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232B1 - 꽃송이버섯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꽃송이버섯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232B1
KR101983232B1 KR1020180021241A KR20180021241A KR101983232B1 KR 101983232 B1 KR101983232 B1 KR 101983232B1 KR 1020180021241 A KR1020180021241 A KR 1020180021241A KR 20180021241 A KR20180021241 A KR 20180021241A KR 101983232 B1 KR101983232 B1 KR 101983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ushroom
concentrate
ginseng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창우
Original Assignee
류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창우 filed Critical 류창우
Priority to KR1020180021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50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4Sugar alcohols
    • A23V2250/6422Xylit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꽃송이버섯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 사철쑥, 벌꿀, 둥굴레, 건지황, 뽕나무열매, 인삼열매, 홍삼, 천궁, 참당귀뿌리, 돼지감자, 마, 함초, 감초, 아마란스씨앗, 쌍화농축분말, 영지버섯, 상황버섯, 침향, 우엉, 뽕나무잎, 여주, 구기자 및 차가버섯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환으로 성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과 각종 부원료들을 혼합하여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함으로써, 다양한 약용성분이 포함되어 영양가가 높고, 품질이 우수하며, 관능적 기호도 역시 높아 남녀노소 누구라도 쉽게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꽃송이버섯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HEALTH SUPPLEMENT FOOD USING SPARASSIS CRISP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약리 효과를 갖는 꽃송이버섯을 건강보조식품으로 제조함으로써, 꽃송이버섯 약용성분의 꾸준한 복용이 가능토록 하는 꽃송이버섯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은 국수버섯과에 속하는 씹는 맛이 좋고 송이버섯과 같은 은은한 향이 있는 버섯으로, 영지와 신령버섯, 동충하초와 마찬가지로 항암효과를 가진 적응소(adaptogen)이다. 즉, 이 꽃송이버섯은 부작용이 없고, 약효가 특정한 장기나 기관에 한정하지 않으며, 정상화 작용을 가지는 버섯으로, 한의학 분야에서는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꽃송이버섯의 효능을 나타내는 약용성분과 약효에 대해 일본이나 미국 등지에서 체계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그 결과 꽃송이버섯의 항암작용은 복합다당체에서 나오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항암, 면역기능을 높여주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베타 글루칸 성분이 약용버섯인 영지나 상황버섯의 10배 이상인 것으로 밝혀졌다.
꽃송이버섯의 주요 복합다당체인 β-글루칸의 화학구조는 다른 약용 버섯에서 발견되는 β-글루칸의 구조와는 달리 나뭇가지 모양의 β-1,3-글루칸 형태로서 세포의 면역반응을 자극하는 가장 강력한 성분이다. 또한, 꽃송이버섯은 항암작용 이외에도, 꽃송이버섯에 함유된 β-1,3-글루칸이 항균 및 이뇨, 강장 작용을, 만니톨, 트리할로제가 제암, 빈혈, 진정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당뇨, 항에이즈, 항HIV 효과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아울러, 꽃송이버섯은 다른 약용버섯과 마찬가지로 혈압과 혈당, 혈중 콜레스테롤을 조절해 주는 작용도 한다.
이러한 꽃송이버섯은 식용버섯으로서 그대로 식품으로 섭취도 가능하지만, 약리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꾸준히 복용하는 데에는 가공되지 않은 식품형태로의 섭취에는 한계가 있다.
종래 이러한 꽃송이버섯을 꾸준히 복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3745호에서는 꽃송이버섯을 미생물을 통해 고체 발효시키고, 이를 포함하여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함으로써, 꽃송이버섯의 꾸준한 복용이 가능토록 하였다. 이러한 선등록특허는 그 약용성분이 제한적이고, 관능성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꽃송이버섯을 꾸준히 섭취할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약용성분을 포함하며, 관능성이 우수한 건강보조식품이 요구된다.
