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652B1 -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공법 - Google Patents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652B1
KR101984652B1 KR1020180119201A KR20180119201A KR101984652B1 KR 101984652 B1 KR101984652 B1 KR 101984652B1 KR 1020180119201 A KR1020180119201 A KR 1020180119201A KR 20180119201 A KR20180119201 A KR 20180119201A KR 101984652 B1 KR101984652 B1 KR 101984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fill
module
buried
waste
tr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엔텍
Priority to KR1020180119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6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2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6Sealing of existing landfills, e.g. using mining techniqu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30Landfill technologies aiming to mitigate methane e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규모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반을 안정적이면서 효과적으로 매립할 수 있고, 특히 다른 공사현장에서 발생된 매립폐기물의 매립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매립 과정에서 미세먼지나 유해물질 발생 문제를 해소하고, 또한 매립지 바닥면에서부터 소정의 두께로 층을 이루면서 토목섬유의 포설과 다짐공정을 통해 지반강도를 높여 안정적인 매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공법{RECLAMATION METHOD FOR REDUCING FINE DUST AND HARMFUL SUBSTANCE}
본 발명은 대규모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반을 안정적이면서 효과적으로 매립할 수 있고, 특히 다른 공사현장에서 발생된 매립폐기물의 매립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매립 과정에서 미세먼지나 유해물질 발생 문제를 해소하고, 또한 매립지 바닥면에서부터 소정의 두께로 층을 이루면서 토목섬유의 포설과 다짐공정을 통해 지반강도를 높여 안정적인 적층매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규모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반을 안정적이면서 효과적으로 매립할 수 있고, 특히 다른 공사현장에서 발생된 매립폐기물의 매립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매립 과정에서 미세먼지나 유해물질 발생 문제를 해소하고, 또한 매립지 바닥면에서부터 소정의 두께로 층을 이루면서 토목섬유의 포설과 다짐공정을 통해 지반강도를 높여 안정적인 적층매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78885(등록일자 2009.01.08) '해안 굴곡 지형의 평탄화 작업에 따른 토사를 이송시켜 해안을 매립시키는 해안 매립화 공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77974(등록일자 2009.01.08) '스트럿을 이용한 지하옹벽의 상향식 순차제거 및 순차매립공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44359(등록일자 2002.07.03) '매립장 정비·복원 공법과 그 매립장 자가형성·자가치유 복합 차수층 시공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이와 같이 개시된 종래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78885(등록일자 2009.01.08) '해안 굴곡 지형의 평탄화 작업에 따른 토사를 이송시켜 해안을 매립시키는 해안 매립화 공법'은 해안 매립화 작업에 있어 토사 등을 운반하는 덤프 트럭 등이 필요 없도록 단순하고 간편하게 해안 굴곡 지형의 평탄화 작업에 따른 토사를 바로 해안 매립지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토사체를 펌프 이송관을 통해 매립지로 이송하는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각기 다른 공사현장에서 발생된 매립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기술로는 부적합하고,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77974(등록일자 2009.01.08) '스트럿을 이용한 지하옹벽의 상향식 순차제거 및 순차매립공법'은 매립공법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기는 하나, 상향식 지하옹벽 제거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44359(등록일자 2002.07.03) '매립장 정비·복원 공법과 그 매립장 자가형성·자가치유 복합 차수층 시공 방법'은 비위생 매립장 또는 매립 종료된 매립장에서 계속적으로 유출되는 침출수에 의한 토양오염 및 지하수오염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매립된 폐기물을 굴착, 선별하고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여 재활용 가능한 수준으로 복원 처리하는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양 등록특허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발생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매립폐기물의 매립기술로 적용하기에 부적합하다.
따라서 종래 개시되어 있는 기술들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대규모 매립부지를 매립하는 과정에서 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이 발생하거나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안정적으로 매립할 수 있는 매립 기술로 적용하기에 부적합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78885(등록일자 2009.01.0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77974(등록일자 2009.01.0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44359(등록일자 2002.07.03)
본 발명은 대규모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반을 안정적이면서 효과적으로 매립할 수 있고, 특히 다른 공사현장에서 발생된 매립폐기물의 매립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매립 과정에서 미세먼지나 유해물질 발생 문제를 해소하고, 또한 매립지 바닥면에서부터 소정의 두께로 층을 이루면서 토목섬유의 포설과 다짐공정을 통해 지반강도를 높여 안정적인 적층매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공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의 상부에서부터 바닥면까지 주변 토사를 이용하여 경사진 이동로를 형성하는 단계(S10)와,
상기 이동로 위에 토목섬유(Geotextile)를 포설한 후 복토하여 차량이동로를 확보하는 단계(S20)와,
상기 차량이동로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레일을 설치하는 단계(S30)와,
상기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의 바닥면에 침출수 집배수관을 설치하는 단계(S40)와,
상기 침출수 집배수관을 A형 제올라이트와 탄소가 담지된 제올라이트의 혼합으로 조성된 침출수 흡착재로 포설하는 단계(S50)와,
상기 침출수 흡착재로 포설된 상부에 토목섬유(Geotextile)를 포설한 후 복토하는 단계(S60)와,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를 상기 레일을 따라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의 바닥면까지 이동시키는 단계(S70)와,
차량을 통해 매립폐기물을 상기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까지 이송한 후 포설하되, 포설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이 상기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공간을 밀폐하여 포설하는 단계(S80)와,
상기 포설과정을 통해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 내부를 매립폐기물로 채운 후, 상기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의 양측면 차단막을 개방한 후 레일을 따라 상기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를 새롭게 매립할 지점으로 이동시키되, 앞서 매립한 구역과 동일 높이로 연속 매립이 가능하도록 이동시키는 단계(S90)와,
상기 매립폐기물 포설단계(S80)와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 이동단계(S90)를 반복수행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이르는 한 층 전체를 매립 완료하는 단계(S100)와,
상기 매립 완료된 층 상부를 평탄화 작업 후 중장비로 다짐하여 지반강도를 향상시키는 단계(S110)와,
상기 다짐 과정을 거친 매립 층 상부에 토목섬유(Geotextile)를 포설한 후 복토하는 단계(S120)와,
상기 전단계(S70 ~ S120)를 반복수행하여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의 매립을 완료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공법은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첫째. 대규모 매립부지를 매립하는 과정에서 미세먼지나 유해물질 발생을 차단하고, 안정적인 매립이 가능하다.
