit of the conveying means and the supporting means.
6 is a plan view of the supporting means.
7A and 7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tainer feeding device, wherein FIG. 7A shows a state in which the chain is not stretched, and FIG. 7B shows a state in which the chain is stretched.
8A to 8C are views for sequentially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tainer feed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8D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elongation of the transport chain (Example 2).

컵 모양의 용기를 다수 포개어 쌓아서 수용하는 용기공급부에서 1개씩 용기를 인출하여 이송하는 이송수단(移送手段)과, 이 이송수단이 이송하는 용기를 상방의 반송위치에서 수취하여 지지하는 지지수단(支持手段)과, 이 지지수단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昇降手段)을 구비하고 있고, 지지수단이 이송수단으로부터 수취한 용기를, 하강시켜서 하방에 설치된 용기반송수단의 반송체인에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리테이너(retainer)의 용기수용부(容器收容部)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지지수단을 반송체인의 반송방향을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수단(水平移動手段)을 더 설치하고, 상기 반송체인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신장된 경우에, 하강하는 지지수단을 수평이동수단에 의하여 수평이동시킴으로써 공급하는 용기를 반송체인의 신장에 의하여 어긋난 리테이너의 위치에 합치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반송체인이 신장된 경우에도 확실하게 리테이너의 용기수용부에 공급한다는 목적을 달성한다.(Conveying means) for withdrawing and conveying the containers one by one in a container feeding section for stack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cup-shaped containers, and a supporting means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the containers conveyed by the conveying means from the conveying position above (Elevating means)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supporting means, and the supporting means is provid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onveying chain of the container conveying means provided downward by lowering the container received from the conveying means An apparatus for supplying to a container accommodating section of a retainer,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horizontal moving means (horizontal moving means) for horizontally moving the supporting means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chain, , The lowering supporting means is horizontally moved by the horizontal moving means Because it so as to conform to the position of the supply container to write displaced by extension of the conveying chain retainer, it achieves the goal of reliably supplied to the container receiving portion of the retainer, even if the conveying chain stretched.

(실시예1)(Example 1)

이하,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관한 용기공급장치(容器供給裝置)(전체로서 부호 1로 나타낸다)를 구비한 용기충전 밀봉장치(容器充塡 密封裝置)는, 상부가 큰 직경이고 하부를 향하여 점차 작은 직경이 되는 형상의 컵 모양 용기(容器)(2)(도2 등 참조)를 용기반송수단(容器搬送手段)(용기반송 컨베이어)(4)에 의하여 간헐적(間歇的)으로 반송하여 충전 포지션(充塡 position)(B), 밀봉 포지션(密封 position)(C), 트리밍 포지션(trimming position)(D) 등의 각 용기처리위치에 순차적으로 정지시켜서 각각의 처리를 하도록 되어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A container filling and sealing device provided with a container supplying device (a container 1 as a whole) shown in this embodiment has a large diameter at the top and a gradually small diameter toward the bottom Shaped container (container) 2 (see FIG. 2, etc.) is intermittently conveyed by the container conveying means (container conveying conveyor) 4 to the charging position (B), a sealing position (C), a trimming position (D), and the like.

용기반송 컨베이어(4)는, 상류부(도1의 우측)와 하류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종동측 스프로킷(從動側 sprocket)(6)과 구동측 스프로킷(驅動側 sprocket)(8)의 양측에 한 쌍의 반송체인(搬送chain)(10)(뒤에 설명하는 도5 참조)이 걸쳐져서 회전하고, 이들 양측 체인(10)의 사이에 다수의 리테이너(retainer)(12)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구동측 스프로킷(8)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구동수단이 연결되어 있어, 반송체인(10)을 간헐적으로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각 리테이너(12)에는, 복수(이 실시예에서는 4개)의 용기수용부(容器收容部)(용기수용구멍(12a))(도2(c) 참조)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용기수용구멍(12a) 내에 컵 모양 용기(2)를 지지하여 반송한다. 이 컵 모양 용기(2)는,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플랜지(flange)(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2a)가 상기 리테이너(12)의 용기수용구멍(12a)의 가장자리부분 상면에 재치(載置)되어 지지된다.The container conveying conveyor 4 includes a driven side sprocket 6 and a driven side sprocket 8 disposed on both sides of an upstream portion (right side in FIG. 1) and a downstream portion, A pair of conveyance chains 10 (see FIG. 5 to be described later) are spanned and rotated, and a plurality of retainers 12 are attached between these two side chains 10. Drive means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drive sprocket 8, so that the conveying chain 10 is intermittently driven. A plurality of (four in this embodiment)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s (container accommodating holes 12a) (see Fig. 2 (c))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each retainer 12, The cup-shaped container 2 is supported and conveyed in the container receiving hole 12a. This cup-shaped container 2 is provided with a flange 2a at the edge of the opening and the flange 2a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portion of the container receiving hole 12a of the retainer 12 And is supported.

상기 용기반송 컨베이어(4)의 상류부 근처의 상방에는, 컵 모양 용기(2)를 상기 리테이너(12)에 공급하는 용기공급장치(1)가 설치되어 있다(이 공급위치를 용기공급 포지션(容器供給 position)(A)이라고 한다). 이 용기공급 포지션(A)의 하류측에 상기 충전 포지션(B)이 있고, 이 충전 포지션(B)에는 용기반송 컨베이어(4)에 의하여 반송되어 온 컵 모양 용기(2) 내에 액체 등의 내용물을 충전하는 충전장치(充塡裝置)(16)가 설치되어 있다. 충전 포지션(B)의 더 하류측에는 밀봉 포지션(C) 및 트리밍 포지션(D)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밀봉 포지션(C)에는 밀봉장치(18)가 그리고 트리밍 포지션(D)에는 트리밍 장치(2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A container feeding device 1 for feeding the cup-shaped container 2 to the retainer 12 is provided above the upstream portion of the container conveying conveyor 4 (the container feeding position is a container feeding position Supply position (A)). The filling position B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container supplying position A and the contents such as liquid are supplied into the container 2 conveyed by the container conveying conveyor 4 And a charging device 16 for charging is provided. The sealing position C and the trimming position D are sequentially arrang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lling position B and the sealing device 18 is disposed on the sealing position C and the trimming position D is provided on the trimming position D, Respectively.

상기 용기반송 컨베이어(4)에 의하여 반송되고 있는 컵 모양 용기(2)의 개구부의 상방과, 상기 밀봉장치(18)의 밀봉헤드(18a)의 하면 및 트리밍 장치(20)의 트리밍 헤드(20a)의 하면과의 사이에 뚜껑재인 필름(22)이 공급된다. 뚜껑재 필름(22)은, 이 용기충전 밀봉장치의 외부에 설치된 롤 모양의 필름으로부터 인출되어,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유입롤러 등을 통하여 이 용기충전 밀봉장치 내로 유입된다. 용기충전 밀봉장치 내로 유입된 뚜껑재 필름(22)은, 방향변환롤러(方向變換roller)(24)에 의하여 용기반송 컨베이어(4)의 반송방향(도1에서의 화살표(E) 참조)과 역방향으로 향한 후에, 구동롤러(驅動roller)(26) 및 아이들 롤러(idle roller)(28) 등을 통하여 용기반송 컨베이어(4)의 반송면 위까지 내려진 후에, 상기 밀봉장치(18) 및 트리밍 장치(20)의 하방으로 공급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cup container 2 conveyed by the container conveying conveyor 4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head 18a of the sealing device 18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rimming head 20a of the trimming device 20, And a film 22 as a lid is suppli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m 22 and the lower surface. The lid reel film 22 is drawn out from a roll-shaped film provided outside the container filling and sealing apparatus and flows into the container filling and sealing apparatus through an inflow roller or the like not shown in the figure. The lid material film 22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filling and sealing apparatus is mov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tainer conveying conveyor 4 (see arrow E in Fig. 1) by the direction changing roller 24 And then moved down onto the conveying surface of the container conveying conveyor 4 through the driving roller 26 and the idle roller 28 and then the sealing device 18 and the trimming device 20).