KR 10-1693745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꽃송이버섯과 각종 부재료를 이용하여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함으로써, 꽃송이버섯의 약용성분을 꾸준히 복용할 수 있으면서도, 각종 부재료를 통해 약용성분을 다양화하고, 제품의 기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가 간편하고, 섭취가 용이하여 어린이나 청소년을 비롯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섭취할 수 있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꽃송이버섯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은,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 사철쑥, 벌꿀, 둥굴레, 건지황, 뽕나무열매, 인삼열매, 홍삼, 천궁, 참당귀뿌리, 돼지감자, 마, 함초, 감초, 아마란스씨앗, 쌍화농축분말, 영지버섯, 상황버섯, 침향, 우엉, 뽕나무잎, 여주, 구기자 및 차가버섯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환으로 성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효성분의 배합비는, 상기 사철쑥 5~9중량%, 벌꿀 3~5중량%, 둥굴레 1~3중량%, 건지황 0.5~2중량%, 뽕나무열매 0.5~2중량%, 인삼열매 0.5~2중량%, 홍삼 0.5~2중량%, 천궁 0.5~2중량%, 참당귀뿌리 0.5~2중량%, 돼지감자 0.5~2중량%, 마 0.5~2중량%, 함초 0.5~2중량%, 감초 0.5~2중량%, 아마란스씨앗 0.5~2중량%, 쌍화농축분말 0.5~2중량%, 영지버섯 0.5~1중량%, 상황버섯 0.5~1중량%, 침향 0.5~1중량%, 우엉 0.1~1중량%, 뽕나무잎 0.1~1중량%, 여주 0.1~1중량%, 구기자 0.1~1중량%, 차가버섯 0.1~1중량% 및 잔량의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효성분으로서 건조 전복 5~10중량%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환에 형성되며, 삼채 추출물로 구성된 제1코팅층과, 상기 제1코팅층에 형성되며, 자일리톨로 구성된 제2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그 제조방법은, 꽃송이버섯을 건조하고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꽃송이버섯에 물을 가하여 80∼100℃에서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추출액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20~30℃에서 24~48시간 동안 발효하는 단계와, 상기 발효된 발효액을 농축하여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사철쑥, 벌꿀, 둥굴레, 건지황, 뽕나무열매, 인삼열매, 홍삼, 천궁, 참당귀뿌리, 돼지감자, 마, 함초, 감초, 아마란스씨앗, 쌍화농축분말, 영지버섯, 상황버섯, 침향, 우엉, 뽕나무잎, 여주, 구기자 및 차가버섯으로 되는 부원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과 상기 준비된 부원료를 혼합 및 반죽하여 제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환된 환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과 상기 준비된 부원료의 혼합비는, 상기 사철쑥 5~9중량%, 벌꿀 3~5중량%, 둥굴레 1~3중량%, 건지황 0.5~2중량%, 뽕나무열매 0.5~2중량%, 인삼열매 0.5~2중량%, 홍삼 0.5~2중량%, 천궁 0.5~2중량%, 참당귀뿌리 0.5~2중량%, 돼지감자 0.5~2중량%, 마 0.5~2중량%, 함초 0.5~2중량%, 감초 0.5~2중량%, 아마란스씨앗 0.5~2중량%, 쌍화농축분말 0.5~2중량%, 영지버섯 0.5~1중량%, 상황버섯 0.5~1중량%, 침향 0.5~1중량%, 우엉 0.1~1중량%, 뽕나무잎 0.1~1중량%, 여주 0.1~1중량%, 구기자 0.1~1중량%, 차가버섯 0.1~1중량% 및 잔량의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원료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전복을 자숙하여 수분함량이 5~10%가 되도록 동결건조하여서 되는 건조 전복을 더 준비하고, 상기 제조된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과 상기 준비된 부원료를 혼합 및 반죽하여 제환하는 단계에서 상기 준비된 건조 전복을 5~10중량%만큼 혼합하며, 상기 제환하는 단계 후, 상기 제환된 환에 삼채 추출물을 코팅하여 제1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코팅층이 형성된 환에 자일리톨을 코팅하여 제2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과 각종 부원료들을 혼합하여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함으로써, 다양한 약용성분이 포함되어 영양가가 높고, 품질이 우수하며, 관능적 기호도 역시 높아 남녀노소 누구라도 쉽게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공정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꽃송이버섯의 발효농축물을 포함하되, 사철쑥, 벌꿀, 둥굴레, 건지황, 뽕나무열매, 인삼열매, 홍삼, 천궁, 참당귀뿌리, 돼지감자, 마, 함초, 감초, 아마란스씨앗, 쌍화농축분말, 영지버섯, 상황버섯, 침향, 우엉, 뽕나무잎, 여주, 구기자 및 차가버섯을 부원료로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꽃송이버섯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혈당강하, 항암, 항염, 지질대사 개선 등의 약리 효과를 갖는바, 본 발명은 이러한 꽃송이버섯의 발효농축물을 주원료로 한다. 상기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하기의 제조방법을 통해 다시 설명한다.
그리고 부원료로서 사철쑥, 벌꿀, 둥굴레, 건지황, 뽕나무열매, 인삼열매, 홍삼, 천궁, 참당귀뿌리, 돼지감자, 마, 함초, 감초, 아마란스씨앗, 쌍화농축분말, 영지버섯, 상황버섯, 침향, 우엉, 뽕나무잎, 여주, 구기자 및 차가버섯을 포함한다.
상기 사철쑥은 camphor 등의 정유 성분은 물론, coumarin류, chromone류, flavonoid류, caffeic acid 등을 다량 포함하며, 항균, 간기능 회복 등의 약리 효과가 있다.
상기 벌꿀은 환의 전체적인 관능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우수한 살균 및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둥굴레는 베타카로틴 등을 다량 함유하며, 기운을 보충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며, 노화작용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건지황은 심경(心經), 신경(腎經), 간경(肝經), 소장경(小腸經)에 작용하며, 음정(陰精)과 혈액을 강화하고 자양하며 혈열(血熱)을 없애는 효과가 있다.