둘째. 다른 공사현장에서 발생된 매립폐기물을 덤프트럭 등을 이용하여 이송한 후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 내에서 바로 매립폐기물 하역이 가능하기 때문에, 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신속한 매립폐기물 하역 및 이를 통한 매립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셋째. 매립과정에서 토목섬유와 중장비를 이용한 다짐공정이 반복수행됨에 따라 매립지의 지반강도를 높임으로써 매립지 바닥면에서부터 점차적으로 층을 이루면서 안정적인 매립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 중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無(무)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원단부가 제2 아치형 트러스트부를 따라 덮개식으로 씌워져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트레일러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이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과 결합된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無(무)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이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과 결합된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이, 고무자바라 및 이동 트레일러 없이, 이동바퀴와 이동수단만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가 박스형상의 열차구조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이동 트레일러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이동 트레일러부의 제1 구동바퀴 구성요소를 확대한 일실시예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無(무)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無(무)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이 박스형상의 병렬구조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이동 트레일러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제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회로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3 구동바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가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의 바닥면에 형성된 트러스트이송레일부를 따라 X축방향,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밀폐커버모듈의 차량입구를 통해, 차량이 진입하면서 매립폐기물을 투하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밀폐커버모듈은 그대로 전면을 밀폐시킨상태로 있고, 후면밀폐커버모듈이 후면원단자동롤링부를 통해 후면이 개폐된 상태에서 이동되어, 내부공간에 적층매립이 완료되면, 매립폐기물 무더기만을 남긴 채,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만을 이동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32는 본 발명의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공법에 따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공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공법에 사용되는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 중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에 관한 것이며, 도 3은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1), 트러스트 이송레일부(2)로 구성된다.
그리고,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無(무)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로 이루어진다.
먼저,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1)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1)는 매립폐기물을 적층매립시키도록 전후상하좌우의 밀폐된 공간을 형성시킨 후, 적층매립이 완료되면, 내부공간에 적층매립이 완료된 매립폐기물 무더기를 그대로 놔둔채, 바닥면에 트러스트이송레일부를 따라 X축방향,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트러스트본체(10), 아치형 트러스트모듈(20), 이동식 트레일러모듈(30), 전면밀폐커버모듈(40), 후면밀폐커버모듈(50), 무선통신모듈(60), 스마트제어부(70)로 구성된다.
첫째, 메인트러스트본체(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메인트러스트본체(10)는 매립폐기물을 적층매립시키도록 전후상하좌우의 밀폐된 공간을 형성시키면서,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아치형상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아치형상으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밀폐공간의 높이를 높게 형성시키고, 비나 눈과 같은 이물질이 외부표면에 적층되더라도 붕괴되지 않고, 좌우 측면을 물줄기를 따라 배수낙하되도록 유도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메인트러스트본체는 상단일측에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이 형성되고,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하단에 이동식 트레일러모듈이 형성되며, 전면방향에 전면밀폐커버모듈이 형성되고, 후면방향에 후면밀폐커버모듈이 형성되며, 이동식 트레일러모듈의 내부공간 일측에 무선통신모듈이 형성되고, 무선통신모듈 일측에 스마트 제어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메인트러스트본체는 내부공간 일측에, 물분사노즐과 물탱크로 이루어진 물분사장치(80)와, 미세먼지흡입팬과 흡입팬구동모터로 이루어진 집진장치(9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메인트러스트본체(10)는 가로 50m ~ 300m, 세로 50m ~ 500m, 높이 10m~20m 크기로 사용목적과 용도에 맞게 다양하게 형성된다.
둘째, 아치형 트러스트모듈(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아치형 트러스트모듈(20)은 메인트러스트본체의 상단인, 이동식 트레일러모듈의 상부면에 위치되고, 아치형상으로 탈부착 결합되어, 지붕역할을 수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210),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22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210)]
상기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210)은 이웃하는 아치형 트러스트 사이에 고무자바라형 원단이 연결막으로 형성되어, 지붕역할을 하면서, 충격완충과, 곡선레일을 따라 곡선주행되도록 보조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아치형 모듈본체(211),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212), 제1 원단부(213), 고무자바라형 원단부(214)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아치형 모듈본체(211)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212)는 제1 아치형 모듈본체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뼈대를 형성하면서, 이동식 트레일러모듈의 상부면과 탈부착식으로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단 트러스트(212a), 제1 중단 트러스트(212b), 제1 상단 트러스트(212c)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며 하나의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와 또 다른 이웃하는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가 복수개로 병렬형태로 나열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하단 트러스트(212a), 제1 중단 트러스트(212b), 제1 상단 트러스트(212c)는 스틸 TFS, 알루미늄 TFS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원단부(213)는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를 따라 덮개식으로 씌워져 형성되어, 외부에서 내부공간으로 이물질(비, 눈, 먼지)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공간에서 발생된 먼지(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Polyester를 기초포로 한 PVDF 막재, PVF 막재, PTFE 막재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상기 PVDF 막재는 Polyester를 기초포로 하여 양면에 PVC, PVA, RUBBER등의 수지를 일정량 도포한 후 액상의 불소수지를 수회 코팅한 막재의 약칭이다.
상기 PVF 막재는 Polyester를 기초포로 하여 양면에 PVC, PVA, RUBBER등의 수지를 일정량 도포한 후, 불소필름을 막재 표면에 접착시킨 막재의 약칭으로서, PVC 막재는 난연성 특성을 가진다.
상기 PTFE(테프론)막재는 유리섬유(Fiber Glass)를 기초포로 사용하여 액상 불소수지를 수차례에 걸쳐 침투시켜 숙성시킨 원단으로 강한 인장강도를 가진다.
상기 고무자바라형 원단부(214)는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와 또 다른 이웃하는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와 연결되는 사이에 위치되어,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면서 곡선레일을 따라 제1 아치형 트러스트부가 곡선주행되도록 보조해주는 역할을 한다.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220)]
상기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220)은 고무자바라형 원단없이 아치형 트러스트들끼리 결합되어, 지붕역할을 한다.
이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아치형 모듈본체(221), 제2 아치형 트러스트부(222), 제2 원단부(223)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아치형 모듈본체(221)는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치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아치형 트러스트부(222)는 제2 아치형 모듈본체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뼈대를 형성하면서, 이동식 트레일러모듈의 상부면과 탈부착식으로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2 하단 트러스트(222a), 제2 중단 트러스트(222b), 제2 상단 트러스트(222c)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며 하나의 제2 아치형 트러스트부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제2 아치형 트러스트부와 또 다른 이웃하는 제2 아치형 트러스트부가 복수개의 병렬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2 하단 트러스트(222a), 제2 중단 트러스트(222b), 제2 상단 트러스트(222c)는 스틸 TFS, 알루미늄 TFS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 원단부(223)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아치형 트러스트부를 따라 덮개식으로 씌워져 형성되어, 외부에서 내부공간으로 이물질(비, 눈, 먼지)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공간에서 발생된 먼지(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Polyester를 기초포로 한 PVDF 막재, PVF 막재, PTFE 막재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상기 PVDF 막재는 Polyester를 기초포로 하여 양면에 PVC, PVA, RUBBER등의 수지를 일정량 도포한 후 액상의 불소수지를 수회 코팅한 막재의 약칭이다.