상기 밀봉 포지션(C)에 설치되어 있는 밀봉장치(18)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에어실린더의 작동에 의하여 밀봉헤드(18a)를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어, 용기반송 컨베이어(4)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반송되어 오는 컵 모양 용기(2)가 이 밀봉헤드(18a)의 하방에 정지하였을 때에, 상기 에어실린더를 작동하여 밀봉헤드(18a)를 하강시켜서 뚜껑재 필름(22)을 컵 모양 용기(2)의 개구부 상에 가압하여, 상기 필름(22)을 컵 모양 용기(2)의 플랜지(2a) 상면에 용착(溶着)한다. 또한 트리밍 장치(20)도 에어실린더(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의 작동에 의하여 트리밍 헤드(20a)를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어, 용기반송 컨베이어(4)에 의하여 반송되고 있는 컵 모양 용기(2)가 이 트리밍 헤드(20a)의 하방에 정지하였을 때에, 상기 에어실린더를 작동하여 트리밍 헤드(20a)를 하강시켜서 컵 모양 용기(2)의 플랜지(2a)에 용착되어 있는 필름(22)의 주변을 절단하여 시트 모양 필름(22)의 본체부로부터 분리시킨다. 시트 모양 필름(22)의 뚜껑 부분이 분리된 잔부(殘部)(22a)는 배출롤러(排出roller)(30) 등을 통하여 롤(32)에 감긴다.The sealing device 18 provided in the sealing position C is adapted to move up and down the sealing head 18a by the operation of an air cylinder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is transported by the container conveying conveyor 4 intermittently When the cup-shaped container 2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cup-shaped container 2 is stopped below the sealing head 18a, the air cylinder is operated to lower the sealing head 18a so that the cap film 2 So that the film 22 is mel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2a of the cup-shaped container 2. [0053] The trimming apparatus 20 is also adapted to raise and lower the trimming head 20a by the operation of an air cylinder (not shown in the figure), so that the cup-shaped container 2 conveyed by the container conveying conveyor 4 The air cylinder is operated to lower the trimming head 20a so as to cut the periphery of the film 22 welded to the flange 2a of the cup container 2 when the stopper is stopped below the trimming head 20a Shaped film 22 from the main body portion. The remainder 22a from which the lid portion of the sheet-like film 22 has been separated is wound on the roll 32 through a discharge roller 30 and the like.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한 용기공급장치(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용기공급 포지션(A)의 상방에는, 다수의 컵 모양 용기(2)를 포개어 쌓고 역방향의 상태(바닥부를 상측으로 향하게 하고, 개구부측의 플랜지(2a)를 하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수용되는 용기의 공급부(컵 매거진(cup magazine)(34))가 직립(直立)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도1 및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2 참조). 컵 매거진(34)은 상기 용기반송 컨베이어(4)의 반송방향(E)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리테이너(12)에 형성되어 있는 용기수용구멍(12a)의 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복수 개(이 실시예에서는 4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iner suppl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 container 2 is accommodated in a state of being stacked in a state of being stacked in a reverse direction (a state in which the bottom portion is directed upward and a flange 2a on the opening side is directed downwar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supply position A, (Cup magazines 34) are arranged in an upright position (see Fig. 1 and enlarged Fig. 2). The cup magazine 3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 plurality of (for example, two or more) container holding holes 12a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terval of the container receiving holes 12a formed in the retainer 12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arrying direction E of the container conveying conveyor 4 Four in the embodiment) are arranged side by side.

상기 컵 매거진(34)의 하단부 양측에는, 컵 매거진(34) 내에 포개어져 쌓인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다수의 컵 모양 용기(2)에 있어서 가장 하방의 용기(2)를 상방의 용기(2)로부터 분리하여 하방의 이송수단(移送手段)(36)(도3 참조)으로 인도하는 용기분리수단(容器分離手段)(38)이 설치되어 있다. 용기분리수단(38)은, 도2에 확대하여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컵 매거진(34)의 하단 개구부보다 약간 낮은 높이에 배치된 양측 한 쌍의 상방 스토퍼(上方 stopper)(40)와, 이 상방 스토퍼(40)보다 약간 하방에 배치된 양측 한 쌍의 하방 스토퍼(下方 stopper)(42)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상하의 스토퍼(40, 42)는, 각각 에어실린더(40a, 42a)의 작동에 의하여 컵 매거진(34) 내에 수용되어 있는 컵 모양 용기(2)의 플랜지(2a)에 결합되는 전진위치와, 결합되지 않는 후퇴위치로 진퇴이동한다. 상방 스토퍼(40)와 하방 스토퍼(42)는, 포개어져 쌓여 있는 컵 모양 용기(2)의 플랜지(2a) 사이의 거리와 거의 동일한 상하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하방 스토퍼(42)는 컵 매거진(34) 방향으로 전진하면 컵 매거진(34)에 수용되어 있는 가장 하방의 컵 모양 용기(2)의 플랜지(2a)의 하면측으로 진입하고, 또한 상방 스토퍼(40)는 컵 매거진(34) 방향으로 전진하면 가장 하방의 컵 모양 용기(2)의 플랜지(2a)와 그 상방의 컵 모양 용기(2)의 플랜지(2a)의 사이에 삽입된다.A plurality of cup-shaped containers 2, which are stacked in a stacked state in the cup magazine 34,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cup magazine 34, And a container separating means (container separating means) 38 for separating and delivering to a downward conveying means (conveying means) 36 (see FIG. 3). As shown in FIG. 2, the container separating means 38 includes a pair of upper stoppers 40 arranged at a height slightly lower than the lower end opening of the cup magazine 34, And a pair of lower stoppers 42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topper 40 slightly below the lower stopper 40. The upper and lower stoppers 40 and 42 are engaged with the flange 2a of the cup-shaped container 2 housed in the cup magazine 34 by the operation of the air cylinders 40a and 42a, And moves back and forth to the retracted position. The upper stopper 40 and the lower stopper 42 are arranged at an upper and lower distance substantially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langes 2a of the cup-shaped containers 2 piled up. When the lower stopper 42 advances toward the cup magazine 34, the lower stopper 42 enters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2a of the lowermost cup-shaped container 2 housed in the cup magazine 34, Shaped container 2 is inserted between the flange 2a of the lowermost cup-shaped container 2 and the flange 2a of the cup-shaped container 2 located above it.