상기 뽕나무열매, 즉 오디는 다량의 당분이 들어 있어 환의 전체적인 관능성을 향상시키고, 유기산과 점액질,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 있어 이뇨작용, 진해, 강장작용이 있으며, 빈혈, 눈의 피로 및 어지러움증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 인삼열매는 인삼을 재배한지 4년 만에 딱 한 번만 열리는 붉은 열매로, 인삼의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가 30%가량이나 함유되어 있으며, 특이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Re 성분은 인삼 뿌리에 비해 2~3배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사포닌은 혈액 흐름의 개선을 통해 노화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며,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성기능 향상 등 다양한 효능을 발휘한다. 또한, 이외에도 비타민, 무기질, 칼슘, 마그네슘, 아연 등 미네랄이 풍부해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한다.
상기 홍삼은 말리지 않은 수삼을 증기 또는 기타 방법으로 쪄서 익혀 말린 것으로, 다량의 진세노이드를 함유하여 피로회복, 면역력 증진, 혈소판 응집 억제를 통한 혈액 흐름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천궁은 크니딜라이드(cnidilide), 네오크니딜라이드(neocnidilide), 리구스틸라이드(ligustilide) 등을 다량 함유하여 중추신경계통의 작용을 통한 진통효과, 혈압강하효과가 있다. 또한, 살균작용이 있어 대장균, 이질균, 녹농균, 피부진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참당귀뿌리는 데쿠르신, 데쿠르시놀, 데쿠르시놀안젤레이트 등의 쿠마린 화합물과, 폴리아세틸렌 및 플라보노이드 배당체 성분을 다량 포함하며, 학습기억 개선, 항종양, 간보호, 항균, 진통 등의 작용이 있다.
상기 돼지감자는 천연인슐린이 많아 당뇨에 좋고, 비타민, 폴리페놀 성분이 많다.
상기 마는 아르기닌, 바타타신, 아밀로오스, 콜린, 사포닌, 뮤신, 디오스게닌, 다포게닌 등이 다량 함유되어, 피로회복, 숙취에 효과가 있으며, 당뇨에도 효과가 좋다.
상기 함초는 위장 기능을 활성화시켜줌으로써, 소화가 잘되고 변비를 예방한다.
상기 감초는 맛이 달아 환의 전체적인 관능성을 향상시켜주고, 해독작용,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효과가 있다.
상기 아마란스씨앗은 다른 곡류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높고, 필수 아미노산을 모두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당뇨와 고혈압에 좋다.
상기 쌍화농축분말은 쌍화 추출액과 덱스트린을 9:1중량비로 혼합한 것으로, 상기 쌍화 추출액이란 백작약 추출물 10∼30중량%, 당귀 추출물 11∼13중량%, 갈근 추출물 2∼3중량%, 건강 추출물 1∼2중량%, 대추 추출물 15∼17중량%, 숙지황 추출물 14∼17중량%, 감초 추출물 4∼6중량%, 계피 추출물 2∼4중량%, 황기 추출물 5∼7중량%, 천궁 추출물 10∼13중량% 및 잔량의 자몽씨 추출물을 혼합한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쌍화 추출액과 덱스트린을 혼합하여 건조, 분말화한 것으로, 다양한 한약재를 포함하므로, 각종 약리성분이 풍부하며, 면역증진 등의 효과가 있다.
상기 영지버섯과 상황버섯은 칼륨, 칼슘, 인 등이 풍부하며, 불포화지방산이 많아 성인병 예방에 탁월하다.
상기 침향은 벤질아세톤, P-메토실 벤질아세톤 등을 다량 함유하며, 진정작용, 항균작용 등이 우수하다.
상기 우엉은 리그난, 아르크티인, 아크르티게닌 등의 성분을 포함하여, 항바이러스, 기체면역력 제고 등의 작용을 갖는다.
상기 뽕나무잎은 당뇨, 중풍, 기침 감기 등에 효과가 있다.
상기 여주는 식물 인슐린과 카란틴 성분이 풍부하여 당뇨와 고혈압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레몬이나 오렌지보다 풍부한 비타민 C를 함유하고 있다.
상기 구기자는 비특이성 면역증강 작용, 조혈작용, 콜레스테롤 강하작용, 항지방간작용, 혈압강하, 혈당강하, 생장촉진, 항암작용 등이 있다.
상기 차가버섯은 다른 버섯에 비해 베타글루칸이 많이 함유되어 암 등 성인병 치료에 효능이 뛰어나다.