상기 PVF 막재는 Polyester를 기초포로 하여 양면에 PVC, PVA, RUBBER등의 수지를 일정량 도포한 후 미국의 듀폰사에서 수입한 불소필림을 막재 표면에 접착시킨 막재의 약칭으로 PVC 막재는 난연성 제품이다
상기 PTFE(테프론)막재는 유리섬유(Fiber Glass)를 기초포로 사용하여 액상 불소수지를 수차례에 걸쳐 침투시켜 숙성시킨 원단으로 강한 인장강도를 가진다.
셋째, 이동식 트레일러모듈(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이동식 트레일러모듈(30)은 메인트러스트본체의 좌측면 일측과 우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단방향으로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탈부착결합시키고, 내부공간에 적층매립이 완료된 매립폐기물 무더기를 그대로 놔둔채,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의 바닥면에 형성된 트러스트이송레일부를 따라 자체 기계의 힘으로, 메인트러스트본체를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310), 無(무)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320),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33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310)]
상기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310)은 박스형상의 이동 트레일러 사이에 고무자바라가 형성되어, 충격완충과 함께, 상단방향으로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탈부착결합시키고, 트러스트이송레일부를 따라 자체 기계의 힘으로, 메인트러스트본체를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5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트레일러본체(311), 제1 이동 트레일러부(312), 제1 고무자바라부(313)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트레일러본체(311)는 박스형상의 열차구조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형상의 열차구조로 이루어지고, 하단 좌우측면 일측에 제1 이동 트레일러부가 형성되고, 제1 이동 트레일러부와 이웃하는 또 다른 제1 이동 트레일러부 사이에 제1 고무자바라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이동 트레일러부(312)는 제1 트레일러본체의 하단 좌우측면에 위치되어,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탈부착결합시켜 지지해주면서 트러스트이송레일부를 따라 자체 기계의 힘으로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구동모터(312a), 제1 구동바퀴(312b), 제1 조향장치부(312c), 제1 완충장치부(312d)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구동모터(312a)는 회전력을 생성시켜 제1 구동바퀴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구동바퀴(312b)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일측에 제동장치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조향장치부(312c)는 원격지의 중앙제어서버 및 현장의 스마트디바이스로부터 조향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완충장치부(312d)는 제1 구동바퀴와 바퀴 프레임사이에 위치되어, 코니컬 스프링을 통해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고무자바라부(313)는 제1 이동 트레일러부와 이웃하는 또 다른 제1 이동 트레일러부 사이에 위치되어, 충격완충과 함께, 상단방향으로 탈부착결합시킨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이 레일을 따라 곡선이동시, 뒤틀리지 않게 휘어지면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無(무)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320)]
상기 無(무)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320)은 고무자바라 없이, 박스형상의 이동트레일러가 서로 결합 형성되어, 상단방향으로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탈부착결합시키고, 트러스트이송레일부를 따라 자체 기계의 힘으로, 메인트러스트본체를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6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트레일러본체(321), 제2 이동 트레일러부(322)로 구성된다.
상기 제2 트레일러본체(321)는 박스형상의 병렬구조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형상의 병렬구조로 이루어지고, 하단 좌우측면 일측에 제2 이동 트레일러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 이동 트레일러부(322)는 제2 트레일러본체의 하단 좌우측면에 위치되어,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탈부착결합시켜 지지해주면서 트러스트이송레일부를 따라 자체 기계의 힘으로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구동모터(322a), 제2 구동바퀴(322b), 제2 조향장치부(322c), 제2 완충장치부(322d)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 구동모터(322a)는 회전력을 생성시켜 제2 구동바퀴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구동바퀴(322b)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바퀴 프레임이 형성되고, 바퀴 프레임 일측에 제동장치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 조향장치부(322c)는 원격지의 중앙제어서버 및 현장의 스마트디바이스로부터 조향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완충장치부(322d)는 제2 구동바퀴와 바퀴 프레임사이에 위치되어, 제2 구동바퀴와 바퀴 프레임사이에 위치되어, 코니컬 스프링을 통해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330)]
상기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330)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자바라 및 이동 트레일러 없이, 이동바퀴와 이동수단만이 형성되어, 상단방향으로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탈부착결합시키고, 트러스트이송레일부를 따라 자체 기계의 힘으로, 메인트러스트본체를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7 및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구동모터(331), 제3 구동바퀴(332), 제3 조향장치부(333), 제3 완충장치부(334)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3 구동모터(331)는 회전력을 생성시켜 제3 구동바퀴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구동바퀴(332)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일측에 제동장치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3 조향장치부(333)는 원격지의 중앙제어서버 및 현장의 스마트디바이스로부터 조향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제3 구동바퀴가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완충장치부(334)는 제3 구동바퀴와 바퀴 프레임사이에 위치되어,제1 구동바퀴와 바퀴 프레임사이에 위치되어, 코니컬 스프링을 통해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넷째, 전면밀폐커버모듈(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전면밀폐커버모듈(40)은 이동식 트레일러모듈과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차량입구쪽을 기준으로 한 전면을 원단을 통해 밀폐시켜, 외부에서 내부공간으로 이물질(비, 눈, 먼지)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공간에서 발생된 먼지(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원단은 Polyester를 기초포로 한 PVDF 막재, PVF 막재, PTFE 막재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상기 PVDF 막재는 Polyester를 기초포로 하여 양면에 PVC, PVA, RUBBER등의 수지를 일정량 도포한 후 액상의 불소수지를 수회 코팅한 막재의 약칭이다.
상기 PVF 막재는 Polyester를 기초포로 하여 양면에 PVC, PVA, RUBBER등의 수지를 일정량 도포한 후, 불소필름을 막재 표면에 접착시킨 막재의 약칭으로서, PVC 막재는 난연성 특성을 가진다.
상기 PTFE(테프론)막재는 유리섬유(Fiber Glass)를 기초포로 사용하여 액상 불소수지를 수차례에 걸쳐 침투시켜 숙성시킨 원단으로 강한 인장강도를 가진다.
상기 전면밀폐커버모듈(40)은 일측에 차량입구가 형성된다.
또한, 전면밀폐커버모듈(40)은 전면원단자동롤링부(41)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전면원단자동롤링부(41)는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이동식 트레일러모듈과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전면 일측에 위치되어, 이동식 트레일러모듈과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통해 원단을 하상방향으로 자동으로 감아서 개폐시키거나 또는 상하방향으로 자동으로 풀어서 원단을 통해 전면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전면원단개폐모드, 전면원단밀폐모드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원단개폐모드는 전후상하좌우의 밀폐된 공간형상에 따라 매립폐기물의 적층매립이 완료되었을 때, 내부공간에 적층매립이 완료된 매립폐기물 무더기를 그대로 놔둔채, 쏘옥 빠져나오도록 하기 위해, 전면원단개폐가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전면원단밀폐모드는 전후상하좌우의 밀폐된 공간에 매립폐기물을 적층매립시, 내부공간에서 발생된 먼지(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면원단밀폐가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것을 말한다.