상기 컵 매거진(34)으로부터 인출된 컵 모양 용기(2)를 이 컵 매거진(34)의 하방으로 이송하여 하방에 배치된 지지수단(支持手段)(44)으로 인도하는 상기 이송수단(3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이송수단(36)은 복수의 흡착컵(吸着cup)(46)을 구비하고 있고, 이 흡착컵(46)을, 상기 컵 매거진(34)으로부터 컵 모양 용기(2)를 인출하는 상방의 인출위치(F)(도2(a) 및 도3에 나타내는 위치)와, 지지수단(44)으로 이 컵 모양 용기(2)를 인도하는 하방의 반송위치(G)(도2(b)에 나타내는 위치)의 사이에서 승강시킴과 아울러, 플랜지(2a)를 하방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인출된 컵 모양 용기(2)를, 플랜지(2a)를 상방으로 향하도록 상태로 반전시켜서 지지수단(44)으로 반송하기 위하여 흡착컵(46)을 180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conveying means 36 for conveying the cup-shaped container 2 drawn out from the cup magazine 34 to the lower side of the cup magazine 34 and delivering it to the supporting means (supporting means) Is installed. This conveying means 36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dsorption cups 46. The adsorption cups 46 are arranged in a state of being pulled out from the cup magazine 34 by upwardly pulling out the cup- The position F shown in Fig. 2 (a) and the position shown in Fig. 3) and the downward conveying position G for guiding the cup-shaped container 2 to the supporting means 44 And the cup-shaped container 2 drawn out with the flange 2a facing downward is turned upside down so that the flange 2a is directed upward, So that the adsorption cup 46 can be rotated 180 degrees.

이러한 이송수단(36)의 구성에 대하여 도3∼도5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송수단(36)은, 각 컵 매거진(34)에 수용되어 있는 컵 모양 용기(2)를 각각 흡착하여 인출하는 4개의 흡착컵(46)을 구비하고 있다. 각 흡착컵(46)은 개구부측에 상기 컵 모양 용기(2)의 플랜지(2a)와 거의 동일한 직경의 플랜지(46a)를 구비함과 아울러, 내부측에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흡인수단으로부터의 진공을 작용시키도록 되어 있어, 상기 플랜지(46a)를 컵 모양 용기(2)의 플랜지(2a)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내부측으로부터 흡인하여 컵 모양 용기(2)를 흡착한다.The construction of the conveying means 36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Fig. The conveying means 36 is provided with four adsorption cups 46 for sucking and withdrawing the cup-shaped containers 2 housed in the respective cup magazines 34, respectively. Each adsorption cup 46 is provided with a flange 46a having a diameter substantially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flange 2a of the cup-shaped container 2 on the side of the opening and a vacuum from the suction means So that the cup-shaped container 2 is sucked from the inner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flange 46a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ange 2a of the cup-shaped container 2.

상기 용기반송 컨베이어(4)의 양측에 배치된 머신 케이싱(machine casing)의 측벽(側壁)(48)(도5 참조) 상에 직립한 지주(50)를 통하여 용기반송 컨베이어(4)의 상방을 횡단하는 수평지지 플레이트(水平支持 plate)(52)가 배치되어 있고, 이 수평지지 플레이트(52)의 양단부 상에 직립한 부착판(付着板)(54)이 고정되어 있다. 이 부착판(54) 사이를 횡단하여 흡착컵 승강용 회전축(56)이 베어링(57)(도4(b) 참조)을 통하여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흡착컵 승강용 회전축(56)의 중앙부에 기어박스(58)가 부착되어, 모터(60)의 회전을 이 기어박스(58) 내의 기어를 통하여 전달하여 흡착컵 승강용 회전축(56)을 회전시킨다.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conveying conveyor 4 is conveyed through the pillars 50 upright on the side wall 48 (see Fig. 5) of the machine casing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ntainer conveying conveyor 4 (Horizontally supporting plate) 52 is arranged o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52. An upright attachment plate 54 is fixed on both end portions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52. As shown in Fig. The suction cup lifting / lowering rotary shaft 56 is supported so as to rotate through the bearing 57 (see FIG. 4 (b)) across the attachment plates 54. A gear box 58 is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adsorption cup lifting and lowering rotary shaft 56 to transmit the rotation of the motor 60 through the gear in the gear box 58 to rotate the adsorption cup lifting and lowering rotary shaft 56 .

상기 머신 케이싱의 양쪽 측벽(48)의 상면에, 상기 지주(50)를 따라 각각 한 쌍의 레일(rail)(62)이 고정되어 있다. 양측에 배치된 각각 한 쌍의 레일(62)에, 슬라이더(slider)(64)를 통하여 승강블록(昇降block)(66)이 승강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흡착컵 승강용 회전축(56)의 양단부에 회전레버(回轉lever)(68)의 일단(一端)이 연결되어 있고, 이 회전레버(68)의 타단(他端)에 연결로드(70)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연결로드(70)의 타단은 상기 승강블록(66)에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어 흡착컵 승강용 회전축(56)을 회전시키면, 회전레버(68) 및 연결로드(70)를 통하여 승강블록(66)이 승강된다.A pair of rails 62 ar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both side walls 48 of the machine casing along the support pillars 50. A pair of rails 62 disposed on both sides are supported so as to ascend and descend through a slider 64 by means of a lift block 66. One end of a rotating lever 68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adsorption cup lifting and lowering rotary shaft 56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lever 68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70 Once connecte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70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block 66 so that the elevating block 66 is rotated through the rotating lever 68 and the connecting rod 70 when the rotating shaft 56 is rotated. Respectively.

양측의 승강블록(66)의 사이에, 상기 용기반송 컨베이어(4)의 반송방향(E)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흡착컵 회전축(72)이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흡착컵 회전축(72)은 그 단부(端部)에 부착된 흡착컵 회전용 모터(74)에 의하여 회전한다. 상기 흡착컵(46)은 흡착컵 회전축(72)에 상기 컵 매거진(34)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고, 흡착컵 회전축(72)의 회전에 의하여 흡착컵(46)은, 컵 매거진(34)으로부터 컵 모양 용기(2)를 인출하는 상방으로 향하는 위치(도2(a) 참조)와, 하방의 지지수단(44)에 컵 모양 용기(2)를 인도하는 하방을 향하는 위치(도2(b) 참조)와의 사이에서 180도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A suction cup rotation axis 72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veying direction E of the container conveyance conveyor 4 is supported so as to be rotatable between the suction cup rotation axis 72 and the suction cup rotation axis 66, Is rotated by a suction cup rotation motor 74 attached to its end. The adsorption cup 46 is attached to the adsorption cup rotation axis 72 at the same intervals as the intervals of the cup magazines 34. By the rotation of the adsorption cup rotation axis 72, (See Fig. 2 (a)) for pulling out the cup-shaped container 2 from the lower support means 44 (see Fig. 2 (see Fig. 5 (b)).