그리고 주원료인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과 상기 부원료들은, 사철쑥 5~9중량%, 벌꿀 3~5중량%, 둥굴레 1~3중량%, 건지황 0.5~2중량%, 뽕나무열매 0.5~2중량%, 인삼열매 0.5~2중량%, 홍삼 0.5~2중량%, 천궁 0.5~2중량%, 참당귀뿌리 0.5~2중량%, 돼지감자 0.5~2중량%, 마 0.5~2중량%, 함초 0.5~2중량%, 감초 0.5~2중량%, 아마란스씨앗 0.5~2중량%, 쌍화농축분말 0.5~2중량%, 영지버섯 0.5~1중량%, 상황버섯 0.5~1중량%, 침향 0.5~1중량%, 우엉 0.1~1중량%, 뽕나무잎 0.1~1중량%, 여주 0.1~1중량%, 구기자 0.1~1중량%, 차가버섯 0.1~1중량% 및 잔량의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의 배합비로서 포함됨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배합비는 그 약리작용 및 각 성분들의 상호작용 등을 고려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건강보조식품은 상기한 꽃송이버섯의 발효농축물과 상기한 부원료들을 혼합하여 환으로 성형한 것으로, 휴대 및 복용이 간편하고, 다양한 약용성분을 포함하여 각종 성인병을 예방해주며, 섭취자의 건강을 유지해준다. 또한,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섭취할 수 있으며, 꿀, 오디 등으로 인해 관능적 기호도 역시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강보조식품은 유효성분으로서, 건조 전복 5~10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종래 건강보조식품은 해물이 전혀 포함되지 않음이 일반적이었으나, 본 발명은 건조 전복을 더 포함함으로써, 칼슘, 인 등의 미네랄을 보충하고, 꽃송이버섯, 각종 한약재 및 해물의 영양 및 약리성분을 모두 포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강보조식품의 관능적 기호도 및 보관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환의 표면에 형성되며, 삼채 추출물로 구성된 제1코팅층과, 상기 제1코팅층에 형성되며, 자일리톨로 구성된 제2코팅층을 더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1코팅층은 삼채의 추출물로 구성되는바, 삼채 추출물 특유의 항산화, 항균 활성을 통해 건강보조식품의 보관성을 높여준다.
그리고 상기 제2코팅층은 상기 자일리톨로 구성되는바, 상기 자일리톨 특유의 감미로 인해 건강보조식품의 전체적인 관능적 기호도를 높여주며, 환의 쓴맛과 좋지 못한 풍미를 밀폐해준다.
상기 제1코팅층 및 제2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하기 제조방법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강보조식품이 상기 제1코팅층 및 제2코팅층을 더 포함하면, 건강보조식품의 보관성 및 관능적 기호도가 현저히 상승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건강보조식품은 그 섭취량을 제한하지 않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꽃송이버섯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은, 꽃송이버섯을 건조하고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꽃송이버섯에 물을 가하여 80∼100℃에서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추출액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20~30℃에서 24~48시간 동안 발효하는 단계와, 상기 발효된 발효액을 농축하여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사철쑥, 벌꿀, 둥굴레, 건지황, 뽕나무열매, 인삼열매, 홍삼, 천궁, 참당귀뿌리, 돼지감자, 마, 함초, 감초, 아마란스씨앗, 쌍화농축분말, 영지버섯, 상황버섯, 침향, 우엉, 뽕나무잎, 여주, 구기자 및 차가버섯으로 되는 부원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과 상기 준비된 부원료를 혼합 및 반죽하여 제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환된 환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꽃송이버섯을 건조하고 분쇄하는 단계.
먼저, 주원료인 꽃송이버섯, 즉 꽃송이버섯 자실체를 준비하고, 이를 함수량이 5~30% 정도가 되도록 건조하여 50~150mesh로 분쇄한다. 이때, 그 건조방법은 제한하지 않는바, 자연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분쇄된 꽃송이버섯에 물을 가하여 80∼100℃에서 추출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분쇄된 꽃송이버섯에 5~10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80~100℃에서 5~10시간 동안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여과한다.
상기 추출된 추출액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20~30℃에서 24~48시간 동안 발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추출된 추출액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발효한다. 이때, 상기 유산균은 접종 초기 균수가 105~108cfu/g 가 되도록 접종한다.
여기서, 상기 유산균으로는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및 류코노스톡 속(Leuconostoc spp.) 균주, 더욱 상세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퍼맨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cillussakei), 락토바실러스 락티스(Lactobcillus lactis), 락토바실러스 람노스(Lactobcillus rhamnose), 락토바실러스 엑시도필러스(Lactobcillus acid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써모필러스(Lactobcillus thermophilu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중 하나 이상의 균주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효는 온도가 너무 낮거나 시간이 짧으면 발효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고, 온도가 너무 높거나 시간이 길면 과발효되므로, 20~30℃에서 24~48시간 발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효된 발효액을 농축하여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다음으로, 상기 발효된 발효액을 여과하여 찌꺼기를 제거한 후, 이를 회전진공증발기(rotary evaporator)로 완전히 농축하여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을 제조한다.
사철쑥, 벌꿀, 둥굴레 , 건지황 , 뽕나무열매, 인삼열매, 홍삼, 천궁, 참당귀뿌리, 돼지감자, 마, 함초 , 감초, 아마란스씨앗 , 쌍화농축분말 , 영지버섯, 상황버 섯, 침향 , 우엉, 뽕나무잎, 여주, 구기자 및 차가버섯으로 되는 부원료를 준비하는 단계.