다섯째, 후면밀폐커버모듈(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후면밀폐커버모듈(50)은 이동식 트레일러모듈과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전면밀폐커버모듈의 반대편에 위치한 후면을 원단을 통해 밀폐시켜, 외부에서 내부공간으로 이물질(비, 눈, 먼지)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공간에서 발생된 먼지(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후면원단자동롤링부(51)로 구성된다.
상기 후면원단자동롤링부(51)는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이동식 트레일러모듈과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후면 일측에 위치되어, 이동식 트레일러모듈과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통해 원단을 하상방향으로 자동으로 감아서 개폐시키거나 또는 상하방향으로 자동으로 풀어서 원단을 통해 후면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후면원단개폐모드, 후면원단밀폐모드로 구성된다.
상기 후면원단개폐모드는 전후상하좌우의 밀폐된 공간형상에 따라 매립폐기물의 적층매립이 완료되었을 때, 내부공간에 적층매립이 완료된 매립폐기물 무더기를 그대로 놔둔채, 쏘옥 빠져나오도록 하기 위해, 후면원단개폐가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후면원단밀폐모드는 전후상하좌우의 밀폐된 공간에 매립폐기물을 적층매립시, 내부공간에서 발생된 먼지(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면원단밀폐가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것을 말한다.
여섯째, 무선통신모듈(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60)은 메인트러스트본체의 내부공간 일측에 위치되어,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근거리에 위치한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원거리에 위치한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에 관한 제어명령신호를 수신받아 스마트제어부로 전송시키고,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현재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의 구동상태 및 고장유무를 근거리에 위치한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원거리에 위치한 중앙관리서버쪽으로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무선통신모듈로서 WiFi통신모듈이 구성된다.
상기 WiFi통신모듈은 무선기술을 접목한 것으로, 고성능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랜 기술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랜은 네트워크 구축시 유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파나 빛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으로서, 2.4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또한, 무선통신모듈은 근거리무선통신모듈, 이동통신(5G, 4G, 3G)모듈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이루어진다.
일곱째, 스마트제어부(7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스마트제어부(70)는 각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면서,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된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에 관한 제어명령신호에 따라 메인트러스트본체의 구동을 제어하고, 특정주기별로 현재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의 구동상태 및 고장유무를 무선통신모듈로 전송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된다.
즉,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단자 일측에 키패드부가 연결되어, 각 기기의 전원온오프 및 이동속도, 이동방향을 입력받고, 출력단자 일측에 제1 구동모터가 연결되어, 제1 구동모터쪽으로 출력신호를 보내어, 회전력을 생성시켜 제1 구동바퀴로 전달시키도록 제어하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1 조향장치부가 연결되어,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향시키도록 제어하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2 구동모터가 연결되어, 제2 구동모터쪽으로 출력신호를 보내어, 회전력을 생성시켜 제2 구동바퀴로 전달시키도록 제어하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2 조향장치부가 연결되어,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향시키도록 제어하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3 구동모터가 연결되어, 제3 구동모터쪽으로 출력신호를 보내어, 회전력을 생성시켜 제3 구동바퀴로 전달시키도록 제어하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3 조향장치부가 연결되어, 제3 구동바퀴가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향시키도록 제어하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후면원단자동롤링부가 연결되어, 이동식 트레일러모듈과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을 통해 원단을 하상방향으로 자동으로 감아서 개폐시키거나 또는 상하방향으로 자동으로 풀어서 원단을 통해 후면을 밀폐시키도록 제어하고, RX단자 일측에 수신용 무선통신모듈이 연결되어, 근거리에 위치한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원거리에 위치한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에 관한 제어명령신호를 수신받고, TX단자 일측에 송신용 무선통신모듈이 연결되어, 근거리에 위치한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원거리에 위치한 중앙관리서버쪽으로, 특정주기별로 현재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의 구동상태 및 고장유무를 송신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트러스트 이송레일부(2)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트러스트 이송레일부(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에 X축, Y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와 짝을 이루며, 이동식트러스트장치가 특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요홈형 강관재질로 이루어진 직선이송레일, 곡선이송레일로 구성된다.
매립폐기물적층매립지의 경우에 지상에서 지하로 수십m~수백m의 터파기 공사를 한 후, 경사진 이동로를 나선형구조로 형성시킨다.
이어서, 경사진 이동로 상에 트러스트 이송레일용 콘크리트 매설공사를 하여, 경사진 이동로 상에 트러스트 이송레일부를 형성시킨다.
상기 트러스트 이송레일부(2)는 하나의 이송레일로 이루어진 단일형 트러스 이송레일과, 두개의 이송레일로 이루어진 트윈형 트러스이송레일로 구성된다.
이하,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의 동작과정]
도 5는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먼저, 매립폐기물적층매립지를 형성하기 위해, 지상에서 지하로 수십m~수백m의 터파기 공사를 한 후, 경사진 이동로를 나선형구조로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경사진 이동로 상에 트러스트 이송레일용 콘크리트 매설공사를 하여, 경사진 이동로 상에 트러스트 이송레일부를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트러스트 이송레일부 상에 이동식 트레일러모듈 중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상단면 일측에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중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전면밀폐커버모듈이 이동식 트레일러모듈과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차량입구쪽을 기준으로 한 전면을 밀폐형성시킨다.
다음으로, 후면밀폐커버모듈이 전면밀폐커버모듈의 반대편에 위치한 후면을 밀폐형성시킨다.
다음으로,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밀폐커버모듈의 차량입구를 통해, 차량이 진입하면서 매립폐기물을 투하시킨다.
이때, 투하시킨 매립폐기물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을 1차로,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의 상하좌우밀폐공간을 통해 외부로 퍼져나가는 방지하고, 2차로, 메인트러스트본체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물분사장치와 집진장치를 통해 내부공간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포크레인을 통해 매립폐기물을 메인트러스트본체의 내부공간에서 적층시킨다.
다음으로, 메인트러스트본체의 내부공간에 매립폐기물의 적층매립이, 메인트러스트본체의 형상이 아치형상 또는 일정높이로 적층되어 완료되면,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스마트제어부쪽으로 이웃하는 또 다른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로 이동시키라는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에 관한 제어명령신호를 송신시킨다.
다음으로,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후면밀폐커버모듈의 후면원단자동롤링부가 구동되어, 후면밀폐커버모듈의 원단을 하상방향으로 자동으로 감아서 후면을 개폐시킨다.
다음으로,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제1 구동모터를 구동시킨다.
이때, 제1 구동모터에서는 회전력을 생성시켜 제1 구동바퀴로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제1 구동바퀴가 구동되어,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를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웃하는 또 다른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밀폐커버모듈은 그대로 전면을 밀폐시킨상태로 있고, 후면밀폐커버모듈이 후면원단자동롤링부를 통해 후면이 개폐된 상태에서 이동되므로, 내부공간에 적층매립이 완료되면, 매립폐기물 무더기만을 남긴 채,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만을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또 다른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 상에 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가 정위치되면, 스마트디바이스를 통해 스마트제어부를 통해 전후상하좌우공간을 밀폐시키라는 제어명령신호를 보낸다.