다음에 상기 이송수단(36)으로부터 컵 모양 용기(2)를 수취하여 용기반송 컨베이어(4)의 리테이너(12)로 반송하는 지지수단(44)(그리퍼(gripper)) 및 이 지지수단(44)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수단의 구성에 대하여 도3, 도5 및 도6에 의하여 설명한다. 머신 케이싱의 양쪽 측벽(48)의 외면측에 각각 직립한 2개의 레일(76)이 고정되어 있다. 이들 2개의 레일(76) 사이에, 상기 용기반송 컨베이어(4)의 반송방향(E)을 향한 승강블록(78)이 슬라이더(80)를 통하여 승강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들 양측의 승강블록(78)에 각각 수평방향의 레일(82)이 고정되어 있다. 이들 레일(82)에 슬라이더(84)를 통하여 수평이동 플레이트(86)가 고정되어 있다. 양측의 수평이동 플레이트(86)의 사이에, 상기 용기반송 컨베이어(4)의 상방을 횡단하여 그리퍼 부착판(gripper 付着板)(88)이 고정되어 있다.A supporting means 44 (a gripper) for receiving the cup-shaped container 2 from the conveying means 36 and conveying it to the retainer 12 of the container conveying conveyor 4, And the horizontal moving means for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5 and 6. Fig. Two rails 76 standing upright are fixed to the outer surface sides of the side walls 48 of the machine casing. A lift block 78 is supported between the two rails 76 so as to ascend and descend through the slider 80 toward the conveying direction E of the container conveying conveyor 4. The horizontal rails 82 are fixed to the elevating blocks 78 on both sides. And a horizontal moving plate 86 is fixed to these rails 82 through a slider 84. [ A gripper attachment plate 88 is fixed across the horizontal movement plate 86 on both sides and transversely to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conveyance conveyor 4.

지상(地上)에 설치된 구동모터(90)(도3 참조)의 구동측에 회전레버(92)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이 회전레버(92)의 타단측에 연결로드(94)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이 연결로드(94)의 타단(상단)에 상기 승강블록(78)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 승강블록(78)은 구동모터(90)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레버(92) 및 연결로드(94)를 통하여 승강한다.One end of a rotation lever 92 is connected to a drive side of a drive motor 90 (see Fig. 3) provided on the ground, and one end of a connection rod 94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rotation lever 92 And the elevating block 78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upper end) of the connecting rod 94. Thus, the lift block 78 is moved up and down through the rotation lever 92 and the connection rod 94 by driving the drive motor 90.

또한 양측의 승강블록(78)의 사이에, 상기 그리퍼 부착판(88)과 평행하게 피니언 회전축(pinion 回轉軸)(96)이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피니언 회전축(96)의 양단부에 각각 피니언(98)이 고정되어 있고, 피니언 회전축(96)의 일단에 설치된 피니언 구동용 모터(100)(도6 참조)의 구동에 의하여 양쪽 피니언(98)이 회전한다. 한편 상기 양측의 수평이동 플레이트(86)에는, 용기반송 컨베이어(4)의 반송방향(E)을 향하는 수평한 래크(rack)(102)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피니언(98)과 각각 맞물려 있다. 따라서 피니언 구동용 모터(100)의 작동에 의하여 피니언 회전축(96)을 회전시키면 피니언(98)이 회전하고, 이들 피니언(98)과 맞물려 있는 래크(102)가 용기반송 컨베이어(4)의 반송방향(E)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들 래크(102)의 이동에 의하여 그리퍼 부착판(88)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피니언 구동용 모터(100)의 구동은 제어장치(104)(도6 참조)에 의하여 제어되고 있어, 필요로 하는 그리퍼(44)의 이동량(래크(102)의 이동량)에 따라 피니언(98)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들 래크(102) 및 피니언(98)이 그리퍼(44)를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그리퍼 부착판(88)이 고정되어 있는 수평이동 플레이트(86)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90)가 그리퍼(44)의 승강수단을 구성하고 있다.A pinion rotation shaft 96 is supported between the lift blocks 78 on both sides so as to rotate in parallel with the gripper attachment plate 88. A pair of pinions 98 are fixed to both ends of the pinion rotary shaft 96. By driving the pinion drive motor 100 (see FIG. 6) provided at one end of the pinion rotary shaft 96, Rotate. On the other hand, horizontal moving plates 86 on both sides are fixed with horizontal racks 102 facing the conveying direction E of the container conveying conveyor 4 and are engaged with the pinions 98, respectively. Therefore, when the pinion rotating shaft 96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pinion driving motor 100, the pinion 98 rotates and the rack 102 engaged with the pinion 98 rotates in the carrying direction of the container conveyor 4 (E). The movement of the rack 102 moves the gripper attachment plate 88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rive of the pinion drive motor 10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104 (see FIG. 6), and the pinion 98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amount of the gripper 44 (the movement amount of the rack 102) As shown in Fig. The rack 102 and the pinion 98 constitute a horizontal moving means for horizontally moving the gripper 44. [ The driving motor 90 for moving the horizontal moving plate 86 to which the gripper attaching plate 88 is fixed constitutes a lifting means of the gripper 44.

그리퍼 부착판(88)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2개의 플레이트(우측 그립부재 이동플레이트(106)와 좌측 그립부재 이동플레이트(108))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그리퍼 부착판(88)의 양측면에 각각 2군데의 수평한 레일(110, 112)이 고정되고, 상기 양측의 그립부재 이동플레이트(106, 108)의 측면에 고정된 슬라이더(114, 116)가 각 레일(110, 112)에 결합하여 용기반송 컨베이어(4)의 반송방향(E)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양측의 그립부재 이동플레이트(106, 108)에 각각 복수의 그립부재(44a, 44b)가 용기반송 컨베이어(4)의 반송방향(E)을 향하여 동일한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우측 그립부재 이동플레이트(106)에 부착되어 있는 각 그립부재(44a)와 좌측 그립부재 이동플레이트(108)에 부착되어 있는 각 그립부재(44b)가 각각 조(組)를 이루고 있어, 좌우의 그립부재(44a, 44b)로 이루어지는 각 조의 그리퍼(44)를 개폐함으로써 컵 모양 용기(2)를 지지하고 또한 해제한다.Two plates (the right grip member moving plate 106 and the left grip member moving plate 108) are arranged in parallel on both sides of the gripper attachment plate 88 with the gap therebetween. Two horizontal rails 110 and 112 are fixed to both sides of the gripper attachment plate 88 and sliders 114 and 116 fixed to the sides of the grip member movement plates 106 and 108 And is coupled to each of the rails 110 and 112 so as to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E of the container conveying conveyor 4. [ A plurality of grip members 44a and 44b are attached to the grip member moving plates 106 and 108 on both sides at equal intervals toward the transport direction E of the container transporting conveyor 4. [ The respective grip members 44a attached to the right grip member moving plate 106 and the grip members 44b attached to the left grip member moving plate 108 are each a pair, The cup-shaped container 2 is supported and released by opening and closing each set of grippers 44 composed of the members 44a and 44b.