한편, 상기 주원료의 준비와는 별도로, 부원료를 준비한다. 상기 부원료는 사철쑥, 벌꿀, 둥굴레, 건지황, 뽕나무열매, 인삼열매, 홍삼, 천궁, 참당귀뿌리, 돼지감자, 마, 함초, 감초, 아마란스씨앗, 쌍화농축분말, 영지버섯, 상황버섯, 침향, 우엉, 뽕나무잎, 여주, 구기자 및 차가버섯으로, 상기 벌꿀을 제외한 나머지 부원료들은 모두 100~300mesh로 분쇄하여 준비한다. 이때, 상기 사철쑥, 둥굴레, 건지황, 뽕나무열매, 인삼열매, 홍삼, 천궁, 참당귀뿌리, 돼지감자, 마, 함초, 감초, 아마란스씨앗, 영지버섯, 상황버섯, 침향, 우엉, 뽕나무잎, 여주, 구기자 및 차가버섯은 건조된 형태이거나, 건조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으며, 통상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전처리된 형태, 예시적으로 둥글레의 경우 볶은 둥글레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꿀은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쌍화농축분말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쌍화 추출액과 덱스트린을 9:1 중량비로 혼합하고, 이를 건조한 후 100~300mesh 정도로 분말화한 것을 의미한다. 이때, 쌍화 추출액은 백작약 추출물 10∼30중량%, 당귀 추출물 11∼13중량%, 갈근 추출물 2∼3중량%, 건강 추출물 1∼2중량%, 대추 추출물 15∼17중량%, 숙지황 추출물 14∼17중량%, 감초 추출물 4∼6중량%, 계피 추출물 2∼4중량%, 황기 추출물 5∼7중량%, 천궁 추출물 10∼13중량% 및 잔량의 자몽씨 추출물을 혼합한 것으로, 각 추출물은 각 재료에 10~20배의 물을 가하고, 80~100℃에서 5~10시간 동안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여과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조된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과 상기 준비된 부원료를 혼합, 반죽하여 제환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과 상기 준비된 부원료를 혼합하여, 반죽한다. 여기서, 그 혼합비는 상기 사철쑥 5~9중량%, 벌꿀 3~5중량%, 둥굴레 1~3중량%, 건지황 0.5~2중량%, 뽕나무열매 0.5~2중량%, 인삼열매 0.5~2중량%, 홍삼 0.5~2중량%, 천궁 0.5~2중량%, 참당귀뿌리 0.5~2중량%, 돼지감자 0.5~2중량%, 마 0.5~2중량%, 함초 0.5~2중량%, 감초 0.5~2중량%, 아마란스씨앗 0.5~2중량%, 쌍화농축분말 0.5~2중량%, 영지버섯 0.5~1중량%, 상황버섯 0.5~1중량%, 침향 0.5~1중량%, 우엉 0.1~1중량%, 뽕나무잎 0.1~1중량%, 여주 0.1~1중량%, 구기자 0.1~1중량%, 차가버섯 0.1~1중량% 및 잔량의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로 한다.
이때, 반죽의 수분 함량이 20~30% 수준을 벗어난다면 반죽을 건조하거나, 물을 첨가하여 수분 함량이 20~30%가 되도록 맞춰준 후, 제환기로 제환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환된 환의 크기는 제한하지 않는바, 공지된 제환기를 이용하여 제환할 수 있는 정도면 족하다.
상기 제환된 환을 건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환된 환을 건조하여 상기 환이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한다. 이때, 건조조건은 제한하지 않는바, 20~80℃ 정도의 온도에서 수분함량이 12% 미만, 바람직하게 8~12% 정도가 되도록 건조하면 족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건강보조식품은 주원료인 꽃송이버섯뿐 아니라, 각종 부원료의 약용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그 영양성이 우수하고, 약리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관능적 기호도 역시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환 형태이므로, 휴대 및 복용이 간편하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상기 부원료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건조 전복을 더 준비한 후, 상기 건조 전복을 5~10중량%의 비율로 상기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에 혼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건조 전복은 전복을 80~100℃의 끓는 물에 1~10분간 자숙하는 과정과, 상기 자숙된 전복을 수분함량이 5~10%가 되도록 동결건조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환하는 단계 후, 상기 제환된 환에 제1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코팅층이 형성된 환에 제2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환된 환 100중량부에 1~5중량부의 삼채 추출물을 코팅하는 것으로, 상기 삼채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가지므로, 건강보조식품의 보관성을 개선하는 것은 물론, 섭취자의 건강유지에 도움을 준다.
여기서, 상기 삼채 추출물은 건조된 삼채에 10~20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80~100℃에서 5~10시간 동안 추출, 여과한 것이다. 이때, 상기 추출물을 필요에 따라 농축 또는 건조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2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코팅층이 형성된 환에 자일리톨을 코팅하는 것인데, 상기 자일리톨 역시 상기 환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만큼 코팅할 수 있다. 상기 자일리톨은 천연 감미료로서 환의 쓴맛과 좋지 않은 냄새를 밀폐해주고, 단맛을 부여하여 건강보조식품의 관능성을 현저히 높여준다.