다음으로,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후면밀폐커버모듈의 후면원단자동롤링부가 구동되어, 상하방향으로 자동으로 풀어서 원단을 통해 후면을 밀폐시킨다.
끝으로, 전면밀폐커버모듈의 차량입구를 형성시킨다.
이때,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밀폐커버모듈의 차량입구를 통해, 차량이 진입하면서, 또 다른 이웃하는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상에 매립폐기물을 투하시킨다.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의 동작과정]
도 6은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먼저, 매립폐기물적층매립지를 형성하기 위해, 지상에서 지하로 수십m~수백m의 터파기 공사를 한 후, 경사진 이동로를 나선형구조로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경사진 이동로 상에 트러스트 이송레일용 콘크리트 매설공사를 하여, 경사진 이동로 상에 트러스트 이송레일부를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트러스트 이송레일부 상에 이동식 트레일러모듈 중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상단면 일측에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중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전면밀폐커버모듈이 이동식 트레일러모듈과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차량입구쪽을 기준으로 한 전면을 밀폐형성시킨다.
다음으로, 후면밀폐커버모듈이 전면밀폐커버모듈의 반대편에 위치한 후면을 밀폐형성시킨다.
다음으로,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밀폐커버모듈의 차량입구를 통해, 차량이 진입하면서 매립폐기물을 투하시킨다.
이때, 투하시킨 매립폐기물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을 1차로,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의 상하좌우밀폐공간을 통해 외부로 퍼져나가는 방지하고, 2차로, 메인트러스트본체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물분사장치와 집진장치를 통해 내부공간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포크레인을 통해 매립폐기물을 메인트러스트본체의 내부공간에서 적층시킨다.
다음으로, 메인트러스트본체의 내부공간에 매립폐기물의 적층매립이, 메인트러스트본체의 형상이 아치형상 또는 일정높이로 적층되어 완료되면,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스마트제어부쪽으로 이웃하는 또 다른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로 이동시키라는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에 관한 제어명령신호를 송신시킨다.
다음으로,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제1 구동모터를 구동시킨다.
이때, 제1 구동모터에서는 회전력을 생성시켜 제1 구동바퀴로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제1 구동바퀴가 구동되어,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를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웃하는 또 다른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밀폐커버모듈은 그대로 전면을 밀폐시킨 상태로 있고, 후면밀폐커버모듈이 후면원단자동롤링부를 통해 후면이 개폐된 상태에서 이동되므로, 내부공간에 적층매립이 완료되면, 매립폐기물 무더기만을 남긴 채,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만을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또 다른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 상에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가 정위치되면, 스마트디바이스를 통해 스마트제어부를 통해 전후상하좌우공간을 밀폐시키라는 제어명령신호를 보낸다.
끝으로, 전면밀폐커버모듈의 차량입구를 형성시킨다.
이때,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밀폐커버모듈의 차량입구를 통해, 차량이 진입하면서, 또 다른 이웃하는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상에 매립폐기물을 투하시킨다.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의 동작과정]
도 8은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먼저, 매립폐기물적층매립지를 형성하기 위해, 지상에서 지하로 수십m~수백m의 터파기 공사를 한 후, 경사진 이동로를 나선형구조로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경사진 이동로 상에 트러스트 이송레일용 콘크리트 매설공사를 하여, 경사진 이동로 상에 트러스트 이송레일부를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트러스트 이송레일부 상에 이동식 트레일러모듈 중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자바라형 이동 트레일러모듈의 상단면 일측에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중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전면밀폐커버모듈이 이동식 트레일러모듈과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차량입구쪽을 기준으로 한 전면을 밀폐형성시킨다.
다음으로, 후면밀폐커버모듈이 전면밀폐커버모듈의 반대편에 위치한 후면을 밀폐형성시킨다.
다음으로,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밀폐커버모듈의 차량입구를 통해, 차량이 진입하면서 매립폐기물을 투하시킨다.
이때, 투하시킨 매립폐기물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을 1차로,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의 상하좌우밀폐공간을 통해 외부로 퍼져나가는 방지하고, 2차로, 메인트러스트본체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물분사장치와 집진장치를 통해 내부공간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포크레인을 통해 매립폐기물을 메인트러스트본체의 내부공간에서 적층시킨다.
다음으로, 메인트러스트본체의 내부공간에 매립폐기물의 적층매립이, 메인트러스트본체의 형상이 아치형상 또는 일정높이로 적층되어 완료되면,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스마트제어부쪽으로 이웃하는 또 다른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로 이동시키라는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에 관한 제어명령신호를 송신시킨다.
다음으로,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후면밀폐커버모듈의 후면원단자동롤링부가 구동되어, 후면밀폐커버모듈의 원단을 하상방향으로 자동으로 감아서 후면을 개폐시킨다.
다음으로,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의 제3 구동모터를 구동시킨다.
이때, 제3 구동모터에서는 회전력을 생성시켜 제3 구동바퀴로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제3 구동바퀴가 구동되어,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를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웃하는 또 다른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밀폐커버모듈은 그대로 전면을 밀폐시킨상태로 있고, 후면밀폐커버모듈이 후면원단자동롤링부를 통해 후면이 개폐된 상태에서 이동되므로, 내부공간에 적층매립이 완료되면, 매립폐기물 무더기만을 남긴 채,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만을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또 다른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 상에 無(무)자바라식 아치형 트러스트모듈의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 無(무)자바라형 이동 바퀴모듈의 이동식 트레일러모듈로 이루어진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가 정위치되면, 스마트디바이스를 통해 스마트제어부를 통해 전후상하좌우공간을 밀폐시키라는 제어명령신호를 보낸다.
다음으로,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후면밀폐커버모듈의 후면원단자동롤링부가 구동되어, 상하방향으로 자동으로 풀어서 원단을 통해 후면을 밀폐시킨다.
끝으로, 전면밀폐커버모듈의 차량입구를 형성시킨다.