양측의 그립부재 이동플레이트(106, 108)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그리퍼 부착판(88) 일방의 단부(도6의 우측 단부) 근방에 지점핀(支點pin)(118)(도6 참조)이 부착되어 있어, 이 지점핀(118)과 수평한 수평회전레버(120)의 중앙부가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수평회전레버(120)의 양단부에 상기 양측의 그립부재 이동플레이트(106, 108)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수평회전레버(120)는, 그 일방의 단부(도6의 하측 단부)에 그립부재 이동플레이트 작동용의 레버(122)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이 작동용 레버(122)의 타단이, 머신 케이싱의 일방의 측벽(48)(도5 및 도6의 우측의 측벽) 상에 고정되어 있는 그리퍼 개폐용 모터(124)에 편심(偏心)되어 연결되어 있다. 이 그리퍼 개폐용 모터(124)의 구동에 의하여 작동용 레버(122)를 통하여 수평회전레버(120)를 왕복회전시킬 수 있다. 수평회전레버(122)의 회전에 의하여 양측의 그립부재 이동플레이트(106, 108)를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양측의 그립부재(44a, 44b)를 접근·격리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수평회전레버(120)를 도6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우측 그립부재 이동플레이트(106)가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좌측 그립부재 이동플레이트(108)가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하여 양측의 그립부재(44a, 44b)가 격리되어 그리퍼(44)가 개방된다(도6의 우측 반 정도의 그리퍼(44) 참조). 반대로 수평회전레버(120)를 도6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우측 그립부재 이동플레이트(106)가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좌측 그립부재 이동플레이트(108)가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하여 양측의 그립부재(44a, 44b)가 접근하여 그리퍼(44)가 폐쇄된다(도6의 좌측 반 정도의 그리퍼(44) 참조).A fulcrum pin 118 (see Fig. 6) is attached near the end of one of the gripper attachment plates 88 located at the middle of the grip member movement plates 106, 108 on both sides (the right end of Fig. 6)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rizontal rotary lever 120, which is horizontal with the fulcrum pin 118, is supported to rotate. One end of each of the grip member moving plates 106 and 108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horizontal rotation lever 120. One end of the lever 122 for operating the grip member moving plate is connected to one end (the lower end in Fig. 6) of the horizontal rotation lever 120, and the other end of the lever for operation 122, Is eccentrically connected to a gripper opening and closing motor 124 fixed on one side wall 48 (the right side wall of Figs. 5 and 6) of the machine casing. By driving the gripper opening and closing motor 124, the horizontal rotation lever 120 can be reciprocally rotated through the operation lever 122. The grip member moving plates 106 and 108 on both sides can be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by the rotation of the horizontal rotation lever 122 to approach and isolate the grip members 44a and 44b on both sides. 6, the right grip member moving plate 106 is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of the figure and the left grip member moving plate 108 is moved in the rightward direction in the figure, The grip members 44a and 44b on both sides are isolated and the gripper 44 is opened (see the right half gripper 44 in Fig. 6). 6, the right grip member moving plate 106 is moved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drawing, and the left grip member moving plate 108 is moved to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The grip members 44a and 44b on both sides approach and the gripper 44 is closed (see the gripper 44 in the left half of FIG. 6).

상기 구성의 용기충전 밀봉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컵 모양 용기(2)의 공급부(컵 매거진(34))에 컵 모양 용기(2)가 개구부(플랜지(2a)측)를 하방으로 향하게 하여 포개어 쌓인 상태로 수용되어 있고, 이송수단(36)에 의하여 컵 매거진(34)의 가장 하방의 용기(2)를 인출한다. 이 때에는 용기분리수단(38)의 하방 스토퍼(42)가 전진하여, 컵 매거진(34) 내의 가장 하방의 컵 모양 용기(2)의 플랜지(2a)에 결합하여 지지하고 있다.The operation of the container filling and sealing apparatus having the above construction will be described. Shaped container 2 is housed in a superimposed state with the opening portion (flange 2a side) facing down on the feeding portion (cup magazine 34) of the cup-shaped container 2, and the cup- The container 2 at the bottom of the cup magazine 34 is drawn out. At this time, the lower stopper 42 of the container separating means 38 advances and is engaged with the flange 2a of the lowermost cup-shaped container 2 in the cup magazine 34 and supported.

이 상태에서 흡착컵 회전축(72)이 흡착컵 회전용 모터(74)에 의하여 회전되어, 이 회전축(72)에 부착되어 있는 흡착컵(46)이 개구부(플랜지(46a)측)를 상방으로 향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흡착헤드 승강용 회전축(56)을 모터(60)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시켜서, 회전레버(68) 및 연결로드(70)를 통하여 승강블록(66)을 상승시킨다. 승강블록(66)을 최고로 상승시키면, 각 흡착컵(46)의 개구부측의 플랜지(46a)가 각 컵 매거진(34) 내의 가장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컵 모양 용기(2)의 개구부의 플랜지(2a)에 밀착된다(도2(a) 및 도3에 나타내는 상태). 흡착컵(46)을 컵 모양 용기(2)에 밀착시켜서 진공을 작용시킴으로써 컵 모양 용기(2)를 흡착한다. 이 시점에서는, 용기분리수단(38)의 하방 스토퍼(42)는 흡착컵(46)에 간섭되지 않도록 후퇴하고, 다음에 상방 스토퍼(40)가 전진하여 가장 하방의 컵 모양 용기(2)의 플랜지(2a)와 하측으로부터 2번째의 컵 모양 용기(2)의 플랜지(2a)의 사이에 삽입된다.The adsorption cup rotation shaft 72 is rotated by the adsorption cup rotation motor 74 and the adsorption cup 46 attached to the rotation shaft 72 is moved upward toward the opening (flange 46a side) . In this state, the suction head lifting / lowering rotary shaft 56 is rotated by driving the motor 60 to lift the lifting block 66 through the rotary lever 68 and the connecting rod 70. The flange 46a on the opening side of each adsorption cup 46 reaches the flange 2a of the opening of the cup-shaped container 2 located at the lowest position in each cup magazine 34, (Fig. 2 (a) and Fig. 3). The cup-shaped container 2 is adsorbed by bringing the adsorption cup 46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up-shaped container 2 and applying a vacuum. The lower stopper 42 of the container separating means 38 retreats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adsorption cup 46 and then the upper stopper 40 advances to move the flange 42 of the lowermost cup- Shaped container 2 from the lower side and the flange 2a of the second cup-shaped container 2 from the lower side.

용기분리수단(38)의 상방 스토퍼(40)에 의하여 하측으로부터 2번째의 컵 모양 용기(2)를 지지한 후에, 모터(60)의 구동에 의하여 흡착헤드 승강용 회전축(56)을 회전시켜서 승강블록(66)과 흡착컵 회전축(72) 및 이 회전축(72)에 부착되어 있는 흡착컵(46)을 하강시킨다. 흡착컵(46)의 하강에 의하여 이들 흡착컵(46)이 흡착되어 있는 가장 하방의 컵 모양 용기(2)를 인출한다. 이 때에 컵 매거진(34) 내의 하측으로부터 2번째의 컵 모양 용기(2)는 상방 스토퍼(40)에 지지되어 있어, 가장 하방의 컵 모양 용기(2)와 분리된다. 그 후에 하방 스토퍼(42)를 전진시킴과 아울러 상방 스토퍼(40)를 후퇴시켜서, 다시 컵 매거진(34) 내의 컵 모양 용기(2) 전체를 하방 스토퍼(42)에 의하여 지지한다.After the second cup-shaped container 2 is supported from the lower side by the upper stopper 40 of the vessel separating means 38, the suction head lifting / lowering rotary shaft 56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60, The block 66, the adsorption cup rotation axis 72 and the adsorption cup 46 attached to the rotation axis 72 are lowered. The lowermost cup-shaped container 2 to which these adsorption cups 46 are adsorbed is pulled out by the lowering of the adsorption cup 46. At this time, the second cup-shaped container 2 from the lower side in the cup magazine 34 is supported by the upper stopper 40, and is separated from the lowermost cup-shaped container 2. Thereafter, the lower stopper 42 is advanced and the upper stopper 40 is retracted to again support the entire cup-shaped container 2 in the cup magazine 34 by the lower stopper 42.