이때, 제1코팅층과 제2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제한하지 않는바, 성형된 환과 삼채 추출물 또는 자일리톨을 종래 공지된 환 코팅기에 투입하여 코팅하는 정도면 족하다.
상기와 같이 제1코팅층 및 제2코팅층이 형성된 환은, 자일리톨의 제2코팅층에 의해 관능적 기호도가 현저히 상승하며, 삼채 추출물의 제1코팅층에 의해 보관성이 현저히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꽃송이버섯을 준비하고, 이를 30~40℃의 온풍으로 건조하여 함수량이 20%가 되도록 한 후, 100mesh로 분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꽃송이버섯 분말에 10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100℃에서 5시간 동안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여과하였다. 그리고 이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을 105 cfu/g의 양으로 접종하고, 25℃에서 24시간 발효하였다. 그리고 상기 발효물을 여과한 후, 회전진공증발기로 완전히 농축하였다. 그리고 상기 농축물을 고압멸균기(Autoclave)로 멸균하여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부원료로서 건조 사철쑥, 건조 둥굴레, 건지황, 건조 뽕나무열매, 건조 인삼열매, 건조 홍삼, 건조 천궁, 건조 참당귀뿌리, 건조 돼지감자, 건조 마, 건조 함초, 건조 감초, 건조 아마란스씨앗, 쌍화농축분말, 건조 영지버섯, 건조 상황버섯, 건조 침향, 건조 우엉, 건조 뽕나무잎, 건조 여주, 건조 구기자 및 건조 차가버섯을 준비하고, 각 재료를 200mesh로 분쇄하였다. 그리고 아카시아 벌꿀을 준비하였다. 이때 건조 둥글레는 150℃ 정도의 팬에 10분간 볶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과 상기 준비된 부원료를 혼합하였다. 이때 그 혼합비는 하기 표 1과 같았으며, 반죽의 수분함량은 25%였다.
실시예 1의 배합비.
성분명 배합비(중량%)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 70
사철쑥 7
벌꿀 4.3
둥글레 2
건지황 1
뽕나무열매 1
인삼열매 1
홍삼 1
천궁 1
참당귀뿌리 1
돼지감자 1
1
함초 1
감초 1
아마란스씨앗 1
쌍화농축분말 1
영지버섯 0.7
상황버섯 0.8
침향 0.7
우엉 0.5
뽕나무잎 0.5
여주 0.5
구기자 0.5
차가버섯 0.5
상기 쌍화농축분말은 쌍화 추출액과 덱스트린을 9:1중량비로 혼합하고, 이를 50℃에서 3시간 동안 건조한 후 200mesh 정도로 분말화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쌍화 추출액은 백작약 추출물 20중량%, 당귀 추출물 12중량%, 갈근 추출물 2중량%, 건강 추출물 2중량%, 대추 추출물 15중량%, 숙지황 추출물 14중량%, 감초 추출물 5중량%, 계피 추출물 3중량%, 황기 추출물 7중량%, 천궁 추출물 10중량% 및 잔량의 자몽씨 추출물을 혼합한 것으로, 각 추출물은 각 재료에 15배의 물을 가하고, 80~100℃에서 5시간 동안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를 제환기로 환의 지름이 3mm가 되도록 제환한 후, 50℃의 온풍으로 수분함량이 10%가 되도록 건조함으로써,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 5중량%를 대신하여 건조 전복 5중량%를 혼합하였다. 이때, 상기 건조 전복은 전복을 80~100℃의 끓는 물에 50분간 자숙한 후, 수분함량이 8%가 되도록 동결건조하고, 200mesh로 분쇄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제환된 환 100중량부를 코팅기에 넣고 500rpm으로 회전시키면서 삼채 추출물 5중량부를 코팅하여 제1코팅층을 형성한 후, 다시 자일리톨분말 5중량부를 코팅하여 제2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삼채 추출물은 건조된 삼채의 뿌리 및 잎(뿌리와 잎 1:1중량부)을 100mesh 정도로 분쇄한 후, 이에 15배의 물을 가하고, 80~100℃에서 5시간 동안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여과,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건강보조식품의 성인병 예방 및 개선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고혈압을 가진 15명의 성인남녀를 선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상기 피실험자들을 3그룹으로 나누고, 혈압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1그룹은 실시예 1의 건강보조식품을 6개월 동안 1일 2회 각각 5알씩 아침, 저녁으로 복용하게 하였다. 그리고 2그룹은 실시예 2의 건강보조식품을, 3그룹은 실시예 3의 건강보조식품을 1그룹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용하게 하였다. 그리고 6개월 후 피실험자들의 혈압을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혈압측정은 실험 전과 동일한 시간에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의 결과.(단위: mmHg)
구분 시험 전 시험 후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1그룹
(실시예 1)
1 140 92 129 77
2 143 93 130 79
3 145 96 125 74
4 150 94 129 74
5 149 91 131 72
2그룹
(실시예 2)
6 146 90 128 71
7 151 95 132 75
8 144 92 132 73
9 140 91 121 70
10 152 93 124 71
3그룹
(실시예 3)
11 151 92 125 72
12 148 89 131 75
13 147 95 129 76
14 145 97 127 71
15 151 92 125 72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건강보조식품을 섭취한 3그룹 모두 혈압이 정상수치에 도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건강보조식품의 변비개선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변비증상을 가진 15명의 성인남녀를 선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상기 피실험자들을 3그룹으로 나누고, 1주일 기준 배변회수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1그룹은 실시예 1의 건강보조식품을 6개월 동안 1일 2회 각각 5알씩 아침, 저녁으로 복용하게 하였다. 그리고 2그룹은 실시예 2의 건강보조식품을, 3그룹은 실시예 3의 건강보조식품을 1그룹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용하게 하였다. 그리고 6개월 후 피실험자들의 배변회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2의 결과.(1주일 기준)
구분 시험 전 배변회수(회) 시험 후 배변회수(회)
1그룹(실시예 1) 3.2 6.8
2그룹(실시예 2) 2.8 5.6
3그룹(실시예 3) 3.0 5.8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건강보조식품을 섭취한 3그룹 모두 배변회수가 증가하였는바, 이는 장의 기능을 원활해짐에 따른 결과로 판단되었다.