이때,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밀폐커버모듈의 차량입구를 통해, 차량이 진입하면서, 또 다른 이웃하는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상에 매립폐기물을 투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를 이용한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공법에 살펴보도록 한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공법은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의 상부에서부터 바닥면까지 주변 토사를 이용하여 경사진 이동로를 형성하는 단계(S10)와,
상기 이동로 위에 토목섬유(Geotextile)를 포설한 후 복토하여 차량이동로를 확보하는 단계(S20)와,
상기 차량이동로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레일을 설치하는 단계(S30)와,
상기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의 바닥면에 침출수 집배수관을 설치하는 단계(S40)와,
상기 침출수 집배수관을 A형 제올라이트와 탄소가 담지된 제올라이트의 혼합으로 조성된 침출수 흡착재로 포설하는 단계(S50)와,
상기 침출수 흡착재로 포설된 상부에 토목섬유(Geotextile)를 포설한 후 복토하는 단계(S60)와,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를 상기 레일을 따라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의 바닥면까지 이동시키는 단계(S70)와,
차량을 통해 매립폐기물을 상기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까지 이송한 후 포설하되, 포설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이 상기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공간을 밀폐하여 포설하는 단계(S80)와,
상기 포설과정을 통해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 내부를 매립폐기물로 채운 후, 상기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의 양측면 차단막을 개방한 후 레일을 따라 상기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를 새롭게 매립할 지점으로 이동시키되, 앞서 매립한 구역과 동일 높이로 연속 매립이 가능하도록 이동시키는 단계(S90)와,
상기 매립폐기물 포설단계(S80)와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 이동단계(S90)를 반복수행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이르는 한 층 전체를 매립 완료하는 단계(S100)와,
상기 매립 완료된 층 상부를 평탄화 작업 후 중장비로 다짐하여 지반강도를 향상시키는 단계(S110)와,
상기 다짐 과정을 거친 매립 층 상부에 토목섬유(Geotextile)를 포설한 후 복토하는 단계(S120)와,
상기 전단계(S70 ~ S120)를 반복수행하여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의 매립을 완료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토목섬유(Geotextile)는 폴리머를 판상으로 압착한 후 그리드 구조의 홀을 형성하되, 정육각형 내에 3개의 축이 형성되어 6개의 정삼각형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패턴이 반복되도록 형성된 지오그리드를 사용한다.
지오그리드는 제조형태에 따라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고분자 폴리머를 판상으로 압출시킨 후, 격자형태로 구멍을 내고, 일방향 또는 직교하는 양방향으로 연신하는 일체형 지오그리드와, 폴리에스테르 등의 고강도 섬유를 격자형으로 교차시켜 제직/ 편직한 후 PVC, 역청, 콜타르 등으로 코팅하여 제조하는 결합형 지오그리드로 분류된다.
지오그리드의 일반적인 형태에 따라 연약지반 보강용으로 도로, 활주로, 단지, 구조물 및 성토보강용으로 사용되는 양축방향(biaxial) 지오그리드와 보강토 옹벽, 급사면 축조 등에 사용되는 일축방향(uniaxial) 지오그리드로 분류된다.
연약지반 보강재로 지오그리드를 적용할 경우, 지오그리드는 지반의 소성파괴 방지, 수평 전단저항 강화 및 지반의 강성증대 등의 효과를 통해 연약지반의 지지력을 향상시킨다. 지오그리드의 보강이론은 수직하중에 대하여 흙은 수평으로 변위를 일으키려 하고, 이 수평변위는 흙과 보강재의 말찰력에 의하여 억제되고, 이때 보강재가 인장력을 받게 된다. 보강재의 강도와 마찰계수가 충분히 강하면 수평변위가 억제되고 수직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평력은 보강재가 받는 인장력과 동일하게 된다.
지오그리드의 보강거동은 다음의 식 (1.1)과 같이 표현된다.
T ∝ συ · dL (1.1)
여기서, T = 지오그리드가 받은 인장력
συ= 수직하중
dL = 흙의 수평변위
연약지반상에 지오그리드를 포설 후 성토할 경우, 보강된 토체는 흙이 변형을 일으킴에 따라 지오그리드가 인장 저항력을 발휘하게 하고 이러한 인장 저항력은 추가 수평방향 응력으로 작용하게 되어 토체 내의 횡방향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상기 경사진 이동로를 형성한 후, 토목섬유(Geotextile)를 포설한 후 복토함으로써 지오그리드에 의한 높은 인장 저항력을 발휘함으로써 덤프트럭이나 중장비의 이동이 용이한 차량이동로를 확보하게 된다.
상기 차량이동로 상부에는 매립폐기물 하역을 통한 매립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레일이 설치된다.
상기 차량이동로의 양측 가장차리를 따라 레일이 설치되어 매립지 바닥까지 이어진다. 또한 매립폐기물 매립과정에서는 필요한 구간 만큼 레일을 설치하여 상기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의 짧은 구간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차량이동로와 레일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의 바닥면에 침출수 집배수관을 설치한다.
지하 매설 배관은 다양한 하중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매설관에 대한 대부분의 설계법에 사용되는 Marston-Spangler 이론에 근거하면 매설관 상부에 작용하는 뒤채움 하중은 관 상부 흙 프리즘의 무게에 positive arching 또는 negative arching의 유무에 따라 일정량의 하중을 더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값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재 토압에 의한 하중이 배관에 작용할 경우 배관의 종류에 따라 하중이 전달되는 과정이 달라진다.
본 발명에서는 관경 200 ~ 400 mm, 배관 두께 19.5 ~ 27.1 mm이고, 단위 중량이 52.4 kg/m인 HDPE 유공관을 사용한다.
상기 HDPE 유공관은 매립 후의 압에 대한 충분한 강도의 확보가 가능하며, 침출수의 강한 부식 및 고온에 대한 내부식성, 내화학성 및 내열성이 강한 특성을 갖는다.
상기 HDPE 유공관을 설치한 후에는 상기 HDPE 유공관 상부로 침출수 흡착재로 포설한다. 상기 침출수 흡착재는 침출수 자체 흡착외에 침출수에서 발생되는 악취의 흡착을 통해 매립과정 또는 매립 후에 발생되는 침출수의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매립지에서 발생되는 악취의 저감 기능을 갖는다.
상기 침출수 흡착재는 석탄회 12.0 ~ 22.0 wt%와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 78.0 ~ 88.0 wt%를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조성한 후 상기 제1혼합물을 그라인딩(grinding)하여 제1파우더를 제조하고,
상기 제1파우더를 500 ~ 600 ℃에서 1 ~ 2 시간 동안 소성시키고,
소성시킨 소성물을 그라인딩(grinding)하여 제2파우더를 제조하고,
상기 제2파우더 12.0 ~ 25.0 wt%와 증류수(H2O) 75.0 ~ 88.0 wt%를 상온에서 1 ~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1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1용액을 3,000 ~ 5,000 rpm에서 3 ~ 10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취하고, 상기 상층액 85.0 ~ 95.0 wt%와 알루미늄산 나트륨(Sodium Aluminate) 5.0 ~ 15.0 wt%를 20 ~ 40 분 동안 교반하여 제2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2용액을 반응기에 넣어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를 이용하여 80 ~ 100 ℃로 2 ~ 4 시간 동안 반응시켜 결정체를 이루고,
상기 결정체를 세척 후 80 ~ 90 ℃에서 20 ~ 30 시간 동안 건조하여 제조된 A형 제올라이트(A) 10.0 ~ 90.0 wt%;
증류수(H2O) 60.0 ~ 70.0 wt%와 수산화 알루미늄(Aluminium hydroxide) 30.0 ~ 40.0 wt%를 혼합하여 완전 용해시켜 제1용액을 조성하고,
상기 용액 76.0 ~ 85.0 wt%와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 15.0 ~ 24.0 wt%를 혼합한 후 95 ~ 100 ℃의 온도에서 1 ~ 2시간 동안 방치 후 상온으로 냉각시켜 제2용액을 조성하고,
상기 제2용액 32.0 ~ 45.0 wt%와 실리카 졸 55.0 ~ 68.0 wt%를 상온에서 1 ~ 2 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3용액을 조성하고,
상기 제3용액을 170 ~ 180 ℃, 20 ~ 40 rpm으로 교반하여 90 ~ 100 시간 동안 반응시켜 결정체를 이루고,
상기 결정체를 세척 후 100 ℃에서 20 ~ 30시간 동안 건조하고,
건조시킨 결정체를 350 ~ 450 ℃에서 1 ~ 3시간 동안 소성시켜 제조된 탄소가 담지된 탄소-제올라이트(B) 10.0 ~ 90.0 wt%;의 혼합(A+B)으로 조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침출수 흡착재를 포설한 후, 상기 침출수 흡착재 포설 층 위로 토목섬유(Geotextile)를 추가로 포설한 후 복토함으로써 매립지 바닥면의 시공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매립지 바닥면에 대한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토사 등을 이용한 매립공사가 이루어진다. 이때 매립은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폭으로 쌓은 후에 평탄화, 토목섬유 포설 및 중장비에 의한 다짐 과정을 수행하여 지반하중을 강화시켜 한 층을 형성하고,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다수의 층이 적층된 구조를 이룸으로써 매립공정이 완료된다.