컵 모양 용기(2)를 흡착하고 있는 흡착컵(46)은 상방을 향하는 상태 그대로 하강을 시작하여 하방의 지지수단(그리퍼(44))으로 반송하기 전에, 하강하면서 흡착컵 회전용 모터(74)의 구동에 의하여 흡착컵(46)이 부착되어 있는 흡착컵 회전축(72)을 회전시킨다. 이 회전축(72)의 회전에 의하여 각 흡착컵(46)을 180도 회전시켜서, 컵 모양 용기(2)를 흡착하고 있는 개구부측을 하방을 향하도록 한다(도2(b) 참조).The adsorption cup 46 which adsorbs the cup-shaped container 2 starts to descend toward the upward direction and is moved downward while being conveyed to the lower support means (gripper 44) The adsorption cup rotating shaft 72 to which the adsorption cup 46 is attached is rotated. Each adsorption cup 46 is rotated 180 degrees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72 so that the opening side to which the cup-shaped container 2 is adsorbed is directed downward (see Fig. 2 (b)).

상기 이송수단(36)의 흡착컵(46)이 가장 하강한 위치로 지지수단(그리퍼(44))이 상승하여, 흡착컵(46)으로부터 그리퍼(44)에 대한 컵 모양 용기(2)의 반송이 이루어진다. 그리퍼(44)는 구동모터(90)에 의하여 승강되는 승강블록(78)에 부착되어 있어, 가장 상승한 위치에서 상기 이송수단(36)의 흡착컵(46)으로부터 컵 모양 용기(2)를 수취한다. 흡착컵(46)으로부터 컵 모양 용기(2)를 수취할 때에는, 그리퍼 개폐용 모터(124)에 의하여 수평회전레버(120)를 회전(도6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양측의 그립부재 이동플레이트(106, 108)를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양측의 그립부재(44a, 44b)를 격리시킴으로써 그리퍼(44)를 개방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흡착컵(46)에 흡착되어 있는 컵 모양 용기(2)가 양측의 그립부재(44a, 44b)의 사이에 삽입되고, 그 후에 수평회전레버(12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양측의 그립부재(44a, 44b)를 접근하게 하여 그리퍼(44)를 닫아서 컵 모양 용기(2)의 플랜지(2a)의 하측을 지지한다(도2(b) 참조).The holding means (gripper 44) rises to the position where the suction cup 46 of the conveying means 36 is at the lowest position and the conveyance of the cup-shaped container 2 from the suction cup 46 to the gripper 44 . The gripper 44 is attached to a lift block 78 raised and lowered by a drive motor 90 to receive the cup-shaped container 2 from the adsorption cup 46 of the conveying means 36 at the highest position . When the cup-shaped container 2 is received from the adsorption cup 46, the horizontal rotation lever 120 is rotated (rotated clockwise in FIG. 6) by the gripper opening and closing motor 124, The grippers 44 are opened by moving the plates 106 and 108 in opposite directions to isolate the grip members 44a and 44b on both sides. In this state, the cup-shaped container 2 adsorbed by the adsorption cup 46 is inserted between the grip members 44a and 44b on both sides, and then the horizontal rotation lever 120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grip members 44a and 44b are approached to close the gripper 44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flange 2a of the cup-shaped container 2 (see Fig. 2 (b)).

각 그리퍼(44)가 컵 모양 용기(2)를 수취한 후에, 상기 구동모터(90)에 의하여 승강블록(78)을 하강시켜서 그리퍼 부착판(88)을 하강시키고, 이 그리퍼 부착판(88)에 부착되어 있는 그리퍼(44)를 하강시킨다. 통상의 상태에서는, 반송체인(10)에 부착되고 간헐적으로 전진하는 각 리테이너(12)는 항상 일정한 위치에 정지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각 그리퍼(44)에 지지되어 있는 컵 모양 용기(2)와 리테이너(12)의 용기수용구멍(12a)과의 상하 위치가 일치하도록 위치결정되어 있어, 그리퍼(44)를 하강시키면 각 컵 모양 용기(2)는 그대로 리테이너(12)의 용기수용구멍(12a) 내에 삽입된다. 이 위치에서 그리퍼(44)를 개방하여 각 컵 모양 용기(2)를 리테이너(12)의 각 용기수용구멍(12a) 내로 공급한다(도2(c) 참조).The gripper mounting plate 88 is lowered by lowering the lift block 78 by the drive motor 90 after each gripper 44 receives the cup container 2. The gripper mounting plate 88 is moved downward, Thereby lowering the gripper 44 attached to the gripper. In the normal state, the retainers 12 attached to the conveying chain 10 and intermittently advancing are always stopped at a constant position, and the cup-shaped container 2 and the retainer 12, which are supported by the respective grippers 44, When the gripper 44 is lowered, each of the cup-shaped containers 2 is directly held in the container receiving hole 12a of the retainer 12 . At this position, the gripper 44 is opened to supply each cup-shaped container 2 into each container receiving hole 12a of the retainer 12 (see Fig. 2 (c)).

상기와 같은 반송체인(10)에 리테이너(12)를 부착하여 컵 모양 용기(2)를 반송하여 각종 처리를 하는 용기충전 밀봉장치에서는, 운전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반송체인(10)에 신장(伸長)이 발생한다. 여기에서 이 실시예에 관한 장치에서는, 작업자가 정기적으로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반송체인(10)의 신장을 감시하도록 되어 있어 작업자가 반송체인(10)이 신장된 것을 확인하면, 이 장치를 일단 정지시키고, 종동측 스프로킷(6)을 컵 모양 용기(2)의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 체인(10)이 신장된만큼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어장치(104)에 신장량을 입력함으로써 그리퍼(44)의 하강 도중에 있어서 피니언(98)을 회전시켜서 래크(102)를 체인(10)이 신장된만큼 이동시켜서, 그리퍼(44)가 지지하는 컵 모양 용기(2)와 용기수용구멍(12a)의 위치를 일치시킨다.In the container filling and sealing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various processes by transporting the cup-shaped container 2 by attaching the retainer 12 to the conveying chain 1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ration time becomes longer, the conveying chain 10 is stretched ). Here, in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operator monitors the extension of the conveying chain 10 by periodically checking with eyes. When the operator confirms that the conveying chain 10 has been extended, the apparatus is temporarily stopped , The driven side sprocket (6) is 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cup-shaped container (2) by the stretched chain (10). The pinion 98 is rotated during the descent of the gripper 44 by inputting the amount of elongation to the control device 104 to move the rack 102 as far as the chain 10 is extended, The shape container 2 and the container receiving hole 12a are aligned with each other.