(시험예 3)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건강보조식품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상기 관능평가는 전문 패널요원 10명이 맛, 향 및 전반적 기호도의 평가 항목에 대해 5점 평점법[매우 좋다(5점), 좋다(4점), 보통이다(3점), 나쁘다(2점) 또는 매우 나쁘다(1점)]에 따라 관능검사를 수행하였으며, 평가치는 평균값으로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3의 결과.
구분 전반적 기호도
실시예 1 3.3 3.4 3.4
실시예 2 3.3 3.5 3.5
실시예 3 3.5 3.8 3.8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건강보조식품은 모두 그 맛, 향 및 전반적 기호도가 대체로 좋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남녀노소 누구나 거부감 없이 섭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 사철쑥, 벌꿀, 둥굴레, 건지황, 뽕나무열매, 인삼열매, 홍삼, 천궁, 참당귀뿌리, 돼지감자, 마, 함초, 감초, 아마란스씨앗, 쌍화농축분말, 영지버섯, 상황버섯, 침향, 우엉, 뽕나무잎, 여주, 구기자 및 차가버섯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환으로 성형된 것이며,
    상기 유효성분의 배합비는,
    상기 사철쑥 5~9중량%, 벌꿀 3~5중량%, 둥굴레 1~3중량%, 건지황 0.5~2중량%, 뽕나무열매 0.5~2중량%, 인삼열매 0.5~2중량%, 홍삼 0.5~2중량%, 천궁 0.5~2중량%, 참당귀뿌리 0.5~2중량%, 돼지감자 0.5~2중량%, 마 0.5~2중량%, 함초 0.5~2중량%, 감초 0.5~2중량%, 아마란스씨앗 0.5~2중량%, 쌍화농축분말 0.5~2중량%, 영지버섯 0.5~1중량%, 상황버섯 0.5~1중량%, 침향 0.5~1중량%, 우엉 0.1~1중량%, 뽕나무잎 0.1~1중량%, 여주 0.1~1중량%, 구기자 0.1~1중량%, 차가버섯 0.1~1중량% 및 잔량의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이고,
    상기 유효성분으로서 건조 전복 5~10중량%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환의 표면에 형성되며, 삼채 추출물로 구성된 제1코팅층과,
    상기 제1코팅층에 형성되며, 자일리톨로 구성된 제2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송이버섯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4. 꽃송이버섯을 건조하고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꽃송이버섯에 물을 가하여 80∼100℃에서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추출액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20~30℃에서 24~48시간 동안 발효하는 단계와,
    상기 발효된 발효액을 농축하여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사철쑥, 벌꿀, 둥굴레, 건지황, 뽕나무열매, 인삼열매, 홍삼, 천궁, 참당귀뿌리, 돼지감자, 마, 함초, 감초, 아마란스씨앗, 쌍화농축분말, 영지버섯, 상황버섯, 침향, 우엉, 뽕나무잎, 여주, 구기자 및 차가버섯으로 되는 부원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과 상기 준비된 부원료를 혼합 및 반죽하여 제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환된 환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송이버섯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과 상기 준비된 부원료의 혼합비는,
    상기 사철쑥 5~9중량%, 벌꿀 3~5중량%, 둥굴레 1~3중량%, 건지황 0.5~2중량%, 뽕나무열매 0.5~2중량%, 인삼열매 0.5~2중량%, 홍삼 0.5~2중량%, 천궁 0.5~2중량%, 참당귀뿌리 0.5~2중량%, 돼지감자 0.5~2중량%, 마 0.5~2중량%, 함초 0.5~2중량%, 감초 0.5~2중량%, 아마란스씨앗 0.5~2중량%, 쌍화농축분말 0.5~2중량%, 영지버섯 0.5~1중량%, 상황버섯 0.5~1중량%, 침향 0.5~1중량%, 우엉 0.1~1중량%, 뽕나무잎 0.1~1중량%, 여주 0.1~1중량%, 구기자 0.1~1중량%, 차가버섯 0.1~1중량% 및 잔량의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송이버섯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원료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전복을 자숙하여 수분함량이 5~10%가 되도록 동결건조하여서 되는 건조 전복을 더 준비하고,
    상기 제조된 꽃송이버섯 발효농축물과 상기 준비된 부원료를 혼합 및 반죽하여 제환하는 단계에서 상기 준비된 건조 전복을 5~10중량%만큼 혼합하며,
    상기 제환하는 단계 후,
    상기 제환된 환에 삼채 추출물을 코팅하여 제1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코팅층이 형성된 환에 자일리톨을 코팅하여 제2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송이버섯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20180021241A 2018-02-22 2018-02-22 꽃송이버섯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983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241A KR101983232B1 (ko) 2018-02-22 2018-02-22 꽃송이버섯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241A KR101983232B1 (ko) 2018-02-22 2018-02-22 꽃송이버섯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232B1 true KR101983232B1 (ko) 2019-05-28