상기 매립지 바닥면에 대한 침출수 처리를 위한 공정이 마무리된 후에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길이 방향의 양측면에는 차량 출입구를 포함하는 개폐구조의 차단막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밀폐구조의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를 상기 레일을 따라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의 바닥면까지 이동시킨다.
상기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는 매립폐기물 하역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이 외부로 누출되어 대기중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즉 덤프트럭 등의 차량을 통해 매립폐기물을 상기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까지 이송한 후 포설하되, 포설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이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공간을 밀폐하여 포설하는 과정과,
상기 포설과정을 통해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 내부를 매립폐기물을 채운 후, 상기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의 양측면 차단막을 개방한 후 레일을 따라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를 새롭게 매립할 지점으로 이동시키되, 앞서 매립한 구역과 동일 높이로 연속 매립이 가능하도록 이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매립폐기물 포설단계와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 이동단계를 반복수행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이르는 한 층 전체를 매립을 완료한 후, 상기 매립 완료된 층 상부를 평탄화 작업 후 중장비로 다짐하여 지반강도 높이고, 다시 다짐 과정을 거친 매립 층 상부에 토목섬유(Geotextile)를 포설한 후 복토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한 층의 매립이 완료된다.
상기 매립용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는 막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바닥면을 제외한 외부 전면이 밀폐구조를 이루게 되나, 길이 방향의 양측면은 개폐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특히 차량의 출입을 위한 개폐형 출입구가 별도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매립용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 내부는 매립폐기물 하역을 통한 매립공사 중에는 외부 전면이 밀폐되어 있어 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며,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이 지면에 모두 가라앉은 후에 차량의 이동 및 매립용 하수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매립이 진행된다.
이와 같은 매립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매립지 바닥에서부터 층 단위로 점차 높이를 높여 최종적으로는 매립을 통해 매립지 주변과 동일 높이의 지면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공법은 공사현장 등에서 발생되는 매립폐기물을 활용하여 매립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공사현장에서 발생된 매립폐기물의 처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매립에 활용함에 따라 매우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이고, 또한 매립폐기물 포설과정에서 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이 대기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함에 따라 포설과정에서 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소하여 주변 대기오염 방지 효과가 뛰어나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A :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
1 : 이동식 트러스트 장치
2 : 트러스트 이송레일부
10 : 메인트러스트본체
20 : 아치형 트러스트모듈
30 : 이동식 트레일러모듈
40 : 전면밀폐커버모듈
50 : 후면밀폐커버모듈
60 : 무선통신모듈
70 : 스마트제어부

Claims (4)

  1.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의 상부에서부터 바닥면까지 주변 토사를 이용하여 경사진 이동로를 형성하는 단계(S10)와,
    상기 이동로 위에 토목섬유(Geotextile)를 포설한 후 복토하여 차량이동로를 확보하는 단계(S20)와,
    상기 차량이동로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레일을 설치하는 단계(S30)와,
    상기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의 바닥면에 침출수 집배수관을 설치하는 단계(S40)와,
    상기 침출수 집배수관을 A형 제올라이트와 탄소가 담지된 제올라이트의 혼합으로 조성된 침출수 흡착재로 포설하는 단계(S50)와,
    상기 침출수 흡착재로 포설된 상부에 토목섬유(Geotextile)를 포설한 후 복토하는 단계(S60)와,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를 상기 레일을 따라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의 바닥면까지 이동시키는 단계(S70)와,
    차량을 통해 매립폐기물을 상기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까지 이송한 후 포설하되, 포설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이 상기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공간을 밀폐하여 포설하는 단계(S80)와,
    상기 포설하는 단계(S80)를 통해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 내부를 매립폐기물로 채운 후, 상기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의 양측면 차단막을 개방한 후 레일을 따라 상기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를 새롭게 매립할 지점으로 이동시키되, 앞서 매립한 구역과 동일 높이로 연속 매립이 가능하도록 이동시키는 단계(S90)와,
    상기 매립폐기물 포설단계(S80)와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A) 이동단계(S90)를 반복수행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이르는 한 층 전체를 매립 완료하는 단계(S100)와,
    상기 매립 완료된 층 상부를 평탄화 작업 후 중장비로 다짐하여 지반강도를 향상시키는 단계(S110)와,
    상기 다짐 과정을 거친 매립 층 상부에 토목섬유(Geotextile)를 포설한 후 복토하는 단계(S120)와,
    상기 전단계(S70 ~ S120)를 반복수행하여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지의 매립을 완료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침출수 흡착재는 석탄회 12.0 ~ 22.0 wt%와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 78.0 ~ 88.0 wt%를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조성한 후 상기 제1혼합물을 그라인딩(grinding)하여 제1파우더를 제조하고,
    상기 제1파우더를 500 ~ 600 ℃에서 1 ~ 2 시간 동안 소성시키고,
    소성시킨 소성물을 그라인딩(grinding)하여 제2파우더를 제조하고,