이것을 도7에 의하여 설명하면, 반송체인(10)의 신장이 없는 정상인 상태에서는, 도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래크(102)와 피니언(98)을 작동시키지 않고 그대로 직선적으로 하강시켜서 그리퍼(44)에 지지되어 있는 컵 모양 용기(2)를 리테이너(12)의 용기수용구멍(12a)에 삽입한다. 또한 반송체인(10)이 신장된 경우에는, 그리퍼(44)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반송체인(10)의 신장량에 따라 피니언(98)의 회전에 의하여 래크(102)를 수평이동시켜서, 그리퍼(44)의 하강위치를 반송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체인이 신장된만큼 비키어 놓아 리테이너(12)의 용기수용구멍(12a)과 컵 모양 용기(2)의 위치를 일치시킨다(도7(b) 참조). 이와 같이 그리퍼(44)의 하강 도중에 있어서 그리퍼(44)를 수평이동시킴으로써 체인(10)의 신장량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컵 모양 용기(2)의 수취위치는 변경되지 않아 컵 매거진(34)이나 이송수단(36) 등을 이동시킬 필요도 없다.7A and 7B, the rack 102 and the pinion 98 are linearly lowered as they are without being actuated, as shown in Fig. 7A, The container 2 held in the container holding portion 44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receiving hole 12a of the retainer 12. When the conveyor chain 10 is extended, the rack 102 is horizontally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pinion 98 according to the elongation amount of the conveyor chain 10 during the descent of the gripper 44, The container holding hole 12a of the retainer 12 is aligned with the position of the cup-shaped container 2 (see Fig. 7 (b)) by shifting the lowered position of the retainer 12 as far as the chain is extend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arrying direction, . Since the gripper 44 is horizontally moved in the middle of the lowering of the gripper 44 as described above, the elongation amount of the chain 10 can be absorbed so that the receiving position of the cup-shaped container 2 is not changed, It is not necessary to move the transfer means 36 or the like.

(실시예2)(Example 2)

상기 실시예에서는, 체인(10)이 신장된 것을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하고 있지만, 센서에 의하여 신장량을 검출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용기반송 컨베이어(4)의 반송경로의 도중에 동일한 간격으로 3개의 센서(제1센서(130), 제2센서(132), 제3센서(134))를 설치함과 아울러, 리테이너(12)에 상기 3개의 센서(130, 132, 134)와 거의 동일한 폭을 구비하는 검출편(檢出片)(140)을 설치하고, 이 검출편(140)을 상기 센서(130, 132, 134)가 검출함으로써 체인(10)의 신장량을 검출하고 있다. 또 센서(130, 132, 134) 및 검출편(140) 이외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Although the operator has visually confirmed that the chain 10 has been stretched 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the elongation amount by the sensor. 8, three sensors (the first sensor 130, the second sensor 132, the third sensor 134, and the third sensor 134) ar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in the middle of the conveyance path of the container conveying conveyor 4, And a detection piece 140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as the three sensors 130, 132 and 134 is provided in the retainer 12, The sensors 130, 132, and 134 detect the elongation of the chain 10. Since the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sensors 130, 132, and 134 and the detection piece 140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ame portion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센서(130, 132, 134)가 2mm 간격이고 리테이너(12)의 검출편(140)의 폭이 4mm인 경우에는, 생산시작 시에 있어서 체인(10)의 신장이 0일 때에 제1센서(130)만이 검출편(140)을 검출하여 ON이 됨과 아울러, 제2센서(132)와 제3센서(134)가 OFF가 되도록 각 센서(130, 132, 134)와 검출편(140)의 위치를 설정한다(도8(a) 참조). 체인(10)이 신장되면, 리테이너(12)는 진행방향(E)과 역방향(H)으로 어긋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체인(10)의 신장이 2mm일 때에는, 제1센서(130)와 제2센서(132)가 ON이 되고 제3센서(134)가 OFF가 된다(도8(b) 참조). 또한 체인(10)의 신장이 4mm일 때에는, 모든 센서(130, 132, 134)가 ON이 된다(도8(c) 참조). 또한 체인(10)의 신장이 4mm를 넘었을 때에는 제1센서(130)가 OFF가 되고 제2센서(132)와 제3센서(134)가 ON이 되며(도8(d) 참조), 체인(10)의 신장이 6mm를 넘었을 때에는 제1센서(130)와 제2센서(132)가 OFF가 되고 제3센서(134)가 ON이 된다. 이와 같이 리테이너(12)의 검출편(140)을 제1센서(130), 제2센서(132), 제3센서(134)에 의하여 검출함으로써 체인의 신장량을 검출할 수 있다.When the sensor 130, 132, 134 is at an interval of 2 mm and the width of the detection piece 140 of the retainer 12 is 4 mm, when the chain 10 is stretched at the start of production, Only the detection piece 140 is detected and turned on and the positions of the sensors 130, 132 and 134 and the detection piece 140 are set such that the second sensor 132 and the third sensor 134 are turned off (See Fig. 8 (a)). When the chain 10 is stretched, the retainer 12 is shif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H from the advancing direction E. Therefore, when the chain 10 has a length of 2 mm, for example, the first sensor 130 and the second sensor The sensor 132 is turned on and the third sensor 134 is turned off (see Fig. 8 (b)). When the extension of the chain 10 is 4 mm, all the sensors 130, 132, and 134 are turned on (see Fig. 8 (c)). When the extension of the chain 10 exceeds 4 mm, the first sensor 130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sensor 132 and the third sensor 134 are turned ON (see Fig. 8 (d)), The first sensor 130 and the second sensor 132 are turned OFF and the third sensor 134 is turned ON when the elongation of the second sensor 10 exceeds 6 mm. Thus, by detecting the detection piece 140 of the retainer 12 by the first sensor 130, the second sensor 132, and the third sensor 134, the elongation amount of the chain can be detected.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센서(130), 제2센서(132), 제3센서(134)와 검출편(140)으로 구성되는 검출수단에 의하여 체인(10)의 신장량을 검출하면, 이 검출값이 제어장치(104)에 입력되고, 제어장치(104)가 피니언 구동용 모터(100)로 명령신호를 보낸다. 피니언 구동용 모터(100)의 구동에 의하여 피니언 회전축(96)을 회전시켜서 피니언(98)을 회전시키고, 이 피니언(98)에 맞물리는 래크(102)를 수평이동시켜서, 그리퍼(44)가 지지하고 있는 컵 모양 용기(2)를 리테이너(12)의 용기수용구멍(12a)에 삽입하기 위하여 필요한 양만큼 그리퍼(44)를 수평이동시킨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제1센서(130), 제2센서(132), 제3센서(134)와 검출편(140)을 배치하여 체인(10)의 신장을 검출하는 구성이지만, 다른 검출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종동측 스프로킷(6)을 반송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스프링이나 실린더 등에 의하여 가압함으로써 체인(10)이 신장되었을 때에는 자동으로 종동측 스프로킷(6)을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제1실시예에서는, 종동측 스프로킷(6)과 구동측 스프로킷(8)은 모두 볼트로 체결되어 있어, 체인(10)이 신장된 경우에도 자동으로 양측의 스프로킷(6, 8) 사이의 거리는 변경되지 않는다.
When the elongation amount of the chain 10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means composed of the first sensor 130, the second sensor 132 and the third sensor 134 and the detection piece 140 as described above, Is input to the control device 104, and the control device 104 sends a command signal to the pinion drive motor 100. [ The pinion rotating shaft 96 is rotated by driving the pinion driving motor 100 to rotate the pinion 98 and the rack 102 engaged with the pinion 98 is horizontally moved so that the gripper 44 is supported The gripper 44 is horizontally moved by an amount necessary for inserting the cup-shaped container 2 in the retainer 12 into the container receiving hole 12a.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ensor 130, the second sensor 132, the third sensor 134, and the detection piece 140 are disposed to detect the elongation of the chain 10, It can also be adopted. Further, in this embodiment, the follower side sprocket 6 can be move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and when the chain 10 is extended by pressurization by a spring, a cylinder or the like, the follower side sprocket 6 is automatically mov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And is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In the first embodiment, both the driven-side sprocket 6 and the drive-side sprocket 8 are fastened with bolts, so that even when the chain 10 is extended, the distance between the sprockets 6, It does not change.