Family

ID=66656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241A KR101983232B1 (ko) 2018-02-22 2018-02-22 꽃송이버섯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2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397B1 (ko) 2021-06-09 2021-09-01 주식회사 경신바이오 꽃송이버섯 발효 젤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꽃송이버섯 발효 젤리
KR102296402B1 (ko) 2021-06-09 2021-09-01 주식회사 경신바이오 꽃송이버섯 발효 비드를 포함하는 젤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꽃송이버섯 발효 비드를 포함하는 젤리
KR20220108453A (ko) * 2021-01-27 2022-08-03 이상만 꽃송이버섯을 이용한 프로틴초코볼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0368A (ko) * 2010-02-03 2011-08-10 박기섭 꽃송이버섯의 균사체를 주원료로 하는 건강식품 환의 제조방법
KR101693745B1 (ko) 2010-01-12 2017-01-06 윤상철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KR101812725B1 (ko) * 2016-10-06 2017-12-27 강화홍삼 주식회사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745B1 (ko) 2010-01-12 2017-01-06 윤상철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KR20110090368A (ko) * 2010-02-03 2011-08-10 박기섭 꽃송이버섯의 균사체를 주원료로 하는 건강식품 환의 제조방법
KR101812725B1 (ko) * 2016-10-06 2017-12-27 강화홍삼 주식회사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홍삼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이용한 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453A (ko) * 2021-01-27 2022-08-03 이상만 꽃송이버섯을 이용한 프로틴초코볼의 제조방법.
KR102559450B1 (ko) 2021-01-27 2023-07-24 이상만 꽃송이버섯을 이용한 프로틴초코볼의 제조방법.
KR102296397B1 (ko) 2021-06-09 2021-09-01 주식회사 경신바이오 꽃송이버섯 발효 젤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꽃송이버섯 발효 젤리
KR102296402B1 (ko) 2021-06-09 2021-09-01 주식회사 경신바이오 꽃송이버섯 발효 비드를 포함하는 젤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꽃송이버섯 발효 비드를 포함하는 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81058B (zh) 增强人体五脏机能的五行果蔬营养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983232B1 (ko) 꽃송이버섯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020586B1 (ko) 동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령친화 식품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7114663A (zh) 一种果蔬养胃米粉及其制备方法
CN103082289A (zh) 一种紫薯黑米膨化食品的制备方法
CN111374297A (zh) 一种复合食盐及其制备方法
KR101693668B1 (ko) 꾸지뽕 나무 열매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기능성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2501735B1 (ko) 새싹, 식물성 생약재 및 홍삼을 함유한 기능성 발효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305931B1 (ko) 혈액순환 개선 및 면역력 증진 효능을 가지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2225182B1 (ko) 동결건조 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23921A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KR102168192B1 (ko) 발효 생약초, 과실류 및 표고를 이용한 건강 혼합차 개발
CN104705565A (zh) 一种防三高食疗大米的制造方法
KR102517751B1 (ko) 은행과 도라지를 함유하는 죽염 김부각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94196B1 (ko) 마늘 청국장 발효액의 제조방법
KR100824035B1 (ko) 녹차, 민들레 및 동충하초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김치발효균주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85713B1 (ko) 다이어트용 식초 발포정의 제조방법
KR101473342B1 (ko) 반건조묵의 제조방법
KR102082115B1 (ko) 굼벵이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20050111460A (ko) 견과류가 함유된 호떡반죽물 및 그호떡반죽물을 이용한호떡 제조방법
KR101701680B1 (ko) 발효 하수오 제조방법
CN104938730A (zh) 一种百香果甜茶
KR101701637B1 (ko) 인삼, 미강, 우유,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 인삼 제조방법
KR20200112527A (ko) 항균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64500A (ko) 변비개선 및 소화증진을 위한 건강 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