    상기 제2파우더 12.0 ~ 25.0 wt%와 증류수(H2O) 75.0 ~ 88.0 wt%를 상온에서 1 ~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1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1용액을 3,000 ~ 5,000 rpm에서 3 ~ 10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취하고, 상기 상층액 85.0 ~ 95.0 wt%와 알루미늄산 나트륨(Sodium Aluminate) 5.0 ~ 15.0 wt%를 20 ~ 40 분 동안 교반하여 제2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2용액을 반응기에 넣어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를 이용하여 80 ~ 100 ℃로 2 ~ 4 시간 동안 반응시켜 결정체를 이루고,
    상기 결정체를 세척 후 80 ~ 90 ℃에서 20 ~ 30 시간 동안 건조하여 제조된 A형 제올라이트(A) 10.0 ~ 90.0 wt%;
    증류수(H2O) 60.0 ~ 70.0 wt%와 수산화 알루미늄(Aluminium hydroxide) 30.0 ~ 40.0 wt%를 혼합하여 완전 용해시켜 제1용액을 조성하고,
    상기 증류수와 수산화 알루미늄을 혼합하여 완전 용해시킨 제1용액 76.0 ~ 85.0 wt%와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 15.0 ~ 24.0 wt%를 혼합한 후 95 ~ 100 ℃의 온도에서 1 ~ 2시간 동안 방치 후 상온으로 냉각시켜 제2용액을 조성하고,
    상기 제1용액과 수산화칼륨을 혼합하여 조성한 제2용액 32.0 ~ 45.0 wt%와 실리카 졸 55.0 ~ 68.0 wt%를 상온에서 1 ~ 2 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3용액을 조성하고,
    상기 제3용액을 170 ~ 180 ℃, 20 ~ 40 rpm으로 교반하여 90 ~ 100 시간 동안 반응시켜 결정체를 이루고,
    상기 결정체를 세척 후 100 ℃에서 20 ~ 30시간 동안 건조하고,
    건조시킨 결정체를 350 ~ 450 ℃에서 1 ~ 3시간 동안 소성시켜 제조된 탄소가 담지된 탄소-제올라이트(B) 10.0 ~ 90.0 wt%;의 혼합(A+B)으로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공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119201A 2018-10-05 2018-10-05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공법 KR101984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201A KR101984652B1 (ko) 2018-10-05 2018-10-05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201A KR101984652B1 (ko) 2018-10-05 2018-10-05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652B1 true KR101984652B1 (ko) 2019-05-31

Family

ID=66657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201A KR101984652B1 (ko) 2018-10-05 2018-10-05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6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35109A (zh) * 2020-03-31 2020-08-14 温州市环境发展有限公司 一种填埋场固化飞灰填埋作业防尘降尘***及实施方案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3870A (ja) * 1994-05-13 1995-11-21 P F C:Kk ごみ埋立構造
KR20000030515A (ko) * 2000-03-04 2000-06-05 이금용 폐기물 매립지의 최종복토 방법 및 그 최종복토 내에서의매립가스 재순환 시스템
JP3078646U (ja) * 2000-12-28 2001-07-10 三研工業株式会社 移動上屋
KR100344359B1 (ko) 2001-07-26 2002-07-22 김학로 매립장 정비·복원 공법과 그 매립장 자가형성·자가치유 복합 차수층 시공 방법
JP2003236486A (ja) * 2002-02-19 2003-08-26 Maeda Corp 廃棄物の埋立て方法および廃棄物ピットの屋根体
KR20060016586A (ko) * 2004-08-18 2006-02-22 윤중현 폐기물 매립장의 호기성 촉진 시스템
KR100877974B1 (ko) 2008-03-06 2009-01-14 주식회사 백산이앤티건설 스트럿을 이용한 지하옹벽의 상향식 순차제거 및순차매립공법
KR100878885B1 (ko) 2008-04-28 2009-01-15 효동개발 주식회사 해안 굴곡 지형의 평탄화 작업에 따른 토사를 이송시켜 해안을 매립시키는 해안 매립화 공법
KR20110026633A (ko) * 2009-09-08 2011-03-16 장성준 폐기물 처리장용 레일 구동형 막 구조물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3870A (ja) * 1994-05-13 1995-11-21 P F C:Kk ごみ埋立構造
KR20000030515A (ko) * 2000-03-04 2000-06-05 이금용 폐기물 매립지의 최종복토 방법 및 그 최종복토 내에서의매립가스 재순환 시스템
JP3078646U (ja) * 2000-12-28 2001-07-10 三研工業株式会社 移動上屋
KR100344359B1 (ko) 2001-07-26 2002-07-22 김학로 매립장 정비·복원 공법과 그 매립장 자가형성·자가치유 복합 차수층 시공 방법
JP2003236486A (ja) * 2002-02-19 2003-08-26 Maeda Corp 廃棄物の埋立て方法および廃棄物ピットの屋根体
KR20060016586A (ko) * 2004-08-18 2006-02-22 윤중현 폐기물 매립장의 호기성 촉진 시스템
KR100877974B1 (ko) 2008-03-06 2009-01-14 주식회사 백산이앤티건설 스트럿을 이용한 지하옹벽의 상향식 순차제거 및순차매립공법
KR100878885B1 (ko) 2008-04-28 2009-01-15 효동개발 주식회사 해안 굴곡 지형의 평탄화 작업에 따른 토사를 이송시켜 해안을 매립시키는 해안 매립화 공법
KR20110026633A (ko) * 2009-09-08 2011-03-16 장성준 폐기물 처리장용 레일 구동형 막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35109A (zh) * 2020-03-31 2020-08-14 温州市环境发展有限公司 一种填埋场固化飞灰填埋作业防尘降尘***及实施方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139122A1 (ja) 廃棄物処分場を覆う盛土部における設備
CN104646407A (zh) 一种用于污染场地受污染建筑渣块的清洗***及清洗方法
WO2019214701A1 (zh) 一种模块式土体施压成型装置及软土地基的处理方法
KR101984652B1 (ko)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공법
CN214423422U (zh) 一种柔性危废填埋场防渗结构
US20140294510A1 (en) Berm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KR101528674B1 (ko) 폐석산 또는 대사면을 활용한 단계별 성토층에 의한 폐기물 매립방법
US10005112B2 (en) Method for lining existing ash basin and landfill sites
CN114319455B (zh) 一种大型垃圾填埋场全覆盖封场、环境处理及复绿工艺
CN108408308A (zh) 一种斜圆柱驱动式小型市政垃圾压块预处理装置
CN216007052U (zh) 一种垃圾刚性填埋场
CN212612660U (zh) 危险废物填埋***
CN212452804U (zh) 工业固体废物简易贮存场所污染阻隔***
CN111005435A (zh) 一种刚性填埋场
CN216865196U (zh) 一种城市生活垃圾填埋场的封场覆盖结构
KR100459077B1 (ko) 폐기물 매립지의 건설방법
KR101984651B1 (ko) 미세먼지·유해물질 저감형 이동식 매립폐기물 적층매립장치
CN111485941B (zh) 一种回填工业危险废物的岩洞的施工方法
KR101048025B1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매설관의 충격보호장치 및 방법
CN111335362B (zh) 一种一般工业固体废物贮存场所的结构布置方式
US8430600B2 (en) Berm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CN206512843U (zh) 一种新型城市道路雨水蓄滞结构
CN110303022A (zh) 一种防渗透污染的生活垃圾填埋***及方法
CN206438582U (zh) 一种新型雨水蓄滞与利用一体化***
KR100787819B1 (ko) 고밀도 차수막 형성 및 복원력을 갖는 고강도 차수층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