G : 반송위치
2 : 용기(컵 모양 용기)
10 : 반송체인
12 : 리테이너
12a : 용기수용부(용기수용구멍)
34 : 공급부(컵 매거진)
36 : 이송수단
44 : 지지수단(그리퍼)
90 : 승강수단(구동모터)
98 : 수평이동수단(피니언)
102 : 수평이동수단(래크)
G: Return position
2: Container (cup-shaped container)
10: Return Chain
12: retainer
12a: container receiving portion (container receiving hole)
34: Supply section (Cup magazine)
36: conveying means
44: Support means (gripper)
90: lifting means (driving motor)
98: Horizontal moving means (pinion)
102: Horizontal moving means (rack)

Claims (2)

용기를 공급부에서 인출하여 이송하는 이송수단(移送手段)과, 이 이송수단이 이송하는 용기를 반송위치에서 수취하여 지지하는 지지수단(支持手段)과, 이 지지수단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昇降手段)을 구비하고, 반송체인에 부착되어 간헐적(間歇的)으로 반송되는 리테이너(retainer)의 용기수용부(容器收容部)에, 상기 지지수단을 하강시켜서 용기를 공급하는 용기공급장치(容器供給裝置)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을 상기 반송체인에 의한 반송방향을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수단(水平移動手段)을 설치하여, 상기 반송체인에 신장(伸長)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용기를 지지한 지지수단의 하강동작 중에, 이 지지수단을 반송체인의 신장량만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용기를 상기 리테이너의 용기수용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공급장치.
(Conveying means) for withdrawing and conveying the container from the feeding section, supporting means (supporting means)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the container conveyed by the conveying means at the conveying position, elevating means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supporting means A container supply device (a contain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container by lowering the support means to a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a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of a retainer attached to a conveying chain and intermittently conveyed, ),
(Horizontal moving means) for horizontally moving the supporting means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by the conveying chain is provided so that when the conveying chain is elongated, Wherein the container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an amount of elongation of the conveying chain during operation to feed the container to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retaine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체인의 신장을 검출하는 검출수단(檢出手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elongation of the conveying chain is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conveying chain.
KR1020130040906A 2012-06-28 2013-04-15 Receptacle supply device KR10198781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46016A JP5931605B2 (en) 2012-06-28 2012-06-28 Container supply device
JPJP-P-2012-146016 2012-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43A KR20140001743A (en) 2014-01-07
KR101987819B1 true KR101987819B1 (en) 2019-06-11

Family

ID=49891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906A KR101987819B1 (en) 2012-06-28 2013-04-15 Receptacle supply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31605B2 (en)
KR (1) KR101987819B1 (en)
CN (1) CN103508002B (en)
TW (1) TWI589489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764B1 (en) * 2016-01-18 2022-01-04 (주)에이치티에스 Gripper for transfering of the instant boiledrice container
CN107187661A (en) * 2017-05-31 2017-09-22 苏州首达机械有限公司 One kind falls cup mechanism
JP6919490B2 (en) * 2017-10-12 2021-08-18 株式会社ダイフク Car wash machine
JP7084091B2 (en) * 2018-06-11 2022-06-14 シブヤパッケージングシステム株式会社 Seal member mounting device
CN109570009B (en) * 2018-11-29 2020-11-13 湖南会同宝田茶业有限公司 Tea processing equipment and process with material mixing function
KR102179141B1 (en) * 2019-03-08 2020-11-17 주식회사 제타 Liquid material filling and sealing apparatus
JP7154179B2 (en) * 2019-03-29 2022-10-17 Pacraft株式会社 Container processing equipment
WO2022054215A1 (en) 2020-09-10 2022-03-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3655B2 (en) * 2005-03-17 2011-01-19 澁谷工業株式会社 Container filling and seal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16446A (en) * 1987-03-05 1988-09-08 ▲マス▼岡 正文 Covering device for bean curd
JP2001253412A (en) * 2000-03-09 2001-09-18 Shikoku Kakoki Co Ltd Container-feeding device
TW550232B (en) * 2001-10-19 2003-09-01 Daifuku Kk Hanging conveyance equipment and learning system therefor
JP4319608B2 (en) * 2004-11-05 2009-08-26 日清食品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Container removal supply device
JP2006306585A (en) * 2005-04-28 2006-11-09 Shibuya Kogyo Co Ltd Article transfer device
CN102105384B (en) * 2008-07-23 2013-07-17 株式会社大福 Learning device and learning method in article conveyance facility
IT1398816B1 (en) * 2009-10-02 2013-03-21 Conti MACHINE FOR PACKAGING CAPSULES WITH INFUSION PRODUCTS WITH POWER SUPPLY UN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3655B2 (en) * 2005-03-17 2011-01-19 澁谷工業株式会社 Container filling and seal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31605B2 (en) 2016-06-08
TW201400362A (en) 2014-01-01
TWI589489B (en) 2017-07-01
KR20140001743A (en) 2014-01-07
CN103508002B (en) 2016-08-31
JP2014008993A (en) 2014-01-20
CN103508002A (en)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819B1 (en) Receptacle supply device
KR10113024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uctioning stacked box and transfering it
EP1502853B1 (en) Packaging system
CN110451023B (en) Packaging apparatus and packaging method
KR102002791B1 (en) Receptacle supply device
JP4747406B2 (en) Container supply device
CN111516920B (en) Medical kit assembling and packaging integrated machine
WO2022088514A1 (en) Fully automated unpacking, sealing, and palletizing all-in-one machine
JP3708185B2 (en) Boxing method and boxing device
KR101100746B1 (en) Packing bag automatic supply divide
CN111619870B (en) Single-layer array packaging equipment for products
KR101833276B1 (en) Cap alignment device of capping machine
KR101335086B1 (en) The material supply unit use of packaging case to auto packaging device
KR101822483B1 (en) Appratus for rotating tube of injection machine
KR101724317B1 (en) Rehydration solution pack arrangement and continuous flat supply device
KR101112674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and loading pouch packs
WO2002004293A1 (en) Cover feeder
CN213863020U (en) Perforating bullet packaging system
JP5912909B2 (en) Bag-like container transfer device
JP4821172B2 (en) Container supply device
CN112498876A (en) Perforating bullet packaging system
JP2006213395A (en) Bagging apparatus
KR102291054B1 (en) Container inspection device
JP6006604B2 (en) Storage device
CN211254103U (en) Biscuit automatic packaging machine's bottle lid loading attach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